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6899B1 - 광대역 레이돔 설계 - Google Patents

광대역 레이돔 설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6899B1
KR102576899B1 KR1020217023627A KR20217023627A KR102576899B1 KR 102576899 B1 KR102576899 B1 KR 102576899B1 KR 1020217023627 A KR1020217023627 A KR 1020217023627A KR 20217023627 A KR20217023627 A KR 20217023627A KR 102576899 B1 KR102576899 B1 KR 102576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layer
tuning layer
fiber reinforced
dielectric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3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9002A (ko
Inventor
레비 무어
에릭 알. 오스왈트
데이빗 윈필드 스트레싱
스티븐 클레이네
알렉산더 키에크하퍼
메건 어터
새러 이. 타가트
Original Assignee
생-고뱅 퍼포먼스 플라스틱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생-고뱅 퍼포먼스 플라스틱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생-고뱅 퍼포먼스 플라스틱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10109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9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6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68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2Housings not intimately mechanically associated with radiating elements, e.g. radome
    • H01Q1/422Housings not intimately mechanically associated with radiating elements, e.g. radome comprising two or more layers of dielectr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2Housings not intimately mechanically associated with radiating elements, e.g. radom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2Housings not intimately mechanically associated with radiating elements, e.g. radome
    • H01Q1/421Means for correcting aberrations introduced by a rado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i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romatic vinyl (co)polymers,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4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being a foam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3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at least two layers being foamed and next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5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44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55 or mor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2Composition of the impregnated, bonded or embedded layer
    • B32B2260/021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2260/023Two or mor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4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46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53Polyolefi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61Polyamid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1Glass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4Mixture of at least two fibre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21Vinyl resin
    • B32B2266/0228Aromatic vinyl resin,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21Vinyl resin
    • B32B2266/0235Vinyl halide,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8Closed cell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04Di-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Den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9/00Building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레이돔 구조는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 및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 위에 놓이는 라미네이트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는 열경화성 발포체 또는 열가소성 발포체를 포함할 수 있다. 라미네이트 구성요소는 제1 섬유 강화 유전층, 제1 섬유 강화 유전층 위에 놓이는 제2 섬유 강화 유전층, 및 제2 섬유 강화 유전층 위에 놓이는 제3 섬유 강화 유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섬유 강화 유전층은 제1 저-유전율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섬유 강화 유전층은 제1 고-유전율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섬유 강화 유전층은 제2 저-유전율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대역 레이돔 설계
본 개시는 레이돔 구조 설계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대역 전자기파의 전송에 최적화된 레이돔 구조 설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이크로파 안테나는 악천후로부터 안테나를 보호하고 안테나의 지속적이고 정밀한 작동을 보장하기 위해 레이돔으로 덮여 있다. 레이돔은 얇은 벽 레이돔, 솔리드 벽 레이돔 및 샌드위치 레이돔의 형태일 수 있다. 얇은 벽 레이돔은 일반적으로 1/16인치 미만의 두께를 가지며, 증가된 공기 압력을 사용하거나 지지 프레임을 사용하여 지지될 수 있다. 솔리드 월 레이돔은 일반적으로 더 무거운 솔리드 라미네이트로 만들어지며, 샌드위치 레이돔은 얇은 내부 및 외부 라미네이트 층 사이에 끼워진 저-유전율 코어 물질을 포함한다. 코어 물질은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발포체 구조 또는 벌집 구조이다.
레이돔을 구성하는 물질에 관계없이, 레이돔 구조는 일반적으로 안테나로부터 레이돔을 통해 전달되는 전자파의 신호 강도를 저하시킨다. 이것은 광대역 전송과 관련하여 특히 그렇다. 따라서 광대역 전자기파 전송에 대한 전자기 열화를 최소화하도록 조정 및 최적화할 수 있는 개선된 구조 설계를 가진 레이돔이 필요하다.
제1 양태에 따르면, 레이돔 구조는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 및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 위에 놓이는 라미네이트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는 열경화성 발포체 또는 열가소성 발포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열경화성 발포체는 약 300kg/㎥ 이상, 약 1000kg/㎥ 이하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열경화성 발포체는 추가로 유전율(dielectric constant)이 약 1.5 이상 약 3 이하일 수 있다. 열가소성 발포체는 밀도가 약 300 kg/㎥ 이하일 수 있다. 열가소성 발포체는 약 1.5 이하의 유전율을 추가로 가질 수 있다. 라미네이트 구성요소는 제1 섬유 강화 유전층, 제1 섬유 강화 유전층 위에 놓이는 제2 섬유 강화 유전층, 및 제2 섬유 강화 유전층 위에 놓이는 제3 섬유 강화 유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섬유 강화 유전층은 제1 저-유전율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섬유 강화 유전층은 제1 고-유전율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섬유 강화 유전층은 제2 저-유전율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레이돔 구조는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 및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 위에 놓이는 라미네이트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는 신택틱 발포체, 플라스틱 폐쇄 셀 발포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라미네이트 구성요소는 제1 섬유 강화 유전층, 제1 섬유 강화 유전층 위에 놓이는 제2 섬유 강화 유전층, 및 제2 섬유 강화 유전층 위에 놓이는 제3 섬유 강화 유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섬유 강화 유전층은 제1 저-유전율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섬유 강화 유전층은 제1 고-유전율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섬유 강화 유전층은 제2 저-유전율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는 예로서 예시되며 첨부 도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a 및 1b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레이돔 구조의 예시를 포함한다.
도 2a 및 2b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레이돔 구조의 예시를 포함한다.
도 3a 및 3b는 여기에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레이돔 구조의 예시를 포함한다.
도 4a 및 4b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레이돔 구조의 예시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 5a 및 5b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레이돔 구조의 예시를 포함한다.
숙련된 기술자는 도면의 요소가 단순성과 명료성을 위해 예시되었으며 반드시 축척에 맞게 그려진 것은 아님을 이해한다.
다음 논의는 교시의 특정 구현 및 실시예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상세한 설명은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는 것을 돕기 위해 제공되며 본 개시 또는 교시의 범위 또는 적용 가능성에 대한 제한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 제공된 바와 같은 개시 및 교시에 기초하여 다른 실시예가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포함한다", "포함하는", "구비한다", "구비하는", "갖다", "가지는" 또는 이들의 다른 변형이라는 용어는 비배타적인 포함을 포함하도록 의도되었다. 예를 들어, 특징의 목록을 포함하는 방법, 물품 또는 장치는 반드시 그러한 특징에만 제한되지 않고, 명시적으로 나열되지 않거나 그러한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 고유하지 않은 다른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달리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또는"은 배타적 논리합이 아닌 포괄적 논리합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조건 A 또는 B는 다음 중 하나에 의해 충족된다: A는 참(또는 존재)이고 B는 거짓(또는 존재하지 않음), A는 거짓(또는 존재하지 않음) 및 B는 참(또는 존재) , 그리고 A와 B는 모두 참(또는 존재)이다.
또한, "a" 또는 "an"의 사용은 여기에 설명된 요소 및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이것은 단지 편의를 위해 그리고 본 발명의 범위에 대한 일반적인 의미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된다. 이 설명은 달리 의미하는 것이 분명하지 않는 한, 하나, 적어도 하나 또는 단수를 포함하면서, 복수를 또한 포함하는 것으로 읽혀야 하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어, 여기에서 단일 항목이 설명될 때 단일 항목 대신 둘 이상의 항목이 사용될 수 있다. 유사하게, 하나보다 많은 항목이 여기에 설명된 경우, 하나보다 많은 항목을 단일 항목으로 대체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된 실시예들은 일반적으로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 및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 위에 놓이는 라미네이트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레이돔 구조에 관한 것이다. 라미네이트 구성요소와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의 조합은 광대역 스펙트럼(즉, 약 10GHz 내지 약 31GHz의 주파수 범위)에 걸쳐 공편파 및 교차 편파를 최적화하도록 설계되었다.
예시의 목적으로, 도 1a는 여기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른 레이돔 구조(100)의 예시를 포함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돔 구조(100)는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110) 및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110) 위에 놓이는 라미네이트 구성요소(120)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도 1a에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110)는 제1 내부 튜닝층(111)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a에 더 도시된 바와 같이, 라미네이트 구성요소(120)는 제1 섬유 강화 유전층(121), 제1 섬유 강화 유전층(121) 위에 놓이는 제2 섬유 강화 유전층(122), 및 제2 섬유 강화 유전층(122) 위에 놓이는 제3 섬유 강화 유전층(123)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제1 섬유 강화 유전층(121)은 제1 저-유전율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섬유 강화 유전층(122)은 제1 고-유전율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섬유 강화 유전층(123)은 제2 저-유전율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110)는 열경화성 발포체 또는 열가소성 발포체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110)가 열경화성 발포체를 포함하는 경우, 열경화성 발포체는 특정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110)의 열경화성 발포체는 적어도 약 300kg/㎥, 예를 들어, 적어도 약 310kg/㎥ 또는 적어도 약 320kg/㎥ 또는 적어도 약 330kg/㎥ 또는 적어도 약 340kg/㎥ 또는 적어도 약 350kg/㎥ 또는 적어도 약 360kg/㎥ 또는 적어도 약 370kg/㎥ 또는 적어도 약 380kg/㎥ 또는 적어도 약 390kg/㎥ 또는 적어도 약 400 kg/㎥ 또는 적어도 약 410 kg/㎥ 또는 적어도 약 420 kg/㎥ 또는 적어도 약 430 kg/㎥ 또는 적어도 약 440 kg/㎥ 또는 적어도 약 450 kg/㎥ 또는 적어도 약 460kg/㎥이상 또는 적어도 약 470kg/㎥ 또는 적어도 약 480kg/㎥이상 또는 적어도 약 490kg/㎥ 또는 심지어 적어도 약 500kg/㎥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110)의 열경화성 발포체는 약 1000kg/㎥ 이하, 예를 들어 약 990kg/㎥ 이하 또는 약 980kg/㎥ 이하 또는 약 970kg/㎥ 이하 또는 약 960kg/㎥ 이하 또는 약 950kg/㎥ 이하 또는 약 940kg/㎥ 이하 또는 약 930kg/㎥ 이하 또는 약 920kg/㎥ 또는 약 910kg/㎥ 이하 또는 약 900kg/㎥ 이하 또는 약 890kg/㎥ 이하 또는 약 880kg/㎥ 이하 또는 약 870kg/㎥ 이하 또는 약 860 kg/㎥ 이하 또는 약 850 kg/㎥ 이하 또는 약 840 kg/㎥ 이하 또는 약 830 kg/㎥ 이하 또는 약 820 kg/㎥ 이하 또는 약 810 이하 kg/㎥ 또는 약 800kg/㎥ 이하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110)의 열경화성 발포체의 밀도는 위에서 언급된 최소값과 최대값 중 임의의 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110)의 열경화성 발포체의 밀도는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음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110)가 열경화성 발포체를 포함하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열경화성 발포체는 특정 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110)의 열경화성 발포체는 적어도 약 1.00, 예를 들어, 적어도 약 1.05 또는 적어도 약 1.10 또는 적어도 약 1.15 또는 적어도 약 1.20 또는 적어도 약 1.25 또는 적어도 약 1.30 또는 적어도 약 1.35 또는 적어도 약 1.40 또는 적어도 약 1.45 또는 적어도 약 1.50 또는 적어도 약 1.55 또는 적어도 약 1.6 또는 적어도 약 1.65 또는 적어도 약 1.7 또는 적어도 약 1.75 또는 적어도 약 1.8 또는 적어도 약 1.85 또는 적어도 약 1.9 또는 적어도 약 1.95 또는 적어도 약 2.0 또는 적어도 약 2.05 또는 적어도 약 2.1 또는 적어도 약 2.15 또는 심지어 적어도 약 2.2의 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110)의 열경화성 발포체는 약 3.0 이하 또는 약 2.95 이하 또는 약 2.9 이하 또는 약 2.85 이하 또는 약 2.80 이하 또는 약 2.75 이하 또는 약 2.7 이하 또는 약 2.65 이하 또는 약 2.6 이하 또는 약 2.55 이하 또는 심지어 약 2.5 이하의 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110)의 열경화성 발포체의 유전율은 위에서 언급된 최소값과 최대값 중 임의의 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110)의 열경화성 발포체의 유전율은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음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110)가 열가소성 발포체를 포함하는 경우, 열가소성 발포체는 특정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110)의 열가소성 발포체는 약 300kg/㎥ 이하, 예컨대 약 295kg/㎥ 이하 또는 약 290kg/㎥ 이하 또는 약 285 kg/㎥ 이하 또는 약 280 kg/㎥ 이하 또는 약 275 kg/㎥ 이하 또는 약 270 kg/㎥ 이하 또는 약 265 kg/㎥ 이하 또는 약 260 kg/㎥ 이하 ㎥ 또는 약 255kg/㎥ 이하 또는 약 250kg/㎥ 이하 또는 약 245kg/㎥ 이하 또는 약 240kg/㎥ 이하 또는 약 235kg/㎥ 이하 또는 약 235kg/㎥ 이하 약 230kg/㎥ 또는 약 225kg/㎥ 이하 또는 약 220kg/㎥ 이하 또는 약 215kg/㎥ 이하 또는 약 210kg/㎥ 이하 또는 약 205kg/㎥ 이하 또는 약 200kg/㎥ 이하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110)의 열가소성 발포체는 적어도 약 1kg/㎥, 예컨대 적어도 약 10kg/㎥ 또는 적어도 약 15kg/㎥ 또는 적어도 약 20 kg/㎥ 또는 적어도 약 25 kg/㎥ 또는 적어도 약 30 kg/㎥ 또는 적어도 약 35 kg/㎥ 또는 적어도 약 40 kg/㎥ 또는 적어도 약 45 kg/㎥ 또는 적어도 약 50 kg/㎥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110)의 열가소성 발포체의 밀도는 위에서 언급된 최소값과 최대값 중 임의의 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110)의 열가소성 발포체의 밀도는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음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110)가 