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3767B1 -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and kit for diagnosis of periodontal disease in Korean - Google Patents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and kit for diagnosis of periodontal disease in Korea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3767B1
KR102573767B1 KR1020210063096A KR20210063096A KR102573767B1 KR 102573767 B1 KR102573767 B1 KR 102573767B1 KR 1020210063096 A KR1020210063096 A KR 1020210063096A KR 20210063096 A KR20210063096 A KR 20210063096A KR 102573767 B1 KR102573767 B1 KR 102573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q
primers
primer
probe
pc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30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55631A (en
Inventor
강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힐릭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힐릭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힐릭스코
Priority to KR1020210063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3767B1/en
Priority to PCT/KR2021/013289 priority patent/WO2022244923A1/en
Publication of KR20220155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56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3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3767B1/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3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8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 C12Q1/689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for bacteria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국인의 치주질환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 방법 및 키트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피검자의 구강 유래 시료에서 액티노마이세스(Actinomyces) 속 미생물; 프레티박테리움(Fretibacterium) 속 미생물; 프레보텔라 덴탈리스(Prevotella dentalis); 타네렐라 포시티아(Tannerella forsythia); 유박테리움 노다튬(Eubacterium nodatum); 모기박테리움(Mogibacterium) 속 미생물; 포피로모나스 엔도돈탈리스(Porphyromonas endodontalis); 트레포네마(Treponema) 속 미생물; 필리팩터 알로시스(Filifactor alocis); 트레포네마 덴티콜라(Treponema denticola); 트레포네마 소크란스키이(Treponema socranskii); 유박테리움 사페눔(Eubacterium saphenum); 헤모필러스 파라인플루엔제(Haemophilus parainfluenzae); 오리박테리움(Oribacterium) 속 미생물; 포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 및 마이코플라즈마(Mycoplasma) 속 미생물;을 검출하는 한국인의 치주질환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 방법 및 상기 16가지의 미생물 검출을 위한 프라이머-프로브 세트를 포함하는 한국인의 치주질환 진단용 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정보제공 방법 및 키트는 한국인의 종합적인 구강 미생물 환경이 충분히 고려된 것으로, 이를 사용하면 한국인의 치주질환을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진단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kit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diagnosing periodontal disease in Koreans, and specifically, a microorganism of the genus Actinomyces in a sample derived from the oral cavity of a subject; Fretibacterium genus microorganisms; Prevotella dentalis ( Prevotella dentalis ); Tannerella Forsythia ( Tannerella forsythia ); Eubacterium nodatum ; Mosquitobacterium ( Mogibacterium ) Genus microorganisms; Porphyromonas endodontalis ( Porphyromonas endodontalis ); Treponema genus microorganisms; Filifactor alocis ; Treponema denticola ; Treponema socranskii ; Eubacterium saphenum ; Haemophilus parainfluenzae ; Oribacterium ( Oribacterium ) genus microorganisms; Porphyromonas gingivalis ( Porphyromonas gingivalis ); And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diagnosing periodontal disease in Koreans for detecting microorganisms of the genus Mycoplasma , and a primer for detecting the 16 microorganisms - relates to a kit for diagnosing periodontal disease in Koreans, including a probe set.
The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and kit of the present invention fully consider the comprehensive oral microbial environment of Koreans, and when used, periodontal disease of Koreans can be accurately and efficiently diagnosed.

Description

한국인의 치주질환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 방법 및 키트{Information provision method and kit for diagnosis of periodontal disease in Korean}Information provision method and kit for diagnosis of periodontal disease in Korean}

본 발명은 한국인의 치주질환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 방법 및 키트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피검자의 구강 유래 시료에서 액티노마이세스(Actinomyces) 속 미생물; 프레티박테리움(Fretibacterium) 속 미생물; 프레보텔라 덴탈리스(Prevotella dentalis); 타네렐라 포시티아(Tannerella forsythia); 유박테리움 노다튬(Eubacterium nodatum); 모기박테리움(Mogibacterium) 속 미생물; 포피로모나스 엔도돈탈리스(Porphyromonas endodontalis); 트레포네마(Treponema) 속 미생물; 필리팩터 알로시스(Filifactor alocis); 트레포네마 덴티콜라(Treponema denticola); 트레포네마 소크란스키이(Treponema socranskii); 유박테리움 사페눔(Eubacterium saphenum); 헤모필러스 파라인플루엔제(Haemophilus parainfluenzae); 오리박테리움(Oribacterium) 속 미생물; 포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 및 마이코플라즈마(Mycoplasma) 속 미생물;을 검출하는 한국인의 치주질환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 방법 및 상기 16가지의 미생물 검출을 위한 프라이머-프로브 세트를 포함하는 한국인의 치주질환 진단용 키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kit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diagnosing periodontal disease in Koreans, and specifically, a microorganism of the genus Actinomyces in a sample derived from the oral cavity of a subject; Fretibacterium genus microorganisms; Prevotella dentalis ( Prevotella dentalis ); Tannerella Forsythia ( Tannerella forsythia ); Eubacterium nodatum ; Mosquitobacterium ( Mogibacterium ) Genus microorganisms; Porphyromonas endodontalis ( Porphyromonas endodontalis ); Treponema genus microorganisms; Filifactor alocis ; Treponema denticola ; Treponema socranskii ; Eubacterium saphenum ; Haemophilus parainfluenzae ; Oribacterium ( Oribacterium ) genus microorganisms; Porphyromonas gingivalis ( Porphyromonas gingivalis ); And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diagnosing periodontal disease in Koreans for detecting microorganisms of the genus Mycoplasma , and a primer for detecting the 16 microorganisms - relates to a kit for diagnosing periodontal disease in Koreans, including a probe set.

치주질환은 구강 내에 존재하는 치주질환 원인균 및 이 세균들이 생성하는 독소들에 의해서 치주조직이 파괴되는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잇몸에 발생하는 치은염과 염증이 잇몸 뼈까지 진행되어 치아 손실을 일으킬 수 있는 치주염을 포함한다. 치주질환의 직접적 원인은 세균성 치태, 치석, 흡연 등이 있으며 간접적으로는 사회 경제 수준은 물론, 생활 습관 및 전신 건강과도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Periodontal disease is a chronic inflammatory disease in which periodontal tissue is destroyed by bacteria that cause periodontal disease in the oral cavity and toxins produced by these bacteria. include It is known that the direct cause of periodontal disease is bacterial plaque, tartar, smoking, etc., and is indirectly related to lifestyle and general health as well as socioeconomic level.

