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5991B1 - 항바이러스 성능을 갖는 광촉매 공조 필터 모듈 - Google Patents

항바이러스 성능을 갖는 광촉매 공조 필터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5991B1
KR102575991B1 KR1020210033587A KR20210033587A KR102575991B1 KR 102575991 B1 KR102575991 B1 KR 102575991B1 KR 1020210033587 A KR1020210033587 A KR 1020210033587A KR 20210033587 A KR20210033587 A KR 20210033587A KR 102575991 B1 KR102575991 B1 KR 102575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wall
photocatalyst
casing partition
casing
filte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3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6338A (ko
Inventor
구현본
곽종원
김성준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US17/912,023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30133151A1/en
Priority to PCT/KR2021/003227 priority patent/WO2021187860A1/ko
Priority to CN202180022081.3A priority patent/CN115335090B/zh
Priority to JP2022552356A priority patent/JP2023517510A/ja
Priority to EP21771653.9A priority patent/EP4122505A4/en
Publication of KR20210116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6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5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5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61L9/205Ultra-violet radiation using a photocatalyst or photosensiti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2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provided with antibacterial or antifung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 F24F8/16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using catalytic rea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6Connections to a HVAC unit

Abstract

대상 공간에 적용되는 광촉매 공조 필터 모듈에 관한 것이며, 광촉매볼이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이 격자형으로 복수개 마련된 제1케이징 격벽부; 상기 제1케이징 격벽부의 후단에 결합되며, 상기 제1케이징 격벽부의 격자형 공간과 엇갈려서 위치되는 격자형 공간이 복수개 마련된 제2케이징 격벽부; 상기 제1케이징 격벽부 및 상기 제2케이징 격벽부의 격자형 공간 내부에 수용되는 복수의 광촉매볼; 상기 제1케이징 격벽부의 전면을 덮어 상기 광촉매볼이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제1덮개; 및 상기 제2케이징 격벽부의 후면을 덮어 상기 광촉매볼이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제2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항바이러스 성능을 갖는 광촉매 공조 필터 모듈{PHOTOCATALYTIC AIR CONDITIONING FILTER MODULE WITH ANTIVIRAL PERFORMANCE}
본원은 항바이러스 성능을 갖는 광촉매 공조 필터 모듈에 관한 것이다.
근래의 사스 사태와 메르스 사태, 그리고 최근의 코로나19 사태를 비롯하여 감염 예방이 필요한 공간들이 감염원(바이러스 또는 세균)에 의해 오염되면서 예상치 못하게 감염병이 확산되는 사고들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이로 인해 해외 감염병의 유입 경로인 공항, 항만 등의 출입국 시설을 비롯해, 감염병 환자가 집중되는 병원 등의 의료시설, 면역력이 약한 민감계층이 군집하는 요양원, 어린이집 등의 약자시설, 불특정 다수의 출입이 빈번한 공공시설 등의 다중 이용 시설, 그리고 불특정 다수의 이용이 빈번한 자동차, 열차, 항공기, 선박 등의 교통수단에서의 감염원(바이러스 또는 세균) 오염 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특히, 감염원(바이러스 또는 세균)의 공기 중 확산의 경우 그 확산 속도와 파급력이 매우 클 수 있기 때문에, 감염원(바이러스 또는 세균)의 공기 중 확산방지를 위한 항바이러스 또는 항균 성능의 공조 필터의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기 중에 포함된 감염원(바이러스 또는 세균)에 대한 항바이러스 또는 항균 기능을 효율적으로 발휘할 수 있는 광촉매 공조 필터 모듈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원은 원패스(One pass) 성능과 공기 순환(Circulation) 효율의 합의점을 도출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광촉매 공조 필터 모듈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 공조 필터 모듈은, 광촉매볼이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이 격자형으로 복수개 마련된 제1케이징 격벽부; 상기 제1케이징 격벽부의 후단에 결합되며, 상기 제1케이징 격벽부의 격자형 공간과 엇갈려서 위치되는 격자형 공간이 복수개 마련된 제2케이징 격벽부; 상기 제1케이징 격벽부 및 상기 제2케이징 격벽부의 격자형 공간 내부에 수용되는 하나 이상(1개 또는 복수개)의 광촉매볼; 상기 제1케이징 격벽부의 전면을 덮어 상기 광촉매볼이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제1덮개; 및 상기 제2케이징 격벽부의 후면을 덮어 상기 광촉매볼이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제2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촉매볼은, 하나의 격자형 공간 내에 하나 이상(1개 또는 복수개) 수용되되, 공기의 흐름에 대응하여 수용되는 격자형 공간 내에서 유동할 수 있도록, 격자형 공간 내에 하나 이상(1개 또는 복수개) 수용된 상태에서 격자형 공간의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 대하여 여유 간격이 형성될 수 있는 크기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케이징 격벽부, 상기 제2 케이징 격벽부 및 상기 광촉매볼은, 상기 제1 케이징 격벽부의 격자형 공간 내에 배치된 제1 광촉매볼과, 상기 제1 케이징 격벽부의 격자형 공간과 전후 방향에 대하여 일부 중첩되는 형태로 엇갈려 이웃하는 상기 제2 케이징 격벽부의 격자형 공간 내에 배치된 제2 광촉매볼을 서로 최대한 멀어지도록 이격시키더라도, 전방 또는 후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제1 광촉매볼과 상기 제2 광촉매볼이 일부 중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케이징 격벽부의 복수개의 격자형 공간 각각은, 그의 내부에 수용되는 광촉매볼과 상기 제1 케이징 격벽부의 복수개의 격자형 공간 각각의 내부에 수용되는 광촉매볼 사이에, 각각의 격자형 공간에 대한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간격(공간), 다시 말해 이격 거리가 형성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케이징 격벽부의 복수개의 격자형 공간 각각과 엇갈려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촉매 공조 필터 모듈은 전방으로부터 상기 제1케이징 격벽부 및 상기 제2케이징 격벽부의 순으로 공기가 통과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케이징 격벽부는 격자형 공간 측면에 이웃하는 격자형 공간과 통하는 홀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케이징 격벽부 및 상기 제2 케이징 격벽부 각각은, 가로 격벽 및 세로 격벽을 포함하고, 가로 격벽 및 세로 격벽 중 하나에는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함몰되는 제1 절개부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함몰되어 상기 제1 절개부와 맞물리는 제2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로 격벽 및 상기 세로 격벽은 상기 제1 절개부와 상기 제2 절개부의 맞물림에 의해 상호 결합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촉매볼은 광촉매 성형 볼 또는 세라믹이나 메탈 재질의 볼에 광촉매 를 코팅한 볼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 공조 필터 모듈은, 상기 제1케이징 격벽부 및 상기 제2케이징 격벽부를 향하여 광을 조사하는 활성 광원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활성 광원부는 공조 필터를 통과하는 공기의 역학적 거동 특성에 따라 상기 제1케이징 격벽부의 전방 또는 상기 제2케이징 격벽부의 후방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 공조 필터 모듈은, 상기 제1케이징 격벽부 또는 제2케이징 격벽부와 활성 광원부 간의 이격거리 및 공기 유로를 확보하기 위한 가이드 프레임; 활성 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외부 유출을 최소화하고 광촉매 활성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광 