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7130B1 - Wheel unit having a plurality of dividable blocks - Google Patents

Wheel unit having a plurality of dividable block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7130B1
KR102577130B1 KR1020210004080A KR20210004080A KR102577130B1 KR 102577130 B1 KR102577130 B1 KR 102577130B1 KR 1020210004080 A KR1020210004080 A KR 1020210004080A KR 20210004080 A KR20210004080 A KR 20210004080A KR 102577130 B1 KR102577130 B1 KR 102577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upport
unit blocks
wheel unit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40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01958A (en
Inventor
송성혁
박찬훈
김병인
박종우
김휘수
박동일
이재영
서용신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004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7130B1/en
Priority to JP2023537321A priority patent/JP7532667B2/en
Priority to US18/258,035 priority patent/US20240001709A1/en
Priority to EP22739656.1A priority patent/EP4279294A1/en
Priority to PCT/KR2022/000537 priority patent/WO2022154461A1/en
Publication of KR20220101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19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7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71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9/00Wheels of high resiliency, e.g. with conical interacting pressure-surfaces
    • B60B9/26Wheels of high resiliency, e.g. with conical interacting pressure-surfaces comprising resilient spo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7/00Hubs
    • B60B27/0015Hubs for driven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36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type of wheels
    • B60B33/0039Single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47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rolling axle
    • B60B33/0049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rolling axle the rolling axle being horizon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4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djustable, e.g. in height; linearly shifting castors
    • B60B33/045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djustable, e.g. in height; linearly shifting castors mounted resiliently, by means of dam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7/0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 B60C7/1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7/0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 B60C7/1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 B60C7/107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comprising lateral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7/0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 B60C7/1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 B60C7/14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using springs
    • B60C7/146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using springs extending substantially radially, e.g. like spo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00Purpose of invention
    • B60B2900/50Improvement of
    • B60B2900/551Handling of obstacles or difficult terr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다분절 블록을 포함하는 장애물 극복용 바퀴유닛은 허브부, 복수의 단위블록들 및 지지체를 포함한다. 상기 허브부는 회전 구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한다. 상기 단위블록들은 상기 허브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며 바퀴유닛의 외형을 형성한다. 상기 지지체는 상기 허브부와 상기 단위블록들 사이를 연결하거나, 상기 허브부와 상기 단위블록들 사이에 충진된다. 이 경우, 상기 단위블록은, 상기 바퀴유닛이 지면을 이동함에 따라 인접하는 단위블록과의 접촉상태가 가변되며 탈착 또는 밀착된다. A wheel unit for overcoming obstacles including a multi-segment block includes a hub portion, a plurality of unit blocks, and a support body. The hub unit rotates by receiving rotational driving force. The unit blocks are spaced apart from the hub portion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form the outer shape of the wheel unit. The support connects the hub portion and the unit blocks or is filled between the hub portion and the unit blocks. In this case, as the wheel unit moves on the ground, the unit block changes its contact state with adjacent unit blocks and becomes attached or detached.

Description

다분절 블록을 포함하는 장애물 극복용 바퀴유닛{WHEEL UNIT HAVING A PLURALITY OF DIVIDABLE BLOCKS}{WHEEL UNIT HAVING A PLURALITY OF DIVIDABLE BLOCKS}

본 발명은 장애물 극복용 바퀴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방울이 가지는 표면장력 메커니즘을 이용한 변형 구조가 적용됨과 동시에, 다분절 블록을 포함하여 평지 주행은 물론 계단 등의 장애물을 용이하게 극복할 수 있는 다분절 블록을 포함하는 장애물 극복용 바퀴유닛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heel unit for overcoming obstacles, and more specifically, a deformable structure using the surface tension mechanism of water droplets is applied, and at the same time, it includes a multi-segment block to easily overcome obstacles such as stairs as well as driving on flat surfaces. It relates to a wheel unit for overcoming obstacles that includes a multi-segment block.

최근 장애물이나 계단을 자유롭게 통과하며 구동될 수 있는 바퀴에 관한 기술이 다수 개발되고 있다. Recently, many technologies for wheels that can be driven while freely passing obstacles or stairs have been developed.

이러한 장애물 극복형 바퀴의 경우, 바퀴가 갖는 강성이 변화하여 장애물을 극복하는 가변 강성 구조, 장애물을 마주하는 경우 바퀴의 구조가 크게 가변되어 장애물을 극복하는 가변 형상 구조 등이 대표적이다. 물론, 상기 가변 형상 구조와 가변 강성 구조는 서로 복합적으로 연관되어 설계될 수 있다. In the case of such obstacle-overcoming wheels, representative examples include a variable stiffness structure in which the rigidity of the wheel changes to overcome obstacles, and a variable shape structure in which the structure of the wheel changes significantly to overcome obstacles when facing an obstacle. Of course, the variable shape structure and the variable stiffness structure may be designed in complex relation to each other.

특히, 후자의 가변 형상 구조와 관련하여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83854호에서와 같이, 장애물과의 접촉시 바퀴를 구성하는 일부 구조의 형상이 변형되거나 또는 압축되는 등의 형태 변형을 통해 장애물을 극복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In particular, with regard to the latter variable shape structure, as in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83854, the shape of some structures constituting the wheel is deformed or compressed upon contact with an obstacle. We are starting to overcome obstacles through

나아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125166호에서와 같이, 지면을 통과하는 경우 지면으로부터 받는 반력에 따라 일부분이 압축되는 형태 변형을 통해 지면을 통과하는 구조도 개발되고 있다. Furthermore, as in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125166, a structure that passes through the ground through shape deformation in which a portion is compressed according to the reaction force received from the ground when passing through the ground is also being developed.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가변 형상 구조의 장애물 극복용 바퀴는, 가변 형상을 구현하기 위한 바퀴 의 구조가 매우 복잡하게 설계되는 문제가 있으며, 실제 다양한 장애물을 효과적으로 극복하지 못하거나, 극복과정에서 바퀴 구조의 변형 및 복귀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등의 다양한 문제가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wheel for overcoming obstacles with a variable shape structure has a problem in that the structure of the wheel for implementing the variable shape is designed very complexly, and it does not actually overcome various obstacles effectively, or the wheel structure is damaged in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m. There are various problems, such as the significant time required for deformation and recovery.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83854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83854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125166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125166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물방울이 표면장력을 통해 물방울의 형상을 유지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지면의 주행시에는 바퀴 형상의 변화가 최소화되어 유지되고, 바퀴 측면에 장애물이 충돌하는 경우 구조 변경을 통해 해당 장애물의 용이한 극복을 수행하며, 특히, 장애물 극복의 경우, 다분절 블록들의 용이한 분절을 통해 장애물 극복이 가능하며 장애물의 극복 후 즉각적인 복원이 가능한 다분절 블록을 포함하는 장애물 극복용 바퀴유닛에 관한 것이다. Accordingly,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from this point,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nimize changes in the shape of the wheel when running on the ground by using the principle that the water droplet maintains the shape of the water droplet through surface tension, and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wheel. When an obstacle collides with the side, the obstacle can be easily overcome by changing the structur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overcoming the obstacle, it is possible to overcome the obstacle through the easy segmentation of the multi-segment blocks, and immediate restoration is possible after overcoming the obstacle. It relates to a wheel unit for overcoming obstacles including multi-segment blocks.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의한 바퀴유닛은 허브부, 복수의 단위블록들 및 지지체를 포함한다. 상기 허브부는 회전 구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한다. 상기 단위블록들은 상기 허브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며 바퀴유닛의 외형을 형성한다. 상기 지지체는 상기 허브부와 상기 단위블록들 사이를 연결하거나, 상기 허브부와 상기 단위블록들 사이에 충진된다. 이 경우, 상기 단위블록은, 상기 바퀴유닛이 지면을 이동함에 따라 인접하는 단위블록과의 접촉상태가 가변되며 탈착 또는 밀착된다. A whee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realiz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ncludes a hub portion, a plurality of unit blocks, and a support body. The hub unit rotates by receiving rotational driving force. The unit blocks are spaced apart from the hub portion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form the outer shape of the wheel unit. The support connects the hub portion and the unit blocks or is filled between the hub portion and the unit blocks. In this case, as the wheel unit moves on the ground, the unit block changes its contact state with adjacent unit blocks and becomes attached or detach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바퀴유닛이 평지인 지면을 통과하는 경우, 상기 단위블록들은 서로 밀착되고, 상기 지지체는 상기 단위블록들에 상기 허브부 방향으로의 장력을 인가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when the wheel unit passes through a flat ground, the unit blocks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support body may apply tension to the unit blocks in the direction of the hub por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위블록들 사이의 밀착력과, 상기 지지체가 인가하는 장력을 통해, 물방울의 표면장력이 모사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urface tension of a water droplet can be simulated through the adhesion between the unit blocks and the tension applied by the support.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바퀴유닛이 장애물을 극복하는 경우, 상기 장애물에 접촉함에 따라, 상기 서로 밀착된 인접한 단위블록들은 밀착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when the wheel unit overcomes an obstacle, adjacent unit blocks that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may be released from their close contact state as they come into contact with the obstacle.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위블록들은, 상기 장애물에 접촉되는 접촉부에서는 접촉을 유지하고, 상기 접촉부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밀착이 해제되어 서로 분절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unit blocks may maintain contact at a contact portion that contacts the obstacle, and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losing contact as they move away from the contact por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위블록들 각각은, 돌출된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와 결합되도록 함입된 후면부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서 연장되는 고정부, 및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돌출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each of the unit blocks includes a body portion including a protruding front portion and a rear portion recessed to be coupled to the front portion, a fixing portion extending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nd a body portion protruding from a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It may include a support par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몸체부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upport portion may include a support frame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ody portion, and a support protrusion protru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pport frame.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바퀴유닛이 장애물을 극복하는 경우,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장애물의 모서리에 고정되고, 서로 인접한 단위블록들은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돌기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고정부의 간격이 멀어질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when the wheel unit overcomes an obstacle, the support frame and the support protrusion are fixed to a corner of the obstacle, and unit blocks adjacent to each other rotate around the support frame and the support protrusion to Governments may become increasingly distant.

일 실시예에서, 서로 인접한 단위블록들에서,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중앙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지지돌기와, 상기 제1 지지돌기가 삽입되도록 중앙에 삽입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삽입공간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2 지지돌기가 교번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in unit blocks adjacent to each other, the support protrusions include a first support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support frame, forming an insertion space at the center into which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is inserted, and forming an insertion space on both sides of the insertion space.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s formed in may be formed alternately.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에는, 인접한 단위블록의 몸체부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접촉면, 및 상기 고정부의 끝단에 끝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상면과 상기 고정부는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fixing part has a contact surface that slides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of an adjacent unit block, and an end portion is formed at an end of the fixing part, and a step may be form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art and the fixing part.

