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5025B1 - 인테리어 정보 제공 장치 및 이에 의한 인테리어 정보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인테리어 정보 제공 장치 및 이에 의한 인테리어 정보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5025B1
KR102575025B1 KR1020220116105A KR20220116105A KR102575025B1 KR 102575025 B1 KR102575025 B1 KR 102575025B1 KR 1020220116105 A KR1020220116105 A KR 1020220116105A KR 20220116105 A KR20220116105 A KR 20220116105A KR 102575025 B1 KR102575025 B1 KR 102575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ior
information
space
user terminal
pro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6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8980A (ko
Inventor
김구형
Original Assignee
갤러리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갤러리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갤러리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16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5025B1/ko
Publication of KR20220128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8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5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50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1Customer communication at a business location, e.g. providing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consul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06V10/56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relating to colour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질의 이미지에 포함된 소품의 종류를 식별하는 단계; 식별된 소품의 종류로부터 질의 이미지에 대응하는 공간의 종류를 결정하는 단계; 기 저장된 참조 이미지들 중 결정된 종류의 공간에 대응하는 것으로 분류된 참조 이미지를 선택하는 단계; 및 참조 이미지에 포함된 소품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정보 제공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인테리어 정보 제공 장치 및 이에 의한 인테리어 정보 제공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IOR INFORMATION}
본 발명은 정보 제공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의 생활 공간에 적합한 인테리어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으로, 집 등의 주거 공간은 사람들이 자거나, 쉬는 등의 목적으로만 이용되는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인테리어는 노후 시설의 보수, 안전 강화 측면에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사람들의 소득수준과 의식수준이 높아지고, 개인의 삶에 대한 문화가 존중됨에 따라 주거 공간은 개인의 취향을 만족시키는 맞춤형 공간으로 발전되어 왔다. 이에, 인테리어에 대한 개념 역시 집의 개보수에서 집을 꾸미는 활동으로 발전되었다.
사용자들은 주로 주변 업체나, 부동산, 지인 등을 통해 소개받은 곳 등을 직접 방문하여 자신의 주거 공간에 어울리는 스타일이나 소품을 찾았는데, 이는 사용자들에게 시간 및 비용적 부담이 된다. 또한, 인테리어에 대해 전문적 지식이 없는 사용자들이 자신의 공간에 적합한 소품이나 색상을 선택하기도 어려운 측면이 있었다.
국내 인테리어 시장 규모는 2018년 기준으로 약 28조원대에 달하며, 2020년에는 약 41조 이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다. 인테리어 시장의 급성장에 맞춰 사용자들이 직접 여러 업체를 방문하는 대신 자신의 주거 공간에 어울리는 인테리어 스타일이나 소품에 대한 정보를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정보 제공 장치 및 이에 의한 인테리어 정보 제공 방법은 사용자들의 주거 공간에 어울리는 인테리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정보 제공 장치 및 이에 의한 인테리어 정보 제공 방법은 사용자의 취향을 반영한 정보 제공을 통해 사용자의 소품 구매나 시공 업체 선정의 활성화를 달성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정보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질의 이미지에 포함된 소품의 종류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소품의 종류로부터 상기 질의 이미지에 대응하는 공간의 종류를 결정하는 단계; 기 저장된 참조 이미지들 중 상기 결정된 종류의 공간에 대응하는 것으로 분류된 참조 이미지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한 참조 이미지에 포함된 소품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질의 이미지에 대응하는 공간의 종류를 결정하는 단계는, 공간별로 적합한 소품의 종류와 상기 질의 이미지에 포함된 소품의 종류를 비교하여, 상기 질의 이미지에 대응하는 공간의 종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품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한 참조 이미지에 포함된 소품 중 상기 식별된 소품과 동일한 종류의 소품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테리어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질의 이미지에 포함된 소품의 색상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소품의 색상으로부터 상기 질의 이미지의 인테리어 스타일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소품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종류의 공간에 대응하고, 상기 결정된 인테리어 스타일을 갖는 것으로 분류된 참조 이미지에 포함된 소품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테리어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결정된 종류의 공간에 대응하고, 상기 결정된 인테리어 스타일을 갖는 것으로 분류된 참조 이미지에 대응하는 시공 업체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품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질의 이미지에 포함된 소품 중 상기 식별된 인테리어 스타일에 부적합한 소품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한 참조 이미지에 포함된 소품 중 상기 부적합한 소품과 동일 종류의 소품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질의 이미지의 인테리어 스타일을 