반사판; 활성 광원 드라이버; 및 전원 공급하기 위한 공급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 공조 필터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 공조 필터 모듈은 격벽에 의해 격자형 내부 공간이 조밀하며,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격자형 내부 공간이 복수개 마련된 제1케이징 격벽부; 및 상기 제1케이징 격벽부의 후면에 엇갈려 결합되며, 격벽에 의해 격자형 내부 공간이 조밀하고,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격자형 내부 공간이 복수개 마련된 제2케이징 격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케이징 격벽부 및 제2케이징 격벽부는 광촉매로 코팅되거나 성형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 공조 필터 모듈은 일체형 또는 조립형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는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 공조 필터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광촉매를 포함하는 케이징 격벽부가 2단 이상으로 다중 배치됨과 동시에 상호 엇갈림 배치됨으로써, 광촉매에 대한 공기의 접촉면적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어, 공기 중에 포함된 감염원(바이러스 또는 세균)에 대한 항바이러스 또는 항균 기능을 효율적으로 발휘할 수 있고, 원패스(One pass) 성능과 공기 순환(Circulation) 효율의 합의점을 도출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광촉매 공조 필터 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 공조 필터 모듈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 공조 필터 모듈의 개략적인 배면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 공조 필터 모듈의 제1덮개 및 제1케이징 격벽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 공조 필터 모듈의 제2케이징 격벽부 및 제2덮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배면도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 공조 필터 모듈의 제1케이징 격벽부와 제2케이징 격벽부의 엇갈림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 공조 필터 모듈의 제1케이징 격벽부와 제2케이징 격벽부의 엇갈림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 공조 필터 모듈의 제1케이징 격벽부와 제2케이징 격벽부의 엇갈림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 공조 필터 모듈의 제1케이징 격벽부와 제2케이징 격벽부의 엇갈림 배치시 광촉매볼의 크기, 격자 공간의 크기, 격벽 두께 등의 설정에 따라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제1케이징 격벽부에 수용된 광촉매볼과 제2케이징 격벽부에 수용된 광촉매볼 사이에 간격(공간)이 형성되는 정도 또는 양 광촉매볼이 상호 중첩되는 정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는 광촉매볼의 배치에 따른 배치 면적을 고려하기 위한 설계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 공조 필터 모듈의 활성 광원(검은색 점으로 표시)이 제2케이징 격벽부의 후방에 배치된 일 구현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배면도이다.
도 1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 공조 필터 모듈의 제1덮개의 일체형(1-Body 타입)의 구현예(가장 좌측 그림) 및 조립형(Module 타입)의 구현예(나머지 그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 공조 필터 모듈의 제1케이징 격벽부의 일체형(1-Body 타입)의 구현예(가장 좌측 그림) 및 조립형(Module 타입)의 구현예(나머지 그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 공조 필터 모듈의 제1케이징 격벽부 또는 제2케이징 격벽부의 제작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 공조 필터 모듈의 제2케이징 격벽부의 일체형(1-Body 타입)의 구현예(가장 좌측 그림) 및 조립형(Module 타입)의 구현예(나머지 그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 공조 필터 모듈의 제2덮개의 일체형(1-Body 타입)의 구현예(가장 좌측 그림) 및 조립형(Module 타입)의 구현예(나머지 그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 공조 필터 모듈이 광촉매볼의 배치 없이 케이징 격벽부에 광촉매를 코팅하거나 케이징 격벽부 자체를 광촉매를 포함하는 재질로 성형하여 제공되는 일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정면도 및 배면도는 도면을 기준으로 지칭한 것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 공조 필터 모듈이 향하는 방향은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 기준으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 공조 필터 모듈은 그 정면이 상향 또는 비스듬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모듈의 배치가 필요로 되는 방향을 고려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바라보게 대상 공간에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 공조 필터 모듈을 설명의 편의상 본 필터 모듈이라 칭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필터 모듈의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필터 모듈의 개략적인 배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필터 모듈의 제1덮개(30) 및 제1케이징 격벽부(10)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필터 모듈의 제2케이징 격벽부 (20) 및 제2덮개(40)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배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필터 모듈의 제1케이징 격벽부(10)와 제2케이징 격벽부(20)의 엇갈림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필터 모듈은 제1케이징 격벽부(10), 제2케이징 격벽부(20), 제1덮개(30) 및 제2덮개(40)를 포함한다. 또한, 본 필터 모듈은 활성 광원(도 10을 예시적으로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필터 모듈은 공기의 흐름이 존재하는 장소(공간)에 광촉매를 활성화하는 활성 광원이 제1덮개(30)의 전방쪽 및 제2덮개(40)의 후방쪽 중 일측 또는 전술된 전후방 양측(다시 말해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필터 모듈은 건물 및 교통수단(자동차, 열차, 항공기, 선박 등) 등의 공간 내 공기를 정화하는 장치의 내부(공기 이동 통로를 포함한다)를 비롯해, 감염원(바이러스 및 세균)으로 오염된 공기의 흐름이 존재하고, 항바이러스 기능의 수행, 공기 정화 등 광촉매 활성으로 인한 유익한 작용이 필요로 되는 다양한 장소(공간)에, 활성 광원, 케이징 격벽부(10, 20) 및 덮개(30, 40)를 구비하여, 공기 정화 효율 및 에너지 소비 효율 등을 고려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필터 모듈을 통과하도록 제공되는 공기의 흐름은 팬(Fan), 써큘레이터, 송풍기 등의 다양한 기계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의 흐름을 유발하는 기계장치는 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의 흐름은 공기의 흐름이 자연적으로 형성되는 대상 공간에 본 필터 모듈을 배치함으로써 본 필터 모듈에 인위적인 기계장치 없이도 제공될 수 있다.
본 필터 모듈은 격자형 공간(12, 22)으로 공기의 흐름이 원활히 형성되고 항바이러스 기능이 효과적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배치 방향, 설치 위치 등을 적정히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케이징 격벽부(10)의 전방측의 공기가 제1케이징 격벽부(10)와 제2케이징 격벽부(20)를 통과하여 제2케이징 격벽부(20)의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제2케이징 격벽부(20)의 후방측에 흡입형 팬을 배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본 필터 모듈이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본 필터 모듈의 전방 측의 하우징 전면 부재에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본 필터 모듈의 후방 측의 하우징 내측에 공기를 흡입하여 본 필터 모듈을 통과시키는 흡입 팬이 설치되고, 하우징 상면 부재에 본 필터 모듈을 통과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형태로, 본 필터 모듈이 장착된 항바이러스 기능을 갖는 공기 정화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이 때에 하우징 내부의 공기 흐름은 유입구를 통해 흡입된 모든 공기가 본 필터 모듈을 온전히 통과할 수 있도록 하고, 본 필터 모듈의 항바이러스 기능이 충분히 구현될 수 있도록 광촉매볼(50)을 효과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는 위치에 활성 광원을 배치할 수 있다.
