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4867B1 - 사용자 맞춤형 폐기능 검사장치, 상기 검사장치의 구성방법, 및 상기 검사장치를 이용한 폐기능 검사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맞춤형 폐기능 검사장치, 상기 검사장치의 구성방법, 및 상기 검사장치를 이용한 폐기능 검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4867B1
KR102574867B1 KR1020210017598A KR20210017598A KR102574867B1 KR 102574867 B1 KR102574867 B1 KR 102574867B1 KR 1020210017598 A KR1020210017598 A KR 1020210017598A KR 20210017598 A KR20210017598 A KR 20210017598A KR 102574867 B1 KR102574867 B1 KR 102574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ensor
user
pressure
expiratory
expi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7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4290A (ko
Inventor
이동규
권오원
이강호
서준호
김창원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017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4867B1/ko
Publication of KR20220114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4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4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4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7Measuring breath flow
    • A61B5/0871Peak expiratory flow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91Measuring volume of inspired or expired gases, e.g. to determine lung capac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47Pressure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사용자 맞춤형 폐기능 검사장치, 상기 검사장치의 구성방법, 및 상기 검사장치를 이용한 폐기능 검사방법에서, 상기 사용자 맞춤형 폐기능 검사장치는 호기부, 퇴출부, 센서부 및 검사부를 포함한다. 상기 호기부는 내부공간을 통해 사용자의 호기가 통과한다. 상기 퇴출부는 상기 호기부의 끝단에 결합되며 상기 호기가 퇴출되는 복수의 개구부가 형성된다. 상기 센서부는 제1 호기속도 범위에서 압력을 측정하는 제1 압력센서, 및 상기 제1 호기속도 범위보다 좁은 제2 호기속도 범위에서 압력을 측정하는 제2 압력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검사부는 상기 제1 및 제2 압력센서들에서 측정되는 호기의 압력 신호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폐기능을 검사한다.

Description

사용자 맞춤형 폐기능 검사장치, 상기 검사장치의 구성방법, 및 상기 검사장치를 이용한 폐기능 검사방법{PERSONALLY CUSTOMIZED SPIROMETER, METHOD FOR CUSTOMIZING THE SPIROMETER, AND METHOD FOR TESTING LUNG FUNCTION USING THE SPIROMETER}
본 발명은 사용자 맞춤형 폐기능 검사장치, 상기 검사장치의 구성방법, 및 상기 검사장치를 이용한 폐기능 검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만성폐쇄성폐질환, 천식 등과 같은 만성호흡기 질환, 폐활량과 같은 폐기능을 신속하게 검사할 수 있으며, 사용자 맞춤형으로 구성되어 검사의 민감도와 분해능을 향상시켜 검사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용자 맞춤형 폐기능 검사장치, 상기 검사장치의 구성방법, 및 상기 검사장치를 이용한 폐기능 검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만성폐쇄성폐질환, 천식 등과 같은 만성호흡기 질환이나, 폐활량과 같은 폐기능 검사는 병원에서 수행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유속-부피 커브 방법을 사용하며, 이에 사용되는 검사장비는 상대적으로 부피가 크고 고가이어서 가정용이나 개인용으로 사용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이에, 상기 질환이나 폐기능 검사를 가정이나 개인적으로 수행하여 일상적으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수행하기 위한 휴대용 검사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휴대용 검사장치의 경우, 일반적으로 최대호기유속(peak exhaled flow rate, PEF) 검사방법이 주로 적용된다.
다만, 이러한 최대호기유속 검사방법이 적용되는 최고호기속도계의 경우, 일본국 등록특허 제5346577호 등을 통해 개시되는 바와 같이, 주로 프로펠러와 벤츄리 압력 센서를 이용한 호기 측정 방법을 적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최대호기유속 검사방법을 이용한 검사 장치에서는, 최고호기 속도(PEF) 및 0~1초 동안의 호기량(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FEV1)을 모니터링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검사하는 것으로, 검사 결과의 정확성에 있어서 한계가 분명하여, 측정의 정확성이나 민감도가 높지 않으며 특히 폐활량 검사에 대한 정확한 측정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일본국 등록특허 제5346577호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만성폐쇄성폐질환, 천식 등과 같은 만성호흡기 질환, 폐활량과 같은 폐기능을 신속하게 검사할 수 있으며, 사용자 맞춤형으로 구성되어 검사의 민감도와 분해능을 향상시켜 검사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용자 맞춤형 폐기능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검사장치의 구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검사장치를 이용한 폐기능 검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맞춤형 폐기능 검사장치는 호기부, 퇴출부, 센서부 및 검사부를 포함한다. 상기 호기부는 내부공간을 통해 사용자의 호기가 통과한다. 상기 퇴출부는 상기 호기부의 끝단에 결합되며 상기 호기가 퇴출되는 복수의 개구부가 형성된다. 