열가소성 발포체를 포함하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열가소성 발포체는 특정 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110)의 열가소성 발포체는 약 1.5 이하 또는 약 1.45 이하 또는 약 1.4 이하 또는 약 1.35 이하 또는 약 1.30 이하 또는 약 1.25 이하 또는 약 1.20 이하 또는 약 1.15 이하 또는 약 1.10 이하 또는 약 1.05 이하 또는 심지어 약 1.00 이하의 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110)의 열가소성 발포체는 유전율이 약 0.01 이상, 예를 들어 약 0.05 이상 또는 약 0.10 이상 또는 약 0.15 이상 또는 약 0.20 이상 또는 약 1.75 이상 또는 약 1.8 이상 또는 약 1.85 이상 또는 약 1.9 이상 또는 약 1.95 이상 또는 약 2.0 이상 또는 약 2.05 이상 또는 약 2.1 이상 또는 약 2.15 이상 또는 심지어 약 2.2 이상의 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110)의 열가소성 발포체의 유전율은 위에서 언급된 최소값과 최대값 중 임의의 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110)의 열가소성 발포체의 유전율은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음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110)는 신택틱 발포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110)는 플라스틱 폐쇄 셀 발포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110)는 신택틱 발포체 및 플라스틱 폐쇄 셀 발포체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110)는 신택틱 발포체, 플라스틱 폐쇄 셀 발포체, 폴리메타크릴이미드(PMI),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테르이미드(PEI), 폴리염화비닐(PVC),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스티로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110)는 특정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110)는 적어도 약 0.1mm, 예컨대 적어도 약 0.5mm 또는 적어도 약 1.0mm 또는 적어도 약 1.5mm 또는 적어도 약 2.0mm 또는 적어도 약 0.5mm, 적어도 약 2.5mm 또는 적어도 약 3.0mm 또는 적어도 약 3.5mm 또는 적어도 약 4.0mm 또는 적어도 약 4.5mm 또는 적어도 약 5.0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튜닝층(100)은 약 12.5mm 이하, 예를 들어, 약 12.0mm 이하 또는 약 11.5mm 이하 또는 약 11.0mm 이하 또는 약 11.0mm 이하 또는 약 10.5 mm 이하 또는 약 10.0 mm 이하 또는 약 9.5 mm 이하 또는 약 9.0 mm 이하 또는 약 8.5 mm 이하 또는 약 8.0 mm 이하 또는 약 7.5 mm 이하 또는 약 7.5 mm 이하 7.0mm 또는 약 6.5mm 이하 또는 심지어 약 6.0mm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110)의 두께는 위에서 언급된 최소값과 최대값 중 임의의 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110)의 두께는 위에서 언급된 최소값과 최대값 중 임의의 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110)는 물질의 단일 층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질의 단일 층은 단일 제1 내부 튜닝층(111)일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부 튜닝층(111)은 열경화성 발포체 또는 열가소성 발포체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부 튜닝층(111)이 열경화성 발포체를 포함하는 경우, 열경화성 발포체는 특정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부 튜닝층(111)의 열경화성 발포체는 적어도 약 300kg/㎥, 예를 들어, 적어도 약 310kg/㎥ 또는 적어도 약 320kg/㎥ 또는 적어도 약 330kg/㎥ 또는 적어도 약 340kg/㎥ 또는 적어도 약 350kg/㎥ 또는 적어도 약 360kg/㎥ 또는 적어도 약 370kg/㎥ 또는 적어도 약 380kg/㎥ 또는 적어도 약 390kg/㎥ 또는 적어도 약 400 kg/㎥ 또는 적어도 약 410 kg/㎥ 또는 적어도 약 420 kg/㎥ 또는 적어도 약 430 kg/㎥ 또는 적어도 약 440 kg/㎥ 또는 적어도 약 450 kg/㎥ 또는 적어도 약 460kg/㎥ 또는 적어도 약 470kg/㎥ 또는 적어도 약 480kg/㎥ 또는 적어도 약 490kg/㎥ 또는 심지어 적어도 약 500kg/㎥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부 튜닝층(111)의 열경화성 발포체는 약 1000kg/㎥ 이하, 예를 들어 약 990kg/㎥ 이하 또는 약 980kg/㎥ 이하 또는 약 970 kg/㎥ 이하 또는 약 960 kg/㎥ 이하 또는 약 950 kg/㎥ 이하 또는 약 940 kg/㎥ 이하 또는 약 930 kg/㎥ 이하 또는 약 930 kg/㎥ 이하 920kg/㎥ 또는 약 910kg/㎥ 이하 또는 약 900kg/㎥ 이하 또는 약 890kg/㎥ 이하 또는 약 880kg/㎥ 이하 또는 약 870kg/㎥ 이하 또는 약 860 kg/㎥ 이하 또는 약 850 kg/㎥ 이하 또는 약 840 kg/㎥ 이하 또는 약 830 kg/㎥ 이하 또는 약 820 kg/㎥ 이하 또는 약 810 이하 kg/㎥ 또는 약 800kg/㎥ 이하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제1 내부 튜닝층(111)의 열경화성 발포체의 밀도는 위에서 언급된 최소값과 최대값 중 임의의 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제1 내부 튜닝층(111)의 열경화성 발포체의 밀도는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음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제1 내부 튜닝층(111)이 열경화성 발포체를 포함하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열경화성 발포체는 특정 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부 튜닝층(111)의 열경화성 발포체는 적어도 약 1.00, 예컨대 적어도 약 1.05 또는 적어도 약 1.10 또는 적어도 약 1.15 또는 적어도 약 1.20 또는 적어도 약 1.00, 또는 적어도 약 1.25 또는 적어도 약 1.30 또는 적어도 약 1.35 또는 적어도 약 1.40 또는 적어도 약 1.45 또는 적어도 약 1.50 또는 적어도 약 1.55 또는 적어도 약 1.6 또는 적어도 약 1.65 또는 적어도 약 1.7 또는 적어도 약 1.75 또는 적어도 약 1.8 또는 적어도 약 1.85 또는 적어도 약 1.9 또는 적어도 약 1.95 또는 적어도 약 2.0 또는 적어도 약 2.05 또는 적어도 약 2.1 또는 적어도 약 2.15 또는 심지어 적어도 약 2.2의 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부 튜닝층(111)의 열경화성 발포체는 유전율이 약 3.0 이하 또는 약 2.95 이하 또는 약 2.9 이하 또는 약 2.85 이하 또는 약 2.85 이하 또는 약 2.80 이하 또는 약 2.75 이하 또는 약 2.7 이하 또는 약 2.65 이하 또는 약 2.6 이하 또는 약 2.55 이하 또는 심지어 약 2.5 이하일 수 있다. 제1 내부 튜닝층(111)의 열경화성 발포체의 유전율은 위에서 언급된 최소값과 최대값 중 임의의 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제1 내부 튜닝층(111)의 열경화성 발포체의 유전율은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음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부 튜닝층(111)이 열가소성 발포체를 포함하는 경우, 열가소성 발포체는 특정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부 튜닝층(111)의 열가소성 발포체는 밀도가 약 300kg/㎥ 이하, 예를 들어 약 295kg/㎥ 이하 또는 약 290kg/㎥ 이하 또는 약 285kg/㎥ 이하 또는 약 280kg/㎥ 이하 또는 약 275kg/㎥ 이하 또는 약 270kg/㎥ 이하 또는 약 265kg/㎥ 이하 또는 약 260kg/㎥ 이하 ㎥ 또는 약 255kg/㎥ 이하 또는 약 250kg/㎥ 이하 또는 약 245kg/㎥ 이하 또는 약 240kg/㎥ 이하 또는 약 235kg/㎥ 이하 또는 약 235kg/㎥ 이하 약 230kg/㎥ 또는 약 225kg/㎥ 이하 또는 약 220kg/㎥ 이하 또는 약 215kg/㎥ 이하 또는 약 210kg/㎥ 이하 또는 약 205kg/㎥ 이하 또는 약 200kg/㎥ 이하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부 튜닝층(111)의 열가소성 발포체는 적어도 약 1kg/㎥, 예를 들어, 적어도 약 10kg/㎥ 또는 적어도 약 15kg/㎥ 또는 적어도 약 20 kg/㎥ 또는 적어도 약 25 kg/㎥ 또는 적어도 약 30 kg/㎥ 또는 적어도 약 35 kg/㎥ 또는 적어도 약 40 kg/㎥ 또는 적어도 약 45 kg/㎥ 또는 적어도 약 50 kg/㎥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제1 내부 튜닝층(111)의 열가소성 발포체의 밀도는 위에서 언급된 최소값과 최대값 중 임의의 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제1 내부 튜닝층(111)의 열가소성 발포체의 밀도는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음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제1 내부 튜닝층(111)이 열가소성 발포체를 포함하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열가소성 발포체는 특정 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부 튜닝층(111)의 열가소성 발포체는 유전율이 약 1.5 이하 또는 약 1.45 이하 또는 약 1.4 이하 또는 약 1.35 이하 또는 약 1.30 이하 또는 약 1.25 이하 또는 약 1.20 이하 또는 약 1.15 이하 또는 약 1.10 이하 또는 약 1.05 이하 또는 심지어 약 1.00 이하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부 튜닝층(111)의 열가소성 발포체는 유전율이 약 0.01 이상, 예를 들어 약 0.05 이상 또는 약 0.10 이상 또는 약 0.15 이상 또는 약 0.20 이상 또는 약 1.75 이상 또는 약 1.8 이상 또는 약 1.85 이상 또는 약 1.9 이상 또는 약 1.95 이상 또는 약 2.0 이상 또는 약 2.05 이상 또는 약 2.1 이상 또는 약 2.15 이상 또는 심지어 약 2.2 이상일 수 있다. 제1 내부 튜닝층(111)의 열가소성 발포체의 유전율은 위에서 언급된 최소값과 최대값 중 임의의 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제1 내부 튜닝층(111)의 열가소성 발포체의 유전율은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111)는 신택틱 발포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111)는 플라스틱 폐쇄 셀 발포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111)는 신택틱 발포체 및 플라스틱 폐쇄 셀 발포체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111)는 신택틱 발포체, 플라스틱 폐쇄 셀 발포체, 폴리메타크릴이미드(PMI),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테르이미드(PEI), 폴리염화비닐(PVC),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스티로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부 튜닝층(111)은 특정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부 튜닝층(111)은 적어도 약 0.1 mm, 예컨대 적어도 약 0.3 mm 또는 적어도 약 0.5 mm 또는 적어도 약 0.7 mm 또는 적어도 약 1.0 mm 또는 적어도 약 0.1 mm 또는 적어도 약 1.3mm 또는 적어도 약 1.5mm 또는 적어도 약 1.7mm 또는 적어도 약 2.0mm 또는 적어도 약 2.5mm 또는 적어도 약 3.0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튜닝층(100)은 약 6.25mm 이하, 예를 들어, 약 6.0mm 이하 또는 약 5.75mm 이하 또는 약 5.5mm 이하 또는 약 5.5mm 이하 또는 약 5.25mm 또는 약 5.0mm 이하 또는 약 4.75mm 이하 또는 약 4.5mm 이하 또는 약 4.25mm 이하 또는 약 4.0mm 이하 또는 약 3.75mm 이하 또는 심지어 약 3.5mm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1 내부 튜닝층(111)의 두께는 위에서 언급된 최소값과 최대값 중 임의의 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제1 내부 튜닝층(111)의 두께는 위에서 언급된 최소값과 최대값 중 임의의 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섬유 강화 유전층(121)의 제1 저-유전율 물질은 특정 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저-유전율 물질은 약 3.5 이하, 예를 들어 약 3.45 이하 또는 약 3.4 이하 또는 약 3.35 이하 또는 약 3.3 이하 또는 약 3.25 이하 또는 약 3.2 이하 또는 약 3.15 이하 또는 약 3.1 이하 또는 약 3.05 이하 또는 심지어 약 3.0 이하의 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저-유전율 물질은 적어도 약 1.5, 예컨대 적어도 약 1.55 또는 적어도 약 1.6 또는 적어도 약 1.65 또는 적어도 약 1.7 또는 적어도 약 1.75 또는 적어도 약 1.8 또는 적어도 약 1.85 또는 적어도 약 1.9 또는 적어도 약 1.95 또는 심지어 적어도 약 2.0의 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 제1 저-유전율 물질의 유전율은 위에서 언급된 최소값과 최대값 중 임의의 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제1 저-유전율 물질의 유전율은 위에서 언급된 최소값과 최대값 중 임의의 값일 수 있음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섬유 강화 유전층(121)은 특정한 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섬유 강화 유전층(121)은 약 3.5 이하, 예를 들어 약 3.45 이하 또는 약 3.4 이하 또는 약 3.35 이하 또는 약 3.3 이하 또는 약 3.3 이하 또는 약 3.25 이하 또는 약 3.2 이하 또는 약 3.15 이하 또는 약 3.1 이하 또는 약 3.05 이하 또는 심지어 약 3.0 이하의 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섬유 강화 유전층(121)은 유전율이 약 1.5 이상, 예를 들어 약 1.55 이상 또는 약 1.6 이상 또는 약 1.65 이상 또는 약 1.7 이상 또는 약 1.75 이상 또는 적어도 약 1.8 또는 적어도 약 1.85 또는 적어도 약 1.9 또는 적어도 약 1.95 또는 심지어 적어도 약 2.0일 수 있다. 제1 섬유 강화 유전층(121)의 유전율은 위에서 언급된 최소값과 최대값 중 임의의 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제1 섬유 강화 유전층(121)의 유전율은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섬유 강화 유전층(121)의 제1 저-유전율 물질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폴리아미드(PA)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섬유 강화 유전층(121)의 제1 저-유전율 물질은 폴리에틸렌(PE) 섬유, 폴리프로필렌(PP) 섬유,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섬유, 폴리아미드(PA) 섬유,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섬유 강화 유전층(121)의 제1 저-유전율 물질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폴리아미드(PA), 폴리에틸렌(PE) 섬유, 폴리프로필렌(PP) 섬유,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섬유, 폴리아미드(PA) 섬유,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섬유 강화 유전층(121)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폴리아미드(PA)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섬유 강화 유전층(121)은 폴리에틸렌(PE) 섬유, 폴리프로필렌(PP) 섬유,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섬유, 폴리아미드(PA) 섬유,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섬유 강화 유전층(121)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폴리아미드(PA), 폴리에틸렌(PE) 섬유, 폴리프로필렌(PP) 섬유,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섬유, 폴리아미드(PA) 섬유,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섬유 강화 유전층(121)은 특정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섬유 강화 유전층(121)은 적어도 약 0.10 mm, 예컨대 적어도 약 0.11 mm 또는 적어도 약 0.12 mm 또는 적어도 약 0.13 mm 또는 적어도 약 0.14 mm 또는 적어도 약 0.10 mm 또는 적어도 약 0.15mm 또는 적어도 약 0.2mm 또는 적어도 약 0.3mm 또는 적어도 약 0.4mm 또는 적어도 약 0.5mm 또는 적어도 약 1.0mm 또는 적어도 약 1.5mm 또는 심지어 적어도 약 2.0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섬유 강화 유전층(121)은 약 6.5mm 이하, 예를 들어 약 6.0mm 이하 또는 약 5.5mm 이하 또는 약 5.0mm 이하 또는 약 5.0mm 이하 또는 약 4.5 mm 이하 또는 심지어 약 4.0 mm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1 섬유 강화 유전층(121)의 두께는 위에서 언급된 최소값과 최대값 중 임의의 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제1 섬유 강화 유전층(121)의 두께는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섬유 강화 유전층(122)의 제1 고-유전율 물질은 특정 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고-유전율 물질은 약 8 이하, 예를 들어 약 8.75 이하 또는 약 8.5 이하 또는 약 8.25 이하 또는 약 8.0 이하 또는 약 7.75 이하 또는 약 7.5 이하 또는 약 7.25 이하 또는 약 7.25 이하 약 7.0 또는 약 6.75 이하 또는 약 6.5 이하 또는 약 6.25 이하 또는 약 6.0 이하 또는 약 5.75 이하 또는 약 5.5 이하 또는 약 5.25 이하 또는 약 5.0 이하의 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고-유전율 물질은 약 2.5 이상, 예를 들어 약 2.75 이상 또는 약 3.0 이상 또는 약 3.25 이상 또는 약 3.5 이상 또는 약 3.75 이상 또는 약 4.0 이상 또는 약 4.25 이상 또는 약 4.5 이상 또는 심지어 약 4.75 이상의 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 제1 고-유전율 물질의 유전율은 위에 언급된 최소값과 최대값 중 임의의 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제1 고-유전율 물질의 유전율은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섬유 강화 유전층(122)은 특정 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섬유 강화 유전층(122)은 약 8 이하, 예를 들어 약 8.75 이하 또는 약 8.5 이하 또는 약 8.25 이하 또는 약 8.0 이하 또는 약 7.75 이하 또는 약 7.5 이하 또는 약 7.25 이하 또는 약 7.0 이하 또는 약 6.75 이하 또는 약 6.5 이하 또는 약 6.25 이하 또는 약 6.0 이하 또는 약 6.0 이하 5.75 또는 약 5.5 이하 또는 약 5.25 이하 또는 약 5.0 이하의 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섬유 강화 유전층(122)은 약 2.5 이상, 예를 들어 약 2.75 이상 또는 약 3.0 이상 또는 약 3.25 이상 또는 약 3.5 이상 또는 약 3.75 이상 또는 약 4.0 이상 또는 약 4.25 이상 또는 적어도 약 4.5 이상 또는 심지어 적어도 약 4.75 이상의 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 제2 섬유 강화 유전층(122)은 위에서 언급된 최소값과 최대값 중 임의의 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제2 섬유 강화 유전층(122)은 위에서 언급된 최소값과 최대값 중 임의의 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섬유 강화 유전층(122)의 제1 고-유전율 물질은 중합체 매트릭스에 유리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섬유 강화 유전층(122)의 제1 고-유전율 물질은 폴리에스테르 매트릭스에 유리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섬유 강화 유전층(122)의 제1 고-유전율 물질은 수지 