KR102577340B1 - 화재감시구역에 설치된 광섬유를 관리하는 온도측정기가 내장된 복합형 화재수신기 - Google Patents

화재감시구역에 설치된 광섬유를 관리하는 온도측정기가 내장된 복합형 화재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7340B1
KR102577340B1 KR1020220109346A KR20220109346A KR102577340B1 KR 102577340 B1 KR102577340 B1 KR 102577340B1 KR 1020220109346 A KR1020220109346 A KR 1020220109346A KR 20220109346 A KR20220109346 A KR 20220109346A KR 102577340 B1 KR102577340 B1 KR 102577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emperature measuring
measuring device
fir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9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종천
Original Assignee
(주)전원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전원테크 filed Critical (주)전원테크
Priority to KR1020220109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73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7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73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1/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upon physical or chemical changes not covered by groups G01K3/00, G01K5/00, G01K7/00 or G01K9/00
    • G01K11/32Measuring temperature based upon physical or chemical changes not covered by groups G01K3/00, G01K5/00, G01K7/00 or G01K9/00 using changes in transmittance, scattering or luminescence in optical fibres
    • G01K11/3206Measuring temperature based upon physical or chemical changes not covered by groups G01K3/00, G01K5/00, G01K7/00 or G01K9/00 using changes in transmittance, scattering or luminescence in optical fibres at discrete locations in the fibre, e.g. using Bragg scatte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02B6/50Underground or underwater installation; Installation through tubing, conduits or ducts
    • G02B6/504Installation in solid material, e.g. undergroun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ocessing data by operating upon the order or content of the data handled
    • G06F7/38Methods or arrangements for performing computations using exclusively denominational number representation, e.g. using binary, ternary, decimal representation
    • G06F7/48Methods or arrangements for performing computations using exclusively denominational number representation, e.g. using binary, ternary, decimal representation using non-contact-making devices, e.g. tube, solid state device; using unspecified devices
    • G06F7/491Computations with decimal numbers radix 12 or 20.
    • G06F7/4915Multiplying; Divid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Abstract

광섬유가 넓은 구간의 화재감시구역에서 발생한 화재를 파악할 수 있도록 광섬유의 신호전달을 관리하는 온도측정기의 기능을 화재수신기가 제공할 수 있도록 온도측정기가 내장된 복합형 화재수신기가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화재감시구역에 설치된 광섬유에 연결되어 상기 광섬유 상의 분포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기와, 상용전원으로부터 제공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제공된 전력을 예비전력으로 저장하여 전원공급부 대신 예비전력을 공급하는 예비전원부, 및 상기 온도측정기, 전원공급부, 예비전원부에 연결되며, 전원공급부의 전력 공급이 중단되면 예비전원부가 예비전력을 공급하도록 예비전원부를 제어하는 통합제어부를 포함하는 온도측정기가 내장된 복합형 화재수신기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재감시구역에 설치된 광섬유를 관리하는 온도측정기가 화재수신기에 내장되도록 구성되어 상용전원설비 및 예비전원설비를 공유할 수 있으므로, 온도측정기와 화재수신기를 독립적으로 설치하는 경우보다 설치비용이 절감된다.

Description

화재감시구역에 설치된 광섬유를 관리하는 온도측정기가 내장된 복합형 화재수신기{COMPOSITE FIRE RECEIVER WITH BUILT-IN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TO MANAGE OPTICAL FIBER INSTALLED IN FIRE MONITORING AREA}
본 발명은 화재의 발생을 감시하기 위해 화재감시구역에 설치된 광섬유를 관리하는 온도측정기가 내장되도록 구성된 화재수신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섬유가 넓은 구간의 화재감시구역에서 발생한 화재를 파악할 수 있도록 광섬유의 신호전달을 관리하는 온도측정기의 기능을 화재수신기가 제공할 수 있도록 온도측정기가 내장된 복합형 화재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도시화와 산업화가 가속될수록 이들 시설들을 유지하기 위한 전기, 가스, 수도, 통신 등과 같은 각종 유틸리티(utility) 시설도 더욱 많아지고 복잡해지게 되었다. 더 나아가 오늘날에는 쾌적하고 안전한 생활환경에 대한 욕구가 증가함에 따라 위험하고 미관을 해치는 유틸리티는 지하에 매설되는 경우가 증가하게 되었다.