상기 센서부는 제1 호기속도 범위에서 압력을 측정하는 제1 압력센서, 및 상기 제1 범위보다 좁은 제2 호기속도 범위에서 압력을 측정하는 제2 압력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검사부는 상기 제1 및 제2 압력센서들에서 측정되는 호기의 압력 신호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폐기능을 검사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퇴출부는, 상기 제1 압력센서는 상기 제1 호기속도 범위에서 호기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고, 상기 제2 압력센서는 상기 제2 호기속도 범위에서 호기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호기 배출시 부하가 발생하지 않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퇴출부에 형성되는 개구부들은, 좌우 대칭 형상을 가지며, 상하 비대칭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호기속도 범위는 0~700L/min이고, 상기 제2 호기속도 범위는 0~300L/min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검사부는, 상기 제1 압력센서의 측정결과로부터 상기 호기의 최대호기속도(peak exhaled flow rate, PEF) 및 0~1초까지의 호기량(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FEV1)을 연산하고, 상기 제1 압력센서의 측정결과 및 상기 제2 압력센서의 측정결과로부터 상기 호기의 0~6초까지의 호기량(forced expiratory volume in six second, FEV6)을 연산하는 연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맞춤형 폐기능 검사장치 구성방법에서,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받는다. 상기 사용자에 따른 호기 속도의 측정 구간을 선정한다. 퇴출부를 선정한다. 제1 호기속도 범위에서 상기 호기의 압력을 측정하도록 제1 압력센서를 선정하고, 상기 제1 호기속도 범위보다 좁은 제2 호기속도 범위에서 상기 호기의 압력을 측정하도록 제2 압력센서를 선정한다. 상기 퇴출부, 상기 제1 압력센서 및 상기 제2 압력센서의 조합으로 상기 사용자에 적합한 폐기능 검사장치를 구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퇴출부, 상기 제1 압력센서 및 상기 제2 압력센서를 선정하는 단계는, 서로 다른 개구부들을 갖는 퇴출부들 중, 임의의 퇴출부를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한 호기를 바탕으로, 상기 제1 호기속도 범위에서 상기 호기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제1 압력센서, 및 상기 제2 호기속도 범위에서 상기 호기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제2 압력센서를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호기속도 범위는 0~700L/min이고, 상기 제2 호기속도 범위는 0~300L/min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압력센서는 상기 제1 호기속도 범위에서 측정 가능한 압력의 최소값과 최대값이 검출되며, 상기 제2 압력센서는 상기 제2 호기속도 범위에서 측정 가능한 압력의 최소값과 최대값이 검출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의한 상기 사용자 맞춤형 폐기능 검사장치를 이용한 폐기능 검사방법에서, 상기 제1 압력센서 및 상기 제2 압력센서를 초기화한다. 사용자가 상기 호기부를 통해 호기를 주입한다. 상기 검사부에서 상기 제1 및 제2 압력센서들에서 측정되는 호기의 압력 신호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폐기능을 검사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폐기능을 검사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압력센서 및 상기 제2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호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압력센서의 측정결과로부터 상기 호기의 최대호기속도(peak exhaled flow rate, PEF) 및 0~1초까지의 호기량(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FEV1)을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압력센서의 측정결과 및 상기 제2 압력센서의 측정결과로부터 상기 호기의 0~6초까지의 호기량(forced expiratory volume in six second, FEV6)을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의 호기를 측정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1 압력센서 및 상기 제2 압력센서가 상기 사용자의 호기를 인식하는 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폐기능을 검사하는 단계는, 상기 6초까지의 호기량(FEV6)에 대한 상기 1초까지의 호기량(FEV1)의 비(FEV1/FEV6)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종래 최고호기 속도(PEF) 및 1초 동안의 호기량(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FEV1)만을 모니터링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검사하는 경우 그 정확도가 높지 않은 문제가 있었으나, 서로 다른 민감도를 가지는 압력센서들을 이용하여 PEF 및 FEV1은 물론, 6초까지의 호기량(FEV6)도 동시에 측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상태를 보다 높은 민감도로 정확하고 검사할 수 있다.
즉, 압력센서를 이용한 측정에 있어서는 상대적으로 민감한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 호기 속도의 전 구간에 대하여 측정이 어려운 한계가 있었으며, 상대적으로 둔감한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 호기 속도의 전 구간에 대한 측정은 가능하나 FEV1 내지 FEV6을 측정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었으나, 이를 2개의 서로 다른 민감도를 가지는 압력센서를 선택함으로써, 호기 속도의 전 구간에 대한 측정과 함께 FEV1 내지 FEV6도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압력센서는 제1 호기속도 범위에서 호기의 압력을 측정하고, 제2 압력센서는 제1 호기속도 범위보다 좁은 제2 호기속도 범위에서 보다 높은 민감도를 가지며 호기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선택되며, 이를 통해 일반적인 사용자가 가지는 호기 속도의 범위를 모두 커버하며 상기 PEF, FEV1 및 FEV6을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압력센서들의 선택과 함께, 사용자에게 최적인 퇴출부도 선택될 수 있어, 해당 사용자의 호기 속도 범위를 서로 다른 민감도를 가지며 커버할 수 있어, 해당 사용자의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다.
