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5213B1 -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codes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cod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5213B1
KR102575213B1 KR1020220125861A KR20220125861A KR102575213B1 KR 102575213 B1 KR102575213 B1 KR 102575213B1 KR 1020220125861 A KR1020220125861 A KR 1020220125861A KR 20220125861 A KR20220125861 A KR 20220125861A KR 102575213 B1 KR102575213 B1 KR 102575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customer terminal
display
customer
web p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58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성복
Original Assignee
성현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현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성현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25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521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5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52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2Providing cryptographic facilities or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53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providing data content
    • H04M1/275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providing data content by optical scan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conomics (AREA)
  • Bioeth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코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며, 코드 표시 장치는 웹페이지로의 접속을 위한 URL을 포함하는 코드를 생성하는 코드 생성부, 및 생성된 상기 코드를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출 코드로서 표출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드는, 기 설정된 시간 단위마다 가변되는 가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It relates to a code display device, the code display device includes a code generator for generating a code including a URL for access to a web page, and a control unit for displaying the generated code as an expression code on a display unit, The code may include variable data that is variable for each preset time unit.

Description

코드 표시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codes}C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codes}

본 발명은 웹(웹페이지) 접속을 위한 URL을 이용한 코드 표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using a URL for web (webpage) access.

QR(Quick Response) 코드는 사각형의 가로세로 격자무늬에 다양한 정보를 담고 있는 2차원(매트릭스) 형식의 코드로서, 1994년 일본 덴소웨이브사가 개발하였으며, 덴소웨이브사가 특허권을 행사하지 않겠다고 선언하면서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QR (Quick Response) code is a two-dimensional (matrix) type code that contains various information in square horizontal and vertical grid patterns. It was developed by Denso Wave in Japan in 1994. is widely used in

기존의 1차원 바코드가 20자 내외의 숫자 정보만을 저장할 수 있는 반면, QR코드는 숫자 최대 7,089자, 문자(ASCII) 최대 4,296자, 이진(8비트) 최대 2,953바이트, 한자 최대 1,817자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일반 바코드 보다 인식속도와 인식률, 복원력이 뛰어나다. 바코드가 주로 계산이나 재고관리, 상품확인 등을 위해 사용된다면, QR코드는 마케팅이나 홍보, PR 수단으로 많이 사용된다.While existing one-dimensional barcodes can only store numeric information of around 20 characters, QR codes can store up to 7,089 numbers, up to 4,296 characters (ASCII), up to 2,953 bytes in binary (8-bit), and up to 1,817 Chinese characters. , Recognition speed, recognition rate, and resilience are superior to general barcodes. While barcodes are mainly used for calculation, inventory management, and product identification, QR codes are widely used as marketing, promotion, and PR tools.

또한, 기존 바코드를 읽을 수 있는 전용단말기는 상품 판매자만 소유할 수 있어 소비자들이 바코드를 이용하여 정보를 파악하는 것이 불가능했지만, QR코드의 경우 스마트폰만 있으면 소비자들이 직접 상품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In addition, exclusive terminals that can read existing barcodes can only be owned by product sellers, making it impossible for consumers to use barcodes to identify information.

QR코드는 스마트폰이 보급되면서 활용도가 높아졌다. 스마트폰 사용자들은 무료로 제공되는 QR코드 스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으로 QR코드를 스캔하기만 하면 각종 정보를 손쉽게 얻을 수 있다.The use of QR codes has increased with the spread of smartphones. Smartphone users can easily obtain various information simply by scanning a QR code with a smartphone with a free QR code scanning application installed.

예시적으로, 최근 음식을 판매하는 매장(음식점, 식당 등)에서는 매장 내 각 테이블마다 해당 매장에서 판매되는 음식을 온라인으로 주문 접수 가능하도록 하는 QR 코드를 종이에 인쇄하는 방식 등을 통해 출력하여 테이블 상에 부착시켜 둠으로써, 테이블에 앉은 고객이 자신이 소지한 스마트폰으로 해당 QR 코드를 스캔함으로써 음식 주문 접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형태로 매장을 운영하기도 한다.For example, in a store (restaurant, restaurant, etc.) that sells recent food, a QR code that enables online ordering of food sold in the store is printed on paper for each table in the store, and the table is displayed. By attaching it to the table, the store is operated in such a way that customers sitting at the table can receive food orders by scanning the corresponding QR code with their smartphone.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QR 코드 제공 방식(일예로, QR 코드를 종이 인쇄 등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데이터 변경이 불가능한 고정된 형식으로 제공하는 방식)은, QR 코드를 제공할 당시 QR 코드에 저장해둔 정보가 항시 동일하게 그대로 제공되는 형태(즉, 변화 없이 고정되어 있는 항시 동일한 고정 데이터가 제공되는 형태)이기 때문에, 해당 QR 코드에 대한 복사가 가능하고, 이러한 복사에 의해 복사된 QR 코드로 음식/상품에 대한 주문과 결제가 가능함에 따라 허위 주문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such a conventional QR code providing method (for example, a method of providing a QR code in a fixed format in which data cannot be changed by providing a QR code through paper printing),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QR code at the time of providing the QR code is Since it is provided in the same form at all times (that is, a form in which the same fixed data is provided at all times that is fixed without change), the corresponding QR code can be copied, and the copied QR code can be used for food/products. There is a problem in that false orders occur as orders and payments are possible.

또한, 종래의 QR 코드 제공 방식에서는, 고객이 테이블에 부착된 QR 코드로 음식 주문을 하고자 스마트폰으로 QR 코드를 인식해 QR 코드에 대응하는 URL에 접속하면, 이후 QR 코드를 제공한 매장의 사업주가 기 등록해둔 아이디와 비밀번호(즉, 접속된 URL의 웹페이지에 기 설정되어 있는 ID와 PW)를 고객이 직접 입력함으로써 음식 주문 등의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였는바, 이는 고객을 번거롭게 하는 측면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에는 고객이 1회의 음식 주문과 결제를 완료한 이후 추가 주문을 하고자 할 경우, 추가 주문의 수행시마다 고객이 'QR 코드 인식, ID와 PW의 입력, 추가 주문에 따른 결제'의 과정을 매번 수행해야 했기 때문에, 이 역시 고객을 불편하고 번거롭게 하는 측면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QR code provision method, when a customer recognizes a QR code with a smartphone to order food with a QR code attached to a table and accesses a URL corresponding to the QR code, then the business owner of the store that provided the QR code Customers were able to use services such as ordering food by directly entering their registered ID and password (i.e., the ID and PW preset on the web page of the accessed URL), which caused inconvenience to customers. . In addition, conventionally, if a customer wants to place an additional order after completing one food order and payment, the customer has to go through the process of 'recognizing the QR code, entering ID and PW, and paying for the additional order' whenever the additional order is executed. had to be performed each time, which also made customers uncomfortable and cumbersome.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2-0091851호에 개시되어 있다.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2-0091851.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의 QR 코드 제공 방식(일예로, QR 코드를 종이 인쇄 등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데이터 변경이 불가능한 고정된 형식으로 제공하는 방식)이 갖는 다양한 문제점들(즉, QR 코드의 복사로 인한 허위 주문 발생 문제, URL 접속 후 고객이 직접 ID와 PW를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 추가 주문 수행시마다 매번 결제를 재차 수행해야 했던 불편함 등의 문제점들)을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코드 표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the conventional QR code providing method (for example, a method of providing a QR code in a fixed format in which data cannot be changed by providing a QR code through paper printing, etc.) has various Problems (i.e., problems such as occurrence of false orders due to copying of QR code, inconvenience of customer having to input ID and PW directly after accessing URL, inconvenience of having to make payment again every time additional order is mad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that can effectively solve the problem.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드 표시 장치는, 웹페이지로의 접속을 위한 URL을 포함하는 코드를 생성하는 코드 생성부, 및 생성된 상기 코드를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출 코드로서 표출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드는, 기 설정된 시간 단위마다 가변되는 가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cod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de generator for generating a code including a URL for access to a web page, and the generated code A control unit for displaying the display code as an expression code on the display unit may be included, and the code may include variable data that is variable for each preset time unit.

또한, 상기 코드는, 고정 데이터가 기록되는 고정부 영역 및 상기 가변 데이터가 기록되는 가변부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 데이터는, 상기 웹페이지에 대응하는 상기 URL의 주소 정보이고, 상기 가변 데이터는, 상기 웹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이용을 위해 상기 웹페이지에서의 로그인 수행시 필요한 로그인 인증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데이터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ode includes a fixed part area in which fixed data is recorded and a variable part area in which the variable data is recorded, wherein the fixed data is address information of the URL corresponding to the web page, and the variable data is , It may be data generated using login authentication data required when logging in on the webpage to use the service provided by the webpage.

또한, 상기 가변 데이터는, 상기 기 설정된 시간 단위마다 변경되는 일회용 키값을 이용하여 상기 로그인 인증 데이터를 암호화함으로써 생성되는 암호화된 가변 로그인 인증 데이터일 수 있다.Also, the variable data may be encrypted variable login authentication data generated by encrypting the login authentication data using a one-time key value that is changed for each preset time unit.

또한, 상기 코드는, 고객 단말에서 시도되는 상기 표출 코드에 대한 상기 웹페이지로의 접속 시도의 유형에 영향을 받아 상기 접속 시도의 유형에 따라 상기 웹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이용 가능 여부가 달리 결정되도록 생성된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ode is influenced by the type of access attempt to the web page for the display code attempted in the customer terminal, and the availability of the service provided in the web page is determin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access attempt. It may have been created to be.

또한, 상기 접속 시도의 유형은, 고객 단말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출되어 있는 표출 코드에 대한 직접 인식을 기반으로 상기 웹페이지로의 접속을 시도하는 제1 유형, 및 상기 고객 단말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출되어 있는 표출 코드에 대한 간접 인식을 기반으로 상기 웹페이지로의 접속을 시도하는 제2 유형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ypes of access attempts include a first type in which a customer terminal attempts to access the webpage based on direct recognition of an expression cod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a first type in which the customer terminal attempts to access the display unit. A second type of trying to access the web page based on indirect recognition of the display code displayed on the web page may be included.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is only illustrative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dditional embodiments may exist in th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코드 표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QR 코드 제공 방식(일예로, QR 코드를 종이 인쇄 등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데이터 변경이 불가능한 고정된 형식으로 제공하는 방식)이 갖는 다양한 문제점들(즉, QR 코드의 복사로 인한 허위 주문 발생 문제, URL 접속 후 고객이 직접 ID와 PW를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 추가 주문 수행시마다 매번 결제를 재차 수행해야 했던 불편함 등의 문제점들)을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by providing a c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a conventional QR code providing method (eg, providing a QR code in a fixed format in which data cannot be changed by providing a QR code through paper printing, etc.) method) has various problems (i.e., the problem of generating false orders due to copying of the QR code, the inconvenience of requiring the customer to enter the ID and PW directly after accessing the URL, and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make a payment again every time an additional order is made). problems) can be effectively addressed.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and other effects may exis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드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코드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드 표시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ode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 cod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operational flowchart of a code display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or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It also includes cases where it is "connected to".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member is said to be located “on”, “above”, “on top”, “below”, “below”, or “below” another member, this means that a member is positioned “on” another member.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in contact with a member but also the case where another member exists between two members.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드 표시 장치(10)를 포함하는 코드 관리 시스템(1)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ode management system 1 including a code display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드 표시 장치(10)를 본 장치(10)라 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드 관리 시스템(1)을 본 시스템(1)이라 하기로 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code display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ferred to as the present device 10, and the code management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ferred to as the present system 1. I'm going to do it.

도 1을 참조하면, 본 시스템(1)은 코드 표시 장치(10, 본 장치), 사업주 단말(40) 및 고객 단말(3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system 1 may include a code display device 10 (this device), a business owner terminal 40 and a customer terminal 30.

본 장치(10)는 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코드를 표출시키는 장치일 수 있다. 본 장치(10)에 의해 생성되는 코드는 특정 정보의 저장 및 기록이 가능한 코드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 QR(Quick Response) 코드를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장치(10)에 의해 생성되는 코드는, QR 코드 외에도, 바코드나 혹은 종래에 기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되는 다양한 형태의 코드가 적용될 수 있다.The device 10 may be a device that generates codes and displays the generated codes. The code generated by the device 10 means a code capable of storing and recording specific information, and may preferably mean a QR (Quick Response) code.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de generated by the device 10 may be applied with barcodes or other types of codes previously known or developed in the future, in addition to QR codes.

사업주 단말(40)은 사업주(41)가 소지한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사업주(41)는 고객들에게 상품을 판매하는 등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를 의미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품은 음식, 물품(제품) 등을 포함하여 각종 판매 가능한 상품들이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사업주(41)는 음식, 물품 등과 관련하여 판매 등의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매장을 운영하는 사용자일 수 있다. The business owner terminal 40 may mean a terminal possessed by the business owner 41 . The business owner 41 may refer to a user who provides various services, such as selling products to customers. Here, the product may include various sellable products including food and articles (products). According to this, the business owner 41 may be a user who operates a store that provides various services such as sales in relation to food and goods.

본 장치(10)는 사업주(41)가 본 장치(10)를 구매하거나 렌탈 등을 수행함으로써 사업주(41)가 소유한 장치일 수 있다. 사업주(41)는 자신이 운영하는 매장에 일예로 본 장치(10)를 구비(설치, 배치)시켜 둘 수 있다. 즉, 본 장치에서 소유라 함은 구매 혹은 렌탈 등에 의한 소유를 의미할 수 있다. The device 10 may be a device owned by the business owner 41 by purchasing or renting the device 10 by the business owner 41 . The business owner 41 may, for example, equip (install, place) the device 10 in a store he/she manages. That is, in the present device, possession may mean ownership by purchase or rental.

도 1에 도시된 일예에서는, 본 장치(10)가 1개 마련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장치(10)는 복수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사업주(41)는 복수개의 본 장치를 소유한 사용자일 수 있으며, 이때, 사업주(41)가 소유한 복수개의 장치 각각은 일예로 사업주(41)가 운영하는 매장 내 복수의 테이블 각각에 1:1(또는 1:n) 대응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장치(1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복수개의 본 장치 각각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1, it is illustrated that one device 10 is provided, but this is only one example to help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device 10 is provided in plurality. It can be. According to this, the business owner 41 may be a user who owns a plurality of devices, and at this time, each of the plurality of devices owned by the business owner 41 is, for example, located at each of a plurality of tables in a store operated by the business owner 41. It can be installed in a 1:1 (or 1:n) correspondence.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device 10 can be equally applied to the description of each of a plurality of present devices, even if the content is omitted below.

본 시스템(1)은 복수의 사업주 단말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사업주 단말 각각이 적어도 하나의 본 장치(10)를 소유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본 발명에서 사업주 단말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복수의 사업주 단말 각각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The present system 1 may include a plurality of business owner terminals,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business owner terminals may own at least one apparatus 10 . Therefore, even if the content is omitted below, the description of the business owner terminal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qually applied to the description of each of a plurality of business owner terminals.

본 장치(10)는 사업주(41)에 의해 운영되는 매장 내 복수의 테이블 중 어느 한 테이블 상의 일영역에 구비(설치, 배치)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장치(10)는 복잡하지 않고 간단하면서도 컴팩트한(compact) 형태와 크기로 마련되는 기기(장치)일 수 있다.The apparatus 10 may be provided (installed, placed) in one area on any one table among a plurality of tables in a store operated by the business owner 41 . The apparatus 10 may be a device (device) provided in a simple, compact shape and size without complexity.