전선이나 통신선 또는 가스관 등과 같은 시설을 지하에 매설하는 경우에 도심미관을 깨끗하게 할 뿐만 아니라 각종 사고로부터 유틸리티뿐만 아니라 사람들의 안전도 보장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하지만, 지하에 매설된 유틸리티는 육안으로 쉽게 점검을 하기가 어렵고, 사람의 접근이 어려운 지하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에 엄청난 피해를 유발하게 될 뿐만 아니라 복구에도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들게 된다.
따라서 지하에 매설된 유틸리티를 점검하는 일은 매우 중요한 일이 되었다. 그러나, 공기가 잘 통하지 않고 좁은 지하공간을 작업자가 수시로 드나들면서 육안으로 점검을 하는 것은 매우 번거롭고 어려운 일일 뿐만 아니라 많은 비용이 들게 된다. 또한, 전기합선 등과 같은 사고는 언제 어디서 발생할지 예측하기도 어렵기 때문에 투입되는 비용에도 불구하고 매우 비효율적이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지하에 매설된 각종 유틸리티에서 화재가 발생하는지를 감시하거나 점검하기 위하여 단일센서, 선형센서 등의 온도센서나 감시카메라 등이 활용되고 있다.
상기 단일센서는 센서가 구비된 특정위치의 온도를 개별적으로 측정하는 센서를 의미한다. 즉, 100m 거리의 구간을 1m 단위로 측정하기 위해서는 100개의 온도센서가 필요로 하며, 그마저도 각 센서들 사이의 온도를 감시하는데 한계가 있다.
상기 선형센서는 케이블 형상으로 구성된 센서가 특정구간에 포설되어 센서 전 구간에서 연속적으로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의미한다. 따라서, 수 킬로미터에서 수십 또는 수백 킬로미터 단위로 매설되는 지하의 유틸리티를 감시하는 데는 광섬유센서와 같은 선형센서가 적합하다.
종래에 지하매설물의 온도나 화재감지를 위하여 사용되는 선형센서로 광섬유센서가 주로 사용되고 있었다. 광섬유센서를 이용한 온도측정시스템에 관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1834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35513호 등이 있다.
이와 같이, 광섬유를 이용한 온도센서는 온도나 먼지 또는 습도 등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을 뿐만 아니라 수 킬로미터에서 수십 킬로미터까지 원하는 길이로 포설하여 원하는 부위의 온도를 연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저렴한 비용으로 광범위한 지역을 감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하지만, 소방용으로 사용되는 광섬유를 이용한 온도센서는 화재수신기와 별도로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온도센서가 자체적으로 상용전원과 예비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설비를 마련해야 하므로, 상기 온도센서와 화재수신기가 소화실과 같은 한 공간에 설치되더라도 상용전원과 예비전원과 관련된 설비의 설치비용이 온도센서와 화재수신기에 각각 독립적으로 사용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31276호(2021.03.23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12277호(2017.03.03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18345호(2010.02.17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35513호(2012.04.16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1-0033646호(2021.03.29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재감시구역에 설치된 광섬유를 관리하는 온도측정기와 화재수신기가 상용전원설비 및 예비전원설비를 공유할 수 있도록 온도측정기가 내장된 복합형 화재수신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화재감시구역에 설치된 광섬유에 연결되어 상기 광섬유 상의 분포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기와, 상용전원으로부터 제공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제공된 전력을 예비전력으로 저장하여 전원공급부 대신 예비전력을 공급하는 예비전원부, 및 상기 온도측정기, 전원공급부, 예비전원부에 연결되며 전원공급부의 전력 공급이 중단되면 예비전원부가 예비전력을 공급하도록 예비전원부를 제어하는 통합제어부를 포함하는 온도측정기가 내장된 복합형 화재수신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재감시구역에 설치된 광섬유를 관리하는 온도측정기가 화재수신기에 내장되도록 구성되어 상용전원설비 및 예비전원설비를 공유할 수 있으므로, 온도측정기와 화재수신기를 독립적으로 설치하는 경우보다 