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5810B1 - Dehumaification optical lens module - Google Patents

Dehumaification optical lens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5810B1
KR102575810B1 KR1020210038299A KR20210038299A KR102575810B1 KR 102575810 B1 KR102575810 B1 KR 102575810B1 KR 1020210038299 A KR1020210038299 A KR 1020210038299A KR 20210038299 A KR20210038299 A KR 20210038299A KR 102575810 B1 KR102575810 B1 KR 102575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er
case
lens
passage
inne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82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33024A (en
Inventor
이병화
Original Assignee
부원광학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원광학주식회사 filed Critical 부원광학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38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5810B1/en
Publication of KR20220133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302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5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58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0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to keep optical surfaces clean, e.g. by preventing or removing dirt, stains, contamination, condens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6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using retaining rings or spr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은 축방향을 따라 정렬되는 복수의 렌즈 유닛들을 내부에 구비하는 렌즈 조립체; 및 상기 렌즈 조립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서 고정시키도록 배치되고, 상기 렌즈 조립체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 조립체는, 관형으로 형성되어서, 내부에 상기 복수의 렌즈 유닛이 위치되며,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제1 벽면 유로와 제2 벽면 유로를 구비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전방에 배치되는 커버렌즈; 상기 커버렌즈의 전방 테두리 일부를 감싸며, 상기 케이스와 결합되는 리테이너; 및 상기 커버렌즈와 상기 리테이너 사이에 배치되는 씰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는, 상기 케이스의 제1 벽면 유로와 연통되는 인렛 유로; 및 상기 케이스의 제2 벽면 유로와 연통되는 아웃렛 유로;를 포함한다.A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lens assembly having a plurality of lens units aligned along an axial direction therein; and a holder arranged to surround and fix at least a portion of the lens assembly and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space of the lens assembly, wherein the lens assembly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and the plurality of lens units are positioned therein. , A case having a first wall channel and a second wall channel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space; a cover lens disposed in front of the case; a retainer surrounding a portion of the front edge of the cover lens and coupled to the case; and a seal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cover lens and the retainer, wherein the holder includes: an inlet passage communicating with a first wall passage of the case; and an outlet channel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wall channel of the case.

Description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DEHUMAIFICATION OPTICAL LENS MODULE}Dehumidification optical system lens module {DEHUMAIFICATION OPTICAL LENS MODULE}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이 개시된다. 구체적으로, 외부와 밀폐되어서 방수조건을 만족하는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이 개시된다. A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is disclosed. Specifically, a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that is sealed from the outside and satisfies waterproof conditions is disclosed.

근래에 카메라나 램프 등에 방수처리가 된 렌즈 조립체가 이용되고 있다. Recently, a lens assembly having a waterproof treatment has been used, such as a camera or a lamp.

이러한 렌즈 조립체는 빛의 성질을 이용하여 광학적 상을 맺게 하는 것으로써, 주로 자동차 카메라 등에 이용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렌즈 조립체는 근래 자동차의 보조장치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가 많아 방수(일반적으로, IP69K 100BAR 수준)가 필수로 요구되고 있다. Such a lens assembly forms an optical image using the properties of light, and is mainly used in automobile cameras and the like. In particular, these lens assemblies have recently been widely used as auxiliary devices for automobiles, and are often exposed to the outside, so waterproofing (typically, IP69K 100BAR level) is required.

이러한 방수 광학계 렌즈 조립체는 방수의 특성상 외부와의 통기가 차단되고, 이에 따라 렌즈 조립체의 제작 시 환경에 따라서 렌즈 조립체 내의 습도가 결정된다. Such a waterproof optical system lens assembly blocks ventilation with the outside due to its waterproof nature, and accordingly, the humidity in the lens assembly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when the lens assembly is manufactured.

예를 들어, 이러한 렌즈 조립체가 자동차 등에 사용될 때, 주로 디지털 사이드미러에 적용되는데, 차량의 주행 시 찬 바람에 의해 렌즈 조립체가 냉각되고, 이에 의해 렌즈 조립체 내부의 렌즈에 결로가 생기게 된다. 이러한 결로는 렌즈 조립체 내의 렌즈를 흐리게 하여 센서의 센싱을 방해한다.For example, when such a lens assembly is used in an automobile or the like, it is mainly applied to a digital side mirror. When the vehicle is driven, the lens assembly is cooled by cold wind, thereby causing condensation to form on the lens inside the lens assembly. This dew condensation obstructs the sensing of the sensor by clouding the lens in the lens assembly.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내부 습기를 제거하는 구조를 갖는 렌즈 조립체는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19-0102724호 "차량용 카메라 모듈"에 개시되어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lens assembly having a structure for removing internal moisture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9-0102724 "Camera Module for Vehicles".

그러나, 위에서 언급된 "차량용 카메라 모듈"는 렌즈에 열을 가하여 결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써, 지속적으로 렌즈 온열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며, 내부의 습기를 근본적으로 제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vehicle camera module” solves the dew condensation problem by applying heat to the lens, and must continuously keep the lens warm, and it is impossible to fundamentally remove internal moisture.

본 발명의 첫번째 목적은 렌즈 조립체 내의 결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capable of preventing dew condensation in a lens assembly.

본 발명의 두번째 목적은 렌즈 조립체의 방수 불량을 방지하며 조립될 수 있는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that can be assembled while preventing waterproof defects of the lens assembly.

본 발명의 세번째 목적은 렌즈 조립체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렌즈들의 누적공차를 해결하기 위한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A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for solving the accumulation tolerance of a plurality of lenses disposed inside a lens assembly.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은 축방향을 따라 정렬되는 복수의 렌즈 유닛들을 내부에 구비하는 렌즈 조립체; 및 상기 렌즈 조립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서 고정시키도록 배치되고, 상기 렌즈 조립체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 조립체는, 관형으로 형성되어서, 내부에 상기 복수의 렌즈 유닛이 위치되며,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제1 벽면 유로와 제2 벽면 유로를 구비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전방에 배치되는 커버렌즈; 상기 커버렌즈의 전방 테두리 일부를 감싸며, 상기 케이스와 결합되는 리테이너; 및 상기 커버렌즈와 상기 리테이너 사이에 배치되는 씰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는, 상기 케이스의 제1 벽면 유로와 연통되는 인렛 유로; 및 상기 케이스의 제2 벽면 유로와 연통되는 아웃렛 유로;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humidification optical system lens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ens assembly having a plurality of lens units aligned along an axial direction therein; and a holder arranged to surround and fix at least a portion of the lens assembly and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space of the lens assembly, wherein the lens assembly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and the plurality of lens units are positioned therein. , A case having a first wall channel and a second wall channel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space; a cover lens disposed in front of the case; a retainer surrounding a portion of the front edge of the cover lens and coupled to the case; and a seal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cover lens and the retainer, wherein the holder includes: an inlet passage communicating with a first wall passage of the case; and an outlet channel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wall channel of the case.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의 상기 리테이너는, 관형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커버렌즈의 측면과 상기 케이스의 전방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제1 리테이너; 및 환형으로 형성되어서, 외주면이 상기 제1 리테이너의 내주면과 맞물려 결합되고, 상기 커버렌즈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 리테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리테이너는 상기 제1 리테이너와 결합되어서, 상기 제1 리테이너 내의 상기 커버렌즈를 상기 커버렌즈의 후방에서 지지하여 상기 커버렌즈의 위치를 고정시키며, 상기 제2 리테이너는 상기 제1 벽면 유로 및 상기 제2 벽면 유로와 연통되는 복수의 통기홈을 구비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tainer of the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retainer formed in a tubular shape to cover a side surface of the cover lens and a front portion of the case; and a second retainer formed in an annular shape,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which is interdigitated with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etainer, and disposed behind the cover lens, wherein the second retainer is coupled to the first retainer, so that the second retainer is coupled to the first retainer. 1 retainer supports the cover lens from a rear side of the cover lens to fix the position of the cover lens, and the second retainer has a plurality of ventilation grooves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wall channel and the second wall channel. can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의 제1 리테이너는, 상기 제1 리테이너의 전방에서 상기 제1 리테이너의 내주면에서 원심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턱; 상기 돌출턱으로 형성되는 개구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리테이너의 축 방향으로 상기 돌출턱의 후방에 형성되는 제1 내측단; 상기 제1 내측단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리테이너의 축방향으로 상기 제1 내측단의 후방에 형성되는 제2 내측단; 및 상기 제2 내측단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리테이너의 축방향으로 상기 제2 내측단의 후방에 형성되는 제3 내측단;을 구비하고, 상기 커버렌즈의 외경은 상기 제1 내측단의 지름과 대응되며, 상기 커버렌즈는 상기 제1 리테이너의 상기 제1 내측단에 의해 감싸이는 영역으로 삽입되고, 상기 제2 리테이너의 외주면의 지름은 상기 제2 내측단의 지름과 대응되며, 상기 제2 리테이너는 상기 제1 리테이너의 상기 제2 내측단에 의해 감싸이는 영역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 리테이너와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의 외경은 상기 제3 내측단의 지름과 대응되며, 상기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리테이너의 상기 제3 내측단에 의해 감싸이는 영역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 리테이너와 결합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etainer of the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truding jaw protruding in a centrifugal direction from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etainer in front of the first retainer; a first inner end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diameter of the opening formed by the protruding jaw and formed behind the protruding jaw in an axial direction of the first retainer; a second inner end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at of the first inner end and formed behind the first inner end in an axial direction of the first retainer; and a third inner end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inner end and formed behind the second inner end in an axial direction of the first retainer, wherein the outer diameter of the cover lens is the third inner end. 1 corresponds to the diameter of the inner end, the cover lens is inserted into an area surrounded by the first inner end of the first retainer, and the diameter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retainer corresponds to the diameter of the second inner end The second retainer is inserted into an area surrounded by the second inner end of the first retainer and coupled to the first retainer, and an outer diameter of at least a part of the case corresponds to a diameter of the third inner end. At least a portion of the case may be inserted into an area surrounded by the third inner end of the first retainer and coupled to the first retainer.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의 상기 제1 리테이너의 상기 제2 내측단은 나사산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리테이너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2 내측단의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서, 상기 제1 리테이너와 상기 제2 리테이너는 서로 나사결합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inner end of the first retainer of the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crew thread,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retainer has a screw thread of the second inner end. Corresponding threads are formed so that the first retainer and the second retainer can be screwed together.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의 상기 제2 리테이너는 복수의 관통 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통기홈은 상기 복수의 관통 유로와 연통되며, 상기 제2 리테이너 상에서 상기 커버렌즈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관통 유로는 각각 상기 제1 벽면 유로 및 상기 제2 벽면 유로와 연통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retainer of the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through passages, the plurality of ventilation grooves communicate with the plurality of through passages, and the second retainer It is formed on the retainer in the direction of the cover lens, and the plurality of through passages may communicate with the first wall passage and the second wall passage, respectively.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의 상기 제2 리테이너는 상기 케이스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케이스와 상기 제2 리테이너는 서로 이격되며, 상기 복수의 관통 유로는 상기 케이스의 전방과 상기 제2 리테이너의 후방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지나 상기 제1 벽면 유로 및 상기 제2 벽면 유로와 연통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retainer of the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 front of the case, the case and the second retainer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plurality of through passages The first wall channel and the second wall channel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a space formed between a front side of the case and a rear side of the second retainer.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의 상기 케이스는 상기 리테이너와 상기 홀더에 의해 둘러싸이며, 상기 제1 벽면 유로와 상기 제2 벽면 유로는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리세스, 및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상기 홀더와 상기 리테이너의 내주면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of the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rrounded by the retainer and the holder, and the first wall passage and the second wall passage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It may be defined by a recess, and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der and the retainer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의 상기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를 방사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연결 유로 및 제2 연결 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렌즈 유닛은 관 형상의 상기 케이스 내주면을 따라 정렬되며, 상기 렌즈 조립체는 상기 복수의 렌즈 유닛 사이에 배치되어서 상기 복수의 렌즈 유닛을 각각 이격시키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벽면 유로와 상기 제2 벽면 유로는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리세스와 상기 케이스내에 배치되는 상기 스페이서 및 상기 복수의 렌즈 유닛에 의해 정의되며, 상기 제1 연결 유로는 상기 제1 벽면 유로와 상기 인렛 유로를 연결시키고, 상기 제2 연결 유로는 상기 제2 벽면 유로와 상기 아웃렛 유로를 연결시킬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of the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nnection passage and a second connection passage penetra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case in a radial direction, and the plurality of lenses The units are aligned alo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ular case, the lens assembly further includes a spacer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lens units to separate the plurality of lens units, and the first wall channel and the second The wall channel is defined by a recess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the spacer disposed in the case, and the plurality of lens units, the first connection channel connects the first wall channel and the inlet channel, and A second connection passage may connect the second wall passage and the outlet passage.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은 상기 인렛 유로와 연결되는 유체 공급라인; 및 상기 아웃렛 유로와 연결되는 유체 회수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유체 공급라인은 저습도의 기체를 상기 홀더로 공급하고, 상기 유체 회수라인은 상기 렌즈 조립체를 순환한 기체를 상기 홀더를 통해 회수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uid supply line connected to the inlet passage; and a fluid recovery line connected to the outlet passage, wherein the fluid supply line supplies low-humidity gas to the holder, and the fluid recovery line recovers the gas circulating through the lens assembly through the holder. and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의 상기 홀더는 상기 인렛 유로와 상기 아웃렛 유로를 각각 폐쇄하는 마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der of the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stoppers for closing the inlet passage and the outlet passage, respectively.

상술한 해결수단을 통해 얻게 되는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obtained through the above solutions are as follows.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에 의하면,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은 내부에 유체가 순환될 수 있는 유로를 구비하며, 이러한 유로에는 선택적으로 저습도의 공기가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에 저습도의 공기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며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의 내부 공간에 유체의 흐름이 생성될 수 있고 이는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의 내부 렌즈 유닛들 및 커버렌즈 후방에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First, according to the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has a passage through which a fluid can be circulated, and low-humidity air can be selectively supplied to the passage. Low-humidity air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and a flow of fluid can be gener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which causes condensation to occur on the inner lens units and the rear of the cover lens of the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that can be prevented

구체적으로, 사용 환경에서 유로가 개방되어서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 내의 공기가 자연배기되어서 순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 내외측의 온도 차이에 의한 결로 현상이 방지될 수 있고, 저습공기를 인위적으로 공급하여 유로 내의 습기를 제거하여 결로 현상을 방지할 수도 있으며, 유로에 저습공기가 공급된 후 마개를 통해 유로를 폐쇄하여, 내부 저습환경을 유지할 수도 있다. Specifically, in the use environment, the flow path is opened so that the air in the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can be naturally exhausted and circulated. Accordingly, condensation caused by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can be prevented, and low-humidity air can be artificially introduced. It is possible to prevent dew condensation by removing moisture in the passage by supplying air to the passage, and after supplying low-humidity air to the passage, the passage is closed through a stopper to maintain an internal low-humidity environment.