고객 단말(30)은 고객(31)이 소지한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고객(31)은 사업주(41)가 운영하는 매장 내에 방문하여, 매장 내 구비된 본 장치(10)에 표출된 코드(후술하여 설명하는 표출 코드를 의미함)를 고객 단말(30)로 인식하고, 표출 코드의 인식을 토대로 사업주(41)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일예로 사업주(41)가 해당 매장에서 판매하는 상품을 주문하거나 결제하는 등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를 의미할 수 있다. 고객(31)은 손님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The customer terminal 30 may refer to a terminal possessed by the customer 31 . The customer 31 visits the store operated by the business owner 41, recognizes the code displayed on the device 10 provided in the store (meaning the display code described later) as the customer terminal 30, and , may mean a user who uses a service provided by the business owner 41 (for example, a service such as ordering or paying for a product sold by the business owner 41 at a corresponding store) based on the recognition of the expression code. A customer 31 may be otherwise referred to as a guest or the like.

본 발명에서, 고객 단말(30) 및 사업주 단말(40)은 단말이라는 용어로 통칭되어 지칭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단말은 일예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 노트북, 웨어러블 디바이스, 데스크탑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고객 단말(30)의 경우 휴대 및 이동이 가능한 스마트폰 등임이 바람직하고, 사업주 단말(40)의 경우 데스크탑 PC 등임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업주 단말(40) 역시 휴대 및 이동 가능한 스마트폰 등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ustomer terminal 30 and the business owner terminal 40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terminal.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is, for example,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Terminal, Smartphone, SmartPad, Tablet PC, Laptop, Wearable Device , desktop PCs, and the like, and may include all types of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the customer terminal 30, it is preferable to be a portable and movable smartphone, etc., and in the case of the business owner terminal 40, it may be preferable to be a desktop PC, etc.,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business owner terminal 40 is also It may be a portable and movable smartphone or the like.

본 장치(10)는 고객 단말(30) 및 사업주 단말(40) 각각과 네트워크(20)를 통해 연동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device 10 may transmit/receive data by interworking with each of the customer terminal 30 and the business owner terminal 40 through the network 20 .

네트워크(20)는 일예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다양한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The network 20 may include, for example, a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network, a Long Term Evolution (LTE) network, a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network, the Internet, a Local Area Network (LAN), and a Wireless 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PAN (Personal Area Network), Bluetooth (Bluetooth) network,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network, satellite broadcasting network, analog broadcasting network,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network, etc. It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various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본 장치(10)는 일예로 코드 표시(코드 표출)과 관련된 웹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본 장치(10)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일예로 고객이나 사업주)이 소지한 단말들(즉, 고객 단말과 사업주 단말) 각각에 제공할 수 있다.The device 10 is, for example, terminals possessed by users (eg, customers or business owners) using the device 10 for web pages, app pages, programs or applications related to code display (code display) (ie, It can be provided to each of the customer terminal and the business owner terminal).

사업주 단말(40)은 일예로 사업주(41)가 운영하는 매장 내에 구비된 복수개의 본 장치(10) 각각과 네트워크(20)를 통해 연동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사업주 단말(40)은 일예로 본 장치(10)로부터 제공되는 코드 표출과 관련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본 앱)을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된 본 앱을 이용하여 매장 내 구비된 복수개의 본 장치(10) 각각의 작동을 제어하거나 관리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business owner terminal 40 may transmit/receive data by interworking with each of a plurality of main devices 10 provided in a store operated by the business owner 41 through the network 20 . For example, the business owner terminal 40 may install a program or application (this app) related to the code expression provided from the device 10,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devices 10 provided in the store by using the installed app. can control or manage its operation.

반면, 고객 단말(30)은 본 장치(10)로부터 제공되는 코드 표출과 관련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본 앱)의 설치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일예로 웹페이지의 접속이 가능한 환경(즉,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환경)이라면 고객 단말(30)로 본 장치(10)에 표출된 코드(표출 코드)를 인식하는 것을 통해 해당 표출 코드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즉, 사업주(41)가 제공하는 웹페이지를 통한 상품의 주문, 결제 등의 서비스)를 이용 가능할 수 있다. 이하 본 장치(10)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the customer terminal 30 does not require installation of a program or application (this app) related to the code expression provided from the device 10, and for example, an environment in which webpage access is possible (ie, Internet access is required). possible environment) by recognizing the code (expression code) expressed on the device 10 by the customer terminal 30, the service provided by the corresponding expression code (ie, through the webpage provided by the business owner 41) Services such as product ordering and payment) may be available. Hereinafter,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device 10 is as follows.

본 장치(10)는 코드 생성부(11), 디스플레이부(12), 제어부(13) 및 메모리부(14)를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10 may include a code generator 11, a display unit 12, a control unit 13, and a memory unit 14.

코드 생성부(11)는 웹페이지로의 접속을 위한 URL(웹페이지의 URL)을 포함하는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The code generating unit 11 may generate a code including a URL (URL of the webpage) for accessing the webpage.

여기서, 웹페이지는 사업주(41)가 운영하는 매장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하도록 생성된 웹페이지, 즉 사업주(41)에 의해 운영되는 매장 관련 웹페이지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라 함은 사업주(41)가 운영하는 매장에서 제공되는 상품(제품)의 주문, 결제 등을 포함하는 서비스를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웹페이지는 사업주(41)가 운영하는 매장에서 판매되는 상품을 온라인으로 주문하고 결제 가능하도록 하는 페이지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웹페이지를 일예로 설명의 편의상 사업주 운영 웹페이지라는 용어로 지칭하기로 한다.Here, the web page may refer to a web page generated to enable use of a service provided by a store operated by the business owner 41, that is, a store-related web page operated by the business owner 41. Here, the service may refer to a service including ordering, payment, and the like of goods (products) provided in a store operated by the business owner 41 . In other words, the web page may refer to a page that enables online ordering and payment of products sold at stores operated by the business owner 41 . Hereinafter, such a web page will be referred to as an example of a web page operated by a business own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코드 생성부(11)는 이러한 웹페이지의 URL(즉, 사업주(41)에 의해 운영되는 매장에 대한 상품의 주문, 결제 등의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웹페이지인 사업주 운영 웹페이지의 URL)을 포함하는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코드 생성부(11)에 의해 생성되는 코드는 앞서 말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 QR 코드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QR 코드 외에도, 바코드나 종래에 기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되는 다양한 형태(종류)의 코드가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장치(10)의 코드 생성부(11)에 의해 생성되는 코드가 QR 코드인 것으로 예시하기로 한다.The code generating unit 11 includes the URL of such a web page (that is, the URL of a web page operated by the business owner 41, which is a web page that enables services such as ordering and payment of goods for a store operated by the business owner 41). code can be generated. As mentioned above, the code generated by the code generation unit 11 may preferably be a QR cod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n addition to QR codes, barcodes or various forms (types) previously known or developed in the future code can be applied.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will be exemplified that the code generated by the code generator 11 of the device 10 is a QR code.

코드 생성부(11)에 의해 생성되는 코드는, 기 설정된 시간 단위마다 가변되는 가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시간(시간 단위)은 일예로 1분일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기 설정된 시간의 설정 값은 본 장치(10)를 관리하는 관리자에 의해 다양한 값으로 설정 및 변경될 수 있다.The code generated by the code generator 11 may include variable data that is variable for each preset time unit. Here, the preset time (unit of time) may be 1 minute as an example, but this is only an example to help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et value of the preset time is the present device 10 It can be set and changed to various values by the manager who manages it.

구체적으로, 코드 생성부(11)에 의해 생성되는 코드는, 고정 데이터가 기록되는 고정부 영역 및 가변 데이터가 기록되는 가변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데이터는, 웹페이지(즉, 사업주 운영 웹페이지)에 대응하는 URL의 주소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가변 데이터는 웹페이지(즉, 사업주 운영 웹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이용을 위해 웹페이지(즉, 사업주 운영 웹페이지)에서의 로그인 수행시 필요한 로그인 인증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de generated by the code generator 11 may include a fixed part area in which fixed data is recorded and a variable part area in which variable data is recorded. Here, the fixed data may mean address information of a URL corresponding to a webpage (ie, a webpage operated by a business owner). Variable data may refer to data generated using login authentication data required when logging in on a web page (ie, a web page operated by a business owner) in order to use a service provided on the web page (ie, a web page operated by a business owner). there is.

즉, 코드 생성부(11)에 의해 생성되는 코드의 영영 내 고정부 영역은 웹페이지의 URL의 주소 정보가 기록(입력)되는 영역으로서, 고정 헤더 영역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반면, 코드 생성부(11)에 의해 생성되는 코드의 영역 내 가변부 영역은 로그인 인증 데이터(ID와 PW)를 암호화한 가변 데이터가 기록되는 영역일 수 있다. 가변부 영역에 기록되는 가변 데이터는, 기 설정된 시간 단위마다 변경되는 일회용 키값을 이용해 로그인 인증 데이터를 암호화함으로써 생성되는 암호화된 가변 로그인 인증 데이터임에 따라, 기 설정된 시간 단위마다 계속 가변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That is, the fixed part area within the code area generated by the code generating unit 11 is an area where address information of a URL of a web page is recorded (input), and may be otherwise referred to as a fixed header area or the like. On the other hand, the variable part area within the code area generated by the code generator 11 may be an area in which variable data obtained by encrypting login authentication data (ID and PW) is recorded. The variable data recorded in the variable part area is encrypted variable login authentication data generated by encrypting login authentication data using a one-time key value that changes every preset time unit, so it can be continuously and variably changed every preset time unit. there is.

여기서, 로그인 인증 데이터는, 웹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이용을 위해 해당 웹페이지에 기 설정되어 있는 로그인 수행시 필요한 정보로서, 일예로 로그인 관련 아이디와 패스워드(즉, 로그인 아이디(ID) 및 로그인 패스워드(PW))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로그인 인증 데이터는 사업주(41)에 의해 기 설정된 아이디와 패스워드(비밀번호) 정보를 의미하며, 이는 본 장치(10)를 이용하는 회원인 사업주(41)의 계정에 로그인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login authentication data is information necessary for performing a login that is preset in the webpage for the use of the service provided by the webpage, and is, for example, a login-related ID and password (i.e., a login ID and password). (PW)) information. This log-in authentication data refers to ID and password (password) information preset by the business owner 41, which means information that allows the business owner 41, who is a member using the device 10, to log in to his account. can do.

또한, 코드 생성부(11)에 의해 생성되는 코드 내 가변 데이터는, 기 설정된 시간 단위(일예로 1분)마다 변경(재생성, 가변)되는 일회용 키값을 이용하여 로그인 인증 데이터를 암호화함으로써 생성되는 암호화된 가변 로그인 인증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일회용 키값은 일예로 순차적으로 변경되는 시간(즉, 코드를 생성하는 당시의 현재의 시간, 현재 설정된 시간) 또는 일예로 난수 적용을 통해 임의로(무작위로, 랜덤하게) 생성된 임의의 값(일예로 숫자 값)을 이용하여 생성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현재 설정된 시간 정보는 일예로 본 장치(10)에 내장된 RTC(real time clock, 실시간 클록) 모듈(부품, 센서)을 통해 파악되는 정보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variable data in the code generated by the code generator 11 is encryption generated by encrypting login authentication data using a one-time key value that is changed (regenerated, variable) every predetermined time unit (eg, 1 minute). It may mean variable login authentication data. Here, the one-time key value is, for example, a time that is sequentially changed (ie, the current time at the time of generating the code, the currently set time) or, for example, a random value (randomly, randomly) generated through random number application ( For example, it may refer to information generated using a numeric value). Here, the currently set time information may be, for example, information identified through a real time clock (RTC) module (part, sensor) built into the device 10 .

달리 표현하면, 코드 생성부(11)는, 코드의 생성시, 웹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이용을 가능하게 하는 로그인 인증 데이터(즉, 웹페이지에서의 로그인 수행시 필요한 로그인 인증 데이터)를 암호화함으로써 암호화된 로그인 인증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후 생성된 암호화된 로그인 인증 데이터를 가변 데이터로서 가변부 영역에 기록하고 웹페이지에 대응하는 URL의 주소 정보를 고정 데이터로서 고정부 영역에 기록함으로써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코드 생성부(11)는, 생성된 암호화된 로그인 인증 데이터가 가변 데이터로서 가변부 영역에 기록되고 웹페이지에 대응하는 URL의 주소 정보가 고정 데이터로서 고정부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code generation unit 11 encrypts login authentication data (ie, login authentication data required when logging in on a web page) that enables the use of services provided on the web page when generating the code. A code can be generated by generating encrypted login authentication data, recording the generated encrypted login authentication data as variable data in a variable part area, and recording URL addres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web page as fixed data in a fixed part area. can That is, the code generating unit 11 generates a code in which the generated encrypted login authentication data is recorded in the variable part area as variable data and the address information of the URL corresponding to the web page is recorded in the fixed part area as fixed data. can do.

이때, 코드 생성부(11)에 의해 생성된 코드 내 가변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마다 변경되는 일회용 키값을 이용해 로그인 인증 데이터를 암호화함으로써 생성되는 데이터임에 따라, 이에 따라 코드 생성부(11)에 의해 생성되는 코드 및 후술하는 제어부(13)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2) 상에 표출되는 표출 코드는, 기 설정된 시간 단위마다 가변되는 가변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생성(재생성)되는 코드(즉, 기 설정된 시간마다 가변되는 가변 코드)일 수 있다.At this time, as the variable data in the code generated by the code generator 11 is data generated by encrypting login authentication data using a one-time key value that changes every preset time unit, the code generator 11 accordingly The code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13 and the display cod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 by the control unit 13 to be described below are codes generated (regenerated) to include variable data that varies per preset time unit (that is, a preset time unit). may be a variable code that is variable for each time).

코드 생성부(11)는 암호화된 로그인 인증 데이터(즉, 가변 데이터)를 기 설정된 시간 단위마다 생성하기 위해, 순차적으로 변경되는 시간(즉, RTC 모듈로 파악된 현재 설정된 시간 정보)을 이용하거나, 또는 난수 적용을 통해 발생되는 임의의 값을 이용함으로써 기 설정된 시간마다 변경되는 일회용 키값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후 생성된 일화용 키값으로 메모리부(14)에 기 저장된 로그인 인증 데이터를 암호화함으로써 암호화된 가변 로그인 인증 데이터(즉, 가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The code generation unit 11 uses sequentially changing time (ie, currently set time information determined by the RTC module) to generate encrypted login authentication data (ie, variable data) for each preset time unit, or Alternatively, a one-time key value that is changed every preset time can be generated by using a random value generat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random numbers, and then, by encrypting login authentication data pre-stored in the memory unit 14 with the generated anecdotal key value, encrypted Variable login authentication data (ie, variable data) can be created.