설치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본 발명은 광섬유를 관리하는 온도측정기만을 위한 상용전원설비 및 예비전원설비의 설치가 불필요하므로, 온도측정기와 화재수신기가 포함된 화재감지시스템의 설치공간이 감소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온도데이터의 용량을 축소시켜 전송하는 방법을 적용하여 화재 현장에 대한 온도데이터를 화재수신기가 5초 이내로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도측정기가 내장된 복합형 화재수신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측정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한 화재감시구역에 설치된 광섬유를 관리하는 온도측정기가 내장된 복합형 화재수신기(이하, '복합형 화재수신기'라고 약칭함)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도측정기가 내장된 복합형 화재수신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화재수신기는 광섬유(100) 상의 분포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기(10)와, 상용전원(200)으로부터 제공된 전력을 온도측정기(10)에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0)와, 상기 전원공급부(20)로부터 제공된 전력을 예비전력으로 저장하여 온도측정기(10)에 예비전력을 공급하는 예비전원부(30), 및 전원공급부(20)의 전력 공급이 중단되면 예비전원부(30)의 예비전력이 온도측정기(10)로 공급되도록 예비전원부(30)를 제어하는 통합제어부(40)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조작부(50)와 화면표시부(60)와 통신부(미도시)와 하우징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섬유(100)는 건물 내부의 화재감시구역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즉, 건물 내부의 구획된 특정 공간의 천정이나 벽면 또는 바닥 등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온도측정기(10)는 광섬유(100)에 레이저광을 주사하고 광섬유(100)를 통하여 주사된 빛이 산란되어 시단부로 되돌아오는 후방 산란광을 이용하여 광섬유(100)의 길이방향의 분포온도를 연산한다. 그리고 광섬유(100)에 레이저광이 입사되면 광섬유(100) 내에서 산란광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발생하는 산란광 중 일부는 광섬유(100)의 시단부로 되돌아와서 후방 산란광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후방산란광은 대부분 입사광과 동일한 파장을 갖는 레일리 산란광(rayleigh scattering light)이며, 미소하게는 라만산란광(raman scattering light)이 포함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레일리 산란광의 강도는 입사광의 1/100 정도이며, 라만 산란광의 강도는 레일리 산란광의 1/10,000 정도로 미약한 빛이다. 그리고 라만 산란광은 광섬유(100) 내에 입사한 광이 광섬유(100)의 구성분자와 충돌하여 발생하는 산란광으로, 입사광에 대하여 장파장 쪽으로 스토크스광(Stokes light)과 단파장 쪽으로 안티스토크스광(Antistokes light)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광섬유(100)를 구성하는 실리카 분자는 온도에 따라 활동량이 달라지므로 온도에 의존하여 산란광의 변화가 나타나게 된다. 즉, 스토크스광과 안티스토크스광의 강도는 절대온도에 의존하게 된다.
따라서 스토크스광과 안티스토크스광의 강도 비를 측정하고, 산란광이 되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면 광섬유(100)의 길이방향의 온도분포를 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광섬유(100)의 길이방향의 분포온도와 광섬유(100)의 길이방향이 특정 공간 내에서 분포하는 위치를 알면 화재가 발생한 위치를 알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온도측정기(10)는 실시간으로 선형적인 온도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화재가 확산되어 가는 방향까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화재경보시스템의 경우에 연기나 온도를 측정하여 화재의 발생여부를 판단하고 경보하는 복수의 개별센서로 구비된다. 연기의 경우에 순식간에 전체 공간에 퍼지기 때문에 종래의 화재감지센서로는 화재의 진행방향을 파악하기 어려우며, 열기의 경우에도 종래의 화재감지센서는 복수 개를 설치하더라도 비선형적으로만 감지하기 때문에 화재의 확산방향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기 어렵게 된다.