특히, 해당 사용자에 대한 호기 실험을 통해 다양한 압력센서들과 다양한 형상의 퇴출부들 중 최적의 제1 및 제2 압력센서들과 퇴출부를 선정하게 되므로, 최적의 사용자 맞춤형 폐기능 검사장치를 제작 또는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호기 상태에서 실제 호기 속도 및 측정되는 호기 속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맞춤형 폐기능 검사장치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2의 폐기능 검사장치를 구성하는 구성방법, 및 상기 구성된 폐기능 검사장치를 이용한 폐기능 검사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의 퇴출부 선정 단계, 및 제1 및 제2 압력센서들의 선정 단계를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선정된 퇴출부에 대하여 제1 압력센서 및 제2 압력센서를 선정하는 단계에서 도출되는 결과를 예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도 4에서, 선정된 제1 압력센서 및 제2 압력센서에 대하여 퇴출부를 선정하는 단계에서 도출되는 결과를 예시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도 4를 통해 선정된 퇴출부 및 제1 및 제2 압력센서들을 통해 호기 실험을 수행한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8은 도 3의 폐기능 검사 단계 및 검사 결과 표시 단계를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사용자에 대한 폐기능 검사를 수행하는 경우, 제1 및 제2 압력센서들을 통해 센싱되는 압력신호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도 8에서, 사용자에 대한 폐기능 검사를 수행하는 경우, 압력센서들을 통해 센싱되는 압력신호를 호기속도로 도시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호기 상태에서 실제 호기 속도 및 측정되는 호기 속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하나의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된 압력신호를 호기 속도로 환산한 결과와, 실제 호기속도를 도시한 결과를 비교해 보건대, 0초에서부터 1초까지의 호기량(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FEV1)의 경우,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가 실제 호기속도를 실질적으로 유사하게 추종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도출되는 호기 속도의 결과를 통해서도, 0초에서부터 1초까지의 호기량의 측정은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최고호기속도(peak exhaled flow rate, PEF)의 경우, 하나의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는 실제 호기속도에서와 동일하다고 할 수 있으므로, 최고호기속도 역시 하나의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측정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1초 내지 6초까지의 호기량, 즉, FEV1~FEV6의 경우를 비교해 보건대,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한 압력신호를 호기속도로 환산한 결과의 경우, 실제 사용자의 호기속도와 대비하여 측정값이 매우 작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FEV1~FEV6의 측정은 하나의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는 상대적으로 오차가 증가하여 정확하지 못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폐기능 검사에 있어서, 상기 최고호기속도 및 1초까지의 호기량 측정 결과 외에, 0초부터 6초까지의 호기량인 FEV6(forced expiratory volume in six second, FEV6)을 측정하는 것은 보다 정확한 폐활량의 검사에서 매우 중요하다.
즉, 폐활량 검사의 경우, FEV1/FEV6<73%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 천식 등과 같이 폐활량의 문제가 있음을 판정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서로 다른 호기속도 영역의 측정이 가능한 압력센서들을 이용하여 호기의 압력을 측정함으로써, 최대호기속도(PEF) 및 0초에서 1초까지의 호기량(FEV1) 외에, 0초에서 6초까지의 호기량(FEV6)도 측정이 가능한 것으로, 이하에서 본 실시에에 의한 사용자 맞춤형 폐기능 검사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맞춤형 폐기능 검사장치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사용자 맞춤형 폐기능 검사장치(이하, 폐기능 검사장치라 함)(10)는 호기부(100), 손잡이부(200), 센서부(300), 검사부(400) 및 퇴출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호기부(100)는 내부공간(101)을 형성하며, 상기 내부공간(101)으로는 인입부(102)로부터 상기 퇴출부(500) 방향으로 사용자의 호기가 유동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부(200)를 쥔 상태로, 상기 호기부(100)의 인입부(102)에 호기를 제공하며, 이에 따라 상기 호기는 화살표도 도시된 바와 같은 유동으로 상기 내부공간(101)을 통과하여 상기 퇴출부(500)를 통해 유출된다.
이 경우, 상기 내부공간(101)의 형상이나 상기 호기부(100)의 형상은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으며 특정 설계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센서부(300)는 상기 내부공간(101)을 통과하는 호기의 압력을 측정하는 것으로, 제1 압력센서(310) 및 제2 압력센서(3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압력센서(310)는 제1 호기속도 범위에서 상기 호기의 압력을 측정하며, 상기 제2 압력센서(320)는 제2 호기속도 범위에서 상기 호기의 압력을 측정한다.
이 경우, 상기 제1 호기속도 범위는 상기 제2 호기속도 범위보다 큰 것으로, 예를 들어, 상기 제1 호기속도 범위는 0~700L/min이고, 상기 제2 호기속도 범위는 0~300L/min일 수 있다.
즉, 상기 제1 압력센서(310)가 상대적으로 넓은 호기속도의 범위에 대하여 호기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2 압력센서(320)보다 덜 민감한 센서에 해당된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압력센서(320)가 상기 제1 압력센서(310)보다 상기 퇴출부(500)에 보다 근접하게 배치된다. 이는 상기 제2 압력센서(320)가 상대적으로 민감한 센서로 상대적으로 좁은 범위의 호기속도를 높은 분해능으로 측정하므로, 최소 측정 유속의 민감도를 높이기 위함이다.
상기 제1 압력센서(310) 및 상기 제2 압력센서(320)는 모두, 상기 내부공간(101)을 통과하는 호기의 압력을 센싱하는 것으로, 상기 센싱된 호기의 압력신호로부터, 후술되는 연산부(420)에서는 호기 속도값을 도출할 수 있다.
상기 검사부(400)는 상기 손잡이부(20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어부(410), 연산부(420) 및 표시부(43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410)는, 상기 제1 및 제2 압력센서들(310, 320)의 동작 등을 제어한다. 즉, 사용자가 호기를 제공하기 시작할 때, 상기 제1 및 제2 압력신호들(310, 320)을 동작시켜 상기 호기의 압력 신호를 센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연산부(420)는 상기 제1 및 제2 압력센서들(310, 320)로부터 획득되는 압력신호를 바탕으로, 폐기능의 검사를 위한 각종 정보를 연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산부(420)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압력센서들(310, 320)로부터 획득된 압력신호들로부터 호기 속도값을 도출한다. 이 경우, 특정 압력센서에서 측정되는 압력신호와 이에 대응되는 호기속도값 사이의 관계는 미리 도출될 수 있으며, 이러한 관계를 통해 상기 연산부(420)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압력센서들(310, 320)로부터 센싱되는 결과로부터 호기 속도값을 도출한다.
