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5745B1 - 배관 기밀성 테스트 전용 플레이트 구조 - Google Patents

배관 기밀성 테스트 전용 플레이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5745B1
KR102575745B1 KR1020230044965A KR20230044965A KR102575745B1 KR 102575745 B1 KR102575745 B1 KR 102575745B1 KR 1020230044965 A KR1020230044965 A KR 1020230044965A KR 20230044965 A KR20230044965 A KR 20230044965A KR 102575745 B1 KR102575745 B1 KR 102575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pressure
plate
pip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4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화이엔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화이엔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화이엔아이
Priority to KR1020230044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57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5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5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2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 G01M3/2853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for pipe joints or se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2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 G01M3/2807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for pipes
    • G01M3/2815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for pipes using pressure measur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1/00Uses or applications of pigs or moles
    • F16L2101/30Inspecting, measuring or tes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배관 기밀성 테스트 전용 플레이트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내부에 구비된 중공부에 제1면판(112)의 테스트홀(114)이 연통되어 신규 배관(10B) 내부의 기밀성을 테스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관 기밀성 테스트 전용 플레이트 구조{Piping airtightness test plate structure}
본 발명은 배관 기밀성 테스트 전용 플레이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관 내의 기압, 수압 테스트 시 별도의 주입구를 추가적으로 만들 필요 없이 신규 배관 내의 수압, 기압 테스트가 가능한 새로운 구성의 배관 기밀성 테스트 전용 플레이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에 매설되거나 지중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배관은 다수개의 파이프를 연결하여 형성한다. 배관을 형성하는 파이프의 연결부에는 기밀을 유지하도록 플랜지를 이용하고 있다. 파이프를 연결할 때에는 배관을 밀봉하기 위해서 파이프 연결 부위에 플랜지를 용접 고정하고 플랜지의 접촉면에 패킹을 끼우게 되는 방식으로 시공한다.
이때, 신규 배관을 기존 배관에 연결시에 신규 배관에 대한 기밀성 테스트 실시가 필요하다.
그런데, 기존에는 신규 배관 내의 기압, 수압 테스트 시 별도의 주입구를 추가적으로 만들거나 신규 배관 내에 추가적인 포트(port)를 설치하거나 신규 배관 라인 내 기반영된 포트를 찾아야하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31910호(2013년02월04일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2029015호(2019년09월30일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2498707호(2023년02월07일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2412479호(2022년06월20일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배관 내의 기압, 수압 테스트 시 별도의 주입구를 추가적으로 만들 필요 없이 신규 배관 내의 수압, 기압 테스트가 가능한 새로운 구성의 배관 기밀성 테스트 전용 플레이트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에 구비된 중공부에 제1면판(112)의 테스트홀(114)이 연통되어 신규 배관(10B) 내부의 기밀성을 테스트하는 배관 기밀성 테스트 전용 플레이트 구조가 제공된다.
