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6729B1 - 인공항문 보호판 재단장치 - Google Patents

인공항문 보호판 재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6729B1
KR102576729B1 KR1020160124869A KR20160124869A KR102576729B1 KR 102576729 B1 KR102576729 B1 KR 102576729B1 KR 1020160124869 A KR1020160124869 A KR 1020160124869A KR 20160124869 A KR20160124869 A KR 20160124869A KR 102576729 B1 KR102576729 B1 KR 102576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on plate
cylinder
colostomy
cutting
cylind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4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4680A (ko
Inventor
조재영
Original Assignee
조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재영 filed Critical 조재영
Priority to PCT/KR2017/000378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7123007A1/ko
Priority to US16/069,295 priority patent/US10849646B2/en
Publication of KR20170084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4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6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6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5Excision instruments
    • A61B17/32053Punch like cutting instruments, e.g. using a cylindrical or oval knif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5Colostomy, ileostomy or urethrostom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5Colostomy, ileostomy or urethrostomy devices
    • A61F5/448Means for attaching bag to seal 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2Hand-held perforating or punching apparatus, e.g. aw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3846Cutting-out; Stamping-out cutting out disc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9Incision instruments
    • A61B17/32093Incision instruments for skin inci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2017/320052Guides for cutting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Nursing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항문 보호판 재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인공항문의 크기에 맞게 설치되는 보호판에 관통공을 재단하는 인공항문 보호판 재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인공항문 보호판(10)을 관통하는 결합로드(110)가 설치되며 인공항문 보호판(10)을 지지하는 지지면(135)이 형성되는 보호판지지부(130)와; 상기 결합로드(110)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결합로드(110)와 나사결합되는 가이드로드(500)와; 상기 가이드로드(50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미리 설정된 직경으로 상기 인공항문 보호판(10)을 절단하는 칼날부(212)를 가지는 절단부(210)와; 상기 가이드로드(500)에 결합되어 상기 칼날부(212)가 상기 보호판(10)을 천공하도록 상기 절단부(210)를 하측으로 가압하여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가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항문 보호판 재단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인공항문 보호판 재단장치{Apparatus for punching artificial anus protection plate}
본 발명은 인공항문 보호판 재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인공항문의 크기에 맞게 보호판을 펀칭하는 인공항문 보호판 재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장루(腸瘻)라 함은, 대변 또는 소변의 장애가 발생한 경우 수술을 통해 대변 또는 소변을 체외로 배설하기 위해 복부에 만든 구멍으로 인공항문의 역할을 수행한다.
대변 또는 소변 배설을 위한 장루 수술을 받은 환자의 경우 복부에 형성된 장루로부터 배설되는 배설물을 배변주머니 등의 수용수단을 이용하여 수집한 후 폐기하게 되는데 이러한 장루 환자들의 편의를 위하여 장루 환자의 대소변의 수집 및 처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다양한 장루용 보조기구들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장루용 보조기구들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변주머니(20)를 피부에 고정하는 별도의 고정구, 즉 인공항문 보호판(10)을 장루에 부착하고, 부착된 인공항문 보호판(10)에 배변주머니(20)와 같은 장루용 보조기구를 결합시킨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피부 접착식의 장루용 보조기구를 장시간 착용할 경우 배설물의 누설이 발생하거나, 인공항문 보호판(10)이 피부로부터 박리 되거나, 피부를 자극하여 피부에 염증 또는 괴사 등 외상을 입힐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피부에 접착되는 인공항문 보호판(10)을 자주 교체해 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장루의 크기 및 형상위치가 천차만별인바, 환자의 장루의 크기 및 위치에 맞춰 인공항문 보호판에 대하여 관통공을 재단하여야 한다.