매트릭스에 유리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섬유 강화 유전층(122)의 제1 고-유전율 물질은 시아네이트 에스테르 매트릭스에 유리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섬유 강화 유전층(122)의 제1 고-유전율 물질은 중합체 매트릭스의 유리 섬유, 폴리에스테르 매트릭스의 유리 섬유, 수지 매트릭스의 유리 섬유 및 시아네이트 에스테르 매트릭스의 유리 섬유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섬유 강화 유전층(122)은 중합체 매트릭스에 유리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섬유 강화 유전층(122)은 폴리에스테르 매트릭스에 유리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섬유 강화 유전층(122)은 수지 매트릭스에 유리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섬유 강화 유전층(122)은 시아네이트 에스테르 매트릭스에 유리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섬유 강화 유전층(122)은 중합체 매트릭스의 유리 섬유, 폴리에스테르 매트릭스의 유리 섬유, 수지 매트릭스의 유리 섬유, 및 시아네이트 에스테르 매트릭스의 유리 섬유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섬유 강화 유전층(122)은 특정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섬유 강화 유전층(122)은 적어도 약 0.10 mm, 예컨대 적어도 약 0.11 mm 또는 적어도 약 0.12 mm 또는 적어도 약 0.13 mm 또는 적어도 약 0.14 mm 또는 적어도 약 0.10 mm 또는 적어도 약 0.15mm 또는 적어도 약 0.2mm 또는 적어도 약 0.3mm 또는 적어도 약 0.4mm 또는 적어도 약 0.5mm 또는 적어도 약 1.0mm 또는 적어도 약 1.5mm 또는 심지어 적어도 약 2.0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섬유 강화 유전층(122)은 약 6.5mm 이하, 예를 들어 약 6.0mm 이하 또는 약 5.5mm 이하 또는 약 5.0mm 이하 또는 약 4.5 mm 이하 또는 심지어 약 4.0 mm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2 섬유 강화 유전층(122)의 두께는 위에서 언급된 최소값과 최대값 중 임의의 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제2 섬유 강화 유전층(122)의 두께는 위에서 언급된 최소값과 최대값 중 임의의 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섬유 강화 유전층(123)의 제2 저-유전율 물질은 특정 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저-유전율 물질은 약 3.5 이하, 예컨데, 약 3.45 이하 또는 약 3.4 이하 또는 약 3.35 이하 또는 약 3.3 이하 또는 약 3.25 이하 또는 약 3.2 이하 또는 약 3.15 이하 또는 약 3.1 이하 또는 약 3.05 이하 또는 심지어 약 3.0 이하의 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저-유전율 물질은 적어도 약 1.5, 예컨대 적어도 약 1.55 또는 적어도 약 1.6 또는 적어도 약 1.65 또는 적어도 약 1.7 또는 적어도 약 1.75 또는 적어도 약 1.8 또는 적어도 약 1.85 이상 또는 적어도 약 1.9 또는 적어도 약 1.95 또는 심지어 적어도 약 2.0의 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 제2 저-유전율 물질의 유전율은 위에서 언급된 최소값과 최대값 중 임의의 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제2 저-유전율 물질의 유전율은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섬유 강화 유전층(123)은 특정한 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섬유 강화 유전층(123)은 약 3.5 이하, 예를 들어 약 3.45 이하 또는 약 3.4 이하 또는 약 3.35 이하 또는 약 3.3 이하 또는 또는 약 3.25 이하 또는 약 3.2 이하 또는 약 3.15 이하 또는 약 3.1 이하 또는 약 3.05 이하 또는 심지어 약 3.0 이하의 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섬유 강화 유전층(123)은 약 1.5 이상, 예를 들어 약 1.55 이상 또는 약 1.6 이상 또는 약 1.65 이상 또는 약 1.7 이상 또는 약 1.75 이상 또는 적어도 약 1.8 또는 적어도 약 1.85 또는 적어도 약 1.9 또는 적어도 약 1.95 또는 심지어 적어도 약 2.0의 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 제3 섬유 강화 유전층(123)의 유전율은 위에서 언급된 최소값과 최대값 중 임의의 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제3 섬유 강화 유전층(123)의 유전율은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섬유 강화 유전층(123)의 제2 저-유전율 물질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폴리아미드(PA)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섬유 강화 유전층(123)의 제2 저-유전율 물질은 폴리에틸렌(PE) 섬유, 폴리프로필렌(PP) 섬유,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섬유, 폴리아미드(PA) 섬유,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섬유 강화 유전층(123)의 제2 저-유전율 물질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폴리아미드(PA), 폴리에틸렌(PE) 섬유, 폴리프로필렌(PP) 섬유,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섬유, 폴리아미드(PA) 섬유,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섬유 강화 유전층(123)은 특정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섬유 강화 유전층(123)은 적어도 약 0.10 mm, 예컨대 적어도 약 0.11 mm 또는 적어도 약 0.12 mm 또는 적어도 약 0.13 mm 또는 적어도 약 0.14 mm 또는 적어도 약 0.10 mm 또는 적어도 약 0.15mm 또는 적어도 약 0.2mm 또는 적어도 약 0.3mm 또는 적어도 약 0.4mm 또는 적어도 약 0.5mm 또는 적어도 약 1.0mm 또는 적어도 약 1.5mm 또는 심지어 적어도 약 2.0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섬유 강화 유전층(123)은 약 6.5mm 이하, 예를 들어 약 6.0mm 이하 또는 약 5.5mm 이하 또는 약 5.0mm 이하 또는 약 4.5 mm 이하 또는 심지어 약 4.0 mm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3 섬유 강화 유전층(123)의 두께는 위에서 언급된 최소값과 최대값 중 임의의 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제3 섬유 강화 유전층(123)의 두께는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도 1b는 레이돔 구조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예시를 포함한다. 예시를 위해 그리고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돔 구조(101)는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110) 및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110) 위에 놓이는 라미네이트 구성요소(1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110)는 제1 내부 튜닝층(111) 및 제2 내부 튜닝층(11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미네이트 구성요소(120)는 제1 섬유 강화 유전층(121), 제1 섬유 강화 유전층(121) 위에 놓이는 제2 섬유 강화 유전층(122), 및 제2 섬유 강화 유전층(122) 위에 놓이는 제3 섬유 강화 유전층(123)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제1 섬유 강화 유전층(121)은 제1 저-유전율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섬유 강화 유전층(122)은 제1 고-유전율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섬유 강화 유전층(123)은 제2 저-유전율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이돔 구조(101)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돔 구조(101)를 참조하여 설명된 모든 구성요소는 도 1b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특히, 레이돔 구조(101),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110), 라미네이트 구성요소(120), 제1 내부 튜닝층(111), 제1 섬유 강화 유전층(121), 제2 섬유 강화 유전층(122) 및 제3 섬유 강화 유전층(123)의 특성은 각각 도 1a에 도시된 레이돔 구조(100),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110), 라미네이트 구성요소(120), 제1 내부 튜닝층(111), 제1 섬유 강화 유전층(121), 제2 섬유 강화 유전층(122), 및 제3 섬유 강화 유전층(123)을 참조하여 여기서 설명된 대응하는 특성 중 임의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제 구체적으로 도 1b를 참조하면, 특정 실시예에 따라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110)의 제2 내부 튜닝층(112)은 제1 내부 튜닝층(111)과 라미네이트 구성요소(1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부 튜닝층(111)의 유전율은 제2 내부 튜닝층(112)의 유전율보다 작을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내부 튜닝층(112)은 열경화성 발포체 또는 열가소성 발포체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내부 튜닝층(112)이 열경화성 발포체를 포함하는 경우, 열경화성 발포체는 특정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내부 튜닝층(112)의 열경화성 발포체는 적어도 약 300kg/㎥, 예를 들어, 적어도 약 310kg/㎥ 또는 적어도 약 320kg/㎥ 또는 적어도 약 330kg/㎥ 또는 적어도 약 340kg/㎥ 또는 적어도 약 350kg/㎥ 또는 적어도 약 360kg/㎥ 또는 적어도 약 370kg/㎥ 또는 적어도 약 380kg/㎥ 또는 적어도 약 390kg/㎥ 또는 적어도 약 400kg/㎥ 또는 적어도 약 410kg/㎥ 또는 적어도 약 420kg/㎥ 또는 적어도 약 430kg/㎥ 또는 적어도 약 440kg/㎥ 또는 적어도 약 450kg/㎥ 또는 적어도 적어도 약 460kg/㎥ 또는 적어도 약 470kg/㎥ 또는 적어도 약 480kg/㎥ 또는 적어도 약 490kg/㎥ 또는 심지어 적어도 약 500kg/㎥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내부 튜닝층(112)의 열경화성 발포체는 약 1000kg/㎥ 이하, 예를 들어 약 990kg/㎥ 이하 또는 약 980kg/㎥ 이하 또는 약 970 kg/㎥ 이하 또는 약 960 kg/㎥ 이하 또는 약 950 kg/㎥ 이하 또는 약 940 kg/㎥ 이하 또는 약 930 kg/㎥ 이하 또는 약 920 kg/㎥ 이하 또는 약 910 kg/㎥ 이하 또는 약 900 kg/㎥ 이하 또는 약 890 kg/㎥ 이하 또는 약 880 kg/㎥ 이하 또는 약 870 kg/㎥ 이하 또는 약 860 kg/㎥ 이하 또는 약 850 kg/㎥ 이하 또는 약 840 kg/㎥ 이하 또는 약 830 kg/㎥ 이하 또는 약 820 kg/㎥ 이하 또는 약 810 이하 kg/㎥ 또는 심지어 약 800kg/㎥ 이하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제2 내부 튜닝층(112)의 열경화성 발포체의 밀도는 위에서 언급된 최소값과 최대값 중 임의의 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제2 내부 튜닝층(112)의 열경화성 발포체의 밀도는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음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제2 내부 튜닝층(112)이 열경화성 발포체를 포함하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열경화성 발포체는 특정 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내부 튜닝층(112)의 열경화성 발포체는 적어도 약 1.00, 예컨대 적어도 약 1.05 또는 적어도 약 1.10 또는 적어도 약 1.15 또는 적어도 약 1.20 또는 적어도 약 1.25 또는 적어도 약 1.30 또는 적어도 약 1.35 또는 적어도 약 1.40 또는 적어도 약 1.45 또는 적어도 약 1.50 또는 적어도 약 1.55 또는 적어도 약 1.6 또는 적어도 약 1.65 또는 적어도 약 1.7 또는 적어도 약 1.75 또는 적어도 약 1.8 또는 적어도 약 1.85 또는 적어도 약 1.9 또는 적어도 약 1.95 또는 적어도 약 2.0 또는 적어도 약 2.05 또는 적어도 약 2.1 또는 적어도 약 2.15 또는 심지어 적어도 약 2.2의 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내부 튜닝층(112)의 열경화성 발포체는 유전율이 약 3.0 이하 또는 약 2.95 이하 또는 약 2.9 이하 또는 약 2.85 이하 또는 약 2.80 이하 또는 약 2.75 이하 또는 약 2.7 이하 또는 약 2.65 이하 또는 약 2.6 이하 또는 약 2.55 이하 또는 심지어 약 2.5 이하의 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 제2 내부 튜닝층(112)의 열경화성 발포체의 유전율은 위에서 언급된 최소값과 최대값 중 임의의 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제2 내부 튜닝층(112)의 열경화성 발포체의 유전율은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내부 튜닝층(112)이 열가소성 발포체를 포함하는 경우, 열가소성 발포체는 특정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내부 튜닝층(112)의 열가소성 발포체는 약 300kg/㎥ 이하, 예를 들어, 약 295kg/㎥ 이하 또는 약 290kg/㎥ 이하 또는 약 285kg/㎥ 이하 또는 약 280kg/㎥ 이하 또는 약 275kg/㎥ 이하 또는 약 270kg/㎥ 이하 또는 약 265kg/㎥ 이하 또는 약 260kg/㎥ 이하 ㎥ 또는 약 255kg/㎥ 이하 또는 약 250kg/㎥ 이하 또는 약 245kg/㎥ 이하 또는 약 240kg/㎥ 이하 또는 약 235kg/㎥ 이하 또는 약 230kg/㎥ 또는 약 225kg/㎥ 이하 또는 약 220kg/㎥ 이하 또는 약 215kg/㎥ 이하 또는 약 210kg/㎥ 이하 또는 약 205kg/㎥ 이하 또는 약 200kg/㎥ 이하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내부 튜닝층(112)의 열가소성 발포체는 적어도 약 1kg/㎥, 예를 들어, 적어도 약 10kg/㎥ 또는 적어도 약 15kg/㎥ 또는 적어도 약 20 kg/㎥ 또는 적어도 약 25 kg/㎥ 또는 적어도 약 30 kg/㎥ 또는 적어도 약 35 kg/㎥ 또는 적어도 약 40 kg/㎥ 또는 적어도 약 45 kg/㎥ 또는 적어도 약 50 kg/㎥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제2 내부 튜닝층(112)의 열가소성 발포체의 밀도는 위에서 언급된 최소값과 최대값 중 임의의 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제2 내부 튜닝층(112)의 열가소성 발포체의 밀도는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제2 내부 튜닝층(112)이 열가소성 발포체를 포함하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열가소성 발포체는 특정 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내부 튜닝층(112)의 열가소성 발포체는 유전율이 약 1.5 이하 또는 약 1.45 이하 또는 약 1.4 이하 또는 약 1.35 이하 또는 약 1.30 이하 또는 약 1.25 이하 또는 약 1.20 이하 또는 약 1.15 이하 또는 약 1.10 이하 또는 약 1.05 이하 또는 심지어 약 1.00 이하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내부 튜닝층(112)의 열가소성 발포체는 유전율이 약 0.01 이상, 예를 들어 약 0.05 이상 또는 약 0.10 이상 또는 약 0.15 이상 또는 약 0.20 이상 또는 약 1.75 이상 또는 약 1.8 이상 또는 약 1.85 이상 또는 약 1.9 이상 또는 약 1.95 이상 또는 약 2.0 이상 또는 약 2.05 이상 또는 약 2.1 이상 또는 약 2.15 이상 또는 심지어 약 2.2 이상일 수 있다. 제2 내부 튜닝층(112)의 열가소성 발포체의 유전율은 위에서 언급된 최소값과 최대값 중 임의의 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제2 내부 튜닝층(112)의 열가소성 발포체의 유전율은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112)는 신택틱 발포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112)는 플라스틱 폐쇄 셀 발포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112)는 신택틱 발포체 및 플라스틱 폐쇄 셀 발포체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112)는 신택틱 발포체, 플라스틱 폐쇄 셀 발포체, 폴리메타크릴이미드(PMI),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테르이미드(PEI), 폴리염화비닐(PVC),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스티로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내부 튜닝층(112)은 특정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내부 튜닝층(112)은 적어도 약 0.1mm, 예컨대 적어도 약 0.3mm 또는 적어도 약 0.5mm 또는 적어도 약 0.7mm 또는 적어도 약 1.0mm 또는 적어도 약 1.3mm 또는 적어도 약 1.5mm 또는 적어도 약 1.7mm 또는 적어도 약 2.0mm 또는 적어도 약 2.5mm 또는 적어도 약 3.0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튜닝층(100)은 약 6.25mm 이하, 예를 들어, 약 6.0mm 이하 또는 약 5.75mm 이하 또는 약 5.5mm 이하 또는 약 5.25mm 또는 약 5.0mm 이하 또는 약 4.75mm 이하 또는 약 4.5mm 이하 또는 약 4.25mm 이하 또는 약 4.0mm 이하 또는 약 3.75mm 이하 또는 심지어 이하 약 3.5mm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2 내부 튜닝층(112)의 두께는 위에서 언급된 최소값과 최대값 중 임의의 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제2 내부 튜닝층(112)의 두께는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도 2a는 레이돔 구조의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의 예시이다. 예시를 위해 그리고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돔 구조(200)는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210),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210) 위에 놓이는 라미네이트 구성요소(220) 및 라미네이트 구성요소(220) 위에 놓이는 보호층(2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210)는 제1 내부 튜닝층(21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미네이트 구성요소(220)는 제1 섬유 강화 유전층(221), 제1 섬유 강화 유전층(221) 위에 놓이는 제2 섬유 강화 유전층(222), 및 제2 섬유 강화 유전층(222) 위에 놓이는 제3 섬유 강화 유전층(223)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제1 섬유 강화 유전층(221)은 제1 저-유전율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섬유 강화 유전층(222)은 제1 고-유전율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섬유 강화 유전층(223)은 제2 저-유전율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이돔 구조(200)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돔 구조(200)을 참조하여 설명된 모든 구성요소는 도 1a 내지 도 1b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특히, 도 2a에 도시되는 레이돔 구조(200),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210), 라미네이트 구성요소(220), 제1 내부 튜닝층(211), 제1 섬유 강화 유전층(221), 제2 섬유 강화 유전층(222) 및 제3 섬유 강화 유전층(223)의 특성은 도 1a 및 1b에 각각 도시된 레이돔 구조(100)(101),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110), 라미네이트 구성요소(120), 제1 내부 튜닝층(111), 제2 내부 튜닝층(112), 제1 섬유 강화 유전층(121), 제2 섬유 강화 유전층(122), 및 제3 섬유 강화 유전층(123)을 참조하여 여기서 설명되는 대응하는 특성 중 임의의 것을 가질 수 있다.