제어부(13)는 웹페이지(즉, 사업주 운영 웹페이지)에서의 로그인 수행시 필요한 로그인 인증 데이터(즉, 아이디(ID) 정보와 패스워드(PW) 정보)를, 사업주(41)로부터 입력받아(일예로 타이핑으로 입력받아) 메모리부(14)에 미리 저장해 둘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는 사업주(41)가 사업주 단말(40)에 입력한 로그인 인증 데이터를, 사업주 단말(40)로부터 제공받아 메모리부(14)에 미리 저장해 둘 수 있다. 이를 위해,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장치(10)는 사업주(41) 또는 사업주 단말(40)로부터 로그인 인증 데이터의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13 receives login authentication data (ie, ID information and password (PW) information) required when logging in on a web page (ie, a web page operated by the business owner) from the business owner 41 (for example, input by typing) and stored in the memory unit 14 in advance. 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13 may receive login authentication data input by the business owner 41 to the business owner terminal 40 from the business owner terminal 40 and store it in the memory unit 14 in advance. To this e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apparatus 10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unit (not shown) for receiving login authentication data information from the business owner 41 or the business owner terminal 40 .

제어부(13)는, 로그인 인증 데이터를 메모리부(14)에 미리 저장해 둘 뿐만 아니라, 표출 코드(특히, 기 설정된 시간 단위마다 가변되는 가변 데이터를 포함한 표출 코드)가 기 설정된 시간 단위마다 가변(변경)되어 디스플레이부(12) 상에 표시될 때마다, 표출 코드의 생성시 이용된 암호화 키 정보 및 가변 데이터(즉, 암호화된 가변 로그인 인증 데이터)의 암호화 해독시 필요한 해독 키 정보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암호화 키 정보는 앞서 말한 로그인 인증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 이용된 일회용 키값(즉, 기 설정된 시간 단위마다 변경되는 일회용 키값)을 의미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 not only stores login authentication data in advance in the memory unit 14, but also changes (in particular, an expression code including variable data that is variable for each preset time unit) every preset time unit. )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 encryption key information used when generating the display code and decryption key information necessary for decryption of variable data (ie, encrypted variable login authentication data) may be stored together. . Here, the encryption key information may mean a one-time key value (ie, a one-time key value that is changed every preset time unit) used when encrypting the aforementioned login authentication data.

제어부(13)는, 코드 생성부(11)에서 생성된 코드를 디스플레이부(12) 상에 표출 코드로서 표출시킬 수 있다. 특히나, 제어부(13)는 코드 생성부(11)에서 기 설정된 시간 단위(일예로 1분 단위)마다 생성(재생성)되는 코드(즉, 가변 코드)를 디스플레이부(12) 상에 표출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는 본 장치(10)에 자체 마련된 화면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터치 패널, LCD 터치 패널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2)는 QR 코드 표시부, 표출부 등의 용어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The controller 13 may display the code generated by the code generator 11 as an expression code on the display unit 12 . 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13 may display on the display unit 12 a code (ie, a variable code) generated (regenerated) by the code generator 11 for each predetermined time unit (eg, 1 minute unit). . The display unit 12 refers to a screen provided in the device 10, and may be implemented as a touch panel, an LCD touch panel, or the like. This display unit 12 may be otherwise referred to by terms such as a QR code display unit and an expression unit.

또한, 코드 생성부(11)에 의해 생성되는 코드는, 기 설정된 시간 단위마다 가변되는 가변 데이터를 포함한 가변 코드임에 따라, 고객 단말(30)에서 시도되는 표출 코드에 대한 웹페이지(즉, 사업주 운영 웹페이지)로의 접속 시도의 유형에 영향을 받아 상기 접속 시도의 유형에 따라 상기 웹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이용 가능 여부가 달리 결정되도록 생성된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de generated by the code generator 11 is a variable code including variable data that is variable for each preset time unit, the webpage for the display code attempted in the customer terminal 30 (ie, the business owner Depending on the type of access attempt to the operating web page), availability of a service provided in the web page may be determin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ype of access attempt.

여기서, 접속 시도의 유형은, 고객 단말(30)에서 디스플레이부(12) 상에 표출되어 있는 표출 코드에 대한 직접 인식을 기반으로 웹페이지로의 접속을 시도하는 제1 유형, 및 고객 단말(30)에서 디스플레이부(12) 상에 표출되어 있는 표출 코드에 대한 간접 인식(복사, 해킹 등)을 기반으로 웹페이지로의 접속을 시도하는 제2 유형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types of access attempts include a first type in which the customer terminal 30 tries to access the web page based on direct recognition of the display cod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 and the customer terminal 30 ) may include a second type of trying to access a web page based on indirect recognition (copying, hacking, etc.) of the display cod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

여기서, 직접 인식은, 고객 단말(30)이 디스플레이부(12) 상에 표출되어 있는 표출 코드를 일예로 고객 단말(30)의 카메라로 직접 촬영(인식)함으로써 표출 코드를 인식(감지)하는 경우, 또는 후술하여 설명하는 것과 같이 고객 단말(30)을 본 장치(10)에 접촉(직접 접촉)시킴으로써 접촉에 응답하여 고객 단말(30)이 디스플레이부(12) 상에 표출되어 있는 표출 코드를 네트워크(20)를 통해 본 장치(10)로부터 제공(전달)받은 경우 등을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direct recognition is when the customer terminal 30 recognizes (sensing) the expression code by directly photographing (recognizing) the expression cod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 for example, with a camera of the customer terminal 30. Or, as will be described later, by contacting (directly contacting) the customer terminal 30 to the device 10, the display cod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 of the customer terminal 30 in response to the contact is transmitted to the network. It may mean a case of being provided (transferred) from the present device 10 through (20).

이때, 고객 단말(30)의 카메라로 표출 코드를 직접 '촬영'한다라 함은, 고객 단말(30)의 카메라를 on 시킨 상태에서 촬영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이루어지는 촬영만을 의미하는 것을 아니라, 일예로 촬영 버튼에 대한 클릭 없이 고객 단말(30)의 화면 상에 표출 코드가 일정 시간(일예로 2초) 동안 표시되도록 on 상태의 카메라로 일정 시간(일예로 2초) 동안 표출 코드를 카메라로 비추고 있는 상태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At this time, 'taking' the expression code directly with the camera of the customer terminal 30 does not mean only shooting by clicking the shooting button with the camera of the customer terminal 30 turned on, but as an example.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code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customer terminal 30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eg, 2 seconds) without clicking a button, and the camera in the on state is projecting the display code with the camera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eg, 2 seconds) It can be understood as a concept that includes.

반면, 간접 인식은 고객 단말(30)이 디스플레이부(12) 상에 표출되어 있는 표출 코드를 고객 단말(30)의 카메라로 직접 촬영하여 코드 인식을 수행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이와는 다른 경로로(방식으로) 표출 코드의 인식(감지)을 수행하는 모든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간접 인식은, i) 디스플레이부(12) 상에 표출되어 있는 표출 코드와 관련하여, 표출 코드에 대응하도록 생성된 복제(복사)된 표출 코드를 고객 단말(30)의 카메라로 촬영(인식)함으로써 표출 코드를 인식(감지)하는 경우, ii) 본 장치(10)를 해킹함으로써 표출 코드를 인식하는 경우 등이 포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direct recognition takes a different path (except when the customer terminal 30 performs code recognition by directly photographing the expression cod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 with the camera of the customer terminal 30) ( method) may mean all cases in which recognition (sensing) of the expression code is performed. Exemplarily, the indirect recognition is i) in relation to the expression cod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 the duplicated (copied) expression code generated to correspond to the expression code is photographed by the camera of the customer terminal 30. (recognition) to recognize (sense) the expression code, ii) to hack the device 10 to recognize the expression code, and the like.

여기서, 복제(복사)된 표출 코드는, 일예로 디스플레이부(12) 상에 표출되어 있는 표출 코드를 적어도 1회 이상 가공함으로써 생성된 디스플레이부(12) 상에 표출된 표출 코드와 동일한 형상(모양)을 갖는 코드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일예로 i) 디스플레이부(12) 상에 표출되어 있는 표출 코드를, 고객 단말(30)에 구비된 카메라 또는 고객 단말(30)과는 별도의 촬영 수단(즉, 디지털 카메라, 스캐너 등)으로 촬영함으로써 생성된 표출 코드 촬영 이미지 내에 포함(표시)되어 있는 코드, ii) 표출 코드 촬영 이미지를 인쇄한 출력물(일예로 종이 등)에 표시되어 있는 코드 등을 의미할 수 있다. Here, the duplicated (copied) expression code has the same shape (shape) as the expression code expressed on the display unit 12 generated by, for example, processing the expression cod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 at least once. ), as an example, i) the display cod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 a camera provided in the customer terminal 30 or a photographing means separate from the customer terminal 30 (that is, , digital camera, scanner, etc.), which means the code included (displayed) in the captured image, ii) the code displayed on the output (e.g., paper, etc.) can

예시적으로, 제어부(13)는 고객 단말(30)이 웹페이지로의 접속을 제1 유형으로 시도하는 것(즉, 직접 인식을 기반으로 하는 제1 유형의 접속 시도를 수행하는 것)으로 감지된 경우, 고객(31)이 웹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일예로 상기 감지에 응답하여 고객 단말(30)이 직접 인식한 표출 코드(즉,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출되어 있는 표출 코드) 내 가변 데이터의 암호화 해독시 필요한 해독 키 정보를 메모리부(14)로부터 추출하여 고객 단말(3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고객 단말(30)은, 제1 유형으로 웹페이지로의 접속을 시도했을 때, 시도에 응답하여 제어부(13)로부터 해독 키 정보를 제공받고, 이후 제공받은 해독 키 정보를 이용하여 고객 단말(30)에서 직접 인식된 표출 코드에 포함되어 있는 가변 데이터(암호화된 가변 로그인 인증 데이터)를 해독하며, 해독된 가변 데이터(즉, 해독된 로그인 인증 데이터)를 이용하여 고객 단말(30)에 의해 직접 인식된 표출 코드 내 URL에 대응하는 웹페이지(즉, 사업주 운영 웹페이지)에 대한 자동 로그인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고객(31)이 웹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일예로 상품의 주문, 결제 등의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Exemplarily, the control unit 13 detects that the customer terminal 30 attempts access to the web page in the first type (ie, performing the first type of connection attempt based on direct recognition). In this case, in order to allow the customer 31 to use the service provided on the web page, for example, in response to the detection, the customer terminal 30 directly recognizes the display code (ie, the display cod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Decryption key information required for encryption/decryption of variable data in the display code) may be extracted from the memory unit 14 and provided to the customer terminal 30 . According to this, when the customer terminal 30 attempts to access the web page in the first type, it receives decryption key information from the control unit 13 in response to the attempt, and then uses the provided decryption key information to Decrypts the variable data (encrypted variable login authentication data) included in the expression code directly recognized by the terminal 30, and uses the decrypted variable data (ie, the decrypted login authentication data) to provide information to the customer terminal 30. It is possible to perform automatic login for a web page (ie, a web page operated by the business owner) corresponding to the URL in the display code directly recognized by , payment, etc.) can be used.

반면, 제어부(13)는 고객 단말(30)이 웹페이지로의 접속을 제2 유형으로 시도하는 것(즉, 간접 인식을 기반으로 하는 제2 유형의 접속 시도를 수행하는 것)으로 감지된 경우, 고객(31)이 웹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이용이 불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일예로 고객 단말(30)에 의해 간접 인식된 표출 코드 내 URL에 대응하는 웹페이지로의 접속을 실패했음을 나타내는 접속 실패 메시지를 고객 단말(30)의 화면에 표출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13)는 고객 단말(30)이 제2 유형으로 웹페이지로의 접속을 시도하는 것으로 감지되었을 때, 감지에 응답하여 고객 단말(30)이 간접 인식한 표출 코드(즉, 복제된 표출 코드나 해킹된 표출 코드) 내 가변 데이터의 암호화 해독시 필요한 해독 키 정보를 고객 단말(30)로 제공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고객 단말(30)은 제2 유형으로 웹페이지로의 접속을 시도했을 때, 시도에 응답하여 고객 단말(30)에 의해 간접 인식된 표출 코드 내 URL에 대응하는 웹페이지로의 접속 자체가 차단되어 해당 웹페이지로의 접속이 불가능할 수 있고, 해당 웹페이지에 대한 자동 로그인 역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고객(31)이 웹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일예로 상품의 주문, 결제 등의 서비스)의 이용이 불가능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controller 13 detects that the customer terminal 30 is attempting to access the web page in the second type (ie, performing the second type of connection attempt based on indirect recognition) , Connection failure indicating that access to the webpage corresponding to the URL in the display code indirectly recognized by the customer terminal 30 has failed, for example, in order to prevent the customer 31 from using the service provided in the webpage. The message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customer terminal 30 . That is,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customer terminal 30 is attempting to access the webpage in the second type, the control unit 13 indirectly recognizes the customer terminal 30 in response to the detection (i.e., the duplicated Decryption key information required for decryption of variable data in the expression code or hacked expression code may not be provided to the customer terminal 30 . According to this, when the customer terminal 30 attempts access to the webpage in the second type, the access itself to the webpage corresponding to the URL in the display code indirectly recognized by the customer terminal 30 in response to the attempt. may be blocked and access to the web page may not be possible, and automatic login to the web page may also not be performed, and through this, the service provided by the customer 31 on the web page (eg product order, payment, etc.) service) may be unavailable.

또한, 제어부(13)는 본 장치(10) 내 각 부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는 본 장치(10)와 네트워크(20)를 통해 연동된 고객 단말(30) 및 사업주 단말(40) 각각의 작동(일예로 화면 표시)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3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each unit in the device 10.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3 may control each operation (for example, screen display) of the customer terminal 30 and the business owner terminal 40 interlocked with the device 10 through the network 20 .

상술한 바에 따르면, 본 장치(10)는 QR 코드를 이용한 인증(자동 로그인 인증) 및 웹페이지로의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코드 표시 장치로서, 코드 표시 단말기, 일회용 QR코드 표시 단말기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또한, 본 장치(10)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2) 상에 표출되는 코드는, 표출 코드, 가변 코드(가변 표출 코드), 일회용 코드(일회용 QR 코드) 등의 용어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oregoing, the device 10 is a code display device that enables authentication (automatic login authentication) using a QR code and access to a web page, which will be otherwise referred to as a code display terminal, a disposable QR code display terminal, and the like. can In addition, the cod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 by the present device 10 may be differently referred to as a display code, a variable code (variable display code), and a one-time code (one-time QR code).

종래의 QR 코드 제공 방식(일예로, QR 코드를 종이 인쇄 등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데이터 변경이 불가능한 고정된 형식으로 제공하는 방식)을 통해 제공되는 QR 코드는, 고정된 형태임에 따라 해당 QR 코드를 통해 URL에 접속한 이후에 고객이 직접 ID와 PW를 입력해야 하며, 이는 해당 URL의 웹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으로 하여금 번거롭게 하고 불편하게 하는 측면이 있었다.A QR code provided through a conventional QR code providing method (for example, a method of providing a QR code in a fixed format in which data cannot be changed by providing a QR code through paper printing, etc.) is a fixed form, so that the corresponding QR code After accessing the URL through the URL, the customer has to directly input the ID and PW, which makes it cumbersome and inconvenient for the customer using the service provided on the web page of the URL.

