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5702B1 - 독립적 운영이 가능한 친환경 풍력발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독립적 운영이 가능한 친환경 풍력발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5702B1
KR102575702B1 KR1020210141549A KR20210141549A KR102575702B1 KR 102575702 B1 KR102575702 B1 KR 102575702B1 KR 1020210141549 A KR1020210141549 A KR 1020210141549A KR 20210141549 A KR20210141549 A KR 20210141549A KR 102575702 B1 KR102575702 B1 KR 102575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wind
power supply
supply unit
power gen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1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7606A (ko
Inventor
부용혁
이성훈
손진혁
김형종
Original Assignee
윈디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윈디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윈디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41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5702B1/ko
Publication of KR20230057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7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5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5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7/00Controlling wind motors 
    • F03D7/02Controlling wind motors  the wind motors having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7/026Controlling wind motors  the wind motors having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for starting-u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80/00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3D1/00 - F03D1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10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storing energy
    • F03D9/11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storing energy storing electrical energ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1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including a supplementary source of electric power, e.g. hybrid diesel-PV energy systems
    • H02S10/12Hybrid wind-PV energy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10Clean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70/00Control
    • F05B2270/30Control parameters, e.g. input parameters
    • F05B2270/32Wind spee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70/00Control
    • F05B2270/30Control parameters, e.g. input parameters
    • F05B2270/321Wind dire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타워 상부에 블레이드 및 발전기가 마련되어 전력을 생산하는 풍력발전 시스템은 상기 타워 측면에 부착되는 태양광 패널, ESS(Energy Storage System), 풍속, 풍향을 측정하는 기상 관측부,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을 위해 시동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전원 공급부 및 풍력발전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태양광 패널에서 생산된 전력 또는 상기 ESS의 전력을 이용하며, 상기 기상 관측부의 관측 결과 상기 풍력 발전기를 구동하기 위한 풍속이 부족한 경우 상기 전원 공급부의 전원으로 상기 블레이드를 회전 시키고, 상기 블레이드가 일정 회전속도 이상이 되는 경우 전원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외부의 전력 공급 없이 독립적으로 운영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독립적 운영이 가능한 친환경 풍력발전 시스템{Eco-friendly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capable of independent operation}
본 발명은 풍력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일정 풍속 이상인 경우에는 풍력 발전기가 전력을 생산하되, 일정 풍속 이하인 경우 풍력 발전기의 시동을 위해 ESS 및 태양광 발전을 이용하여 풍력 발전기를 작동시키는 친환경 풍력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풍력 발전기(풍력발전 시스템)는 일정 풍속 이상에서 설계된 용량에 맞게 전기를 생산하는 시스템이다. 즉, 풍력 발전기 블레이드의 회전을 위한 풍속 즉, 시동 풍속이 확보되지 않으면 전기를 생산하지 못하게 되므로, 시동 풍속 이전이나 종단 풍속 이후의 풍력 발전기 운영을 위해서는 외부 전기를 사용하여 블레이드를 회전 시키게 된다.
특히, 발전 단지의 특성상 풍력 발전기 수가 늘어남에 따라 시스템 운영을 위해 소비되는 전력은 비례하여 증가하게 되며, 여름철에는 평균 풍속이 낮아 다른 시기에 비해 많은 전력이 추가로 필요하게 된다.