또한, 상기 연산부(420)에서는, 상기 제1 압력센서(310)의 측정결과로부터 도출된 호기 속도값을 바탕으로, 상기 호기의 최대호기속도(peak exhaled flow rate, PEF) 및 0초에서 1초까지의 호기량(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FEV1)을 연산한다.
또한, 상기 연산부(420)에서는, 상기 제1 압력센서(310)의 측정결과로부터 도출된 호기 속도값, 및 상기 제2 압력센서(320)의 측정결과로부터 도출된 호기 속도값을 바탕으로, 상기 호기의 0초에서 6초까지의 호기량(forced expiratory volume in six second, FEV6)을 연산한다.
즉, 상기 제2 압력센서(320)로부터 도출된 호기 속도값을 통해서는, 제1초에서 제6초까지의 호기량(FEV1~FEV6)을 연산할 수 있으므로, 이에 상기 제1 압력센서(310)를 통해 연산된 0초에서 1초까지의 호기량(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FEV1)을 합하여 상기 호기의 0초에서 6초까지의 호기량(forced expiratory volume in six second, FEV6)을 연산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연산부(420)는 상기 도출된 상기 호기의 최대호기속도(peak exhaled flow rate, PEF), 0초에서 1초까지의 호기량(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FEV1) 및 0초에서 6초까지의 호기량(forced expiratory volume in six second, FEV6)의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폐활량 검사 결과를 판단한다.
즉, 전술된 바와 같이, 폐활량 검사의 경우, FEV1/FEV6<73%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 천식 등과 같이 폐활량의 문제가 있음을 판정하므로, 상기 연산부(420)에서는 해당 사용자의 호기 측정결과, FEV1/FEV6<73%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가의 여부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폐활량 검사 결과를 판단한다.
상기 표시부(430)는 상기 연산부(420)를 통해 연산된 결과, 및 최종적으로 판단되는 사용자의 폐기능 검사 결과를 외부로 표시하며, 상기 손잡이(200)에 구비되는 별도의 표시창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퇴출부(500)는 상기 내부공간(101)을 통과한 호기가 유출되는 부분으로, 상기 호기부(100)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퇴출부(500)는 복수의 개구부들(510)이 형성되는 것으로, 호기는 상기 개구부들(510)을 통해 유출된다.
상기 개구부들(510)이 상기 퇴출부(500)에 형성되는 형상이나 배열은, 후술되는 도 5 또는 도 6을 통해 확인된다.
즉, 상기 개구부들(510)은 복수개가 상기 퇴출부(500)의 상측을 중심으로, 즉 상하 방향으로 비대칭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이와 같이, 상측에 형성됨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공간(101)을 유동하는 호기의 유동이 내부공간(101)의 하부에 위치한 제1 및 제2 압력센서들(310, 320)을 통과하며 상측으로 이동되는 유동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들(510)은, 상기 퇴출부(500) 상에 좌우 대칭 형상을 가지며 배열 및 형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내부공간(101) 상에서 유동되는 상기 호기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균일하게 호기의 유동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개구부들(510)의 개수는 가변될 수 있는데, 상기 개구부들(510)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유출부가 확장되는 것으로, 사용자는 상대적으로 약한 압력을 통해서도 호기를 배출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개구부들(510)의 개수가 감소할수록 사용자는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으로 호기를 배출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호기 배출 압력에 따라, 즉 사용자의 폐활량의 상태에 따라 상기 개구부들(510)의 개수는 적절히 선택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압력센서들(310, 320)은 상기 호기의 압력을 측정하는 것으로, 압력센서들이 측정할 수 있는 압력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호기의 압력을 측정할 수 없는데, 상기 개구부들(510)의 개수가 상대적으로 적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높은 압력으로 호기를 배출하여야 하는 경우라면, 상기 압력센서들이 측정할 수 있는 압력의 범위를 벗어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폐기능 검사장치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압력센서들(310, 320)이 측정할 수 있는 압력의 범위, 즉 호기속도의 범위를 고려하여, 상기 개구부들(510)의 개수가 선택되어야 한다.
즉, 상기 퇴출부(500)는, 상기 제1 압력센서(310)는 상기 제1 호기속도 범위에서 호기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고, 상기 제2 압력센서(320)는 상기 제2 호기속도 범위에서 호기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호기 배출시 부하가 발생하지 않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이, 상기 퇴출부(500)는 상기 제1 및 제2 압력센서들(310, 320)과 함께 해당 사용자에게 최적의 폐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최적의 폐기능 검사장치를 구성하는 구성방법, 및 이렇게 구성된 검사장치를 이용한 폐기능 검사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폐기능 검사장치를 구성하는 구성방법, 및 상기 구성된 폐기능 검사장치를 이용한 폐기능 검사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의 퇴출부 선정 단계, 및 제1 및 제2 압력센서들의 선정 단계를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선정된 퇴출부에 대하여 제1 압력센서 및 제2 압력센서를 선정하는 단계에서 도출되는 결과를 예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도 4에서, 선정된 제1 압력센서 및 제2 압력센서에 대하여 퇴출부를 선정하는 단계에서 도출되는 결과를 예시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도 4를 통해 선정된 퇴출부 및 제1 및 제2 압력센서들을 통해 호기 실험을 수행한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8은 도 3의 폐기능 검사 단계 및 검사 결과 표시 단계를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사용자에 대한 폐기능 검사를 수행하는 경우, 제1 및 제2 압력센서들을 통해 센싱되는 압력신호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도 8에서, 사용자에 대한 폐기능 검사를 수행하는 경우, 압력센서들을 통해 센싱되는 압력신호를 호기속도로 도시한 그래프이다.