이제 도 2a를 참조하여,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층은 신택틱 발포체의 최외곽층과 페인트층 사이에 추가적인 섬유 강화층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b는 레이돔 구조의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의 예시를 포함한다. 예시를 위해 그리고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돔 구조(201)는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210),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210) 위에 놓이는 라미네이트 구성요소(220) 및 라미네이트 구성요소(220) 위에 놓이는 보호층(230)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따라 그리고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210)는 제1 내부 튜닝층(211) 및 제2 내부 튜닝층(212)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그리고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미네이트 구성요소(220)는 제1 섬유 강화 유전층(221), 제1 섬유 강화 유전층(221) 위에 놓이는 제2 섬유 강화 유전층(222), 및 제2 섬유 강화 유전층(222) 위에 놓이는 제3 섬유 강화 유전층(223)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제1 섬유 강화 유전층(221)은 제1 저-유전율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섬유 강화 유전층(222)은 제1 고-유전율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섬유 강화 유전층(223)은 제2 저-유전율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이돔 구조(20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돔 구조(201)를 참조하여 설명된 모든 구성요소는 도 1a, 1b 및 도 2a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특히, 도 2b에 도시된 레이돔 구조(201),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210), 라미네이트 구성요소(220), 제1 내부 튜닝층(211), 제2 내부 튜닝층(212), 제1 섬유 강화 유전층(221), 제2 섬유 강화 유전층의 특성 층(222), 및 제3 섬유 강화 유전층(223)은 도 1a, 1b, 2a에 각각 도시된 레이돔 구조(100(101, 200)),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110(210)), 라미네이트 구성요소(120(220)), 제1 내부 튜닝층(111(211)), 제2 튜닝층(112), 제1 섬유 강화 유전층(121(221)), 제2 섬유 강화 유전층(122)(222), 및 제3 섬유 강화 유전층(123(223))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된 대응하는 특성 중 임의의 것을 가질 수 있다.
도 3a는 레이돔 구조의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의 예시이다. 예시를 위해 그리고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돔 구조(300)는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310),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310) 위에 놓이는 라미네이트 구성요소(320) 및 라미네이트 구성요소(320) 위에 놓이는 외부 튜닝층 구성요소(340)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따라 그리고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310)는 제1 내부 튜닝층(311)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그리고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미네이트 구성요소(320)는 제1 섬유 강화 유전층(321), 제1 섬유 강화 유전층(321) 위에 놓이는 제2 섬유 강화 유전층(322), 및 제2 섬유 강화 유전층(322) 위에 놓이는 제3 섬유 강화 유전층(323)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제1 섬유 강화 유전층(321)은 제1 저-유전율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섬유 강화 유전층(322)은 제1 고-유전율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섬유 강화 유전층(323)은 제2 저-유전율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또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튜닝층 구성요소(340)는 제1 외부 튜닝층(341)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이돔 구조(300)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레이돔 구조(300)를 참조하여 설명된 모든 구성요소는 도 1a, 1b, 2a, 2b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특히, 도 3에 도시된 레이돔 구조(300),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310), 라미네이트 구성요소(320), 제1 내부 튜닝층(311), 제1 섬유 강화 유전층(321), 제2 섬유 강화 유전층(322) 및 제3 섬유 강화 유전층(323)의 특성은 도 1a, 1b, 1c에 각각 도시된 레이돔 구조(100(101, 200, 201)),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110(210)), 라미네이트 구성요소(120(220)), 제1 내부 튜닝층(111)(211), 제2 튜닝층(112)(212), 제1 섬유 강화 유전층(121)(221), 제2 섬유 강화 유전층(122)(222) 및 제3 섬유 강화 유전층(123(223))을 참조하여 여기서 설명된 대응하는 특성 중 임의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제 구체적으로 도 3a를 참조하여,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튜닝층 구성요소(340)는 물질의 단일 층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그리고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물질 층은 단일 제1 외부 튜닝층(341)일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외부 튜닝층(341)은 열경화성 발포체 또는 열가소성 발포체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외부 튜닝층(341)이 열경화성 발포체를 포함하는 경우, 열경화성 발포체는 특정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외부 튜닝층(341)의 열경화성 발포체는 적어도 약 300kg/㎥, 예를 들어, 적어도 약 310kg/㎥ 또는 적어도 약 320kg/㎥ 또는 적어도 약 330kg/㎥ 또는 적어도 약 340kg/㎥ 또는 적어도 약 350kg/㎥ 또는 적어도 약 360kg/㎥ 또는 적어도 약 370kg/㎥ 또는 적어도 약 380kg/㎥ 또는 적어도 약 390kg/㎥ 또는 적어도 약 400kg/㎥ 또는 적어도 약 410kg/㎥ 또는 적어도 약 420kg/㎥ 또는 적어도 약 430kg/㎥ 또는 적어도 약 440kg/㎥ 또는 적어도 약 450kg/㎥ 또는 적어도 적어도 약 460kg/㎥ 또는 적어도 약 470kg/㎥ 또는 적어도 약 480kg/㎥ 또는 적어도 약 490kg/㎥ 또는 심지어 적어도 약 500kg/㎥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외부 튜닝층(341)의 열경화성 발포체는 약 1000kg/㎥ 이하, 예를 들어 약 990kg/㎥ 이하 또는 약 980kg/㎥ 이하 또는 약 970kg/㎥ 이하 또는 약 960kg/㎥ 이하 또는 약 950kg/㎥ 이하 또는 약 940kg/㎥ 이하 또는 약 930kg/㎥ 이하 또는 약 930kg/㎥ 이하 920kg/㎥ 또는 약 910kg/㎥ 이하 또는 약 900kg/㎥ 이하 또는 약 890kg/㎥ 이하 또는 약 880kg/㎥ 이하 또는 약 870kg/㎥ 이하 또는 약 860 kg/㎥ 이하 또는 약 850 kg/㎥ 이하 또는 약 840 kg/㎥ 이하 또는 약 830 kg/㎥ 이하 또는 약 820 kg/㎥ 이하 또는 약 810 이하 kg/㎥ 또는 약 800kg/㎥ 이하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제1 외부 튜닝층(341)의 열경화성 발포체의 밀도는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제1 외부 튜닝층(341)의 열경화성 발포체의 밀도는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제1 외부 튜닝층(341)이 열경화성 발포체를 포함하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열경화성 발포체는 특정 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외부 튜닝층(341)의 열경화성 발포체는 적어도 약 1.00, 예를 들어, 적어도 약 1.05 또는 적어도 약 1.10 또는 적어도 약 1.15 또는 적어도 약 1.20 또는 적어도 약 1.25 또는 적어도 약 1.30 또는 적어도 약 1.35 또는 적어도 약 1.40 또는 적어도 약 1.45 또는 적어도 약 1.50 또는 적어도 약 1.55 또는 적어도 약 1.6 또는 적어도 약 1.65 또는 적어도 약 1.7 또는 적어도 약 1.75 또는 적어도 약 1.8 또는 적어도 약 1.85 또는 적어도 약 1.9 또는 적어도 약 1.95 또는 적어도 약 2.0 또는 적어도 약 2.05 또는 적어도 약 2.1 또는 적어도 약 2.15 또는 심지어 적어도 약 2.2의 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외부 튜닝층(341)의 열경화성 발포체는 유전율이 약 3.0 이하 또는 약 2.95 이하 또는 약 2.9 이하 또는 약 2.85 이하 또는 약 2.85 이하 또는 약 2.80 이하 또는 약 2.75 이하 또는 약 2.7 이하 또는 약 2.65 이하 또는 약 2.6 이하 또는 약 2.55 이하 또는 심지어 약 2.5 이하일 수 있다. 제1 외부 튜닝층(341)의 열경화성 발포체의 유전율은 위에서 언급된 최소값과 최대값 중 임의의 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제1 외부 튜닝층(341)의 열경화성 발포체의 유전율은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외부 튜닝층(341)이 열가소성 발포체를 포함하는 경우, 열가소성 발포체는 특정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외부 튜닝층(341)의 열가소성 발포체는 약 300kg/㎥ 이하, 예를 들어 약 295kg/㎥ 이하 또는 약 290kg/㎥ 이하 또는 약 285 kg/㎥ 이하 또는 약 280 kg/㎥ 이하 또는 약 275 kg/㎥ 이하 또는 약 270 kg/㎥ 이하 또는 약 265 kg/㎥ 이하 또는 약 260 kg/㎥ 이하 ㎥ 또는 약 255kg/㎥ 이하 또는 약 250kg/㎥ 이하 또는 약 245kg/㎥ 이하 또는 약 240kg/㎥ 이하 또는 약 235kg/㎥ 이하 또는 약 235kg/㎥ 이하 약 230kg/㎥ 또는 약 225kg/㎥ 이하 또는 약 220kg/㎥ 이하 또는 약 215kg/㎥ 이하 또는 약 210kg/㎥ 이하 또는 약 205kg/㎥ 이하 또는 약 200kg/㎥ 이하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외부 튜닝층(341)의 열가소성 발포체는 적어도 약 1kg/㎥, 예컨대 적어도 약 10kg/㎥ 또는 적어도 약 15kg/㎥ 또는 적어도 약 1kg/㎥ 또는 약 20 kg/㎥ 또는 적어도 약 25 kg/㎥ 또는 적어도 약 30 kg/㎥ 또는 적어도 약 35 kg/㎥ 또는 적어도 약 40 kg/㎥ 또는 적어도 약 45 kg/㎥ 또는 적어도 약 50 kg/㎥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제1 외부 튜닝층(341)의 열가소성 발포체의 밀도는 위에서 언급된 최소값과 최대값 중 임의의 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제1 외부 튜닝층(341)의 열가소성 발포체의 밀도는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제1 외부 튜닝층(341)이 열가소성 발포체를 포함하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열가소성 발포체는 특정 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외부 튜닝층(341)의 열가소성 발포체는 유전율이 약 1.5 이하 또는 약 1.45 이하 또는 약 1.4 이하 또는 약 1.35 이하 또는 약 1.30 이하 또는 약 1.25 이하 또는 약 1.20 이하 또는 약 1.15 이하 또는 약 1.10 이하 또는 약 1.05 이하 또는 심지어 약 1.00 이하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외부 튜닝층(341)의 열가소성 발포체는 유전율이 약 0.01 이상, 예를 들어 약 0.05 이상 또는 약 0.10 이상 또는 약 0.15 이상 또는 약 0.20 이상 또는 약 1.75 이상 또는 약 1.8 이상 또는 약 1.85 이상 또는 약 1.9 이상 또는 약 1.95 이상 또는 약 2.0 이상 또는 약 2.05 이상 또는 약 2.1 이상 또는 약 2.15 이상 또는 심지어 약 2.2 이상일 수 있다. 제1 외부 튜닝층(341)의 열가소성 발포체의 유전율은 위에서 언급된 최소값과 최대값 중 임의의 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제1 외부 튜닝층(341)의 열가소성 발포체의 유전율은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외부 튜닝층(341)은 신택틱 발포체(syntactic foam)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외부 튜닝층(341)은 플라스틱 폐쇄 셀 발포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외부 튜닝층(341)은 신택틱 발포체(syntactic foam)과 플라스틱 폐쇄 기포 폼(plastic closed cell foam)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외부 튜닝층(341)은 신택틱 발포체, 플라스틱 폐쇄 셀 발포체, 폴리메타크릴이미드(PMI),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테르이미드(PEI), 폴리염화비닐(PVC),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스티로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외부 튜닝층(341)은 특정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외부 튜닝층(341)은 적어도 약 0.1mm, 예를 들어, 적어도 약 0.3mm 또는 적어도 약 0.5mm 또는 적어도 약 0.7mm 또는 적어도 약 1.0mm 또는 적어도 약 1.3mm 또는 적어도 약 1.5mm 또는 적어도 약 1.7mm 또는 적어도 약 2.0mm 또는 적어도 약 2.5mm 또는 적어도 약 3.0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튜닝층(100)은 약 6.25mm 이하, 예를 들어, 약 6.0mm 이하 또는 약 5.75mm 이하 또는 약 5.5mm 이하 또는 약 5.25mm 또는 약 5.0mm 이하 또는 약 4.75mm 이하 또는 약 4.5mm 이하 또는 약 4.25mm 이하 또는 약 4.0mm 이하 또는 약 3.75mm 이하 또는 심지어 이하 약 3.5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1 외부 튜닝층(341)의 두께는 위에서 언급된 최소값과 최대값 중 임의의 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제1 외부 튜닝층(341)의 두께는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도 3b는 레이돔 구조의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의 예시를 포함한다. 예시를 위해 그리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돔 구조(301)는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310),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310) 위에 놓이는 라미네이트 구성요소(320) 및 라미네이트 구성요소(320) 위에 놓이는 외부 튜닝층 구성요소(3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310)는 제1 내부 튜닝층(311) 및 제2 내부 튜닝층(21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미네이트 구성요소(320)는 제1 섬유 강화 유전층(321), 제1 섬유 강화 유전층(321) 위에 놓이는 제2 섬유 강화 유전층(322), 및 제2 섬유 강화 유전층(322) 위에 놓이는 제3 섬유 강화 유전층(323)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제1 섬유 강화 유전층(321)은 제1 저-유전율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섬유 강화 유전층(322)은 제1 고-유전율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섬유 강화 유전층(323)은 제2 저-유전율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이돔 구조(301)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돔 구조(301)를 참조하여 설명된 모든 구성요소는 도 1a, 1b, 2a, 2b 및 3a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특히, 도 3b에도시된 레이돔 구조(301),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310), 라미네이트 구성요소(320), 외부 튜닝층 구성요소(340), 제1 내부 튜닝층(311), 제2 내부 튜닝층(312), 제1 섬유 강화 유전층(321), 제2 섬유 강화 유전층(322) 및 제3 섬유 강화 유전층(323)은 각각 도 1a, 1b, 2a, 2b 및 3a에 도시된 레이돔 구조(100)(101, 200, 201, 300),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110)(210, 310), 라미네이트 구성요소(120)(220), 제1 내부 튜닝층(111(211)), 제2 튜닝층(112(212)), 제1 섬유 강화 유전층(121(221)), 제2 섬유 강화 유전층(122(222)), 및 제3 섬유 강화 유전층(123(223))를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된 대응하는 특성 중 임의의 것을 가질 수 있다.