이에 반해, 본 장치(10)는, 코드 생성부(11)에 의해 생성되는 코드(QR 코드)의 영역을 고정부 영역과 가변부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때, 본 장치(10) 내 코드 생성부(11)는, 코드의 생성시, 고정부 영역에 대해서는 웹페이지(즉, 사업주 운영 웹페이지)의 접속을 위한 웹페이지의 URL의 주소 정보를 기록하고, 가변부 영역에 대해서는 웹페이지로의 접속을 위해 입력된 아이디와 패스워드(특히나, 접속된 웹페이지의 로그인을 위한 아이디와 패스워드)의 파라미터 값을 기 설정된 시간 단위(일예로 1분)마다 변경되는 일회용 키값을 이용하여 암호화함으로써 생성된 암호화된 가변 로그인 인증 데이터(즉, 가변 데이터)를 기록함으로써,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3)는 코드 생성부(11)에서 생성된 코드를 디스플레이부(12)상에 표출 코드로서 표출시킬 수 있다.In contrast, the device 10 may divide the region of the code (QR code) generated by the code generator 11 into a fixed region and a variable region. At this time, the code generation unit 11 in the device 10 records the address information of the URL of the web page for accessing the web page (ie, the web page operated by the business owner) for the fixed part area when generating the code, , For the variable area, the parameter values of the ID and password entered for access to the web page (in particular, the ID and password for logging in to the accessed web page) are changed every preset time unit (for example, 1 minute). A code can be generated by recording encrypted variable login authentication data (ie, variable data) generated by encryption using a one-time key value. The controller 13 may display the code generated by the code generator 11 as an expression code on the display unit 12 .

이처럼, 본 장치(10)에 의해 제공되는 코드(즉, 코드 생성부(11)에 의해 생성되는 코드 및 디스플레이부(12) 상에 표출되는 코드인 표출 코드)는, 고객 단말(30)이 본 장치(10)에 의해 제공되는 코드를 복사하여 재사용이 불가능하도록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달리 표현해, 본 장치(10)에 의해 제공되는 코드는, 고객 단말(30)에서 표출 코드에 대해 간접 인식을 수행함으로써 웹페이지(간접 인식된 표출 코드 내 URL에 대응하는 웹페이지)로의 접속을 제2 유형으로 접속 시도하는 경우에 대하여, 고객 단말(30)이 해당 웹페이지에 대한 접속 및 로그인이 불가능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웹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code provided by the device 10 (that is, the code generated by the code generator 11 and the cod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 the customer terminal 30 It may be provided so that the code provided by the device 10 cannot be copied and reused. In other words, the code provided by the device 10 provides access to a web page (the web page corresponding to the URL in the indirectly recognized expression code) by indirectly recognizing the expression code in the customer terminal 30. In the case of attempting to access in the second type, the customer terminal 30 is prevented from accessing and logging in to the corresponding webpage, 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rvice provided from the webpage from being used.

본 장치(10)에 의해 제공되는 코드는, 일예로 GET 방식으로의 접속시 고정 URL의 오픈(OPEN, 공개)으로 인한 해킹이 방지되도록 제공되는 코드일 수 있다. 즉, 코드 생성부(11)가 코드 생성시 고려하는 일회용 키값은 로그인 인증 데이터의 암호화를 위해 이용되는 정보로서, 이는 순차적으로 변경되는 시간 또는 임의의 암호화key 값을 의미하는 sn값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본 장치(10)에 의해 제공되는 코드는, 기 설정된 시간 단위(일정 시간 단위)로 변경되는 일회용 키값으로 암호화가 이루어진 암호화된 가변 로그인 인증 데이터(즉, 암호화된 아이디 정보와 암호화된 패스워드 정보)를 가변 데이터로서 포함하도록 생성되고 제공되는 코드일 수 있는바, 이에 따라 웹 상에(웹페이지) 상에 오픈되더라도 이를 복사하거나 복사에 의해 재상용이 불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The code provided by the device 10 may be, for example, a code provided to prevent hacking due to opening (OPEN, disclosure) of a fixed URL when accessing by the GET method. That is, the one-time key value that the code generation unit 11 considers when generating the code is information used for encryption of login authentication data, and may be an sn value that means a sequentially changed time or an arbitrary encryption key value. According to this, the code provided by the present device 10 is encrypted variable login authentication data (ie, encrypted ID information and encrypted password) encrypted with a one-time key value that is changed in predetermined time units (regular time units). information) as variable data, and accordingly, even if it is opened on the web (web page), it can be copied or copied so that it cannot be reused.

본 장치(10)에 의해 제공되는 코드는, 복사가 불가능하도록 생성되는 가변 코드일 수 있다. 본 장치(10)는 이러한 가변 코드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2) 상에 표출시키는 전자 표시 장치일 수 있다. 본 장치(10)는 생성된 코드를 표출 코드로서 디스플레이부(12) 상에 표출(표시, 노출)시킬 때, 고정 데이터가 기록된 고정부 영역 뿐만 아니라 암호화된 가변 로그인 인증 데이터가 가변 데이터로서 기록된 가변부 영역이 포함되도록 생성된 코드를 표출 코드로서 디스플레이부(12) 상에 표출시킬 수 있다.The code provided by the device 10 may be a variable code generated to prevent copying. The device 10 may be an electronic display device that generates and displays such a variable code on the display unit 12 . When the device 10 displays (displays, exposes) the generated code as an expression code on the display unit 12, the encrypted variable login authentication data as well as the fixed area where the fixed data is recorded are recorded as variable data. A code generated to include the modified variable region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 as an expression code.

달리 말해, 본 장치(10)는 생성된 코드를 표출함에 있어서, 고정 부분(고정부 영역) 외에 암호화된 부분(가변 데이터가 기록되는 가변부 영역)을 추가하여 가변적으로 표시 가능하게 함으로써(즉, 기 설정된 시간 단위마다 가변되는 가변 데이터가 포함되도록 생성되는 가변 표출 코드가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출되도록 함으로써), 본 장치(10)에 의해 생성된 코드가 디스플레이부(12)를 통해 중간에 노출되어도, 디스플레이부(12) 상에 표출(노출)된 표출 코드를 복사(재복사, 복제)하여 사용/재사용이 불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In other words, in displaying the generated code, the apparatus 10 adds an encrypted part (variable part area in which variable data is recorded) in addition to the fixed part (fixed part area) so that it can be displayed variably (i.e., Even if the code generated by the present device 10 is exposed in the middle through the display unit 12, Copying (recopying, duplicating) the expression code expressed (exposed) on the display unit 12 may make it impossible to use/reuse.

즉, 본 장치(10)에 의해 제공되는 코드는, 고객(31)이 고객 단말(30)로 본 장치(10)의 디스플레이부(12) 상에 표출된 표출 코드에 대해 직접 인식을 수행한 경우(즉, 고객 단말(30)의 카메라로 디스플레이부(12) 상에 표출된 표출 코드를 직접 촬영한 경우)에 한해서만, 고객 단말(30)에서 직접 인식된 표출 코드 내 URL에 대응하는 웹페이지로의 접속 및 접속된 웹페이지에 대한 자동 로그인이 수행되도록 하며, 이를 통해 결과적으로 자동 로그인된 웹페이지를 토대로 고객(31)이 해당 웹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 가능하도록 생성되어 제공되는 코드일 수 있다. That is, the code provided by the device 10 is when the customer 31 directly recognizes the display cod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 of the device 10 with the customer terminal 30. (That is, only when the display cod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 is directly photographed with the camera of the customer terminal 30), to the web page corresponding to the URL in the display code directly recognized by the customer terminal 30 It can be a code generated and provided so that the customer 31 can use the service provided on the corresponding webpage based on the automatically logged in webpage. there is.

고객 단말(30)에서 디스플레이부(12) 상에 표출되어 있는 표출 코드에 대한 직접 인식(직접적 촬영)이 수행된 경우(즉, 고객 단말에서 제1 유형으로 접속 시도가 이루어진 경우), 고객 단말(30)은 직접 인식된 표출 코드 내 URL에 대응하는 웹페이지로의 접속에 성공할 수 있고, 나아가 접속에 성공한 웹페이지에 대하여 자동 로그인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고객(31)이 웹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When direct recognition (direct shooting) of the display cod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 is performed in the customer terminal 30 (ie, when an access attempt is made in the first type at the customer terminal), the customer terminal ( 30) can succeed in accessing the web page corresponding to the URL in the directly recognized display code, and furthermore, automatic login can be made for the web page that has succeeded in accessing, and through this, the customer 31 can service can be made available.

반면, 고객 단말(30)에서 디스플레이부(12) 상에 표출되어 있는 표출 코드와 관련해 간접 인식이 수행된 경우(즉, 고객 단말에서 제2 유형으로 접속 시도가 이루어진 경우), 고객 단말(30)은 간접 인식된 표출 코드 내 URL에 대응하는 웹페이지로의 접속에 실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고객(31)이 웹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 불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indirect recognition is performed in relation to the display cod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 in the customer terminal 30 (ie, when an access attempt is made in the second type at the customer terminal), the customer terminal 30 may fail to access the web page corresponding to the URL in the indirectly recognized display code, and accordingly, the customer 31 may not be able to use the service provided in the web page.

종래의 QR 코드는, 고정된 코드의 사용으로 인해 고객이 URL을 통해 웹페이지에 접속했을 때 이후 고객이 로그인을 위한 ID와 PW를 직접 입력해야만 해당 웹페이지의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한 구조였다. 이에 반해, 본 장치(10)에 의해 제공되는 코드(표출 코드)는, 고객 단말(30)이 제1 유형으로의 접속 시도를 한 경우일 때 자동으로 로그인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이러한 자동 로그인에 의해 고객이 별도로 ID와 PW를 입력할 필요가 없도록 할 수 있는바, 웹페이지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31)의 불편함, 번거로움 등을 효과적으로 해소되도록 할 수 있다.In the conventional QR code, when a customer accesses a webpage through a URL due to the use of a fixed code, the service of the webpage can be used only when the customer directly inputs an ID and PW for login. On the other hand, the code (display code) provided by the present device 10 automatically logs in when the customer terminal 30 attempts to access the first type, so that the customer is automatically logged in.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input the ID and PW separately, the inconvenience and trouble of the customer 31 who wants to use the service provided from the web page can be effectively resolved.

본 장치(10) 내 디스플레이부(12)는 코드 생성부(11)에서 생성된 코드를 표출 코드로서 표출(노출, 표시,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는 일예로 전자잉크를 이용하여 본 장치(10)의 전원의 소모를 최소화하도록 코드(표출 코드)를 표출시킬 수 있으며, 기 설정된 시간 단위(일예로 1분 단위)마다 재생성된 코드(가변 코드)를 표출시킬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2)는 코드 생성부(11)에 의해 생성된 코드를 표출 코드로서 표출함에 있어서, 전자잉크를 활용하여 전원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고, 일예로 1분 단위로 표출 코드를 재생성해 표시(재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2 in the present device 10 may display (expose, display, output) the code generated by the code generator 11 as an expression code. The display unit 12 may display a code (display code) to minimize power consumption of the device 10 using, for example, electronic ink, and regenerated every preset time unit (eg, 1 minute unit). Code (variable code) can be expressed. That is, in expressing the code generated by the code generator 11 as an expression code, the display unit 12 can minimize power consumption by utilizing electronic ink, and regenerates the display code every minute, for example. It can be displayed (re-marked).

제어부(13)는 일예로 본 장치(10) 내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수신되거나 메모리부(14)에 기 저장된 고유 로그인 인증 데이터(즉, 고유 ID와 PW 정보)를 일회용 키값을 이용해 암호화함으로써 코드 생성부(11)에 의해 생성된 코드가 표출코드로서 디스플레이부(12) 상에 표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2)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3 encrypts unique login authentication data (i.e., unique ID and PW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in the device 10 or pre-stored in the memory unit 14 using a one-time key value.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unit 12 may be controlled so that the code generated by the code generator 11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 as an expression code.

메모리부(14)는 앞서 말한 바와 같이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사업주 단말(40)로부터 수신된 로그인 인증 데이터 또는 사업주(41)로부터 입력받은 로그인 인증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이 뿐만 아니라 코드 생성부(11)에서 코드를 생성할 때 이용된 일회용 키값(암호화 키값) 정보 및 해독 키 정보 등을 함께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emory unit 14 may store login authentication data received from the business owner terminal 40 or login authentication data input from the business owner 41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as well as a code generator. In (11), the one-time key value (encryption key value) information and decryption key information used when generating the code can be stored and managed together.

본 장치(10) 내 RTC 모듈(미도시)은 현재 설정된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13) 또는 코드 생성부(11)로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일예로 난수 적용에 의해 생성(발생)된 임의의 값(숫자)을 제어부(13) 또는 코드 생성부(11)로 제공할 수도 있다. The RTC module (not shown) in the present device 10 may provide information on the currently set time to the control unit 13 or the code generator 11, and also, for example, a random number generated (generated) by application The value (number) of may be provided to the controller 13 or the code generator 11.

본 장치(10) 내 통신부(미도시)는 고객 단말(30) 및 사업주 단말(40) 각각과 네트워크(20)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미도시)는 일예로 사업주 단말(40)로부터 로그인 인증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RTC 모듈(미도시)로부터 제공되는 일회용 키값(즉, 난수 적용에 의해 발생된 임의의 값 또는 현재 설정된 시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미도시)는 일예로 USB 또는 WiFi 등을 통해 외부 단말들(일예로 고객 단말이나 사업주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일예로 호스트 단말로부터 QR 코드를 수신하거나 또는 로그인 인증 데이터(ID, PW), 일회용 키값(즉, 암호화 키값)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호스트 단말은 사업주 단말(40)을 의미할 수 있다. A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in the device 10 may transmit/receive data with each of the customer terminal 30 and the business owner terminal 40 through the network 20 . The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may receive login authentication data from the business owner terminal 40, for example, and a one-time key value provided from an RTC module (not shown) (that is, an arbitrary value generated by applying a random number or a currently set time). information) can be received.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with external terminals (eg, a customer terminal or a business owner terminal) through USB or WiFi, for example, and receive a QR code from the host terminal or login authentication data as an example. (ID, PW), and a one-time key value (ie, encryption key value) can be received. Here, the host terminal may mean the business owner terminal 40 .

또한, 본 장치(10)는 전원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미도시)는 배터리부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전원부(미도시)는 본 장치(10)에 전원을 공급(제공)할 수 있다. 전원부(미도시)는 건전지 등을 통해 본 장치(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또는 USB(USB 포트)나 DC로 외부로부터 전원(외부 전원)을 상시 공급(즉, 상시전원을 공급)받아 이를 본 장치(10)로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vice 10 may include a power supply unit (not shown). The power supply unit (not shown) may be otherwise referred to as a battery unit or the like. A power supply unit (not shown) may supply (provide) power to the device 10 . The power supply unit (not shown) may supply power to the device 10 through a battery or the like, or receive power (external power) from the outside through USB (USB port) or DC at all times (that is, supply constant power). This can be provided to the device 10.

본 장치(10) 내 입력부(미도시)는 일예로 사업주(41)로부터 로그인 인증 정보를 타이핑으로 입력받을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미도시)는 일예로 디스플레이부(12)의 터치 패널로 구현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부(12)와는 별도로 본 장치(10)에 마련되는 물리적 버튼(일예로 키패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미도시)는 일예로 본 장치(10) 내 전원부(즉, 배터리부)의 배터리 최소화를 위해 웨이크업(Wake-up) 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An input unit (not shown) in the device 10 may receive, for example, login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the business owner 41 by typing. Such an input unit (not shown) may be implemented as, for example, a touch panel of the display unit 12, or implemented as a physical button (eg, a keypad, etc.) provided on the device 10 separately from the display unit 12. . Such an input unit (not shown) may operate in a wake-up mode, for example, to minimize the battery of the power supply unit (ie, the battery unit) in the device 10 .