즉, 친환경 전기 생산 방식인 풍력발전 시스템을 풍속과 같은 외부 기상 환경에 영향을 적게 받고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외부 전력이 공급되어야 하므로 새로운 환경 오염이 발생할 수 있으며, 풍력발전 시스템이 독립적으로 운영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1407460호(2014.06.13. 공고)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정적이고 독립적인 풍력발전 시스템 운영을 위해 ESS 및 태양광 패널을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친환경 풍력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타워 상부에 블레이드 및 발전기가 마련되어 전력을 생산하는 풍력발전 시스템은 상기 타워 측면에 부착되는 태양광 패널, ESS(Energy Storage System), 풍속, 풍향을 측정하는 기상 관측부,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을 위해 시동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전원 공급부 및 풍력발전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태양광 패널에서 생산된 전력 또는 상기 ESS의 전력을 이용하며, 상기 기상 관측부의 관측 결과 상기 풍력 발전기를 구동하기 위한 풍속이 부족한 경우 상기 전원 공급부의 전원으로 상기 블레이드를 회전 시키고, 상기 블레이드가 일정 회전속도 이상이 되는 경우 전원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외부의 전력 공급 없이 독립적으로 운영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ESS는 전기 차량의 사용 후 이차전지를 이용하여 구성하되, 상기 사용 후 배터리의 사용 이력, 제조 일자, 제조사, 사용 환경을 고려하여 등급을 나눈 후 잔여 수명을 예측하여 배터리 팩을 구성하며, 환경에 따라 상기 배터리 팩의 냉각, 발열, 송풍을 위한 수단이 더 마련되고, 상기 ESS의 유지관리를 위한 마스터 BMS와 슬레이브 BMS는 RF-ID 또는 NFC로 연결되고, 상기 전원 공급부가 마련되는 환경의 습도, 온도 조건을 함께 검토하여 반영하는 과정을 포함함으로써 안정적인 전원 공급을 가능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풍력 발전기의 생산 전력 일부와 상기 태양광 패널에서 생산된 전력을 상기 전원 공급부의 ESS에 저장하고, 상기 태양광 패널은 상기 타워 측면에 부착되되, 일조량, 일조시간을 고려하여 배치되며, 상기 태양광 패널 표면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별도 청소 수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상 관측부는 상기 타워 또는 나셀에 부착된 라이다 시스템으로 마련되고, 상기 라이다 시스템으로 얻은 기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태양광 패널의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상기 블레이드에 공급하는 전력의 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을 위한 시동 풍속 이전 또는 종단 풍속 이후에는 상기 전원 공급부의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되, 상기 블레이드의 고유 진동수와 풍속을 함께 고려하여 전원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 운동량을 증폭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ESS는 지열 발전, 파력 발전, 조력 발전, 태양열 발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로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하며, 필요 시 사용자의 상기 풍력 발전기 모니터링 용 유선 드론의 전원으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기의 효율적인 운영방법은, 별도의 전원 공급부(ESS, 태양광 패널)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전원 공급부의 상태를 확인 및 관리하는 단계, 풍력 발전기 주변의 풍속, 풍향을 측정하는 단계, 기 설정 기준에 따라 전원 공급부의 전원으로 블레이드를 회전하는 단계 및 풍력발전기의 구동 및 모니터링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 공급부는 태양광 패널, ESS, 전기 차량의 사용 후 이차전지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 시스템은 태양광 패널 및 ESS를 사용하여 시동 풍속 확보 이전에 풍력발전 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독립적이고 친환경적인 전기 생산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풍력발전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풍력발전 시스템의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풍력발전 시스템의 태양광 패널이 부착된 상태를 설명하는 이미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풍력발전 시스템의 운영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풍력발전 시스템 및 운영방법에 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 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풍력발전 시스템(10)은 타워(130) 상부에 블레이드(110) 및 발전기가 마련되어 전력을 생산하는 풍력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타워 측면에 부착되는 태양광 패널(150), ESS(350, Energy Storage System), 풍속, 풍향을 측정하는 기상 관측부(170), 상기 블레이드(110)의 회전을 위해 시동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300) 및 상기 전원 공급부(300) 및 풍력발전 시스템(10)을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 시스템(10)은 종래와 같이 풍력 발전기(100)가 생산한 전기를 가정이나 도시로 공급하는 것에는 변함이 없으나, 상기 풍력 발전기(100)의 초기 구동을 위해 외부로부터 별도의 전원을 공급받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별도 전원은 친환경 전기로서 태양광 패널(150) 또는 ESS를 사용하며, 상기 ESS는 경우에 따라서, 전기 차량의 사용 후 이차 전지를 재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전원 공급부(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시동 풍속 이전 또는 종단 풍속 이후에 블레이드(110)를 회전시키기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상기 태양광 패널(150)에서 생산된 전력 또는 상기 ESS(350)의 전력을 이용한다.
또한, 시동 풍속, 종단 풍속과 같은 외부 기상 환경을 측정하기 위한 기상 관측부(170)가 더 마련되며 상기 기상 관측부(170)의 관측 결과 상기 풍력 발전기(100)를 구동하기 위한 풍속이 부족한 경우 상기 전원 공급부(300)의 전원으로 상기 블레이드(110)를 회전 시키고, 상기 블레이드(110)가 일정 회전속도 이상이 되는 경우 전원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외부의 전력 공급 없이 독립적으로 운영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ESS(350)는 전기 차량의 사용 후 이차전지를 이용하여 구성하되, 상기 사용 후 배터리의 사용 이력, 제조 일자, 제조사, 사용 환경을 고려하여 등급을 나눈 후 잔여 수명을 예측하여 배터리 팩을 구성하며, 환경에 따라 상기 배터리 팩의 냉각, 발열, 송풍을 위한 수단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ESS의 유지관리를 위한 마스터 BMS와 슬레이브 BMS는 RF-ID 또는 NFC로 연결되고, 상기 전원 공급부가 마련되는 환경의 습도, 온도 조건을 함께 검토하여 반영하는 과정을 포함함으로써 안정적인 전원 공급이 가능하다.