인간의 구강에는 700종 이상의 미생물이 군집을 이루고 있으며 서로 경쟁하며 항상성을 이루고 있지만 직간접적인 원인으로 인해 구강 생태계의 균형이 깨지면 치주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치주질환은 만성질환이다. 만성질환은 한 번 발병하면 완치가 힘들고 평생 관리해야 하는 특징이 있으며, 생물학적 요인, 환경적 요인, 사회경제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공통의 작용 요인 하에 질환 간 영향을 주고받기 때문에 치료를 위한 총체적 관리가 필요하다. 치주질환은 '침묵의 질병'으로써 초기에는 별다른 증세가 없고, 미미한 증세가 있어도 대수롭지 않게 지나치기 쉽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발병이 증가하며, 2019년 다빈도 상병 통계를 따르면 치은염 및 치주질환이 1위로 작년 대비 환자가 6.7% 증가하였다.More than 700 species of microorganisms form a colony in the human oral cavity, competing with each other to achieve homeostasis. Periodontal disease is a chronic disease. Chronic diseases are difficult to cure once they develop and require lifelong management, and in many cases, biological, environmental, and socioeconomic factors act in a complex way. In addition, holistic management for treatment is required because diseases are influenced by common action factors. Periodontal disease is a 'silent disease' that has no symptoms in the early stages and is easy to overlook even if there are minor symptoms. As age increases, the incidence increases, and according to the statistics of frequent diseases in 2019, gingivitis and periodontal disease ranked first, with a 6.7% increase in patients compared to last year.

여러 연구에서 치주질환 발생 빈도와 진행 정도에 민족적 차이가 존재하며 치주염에 대한 민족적 특성에 따라 치주질환 원인균의 차이와 특정 치주질환 원인균에 대한 숙주 반응 정도의 차이에 기인한다고 보고되었다. 그러므로 특정 국가 및 민족에 존재하는 치주질환 원인균의 분포를 분석하는 것은 치주질환의 발생빈도를 예견하고 최적의 치료계획을 세우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Several studies have reported that there are ethnic differences in the incidence and progression of periodontal disease, and that this is due to differences in the causative bacteria of periodontitis and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host response to specific periodontal disease causative bacteria according to ethnic characteristics of periodontitis. Therefore, analyzing the distribution of periodontal disease causative bacteria in a specific country or ethnic group can help predict the frequency of periodontal disease and establish an optimal treatment plan.

현재 국내에서 치주질환 진단을 위해 치주염의 주요 원인균으로 알려진 예를 들어 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를 포함하는 몇몇 미생물을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Real-time PCR)을 사용하여 정성 및 정량 분석하는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러한 서비스나 관련 제품들 대부분이 국가 및 민족에 따른 관련성이 고려되지 않은 것이고, 종합적인 구강 미생물 환경이 고려되지 않은 것이다.Currently, for the diagnosis of periodontal disease in Korea,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 Real-time PCR ) are being used for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but most of these services or related products do not consider the relevance according to countries and ethnicities, and the comprehensive oral microbial environment is not considered.

이에 본 발명자는 한국인의 종합적인 구강 미생물 환경이 충분히 고려되어 한국인의 치주질환을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진단하거나 진단에 이용할 수 있는 방법 및 관련 제품을 개발하고자 하였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s have attempted to develop a method and related products that can more accurately and efficiently diagnose or use periodontal disease in Koreans by sufficiently considering the comprehensive oral microbial environment of Koreans.