결정하는 단계는, 인테리어 스타일별로 적합한 색상과 상기 질의 이미지에 포함된 소품의 색상을 비교하여, 상기 질의 이미지의 인테리어 스타일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테리어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인테리어 스타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종류의 공간에 대응하고, 상기 수신된 인테리어 스타일을 갖는 것으로 분류된 참조 이미지에 대응하는 시공 업체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정보 제공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질의 이미지에 포함된 소품의 종류를 식별하는 이미지 분석부; 상기 식별된 소품의 종류로부터 상기 질의 이미지에 대응하는 공간의 종류를 결정하고, 기 저장된 참조 이미지들 중 상기 결정된 종류의 공간에 대응하는 것으로 분류된 참조 이미지를 선택하는 인테리어 분석부; 및 상기 선택한 참조 이미지에 포함된 소품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테리어 분석부는, 공간별로 적합한 소품의 종류와 상기 질의 이미지에 포함된 소품의 종류를 비교하여, 상기 질의 이미지에 대응하는 공간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선택한 참조 이미지에 포함된 소품 중 상기 식별된 소품과 동일한 종류의 소품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분석부는, 상기 질의 이미지에 포함된 소품의 색상을 식별하고, 상기 인테리어 분석부는, 상기 식별된 소품의 색상으로부터 상기 질의 이미지의 인테리어 스타일을 결정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결정된 종류의 공간에 대응하고, 상기 결정된 인테리어 스타일을 갖는 것으로 분류된 참조 이미지에 포함된 소품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결정된 종류의 공간에 대응하고, 상기 결정된 인테리어 스타일을 갖는 것으로 분류된 참조 이미지에 대응하는 시공 업체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인테리어 분석부는, 인테리어 스타일별로 적합한 색상과 상기 질의 이미지에 포함된 소품의 색상을 비교하여, 상기 질의 이미지의 인테리어 스타일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인테리어 스타일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결정된 종류의 공간에 대응하고, 상기 수신된 인테리어 스타일을 갖는 것으로 분류된 참조 이미지에 대응하는 시공 업체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정보 제공 장치 및 이에 의한 인테리어 정보 제공 방법은 사용자들의 주거 공간에 어울리는 인테리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정보 제공 장치 및 이에 의한 인테리어 정보 제공 방법은 사용자의 취향을 반영한 정보 제공을 통해 사용자의 소품 구매나 시공 업체 선정의 활성화를 달성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정보 제공 장치 및 이에 의한 인테리어 정보 제공 방법이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과 인테리어 정보 제공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참조 이미지에서 추출된 인테리어 관련 정보를 도시하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4는 인테리어 관련 정보에 따른 참조 이미지들의 분류 결과를 도시하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5는 질의 이미지에서 식별된 소품들의 종류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6은 질의 이미지에서 식별된 소품들의 종류에 기초하여 질의 이미지에 대응하는 공간의 종류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질의 이미지에서 식별된 소품들의 색상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8은 질의 이미지에서 식별된 색상에 기초하여 질의 이미지의 인테리어 스타일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의 (a)는 사용자 단말로 제공되는 소품 정보를 도시하는 예시적인 도면이고, 도 9의 (b)는 사용자 단말로 제공되는 시공 업체 정보를 도시하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정보 제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유닛)', '모듈' 등으로 표현되는 구성요소는 2개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요소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요소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요소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요소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을 차례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과 인테리어 정보 제공 장치(200)(이하, 정보 제공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소정 공간, 예를 들어 사용자의 주거 공간의 인테리어를 위한 질의를 정보 제공 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 정보 제공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질의를 분석하여 소정 공간에 적합한 인테리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정보 제공 장치(200)로 제공되는 질의는 이미지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및/또는 동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정보 제공 장치(200)가 사용자 단말(100)로 전달하는 인테리어 정보는 이미지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및/또는 동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제공 장치(200)가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하는 인테리어 정보는 사용자의 소정 공간에 적합한 소품에 대한 정보, 소정 공간의 인테리어 시공을 위한 시공 업체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제공 장치(200)는 소품의 정보로서, 소품의 명칭, 소품의 이미지, 소품의 가격, 소품의 판매 사이트 주소, 소품에 대한 사용자 평가 등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 장치(200)는 시공 업체 정보로서, 시공 업체의 명칭, 시공 비용, 시공 업체의 시공 실적, 시공 업체의 사이트 주소, 시공 업체에 대한 사용자 평가 등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는 정보 제공 장치(200)로부터 제공되는 인테리어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인테리어 정보를 통해 자신의 공간에 어울리는 소품이 무엇인지, 자신의 공간을 어느 업체를 통해 인테리어 시공을 해야 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을 통해 질의를 입력하는 것만으로, 자신의 주거 공간 등에 어울리는 소품에 대한 정보나 시공 업체 정보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직접 인테리어 업체들을 방문하는 등의 불편함이 감소될 수 있다.