그러나 광섬유(100)에 연결된 온도측정기(10)를 이용하면 선형적인 온도변화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개별센서를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정확한 위치파악까지 가능하며, 특히 감시대상이 되는 공간이 넓을수록 유용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화재수신기는 온도측정기(10)를 포함한다.
상기 온도측정기(10)는 화재감시구역에 설치된 광섬유(100)에 연결되는 것으로, 광섬유(100) 상의 분포온도를 측정한다.
상기 온도측정기(10)는 산출된 광섬유(100)의 온도 값에 미리 설정된 10의 배수 값을 곱하여 정수를 산출하고, 상기 정수를 정수 데이터로 변환시켜 통합제어부(40)로 전송하는 변환 프로그램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10의 배수 값은 10, 20, 30, 40, 50, 60, 70, 80, 100 등과 같이 10의 배수 중 관리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값을 의미한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온도측정기(10)는 제1 온도측정기 및 제2 온도측정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온도측정기(10)는 제1 화재감시구역에 설치된 제1 광섬유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제1 광섬유 상의 분포온도를 측정한다.
상기 제2 온도측정기는 제2 화재감시구역에 설치된 제2 광섬유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제2 광섬유 상의 분포온도를 측정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측정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온도측정기(10)는 광원부(11), 대역필터부(12), 신호변환부(13), 신호증폭부(14), 분포온도 연산부(15), 디지털 변환부(1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온도측정기(10)는 공지의 기술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한 범위에서 온도측정기(10)의 기본원리와 구성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상기 광원부(11)는 광섬유(100)에 레이저광을 주사하는 구성이다. 그리고 광원부(11)에 의해 주사된 후 광섬유(100)의 시단부로 되돌아온 후방 산란광은 대역필터부(12)를 통과하면서 스토크스광 및 안티스토크스광으로 분리되고, 신호변환부(13)와 신호증폭부(14)를 거친 후에 분포온도 연산부(15)에서 분포온도를 연산하게 된다. 그리고 분포온도 연산부(15)에서 연산된 각 지점별 분포온도는 디지털 변환부(16)에서 디지털신호로 변환된다.
따라서 전술한 원리로 광섬유(100)가 화재감시구역에 설치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어느 위치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는지를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재의 확산이 어느 방향인지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화재수신기는 전원공급부(20)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공급부(20)는 상용전원(200)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용전원(200)으로부터 제공된 전력을 온도측정기(10), 통합제어부(40), 조작부(50), 화면표시부(60), 통신부에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20)는 상용전원(200)으로부터 제공된 교류전력을 직류전력으로 변환하여 온도측정기(10), 통합제어부(40), 조작부(50), 화면표시부(60), 통신부에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원공급부(20)는 온도측정기(10), 통합제어부(40), 조작부(50), 화면표시부(60), 통신부에 전력선으로 연결된다.
또한, 전원공급부(20)는 예비전원부(30)가 배터리 등의 축전지설비로 구성된 경우 상기 축전지설비가 충전될 수 있도록 직류전력을 예비전원부(30)로 공급한다. 이때, 전원공급부(20)는 통합제어부(40)에 의해 예비전원부(30)로 공급하는 전력량이 제어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화재수신기는 예비전원부(30)를 포함한다.
상기 예비전원부(30)는 전원공급부(20)에 연결되는 것으로, 전원공급부(20)로부터 제공된 전력을 예비전력으로 저장하며, 상용전원(200)의 공급이 중단되면 통합제어부(40)의 제어에 따라 온도측정기(10), 통합제어부(40), 조작부(50), 화면표시부(60), 통신부에 예비전력을 공급한다.