도 10은 본 필터 모듈의 활성 광원(검은색 점으로 표시)이 제2케이징 격벽부(20)의 후방에 배치된 일 구현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배면도이다.
활성 광원은 격자형 공간(12, 22) 내에 배치된 광촉매볼(50)을 향하여 광을 조사하도록, 제2케이징 격벽부(20)의 후방 및 제1케이징 격벽부(10)의 전방 일측 또는 전술된 전후방 양측(다시 말해 적어도 일측)에 하나 이상(1개 또는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을 참조하면, 5x5의 격자형 공간(12, 22)을 갖는 본 필터 모듈 하나당 한 개의 활성 광원이 배치(일대일 대응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활성 광원은 본 필터 모듈의 규격을 고려하여 광촉매볼(50)의 활성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는 위치 및 개수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활성 광원은 광촉매볼(50)이 수용된 제1케이징 격벽부(10)의 일부면을 조사하는 여러 개의 광원 장치를 배열하는 형태에서 제1케이징 격벽부(10)의 전면을 조사하는 하나의 광원 장치를 배치하는 형태로 대체할 수 있다. 활성 광원은 광원 장착용 프레임 구조체에 대하여 설치되는 형태로 구비(활성 광원부는 활성 광원 및 광원 장착용 프레임 구조체를 포함)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광원 장착용 프레임 구조체는 상하 방향 또는 횡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간격 부재 및 이러한 복수의 간격 부재의 양단을 고정하는 둘레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활성 광원은 상기 간격 부재에 대하여 간격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간격 부재 사이의 간격, 간격 부재의 두께 등은 전후 방향으로의 공기의 흐름, 광원 장착용 프레임 구조체의 구조적 강성 등을 고려하여 적정히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예시적으로, 활성 광원이 후방에 위치하는 경우, 광원 장착용 구조체는 제2 케이징 격벽부(20)와 제2 덮개(40) 사이에 개재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고, 반대로 활성 광원이 전방에 위치하는 경우, 광원 장착용 구조체는 제1 케이징 격벽부(10)와 제1 덮개(30) 사이에 개재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덮개 내측 배치를 통해 단일 형태로 조립된 모듈 형태가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활성 광원이 후방에 위치하는 경우, 광원 장착용 구조체는 제2 덮개(40)보다 후방에 배치될 수 있고, 반대로 활성 광원이 전방에 위치하는 경우, 광원 장착용 구조체는 제1 덮개(30)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10을 참조하면, 활성 광원은 제2케이징 격벽부(2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본 필터 모듈이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공기 정화 장치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제1케이징 격벽부(10)의 전방으로부터 유입되어 제2케이징 격벽부(20)까지 통과하여 후방으로 이동된 공기는 하우징의 상측이나 후방(배면)쪽에 마련된 공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기 전까지 차압에 의해 공기 흐름 방향을 일정하게 형성하지 못하고 와류를 형성할 수 있다. 즉, 공기가 통과되고 난 제2케이징 격벽부(10)의 후방 공간에서는 차압에 의하여 와류가 형성되므로, 제2케이징 격벽부(10)에 수용된 광촉매볼(50)의 경우 와류로 인해 공기와의 접촉면이 넓어지거나 접촉시간이 길어져 광촉매 활성에 의한 유익한 효과가 보다 효과적으로 발현될 수 있으므로, 활성 광원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제2케이징 격벽부(2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활성 광원의 배치 위치는 반드시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우수한 공기 정화 능력 및 에너지 소비 절감이 가능한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필터 모듈의 활성 광원으로부터 광촉매볼(50)에 조사되는 광은 광촉매를 활성화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는 광일 수 있다. 이러한 광의 특성은 광촉매볼(50)에 포함되는 광촉매 물질의 특성을 함께 고려하여 설정함이 바람직하겠지만, 예시적으로, 상기 광은 자외선 영역대의 파장을 포함하는 광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활성 광원의 광은 자외선의 파장인 200nm 내지 390nm 대역의 파장을 갖는 광을 조사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광촉매 활성 효율이 가장 높은 파장을 포함하는 광으로 설정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예시적으로, 광촉매볼(50)에 포함되는 광촉매 물질은 이산화티타늄을 포함할 수 있고, 활성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은 이러한 이산화티타늄의 광촉매 활성 효율을 극대화되고 오존이 발생되지 않는360 nm 내지 380 nm 파장대의 자외선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만, 본원에서 광촉매는 반드시 이산화티타늄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알려진 광촉매 및 향후 개발되는 다양한 광촉매가 본원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광과 광촉매 사이의 반응은 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필터 모듈은 활성 광원과 광촉매볼(50) 사이의 이격거리 및 공기 유로를 확보를 확보하기 위한 가이드 프레임, 활성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외부 유출을 최소화하고 광촉매 활성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광 반사판, 활성 광원 드라이버 및 전원 공급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 필터 모듈의 활성 광원이 광 조사각이 120도인 UV LED인 경우, 10mm의 이격을 주었을 때 40mm의 범위까지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다만, 활성 광원의 광 조사각, 광량 편차 등을 고려하여, 광촉매볼(50)의 광촉매 활성을 높이는 측면 및 에너지 효율을 확보하는 측면을 함께 고려하여 활성 광원과 광촉매볼(50) 사이의 이격거리 및 활성 광원의 개수, 활성 광원 사이의 간격 등을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 반사판은 제1 및 제2 케이징 격벽부(10, 20)를 통과한 광 또는 케이징 격벽부(10, 20)로부터 활성 광원부 방향으로 산란된 광을 다시 제1 및 제2 케이징 격벽부(10, 20) 측으로 반사시킬 수 있도록 활성 광원부에 반대되거나 인접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및 제2 케이징 격벽부(10, 20)를 통과한 광을 다시 격벽부(10, 20) 측으로 반사시키기 위해서는 활성 광원부가 후방에 위치하는 경우, 광 반사판은 제1 케이징 격벽부(10)보다 전방에 위치할 수 있고, 반대로 활성 광원부가 전방에 위치하는 경우, 광 반사판은 제2 케이징 격벽부(20)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케이징 격벽부(10, 20)로부터 활성 광원부 방향으로 산란된 광을 다시 케이징 격벽부 측으로 반사시키기 위해서는 활성 광원부가 전방에 위치하는 경우, 광 반사판은 활성 광원부 전방에 위치할 수 있고, 반대로 활성 광원부가 후방에 위치하는 경우, 광반사판은 활성 광원부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활성 광원은 격자형 공간(12, 22) 내에 배치된 광촉매볼(50)을 향하여 광을 조사하도록, 제2케이징 격벽부(20)의 후방 및 제1케이징 격벽부(10)의 전방 일측 또는 전술된 전후방 양측(다시 말해 적어도 일측)에 하나 이상(1개 또는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광 반사판은 광을 반사시킬 수 있는 표면 재질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광 반사판은 전후 방향으로의 공기의 유동(흐름)이 제한되지 않도록 전후 방향으로 일부 개구된 구조를 가짐이 바람직하다. 