또한,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이 제작 완료된 후 저습도의 유체를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 내부 공간에 제공하여, 제작 환경에서 유입될 수 있는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이후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을 밀봉하여 내부 공간의 습도를 낮게 유지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after the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is manufactured, a low-humidity fluid may be provided to the inner space of the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to remove moisture that may be introduced from the manufacturing environment. Thereafter, the humidity of the internal space may be kept low by sealing the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에 의하면, 리테이너와 커버렌즈는 리테이너와 커버렌즈 사이에 배치되는 오링 또는 씰링부재가 파손되지 않도록 리테이너와 커버렌즈를 먼저 가압하여 오링 또는 씰링부재를 압축시킨 상태에서 리테이너와 커버렌즈를 결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오링 또는 씰링부재의 손상 또는 파손이 예방되어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의 방수 불량율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리테이너가 오링 또는 씰링부재를 고정하기 때문에, 복수의 렌즈 유닛들의 중첩에 의해 발생하는 누적공차와 관계없이 오링 또는 실링부재의 설계 압축률을 달성할 수 있다. Second, according to the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tainer and the cover lens are compressed by first pressing the retainer and the cover lens so that the O-ring or seal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retainer and the cover lens is not damaged. It is possible to combine the retainer and the cover lens in . Accordingly, damage or breakage of the O-ring or sealing member can be prevented, thereby reducing the waterproof defect rate of the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In addition, since this retainer fixes the O-ring or the sealing member, a design compressibility of the O-ring or the sealing member can be achieved regardless of the accumulated tolerance caused by the overlapping of the plurality of lens units.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에 의하면, 리테이너는 케이스 방향으로 돌출되는 기둥요소를 포함하며, 이러한 기둥요소는 리테이너와 케이스의 결합 시 케이스의 관 형상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의 내측 관에는 복수의 렌즈 유닛들이 정렬되어 있으며, 기둥요소는 복수의 렌즈 유닛들을 방수 광학계 렌즈의 후방으로 밀어서, 복수의 렌즈들은 고정한다. Third, according to the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tainer includes a pillar element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case, and when the retainer and the case are coupled, the retainer may be drawn into the tubular shape of the case. A plurality of lens units are arranged in the inner tube of the case, and the pillar element pushes the plurality of lens units to the rear of the lens of the waterproof optical system to fix the plurality of lenses.

도 1은 본 발명의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된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도시된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 내에 결로가 발생한 모습을 도시한다.
도 5는 도 3에서 도시된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 내의 유체 흐름을 도시한다.
도 6은 도 5에서 도시된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에 마개가 적용된 후방 사시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도시된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 내에 결로가 발생한 모습을 도시한다.
도 9는 도 7에서 도시된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 내의 유체 흐름을 도시한다.
도 10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서 도시된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 내에 결로가 발생한 모습을 도시한다.
도 12는 도 10에서 도시된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 내의 유체 흐름을 도시한다.
도 13은 제4 실시예에 따른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제5 실시예에 따른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제6 실시예에 따른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의 부분 단면도이다.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shown in FIG. 1 .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4 shows a state in which dew condensation occurs in the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shown in FIG. 3 .
FIG. 5 illustrates fluid flow in the dehumidifying optics lens module shown in FIG. 3 .
FIG. 6 is a rear perspective view in which a stopper is applied to the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shown in FIG. 5 .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FIG. 8 shows a state in which dew condensation occurs in the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shown in FIG. 7 .
FIG. 9 illustrates fluid flow in the dehumidifying optics lens module shown in FIG. 7 .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FIG. 11 illustrates dew condensation in the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shown in FIG. 10 .
FIG. 12 illustrates fluid flow in the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shown in FIG. 10 .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1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the dehumidification optical system lens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and equivalent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water or substitute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Singular expressions used herein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there may be other elements in the middl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exists in the middle.

또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n elem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to,”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that elem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there may be another element between the ele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Components included in one embodiment and components having common functions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names in other embodiments. Unless stated to the contrary, descriptions described in one embodiment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and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to the extent of overlap.

첨언하여, 동일한 구조의 도면부호를 갖는 구성은 다른 기재가 없는 이상 다른 실시 예에서도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으로 인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320번의 도면부호와 또한 유사한 명칭을 갖는 구성은 별다른 기재가 없다면 320번, 2320번, 3320번 등등의 구성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일 수 있다. Incidentally, components having the same structural reference numerals may be recognized as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in other embodiments unless otherwise specified. For example, elements having reference numerals 1320 and similar names may be the same as or similar to elements 320, 2320, 3320, and the like, unless otherwise specified.

도 1은 본 발명의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시된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의 후방 사시도이다.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shown in FIG. 1 .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은 렌즈 조립체(100)와 홀더(20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 the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includes a lens assembly 100 and a holder 200 .

렌즈 조립체(100)는 내부에 공간을 구비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홀더(200)는 이러한 렌즈 조립체(100)의 후방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즉, 도 1과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렌즈 조립체(100)의 전방 일부(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렌즈 조립체(1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도면에서 도시되는 커버렌즈(130) 방향을 전방으로 정의하며 홀더(200), 유체 공급라인(300), 유체 회수라인(400) 방향을 후방으로 정의함)는 노출되고, 렌즈 조립체(100)의 후방 일부는 홀더(200)에 의해 둘러 싸인다. The lens assembly 10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space therein, and the holder 200 is formed to surround at least a part of the rear of the lens assembly 100. That is,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front portion of the lens assembly 100 (the central axis of the lens assembly 100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defines the direction of the cover lens 130 shown in the drawing as the front, The direction of the holder 200, the fluid supply line 300, and the fluid recovery line 400 is defined as backward) is exposed, and a rear part of the lens assembly 100 is surrounded by the holder 200.

렌즈 조립체(100)의 전면에는 개구가 형성되며, 이러한 개구에 의해 커버렌즈(130)의 일부가 돌출되며 노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An opening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ens assembly 100, and a portion of the cover lens 130 protrudes and is exposed through the opening.

홀더(200)는 이러한 렌즈 조립체(100)와 결합되며, 렌즈 조립체(10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된다.The holder 200 is coupled to the lens assembly 100 and communicates with the inner space of the lens assembly 100 .

구체적으로, 이러한 홀더(200)는 외부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인렛 유로(202)와 아웃렛 유로(204)를 구비하며, 이러한 인렛 유로(202)와 아웃렛 유로(204)는 각각 렌즈 조립체(100)의 측면에 형성되는 개구들과 연결되어서 연통된다. 이러한 홀더(200)의 후방은 개방된 채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자연적으로 외기와의 순환이 이루어져 온도차이나 과도한 습기에 의해 발생하는 결로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holder 200 includes an inlet passage 202 and an outlet passage 204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and each of the inlet passage 202 and the outlet passage 204 is of the lens assembly 100. It is connected to and communicates with the openings formed on the side surfaces. The rear of the holder 200 may be provided in an open state, whereby outdoor air is naturally circulated to prevent dew condensation caused by a temperature difference or excessive moisture.

또는, 이러한 홀더(200)의 후방에는 유체 공급라인(300)과 유체 회수라인(400)이 연결될 수 있으며, 유체 공급라인(300)은 렌즈 조립체(1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체를 공급할 수 있고, 유체 회수라인(400)은 렌즈 조립체(100)의 내부 공간의 유체를 회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렌즈 조립체(100)의 내부 공간의 유체는 순환된다.Alternatively, the fluid supply line 300 and the fluid recovery line 400 may be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holder 200, and the fluid supply line 300 may supply fluid to the inner space of the lens assembly 100, The fluid recovery line 400 may recover fluid in the inner space of the lens assembly 100 . Accordingly, the fluid in the inner space of the lens assembly 100 is circulated.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도시된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 내에 결로가 발생한 모습을 도시하며, 도 5는 도 3에서 도시된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 내의 유체 흐름을 도시하고, 도 6은 도 5에서 도시된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에 마개가 적용된 후방 사시도이다.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4 shows dew condensation in the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shown in FIG. 3, and FIG. 5 is the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shown in FIG. 6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cap applied to the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shown in FIG. 5 .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의 렌즈 조립체(100)는 축방향을 따라 정렬되는 복수의 렌즈 유닛들(120)과 복수의 렌즈 유닛들(120)을 수용하는 관 형상의 케이스(110)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렌즈 조립체(100)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의 전방에 배치되는 커버렌즈(130), 커버렌즈(130)의 전방 테두리 일부를 감싸며, 케이스(110)와 결합되는 제1 리테이너(140), 제1 리테이너(140)의 내부에서 제1 리테이너(140)의 내주면과 맞물려 결합되는 제2 리테이너(150) 및 제1 리테이너(140)와 커버렌즈(130) 사이에 배치되는 씰링부재(160)를 포함한다. 1 to 5 , the lens assembly 100 of the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lens units 120 and a plurality of lens units 120 aligned along an axial direction. It includes a tubular case 110 for accommodating.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lens assembly 100 surrounds the cover lens 130 disposed in front of the case 110 and a part of the front edge of the cover lens 130, and the first coupled to the case 110. The retainer 140, the second retainer 150 interlockingly coupled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etainer 140 inside the first retainer 140, and a seal disposed between the first retainer 140 and the cover lens 130 It includes member 160.

렌즈 유닛들(120)은 관 형상의 케이스(110)의 내경에 대응되는 지름을 가져서, 케이스(110)의 내주면을 따라서 배열되며, 이러한 렌즈 유닛들(120) 사이에는 복수 개의 스페이서(170)가 케이스(110)의 내주면에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스페이서(170)는 각 렌즈 유닛들(12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고, 추가로 복수 개의 렌즈 유닛들(120)의 간격을 이격시킨 채로 정렬시킬 수 있다. 케이스(110)의 최후방에는 케이스(110)의 중심축 방향으로 돌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돌기는 렌즈 유닛들(120) 중 케이스(110) 내부에서 최후방으로 배치되는 렌즈 유닛(120)이 외부로 탈출되는 것을 막아, 최후방 렌즈 유닛(12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렌즈 유닛(120)은 돌기와 접촉되어서 케이스 밀봉을 이룰 수 있다. The lens units 120 have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tubular case 110 and are arrang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110, and a plurality of spacers 170 are provided between the lens units 120. It may be placed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110 . The spacer 170 may fix the position of each lens unit 120 and may additionally align the plurality of lens units 120 while leaving them spaced apart. A protrusion may be formed on the rearmost side of the case 110 in the direction of a central axis of the case 110, and the protrusion may be formed on the lens unit 120 disposed rearward in the inside of the case 110 among the lens units 120. The escaping to the outside can be prevented, and the position of the rearmost lens unit 120 can be fixed. The lens unit 120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protrusion to seal the case.

제1 리테이너(140)는 관형으로 형성되어서, 커버렌즈(130)의 측면과 케이스(110)의 전방 일부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리테이너(140)의 전방에는 개구가 형성되며, 제1 리테이너(140)의 전방에는 제1 리테이너(140)의 원심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턱(142)이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retainer 140 may be formed in a tubular shape to cover a side surface of the cover lens 130 and a front portion of the case 110 . An opening may be formed in front of the first retainer 140 , and a protrusion 142 protruding in a centrifugal direction of the first retainer 140 may be formed in the front of the first retainer 140 .

구체적으로, 제1 리테이너(140)는 가운데가 뚫린 환형의 단면을 가지며, 제1 리테이너(140)는 후방으로 점점 환형의 지름이 단계적으로 증가하도록 연장되어서, 전방과 후방의 개구 크기가 다른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턱(142)은 제1 리테이너(140)의 전방 내주면에서 제1 리테이너(140)의 가상의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돌출턱(142)은 제1 리테이너(140)의 내주면을 따라서 돌출되어서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돌출턱(142)은 제1 리테이너(140)의 전방에 위치되는 개구를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돌출턱(142)은 렌즈 조립체(10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지름이 점점 증가하게 사선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돌출턱(142)은 후방에서 전방으로 지름이 점점 넓어지게 경사질 수 있으며, 제1 리테이너(140)의 단면 형상에서 돌출턱(142)의 후방은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irst retainer 140 has an annular cross section with a hole in the middle, and the first retainer 140 extends to the rear so that the annular diameter gradually increases, so that the front and rear openings have different sizes. can be formed as The protruding jaw 142 may protrude from the front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etainer 140 toward an imaginary central axis of the first retainer 140, and the protruding jaw 142 may protrude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etainer 140. Therefore, it can protrude and form an annular shape. Accordingly, the protruding jaw 142 may define an opening positioned in front of the first retainer 140 . The protruding jaw 142 may be formed to have an oblique cross section with a diameter gradually increasing from the rear to the front of the lens assembly 100 . That is, the protruding jaw 142 may be inclined so that its diameter gradually widens from the rear to the front, and the rear of the protruding jaw 142 may be formed flat i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rst retainer 140 .

제1 리테이너(140)의 내주면은 복수 개의 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리테이너(140)의 내주면은 제1 내측단(144), 제2 내측단(146) 및 제3 내측단(148)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내측단(144)의 지름은 돌출턱(142)에 의해 정의되는 개구의 지름보다 크거나 같고, 제2 내측단(146)의 지름은 제1 내측단(144)의 지름보다 크거나 같으며, 제3 내측단(148)의 지름은 제2 내측단(146)의 지름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etainer 140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stages. Specifically,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etainer 140 may include a first inner end 144 , a second inner end 146 , and a third inner end 148 . The diameter of the first inner end 144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opening defined by the protruding jaw 142, and the diameter of the second inner end 146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first inner end 144. And, the diameter of the third inner end 148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second inner end 146.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리테이너(140)의 내주면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점점 증가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제1 리테이너(140)의 내주면에 각각 형성되는 돌출턱(142), 제1 내측단(144), 제2 내측단(146) 및 제3 내측단(148)은 가장 지름이 작은 돌출턱(142)부터 제1 내측단(144), 제2 내측단(146) 및 제3 내측단(148)까지 전방에서 후방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etainer 140 may be formed to gradually increase from the front to the rear, and thus the protruding jaw 142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etainer 140, the first inner end ( 144), the second inner end 146 and the third inner end 148 are the first inner end 144, the second inner end 146 and the third inner end ( 148) can be formed sequentially from the front to the rear.