상기 전원 공급부(300)는 전기 차량의 사용 후 이차 전지를 분해하거나 분리하여 재 조립하는 것으로서 셀과 모듈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배터리 모듈과 이웃하는 모듈의 결합으로 배터리 스테이션 즉, 전원 공급부(300)가 완성된다. 물론, 상기 배터리 스테이션(전원 공급부, 300)의 배터리 상태 확인 및 사용 관리를 위한 BMS(330, battery management system, 배터리 관리 시스템)가 마련된다.
상기 BMS는 마스터 BMS와 슬레이브 BMS로 마련되고, 이 둘 간의 연결은 경우에 따라서 RF-ID 또는 NFC 등의 근거리 통신수단으로 연결될 수 있는데, 종래 유선으로 연결됨으로써 사용 상 불편함이 발생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라 상기 근거리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연결 함으로써 그 배치 및 활용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BMS가 전원 공급부(300, 배터리 스테이션)를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운용하기 위해서는 현재 배터리 상태의 센싱, 배터리 운용에 관련된 여러 지표와 가중치 등을 고려한 알고리즘 및 산술을 통해 잔여 수명 등을 예측하고, 예측된 결과를 기초로 배터리 셀 또는 모듈을 선택, 집중, 변경 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 공급부(300)의 ESS를 전기 차량의 사용 후 배터리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사용 후 배터리의 사용 이력, 제조 일자, 제조사, 사용 환경을 고려하여 등급을 나눈 후 잔여 수명을 예측하여 배터리 팩을 구성할 수 있다. 즉, 전기 차량의 배터리를 재사용하는 경우 상기 전기 차량이 출고 된지 오래되지 않았으나 사고로 인해 배터리를 재사용하는 경우라면 상기 배터리의 사용 횟수, 빈도가 낮아 더 긴 수명이 확보될 것이고, 상기 전기 차량이 1년 내내 추운 지역에서 사용했다면 온도 환경에 따라 그 배터리의 수명이 더 짧아지는 것을 참고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 상기 전원 공급부(300)는 범용적 사용을 위한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모듈을 기본 단위로 하고, 각각의 모듈에 대한 Slave BMS와 배터리 팩 시스템에 대한 Master BMS, 모듈 보호를 위한 BPU(Battery Protection Unit), 출력 전압 조절을 위한 Output Module, 각각의 모듈 및 전체 배터리 팩에 대한 상태(SOC, 전압, 전류, 전력, 온도 등) 표시를 위한 Display로 추가 구성 될 수 있다.
또한, 전기 차량 사용 후 배터리를 이용한 배터리 스테이션, 배터리 팩 시스템은 운영환경(진동, 충격, 침수, 고온 등) 및 적용 제품의 소비전력에 따라 용량 확장이 용이하도록 모듈 단위로 패키징 구성 컨버터와 PCB, 냉각장치(또는 구조)를 사용하여 제품 요구 사양에 따라 출력 전압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재사용 배터리 팩(배터리 모듈)의 성능 분석을 위해 전기 차량 사용 후 배터리의 상태를 추정할 수 있는 방안으로 배터리 모듈을 완전 충, 방전 방식의 정밀검사와 10%씩 방전하며 진행하는 표준검사, 내부 저항 값 측정 등을 통한 성능 평가 기준을 통해 사용 후 배터리 Grade 분류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모듈에 대해서 OCV(Open Circuit Voltage) table 을 바탕으로 선정된 특정 구간의 부분 방전 검사 방법을 활용하여 배터리 모듈의 성능평가 모델 구성하고, 사용 후 배터리 모듈의 열화특성 분석, 가속인자 도출, 가속모델을 통한 수명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MS는 배터리 모듈 및 팩을 고전압, 저전압, 과출력, 과열 및 열 폭주로부터 보호하고, 충전상태(SOC: state of Charge)를 포함한 배터리 예측, 다수의 셀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셀 밸런싱 기능이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셀 전압의 과전압과 저전압, 과충전과 과방전 검출 기능, Active 셀 밸런스, Passive 셀 밸런스의 측정, 배터리의 이상 발열 검출하기 위한 온도 측정장치를 구성하여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상기 전원 공급부(300)는 시동 풍속 이전에 상기 풍력 발전기의 구동을 위해 전원을 공급하고 이때 상기 ESS는 전기 차량의 이차전지를 재사용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전기를 공급함과 동시에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태양광 패널(150)에서 생산한 전기를 함께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풍력 발전기(100)에서 생산한 전력 일부와 상기 태양광 패널(150)에서 생산된 전력은 상기 전원 공급부(300)의 ESS에 저장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태양광 패널(150)은 상기 타워(130) 측면에 부착되되, 일조량, 일조시간을 고려하여 배치된다.