이러한 예비전원부(30)는 정전 등에 의해 전원공급부(20)가 상용전원(20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지 못하는 경우 전원공급부(20)를 대신해 온도측정기(10), 통합제어부(40), 조작부(50), 화면표시부(60), 통신부에 예비전력을 공급한다. 이를 위해, 예비전원부(30)는 온도측정기(10), 통합제어부(40), 조작부(50), 화면표시부(60), 통신부에 전력선으로 연결된다.
또한, 예비전원부(30)는 배터리 등의 축전지설비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화재수신기는 조작부(50)를 포함한다.
상기 조작부(50)는 관리자의 제어신호를 화재수신기로 입력하기 위한 구성으로 키보드, 마우스, 터치스크린 등 공지된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조작부(50)는 입력된 제어신호를 통합제어부(40)로 전달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화재수신기는 화면표시부(60)를 포함한다.
상기 화면표시부(60)는 통합제어부(40)에 의해 제어되어 세부 정보를 출력하는 것으로, 터치스크린이 설치된 모니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화면표시부(60)는 방재실의 근무자가 화재발생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통합제어부(40)로부터 화재발생정보를 제공받아 영상으로 출력하거나, 음향으로 출력하거나, 또는 이들 모두로 출력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화면표시부(60)는 통합제어부(40)로부터 모니터링용 출력이미지가 제공되면, 상기 모니터링용 출력이미지를 영상으로 출력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화재수신기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부는 통신라인을 통해 화재감시구역에 설치된 화재감지기에 연결되는 것으로, 화재감지기와 통신을 통해 실시간 화재신호를 수신받아 통합제어부(4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는 입력 1회로 당 복수로 그룹핑 된 전기적인 배선을 통해 화재감지기와 연결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통신부는 화재감지기에 연결되는 대신 중계기에 연결될 수 있으며, 중계기가 관리하는 화재감지기로부터 수집된 실시간 화재신호를 수신받아 통합제어부(4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는 방재설비에 연결되어 통합제어부(40)로부터 제공된 제어신호를 방재설비로 송신할 수 있다.
아울러, 통신부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방재설비로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네트워크로는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등의 폐쇄형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LTE(Long Term Evolution), EPC(Evolved Packet Core), Wi-Fi(Wireless Fidelity, Wireless Lan(WLAN))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화재수신기는 통합제어부(40)를 포함한다.
상기 통합제어부(40)는 온도측정기(10), 전원공급부(20), 예비전원부(30), 조작부(50), 화면표시부(60), 통신부에 연결되는 것으로, 온도측정기(10)에 대한 전원공급부(20)의 전력 공급이 중단되면 예비전원부(30)가 예비전력을 온도측정기(10)로 공급하도록 예비전원부(30)를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통합제어부(40)는 전원공급부(20)로부터 전송된 응답정보를 분석하여 직류전력 공급의 중단이 검출되면, 예비전원부(30)에 저장된 예비전력을 온도측정기(10), 조작부(50), 화면표시부(60), 통신부로 공급한다.
상기 통합제어부(40)는 복수개의 이더넷 포트가 구비되며, 상기 이더넷 포트를 통해 전술한 제1 온도측정기(10) 및 제2 온도측정기(1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통합제어부(40)는 정수 데이터를 정수로 변환시키고, 상기 정수를 상기 온도측정기(10)와 동일한 10의 배수 값으로 나누어 온도 값을 추출하는 복원 프로그램이 구비될 수 있다.
예컨데, 온도측정기(10)의 변환 프로그램이 산출된 온도 값에 10(미리 설정된 10의 배수 값)을 곱하여 정수를 산출하면, 통합제어부(40)의 복원 프로그램은 정수 데이터로부터 변환된 정수를 10(온도측정기와 동일한 10의 배수 값)으로 나누어서 온도측정기(10)로부터 산출된 온도 값을 추출한다.