보다 상세하게, 제1 리테이너(140)의 전방 쪽 내주면에는 돌출턱(142)이 형성되며, 제1 내측단(144)은 제1 리테이너(140)의 내주면에서 돌출턱(142)으로 정의되는 제1 개구의 지름보다 크고 돌출턱(142)의 후방에 형성되며, 제2 내측단(144)은 제1 리테이너(140)의 내주면에서 제1 내측단(144)의 후방에 형성되고, 제3 내측단(148)은 제1 리테이너(140)의 내주면에서 제2 내측단(146)의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a protruding jaw 142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n the front side of the first retainer 140, and the first inner end 144 is defined as the protruding jaw 142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etainer 140. It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one opening and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protruding jaw 142, the second inner end 144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first inner end 144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etainer 140, and the third inner end The end 148 may be formed behind the second inner end 146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etainer 140 .

제2 리테이너(150)는 제1 리테이너(140)와 결합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리테이너(150)는 제1 리테이너(140)의 내주면 일부 중 제2 내측단(146) 부분에서 결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제2 리테이너(150)의 외주면 지름은 제2 내측단(146)의 지름과 대응되며, 제2 리테이너(150)는 제2 내측단(146)에 의해 감싸이는 영역으로 삽입되어 제1 리테이너(140)와 결합될 수 있다. The second retainer 150 may be formed to be coupled with the first retainer 140 . Specifically, the second retainer 150 may be coupled at the second inner end 146 of a port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etainer 140, and specifically, the outer circumferential diameter of the second retainer 150 is the second inner end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146, the second retainer 150 may be inserted into an area surrounded by the second inner end 146 and coupled with the first retainer 140.

제2 리테이너(150)는 제1 리테이너(140)와 마찬가지로 가운데가 뚫린 환형으로 형성되어서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제2 리테이너(150)는 개구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제1 리테이너(140)의 개구와 제2 리테이너(150)의 개구는 제1 리테이너(140)의 중심축 및 제2 리테이너(150)의 중심축과 동일한 가상의 축을 형성될 수 있다(제1 리테이너(140)의 개구의 원심과 제2 개구의 원심을 잇는 가상의 축은 제1 리테이너(140)와 제2 리테이너(150) 각각의 가상의 중심축과 일치함).Like the first retainer 140, the second retainer 150 may be formed in an annular shape with a hole in the center and extend rearward. That is, the second retainer 150 may have an opening, and the opening of the first retainer 140 and the opening of the second retainer 150 are formed by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retainer 140 and the second retainer 150. The same virtual axis as the central axis of may be formed (the virtual axis connecting the centrifugal center of the opening of the first retainer 140 and the centrifugal center of the second opening is the virtual axis of the first retainer 140 and the second retainer 150, respectively). coincides with the central axis of ).

제2 리테이너(150)의 외주면에는 방사 방향으로 나사산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리테이너(140)의 내주면 일부, 즉 제2 리테이너(150)와 결합되는 제1 리테이너(140)의 제2 내측단(146)의 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리테이너(140)와 제2 리테이너(150)는 나사결합 될 수 있다. A screw thread may be dispos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retainer 150 in a radial direction. In addition, a thread may be formed on a portion of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etainer 140 , that is, a surface of the second inner end 146 of the first retainer 140 coupled to the second retainer 150 . Accordingly, the first retainer 140 and the second retainer 150 may be screwed together.

제2 리테이너(150)의 일부는 후방으로 연장되어서, 제1 리테이너(140)와 케이스(110)의 결합 시, 제2 리테이너(150)의 일부는 케이스(110) 내에 배치되는 렌즈 유닛(120)과 접촉될 수 있다. A part of the second retainer 150 extends rearward, so that when the first retainer 140 and the case 110 are coupled, a part of the second retainer 150 is disposed within the case 110. The lens unit 120 can come into contact with

구체적으로, 제2 리테이너(150)는 추가적으로 케이스(110)의 내경보다 작거나 같은 일부가 후방으로 연장되어서, 케이스(110)의 내경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리테이너(150)의 일부는 케이스(110) 내로 인입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리테이너(150)의 일부는 케이스(110) 내에 배치된 렌즈 유닛들(120) 중 최전방에 위치되는 렌즈 유닛(120)과 접촉될 수 있다.Specifically, a portion of the second retainer 150 that is smaller than or equal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case 110 may additionally be extended rearward, so that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retainer 150 may be smaller than or equal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case 110, and thus the second retainer 150 Some may be drawn into case 110 . A part of the second retainer 150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lens unit 120 positioned at the front of the lens units 120 disposed in the case 110 .

이와는 반대로 제2 리테이너(150)의 다른 일부는 케이스(110)의 전방 단부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리테이너(150)와 케이스(110)의 전방 단부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Conversely, another part of the second retainer 150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ront end of the case 110, and thus a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second retainer 150 and the front end of the case 110. there is.

커버렌즈(130)는 제1 리테이너(140)의 돌출턱(142)과 제2 리테이너(150)의 테두리 부분 일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리테이너(140)의 돌출턱(142), 커버렌즈(130) 및 제2 리테이너(150)의 일부는 순차적으로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커버렌즈(130)는 측면이 제1 리테이너(140)의 내주면에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특히 커버렌즈(130)는 제1 내측단(144)에 의해 감싸이는 영역으로 안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커버렌즈(130)의 외주면 지름, 즉 외경은 제1 내측단(144)의 지름과 대응되며, 커버렌즈(130)는 제1 리테이너(140)의 제1 내측단(144)에 의해 감싸이는 영역으로 삽입될 수 있다. The cover lens 13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rotruding jaw 142 of the first retainer 140 and a portion of the edge portion of the second retainer 150 . Specifically, the protruding jaw 142 of the first retainer 140, the cover lens 130, and parts of the second retainer 150 may be sequentially aligned in a direction from the front to the rear. The side surface of the cover lens 130 may be disposed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etainer 140 , and in particular, the cover lens 130 may be seated in an area surrounded by the first inner end 144 . More specifically, the diameter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ver lens 130, that is, the outer diameter corresponds to the diameter of the first inner end 144, and the cover lens 130 is attached to the first inner end 144 of the first retainer 140. can be inserted into the area covered by

이러한 커버렌즈(130)는 전방 일면의 일부가 볼록하게 형성되고, 반대되는 방향의 후방 타면의 일부가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커버렌즈(130)의 볼록한 부분은 돌출턱(142)에 의해 정의되는 개구에 끼워져서 외부로 볼록하게 노출될 수 있다. 커버렌즈(130)의 후방에는 제2 리테이너(150)의 개구가 배치되며, 커버렌즈(130)는 이러한 제2 리테이너(150)의 개구가 외부와 연통되는 것을 막도록 돌출턱(142)으로 정의되는 개구와 제2 리테이너(150)의 개구를 차단할 수 있다. A part of one front surface of the cover lens 130 may be formed convexly, and a part of the other rear surface in the opposite direction may be formed concavely. The convex portion of the cover lens 130 may be convexly exposed to the outside by fitting into an opening defined by the protruding jaw 142 . An opening of the second retainer 150 is disposed behind the cover lens 130, and the cover lens 130 is defined as a protruding jaw 142 to prevent the opening of the second retainer 150 from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The opening and the opening of the second retainer 150 may be blocked.

또한, 이러한 커버렌즈(130)의 둘레는 평평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커버렌즈(130) 둘레의 평평한 부분은 돌출턱(142)의 후방과 대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렌즈(130) 둘레부분은 돌출턱(142)과 크기 및 모양이 대응되어서 서로 맞닿을 수 있다. Also, the circumference of the cover lens 130 may be formed flat. A flat portion around the cover lens 130 may correspond to the rear of the protruding jaw 142 . Specifically, the size and shape of the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cover lens 130 correspond to that of the protruding jaw 142 so that they may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추가적으로 이러한 커버렌즈(130)의 둘레의 돌출턱(142) 방향 일면에는 환형의 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이러한 환형 홈은 환형으로 형성되는 커버렌즈(130)의 평평한 면을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Additionally, an annular groove (not shown)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cover lens 130 in the direction of the protruding jaw 142 . That is, such an annular groove may be disposed along a flat surface of the cover lens 130 formed in an annular shape.

본원의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커버렌즈(130)는 볼록한 부분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커버렌즈는 정면에서 노출이 되도록 배치되면 되고, 예를 들어, 평면이나 전방이 오목하게 형성되어도 괜찮다.In th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 herein, the cover lens 130 is illustrated and described as including a convex portion,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 cover lens may be disposed so as to be exposed from the front, for example, it may be formed flat or concave at the front.

씰링부재(160)는 탄성을 구비하며 커버렌즈(130)의 둘레 전방과 돌출턱(142)의 후방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씰링부재(160)는 커버렌즈(130)의 둘레에 환형 홈이 구비되는 경우 환형 홈에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환형 홈은 렌즈 조립체(100)의 조립 시 씰링부재(16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리테이너(140)와 제2 리테이너(150)의 조립 전 씰링부재(160)와 커버렌즈(130)의 둘레부분은 제1 리테이너(140)의 돌출턱(142)의 후방과 제2 리테이너(150)의 전방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씰링부재(160)는 커버렌즈(130)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즉, 돌출턱(142), 씰링부재(160), 커버렌즈(130) 및 제2 리테이너(150)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순차적으로 정렬될 수 있다. The sealing member 160 has elasticity and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ront of the circumference of the cover lens 130 and the rear of the protruding jaw 142 . When an annular groove is provided around the cover lens 130, a portion of the sealing member 160 may be inserted into the annular groove. The annular groove may fix the 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 160 when the lens assembly 100 is assembled. Specifically, before assembling the first retainer 140 and the second retainer 150, the sealing member 160 and the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cover lens 130 are separated from the rear of the protruding jaw 142 of the first retainer 140 and the second retainer 140. It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ront of the two retainers 150. The sealing member 160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cover lens 130, that is, the protruding jaw 142, the sealing member 160, the cover lens 130, and the second retainer 150 are moved from the front to the rear. Can be sorted sequentially.

렌즈 조립체(100)의 조립에 따라 돌출턱(142)과 커버렌즈(130) 사이에 배치되는 씰링부재(160)는 제1 리테이너(140)와 제2 리테이너(150)의 결합에 의해, 즉 돌출턱(142)과 커버렌즈(130)에 의해 축 방향으로 압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리테이너(140)와 커버렌즈(130) 사이에 형성되는 미세한 통기구들은 씰링부재(160)에 의해 막힐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방수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As the lens assembly 100 is assembled, the sealing member 160 disposed between the protruding jaw 142 and the cover lens 130 is protruded by the coupling of the first retainer 140 and the second retainer 150, that is, It can be compressed in the axial direction by the jaw 142 and the cover lens 130 . Accordingly, fine ventilation holes formed between the first retainer 140 and the cover lens 130 may be blocked by the sealing member 160, and thus waterproof performance may be improved.

다시 도 3을 참조하여, 제1 리테이너(140)의 제3 내측단(148)의 지름은 케이스(110)의 전방 외경과 대응되며, 제3 내측단(148)은 케이스(110)의 전방 외주면 일부와 접촉될 수 있다. 즉, 케이스(110)는 제1 리테이너(140)의 상기 제3 내측단(148)에 의해 감싸이는 영역으로 삽입되어서 제1 리테이너(140)와 결합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3 , the diameter of the third inner end 148 of the first retainer 140 corresponds to the front outer diameter of the case 110, and the third inner end 148 is the front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110. may come into contact with some. That is, the case 110 may be inserted into an area surrounded by the third inner end 148 of the first retainer 140 and coupled to the first retainer 140 .

구체적으로, 케이스(110)의 전방 적어도 일부와 제1 리테이너(140)의 제3 내측단(148)의 적어도 일부는 서로 접촉되며 결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케이스(110)의 전방 적어도 일부와 제1 리테이너(140)의 제3 내측단(148)의 적어도 일부에는 각각 나사산이 형성되어서, 제1 리테이너(140)와 케이스(110)는 서로 나사결합될 수 있다. 또는, 케이스(110)의 전방 적어도 일부에는 음각이나 양각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리테이너(140)의 제3 내측단(148)에는 이와 매칭되는 음각이나 양각이 형성될 수 있고, 두 음각과 양각의 체결에 의해 제1 리테이너(140)와 케이스(110)는 결합될 수 있다. Specifically, at least a portion of the front of the case 110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third inner end 148 of the first retainer 140 may contact and be coupled to each other, for example, at least a portion of the front of the case 110 Threads are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third inner end 148 of the first retainer 140, respectively, so that the first retainer 140 and the case 110 can be screwed together. Alternatively, intaglios or embossments may be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front side of the case 110, and intaglios or embossments matching them may be formed on the third inner end 148 of the first retainer 140, and the two intaglios and The first retainer 140 and the case 110 may be coupled by the embossed fastening.

마찬가지로 홀더(200)는 케이스(110)의 후방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즉, 케이스(110)의 후방 일부는 홀더(200)에 의해 감싸이는 삽입되어서 홀더와 결합될 수 있다. Likewise, the holder 200 may be formed to surround a rear portion of the case 110, that is, the rear portion of the case 110 may be inserted wrapped around the holder 200 and coupled to the holder.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홀더(200)는 외부의 유체를 수용하여서 렌즈 조립체(100)에 전달할 수 있고, 렌즈 조립체(1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유체는 렌즈 조립체(100) 내부를 순환한 뒤 홀더(200)를 지나 외부로 배출되며, 렌즈 조립체(100) 내부 공간의 유체가 순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4 and 5 , as described above, the holder 200 may receive external fluid and deliver it to the lens assembly 100, and the fluid flowing into the inner space of the lens assembly 100 is the lens assembly. After circulating inside (100), it passes through the holder 200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the fluid in the inner space of the lens assembly 100 can be circulated.