이에,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환부의 크기에 맞추어 관통될 위치를 표시하고 가위를 사용하여 재단하여야 하는데, 사용자가 일정한 크기의 관통공을 인공항문 보호판에 형상하는 것이 어려울 뿐 아니라 손재주가 없거나 손동작이 불편한 사용자는 환부의 크기에 맞추어 인공항문 보호판을 재단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인공항문 보호판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미리 설정된 직경을 가지는 칼날을 절단부에 의하여 인공항문 보호판에 천공 등의 절단을 쉽고 편리하게 형상할 수 있는 인공항문 보호판 재단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인공항문 보호판(10)을 관통하는 결합로드(110)가 설치되며 인공항문 보호판(10)을 지지하는 지지면(135)이 형성되는 보호판지지부(130)와; 상기 결합로드(110)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결합로드(110)와 나사결합되는 가이드로드(500)와; 상기 가이드로드(50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미리 설정된 직경으로 상기 인공항문 보호판(10)을 절단하는 칼날부(212)를 가지는 절단부(210)와; 상기 가이드로드(500)에 결합되어 상기 칼날부(212)가 상기 인공항문 보호판(10)을 자르도록 상기 절단부(210)를 하측으로 가압하여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가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항문 보호판 재단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가이드로드(500)의 상단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실린더부(610)와; 상기 실린더부(61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실린더부(610)의 하측에서 결합되고, 상기 실린더부(610)와 함께 제2실린더공간(S2)을 형성하여 상기 제2실린더공간(S2) 내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절단부(210)를 가압하는 가압부(630)와; 상기 실린더부(61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실린더부(610)의 상측에서 결합되며, 상기 제2실린더공간(S2)과 연통되는 제1실린더공간(S1)을 상기 실린더부(610)와 함께 형성하고, 상기 제1실린더공간(S1)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실린더공간(S1)의 압력이 상기 제2실린더공간(S2)로 전달되도록 하는 피스톤부재(623)를 포함하는 가압본체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630)는, 상기 실린더부(610)의 저면에 형성된 실린더공간부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실린더부재(6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630)는, 상기 실린더부(610)의 외주면이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실린더공간부가 상측에 형성된 실린더부재(6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630)는, 상기 절단부(210)와 별도 부재 또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본체부(620)는, 상기 가이드로드(500)를 회전축으로 한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방지수단은, 상기 실린더부(610)의 외주면에 상하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하나 이상의 회전방지홈(611)과, 상기 가압본체부(620)의 내주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전방지홈(611)에 삽입되는 걸림돌기(6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단부(210)는, 금속재질의 칼날부(212)와, 상기 칼날부(212)가 고정설치되는 칼날결합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칼날부(212)는, 하단 형상이 직선형, 원형, 타원형, 다각형, 자유곡선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공항문 보호판 재단장치는, 인공항문 보호판을 지지하는 지지부, 미리 설정된 형상 및 크기의 칼날을 가지는 절단부 및 절단부를 공압, 유압 등에 의하여 가압하는 가압구조를 구비하여 인공항문 보호판에 관통공 등 편리하게 절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공항문 보호판 재단장치는, 절단부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킴으로써 형상 및 크기가 다른 칼날을 가지는 절단부를 선택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관통공 등을 편리하게 재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공항문 보호판 재단장치는, 각 부재들의 탈착이 용이하여 휴대 및 유지보수가 편리한 이점이 있다.