내부에 중공부가 구비되고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기존 배관(10A)과 신규 배관(10B) 사이의 연결 부위에 배치되는 테스트 플레이트(110); 상기 테스트 플레이트(110)의 제1면판(112)에 형성되어 상기 테스트 플레이트(110) 내부의 중공부와 연통된 상기 테스트홀(114); 상기 테스트 플레이트(110)의 둘레부에 연결되며 내부의 노즐홀이 상기 테스트 플레이트(110) 내부의 중공부를 통하여 상기 테스트홀(114)과 연통된 노즐(117);을 포함하며, 상기 테스트홀(114)이 형성된 제1면판(112)을 기존 배관(10A)에 연결되는 신규 배관(10B)의 내부와 마주하도록 배치하여, 상기 신규 배관(10B)과 기존 배관(10A)의 연결 부위의 기밀성을 테스트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테스트 플레이트(110)의 둘레부에는 연장 바아(118)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배관 내의 기압, 수압 테스트 시 별도의 주입구를 추가적으로 만들 필요 없이 해당 주입구를 통해 가압(加壓) 및 해압(解壓)이 가능하여 신규 배관(10B) 내의 기압, 수압 테스트 작업이 쉽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고, 배관 내의 기압, 수압 테스트 시 별도의 주입구를 추가적으로 만들 필요가 없으므로 주입구를 추가로 만드는데에 따른 비용 소요 등이 없어서 경제성 측면에서도 유리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배관 기밀성 테스트 전용 플레이트 구조를 신규 배관과 기존 배관의 연결 부분에 설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배관 기밀성 테스트 전용 플레이트 구조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테스트 플레이트와 노즐과 연통된 노즐홀 부분의 구조를 보여주는 후면도,
도 4는 도 2의 우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배관 기밀성 테스트 전용 플레이트 구조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관 기밀성 테스트 전용 플레이트 구조를 신규 배관과 기존 배관의 연결 부분에 설치하기 이전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
도 7은 도 6의 주요부의 확대된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관 기밀성 테스트 전용 플레이트 구조를 신규 배관과 기존 배관의 연결 부분에 설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
도 9는 도 8의 주요부의 확대된 측단면도,
도 10은 도 8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정단면도,
도 11은 도 8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후면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관 기밀성 테스트 전용 플레이트 구조의 측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정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관 기밀성 테스트 전용 플레이트 구조의 주요부인 격자형 보강 리브의 구조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주요부인 격자형 보강 리브의 구조를 보여주는 내측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고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배관 기밀성 테스트 전용 플레이트 구조를 신규 배관과 기존 배관의 연결 부분에 설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배관 기밀성 테스트 전용 플레이트 구조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테스트 플레이트와 노즐과 연통된 노즐홀 부분의 구조를 보여주는 후면도, 도 4는 도 2의 우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배관 기밀성 테스트 전용 플레이트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배관 기밀성 테스트 전용 플레이트 구조는 내부에 구비된 중공부에 제1면판(112)의 테스트홀(114)이 연통되어 신규 배관(10B) 내부의 기밀성을 테스트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테스트 플레이트(110)에 테스트홀(114)이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테스트 플레이트(110)는 내부에 중공부가 구비된 판형상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테스트 플레이트(110)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테스트 플레이트(110)가 기존 배관(10A)과 신규 배관(10B) 사이의 연결 부위에 배치된다.
상기 테스트홀(114)은 테스트 플레이트(110)의 제1면판(112)에 형성된다. 테스트 플레이트(110)의 양면을 이루는 제1면판(112)과 제2면판(114) 중에서 제1면판(112)에 상기 테스트홀(114)이 형성된다. 상기 테스트홀(114)은 테스트 플레이트(110) 내부의 중공부와 연통된다. 상기 테스트 플레이트(110)는 테스트홀(114)이 형성된 제1면판(112)이 신규 배관(10B)의 내부와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테스트홀(114)을 통해서 테스트 플레이트(110) 내부의 중공부로 신규 배관(10B) 내의 기압 또는 수압이 들어오거나 테스트 플레이트(110) 내부의 중공부로 들어오는 기압 또는 수압이 상기 테스트홀(114)을 통해서 신규 배관(10B) 내부로 들어갈 수 있다.
상기 노즐(117)은 테스트 플레이트(110)의 둘레부에 연결된다. 노즐(117)은 내부에 노즐홀이 형성된 관형상으로 구성된다. 노즐(117) 내부의 노즐홀이 상기 테스트 플레이트(110) 내부의 중공부를 통하여 상기 테스트홀(114)과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테스트홀(114)이 형성된 제1면판(112)을 기존 배관(10A)에 연결되는 신규 배관(10B)의 내부와 마주하도록 배치하여, 상기 신규 배관(10B)과 기존 배관(10A)의 연결 부위의 기밀성을 테스트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노즐(117)을 통해서 테스트 플레이트(110) 내부의 중공부로 들어온 기압 또는 수압이 상기 테스트홀(114)을 통과하여 신규 배관(10B) 내부로 투입되며, 상기 노즐(117)에 연결된 기압 측정 장치 또는 수압 측정 장치에 의해 신규 배관(10B) 내부의 기압 또는 수압이 측정될 수 있다.