예를 들어, 렌즈 조립체(100) 내부 공간에는 공기가 저장되며, 홀더(200)는 연결된 유체 공급라인(300)으로부터 저습도의 기체를 전달받아 렌즈 조립체(1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후, 렌즈 조립체(100)로 전달된 저습도의 기체는 렌즈 조립체(100)로 유입될 수 있고, 렌즈 조립체(100) 내부 공간에 저장되었던 공기는 홀더(200)를 지나 홀더(200)에 연결된 유체 회수라인(400)에 의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For example, air is stored in the inner space of the lens assembly 100 , and the holder 200 may receive low-humidity gas from the fluid supply line 300 connected thereto and transfer the gas to the lens assembly 100 . Thereafter, the low-humidity gas delivered to the lens assembly 100 may flow into the lens assembly 100, and the air stored in the inner space of the lens assembly 100 passes through the holder 200 and is connected to the holder 200. It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the fluid recovery line 400 .

구체적으로, 도 4와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렌즈 조립체(100)의 케이스(110), 제1 리테이너(140), 제2 리테이너(150) 및 유체가 순환되기 위한 유로가 형성된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4 and 5 , a case 110 of the lens assembly 100 , a first retainer 140 , a second retainer 150 , and a flow path through which fluid circulates are formed.

케이스(110)는 렌즈 조립체(100)의 내부공간으로 이어져서 내부 공간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제1 벽면 유로(112)와 제2 벽면 유로(114)를 구비할 수 있다. The case 110 may include a first wall passage 112 and a second wall passage 114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inner space of the lens assembly 100 .

본원의 제1 실시예에서 제1 벽면 유로(112)와 제2 벽면 유로(114)는 케이스(1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리세스와 케이스(110)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홀더(200) 및 제1 리테이너(140)에 의해 정의된다.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first wall channel 112 and the second wall channel 114 are recesse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110 and the holder 200 contac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110 and the first wall channel 112. Defined by retainer 140 .

보다 상세하게, 케이스(110)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두 개의 리세스(홈)가 형성되며 이러한 홈은 케이스(110)의 후방에서 전방 단부까지 이어진다. 홀더(200)의 전방 단부와 제1 리테이너(140)의 후방 단부는 서로 접촉되게 형성되며, 그 접촉면 사이에는 마감부재(180)가 배치될 수 있다. 마감부재(180)는 홀더(200)와 제1 리테이너(140)가 케이스(110)의 외관을 모두 덮게 배치될 때 둘 사이에서 형성될 수 있는 미세한 통기구를 막아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의 내부 공간 밀폐를 이룬다. More specifically, at least two recesses (grooves)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110, and these grooves extend from the rear end of the case 110 to the front end. The front end of the holder 200 and the rear end of the first retainer 140 are formed to contact each other, and a closing member 18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contact surfaces. When the holder 200 and the first retainer 140 are disposed to cover both the exterior of the case 110, the closing member 180 blocks a fine ventilation hole that may be formed between the holder 200 and the first retainer 140 to seal the inner space of the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achieve

홀더(200)와 제1 리테이너(140)가 적어도 두 개의 리세스가 형성되는 케이스(110)의 전면을 다 감싸도록 결합되면, 이러한 리세스는 개방된 일 면이 홀더(200)의 내주면과 제1 리테이너(140)의 내주면으로 막혀서,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적어도 두 개의 리세스는 케이스(110)와 홀더(200)와 제1 리테이너(140)에 의해 제1 벽면 유로(112)와 제2 벽면 유로(114)로 정의된다.When the holder 200 and the first retainer 140 are coupled so as to c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case 110 where at least two recesses are formed, the open side of these recesses is separated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der 200. A flow path may be formed by being blocked by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etainer 140 . That is, at least two recesses are defined as the first wall channel 112 and the second wall channel 114 by the case 110 , the holder 200 , and the first retainer 140 .

이러한 제1 벽면 유로와 제2 벽면 유로는 케이스의 외표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벽면 유로 및 제2 벽면 유로를 이루는 리세스는 홀더와 제1 리테이너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도 있고, 케이스를 축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아래에서 다른 실시예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케이스의 내주면에 리세스가 형성되어서 제1 벽면 유로와 제2 벽면 유로가 정의될 수도 있다.The first wall passage and the second wall passage are illustrated and described as being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but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recess constituting the first wall channel and the second wall channel may be formed o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holder and the first retainer, or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case in an axial direction. Also, as will be described below in another embodiment, a recess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to define the first wall channel and the second wall channel.

이러한 제1 벽면 유로(112)와 제2 벽면 유로(114)는 위에서 설명된, 제2 리테이너(150)와 케이스(110)의 전방 단부의 이격에 따라 형성되는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The first wall channel 112 and the second wall channel 114 may communicate with a space formed according to the separation between the second retainer 150 and the front end of the case 110 described above.

또한, 제2 리테이너(150)의 전면에는 통기홈(152)이 형성되며, 이러한 통기홈(152)은 커버렌즈(130)로 인해 개방된 일 면이 막혀서 일부에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통기홈(152)은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추가로, 제2 리테이너(150)의 전방 공간과 제2 리테이너(150)의 후방 공간을 연통하도록 제2 리테이너(150)를 관통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 유로(15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복수의 관통 유로(154)는 통기홈(152)과 연결되어서, 커버렌즈(130) 후방의 공간과 제2 리테이너(150) 후방의 공간을 연통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 ventilation groove 152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retainer 150, and one surface of the ventilation groove 152 opened by the cover lens 130 is blocked so that a flow path may be formed in a portion thereof. A plurality of such ventilation grooves 152 may be provided. Additionally, a plurality of through passages 154 formed to pass through the second retainer 150 may be included so that the front space of the second retainer 150 and the rear space of the second retainer 15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at is, the plurality of through passages 154 are connected to the ventilation grooves 152 so that the space behind the cover lens 130 and the space behind the second retainer 150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즉, 제1 벽면 유로(112)는 관통 유로(154)와 통기홈(152)을 통해 커버렌즈(130) 후방의 공간과 연통될 수 있으며, 또한, 커버렌즈(130)의 후방 공간은 통기홈(152)과 관통 유로(154)를 통해 제2 벽면 유로(114)와 연통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wall channel 112 may communicate with the space behind the cover lens 130 through the through channel 154 and the ventilation groove 152, and the rear space of the cover lens 130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ventilation groove. It may communicate with the second wall passage 114 through the passage 152 and the through passage 154 .

또는, 제2 리테이너(150)의 후면과 가장 전방에 있는 렌즈 유닛(120)이 접촉되는 경우, 통기홈은 제2 리테이너(150)의 후면과 측면에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통기홈은 렌즈 유닛(120)으로 인해 개발된 일 면이 막혀서 일부에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통기홈은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의 통기홈은 제2 리테이너(150)와 케이스(110) 내주면의 사이와 제2 리테이너(150)와 최전방의 렌즈 유닛(120) 사이에 형성되어서 제1 벽면 유로(112) 및 제2 벽면 유로(114)와 커버렌즈(130) 후방의 공간을 연통시킬 수 있다. Alternatively, when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retainer 150 and the frontmost lens unit 120 are in contact, ventilation grooves may be selectively formed on the rear surface and side surface of the second retainer 150 . One surface of the ventilation groove developed by the lens unit 120 may be blocked, and a flow path may be formed in a portion thereof. A plurality of such ventilation grooves may be provided, and the plurality of ventilation grooves are formed between the second retainer 15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110 and between the second retainer 150 and the foremost lens unit 120 to The first wall passage 112 and the second wall passage 114 may communicate with a space behind the cover lens 130 .

제2 리테이너(150)는 전방에 통기홈(152)을 구비하고 통기홈(152)과 연속되는 관통 유로(154)를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되고 도시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기홈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2 리테이너(150)의 측면과 후면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관통 유로(154)는 생략될 수 있다. The second retainer 150 is described and illustrated as having a ventilation groove 152 at the front and a through channel 154 continuous with the ventilation groove 152,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Ventilation grooves may be provided on the side and rear surfaces of the second retainer 150 as described above, and the through passage 154 may be omitted.

제1 벽면 유로(112)는 홀더(200)의 인렛 유로(202)와 연결되어서 서로 연통될 수 있고, 제2 벽면 유로(114)는 홀더(200)의 아웃렛 유로(204)와 연결되어서 서로 연통될 수 있다. The first wall channel 112 is connected to the inlet channel 202 of the holder 200 and communicates with each other, and the second wall channel 114 is connected to the outlet channel 204 of the holder 200 and communicates with each other. It can be.

인렛 유로(202)는 홀더(200)의 외측으로 이어지며, 홀더(200)와 연결되는 유체 공급라인(300)과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유체 공급라인(300)에서 공급되는 유체(예를 들어, 저습도의 기체)는 홀더(200)의 인렛 유로(202)를 통해 렌즈 조립체(100)의 제1 벽면 유로(112)로 공급될 수 있다.The inlet passage 202 leads to the outside of the holder 200 and may be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fluid supply line 300 connected to the holder 200, and accordingly, the fluid supplied from the fluid supply line 300 (eg For example, low-humidity gas) may be supplied to the first wall passage 112 of the lens assembly 100 through the inlet passage 202 of the holder 200 .

또한, 아웃렛 유로(204)는 홀더(200)의 외측으로 이어지며, 홀더(200)와 연결되는 유체 회수라인(400)과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렌즈 조립체(100)의 내부 공간을 순환하는 유체는 제2 벽면 유로(114)에서 아웃렛 유로(204)를 통과하여 유체 회수라인(400)으로 배출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utlet passage 204 leads to the outside of the holder 200 and can be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fluid recovery line 400 connected to the holder 200, and thus circulates the inner space of the lens assembly 100.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outlet passage 204 from the second wall passage 114 may be discharged to the fluid recovery line 400 .

즉, 도 5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유체 공급라인(300)에서 공급되는 유체는 인렛 유로(202), 제1 벽면 유로(112), 관통 유로(154), 통기홈(152), 커버렌즈(130)의 후방 공간, 통기홈(152), 관통 유로(154), 제2 벽면 유로(114) 및 아웃렛 유로(204)를 순차적으로 순회한 후 유체 회수라인(400)으로 배출될 수 있다. That is, as shown in FIG. 5 , the fluid supplied from the fluid supply line 300 flows through the inlet passage 202, the first wall passage 112, the through passage 154, the vent 152, and the cover lens 130. ), the ventilation groove 152, the through passage 154, the second wall passage 114, and the outlet passage 204 in sequence, and then discharged to the fluid recovery line 400.

또는, 통기홈이 제2 리테이너(150)의 후방에 형성되는 경우, 유체 공급라인(300)에서 공급되는 유체는 인렛 유로(202), 제1 벽면 유로(112), 통기홈, 커버렌즈(130)의 후방 공간, 통기홈, 제2 벽면 유로(114) 및 아웃렛 유로(204)를 순차적으로 순회한 후 유체 회수라인(400)으로 배출될 수 있다. Alternatively, when the ventilation groove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second retainer 150, the fluid supplied from the fluid supply line 300 flows through the inlet channel 202, the first wall channel 112, the ventilation groove, and the cover lens 130. ), the ventilation groove, the second wall passage 114, and the outlet passage 204 are sequentially circulated, and then discharged to the fluid recovery line 400.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렌즈 조립체(100) 외부의 차가운 공기에 의해 렌즈 조립체(100) 내부의 습기가 렌즈 조립체(100)의 최전방 외측에 배치되는 커버렌즈(130)의 후방에서 이슬화 되어서(결로현상)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의 감지성능을 저감시키는데, 도 5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저습도의 기체가 렌즈 조립체(100)의 내부에 공급되면, 이러한 결로 현상을 저감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moisture inside the lens assembly 100 is dewed at the rear of the cover lens 130 disposed on the outermost front side of the lens assembly 100 by the cool air outside the lens assembly 100, (Condensation phenomenon) To reduce the sensing performance of the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as shown in FIG. 5 , when a low-humidity gas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lens assembly 100, this condensation phenomenon can be reduced.

구체적으로 도 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이 부착되는 예를 들어 자동차 디지털 사이드 미러의 경우, 자동차 주행에 따라 디지털 사이드 미러의 외측 온도가 하락할 수 있다. 이렇게 외측 온도가 하락하는 경우,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의 부재중 최외측으로 노출되는 제1 리테이너(140)와 커버렌즈(130)의 온도가 하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렌즈(130)의 후방과 통기홈(152) 측에는 결로현상에 따른 이슬(D)이 맺힐 수 있다. 도 5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결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저습도의 기체를 공급하면, 이슬(D)이 제거될 수 있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4 , in the case of, for example, a digital side mirror of a vehicle to which a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is attached, the external temperature of the digital side mirror may decrease as the vehicle is driven. When the outside temperature decreases in this way,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retainer 140 and the cover lens 130 exposed to the outermost part of the members of the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may decrease. Accordingly, dew (D) due to dew condensation may be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cover lens 130 and the ventilation groove 152 side. As shown in FIG. 5 , when a low-humidity gas is supplied to prevent such a dew condensation phenomenon, the dew (D) may be removed.

위 방식으로 지속적으로 저습도 기체를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 내부 공간에 공급할 수 있고,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위 방식으로 저습도의 기체가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 내부 공간에 제공된 후, 도 6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인렛 유로(202)와 아웃렛 유로(204)가 마개로 막혀서, 저습도의 내부 환경을 제공할 수도 있다.The low-humidity gas may be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inner space of the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in the above manner, or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after the low-humidity gas is supplied to the inner space of the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in the above manner, As such, the inlet passage 202 and the outlet passage 204 may be blocked with a stopper to provide an internal environment with low humidity.

도 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서 도시된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 내에 결로가 발생한 모습을 도시하며, 도 9는 도 7에서 도시된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 내의 유체 흐름을 도시한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FIG. 8 illustrates dew condensation in the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shown in FIG. 7 , and FIG. 9 is a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shown in FIG. 7 . shows the fluid flow in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의 케이스(1110)는 렌즈 조립체(1100)의 내부 공간으로 이어져서 내부 공간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제1 벽면 유로(1112)와 제2 벽면 유로(1114)를 구비할 수 있다. 7 to 9, the case 1110 of the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connected to the inner space of the lens assembly 1100 and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inner space. and a second wall channel 1114.