도 1은 사용자 단말(100)로서, 스마트폰을 도시하고 있으나, 사용자 단말(100)은 스마트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사용자 단말(100)은 스마트폰, 데스크탑 PC, 태블릿 PC, 노트북, 웨어러블 기기 등 통신 및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다양한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00)에는 정보 제공 장치(200)로 질의를 제공하고, 정보 제공 장치(200)로부터 인테리어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해당 어플리케이션은 정보 제공 장치(200)나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등으로부터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되어 설치된 것일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인테리어 정보를 위한 질의를 입력할 수 있고, 정보 제공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인테리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100)과 정보 제공 장치(200)의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S210 단계에서, 정보 제공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질의 이미지에 포함된 소품의 종류를 식별한다. 여기서, 소품이란 일정 형태를 갖는 유형물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품은 식탁, 냉장고, TV, 커튼, 소파, 카페트, 매트 등 소정 공간 내에 배치될 수 있는 다양한 물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정보 제공 장치(200)는 학습 데이터들에 기초하여 훈련된 DNN(deep neural network) 기반으로 질의 이미지에 포함된 소품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다. DNN은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정보 제공 장치(200)는 DNN 기반의 이미지 분석 방법 이외에도 공지된 다양한 이미지 분석 방법을 통해 질의 이미지로부터 소품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정보 제공 장치(200)는 질의로서 텍스트 데이터 또는 동영상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텍스트 분석 또는 프레임 분석을 통해 소품의 종류를 식별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정보 제공 장치(200)는 질의 이미지로서 컬러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정보 제공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흑백 이미지가 수신된 경우, 컬러 이미지로 교체하라는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S220 단계에서, 정보 제공 장치(200)는 질의 이미지에서 식별된 소품의 종류로부터 질의 이미지에 대응하는 공간의 종류를 결정한다.
정보 제공 장치(200)는 공간별로 적합한 소품들의 종류와 질의 이미지에서 식별된 소품의 종류를 비교하여 질의 이미지가 어느 종류의 공간에 대해 촬영된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정보 제공 장치(200)는 공간별로 적합한 소품들의 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방에 적합한 소품으로서 냉장고, 식탁, 의자가 존재하고, 거실에 적합한 소품으로서 TV, 소파, 책장이 존재할 때, 정보 제공 장치(200)는 질의 이미지로부터 식탁 및 의자가 식별된 경우, 질의 이미지가 주방에 대해 촬영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S230 단계에서, 정보 제공 장치(200)는 미리 저장된 참조 이미지들 중 S220 단계에서 결정된 종류의 공간에 대응하는 것으로 분류된 참조 이미지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정보 제공 장치(200)는 질의 이미지가 주방에 대해 촬영된 것으로 결정된 경우, 참조 이미지들 중 주방으로 분류된 참조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정보 제공 장치(200)는 여러 참조 이미지들 각각이 어느 종류의 공간에 대해 촬영된 것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한다. 참조 이미지들은 소품을 판매하거나, 인테리어 시공을 하는 업체들과 관련된 이미지로서, 정보 제공 장치(200)는 쇼핑 웹사이트 등에서 참조 이미지들을 수집 및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참조 이미지들 각각은 판매(또는 대여) 중인 소품이나 시공 광고를 하는 시공 업체와 관련되어 있을 수 있다.
S240 단계에서, 정보 제공 장치(200)는 S230 단계에서 선택된 참조 이미지와 관련된 정보를 인테리어 정보로서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다.
