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5260B1 - 헤어브러쉬 모발제거기 - Google Patents

헤어브러쉬 모발제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5260B1
KR102575260B1 KR1020210192573A KR20210192573A KR102575260B1 KR 102575260 B1 KR102575260 B1 KR 102575260B1 KR 1020210192573 A KR1020210192573 A KR 1020210192573A KR 20210192573 A KR20210192573 A KR 20210192573A KR 102575260 B1 KR102575260 B1 KR 102575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hair
hairbrush
present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2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02442A (ko
Inventor
조완수
Original Assignee
(주)언일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언일전자 filed Critical (주)언일전자
Priority to KR1020210192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5260B1/ko
Publication of KR20230102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2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5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5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4/00Hair combs for care of the hair; Accessories therefor
    • A45D24/40Manually actuated comb cleaners
    • A45D24/44Manually actuated comb cleaners as separate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7/00Accessories for brushes
    • A46B17/06Devices for cleaning brushes after use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어브러쉬 모발제거기에 관한 것으로, 헤어브러시의 사용 후 헤어브러쉬에 엉켜 있는 머리카락을 제거할 수 있도록, 길이를 갖고 하향으로 만곡된 손잡이 끝단에 손잡이 방향으로 절곡된 제1갈고리와 제2갈고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갈고리의 양측에 안내홈이 형성되고 안내홈 양측에 제2갈고리가 배치되어, 헤어브러쉬의 청결 및 위생 상태를 향상시키고 편의성 및 호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헤어브러쉬 모발제거기{Apparatus for removal of hair in hair brush}
본 발명은 헤어브러쉬 모발제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헤어브러시의 사용 후 헤어브러쉬에 엉켜 있는 머리카락을 제거하기 위한 헤어브러쉬 모발제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빗은 머리카락의 정렬을 위한 이가 일자형태로 되어 있어 이의 사이사이에 끼는 머리카락을 손가락으로 또는 손바닥으로 한번의 쓸어내림으로 제거가 가능하나 머리카락을 길들이면서 또는 특이한 형태로 만들기 위하여 사용되는 헤어브러쉬 타입은 이가 브리즐의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손가락이나 손바닥을 사용하여 한번의 쓸어 내림으로 머리카락의 제거가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는 이가 일정한 폭으로 집단을 이루게 됨으로 이러한 이의 사이사이에 끼이게 될 경우에 서로 이의 사이로 엉키게 되면서 쉽게 제거가 곤란하다는 점이다.따라서 이러한 헤어브러쉬에 끼게 된 머리카락은 일일이 뽑아내거나 또는 꼬챙이를 이용하여 긁어내게 되는 것이어서 여간 불편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통상 헤어브러쉬는 여러사람이 사용할 경우에는 지저분한 상태로 됨으로 머리카락의 손질에 유용한 브러쉬의 사용에 많은 제한적인 부담이 따르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헤어브러쉬의 머리카락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의 필요성이 생기게 되었다.
위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종래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48216호에서 보는 바와 같이, 브러쉬의 일측에 형성되어 사용되는 헤어브러시의 머리카락 제거 장치로서, 상기 헤어브러시의 머리카락 제거 장치는, 플레이트, 플레이트의 하측에 브러쉬와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된 홈, 플레이트의 상측에 캡이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형성된 가이드부 및 플레이트의 일측에 형성된 지지점을 포함하는 바디;상기 가이드부에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캡; 일측이 상기 지지점과 결합되되, 상기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수직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제1 제거대; 일측이 상기 제1 제거대의 타측과 힌지로 결합되되, 타측에 작용점이 형성되는 제2 제거대; 및 일측이 상기 캡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2 제거대의 작용점에 연결되는 와이어;를 포함한다.