또는, 신규 배관(10B) 내부와 마주하도록 배치된 테스트홀(114)을 통해서 기압 또는 수압이 신규 배관(10B) 내부에서 테스트 플레이트(110) 내부의 중공부로 들어와서 상기 노즐(117) 내부의 노즐홀로 들어오고, 노즐(117)에 연결된 기압 측정 장치 또는 수압 측정 장치에 의해 신규 배관(10B) 내부의 기압 또는 수압이 측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배관 내의 기압, 수압 테스트 시 별도의 주입구를 추가적으로 만들 필요 없이 해당 주입구를 통해 가압(加壓) 및 해압(解壓)이 가능하여 신규 배관(10B) 내의 기압, 수압 테스트 작업이 쉽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고, 배관 내의 기압, 수압 테스트 시 별도의 주입구를 추가적으로 만들 필요가 없으므로 주입구를 추가로 만드는데에 따른 비용 소요 등이 없어서 경제성 측면에서도 유리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밀성 테스트 후, 플레이트를 제거하고 신규 배관(10B)과 기존 배관(10A)을 서로 연결할 수 있어서, 플레이트 제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배관 내에서의 해압, 수압 용수 배출이 용이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테스트 플레이트(110)의 둘레부에는 연장 바아(118)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요부인 테스트 플레이트(110)는 신규 배관(10B)과 기존 배관(10A) 사이의 연결 부분에 배치시킬 때에 상기 연장 바아(118)를 파지한 상태에서 테스트 플레이트(110) 배치 작업이 가능하므로, 상기 테스트 플레이트(110)를 신규 배관(10B)과 기존 배관(10A) 사이의 연결 부분에 배치시키는 작업이 보다 쉽고 빠르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관 기밀성 테스트 전용 플레이트 구조를 신규 배관과 기존 배관의 연결 부분에 설치하기 이전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 도 7은 도 6의 주요부의 확대된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관 기밀성 테스트 전용 플레이트 구조를 신규 배관과 기존 배관의 연결 부분에 설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 도 9는 도 8의 주요부의 확대된 측단면도, 도 10은 도 8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정단면도, 도 11은 도 8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후면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관 기밀성 테스트 전용 플레이트 구조의 측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정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관 기밀성 테스트 전용 플레이트 구조의 주요부인 격자형 보강 리브의 구조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주요부인 격자형 보강 리브의 구조를 보여주는 내측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 테스트 플레이트(110)의 양면에 구비된 링형상의 연결 지지 링체(120); 상기 연결 지지 링체(120)의 내부에 구비된 공간부(121); 상기 연결 지지 링체(120)의 내측벽(122)에 관통 형성된 가압 블록 출몰홀(122BH); 상기 가압 블록 출몰홀(122BH)에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된 연결 가압 블록(128); 상기 연결 가압 블록(128)의 외측 단부에 연결된 가압 작동 스템(123); 상기 가압 작동 스템(123)과 상기 연결 가압 블록(128)의 외측단에 양단부가 연결된 가압 작동 스프링(124); 상기 연결 지지 링체(120)의 외측벽(125)에 형성된 볼트 체결홀(125BH)에 결합된 연결 가압 볼트(12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 작동 