일 실시예에서, 인접하는 단위블록들의 지지부들의 간격이 멀어지는 경우, 상기 고정부의 끝단부는 인접한 단위블록의 상기 단차에 의해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when the spacing between the support portions of adjacent unit blocks becomes distant, the movement of the end portion of the fixing portion may be restricted by the step of the adjacent unit block.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위블록들 각각은, 상기 몸체부의 전면부에 소정 길이로 형성되는 홈부, 및 상기 몸체부의 후면부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each of the unit blocks may include a groove formed at a predetermined length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rea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일 실시예에서, 인접하는 단위블록들의 지지부들의 간격이 멀어지는 경우, 상기 돌출부는 인접한 단위블록의 상기 홈부에 의해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when the spacing between the support portions of adjacent unit blocks becomes distant, the movement of the protrusion may be restricted by the groove portion of the adjacent unit block.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체가 인가하는 장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uppor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tension appli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퀴유닛이 상대적으로 굴곡이 일정한 지면을 통과하는 경우, 상기 지지체가 인가하는 장력의 크기를 증가시키고, 상기 바퀴유닛이 상대적으로 굴곡이 큰 지면을 통과하는 경우, 상기 지지체가 인가하는 장력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increases the amount of tension applied by the support when the wheel unit passes through a ground with relatively constant curvature, and when the wheel unit passes through a ground with relatively large curvature. , the magnitude of tension applied by the support can be reduc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물방울이 표면장력을 통해 외형을 유지하는 원리를 바탕으로, 지지체가 인가하는 장력 및 단위블록들 사이의 밀착력을 통해 물방울의 표면장력과 유사한 힘을 모사하여, 바퀴유닛이 전체적으로 형상을 유지하며 지면을 효과적으로 통과할 수 있다.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water droplets maintain their appearance through surface tension, a force similar to the surface tension of water droplets is simulated through the tension applied by the support and the adhesion between unit blocks, and the wheel The unit maintains its overall shape and can effectively pass through the ground.

한편, 물방울에 변형 임계각을 초과하는 힘이 작용하는 경우 외형이 붕괴되는 원리를 적용하여, 단위블록이 장애물과 접촉하는 경우, 접촉부에서는 단위블록들 사이의 접촉 상태가 유지되지만, 접촉부의 내측에서는 단위블록들 사이의 밀착이 해제되어 서로 분절됨으로써, 장애물의 효과적인 극복이 가능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by applying the principle that the outer shape collapses when a force exceeding the deformation critical angle is applied to the water droplet, when a unit block contacts an obstacle, the contact state between the unit blocks is maintained in the contact area, but the unit block is maintained inside the contact area. By releasing the adhesion between blocks and segmenting them, effective overcoming of obstacles becomes possible.

이 경우, 붕괴된 부분은, 장애물의 통과 후 상기 장력 및 상기 단위블록들의 구조를 통해 쉽게 복원될 수 있어 바퀴의 원형을 다시 유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장애물의 극복 및 지면 주행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llapsed part can be easily restored after passing the obstacle through the tension and the structure of the unit blocks, so that the original shape of the wheel can be maintained again, allowing the wheel to overcome obstacles and run smoothly on the ground. there is.

한편, 상기 단위블록들에 인가하는 장력을 제어함으로써, 바퀴유닛의 전체적인 변형 정도를 제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대적으로 일정한 지면 또는 상대적으로 불규칙한 지면에 따라 바퀴유닛의 변형정도를 제어하여 효과적인 지면 주행이 가능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by controlling the tension applied to the unit blocks, the overall degree of deformation of the wheel unit can be controlled, and through this, the degree of deformation of the wheel unit can be controlled depending on a relatively constant ground or a relatively irregular ground to achieve effective ground deformation. Driving becomes possible.

특히, 상기 단위블록들 각각은, 지지부를 포함하여, 장애물의 모서리에 단위블록이 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단위블록들의 내부에서의 분절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으며, 서로 인접한 지지부들이 장애물의 극복과정에서 서로 중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 지지돌기와 제2 지지돌기가 교번적으로 형성되어 구조를 유지하면서 안정적인 장애물 극복이 가능하게 된다. In particular, each of the unit blocks includes a support part, so that the unit block can be maintained supported at the edge of the obstacle, thereby effectively inducing segmentation within the unit blocks, and the support parts adjacent to each other can be used to overcome the obstacle. First and second support protrusions are formed alternately to prevent overlapping with each other, making it possible to stably overcome obstacles while maintaining the structure.

또한, 장애물과 접촉하는 접촉부와 인접한 인접부에서는 인접한 단위블록들의 지지부들이 서로 멀어지도록 인장변형이 발생하는데, 이 경우, 고정부가 고정부와 몸체부 사이의 단차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며, 몸체부에 형성된 홈부가 소정 거리만큼만 연장되고, 돌출부가 상기 홈부 상에서 이동되므로, 상기 돌출부 역시 홈부에 의해 이동이 제한된다. 그리하여, 인장변형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단위블록들 사이에서, 소정 거리 이상의 간격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안정적인 상대적인 위치관계를 유지할 수 있어, 장애물의 극복시에도 상기 인접부에서는 바퀴유닛의 구조를 유지하게 된다. In addition, in the adjacent parts adjacent to the contact part in contact with the obstacle, tensile strain occurs so that the supports of adjacent unit blocks move away from each other. In this case, the movement of the fixing part is restricted by the step between the fixing part and the body, and the movement of the fixing part is limited by the step between the fixing part and the body. Since the formed groove extends onl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protrusion moves on the groove, the movement of the protrusion is also limited by the groove. Therefore, when tensile deformation occurs, a stable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can be maintained between the unit blocks without a gap exceeding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the structure of the wheel unit is maintained in the adjacent portion even when obstacles are overcome. do.

즉, 장애물을 극복하는 접촉부에서는 인접하는 단위블록들은 내측에서 자유롭게 분절되고, 상기 접촉부와 인접한 인접부에서는 소정의 인장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고정부 및 상기 돌출부에 의해 상기 단위블록들의 내측의 상대적인 위치가 제한되므로, 전체적으로 자연스러운 단위블록들 사이의 상대위치가 형성되며 상기 바퀴유닛의 안정적인 변형을 구현할 수 있다. That is, in a contact part that overcomes an obstacle, adjacent unit blocks are freely segmented on the inside, and even if a predetermined tensile strain occurs in an adjacent part adjacent to the contact part,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inside of the unit blocks are maintained by the fixing part and the protrusion. Since this is limited, a natural relative position between unit blocks is formed as a whole, and stable deformation of the wheel unit can be realiz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장애물 극복용 바퀴유닛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a는 물방울의 표면장력의 인가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2b는 표면장력의 크기에 따른 물방울의 접촉각의 변화 상태를 예시한 모식도이다.
도 3a는 도 1의 바퀴유닛이 지면을 통과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지면을 통과하는 상태를 물방울의 상태와 비교한 모식도이다.
도 4a는 도 1의 바퀴유닛이 장애물을 극복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장애물을 극복하는 상태를 물방울의 상태와 비교한 모식도이다.
도 5a는 종래기술에 의한 바퀴유닛을 통해 장애물을 극복하는 상태에서의 힘의 전달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며, 도 5b는 도 1의 바퀴유닛을 통해 장애물을 극복하는 상태에서의 힘의 전달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6a는 및 도 6b는 도 1의 바퀴유닛이 장애물을 극복하는 상태에서의 접촉부(A)에서의 단위블록들의 변형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들이다.
도 7a는 도 1의 바퀴유닛이 장애물을 극복하는 상태에서의 인접부(B)에서의 단위블록의 변형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단위블록을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바퀴유닛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도 1 또는 도 8의 바퀴유닛이 실제 평지를 통과하는 상태를 예시한 이미지이고, 도 9b는 장애물을 통과하는 상태를 예시한 이미지이다.
Figure 1 is a front view showing a wheel unit for overcoming obstac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application state of the surface tension of a water drop, and Figure 2b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of change in the contact angle of a water drop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surface tension.
Figure 3a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wheel unit in Figure 1 passes through the ground, and Figure 3b is a schematic diagram comparing the state in which the wheel unit in Figure 3a passes through the ground with the state of a water droplet.
Figure 4a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heel unit of Figure 1 overcomes an obstacle, and Figure 4b is a schematic diagram comparing the state of overcoming an obstacle in Figure 4a with the state of a water droplet.
Figure 5a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transmission state of force in a state of overcoming an obstacle through a wheel unit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Figure 5b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of force transmission in a state of overcoming an obstacle through the wheel unit of Figure 1. This is a schematic diagram.
FIGS. 6A and 6B are front views showing deformed states of unit blocks at the contact portion A when the wheel unit of FIG. 1 overcomes an obstacle.
FIG. 7A is a front view showing the deformed state of the unit block in the adjacent portion (B) when the wheel unit of FIG. 1 overcomes an obstacle, and FIG. 7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nit block of FIG. 7A from another direction. .
Figure 8 is a front view showing a wheel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9A and 9B are image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wheel unit of FIG. 1 or 8 actually passes through flat ground, and FIG. 9b is an image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wheel unit of FIG. 1 or 8 passes through an obstacle.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bject to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disclosed form,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describing each drawing,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components.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consist of”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No.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장애물 극복용 바퀴유닛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Figure 1 is a front view showing a wheel unit for overcoming obstac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장애물 극복용 바퀴유닛(10, 이하 바퀴유닛이라 함)은 복수의 단위블록들(100), 지지체(200), 허브부(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wheel unit 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wheel unit) for overcoming obstacle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unit blocks 100, a support body 200, a hub unit 300, and a control unit 400. ) includes.

상기 허브부(300)는 상기 바퀴유닛(10)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외부로부터 회전 구동력을 제공받아 중심점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The hub unit 300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wheel unit 10, and although not shown, receives rotational driving force from the outside and rotates around the central point.

이 경우, 상기 허브부(3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형상과 같이 단면이 원형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In this case, the hub portion 300 may have a circular cross-section, such as a cylindrical shape, as shown.

상기 단위블록들(100)은 하나의 개별 단위블록(100)이 복수개가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밀착되며 배열되고, 전체적으로, 상기 바퀴유닛(10)의 외형을 형성한다. The unit blocks 100 are arrang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s shown in the plurality of individual unit blocks 100, and overall form the external shape of the wheel unit 10.

상기 단위블록들(100)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서로 밀착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설계되며, 이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퀴유닛(10)의 외형을 형성하며 서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unit blocks 100 are designed to maintain adhesion to each other, and accordingly, as shown in FIG. 1, they form the outer shape of the wheel unit 10 and remain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You can.

상기 단위블록들(100) 각각은 상기 허브부(300)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반경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상기 단위블록들(100) 각각은 소정의 두께(T)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도 1의 깊이방향으로는 소정의 너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단위블록들(100) 각각의 두께와 너비는 다양하게 변형 설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Each of the unit blocks 100 is arranged along the rad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int of the hub portion 300, and each of the unit blocks 100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T, It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in the depth direction of Figure 1. In this case, it is obvious that the thickness and width of each of the unit blocks 100 can be designed in various ways.

다만, 상기 단위블록들(100) 각각의 두께(T)는 상기 바퀴유닛(10)의 외형을 후술되는 물분자의 표면장력 메커니즘을 통해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최소의 두께를 가지면 충분하다. However, it is sufficient for the thickness T of each of the unit blocks 100 to have a minimum thickness sufficient to maintain the external shape of the wheel unit 10 through the surface tension mechanism of water molecules,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상기 단위블록들(100) 각각은 모두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구체적인 형상에 대하여는 후술되는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In addition, each of the unit blocks 100 has the same shape, and the specific shap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elow.

이 경우, 상기 밀착된 단위블록들(100)은, 후술되는 설명에서와 같이, 장애물 등과의 접촉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밀착 상태가 해제, 즉 탈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단위블록들(100) 사이의 밀착과 탈착을 통해 장애물의 극복이 수행된다. In this case, the closely attached unit blocks 100 may be released from the close contact state shown in FIG. 1, that is, detached, upon contact with an obstacle, etc., as described later in the description, and these unit blocks 100 Obstacles are overcome through adhesion and detachment between them.

상기 지지체(200)는 상기 허브부(300)와 상기 단위블록들(100) 사이를 연결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장력을 갖는 와이어(wire)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지지체(200)는 와이어로 제한되지는 않으며, 상기 허브부(300)와 상기 단위블록들(100) 사이를 연결하며 장력을 인가할 수 있는 것이면 충분하다. The support 200 connects the hub portion 300 and the unit blocks 100, and as shown, may be a wire having a predetermined tension. However, the support 200 is not limited to wire, and any support that connects the hub portion 300 and the unit blocks 100 and can apply tension is sufficient.