김선미, et al. "Real-time PCR 을 이용한 치주질환 원인균의 정량적 분석." 대한소아치과학회지 35.3 (2008): 494-503.Seonmi Kim, et al. "Quantitative analysis of periodontal disease causative bacteria using real-time PCR." Korean Journal of Pediatric Dentistry 35.3 (2008): 494-503. 경희의학:제32 권 제 1회, J Kyung Hee Univ Med Cent : Vol. 32, No. 1, 2017.Kyung Hee Medicine: Vol. 32 Vol. 1, J Kyung Hee Univ Med Cent: Vol. 32, no. 1, 2017. Yun, Jeong-Ho, et al, 2008, The Korean Academy Of Periodontology, 143-152.Yun, Jeong-Ho, et al, 2008, The Korean Academy Of Periodontology, 143-152. J Clin Periodontol. 2000 Sep;27(9):648-57.J Clin Periodontol. 2000 Sep;27(9):648-57. Pereira JV, Leomil L, Rodrigues-Albuquerque F, Pereira JO, Brazilian dental journal. 2012;23(4):409-16.Pereira JV, Leomil L, Rodrigues-Albuquerque F, Pereira JO, Brazilian dental journal. 2012;23(4):409-16. Van Hoogmoed CG, Geertsema-Doornbusch GI, Teughels W, Quirynen M, Busscher HJ, Van der Mei HC. Oral Microbiol Immun. 2008;23(1):43-8.Van Hoogmoed CG, Geertsema-Doornbusch GI, Teughels W, Quirynen M, Busscher HJ, Van der Mei HC. Oral Microbiol Immun. 2008;23(1):43-8. Khemwong T, Kobayashi H, Ikeda Y, Matsuura T, Sudo T, Kano C, et al. Plos One. 2019;14(6).Khemwong T, Kobayashi H, Ikeda Y, Matsuura T, Sudo T, Kano C, et al. Plos one. 2019;14(6). Casarin RC, Saito D, Santos VR, Pimentel SP, Duarte PM, Casati MZ, et al. Brazilian journal of microbiology. 2012;43(3):931-7.Casarin RC, Saito D, Santos VR, Pimentel SP, Duarte PM, Casati MZ, et al. Brazilian journal of microbiology. 2012;43(3):931-7. Zhou X, Li Y. Atlas of oral microbiology: From healthy microflora to disease: Academic press; 2015.Zhou X, Li Y. Atlas of oral microbiology: From healthy microflora to disease: Academic press; 2015. Kwek, H. S. N., M. Wilson, and H. N. Newman Journal of clinical periodontology 17.2 (1990): 119-122.Kwek, H. S. N., M. Wilson, and H. N. Newman Journal of clinical periodontology 17.2 (1990): 119-122. Hiranmayi KV, Sirisha K, Ramoji Rao MV, Sudhakar P. Journal of pharmacy & bioallied sciences. 2017;9(3):155-63.Hiranmayi KV, Sirisha K, Ramoji Rao MV, Sudhakar P. Journal of pharmacy & bioallied sciences. 2017;9(3):155-63. 대한치주과학회지 2008;38:543-550.Korean Journal of Periodontal Science 2008;38:543-550. Lee M-Y, Kwon E-Y, Kim H-J, Lee J-Y, Joo J-Y. Journal of Dental Rehabilitation and Applied Science. 2018;34(3):186-95.Lee M-Y, Kwon E-Y, Kim H-J, Lee J-Y, Joo J-Y. Journal of Dental Rehabilitation and Applied Science. 2018;34(3):186-95. J Periodontol. 2001 Oct;72(10):1354-63.J Periodontol. 2001 Oct; 72(10):1354-63. Marchesan J, Jiao Y, Schaff RA, Hao J, Morelli T, Kinney JS, et al. Molecular oral microbiology. 2016;31(3):243-58.Marchesan J, Jiao Y, Schaff RA, Hao J, Morelli T, Kinney JS, et al. Molecular oral microbiology. 2016;31(3):243-58. Jia, Lu, et al. (2019) Frontiers in cellular and infection microbiology 9.Jia, Lu, et al. (2019) Frontiers in cellular and infection microbiology 9.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한국인의 종합적인 구강 미생물 환경이 충분히 고려되어 한국인의 치주질환을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진단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정보제공 방법 및 키트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kit that can be used to more accurately and efficiently diagnose periodontal disease in Koreans by fully considering the comprehensive oral microbial environment of Koreans.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피검자의 구강 유래 시료에서, 서열번호 1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2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35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로 검출되는 액티노마이세스(Actinomyces) 속 미생물; 서열번호 3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4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36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로 검출되는 프레티박테리움(Fretibacterium) 속 미생물; 프레보텔라 덴탈리스(Prevotella dentalis); 타네렐라 포시티아(Tannerella forsythia); 유박테리움 노다튬(Eubacterium nodatum); 서열번호 11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12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0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로 검출되는 모기박테리움(Mogibacterium) 속 미생물; 포피로모나스 엔도돈탈리스(Porphyromonas endodontalis); 서열번호 15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16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2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로 검출되는 트레포네마(Treponema) 속 미생물; 필리팩터 알로시스(Filifactor alocis); 트레포네마 덴티콜라(Treponema denticola); 트레포네마 소크란스키이(Treponema socranskii); 유박테리움 사페눔(Eubacterium saphenum); 헤모필러스 파라인플루엔제(Haemophilus parainfluenzae); 서열번호 27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28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8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로 검출되는 오리박테리움(Oribacterium) 속 미생물; 포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 및 서열번호 31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32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50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로 검출되는 마이코플라즈마(Mycoplasma) 속 미생물;을 검출하는 한국인의 치주질환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imer of SEQ ID NO: 1, a primer of SEQ ID NO: 2, and a probe of SEQ ID NO: 35 in a sample derived from the oral cavity of the subject, detected by PCR using Actinomyces ( Actinomyces ) microorganisms ; A microorganism of the genus Fretibacterium detected by PCR u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3, the primers of SEQ ID NO: 4, and the probe of SEQ ID NO: 36; Prevotella dentalis ( Prevotella dentalis ); Tannerella Forsythia ( Tannerella forsythia ); Eubacterium nodatum ; A microorganism of the genus Mogibacterium detected by PCR using the primer of SEQ ID NO: 11, the primer of SEQ ID NO: 12, and the probe of SEQ ID NO: 40; Porphyromonas endodontalis ( Porphyromonas endodontalis ); A microorganism of the genus Treponema detected by PCR u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15, the primers of SEQ ID NO: 16, and the probe of SEQ ID NO: 42; Filifactor alocis ; Treponema denticola ; Treponema socranskii ; Eubacterium saphenum ; Haemophilus parainfluenzae ; A microorganism of the genus Oribacterium detected by PCR u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27, the primers of SEQ ID NO: 28, and the probe of SEQ ID NO: 48; Porphyromonas gingivalis ( Porphyromonas gingivalis ); And a primer of SEQ ID NO: 31, a primer of SEQ ID NO: 32, and a microorganism of the genus Mycoplasma detected by PCR using a probe of SEQ ID NO: 50; provides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diagnosing periodontal disease in Koreans.

본 발명의 정보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열번호 1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2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35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로 검출되는 액티노마이세스 속 미생물의 검출을 위해 서열번호 1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2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35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 상기 서열번호 3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4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36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로 검출되는 프레티박테리움 속 미생물의 검출을 위해 서열번호 3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4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36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 상기 프레보텔라 덴탈리스의 검출을 위해 서열번호 5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6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37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 상기 타네렐라 포시티아의 검출을 위해 서열번호 7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8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38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 상기 유박테리움 노다튬의 검출을 위해 서열번호 9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10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39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 상기 서열번호 11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12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0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로 검출되는 모기박테리움 속 미생물의 검출을 위해 서열번호 11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12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0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 상기 포피로모나스 엔도돈탈리스의 검출을 위해 서열번호 13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14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1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 상기 서열번호 15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16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2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로 검출되는 트레포네마 속 미생물의 검출을 위해 서열번호 15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16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2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 상기 필리팩터 알로시스의 검출을 위해 서열번호 17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18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3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 상기 트레포네마 덴티콜라의 검출을 위해 서열번호 19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20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4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 상기 트레포네마 소크란스키이의 검출을 위해 서열번호 21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22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5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 상기 유박테리움 사페눔의 검출을 위해 서열번호 23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24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6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 상기 헤모필러스 파라인플루엔제의 검출을 위해 서열번호 25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26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7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 상기 서열번호 27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28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8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로 검출되는 오리박테리움 속 미생물의 검출을 위해 서열번호 27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28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8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 상기 포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의 검출을 위해 서열번호 29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30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9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 상기 서열번호 31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32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50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로 검출되는 마이코플라즈마 속 미생물의 검출을 위해 서열번호 31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32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50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mers of SEQ ID NO: 1, the sequences of SEQ ID NO: 1 for the detection of microorganisms of the genus Actinomyces detected by PCR u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1, the primers of SEQ ID NO: 2, and the probe of SEQ ID NO: 35 PCR using the primer of SEQ ID NO: 2 and the probe of SEQ ID NO: 35; The primers of SEQ ID NO: 3, the primers of SEQ ID NO: 4, and the primers of SEQ ID NO: 4 and SEQ ID NO: 36 for detection of microorganisms of the genus Pretibacterium detected by PCR u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3, the primers of SEQ ID NO: 4, and the probe of SEQ ID NO: 36 PCR using probes; PCR u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5, the primers of SEQ ID NO: 6, and the probe of SEQ ID NO: 37 for detection of the Prevotella dentalis; PCR u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7, the primers of SEQ ID NO: 8, and the probe of SEQ ID NO: 38 for the detection of the Tanerella forsythia; PCR u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9, the primers of SEQ ID NO: 10, and the probe of SEQ ID NO: 39 for detection of the Eubacterium nodatum; The primer of SEQ ID NO: 11, the primer of SEQ ID NO: 12, and the probe of SEQ ID NO: 40 are used to detect microorganisms of the genus Mosquitobacterium detected by PCR using the primer of SEQ ID NO: 11, the primer of SEQ ID NO: 12, and the probe of SEQ ID NO: 40 PCR using; PCR u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13, the primers of SEQ ID NO: 14, and the probe of SEQ ID NO: 41 for detection of the Porphyromonas endodonthalis; Primers of SEQ ID NO: 15, primers of SEQ ID NO: 16, and probes of SEQ ID NO: 42 for detection of microorganisms of the genus Treponema detected by PCR u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15, the primers of SEQ ID NO: 16, and the probe of SEQ ID NO: 42 PCR using; PCR u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17, the primers of SEQ ID NO: 18, and the probe of SEQ ID NO: 43 for detection of the Philifactor allosis; PCR u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19, the primers of SEQ ID NO: 20, and the probe of SEQ ID NO: 44 for detection of the Treponema denticola; PCR u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21, the primers of SEQ ID NO: 22, and the probe of SEQ ID NO: 45 for detection of the Treponema sokranskii; PCR u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23, the primers of SEQ ID NO: 24, and the probe of SEQ ID NO: 46 for detection of the Eubacterium sapenum; PCR u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25, the primers of SEQ ID NO: 26, and the probe of SEQ ID NO: 47 for detection of the Haemophilus parainfluenza; The primers of SEQ ID NO: 27, the primers of SEQ ID NO: 28, and the probes of SEQ ID NO: 28 and the probes of SEQ ID NO: 28 for detection of microorganisms of the genus Orybacterium detected by PCR u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27, the primers of SEQ ID NO: 28, and the probe of SEQ ID NO: 48 PCR using; PCR u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29, the primers of SEQ ID NO: 30, and the probe of SEQ ID NO: 49 for detection of the Porphyromonas gingivalis; The primer of SEQ ID NO: 31, the primer of SEQ ID NO: 32, and the probe of SEQ ID NO: 50 were used to detect the microorganisms of the genus Mycoplasma detected by PCR using the primer of SEQ ID NO: 31, the primer of SEQ ID NO: 32, and the probe of SEQ ID NO: 50. It is preferable to perform PCR;