도 1a는, 종래에 사용되는 인공항문 주머니와 보호판의 장착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보호판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공항문 보호판 재단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인공항문 보호판 재단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2의 인공항문 보호판 재단장치의 작동과정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항문 보호판 재단장치의 실린더부의 내부를 A방향에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항문 보호판 재단장치의 실린더부의 내부를 B방향에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공항문 보호판 재단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들로서 그 작동과정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인공항문 보호판 재단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인공항문 보호판 재단장치는, 도 2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공항문 보호판(10)을 관통하는 결합로드(110)가 설치되며 인공항문 보호판(10)을 지지하는 지지면(135)이 형성되는 보호판지지부(130)와; 결합로드(110)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로드(110)와 나사결합되는 가이드로드(500)와; 가이드로드(50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미리 설정된 직경으로 인공항문 보호판(10)을 절단하는 칼날부(212)를 가지는 절단부(210)와; 가이드로드(500)에 결합되어 칼날부(212)가 인공항문 보호판(10)을 자르도록 절단부(210)를 하측으로 가압하여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가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인공항문 보호판(10)은, 배변주머니(20)와 결합될 수 있도록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구성으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인공항문 보호판(10)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가 탈착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고정구(11)와, 배변주머니(20)가 장착된 고정구(11)가 사용자의 피부에 밀착 설치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접착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공항문 보호판(10)의 중앙부에는, 사용자가 재단하고자 하는 위치에 천공이 용이하도록 재단홀(13)이 형상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인공항문 보호판 재단장치는, 상기와 같은 재단홀(13)을 기준으로 사용자의 장루의 크기에 맞도록 인공항문 보호판(10)에 관통공 등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보호판지지부(130)와 가압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인공항문 보호판 재단장치는, 인공항문 보호판(10)에서 관통홀을 형성하는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일부만을 절단하거나 천공하는 등 그 사용용도에 따라서 칼날의 형상 및 크기를 변경하여 다양한 절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보호판지지부(130)는, 인공항문 보호판(10)을 관통하는 결합로드(110)가 설치되며 인공항문 보호판(10)을 지지하는 지지면(135)이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호판지지부(130)는, 후술하는 가압수단에 의한 가압시 인공항문 보호판(10)이 재단될 수 있도록 인공항문 보호판(10)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보호판지지부(130)는, 상면에 인공항문 보호판(10)을 관통하는 결합로드(110)가 설치되며 인공항문 보호판(10)을 지지하는 지지면(135)이 형성되고 후술하는 가압수단의 조작시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원기둥, 다각기둥 등 기둥형상을 가질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호판지지부(130)의 외주면에는, 회전시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 수단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예로서, 상기 미끄럼 방지 수단은, 손잡이부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리브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리브들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형태이면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상기 지지면(135)은, 후술하는 절단부(210)의 칼날부(212)가 가압되어 인공항문 보호판(10)을 천공하는 등 재단하도록 인공항문 보호판(10)을 지지하는 부분으로 평평한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로드(110)는, 인공항문 보호판(10)에 삽입된 후 후술하는 가이드로드(500)의 암나사부(510)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수나사부(111)가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수나사부(111)는, 결합로드(110)의 상단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상기 수나사부(111)가 결합로드(110)의 상단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면, 결합로드(110)가 수나사부(111)가 형성되지 않은 상단부분의 일부가 삽입된 후 가이드로드(500)의 암나사부(510)와 나사 결합함으로써, 결합로드(110)의 길이방향으로의 가이드로드(500)의 이동거리를 줄여 인공항문 보호판(10)의 재단시간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수나사부(111)는, 후술하는 가이드로드(500)의 암나사부(510)와 나사결합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떠한 구조도 가능하다.
상기 가이드로드(500)는, 결합로드(110)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로드(110)와 나사결합되며 후술하는 가압수단 중 일부의 구성을 가이드하기 위해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가이드로드(5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로드(11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로드 형상을 가지며, 결합로드(110)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암나사부(5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단부(210)는, 가이드로드(50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인공항문 보호판(10)을 자르기 위해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절단부(210)는, 인공항문 보호판(10)을 미리 설정된 직경으로 천공하기 위하여 원형으로 형성되는 칼날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절단부(210)는, 가이드로드(50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미리 설정된 직경으로 인공항문 보호판(10)을 절단하는 칼날부(212)를 가질 수 있다.