스프링(124)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각각 가압 작동 스템(123)의 상단부에 구비된 헤드(123HD)의 저면과 연결 지지 링체(120)의 내측벽(122) 안쪽면에 용접과 같은 접합수단으로 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가압 블록 출몰홀(122BH)과 연결 가압 블록(128)과 가압 작동 스템(123)과 가압 작동 스프링(124)과 연결 가압 볼트(126)는 상기 테스트 플레이트(11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가압 블록 출몰홀(122BH)과 연결 가압 블록(128)과 가압 작동 스템(123)과 가압 작동 스프링(124)과 연결 가압 볼트(126)가 테스트 플레이트(110)의 양면에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결 가압 블록(128)의 내측단은 가압 작동 스프링(124)이 당겨주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연결 지지 링체(120)의 가압 블록 출몰홀(122BH)을 통해 상기 내측벽(122)보다 더 안쪽으로 돌출된 상태에 있다가 상기 연결 지지 링체(120)의 중심부와 기존 배관(10A)과 신규 배관(10B)의 중심부를 동일 축선상에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기존 배관(10A)의 끝단의 플랜지부(FL)와 신규 배관(10B) 끝단의 플랜지부(FL)가 상기 테스트 플레이트(110)의 양면 쪽으로 밀려들어도록 하는 힘을 작용시키면, 상기 기존 배관(10A)의 끝단의 플랜지부(FL)와 신규 배관(10B) 끝단의 플랜지부(FL)가 각각 테스트 플레이트(110)의 양면에 배치된 연결 가압 블록(128)을 테스트 플레이티의 중심부에서 벌어지는 방향으로 밀어내게 되면서 상기 연결 가압 블록(128)이 연결 지지 링체(120) 내부의 공간부(121)로 들어가고 상기 연결 가압 블록(128)의 내측단은 상기 가압 작동 스프링(124)이 당겨주는 탄성력에 의해 신규 배관(10B)의 플랜지부(FL) 둘레부와 기존 배관(10A)의 플랜지부(FL)의 둘레부에 탄성적으로 가압 밀착되므로, 상기 테스트 플레이트(110)를 기존 배관(10A)과 신규 배관(10B) 사이의 연결 부분에 1차로 안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연결 지지 링체(120)의 외측벽(125)에 형성된 볼트 체결홀(125BH)을 기준으로 상기 연결 가압 볼트(126)를 돌려서 조여주면, 상기 연결 가압 볼트(126)가 상기 연결 가압 블록(128)을 상기 기존 배관(10A)의 플랜지부(FL)의 둘레부와 신규 배관(10B)의 플랜지부(FL)의 둘레부 쪽으로 밀어서 연결 가압 블록(128)의 내측단이 기존 배관(10A)의 플랜지부(FL)의 둘레부와 신규 배관(10B)의 플랜지부(FL)의 둘레부에 강하게 가압 밀착되도록 하므로, 상기 테스트 플레이트(110)를 기존 배관(10A)과 신규 배관(10B) 사이의 연결 부분에 더욱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테스트 플레이트(110)의 양면에 구비된 적어도 두 개의 연결 가압 블록(128) 사이로 기존 배관(10A)의 플랜지부(FL)와 신규 배관(10B)을 플랜지부(FL)를 밀어넣기만 하면 1차적으로 두 개 이상의 연결 가압 블록(128)이 기존 배관(10A)의 플랜지부(FL)와 신규 배관(10B)을 플랜지부(FL)를 1차적으로 그립하고, 상기 테스트 플레이트(110)의 양면에 배치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연결 가압 볼트(126)를 조여주기만 하면 적어도 두 개의 연결 가압 블록(128)이 기존 배관(10A)과 신규 배관(10B)을 강하게 잡고 있는 상태로 유지되므로, 기존 배관(10A)과 신규 배관(10B) 사이에 테스트 플레이트(110) 부분을 보다 쉽고 확실하게 배치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신규 배관(10B)의 내부와 마주하는 제1면판(112)에 돌출된 완충 가이드핀(132); 상기 완충 가이드핀(132)에 양면으로 관통된 핀홀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앙부에는 양면으로 관통된 통과홀(134H)을 구비한 완충판(134); 상기 완충 가이드핀(132)의 외주면에 연결되며 양단부는 상기 제1면판(112)과 상기 완충판(134)의 