예시적으로, 광 반사판은 제1 및 제2 케이징 격벽부(10, 20) 각각의 격자형 공간에 대응하는 패턴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광 반사판은 도달한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 패턴부 및 도달한 공기를 통과시키는 개구 패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반사 패턴부는 그에 도달한 광을 제1 및 제2 케이징 격벽부(10, 20) 측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반사시킬 수 있는 반사 각도, 반사율 등을 가질 수 있는 재질, 규격, 형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예시적으로, 제1및 제2 케이징 격벽부(10, 20)를 통과한 광을 다시 케이징 격벽부(10, 20) 측으로 반사시키기 위해서는 활성 광원부가 전방에 위치하는 경우, 광 반사판은 제2 케이징 격벽부(20)와 제2 덮개(40) 사이 또는 제2덮개(40) 후방에 개재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고, 반대로 활성 광원부가 후방에 위치하는 경우, 광 반사판은 제1 케이징 격벽부(10)와 제1 덮개(30) 사이 또는 제1덮개(30) 전방에 개재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및 제2케이징 격벽부(10, 20)로부터 활성 광원부 방향으로 산란된 광을 다시 케이징 격벽부(10, 20) 측으로 반사시키기 위해서는 활성 광원부가 전방에 위치하는 경우, 광 반사판은 활성 광원부 전방에 개재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고, 반대로 활성 광원부가 후방에 위치하는 경우, 광반사판은 활성 광원부 후방에 개재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광반사판을 덮개 내측에 배치하는 경우, 광 반사판, 덮개, 케이징 격벽부는 단일 형태로 조립된 모듈 형태가 제공될 수 있으며, 광반사판을 활성 광원부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하는 경우, 광 반사판과 활성 광원부(활성 광원 및 광원 장착용 프레임 구조체를 포함)는 단일 형태로 조립된 모듈 형태가 제공될 수 있다.
활성 광원 드라이버 및 전원 공급라인은 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광촉매볼(50)은 본 필터 모듈의 제1케이징 격벽부(10) 및 제2케이징 격벽부(20)의 격자형 공간(12, 22)(상하좌우 각각에 위치하는 격벽에 의해 형성되는 격벽 내측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광촉매볼(50)은 그 볼 자체가 광촉매 물질을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진 볼이거나 또는 다른 재질(예를 들면, 세라믹이나 메탈 재질)의 볼 형상에 광촉매를 코팅한 볼일 수 있다. 광촉매를 코팅한 볼의 경우, 종래에 알려져 있거나 향후 개발될 다양한 코팅 방식이 적용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광촉매볼(50)의 직경의 사이즈는 조절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공기 순환 (Circulation) 효율을 높여 공기 정화 성능을 향상하고자, 광촉매볼(50)의 크기(직경)를 후술할 격벽부의 격자형 공간(12, 22) 내부의 크기(폭 또는 높이)보다 작게 설정함으로써, 공기의 흐름에 있어 공기 유동이 보다 원활해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즉, 광촉매볼(50)이 공기의 흐름에 대응하여 수용되는 격자형 공간(12, 22) 내에서 유동할 수 있도록 제1케이징 격벽부(10)의 격자형 공간(12) 또는 제2케이징 격벽부(20)의 격자형 공간(22)의 크기보다 작게 구비됨으로써, 광촉매볼(50)의 유동에 따라 공기 유동 또한 보다 원활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원패스(One pass) 성능을 높여 공기 정화 성능을 향상하고자 광촉매볼(50)의 크기(직경)를 후술할 격벽부 격자형 공간(12, 22) 내부의 크기와 유사하게 설정하여 광촉매볼(50)을 촘촘히 구비함으로써, 유동하는 공기가 광촉매볼(50) 표면에 최대한 접촉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광촉매볼(50)은 하나의 격자형 공간(12, 22) 내에 하나 이상(1개 또는 복수개) 수용되되, 공기의 흐름에 대응하여 수용되는 격자형 공간(12, 22) 내에서 유동할 수 있도록, 격자형 공간(12, 22) 내에 하나 이상(1개 또는 복수개) 수용된 상태에서 격자형 공간(12, 22)의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 대하여 여유 간격이 형성될 수 있는 크기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촉매볼(50)과 격자형 공간(12, 22)이 일대일로 대응하여 1 개의 격자형 공간(12, 22)에 1 개의 광촉매볼(50)이 수용되는 경우(하나의 격자형 공간(12, 22) 내에 하나의 광촉매볼(50)이 수용되는 경우), 광촉매볼(50)은 하나의 격자형 공간(12, 22) 내에 1개 수용되되, 광촉매볼(50)이 공기의 흐름에 대응하여 수용되는 격자형 공간(12, 22) 내에서 유동할 수 있도록, 광촉매볼(50)은 제1 케이징 격벽부(10)의 격자형 공간(12) 또는 제2 케이징 격벽부(20)의 격자형 공간(22)의 크기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덮개(30) 및 제2 덮개(40)는 공기를 통과시키되 광촉매볼(5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광촉매볼(50)과 격자형 공간(12, 22)이 다대일로 대응하여 1개의 격자형 공간(12, 22)에 복수개(N개)의 광촉매볼(50)이 수용되는 경우, 광촉매볼(50)은 하나의 격자형 공간(12, 22) 내에 복수개 수용되되, 광촉매볼(50)이 공기의 흐름에 대응하여 수용되는 격자형 공간(12, 22) 내에서 유동할 수 있도록, 격자형 공간(12, 22) 내에 복수개 수용된 상태에서 격자형 공간(12, 22)의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 대하여 여유 간격이 형성될 수 있는 크기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덮개(30) 및 제2 덮개(40)는 공기를 통과시키되 광촉매볼(5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광촉매볼(50)은 직경이 균질(일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격자형 공간(12, 22)의 내부 크기(폭 또는 높이)가 4.5mm이고, 광촉매볼(50)의 직경은 4mm 내외 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압의 크기, 공기 정화 능력 및 에너지 소비 효율 등을 고려하여 설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본원은 격벽부의 격자형 공간(12, 22) 내부의 크기(폭 또는 높이)의 조절을 통해 공기 순환 (Circulation) 효율 또는 원패스(One pass) 성능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제1케이징 격벽부(10)의 격자형 공간(12) 또는 제2케이징 격벽부(20)의 격자형 공간(22)의 크기(폭 또는 높이)를 광촉매볼(50)의 직경보다 크게 설정함으로써(예를 들면, 격자형 공간(12, 22)의 내부 크기(폭 또는 높이)가 14mm이고, 광촉매볼(50)의 직경은 10mm 내외), 공기의 흐름에 있어 공기 유동이 보다 원활해지도록 하여 광촉매볼(50)이 감염원(바이러스 또는 세균)을 포함한 공기와 최대한 접촉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공기 순환 (Circulation) 효율을 높여 공기 정화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식), 이와 달리 제1케이징 격벽부(10)의 격자형 공간(12) 또는 제2케이징 격벽부(20)의 격자형 공간(22)의 크기(폭 또는 높이)를 광촉매볼(50)의 크기(직경)와 유사하게 설정함으로써(예를 들면, 격자형 공간(12, 22)의 내부 크기(폭 또는 높이)가 4.5mm이고, 광촉매볼(50)의 직경은 4mm 내외), 광촉매볼(50)이 공기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 내 감염원(바이러스 또는 세균)과 최대한 접촉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원패스(One pass) 성능을 높여 공기 정화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식).