본 발명의 정보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열번호 1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2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35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로 검출되는 액티노마이세스 속 미생물의 검출을 위한 PCR; 상기 서열번호 3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4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36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로 검출되는 프레티박테리움 속 미생물의 검출을 위한 PCR; 상기 프레보텔라 덴탈리스의 검출을 위한 PCR; 및 상기 타네렐라 포시티아의 검출을 위한 PCR;을 하나의 반응액 내에서 수행하고, 상기 유박테리움 노다튬의 검출을 위한 PCR; 상기 서열번호 11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12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0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로 검출되는 모기박테리움 속 미생물의 검출을 위한 PCR; 상기 포피로모나스 엔도돈탈리스의 검출을 위한 PCR; 및 상기 서열번호 15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16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2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로 검출되는 트레포네마 속 미생물의 검출을 위한 PCR;을 하나의 반응액 내에서 수행하고, 상기 필리팩터 알로시스의 검출을 위한 PCR; 상기 트레포네마 덴티콜라의 검출을 위한 PCR; 및 상기 트레포네마 소크란스키이의 검출을 위한 PCR;을 하나의 반응액 내에서 수행하고, 상기 유박테리움 사페눔의 검출을 위한 PCR; 상기 헤모필러스 파라인플루엔제의 검출을 위한 PCR; 상기 서열번호 27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28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8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로 검출되는 오리박테리움 속 미생물의 검출을 위한 PCR; 및 상기 포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의 검출을 위한 PCR;을 하나의 반응액 내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PCR for detecting microorganisms of the genus Actinomyces detected by PCR u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1, the primers of SEQ ID NO: 2, and the probe of SEQ ID NO: 35; PCR for detecting microorganisms of the genus Pretibacterium detected by PCR u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3, the primers of SEQ ID NO: 4, and the probe of SEQ ID NO: 36; PCR for detection of the Prevotella dentalis; and PCR for detecting the Tanerella fossitia; performed in one reaction solution, and PCR for detecting the Eubacterium nodatum; PCR for detecting microorganisms of the genus Mosquitobacterium detected by PCR u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11, the primers of SEQ ID NO: 12, and the probe of SEQ ID NO: 40; PCR for detection of the Porphyromonas endodonthalis; and PCR for detecting microorganisms of the genus Treponema detected by PCR u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15, the primers of SEQ ID NO: 16, and the probe of SEQ ID NO: 42; carried out in one reaction solution, and the Philifactor allo PCR for detection of cis; PCR for detection of the Treponema denticola; and PCR for detection of Treponema sokranskii; performed in one reaction solution, and PCR for detection of Eubacterium sapenum; PCR for detection of the Haemophilus parainfluenza; PCR for detecting microorganisms of the genus Oribacterium detected by PCR u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27, the primers of SEQ ID NO: 28, and the probe of SEQ ID NO: 48; And PCR for the detection of Porphyromonas gingivalis; is preferably carried out in one reaction solution.