종래의 QR 코드는 고정된 형태로(고유 URL을 포함하도록) 생성되었던 반면, 본 장치(10)에 의해 제공되는 코드는, 가변부 영역 내에 회원인 사업주(41)의 계정에 로그인할 수 있는 ID와 PW인 로그인 인증 데이터(즉, 사업주 운영 웹사이트에 로그인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암호화한 가변 데이터(기 설정된 시간 단위마다 가변되는 가변 데이터)를 기록함으로써 생성되는 코드일 수 있다.While the conventional QR code was generated in a fixed form (to include a unique URL), the code provided by the present device 10 is an ID capable of logging into the account of the business owner 41 as a member in the variable area. It may be a code generated by recording variable data (variable data variable per preset time unit) encrypting log-in authentication data (that is, data necessary for logging in to the website operated by the business owner), which is PW.

본 장치(10)는 이러한 가변 데이터가 포함된 코드를 생성하여 제공함(즉, 디스플레이부(12) 상에 표출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부(12) 상에 표출된 코드(표출 코드)와 관련하여 이를 복사(복제) 또는 해킹을 통해 임의로 해당 웹페이지에 접속하고자 하는 접속 시도(즉, 고객 단말이 제2 유형으로 접속 시도를 하는 경우)를 차단할 수 있는바, 고객(31)이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웹페이지(사업주 운영 웹페이지)를 이용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The apparatus 10 generates and provides a code including such variable data (that is, displays it on the display unit 12), so that it is displayed in relation to the code (display cod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 Access attempts to arbitrarily access the webpage through copying (replication) or hacking (ie, when the customer terminal attempts to access the second type) can be blocked, so that the customer 31 can more safely and efficiently A web page (a web page operated by the business owner) may be made available.

일예로, 식당에서 고객(31)이 메뉴를 주문하고자 할 때 본 장치(10)의 코드가 활용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s an example, a case in which a code of the device 10 is utilized when a customer 31 wants to order a menu in a restaurant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먼저, 종래에 식당 등에 마련된 QR 코드(즉, 종래의 QR 코드)는 대부분 QR 코드를 종이 등에 인쇄하여 QR 코드가 인쇄된 종이를 식당(매장) 내 테이블에 부착시켜 두고, 해당 식당을 방문한 고객이 고객 단말(30)로 종이에 인쇄된 QR 코드를 인식함으로써 메뉴 주문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QR 코드는 복사가 가능하고, 주문이 이루어짐과 즉시 결제가 이루어지는 구조여서, 복사로 인한 허위 주문이 발생되기도 하며, 또한 추가 주문이 있을 경우 매번 고객이 결제를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고, 또한 QR 코드의 인식 후 해당 웹사이트에 기 설정된 ID와 PW를 고객이 직접 자신이 소지한 단말로 입력함으로써 메뉴 주문이 가능하였다.First, most of the QR codes (i.e., conventional QR codes) prepared in restaurants, etc. conventionally print QR codes on paper, etc., and attach the paper with the QR code printed on the table in the restaurant (store), so that customers who visit the restaurant By recognizing the QR code printed on the paper with the customer terminal 30, the menu order is made. However, since such a conventional QR code can be copied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an order is placed and payment is made immediately, false orders may occur due to copying, and inconvenient that the customer must pay every time there is an additional order. exists, and after recognizing the QR code, the customer can directly input the preset ID and PW on the website into his or her own terminal, allowing the customer to order a menu.

이에 반해, 본 장치(10)에 의하면, 먼저 사업주(41)는 자신이 운영하는 매장 내 테이블에 본 장치(10)를 부착 등을 통해 설치해 둘 수 있다. 매장 내 테이블에 설치되어 있는 본 장치(10)는 기 설정된 시간 단위마다 재생성되는 표출 코드를 표출시킬 수 있다. 이후, 매장 내 본 장치(10)가 부착되어 있는 테이블의 의자에 안착한 고객(31)은 일예로 고객 단말(30)의 카메라로 본 장치(10)의 디스플레이부(12) 상에 표출된 표출 코드가 포함되도록 본 장치(10)의 디스플레이부(12) 영역을 촬영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device 10, the business owner 41 can first install the device 10 on a table in the store he/she manages by attaching or the like. The present device 10 installed on a table in the store may display an expression code that is regenerated every preset time unit. Thereafter, the customer 31 seated on a chair of the table to which the device 10 is attached in the store is an example of a display cod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 of the device 10 with a camera of the customer terminal 30. The region of the display unit 12 of the present device 10 may be captured so that is included.

고객 단말(30)은 고객(31)이 고객 단말(30)의 카메라로 본 장치(10)의 디스플레이부(12) 영역을 촬영(즉, 해당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출된 표출 코드를 촬영)한 경우, 촬영에 응답하여 촬영된 표출 코드 내 URL에 대응하는 웹페이지로 접속하고 접속된 웹페이지에 대하여 자동 로그인을 수행함으로써, 사업주(41)가 운영하는 매장에서 판매되는 음식 메뉴의 주문이 가능한 웹페이지(즉, 음식 주문이 가능한 사업주 운영 웹페이지)를 고객 단말(30)의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해, 제어부(13)는 고객 단말(30)이 제1 유형으로 접속 시도를 한 것으로 감지되면, 감지에 응답하여 음식 메뉴의 주문이 가능한 웹페이지(즉, 음식 주문이 가능한 사업주 운영 웹페이지)가 고객 단말(30)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고객 단말(3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고객(31)은 고객 단말(30)의 화면에 표시된 웹페이지(음식 주문이 가능한 사업주 운영 웹페이지)를 기반으로, 매장에서 판매되는 음식을 주문하거나, 추가 주문(추가로 음식 주문)을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customer terminal 30 captures the area of the display unit 12 of the device 10 with the camera of the customer terminal 30 (ie, captures the display code displayed on the corresponding display unit), the customer terminal 30 , In response to the photographing, a web page capable of ordering a food menu sold in a store operated by the business owner 41 is accessed by accessing the web page corresponding to the URL in the photographed expression code and automatically logging in to the accessed web page. (That is, a web page operated by the business owner where food can be ordered)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customer terminal 30 . In other words, if the controller 13 detects that the customer terminal 30 has attempted to access the first type, in response to the detection, the control unit 13 can order a food menu (ie, a web page operated by a business owner that can order food). The operation of the customer terminal 30 may be controlled so that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customer terminal 30 . The customer 31 may order food sold in the store or place an additional order (ordering additional food) based on the web pag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customer terminal 30 (a web page operated by a business owner capable of ordering food). can

일예로, 제어부(13)는 고객 단말(30)이 제1 유형으로 접속 시도를 한 것으로 감지되었을 때, 자동 로그인이 이루어짐에 따라 음식 메뉴의 주문이 가능한 웹페이지(즉, 사업주(41)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한 웹페이지)가 고객 단말(30)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때 1회의 자동 로그인이 이루어진 고객 단말(30)에 대하여 해당 웹페이지(즉, 음식 메뉴의 주문이 가능한 웹페이지)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계속 고객 단말(30)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시간은 일예로 30분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바람직하게 1회의 자동 로그인이 이루어진 시점으로부터 해당 웹페이지를 통해 주문된 모든 주문 사항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는 결제 완료 시점까지의 구간에 대응하는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controller 13 detects that the customer terminal 30 has attempted to access the first type, the web page (that is, the business owner 41 provides a web page where food menus can be ordered) is automatically logged in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display a web page on which the service to be used is available) on the screen of the customer terminal 30, and at this time, for the customer terminal 30 on which automatic login was made once, the web page (that is, a food menu order available) can be displayed. web page) may be continuously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customer terminal 30 for a preset time. Here, the preset time may be, for example, 30 minut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preferably, from the time of one automatic login to the time of payment completion when payment for all orders ordered through the corresponding web page is completed. It may mean the time corresponding to the interval of .

이처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고객 단말(30)의 화면에 웹페이지가 표시됨에 따라, 이러한 본 장치(10)는 고객(31)이 웹페이지를 통해 1회의 주문을 완료하고 나서, 이후에 고객(31)이 추가적으로 음식을 주문하고자 할 때에 다시 본 장치(10)의 디스플레이부(12) 상에 표출된 표출 코드를 촬영하거나 로그인 인증 데이터를 입력할 필요 없이, 결제를 완료하기 이전까지에 한하여(달리 표현해, 고객 단말(30)에서 주문 사항에 대한 결제 완료 신호가 감지되기 전까지에 한하여) 횟수에 제한 없이 처음 1회의 주문 이후의 추가 주문(재주문)을 복수회 반복 수행할 수 있다.As such, as the web page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customer terminal 30 for a preset time period, this apparatus 10 after the customer 31 completes one order through the web page, and then the customer 31 ) wants to order additional food, without the need to photograph the expression cod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 of the device 10 again or to input login authentication data, only until payment is completed (expressed differently) , Additional orders (reorders) after the first order may be repeatedly performed a plurality of times without a limit to the number of times (only until the payment completion signal for the order is detected by the customer terminal 30).

고객(31)이 본 장치(10)의 디스플레이부(12) 상에 표출된 표출 코드를 촬영함으로써 이루어진 주문 사항(즉, 고객이 본 장치(10)가 설치된 테이블에서 주문 또는 추가 주문한 모든 주문 내역)은 일예로 사업주 단말(40)의 화면에 표시되고 정산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고객(31)은 주문 내지 추가 주문을 수행한 이후 본 장치(10)가 설치된 사업주(41)의 매장을 나오려 할 때, 사업주 단말(40)의 화면에 표시된 주문 사항(즉, 모든 주문 내역) 내지 해당 주문 사항에 대한 정산 결과(즉, 지불 금액)를 토대로 자신이 주문한 음식들에 대한 총 금액을 한번에 결제(지불, 정산) 가능할 수 있다. 이때, 사업주 단말(40)은 데스크탑 PC 등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태블릿 PC 나 결제 POS 단말기 등일 수 있다.Order items made by the customer 31 photographing the display cod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 of the device 10 (ie, all order details ordered or additionally ordered by the customer at the table where the device 10 is installed)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business owner terminal 40 and settled, for example. According to this, when the customer 31 tries to leave the store of the business owner 41 in which the device 10 is installed after placing an order or an additional order, the order item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business owner terminal 40 (that is, all orders) It is possible to pay (pay, settle) the total amount of the food ordered by the user at one time based on the details) or the settlement result (ie, the payment amount) for the corresponding order. In this case, the business owner terminal 40 may be a desktop PC or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 tablet PC or a payment POS terminal.

본 장치(10)는 일회용 QR 표시용 단말기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고, 특히나 고정부 영역과 가변부 영역을 포함하는 코드(QR 코드)를 생성해 디스플레이부(12)의 화면 상에 표출할 수 있다. 본 장치(10)는 코드 활용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The device 10 may be otherwise referred to as a disposable QR display terminal, etc., and in particular, generate a code (QR code) including a fixed part area and a variable part area and display it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2. there is. This device 10 can be applied to the field of code utilization.

본 장치(10)는 QR코드의 복사를 방지하고자, 복사가 불가능한 QR 코드(즉, 복사된 QR 코드로는 해당 QR 코드 내 URL의 웹페이지로 접속이 불가능한 QR 코드)를 생성하여 제공(표출)할 수 있다. 또한, 본 장치(10)는 URL 해킹 방지가 가능하도록(즉, GET 방식으로 접속시 고정 URL의 오픈으로 인한 해킹이 방지되도록), 기 설정된 시간 단위마다 변경되는 암호화된 가변 로그인 인증 데이터(즉, 가변 데이터)가 포함된 코드(QR 코드)를 생성하여 표출시킬 수 있다. 즉, 본 장치(10)는 URL 해킹 방지를 위해 로그인 인증 데이터를 암호화한 상태로 디스플레이부(12) 상에 표출시키거나 고객 단말(30)로 전송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the copying of the QR code, the device 10 generates and provides (expresses) a QR code that cannot be copied (that is, a QR code that cannot be accessed to the web page of the URL in the QR code with the copied QR code). can do. In addition, the device 10 provides encrypted variable login authentication data (ie, to prevent hacking due to opening of a fixed URL when accessing by the GET method) to prevent URL hacking (i.e., to prevent hacking by opening a fixed URL) A code (QR code) containing variable data) can be generated and displayed. That is, in order to prevent URL hacking, the device 10 may display the log-in authentication data in an encrypted state on the display unit 12 or transmit it to the customer terminal 30 .

이러한 본 장치(10)는 전자 표시 장치를 이용하여 복사가 불가능한 가변 코드를 표시하는 장치일 수 있다. 본 장치(10)는 생성된 코드(QR 코드)를 표출시킴에 있어서, 고정 부분 외에 암호화된 부분을 추가하여 QR 코드가 가변적으로 변화되어 표시되도록 함(즉, 가변 코드를 표출시킴)으로써, 중간에 해당 QR 코드가 노출되어도 이를 복사(재복사)하여 재사용이 불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장치(10)는 종래에 인쇄된 고정형 코드(바코드, QR 코드)를 사용하거나 전자기기에서 고정형 코드를 사용하는 경우를 대체하여 적용 가능할 수 있다.This device 10 may be a device that displays a variable code that cannot be copied using an electronic display device. In displaying the generated code (QR code), the apparatus 10 adds an encrypted part in addition to the fixed part so that the QR code is variably changed and displayed (ie, expresses a variable code), Even if the corresponding QR code is exposed, it can be copied (re-copied) to make reuse impossible. This device 10 may be applicable by replacing the case of using a conventionally printed fixed code (bar code, QR code) or using a fixed code in an electronic device.

본 장치(10)에 의해 제공되는 코드는, 전자적으로 제공되는 전자 QR 코드일 수 있다. 고객(31)은 고객 단말(30)의 카메라로 본 장치(10)의 디스플레이부(12) 상에 표출된 표출 코드를 촬영함으로써 표출 코드 내 URL에 대응하는 웹페이지에 접속 및 자동 로그인을 통해 웹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 가능할 수 있다. The code provided by the device 10 may be an electronic QR code provided electronically. The customer 31 photographs the expression cod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 of the device 10 with the camera of the customer terminal 30 to connect to the web page corresponding to the URL in the expression code and automatically log in to the web page. Services provided by the page may be available.