실시예에서, 정보 제공 장치(200)는 참조 이미지에 포함된 소품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소품의 정보는 소품의 명칭, 소품의 이미지, 소품의 가격, 소품의 판매 사이트 주소, 소품에 대한 사용자 평가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제공 장치(200)는 참조 이미지에 포함된 소품 중 질의 이미지로부터 식별된 소품과 동종의 소품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는데, 이때, 정보 제공 장치(200)는 질의 이미지에서 식별된 소품을 참조 이미지에 포함된 소품으로 대체하는 방식으로 질의 이미지를 수정하고, 수정된 질의 이미지를 인테리어 정보로서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공간에 배치된 소품을 추천 소품으로 변경하였을 때 얼마나 잘 어울리는지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정보 제공 장치(200)는 질의 이미지에서 식별된 소품들 중 질의 이미지에 대응하는 공간의 종류에 적합하지 않은 소품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부적합 소품을 가리키는 정보와 함께 참조 이미지에 포함된 소품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구현예에 따라, 정보 제공 장치(200)는 질의 이미지에서 확인된 부적합 소품을 참조 이미지에 포함된 소품으로 대체하는 방식으로 질의 이미지를 수정하고, 수정된 질의 이미지를 인테리어 정보로서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질의 이미지에 대응하는 공간과 동종의 공간으로 분류된 참조 이미지들의 개수가 복수인 경우, 정보 제공 장치(200)는 질의 이미지가 촬영된 공간의 크기(예를 들어, 폭, 너비 및 높이)와 복수의 참조 이미지들이 촬영된 공간의 크기를 비교하여, 미리 결정된 크기 차이를 갖는 참조 이미지만을 선택하고, 선택된 참조 이미지에 포함된 소품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정보 제공 장치(200)는 참조 이미지에 대응하는 시공 업체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시공 업체 정보는 시공 업체의 명칭, 시공 비용, 시공 업체의 시공 실적, 시공 업체의 사이트 주소, 시공 업체에 대한 사용자 평가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제공 장치(200)는 질의 이미지를 참조 이미지와 합성하여 사용자의 공간이 시공 업체에 의해 시공된 것과 같은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고, 합성 이미지를 인테리어 정보로서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어느 하나의 이미지를 다른 이미지의 스타일에 따라 변경 또는 합성하는 기술은 이미지 처리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에 따라, 정보 제공 장치(200)는 미리 저장된 참조 이미지들 중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인테리어 정보로 활용되는 참조 이미지를 선택할 때, 공간의 종류뿐만 아니라, 인테리어 스타일을 고려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실시예에서, 정보 제공 장치(200)는 다양한 웹사이트에서 참조 이미지를 수집, 분석 및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웹사이트는 소품의 판매 사이트, 시공업체의 웹사이트, 인테리어 시공 전문 웹사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참조 이미지들 각각은 판매(또는 대여) 중인 소품, 시공 광고를 하는 시공 업체 등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제공 장치(200)는, 상기 웹사이트이 다양한 이미지를 수집한 후, 각 이미지에서 소품의 종류를 식별하고, 각 이미지의 공간의 종류를 결정하고 및/또는 각 이미지의 인테리어 스타일을 결정할 수 있다. 정보 제공 장치(200)의 이와 같은 동작은, 도 2 내지 도 9 등에서 설명되는 질의 이미지에 대한 분석과 마찬가지로 수행될 수 있다.
도 3은 참조 이미지(300)에서 추출된 인테리어 관련 정보를 도시하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정보 제공 장치(200)는 다양한 방식으로 참조 이미지들을 획득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정보 제공 장치(200)는 쇼핑 웹사이트들로부터 참조 이미지들을 획득하거나, 관리자가 입력한 참조 이미지들을 획득할 수도 있다.
정보 제공 장치(200)는 참조 이미지들로부터 인테리어 관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인테리어 관련 정보는 참조 이미지에 포함된 소품의 종류, 소품의 색상, 참조 이미지에 대응하는 공간의 종류 및 인테리어 스타일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조 이미지(300)의 인테리어 관련 정보는, 촬영된 공간의 종류가 주방이고, 인테리어 스타일은 레트로 스타일이고, 소품은 블루의 수납장, 화이트의 밥솥, 그레이의 화분 및 그레이/화이트의 매트를 포함한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앞서 질의 이미지로부터 소품의 종류를 식별하는 것과 같이, 정보 제공 장치(200)는 참조 이미지(300)를 소정의 이미지 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여 참조 이미지(300)에 포함된 소품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다. 구현예에 따라, 참조 이미지(300)에 포함된 소품의 종류가 관리자에 의해 결정된 후 정보 제공 장치(200)에 입력될 수도 있다.
참조 이미지(300)에 대응하는 공간의 종류는, 참조 이미지(300)에서 식별된 소품의 종류와 공간별로 적합한 소품들의 비교 결과로부터 결정될 수 있고, 또는 관리자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정보 제공 장치(200)는 참조 이미지(300)를 소정의 이미지 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여 참조 이미지(300)에 포함된 소품의 색상을 식별할 수도 있다. 구현예에 따라, 참조 이미지(300)에 포함된 소품의 색상이 관리자에 의해 결정된 후 정보 제공 장치(200)에 입력될 수도 있다.