예로서, 상기 절단부(210)는, 금속재질의 칼날부(212)와, 칼날부(212)가 고정설치되는 칼날결합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절단부(210)는, 속재질이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칼날결합부(211)에 금속재질의 칼날부(212)가 고정설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칼날부(212)는, 하단 형상이 원형 이외에, 타원형, 다각형, 직선형, 자유곡선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칼날결합부(211)는, 칼날부(212)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절단부(210)는, 가이드로드(500)가 길이방향으로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그 내주면 및 가이드로드(500)의 외주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오링과 같은 실링부재(631)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631)는, 절단부(210)의 상하이동에 큰 저항을 주지 않으면서 가이드로드(500)가 길이방향으로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으로서 다양한 재질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링부재(631)는 상기 가이드로드(50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삽입홈(530)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압수단은, 칼날부(212)가 인공항문 보호판(10)을 자르도록 절단부(210)를 하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가압수단이 절단부(210)를 가압하기 위하여 기계적인 방법 외에 공압 유압 등 다양한 방식들 또한 사용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가압수단은, 도 2 내지 도 4b,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630)와, 실린더부(610), 가압본체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630)와, 실린더부(610), 가압본체부(620)는, 가이드로드(5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상기 실린더부(610)는, 가이드로드(500)의 상단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실린더부(610)는, 제1실린더공간(S1), 제2실린더공간(S2) 내의 압력변화에 의하여 가압부(630)가 절단부(210)를 가압하기 위하여 가압부(630) 및 가압본체부(620)와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제1실린더공간(S1) 및 제2실린더공간(S2)의 형성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실린더부(610)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가이드로드(500)의 상단부(520)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관통공(619)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619)은, 가이드로드(500)가 삽입되도록 실린더부(610)에 형성되며 가이드로드(500)가 삽입된 상태에서 그 상부가 후술하는 제1실린더공간(S1)으로서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린더부(610)는, 후술하는 피스톤부재(623) 및 가이드로드(500)와 함께 제1실린더공간(S1), 제2실린더공간(S2)을 형성할 수 있으며,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실시예, 또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가이드로드(500)와 후술하는 피스톤부재(623)와 함께 실린더부(610)의 내부에 제1실린더공간(S1), 제2실린더공간(S2)을 다양한 구조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부(610)는, 전체적으로 기둥형상을 가지나 설계 및 디자인에 따라서,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실시예, 또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다양한 외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실시예로서, 상기 실린더부(610)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로 구획되며, 상부는 후술하는 가압본체부(62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작은 외경을 가지며, 하부는 후술하는 가압부(630)와의 결합을 위하여 상부보다 큰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의 외경은, 가압본체부(620)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거의 근사한 값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실린더부(610)는, 상부 및 하부의 경계 부분에서 가압본체부(620)의 상하 이동에 따라서 손가락 부분이 끼이는 문제가 있는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의 경계 부분에서 상측으로 가면서 외경이 감소하는 테이퍼부(613)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실시예로서, 상기 실린더부(610)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로 구획되며, 상부는 후술하는 가압본체부(62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작은 외경을 가지며, 하부는 후술하는 가압부(630)와의 결합을 위하여 상부보다 큰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의 외경은, 가압본체부(620)의 외경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실린더부(610)는, 상부 및 하부의 경계 부분에서 가압본체부(620)의 상하 이동에 따라서 손가락 부분이 끼이는 문제가 있는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의 경계 부분에서 상측으로 가면서 외경이 감소하는 테이퍼부(6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630)는, 실린더부(61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실린더부(610)의 하측에서 결합되고, 실린더부(610)와 함께 제2실린더공간(S2)을 형성하여 제2실린더공간(S2) 내의 압력에 의하여 절단부(210)를 가압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제2실린더공간(S2)은, 후술하는 제1실린더공간(S1)과 연통유로(615)에 의하여 연통되어 제1실린더공간(S1)으로부터 전달되는 압력에 의하여 절단부(210)를 가압하도록 형성되는 공간으로서, 실린더부(610) 및 가압부(630)의 결합구조에 따라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실시예로서, 상기 가압부(630)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부(610)의 저면에 형성된 실린더공간부(618)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실린더부재(61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린더공간부(618)는, 실린더부(610)의 저면에서 원통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실린더부재(610)가 실린더공간부(618)에 끼워져 제2실린더공간(S2)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부재(610)는, 제2실린더공간(S2)의 압력증가 및 그에 따른 부피 증가로 하측으로 이동되는 압력을 받게 되고, 그 압력이 하측에 설치된 절단부(210)에 전달되어 절단부(210)가 인공항문 보호판(10)을 재단하게 된다.