또한, 광촉매볼(50)과 후술할 격벽 간의 이격 거리는 공기의 흐름에 따른 차압의 크기, 공기 정화 능력 및 에너지 소비 효율 등을 고려하여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제1케이징 격벽부(10)는 전술한 광촉매볼(50)이 위치될 수 있는 공간(격자형 공간)(12)이 격자형으로 복수개 마련된 구성이다. 예를 들어, 제1케이징 격벽부(10)는 방충망 형태(메쉬 또는 격자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제1케이징 격벽부(10)는 광촉매볼(50)을 수용할 수 있는 정도의 전후 방향 두께를 갖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케이징 격벽부(10)는 제2케이징 격벽부(20)보다 상대적으로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케이징 격벽부(10)는 제1덮개(30)의 뒤쪽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케이징 격벽부(10)는 제1덮개(30)와 나사 결합과 같은 체결수단을 통해 결합(연결)될 수 있다. 다만, 제1케이징 격벽부(10) 및 그 전방에 배치되는 제1덮개(30) 간의 체결 방식은 나사 결합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알려진 다양한 체결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케이징 격벽부(10)는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직사각형 윤곽을 갖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케이징 격벽부(10)에 광촉매볼(50) 수용을 위해 형성되는 격자형 공간(12)은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직사각형 윤곽을 갖는 공간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제1케이징 격벽부(10) 및 그에 형성되는 격자형 공간(12)의 형상과 규격 등은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예시적으로, 제1케이징 격벽부(10)의 재질은 메탈, 아크릴, 세라믹, 플라스틱(PVC, PC, PE, ABS 등) 및 EGI 강판 등을 포함하는 재질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제1케이징 격벽부(10)의 재질은 소음, 진동, 격자형 공간(12)의 광촉매볼(50)의 유동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1케이징 격벽부(10)는 광촉매로 코팅되거나 성형된 것일 수 있다. 즉, 광촉매볼(50)과는 독립적으로(별개로) 제1케이징 격벽부(10) 자체가 광촉매 활성 에 의한 목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광촉매 재질의 코팅 또는 성형은 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는 다양한 광촉매 코팅 또는 성형 방식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케이징 격벽부(10)의 제작 방식은 사출 금형, 프레스 금형, 레이저 커팅, water jet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도 13은 본 필터 모듈의 제1케이징 격벽부(10) 또는 제2케이징 격벽부(20)의 제작 방법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1케이징 격벽부(10)의 격벽은 가로 격벽과 세로 격벽 각각을 별도로 제작하고, 가로 격벽과 세로 격벽 각각에 전후 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이러한 절개부에 대한 끼움 결합 방식으로 가로 격벽과 세로 격벽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가로 격벽과 세로 격벽 중 어느 하나는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함몰되는 절개부를 가지고, 다른 하나는 반대로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함몰되는 절개부를 가짐으로써, 이러한 절개부가 상호 대향하는 형태로 가로 격벽과 세로 격벽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1 케이징 격벽부(10) 및 제2 케이징 격벽부(20) 각각은 가로 격벽 및 세로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3을 참조하면, 가로 격벽 및 세로 격벽 중 하나에는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함몰되는 제1 절개부가 형성되고, 가로 격벽 및 세로 격벽 중 다른 하나에는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함몰되어 제1 절개부와 맞물리는 제2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가로 격벽 및 세로 격벽은 제1 절개부와 제2 절개부의 맞물림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절개부와 제2 절개부는 제1 절개부의 후단(제1 절개부의 가장 깊게 함몰된 부분)과 제2 절개부의 전단(제2 절개부의 가장 깊게 함몰된 부분)이 맞물림으로써 결합될 수 있다.
격벽의 두께는 0.1mm 내지 1.2mm 정도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5mm 내지 1.0mm일 수 있다. 격벽이 너무 두꺼우면 차압이 커지게 되고 공기의 유동량이 줄어들어 바람직하지 않고, 너무 얇으면 형태를 유지할 만한 강성을 얻기 힘들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재질, 공기 정화 능력 및 비용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제1덮개(30)는 제1케이징 격벽부(10)의 전면을 덮어 제1케이징 격벽부(10)의 격자형 공간(12)에 수용된 광촉매볼(50)이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으로서, 제1케이징 격벽부(1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덮개(30)는 제1 케이징 격벽부(10)의 격자형 공간(12)의 중간(예를 들면 중앙)을 가로지르도록 연장되는 볼 이탈 방지 부재(31)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볼 이탈 방지 부재(31)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가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부재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볼 이탈 방지 부재(31)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 또는 가로 방향으로도 연장되고 세로 방향으로도 연장되는 메쉬 형태의 부재일 수도 있다. 또한, 볼 이탈 방지 부재(31)의 배치 간격은 광촉매볼(50)의 크기(직경)을 고려하여 광촉매볼(5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간격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촉매볼(50)의 크기가 격자형 공간(12)의 내부 크기 대비 상당히 작은 경우에는, 하나의 격자형 공간(12)에 복수개의 볼 이탈 방지 부재(31)가 가로지르도록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하나의 격자형 공간(12)에 직경이 작은 광촉매볼(50) 복수개를 넣고 메쉬 형태의 덮개로 덮어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케이징 격벽부(10)와 나사 결합과 같은 체결수단을 통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체결수단은 제1덮개(30), 제1케이징 격벽부(10), 제2케이징 격벽부(20) 및 제2덮개(40)를 일거에 연결할 수 있는 긴 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체결수단에는 종래에 공지되거나 향후 개발되는 다양한 종류의 체결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후술할 체결수단들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2케이징 격벽부(20)는 제1케이징 격벽부(10)의 후단에 결합되며, 상기 제1케이징 격벽부(10)의 격자형 공간(12)과 엇갈려서 위치되는 격자형 공간(22)이 복수개 마련된 구성이다. 