상기 지지체(200)는, 복수개가 일 단은 상기 허브부(300)의 원주면을 따라 고정되며, 타 단은 상기 단위블록들(100)에 고정된다. The plurality of supports 200 have one end fixed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ub unit 300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unit blocks 100.

이 경우, 상기 지지체(200)는 상기 단위블록들(100) 각각에 하나씩 연결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단위블록들(100) 각각에 소정의 장력을 인가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upport body 200 may be connected one by one to each of the unit blocks 100, and through this, a predetermined tension may be applied to each of the unit blocks 100.

이와 달리,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단위블록들(100)이 서로 밀착되는 상태임을 고려할 때, 상기 지지체(200)는 상기 단위블록들(100) 각각에 하나의 스포크가 연결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는 단위블록들(100)에만 연결될 수도 있다. In contrast, although not shown, considering that the unit blocks 100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support 200 may not have one spoke connected to each of the unit blocks 100, and may be connected at regular intervals. It may be connected only to unit blocks 100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지지체(200)는 소정의 장력을 가지는 것으로, 이에 따라, 상기 허브부(300)와 상기 단위블록들(100) 사이에서 당기는 힘인 장력을 인가하여, 상기 단위블록들(100)의 위치를 유지시키며 상기 단위블록들(100)이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The support 200 has a predetermined tension, and accordingly, tension, which is a pulling force, is applied between the hub portion 300 and the unit blocks 100 to maintain the position of the unit blocks 100. and prevents the unit blocks 100 from being separated to the outside.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지지체(200)는 후술되는 상기 바퀴유닛(10)이 장애물을 통과하는 경우를 제외하면, 상기 단위블록들(100) 모두에 전체적으로 일정한 장력을 인가하게 되며, 이는 결과적으로 물방울이 외형을 유지하는 경우, 물방울의 내부에서의 물분자들 사이의 인력을 모사하여, 상기 바퀴유닛(10)의 내부에서의 인력을 형성하게 된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support body 200 applies an overall constant tension to all of the unit blocks 100, except when the wheel unit 10 passes through an obstacl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hich results in When the water drop maintains its external shape, the attractive force between water molecules inside the water drop is simulated to form the attractive force inside the wheel unit 10.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체(200)가 제공하는 장력과 상기 단위블록들(100) 사이의 밀착력을 통해, 물방울이 외형을 유지하는 경우의 표면장력을 효과적으로 모사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the surface tension of a water droplet maintaining its outer shape can be effectively simulated through the tension provided by the support 200 and the adhesion between the unit blocks 100.

도 2a는 물방울의 표면장력의 인가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2b는 표면장력의 크기에 따른 물방울의 접촉각의 변화 상태를 예시한 모식도이다. Figure 2a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application state of the surface tension of a water drop, and Figure 2b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of change in the contact angle of a water drop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surface tension.

앞서 설명한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바퀴유닛(10)이 물방울의 표면장력을 어떻게 모사하는지를 설명하기에 앞서,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물방울의 표면장력의 인가상태 및 접촉각에 따른 변화 상태를 설명한다. Before explaining how the wheel unit 10 in the present embodiment described above simulates the surface tension of a water drop, the change state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state and contact angle of the surface tension of the water drop will be explained with reference to FIGS. 2A and 2B. do.

물방울이 표면과 접촉하면서, 표면장력으로 구형의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물방울의 내부에서는 물분자들은 주위의 분자들로부터 동일한 힘을 받지만, 표면의 물분자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방향으로만 힘을 받게 된다. When a water droplet contacts the surface and maintains a spherical state due to surface tension, the water molecules inside the water droplet receive the same force from the surrounding molecules, but the water molecules on the surface only exert force in a specific direction, as shown. You will receive it.

이러한 물분자들의 내부 및 표면에서의 힘의 균형 상태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특히, 물분자들 사이의 인력이 증가하는 경우, 내측으로 당기는 힘은 증가하게 되며, 이러한 표면장력의 증가에 따라 더 안정적인 구형의 물분자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The balance of forces inside and on the surface of these water molecules is as shown in Figure 2a. In particular, when the attractive force between water molecules increases, the inward pulling force increases, and this increase in surface tension Accordingly, the more stable spherical form of the water molecule is maintained.

즉,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분자들 사이의 인력이 감소함에 따라, 표면과의 표면장력은 감소하게 되며, 이에 따라 물방울의 접촉각(θ)은 감소하게 된다. That is, as shown in Figure 2b, as the attractive force between water molecules decreases, the surface tension with the surface decreases, and the contact angle (θ) of the water droplet decreases accordingly.

이는 다시 말하면, 물방울의 물분자들 사이의 인력을 증가시킴에 따라 표면장력을 증가시키며 이를 통해 물방울의 접촉각이 증가하고, 보다 구형으로 물방울을 형성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In other words, this means that by increasing the attraction between the water molecules of the water droplet, the surface tension increases, which increases the contact angle of the water droplet and forms a more spherical water droplet.

즉,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바퀴유닛(10)의 경우, 이러한 물분자들 사이의 인력의 인가에 따른 표면장력의 발생을 모사한 것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체(200)가 제공하는 장력과 상기 단위블록들(100) 사이의 밀착력을 통해, 물방울이 외형을 유지하는 경우의 표면장력을 효과적으로 모사할 수 있다. That is, in the case of the wheel unit 10 in this embodiment, the generation of surface tension due to the application of attraction between water molecules is simulated, and as described above, the tension provided by the support 200 Through the adhesion between the unit blocks 100 and the unit blocks 100,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imulate the surface tension when a water droplet maintains its external shape.

결국, 상기 바퀴유닛(10)은, 물방울의 외면이 비압축 또는 일정이상 압축이 어려운 분자들을 위치시킴으로써 표면장력 메커니즘이 적용되어 물분자의 외형이 유지되는 것을 모사하여, 상기 단위블록들(100) 및 상기 지지체(200)의 앞서 설명한 연결관계 및 연결구조를 통해, 이러한 표면장력 메커니즘이 적용될 수 있게 된다. In the end, the wheel unit 10 simulates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water droplet is maintained by applying a surface tension mechanism by placing molecules that are incompressible or difficult to compress beyond a certain level, and the unit blocks 100 And through the previously described connection relationship and connection structure of the support 200, this surface tension mechanism can be appli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한편, 도 2a 및 도 2b에서의 물방울의 표면장력에 따른 형상 유지 상태가 본 실시예의 바퀴유닛(10)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Meanwhile, how the shape maintenance state according to the surface tension of the water droplet in FIGS. 2A and 2B is applied to the wheel unit 10 of this embodiment is as follows.

도 3a는 도 1의 바퀴유닛이 지면을 통과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지면을 통과하는 상태를 물방울의 상태와 비교한 모식도이다. Figure 3a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wheel unit in Figure 1 passes through the ground, and Figure 3b is a schematic diagram comparing the state in which the wheel unit in Figure 3a passes through the ground with the state of a water droplet.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바퀴유닛(10)이 지면(1)을 통과하는 경우, 상기 단위블록들(100)은 후술되는 구조에 의해 서로 밀착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지지체(200)는 상기 단위블록들(100)에 상기 허브부(300) 방향으로의 장력을 인가함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Referring to FIG. 3A, when the wheel unit 10 passes through the ground 1, the unit blocks 100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by a structure to be described later, and at the same time, the support 200 is attached to the unit. Applying tension to the blocks 100 in the direction of the hub portion 300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바퀴유닛(10)이 지면을 통과하게 되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면(1)에 접촉하는 상기 바퀴유닛(10)의 하부 측은 다소 압축되는 형태로 변형될 수는 있으나, 전체적으로 상기 바퀴유닛(10)이 가지는 외형이 유지될 수 있다. In this state, when the wheel unit 10 passes through the ground, as shown in FIG. 3A, the lower side of the wheel unit 10 in contact with the ground 1 may be deformed into a somewhat compressed form. However,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wheel unit 10 can be maintained.

즉, 상기 바퀴유닛(10)의 회전에 따라,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하부 측만 다소 압축되는 것을 제외하고 전체적인 상기 바퀴유닛(10)의 외형은 유지되게 된다. That is, as the wheel unit 10 rotates, the overall outer shape of the wheel unit 10 is maintained except that only the lower portion located at the bottom is compressed somewhat.

이러한 상기 바퀴유닛(10)의 지면(1) 통과 상태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방울이 지면에 접촉하는 경우로 모사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바퀴유닛(10) 전체를 물방울로 모사한다면, 상기 바퀴유닛(10)은 표면(1)과 소정의 접촉각(θ)을 가지면서 접촉상태를 유지하며 지면을 통과하는 것이라 해석될 수 있다. This state of the wheel unit 10 passing through the ground 1 can be simulated as a case where water droplets contact the ground, as shown in FIG. 3b. In this case, the entire wheel unit 10 is covered with water droplets. If simulated, the wheel unit 10 can be interpreted as passing through the ground while maintaining a contact state with the surface 1 at a predetermined contact angle θ.

이 경우, 상기 접촉각(θ)은 둔각을 유지하여야 하며, 상기 접촉각이 증가할수록 보다 원형 또는 구형에 가까운 형상을 갖게 된다. In this case, the contact angle (θ) must maintain an obtuse angle, and as the contact angle increases, the shape becomes more circular or spherical.

이와 달리, 도 2a 및 도 2b에서의 물방울의 표면장력이 붕괴되어 물방울이 그 형상을 잃어버리는 상태가 본 실시예의 바퀴유닛(10)에 적용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In contrast, the state in which the surface tension of the water droplet collapses and the water droplet loses its shape in FIGS. 2A and 2B is explained as follows when applied to the wheel unit 10 of this embodiment.

도 4a는 도 1의 바퀴유닛이 장애물을 극복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장애물을 극복하는 상태를 물방울의 상태와 비교한 모식도이다. Figure 4a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heel unit of Figure 1 overcomes an obstacle, and Figure 4b is a schematic diagram comparing the state of overcoming an obstacle in Figure 4a with the state of a water droplet.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바퀴유닛(10)이 지면(1)에 위치하는 계단 등과 같은 장애물(6)에, 상기 바퀴유닛(10)의 하부의 일 측이 충돌하는 경우, 상기 바퀴유닛(10)은 상기 충돌 위치에서 변형되기 시작한다. Referring to FIG. 4A, when one side of the lower part of the wheel unit 10 collides with an obstacle 6 such as a staircase located on the ground 1, the wheel unit 10 ) begins to deform at the collision location.

즉, 이러한 충돌 상황을 도 4b에서와 같이 물방울의 충돌 상태로 모사한 것을 참조하면, 상기 바퀴유닛(10)이 상기 장애물(6)에 충돌하는 경우, 상기 장애물(6)과의 접촉부(A)에서 상기 바퀴유닛(10)의 외형의 접촉각(θ)은, 소위 변형 임계각(예를 들어, 180도)을 급격하게 초과하게 된다. That is, referring to the simulation of this collision situation as a water droplet collision state as shown in FIG. 4b, when the wheel unit 10 collides with the obstacle 6, the contact portion A with the obstacle 6 The contact angle θ of the outer shape of the wheel unit 10 rapidly exceeds the so-called deformation critical angle (for example, 180 degrees).

이와 같이, 변형 임계각을 초과하는 순간, 물방울이 급격하게 대변형이 발생하여 물방울의 형태가 붕괴되는 것과 유사하게, 상기 바퀴유닛(10)도 상기 접촉부(A)에서 그 형태가 붕괴되면서 장애물(6)의 형태를 반영하면서 상기 단위블록들(100)은 내측에서 변형된다. In this way, at the moment when the deformation critical angle is exceeded, a large deformation occurs suddenly in the water droplet and the shape of the water droplet collapses, similarly, the wheel unit 10 also collapses its shape at the contact portion A, forming an obstacle 6 ), the unit blocks 100 are deformed on the inside while reflecting the shape.