한편, 상기 실린더공간부(618)의 내주면 및 실린더부재(610)의 외주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제2실린더공간(S2)의 실링을 위하여 오링과 같은 실링부재(70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부재(610)는, 가이드로드(500)가 관통하여 설치되며, 제2실린더공간(S2)의 실링을 위하여 실린더부재(610)의 내주면 및 가이드로드(500)의 외주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오링과 같은 실링부재(631)가 설치될 수 있다.
제2실시예로서, 상기 가압부(630)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부(610)의 외주면이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실린더공간부(638)가 상측에 형성된 실린더부재(61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린더공간부(638)는, 가압부(630)의 상면에서 원통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실린더부(610)가 실린더공간부(638)에 끼워져 그 하측 제2실린더공간(S2)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부재(610)는, 제2실린더공간(S2)의 압력증가 및 그에 따른 부피 증가로 하측으로 이동되는 압력을 받게 되고, 그 압력이 하측에 설치된 절단부(210)에 전달되어 절단부(210)가 인공항문 보호판(10)을 재단하게 된다.
한편, 상기 실린더공간부(638)의 내주면 및 실린더부(610)의 외주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제2실린더공간(S2)의 실링을 위하여 오링과 같은 실링부재(70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부재(610)는, 가이드로드(500)가 관통하여 설치되며, 제2실린더공간(S2)의 실링을 위하여 실린더부재(610)의 외주면 및 가이드로드(500)의 내주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오링과 같은 실링부재(631)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압부(630)는, 절단부(210)와 별도 부재 또는 일체로 형성되는 등 다양한 결합구조가 가능하다.
상기 가압본체부(620)는, 실린더부(61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실린더부(610)의 상측에서 결합되며, 제2실린더공간(S2)와 연통되는 제1실린더공간(S1)을 실린더부(610)와 함께 형성하고, 제1실린더공간(S1)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여 제1실린더공간(S1)의 압력이 제2실린더공간(S2)로 전달되도록 하는 피스톤부재(623)를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제1실린더공간(S1)은, 피스톤부재(623)의 상하이동에 의하여 그 부피가 변화하여 후술하는 연통유로(615)를 통하여 제1실린더공간(S1)의 압력이 제2실린더공간(S2)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공간으로서 가압본체부(620) 및 실린더부(610)의 결합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제1실린더공간(S1)은, 피스톤부재(623)의 상하이동에 의하여 부피변화가 가능하도록 실린더부(610)에서 관통공(619)을 연장하여 상단까지 형성된 실린더형성공(612)에 의하여 원통형 공간으로 형성될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실린더공간(S1)은, 수평 단면 면적이 앞서 설명한 제2실린더공간(S2)의 수평단면 면적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실린더공간(S1)의 수평 단면 면적이 제2실린더공간(S2)의 수평 단면 면적보다 작게 되면 상대적으로 적은 힘에 의하여 가압부(210)에 대하여 큰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상기 피스톤부재(623)는, 실린더부(610)에 형성된 실린더형성공(612)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가압본체부(620)와 일체로 또는 별도의 부재로서 