또한, 상기 태양광 패널(150) 표면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별도 청소 수단(미도시)이 더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풍력 발전기가 설치되는 장소의 환경적 특성을 반영하여 상기 태양광 패널의 개수, 위치 등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기상 관측부(170)는 상기 타워(130) 또는 나셀에 부착된 촬영수단 또는 카메라 등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라이다 시스템으로 마련할 수 있다. 상기 라이다 시스템으로 얻은 기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태양광 패널의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상기 블레이드(110)의 회전을 위해 공급하는 전력의 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블레이드(110)의 회전을 위한 시동 풍속 이전 또는 종단 풍속 이후에는 상기 전원 공급부(300)의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되, 상기 블레이드(110)의 고유 진동수와 풍속을 함께 고려하여 전원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 운동량을 증폭시킬 수 있다. 즉, 풍속의 진동과 블레이드의 고유 진동수를 참고하여 공명 현상을 일으킴으로써 보다 적은 전력 소비를 함과 동시에 독립적인 친환경 풍력발전 시스템을 운영하는 것이다.
상기 ESS(350)는 지열 발전, 파력 발전, 조력 발전, 태양열 발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로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즉, 상기 풍력 발전기(100)가 설치되는 환경 적 특성을 이용하여 조력, 파력 등의 친환경 전력을 함께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공급부(300)는 필요 시 사용자의 상기 풍력 발전기 모니터링 용 유선 드론의 전원으로도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 시스템은 풍력 발전기의 타워 형상에 맞게 곡면 타입의 태양광 패널을 지상에서 유지보수가 용이한 높이(약 50 m)까지 균일한 간격으로 타워 360° 에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태양광 패널은 특정 셀 고장 시 하나의 패널 교체에 대한 비용 및 시간을 고려하여 사이즈를 최적화하고, 유지보수 시 패널간 용이한 연결 및 해체를 위해 플러그 인 타입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태양광 패널과 함께 또는 선택하여 전원 공급부로 사용되는 ESS는 풍력 발전기에서 필요로 하는 평균 전력소비량에 따라 용량과 방전율,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종류를 결정하고, 안전적인 장치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충전, 방전, 외부환경)과 과충전 방지 및 냉각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BMS를 통해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에 대한 SOC 및 SOH를 추정하고, 셀 밸런싱 기능을 통해 충 방전 시 셀간 전압차이 조절하고, 출력은 풍력 발전기 요구 사양에 따러 전압 조절이 가능하도록 컨버터를 통해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기의 효율적인 운영방법은 별도의 전원 공급부(ESS, 태양광 패널)를 구성하는 단계(S100), 상기 전원 공급부의 상태를 확인 및 관리하는 단계(S200), 풍력 발전기 주변의 풍속, 풍향을 측정하여 판단하는 단계(S300), 기 설정 기준에 따라 전원 공급부의 전원을 공급하여 블레이드를 회전하는 단계(S400) 및 풍력발전기의 구동 및 모니터링 단계(S500)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 공급부(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시동 풍속 이전 또는 종단 풍속 이후에 블레이드(110)를 회전시키기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상기 태양광 패널(150)에서 생산된 전력 또는 상기 ESS(350)의 전력을 이용한다.