일반적으로, 실수를 데이터로 변환시켜 전송하는 경우보다 정수를 데이터로 변환시켜 전송하는데 더 작은 비트가 사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실수를 온도측정기(10)의 변환 프로그램에서 온도데이터로 변환시켜 전송하면 때 자료형이 "double" 인 경우에 '부호(1bit)+지수(11bit)+가수(52bit)= 64bit = 8Byte'가 사용되지만, 정수를 온도측정기(10)의 변환 프로그램에서 온도데이터로 변환시켜 전송하면 자료형이 "short"나 "int" 인 경우에 '부호(1bit)+가수(15bit)= 16bit = 2Byte'가 사용된다.
예컨데, 온도측정기(10)가 1m 분해능으로 총 길이 10㎞이면, 데이터량은 10,000개가 되고, 정수(short)로 표현하면 총 20,000 Byte가 되며, 실수(double)로 표현했을 때 총 80,000 byte가 되므로, 온도측정기(10)와 통합제어부(40) 사이의 데이터 전송량은 1/4로 줄어든다.
다시 말해, 온도측정기(10)로부터 산출된 온도 값이 25.2℃와 같이 소수점 자리를 갖는 경우, 실수인 25.2를 온도데이터로 변환시켜 전송하는 경우보다, 실수에 미리 설정된 10의 배수 값인 10을 곱하여 정수로 환산한 후 정수인 252를 온도데이터로 변환시켜 전송하는 경우에 데이터 사용량이 줄어든다.
한편, 통합제어부(40)는 통신부를 통해 다수의 화재감지기나 중계기로부터 화재정보를 전송받으며, 온도와 연기농도 등이 포함된 화재정보를 분석하여 화재감지기나 중계기가 설치된 공간의 화재발생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통합제어부(40)는 제1 화재감시구역에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분석되면, 방재설비의 작동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감시영역에 설치된 방재설비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방재설비는 유선 통신라인이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화재수신기에 연결된다. 여기서, 방재설비로는 방화문이나 방화벽 등의 방화설비, 소화전이나 스프링클러 등의 방재설비, 피난이나 소화를 원활히 하기 위한 배연설비, 비상용 조명장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통합제어부(40)는 화재정보가 지정조건을 충족하면 화재 발생으로 판단하고, 화재 발생에 대한 알림신호를 출력하며, 방재설비의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방재설비로 전송한다. 예컨대, 통합제어부(40)는 화재정보에 포함된 실시간 계측정보로부터 열(온도) 측정값을 추출하며, 상기 열 측정값이 미리 지정된 온도 임계값 이상이면 화재의 발생으로 판단한다.
상기 통합제어부(40)는 감지된 열, 연기, 가스, 미세먼지 등을 분석하여 화재 발생이 판단되면, 화면표시부(60)를 통해 화재 경보 및 대피로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통합제어부(40)는 다수개의 화재감지기로부터 수집된 화재정보들을 관리자가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화재발생 예측정보를 편집하여 화재감지기별 화재상황과 비화재상황이 색상으로 표시된 모니터링용 출력이미지를 생성하며, 상기 모니터링용 출력이미지를 화면표시부(6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모니터링용 출력이미지는 화재발생 예측정보를 통해 비화재 상황에 해당하는 화재감지기를 모두 동일한 색상(녹색, 노란색, 흰색 등)으로 나타내고, 화재발생 예측정보를 통해 화재 상황에 해당하는 화재감지기를 비화재 상황의 화재감지기와 구분되는 색상(적색, 청색 등)으로 나타낸다. 이때, 모니터링용 출력이미지는 각 화재감지기의 감시영역이 원형, 삼각형, 사각형, 타원형 등의 도형으로 구분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형의 내부에는 화재감지기의 식별번호가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화재수신기는 하우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부는 온도측정기(10), 전원공급부(20), 예비전원부(30), 통합제어부(40), 조작부(50), 화면표시부(60), 통신부의 내장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온도측정기(10), 전원공급부(20), 예비전원부(30), 통합제어부(40), 조작부(50), 화면표시부(60), 통신부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며, 단일의 상품으로 유통될 수 있도록 상품의 외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온도측정기 11 : 광원부