우선,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폐기능 검사장치(10)를 구성하는 구성방법(단계 S100)에서는, 사용자 정보 입력부(미도시)를 통해 사용자의 정보가 입력된다(단계 S10).
사용자의 정보는 성별, 연령, 과거 또는 현재의 폐기능 이력, 질병 정보 등일 수 있으며, 이렇게 사용자 정보가 입력됨으로써, 해당 사용자의 호기 속도 등을 고려하여 후술되는 최적의 압력센서들 및 퇴출부가 선정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일반적으로 건강한 사용자로 가정하고, 상기 폐기능 검사장치(10)를 구성하는 구성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후,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바탕으로, 데이터 베이스부(미도시)를 통해 해당 사용자에게 해당되는 호기 속도 측정 구간을 선정한다(단계 S20).
상기에서 일방적으로 건강한 사용자로 가정할 때, 건강한 사용자의 경우 호기 속도 측정 구간은 0~700L/min이므로, 상기 호기속도 측정구간은 0~700L/min인 것으로 선정될 수 있다.
이 후, 상기 사용자의 호기속도 측정 구간 정보를 바탕으로, 퇴출부 선정부(미도시)를 통해 최적의 퇴출부(500)를 선정하고(단계 S30), 압력센서 선정부(미도시)를 통해 최적의 제1 및 제2 압력센서들(310, 320)을 선정한다(단계 S40).
이러한, 상기 퇴출부(500) 및 제1 및 제2 압력센서들(310, 320)의 선정단계(단계 S30 및 S40)에 대하여 도 4를 추가로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우선, 임의의 퇴출부(500)를 선정한다(단계 S31). 이 경우, 상기 퇴출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퇴출부들(501)이 선택될 수 있으나, 임의의 퇴출부(500)로서 종래의 선태 결과 등을 참조하여, 건강한 사용자에 최적이었던 퇴출부(500)를 도 5에서와 같이 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예를 들어, 개구부(510)가 7개인 퇴출부(500)가 선정된 후(단계 S31), 해당 사용자에 대하여 호기 실험을 수행한다(단계 S32).
이 경우, 사용자에 대한 호기 실험을 수행하는 것은, 사용자가 상기 폐기능 검사장치(10)에 호기를 제공하고, 제1 및 제2 압력센서들(310, 320)을 이용하여 상기 호기의 압력변화를 측정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호기 실험을 통해 최적의 제1 및 제2 압력센서들(310, 320)을 선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호기 실험을 통해, 제1 호기속도 범위의 속도 측정이 가능한 제1 압력센서(310)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단계 S41), 제2 호기속도 범위의 속도 측정이 가능한 제2 압력센서(320)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단계 S42), 상기 퇴출부(500), 및 제1 및 제2 압력센서들(310, 320)을 선정한다(단계 S43).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건강한 사용자의 경우, 0~700L/min 범위의 호기 속도가 측정되어야 하므로, 예를 들어, 제1 압력센서(310)가 0~700L/min 범위의 호기 속도를 측정할 수 있고, 제2 압력센서(320)가 0~300L/min 범위의 호기속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선정될 수 있다.
즉, 도 5에서와 같이, 다양한 압력센서들을 사용하여 상기 호기 속도 범위를 측정할 수 있는 2개의 압력센서들을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하여, 도 5를 통해 확인되는 바와 같이, 제1 압력센서(310)로 1PSI의 압력센서가 선정되면 0~700L/min 범위의 호기 속도 구간에서 압력 신호를 모두 획득할 수 있고, 제2 압력센서(320)로 0.15PSI의 압력센서가 선정되면 0~300L/min 범위의 호기 속도 구건에서 압력 신호를 모두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2개의 압력센서들을 필요한 구간에 대하여 압력 신호를 획득할 수 있도록 선정할 때까지, 상기 퇴출부(500)를 재선정 하거나(단계 S33), 상기 제1 및 제2 압력센서들(310, 320)을 선정(단계 S41 및 단계 S42)한다.
이와 달리, 특정 압력센서들을 우선 선정한 후, 최적의 퇴출부를 선정하는 단계로 수행될 수도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제1 압력센서(310)로서 1PSI의 압력센서를 선정하고, 제2 압력센서(320)로서 0.15PSI의 압력센서를 선정한 후에, 다양한 퇴출부들(501)에 대하여 사용자의 호기에 대한 압력신호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 최적의 퇴출부(501)를 선정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건강한 사용자의 경우, 0~700L/min 범위의 호기 속도가 측정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 제1 압력센서(310)가 0~700L/min 범위의 호기 속도를 측정하고, 제2 압력센서(320)가 0~300L/min 범위의 호기속도를 측정하기 위해, 7개의 개구부들(510)이 형성된 퇴출부(500)를 선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상기 퇴출부(500) 및 제1 및 제2 압력센서들(310, 320)이 해당 사용자의 호기속도 측정 구간에 부합하도록 선택되면, 사용자 맞춤형 폐기능 검사장치(10)의 구성이 종료된다(단계 S50).