정보 제공 장치(200)는 참조 이미지(300) 내 소품의 색상이 식별되면, 식별된 색상에 기반하여 인테리어 스타일을 결정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4는 인테리어 관련 정보에 따른 참조 이미지들의 분류 결과를 도시하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정보 제공 장치(200)는 참조 이미지들에 대응하는 인테리어 관련 정보가 획득되면, 각각의 참조 이미지들을 인테리어 관련 정보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제공 장치(200)는 참조 이미지들을 공간의 종류 및 인테리어 스타일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정보 제공 장치(200)는 공간 종류 및 인테리어 스타일에 따라 분류된 참조 이미지들 내에 어떠한 소품이 포함되어 있는지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구현예에 따라, 정보 제공 장치(200)는 참조 이미지들 내 각 소품의 크기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조 이미지 A 및 참조 이미지 B는 주방에 대해 촬영된 것으로서 엔틱 스타일을 갖는 것으로 분류되고, 참조 이미지 D는 거실에 대해 촬영된 것으로서 엔틱 스타일을 갖는 것으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참조 이미지 A와 참조 이미지 B는 소품으로서 냉장고, 식탁 및 조명을 포함하고, 참조 이미지 C는 소품으로서 싱크대 및 식탁을 포함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참조 이미지가 하나의 인테리어 스타일에만 대응하는 것이 아니므로, 참조 이미지 B의 경우와 같이 엔틱 스타일을 가지면서 모던 스타일을 갖는 것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질의 이미지가 주방에 대해 촬영된 경우, 정보 제공 장치(200)는 주방으로 분류된 참조 이미지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소품의 정보, 예를 들어, 냉장고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질의 이미지가 거실에 대해 촬영되었고, 질의 이미지의 인테리어 스타일이 모던 스타일인 경우, 정보 제공 장치(200)는 거실 및 모던 스타일로 분류된 참조 이미지 E에 포함된 소품의 정보, 예를 들어, 의자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질의 이미지에 대응하는 공간의 종류 및 질의 이미지의 인테리어 스타일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질의 이미지(500)에서 식별된 소품들의 종류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이고, 도 6은 질의 이미지(500)에서 식별된 소품들의 종류에 기초하여 질의 이미지(500)에 대응하는 공간의 종류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정보 제공 장치(200)는 이미지 분석 방법을 통해 질의 이미지에 포함된 소품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질의 이미지(500)에 포함된 소품으로서, 조명, 식탁, 싱크대 및 냉장고가 식별될 수 있다.
질의 이미지(500)에서 소품의 종류가 식별되면, 정보 제공 장치(200)는 공간별 적합한 소품의 종류와 질의 이미지(500) 내 소품의 종류를 비교하여 질의 이미지(500)에 대응하는 공간의 종류를 결정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제공 장치(200)는 각각의 공간별로 어느 종류의 소품들이 적합한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실의 경우, 의자, TV, 소파, 책장 등(1로 표시된 소품들)이 적합 소품이고, 샤워기, 수전, 침대 등(0으로 표시된 소품들)은 부적합 소품이다.
정보 제공 장치(200)는 질의 이미지(500)에서 식별된 소품들이 어느 종류의 공간에 적합한 것인지를 나타내는 공간 적합도를 공간별로 산출하고, 산출된 공간 적합도에 따라 질의 이미지(500)에 대응하는 공간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보 제공 장치(200)는 공간별 적합 소품들 중 질의 이미지(500)에서 식별된 소품과 동일한 소품의 개수를 공간 적합도로 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질의 이미지(500)의 거실에 대한 공간 적합도는 3점인데 반해, 주방에 대한 적합도는 5점인 것을 알 수 있다. 즉, 주방에 대한 적합도가 가장 높으므로, 정보 제공 장치(200)는 질의 이미지(500)에 대응하는 공간의 종류로서 주방을 결정할 수 있다.
도 7은 질의 이미지(500)에서 식별된 소품들의 색상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이고, 도 8은 질의 이미지(500)에서 식별된 색상에 기초하여 질의 이미지(500)의 인테리어 스타일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정보 제공 장치(200)는 이미지 분석 방법을 통해 질의 이미지에 포함된 소품의 색상을 식별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질의 이미지(500)에 포함된 소품의 색상으로서, 체리, 화이트, 브라운, 블랙, 오크가 식별될 수 있다.
질의 이미지(500)에서 소품의 색상이 식별되면, 정보 제공 장치(200)는 인테리어 스타일별로 적합한 색상의 종류와 질의 이미지(500) 내 소품의 색상을 비교하여 질의 이미지(500)에 대응하는 인테리어 스타일을 결정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제공 장치(200)는 인테리어 스타일별로 어느 색상이 적합한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엔틱 스타일의 경우에는 블랙, 그레이, 브라운, 오크, 메이플(1로 표시된 색상들)이 적합 색상이고, 레드, 옐로우, 그린, 블루 등(0으로 표시된 색상들)은 부적합 색상이다.