안쪽면 사이에 접촉된 완충 스프링(13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판(134)의 전면은 완충 가이드핀(132)의 선단부에 구비된 헤드(HD)에 걸려짐으로써, 완충판(134)이 완충 가이드핀(132)에서 앞쪽으로 이탈되는 경우는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완충판(134)의 통과홀(134H)의 중심부는 상기 테스트홀(114)의 중심부와 동일 선상에 배치되어, 상기 통과홀(134H)을 통해서 테스트홀(114)로 압력(즉, 기압 또는 수압)이 들어가거나 테스트홀(114)에서 완충판(134)의 통과홀(134H)을 통해서 나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신규 배관(10B) 내부에서 압력(즉, 기압 또는 수압)이 상기 테스트 플레이트(110)의 제1면판(112)에 충돌하기 이전에 상기 완충판(134)에 먼저 충돌하고, 상기 완충판(134)에 신규 배관(10B) 내부의 압력이 충돌하면 완충판(134)이 뒤로 밀려나고, 상기 완충 스프링(135)은 압축되면서 신규 배관(10B) 내부의 압력을 테스트 플레이트(110)의 제1면판(112) 전체가 그대로 받게 되는 경우를 방지하고 일부의 압력 측정에 필요한 양의 압력이 제1면판(112)의 일부면에만 부딪히도록 함으로써, 테스트 플레이트(110)에서 테스트홀(114)이 형성된 제1면판(112)이 누적되는 신규 배관(10B) 내부의 압력에 의해 찌그러지는 것과 같은 변형이 생기는 경우를 방지하므로, 주요부인 테스트 플레이트(110)의 변형에 의해 수명이 단축되는 경우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고, 상기 테스트 플레이트(110)의 제1면판(112)이 충돌 압력에 의해 영구 변형되는 경우도 방지하므로, 상기 테스트홀(114)을 통해 드나드는 압력 측정의 정밀도를 정확하게 보장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테스트 플레이트(110)의 제1면판(112)의 안쪽면에 격자형 보강 리브(142)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격자형 보강 리브(142)를 가로 세로 방향으로 교차된 복수개의 리브 스트랩(142RS)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격자형 보강 리브(142)의 기단부는 제1면판(112)의 안쪽면에 연결되어 있고, 격자형 보강 리브(142)의 선단부는 상기 제2면판(114)의 안쪽면과는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고, 상기 격자형 보강 리브(142) 영역에는 상기 테스트홀(114)을 상기 노즐(117) 내부의 노즐홀과 연결시키는 연결 통로부(142CP)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 통로부(142CP)를 통해서 테스트홀(114)에서 신규 배관(10B) 내부의 압력(즉, 가압 또는 수압)이 노즐(117) 내부의 노즐홀로 들어갈 수 있고, 상기 노즐(117) 내부의 노즐홀로 들어온 상기 압력이 연결 통로부(142CP)를 통과하여 테스트홀(114)을 통해서 신규 배관(10B)의 내부로 들어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신규 배관(10B) 내부에서 압력(즉, 기압 또는 수압)이 상기 테스트 플레이트(110)의 제1면판(112)의 바깥면에 충돌할 때의 충격력을 상기 격자형 보강 리브(142)가 받쳐주면서 충격력에 버티는 힘을 유지하게 되므로, 상기 신규 배관(10B) 내부에서 압력(즉, 기압 또는 수압)이 상기 테스트 플레이트(110)의 제1면판(112)의 바깥면에 충돌할 때의 충격력에 의해 상기 제1면판(112)이 쉽게 휘어지는 것과 같은 변형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만일, 상기 신규 배관(10B) 내부에서 압력(즉, 기압 또는 수압)이 상기 테스트 플레이트(110)의 제1면판(112)의 바깥면에 충돌할 때의 충격력에 의해 제1면판(112)이 제2면판(114) 쪽으로 휘어지는 경우가 있다 하더라도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격자형 보강 리브(142)의 선단부가 제2면판(114)의 안쪽면에 접촉되어서 버티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상기 