본원의 제2 실시예에서 제1 벽면 유로(1112)와 제2 벽면 유로(1114)는 케이스(1110)의 관 내주면에 형성되는 리세스와 관 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1170) 및 복수 개의 렌즈 유닛(1120)에 의해 정의된다.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first wall passage 1112 and the second wall passage 1114 include a reces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e of the case 1110, a spacer 1170 disposed in the tube, and a plurality of lens units 1120. ) is defined by

보다 상세하게, 케이스(1110)의 내주면에는 적어도 두 개의 리세스(홈이 형성되며 이러한 홈은 케이스(1110)의 후측에서 전방 단부까지 이어진다. 이러한 케이스(1110)의 내주면에는 복수 개의 렌즈 유닛(1120)과 스페이서(1170)가 배치되며, 이러한 렌즈 유닛(1120)들과 스페이서(1170)는 각각 케이스(1110)의 내주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스(1110)의 내주면에서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되는 리세스의 개방된 일면은 스페이서(1170)와 렌즈 유닛(1120)의, 케이스(1110)와 접촉되는 면에 의해 막혀서,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적어도 두 개의 리세스는 케이스(1110), 스페이서(1170), 렌즈 유닛(1120)에 의해 제1 벽면 유로(1112)와 제2 벽면 유로(1114)로 정의된다. More specifically, at least two recesses (grooves) ar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1110, and these grooves extend from the rear side to the front end of the case 1110. A plurality of lens units 1120 ar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1110 ) and a spacer 1170 are disposed, and the lens units 1120 and the spacer 1170 may be disposed to contac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1110. Accordingly,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1110 is concave. One open surface of the recess formed to enter is blocked by the spacer 1170 and the surface of the lens unit 1120 that contacts the case 1110, so that a flow path can be formed. A first wall channel 1112 and a second wall channel 1114 are defined by the case 1110 , the spacer 1170 , and the lens unit 1120 .

이러한 제1 벽면 유로(1112)와 제2 벽면 유로(1114)는 위 제1 실시예에서 설명된 제2 리테이너(1150)와 케이스(1110)의 전방 단부의 이격에 따라 형성되는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The first wall channel 1112 and the second wall channel 1114 may communicate with a space formed by the separation between the front end of the case 1110 and the second retainer 1150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above. there is.

또한, 제2 리테이너(1150)의 전면에는 통기홈(1152)이 형성되며, 이러한 통기홈(1152)에는 커버렌즈(1130)로 인해 개방된 일 면이 막혀서 일부에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통기홈(1152)은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추가로 제2 리테이너(1150)의 전방 공간과 제2 리테이너(1150)의 후방 공간을 연통하도록 제2 리테이너(1150)를 관통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 유로(115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복수의 관통 유로(1154)는 통기홈(1152)과 연결되어서, 커버렌즈(1130) 후방의 공간과 제2 리테이너(1150) 후방의 공간을 연통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 ventilation hole 1152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retainer 1150, and one surface of the ventilation hole 1152 opened by the cover lens 1130 is blocked to form a flow path. A plurality of such ventilation grooves 1152 may be provided, and a plurality of additionally formed to penetrate the second retainer 1150 so that the front space of the second retainer 1150 and the rear space of the second retainer 115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t may include a through passage 1154 of. That is, the plurality of through passages 1154 are connected to the ventilation grooves 1152 so that the space behind the cover lens 1130 and the space behind the second retainer 1150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즉, 제1 벽면 유로(1112)는 관통 유로(1154)와 통기홈(1152)을 통해 커버렌즈(1130) 후방의 공간과 연통될 수 있으며, 또한, 커버렌즈(1130)의 후방 공간은 통기홈(1152)과 관통 유로(1154)를 통해 제2 벽면 유로(1114)와 연통될 수 있다. That is, the first wall channel 1112 may communicate with the space behind the cover lens 1130 through the through channel 1154 and the ventilation groove 1152, and the rear space of the cover lens 1130 may be connected to the ventilation groove. It may communicate with the second wall passage 1114 through the passage 1152 and the through passage 1154 .

제1 벽면 유로(1112)는 홀더(1200)의 인렛 유로(1202)와 연결되어서 서로 연통될 수 있고, 또한, 제2 벽면 유로(1114)도 홀더(1200)의 아웃렛 유로(1204)와 연결되어서 서로 연통될 수 있다. The first wall passage 1112 is connected to the inlet passage 1202 of the holder 1200 so a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e second wall passage 1114 is also connected to the outlet passage 1204 of the holder 1200.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구체적으로, 케이스(1110)는 제1 연결 유로(1116)와 제2 연결 유로(111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 유로(1116)와 제2 연결 유로(1118)는 케이스(1110)의 내주면과 케이스(1110)의 외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예를 들어, 케이스(1110)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ase 1110 may include a first connection passage 1116 and a second connection passage 1118 . The first connection passage 1116 and the second connection passage 1118 are formed to pass throug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1110 and the outside of the case 1110, and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1110, for example. .

이러한 제1 연결 유로(1116)는 케이스(1110)의 외측면과 제1 벽면 유로(1112)를 연통할 수 있으며, 제2 연결 유로(1118)는 케이스(1110)의 외측면과 제2 벽면 유로(1114)를 연통할 수 있다. The first connection passage 1116 may communicate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1110 and the first wall passage 1112 , and the second connection passage 1118 may communicate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1110 and the second wall passage 1112 . (1114) can be communicated.

또한, 이러한 제1 연결 유로(1116)는 케이스(1110)의 후방에 배치되는 홀더(1200)에 형성되는 인렛 유로(1202)와도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연결 유로(1116)는 케이스(1110)를 관통하여 케이스(1110) 내부의 제1 벽면 유로(1112)와 케이스 외부(1110)의 인렛 유로(1202)를 연결할 수 있다.Also, the first connection passage 1116 may be connected to the inlet passage 1202 formed in the holder 1200 disposed at the rear of the case 1110 . That is, the first connection passage 1116 may pass through the case 1110 and connect the first wall passage 1112 inside the case 1110 and the inlet passage 1202 outside the case 1110 .

마찬가지로, 제2 연결 유로(1118)는 케이스(1110)의 후방에 배치되는 홀더(1200)에 형성되는 아웃렛 유로(1204)와도 연결될 수 있으며, 즉, 제2 연결 유로(1118)는 케이스(1110)를 관통하여 케이스(1110) 내부의 제2 벽면 유로(1114)와 케이스(1110)의 아웃렛 유로(1204)를 연결할 수 있다. Similarly, the second connection passage 1118 may also be connected to the outlet passage 1204 formed in the holder 1200 disposed at the rear of the case 1110, that is, the second connection passage 1118 may be connected to the case 1110. The second wall channel 1114 inside the case 1110 and the outlet channel 1204 of the case 1110 may be connected through the .

인렛 유로(1202)는 홀더(1200)의 외측으로 이어지며, 홀더(1200)와 연결되는 유체 공급라인(1300)과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유체 공급라인(1300)에서 공급되는 유체(예를 들어, 저습도의 기체)는 홀더(1200)의 인렛 유로(1202)를 통해 렌즈 조립체(1100)의 제1 연결 유로(1116)와 제1 벽면 유로(1112)로 공급될 수 있다.The inlet passage 1202 leads to the outside of the holder 1200 and may be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fluid supply line 1300 connected to the holder 1200, and accordingly, the fluid supplied from the fluid supply line 1300 (eg For example, low-humidity gas) may be supplied to the first connection passage 1116 and the first wall passage 1112 of the lens assembly 1100 through the inlet passage 1202 of the holder 1200 .

또한, 아웃렛 유로(1204)는 홀더(1200)의 외측으로 이어지며, 홀더(1200)와 연결되는 유체 회수라인(1400)과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렌즈 조립체(1100)의 내부 공간을 순환하는 유체는 제2 벽면 유로(1114)에서 제2 연결 유로(1118)와 아웃렛 유로(1204)를 통과하여 유체 회수라인(1400)으로 배출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utlet passage 1204 leads to the outside of the holder 1200 and can be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fluid recovery line 1400 connected to the holder 1200, thereby circulating the inner space of the lens assembly 1100.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passage 1118 and the outlet passage 1204 in the second wall passage 1114 may be discharged to the fluid recovery line 1400 .

즉, 도 9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유체 공급라인(1300)에서 공급되는 유체는 인렛 유로(1202), 제1 연결 유로(1116) 제1 벽면 유로(1112), 관통 유로(1154), 통기홈(1152), 커버렌즈(1130)의 후방 공간, 통기홈(1152), 관통 유로(1154), 제2 벽면 유로(1114), 제2 연결 유로(1118) 및 아웃렛 유로(1204)를 순차적으로 순회한 후 유체 회수라인(1400)으로 배출될 수 있다. That is, as shown in FIG. 9, the fluid supplied from the fluid supply line 1300 flows through the inlet passage 1202, the first connection passage 1116, the first wall passage 1112, the through passage 1154, and the ventilation groove ( 1152), the rear space of the cover lens 1130, the ventilation groove 1152, the through passage 1154, the second wall passage 1114, the second connection passage 1118, and the outlet passage 1204 in sequence. After that, it may be discharged to the fluid recovery line 1400.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렌즈 조립체(1100) 외부의 차가운 공기에 의해 렌즈 조립체(1100) 내부의 습기가 렌즈 조립체(1100)의 최전방 외측에 배치되는 커버렌즈(1130)의 후방에서 이슬화 되어서(결로현상)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의 감지성능을 저감시키는데, 도 9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저습도의 기체가 렌즈 조립체(1100)의 내부에 공급되면, 이러한 결로 현상을 저감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the moisture inside the lens assembly 1100 is dewed at the rear of the cover lens 1130 disposed at the outermost front of the lens assembly 1100 by the cool air outside the lens assembly 1100. (Condensation phenomenon) To reduce the sensing performance of the dehumidification optical system lens module, as shown in FIG. 9 , when low-humidity gas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lens assembly 1100, this condensation phenomenon can be reduced.

구체적으로 도 8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이 부착되는 예를 들어 자동차 디지털 사이드 미러의 경우, 자동차 주행에 따라 디지털 사이드 미러의 외측 온도가 하락할 수 있다. 이렇게 외측 온도가 하락하는 경우,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의 부재중 최외측으로 노출되는 제1 리테이너(1140)와 커버렌즈(1130)의 온도가 하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렌즈(1130)의 후방과 통기홈(1152) 측에는 결로현상에 따른 이슬(D)이 맺힐 수 있다. 도 9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결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저습도의 기체를 공급하면, 이슬(D)이 제거될 수 있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8 , in the case of, for example, a digital side mirror of a vehicle to which a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is attached, the external temperature of the digital side mirror may decrease as the vehicle is driven. When the outside temperature decreases,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retainer 1140 and the cover lens 1130 exposed to the outermost part of the members of the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may decrease. Accordingly, dew (D) due to dew condensation may be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cover lens 1130 and the ventilation groove 1152 side. As shown in FIG. 9 , when a low-humidity gas is supplied to prevent such dew condensation, dew (D) may be removed.

위 방식으로 지속적으로 저습도 기체를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 내부 공간에 공급할 수 있고,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위 방식으로 저습도의 기체가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 내부 공간에 제공된 후, 인렛 유로(1202)와 아웃렛 유로(1204)가 마개로 막혀서, 저습도의 내부 환경을 제공할 수도 있다.The low-humidity gas may be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inner space of the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in the above manner, or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after the low-humidity gas is supplied to the inner space of the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in the above manner, the inlet passage 1202 and the outlet passage 1204 may be closed with a stopper to provide an internal environment with low humidity.

도 10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에서 도시된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 내에 결로가 발생한 모습을 도시하며, 도 12는 도 10에서 도시된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 내의 유체 흐름을 도시한다.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FIG. 11 illustrates dew condensation in the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shown in FIG. 10, and FIG. 12 is a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shown in FIG. shows the fluid flow in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제3 실시예에 따른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의 케이스(1110)는 렌즈 조립체(1100)의 내부 공간으로 이어져서 내부 공간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제1 벽면 유로(1112)와 제2 벽면 유로(1114)를 구비할 수 있다. 10 to 12, the case 1110 of the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s connected to the inner space of the lens assembly 1100 and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inner space. and a second wall channel 1114.

본원의 제3 실시예에서 제1 벽면 유로(2112)와 제2 벽면 유로(2114)는 케이스(2110)의 관 내주면에 형성되는 리세스와 관 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2170) 및 복수 개의 렌즈 유닛(2120)에 의해 정의된다.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first wall channel 2112 and the second wall channel 2114 are formed in a reces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e of the case 2110, a spacer 2170 disposed in the tube, and a plurality of lens units 2120. ) is defined by

보다 상세하게, 케이스(2110)의 내주면에는 적어도 두 개의 리세스(홈이 형성되며 이러한 홈은 케이스(2110)의 후측에서 전방 단부까지 이어진다. 이러한 케이스(2110)의 내주면에는 복수 개의 렌즈 유닛(2120)과 스페이서(2170)가 배치되며, 이러한 렌즈 유닛(2120)들과 스페이서(2170)는 각각 케이스(2110)의 내주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스(2110)의 내주면에서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되는 리세스의 개방된 일면은 스페이서(2170)와 렌즈 유닛(2120)의, 케이스(2110)와 접촉되는 면에 의해 막혀서,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적어도 두 개의 리세스는 케이스(2110), 스페이서(2170), 렌즈 유닛(2120)에 의해 제1 벽면 유로(2112)와 제2 벽면 유로(2114)로 정의된다. More specifically, at least two recesses (grooves) ar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2110, and these grooves extend from the rear side to the front end of the case 2110. A plurality of lens units 2120 ar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2110. ) and a spacer 2170 are disposed, and the lens units 2120 and the spacer 2170 may be disposed to contac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2110. Accordingly,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2110 is concave. One open surface of the recess formed to be entered may be blocked by the spacer 2170 and the surface of the lens unit 2120 in contact with the case 2110, so that a flow path may be formed. A first wall channel 2112 and a second wall channel 2114 are defined by the case 2110 , the spacer 2170 , and the lens unit 2120 .

이러한 제1 벽면 유로(2112)와 제2 벽면 유로(2114)는 위 제1 실시예에서 설명된 제2 리테이너(2150)와 케이스(2110)의 전방 단부의 이격에 따라 형성되는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The first wall channel 2112 and the second wall channel 2114 may communicate with a space formed by the separation between the front end of the case 2110 and the second retainer 2150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above. there is.