12 : 대역필터부 13 : 신호변환부
14 : 신호증폭부 15 : 분포온도 연산부
16 : 디지털 변환부 20 : 전원공급부
30 : 예비전원부 40 : 통합제어부
50 : 조작부 60 : 화면표시부
100 : 광섬유 200 : 상용전원

Claims (5)

  1. 화재감시구역에 설치된 광섬유에 연결되어 상기 광섬유 상의 분포온도를 측정하고, 데이터의 용량이 축소되도록 상기 광섬유의 온도 값에 미리 설정된 10의 배수 값을 곱하여 정수를 산출하며 상기 정수를 정수 데이터로 변환시켜 전송하는 변환 프로그램이 구비된 온도측정기;
    상용전원으로부터 제공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제공된 전력을 예비전력으로 저장하여 전원공급부 대신 예비전력을 공급하는 예비전원부; 및
    상기 온도측정기, 전원공급부, 예비전원부에 연결되며, 전원공급부의 전력 공급이 중단되면 예비전원부가 예비전력을 공급하도록 예비전원부를 제어하고, 상기 온도측정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정수 데이터를 정수로 변환시키며 상기 정수를 온도측정기와 동일한 10의 배수 값으로 나누어 온도 값을 추출하는 복원 프로그램이 구비된 통합제어부를 포함하는 온도측정기가 내장된 복합형 화재수신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측정기는
    제1 화재감시구역에 설치된 제1 광섬유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광섬유 상의 분포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측정기, 및
    제2 화재감시구역에 설치된 제2 광섬유에 연결되어 상기 제2 광섬유 상의 분포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측정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측정기가 내장된 복합형 화재수신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제어부는
    복수개의 이더넷 포트가 구비되며, 상기 이더넷 포트를 통해 상기 제1 온도측정기 및 제2 온도측정기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측정기가 내장된 복합형 화재수신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측정기와 전원공급부와 예비전원부 및 통합제어부의 내장 공간을 제공하며, 온도측정기와 전원공급부와 예비전원부 및 통합제어부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하우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측정기가 내장된 복합형 화재수신기.
  5. 삭제
KR1020220109346A 2022-08-30 2022-08-30 화재감시구역에 설치된 광섬유를 관리하는 온도측정기가 내장된 복합형 화재수신기 KR102577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9346A KR102577340B1 (ko) 2022-08-30 2022-08-30 화재감시구역에 설치된 광섬유를 관리하는 온도측정기가 내장된 복합형 화재수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9346A KR102577340B1 (ko) 2022-08-30 2022-08-30 화재감시구역에 설치된 광섬유를 관리하는 온도측정기가 내장된 복합형 화재수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7340B1 true KR102577340B1 (ko) 2023-09-14

Family

ID=88013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9346A KR102577340B1 (ko) 2022-08-30 2022-08-30 화재감시구역에 설치된 광섬유를 관리하는 온도측정기가 내장된 복합형 화재수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7340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7148A (ko) * 2004-05-07 2005-11-1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광케이블의 고장 및 화재 감지 시스템
KR20100018345A (ko) 2008-08-06 2010-02-17 다길산업(주) 광섬유 라만 센서를 이용한 터널 화재 감시 시스템 장치및 방법
KR101135513B1 (ko) 2009-04-30 2012-04-16 (주)지엠지 변형 및 화재감지용 분포형 광섬유 센서