이러한 제2케이징 격벽부(20)는 제1케이징 격벽부(10)와 동일 내지 유사한 재질, 제작 방식 등에 의해 구비될 수 있고, 동일 내지 유사한 체결수단에 의해 이웃하는 구성들(제1케이징 격벽부(10) 및 제2덮개(40))과 연결될 수 있으므로, 제1케이징 격벽부(10)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제1케이징 격벽부(10)에서 이미 설명한 내용 및 도면을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잇는 내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필터 모듈의 제1케이징 격벽부(10)와 제2케이징 격벽부(20)의 엇갈림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필터 모듈의 제1케이징 격벽부(10)와 제2케이징 격벽부(20)의 엇갈림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제2케이징 격벽부(20)는 제1케이징 격벽부(10)의 후방에 제1케이징 격벽부(10)와는 엇갈린 상태로 중첩되게 전후 방향에 대하여 적층될 수 있다. 이러한 엇갈림 중첩은 제1케이징 격벽부(10)에 수용된 광촉매볼(50)과 제2케이징 격벽부(20)에 수용된 광촉매볼(50)의 표면을 타고 넘어 지나가는 공기의 흐름을 고려하여, 본 필터 모듈을 통과하는 공기가 광촉매볼(50)과 접촉되는 접촉면적이 보다 증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엇갈림 중첩 방식의 적층시에는 본 필터 모듈을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에 따른 후방 차압 발생 정도, 광촉매 활성 반응에 따른 공기 정화 능력, 에너지 소비 효율 등을 고려하여 엇갈림 중첩 정도를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 내지 도 7(주로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제1케이징 격벽부(10)와 제2케이징 격벽부(20)의 엇갈림 배치라 함은, 전방(정면) 또는 후방(배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제1케이징 격벽부(10)의 격벽이 제2케이징 격벽부(20)의 격자형 공간(22)의 중간을 가로지르고, 반대로 제2케이징 격벽부(20)의 격벽이 제1케이징 격벽부(10)의 격자형 공간(12)의 중간을 가로지르도록, 양 격벽이 서로 일치하지 않고 어긋나게(횡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사항을 통해서도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8은 본 필터 모듈의 제1케이징 격벽부(10)와 제2케이징 격벽부(20)의 엇갈림 배치시 광촉매볼(50)의 크기, 격자 공간의 크기, 격벽 두께 등의 설정에 따라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제1케이징 격벽부(10)에 수용된 광촉매볼(50)과 제2케이징 격벽부(20)에 수용된 광촉매볼(50) 사이에 간격(공간)이 형성되는 정도 또는 양 광촉매볼(50)이 상호 중첩되는 정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또한, 도 9는 광촉매볼(50)의 배치에 따른 배치 면적을 고려하기 위한 설계 예시를 나타난 도면이다. 예시적으로 도 8을 참조하면, 원패스(One pass) 성능을 높이는 방식으로 공기를 정화하기 위해, 직경 4mm의 광촉매볼(50)을 4.5mm 간격의 격자형 공간(12, 22)에 가두고 상술한 바와 같이 격자형 공간(12, 22)을 엇갈려 배치하는 경우,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제1케이징 격벽부(10)의 광촉매볼(50) 및 이와 이웃하는 제2케이징 격벽부(20)의 광촉매볼(50) 사이의 최대 이격 거리(s)는 0.2426mm 일 수 있다(도 8을 참조하면, 격자형 공간(12, 22) 내에서 광촉매볼(50)을 최대한 좌측 위 또는 우측 아래로 밀착시킨 상태에서의 이격 거리를 최대 이격 거리로 본 것이다). 이처럼, 직경 4mm인 광촉매볼(50)을 가두기 위해 격벽 간의 간격을 4.5mm 공간에 배치하는 경우, 이러한 이격 0.2426mm에 따른 사이 공간(이격 거리(s)) 형성으로 인해, 광촉매볼(50)을 2단으로 배치하더라도 이를 통과하는 공기가 광촉매볼(50)과 접촉하지 않은 상태로 통과될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공기의 유량 및 광촉매볼(50)과의 접촉 수준을 고려한 광촉매볼(50) 간 최적의 이격거리를 실험, 시뮬레이션 등을 통해 설정할 필요가 있다(도 9 참조).
따라서, 제1 케이징 격벽부(10), 제2 케이징 격벽부(20) 및 광촉매볼(50)은, 제1 케이징 격벽부(10)의 격자형 공간(12) 내에 배치된 제1 광촉매볼(50)과 제1 케이징 격벽부(10)의 격자형 공간(12)과 전후 방향에 대하여 일부 중첩되는 형태로 엇갈려 이웃하는 제2 케이징 격벽부(20)의 격자형 공간(22) 내에 배치된 제2 광촉매볼(50)을 서로 최대한 멀어지도록 이격시키더라도, 전방 또는 후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제1 광촉매볼(50)과 제2 광촉매볼(50)이 일부 중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테면, 제1 케이징 격벽부(10), 제2 케이징 격벽부(20) 및 광촉매볼(50)은, 제1 광촉매볼(50) 및 제2 광촉매볼(50) 중 하나 이상이 그의 중심과 그가 수용된 격자형 공간(12, 22)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는 위치를 갖더라도, 전방 또는 후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제1 광촉매볼(50)과 제2 광촉매볼(50)이 일부 중첩되도록, 다시 말해, 제1 광촉매볼(50)과 제2 광촉매볼(50) 사이에 이격 거리(s)가 형성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가 광촉매볼(50)을 접촉하지 않고 통과할 가능성이 낮아질 수 있다.
또한, 제2 케이징 격벽부(20)의 복수개의 격자형 공간(22)은, 전방 또는 후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그의 내부에 수용되는 광촉매볼(제2 광촉매 볼)(50)과 제1 케이징 격벽부(10)의 복수개의 격자형 공간(12) 각각의 내부에 수용되는 광촉매볼(제1 광촉매볼)(50) 사이에, 각각의 격자형 공간에 대한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간격(공간), 다시 말해 이격 거리가 형성되지 않도록, 제1 케이징 격벽부(10)의 복수개의 격자형 공간(12) 각각과 엇갈려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8을 참조하면, 전방 또는 후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제1 케이징 격벽부(10), 제2 케이징 격벽부(20) 및 광촉매볼(50)은 제1 광촉매볼(50)과 제2 광촉매볼(50) 사이에 각각의 격자형 공간에 대한 대각선 방향으로의 이격 거리(s)가 형성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참고로, 도 8을 참조하면, 여기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이격되는 것은, 제1 케이징 격벽부(10)의 격자형 공간(12)과 제2 케이징 격벽부(20)의 격자형 공간(22)이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엇갈리게 배치된 경우, 제1 케이징 격벽부(10)의 격자형 공간(12)에 배치된 제1 광촉매볼(50)은 격자형 공간(12)에 대한 대각선 방향으로, 제2 케이징 격벽부(20)의 격자형 공간(22)내에 배치된 제2 광촉매볼(50)은 격자형 공간(22)에 대한 대각선 방향으로, 제1 광촉매볼(50)의 중심과 제2 광촉매볼(50)의 중심이 서로 최대한 멀어지도록 이격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필터 모듈의 경우, 필터 성능 최적화, 대량 생산 등을 감안한 재료의 선정 및 부품 모듈화가 필요하며, 특히 차압 발생 정도, 공기 정화 효율(원패스(One pass) , 공기 순환(Circulation) 등), 에너지 소비 효율 등을 고려하여 제작할 필요가 있다.