본 발명의 정보제공 방법에 있어서, 그람 양성 미생물의 검출을 위해 서열번호 33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34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51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 및 그람 음성 미생물의 검출을 위해 서열번호 33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34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52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을 더 수행하며, 상기 서열번호 31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32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50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로 검출되는 마이코플라즈마 속 미생물의 검출을 위한 PCR; 상기 그람 양성 미생물의 검출을 위한 PCR; 및 상기 그람 음성 미생물의 검출을 위한 PCR;을 하나의 반응액 내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PCR u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33, the primers of SEQ ID NO: 34, and the probe of SEQ ID NO: 51 for detection of Gram-positive microorganisms; And PCR using the primer of SEQ ID NO: 33, the primer of SEQ ID NO: 34, and the probe of SEQ ID NO: 52 for detection of Gram-negative microorganisms; PCR for detecting microorganisms of the genus Mycoplasma detected by PCR using a probe of; PCR for detection of the Gram-positive microorganism; And PCR for detection of the gram-negative microorganisms; it is preferable to perform in one reaction solution.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2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35의 프로브를 포함하는 제1프라이머-프로브 세트; 서열번호 3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4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36의 프로브를 포함하는 제2프라이머-프로브 세트; 서열번호 5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6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37의 프로브를 포함하는 제3프라이머-프로브 세트; 서열번호 7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8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38의 프로브를 포함하는 제4프라이머-프로브 세트; 서열번호 9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10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39의 프로브를 포함하는 제5프라이머-프로브 세트; 서열번호 11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12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0의 프로브를 포함하는 제6프라이머-프로브 세트; 서열번호 13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14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1의 프로브를 포함하는 제7프라이머-프로브 세트; 서열번호 15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16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2의 프로브를 포함하는 제8프라이머-프로브 세트; 서열번호 17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18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3의 프로브를 포함하는 제9프라이머-프로브 세트; 서열번호 19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20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4의 프로브를 포함하는 제10프라이머-프로브 세트; 서열번호 21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22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5의 프로브를 포함하는 제11프라이머-프로브 세트; 서열번호 23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24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6의 프로브를 포함하는 제12프라이머-프로브 세트; 서열번호 25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26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7의 프로브를 포함하는 제13프라이머-프로브 세트; 서열번호 27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28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8의 프로브를 포함하는 제14프라이머-프로브 세트; 서열번호 29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30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9의 프로브를 포함하는 제15프라이머-프로브 세트; 및 서열번호 31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32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50의 프로브를 포함하는 제16프라이머-프로브 세트;를 포함하는 한국인의 치주질환 진단용 PCR 키트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primer-probe set including a primer of SEQ ID NO: 1, a primer of SEQ ID NO: 2, and a probe of SEQ ID NO: 35; a second primer-probe set compri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3, the primers of SEQ ID NO: 4, and the probe of SEQ ID NO: 36; a third primer-probe set compri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5, the primers of SEQ ID NO: 6, and the probe of SEQ ID NO: 37; a fourth primer-probe set compri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7, the primers of SEQ ID NO: 8, and the probe of SEQ ID NO: 38; a fifth primer-probe set including the primer of SEQ ID NO: 9, the primer of SEQ ID NO: 10, and the probe of SEQ ID NO: 39; a sixth primer-probe set compri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11, the primers of SEQ ID NO: 12, and the probe of SEQ ID NO: 40; a seventh primer-probe set compri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13, the primers of SEQ ID NO: 14, and the probe of SEQ ID NO: 41; an eighth primer-probe set compri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15, the primers of SEQ ID NO: 16, and the probe of SEQ ID NO: 42; a ninth primer-probe set compri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17, the primers of SEQ ID NO: 18, and the probe of SEQ ID NO: 43; a 10th primer-probe set comprising the primer of SEQ ID NO: 19, the primer of SEQ ID NO: 20, and the probe of SEQ ID NO: 44; an 11th primer-probe set comprising the primer of SEQ ID NO: 21, the primer of SEQ ID NO: 22, and the probe of SEQ ID NO: 45; a twelfth primer-probe set compri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23, the primers of SEQ ID NO: 24, and the probe of SEQ ID NO: 46; a thirteenth primer-probe set compri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25, the primers of SEQ ID NO: 26, and the probe of SEQ ID NO: 47; a 14th primer-probe set comprising the primer of SEQ ID NO: 27, the primer of SEQ ID NO: 28, and the probe of SEQ ID NO: 48; a 15th primer-probe set comprising the primer of SEQ ID NO: 29, the primer of SEQ ID NO: 30, and the probe of SEQ ID NO: 49; and a 16th primer-probe set comprising the primer of SEQ ID NO: 31, the primer of SEQ ID NO: 32, and the probe of SEQ ID NO: 50; a PCR kit for diagnosing periodontal disease in Koreans is provided.

본 발명의 키트에 있어서, 상기 제1프라이머-프로브 세트, 제2프라이머-프로브 세트, 제3프라이머-프로브 세트 및 제4프라이머-프로브 세트를 하나의 조성물로 포함하고, 상기 제5프라이머-프로브 세트, 제6프라이머-프로브 세트, 제7프라이머-프로브 세트 및 제8프라이머-프로브 세트를 하나의 조성물로 포함하고, 상기 제9프라이머-프로브 세트, 제10프라이머-프로브 세트 및 제11프라이머-프로브 세트를 하나의 조성물로 포함하고, 상기 제12프라이머-프로브 세트, 제13프라이머-프로브 세트, 제14프라이머-프로브 세트 및 제15프라이머-프로브 세트를 하나의 조성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k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rimer-probe set, the second primer-probe set, the third primer-probe set, and the fourth primer-probe set are included in one composition, and the fifth primer-probe set , The 6th primer-probe set, the 7th primer-probe set and the 8th primer-probe set are included in one composition, the 9th primer-probe set, the 10th primer-probe set and the 11th primer-probe set in one composition, and the twelfth primer-probe set, the 13th primer-probe set, the 14th primer-probe set, and the 15th primer-probe set are preferably included in one composition.

본 발명의 키트에 있어서, 서열번호 33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34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51의 프로브 및 서열번호 52의 프로브를 포함하는 제17프라이머-프로브 세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6프라이머-프로브 세트 및 제17프라이머-프로브 세트를 하나의 조성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ki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17th primer-probe set including the primer of SEQ ID NO: 33, the primer of SEQ ID NO: 34, the probe of SEQ ID NO: 51, and the probe of SEQ ID NO: 52, wherein the 16th primer- It is preferable to include the probe set and the 17th primer-probe set in one composition.

본 발명의 정보제공 방법 및 키트는 한국인의 종합적인 구강 미생물 환경이 충분히 고려된 것으로, 이를 사용하면 한국인의 치주질환을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진단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and kit of the present invention fully consider the comprehensive oral microbial environment of Koreans, and when used, periodontal disease of Koreans can be accurately and efficiently diagnosed.