체결부재(622)에 의하여 가압본체부(62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부재(623)의 외주면 및 실린더형성공(612)의 내주면 중 적어도 하나는, 제1실린더공간(S1)의 실링을 위하여 오링과 같은 실링부재(710)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실린더공간(S1)은, 연통유로(615)에 의하여 제2실린더공간(S2)와 연통되며 연통유로(615)의 구조에 따라서 다양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통유로(615)는, 제1실린더공간(S1) 및 제2실린더공간(S2)을 연통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가이드로드(500)의 외주면 및 실린더부재(610)의 내주면 중 적어도 하나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통유로(615)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로드(500)가 삽입된 관통공(618)의 외경보다 바깥쪽에서 실린더부재(610)의 내주면에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상기 실린더부재(610)의 실린더형성공(612)의 하단에는 연통유로(615)와의 연결을 위하여 그 내경이 확장된 확장부(616)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실린더공간(S1) 및 제2실린더공간(S2)에는, 공기, 유체 등이 채워질 수 있으며 큰 압력을 가하기 위하여 압축성이 적은 유체가 채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본체부(620)는, 앞서 설명한 실린더부재(610)의 상부, 도 4a 및 도 4b, 도 6a 및 도 6b에서 ℓ선을 기준으로 상부 부분이 삽입되도록 형성되고, 피스톤부재(623)의 상하이동을 위하여 실린더부재(61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압본체부(620)는, 실린더부재(610) 및 가이드로드(500)의 순차적 결합구조에서, 앞서 설명한 보호판지지부(130)가 나사결합될 때, 실린더부재(610)에 대한 회전이 방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가압본체부(620)는, 가이드로드(500)를 회전축으로 한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방지수단은, 실린더부(610)의 외주면에 상하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하나 이상의 회전방지홈(611)과, 가압본체부(620)의 내주면으로 돌출되어 회전방지홈(611)에 삽입되는 걸림돌기(6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방지홈(611)은, 가압본체부(620)가 실린더부(610)에 대하여 상하방향이 이동하도록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621)는, 가압본체부(620)의 내주면으로 돌출되어 회전방지홈(611)에 삽입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인공항문 보호판 재단장치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상기 보호판지지부(130)가 나머지 구성과 분리된 상태에서 도 4a 또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로드(110)가 인공항문 보호판(10)이 삽입된다.
상기 인공항문 보호판(10)에 결합로드(110)가 삽입된 후 보호판지지부(130)는 앞서 설명한 가이드로드(500)에 나사결합된다.
이때 상기 결합로드(110) 및 가이드로드(500)의 나사결합시 가압본체부(620)는, 실린더부(610) 더 나아가 가이드로드(500)에 대하여 회전이 방지되어 결합로드(110) 및 가이드로드(500)가 원활하게 결합된다.
상기 결합로드(110) 및 가이드로드(500)가 결합된 후에는, 보호판지지부(130)를 잡거나 탁자 등에 지지한 상태에서 가압본체부(620)를 하측으로 가압한다.
상기 가압본체부(620)가 하측으로 가압되면 가압본체부(620)에 결합된 피스톤부재(623)가 하측으로 이동되며, 피스톤부재(623)가 하측으로 이동되면 제1실린더공간(S1)의 부피가 감소된다.
상기 제1실린더공간(S1)의 부피가 감소되면 제1실린더공간(S1)에 있는 유체가 연통유로(615)를 통해서 제2실린더공간(S2)로 이동된다.