도 4a는 레이돔 구조의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의 예시이다. 예시를 위해 그리고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돔 구조(400)는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410),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410) 위에 놓이는 라미네이트 구성요소(420) 및 라미네이트 구성요소(420) 위에 놓이는 외부 튜닝층 구성요소(440)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따라 그리고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410)는 제1 내부 튜닝층(411)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따라 그리고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미네이트 구성요소(420)는 제1 섬유 강화 유전층(421), 제1 섬유 강화 유전층(421) 위에 놓인 제2 섬유 강화 유전층(422), 및 제2 섬유 강화 유전층(422) 위에 놓인 제3 섬유 강화 유전층(423)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제1 섬유 강화 유전층(421)은 제1 저-유전율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섬유 강화 유전층(422)은 제1 고-유전율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섬유 강화 유전층(423)은 제2 저-유전율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또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튜닝층 구성요소(440)는 제1 외부 튜닝층(441) 및 제2 외부 튜닝층(442)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이돔 구조(400)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돔 구조(400)를 참조하여 설명된 모든 구성요소는 도 1a, 1b, 2a, 2b, 3a 및 3b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특히, 도 4a에 도시된 레이돔 구조(400),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410), 라미네이트 구성요소(420), 외부 튜닝층 구성요소(440), 제1 내부 튜닝층(411), 제1 섬유 강화 유전층(421), 제2 섬유 강화 유전층의 특성 층(422), 및 제3 섬유 강화 유전층(423)은 각각 1a, 1b, 2a, 2b, 3a 및 3b에 각각 도시된 레이돔 구조(100)(101, 200, 201, 300, 301),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110(210, 310)), 라미네이트 구성요소(120(220, 320)), 제1 내부 튜닝층(111(211, 311)), 제2 튜닝층(112(212, 312)), 제1 섬유 강화 유전층(121(221, 321)), 제2 섬유 강화 유전층(122(222, 322)), 및 제3 섬유 강화 유전층(123)(223, 323)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된 대응하는 특성 중 임의의 것을 가질 수 있다.
이제 구체적으로 도 4a를 참조하여 특정 실시예에 따라, 외부 튜닝층 구성요소(440)의 제1 외부 튜닝층(441)은 제2 외부 튜닝층(442)과 라미네이트 구성요소(4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외부 튜닝층(441)의 유전율은 제2 외부 튜닝층(442)의 유전율보다 작을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외부 튜닝층(442)은 열경화성 발포체 또는 열가소성 발포체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외부 튜닝층(442)이 열경화성 발포체를 포함하는 경우, 열경화성 발포체는 특정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외부 튜닝층(442)의 열경화성 발포체는 적어도 약 300kg/㎥, 예를 들어, 적어도 약 310kg/㎥ 또는 적어도 약 320kg/㎥ 또는 적어도 약 330kg/㎥ 또는 적어도 약 340kg/㎥ 또는 적어도 약 350kg/㎥ 또는 적어도 약 360kg/㎥ 또는 적어도 약 370kg/㎥ 또는 적어도 약 380kg/㎥ 또는 적어도 약 390kg/㎥ 또는 적어도 약 400 kg/㎥ 또는 적어도 약 410 kg/㎥ 또는 적어도 약 420 kg/㎥ 또는 적어도 약 430 kg/㎥ 또는 적어도 약 440 kg/㎥ 또는 적어도 약 450 kg/㎥ 또는 적어도 적어도 약 460kg/㎥ 또는 적어도 약 470kg/㎥ 또는 적어도 약 480kg/㎥ 또는 적어도 약 490kg/㎥ 또는 심지어 적어도 약 500kg/㎥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외부 튜닝층(442)의 열경화성 발포체는 약 1000kg/㎥ 이하, 예를 들어 약 990kg/㎥ 이하 또는 약 980kg/㎥ 이하 또는 약 970kg/㎥ 이하 또는 약 960kg/㎥ 이하 또는 약 950kg/㎥ 이하 또는 약 940kg/㎥ 이하 또는 약 930kg/㎥ 이하 또는 약 930kg/㎥ 이하 920kg/㎥ 또는 약 910kg/㎥ 이하 또는 약 900kg/㎥ 이하 또는 약 890kg/㎥ 이하 또는 약 880kg/㎥ 이하 또는 약 870kg/㎥ 이하 또는 약 860 kg/㎥ 이하 또는 약 850 kg/㎥ 이하 또는 약 840 kg/㎥ 이하 또는 약 830 kg/㎥ 이하 또는 약 820 kg/㎥ 이하 또는 약 810 이하 kg/㎥ 또는 약 800kg/㎥ 이하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제2 외부 튜닝층(442)의 열경화성 발포체의 밀도는 위에서 언급된 최소값과 최대값 중 임의의 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제2 외부 튜닝층(442)의 열경화성 발포체의 밀도는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제2 외부 튜닝층(442)이 열경화성 발포체를 포함하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열경화성 발포체는 특정 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외부 튜닝층(442)의 열경화성 발포체는 적어도 약 1.00, 예를 들어, 적어도 약 1.05 또는 적어도 약 1.10 또는 적어도 약 1.15 또는 적어도 약 1.20 또는 적어도 약 1.25 또는 적어도 약 1.30 또는 적어도 약 1.35 또는 적어도 약 1.40 또는 적어도 약 1.45 또는 적어도 약 1.50 또는 적어도 약 1.55 또는 적어도 약 1.6 또는 적어도 약 1.65 또는 적어도 약 1.7 또는 적어도 약 1.75 또는 적어도 약 1.8 또는 적어도 약 1.85 또는 적어도 약 1.9 또는 적어도 약 1.95 또는 적어도 약 2.0 또는 적어도 약 2.05 또는 적어도 약 2.1 또는 적어도 약 2.15 또는 심지어 적어도 약 2.2의 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외부 튜닝층(442)의 열경화성 발포체는 약 3.0 이하 또는 약 2.95 이하 또는 약 2.9 이하 또는 약 2.85 이하 또는 약 2.80 이하 또는 약 2.75 이하 또는 약 2.7 이하 또는 약 2.65 이하 또는 약 2.6 이하 또는 약 2.55 이하 또는 심지어 약 2.5 이하의 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 제2 외부 튜닝층(442)의 열경화성 발포체의 유전율은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제2 외부 튜닝층(442)의 열경화성 발포체의 유전율은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외부 튜닝층(442)이 열가소성 발포체를 포함하는 경우, 열가소성 발포체는 특정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외부 튜닝층(442)의 열가소성 발포체는 약 300kg/㎥ 이하, 예를 들어 약 295kg/㎥ 이하 또는 약 290kg/㎥ 이하 또는 약 285 kg/㎥ 이하 또는 약 280 kg/㎥ 이하 또는 약 275 kg/㎥ 이하 또는 약 270 kg/㎥ 이하 또는 약 265 kg/㎥ 이하 또는 약 260 kg/㎥ 이하 ㎥ 또는 약 255kg/㎥ 이하 또는 약 250kg/㎥ 이하 또는 약 245kg/㎥ 이하 또는 약 240kg/㎥ 이하 또는 약 235kg/㎥ 이하 또는 약 235kg/㎥ 이하 약 230kg/㎥ 이하 또는 약 225kg/㎥ 이하 또는 약 220kg/㎥ 이하 또는 약 215kg/㎥ 이하 또는 약 210kg/㎥ 이하 또는 약 205kg/㎥ 이하 또는 약 200kg/㎥ 이하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외부 튜닝층(442)의 열가소성 발포체는 적어도 약 1kg/㎥, 예컨대 적어도 약 10kg/㎥ 또는 적어도 약 15kg/㎥ 또는 적어도 약 20kg/㎥ 또는 적어도 약 25 kg/㎥ 또는 적어도 약 30 kg/㎥ 또는 적어도 약 35 kg/㎥ 또는 적어도 약 40 kg/㎥ 또는 적어도 약 45 kg/㎥ 또는 적어도 약 50 kg/㎥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제2 외부 튜닝층(442)의 열가소성 발포체의 밀도는 위에서 언급된 최소값과 최대값 중 임의의 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제2 외부 튜닝층(442)의 열가소성 발포체의 밀도는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음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제2 외부 튜닝층(442)이 열가소성 발포체를 포함하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열가소성 발포체는 특정 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외부 튜닝층(442)의 열가소성 발포체는 약 1.5 이하 또는 약 1.45 이하 또는 약 1.4 이하 또는 약 1.35 이하 또는 약 1.30 이하 또는 약 1.25 이하 또는 약 1.20 이하 또는 약 1.15 이하 또는 약 1.10 이하 또는 약 1.05 이하 또는 심지어 약 1.00 이하의 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외부 튜닝층(442)의 열가소성 발포체는 유전율이 약 0.01 이상, 예를 들어 약 0.05 이상 또는 약 0.10 이상 또는 약 0.15 이상 또는 약 0.20 이상 또는 약 1.75 이상 또는 약 1.8 이상 또는 약 1.85 이상 또는 약 1.9 이상 또는 약 1.95 이상 또는 약 2.0 이상 또는 약 2.05 이상 또는 약 2.1 이상 또는 약 2.15 이상 또는 심지어 약 2.2 이상일 수 있다. 제2 외부 튜닝층(442)의 열가소성 발포체의 유전율은 위에서 언급된 최소값과 최대값 중 임의의 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제2 외부 튜닝층(442)의 열가소성 발포체의 유전율은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외부 튜닝층(442)은 신택틱 발포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외부 튜닝층(442)은 플라스틱 폐쇄 셀 발포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외부 튜닝층(442)은 신택틱 발포체(syntactic foam)과 플라스틱 폐쇄 셀 발포체(plastic closed cell foam)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외부 튜닝층(442)은 신택틱 발포체, 플라스틱 폐쇄 셀 발포체, 폴리메타크릴이미드(PMI),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테르이미드(PEI), 폴리염화비닐(PVC), 아크릴로니트릴을 포함할 수 있다. 부타디엔 스티렌(ABS), 스티로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외부 튜닝층(442)은 특정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외부 튜닝층(442)은 적어도 약 0.1mm, 예를 들어, 적어도 약 0.3mm 또는 적어도 약 0.5mm 또는 적어도 약 0.7mm 또는 적어도 약 1.0mm 또는 적어도 약 1.3 mm 또는 적어도 약 1.5 mm 또는 적어도 약 1.7 mm 또는 적어도 약 2.0 mm 또는 적어도 약 2.5 mm 또는 적어도 약 3.0 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튜닝층(100)은 약 6.25mm 이하, 예를 들어, 약 6.0mm 이하 또는 약 5.75mm 이하 또는 약 5.5mm 이하 또는 약 5.5mm 이하 또는 약 5.25mm 또는 약 5.0mm 이하 또는 약 4.75mm 이하 또는 약 4.5mm 이하 또는 약 4.25mm 이하 또는 약 4.0mm 이하 또는 약 3.75mm 이하 또는 심지어 이하 약 3.5mm 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2 외부 튜닝층(442)의 두께는 위에서 언급된 최소값과 최대값 중 임의의 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제2 외부 튜닝층(442)의 두께는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도 4b는 레이돔 구조의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의 예시를 포함한다. 예시를 위해 그리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돔 구조(401)는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410),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410) 위에 놓이는 라미네이트 구성요소(420) 및 라미네이트 구성요소(420) 위에 놓이는 외부 튜닝층 구성요소(440)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따라 그리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410)는 제1 내부 튜닝층(411) 및 제2 내부 튜닝층(412)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그리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미네이트 구성요소(420)는 제1 섬유 강화 유전층(421), 제1 섬유 강화 유전층(421) 위에 놓인 제2 섬유 강화 유전층(422), 및 제2 섬유 강화 유전층(422) 위에 놓인 제3 섬유 강화 유전층(423)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제1 섬유 강화 유전층(421)은 제1 저-유전율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섬유 강화 유전층(422)은 제1 고-유전율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섬유 강화 유전층(423)은 제2 저-유전율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튜닝층 구성요소(440)는 제1 외부 튜닝층(441) 및 제2 외부 튜닝층(442)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이돔 구조(40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돔 구조(401)를 참조하여 설명된 모든 구성요소는 도 1a, 1b, 2a, 2b, 3a, 3b 및 4a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특히, 도 4b의 레이돔 구조(401),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410), 라미네이트 구성요소(420), 외부 튜닝층 구성요소(440), 제1 내부 튜닝층(411), 제2 내부 튜닝층(412), 제1 섬유 강화 유전층(421), 제2 섬유 강화 유전층(422) 및 제3 섬유 강화 유전층(423)은 도 1a, 1b, 2a, 2b 및 3a에 각각 도시된 레이돔 구조(100)(101, 200, 201, 300, 301),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110(210, 310)), 라미네이트 구성요소(120(220)), 제1 내부 튜닝층(111(211)), 제2 튜닝층(112(212)), 제1 섬유 강화 유전층(121(221)), 제2 섬유 강화 유전층(122(222)), 제3 섬유 강화 유전층(123(223))을 참조하여 여기서 설명된 대응 특성들 중 임의의 것을 가질 수 있다.