도 1은 각 표적 미생물에 대한 16종의 플라스미드 DNA 모두(Total bacteria 제외)를 주형으로 하여 본 발명의 각 프라이머 및 프로브로 단일 실시간 PCR을 수행한 결과이다. M: 크기 마커, Pd: 프레보텔라 덴탈리스, Tf: 타네렐라 포시티아, En: 유박테리움 노다튬, Pe: 포피로모나스 엔도돈탈리스, Fa: 필리팩터 알로시스, Td: 트레포네마 덴티콜라, Ts: 트레포네마 소크란스키이, Es: 유박테리움 사페눔, Hp: 헤모필러스 파라인플루엔제, Pg: 포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
도 2 내지 17은 본 발명의 각 프라이머-프로브 및 해당 표적 미생물에 대한 플라스미드 DNA를 사용하여 단일 실시간 PCR을 수행한 결과이다. 도 2부터 도 17까지 순서대로, 포피로모나스 엔도돈탈리스, 트레포네마 소크란스키이, 프레보텔라 덴탈리스, 유박테리움 사페눔, 트레포네마 덴티콜라, 유박테리움 노다튬, 타네렐라 포시티아, 필리팩터 알로시스, 포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 트레포네마 속 미생물, 마이코플라즈마 속 미생물, 프레티박테리움 속 미생물, 모기박테리움 속 미생물, 헤모필러스 파라인플루엔제, 액티노마이세스 속 미생물, 오리박테리움 속 미생물에 대한 결과이다.
도 18 내지 22는 본 발명의 각 프라이머-프로브 및 해당 표적 미생물에 대한 플라스미드 DNA를 사용하여 표 4의 각 세트로 다중 실시간 PCR을 수행한 결과이다. Pd: 프레보텔라 덴탈리스, Tf: 타네렐라 포시티아, En: 유박테리움 노다튬, Pe: 포피로모나스 엔도돈탈리스, Fa: 필리팩터 알로시스, Td: 트레포네마 덴티콜라, Ts: 트레포네마 소크란스키이, Es: 유박테리움 사페눔, Hp: 헤모필러스 파라인플루엔제, Pg: 포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
Figure 1 shows the results of performing a single real-time PCR with each of the primers and probes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ll 16 plasmid DNAs (excluding total bacteria) for each target microorganism as a template. M: Size Marker, Pd: Prevotella Dentalis, Tf: Tanerella Forsythia, En: Eubacterium Nodatum, Pe: Porphyromonas Endodonthalis, Fa: Philifactor Allosis, Td: Treponema Denti Cola, Ts: Treponema sokranskii, Es: Eubacterium sapenum, Hp: Haemophilus parainfluenza, Pg: Porphyromonas gingivalis.
2 to 17 are results of single real-time PCR using each primer-prob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plasmid DNA for the corresponding target microorganism. In order from FIGS. 2 to 17, Porphyromonas Endodonthalis, Treponema sokranskii, Prevotella dentalis, Eubacterium sapenum, Treponema denticola, Eubacterium nodatium, Tanerella posi Tia, Philifactor alosis, Porphyromonas gingivalis, microorganisms of the genus Treponema, microorganisms of the genus Mycoplasma, microorganisms of the genus Pretibacterium, microorganisms of the genus Mosquitobacterium, Haemophilus parainfluenza, Actinomyces These are the results for microorganisms in the genus Orybacterium genus.
18 to 22 are the results of performing multiplex real-time PCR with each set of Table 4 using each primer-prob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plasmid DNA for the corresponding target microorganism. Pd: Prevotella dentalis, Tf: Tanerella fosythia, En: Eubacterium nodatium, Pe: Porphyromonas endodontalis, Fa: Philifactor alosis, Td: Treponema denticola, Ts: Tre Ponema Sokranskii, Es: Eubacterium sapenum, Hp: Haemophilus parainfluenza, Pg: Porphyromonas gingivalis.

본 발명의 한국인의 치주질환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 방법은 피검자의 구강 유래 시료에서, 서열번호 1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2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35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로 검출되는 액티노마이세스(Actinomyces) 속 미생물; 서열번호 3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4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36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로 검출되는 프레티박테리움(Fretibacterium) 속 미생물; 프레보텔라 덴탈리스(Prevotella dentalis); 타네렐라 포시티아(Tannerella forsythia); 유박테리움 노다튬(Eubacterium nodatum); 서열번호 11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12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0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로 검출되는 모기박테리움(Mogibacterium) 속 미생물; 포피로모나스 엔도돈탈리스(Porphyromonas endodontalis); 서열번호 15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16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2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로 검출되는 트레포네마(Treponema) 속 미생물; 필리팩터 알로시스(Filifactor alocis); 트레포네마 덴티콜라(Treponema denticola); 트레포네마 소크란스키이(Treponema socranskii); 유박테리움 사페눔(Eubacterium saphenum); 헤모필러스 파라인플루엔제(Haemophilus parainfluenzae); 서열번호 27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28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8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로 검출되는 오리박테리움(Oribacterium) 속 미생물; 포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 및 서열번호 31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32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50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로 검출되는 마이코플라즈마(Mycoplasma) 속 미생물;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diagnosing periodontal disease in Kor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detecting Actinomyces ( Actinomyces ) genus microorganism; A microorganism of the genus Fretibacterium detected by PCR u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3, the primers of SEQ ID NO: 4, and the probe of SEQ ID NO: 36; Prevotella dentalis ( Prevotella dentalis ); Tannerella Forsythia ( Tannerella forsythia ); Eubacterium nodatum ; A microorganism of the genus Mogibacterium detected by PCR using the primer of SEQ ID NO: 11, the primer of SEQ ID NO: 12, and the probe of SEQ ID NO: 40; Porphyromonas endodontalis ( Porphyromonas endodontalis ); A microorganism of the genus Treponema detected by PCR u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15, the primers of SEQ ID NO: 16, and the probe of SEQ ID NO: 42; Filifactor alocis ; Treponema denticola ; Treponema socranskii ; Eubacterium saphenum ; Haemophilus parainfluenzae ; A microorganism of the genus Oribacterium detected by PCR u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27, the primers of SEQ ID NO: 28, and the probe of SEQ ID NO: 48; Porphyromonas gingivalis ( Porphyromonas gingivalis ); And the primers of SEQ ID NO: 31, the primers of SEQ ID NO: 32, and the probe of SEQ ID NO: 50 detected by PCR using Mycoplasma ( Mycoplasma ) genus microorganisms; characterized by detecting.

상기 미생물들은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구강 미생물 환경에 관한 연구, 구체적으로 치주질환이 없는 건강한 구강 환경을 갖는 한국인과 치주질환을 갖는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구강 미생물 환경에 관한 연구를 통해 선정된 것으로, 상기 프레티박테리움 속 미생물, 프레보텔라 덴탈리스, 타네렐라 포시티아, 유박테리움 노다튬, 모기박테리움 속 미생물, 포피로모나스 엔도돈탈리스, 트레포네마 속 미생물, 필리팩터 알로시스, 트레포네마 덴티콜라, 트레포네마 소크란스키이, 유박테리움 사페눔, 포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 및 마이코플라즈마 속 미생물은 치주질환의 원인이 되는 유해균으로 선정된 것이며, 상기 액티노마이세스 속 미생물, 오리박테리움 속 미생물 및 헤모필러스 파라인플루엔제는 건강한 대상에서 존재하는 상재균으로 선정된 것이다.The microorganisms were selected through a study on the oral microbial environment targeting Koreans, specifically, a study on the oral microbial environment targeting Koreans with a healthy oral environment without periodontal disease and Koreans with periodontal disease. Microorganisms of the genus Pretibacterium, Prevotella dentalis, Tanerella fossitia, Eubacterium nodatium, Microorganisms of the genus Mosquitobacterium, Porphyromonas endodontalis, Microorganisms of the genus Treponema, Philifactor allosis, Trepo Microorganisms of the genus Nema denticola, Treponema sokranskyi, Eubacterium sapenum, Porphyromonas gingivalis, and Mycoplasma are selected as harmful bacteria that cause periodontal disease, and the microorganisms of the genus Actinomyces, duck Microorganisms of the genus Bacterium and Haemophilus parainfluenza were selected as common flora present in healthy subjects.