상기 제2실린더공간(S2)에 유체가 증가하게 되면 그 부피가 증가하게 되므로 실린더공간(S2)의 형성을 위하여 결합된 가압부(630)가 유압에 의하여 하측으로 이동되며, 그 하측에 위치된 절단부(210)를 하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에 상기 절단부(210)는, 가압부(630)에 의한 가압에 의하여 가이드로드(5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하측으로 이동되며 칼날부(212)는, 보호판지지부(130)의 지지면(135)에 지지된 인공항문 보호판(10)을 천공하는 등 재단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인공항문 보호판(10)에는, 다양한 크기, 형상 등에 의하여, 천공되거나 절단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재단이 되는데 이를 위하여 각 재단 조건에 따라서 가이드로드(500)로부터 해당하는 형상 및 크기를 가지는 칼날부(212)를 구비한 절단부(210)로 교체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항문 보호판 재단장치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인공항문 보호판(10)을 천공하는 등 재단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30: 보호판지지부 210: 절단부
500: 고정결합부 600: 가압수단

Claims (9)

  1. 인공항문 보호판(10)을 관통하는 결합로드(110)가 설치되며 인공항문 보호판(10)을 지지하는 지지면(135)이 형성되는 보호판지지부(130)와;
    상기 결합로드(110)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결합로드(110)와 나사결합되는 가이드로드(500)와;
    상기 가이드로드(50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미리 설정된 직경으로 상기 인공항문 보호판(10)을 절단하는 칼날부(212)를 가지는 절단부(210)와;
    상기 가이드로드(500)에 결합되어 상기 칼날부(212)가 상기 인공항문 보호판(10)을 자르도록 상기 절단부(210)를 하측으로 가압하여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가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가이드로드(500)의 상단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실린더부(610)와;
    상기 실린더부(61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실린더부(610)의 하측에서 결합되고, 상기 실린더부(610)와 함께 제2실린더공간(S2)을 형성하여 상기 제2실린더공간(S2) 내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절단부(210)를 가압하는 가압부(630)와;
    상기 실린더부(61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실린더부(610)의 상측에서 결합되며, 상기 제2실린더공간(S2)과 연통되는 제1실린더공간(S1)을 상기 실린더부(610)와 함께 형성하고, 상기 제1실린더공간(S1)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실린더공간(S1)의 압력이 상기 제2실린더공간(S2)로 전달되도록 하는 피스톤부재(623)를 포함하는 가압본체부(620)를 포함하는 인공항문 보호판 재단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630)는,
    상기 실린더부(610)의 저면에 형성된 실린더공간부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실린더부재(6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항문 보호판 재단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630)는,
    상기 실린더부(610)의 외주면이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실린더공간부가 상측에 형성된 실린더부재(6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항문 보호판 재단장치.
  5. 청구항 1, 청구항 3 및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630)는,
    상기 절단부(210)와 별도 부재 또는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항문 보호판 재단장치.
  6. 청구항 1, 청구항 3 및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본체부(620)는, 상기 가이드로드(500)를 회전축으로 한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항문 보호판 재단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수단은,
    상기 실린더부(610)의 외주면에 상하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하나 이상의 회전방지홈(611)과, 상기 가압본체부(620)의 내주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전방지홈(611)에 삽입되는 걸림돌기(6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항문 보호판 재단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210)는,
    금속재질의 칼날부(212)와, 상기 칼날부(212)가 고정설치되는 칼날결합부(2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항문 보호판 재단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칼날부(212)는,
    하단 형상이 직선형, 원형, 타원형, 다각형, 자유곡선형상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항문 보호판 재단장치.
KR1020160124869A 2016-01-12 2016-09-28 인공항문 보호판 재단장치 KR102576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7/000378 WO2017123007A1 (ko) 2016-01-12 2017-01-11 인공항문 보호판 재단장치
US16/069,295 US10849646B2 (en) 2016-01-12 2017-01-11 Device for cutting artificial anus protection pl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03774 2016-01-12
KR1020160003774 2016-01-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4680A KR20170084680A (ko) 2017-07-20
KR102576729B1 true KR102576729B1 (ko) 2023-09-08