다만, 이 경우, 상기 바퀴유닛(10)은 상기 허브부(300)가 연속적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상기 접촉부(A)가 붕괴된 상태가 되더라도, 상기 접촉부(A)를 중심으로 상기 허브부(300)가 회전하면서, 상기 바퀴유닛(10)은 상기 장애물(6)을 극복하게 된다. However, in this case, since the hub portion 300 of the wheel unit 10 continuously rotates, even if the contact portion A is in a collapsed state, the hub portion 300 centers around the contact portion A. ) rotates, the wheel unit 10 overcomes the obstacle 6.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바퀴유닛(10)은, 단순히 평평한 지면(1)을 통과하는 경우라면 물방울이 표면장력을 통해 물방울의 형상을 유지하는 것과 동일하게 전체적으로 원형 또는 구형의 형상을 유지하면서 지면(1)을 통과하지만, 장애물(6)과 충돌하는 경우, 해당 충돌 위치를 중심으로 단위블록들(100)의 밀착상태가 붕괴되며 장애물(6)의 외형이 반영되어 해당 국소부위의 바퀴유닛(10)의 형태가 변형되고, 이를 통해 장애물(6)을 극복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wheel unit 10 in this embodiment has an overall circular or spherical shape in the same way that water droplets maintain their shape through surface tension when simply passing through the flat ground 1. It passes through the ground (1) while maintaining its position, but when it collides with an obstacle (6), the adhesion state of the unit blocks (100) collapses around the collision location, and the external shape of the obstacle (6) is reflected, causing damage to the local area. The shape of the wheel unit 10 is changed, thereby overcoming the obstacle 6.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단위블록들(100)이 상기 접촉부(A)에서 밀착상태가 해제되더라도, 상기 단위블록들(100)의 외주면은 서로 밀착되도록 설계되어 소정의 밀착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이를 통해 상기 단위블록들(100)의 밀착상태는 다시 복원될 수 있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unit blocks 100 are out of close contact at the contact portion A,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unit blocks 100 are design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a predetermined adhesive force can be provided. , Through this, the close contact state of the unit blocks 100 can be restored.

도 5a는 종래기술에 의한 바퀴유닛을 통해 장애물을 극복하는 상태에서의 힘의 전달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며, 도 5b는 도 1의 바퀴유닛을 통해 장애물을 극복하는 상태에서의 힘의 전달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Figure 5a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transmission state of force in a state of overcoming an obstacle through a wheel unit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Figure 5b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of force transmission in a state of overcoming an obstacle through the wheel unit of Figure 1. This is a schematic diagram.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바퀴유닛(10)이 계단 등의 장애물을 극복하는 경우의 세부적인 구조 변형에 대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 바퀴유닛(10)이 계단을 극복하는 경우의 힘 전달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Before explaining detailed structural modifications when the wheel unit 10 overcomes obstacles such as stair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regarding the force transmission state when the wheel unit 10 overcomes stairs. Explain.

이 경우,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바퀴유닛(10)이 가지는 장점을 설명하기 위해, 종래유닛에서의 바퀴유닛(11)은 외곽을 형성하는 단위블록(101)이 서로 밀착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서로 탈착되지 않은 구조를 가지는 것을 가정한다. In this case, in order to explain the advantages of the wheel unit 10 in this embodiment, the wheel unit 11 in the conventional unit is detachable from each other in that the unit blocks 101 forming the outer perimeter are fixed to each other in close contact. Assume that it has an unstructured structure.

즉, 도 5a에서와 같이, 종래기술에서의 바퀴유닛(10)에서는, 단위블록(101)의 외측면은 물론 내측면도 별도의 분절 구조가 형성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곡면 구조로 형성되었다. That is, as shown in FIG. 5A, in the wheel unit 10 in the prior art, the outer surface as well as the inner surface of the unit block 101 are formed as a continuously extending curved structure without a separate segmented structure.

이상과 같은 구조의 바퀴유닛이 계단과 접촉하며 계단을 극복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계단으로부터 외력(External Force)이 상기 단위블록(101)의 외측면으로 인가되면, 상기 외측면 중 상기 계단과 접촉되는 부분에서는 압축력(Compression)이 발생하며, 이에 따라 상기 외측면에 마주하는 내측면에서는 인장력(Tension)이 발생하게 된다. In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 stairs by contacting the wheel unit with the above structur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from the stairs to the outer surface of the unit block 101, one of the outer surfaces is in contact with the stairs. Compression occurs in this part, and accordingly, tension occurs in the inner surface facing the outer surface.

그런데, 상기 단위블록(101)의 경우, 상기 외측면은 물론 내측면도 서로 결합이 해제되지 않는 즉, 분절되지 않은 연속으로 연장되는 곡면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압축력과 상기 인장력은 서로 유사한 수준으로 유지되며 이에 따라 상기 단위블록(101) 상에서 중립면(neutral surface)은 상기 단위블록(101)의 중앙을 따라 형성된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unit block 101, the outer surface as well as the inner surface are not disconnected from each other, that is, because they are a curved structure that extends continuously without being segmented, the compressive force and the tensile force are maintained at similar levels. Accordingly, a neutral surface on the unit block 101 is formed along the center of the unit block 101.

나아가, 상기 단위블록(101)의 내측면의 경우 분절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면이므로, 상기 내측면의 재질 등에 따라 일정 범위 이내의 인장변형률(Tensile strain)만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인장 변형률에 대하여는 상기 단위블록(101)에서 구현될 수 없게 된다. Furthermore, in the cas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unit block 101, since it is a continuously extending surface without being segmented, only a tensile strain within a certain range can be realized depending on the material of the inner surface, etc., and tensile strain outside the above range can be achieved. Tensile strain cannot be implemented in the unit block 101.

따라서, 도 5a에서와 같은 종래기술에서의 바퀴유닛을 통해서는, 상기 계단 등과 같은 장애물을 통과하는 경우, 상기 인장 변형률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라면 상기 바퀴유닛은 상기 계단에 부딪혀 튕겨져 나오는 것과 같이 상기 계단을 극복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Therefore, through the wheel unit in the prior art as shown in FIG. 5A, when passing an obstacle such as the stairs, if it is outside the range of the tensile strain, the wheel unit hits the stairs and bounces off the stairs. A problem arises that cannot be overcome.

반면, 도 5b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바퀴유닛(10)에서와 같이, 상기 단위블록(100)이 서로 탈착이 가능하여, 상기 단위블록들(100)의 내측면이 서로 분절이 가능한 분절 구조를 포함하게 되면, 상기 계단으로부터 외력(External Force)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내측면은 분절에 의해 인장 변형률이 제한되지 않으므로, 즉, 상기 인장 변형률이 무한이 증가(Max. Tensile strain 가능)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in the wheel uni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hown in Figure 5b, the unit blocks 100 are detachable from each other, so the inner surfaces of the unit blocks 100 can be segmented from each other. When a segmental structure is include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from the step, the tensile strain of the inner surface is not limited by the segment, that is, the tensile strain increases infinitely (Max. Tensile strain is possible) It can be.

이와 같이, 상기 내측면에 인가되는 인장변형률이 특정 범위로 제한되지 않으므로, 상기 단위블록(100) 상에서 중립면(neutral surface)은 상기 외측면에 근접하도록 형성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내측면의 인장 변형률은 크게 구현이 가능해짐에 따라, 상기 바퀴유닛(10)은 상기 계단을 매우 용이하게 극복할 수 있다. In this way, since the tensile strain applied to the inner surface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range, a neutral surface on the unit block 100 is formed close to the outer surface, and at the same time, the tensile strain of the inner surface is As it becomes possible to significantly implement, the wheel unit 10 can overcome the stairs very easily.

즉, 상기 바퀴유닛(10)이 상기 계단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계단에 접촉되는 상기 단위블록(100)의 외측면을 중심으로, 상기 단위블록(100)은 상기 내측면을 포함하여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으므로, 상기 바퀴유닛(10)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상기 바퀴유닛(10)은 상기 계단에 접촉되는 상기 단위블록(100)의 외측면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상기 계단의 외형 형상과 일치하게 변형 가능하며, 따라서 상기 계단을 용이하게 극복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wheel unit 10 is in contact with the stairs, the unit block 100 is freely deformed, including the inner surface, center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unit block 100 in contact with the stairs. Therefore, by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of the wheel unit 10, the wheel unit 10 is rotated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unit block 100 in contact with the staircase and deformed to match the external shape of the staircase. It is possible, and therefore the stairs can be easily overcome.

이상과 같이, 계단 등과 같은 장애물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단위블록(100)은 분절을 통해 자유로운 변형이 가능하게 되며, 인장변형률에 대한 제한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용이한 장애물 극복이 가능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contacting an obstacle such as a staircase, the unit block 100 can be freely deformed through segmentation, and since there is no limit to the tensile strain, it is possible to easily overcome the obstacle.

도 6a는 및 도 6b는 도 1의 바퀴유닛이 장애물을 극복하는 상태에서의 접촉부(A)에서의 단위블록들의 변형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들이다. FIGS. 6A and 6B are front views showing deformed states of unit blocks at the contact portion A when the wheel unit of FIG. 1 overcomes an obstacle.

우선, 상기 접촉부(A)에서의 단위블록들의 변형 상태를 설명하기 전에,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상기 단위블록들(100) 각각의 세부 구조 및 인접한 단위블록들 사이의 연결 및 해제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First, before explaining the deformed state of the unit blocks in the contact portion (A), referring to FIGS. 6A and 6B, the detailed structure of each of the unit blocks 100 and the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states between adjacent unit blocks. Explain.

상기 단위 블록들(100) 각각은, 몸체부(110), 홈부(120), 돌출부(130), 고정부(140) 및 지지부(150)를 포함한다. Each of the unit blocks 100 includes a body portion 110, a groove portion 120, a protruding portion 130, a fixing portion 140, and a support portion 150.

상기 몸체부(110)는 상기 단위 블록(100)의 중앙 몸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도 6a 및 도 6b의 도면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너비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몸체부(110)가 가지는 너비는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The body portion 110 forms the central body of the unit block 100 and may have a predetermined width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rawings of FIGS. 6A and 6B. The width of the body portion 110 can be designed in various ways.

상기 몸체부(110)는 상측의 면을 형성하는 상면(111) 및 하측의 면을 형성하는 하면(112)을 포함한다. The body portion 110 includes an upper surface 111 forming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112 forming a lower surface.

이 경우, 상기 하면(112)은 일 방향으로 평면 형상으로 연장되지만, 상기 상면(111)은 상기 하면(112)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 후 전단에서는 하부를 향하여 휘어진 곡면으로 연장된다. In this case, the lower surface 112 extends in a flat shape in one direction, but the upper surface 111 extend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lower surface 112 and then extends as a curved surface curved downward at the front end.

상기 몸체부(110)는, 상기 상면(111)에 연장되며 상기 몸체부(110)의 전방을 형성하는 전면부(115), 및 상기 전면부(115)의 후측에서 상기 몸체부(110)의 후방을 형성하는 후면부(116)를 더 포함한다. The body portion 110 includes a front portion 115 that extends to the upper surface 111 and forms the front of the body portion 110, and a rea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10 at the rear of the front portion 115. It further includes a rear portion 116 forming the rear.

상기 전면부(115)는 상기 상면(111)으로부터 연장되며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후면부(116)는 상기 전면부(115)와 다르게 오목하게 함입되도록 형성된다. The front portion 115 extends from the upper surface 111 and is formed to protrude, and the rear portion 116 is formed to be concave and recessed differently from the front portion 115.