또한, 시동 풍속, 종단 풍속과 같은 외부 기상 환경을 측정하기 위한 기상 관측부(170)가 더 마련되며 상기 기상 관측부(170)의 관측 결과 상기 풍력 발전기(100)를 구동하기 위한 풍속이 부족한 경우 상기 전원 공급부(300)의 전원으로 상기 블레이드(110)를 회전 시키고, 상기 블레이드(110)가 일정 회전속도 이상이 되는 경우 전원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외부의 전력 공급 없이 독립적으로 운영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ESS(350)는 전기 차량의 사용 후 이차전지를 이용하여 구성하되, 상기 사용 후 배터리의 사용 이력, 제조 일자, 제조사, 사용 환경을 고려하여 등급을 나눈 후 잔여 수명을 예측하여 배터리 팩을 구성하며, 환경에 따라 상기 배터리 팩의 냉각, 발열, 송풍을 위한 수단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300)는 전기 차량의 사용 후 이차 전지를 분해하거나 분리하여 재 조립하는 것으로서 셀과 모듈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배터리 모듈과 이웃하는 모듈의 결합으로 배터리 스테이션 즉, 전원 공급부(300)가 완성된다. 물론, 상기 배터리 스테이션(전원 공급부, 300)의 배터리 상태 확인 및 사용 관리를 위한 BMS(330, battery management system, 배터리 관리 시스템)가 마련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기의 효율적인 운영방법은, 시동 풍속 이전에 상기 전원 공급부의 전원을 이용하여 블레이드를 회전시키고, 이후 풍속 또는 블레이드의 회전속도를 측정하거나 발전되는 전기량 등을 체크하여 상기 전원 공급부(300)의 전원을 공급, 조절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의 단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당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 시스템은 시동 풍속 이전에도 풍력 발전기를 운영할 수 있도록 태양광 패널 및 전원 공급부(ESS)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환경 친화적이며 독립적 운영이 가능한 풍력발전 시스템에 이용될 수 있다.
10: 풍력발전 시스템 100: 풍력 발전기
110: 블레이드 130: 타워
150: 태양광 패널 170: 기상 관측부
300: 전원 공급부 350: ESS
400: 서버 500: 제어부
S100: 태양광 패널 및 ESS를 이용한 전원 공급부 구성
S200: 기상 환경 및 상태 체크
S300: 시동 풍속 점검 및 판단
S400: 전원 공급부 ON
S500: 상태 모니터링
S600: 전원 공급부 OFF

Claims (7)

  1. 타워 상부에 블레이드 및 발전기가 마련되어 전력을 생산하는 풍력발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타워 측면에 부착되는 태양광 패널;
    ESS(Energy Storage System);
    풍속, 풍향을 측정하는 기상 관측부;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을 위해 시동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전원 공급부 및 풍력발전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태양광 패널에서 생산된 전력 또는 상기 ESS의 전력을 이용하며, 상기 기상 관측부의 관측 결과 풍력 발전기를 구동하기 위한 풍속이 부족한 경우 상기 전원 공급부의 전원으로 상기 블레이드를 회전 시키고, 상기 블레이드가 일정 회전속도 이상이 되는 경우 전원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외부의 전력 공급 없이 독립적으로 운영 가능하고,
    상기 ESS는 전기 차량의 사용 후 이차전지를 이용하여 구성하되, 상기 사용 후 배터리의 사용 이력, 제조 일자, 제조사, 사용 환경을 고려하여 등급을 나눈 후 잔여 수명을 예측하여 배터리 팩을 구성하며, 환경에 따라 상기 배터리 팩의 냉각, 발열, 송풍을 위한 수단이 더 마련되고, 상기 ESS의 유지관리를 위한 마스터 BMS와 슬레이브 BMS는 RF-ID 또는 NFC로 연결되고, 상기 전원 공급부가 마련되는 환경의 습도, 온도 조건을 함께 검토하여 반영하는 과정을 포함함으로써 안정적인 전원 공급을 가능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풍력 발전기의 생산 전력 일부와 상기 태양광 패널에서 생산된 전력을 상기 전원 공급부의 ESS에 저장하고, 상기 태양광 패널은 상기 타워 측면에 부착되되, 일조량, 일조시간을 고려하여 배치되며, 상기 태양광 패널 표면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별도 청소 수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상 관측부는 상기 타워 또는 나셀에 부착된 라이다 시스템으로 마련되고, 상기 라이다 시스템으로 얻은 기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태양광 패널의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상기 블레이드에 공급하는 전력의 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을 위한 시동 풍속 이전 또는 종단 풍속 이후에는 상기 전원 공급부의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되, 상기 블레이드의 고유 진동수와 풍속을 함께 고려하여 전원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 운동량을 증폭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ESS는 지열 발전, 파력 발전, 조력 발전, 태양열 발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로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하며, 필요 시 사용자의 상기 풍력 발전기 모니터링 용 유선 드론의 전원으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 시스템.