Family

ID=5944333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8922A KR101895871B1 (ko) 2016-01-12 2016-03-10 인공항문 보호판 재단장치
KR1020160124869A KR102576729B1 (ko) 2016-01-12 2016-09-28 인공항문 보호판 재단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8922A KR101895871B1 (ko) 2016-01-12 2016-03-10 인공항문 보호판 재단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849646B2 (ko)
KR (2) KR1018958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023639B1 (nl) * 2019-08-13 2021-02-24 De Graaf Yvonne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aanbrengen van een gat in een stomaplaat
US20220115849A1 (en) * 2020-10-08 2022-04-14 Milbank Manufacturing Co. Punch set for electrical box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6952A (ja) * 1998-12-01 2000-06-20 Tsubota Kosakusho:Kk ストーマ開孔具
US20120023757A1 (en) 2010-08-02 2012-02-02 Schena Kenneth R Wafer cutting tool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35489A (en) * 1956-02-21 fowler
US3269011A (en) * 1964-01-20 1966-08-30 Greenlee Bros & Co Metal punch and die
US3255526A (en) * 1965-01-14 1966-06-14 Molitor Victor David Knockout die
JPS526887U (ko) * 1975-06-23 1977-01-18
JPS588480Y2 (ja) * 1977-10-31 1983-02-15 日本ゼオン株式会社 袋の片面又はチュ−ブ側面の円孔打抜器
US4380871A (en) * 1981-06-11 1983-04-26 Ex-Cell-O Corporation Mechanical punch driver
US4391042A (en) * 1981-06-18 1983-07-05 Sunderland Ned E Cutting apparatus for cutting a non-circular opening
US4403417A (en) * 1982-06-04 1983-09-13 Wilson Stephen K Draw punch
US4594779A (en) * 1984-11-01 1986-06-17 Ex-Cell-O Corporation Punch and die adapter
US4817287A (en) * 1987-03-02 1989-04-04 Arnold Janet O Cutting tool for colostomy wafer
US4858317A (en) 1988-05-26 1989-08-22 Geepard Industries, Inc. Stoma flange cutter
US5216961A (en) * 1991-11-08 1993-06-08 Gray Stephen B Book index notch cutter
US5722563A (en) * 1995-03-10 1998-03-03 Hunts; Larry D. Tool for removing pills and the like from blister packages
JP2002253590A (ja) * 2001-02-27 2002-09-10 Kensaku Ozawa 開孔具付きストーマフランジ
US7249551B1 (en) * 2004-09-17 2007-07-31 Ray Daniel W Gasket cutter with changeable and reversible dies and punches
JP2010200811A (ja) * 2009-02-27 2010-09-16 Kenji Tsuruya 切断工具、ストーマフランジ開孔具及びストーマフランジ収納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6952A (ja) * 1998-12-01 2000-06-20 Tsubota Kosakusho:Kk ストーマ開孔具
US20120023757A1 (en) 2010-08-02 2012-02-02 Schena Kenneth R Wafer cutting to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046225A1 (en) 2019-02-14
US10849646B2 (en) 2020-12-01
KR101895871B1 (ko) 2018-09-06
KR20170084680A (ko) 2017-07-20
KR20170084669A (ko) 2017-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06760B2 (ja) 穿孔装置に使用する穿孔の深さを調整する構成
US11344445B2 (en) Hygienic device for the collection of menstrual flow
DE69833425T2 (de) Kraftunterstütztes Fettabsaugehandgerät
KR102576729B1 (ko) 인공항문 보호판 재단장치
US6620132B1 (en) Surgical irrigation device
AR058488A1 (es) Producto absorbente
WO2005051176A3 (en) Hemostatic pressure plug
WO2006012274A3 (en) Atraumatic circumcision device and method to use same
WO2011014244A8 (en) Vascular closure device with automatic suture cutter
NO300447B1 (no) Anordning for intraosseös infusjon og aspirasjon
WO2009046413A3 (en) Probe tip and infusion sleeve for use with ophthalmological surgery
JP2019536603A5 (ko)
WO2005065399A3 (en) Improved penetrating member control using auto-pre-tent
WO2007024152A8 (en) A patient's skin puncturing device
CN207506621U (zh) 一种胸腔穿刺定位装置
US10342712B1 (en) Disposable feminine-hygiene product
AU2014100851A4 (en) An Aspiration Device
US20120023757A1 (en) Wafer cutting tool
CN103169527A (zh) 一次性包皮环切吻合器的调节部件
CN206404119U (zh) 防刺输液针
CN208404591U (zh) 自压紧固定采血针
CN209868717U (zh) 一种方便调节造口袋切口大小的剪切辅助装置
CN203873839U (zh) 一次性包皮切割吻合器可视环形切割刀
CN208037996U (zh) 封闭式安瓿折断装置
KR102542162B1 (ko) 천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