도 5a는 레이돔 구조의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의 예시이다. 예시를 위해 그리고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돔 구조(500)는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510) 및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510) 위에 놓이는 라미네이트 구성요소(5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510)는 제1 내부 튜닝층(51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미네이트 구성요소(520)는 제1 섬유 강화 유전층(521), 제1 섬유 강화 유전층(521) 위에 놓인 제2 섬유 강화 유전층(522), 제2 섬유 강화 유전층(522) 위에 놓인 제3 섬유 강화 유전층(523), 제3 섬유 강화 유전층(523) 위에 놓인 제4 섬유 강화 유전층(524), 및 제4 섬유 강화 유전층(524) 위에 놓인 제5 섬유 강화 유전층(525)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섬유 강화 유전층(521)은 제1 저-유전율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섬유 강화 유전층(522)은 제1 고-유전율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섬유 강화 유전층(523)은 제2 저-유전율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4 섬유 강화 유전층(524)은 제2 고-유전율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5 섬유 강화 유전층(525)은 제3 저-유전율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이돔 구조체(500)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돔 구조체(500)를 참조하여 설명된 모든 구성요소는, 도 1a, 1b, 2a 및 2b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특히, 도 5a의 레이돔 구조(500),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510), 라미네이트 구성요소(520), 제1 내부 튜닝층(511), 제2 내부 튜닝층(512), 제1 섬유 강화 유전층(521), 제2 섬유 강화 유전층의 특성 층(522), 및 제3 섬유 강화 유전층(523)은 각각 도 1a, 1b, 2a 및 2b에 도시된 레이돔 구조(100)(101, 200, 201, 300, 301, 400, 401),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110)(210, 310, 410), 라미네이트 구성요소(120)(220, 220, 320, 420), 제1 내부 튜닝층(111, 211, 311, 411), 제2 튜닝층(112, 212, 312, 412), 제1 섬유 강화 유전층(121, 221, 321), 도 421), 제2 섬유 강화 유전층(122(222)) 및 제3 섬유 강화 유전층(123(223, 323, 423))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된 대응하는 특성 중 임의의 것을 가질 수 있다.
이제 구체적으로 도 5a를 참조하여,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4 섬유 강화 유전층(524)의 제2 고-유전율 물질은 특정 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고-유전율 물질은 약 8 이하, 예를 들어 약 8.75 이하 또는 약 8.5 이하 또는 약 8.25 이하 또는 약 8.0 이하 또는 약 7.75 이하 또는 약 7.5 이하 또는 약 7.25 이하 또는 약 7.0 이하 또는 약 6.75 이하 또는 약 6.5 이하 또는 약 6.25 이하 또는 약 6.0 이하 또는 약 5.75 이하 또는 약 5.5 이하 또는 약 5.25 이하 또는 약 5.0 이하의 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고-유전율 물질은 약 2.5 이상, 예를 들어 약 2.75 이상 또는 약 3.0 이상 또는 약 3.25 이상 또는 약 3.5 이상 또는 약 3.75 이상 또는 약 4.0 이상 또는 약 4.25 이상 또는 약 4.5 이상 또는 심지어 약 4.75 이상의 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 제2 고-유전율 물질의 유전율은 위에서 언급된 최소값과 최대값 중 임의의 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제2 고-유전율 물질의 유전율은 위에서 언급된 최소값과 최대값 중 임의의 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음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4 섬유 강화 유전층(524)은 특정 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섬유 강화 유전층(524)은 유전율이 약 8 이하, 예를 들어 약 8.75 이하 또는 약 8.5 이하 또는 약 8.25 이하 또는 약 8.0 이하 또는 약 7.75 이하 또는 약 7.5 이하 또는 약 7.25 이하 또는 약 7.0 이하 또는 약 6.75 이하 또는 약 6.5 이하 또는 약 6.25 이하 또는 약 6.0 이하 또는 약 6.0 이하 5.75 또는 약 5.5 이하 또는 약 5.25 이하 또는 약 5.0 이하의 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4 섬유 강화 유전층(524)은 유전율이 약 2.5 이상, 예를 들어 약 2.75 이상 또는 약 3.0 이상 또는 약 3.25 이상 또는 약 3.5 이상 또는 약 3.75 이상 또는 약 4.0 이상 또는 약 4.25 이상 또는 약 4.5 이상 또는 심지어 약 4.75 이상일 수 있다. 제4 섬유 강화 유전층(524)은 위에서 언급된 최소값과 최대값 중 임의의 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제4 섬유 강화 유전층(524)은 위에서 언급된 최소값과 최대값 중 임의의 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4 섬유 강화 유전층(524)의 제2 고-유전율 물질은 중합체 매트릭스에 유리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4 섬유 강화 유전층(524)의 제2 고-유전율 물질은 폴리에스테르 매트릭스에 유리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4 섬유 강화 유전층(524)의 제2 고-유전율 물질은 수지 매트릭스에 유리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4 섬유 강화 유전층(524)의 제2 고-유전율 물질은 시아네이트 에스테르 매트릭스에 유리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4 섬유 강화 유전층(524)의 제2 고-유전율 물질은 중합체 매트릭스의 유리 섬유, 폴리에스테르 매트릭스의 유리 섬유, 수지 매트릭스의 유리 섬유, 및 시아네이트 에스테르 매트릭스의 유리 섬유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4 섬유 강화 유전층(524)은 중합체 매트릭스에 유리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4 섬유 강화 유전층(524)은 폴리에스테르 매트릭스에 유리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4 섬유 강화 유전층(524)은 수지 매트릭스에 유리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4 섬유 강화 유전층(524)은 시아네이트 에스테르 매트릭스에 유리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4 섬유 강화 유전층(524)은 중합체 매트릭스의 유리 섬유, 폴리에스테르 매트릭스의 유리 섬유, 수지 매트릭스의 유리 섬유, 및 시아네이트 에스테르 매트릭스의 유리 섬유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4 섬유 강화 유전층(524)은 특정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섬유 강화 유전층(524)은 적어도 약 0.10mm, 예를 들어 적어도 약 0.11mm 또는 적어도 약 0.12mm 또는 적어도 약 0.13mm 또는 적어도 약 0.14mm 또는 적어도 약 0.15mm 또는 적어도 약 0.2mm 또는 적어도 약 0.3mm 또는 적어도 약 0.4mm 또는 적어도 약 0.5mm 또는 적어도 약 1.0mm 또는 적어도 약 1.5mm 또는 심지어 적어도 약 2.0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4 섬유 강화 유전층(524)은 약 6.5mm 이하, 예를 들어 약 6.0mm 이하 또는 약 5.5mm 이하 또는 약 5.0mm 이하 또는 약 4.5 mm 이하 또는 심지어 약 4.0 mm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4 섬유 강화 유전층(524)의 두께는 위에서 언급된 최소값과 최대값 중 임의의 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제4 섬유 강화 유전층(524)의 두께는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5 섬유 강화 유전층(525)의 제3 저-유전율 물질은 특정 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저-유전율 물질은 약 3.5 이하, 예를 들어 약 3.45 이하 또는 약 3.4 이하 또는 약 3.35 이하 또는 약 3.3 이하 또는 약 3.25 이하 또는 약 3.2 이하 또는 약 3.15 이하 또는 약 3.1 이하 또는 약 3.05 이하 또는 심지어 약 3.0 이하의 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저-유전율 물질은 적어도 약 1.5, 예컨대 적어도 약 1.55 또는 적어도 약 1.6 또는 적어도 약 1.65 또는 적어도 약 1.7 또는 적어도 약 1.75 또는 약 1.8 이상 또는 약 1.85 이상 또는 약 1.9 이상 또는 약 1.95 이상 또는 심지어 약 2.0 이상의 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 제3 저-유전율 물질의 유전율은 위에서 언급된 최소값과 최대값 중 임의의 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제3 저-유전율 물질의 유전율은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5 섬유 강화 유전층(525)은 특정한 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 섬유 강화 유전층(525)은 약 3.5 이하, 예를 들어 약 3.45 이하 또는 약 3.4 이하 또는 약 3.35 이하 또는 약 3.3 이하 또는 약 3.3 이하 약 3.25 이하 또는 약 3.2 이하 또는 약 3.15 이하 또는 약 3.1 이하 또는 약 3.05 이하 또는 심지어 약 3.0 이하의 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5 섬유 강화 유전층(525)은 적어도 약 1.5, 예컨대 적어도 약 1.55 또는 적어도 약 1.6 또는 적어도 약 1.65 또는 적어도 약 1.7 또는 적어도 약 1.75 또는 적어도 약 1.8 또는 적어도 약 1.85 또는 적어도 약 1.9 또는 적어도 약 1.95 또는 심지어 적어도 약 2.0의 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 제5 섬유 강화 유전층(525)의 유전율은 위에서 언급된 최소값과 최대값 중 임의의 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제5 섬유 강화 유전층(525)의 유전율은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5 섬유 강화 유전층(525)의 제3 저-유전율 물질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폴리아미드(PA)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5 섬유 강화 유전층(525)의 제3 저-유전율 물질은 폴리에틸렌(PE) 섬유, 폴리프로필렌(PP) 섬유,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섬유, 폴리아미드(PA) 섬유,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5 섬유 강화 유전층(525)의 제3 저-유전율 물질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폴리아미드(PA), 폴리에틸렌(PE) 섬유, 폴리프로필렌(PP) 섬유,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섬유, 폴리아미드(PA) 섬유,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5 섬유 강화 유전층(525)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폴리아미드(PA)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5 섬유 강화 유전층(525)은 폴리에틸렌(PE) 섬유, 폴리프로필렌(PP) 섬유,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섬유, 폴리아미드(PA) 섬유,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5 섬유 강화 유전층(525)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폴리아미드(PA), 폴리에틸렌(PE) 섬유, 폴리프로필렌(PP) 섬유,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섬유, 폴리아미드(PA) 섬유,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5 섬유 강화 유전층(525)은 특정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 섬유 강화 유전층(525)은 적어도 약 0.10 mm, 예컨대 적어도 약 0.11 mm 또는 적어도 약 0.12 mm 또는 적어도 약 0.13 mm 또는 적어도 약 0.14 mm 또는 적어도 약 0.15 mm 또는 적어도 약 0.2mm 또는 적어도 약 0.3mm 또는 적어도 약 0.4mm 또는 적어도 약 0.5mm 또는 적어도 약 1.0mm 또는 적어도 약 1.5mm 또는 심지어 적어도 약 2.0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5 섬유 강화 유전층(525)은 약 6.5mm 이하, 예를 들어 약 6.0mm 이하 또는 약 5.5mm 이하 또는 약 5.0mm 이하 또는 약 5.0mm 이하 약 4.5 mm 이하 또는 심지어 약 4.0 mm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5 섬유 강화 유전층(525)의 두께는 위에서 언급된 최소값과 최대값 중 임의의 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제5 섬유 강화 유전층(525)의 두께는 위에서 언급된 최소값과 최대값 중 임의의 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도 5b는 레이돔 구조의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의 예시이다. 예시를 위해 그리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돔 구조(501)는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510) 및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510) 위에 놓이는 라미네이트 구성요소(5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510)는 제1 내부 튜닝층(511) 및 제2 내부 튜닝층(51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미네이트 구성요소(520)는 제1 섬유 강화 유전층(521), 제1 섬유 강화 유전층(521) 위에 놓인 제2 섬유 강화 유전층(522), 제2 섬유 강화 유전층(522) 위에 놓인 제3 섬유 강화 유전층(523), 제3 섬유 강화 유전층(523) 위에 놓인 제4 섬유 강화 유전층(524), 및 제4 섬유 강화 유전층(524) 위에 놓인 제5 섬유 강화 유전층(525)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섬유 강화 유전층(521)은 제1 저-유전율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섬유 강화 유전층(522)은 제1 고-유전율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섬유 강화 유전층(523)은 제2 저-유전율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4 섬유 강화 유전층(524)은 제2 고-유전율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5 섬유 강화 유전층(525)은 제3 저-유전율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이돔 구조(501)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돔 구조(501)를 참조하여 설명된 모든 구성요소는, 도 1a, 1b, 2a, 2b 및 5a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특히, 도 5b에 도시된 레이돔 구조(501),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510), 라미네이트 구성요소(520), 제1 내부 튜닝층(511), 제2 내부 튜닝층(512), 제1 섬유 강화 유전층(521), 제2 섬유 강화 유전층(522), 제3 섬유 강화 유전층(523), 제4 섬유 강화 유전층(524), 및 제5 섬유 강화 유전층(525)은 각각 도 1a, 1b, 2a, 2b 및/또는 5a에 도시된 레이돔 구조(100)(101, 200, 201, 300, 301, 400, 401, 500),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110)(210, 310, 410, 510), 라미네이트 구성요소(120, 220, 320, 420, 520), 제1 내부 튜닝층(111, 211, 311, 411, 511), 제2 튜닝층(112, 212, 312, 412), 제1 섬유 강화 유전층(121)(221, 321, 421, 521), 제2 섬유 강화 유전층(122)(222, 322, 422, 522), 제3 섬유 강화 유전층(123)(223, 323, 423, 523), 제4 섬유 강화 유전층(524), 및 제5 섬유 강화 유전층(525)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된 대응하는 특성 중 임의의 것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의 레이돔 구조(500) 및 도 5b의 레이돔 구조(501)는 라미네이트 구성요소(520) 위에 놓이는 보호층(도 5a 또는 5b에 도시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호층은 도 2a 및 2b에 도시된 보호층(230)을 참조하여 여기서 설명된 특성들 중 임의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의 레이돔 구조(500) 및 도 5b의 레이돔 구조(501)는 라미네이트 구성요소(520) 위에 놓이는 외부 튜닝층 구성요소(도 5a 또는 5b에 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외부 튜닝층 구성요소는 도 3a, 3b, 4a, 4b에 도시된 외부 튜닝층 구성요소(440)을 참조하여 여기서 설명된 특성들 중 임의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다른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레이돔 구조(즉, 레이돔 구조(100, 101, 200, 201, 300, 301, 400, 401, 500 또는 501))는 대안적으로, 섬유 강화 층들 중 임의의 2개 사이에 위치한 중간 튜닝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임의의 레이돔 구조(즉, 레이돔 구조(100, 101, 200, 201, 300, 301, 400, 401, 500 또는 501))는 대안적으로 레이돔 구조의 섬유 강화 층 각각 사이에 위치한 중간 튜닝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돔 구조의 중간 튜닝층은 고분자 수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돔 구조의 중간 튜닝층은 신택틱 발포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돔 구조의 중간 튜닝층은 특정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돔 구조의 중간 튜닝층은 적어도 약 300kg/㎥, 예를 들어, 적어도 약 310kg/㎥ 또는 적어도 약 320kg/㎥ 또는 적어도 약 330kg/㎥ 또는 적어도 약 340kg/㎥ 또는 적어도 약 350kg/㎥ 또는 적어도 약 360kg/㎥ 또는 적어도 약 370kg/㎥ 또는 적어도 약 380kg/㎥ 또는 적어도 약 390kg/㎥ 또는 적어도 적어도 약 400 kg/㎥ 또는 적어도 약 410 kg/㎥ 또는 적어도 약 420 kg/㎥ 또는 적어도 약 430 kg/㎥ 또는 적어도 약 440 kg/㎥ 또는 적어도 약 450 kg/㎥ 또는 적어도 약 460 kg/㎥ 또는 적어도 약 470 kg/㎥ 또는 적어도 약 480 kg/㎥ 또는 적어도 약 490 kg/㎥ 또는 심지어 적어도 약 500 kg/㎥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돔 구조의 중간 튜닝층은 약 1000kg/㎥ 이하, 예를 들어, 약 990kg/㎥ 이하 또는 약 980kg/㎥ 이하 또는 약 970 kg/㎥ 이하 또는 약 960 kg/㎥ 이하 또는 약 950 kg/㎥ 이하 또는 약 940 kg/㎥ 이하 또는 약 930 kg/㎥ 이하 또는 약 920 kg 이하 /㎥ 또는 약 910kg/㎥ 이하 또는 약 900kg/㎥ 이하 또는 약 890kg/㎥ 이하 또는 약 880kg/㎥ 이하 또는 약 870kg/㎥ 이하 또는 이하 약 860 kg/㎥ 이하 또는 약 850 kg/㎥ 이하 또는 약 840 kg/㎥ 이하 또는 약 830 kg/㎥ 이하 또는 약 820 kg/㎥ 이하 또는 약 810 kg/㎥ 이하 ㎥ 또는 심지어 약 800kg/㎥ 이하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레이돔 구조에서 중간 튜닝층의 밀도는 위에서 언급된 최소값과 최대값 중 임의의 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레이돔 구조의 중간 튜닝층은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음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돔 구조의 중간 튜닝층은 특정 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돔 구조의 중간 튜닝층은 적어도 약 1.00, 예컨대 적어도 약 1.05 또는 적어도 약 1.10 또는 적어도 약 1.15 또는 적어도 약 1.20 또는 적어도 약 1.25 또는 약 1.30 이상 또는 약 1.35 이상 또는 약 1.40 이상 또는 약 1.45 이상 또는 약 1.50 이상 또는 약 1.55 이상 또는 약 1.6 이상 또는 약 1.65 이상 또는 약 1.7 이상 또는 약 1.75 이상 또는 약 1.8 이상 또는 약 1.85 이상 또는 약 1.9 이상 또는 약 1.95 이상 또는 약 2.0 이상 또는 약 2.05 이상 또는 약 2.1 이상 또는 약 2.15 이상 또는 심지어 약 2.2 이상의 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돔 구조의 중간 튜닝층은 약 3.0 이하 또는 약 2.95 이하 또는 약 2.9 이하 또는 약 2.85 이하 또는 약 2.80 이하 또는 약 2.75 이하 또는 약 2.7 이하 또는 약 2.65 이하 또는 약 2.6 이하 또는 약 2.55 이하 또는 심지어 약 2.5 이하의 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 레이돔 구조에서 중간 튜닝층의 유전율은 위에서 언급된 최소값과 최대값 중 임의의 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레이돔 구조에서 중간 튜닝층의 유전율은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돔 구조의 중간 튜닝층은 특정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돔 구조의 중간 튜닝층은 적어도 약 0.1mm, 예를 들어, 적어도 약 0.3mm 또는 적어도 약 0.5mm 또는 적어도 약 0.7mm 또는 적어도 약 1.0mm 또는 적어도 약 1.3 mm 이상 또는 약 1.5 mm 이상 또는 약 1.7 mm 이상 또는 약 2.0 mm 이상 또는 약 2.5 mm 이상 또는 약 3.0 mm 이상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돔 구조의 중간 튜닝층은 약 6.5mm 이하, 예를 들어, 약 6.25mm 이하 또는 약 6.0mm 이하 또는 약 5.75mm 이하 또는 약 5.5mm 이하 또는 약 5.25mm 이하 또는 약 5.0mm 이하 또는 약 4.75mm 이하 또는 약 4.5mm 이하 또는 약 4.25mm 이하 또는 약 4.0mm 이하 또는 이하 약 3.75 mm 이하 또는 심지어 약 3.5 mm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레이돔 구조에서 중간 튜닝층의 두께는 위에서 언급된 최소값과 최대값 중 임의의 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레이돔 구조의 중간 튜닝층은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음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따라 형성된 구조를 갖는 레이돔은 비교 레이돔 구조에 비교하여 K- 및 Ka-대역에 걸친 주파수 범위 내에서 공편파(co-polarization)에서 0.5dB 이상만큼 레이돔의 성능을 개선하는 것으로 시뮬레이션되고 도시되었음을 인식할 것이다. 또한, 여기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라 형성된 구조를 갖는 레이돔은 비교 레이돔 구조와 비교하여 K- 및 Ka-대역에 걸친 주파수 범위 내에서 교차 편파(cross-polarization)에서 10dB 이상만큼 레이돔의 성능을 개선하는 것으로 시뮬레이션되고 보여졌다.