신규 배관(10B) 내부에서 압력(즉, 기압 또는 수압)이 상기 테스트 플레이트(110)의 제1면판(112)의 바깥면에 충돌할 때의 충격력에 의해 상기 제1면판(112)이 과도하게 휘어져서 영구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고, 상기 격자형 보강 리브(142)가 안에서 버텨주는 힘에 의해 테스트 플레이트(110)의 제1면판(112)이 영구 변형되는 경우를 방지함으로써, 상기 테스트홀(114)을 통해 드나드는 압력 측정의 정밀도를 더욱더 정확하게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A. 기존 배관 10B. 신규 배관
FL. 플랜지부 110. 테스트 플레이트
112. 제1면판 114. 테스트홀
116. 제2면판 117. 노즐
118. 연장 바아 120. 연결 지지 링체
121. 공간부 122. 내측벽
122BH. 가압 블록 출몰홀 123. 가압 작동 스템
124. 가압 작동 스프링 125. 외측벽
125BH. 볼트 체결홀 126. 연결 가압 볼트
128. 연결 가압 블록 132. 완충 가이드핀
134. 완충판 134H. 통과홀
135. 완충 스프링 142. 격자형 보강 리브
142RS. 리브 스트랩 142CP. 연결 통로부

Claims (3)

  1. 내부에 구비된 중공부에 제1면판(112)에 테스트홀(114)이 연통되어 신규 배관(10B) 내부의 기밀성을 테스트하도록 구성되고,
    내부에 중공부가 구비되고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기존 배관(10A)과 신규 배관(10B) 사이의 연결 부위에 배치되는 테스트 플레이트(110);
    상기 테스트 플레이트(110)의 제1면판(112)에 형성되어 상기 테스트 플레이트(110) 내부의 중공부와 연통된 상기 테스트홀(114);
    상기 테스트 플레이트(110)의 둘레부에 연결되며 내부의 노즐홀이 상기 테스트 플레이트(110) 내부의 중공부를 통하여 상기 테스트홀(114)과 연통된 노즐(117);을 포함하며,
    상기 테스트홀(114)이 형성된 제1면판(112)을 기존 배관(10A)에 연결되는 신규 배관(10B)의 내부와 마주하도록 배치하여, 상기 신규 배관(10B)과 기존 배관(10A)의 연결 부위의 기밀성을 테스트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테스트 플레이트(110)의 양면에 구비된 링형상의 연결 지지 링체(120);
    상기 연결 지지 링체(120)의 내부에 구비된 공간부(121);
    상기 연결 지지 링체(120)의 내측벽(122)에 관통 형성된 가압 블록 출몰홀(122BH);
    상기 가압 블록 출몰홀(122BH)에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된 연결 가압 블록(128);
    상기 연결 가압 블록(128)의 외측 단부에 연결된 가압 작동 스템(123);
    상기 가압 작동 스템(123)과 상기 연결 가압 블록(128)의 외측단에 양단부가 연결된 가압 작동 스프링(124);
    상기 연결 지지 링체(120)의 외측벽(125)에 형성된 볼트 체결홀(125BH)에 결합된 연결 가압 볼트(126);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압 작동 스프링(124)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각각 가압 작동 스템(123)의 상단부에 구비된 헤드(123HD)의 저면과 연결 지지 링체(120)의 내측벽(122) 안쪽면에 용접과 결합되고,
    상기 가압 블록 출몰홀(122BH)과 연결 가압 블록(128)과 가압 작동 스템(123)과 가압 작동 스프링(124)과 연결 가압 볼트(126)는 상기 테스트 플레이트(11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가압 블록 출몰홀(122BH)과 연결 가압 블록(128)과 가압 작동 스템(123)과 가압 작동 스프링(124)과 연결 가압 볼트(126)가 테스트 플레이트(110)의 양면에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기밀성 테스트 전용 플레이트 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플레이트(110)의 둘레부에는 연장 바아(118)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기밀성 테스트 전용 플레이트 구조.