그리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건강한 사용자인 경우에 대하여, 7개의 개구부들(510)이 형성되는 퇴출부(500)를 선정하고, 0~700L/min 범위인 제1 호기속도 범위에서 압력 신호를 모두 획득할 수 있는 1PSI 압력센서를 제1 압력센서(310)로 선정하고, 0~300L/min 범위인 제2 호기속도 범위에서 압력 신호를 모두 획득할 수 있는 0.15PSI 압력센서를 제2 압력센서(320)로 선정하여, 상기 사용자 맞춤형 폐기능 검사장치(10)를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사용자 맞춤형 폐기능 검사장치(10)를 이용하여 폐기능을 검사하는 폐기능 검사방법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상기 폐기능 검사방법(단계 S200)에서는, 우선, 상기 제어부(410)는 상기 제1 및 제2 압력센서부들(310, 320)을 초기화한다(단계 S60).
이 후, 사용자에 의해 상기 호기부(100)의 내부로 호기가 주입되면(단계 S70), 해당 사용자에 대한 폐기능을 검사하고(단계 S80), 상기 검사 결과는 상기 표시부(430)를 통해 외부로 표시된다(단계 S90).
이 경우, 상기 폐기능의 검사단계 및 표시단계(단계 S80 및 단계 S90)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즉,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주입되는 호기에 대하여(단계 S70), 상기 제어부(410)는 상기 제1 압력센서(310) 및 상기 제2 압력센서(320)가 호기를 인식하는 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81).
상기 호기의 인식 여부의 판단은 다양한 기준을 통해 수행될 수 있으나, 예를 들어, 상기 제1 압력센서(310) 및 상기 제2 압력센서(320)에서 압력신호(ADC)가 50 보다 큰 것으로 센싱되면, 상기 호기가 인식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후, 상기 제1 및 제2 압력센서들(310, 320)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호기를 측정한다(단계 S82).
구체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압력센서들(310, 320)을 통해서는 상기 호기에 따른 압력신호를 센싱하게 되며, 상기 연산부(420)에서는, 상기 센싱된 호기의 압력신호로부터, 호기 속도값을 도출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압력센서(310)에서 센싱되는 압력신호로부터 호기 속도값이 도출되며,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압력신호(3320)에서 센싱되는 압력신호로부터 호기 속도값이 도출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7개의 개구부를 가지는 퇴출부(500)에 대하여, 상기 제1 압력센서(310)가 1PSI이고, 상기 제2 압력센서(320)가 0.15PSI로 선정되는 경우, 상기 제1 압력센서(310)보다 상기 제2 압력센서(320)의 민감도가 높으므로, 도시된 바와 같은 압력신호 측정결과(ADC)가 도출된다.
그리하여, 상기 연산부(420)에서 상기 압력신호 측정결과를 유속신호(flow rate, L/min), 즉 호기속도 신호로 연산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호기 속도 연산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즉, 도 10을 참조하면, 7개의 개구부를 가지는 퇴출부(500)에 대하여, 상기 제1 압력센서(310, 1PSI)로부터 도출된 호기 속도의 경우, 상기 호기의 최대호기속도(peak exhaled flow rate, PEF)를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것을 확인되지만, 1초 이후에는 호기 속도가 빠르게 0에 근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제1 압력센서(310)를 통해서는, 상기 호기의 최대호기속도(peak exhaled flow rate, PEF), 및 0~1초까지의 호기량(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FEV1)을 획득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달리, 7개의 개구부를 가지는 퇴출부(500)에 대하여, 상기 제2 압력센서(320, 0.15PSI)로부터 도출된 호기 속도의 경우, 1초가 경과한 이후에도 상대적으로 높은 민감도로 호기를 측정할 수 있으며, 호기 속도가 0으로 도달하는 시간을 상대적으로 명확하게 도출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제2 압력센서(320)를 통해서는, 상기 호기의 1초부터 6초까지의 호기량(FEV1~FEV6)을 보다 효과적으로 획득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10에는 15개의 개구부를 가지는 퇴출부(500)에 대하여, 제2 압력센서(320, 0.15PSI)로부터 도출된 호기 속도에 대하여도 도시하였는데, 도 10을 통해 확인되는 바와 같이, 1초까지의 호기 속도 도출 결과에서도 노이즈가 상대적으로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1초가 경과하기 전에 이미 호기 속도가 0인 값에 도달함으로써, 1초 이후의 호기 속도 변화를 정확하게 도출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상기 연산부(420)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압력센서들(310, 320)을 통해 측정된 호기 신호를 바탕으로, 필요한 정보를 연산한다. 즉, 상기 제1 압력센서(310)의 측정결과로부터 상기 호기의 최대호기속도(peak exhaled flow rate, PEF) 및 0~1초까지의 호기량(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FEV1)을 연산하고(단계 S83), 상기 제1 압력센서(310)의 측정결과 및 상기 제2 압력센서(320)의 측정결과로부터 상기 호기의 0~6초까지의 호기량(forced expiratory volume in six second, FEV6)을 연산한다(단계 S84).
이 경우, 상기 호기의 0~6초까지의 호기량(forced expiratory volume in six second, FEV6)은 0~1초까지의 호기량(FEV1)에 1초 내지 6초까지의 호기량(FEV1~FEV6)을 합산한 것으로, 결국 상기 제1 압력센서 및 상기 제2 압력센서의 측정결과를 모두 이용하여 연산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사용자의 폐기능 상태의 판단을 위해 필요한 정보가 모두 연산되면, 상기 연산부(420)는, 상기 0~6초까지의 호기량(FEV6)에 대한 상기 0~1초까지의 호기량(FEV1)의 비(FEV1/FEV6)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한다(단계 S85).