피검자, 즉 한국인 피검자의 구강 유래 시료에서 상기 유해균으로 선정된 미생물이 많이 검출되고 상기 상재균으로 선정된 미생물이 적게 검출되는 등의 구강 내 미생물 균형이 깨지게 되면 피검자의 치주질환 위험이 높은 것으로 분류하고, 반대로 피검자의 구강 유래 시료에서 상기 유해균으로 선정된 미생물이 적게 검출되고 상기 상재균으로 선정된 미생물이 많이 검출되는 등의 구강 내 미생물의 균형이 유지된다면 피검자의 치주질환 위험이 낮은 것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출된 유해균 1종 당 '+1점'을 부여하고, 검출된 상재균 1종 당 '-1점'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치주질환 위험도를 표시할 수 있다.If the balance of microorganisms in the oral cavity is broken, such as a large number of microorganisms selected as harmful bacteria and a small number of microorganisms selected as the normal flora detected in oral samples of the subject, that is, a Korean subject, the subject is classified as having a high risk of periodontal disease Conversely, if the balance of microorganisms in the oral cavity is maintained, such as a small number of microorganisms selected as harmful bacteria and a large number of microorganisms selected as normal bacteria in the sample derived from the oral cavity of the subject, the subject's risk of periodontal disease can be classified as low. there is. For example, the risk of periodontal disease may be indicated by assigning '+1 point' to each detected harmful bacteria and assigning '-1 point' to each detected common bacteria.

본 발명에서 피검자의 구강 유래 시료는 피검자의 구강에서 유래된 생물학적 시료를 의미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피검자의 타액(침) 또는 가글액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ple derived from the oral cavity of the subject refers to a biological sample derived from the oral cavity of the subject, and is preferably the subject's saliva (saliva) or gargle liquid.

본 발명에서 특정 프라이머 및 프로브를 사용한 PCR로 검출되는 것으로 특정된 미생물은 해당 프라이머 및 프로브를 사용한 PCR, 예를 들어 실시간 PCR로 검출되는 서열이 유전체에 포함된 미생물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icroorganisms specified as being detected by PCR using specific primers and probes refer to microorganisms whose genomes contain sequences detected by PCR using the corresponding primers and probes, for example, real-time PCR.

본 발명에서 상기 액티노마이세스 속 미생물은 GenBank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번호(accession number) KF933792.1로 등록된 서열이 유전체에 포함된 미생물일 수 있고, Actinomyces sp. ChDC B642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icroorganism of the genus Actinomyces may be a microorganism whose genome contains a sequence registered as accession number KF933792.1 in the GenBank database, Actinomyces sp. It may be ChDC B642.

본 발명에서 상기 프레티박테리움 속 미생물은 GenBank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번호 KT895067.1로 등록된 서열이 유전체에 포함된 미생물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icroorganism of the genus Pretibacterium may be a microorganism whose genome contains a sequence registered as registration number KT895067.1 in the GenBank database.

본 발명에서 상기 프레보텔라 덴탈리스는 GenBank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번호 NR_102481.1로 등록된 서열이 유전체에 포함된 미생물일 수 있고, Prevotella dentalis DSM 3688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votella dentalis may be a microorganism whose genome has a sequence registered as registration number NR_102481.1 in the GenBank database, and may be Prevotella dentalis DSM 3688.

본 발명에서 상기 타네렐라 포시티아는 GenBank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번호 NR_074140.1로 등록된 서열이 유전체에 포함된 미생물일 수 있고, Tannerella forsythia strain ATCC 43037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annerella forsythia may be a microorganism whose genome has a sequence registered as registration number NR_074140.1 in the GenBank database, and may be Tannerella forsythia strain ATCC 43037.

본 발명에서 상기 유박테리움 노다튬는 GenBank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번호 GU424720.1로 등록된 서열이 유전체에 포함된 미생물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ubacterium nodatum may be a microorganism whose genome contains a sequence registered as registration number GU424720.1 in the GenBank database.

본 발명에서 상기 모기박테리움 속 미생물은 GenBank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번호 MT482651.1로 등록된 서열이 유전체에 포함된 미생물일 수 있고, Mogibacterium sp. strain KCOM 3331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icroorganism of the genus Mogibacterium may be a microorganism whose genome contains a sequence registered as registration number MT482651.1 in the GenBank database, Mogibacterium sp. strain KCOM 3331.

본 발명에서 상기 포피로모나스 엔도돈탈리스는 GenBank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번호 LT676548.1로 등록된 서열이 유전체에 포함된 미생물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phyromonas endodonthalis may be a microorganism whose genome contains a sequence registered as registration number LT676548.1 in the GenBank database.

본 발명에서 상기 트레포네마 속 미생물은 GenBank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번호 GU408605.1로 등록된 서열이 유전체에 포함된 미생물일 수 있고, Treponema sp. oral taxon 230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icroorganism of the genus Treponema may be a microorganism whose genome has a sequence registered as registration number GU408605.1 in the GenBank database, and Treponema sp. It may be oral taxon 230.

본 발명에서 상기 필리팩터 알로시스는 GenBank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번호 MT322993.1로 등록된 서열이 유전체에 포함된 미생물일 수 있고, Filifactor alocis strain KCOM 3147(=JS254)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ifactor alocis may be a microorganism whose genome contains a sequence registered as registration number MT322993.1 in the GenBank database, and may be Filifactor alocis strain KCOM 3147 (=JS254).

본 발명에서 상기 트레포네마 덴티콜라는 GenBank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번호 NR_036899.1로 등록된 서열이 유전체에 포함된 미생물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reponema denticola may be a microorganism whose genome contains a sequence registered as registration number NR_036899.1 in the GenBank database.

본 발명에서 상기 트레포네마 소크란스키이는 GenBank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번호 LT698215.1로 등록된 서열이 유전체에 포함된 미생물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reponema sokranskii may be a microorganism whose genome contains a sequence registered as registration number LT698215.1 in the GenBank database.