또한, 제2 리테이너(2150)의 전면에는 통기홈(2152)이 형성되며, 이러한 통기홈(2152)에는 커버렌즈(2130)로 인해 개방된 일 면이 막혀서 일부에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통기홈(2152)은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추가로 제2 리테이너(2150)의 전방 공간과 제2 리테이너(2150)의 후방 공간을 연통하도록 제2 리테이너(2150)를 관통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 유로(215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복수의 관통 유로(2154)는 통기홈(2152)과 연결되어서, 커버렌즈(2130) 후방의 공간과 제2 리테이너(2150) 후방의 공간을 연통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 ventilation hole 2152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retainer 2150, and one surface of the ventilation hole 2152 opened by the cover lens 2130 may be blocked to form a flow path. A plurality of such ventilation grooves 2152 may be provided, and a plurality of additionally formed to pass through the second retainer 2150 so that the front space of the second retainer 2150 and the rear space of the second retainer 215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t may include a through passage 2154 of. That is, the plurality of through passages 2154 are connected to the ventilation grooves 2152 so that the space behind the cover lens 2130 and the space behind the second retainer 2150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즉, 제1 벽면 유로(2112)는 관통 유로(2154)와 통기홈(2152)을 통해 커버렌즈(2130) 후방의 공간과 연통될 수 있으며, 또한, 커버렌즈(2130)의 후방 공간은 통기홈(2152)과 관통 유로(2154)를 통해 제2 벽면 유로(2114)와 연통될 수 있다. That is, the first wall channel 2112 may communicate with the space behind the cover lens 2130 through the through channel 2154 and the ventilation groove 2152, and the rear space of the cover lens 2130 may be connected to the ventilation groove. 2152 and the through channel 2154 may communicate with the second wall channel 2114 .

도 10을 다시 참조하여, 이러한 케이스(2110)는 홀더(2200) 및 제1 리테이너(2140)에 둘러 싸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리테이너(2140)는 케이스(2110)의 전방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홀더(2200)는 케이스(2110)의 후방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Referring back to FIG. 10 , the case 2110 may be formed to be surrounded by the holder 2200 and the first retainer 2140 . Specifically, the first retainer 2140 is formed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front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2110, and the holder 2200 is formed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rea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2110.

홀더(2200)의 전방 단부와 제1 리테이너(2140)의 후방 단부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각각은 케이스(2110)와 결합되며 케이스(2110)와의 접촉 부분이 밀봉되도록 마감부재(2180, 2190)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The front end of the holder 2200 and the rear end of the first retainer 2140 may be dispos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each is coupled to the case 2110 so that a contact portion with the case 2110 is sealed. 2190) can be attached.

예를 들어, 마감부재(2180, 2190)는 에폭시와 같은 경화성 물질일 수 있고, 마감부재(2180, 2190)는 제1 리테이너(2140)와 케이스(2110) 사이 접촉면에 배치되는 제1 마감부재(2180) 및 홀더(2200)와 케이스(2110) 사이 접촉면에 배치되는 제2 마감부재(2190)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losing members 2180 and 2190 may be a curable material such as epoxy, and the closing members 2180 and 2190 may be a first closing member disposed on a contact surface between the first retainer 2140 and the case 2110 ( 2180) and a second closing member 2190 disposed on a contact surface between the holder 2200 and the case 2110.

구체적으로, 제1 리테이너(2140)의 내주면과 케이스(2110)의 외주면은 각각 나사산을 구비하여서 서로 접촉하여 나사결합되고, 홀더(2200)의 내주면과 케이스(2110)의 외주면도 각각 나사산을 구비하어서 서로 접촉하여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리테이너(2140)의 내주면과 케이스(2110)의 외주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경화되기 이전의 제1 마감부재(2180)가 배치되며, 홀더(2200)의 내주면과 케이스(2110)의 외주면에도 경화되기 이전의 제2 마감부재(2190)가 배치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etainer 214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2110 each have a screw thread so as to contact each other and are screwed together,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der 220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2110 are also provided with a screw thread, respectively. They can then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be screwed together. At least on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etainer 214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2110 is disposed with the first finishing member 2180 before being cured,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der 220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2110 are also cured. The second closing member 2190 prior to becoming may be disposed.

이러한 마감부재(2180, 2190)는 각 부재의 결합, 즉 제1 리테이너(2140)와 케이스(2110)의 결합과 홀더(2200)와 케이스(2110)의 결합에 따라 각각의 접촉면으로부터 접촉면의 외측으로 밀릴 수 있다. 도 10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렇게 접촉면에서부터 외측으로 밀려나는 제1 마감부재(2180)는 이후 경화되어서 각각 홀더(2200)와 케이스(2110) 사이의 밀폐를 이룰 수 있고, 제2 마감부재(2190)는 제1 리테이너(2140)와 케이스(2110) 사이의 밀폐를 이룰 수 있다. These closing members 2180 and 2190 move from the contact surface to the outside of the contact surface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each member, that is,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retainer 2140 and the case 2110 and the combination of the holder 2200 and the case 2110. can be pushed As shown in FIG. 10, the first closure member 2180 pushed outward from the contact surface is then cured to form a seal between the holder 2200 and the case 2110, respectively, and the second closure member 2190 ) may form a seal between the first retainer 2140 and the case 2110 .

다시 도 11을 참조하여, 제1 벽면 유로(2112)는 홀더(2200)의 인렛 유로(2202)와 연결되어서 서로 연통될 수 있고, 또한, 제2 벽면 유로(2114)도 홀더(2200)의 아웃렛 유로(2204)와 연결되어서 서로 연통될 수 있다. Referring back to FIG. 11 , the first wall channel 2112 may be connected to the inlet channel 2202 of the holder 2200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e second wall channel 2114 may also be an outlet of the holder 2200. It is connected to the flow path 2204 and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구체적으로, 케이스(2110)는 제1 연결 유로(2116)와 제2 연결 유로(211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 유로(2116)와 제2 연결 유로(2118)는 케이스(2110)의 내주면과 케이스(2110)의 외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예를 들어, 케이스(2110)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ase 2110 may include a first connection passage 2116 and a second connection passage 2118 . The first connection passage 2116 and the second connection passage 2118 are formed to pass throug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2110 and the outside of the case 2110, and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2110, for example. .

이러한 제1 연결 유로(2116)는 케이스(2110)의 외측면과 제1 벽면 유로(2112)를 연통할 수 있으며, 제2 연결 유로(2118)는 케이스(2110)의 외측면과 제2 벽면 유로(2114)를 연통할 수 있다. The first connection passage 2116 may communicate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2110 and the first wall passage 2112 , and the second connection passage 2118 may connect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2110 and the second wall passage 2112 . (2114) can be communicated.

또한, 이러한 제1 연결 유로(2116)는 케이스(2110)의 후방에 배치되는 홀더(2200)에 형성되는 인렛 유로(2202)와도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연결 유로(2116)는 케이스(2110)를 관통하여 케이스(2110) 내부의 제1 벽면 유로(2112)와 케이스 외부(2110)의 인렛 유로(2202)를 연결할 수 있다.Also, the first connection passage 2116 may be connected to an inlet passage 2202 formed in the holder 2200 disposed at the rear of the case 2110 . That is, the first connection passage 2116 may pass through the case 2110 and connect the first wall passage 2112 inside the case 2110 and the inlet passage 2202 outside the case 2110 .

마찬가지로, 제2 연결 유로(2118)는 케이스(2110)의 후방에 배치되는 홀더(2200)에 형성되는 아웃렛 유로(2204)와도 연결될 수 있으며, 즉, 제2 연결 유로(2118)는 케이스(2110)를 관통하여 케이스(2110) 내부의 제2 벽면 유로(2114)와 케이스(2110)의 아웃렛 유로(2204)를 연결할 수 있다. Similarly, the second connection passage 2118 may also be connected to the outlet passage 2204 formed in the holder 2200 disposed at the rear of the case 2110, that is, the second connection passage 2118 may be connected to the case 2110. The second wall channel 2114 inside the case 2110 and the outlet channel 2204 of the case 2110 may be connected through the .

인렛 유로(2202)는 홀더(2200)의 외측으로 이어지며, 홀더(2200)와 연결되는 유체 공급라인(2300)과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유체 공급라인(2300)에서 공급되는 유체(예를 들어, 저습도의 기체)는 홀더(2200)의 인렛 유로(2202)를 통해 렌즈 조립체(2100)의 제1 연결 유로(2116)와 제1 벽면 유로(2112)로 공급될 수 있다.The inlet passage 2202 leads to the outside of the holder 2200 and may be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fluid supply line 2300 connected to the holder 2200, and accordingly, the fluid supplied from the fluid supply line 2300 (eg For example, low-humidity gas) may be supplied to the first connection passage 2116 and the first wall passage 2112 of the lens assembly 2100 through the inlet passage 2202 of the holder 2200 .

또한, 아웃렛 유로(2204)는 홀더(2200)의 외측으로 이어지며, 홀더(2200)와 연결되는 유체 회수라인(2400)과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렌즈 조립체(2100)의 내부 공간을 순환하는 유체는 제2 벽면 유로(2114)에서 제2 연결 유로(2118)와 아웃렛 유로(2204)를 통과하여 유체 회수라인(2400)으로 배출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utlet flow path 2204 leads to the outside of the holder 2200 and can be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fluid recovery line 2400 connected to the holder 2200, thereby circulating the inner space of the lens assembly 2100.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passage 2118 and the outlet passage 2204 in the second wall passage 2114 may be discharged to the fluid recovery line 2400 .

즉, 도 1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유체 공급라인(2300)에서 공급되는 유체는 인렛 유로(2202), 제1 연결 유로(2116) 제1 벽면 유로(2112), 관통 유로(2154), 통기홈(2152), 커버렌즈(2130)의 후방 공간, 통기홈(2152), 관통 유로(2154), 제2 벽면 유로(2114), 제2 연결 유로(2118) 및 아웃렛 유로(2204)를 순차적으로 순회한 후 유체 회수라인(2400)으로 배출될 수 있다. That is, as shown in FIG. 12, the fluid supplied from the fluid supply line 2300 flows through the inlet passage 2202, the first connection passage 2116, the first wall passage 2112, the through passage 2154, and the ventilation groove ( 2152), the rear space of the cover lens 2130, the ventilation groove 2152, the through passage 2154, the second wall passage 2114, the second connection passage 2118, and the outlet passage 2204 in sequence. After that, it may be discharged to the fluid recovery line 2400.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렌즈 조립체(2100) 외부의 차가운 공기에 의해 렌즈 조립체(2100) 내부의 습기가 렌즈 조립체(2100)의 최전방 외측에 배치되는 커버렌즈(2130)의 후방에서 이슬화 되어서(결로현상)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의 감지성능을 저감시키는데, 도 1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저습도의 기체가 렌즈 조립체(2100)의 내부에 공급되면, 이러한 결로 현상을 저감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the moisture inside the lens assembly 2100 is dewed at the rear of the cover lens 2130 disposed at the outermost front of the lens assembly 2100 by the cool air outside the lens assembly 2100. (Condensation phenomenon) To reduce the sensing performance of the dehumidification optical system lens module, as shown in FIG. 12 , when low-humidity gas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lens assembly 2100, this condensation phenomenon can be reduced.

구체적으로 도 1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이 부착되는 예를 들어 자동차 디지털 사이드 미러의 경우, 자동차 주행에 따라 디지털 사이드 미러의 외측 온도가 하락할 수 있다. 이렇게 외측 온도가 하락하는 경우,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의 부재중 최외측으로 노출되는 제1 리테이너(2140)와 커버렌즈(2130)의 온도가 하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렌즈(2130)의 후방과 통기홈(2152) 측에는 결로현상에 따른 이슬(D)이 맺힐 수 있다. 도 1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결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저습도의 기체를 공급하면, 이슬(D)이 제거될 수 있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1 , in the case of, for example, a digital side mirror of a car to which a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is attached, the external temperature of the digital side mirror may decrease as the vehicle is driven. When the outside temperature decreases,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retainer 2140 and the cover lens 2130 exposed to the outermost part of the members of the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may decrease. Accordingly, dew (D) due to dew condensation may be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cover lens 2130 and the ventilation groove 2152 side. As shown in FIG. 12 , when a low-humidity gas is supplied to prevent such dew condensation, dew (D) may be removed.

위 방식으로 지속적으로 저습도 기체를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 내부 공간에 공급할 수 있고,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위 방식으로 저습도의 기체가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 내부 공간에 제공된 후, 인렛 유로(2202)와 아웃렛 유로(2204)가 마개로 막혀서, 저습도의 내부 환경을 제공할 수도 있다.The low-humidity gas may be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inner space of the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in the above manner, or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after the low-humidity gas is supplied to the inner space of the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in the above manner, the inlet passage 2202 and the outlet passage 2204 may be closed with a stopper to provide an internal environment with low humidity.

도 13은 제4 실시예에 따른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의 단면도이다.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도 13을 참조하여, 제4 실시예에 따른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의 제1 리테이너(3140)는 내부에 커버렌즈(3130)가 안착되는 제1 내측단(3144), 제2 리테이너(3150)가 안착되는 제2 내측단(3146) 및 케이스(3110)의 외주면과 결합되는 제3 내측단(3148)을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the first retainer 3140 of the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has a first inner end 3144 on which a cover lens 3130 is seated and a second retainer 3150 are seated therein. A second inner end 3146 and a third inner end 3148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3110 may be provided.

제2 내측단(3146)과 제3 내측단(3148)에는 나사산이 구비될 수 있다. Screw threads may be provided on the second inner end 3146 and the third inner end 3148 .

제2 내측단(3146)에 안착되는 제2 리테이너(3150)는 체결요소(3156)와 기둥요소(3158)를 구비할 수 있다. 체결요소(3156)는 환형으로 형성되며, 기둥요소(3158)는 체결요소(3156)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retainer 3150 seated on the second inner end 3146 may include a fastening element 3156 and a pillar element 3158 . The fastening element 3156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and the pillar element 3158 may be formed to protrude backward from the fastening element 3156.

이러한 기둥 요소(3158)는 체결요소(3156) 후면의 적어도 두 부분에서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또는 체결요소(3156)의 후면에서 환형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기둥요소(3158)는 또한, 케이스(3110)의 내경보다 외경이 작게 돌출되어서, 케이스(3110) 내의 관로로 인입될 수 있다. The pillar element 3158 may protrude backward from at least two parts of the rear surface of the fastening element 3156, or may protrude annularly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fastening element 3156. The pillar element 3158 may also protrude with a smaller outer diamet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case 3110 and be introduced into a conduit in the case 3110 .

체결요소(3156)의 외주면에는 제2 내측단(3146)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대응되어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나사산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리테이너(3150)와 제1 리테이너(3140)는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내측단(3146)의 후방에는 케이스(3110)의 외주면이 매칭되어 배치될 수 있다. A screw thread formed to correspond to and engage with a screw thread formed on the second inner end 3146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stening element 3156, and accordingly, the second retainer 3150 and the first retainer 3140 are screwed can be combine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3110 may be matched and disposed behind the second inner end 3146 .