이 경우,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한 단위블록들에서, 후단에 위치한 단위블록의 전면부(115)는 전단에 위치한 단위블록의 후면부(116)에 밀착되며 삽입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전면부(115)는 인접하는 단위블록의 후면부(116)에 의해 형성되는 후면 함입부(117)에 위치하며, 상기 후면부(116)와 밀착 가능하게 된다.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6A, in unit blocks adjacent to each other, the front part 115 of the unit block located at the rear end may be positioned to be inserted into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part 116 of the unit block located at the front end. That is, the front part 115 is located in the rear recessed part 117 formed by the rear part 116 of an adjacent unit block, and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part 116.

이에 따라, 상기 전면부(115)의 돌출되는 형상은 상기 후면부(116)의 함입되는 부분에 밀착하며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전면부(115)와 상기 후면부(116)는 서로 같은 곡률을 가지도록 연장되는 면으로 그 형상이 설계되어야 한다. Accordingly, the protruding shape of the front part 115 is such that the front part 115 and the rear part 116 have the same curvature so that they can be inser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recessed part of the rear part 116. The shape must be designed with an extending surface.

한편, 상기 몸체부(110)는 상기 하면(112)의 전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전면 함입부(113) 및 상기 하면(112)의 후단으로부터 연장되는 후면 돌기(118)를 더 포함한다. Meanwhile, the body portion 110 further includes a front recessed portion 113 extending from the front end of the lower surface 112 and a rear protrusion 118 extending from the rear end of the lower surface 112.

상기 전면 함입부(113)는, 상기 하면(112)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전면부(115)까지 연장되는 연장면에서, 오목하게 라운드된 형상으로 함입되면서 연장된다. 즉, 상기 하면(112)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전면부(115)는 전체적으로 돌출되는 곡면을 형성하지만, 상기 전면 함입부(113)의 경우 함입되도록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ront recessed portion 113 is recessed and extended in a concave round shape on an extension surface extending from the front end of the lower surface 112 to the front portion 115. That is, the front part 115 forms a curved surface that protrudes as a whole from the front end of the lower surface 112, but the front recessed part 113 extends to be recessed.

또한, 상기 후면 돌기(118)는, 상기 하면(112)의 후단으로부터 상기 후면부(116)까지 연장되는 연장면에서, 볼록하게 라운드 된 형상으로 돌출되면서 연장된다. 즉, 상기 하면(112)의 후단으로부터 상기 후면부(116)까지는 전체적으로 오목하게 함입되는 곡면을 형성하지만, 상기 후면돌기(118)의 경우 돌출되도록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dditionally, the rear protrusion 118 protrudes and extends in a convex round shape on an extension surface extending from the rear end of the lower surface 112 to the rear portion 116. That is, from the rear end of the lower surface 112 to the rear portion 116, an overall concave curved surface is formed, but the rear protrusion 118 extends to protrude.

이 경우, 상기 전면 함입부(113)의 오목하게 함입되는 형상은 상기 후면돌기(118)의 볼록하게 돌출되는 형상과 서로 밀착 가능하도록 동일한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ncave recessed shape of the front recessed portion 113 may be formed with the same curvature as the convex protruding shape of the rear protrusion 118 to enable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즉,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하는 상기 단위블록들(100)이 서로 밀착하는 경우, 전단에 위치한 단위블록의 상기 후면 돌기(118)는 후단에 위치한 단위블록의 상기 전면 함입부(113)와 밀착하게 된다. That is, as shown in FIG. 6A, when the adjacent unit blocks 100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rear protrusion 118 of the unit block located at the front end is the front recess ( 113) comes into close contact.

한편, 상기 홈부(120)는 상기 전면부(115)에서 상기 전면 함입부(113) 사이에 소정 길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소정거리 만큼 함입되는 홈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면부(115)를 형성하는 측면과 소정의 단차를 형성한다. Meanwhile, the groove portion 120 is formed with a predetermined length between the front portion 115 and the front recessed portion 113, and is formed as a groove recessed for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rawing, and the front portion ( 115) and a predetermined step are formed on the side.

또한, 상기 돌출부(130)는 상기 후면(114)으로부터 소정길이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인접하는 단위블록의 상기 홈부(120) 상에 위치한다. Additionally, the protrusion 130 is formed to protrude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rear surface 114 and is located on the groove 120 of an adjacent unit block.

즉,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하는 단위블록들이 서로 밀착하는 경우, 전단에 위치한 단위블록의 상기 돌출부(130)는 후단에 위치한 단위블록의 상기 홈부(120) 상에 위치하며, 상기 돌출부(130)는 소정 길이 연장되는 상기 홈부(120) 상에서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돌출부(130)는 상기 홈부(120) 상에서 슬라이딩되며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That is, as shown in FIG. 6A, when adjacent unit blocks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protrusion 130 of the unit block located at the front end is located on the groove 120 of the unit block located at the rear end, and The protrusion 130 can move its position on the groove 120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That is, the protrusion 130 may slide and move on the groove 120.

다만, 도 6a에서와 같이, 인접하는 단위블록들이 서로 밀착한 상태에서는, 상기 돌출부(130)는 상기 홈부(120)의 하단에 위치하게 되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단위블록들의 상대 위치가 서로 변경됨에 따라, 상기 돌출부(130)도 상기 홈부(120) 상에서 그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However, as shown in Figure 6a, when adjacent unit blocks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protrusion 130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groove 120, and although not shown,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unit blocks are changed. Accordingly, the position of the protrusion 130 may also change on the groove 120.

이상과 같이, 상기 돌출부(130)가 상기 홈부(120)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됨에 따라, 단위블록들이 서로 밀착한 상태에서의 밀착력이 향상될 수 있으며, 상기 단위블록들의 상대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라도, 일정한 범위 이내에서는 상기 돌출부(130)가 상기 홈부(120) 상에 위치할 수 있어 서로의 밀착성이 유지되거나 상대적인 위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s the protrusion 130 is formed to be located on the groove 120, the adhesion force when the unit blocks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can be improved, even when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unit blocks are changed. , within a certain range, the protrusion 130 can be located on the groove 120, so that adhesion to each other can be maintained or relative positional movement can be limited.

상기 고정부(140)는 상기 몸체부(110)의 상측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으로, 고정돌기(141), 접촉면(142) 및 끝단부(143)를 포함한다. The fixing part 140 extends from the upper side of the body part 110 and includes a fixing protrusion 141, a contact surface 142, and an end portion 143.

상기 고정돌기(141)는 상기 몸체부(110)의 상면(111)의 후측과 상기 후면부(116)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상면(111)의 연장면에 대하여 소정의 단차(119)를 형성하도록 상기 몸체부(110)의 후단 상측 방향으로 연장된다. The fixing protrusion 141 extends from the rear side of the upper surface 111 of the body portion 110 and the rear portion 116, and forms a predetermined step 119 with respect to the extended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111. It extends upward toward the rear end of the body portion 110.

이 경우, 상기 접촉면(142)은 상기 고정부(140)의 하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후면부(116)로부터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면에 해당된다. In this case, the contact surface 142 forms the lower surface of the fixing part 140 and corresponds to a surface continuously extending from the rear part 116.

또한, 상기 끝단부(143)는 상기 접촉면(142)의 최 후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부(140)의 후미 끝단을 형성하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end portion 143 is formed at the rearmost end of the contact surface 142 and forms the rear end of the fixing portion 140 and is formed to protrude.

상기 고정부(14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하는 단위블록들이 밀착되는 경우, 전단에 위치하는 단위블록의 상기 접촉면(142)이 후단에 위치하는 단위블록의 상기 상면(111) 상에 밀착되도록 위치한다. As shown in FIG. 6A, the fixing part 140 is such that, when adjacent unit blocks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contact surface 142 of the unit block located at the front end is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111 of the unit block located at the rear end. ) is placed in close contact with the top.

따라서, 상기 접촉면(142)이 형성하는 상기 곡면의 곡률은 상기 상면(111)이 형성하는 곡률과 동일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curvature of the curved surface formed by the contact surface 142 may be the same as the curvature formed by the upper surface 111.

한편, 전단에 위치하는 단위블록의 상기 끝단부(143)는 후단에 위치하는 단위블록에서, 상기 상면(111)과 상기 고정부(140)의 연결부에 형성되는 단차(119)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끝단부(143)가 상기 단차(119)에 위치하여, 서로 인접하는 단위블록들의 상대적인 위치 변화를 제한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Meanwhile, the end portion 143 of the unit block located at the front end may be located at the step 119 formed 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upper surface 111 and the fixing portion 140 in the unit block located at the rear end. . Accordingly, the end portion 143 is located at the step 119, thereby limiting changes in the relative positions of adjacent unit blocks,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지지부(150)는 상기 하면(112)에 결합되는 것으로, 지지프레임(151)과 제1 지지돌기(152) 또는 제2 지지돌기(153)를 포함한다. The support portion 150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112 and includes a support frame 151 and a first support protrusion 152 or a second support protrusion 153.

이 경우, 상기 단위블록들에 대하여, 상기 제1 지지돌기(152)와 상기 제2 지지돌기(153)는 서로 교번적으로 형성된다. 즉, 전단에 위치한 단위블록이 제1 지지돌기(152)를 포함한다면, 후단에 위치한 단위블록은 제2 지지돌기(153)를 포함하게 된다. In this case, the first support protrusions 152 and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s 153 are formed alternately with respect to the unit blocks. That is, if the unit block located at the front end includes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152, the unit block located at the rear end includes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153.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프레임(151)은 상기 하면(112) 상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하면(112)이 평면으로 연장되므로, 상기 지지프레임(151)도 상기 하면(112)과 같이 평면으로 연장된다. Specifically, the support frame 151 is fixed on the lower surface 112, and since the lower surface 112 extends in a plane, the support frame 151 also extends in a plane like the lower surface 112. .

상기 제1 지지돌기(152) 또는 상기 제2 지지돌기(153)는 상기 지지프레임(151)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지지프레임(151)의 연장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152 or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153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151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support frame 151.

그리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151)과 상기 제1 지지돌기(152), 또는 상기 지지프레임(151)과 상기 제2 지지돌기(153)는, 측면에서 관찰하였을 때, 전체적으로 'ㄱ'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us, as shown, the support frame 151 and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152, or the support frame 151 and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153, when observed from the side, are overall 'a' 'It can have a shape.

이상과 같이, 상기 지지부(150)가 측면에서 관찰하였을 때, 'ㄱ'자 형상을 가지므로,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한 단면을 가지는 계단과 같은 장애물(6)을 통과하는 경우, 상기 장애물(6)과의 보다 효과적인 지지 또는 고정이 가능하여, 보다 용이한 장애물 극복을 수행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upport portion 150 is observed from the side, it has an 'ㄱ' shape, so it can pass through obstacles 6 such as stairs having a vertical cross-section, as shown in FIGS. 6A and 6B. In this case, more effective support or fixation with the obstacle 6 is possible, making it easier to overcome the obstacle.

한편, 후술되는 도 7b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전단에 위치하는 단위블록의 지지부(150)가 제2 지지돌기(153)를 포함하고, 후단에 위치하는 단위블록의 지지부(150)가 제1 지지돌기(152)를 포함하는 경우라면, 상기 제2 지지돌기(153)는 중앙에 삽입공간(154)을 형성하도록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돌기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돌기(152)는 상기 삽입공간(154)이 형성되는 위치인 중앙에 하나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7B,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for example, the support portion 150 of the unit block located at the front end includes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153, and the support portion 150 of the unit block located at the rear end includes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153. In the case of including the support protrusion 152,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153 includes a pair of protrus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orm an insertion space 154 at the center, and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152 It may include one protrusion in the center, which is the location where the insertion space 154 is formed.