또한, 도 4의 (a), 도 5 및 도 6의 (b)를 참조하면, 제2케이징 격벽부(20)는 격자형 공간(22)을 형성하는 상하좌우 격벽 중 적어도 하나에 그와 이웃하는 격자형 공간(22)과 상호 공기가 소통되는 홀(21)이 홀 가공 등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방으로부터 유입되어 본 필터 모듈 케이징 격벽부(10, 20)의 격자형 공간(12, 22)을 통과한 공기는 그 뒤쪽의 공기 유출구를 제외하고는 닫힌 공간 내에서 와류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기 회전이 제2케이징 격벽부(20)의 뒤쪽에서 발생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뒤쪽 와류 발생에 의한 공기 유동을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해 제2케이징 격벽부(20)의 격자형 공간(22)을 형성하는 격벽에 홀(21)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홀(21)에 의해, 특정 격자형 공간(22)으로 이동된 공기가 홀을 통해 이웃하는 격자형 공간(22)으로 재이동됨으로써, 차압을 줄임과 동시에 광촉매볼(50)에 대한 접촉면적 또한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홀(21)은 공기 유동 효율성을 고려하여 하나의 격벽에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2덮개(40)는 제2케이징 격벽부(20)의 후면을 덮어 제2케이징 격벽부(20)의 격자형 공간(22)에 수용된 광촉매볼(50)이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2덮개(40)는 도면을 참조하여 제1덮개(30)와 동일 내지 유사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볼 이탈 방지 부재(41), 체결수단 등과 같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11은 본 필터 모듈의 제1덮개(30)의 일체형(1-Body 타입)의 구현예(가장 좌측 그림) 및 조립형(Module 타입)의 구현예(나머지 그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필터 모듈의 제1케이징 격벽부(10)의 일체형(1-Body 타입)의 구현예(가장 좌측 그림) 및 조립형(Module 타입)의 구현예(나머지 그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14는 본 필터 모듈의 제2케이징 격벽부(20)의 일체형(1-Body 타입)의 구현예(가장 좌측 그림) 및 조립형(Module 타입)의 구현예(나머지 그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5는 본 필터 모듈의 제2덮개(40)의 일체형(1-Body 타입)의 구현예(가장 좌측 그림) 및 조립형(Module 타입)의 구현예(나머지 그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도 12,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필터 모듈의 제1덮개(30), 제1케이징 격벽부(10), 제2케이징 격벽부(20), 제2덮개(40) 등은 일체형으로 제작되거나, 또는 각 구성을 이루는 하위 구성(부품)들이 분리되는 조립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필터 모듈은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지만, 모듈의 제작 및 유지 관리 용이성 확보를 위하여 조립형으로 모듈화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모듈의 타입은 본 필터 모듈이 적용되는 여건 등을 고려하여 결정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원은 전술한 본 필터 모듈을 포함하는 공기 정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16은 본 필터 모듈이 광촉매볼(50)의 배치 없이 케이징 격벽부(10, 20)에 광촉매를 코팅하거나 케이징 격벽부(10, 20) 자체를 광촉매 물질을 포함하는 재질로 성형하여 제공되는 일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원은 전술한 본 필터 모듈에서 광촉매볼(50)을 제외하는 대신, 제1케이징 격벽부(10) 및 제2케이징 격벽부(20)의 간격을 보다 조밀(예를 들면 1mm 내지 2mm이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하게 구성하여, 케이징 격벽부(10,20) 자체를 광촉매로 코팅하거나 성형하는 형태 또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제1케이징 격벽부(10)와 제2케이징 격벽부(20)가 엇갈림 배치됨에 따라, 엇갈림 배치된 격자형 공간(12, 22)을 통과하는 공기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 내 감염원(바이러스 또는 세균)이 격벽 전체 표면에 존재하는 광촉매 물질과 접촉됨으로써, 상술한 감염원(바이러스 또는 세균)에 대한 항바이러스 또는 항균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16을 참조하면, 광촉매볼(50)이 제외된 본 필터 모듈의 일 구현예는 제1 케이징 격벽부(10) 및 제2 케이징 격벽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광촉매볼(50)이 제외된 본 필터 모듈의 일 구현예는 정면 또는 후면에서 바라보았을 때를 기준으로, 제1 케이징 격벽부(10)의 격자형 공간(12)을 제2 케이징 격벽부(20)의 격벽이 가로지르거나, 반대로 제2 케이징 격벽부(20)의 격자형 공간(22)을 제1 케이징 격벽부(10)의 격벽이 가로지르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광촉매볼(50)이 제외된 본 필터 모듈의 일 구현예의 경우, 전술한 광촉매볼(50)이 포함된 구현예와 달리, 격자형 공간(12, 22)에 광촉매볼(50)이 배치되지 않으므로, 제1 덮개(30) 또는 제2 덮개(40)가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은 광촉매볼의 배치 없이 케이징 격벽부에 광촉매를 코팅하거나 케이징 격벽부 자체를 광촉매 물질을 포함하는 재질로 성형하여 제공되는 본 필터 모듈을 포함하는 공기 정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 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제1케이징 격벽부
12: 제1 케이징 격벽부의 격자형 공간
20: 제2케이징 격벽부
21: 홀
22: 제2 케이징 격벽부의 격자형 공간
30: 제1덮개
31: 볼 이탈 방지 부재
40: 제2덮개
41: 볼 이탈 방지 부재
50: 광촉매볼

Claims (13)

  1. 대상 공간에 적용되는 광촉매 공조 필터 모듈로서,
    광촉매볼이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이 격자형으로 복수개 마련된 제1케이징 격벽부;
    상기 제1케이징 격벽부의 후단에 결합되며, 상기 제1케이징 격벽부의 격자형 공간과 엇갈려서 위치되는 격자형 공간이 복수개 마련된 제2케이징 격벽부;
    상기 제1케이징 격벽부 및 상기 제2케이징 격벽부의 격자형 공간 내부 각각에 일대일로 대응하여 수용되는 광촉매볼;
    상기 제1케이징 격벽부의 전면을 덮어 상기 광촉매볼이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제1덮개; 및
    상기 제2케이징 격벽부의 후면을 덮어 상기 광촉매볼이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제2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광촉매볼은, 공기의 흐름에 대응하여 수용되는 격자형 공간 내에서 유동할 수 있도록, 격자형 공간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격자형 공간의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 대하여 여유 간격이 형성될 수 있는 크기로 구비되고,
    상기 제1 케이징 격벽부, 상기 제2 케이징 격벽부 및 상기 광촉매볼은, 상기 제1 케이징 격벽부의 격자형 공간 내에 배치된 제1 광촉매볼과, 상기 제1 케이징 격벽부의 격자형 공간과 전후 방향에 대하여 일부 중첩되는 형태로 엇갈려 이웃하는 상기 제2 케이징 격벽부의 격자형 공간 내에 배치된 제2 광촉매볼을, 상기 제1 광촉매볼의 중심과 상기 제2 광촉매볼의 중심이 서로 최대한 멀어지도록 이격시키더라도, 전방 또는 후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제1 광촉매볼과 상기 제2 광촉매볼이 일부 중첩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 케이징 격벽부의 복수개의 격자형 공간 각각은, 상기 제2 광촉매볼의 중심과 상기 제1 광촉매볼의 중심이 각각의 격자형 공간 내에서 서로 최대한 멀어지게 위치하더라도, 전방 또는 후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제2 광촉매볼과 상기 제1 광촉매볼 사이에 이격 거리가 형성되지 않고 일부 중첩되도록, 상기 제1 케이징 격벽부의 복수개의 격자형 공간 각각과 엇갈려 위치되는 것인, 광촉매 공조 필터 모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 공조 필터 모듈은 전방으로부터 상기 제1케이징 격벽부 및 상기 제2케이징 격벽부의 순으로 공기가 통과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케이징 격벽부는 격자형 공간 측면에 이웃하는 격자형 공간과 통하는 홀이 형성된 것인, 광촉매 공조 필터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징 격벽부 및 상기 제2 케이징 격벽부 각각은, 가로 격벽 및 세로 격벽을 포함하고,