그런데 종래의 기술구성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헤어브러쉬에 엉커있는 머리카락의 상태에 따라 머리카락을 완벽하게 제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헤어브러쉬의 머리카락을 제거하기 위한 제거대를 모든 헤어브러쉬에 장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48216호.(2019년02월15일)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헤어브러시의 사용 후 헤어브러쉬에 엉켜 있는 머리카락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길이를 갖고 하향으로 만곡된 손잡이 끝단에 손잡이 방향으로 절곡된 제1갈고리와 제2갈고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갈고리의 양측에 안내홈이 형성되고 안내홈 양측에 제2갈고리가 배치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갈고리와 제2갈고리에 각각 제1걸림홈과 제2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갈고리의 절곡각 θ1은 78°내지 83°이고, 상기 제2갈고리의 절곡각 θ2는 100°내지 11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걸림홈과 제2걸림홈의 각도는 θ3, θ4는 14°내지 19°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헤어브러쉬 모발제거기는 헤어브러시의 사용 후 헤어브러쉬에 엉켜 있는 머리카락을 제거할 수 있도록, 길이를 갖고 하향으로 만곡된 손잡이 끝단에 손잡이 방향으로 절곡된 제1갈고리와 제2갈고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갈고리의 양측에 안내홈이 형성되고 안내홈 양측에 제2갈고리가 배치되어, 헤어브러쉬의 청결 및 위생 상태를 향상시키고 편의성 및 호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헤어브러쉬 모발제거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헤어브러쉬 모발제거기를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헤어브러쉬 모발제거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헤어브러쉬 모발제거기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헤어브러쉬 모발제거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헤어브러쉬 모발제거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헤어브러쉬 모발제거기를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인 헤어브러쉬 모발제거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헤어브러쉬 모발제거기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인 헤어브러쉬 모발제거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헤어브러쉬 모발제거기 100의 구성상태를 살펴보면, 손잡이 110와, 제1갈고리 120와 제2갈고리 130로 이루어진다. 이때 손잡이 110는 손으로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길이를 갖고 하향으로 만곡된 바 형상이 바람직하나 이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또한, 손잡이 110 끝단에 손잡이 110 방향으로 절곡된 제1갈고리 120와 제2갈고리 13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갈고리 120와 제2갈고리 130는 머리카락 H을 손쉽게 긁기 위해 끝이 뾰족한 형상이다.
더불어, 평면에서 볼 때 중앙에 제1갈고리 120가 배치되고 제1갈고리 120의 양측에 안내홈 140이 형성되며 안내홈 140 양측에 제2갈고리 130가 배치된다.
나아가, 상기 제1갈고리 120의 절곡각 θ1은 78°내지 83°이고, 상기 제2갈고리 130의 절곡각 θ2는 100°내지 110°이다.
한편, 상기 제1갈고리 120와 제2갈고리 130에 각각 제1걸림홈 121과 제2걸림홈 131이 형성된다. 즉, 제1갈고리 120와 제2갈고리 130 따라 헤어브러쉬 B에서 제거된 머리카락 H이 제1걸림홈 121과 제2걸림홈 131에 걸리게 된다.
특히, 상기 제1걸림홈 121과 제2걸림홈 131의 각도는 θ3, θ4는 14°내지 19°이다.
즉, 제1갈고리 120의 절곡각 θ1이 78°이하이고 제2갈고리 130의 절곡각 θ2가 100°이하이거나, 제1걸림홈 121과 제2걸림홈 131의 각도 θ3, θ4가 14°이하 일 경우 머리카락 H 걸리는 양이 적어지고, 제1갈고리 120의 절곡각 θ1이 83°이상이고 제2갈고리 130의 절곡각 θ2가 110°이상이거나, 제1걸림홈 121과 제2걸림홈 131의 각도 θ3, θ4가 19°이상일 경우 머리카락 H이 걸리지 않고 빠져나가게 된다.
이때, 제1갈고리 120의 폭 L1이 제2갈고리 130의 폭 L2가 1.4 내지 1.6배 정도 크다. 즉, 제1갈고리 120를 기준으로 좌우로 갈라지게 제2갈고리 130가 배치되는 형상이다. 이처럼, 폭이 큰 제1갈고리 120가 먼저 머리카락 H을 제거하고 밀려난 머리카락 H은 제2갈고리 130를 통해 제거한다.
나아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갈고리 120와 제2갈고리 130의 두께 W1과 안내홈 140의 두께 W2는 동일한 두께가 바람직 하나 이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어브러쉬 B에 엉켜있는 머리카락 H을 헤어브러쉬 모발제거기 100로 제거하기 위해 헤어브러쉬 B의 표면을 제1갈고리 120와 제2갈고리 130의 뾰족한 부분이 맞닿도록 하여 이동시킨다. 그리하여, 헤어브러쉬 B에 엉켜있는 머리카락 H이 제1걸림홈 121과 제2걸림홈 131에 걸리면서 수집된다.
결국,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헤어브러쉬 모발제거기 100는 헤어브러시 B의 사용 후 헤어브러쉬 B에 엉켜 있는 머리카락 H을 제거할 수 있도록, 길이를 갖고 하향으로 만곡된 손잡이 110 끝단에 손잡이 110 방향으로 절곡된 제1갈고리 120와 제2갈고리 130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갈고리 120의 양측에 안내홈 140이 형성되고 안내홈 140 양측에 제2갈고리 130가 배치되어, 헤어브러쉬의 청결 및 위생 상태를 향상시키고 편의성 및 호환성이 향상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헤어브러쉬 모발제거기
110 : 손잡이 120 : 제1갈고리
121 : 제1걸림홈 130 : 제2갈고리
131 : 제2걸림홈 140 : 안내홈