그리하여, 도 6b에서와 같이, 서로 인접하는 단위블록들이 장애물(6)을 극복함에 따라, 서로 인접하는 지지부들(150)이 서로 중첩되는 경우, 상기 제1 지지돌기(152)가 상기 삽입공간(154)으로 위치할 수 있어, 서로 인접하는 지지부들(150)의 중첩에 의해, 상기 서로 인접하는 단위블록들의 상대적인 위치가 제한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Therefore, as shown in Figure 6b, as adjacent unit blocks overcome the obstacle 6, when adjacent support portions 150 overlap each other,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152 forms the insertion space ( 154),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blem of limit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djacent unit blocks due to overlapping of adjacent support portions 150.

즉, 상기 서로 인접하는 단위블록들 사이의 위치가 상기 지지부들(150)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므로, 다양한 형태의 장애물(6)을 극복하는 경우, 상기 지지부들(150)의 위치 중첩과 무관하게, 효과적인 장애물(6)의 극복이 가능하게 된다. That is, since the positions between adjacent unit blocks are not limited by the supports 150, when overcoming various types of obstacles 6, regardless of the overlapping positions of the supports 150, Effective overcoming of obstacles (6) becomes possible.

이하에서는, 도 6a 및 도 6b를 다시 참조하여, 상기 바퀴유닛(10)이 장애물을 통과하는 경우, 서로 인접하는 단위블록들 사이의 위치변화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referring again to FIGS. 6A and 6B, when the wheel unit 10 passes an obstacle, a change in position between adjacent unit blocks will be described.

우선,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바퀴유닛(10)이 상기 장애물(6)에 접촉하는 경우, 상기 단위블록들 중, 임의의 단위블록의 지지돌기(152, 153)가 장애물(6)의 상면 상에 우선 접촉하게 된다. First, referring to FIG. 6A, when the wheel unit 10 contacts the obstacle 6, the support protrusions 152 and 153 of any unit block among the unit blocks ar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bstacle 6.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urface first.

다만, 상기 접촉되기까지는, 상기 단위블록들은 도 6a에서와 같이 서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단위블록들의 밀착된 상태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후면돌기(118)는 상기 전면 함입부(113) 상에 위치하며, 상기 돌출부(130)는 상기 홈부(120) 상에 위치하고, 상기 후면부(116)에 형성되는 상기 후면 함입부(117)에 전면부(115)가 밀착된 상태가 유지된다. However, until the contact occurs, the unit blocks remain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s shown in FIG. 6A. In a state where these unit blocks are in close contact, as described above, the rear protrusion 118 is located on the front recessed portion 113, the protrusion 130 is located on the groove 120, and the rear protrusion 118 is located on the front recessed portion 113. The front part 115 is maintained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recessed part 117 formed at 116.

또한, 상기 고정부(140)의 접촉면(142)은, 상면(111) 상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경우, 상기 고정부(140)의 끝단부(143)는 상기 단차(119)와는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이다. Additionally, the contact surface 142 of the fixing part 140 remain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111. In this case, the end portion 143 of the fixing portion 140 is spaced apart from the step 119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도 6a에서와 같이 장애물(6)의 상면 상에 접촉한 지지돌기(152, 153)를 지지점으로 하여 바퀴유닛(10)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지지돌기(152, 153)가 결합된 해당 단위블록에 회전 토크가 발생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6A, when the wheel unit 10 rotates using the support protrusions 152 and 153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obstacle 6 as a support point, the corresponding unit block to which the support protrusions 152 and 153 are coupled Rotational torque is generated.

이에 따라 인접한 단위 블록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 변형이 발생하게 되고, 이렇게 발생하는 회전 변형은 위에서 언급한 표면장력을 붕괴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Accordingly, rotational deformation occurs relative to adjacent unit blocks, and this rotational deformation plays a role in inducing the collapse of the surface tension mentioned above.

한편, 일반적으로 바퀴유닛의 허브부 방향으로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그 힘이 표면장력을 붕괴시킬 수 있는 임계점을 넘어가는 경우 바퀴유닛이 장애물의 형상대로 변형될 수 있는데, 상기 임계점을 넘을 수 있는 외력의 크기를 상기 바퀴유닛에 인가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Meanwhile, in general,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in the direction of the hub portion of the wheel unit, if the force exceeds a critical point that can collapse the surface tension, the wheel unit may be deformed into the shape of an obstacl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magnitude of external force to the wheel unit.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지지돌기(152, 153)를 이용해 단위 블록에 토크를 인가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허브부(300)를 향하는 방향의 외력 크기에 비해 적은 힘으로도 표면장력 붕괴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하여, 이러한 과정으로 표면장력이 붕괴되게 되면 도 6b와 같이 장애물(6)의 표면 형상과 일치하도록 상기 바퀴유닛(10)의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is embodiment, a method of applying torque to the unit block using the support protrusions 152 and 153 is used to apply torque to the unit block with a force less than the magnitude of the external force in the direction toward the hub portion 300. It was also possible to implement surface tension collapse. Therefore, when the surface tension is collapsed through this process, the shape of the wheel unit 10 may be deformed to match the surface shape of the obstacle 6, as shown in FIG. 6B.

즉, 상기 바퀴유닛(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장애물(6)에 접촉한 단위블록은 상기 지지부(150)의 'ㄱ'자 형상이 상기 장애물(6)의 모서리에 고정되도록 위치가 변경되며, 상기 접촉한 단위블록의 전단에 위치한 단위블록은 상기 바퀴유닛(10)의 회전에 따라 전방으로 위치가 이동하게 된다. That is, as the wheel unit 10 rotates, the unit block in contact with the obstacle 6 changes position so that the 'L' shape of the support part 150 is fixed to the corner of the obstacle 6. , the unit block located at the front of the contacted unit block moves forwar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wheel unit 10.

그리하여, 전단의 상기 단위블록과 후단의 상기 단위블록은 상기 지지부들(150) 사이의 간격은 서로 좁혀지고, 상기 고정부들(140) 사이의 간격은 서로 증가하게 된다. 즉, 상기 서로 인접한 고정부들(140), 즉 상기 장애물(6)의 모서리를 중심으로 서로 인접한 단위블록들은 회전하게 된다. Thus, the gap between the support parts 150 of the unit block at the front end and the unit block at the rear end is narrowed, and the gap between the fixing parts 140 is increased. That is, the unit blocks adjacent to each other rotate around the edges of the adjacent fixing parts 140, that is, the obstacle 6.

이는, 앞선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단위블록들이 내측면이 서로 분절 가능한 구조를 포함하게 되면, 외측면에 압축력이 인가되고 내측면에 인장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인장변형률은 상기 분절 구조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 무한한 증가가 가능한 상태가 적용되는 것과 같다. As previously explained with reference to FIG. 5B, when the unit blocks include a structure in which the inner surfaces can be segmented, when a compressive force is applied to the outer surface and a tensile force is applied to the inner surface, the tensile strain is determined by the segmented structure. It is the same as applying a state in which infinite increase is possible because it is not limited by .

즉, 상기 서로 인접하는 단위블록들의 경우, 외측면에 해당되는 상기 지지부들(150)에는 압축력이 인가되어, 서로 인접한 지지부들(150)의 간격이 좁아지지만, 내측면에 해당되는 상기 고정부들(140)은 분절이 가능하여 인장변형률이 제한되지 않고, 이에 따라 도 6b에서와 같은 단위블록들의 분절 상태가 유도되고 이에 장애물(6)의 외형 형상과 일치할 정도로 큰 변형이 구현될 수 있다. That is, in the case of the unit blocks adjacent to each other, a compressive force is applied to the support parts 150 corresponding to the outer side, so that the gap between the adjacent support parts 150 is narrowed, but the fixing parts corresponding to the inner side are narrowed. Since 140 can be segmented, the tensile strain is not limited. Accordingly, the segmented state of the unit blocks as shown in FIG. 6B is induced, and a large deformation large enough to match the external shape of the obstacle 6 can be implemented.

이에 따라, 서로 인접한 단위블록들에서, 상기 고정부(140)는 인접하는 단위블록의 상기 상면(111)으로부터 이격되고, 마찬가지로, 상기 후면부(116)도 인접하는 단위블록의 상기 전면부(115)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돌출부(130)도 인접하는 단위블록의 상기 홈부(120)로부터 이격된다. Accordingly, in unit blocks adjacent to each other, the fixing portion 140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111 of the adjacent unit block, and similarly, the rear portion 116 is also spaced apart from the front portion 115 of the adjacent unit block. and the protrusion 130 is also spaced apart from the groove 120 of an adjacent unit block.

이 경우, 상기 이격되는 정도는, 상기 지지부(150)로부터 멀어질수록 커지는 것으로, 상기 고정부(140)의 상기 상면(111)으로부터의 이격정도가 가장 크게 된다. In this case, the degree of separation in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support part 150 increases, and the degree of separation from the upper surface 111 of the fixing part 140 becomes the largest.

이상과 같이, 상기 접촉부(A)에서는, 상기 바퀴유닛(10)의 내측면이 서로 분절 가능한 구조를 포함하므로, 이러한 분절에 의해 인장변형률이 제한되지 않아 소위, 표면장력이 붕괴되는 효과를 유도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contact portion (A), since the inner surface of the wheel unit 10 includes a structure that can be segmented, the tensile strain is not limited by such segmentation, leading to the so-called effect of collapsing surface tension. You can.

이 경우, 이러한 표면장력이 상기 접촉부(A)에서 붕괴된 상태에서 전체적으로 상기 바퀴유닛(10)은 회전하며 전진하게 되므로, 상기 바퀴유닛(10)은 효과적으로 상기 장애물(6)에 대한 극복이 가능하게 된다. In this case, the wheel unit 10 as a whole rotates and moves forward while the surface tension is collapsed at the contact portion A, so that the wheel unit 10 can effectively overcome the obstacle 6. do.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부(150)의 형상에 의해 장애물(6)의 모서리에 대한 지지력이 높게 유지되므로, 상기 장애물(6)과의 접촉부(A)에서의 지지력이 향상되어, 상기 접촉부(A)를 중심으로 상기 바퀴유닛(10)이 회전하며 전진할 수 있으므로, 상기 장애물(6)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극복이 가능하게 된다. In particular, in this embodiment, the support force for the edge of the obstacle 6 is maintained high due to the shape of the support portion 150, so the support force at the contact portion A with the obstacle 6 is improved, and the contact portion Since the wheel unit 10 can rotate around (A) and move forward,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overcome the obstacle 6.

한편, 이상과 같이, 상기 접촉부(A)에서 표면장력이 붕괴되며, 서로 인접한 단위블록들이 분절되는 구조로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상기 접촉부(A)와 인접한 상기 인접부(B)에서는 서로 인접한 단위블록들 사이에서 서로의 밀착성을 유지하여야 하며, 이를 통해 전체적으로 상기 바퀴유닛(10)의 외형 형상이 변형되지 않고 효과적인 장애물(6)의 극복이 가능할 수 있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surface tension is collapsed in the contact portion (A) and the position of the adjacent unit blocks is changed to a segmented structure, the adjacent unit blocks are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adjacent portion (B) adjacent to the contact portion (A). Adhesion between the wheels must be maintained, 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overcome the obstacle 6 without deforming the overall external shape of the wheel unit 10.