또는, 고객(31)은 고객 단말(30)을 본 장치(10)의 전면에 접촉시킴으로써, 비콘이나 RFID 태그 등을 통해 본 장치(10)의 디스플레이부(12) 상에 표출된 표출 코드를 본 장치(10)로부터 제공받아 획득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제어부(13)는 고객 단말(30)이 본 장치(10)의 전면에 접촉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일예로 비콘, RFID, NFC, 블루투스, BLE, WIFI, UWB(Ultra Wide Band)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을 통해 본 장치(10)의 디스플레이부(12) 상에 표출된 표출 코드를 고객 단말(30)로 제공할 수 있다. 이후, 본 장치(10)로부터 제공받은 표출 코드를 기반으로 해당 표출 코드 내 URL에 대응하는 웹페이지에 접속하고 및 접속된 웹페이지에 대해 자동 로그인을 수행함으로써 해당 웹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 가능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customer 31 sees the display cod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 of the device 10 through a beacon or RFID tag by bringing the customer terminal 30 into contact with the front of the device 10. It may be obtained by being provided from the device 10 . In other words, when the controller 13 detects that the customer terminal 30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of the device 10, for example, beacon, RFID, NFC, Bluetooth, BLE, WIFI, UWB (Ultra Wide Band), etc. The display cod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 of the device 10 may be provided to the customer terminal 30 through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n, based on the display code provided from the present device 10, the service provided by the corresponding web page can be used by accessing the web page corresponding to the URL in the corresponding display code and automatically logging in to the accessed web page. can

일예로, 본 장치(10)는, 본 장치(10)의 몸체부의 전면부 상에서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2개의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는 2개의 압력 센서 각각에서 측정되는 압력값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는 2개의 압력 센서 각각에서 측정되는 압력 값이, 모두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고객(31)이 본 장치(10)를 통해 제공되는 코드(즉,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출된 표출 코드)를 상술한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고객 단말(30)로 제공(전송) 받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인식하여, 2개의 압력 센서 각각에서 측정된 압력 값이 모두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감지된 시점(이는 후술하는 설명에서 설명의 편의상 압력 충족 시점이라 지칭함)에 디스플레이부(12) 상에 표출되어 있는 표출 코드를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고객 단말(30)로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evice 10 may include two pressure sensors dispos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of the device 10 . The controller 13 may monitor pressure values measured by each of the two pressure sensors.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3, when the pressure values measured by each of the two pressure sensors satisfy a preset condition, the code provided by the customer 31 through the device 10 (that is, on the display unit) It is recognized that the expressed expression code) is desired to be provided (transmitted) to the customer terminal 30 through the above-describe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pressure values measured by each of the two pressure sensors satisfy the preset condition. The display cod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 may be provided to the customer terminal 30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t the detected time point (this is referred to as the pressure satisfaction time point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the description below).

여기서, 기 설정된 조건은, 2개의 압력 센서 각각에서 측정된 압력 값이, 모두 미리 설정된 시간(일예로 3초) 이상 기 설정된 압력 범위 이내의 압력값으로 측정되는 조건을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preset condition may mean a condition in which pressure values measured by each of the two pressure sensors are measured as pressure values within a preset pressure range for a preset time (eg, 3 seconds) or more.

또한, 기 설정된 압력 범위의 하한 값(즉, 하한 압력 값)은, 일예로 종래에 현존하는(즉, 지구상에 존재하는) 스마트폰 중 가장 가벼운 무게를 갖는 스마트폰을 본 장치(10)의 전면부 상에 마련된 2개의 압력 센서의 상면에 안착시켰을 때에 2개의 압력 센서 중 어느 한 압력 센서에 가해지는 압력 값(어느 한 압력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압력 값)을 의미할 수 있다. 반면, 기 설정된 압력 범위의 상한 값(즉, 상한 압력 값)은, 일예로 종래에 현존하는 스마트폰 중 가장 무거운 무게를 갖는 스마트폰을 본 장치(10)의 전먼부 상에 마련된 2개의 압력 센서의 상면에 안착시켰을 때에 2개의 압력 센서 중 어느 한 압력 센서에 가해지는 압력 값(어느 한 압력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압력 값)을 의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limit value of the preset pressure range (ie, the lower limit pressure value) is, for example, a smartphone having the lightest weight among conventionally existing (ie, existing on earth) smart phones on the front side of the device 10. It may mean a pressure value applied to any one of the two pressure sensors (a pressure value measured by any one pressure sensor) when the two pressure sensors provided on the part ar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n the other hand, the upper limit value of the preset pressure range (i.e., the upper limit pressure value) is, for example, a smartphone having the heaviest weight among conventional smart phones, two pressure sensors provided on the front part of the device 10 It may mean a pressure value (a pressure value measured by any one pressure sensor) applied to any one of the two pressure sensors when it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

상술한 설명에서, 가장 가벼운 무게를 갖는 스마트폰 및 가장 무거운 무게를 갖는 스마트폰은 일예로 종래에 현존하는 다양한 종류의 스마트폰들 중 본 장치(10)를 관리하는 관리자에 의해 선정된 스마트폰일 수 있고, 각 스마트폰의 무게 내지 각 스마트폰을 전면부 상에 안착시켰을 때에 어느 한 압력 센서에서 측정되는 압력 값의 구체적인 수치 값은 일예로 관리자에 의한 실험에 의해 도출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기 설정된 압력 범위의 상한 값 및 하한 값의 수치는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장치(10)를 관리하는 관리자에 의해 다양하게 설정 및 변경될 수 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smart phone having the lightest weight and the smart phone having the heaviest weight may be, for example, a smart phone selected by the manager who manages the device 10 among various types of smart phones that exist in the prior art. In addition, the specific numerical value of the weight of each smartphone or the pressure value measured by any one pressure sensor when each smartphone is seated on the front part can be derived by an experiment by a manager, for example. In addition, the numerical values of the upper and lower limits of the preset pressure range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set and changed in various ways by a manager who manages the apparatus 10 .

이에 따르면, 본 장치(10)는 매장 내 테이블 상의 일영역에 설치(구비, 부착)될 수 있다. 특히, 본 장치(10)는 일예로 디스플레이부(12)가 테이블의 상면과 평행한 상태가 되도록 테이블 상의 일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장치(10)가 테이블 상에 설치됨에 따라, 일예로 본 장치(10)가 설치되어 있는 테이블의 의자에 안착한 고객(31)이 고객의 손이나 팔(팔꿈치) 등을 이용해 실수로 본 장치(10)의 전면부(특히, 전면부 상에 마련된 2개의 압력 센서)를 누르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고객(31)에 의해 본 장치(10)의 전면부를 누름에 따라 2개의 압력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압력 값은 상술한 기 설정된 압력 범위의 상한 값을 초과하는 값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this, the device 10 may be installed (equipped with, attached) to one area on a table in a store. In particular, the device 10 may be installed in one area on the table so that the display unit 12 is parallel to the top surface of the table, for example. As the device 10 is installed on the table in this way, for example, the customer 31 seated on a chair at the table where the device 10 is installed accidentally sees the customer 31 using the customer's hand or arm (elbow). There may be cases where the front part of the device 10 is pressed (in particular, the two pressure sensors provided on the front part). In this case, when the front part of the device 10 is pressed by the customer 31, the pressure value measured through the two pressure sensors may have a value exceeding the upper limit of the aforementioned preset pressure range.

이처럼, 제어부(13)는 2개의 압력 센서 각각에서 측정된 압력 값이 기 설정된 압력 범위의 상한 값을 초과하는 값으로 측정되는 경우, 이를 고객(31)이 본 장치(10)를 통해 제공되는 코드를 고객 단말(30)로 제공받고자 하여 자신이 소지한 고객 단말(30)을 본 장치(10)의 전면부 상에 안착시킨 것으로 인식하는 것이 아닌, 고객(31)이 실수로 자신의 손이나 팔로 본 장치(10)의 전면부를 누른 상태인 것으로 인식하여, 이러한 경우 본 장치(10)를 통해 제공되는 코드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고객 단말(30)로 제공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As such, if the pressure value measured by each of the two pressure sensors is measured as a value exceeding the upper limit of the preset pressure range, the control unit 13 converts this to a code provided by the customer 31 through the device 10. Instead of recognizing that the customer terminal 30 possessed by the customer is seated on the front of the device 10 in order to receive the customer terminal 30, the customer 31 mistakenly uses his or her hand or arm It is recognized that the front part of the device 10 is pressed, and in this case, the code provided through the device 1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provided to the customer terminal 30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반면, 제어부(13)는 2개의 압력 센서 각각에서 측정된 압력 값이 모두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감지된 경우, 이를 고객(31)이 본 장치(10)를 통해 제공되는 코드를 고객 단말(30)로 제공받고자 하여 자신이 소지한 고객 단말(30)을 본 장치(10)의 전면부 상에 안착시킨 것으로 인식하여, 이러한 경우 압력 충족 시점에 디스플레이부(12) 상에 표출되어 있는 표출 코드를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고객 단말(30)로 제공(전송)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rol unit 13 detects that the pressure values measured by each of the two pressure sensors satisfy a preset condition, the customer 31 sends a code provided through the device 10 to the customer terminal ( 30), recognizing that the customer's terminal 30 possessed by the user is seated on the front of the device 10 in order to be provided, and in this case, the display cod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 at the time when the pressure is satisfied may be provided (transmitted) to the customer terminal 30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이때, 제어부(13)는 2개의 압력 센서 각각에서 측정된 압력 값이 모두 기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감지된 시점(즉, 압력 충족 시점)에 본 장치(10)의 전면부 상에 안착된 고객 단말(30)의 화면이 꺼짐(OFF) 상태이고 고객 단말(30)의 NFC 기능이 OFF 상태인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고객 단말(30)의 NFC 기능을 강제로 ON 상태로 변경시키고 고객 단말(30)의 화면을 강제로 켜짐(ON) 상태로 변경시킨 다음, 이후 디스플레이부(12) 상에 표출된 표출 코드를 NFC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고객 단말(30)로 제공함으로써 고객 단말(30)의 화면 상에 표출 코드 내 URL에 대응하는 웹페이지(특히나, 자동 로그인이 완료되어 상품 주문이 가능한 사업주 운영 웹페이지)가 자동으로 표출되도록 고객 단말(3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고객(31)이 즉시 웹페이지에서의 주문 등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ler 13 detects that the pressure values measured by each of the two pressure sensors satisfy a preset condition (ie, the pressure is satisfied), the customer seated on the front of the device 10 When the screen of the terminal 30 is turned off (OFF) and it is detected that the NFC function of the customer terminal 30 is OFF, the NFC function of the customer terminal 30 is forcibly changed to the ON state and the customer terminal 30 ) After forcibly changing the screen to an ON state, and then providing the display cod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 to the customer terminal 30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NFC, the customer terminal 30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ustomer terminal 30 so that the web page corresponding to the URL in the display code (in particular, the web page operated by the business owner where automatic login is completed and product ordering is possible) is automatically displayed on the screen of , the customer 31 can immediately place an order on the web page.

이에 따르면, 고객(31)은 NFC 기능이 꺼져있고 화면이 꺼져있는 상태에 있는 고객 단말(30)을 본 장치(10)의 전면부 상에 안착시키는 것(즉, 올려두는 것)만으로도, 본 장치(10)의 디스플레이부(12) 상에 표출된 표출 코드를 NFC를 통해 고객 단말(30)로 제공(전송)받음으로써, 표출 코드에 대한 직접 인식을 수행(즉, 제1 유형으로의 접촉 시도를 수행)할 수 있고, 자동으로 고객 단말(30)의 화면에 표출된 웹페이지(자동 로그인이 완료된 사업주 운영 웹페이지)를 토대로 즉시 주문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장치(10)는 일예로 고객(31)이 고객 단말(30)의 카메라를 직접 ON 시켜 본 장치(10)에 의해 제공되는 표출 코드를 촬영함으로써 표출 코드에 대한 직접 인식을 수행하는 경우와 대비하여, 그보다 더 편리하고 쉽게 단순히 자신의 단말인 고객 단말(30)을 본 장치(10)의 전면부 상에 올려두는 것만으로 표출 코드에 대한 직접 인식이 수행 가능하도록(즉, 즉시 주문이 가능한 웹페이지를 고객이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the customer 31 simply places the customer terminal 30 in a state where the NFC function is turned off and the screen is turned off on the front of the device 10 (ie, puts it on), the device By receiving (transmitting) the display cod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 of (10) to the customer terminal 30 through NFC, direct recognition of the display code is performed (ie, the first type of contact attempt is made). ), and can immediately place an order based on a webpage automatically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customer terminal 30 (a webpage operated by the business owner for which automatic login has been completed). In this device 10, for example, when the customer 31 directly turns on the camera of the customer terminal 30 to photograph the expression code provided by the device 10, and performs direct recognition of the expression code, and In contrast, it is more convenient and easier than that to simply place the customer terminal 30, which is its own terminal, on the front of the device 10 so that direct recognition of the display code can be performed (ie, immediate ordering is possible). Web pages can be provided to customers).

또한, 본 장치(10)는 본 장치(10)의 몸체부의 후면에 마련되는 결속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장치(10)의 몸체부의 상면에는 디스플레이부(12)가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vice 10 may include a coupling portion (not shown)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of the device 10 . A display unit 12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of the device 10 .

결속부는 본 장치(10)의 몸체부의 후면에 마련되어, 사업주(41)가 희망하는 설치 위치에 본 장치(10)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되는 구성일 수 있다. 사업주(41)는 일예로 본 장치(10)를 자신이 운영하는 매장 내 테이블들 중 어느 한 테이블 상에 설치(배치)할 수 있다. 이때, 결속부는 본 장치(10)가 해당 테이블에 결합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부재일 수 있다. 결속부는 일예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예시적으로 스티커 형태, 집게 형태, 끼움결합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형태, 공기압으로 부착되도록 하는 형태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binding unit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of the device 10 to enable the installation of the device 10 at an installation location desired by the business owner 41 . For example, the business owner 41 may install (arrange) the apparatus 10 on any one table among the tables in the store he/she manages. At this time, the binding unit may be a member provided so that the device 10 can be coupled to the corresponding table. The binding unit may be provided to be detachable, for example, and may be provided in a sticker form, tongs form, a form to be coupled by fitting, a form to be attached by air pressure, and the like.

본 발명에서, 결속부는 예시적으로 'ㄷ'자 형태로의 플라스틱 부재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결속부는, 'ㄷ'자 형태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상측 부재와 하측 부재, 이들 상측 부재의 일단과 하측 부재의 일단을 연결하는 중간 부재, 및 상측 부재와 하측 부재와 중간 부재에 의해 마련되는 공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속부는 후술하여 설명하는 것과 같이 상측 부재와 하측 부재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거리 조절부는 후술하여 설명하는 2개의 지문 인식 센서(즉, 제1 지문 인식 센서와 제2 지문 인식 센서)와 연계하여 제어부(13)에 의한 제어에 의해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plastic member in the shape of 'c'. [0021] When the coupling part is described based on a 'c' shape, an upper member and a lower member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 intermediate member connecting one end of the upper member and one end of the lower member, and an intermediate member between the upper member and the lower member. A space portion provided by the member may be included. In addition, the binding unit may include a distance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member and the lower member,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operation of the distance adjusting unit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3 in association with two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s (ie, a first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and a second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to be described later.

본 장치(10)의 몸체부의 후면은 상측 부재의 상면과 결합될 수 있고, 이러한 결속부는 일예로 3시 방향이 개방된 형태일 수 있다.The rear surface of the body part of the device 1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member, and such a binding part may be open at 3 o'clock, for example.

본 장치(10)는 결속부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테이블의 사이드 부분이 결속부 내 공간부에 위치하도록, 일예로 결속부를 테이블의 사이드 부분에 끼우는 방식으로 테이블에 설치될 수 있다.The device 10 may be installed on the table by inserting the binding part into the side part of the table so that the side part of the table is located in the space within the binding part through the open part of the binding part.

이때, 본 장치(10)는 사업주(41)가 본 장치(10)를 테이블 상에 쉽고 편리하게 설치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device 10 may include the following functions so that the business owner 41 can easily and conveniently install the device 10 on the table.

일예로, 본 장치(10)는, 몸체부의 좌측면의 일영역에 마련되는 제1 지문 인식 센서, 및 몸체부의 우측면의 일영역에 마련되는 제2 지문 인식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장치(10)의 몸체부는 사람의 손에 쥘 수 있을 만한 정도의 소형의 크기로 마련될 수 있고, 통상 스마트폰의 크기와 상응하거나 그보다 작은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device 10 may include a first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provided on one area of the left side of the body and a second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provided on one area of the right side of the body. The body of the device 10 may be provided in a small size that can be held by a person's hand, and may be provided in a size corresponding to or smaller than that of a typical smart phone.