정보 제공 장치(200)는 질의 이미지(500)에서 식별된 소품의 색상들이 어느 종류의 인테리어 스타일에 적합한 것인지를 나타내는 스타일 적합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적합도에 따라 질의 이미지(500)에 대응하는 인테리어 스타일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보 제공 장치(200)는 인테리어 스타일별 적합 색상들 중 질의 이미지(500)에서 식별된 색상과 동일한 색상의 개수를 스타일 적합도로 산출할 수 있다. 질의 이미지(500)에서 체리, 화이트, 브라운, 블랙, 오크가 식별되었을 때, 이들의 엔틱 스타일에 대한 스타일 적합도는 3점인데 반해, 이들 색상들의 클래식 스타일에 대한 적합도는 4점인 것을 알 수 있다. 즉, 클래식 스타일에 대한 적합도가 가장 높으므로, 정보 제공 장치(200)는 질의 이미지(500)에 대응하는 인테리어 스타일로서 클래식 스타일을 결정할 수 있다.
정보 제공 장치(200)는 질의 이미지에 대응하는 인테리어 스타일이 결정되면, 동일한 스타일을 갖는 것으로 분류된 참조 이미지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만약, 질의 이미지에 대응하는 공간의 종류와 인테리어 스타일이 모두 결정되면, 동일 종류의 공간에 대응하면서 동일한 스타일을 갖는 것으로 분류된 참조 이미지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참조 이미지의 정보는 소품의 정보 및/또는 시공업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정보 제공 장치(200)는 질의 이미지에 포함된 소품 중 질의 이미지의 인테리어 스타일에 부적합한 소품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질의 이미지의 인테리어 스타일이 클래식 스타일일 때, 질의 이미지에 포함된 냉장고의 색상이 클래식 스타일에 부적합한 레드 색상인 경우, 냉장고를 부적합 상품으로 선택할 수 있다.
정보 제공 장치(200)는 참조 이미지에 포함된 소품들 중 상기 부적합한 소품과 동일 종류의 소품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질의 이미지(500) 내 소품들 중 식탁의 색상이 클래식 스타일과 어울리지 않는 경우, 정보 제공 장치(200)는 클래식 스타일의 참조 이미지에 포함된 소품들 중 식탁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정보 제공 장치(200)는 질의 이미지(500)에 포함된 식탁을 참조 이미지에 포함된 식탁으로 대체하는 방식으로 질의 이미지를 수정 또는 합성하고, 수정 또는 합성된 질의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9의 (a)는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되는 소품 정보를 도시하는 예시적인 도면이고, 도 9의 (b)는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되는 시공 업체 정보를 도시하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제공 장치(200)는 소품 정보로서, 각 소품의 명칭, 가격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정보 제공 장치(200)는 특정 소품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때, 여러 판매 웹 사이트들 중 최저가로 판매하고 있는 웹 사이트나 가장 높은 판매 횟수를 갖는 웹 사이트에 대한 링크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소품 정보가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되면, 사용자 단말(100)은 소품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특정 소품의 판매 웹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제공 장치(200)는 시공 업체 정보로서, 각 시공 업체의 명칭, 가격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시공 업체 정보가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되면, 사용자 단말(100)은 시공 업체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특정 업체의 웹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다.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장치(2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정보 제공 장치(200)는 통신부(1010), 이미지 분석부(1030) 및 인테리어 분석부(1050)를 포함한다.
통신부(1010), 이미지 분석부(1030) 및 인테리어 분석부(105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도시되지 않은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통신부(1010)는 사용자 단말(100)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01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질의를 수신하고, 인테리어 분석부(1050)로부터 도출된 인테리어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다.
이미지 분석부(103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질의 이미지를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이미지 분석부(1030)는 질의 이미지에 포함된 소품들의 종류와 색상을 식별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미지 분석부(1030)는 이미지 분석을 위한 DNN을 저장할 수 있고, DNN은 여러 학습 데이터들로부터 소품의 종류 및 색상을 식별하도록 훈련될 수 있다.
인테리어 분석부(1050)는 기 저장된 참조 이미지들과 질의 이미지에 대한 분석 결과를 비교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될 인테리어 정보를 생성한다.
인테리어 분석부(1050)는 질의 이미지에 포함된 소품들의 종류 및 색상으로부터 질의 이미지에 대응하는 공간의 종류와 인테리어 스타일을 결정하고, 참조 이미지들에 대한 분류 결과를 토대로 일부 참조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인테리어 분석부(1050)는 선택된 참조 이미지에 대응하는 인테리어 정보를 통신부(101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인테리어 정보는 참조 이미지와 관련된 소품 정보 및/또는 시공업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정보 제공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사용자가 인테리어하길 원하는 공간의 종류 및 인테리어 스타일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질의 이미지를 입력하는 대신 자신이 관심있는 공간의 종류와 인테리어 스타일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인테리어 스타일과 함께 원하는 테마 색상을 선택할 수도 있다.