즉, 상기 접촉부(A)에서의 서로 밀착하던 단위블록들(100)의 이탈 외에, 상기 접촉부(A)를 기준으로, 소정 거리 전방으로 이격된 전방의 인접부(B)에 위치하는 단위블록들(100)에서 내측부들, 즉, 상기 허브부(300)를 향하는 면들은 서로 압축되며 변형된다. That is, in addition to the separation of the unit blocks 100 that we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contact portion A, unit blocks located in the adjacent portion B in front ar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orward with respect to the contact portion A. In (100), the inner portions, that is, the surfaces facing the hub portion 300, are compressed and deformed against each other.

마찬가지로, 상기 접촉부(A)를 기준으로, 소정 거리 후방으로 이격된 후방의 인접부(B)에 위치하는 단위블록들(100)도 내측부들은 서로 압축되며 변형된다. Likewise, the inner portions of the unit blocks 100 located in the rear adjacent portion B, which is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backward based on the contact portion A, are compressed and deformed.

즉, 상기 접촉부(A)에서는 서로 인접한 한 쌍의 단위블록들(100)이 밀착상태가 해제되지만, 상기 접촉부(A)의 전단 및 후단의 인접부들(B)에서는, 서로 인접한 단위블록들(100)의 내측부들은 서로 압축되며 변형된다. That is, in the contact portion (A), a pair of unit blocks 100 adjacent to each other are released from a close contact state, but in the adjacent portions (B)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contact portion (A), the unit blocks 100 adjacent to each other are released. ) are compressed and deformed against each other.

이 경우, 상기 인접부들(B)에서 상기 단위블록들(100)의 내측부들이 압축되는 경우, 상기 단위블록들(100)의 형상이나 구조적 특징으로 인해, 상기 단위블록들(100)의 이탈이나 불규칙한 위치 변경이 최소화될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the inner portions of the unit blocks 100 are compressed in the adjacent portions B, the unit blocks 100 may be separated or irregular due to the shape or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unit blocks 100. Location changes can be minimized.

이하에서는, 이러한 상기 인접부(B)에서의 단위블록들의 변형 상태를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deformed state of the unit blocks in the adjacent portion B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A and 7B.

즉, 도 7a는 도 1의 바퀴유닛이 장애물을 극복하는 상태에서의 인접부(B)에서의 단위블록의 변형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단위블록을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That is, Figure 7a is a front view showing the deformation state of the unit block in the adjacent portion (B) when the wheel unit of Figure 1 overcomes an obstacle, and Figure 7b shows the unit block of Figure 7a from another direc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인접부(B)에서는, 상대적으로 서로 인접한 단위블록들은,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지지부들(150)은 인장력으로 인해 거리가 멀어지도록 변형되며, 반면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부(140)들은 압축력으로 인해 서로 거리가 근접하도록 변형된다. Referring to FIGS. 7A and 7B, in the adjacent portion B, the unit blocks relatively adjacent to each other are deformed so that the support portions 150 located on the outside become distant due to tensile force, while the support portions 150 located on the inside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fixing parts 140 are deformed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m is close to each other due to compressive force.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고정부(140)는 상기 상면(111)으로부터 소정의 단차(119)를 형성하며 연장되고, 이에 따라 전단에 위치한 단위블록의 고정부(140)의 상기 끝단부(143)가 후단에 위치한 단위블록의 상기 단차(119)에 위치하며, 이에 의해 상기 끝단부(143)의 추가적인 이동이 제한된다. However,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fixing part 140 extends from the upper surface 111 to form a predetermined step 119, and accordingly, the end portion of the fixing part 140 of the unit block located at the front end ( 143) is located at the step 119 of the unit block located at the rear end, thereby restricting further movement of the end portion 143.

그리하여, 서로 인접하는 단위블록들이 상기 인접부(B)에서 내측부가 서로 압축력에 의해 서로 밀착되는 경우라도, 상기 끝단부(143)가 상기 단차(119)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므로, 일정 수준 이상으로 서로 밀착되지 않으며, 상기 인가되는 압축력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even when adjacent unit blocks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t the inner portions of the adjacent portion B due to compressive force, the movement of the end portion 143 is restricted by the step 119, so that the movement of the end portion 143 is restricted to a certain level or more. They do not adhere closely to each other and can absorb the applied compressive force.

특히, 상기 끝단부(143)와 상기 단차(119)는 평소에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인접부(B)에서의 압축력에 의해 압축될 수 있는 소정의 이동 거리를 확보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 거리 이상의 압축력이 인가되더라도, 상기 끝단부(143)의 볼록한 형상이 상기 단차부(119)의 오목한 형상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일정 부분 압축력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In particular, since the end portion 143 and the step 119 are normally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as shown in FIG. 6A, there is a predetermined amount of space that can be compressed by the compressive force at the adjacent portion (B). A moving distance can be secured, and even if a compressive force exceeding the moving distance is applied, the convex shape of the end portion 143 can be maintained in close contact with the concave shape of the step portion 119, effectively absorbing a certain portion of the compressive force. can do.

따라서, 상기 단위블록들은 그 위치가 이탈되거나 상대적인 위치가 불규칙하게 변경되지 않으며, 전체적으로 상기 바퀴유닛(10)의 형상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unit blocks do not deviate from their positions or their relative positions do not change irregularly, and the overall shape of the wheel unit 10 can be kept constant.

이상과 같이, 상기 단위블록들(100)은 서로 밀착되거나 자유롭게 분절되고, 나아가 상대적인 위치 변경을 제한하는 구조로 설계됨으로써, 전체적으로 바퀴유닛(10)의 형상이 붕괴되지 않으면서도 계단과 같은 장애물(6)을 매우 효과적으로 극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unit blocks 100 are design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or freely articulated, and further to limit relative position changes, so that the overall shape of the wheel unit 10 does not collapse and obstacles such as stairs 6 ) can be overcome very effectively.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바퀴유닛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Figure 8 is a front view showing a wheel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바퀴유닛(20)은 지지체(201)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바퀴유닛(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이를 생략한다. Since the wheel unit 2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wheel unit 1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B except for the support body 201, the same reference number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Descriptions that are used and overlapped are omitted.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바퀴유닛(20)에서는, 상기 허브부(300)와 상기 단위블록들(100)에 상기 지지체(201)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Referring to FIG. 8, the wheel unit 2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ub portion 300 and the unit blocks 100 are filled with the support body 201.

이 경우, 상기 지지체(201)는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허브부(300)와 상기 단위블록들(100) 사이에 충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체(201)의 재질은 제한되지는 않는다. In this case, the support 201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ity and filled between the hub portion 300 and the unit blocks 100. Additionally, the material of the support 201 is not limited.

상기 지지체(201)가 상기 허브부(300)와 상기 단위블록들(100) 사이를 연결하며 장력을 인가하는 것은, 앞서 설명한 상기 지지체(200)와 동일하며,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지지체(201)가 와이어의 형상이 아닌, 충진재로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upport 201 connects the hub portion 300 and the unit blocks 100 and applies tension in the same manner as the support 200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pport 201 )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lled with a filler rather than the shape of a wire.

나아가,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지지체(201)가 상기 허브부(300)와 상기 단위블록들(100) 사이에 충진됨과 동시에, 앞서 설명한 상기 지지체(200)로서 와이어가, 상기 허브부(300)와 상기 단위블록들(100) 사이에 추가로 연결될 수도 있다. Furthermore, although not shown,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support 201 is filled between the hub portion 300 and the unit blocks 100, and at the same time, a wire as the support 200 described above is connected to the hub. Additional connections may be made between the unit 300 and the unit blocks 100.

도 9a 및 도 9b는 도 1 또는 도 8의 바퀴유닛이 실제 평지를 통과하는 상태를 예시한 이미지이고, 도 9b는 장애물을 통과하는 상태를 예시한 이미지이다. FIGS. 9A and 9B are image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wheel unit of FIG. 1 or 8 actually passes through flat ground, and FIG. 9b is an image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wheel unit of FIG. 1 or 8 passes through an obstacle.

도 9a를 참조하면, 도 1 또는 도 8에서 설명한 상기 바퀴유닛(10, 20)이 평지인 지면(1)을 통과하는 경우, 상기 지면(1)과 접촉하는 부분에서는, 상기 단위블록들(100)은 보다 더 밀착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단위블록들(100)과 상기 허브부(300) 사이를 연결하는 상기 지지체(200, 201)는 느슨하게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A, when the wheel units 10 and 20 described in FIG. 1 or 8 pass through the flat ground 1, the unit blocks 100 are in contact with the ground 1. ) can be maintained in closer contact, and the supports 200 and 201 connecting the unit blocks 100 and the hub portion 300 can be maintained in a loosely connected state.

한편, 도 9b를 참조하면, 도 1 또는 도 8에서 설명한 상기 바퀴유닛(10, 20)이 계단과 같은 장애물(6)을 통과하는 경우, 상기 장애물(6)과의 접촉부(A)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위블록들은 외측부는 서로 밀착되지만 내측부는 서로 분절되어 물방울의 표면장력이 붕괴되는 현상이 모사된다. 또한, 상기 접촉부(A)에 인접한 전방 또는 후방의 인접부(B)에서는 단위블록들은 내측부에 압축력이 인가됨에 따라 서로 밀착하게 되는데 단위블록들이 이러한 압축력을 효과적으로 흡수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상기 바퀴유닛(10)의 형상을 유지하면서, 상기 접촉부(A)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효과적인 장애물 극복이 가능하게 된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9B, when the wheel units 10 and 20 described in FIG. 1 or 8 pass through an obstacle 6 such as a staircase, at the contact portion A with the obstacle 6, As explained, the outer portions of the unit blocks are closely adhered to each other, but the inner portions are segmented, simulating the collapse of the surface tension of water droplets. In addition, at the front or rear adjacent portion (B) adjacent to the contact portion (A), the unit blocks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s compressive force is applied to the inner portion. The unit blocks effectively absorb this compressive force, thereby forming the wheel unit (10) as a whole. While maintaining the shape, it rotates around the contact portion (A), making it possible to effectively overcome obstacles.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물방울이 표면장력을 통해 외형을 유지하는 원리를 바탕으로, 지지체가 인가하는 장력 및 단위블록들 사이의 밀착력을 통해 물방울의 표면장력과 유사한 힘을 모사하여, 바퀴유닛이 전체적으로 형상을 유지하며 지면을 효과적으로 통과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a water drop maintains its external shape through surface tension, a force similar to the surface tension of a water drop is simulated through the tension applied by the support and the adhesion between unit blocks. As a result, the wheel unit can maintain its overall shape and effectively pass through the ground.

한편, 물방울에 변형 임계각을 초과하는 힘이 작용하는 경우 외형이 붕괴되는 원리를 적용하여, 단위블록이 장애물과 접촉하는 경우, 접촉부에서는 단위블록들 사이의 접촉 상태가 유지되지만, 접촉부의 내측에서는 단위블록들 사이의 밀착이 해제되어 서로 분절됨으로써, 장애물의 효과적인 극복이 가능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by applying the principle that the outer shape collapses when a force exceeding the deformation critical angle is applied to the water droplet, when a unit block contacts an obstacle, the contact state between the unit blocks is maintained in the contact area, but the unit block is maintained inside the contact area. By releasing the adhesion between blocks and segmenting them, effective overcoming of obstacles becomes possible.

이 경우, 붕괴된 부분은, 장애물의 통과 후 상기 장력 및 상기 단위블록들의 구조를 통해 쉽게 복원될 수 있어 바퀴의 원형을 다시 유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장애물의 극복 및 지면 주행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llapsed part can be easily restored after passing the obstacle through the tension and the structure of the unit blocks, so that the original shape of the wheel can be maintained again, allowing the wheel to overcome obstacles and run smoothly on the ground. there is.