Claims (4)

  1. 길이를 갖고 하향으로 만곡된 손잡이 끝단에 손잡이 방향으로 절곡된 제1갈고리와 제2갈고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갈고리의 양측에 안내홈이 형성되고 안내홈 양측에 제2갈고리가 배치되되,
    상기 제1갈고리의 절곡각 θ1은 78°내지 83°이고,
    상기 제2갈고리의 절곡각 θ2는 100°내지 1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브러쉬 모발제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갈고리와 제2갈고리에 각각 제1걸림홈과 제2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브러쉬 모발제거기.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홈과 제2걸림홈의 각도는 θ3, θ4는 14°내지 1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브러쉬 모발제거기.
KR1020210192573A 2021-12-30 2021-12-30 헤어브러쉬 모발제거기 KR102575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2573A KR102575260B1 (ko) 2021-12-30 2021-12-30 헤어브러쉬 모발제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2573A KR102575260B1 (ko) 2021-12-30 2021-12-30 헤어브러쉬 모발제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2442A KR20230102442A (ko) 2023-07-07
KR102575260B1 true KR102575260B1 (ko) 2023-09-12

Family

ID=87154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2573A KR102575260B1 (ko) 2021-12-30 2021-12-30 헤어브러쉬 모발제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526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047Y1 (ko) * 2002-12-18 2003-06-11 박종호 머리카락제거구가 내장된 헤어 브러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8216B1 (ko) 2017-11-02 2019-02-15 황현진 헤어브러시의 머리카락 제거 장치
KR20190124461A (ko) * 2018-04-26 2019-11-05 주상숙 롤브러시 머리카락 제거용 빗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047Y1 (ko) * 2002-12-18 2003-06-11 박종호 머리카락제거구가 내장된 헤어 브러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2442A (ko) 2023-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1360B2 (en) Hairbrush
US20170332600A1 (en) Multi-purpose grooming tools
US20100050358A1 (en) Interdental brush
JPS6014815A (ja) ヘアブラシ
KR20190056261A (ko) 피봇 가능 솔을 포함하는 치아 세정 도구
JP7195617B2 (ja) 歯ブラシ
KR102575260B1 (ko) 헤어브러쉬 모발제거기
US5355545A (en) Hand and fingernail cleaning brush
KR200470610Y1 (ko) 이중 브러시를 가지는 마스카라
CN210247939U (zh) 卸毛刮板及宠物毛发梳理套件
KR200362144Y1 (ko) 머리카락 제거가 가능한 헤어브러쉬
KR200452707Y1 (ko) 묶음 기능을 갖는 머리 빗
WO1982001126A1 (en) Dental hygiene tool
KR20150003064U (ko) 헤어 브러쉬의 이물질 제거장치
KR200467741Y1 (ko) 헤어 브러쉬의 이물질 제거장치
US3077199A (en) Comb cleaner
JP2004313446A (ja) 歯間清掃具
KR20110009959U (ko) 손쉽게 이물질을 제거하는 헤어 브러시
KR200316047Y1 (ko) 머리카락제거구가 내장된 헤어 브러시
KR102213247B1 (ko) 가르마 손질의 용이성을 향상시킨 머리빗
CN104138302B (zh) 牙线固持器
KR102120282B1 (ko) 칫솔
JPH0131115Y2 (ko)
JP3064738U (ja) 洗浄具
JP3132057U (ja) 清掃用ブラ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