정보 제공 장치(200)는 사용자가 선택한 공간과 동종이면서, 사용자가 선택한 인테리어 스타일을 갖는 것으로 분류된 참조 이미지를 선택하고, 선택된 참조 이미지에 대응하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테마 색상이 함께 입력된 경우, 정보 제공 장치(200)는 해당 테마 색상을 갖는 것으로 분류된 참조 이미지에 대응하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정보 제공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질의 이미지와 사용자가 원하는 인테리어 스타일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정보 제공 장치(200)는 질의 이미지에 대응하는 공간과 동종이면서, 사용자가 선택한 인테리어 스타일을 갖는 것으로 분류된 참조 이미지를 선택하고, 선택된 참조 이미지에 대응하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입력부(1110), 통신부(1130) 및 디스플레이(115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110)는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인스트럭션을 수신하는데 이용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110)는 터치스크린, 키보드, 마우스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신부(1130)는 정보 제공 장치(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13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질의를 정보 제공 장치(200)로 전송하고, 정보 제공 장치(200)로부터 인테리어 정보를 수신한다.
디스플레이(1150)는 정보 제공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인테리어 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 사용자가 화면에 표시된 인테리어 정보를 터치 등의 방식으로 선택한 경우, 통신부(1130)는 소품을 판매하는 웹사이트나 시공 업체의 웹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작성된 프로그램은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개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애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0: 사용자 단말 200: 인테리어 정보 제공 장치

Claims (14)

  1. 인테리어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한 인테리어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질의 이미지에 포함된 소품의 종류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소품의 종류로부터 상기 질의 이미지에 대응하는 공간의 종류를 결정하는 단계;
    기 저장된 참조 이미지들 중 상기 결정된 종류의 공간에 대응하는 것으로 분류된 참조 이미지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한 참조 이미지에 포함된 소품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질의 이미지에 포함된 소품의 색상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소품의 색상으로부터 상기 질의 이미지의 인테리어 스타일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공간의 종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질의 이미지에서 포함된 소품의 종류 중에서 각각의 공간에 대응하는 소품의 종류 및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각각의 공간에 대한 공간 적합도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각각의 공간에 대한 공간 적합도를 비교하여 상기 질의 이미지에 대응하는 공간의 종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인테리어 스타일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질의 이미지에서 포함된 소품의 색상 중에서 각각의 인테리어 스타일에 대응하는 색상 및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각각의 인테리어 스타일에 대한 스타일 적합도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각각의 인테리어 스타일에 대한 스타일 적합도를 비교하여 상기 질의 이미지에 대응하는 인테리어 스타일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테리어 정보 제공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품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한 참조 이미지에 포함된 소품 중 상기 식별된 소품과 동일한 종류의 소품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테리어 정보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품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종류의 공간에 대응하고, 상기 결정된 인테리어 스타일을 갖는 것으로 분류된 참조 이미지에 포함된 소품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테리어 정보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테리어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결정된 종류의 공간에 대응하고, 상기 결정된 인테리어 스타일을 갖는 것으로 분류된 참조 이미지에 대응하는 시공 업체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테리어 정보 제공 방법.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테리어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인테리어 스타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종류의 공간에 대응하고, 상기 수신된 인테리어 스타일을 갖는 것으로 분류된 참조 이미지에 대응하는 시공 업체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테리어 정보 제공 방법.
  8.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질의 이미지에 포함된 소품의 종류 및 색상을 식별하는 이미지 분석부;
    상기 식별된 소품의 종류로부터 상기 질의 이미지에 대응하는 공간의 종류를 결정하고, 상기 식별된 소품의 색상으로부터 상기 질의 이미지의 인테리어 스타일을 결정하며, 기 저장된 참조 이미지들 중 상기 결정된 종류의 공간에 대응하는 것으로 분류된 참조 이미지를 선택하는 인테리어 분석부; 및
    상기 선택한 참조 이미지에 포함된 소품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테리어 분석부는, 상기 질의 이미지에서 포함된 소품의 종류 중에서 각각의 공간에 대응하는 소품의 종류 및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각각의 공간에 대한 공간 적합도를 생성하고, 상기 각각의 공간에 대한 공간 적합도를 비교하여 상기 질의 이미지에 대응하는 공간의 종류를 결정하며,
    상기 인테리어 분석부는, 상기 질의 이미지에서 포함된 소품의 색상 중에서 각각의 인테리어 스타일에 대응하는 색상 및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각각의 인테리어 스타일에 대한 스타일 적합도를 생성하고, 상기 각각의 인테리어 스타일에 대한 스타일 적합도를 비교하여 상기 질의 이미지에 대응하는 인테리어 스타일을 결정하는, 인테리어 정보 제공 장치.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선택한 참조 이미지에 포함된 소품 중 상기 식별된 소품과 동일한 종류의 소품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인테리어 정보 제공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결정된 종류의 공간에 대응하고, 상기 결정된 인테리어 스타일을 갖는 것으로 분류된 참조 이미지에 포함된 소품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인테리어 정보 제공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결정된 종류의 공간에 대응하고, 상기 결정된 인테리어 스타일을 갖는 것으로 분류된 참조 이미지에 대응하는 시공 업체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인테리어 정보 제공 장치.