많은 상이한 양태 및 실시예가 가능하다. 이러한 측면 및 실시예 중 일부가 여기에 설명되어 있다. 본 명세서를 읽은 후, 숙련된 기술자는 그러한 양태 및 실시예가 단지 예시적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실시예는 아래에 열거된 실시예 중 임의의 하나 이상에 따를 수 있다.
실시예 1. 레이돔 구조는 약 300kg/㎥ 이상 및 약 1000kg/㎥ 이하{실제 600kg/㎥}의 밀도 및 약 1.05 이상 약 3 이하의 유전율을 갖는 열경화성 발포체 또는 약 300 kg/㎥ 이하의 밀도 및 약 1.5 이하의 유전율을 갖는 열가소성 발포체를 포함하는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와, 상기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 위에 놓이는 라미네이트 구성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라미네이트 구성요소는 제1 저-유전율 물질을 포함하는 제1 섬유 강화 유전층; 제1 고-유전율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섬유 강화 유전층 위에 놓이는 제2 섬유 강화 유전층; 및 제2 저-유전율 물질을 포함하고 제2 섬유 강화 유전층 위에 놓이는 제3 섬유 강화 유전층을 포함한다.
실시예 2. 레이돔 구조는 신택틱 발포체, 폴리염화비닐(PVC), 플라스틱 폐쇄 셀 발포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 및 상기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 위에 놓이는 라미네이트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라미네이트 구성요소는: 제1 저-유전율 물질을 포함하는 제1 섬유 강화 유전층; 제1 고-유전율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섬유 강화 유전층 위에 놓이는 제2 섬유 강화 유전층; 및 제2 저-유전율 물질을 포함하고 제2 섬유 강화 유전층 위에 놓이는 제3 섬유 강화 유전층을 포함한다.
실시예 3. 실시예 1 및 2 중 어느 하나의 레이돔 구조로서,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는 신택틱 발포체, 폴리염화비닐(PVC), 플라스틱 폐쇄 셀 발포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실시예 4. 실시예 1 및 2 중 어느 하나의 레이돔 구조로서,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는 적어도 약 0.1mm의 두께를 갖는다.
실시예 5. 실시예 1 및 2 중 어느 하나의 레이돔 구조로서,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는 약 12.5mm 이하의 두께를 갖는다.
실시예 6. 실시예 1 및 2 중 어느 하나의 레이돔 구조로서,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는 단일 튜닝층이다.
실시예 7. 실시예 6의 레이돔 구조로서,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의 단일 튜닝층이 신택틱 발포체, 폴리염화비닐(PVC), 플라스틱 폐쇄 셀 발포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실시예 8. 실시예 6의 레이돔 구조로서, 단일 튜닝층은 적어도 약 0.1mm의 두께를 갖는다.
실시예 9. 실시예 6의 레이돔 구조로서, 단일 튜닝층은 약 6.25mm 이하의 두께를 갖는다.
실시예 10. 실시예 1 및 2 중 어느 하나의 레이돔 구조로서,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는 제1 내부 튜닝층 및 제2 내부 튜닝층을 포함하며, 제2 내부 튜닝층은 제1 내부 튜닝층과 라미네이트 구성요소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내부 튜닝층의 유전율은 상기 제2 내부 튜닝층의 유전율보다 작다.
실시예 11. 실시예 10의 레이돔 구조로서,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의 제1 내부 튜닝층이 신택틱 발포체, 폴리염화비닐(PVC), 플라스틱 폐쇄 셀 발포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실시예 12. 실시예 10의 레이돔 구조로서,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의 제2 내부 튜닝층이 신택틱 발포체, 폴리염화비닐(PVC), 플라스틱 폐쇄 셀 발포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실시예 13. 실시예 10의 레이돔 구조로서, 제1 내부 튜닝층은 적어도 약 0.1 mm의 두께를 갖는다.
실시예 14. 실시예 10의 레이돔 구조로서, 제1 내부 튜닝층은 약 6.25mm 이하의 두께를 갖는다.
실시예 15. 실시예 10의 레이돔 구조로서, 제2 내부 튜닝층은 적어도 약 0.1 mm의 두께를 갖는다.
실시예 16. 실시예 10의 레이돔 구조로서, 제2 내부 튜닝층은 약 6.25mm 이하의 두께를 갖는다.
실시예 17. 실시예 1 및 2 중 어느 하나의 레이돔 구조로서, 제1 저-유전율 물질은 약 3.5 이하의 유전율을 갖는다.
실시예 18. 실시예 1 및 2 중 어느 하나의 레이돔 구조로서, 제1 저-유전율 물질은 적어도 약 1.5의 유전율을 갖는다.
실시예 19. 실시예 1 및 2 중 어느 하나의 레이돔 구조로서, 제1 저-유전율물질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폴리아미드(PA), 폴리에틸렌(PE) 섬유, 폴리프로필렌(PP) 섬유,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섬유, 폴리아미드(PA) 섬유,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실시예 20. 실시예 1 및 2 중 어느 하나의 레이돔 구조로서, 상기 제1 고-유전율 물질은 약 8 이하의 유전율을 갖는다.
실시예 21. 실시예 1 및 2 중 어느 하나의 레이돔 구조로서, 제1 고-유전율 물질은 적어도 약 2.5의 유전율을 갖는다.
실시예 22. 실시예 1 및 2 중 어느 하나의 레이돔 구조로서, 여기서 제1 고-유전율 물질은 중합체 매트릭스 내 유리 섬유, 폴리에스테르 매트릭스 내 유리 섬유, 수지 매트릭스 내 유리 섬유, 시아네이트 에스테르 매트릭스 내 유리 섬유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실시예 23. 실시예 1 및 2 중 어느 하나의 레이돔 구조로서, 제2 저-유전율 물질은 약 3.5 이하의 유전율을 갖는다.
실시예 24. 실시예 1 및 2 중 어느 하나의 레이돔 구조로서, 제2 저-유전율 물질은 적어도 약 1.5의 유전율을 갖는다.
실시예 25. 실시예 1 및 2 중 어느 하나의 레이돔 구조로서, 제2 저-유전율 물질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폴리아미드(PA), 폴리에틸렌(PE) 섬유,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한다. (PP) 섬유,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섬유, 폴리아미드(PA) 섬유,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실시예 26. 실시예 1 및 2 중 어느 하나의 레이돔 구조로서, 상기 제1 섬유 강화 유전층은 약 3.5 이하의 유전율을 갖는다.
실시예 27. 실시예 1 및 2 중 어느 하나의 레이돔 구조로서, 제1 섬유 강화 유전층은 적어도 약 1.5의 유전율을 갖는다.
실시예 28. 실시예 1 및 2 중 어느 하나의 레이돔 구조로서, 제1 섬유 강화 유전층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폴리아미드(PA), 폴리에틸렌(PE) 섬유, 폴리프로필렌(PP) 섬유,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섬유, 폴리아미드(PA) 섬유,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실시예 29. 실시예 1 및 2 중 어느 하나의 레이돔 구조로서, 제2 섬유 강화 유전층이 약 8 이하의 유전율을 갖는다.
실시예 30. 실시예 1 및 2 중 어느 하나의 레이돔 구조로서, 상기 제2 섬유 강화 유전층은 적어도 약 2.5의 유전율을 갖는다.
실시예 31. 실시예 1 및 2 중 어느 하나의 레이돔 구조로서, 상기 제2 섬유 강화 유전층은 중합체 매트릭스 내의 유리 섬유, 폴리에스테르 매트릭스 내의 유리 섬유, 수지 매트릭스 내의 유리 섬유, 시아네이트 에스테르 내의 유리 섬유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실시예 32. 실시예 1 및 2 중 어느 하나의 레이돔 구조로서, 제3 섬유 강화 유전층은 약 3.5 이하의 유전율을 갖는다.
실시예 33. 실시예 1 및 2 중 어느 하나의 레이돔 구조로서, 제3 섬유 강화 유전층이 적어도 약 1.5의 유전율을 갖는다.
실시예 34. 실시예 1 및 2 중 어느 하나의 레이돔 구조로서, 제3 섬유 강화 유전층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폴리아미드(PA), 폴리에틸렌(PE) 섬유, 폴리프로필렌(PP) 섬유,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섬유, 폴리아미드(PA) 섬유,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실시예 35. 실시예 1 및 2 중 어느 하나의 레이돔 구조로서, 라미네이트 구성요소는: 제2 고-유전율 물질을 포함하고 제3 섬유 강화 유전층 위에 놓이는 제4 섬유 강화 유전층; 및 제3 저-유전율 물질을 포함하고 제4 섬유 강화 유전층 위에 놓이는 제5 섬유 강화 유전층을 포함한다.
실시예 36. 실시예 35의 레이돔 구조로서, 제2 고-유전율 물질은 약 8 이하의 유전율을 갖는다.
실시예 37. 실시예 35의 레이돔 구조로서, 제2 고-유전율 물질은 적어도 약 2.5의 유전율을 갖는다.
실시예 38. 실시예 35의 레이돔 구조로서, 제2 고-유전율 물질은 중합체 매트릭스 내의 유리 섬유, 폴리에스테르 매트릭스 내의 유리 섬유, 수지 매트릭스 내의 유리 섬유, 시아네이트 에스테르 매트릭스 내의 유리 섬유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실시예 39. 실시예 35의 레이돔 구조에서, 제3 저-유전율 물질은 약 3.5 이하의 유전율을 갖는다.
실시예 40. 실시예 35의 레이돔 구조로서, 제3 저-유전율 물질은 적어도 약 1.5의 유전율을 갖는다.
실시예 41. 실시예 35의 레이돔 구조로서,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폴리아미드(PA), 폴리에틸렌(PE) 섬유, 폴리프로필렌(PP) 섬유,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섬유, 폴리아미드(PA) 섬유,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실시예 42. 실시예 35의 레이돔 구조에서, 제4 섬유 강화 유전층은 약 8 이하의 유전율을 갖는다.
실시예 43. 실시예 35의 레이돔 구조에서, 제4 섬유 강화 유전층이 적어도 약 2.5의 유전율을 갖는다.
실시예 44. 실시예 35의 레이돔 구조로서, 제4 섬유 강화 유전층이 중합체 매트릭스 내의 유리 섬유, 폴리에스테르 매트릭스 내의 유리 섬유, 수지 매트릭스 내의 유리 섬유, 시아네이트 에스테르 매트릭스 내의 유리 섬유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실시예 45. 실시예 35의 레이돔 구조에서, 제5 섬유 강화 유전층이 약 3.5 이하의 유전율을 갖는다.
실시예 46. 실시예 35의 레이돔 구조로서, 제5 섬유 강화 유전층이 적어도 약 1.5의 유전율을 갖는다.
실시예 47. 실시예 35의 레이돔 구조로서,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폴리아미드(PA), 폴리에틸렌(PE) 섬유, 폴리프로필렌(PP) 섬유,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섬유, 폴리아미드(PA) 섬유,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실시예 48. 실시예 1 및 2 중 어느 하나의 레이돔 구조로서, 상기 레이돔 구조는 상기 라미네이트 구성요소 위에 놓이는 보호층을 더 포함한다.
실시예 49. 실시예 1 및 2 중 어느 하나의 레이돔 구조로서, 상기 레이돔 구조는 상기 라미네이트 구성요소 위에 놓이는 외부 튜닝층 구성요소를 더 포함한다.
실시예 50. 실시예 49의 레이돔 구조로서, 외부 튜닝층 구성요소는 신택틱 발포체, 폴리염화비닐(PVC), 플라스틱 폐쇄 셀 발포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실시예 51. 실시예 49의 레이돔 구조로서, 외부 튜닝층 구성요소는 적어도 약 0.1 mm의 두께를 갖는다.
실시예 52. 실시예 49의 레이돔 구조로서, 외부 튜닝층 구성요소는 약 12.5mm 이하의 두께를 갖는다.
실시예 53. 실시예 49의 레이돔 구조로서, 외부 튜닝층 구성요소는 단일 튜닝층이다.