즉, 상기 비(FEV1/FEV6)가 73% 보다 작은 경우라면, 사용자는 폐기능이 문제가 있는 것으로 비정상 상태가 상기 표시부(430)를 통해 표시되고(단계 S92), 이와 달리, 상기 비(FEV1/FEV6)가 73% 이상인 경우라면, 사용자는 폐기능이 문제가 없는 것으로 정상 상태가 상기 표시부(430)를 통해 표시된다(단계 S91).그리하여, 해당 사용자에 대한 폐기능 검사는 종료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종래 최고호기 속도(PEF) 및 0~1초 동안의 호기량(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FEV1)만을 모니터링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검사하는 경우 그 정확도가 높지 않은 문제가 있었으나, 서로 다른 민감도를 가지는 압력센서들을 이용하여 PEF 및 FEV1은 물론, 상기 호기의 0~6초까지의 호기량(forced expiratory volume in six second, FEV6)도 동시에 측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상태를 보다 높은 민감도로 정확하고 검사할 수 있다.
즉, 압력센서를 이용한 측정에 있어서는 상대적으로 민감한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 호기 속도의 전 구간에 대하여 측정이 어려운 한계가 있었으며, 상대적으로 둔감한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 호기 속도의 전 구간에 대한 측정은 가능하나 FEV1 내지 FEV6을 측정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었으나, 이를 2개의 서로 다른 민감도를 가지는 압력센서를 선택함으로써, 호기 속도의 전 구간에 대한 측정과 함께 FEV1 내지 FEV6도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압력센서는 제1 호기속도 범위에서 호기의 압력을 측정하고, 제2 압력센서는 제1 호기속도 범위보다 좁은 제2 호기속도 범위에서 보다 높은 민감도를 가지며 호기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선택되며, 이를 통해 일반적인 사용자가 가지는 호기 속도의 범위를 모두 커버하며 상기 PEF, FEV1 및 FEV6을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압력센서들의 선택과 함께, 사용자에게 최적인 퇴출부도 선택될 수 있어, 해당 사용자의 호기 속도 범위를 서로 다른 민감도를 가지며 커버할 수 있어, 해당 사용자의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다.
특히, 해당 사용자에 대한 호기 실험을 통해 다양한 압력센서들과 다양한 형상의 퇴출부들 중 최적의 제1 및 제2 압력센서들과 퇴출부를 선정하게 되므로, 최적의 사용자 맞춤형 폐기능 검사장치를 제작 또는 구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폐기능 검사장치 100 : 호기부
200 : 손잡이부 300 : 센서부
310 : 제1 압력센서 320 : 제2 압력센서
400 : 검사부 410 : 제어부
420 : 연산부 430 : 표시부
500 : 퇴출부

Claims (13)

  1. 사용자가 호기를 제공함에 따라 내부공간을 통해 사용자의 호기가 통과하는 호기부;
    상기 호기부의 끝단에 결합되며 상기 호기가 퇴출되는 복수의 개구부가 형성되는 퇴출부;
    제1 호기속도 범위에서 압력을 측정하는 제1 압력센서, 및 상기 제1 호기속도 범위보다 좁은 제2 호기속도 범위에서 압력을 측정하며, 상기 제1 압력센서보다 민감한 제2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압력센서들에서 측정되는 호기의 압력 신호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폐기능을 검사하는 검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퇴출부의 개구부들은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유동하는 호기의 유동이 상기 제1 및 제2 압력센서들을 통과하며 상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2 압력센서가 상기 제1 압력센서보다 상기 퇴출부에 보다 근접하게 배치되는 사용자 맞춤형 폐기능 검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퇴출부는,
    상기 제1 압력센서는 상기 제1 호기속도 범위에서 호기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고, 상기 제2 압력센서는 상기 제2 호기속도 범위에서 호기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호기 배출시 부하가 발생하지 않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폐기능 검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퇴출부에 형성되는 개구부들은,
    좌우 대칭 형상을 가지며, 상하 비대칭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폐기능 검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호기속도 범위는 0~700L/min이고, 상기 제2 호기속도 범위는 0~300L/m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폐기능 검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부는,
    상기 제1 압력센서의 측정결과로부터 상기 호기의 최대호기속도(peak exhaled flow rate, PEF) 및 0~1초까지의 호기량(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FEV1)을 연산하고,
    상기 제1 압력센서의 측정결과 및 상기 제2 압력센서의 측정결과로부터 상기 호기의 0~6초까지의 호기량(forced expiratory volume in six second, FEV6)을 연산하는 연산부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폐기능 검사장치.
  6. 사용자 정보 입력부에서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데이터 베이스부에서 상기 사용자에 따른 호기 속도의 측정 구간을 선정하는 단계;
    퇴출부 선정부에서 퇴출부를 선정하는 단계; 및
    압력센서 선정부에서 제1 호기속도 범위에서 상기 호기의 압력을 측정하도록 제1 압력센서를 선정하고, 상기 제1 압력센서보다 민감하며 상기 제1 호기속도 범위보다 좁은 제2 호기속도 범위에서 상기 호기의 압력을 측정하도록 제2 압력센서를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퇴출부의 개구부들은 상측에 형성되어 내부공간을 유동하는 호기의 유동이 상기 제1 및 제2 압력센서들을 통과하며 상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2 압력센서가 상기 제1 압력센서보다 상기 퇴출부에 보다 근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퇴출부, 상기 제1 압력센서 및 상기 제2 압력센서의 조합으로 상기 사용자에 적합한 폐기능 검사장치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폐기능 검사장치 구성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퇴출부, 상기 제1 압력센서 및 상기 제2 압력센서를 선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퇴출부 선정부에서 서로 다른 개구부들을 갖는 퇴출부들 중, 임의의 퇴출부를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압력센서 선정부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한 호기를 바탕으로, 상기 제1 호기속도 범위에서 상기 호기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제1 압력센서, 및 상기 제2 호기속도 범위에서 상기 호기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제2 압력센서를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폐기능 검사장치 구성방법.