KR1020230044965A 2023-04-05 2023-04-05 배관 기밀성 테스트 전용 플레이트 구조 KR102575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4965A KR102575745B1 (ko) 2023-04-05 2023-04-05 배관 기밀성 테스트 전용 플레이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4965A KR102575745B1 (ko) 2023-04-05 2023-04-05 배관 기밀성 테스트 전용 플레이트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5745B1 true KR102575745B1 (ko) 2023-09-06

Family

ID=87973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4965A KR102575745B1 (ko) 2023-04-05 2023-04-05 배관 기밀성 테스트 전용 플레이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574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910B1 (ko) 2011-07-13 2013-02-08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배관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관검사방법
KR20130002926U (ko) * 2011-11-08 2013-05-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수압 테스트 어셈블리
KR20140057771A (ko) * 2012-11-05 2014-05-1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배관의 수압테스트 장치
KR102029015B1 (ko) 2018-02-12 2019-10-07 주식회사 엠엘 배관검사장치
KR102412479B1 (ko) 2021-10-19 2022-06-23 김영길 조인트 타입 외부배관이 구비된 도금 약품 이송용 이중배관
KR102498707B1 (ko) 2021-06-02 2023-02-10 이영민 반도체 제조공정에 사용되는 약품배관 피팅용 풀림방지블럭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910B1 (ko) 2011-07-13 2013-02-08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배관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관검사방법
KR20130002926U (ko) * 2011-11-08 2013-05-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수압 테스트 어셈블리
KR20140057771A (ko) * 2012-11-05 2014-05-1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배관의 수압테스트 장치
KR102029015B1 (ko) 2018-02-12 2019-10-07 주식회사 엠엘 배관검사장치
KR102498707B1 (ko) 2021-06-02 2023-02-10 이영민 반도체 제조공정에 사용되는 약품배관 피팅용 풀림방지블럭
KR102412479B1 (ko) 2021-10-19 2022-06-23 김영길 조인트 타입 외부배관이 구비된 도금 약품 이송용 이중배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35023B2 (ja) 油圧シリンダ及びクイックカプラ
KR102161859B1 (ko) 커플링
KR100936084B1 (ko) 2개의 파이프의 탈착 가능한 접속을 위한 신속 연결부
JP3186544U (ja) タイヤ修理機械の迅速な着脱装置
US10107428B2 (en) Clamp for connecting pipe and device for connecting pipe including the same
KR102575745B1 (ko) 배관 기밀성 테스트 전용 플레이트 구조
JPWO2012073723A1 (ja) クランプ装置
KR20020029062A (ko) 에어 범퍼
KR100567142B1 (ko) 배관 이음용 연결관
KR101956147B1 (ko) 파이프 누설시험용 밀폐장치
KR102581591B1 (ko) 관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하는 phc 파일 구조체
KR101664101B1 (ko) 고무확장조인트에 대한 무브먼트 성능검사용 장치
KR100764877B1 (ko) 탄성튜브 시일시스템
KR20170112081A (ko) 원터치식 배관 연결용 커플러
CN212251621U (zh) 一种具有校验功能双锁止连接装置
KR20130045253A (ko) 논 리턴 밸브 기능을 갖는 측정 니들
KR200483751Y1 (ko) 보일러용 흡배기관 연결파이프
JP4884657B2 (ja) 補修用被覆体及び既設管路補修方法
KR200416904Y1 (ko) 관 연결구
KR101469151B1 (ko) 원푸싱 배관결합체
JP6656908B2 (ja) 流体注入治具
KR100226097B1 (ko) 접착제 주입장치
KR20200134414A (ko) 자동차용 연료탱크 강성 보강 장치
KR100929177B1 (ko) 파이프 누수 측정용 어뎁터
KR102264586B1 (ko) 철근 커플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