    가로 격벽 및 세로 격벽 중 하나에는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함몰되는 제1 절개부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함몰되어 상기 제1 절개부와 맞물리는 제2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로 격벽 및 상기 세로 격벽은 상기 제1 절개부와 상기 제2 절개부의 맞물림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것인, 광촉매 공조 필터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볼은 광촉매 성형 볼 또는 세라믹이나 메탈 재질의 볼에 광촉매를 코팅한 볼인 것인, 광촉매 공조 필터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 공조 필터 모듈은,
    상기 제1케이징 격벽부 및 상기 제2케이징 격벽부를 향하여 광을 조사하는 활성 광원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활성 광원부는 상기 제1케이징 격벽부 전방 또는 상기 제2케이징 격벽부 후방 상에 위치되는 것인, 광촉매 공조 필터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 공조 필터 모듈은,
    상기 제1케이징 격벽부 또는 제2케이징 격벽부와 활성 광원부 간의 이격거리 및 공기 유로를 확보하기 위한 가이드 프레임;
    활성 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외부 유출을 최소화하고 광촉매 활성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광 반사판;
    활성 광원 드라이버; 및
    전원 공급하기 위한 공급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인, 광촉매 공조 필터 모듈.
  10. 제1항에 따른 광촉매 공조 필터 모듈을 포함하는 공기 정화 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210033587A 2020-03-16 2021-03-15 항바이러스 성능을 갖는 광촉매 공조 필터 모듈 KR102575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912,023 US20230133151A1 (en) 2020-03-16 2021-03-16 Photocatalytic air conditioning filter module with antiviral performance
PCT/KR2021/003227 WO2021187860A1 (ko) 2020-03-16 2021-03-16 항바이러스 성능을 갖는 광촉매 공조 필터 모듈
CN202180022081.3A CN115335090B (zh) 2020-03-16 2021-03-16 具有抗病毒性能的光触媒空调过滤器模块
JP2022552356A JP2023517510A (ja) 2020-03-16 2021-03-16 抗ウイルス性能を有する光触媒空調フィルタモジュール
EP21771653.9A EP4122505A4 (en) 2020-03-16 2021-03-16 AIR CONDITIONING FILTER MODULE WITH PHOTOCATALYTIC EFFECT HAVING ANTIVIRAL PERFORM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932 2020-03-16
KR20200031932 2020-03-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6338A KR20210116338A (ko) 2021-09-27
KR102575991B1 true KR102575991B1 (ko) 2023-09-07

Family

ID=77925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3587A KR102575991B1 (ko) 2020-03-16 2021-03-15 항바이러스 성능을 갖는 광촉매 공조 필터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59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3673A (ko) 2021-11-02 2023-05-09 주식회사 원방테크 감염원 확산방지를 위한 스포츠시설물 설치용 냉난방 공조장치
KR102514815B1 (ko) * 2022-01-12 2023-03-30 (주)벤텍프런티어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정화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60913A1 (en) * 2001-02-26 2002-10-31 Sangiovanni Joseph J. Titania-coated honeycomb catalyst matrix for UV-photocatalytic oxidation of organic pollutants, and process for making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9704A (ko) * 2014-01-28 2015-08-05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엘이디 광원을 이용한 공기정화용 필터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20160039073A (ko) * 2014-09-30 2016-04-08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광촉매 볼 필터 및 이를 이용한 공기 정화 시스템
KR20160098631A (ko) * 2015-02-10 2016-08-19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효율이 증가된 광촉매필터 구조를 구비하는 공기정화기
KR20170014483A (ko) * 2015-07-30 2017-02-08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광촉매필터 및 그 제조방법
KR102477937B1 (ko) * 2016-10-19 2022-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촉매 필터 및 광촉매 필터를 포함한 공기조화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60913A1 (en) * 2001-02-26 2002-10-31 Sangiovanni Joseph J. Titania-coated honeycomb catalyst matrix for UV-photocatalytic oxidation of organic pollutants, and process for mak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6338A (ko) 2021-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5991B1 (ko) 항바이러스 성능을 갖는 광촉매 공조 필터 모듈
JP5812970B2 (ja) 空気清浄装置
CN109069684B (zh) 空气净化装置
JP2017148484A (ja) 空気清浄機の光触媒による空気清浄化構造、該空気清浄化構造を備える空気清浄機、及び前記空気清浄化構造に用いる光触媒フィルタ
US20220404045A1 (en) Air cleaner
RU189481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обеззараживания воздуха
KR102075913B1 (ko) 공기청정기
JP2005279279A (ja) 自動車の車室用空調機のための光触媒による空気浄化装置
KR102432453B1 (ko) 공기살균모듈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CN115335090B (zh) 具有抗病毒性能的光触媒空调过滤器模块
WO2021084237A2 (en) Fluid processing
KR102351680B1 (ko) 광촉매 필터 모듈
US20230310689A1 (en) Uv lamp comprising an air guide for improving the function
JP2013094736A (ja) 空気清浄器
CN215692928U (zh) 一种灭菌装置、空气过滤器及过滤系统
KR102573027B1 (ko) Led 조명을 활용한 실내 공기 살균기
US11933519B2 (en) Air conditioner
WO2023074587A1 (ja) 空気調和機
KR102601645B1 (ko) 소음 모듈이 장착된 공기 조화 장치
KR102585172B1 (ko) 자외선의 난반사 공기살균장치
US20240139367A1 (en) Air Disinfection Troffer
JP7332932B2 (ja) 空気調和機
KR102019949B1 (ko) 환경 정화 장치
CN210463377U (zh) 形成回流进风的空气制造机
CN218722124U (zh) 一种双风机净化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