실시예 54. 실시예 53의 레이돔 구조로서, 외부 튜닝층 구성요소의 단일 튜닝층이 신택틱 발포체, 폴리염화비닐(PVC), 플라스틱 폐쇄 셀 발포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실시예 55. 실시예 53의 레이돔 구조로서, 단일 튜닝층은 적어도 약 0.1 mm의 두께를 갖는다.
실시예 56. 실시예 53의 레이돔 구조로서, 단일 튜닝층은 약 6.25mm 이하의 두께를 갖는다.
실시예 57. 실시예 49의 레이돔 구조로서, 외부 튜닝층 구성요소는 제1 외부 튜닝층 및 제2 외부 튜닝층을 포함하고, 제1 외부 튜닝층은 제2 외부 튜닝층과 라미네이트 구성요소 사이에 위치되고, 여기서 제1 외부 튜닝층의 유전율은 제2 외부 튜닝층의 유전율보다 작다.
실시예 58. 실시예 57의 레이돔 구조로서, 외부 튜닝층 구성요소의 제1 외부 튜닝층은 신택틱 발포체, 폴리염화비닐(PVC), 플라스틱 폐쇄 셀 발포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실시예 59. 실시예 57의 레이돔 구조로서, 외부 튜닝층 구성요소의 제2 외부 튜닝층이 신택틱 발포체, 폴리염화비닐(PVC), 플라스틱 폐쇄 셀 발포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실시예 60. 실시예 57의 레이돔 구조로서, 제1 외부 튜닝층은 적어도 약 0.1mm의 두께를 갖는다.
실시예 61. 실시예 57의 레이돔 구조로서, 제1 외부 튜닝층은 약 6.25mm 이하의 두께를 갖는다.
실시예 62. 실시예 57의 레이돔 구조로서, 제2 외부 튜닝층은 적어도 약 0.1mm의 두께를 갖는다.
실시예 63. 실시예 57의 레이돔 구조로서, 제2 외부 튜닝층은 약 6.25mm 이하의 두께를 갖는다.
실시예 64. 실시예 49의 레이돔 구조로서, 상기 레이돔 구조는 상기 라미네이트 구성요소 위에 놓이는 보호층을 더 포함한다.
실시예 65. 이전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의 레이돔 구조로서, 상기 레이돔 구조는 적어도 약 5mm의 두께를 포함한다.
실시예 66. 이전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의 레이돔 구조로서, 상기 레이돔 구조는 적어도 약 20mm의 두께를 포함한다.
일반적인 설명이나 예에서 위에 설명된 모든 활동이 필요한 것은 아니며, 특정 활동의 일부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으며, 설명된 활동 외에 하나 이상의 추가 활동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활동이 나열되는 순서가 반드시 수행되는 순서는 아니다.
이점, 다른 장점, 및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점, 장점, 문제에 대한 솔루션 및 이점, 잠점 또는 솔루션을 발생시키거나 더욱 두드러지게 할 수 있는 모든 특징이 임의의 청구항에의 핵심적, 필수적, 또는 실질적 특징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의 명세서 및 예시는 다양한 실시예의 구조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명세서 및 예시는 여기에 설명된 구조 또는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및 시스템의 모든 요소 및 특징에 대한 철저하고 포괄적인 설명으로 제공되지 않는다. 별개의 실시예는 또한 단일 실시예에서 조합되어 제공될 수 있고, 역으로 간결함을 위해 단일 실시예의 맥락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이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하위 조합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범위에 명시된 값에 대한 참조에는 해당 범위 내의 모든 값이 포함된다. 많은 다른 실시예는 본 명세서를 읽은 후에만 숙련된 기술자에게 명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구조적 대체, 논리적 대체, 또는 다른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른 실시예가 사용 및 본 발명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는 제한적이기보다는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Claims (15)

  1. 레이돔 구조에 있어서,
    300kg/㎥ 이상, 1000kg/㎥ 이하{실제 600kg/㎥}의 밀도 및 1.05 이상, 3 이하의 유전율(dielectric constant)을 가진 열경화성 발포체 또는 300kg/㎥ 이하의 밀도 및 1.5 이하의 유전율을 가진 열가소성 발포체를 포함하는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 및
    상기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 위에 놓이는 라미네이트 구성요소를 포함하되, 상기 라미네이트 구성요소는:
    제1 저-유전율 물질을 포함하는 제1 섬유 강화 유전층;
    제1 고-유전율 물질을 포함하고 제1 섬유 강화 유전층 위에 놓이는 제2 섬유 강화 유전층; 및
    제2 저-유전율 물질을 포함하고 제2 섬유 강화 유전층 위에 놓이는 제3 섬유 강화 유전층을 포함하고,
    제1 섬유 강화 유전층의 제1 저-유전율 물질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폴리아미드(PA)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고,
    제2 섬유 강화 유전층의 제1 고-유전율 물질은 중합체 매트릭스 중의 유리 섬유로부터 선택되고,
    제3 섬유 강화 유전층의 제2 저-유전율 물질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폴리아미드(PA)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레이돔 구조.
  2. 레이돔 구조에 있어서,
    신택틱 발포체, 플라스틱 폐쇄 셀 발포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 및
    상기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 위에 놓이는 라미네이트 구성요소를 포함하되, 상기 라미네이트 구성요소는:
    제1 저-유전율 물질을 포함하는 제1 섬유 강화 유전층;
    제1 고-유전율 물질을 포함하고 제1 섬유 강화 유전층 위에 놓이는 제2 섬유 강화 유전층; 및
    제2 저-유전율 물질을 포함하고 제2 섬유 강화 유전층 위에 놓이는 제3 섬유 강화 유전층을 포함하고,
    제1 섬유 강화 유전층의 제1 저-유전율 물질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폴리아미드(PA)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고,
    제2 섬유 강화 유전층의 제1 고-유전율 물질은 중합체 매트릭스 중의 유리 섬유로부터 선택되고,
    제3 섬유 강화 유전층의 제2 저-유전율 물질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폴리아미드(PA)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레이돔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는 신택틱 발포체, 플라스틱 폐쇄 셀 발포체, 폴리메타크릴이미드(PMI),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테르이미드(PEI), 폴리염화비닐(PVC),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스티로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레이돔 구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는 단일 튜닝층인, 레이돔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의 단일 튜닝층은 신택틱 발포체, 플라스틱 폐쇄 셀 발포체, 폴리메타크릴이미드(PMI),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테르이미드(PEI), 폴리염화비닐(PVC),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스티로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레이돔 구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는 제1 내부 튜닝층 및 제2 내부 튜닝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내부 튜닝층은 상기 제1 내부 튜닝층과 상기 라미네이트 구성요소 사이에 위치하며, 제1 내부 튜닝층의 유전율은 제2 내부 튜닝층의 유전율보다 작은, 레이돔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의 제1 내부 튜닝층은 신택틱 발포체, 플라스틱 폐쇄 셀 발포체, 폴리메타크릴이미드(PMI),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테르이미드(PEI), 폴리염화비닐(PVC),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스티로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레이돔 구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튜닝층 구성요소의 제2 내부 튜닝층은 신택틱 발포체, 플라스틱 폐쇄 셀 발포체, 폴리메타크릴이미드(PMI),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테르이미드(PEI), 폴리염화비닐(PVC),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스티로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레이돔 구조.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트 구성요소는:
    제2 고-유전율 물질을 포함하고 제3 섬유 강화 유전층 위에 놓이는 제4 섬유 강화 유전층; 및
    제3 저-유전율 물질을 포함하고 제4 섬유 강화 유전층 위에 놓이는 제5 섬유 강화 유전층을 더 포함하는, 레이돔 구조.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돔 구조는 상기 라미네이트 구성요소 위에 놓이는 보호층을 더 포함하는, 레이돔 구조.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돔 구조는 상기 라미네이트 구성요소 위에 놓이는 외부 튜닝층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는, 레이돔 구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튜닝층 구성요소는 신택틱 발포체, 플라스틱 폐쇄 셀 발포체, 폴리메타크릴이미드(PMI),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테르이미드(PEI), 폴리염화비닐(PVC),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스티로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레이돔 구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튜닝층 구성요소는 단일 튜닝층인, 레이돔 구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튜닝층 구성요소는 제1 외부 튜닝층 및 제2 외부 튜닝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외부 튜닝층은 상기 제2 외부 튜닝층과 상기 라미네이트 구성요소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외부 튜닝층의 유전율은 제2 외부 튜닝층의 유전율보다 작은, 레이돔 구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튜닝층 구성요소의 제1 외부 튜닝층은 신택틱 발포체, 플라스틱 폐쇄 셀 발포체, 폴리메타크릴이미드(PMI),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테르이미드(PEI), 폴리염화비닐(PVC),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스티로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레이돔 구조.
KR1020217023627A 2018-12-27 2019-12-12 광대역 레이돔 설계 KR1025768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785480P 2018-12-27 2018-12-27
US62/785,480 2018-12-27
PCT/US2019/065947 WO2020139569A1 (en) 2018-12-27 2019-12-12 Wideband radome desig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9002A KR20210109002A (ko) 2021-09-03
KR102576899B1 true KR102576899B1 (ko) 2023-09-12

Family

ID=71123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3627A KR102576899B1 (ko) 2018-12-27 2019-12-12 광대역 레이돔 설계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984655B2 (ko)
EP (1) EP3903382A4 (ko)
JP (1) JP7233544B2 (ko)
KR (1) KR102576899B1 (ko)
CN (1) CN113287229A (ko)
BR (1) BR112021012587A2 (ko)
CA (1) CA3125118A1 (ko)
IL (1) IL284373B2 (ko)
WO (1) WO20201395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2360B1 (ko) * 2018-12-28 2023-05-16 생-고뱅 퍼포먼스 플라스틱스 코포레이션 연속 유전율 적응 레이돔 설계
US11355836B2 (en) * 2019-01-18 2022-06-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mbined antenna and radome arrangement
WO2022132297A1 (en) * 2020-12-14 2022-06-23 Laird Technologies, Inc. Low dielectric, low loss radomes and materials for low dielectric, low loss radomes
CN111786102A (zh) 2019-04-03 2020-10-16 莱尔德电子材料(深圳)有限公司 低介电、低损耗天线罩
US11621484B1 (en) * 2019-11-21 2023-04-04 General Atomics Aeronautical Systems, Inc. Broadband radome structure
US11056779B2 (en) * 2019-11-26 2021-07-06 CPI Radant Technologies Divisions Inc. Syntactic foam radome structure
KR20210077033A (ko) * 2019-12-16 2021-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레이더의 전자기파 투과모듈
CA3165859A1 (en) * 2019-12-30 2021-07-08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oration Radome design
CN112290209B (zh) * 2020-09-04 2024-04-12 上海府大科技有限公司 一种c波段超表面频选天线罩及其制造工艺
CN112980092A (zh) * 2021-02-24 2021-06-18 天津泽希新材料有限公司 一种5g天线罩复合材料及其制作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21236A1 (en) * 2012-05-29 2013-12-05 Fredric Paul Ziolkowski Lightweight, multiband, high angle sandwich radome structure for millimeter wave frequencie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83741A (en) * 1977-12-16 1979-07-0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Broad-band antenna radome
US5017939A (en) * 1989-09-26 1991-05-21 Hughes Aircraft Company Two layer matching dielectrics for radomes and lenses for wide angles of incidence
US5408244A (en) 1991-01-14 1995-04-18 Norton Company Radome wall design having broadband and mm-wave characteristics
RU3660U1 (ru) 1994-09-20 1997-02-16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Централь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специального машиностроения" Обтекатель
US5707723A (en) 1996-02-16 1998-01-13 Mcdonnell Douglas Technologies, Inc. Multilayer radome structure and its fabrication
US7420523B1 (en) * 2005-09-14 2008-09-02 Radant Technologies, Inc. B-sandwich radome fabrication
US8917220B2 (en) 2011-06-30 2014-12-23 CPI Radant Technologies, Division Inc. Multi-band, broadband, high angle sandwich radome structure
CN102593604B (zh) * 2012-02-29 2014-06-04 深圳光启创新技术有限公司 新型轻质超材料及天线罩
EP2747202A1 (de) * 2012-12-18 2014-06-25 EADS Deutschland GmbH Wandung eines Radoms
US10153546B2 (en) * 2013-07-02 2018-12-11 Dsm Ip Assets B.V. Composite antiballistic radome wall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9537207B2 (en) * 2014-12-11 2017-01-03 Thales, Inc. Antenna assembly with a multi-band radome and associated methods
RU160053U1 (ru) 2015-04-29 2016-02-27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Балтий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ВОЕНМЕХ" им. Д.Ф. Устинова (БГТУ "ВОЕНМЕХ") Обтекатель антенны гидроакустической станции
RU161080U1 (ru) 2015-04-29 2016-04-1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Балтий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ВОЕНМЕХ" им. Д.Ф. Устинова (БГТУ "ВОЕНМЕХ") Радиопрозрачный обтекатель с градиентным заполнителем
KR20180094899A (ko) * 2015-12-18 2018-08-24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다층 중합체 시트를 가진 레이돔 벽
WO2018005392A1 (en) 2016-06-27 2018-01-04 Atc Materials Inc. Low loss tri-band protective armor radome
CN106853707B (zh) * 2016-12-22 2018-12-18 长沙晶优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可应用于雷达罩或卫星天线罩的多层泡沫夹芯的透波构件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21236A1 (en) * 2012-05-29 2013-12-05 Fredric Paul Ziolkowski Lightweight, multiband, high angle sandwich radome structure for millimeter wave frequenc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287229A (zh) 2021-08-20
EP3903382A4 (en) 2022-09-21
IL284373A (en) 2021-08-31
JP2022515525A (ja) 2022-02-18
CA3125118A1 (en) 2020-07-02
IL284373B2 (en) 2024-05-01
US20200212556A1 (en) 2020-07-02
BR112021012587A2 (pt) 2021-09-08
WO2020139569A1 (en) 2020-07-02
EP3903382A1 (en) 2021-11-03
IL284373B1 (en) 2024-01-01
US11984655B2 (en) 2024-05-14
JP7233544B2 (ja) 2023-03-06
KR20210109002A (ko) 2021-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6899B1 (ko) 광대역 레이돔 설계
Zhao et al. 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antenna system with self‐isolated antenna element for fifth‐generation mobile terminals
US9099782B2 (en) Lightweight, multiband, high angle sandwich radome structure for millimeter wave frequencies
TWI663905B (zh) 積層體及一體成形品
US11848491B2 (en) Low dielectric, low loss radomes
US20170244161A1 (en) Array antenna device
Ahmed et al. Comments on “an ultrawideband ultrathin metamaterial absorber based on circular split rings”
TW201618661A (zh) 積層體及一體成形品
KR101259568B1 (ko) 통신용 지능구조물
US11380984B2 (en) Radome design
US11476568B2 (en) Radome with aperture and method making same
RU2804431C1 (ru) Конструкция обтекателя
RU2776186C1 (ru) Конструкция широкополосного обтекателя
US20230327332A1 (en) Low Dielectric, Low Loss Radomes And Materials For Low Dielectric, Low Loss Radomes
US11056779B2 (en) Syntactic foam radome structure
Kim Design of Dual Band Antenna for Broadband Wireless LAN
Gray et al. Wideband Performance of Discretized Sochacki Lenses
Guterman et al. Omnidirectional wrapped microstrip antennas for MIMO linear arrangements in laptops
Ramanamurthy et al. DESIGN OF HIGH PRESSURE RADOME WITH UWB FREQUENCY COVERAGE FOR SUBMARINE COMMUNICATIONS
Kashin Features of mm-wave antenna radom desig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