  7. 제 1항, 제 3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풍력발전기의 효율적인 운영방법은,
    별도의 전원 공급부(ESS, 태양광 패널)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전원 공급부의 상태를 확인 및 관리하는 단계;
    풍력 발전기 주변의 풍속, 풍향을 측정하는 단계;
    기 설정 기준에 따라 전원 공급부의 전원으로 블레이드를 회전하는 단계; 및
    풍력발전기의 구동 및 모니터링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 공급부는 태양광 패널, ESS, 전기 차량의 사용 후 이차전지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적인 풍력발전 운영방법.

KR1020210141549A 2021-10-22 2021-10-22 독립적 운영이 가능한 친환경 풍력발전 시스템 KR102575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1549A KR102575702B1 (ko) 2021-10-22 2021-10-22 독립적 운영이 가능한 친환경 풍력발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1549A KR102575702B1 (ko) 2021-10-22 2021-10-22 독립적 운영이 가능한 친환경 풍력발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7606A KR20230057606A (ko) 2023-05-02
KR102575702B1 true KR102575702B1 (ko) 2023-09-07

Family

ID=86387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1549A KR102575702B1 (ko) 2021-10-22 2021-10-22 독립적 운영이 가능한 친환경 풍력발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570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4429A (ja) * 2002-04-17 2003-11-06 Energy Products Co Ltd 風力発電機
KR101776573B1 (ko) 2017-04-20 2017-09-18 이재욱 발전 효율이 증대된 태양광 및 풍력 발전 장치
WO2020233748A1 (de) * 2019-05-17 2020-11-26 Heliatek Gmbh Säule mit mindestens einem photovoltaischen element und verwendung eines photovoltaischen elements an einer säul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7460B1 (ko) 2013-04-03 2014-06-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풍력발전기 및 그 운영 방법
KR20160122519A (ko) * 2015-04-14 2016-10-24 (주) 대경엔지니어링 블레이드 피치 컨트롤러 배터리 원격 감시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4429A (ja) * 2002-04-17 2003-11-06 Energy Products Co Ltd 風力発電機
KR101776573B1 (ko) 2017-04-20 2017-09-18 이재욱 발전 효율이 증대된 태양광 및 풍력 발전 장치
WO2020233748A1 (de) * 2019-05-17 2020-11-26 Heliatek Gmbh Säule mit mindestens einem photovoltaischen element und verwendung eines photovoltaischen elements an einer sä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7606A (ko) 2023-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31497B2 (en) Electrical energy storage unit and control system and applications thereof
CN102569938B (zh) 动力电池热管理装置
CN107150602B (zh) Bms电池管理系统
EP1610571A2 (en) Radio base station for mobile cellular telephony fed by wind energy source
WO2009141651A2 (en) Supervisory system controller for use with a renewable energy powered radio telecommunications site
US20120249152A1 (en) Charging/discharging determination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non-transitory medium storing charging/discharging determination program
JP6266700B2 (ja) エネルギー貯蔵システム
KR101612645B1 (ko) 축전 장치 관리 시스템
EP3454067A1 (en) Predictive battery test systems and methods
JP2017220293A (ja) 電池の充放電曲線推定装置及び、その充放電曲線推定方法
EP3826102A1 (en) Model based monitoring of battery system
KR102391119B1 (ko) 배터리 냉각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17085866A (ja) エネルギー貯蔵システム及びヒータ駆動方法
US20130218358A1 (en) Management system
KR101635544B1 (ko) 에너지 운영 시스템
JP2013219941A (ja) 再生可能エネルギー利用発電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
KR102575702B1 (ko) 독립적 운영이 가능한 친환경 풍력발전 시스템
McDowall Energy storage in remote arctic communities: Driving down diesel consumption with batteries
KR102268723B1 (ko) 충전율 제어가 가능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677835B1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배터리 상태 측정 방법
CN103532143A (zh) 弥补功率预测精度的新能源发电系统
JP5122699B1 (ja) 電力蓄積システム、および、蓄電モジュールの制御方法
KR20180131666A (ko) 태양광 발전장치와 계통 전원의 상태 감시 장치
CN108429331A (zh) 备用电源装置及变桨控制装置
JP6678393B2 (ja) 蓄電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