제어부(13)는 본 장치(10)에 대한 설치의 수행 이전에, 일예로 본 장치(10)를 구매하여 테이블에 설치하고자 하는 사업주(41)를 대상으로, 사업주(41)로부터 제1 지문 인식 센서를 통해 사업주(41)의 제1 손가락에 대한 지문 정보를 제1 지문 인식 센서와 관련하여 기 등록된 기등록 제1 지문 정보로서 입력받아 메모리부(14)에 미리 저장해 두고, 사업주(41)로부터 제2 지문 인식 센서를 통해 사업주(41)의 제2 손가락에 대한 자문 정보를 제1 지문 인식 센서와 관련하여 기 등록된 기등록 제2 지문 정보로서 입력받아 메모리부(14)에 미리 저장해 둘 수 있다.Prior to the installation of the device 10, the controller 13 first recognizes a fingerprint from the business owner 41, for example, for a business owner 41 who wants to purchase the device 10 and install it on a table. The fingerprint information on the first finger of the business owner 41 is received through the sensor as pre-registered first fingerprint information pre-registered in relation to the first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and stored in the memory unit 14 in advance, and the business owner 41 Consultation information on the second finger of the business owner 41 is received as pre-registered second fingerprint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through the second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and stored in the memory unit 14 in advance. can

여기서, 일예로 디스플레이부(12)가 상측을 향하도록 놓여있는 본 장치(10)의 몸체부를 사업주(41)가 왼손으로 잡는 상황을 가정하여, 제1 손가락은 사업주(41)의 왼손의 중지 손가락일 수 있고, 제2 손가락은 사업주(41)의 왼손의 엄지 손가락일 수 있다.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부(12)가 상측을 향하도록 놓여있는 본 장치(10)의 몸체부를 사업주(41)가 오른손으로 잡는 상황을 가정하여, 제1 손가락은 사업주(41)의 오른손의 엄지 손가락일 수 있고, 제2 손가락은 사업주(41)의 오른손의 중지 손가락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손가락이 왼손의 중지 손가락이고, 제2 손가락이 왼손의 엄지 손가락인 경우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 for example, assuming a situation where the business owner 41 holds the body of the device 10 with the display unit 12 facing upwards with his left hand, the first finger is the middle finger of the business owner 41's left hand. , and the second finger may be the thumb of the left hand of the business owner 41 . As another example, assuming a situation where the business owner 41 holds the body of the device 10 with the display unit 12 facing upwards with his right hand, the first finger is the thumb of the business owner 41's right hand. and the second finger may be the middle finger of the right hand of the business owner 41 .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will be assumed that the first finger is the middle finger of the left hand and the second finger is the thumb of the left hand.

즉, 제어부(13)는 사업주(41)로부터 입력받은 제1 손가락(왼손의 중지 손가락)과 제2 손가락(왼손의 엄지 손가락) 각각에 대한 지문 정보를 각각 기등록 제1 지문 정보와 기등록 제2 지문 정보로서 메모리부(14)에 저장시켜 둘 수 있다.That is, the control unit 13 converts the fingerprint information for the first finger (the middle finger of the left hand) and the second finger (the thumb of the left hand) received from the business owner 41 to the registered first fingerprint information and the previously registered second finger, respectively. 2 can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14 as fingerprint information.

지문 정보의 저장 이후, 사업주(41)는 본 장치(10)를 설치를 희망하는 테이블에 설치하고자, 설치를 희망하는 테이블의 사이드 부분에 본 장치(10) 내 결속부의 공간부 내에 테이블의 사이드 부분이 위치하도록 배치시킬 수 있다.After storing the fingerprint information, the business owner 41 intends to install the apparatus 10 on the table where installation is desired, and the side part of the table within the space of the binding part within the apparatus 10 on the side part of the table where installation is desired. can be placed in this position.

이러한 상태에서, 제어부(13)는 일예로 제1 지문 인식 센서를 통해 기 설정된 시간(일예로 2초) 동안 사용자의 제1 지문 정보가 제1 입력 지문 정보로서 입력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메모리부(14)에 제1 지문 인식 센서와 관련하여 기 등록된 기등록 제1 지문 정보와 제1 입력 지문 정보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이를 결속부 내 상측 부재와 하측 부재 사이의 거리가 좁아지도록 조절을 요청하는 신호로 인식하여, 결속부 내 거리 조절부의 작동을 상측 부재와 하측 부재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조절되는 제1 유형으로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하측 부재의 내측면의 일영역에는 내측 압력 센서가 마련될 수 있으며, 제어부(13)는 내측 압력 센서에서 측정되는 압력 값이 기 설정된 압력 값을 충족할 때까지에 한하여 거리 조절부가 제1 유형으로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거리 조절부가 제1 유형으로 제어됨에 따라, 결속부는 테이블에 고정 결합되고, 이에 따라 테이블에 대한 본 장치(10)의 설치가 완료될 수 있다.In this state, the controller 13, for example,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user's first fingerprint information is input as the first input fingerprint informa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eg, 2 seconds) through the first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the memory unit In (14), pre-registered first fingerprint information pre-registered in relation to the first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and first input fingerprint information are compared,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y match each other, this is determined as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members in the coupling part. By recognizing it as a signal requesting adjustment to narrow, the operation of the distance adjuster in the binding unit may be controlled to operate in a first type that adjusts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member and the lower member to become closer. At this time, an inner pressure sensor may be provided in one area of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member, and the control unit 13 controls the distance control unit to control the first pressure value only until the pressure value measured by the inner pressure sensor meets a preset pressure value. You can control it to work as a type. As the distance adjustment unit is controlled to be of the first type, the fastening unit is fixedly coupled to the table, and thus installation of the apparatus 10 to the table can be completed.

반면, 제어부(13)는 일예로 제1 지문 인식 센서를 통해 기 설정된 시간(일예로 2초) 동안 사용자의 제1 지문 정보가 제1 입력 지문 정보로서 입력됨과 동시에 제2 지문 인식 센서를 통해 기 설정된 시간(일예로 2초) 동안 사용자의 제2 지문 정보가 제2 입력 지문 정보로서 입력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메모리부(14)에 제1 지문 인식 센서와 관련하여 기 등록된 기등록 제1 지문 정보와 제1 입력 지문 정보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고 또한 메모리부(14)에 제2 지문 인식 센서와 관련하여 기 등록된 기등록 제2 지문 정보와 제2 입력 지문 정보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이를 결속부 내 상측 부재와 하측 부재 사이의 거리가 넓어지도록 조절을 요청하는 신호로 인식하여, 결속부 내 거리 조절부의 작동을 상측 부재와 하측 부재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조절되는 제2 유형으로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거리 조절부가 제2 유형으로 제어됨에 따라, 테이블에 고정 결합되어 있던 결속부는 테이블로부터 이탈 가능한 상태가 되고, 이에 따라 테이블에 설치 되어 있던 본 장치(10)가 테이블로부터 이탈(분리)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13 inputs the user's first fingerprint information as first input fingerprint informa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eg, 2 seconds) through the first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for example, and the second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through the second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second fingerprint information of the user is input as the second input fingerprint information for a set time period (eg, 2 seconds), the pre-registered first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is pre-registered in the memory unit 14. The fingerprint information and the first input fingerprint information are compared to determine that they match each other, and the previously registered second fingerprint information pre-registered in the memory unit 14 in relation to the second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is compared with the second input fingerprint inform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y coincide with each other, this is recognized as a signal requesting adjustment to widen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members in the coupling unit, and the operation of the distance adjusting unit in the coupling unit is performed to increase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members. It can be controlled to operate in a regulated second type. As the distance adjustment unit is controlled to be the second type, the binding unit fixedly coupled to the table becomes detachable from the table, and accordingly, the apparatus 10 installed on the table can be separated (separated) from the table.

이에 따르면, 본 장치(10)는 2개의 지문 인식 센서(제1 지문 인식 센서와 제2 지문 인식 센서)를 이용하여, 현재 입력된 사용자의 지문 정보가 메모리부(14)에 기 등록된 지문 정보와 일치하되 특정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에 한하여(즉, 지문 인식 센서를 통해 사업주의 지문 정보가 입력된 경우에 한하여) 거리 조절부가 제1 유형 또는 제2 유형으로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바, 메모리부(14)에 기 등록된 기등록 지문 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즉, 일예로 사업주)만이 테이블에 대한 본 장치(10)의 설치 및 해제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장치(10)는 일예로 고객이 악의적으로 테이블에 설치되어 있는 본 장치(10)를 가져가려 하거나(즉, 훔치려고 하거나) 테이블로부터 분리시키려는 행위 등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the present device 10 uses two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s (a first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and a second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and the currently input user's fingerprint information is pre-registered in the memory unit 14. , but only when certain conditions are met (that is, only when the fingerprint information of the business owner is input through the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the distance adjusting unit can be controlled to operate in the first type or the second type. Only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pre-registered fingerprint information pre-registered in the unit 14 (that is, the business owner, for example) can easily install and release the device 10 on the table. This device 10 can, for example, prevent a customer from maliciously trying to take the device 10 installed on the table (that is, stealing it) or separating it from the table.

또한, 제어부(13)는 거리 조절부를 제1 유형으로 작동하도록 제어함에 있어서, 앞서 말한 바와 같이 내측 압력 센서에서 측정되는 압력 값이 기 설정된 압력 값을 충족할 때까지에 한하여 거리 조절부가 제1 유형으로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본 장치(10)를 설치하는 사용자인 사업주(41)의 설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n controlling the distance adjuster to operate in the first type, the control unit 13 controls the distance adjuster to operate in the first type only until the pressure value measured by the inner pressure sensor meets the preset pressure value as described above. can be controlled to operate. This can provide installation convenience for the business owner 41 who is the user who installs the device 10 .

이때, 제어부(13)는 내측 압력 센서에 측정되는 압력 값이 기 설정된 압력 값으로 측정되는 시간이 일정 시간(일예로 2시간) 동안 유지된 이후에, 일예로 내측 압력 센서에서 측정되는 압력 값이 기 설정된 압력 값을 기준으로 설정된 오차 허용 범위(오차 허용 압력 값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감지된 경우, 이를 테이블에 고정 설치되어 있던 본 장치(10)가 테이블로부터 이탈할 가능성이 있는 상태인 것으로 인식(판단)하여, 본 장치(10)의 식별정보를 포함한 결속 확인 요청 메시지를 사업주 단말(4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장치(10)의 식별정보는 본 장치(10)에 부여되는 고유 식별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결속 확인 요청 메시지는 예시적으로 '몇번째 테이블에 설치된 본 장치가 제대로 결속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오니, 확인 바랍니다'와 같은 정보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3 determines that the pressure value measured by the inner pressure sensor is, for example, after the time during which the pressure value measured by the inner pressure sensor is measured as a preset pressure value is maintain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eg, 2 hours). When it is detected that it is out of the error tolerance range (error tolerance pressure value range) set based on the preset pressure value, it is recognized as a state in which the present device 10, which is fixedly installed on the table, is likely to deviate from the table ( determination), the binding confirmation request message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vice 10 may be transmitted to the business owner terminal 40 . Her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vice 10 may mean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given to the device 10 . The binding confirmation request message may be illustratively information such as 'It is determined that the present device installed in a certain number of tables is not properly bound, so please check'.

이러한 본 장치(10)는 결속 확인 요청 메시지로 하여금, 사업주(41) 자신이 운영하는 매장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본 장치들 중 테이블에 정상 결합되어 있지 않고 이탈될 가능성이 있는 상태에 있는 특정 본 장치(이상 감지 장치)를 사업주(41)가 즉각 확인하고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is device 10 sends a binding confirmation request message to a specific device that is not normally coupled to the table and is likely to be separa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devices installed in the store operated by the business owner 41. It is possible for the business owner 41 to immediately check the device (abnormality detection device) and take action.

또한, 본 장치(10)는, 몸체부의 전면부 상의 일영역에 마련되는 레이저 거리측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device 10 may include a laser distance measurement sensor provided in one area on the front portion of the body portion.

레이저 거리측정 센서는 전면부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레이저를 조사함으로써 조사된 레이저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2) 상에 표출된 표출 코드를 고객 단말(30)의 카메라로 직접 인식하기 위해 본 장치(10)의 전방에 위치하는 고객 단말(30)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즉, 레이저 거리측정 센서는, 조사된 레이저를 통해, 레이저 거리측정 센서가 마련되어 있는 본 장치(10)의 몸체부의 전면부의 위치로부터 몸체부의 전방에 위치하는 고객 단말(30)의 위치까지의 거리(이격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The laser distance measurement sensor of the device 10 directly recognizes the display cod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 through the irradiated laser by irradiating a laser from the front part toward the front with the camera of the customer terminal 30. The distance to the customer terminal 30 located in the front can be measured. That is, the laser distance measuring sensor, through the irradiated laser, the distance from the position of the front part of the body of the device 10 provided with the laser distance measuring sensor to the position of the customer terminal 30 located in front of the body ( distance) can be measured.

고객(31)은 웹페이지로의 접속을 제1 유형으로 시도하고자 할 때(즉, 고객 단말의 카메라로 직접 촬영하는 것을 통해 표출 코드를 인식하고자 할 때), 일예로 고객 단말(30)의 카메라를 on 상태로 만든 후 on 상태의 카메라로 표출 코드를 촬영함으로써 접속을 제1 유형으로 시도할 수 있다.When the customer 31 tries to access the web page in the first type (ie, when recognizing the display code through direct shooting with the camera of the customer terminal), for example, the camera of the customer terminal 30 After turning on, the first type of connection can be attempted by photographing the expression code with a camera in the on state.

이때, 제어부(13)는 카메라가 on 상태에 있는 고객 단말(30)에 대하여, 레이저 거리측정 센서로부터 측정된 해당 고객 단말(즉, 카메라가 on 상태에 있는 고객 단말)까지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범위(일예로 5cm 이상 30cm 이하의 거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고객(31)이 웹페이지로의 접속을 제1 유형으로 시도하는 것으로 인식하여(즉, 표출 코드를 직접 촬영하고자 하는 것으로 인식하여) 측정된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감지된 시점에 즉시 디스플레이부(12) 상에 표출된 표출 코드를 고객 단말(30)로 제공(전송)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3 determines that the distance from the laser distance measurement sensor to the corresponding customer terminal (ie, the customer terminal with the camera on) with respect to the customer terminal 30 in which the camera is on is a preset distance. If it is detected as belonging to the range (for example, a distance range of 5 cm or more and 30 cm or less), it is recognized that the customer 31 is attempting to access the web page as the first type (ie, to directly photograph the display code)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measured distance belongs to a preset distance range, the display cod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 may be immediately provided (transmitted) to the customer terminal 30 .