구체적으로, 케이스(3110)는 외주면에 제1 외측단(31102)과 제2 외측단(31104)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외측단(31102)의 외경은 제3 내측단(3148)의 내경과 매칭될 수 있고, 제2 외측단(31104)의 외경은 제2 내측단(3146)의 내경 일부와 매칭될 수 있다. 즉, 제1 외측단(31102)의 외경은 제2 외측단(31104)의 외경보다 클 수 있다.Specifically, the case 3110 may include a first outer end 31102 and a second outer end 31104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outer end 31102 may match the inner diameter of the third inner end 3148,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outer end 31104 may match a portion of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inner end 3146. . That is, 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outer end 31102 may be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outer end 31104.

제1 외측단(31102)과 제2 내측단(3146)은 서로 접촉될 수 있고, 제2 외측단(31104)의 전방에는 나사산이 구비되어서, 제2 외측단(31104)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구비되는 제3 내측단(3148)과 나사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3110)와 제1 리테이너(3140)가 결합될 수 있다. The first outer end 31102 and the second inner end 3146 may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 screw thread is provided in front of the second outer end 31104 so that a screw threa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outer end 31104 is provided. It may be screwed with the third inner end 3148. Accordingly, the case 3110 and the first retainer 3140 may be coupled.

체결요소(3156)의 후면에서 연장되는 기둥요소(3158)의 외경은 케이스(311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기둥요소(3158)는 케이스(3110)의 관로 내로 인입될 수 있다. The outer diameter of the pillar element 3158 extending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fastening element 3156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case 3110, and thus the pillar element 3158 can be inserted into the conduit of the case 3110.

즉, 기둥요소(3158)는 체결요소(3156)에서 돌출되어서 제1 리테이너(3140)와 케이스(3110)의 결합에 따라 케이스(3110) 내로 삽입되어서 케이스(3110)의 관로 내에 위치되는 렌즈 유닛들과 접촉될 수 있고, 특히 가장 렌즈 유닛들 중 가장 전방에 위치되는 제1 렌즈 유닛(3122)과 접촉될 수 있다. That is, the pillar element 3158 protrudes from the fastening element 3156 and is inserted into the case 3110 according to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retainer 3140 and the case 3110, and the lens units positioned in the conduit of the case 3110 and, in particular, the first lens unit 3122 positioned at the frontmost of the lens units.

위에서 설명된 구조에 따라 제2 리테이너(3150) 즉, 체결요소(3156)와 기둥요소(3158)는 케이스(3110)와 이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케이스(3110)는 제1 리테이너(3140)와 결합되며, 제2 리테이너(3150)의 기둥요소(3158)의 후방과 케이스(3110)의 최전방 단부, 그리고 제2 리테이너(3150)의 기둥요소(3158)의 외주면과 케이스(3110)의 내주면은 도 1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각각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tructure described above, the second retainer 3150 , that is, the fastening element 3156 and the pillar element 3158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case 3110 . Specifically, the case 3110 is coupled to the first retainer 3140, and the rear of the pillar element 3158 of the second retainer 3150, the front end of the case 3110, and the pillar element of the second retainer 3150 As shown in FIG. 13 ,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3158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case 311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이러한 구조는 제1 리테이너(3140)와 케이스(3110)의 결합 시 부재들의 접촉을 최소화하여 부재들이 누적으로 접촉되며 발생하는 누적공차를 줄일 수 있다. Such a structure minimizes the contact between the members when the first retainer 3140 and the case 3110 are coupled, thereby reducing an accumulation tolerance caused by cumulative contact between the members.

이러한 구조에 따라 외부의 공기 또는 주입되는 유체는 인렛 유로(3202), 제1 연결 유로(3116), 제1 벽면 유로(3112), 제2 리테이너(3150)의 후방공간, 관통유로(3154), 통기홈(3152)을 거쳐서 커버렌즈(4130)의 후방으로 공급될 수 있으며, 커버렌즈(4130) 후방의 유체는 통기홈(3152), 관통유로(3154), 제2 리테이너(3150)의 후방공간, 제2 벽면 유로(3114), 제2 연결 유로(3118) 및 아웃렛 유로(3204)를 거쳐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external air or injected fluid flows through the inlet passage 3202, the first connection passage 3116, the first wall passage 3112, the rear space of the second retainer 3150, the through passage 3154, It can be supplied to the rear of the cover lens 4130 through the ventilation groove 3152, and the fluid behind the cover lens 4130 is supplied to the ventilation groove 3152, the through passage 3154, and the rear space of the second retainer 3150. , It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via the second wall channel 3114, the second connection channel 3118, and the outlet channel 3204.

도 14는 제5 실시예에 따른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의 단면도이다. 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도 14를 참조하여, 제5 실시예에 따른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은 제4 실시예와 유사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제4 실시예에 따른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의 제1 벽면 유로(3112) 및 제2 벽면 유로(3114)는 케이스(3110)의 내주면에 형성되며, 제5 실시예의 제1 벽면 유로(4112) 및 제2 벽면 유로(4114)는 케이스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4 , the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may have a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the fourth embodiment. The first wall passage 3112 and the second wall passage 3114 of the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ar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3110, and the first wall passage 4112 and the second wall passage 4112 of the fifth embodiment The two-wall passage 4114 may b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즉, 제5 실시예에 따른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의 제2 리테이너(4150)는 환형으로 형성되는 체결요소(4156) 및 이러한 체결 요소(4156)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기둥요소(4158)를 구비할 수 있다. That is, the second retainer 4150 of the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may include a fastening element 4156 formed in an annular shape and a pillar element 4158 protruding backward from the fastening element 4156. there is.

커버렌즈(4130)는 제1 리테이너(4140)의 제1 내측단(4144) 내에 위치될 수 있고, 제1 리테이너(4140)의 제2 내측단(4146)에 나사결합되는 제2 리테이너(4150)의 결합에 의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The cover lens 4130 may be positioned within the first inner end 4144 of the first retainer 4140, and the second retainer 4150 screwed to the second inner end 4146 of the first retainer 4140. The position can be fixed by the combination of .

이렇게 고정된 제1 리테이너(4140), 제2 리테이너(4140)의 후방으로 제1 리테이너(4140)의 일부와 제2 리테이너(4150)의 기둥요소(4158)가 돌출될 수 있으며, 제1 리테이너(4140)와 케이스(4110)의 결합에 따라 기둥요소(4158)는 케이스의 내주면으로 삽입되어 케이스(4110) 내 가장 전방에 위치되는 제1 렌즈 유닛(4122)의 전방과 접촉될 수 있다. 기둥요소(4158)의 외경은 케이스(4110)의 내경보다 작을 수 있고, 이에 따라 기둥요소(4158)는 케이스(110)와 이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케이스(4110)는 제1 리테이너(4140)와 결합되며, 제2 리테이너(4150)의 기둥요소(4158)의 후방과 케이스(3110)의 최전방 단부 그리고 제2 리테이너(4150)의 기둥요소(4158)의 외주면과 케이스(4110)의 내주면은 도 1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각각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A part of the first retainer 4140 and the pillar element 4158 of the second retainer 4150 may protrude to the rear of the first retainer 4140 and the second retainer 4140 fixed in this way, and the first retainer ( 4140) and the case 4110 are coupled, the pillar element 4158 may be inserted in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and come into contact with the front of the first lens unit 4122 positioned at the frontmost position in the case 4110. The outer diameter of the pillar element 4158 may be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case 4110 , and thus the pillar element 4158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case 110 . Specifically, the case 4110 is coupled to the first retainer 4140, and the rear of the pillar element 4158 of the second retainer 4150 and the front end of the case 3110 and the pillar element of the second retainer 4150 ( As shown in FIG. 14 ,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4158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case 411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이러한 구조는 제1 리테이너(4140)와 케이스(4110)의 결합 시 부재들의 접촉을 최소화하여 부재들이 누적으로 접촉되며 발생하는 누적공차를 줄일 수 있다. Such a structure minimizes contact between the members when the first retainer 4140 and the case 4110 are coupled, thereby reducing an accumulation tolerance caused by cumulative contact between the members.

도 15는 제6 실시예에 따른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의 부분 단면도이다. 1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도 15를 참조하여, 제6 실시예에 다른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의 제2 리테이너(5150)는 돌출부분(5156)을 구비할 수 있고, 돌출부분(5156)은 환형의 제2 리테이너(5150)가 정의하는 가상의 중심축방향으로, 제2 리테이너(5150)의 내주면 일부부터 국부적으로 돌출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5 , the second retainer 5150 of the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may include a protruding portion 5156, and the protruding portion 5156 is an annular second retainer 5150. It may locally protrude from a part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retainer 5150 in the direction of the defined virtual central axis.

이러한 제2 리테이너(5150)의 돌출부분(5156)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 유닛과 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리테이너(5150)의 돌출부분(5156)의 내경은 복수의 렌즈 유닛 중 가장 전방에 위치하는 렌즈 유닛인 제1 렌즈 유닛(5122)의 외경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1 렌즈 유닛(5122)은 케이스(5110)보다 전방으로 돌출되게 위치될 수 있으며, 제2 리테이너(5156)의 내경은 제1 렌즈 유닛(5122)의 외경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The protruding portion 5156 of the second retainer 5150 may contact at least one lens unit. An inner diameter of the protruding portion 5156 of the second retainer 5150 may be smaller than an outer diameter of the first lens unit 5122 , which is a lens unit positioned most forward among the plurality of lens units. Also, the first lens unit 5122 may be positioned to protrude forward from the case 5110,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retainer 5156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lens unit 5122.

이에 따라, 제1 렌즈 유닛(5122)의 전방부분은 제2 리테이너(5150)의 내주면을 지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리테이너(5150)의 개구 내에서 제2 리테이너(5150)의 내주면에서 돌출되는 돌출부분(5156)에 접촉되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케이스(5110)의 전방 단부와 제2 리테이너(5150)의 후면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리테이너(5150)의 후방과 케이스(5110)의 전방 단부 사이에는 유체가 흐를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front portion of the first lens unit 5122 may be disposed to pass throug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retainer 5150 and protrude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retainer 5150 within the opening of the second retainer 5150. The position may be fixed by contacting the protruding portion 5156. In this case, the front end of the case 5110 and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retainer 515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at is, a space through which fluid can flow may be formed between the rear of the second retainer 5150 and the front end of the case 5110 .

제2 리테이너(5150)는 일부가 전방으로 돌출되거나 전면부에 통기홈이 형성되어서, 제1 벽면 유로 및 제2 벽면 유로(5114)를 지나는 유체는 제2 리테이너(5150)의 관통 유로(5154)를 지나 제2 리테이너(6150)의 전방을 통과하여 커버렌즈(5130)의 후방에 공급되거나, 커버렌즈(5130)의 후방에서 역으로 배기될 수 있다. A part of the second retainer 5150 protrudes forward or a ventilation groove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so that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first wall passage and the second wall passage 5114 passes through the through passage 5154 of the second retainer 5150. It may pass through the front of the second retainer 6150 and be supplied to the rear of the cover lens 5130, or may be exhausted from the rear of the cover lens 5130.

이상에서 설명된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the abov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part of each embodiment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specific detail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ese are provided only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It is not,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se descriptions.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may be performed in an order different from the described method, and/or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tructure, device, etc. may b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from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or equivalents may be used. Appropriate results can be achieved even if substituted or substituted by 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determined, and all things equivalent or equivalent to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렌즈 조립체
110 : 케이스
112 : 제1 벽면 유로
114 : 제2 벽면 유로
120 : 렌즈 유닛
130 : 커버렌즈
140 : 제1 리테이너
142 : 돌출턱
144 : 제1 내측단
146 : 제2 내측단
148 : 제3 내측단
150 : 제2 리테이너
152 : 통기홈
154 : 관통 유로
160 : 씰링부재
170 : 스페이서
180 : 마감부재
200 : 홀더
202 : 인렛 유로
204 : 아웃렛 유로
300 : 유체 공급라인
400 : 유체 회수라인
500 : 마개
1100 : 렌즈 조립체
1110 : 케이스
1112 : 제1 벽면 유로
1114 : 제2 벽면 유로
1116 : 제1 연결 유로
1118 : 제2 연결 유로
1120 : 렌즈 유닛
1130 : 커버렌즈
1140 : 제1 리테이너
1142 : 돌출턱
1144 : 제1 내측단
1146 : 제2 내측단
1148 : 제3 내측단
1150 : 제2 리테이너
1152 : 통기홈
1154 : 관통 유로
1160 : 씰링부재
1170 : 스페이서
1180 : 마감부재
1200 : 홀더
1202 : 인렛 유로
1204 : 아웃렛 유로
1300 : 유체 공급라인
1400 : 유체 회수라인
2100 : 렌즈 조립체
2110 : 케이스
2112 : 제1 벽면 유로
2114 : 제2 벽면 유로
1116 : 제1 연결 유로
1118 : 제2 연결 유로
2120 : 렌즈 유닛
2130 : 커버렌즈
2140 : 제1 리테이너
2142 : 돌출턱
2144 : 제1 내측단
2146 : 제2 내측단
2148 : 제3 내측단
2150 : 제2 리테이너
2152 : 통기홈
2154 : 관통 유로
2160 : 씰링부재
2170 : 스페이서
2180 : 제1 마감부재
2190 : 제2 마감부재
2200 : 홀더
2202 : 인렛 유로
2204 : 아웃렛 유로
2300 : 유체 공급라인
2400 : 유체 회수라인
3110 : 케이스
31102 : 제1 외측단
31104 : 제2 외측단
3112 : 제1 벽면 유로
3114 : 제2 벽면 유로
3116 : 제1 연결 유로
3118 : 제2 연결 유로
3122 : 제1 렌즈 유닛
3130 : 커버렌즈
3140 : 제1 리테이너
3144 : 제1 내측단
3146 : 제2 내측단
3148 : 제3 내측단
3150 : 제2 리테이너
3152 : 통기홈
3154 : 관통 유로
3156 : 체결요소
3158 : 기둥요소
3202 : 인렛 유로
3204 : 아웃렛 유로
케이스(4110)
제1 렌즈 유닛(4122)
4110 : 케이스
4112 : 제1 벽면 유로
4114 : 제2 벽면 유로
4122 : 제1 렌즈 유닛
4130 : 커버렌즈
4140 : 제1 리테이너
4144 : 제1 내측단
4146 : 제2 내측단
4150 : 제2 리테이너
4152 : 통기홈
4154 : 관통 유로
4156 : 체결요소
4158 : 기둥요소
5110 : 케이스
5114 : 제2 벽면 유로
5122 : 제1 렌즈 유닛
5130 : 커버렌즈
5150 : 제2 리테이너
5154 : 관통 유로
5156 : 돌출부분
D : 이슬
100: lens assembly
110: case
112: first wall passage
114: second wall passage
120: lens unit
130: cover lens
140: first retainer
142: protruding jaw
144: first inner end
146: second inner end
148: third inner end
150: second retainer
152: ventilation groove
154: through passage
160: sealing member
170: spacer
180: finishing member
200: holder
202: Inlet Euro
204: outlet euro
300: fluid supply line
400: fluid recovery line
500: stopper
1100: lens assembly
1110: case
1112: first wall passage
1114: second wall passage
1116: first connection flow path
1118: second connection flow path
1120: lens unit
1130: cover lens
1140: first retainer
1142: protruding jaw
1144: first inner end
1146: second inner end
1148: third inner end
1150: second retainer
1152: ventilation groove
1154: Through Euro
1160: sealing member
1170: Spacer
1180: finishing member
1200: holder
1202: Inlet Euro
1204: outlet euro
1300: fluid supply line
1400: fluid recovery line
2100: lens assembly
2110: case
2112: first wall passage
2114: second wall passage
1116: first connection flow path
1118: second connection flow path
2120: lens unit
2130: cover lens
2140: first retainer
2142: protruding jaw
2144: first inner end
2146: second inner end
2148: third inner end
2150: second retainer
2152: ventilation groove
2154: Through Euro
2160: sealing member
2170: Spacer
2180: first finishing member
2190: second finishing member
2200: holder
2202: Inlet Euro
2204: Outlet Euro
2300: fluid supply line
2400: fluid recovery line
3110: case
31102: first outer end
31104: second outer end
3112: first wall passage
3114: second wall passage
3116: first connection flow path
3118: second connection flow path
3122: first lens unit
3130: cover lens
3140: first retainer
3144: first inner end
3146: second inner end
3148: third inner end
3150: second retainer
3152: ventilation groove
3154: Through Euro
3156: fastening element
3158: column element
3202: Inlet Euro
3204 : Outlet Euro
Case (4110)
First lens unit 4122
4110: case
4112: first wall passage
4114: second wall passage
4122: first lens unit
4130: cover lens
4140: first retainer
4144: first inner end
4146: second inner end
4150: second retainer
4152: ventilation groove
4154: Through Euro
4156: fastening element
4158: column element
5110: case
5114: second wall passage
5122: first lens unit
5130: cover lens
5150: second retainer
5154: Through Euro
5156: protruding part
D: Dew