  8.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호기속도 범위는 0~700L/min이고, 상기 제2 호기속도 범위는 0~300L/m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폐기능 검사장치 구성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력센서는 상기 제1 호기속도 범위에서 측정 가능한 압력의 최소값과 최대값이 검출되며,
    상기 제2 압력센서는 상기 제2 호기속도 범위에서 측정 가능한 압력의 최소값과 최대값이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폐기능 검사장치 구성방법.
  10. 제1항의 사용자 맞춤형 폐기능 검사장치를 이용한 폐기능 검사방법에서,
    상기 제1 압력센서 및 상기 제2 압력센서를 초기화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호기부를 통해 호기를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검사부에서 상기 제1 및 제2 압력센서들에서 측정되는 호기의 압력 신호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폐기능을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폐기능 검사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폐기능을 검사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압력센서 및 상기 제2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호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압력센서의 측정결과로부터 상기 호기의 최대호기속도(peak exhaled flow rate, PEF) 및 0~1초까지의 호기량(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FEV1)을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압력센서의 측정결과 및 상기 제2 압력센서의 측정결과로부터 상기 호기의 0~6초까지의 호기량(forced expiratory volume in six second, FEV6)을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능 검사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호기를 측정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1 압력센서 및 상기 제2 압력센서가 상기 사용자의 호기를 인식하는 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능 검사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폐기능을 검사하는 단계는,
    상기 6초까지의 호기량(FEV6)에 대한 상기 1초까지의 호기량(FEV1)의 비(FEV1/FEV6)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능 검사방법.
KR1020210017598A 2021-02-08 2021-02-08 사용자 맞춤형 폐기능 검사장치, 상기 검사장치의 구성방법, 및 상기 검사장치를 이용한 폐기능 검사방법 KR102574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598A KR102574867B1 (ko) 2021-02-08 2021-02-08 사용자 맞춤형 폐기능 검사장치, 상기 검사장치의 구성방법, 및 상기 검사장치를 이용한 폐기능 검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598A KR102574867B1 (ko) 2021-02-08 2021-02-08 사용자 맞춤형 폐기능 검사장치, 상기 검사장치의 구성방법, 및 상기 검사장치를 이용한 폐기능 검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4290A KR20220114290A (ko) 2022-08-17
KR102574867B1 true KR102574867B1 (ko) 2023-09-06

Family

ID=83110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7598A KR102574867B1 (ko) 2021-02-08 2021-02-08 사용자 맞춤형 폐기능 검사장치, 상기 검사장치의 구성방법, 및 상기 검사장치를 이용한 폐기능 검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486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5423B1 (ko) * 2016-11-18 2017-08-0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폐기능 검사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46577U (ko) 1976-09-27 1978-04-20
US5246010A (en) * 1990-12-11 1993-09-21 Biotrin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xhalation analysis
KR101808691B1 (ko) * 2015-06-25 2017-12-14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중환자 호흡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5423B1 (ko) * 2016-11-18 2017-08-0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폐기능 검사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4290A (ko) 202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13062B2 (en) Tilt sensor for use with proximal flow sensing device
US20180243523A1 (en) Controlling flow of exhaled breath during analysis
US20150164373A1 (en) Personal lung function monitoring device capable of exhaled breath analysis
US20190328276A1 (en) Device for Pulmonary Function Testing and Method Therefor
US20150327793A1 (en) Breath end-tidal gas monitor
JP6075972B2 (ja) 呼吸状態判定装置
US8660971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respiratory insufficiency in the breathing of a subject
JP2007530079A (ja) 鼻孔の空気流を測定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JP2014507632A (ja) 呼吸アルコール濃度を測定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6948643B2 (ja) 呼吸機能検査装置
GB2548512A (en) Safety valve leak analysis system
KR102574867B1 (ko) 사용자 맞춤형 폐기능 검사장치, 상기 검사장치의 구성방법, 및 상기 검사장치를 이용한 폐기능 검사방법
US20110098589A1 (en) Combination of inert gas rebreathing and multiple-breath wash-out techniques for determination of indices of ventilation inhomogeneity
KR102239294B1 (ko) 프로포폴 농도 측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프로포폴 농도 측정방법
KR102039982B1 (ko) 호흡 측정 장치
JP2016163659A (ja) 呼吸機能検査装置及び呼吸機能検査システム
KR20230096490A (ko) 호흡 분석 및 훈련 장치
KR102039984B1 (ko) 호흡 측정 장치
CN107095676A (zh) 肺功能仪数据处理准确性的测试方法及系统
JP7260395B2 (ja) 呼気成分検査装置
KR100263018B1 (ko) 폐활량 검사장치
KR101962723B1 (ko) 휴대용 호흡 측정기
CN109009130A (zh) 带抖动和方向检测的肺功能仪、传感器手柄及检测方法
US20130345590A1 (en) Apparatus for quantifying expiratory and inspiratory airflow
GB2622101A (en) Pitot tube for measuring high and low respiratory flow ra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