  13. 삭제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인테리어 스타일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결정된 종류의 공간에 대응하고, 상기 수신된 인테리어 스타일을 갖는 것으로 분류된 참조 이미지에 대응하는 시공 업체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인테리어 정보 제공 장치.
KR1020220116105A 2020-07-27 2022-09-15 인테리어 정보 제공 장치 및 이에 의한 인테리어 정보 제공 방법 KR102575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6105A KR102575025B1 (ko) 2020-07-27 2022-09-15 인테리어 정보 제공 장치 및 이에 의한 인테리어 정보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853A KR102445581B1 (ko) 2020-07-27 2020-07-27 인테리어 정보 제공 장치 및 이에 의한 인테리어 정보 제공 방법
KR1020220116105A KR102575025B1 (ko) 2020-07-27 2022-09-15 인테리어 정보 제공 장치 및 이에 의한 인테리어 정보 제공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2853A Division KR102445581B1 (ko) 2020-07-27 2020-07-27 인테리어 정보 제공 장치 및 이에 의한 인테리어 정보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8980A KR20220128980A (ko) 2022-09-22
KR102575025B1 true KR102575025B1 (ko) 2023-09-06

Family

ID=8026798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2853A KR102445581B1 (ko) 2020-07-27 2020-07-27 인테리어 정보 제공 장치 및 이에 의한 인테리어 정보 제공 방법
KR1020220116105A KR102575025B1 (ko) 2020-07-27 2022-09-15 인테리어 정보 제공 장치 및 이에 의한 인테리어 정보 제공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2853A KR102445581B1 (ko) 2020-07-27 2020-07-27 인테리어 정보 제공 장치 및 이에 의한 인테리어 정보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455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1076B1 (ko) * 2022-10-20 2024-01-03 황지혜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한 공간인식 기반 화훼상품 추천 관리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4797B1 (ko) * 2016-10-13 2024-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증강 현실을 이용한 가전 기기 배치 방법, 그를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및 서버
KR102067645B1 (ko) * 2017-10-23 2020-01-17 강명숙 맞춤형 인테리어 스타일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92914A (ko) * 2018-01-31 2019-08-08 진승혁 인테리어 자동 견적 방법 및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8980A (ko) 2022-09-22
KR20220013653A (ko) 2022-02-04
KR102445581B1 (ko) 2022-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95151A1 (en) Recommendations based on object detected in an image
US20070090185A1 (en) Device and method for shopping and data collection
CN109408954B (zh) 一种应用于电商的室内设计方法及装置
US20160063600A1 (en) Computer-implemented method of simultaneously displaying a plurality of interchangeable items for purchase
US9965800B1 (en) Display of an electronic representation of a physical object in a virtual environment
JP6771143B2 (ja) 空間プラン提案システム
US11520949B2 (en) Digital design of an area
CN105580006B (zh) 基于颜色进行识别、搜索和匹配产品的系统和方法
US1004313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ule-based content optimization
CA3043866A1 (en) Selecting products in a virtual environment
JP2023523341A (ja) 在庫およびプロファイル情報を安全管理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2575025B1 (ko) 인테리어 정보 제공 장치 및 이에 의한 인테리어 정보 제공 방법
WO201303322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recommendations
US20220148269A1 (e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US1064290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ule-based content generation
CN113988989A (zh) 一种适用于进口家具的智能推荐方法、系统及存储介质
KR20090004401A (ko) 제품 특성을 조합하여 제품 특성을 지정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4014434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ior information
US20100306114A1 (en) Household digital description definition (h3d) architecture and method
KR20230011053A (ko) 이미지 분석 기반 공간맞춤형?식물정보 제공 장치 및 이에 의한?식물,처방정보 제공 방법
US20170103436A1 (en) Coordination server, coordination system, and coordination method
WO2023182437A1 (ja) 商品評価システム、管理サーバ、ユーザ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544081B1 (ko) 인테리어 시뮬레이션 및 견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6892346B2 (ja) コンサルティング装置、情報処理装置、コンサルティング方法、プログラム
US2015031756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ent generation and optimization using probability fac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