Claims (10)

축방향을 따라 정렬되는 복수의 렌즈 유닛들을 내부에 구비하는 렌즈 조립체; 및
상기 렌즈 조립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서 고정시키도록 배치되고, 상기 렌즈 조립체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 조립체는,
관형으로 형성되어서, 내부에 상기 복수의 렌즈 유닛이 위치되며,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제1 벽면 유로와 제2 벽면 유로를 구비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전방에 배치되는 커버렌즈;
상기 커버렌즈의 전방 테두리 일부를 감싸며, 상기 케이스와 결합되는 리테이너; 및
상기 커버렌즈와 상기 리테이너 사이에 배치되는 씰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는,
상기 케이스의 제1 벽면 유로와 연통되는 인렛 유로; 및
상기 케이스의 제2 벽면 유로와 연통되는 아웃렛 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인렛 유로, 상기 제1 벽면 유로, 상기 커버 렌즈의 후방, 상기 제2 벽면 유로 및 상기 아웃렛 유로는 외기가 상기 인렛 유로에 유입되었다가 상기 아웃렛 유로를 순차적으로 지나가면서 렌즈 모듈 밖으로 배출되는 외기 순환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리테이너는,
관형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커버렌즈의 측면과 상기 케이스의 전방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제1 리테이너; 및
환형으로 형성되어서, 외주면이 상기 제1 리테이너의 내주면과 맞물려 결합되고, 상기 커버렌즈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 리테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리테이너는, 상기 제1 리테이너와 결합되어서, 상기 제1 리테이너 내의 상기 커버렌즈를 상기 커버렌즈의 후방에서 지지하여 상기 커버렌즈의 위치를 고정시키며,
상기 제2 리테이너는,
상기 제1 리테이너의 내주면과 맞물려 결합되는 체결요소와, 상기 체결요소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케이스의 관로 내로 인입되어 상기 복수의 렌즈 유닛들 중 가장 전방에 위치되는 렌즈 유닛에 접촉되는 기둥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기둥요소의 후방과 상기 케이스의 최전방 단부, 상기 기둥요소의 외주면과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은 각각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벽면 유로 및 상기 제2 벽면 유로와 연통되는 복수의 통기홈을 구비하는,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
a lens assembly having a plurality of lens units aligned along an axial direction therein; and
A holder arranged to surround and fix at least a portion of the lens assembly and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space of the lens assembly; includes,
The lens assembly,
a case formed in a tubular shape, having the plurality of lens units positioned therein, and having a first wall channel and a second wall channel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space;
a cover lens disposed in front of the case;
a retainer surrounding a portion of the front edge of the cover lens and coupled to the case; and
And a seal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cover lens and the retainer,
the holder,
an inlet passage communicating with a first wall passage of the case; and
Including; outlet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wall passage of the case,
The inlet flow path, the first wall flow path, the back of the cover lens, the second wall flow path, and the outlet flow path circulate outside air that enters the inlet flow path and then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outlet flow path and is discharged out of the lens module. form a flow
The retainer,
a first retainer formed in a tubular shape to cover a side surface of the cover lens and a front portion of the case; and
A second retainer formed in an annular shape, hav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engaged with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etainer, and disposed behind the cover lens;
The second retainer is coupled to the first retainer to support the cover lens in the first retainer from the rear of the cover lens to fix the position of the cover lens;
The second retainer,
a fastening element engagingly engaged with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etainer, and a pillar element protruding from the fastening element and being introduced into a conduit of the case to contact a lens unit positioned at the frontmost of the plurality of lens units; The rear of the pillar element and the frontmost end of the cas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llar element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are dispos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having a plurality of ventilation grooves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wall passage and the second wall passage , dehumidification optical system lens module.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제1 리테이너는,
상기 제1 리테이너의 전방에서 상기 제1 리테이너의 내주면에서 원심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턱;
상기 돌출턱으로 형성되는 개구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리테이너의 축 방향으로 상기 돌출턱의 후방에 형성되는 제1 내측단;
상기 제1 내측단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리테이너의 축방향으로 상기 제1 내측단의 후방에 형성되는 제2 내측단; 및
상기 제2 내측단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리테이너의 축방향으로 상기 제2 내측단의 후방에 형성되는 제3 내측단;
을 구비하고,
상기 커버렌즈의 외경은 상기 제1 내측단의 지름과 대응되며,
상기 커버렌즈는 상기 제1 리테이너의 상기 제1 내측단에 의해 감싸이는 영역으로 삽입되고,
상기 제2 리테이너의 외주면의 지름은 상기 제2 내측단의 지름과 대응되며,
상기 제2 리테이너는 상기 제1 리테이너의 상기 제2 내측단에 의해 감싸이는 영역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 리테이너와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의 외경은 상기 제3 내측단의 지름과 대응되며,
상기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리테이너의 상기 제3 내측단에 의해 감싸이는 영역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 리테이너와 결합되는,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retainer,
a protruding jaw protruding in a centrifugal direction from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etainer in front of the first retainer;
a first inner end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diameter of the opening formed by the protruding jaw and formed behind the protruding jaw in an axial direction of the first retainer;
a second inner end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at of the first inner end and formed behind the first inner end in an axial direction of the first retainer; and
a third inner end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at of the second inner end and formed behind the second inner end in an axial direction of the first retainer;
to provide,
The outer diameter of the cover lens corresponds to the diameter of the first inner end,
the cover lens is inserted into an area surrounded by the first inner end of the first retainer;
The diameter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retainer corresponds to the diameter of the second inner end,
the second retainer is inserted into an area surrounded by the second inner end of the first retainer and coupled with the first retainer;
The outer diameter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case corresponds to the diameter of the third inner end,
At least a portion of the case is inserted into an area surrounded by the third inner end of the first retainer and coupled to the first retainer, the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테이너의 상기 제2 내측단은 나사산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리테이너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2 내측단의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서, 상기 제1 리테이너와 상기 제2 리테이너는 서로 나사결합되는,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
According to claim 3,
The second inner end of the first retainer has a screw thread,
A screw thread corresponding to the screw thread of the second inner end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retainer, so that the first retainer and the second retainer are screwed togeth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리테이너는 복수의 관통 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통기홈은 상기 복수의 관통 유로와 연통되며, 상기 제2 리테이너 상에서 상기 커버렌즈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관통 유로는 각각 상기 제1 벽면 유로 및 상기 제2 벽면 유로와 연통되는,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retainer has a plurality of through passages,
The plurality of ventilation grooves communicate with the plurality of through passages and are formed on the second retainer in the direction of the cover lens;
The plurality of through passages communicate with the first wall passage and the second wall passage, respectively.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리테이너는 상기 케이스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케이스와 상기 제2 리테이너는 서로 이격되며,
상기 복수의 관통 유로는 상기 케이스의 전방과 상기 제2 리테이너의 후방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지나 상기 제1 벽면 유로 및 상기 제2 벽면 유로와 연통되는,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
According to claim 5,
The second retainer is disposed in front of the case,
The case and the second retainer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plurality of through passages communicate with the first wall passage and the second wall passage through a space formed between the front of the case and the rear of the second retain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리테이너와 상기 홀더에 의해 둘러싸이며,
상기 제1 벽면 유로와 상기 제2 벽면 유로는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리세스, 및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상기 홀더와 상기 리테이너의 내주면에 의해 정의되는,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
According to claim 1,
The case is surrounded by the retainer and the holder,
The first wall passage and the second wall passage are defined by a reces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an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holder and the retainer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를 방사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연결 유로 및 제2 연결 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렌즈 유닛은 관 형상의 상기 케이스 내주면을 따라 정렬되며,
상기 렌즈 조립체는 상기 복수의 렌즈 유닛 사이에 배치되어서 상기 복수의 렌즈 유닛을 각각 이격시키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벽면 유로와 상기 제2 벽면 유로는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리세스와 상기 케이스내에 배치되는 상기 스페이서 및 상기 복수의 렌즈 유닛에 의해 정의되며,
상기 제1 연결 유로는 상기 제1 벽면 유로와 상기 인렛 유로를 연결시키고,
상기 제2 연결 유로는 상기 제2 벽면 유로와 상기 아웃렛 유로를 연결시키는,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
According to claim 1,
The case includes a first connection passage and a second connection passage penetra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case in a radial direction;
The plurality of lens units are align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ular case,
The lens assembly further includes a spacer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lens units to separate the plurality of lens units from each other,
The first wall channel and the second wall channel are defined by a recess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the spacer disposed in the case, and the plurality of lens units;
The first connection passage connects the first wall passage and the inlet passage,
The second connection passage connects the second wall passage and the outlet passage, the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렛 유로와 연결되는 유체 공급라인; 및
상기 아웃렛 유로와 연결되는 유체 회수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유체 공급라인은 저습도의 기체를 상기 홀더로 공급하고,
상기 유체 회수라인은 상기 렌즈 조립체를 순환한 기체를 상기 홀더를 통해 회수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
According to claim 1,
a fluid supply line connected to the inlet passage; and
It further includes; a fluid recovery line connected to the outlet passage;
The fluid supply line supplies low-humidity gas to the holder,
The fluid recovery line recovers the gas circulating through the lens assembly through the holder and discharges it to the outsid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인렛 유로와 상기 아웃렛 유로를 각각 폐쇄하는 마개를 더 포함하는, 제습 광학계 렌즈 모듈.


According to claim 1,
The holder further comprises a stopper for closing the inlet passage and the outlet passage, respectively, the dehumidifying optical system lens module.


KR1020210038299A 2021-03-24 2021-03-24 Dehumaification optical lens module KR1025758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299A KR102575810B1 (en) 2021-03-24 2021-03-24 Dehumaification optical lens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299A KR102575810B1 (en) 2021-03-24 2021-03-24 Dehumaification optical lens mod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3024A KR20220133024A (en) 2022-10-04
KR102575810B1 true KR102575810B1 (en) 2023-09-07

Family

ID=83600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8299A KR102575810B1 (en) 2021-03-24 2021-03-24 Dehumaification optical lens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5810B1 (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5880A (en) * 2014-08-01 2016-02-15 주식회사 세코닉스 Camera module having a waterproof and assembly structure of lense
KR20180054107A (en) * 2016-11-15 2018-05-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Camera module
KR102044358B1 (en) * 2017-12-15 2019-11-13 (주)엔토스정보통신 Dome camer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3024A (en) 2022-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51136B2 (en) Lens assembly and imaging apparatus
CN101699122B (en) Quick connector
US6883948B2 (en) Automotive lamp assembly moisture control system
ES2226720T3 (en) COUPLING ASSEMBLIES TO SUPPLY A FLUID CONNECTION.
US20140071444A1 (en) Borescope
US9046694B2 (en) Cooling apparatus for endoscope and endoscope system
CN206977560U (en) Lens assembly, capture apparatus and unmanned plane
US5980074A (en) Moisture removal device for head lamp
US7380992B2 (en) Hybrid adapter
KR102575810B1 (en) Dehumaification optical lens module
US20190361227A1 (en) Lidar sensor
US20120243836A1 (en) Optical transmission apparatus using plastic optical fiber
US8023211B2 (en) Lens assembly and image-taking apparatus
CN100418006C (en) Camera lens frame device
US5002314A (en) Locking assembly for push-on fittings
JP2021157150A (en) Lens unit
CN201278036Y (en) Lens assembly and camera device
KR102187676B1 (en) Quick connector assembly
FR3107112A1 (en) Motor vehicle heat exchanger with purification device
US20090008930A1 (en) Pipe Fitting
US6467506B1 (en) Cooling system fully visible tester
WO2023221637A1 (en) Imaging lens
US10309853B2 (en) Climate control pressure plug with sensor
CN114563852B (en) Lens unit
KR102322374B1 (en) Waterproofing optical lens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