KR101712277B1 (ko) 2015-07-27 2017-03-03 삼현컴텍(주) 광섬유온도센서와 정온식감지선형감지기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화재감시 시스템
KR102155867B1 (ko) * 2020-06-01 2020-09-15 (주)파이버프로 온도 감지 장치 및 방법
KR102231276B1 (ko) 2018-11-20 2021-03-23 아이엠(주) 광섬유온도센서와 환기장치를 이용한 화재감시 및 대피자 보호시스템
KR20210033646A (ko) 2019-09-19 2021-03-29 신광정보통신 주식회사 이동 평균을 이용한 광섬유 분포온도 측정 장치
JP2022051488A (ja) * 2020-09-18 2022-03-31 日本ドライケミカル株式会社 受信機および火災警報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7148A (ko) * 2004-05-07 2005-11-1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광케이블의 고장 및 화재 감지 시스템
KR20100018345A (ko) 2008-08-06 2010-02-17 다길산업(주) 광섬유 라만 센서를 이용한 터널 화재 감시 시스템 장치및 방법
KR101135513B1 (ko) 2009-04-30 2012-04-16 (주)지엠지 변형 및 화재감지용 분포형 광섬유 센서
KR101712277B1 (ko) 2015-07-27 2017-03-03 삼현컴텍(주) 광섬유온도센서와 정온식감지선형감지기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화재감시 시스템
KR102231276B1 (ko) 2018-11-20 2021-03-23 아이엠(주) 광섬유온도센서와 환기장치를 이용한 화재감시 및 대피자 보호시스템
KR20210033646A (ko) 2019-09-19 2021-03-29 신광정보통신 주식회사 이동 평균을 이용한 광섬유 분포온도 측정 장치
KR102155867B1 (ko) * 2020-06-01 2020-09-15 (주)파이버프로 온도 감지 장치 및 방법
JP2022051488A (ja) * 2020-09-18 2022-03-31 日本ドライケミカル株式会社 受信機および火災警報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5989B1 (ko) 화재 및 화재의 예상 전개방향을 예측할 수 있는 화재예측 시스템
US4709330A (en) System for supervising and guiding persons in construction
KR102335676B1 (ko) 예비전력의 사용 시 안정적인 속도로 화재감시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화재감시 시스템
CN115240357B (zh) 基于分布式光纤的公共建筑火场温度实时监测及预测系统
KR102358776B1 (ko) 불꽃, 연기 및 영상 기반의 조기 화재감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
JP6688093B2 (ja) 火災及び侵入の検知並びに報知システム
CN213789746U (zh) 基于物联网和gis技术的文物智慧消防平台
CN110333673A (zh) 一种基于物联网的电缆井环境监测方法、系统及设备
CN110689698A (zh) 一种小区火灾预警和逃生系统及其提示方法
KR100865751B1 (ko) 목조건물 화재감시시스템
CN206192541U (zh) 基于光纤分布式测温的高压开关柜多点监测系统
CN114705959A (zh) 一种电力电缆及通道在线监测系统
KR101734155B1 (ko) 다분할 포인트(64 픽셀포인트)의 온도를 측정하는 비접촉식 온도센서를 이용한 전기설비의 화재발생 감시장치
KR102577340B1 (ko) 화재감시구역에 설치된 광섬유를 관리하는 온도측정기가 내장된 복합형 화재수신기
KR20090125582A (ko) 유무선망을 이용한 건축물 방재 및 안전관리 통보시스템
KR102255211B1 (ko) 이상상태 발생위치의 신속한 점검 및 복구가 가능한 주소형 아이솔레이터를 포함하는 화재감지 시스템
KR20150061289A (ko) Usn 기반의 화재 경로 예측 시스템
KR20200060606A (ko) 산업 현장 복합화재 감지 시스템
CN204879458U (zh) 一种分布式油气管道泄漏监测系统
CN103400466A (zh) 基于并行温度测量的地铁站火灾探测及火灾功率预测方法
CN111145487A (zh) 一种柴油发电站电缆及设备防火监控系统和方法
KR101880660B1 (ko) 지하 공동구의 변전설비 감시시스템
KR20150061251A (ko) Usn 기반의 실시간 화재관제 시스템
CN206975811U (zh) 基于zigbee通讯方式的消防安全系统
KR102476657B1 (ko) 중계기의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화재감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