이에 따르면, 통상 사용자가 자신이 소지한 단말의 카메라로 종래의 바코드나 QR 코드 등을 인식하고자 할 때, 카메라가 바코드로부터 너무 먼 거리에 위치하거나 혹은 너무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여 자동 초점 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카메라가 바코드를 잘 인식하지 못함에 따라, 카메라를 소지한 사용자가 카메라를 이리저리 움직여 가면서 카메라가 바코드를 보다 잘 인식할 수 있는 위치를 찾아야 했으며, 이는 코드 인식을 행하는 사용자로 하여금 불편함을 야기하는 측면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특정 정보를 주고받음에 있어서도(일예로 스마트폰으로 결제를 수행하는 경우 등) 카메라를 NFC 리더기에 가까이 대더라도 NFC 리더기가 카메라를 즉각 인식하지 못함에 따라, NFC 리더기가 카메라를 감지할 때까지 기다리거나 카메라를 이리저리 움직여가며 인식 가능하도록 하거나, 혹은 다시 재결제 등을 수행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었다.According to this, when a user usually tries to recognize a conventional barcode or QR code with the camera of his or her terminal, the camera is located too far or too close from the barcode, so the auto focus function is not properly performed. As the camera does not recognize the barcode well, the user carrying the camera had to move the camera around and find a position where the camera can better recognize the barcode, which is inconvenient for the user performing the code recognition. There was an aspect that caused In addition, in the prior art, even in exchanging specific information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or example, when making a payment with a smartphone), even if the camera is brought close to the NFC reader, the NFC reader does not immediately recognize the camera, so the NFC reader There were inconveniences such as waiting for the camera to be detected, moving the camera around to make it recognized, or performing a repayment.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제어부(13)는 본 장치(10)의 전면부의 위치(특히, 레이저 거리측정 센서의 위치)로부터 카메라가 on 상태에 있는 고객 단말(30) 까지의 거리(즉, 전면부의 전방에 위치한 카메라가 on 상태인 고객 단말의 위치까지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범위 이내에 속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이를 고객(31)이 제1 유형으로 웹페이지로의 접속 시도를 하는 것으로 인식하여, 즉시 표출 코드를 고객 단말(30)로 제공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control unit 13 controls the distance from the location of the front side of the device 10 (in particular, the location of the laser distance measurement sensor) to the customer terminal 30 in which the camera is on (ie, the front side If it is detected that the distance to the location of the customer terminal where the camera located in the front is on is within the preset distance range, it is recognized as the first type of attempt by the customer 31 to access the web page, and immediately The display code may be provided to the customer terminal 30 .

이때, 제어부(13)는 일예로 본 장치(10)의 전면부의 전방에 고객 단말(30)이 위치해 있는지 여부를 일예로 본 장치(10)의 전면부의 일영역에 마련된 이미지 센서에서 획득되는 이미지의 실시간 분석을 통해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는 전면부의 전방에 위치한 고객 단말(30)의 카메라가 on 상태인지 여부를 일예로 전면부의 전방에 위치한 고객 단말(30)로부터 네트워크(20)(일예로 무선 근거리 통신을 포함한 네트워크)를 통해 획득한 고객 단말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판단될 수 있다. 여기서, 고객 단말의 상태 정보에는 고객 단말의 카메라가 on 상태인지, off 상태인지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3 determines, for example, whether the customer terminal 30 is located in front of the front of the device 10, for example, of the image obtained from the image sensor provided in one area of the front of the device 10. This can be determined through real-time analysis.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3 determines whether the camera of the customer terminal 30 located in front of the front part is in an on state, for example, from the customer terminal 30 located in front of the front part to the network 20 (including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as an example). It may be determined based on state information of the customer terminal acquired through the network). Here,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customer terminal may include information on whether the camera of the customer terminal is on or off.

이러한 본 장치(10)는 레이저 거리측정 센서를 이용함으로써, 고객이 종래에서와 같이 카메라를 이리저리 움직여 가면서 바코드나 QR 코드가 잘 인식될 수 있는 위치를 찾아야 할 필요 없이, 보다 먼 거리의 위치에서도 고객 단말(30)에서 표출 코드에 대한 직접 인식이 보다 빠르고 즉각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is device 10 uses a laser distance measuring sensor, so that the customer does not have to find a location where the barcode or QR code can be recognized well while moving the camera around as in the prior art, Direct recognition of the expression code in the terminal 30 can be performed more quickly and immediately.

이하에서는 상기에 자세히 설명된 내용을 기반으로, 본 발명의 동작 흐름을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based on the detail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flow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review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드 표시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2 is an operational flowchart of a code display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코드 표시 방법은 앞서 설명된 본 장치(1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본 장치(1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코드 표시 방법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code display method shown in FIG. 2 can be performed by the device 10 described above. Therefore, even if the content is omitted below, the description of the device 10 can be equally applied to the description of the code display method.

도 2를 참조하면, 단계S11에서 코드 생성부는, 웹페이지로의 접속을 위한 URL을 포함하는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in step S11, the code generation unit may generate a code including a URL for accessing a web page.

여기서, 코드 생성부에서 생성되는 코드는, 기 설정된 시간 단위마다 가변되는 가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code generated by the code generator may include variable data that is variable for each preset time unit.

다음으로, 단계S12에서 제어부는, 단계S11에서 생성된 코드를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출 코드로서 표출시킬 수 있다.Next, in step S12, the control unit may display the code generated in step S11 as an expression code on the display unit.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1 및 S12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In the foregoing description, steps S11 and S12 may be further divided into additional steps or combined into fewer steps,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some steps may be omitted if necessary, and the order of steps may be chang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코드 표시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code display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by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o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thos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 includes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magneto-optical media, and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as well as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act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또한, 전술한 코드 표시 방법은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 code display metho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mputer program or application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and executed by a computer.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코드 관리 시스템
10: 코드 표시 장치
11: 코드 생성부
12: 디스플레이부
13: 제어부
14: 메모리부
30: 고객 단말
40: 사업주 단말
100: code management system
10: code display device
11: code generation unit
12: display unit
13: control unit
14: memory unit
30: customer terminal
40: business owner terminal

Claims (3)

코드 표시 장치로서,
웹페이지로의 접속을 위한 URL을 포함하는 코드를 생성하는 코드 생성부, 및
생성된 상기 코드를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출 코드로서 표출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드는, GET 방식으로 접속시 고정 URL의 오픈으로 인한 해킹이 방지되도록 기 설정된 시간 단위마다 가변되는 가변 데이터를 포함하며 복사가 불가능하도록 생성되는 가변 코드임에 따라, 고객 단말에서 시도되는 상기 표출 코드에 대한 상기 웹페이지로의 접속 시도의 유형에 영향을 받아 상기 접속 시도의 유형에 따라 상기 웹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이용 가능 여부가 달리 결정되도록 생성된 것이고,
상기 접속 시도의 유형은, 고객 단말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출되어 있는 표출 코드에 대한 직접 인식을 기반으로 상기 웹페이지로의 접속을 시도하는 제1 유형, 및 상기 고객 단말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출되어 있는 표출 코드에 대한 간접 인식을 기반으로 상기 웹페이지로의 접속을 시도하는 제2 유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유형에서의 직접 인식은, 고객 단말이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출되어 있는 표출 코드를 고객 단말의 카메라로 직접 촬영해 인식함으로써 표출 코드를 인식하는 경우, 또는 고객 단말을 상기 코드 표시 장치에 직접 접촉시킴으로써 접촉에 응답하여 고객 단말이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출되어 있는 표출 코드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코드 표시 장치로부터 전달받은 경우를 의미하고,
상기 제2 유형에서의 간접 인식은,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출되어 있는 표출 코드와 관련하여, 표출 코드에 대응하도록 생성된 복사된 표출 코드를 고객 단말의 카메라로 촬영함으로써 표출 코드를 인식하는 경우, 상기 코드 표시 장치를 해킹함으로써 표출 코드를 인식하는 경우를 포함하고,
상기 복사된 표출 코드는,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출되어 있는 표출 코드를 적어도 1회 이상 가공함으로써 생성된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출된 표출 코드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코드로서,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출되어 있는 표출 코드를 고객 단말에 구비된 카메라 또는 고객 단말과는 별도의 촬영 수단으로 촬영함으로써 생성된 표출 코드 촬영 이미지 내에 표시되어 있는 코드, 또는 표출 코드 촬영 이미지를 인쇄한 출력물에 표시되어 있는 코드를 의미하고,
상기 제어부는,
고객 단말이 웹페이지로의 접속을 제1 유형으로 시도하는 것으로 감지된 경우, 고객이 웹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제1 유형으로의 시도에 대한 감지에 응답하여 고객 단말이 직접 인식한 표출 코드 내 가변 데이터의 암호화 해독시 필요한 해독 키 정보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고객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해독 키 정보의 제공을 통하여, 고객 단말이 제1 유형으로 웹페이지로의 접속을 시도했을 때 시도에 응답하여 제어부로부터 제공받은 해독 키 정보를 이용해 고객 단말에서 직접 인식된 표출 코드에 포함되어 있는 가변 데이터를 해독하고, 해독된 가변 데이터를 이용하여 고객 단말에 의해 직접 인식된 표출 코드 내 URL에 대응하는 웹페이지에 대한 자동 로그인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고객이 웹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고객 단말이 웹페이지로의 접속을 제2 유형으로 시도하는 것으로 감지된 경우, 고객이 웹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이용이 불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고객 단말에 의해 간접 인식된 표출 코드 내 URL에 대응하는 웹페이지로의 접속을 실패했음을 나타내는 접속 실패 메시지를 고객 단말의 화면에 표출시키되, 제2 유형으로의 시도에 대한 감지에 응답하여, 고객 단말이 간접 인식한 표출 코드 내 가변 데이터의 암호화 해독시 필요한 해독 키 정보를 고객 단말로 제공되지 않도록 함에 따라 고객 단말에 의해 간접 인식된 표출 코드 내 URL에 대응하는 웹페이지로의 접속 자체가 차단되어 웹페이지로의 접속 및 웹페이지에 대한 자동 로그인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고객이 웹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이용이 불가능하도록 하는 것인, 코드 표시 장치.
As a code display device,
A code generator for generating a code including a URL for access to a web page, and
A control unit for displaying the generated code as an expression code on a display unit;
As the code is a variable code generated so that copying is impossible and includes variable data that is variable for each predetermined time unit to prevent hacking due to opening of a fixed URL when accessing by the GET method, the attempted expression in the customer terminal It is created so that the availability of the service provided in the webpage is determin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access attempt by being influenced by the type of access attempt to the webpage for the code,
The access attempt types include a first type in which a customer terminal attempts to access the web page based on direct recognition of an expression cod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a first type in which the customer terminal attempts to access the display unit on the display unit. A second type of attempting to access the web page based on indirect recognition of the displayed expression code;
Direct recognition in the first type is when the customer terminal recognizes the display code by directly photographing and recognizing the display cod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with the camera of the customer terminal, or when the customer terminal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code display device. In response to the contact by contact, it means that the customer terminal receives the display cod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from the code display device through the network,
Indirect recognition in the second type, in relation to the expression cod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when recognizing the expression code by photographing the copied expression code generated to correspond to the expression code with the camera of the customer terminal, Including the case of recognizing the display code by hacking the code display device,
The copied expression code is a code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expression cod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generated by processing the expression cod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t least once or more, and is an expression cod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 code displayed in an expression code photographed image generated by photographing with a camera provided in the customer terminal or a photographing means separate from the customer terminal, or a code displayed in an output obtained by printing the expression code photographed image,
The control unit,
If it is detected that the customer terminal is attempting to access the webpage in the first type, the customer terminal responds to the detection of the first type of attempt so that the customer can use the service provided in the webpage. Decryption key information necessary for encryption and decryption of variable data in the directly recognized expression code is extracted from the memory unit and provided to the customer terminal, and through the provision of the decryption key information, the customer terminal accesses the web page in the first type. In response to the attempt, the variable data included in the expression code directly recognized by the customer terminal is decoded using the decryption key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control unit in response to the attempt, and the variable data directly recognized by the customer terminal is expressed using the decrypted variable data. Enables customers to use the services provided on the webpage by automatically logging in to the webpage corresponding to the URL in the code;
If it is detected that the customer terminal is attempting to access the webpage in the second type, the URL corresponding to the URL in the display code indirectly recognized by the customer terminal is used to prevent the customer from using the service provided on the webpage. A connection failure message indicating that access to the web page has failed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customer terminal, but in response to the detection of the second type of attempt, necessary for encryption and decryption of variable data in the display code indirectly recognized by the customer terminal As the decryption key information is not provided to the customer terminal, access to the webpage corresponding to the URL in the display code indirectly recognized by the customer terminal is blocked, so access to the webpage and automatic login to the webpage are not performed. A code display device that prevents the customer from using the service provided on the web page by preventing the customer from using the ser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는, 고정 데이터가 기록되는 고정부 영역 및 상기 가변 데이터가 기록되는 가변부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 데이터는, 상기 웹페이지에 대응하는 상기 URL의 주소 정보이고,
상기 가변 데이터는, 상기 웹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이용을 위해 상기 웹페이지에서의 로그인 수행시 필요한 로그인 인증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데이터인 것인, 코드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de includes a fixed part area in which fixed data is recorded and a variable part area in which the variable data is recorded;
The fixed data is address information of the URL corresponding to the web page,
The variable data is data generated using login authentication data required when logging in on the webpage to use the service provided on the webpage, code display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데이터는,
상기 기 설정된 시간 단위마다 변경되는 일회용 키값을 이용하여 상기 로그인 인증 데이터를 암호화함으로써 생성되는 암호화된 가변 로그인 인증 데이터인 것인, 코드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variable data,
Code display device that is encrypted variable login authentication data generated by encrypting the login authentication data using a one-time key value that is changed for each predetermined time unit.
KR1020220125861A 2022-09-30 2022-09-30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codes KR1025752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5861A KR102575213B1 (en) 2022-09-30 2022-09-30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cod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5861A KR102575213B1 (en) 2022-09-30 2022-09-30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cod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5213B1 true KR102575213B1 (en) 2023-09-06

Family

ID=87974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5861A KR102575213B1 (en) 2022-09-30 2022-09-30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cod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5213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918B1 (en) * 2014-10-10 2015-04-15 주식회사 이노서티 QR code for counterfeit and forgery prevention, a system for automatically producing QR codes for counterfeit and forgery prevention and the operating method therefor
KR20180080609A (en) * 2017-01-04 2018-07-12 주식회사 에코텍 Management system for Multilingual food menu using mobile
KR20200140453A (en) * 2019-06-06 2020-12-16 주식회사 애니멀나인 Order system using qr code
KR20210069221A (en) * 2019-12-03 2021-06-11 주식회사 펀앤뉴 Entry management system using mobile identification car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918B1 (en) * 2014-10-10 2015-04-15 주식회사 이노서티 QR code for counterfeit and forgery prevention, a system for automatically producing QR codes for counterfeit and forgery prevention and the operating method therefor
KR20180080609A (en) * 2017-01-04 2018-07-12 주식회사 에코텍 Management system for Multilingual food menu using mobile
KR20200140453A (en) * 2019-06-06 2020-12-16 주식회사 애니멀나인 Order system using qr code
KR20210069221A (en) * 2019-12-03 2021-06-11 주식회사 펀앤뉴 Entry management system using mobile identification car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15906B2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secure self payment transactions of retail goods
US9412105B2 (en) Mobile checkout systems and methods
TWI599970B (en) Mobile checkout systems and methods
US9589262B2 (en) Mobile checkout systems and methods
US9430768B2 (en) Mobile checkout systems and methods
US10445724B2 (en) System for performing payment in mobile terminal
CA2924593C (en) Mobile checkout systems and methods
AU2014100037A4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memory card module for conducting electronic transactions
MX2014000257A (en) Distributed transact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s.
KR20110039947A (en) System and method for on-line wireless settlement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KR10257521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codes
KR20110105740A (en) System for on-line wireless settlement
WO2020009658A1 (en) Identity or security authentication device for electronic system using visual patterns or cod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