한편, 상기 단위블록들에 인가하는 장력을 제어함으로써, 바퀴유닛의 전체적인 변형 정도를 제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대적으로 일정한 지면 또는 상대적으로 불규칙한 지면에 따라 바퀴유닛의 변형정도를 제어하여 효과적인 지면 주행이 가능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by controlling the tension applied to the unit blocks, the overall degree of deformation of the wheel unit can be controlled, and through this, the degree of deformation of the wheel unit can be controlled depending on a relatively constant ground or a relatively irregular ground to achieve effective ground deformation. Driving becomes possible.

특히, 상기 단위블록들 각각은, 지지부를 포함하여, 장애물의 모서리에 단위블록이 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단위블록들의 내부에서의 분절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으며, 서로 인접한 지지부들이 장애물의 극복과정에서 서로 중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 지지돌기와 제2 지지돌기가 교번적으로 형성되어 구조를 유지하면서 안정적인 장애물 극복이 가능하게 된다. In particular, each of the unit blocks includes a support part, so that the unit block can be maintained supported at the edge of the obstacle, thereby effectively inducing segmentation within the unit blocks, and the support parts adjacent to each other can be used to overcome the obstacle. First and second support protrusions are formed alternately to prevent overlapping with each other, making it possible to stably overcome obstacles while maintaining the structure.

또한, 장애물과 접촉하는 접촉부와 인접한 인접부에서는 인접한 단위블록들의 지지부들이 서로 멀어지도록 인장변형이 발생하는데, 이 경우, 고정부가 고정부와 몸체부 사이의 단차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며, 몸체부에 형성된 홈부가 소정 거리만큼만 연장되고, 돌출부가 상기 홈부 상에서 이동되므로, 상기 돌출부 역시 홈부에 의해 이동이 제한된다. 그리하여, 인장변형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단위블록들 사이에서, 소정 거리 이상의 간격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안정적인 상대적인 위치관계를 유지할 수 있어, 장애물의 극복시에도 상기 인접부에서는 바퀴유닛의 구조를 유지하게 된다. In addition, in the adjacent parts adjacent to the contact part in contact with the obstacle, tensile strain occurs so that the supports of adjacent unit blocks move away from each other. In this case, the movement of the fixing part is restricted by the step between the fixing part and the body, and the movement of the fixing part is limited by the step between the fixing part and the body. Since the formed groove extends onl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protrusion moves on the groove, the movement of the protrusion is also limited by the groove. Therefore, when tensile deformation occurs, a stable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can be maintained between the unit blocks without a gap exceeding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the structure of the wheel unit is maintained in the adjacent portion even when obstacles are overcome. do.

즉, 장애물을 극복하는 접촉부에서는 인접하는 단위블록들은 내측에서 자유롭게 분절되고, 상기 접촉부와 인접한 인접부에서는 소정의 인장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고정부 및 상기 돌출부에 의해 상기 단위블록들의 내측의 상대적인 위치가 제한되므로, 전체적으로 자연스러운 단위블록들 사이의 상대위치가 형성되며 상기 바퀴유닛의 안정적인 변형을 구현할 수 있다.That is, in a contact part that overcomes an obstacle, adjacent unit blocks are freely segmented on the inside, and even if a predetermined tensile strain occurs in an adjacent part adjacent to the contact part,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inside of the unit blocks are maintained by the fixing part and the protrusion. Since this is limited, a natural relative position between unit blocks is formed as a whole, and stable deformation of the wheel unit can be realized.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following patent claims. You will understand that it is possible.

10, 20 : 바퀴유닛 100 : 단위 블록
110 : 몸체부 120 : 홈부
130 : 돌출부 140 : 고정부
150 : 지지부 200 : 지지체
300 : 허브부 400 : 제어부
500 : 공간부 A : 접촉부
B : 인접부
10, 20: wheel unit 100: unit block
110: body part 120: groove part
130: protrusion 140: fixed portion
150: support 200: support
300: hub unit 400: control unit
500: space A: contact part
B: Adjacent part

Claims (15)

회전 구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는 허브부;
상기 허브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며 바퀴유닛의 외형을 형성하는 복수의 단위블록들; 및
상기 허브부와 상기 단위블록들 사이를 연결하거나, 상기 허브부와 상기 단위블록들 사이에 충진되는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단위블록은, 상기 바퀴유닛이 지면을 이동함에 따라 인접하는 단위블록과의 접촉상태가 가변되며 탈착 또는 밀착되고,
상기 바퀴유닛이 장애물을 극복하는 경우, 상기 장애물에 접촉되는 접촉부에서, 서로 인접한 단위블록들의 외주면은 서로 밀착되고 내측면은 서로 분절되고,
상기 단위블록들 각각은, 돌출된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와 결합되도록 함입된 후면부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서 연장되는 고정부, 및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돌출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유닛.
A hub portion that rotates by receiving rotational driving force;
a plurality of unit blocks spaced apart from the hub portion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forming the outer shape of the wheel unit; and
Includes a support connecting the hub portion and the unit blocks or filling between the hub portion and the unit blocks,
As the wheel unit moves on the ground, the unit block changes its contact state with adjacent unit blocks and becomes attached or attached,
When the wheel unit overcomes an obstacle, at the contact portion that contacts the obstacl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adjacent unit blocks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inner surfaces are segmented from each other,
Each of the unit blocks includes a body portion including a protruding front portion and a rear portion recessed to be coupled to the front portion, a fixing portion extending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nd a support portion protruding from a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Characteristic wheel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유닛이 평지인 지면을 통과하는 경우,
상기 단위블록들은 서로 밀착되고, 상기 지지체는 상기 단위블록들에 상기 허브부 방향으로의 장력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유닛.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when the wheel unit passes through a flat ground,
A wheel unit, wherein the unit blocks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support body applies tension to the unit blocks in the direction of the hub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몸체부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유닛.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upport unit,
a support frame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ody portion; and
A wheel unit comprising a support protrusion protru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pport fram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유닛이 장애물을 극복하는 경우,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장애물의 모서리에 고정되고,
서로 인접한 단위블록들은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돌기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고정부의 간격이 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유닛.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when the wheel unit overcomes an obstacle,
The support frame and the support protrusion are fixed to the edge of the obstacle,
A wheel unit, wherein unit blocks adjacent to each other rotate around the support frame and the support protrusion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fixing parts increases.
제7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한 단위블록들에서,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중앙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지지돌기와, 상기 제1 지지돌기가 삽입되도록 중앙에 삽입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삽입공간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2 지지돌기가 교번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유닛.
In clause 7,
In unit blocks adjacent to each other, the support protrusions are,
First support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support frame, forming an insertion space in the center for insertion of the first support protrusions, and second support protrusion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nsertion space are formed alternately. wheel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는, 인접한 단위블록의 몸체부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접촉면, 및 상기 고정부의 끝단에 끝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상면과 상기 고정부는 단차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유닛.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fixing part has a contact surface that slides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of an adjacent unit block, and an end portion is formed at the end of the fixing part,
A wheel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the fixing portion form a step.
제10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단위블록들의 지지부들의 간격이 멀어지는 경우,
상기 고정부의 끝단부는 인접한 단위블록의 상기 단차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유닛.
The method of claim 10, when the spacing between the supports of adjacent unit blocks becomes distant,
A wheel unit, wherein movement of the end portion of the fixing portion is restricted by the step of an adjacent unit bloc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블록들 각각은,
상기 몸체부의 전면부에 소정 길이로 형성되는 홈부; 및
상기 몸체부의 후면부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유닛.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each of the unit blocks is:
A groove portion formed at a predetermined length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A wheel unit comprising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rea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제12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단위블록들의 지지부들의 간격이 멀어지는 경우,
상기 돌출부는 인접한 단위블록의 상기 홈부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유닛.
The method of claim 12, when the spacing between the supports of adjacent unit blocks becomes distant,
A wheel unit, wherein the movement of the protrusion is restricted by the groove of an adjacent unit block.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10004080A 2021-01-12 2021-01-12 Wheel unit having a plurality of dividable blocks KR1025771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080A KR102577130B1 (en) 2021-01-12 2021-01-12 Wheel unit having a plurality of dividable blocks
JP2023537321A JP7532667B2 (en) 2021-01-12 2022-01-12 Wheel unit for overcoming obstacles
US18/258,035 US20240001709A1 (en) 2021-01-12 2022-01-12 Wheel unit for overcoming obstacle
EP22739656.1A EP4279294A1 (en) 2021-01-12 2022-01-12 Wheel unit for overcoming obstacle
PCT/KR2022/000537 WO2022154461A1 (en) 2021-01-12 2022-01-12 Wheel unit for overcoming obsta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080A KR102577130B1 (en) 2021-01-12 2021-01-12 Wheel unit having a plurality of dividable block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1958A KR20220101958A (en) 2022-07-19
KR102577130B1 true KR102577130B1 (en) 2023-09-12

Family

ID=82607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4080A KR102577130B1 (en) 2021-01-12 2021-01-12 Wheel unit having a plurality of dividable block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7130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217B1 (en) 2009-06-15 2009-12-10 박병수 Bicycle
JP2010143344A (en) * 2008-12-17 2010-07-01 Tokyo Institute Of Technology Wheel and vehicle
US20140060715A1 (en) 2011-05-11 2014-03-06 Soft Wheel Ltd. Selective wheel suspens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26129A (en) * 1963-11-04 1965-12-28 Robert W Mckinley Vehicle and deformable wheel therefor
KR101461797B1 (en) 2013-04-18 2014-11-13 주식회사 포스코 Variable shape wheel and robot for pipe having thereof
KR20160120920A (en) * 2015-04-09 2016-10-19 주식회사 코휠 Non-pneumatic wheels
KR20170083854A (en) 2016-01-11 2017-07-19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Mobile robot with the transformable wheels
KR102174498B1 (en) * 2018-11-27 2020-11-04 한국기계연구원 Variable stiffness wheel and drive control method thereof
KR102610327B1 (en) * 2019-02-28 2023-1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lexible whee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43344A (en) * 2008-12-17 2010-07-01 Tokyo Institute Of Technology Wheel and vehicle
KR100931217B1 (en) 2009-06-15 2009-12-10 박병수 Bicycle
US20140060715A1 (en) 2011-05-11 2014-03-06 Soft Wheel Ltd. Selective wheel suspens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1958A (en) 2022-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316344B (en) Flexible frame and flexible display unit having the same
CN111295870A (en) Flexible display unit and mobile terminal including the same
TWI677744B (en) Tilt module subassembly and optical image stabilizer comprising it
KR102139500B1 (en) Transform Wheel and Robot having the transform wheel
RU2640758C2 (en) Selectly weakened expansion films
CN107438789A (en) Virtual reality head-wearing device
WO2006025135A1 (en) Legged mobile robot
KR102577130B1 (en) Wheel unit having a plurality of dividable blocks
KR102346183B1 (en) Origami type actu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570135B1 (en) Wheel unit having a plurality of dividable rotatable blocks
CN107438557A (en) Vibration absorber
US11760426B2 (en) Ribbed aerodynamic skirt panel and assembly thereof
KR102372141B1 (en) Wheel unit using surface tension mechanism
KR102555025B1 (en) Wheel unit having a plurality of chain-shape rotatable blocks
US8280553B2 (en) Lip moving device for use in robots
US20190070454A1 (en) Treadmill
CN101219637A (en) Apparatus for mounting engine of veh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240001709A1 (en) Wheel unit for overcoming obstacle
KR200466363Y1 (en) Educational battle robot
KR102372140B1 (en) Wheel unit using arch mechanism and rotational module having the same
CN203902836U (en) Aircraft and buffer tripod piece thereof
JP4359423B2 (en) Legged mobile robot and leg mechanism of legged mobile robot
CN116723943A (en) Wheel unit for negotiating obstacles
KR20240000882A (en) Wheel unit having multi structure for changing stiffness
EP4077965A1 (en) A damping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