본 발명에서 상기 유박테리움 사페눔은 GenBank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번호 NR_026031.1로 등록된 서열이 유전체에 포함된 미생물일 수 있고, Eubacterium saphenum strain 164-47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ubacterium saphenum may be a microorganism whose genome has a sequence registered as registration number NR_026031.1 in the GenBank database, and may be Eubacterium saphenum strain 164-47.

본 발명에서 상기 헤모필러스 파라인플루엔제는 GenBank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번호 MT096513.1로 등록된 서열이 유전체에 포함된 미생물일 수 있고, Haemophilus parainfluenzae strain Ch6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aemophilus parainfluenza may be a microorganism whose genome has a sequence registered as registration number MT096513.1 in the GenBank database, and may be Haemophilus parainfluenzae strain Ch6.

본 발명에서 상기 오리박테리움 속 미생물은 GenBank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번호 LT698418.1로 등록된 서열이 유전체에 포함된 미생물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icroorganism of the genus Oribacterium may be a microorganism whose genome contains a sequence registered as registration number LT698418.1 in the GenBank database.

본 발명에서 상기 포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는 GenBank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번호 KR074427.1로 등록된 서열이 유전체에 포함된 미생물일 수 있고, Porphyromonas gingivalis strain CP41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phyromonas gingivalis may be a microorganism whose genome has a sequence registered as registration number KR074427.1 in the GenBank database, and may be Porphyromonas gingivalis strain CP41.

본 발명에서 상기 마이코플라즈마 속 미생물은 GenBank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번호 AM420094.1로 등록된 서열이 유전체에 포함된 미생물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icroorganism of the genus Mycoplasma may be a microorganism whose genome contains a sequence registered as registration number AM420094.1 in the GenBank database.

본 발명에서 상기 액티노마이세스 속 미생물의 검출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1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2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35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을 수행하고, 상기 프레티박테리움 속 미생물의 검출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3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4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36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을 수행하고, 상기 프레보텔라 덴탈리스의 검출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5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6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37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을 수행하고, 상기 타네렐라 포시티아의 검출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7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8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38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을 수행하고, 상기 유박테리움 노다튬의 검출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9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10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39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을 수행하고, 상기 모기박테리움 속 미생물의 검출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11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12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0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을 수행하고, 상기 포피로모나스 엔도돈탈리스의 검출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13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14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1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을 수행하고, 상기 트레포네마 속 미생물의 검출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15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16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2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을 수행하고, 상기 필리팩터 알로시스의 검출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17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18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3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을 수행하고, 상기 트레포네마 덴티콜라의 검출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19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20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4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을 수행하고, 상기 트레포네마 소크란스키이의 검출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21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22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5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을 수행하고, 상기 유박테리움 사페눔의 검출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23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24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6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을 수행하고, 상기 헤모필러스 파라인플루엔제의 검출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25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26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7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을 수행하고, 상기 오리박테리움 속 미생물의 검출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27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28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8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을 수행하고, 상기 포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의 검출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29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30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9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을 수행하고, 상기 마이코플라즈마 속 미생물의 검출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31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32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50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을 수행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PCR is preferably performed using a primer of SEQ ID NO: 1, a primer of SEQ ID NO: 2, and a probe of SEQ ID NO: 35 to detect microorganisms of the genus Actinomyces, and detection of microorganisms of the genus Pretibacterium For this, PCR is preferably performed u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3, the primers of SEQ ID NO: 4, and the probe of SEQ ID NO: 36, and the primers of SEQ ID NO: 5, SEQ ID NO: PCR was performed using the primer of SEQ ID NO: 6 and the probe of SEQ ID NO: 37, and PCR was preferably performed using the primer of SEQ ID NO: 7, the primer of SEQ ID NO: 8, and the probe of SEQ ID NO: 38 to detect the Tanerella fossitia. And, for the detection of the Eubacterium nodatum, PCR is preferably performed using the primer of SEQ ID NO: 9, the primer of SEQ ID NO: 10, and the probe of SEQ ID NO: 39, and preferably for the detection of microorganisms of the genus Mosquitobacterium Preferably, PCR is performed u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11, the primers of SEQ ID NO: 12, and the probe of SEQ ID NO: 40, and preferably, the primers of SEQ ID NO: 13 and SEQ ID NO: 14 are used to detect the Porphyromonas endodonthalis. PCR was performed using primers and a probe of SEQ ID NO: 41, and PCR was preferably performed using a primer of SEQ ID NO: 15, a primer of SEQ ID NO: 16, and a probe of SEQ ID NO: 42 to detect the microorganism of the genus Treponema, , PCR is preferably performed u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17, the primers of SEQ ID NO: 18, and the probe of SEQ ID NO: 43 to detect the Philifactor allosis, and to detect the Treponema denticola, preferably PCR was performed u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19, the primers of SEQ ID NO: 20, and the probe of SEQ ID NO: 44, and the primers of SEQ ID NO: 21, the primers of SEQ ID NO: 22 and PCR was performed using the probe of SEQ ID NO: 45, and PCR was preferably performed u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23, the primers of SEQ ID NO: 24, and the probe of SEQ ID NO: 46 for detection of the Eubacterium sapenum, For the detection of Haemophilus parainfluenza, PCR is preferably performed u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25, the primers of SEQ ID NO: 26, and the probe of SEQ ID NO: 47, and preferably for the detection of microorganisms of the genus Orybacterium. Performs PCR using the primer of SEQ ID NO: 27, the primer of SEQ ID NO: 28, and the probe of SEQ ID NO: 48, and preferably the primer of SEQ ID NO: 29 and the primer of SEQ ID NO: 30 for detection of the Porphyromonas gingivalis And PCR is performed using the probe of SEQ ID NO: 49, and PCR is preferably performed using primers of SEQ ID NO: 31, primers of SEQ ID NO: 32, and probes of SEQ ID NO: 50 to detect the microorganisms of the genus Mycoplasma.

상기와 같은 프라이머 및 프로브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액티노마이세스 속 미생물의 검출을 위한 PCR; 상기 프레티박테리움 속 미생물의 검출을 위한 PCR; 상기 프레보텔라 덴탈리스의 검출을 위한 PCR; 및 상기 타네렐라 포시티아의 검출을 위한 PCR;을 하나의 반응액 내에서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유박테리움 노다튬의 검출을 위한 PCR; 상기 모기박테리움 속 미생물의 검출을 위한 PCR; 상기 포피로모나스 엔도돈탈리스의 검출을 위한 PCR; 및 상기 트레포네마 속 미생물의 검출을 위한 PCR;을 하나의 반응액 내에서 수행할 수 있고, 상기 필리팩터 알로시스의 검출을 위한 PCR; 상기 트레포네마 덴티콜라의 검출을 위한 PCR; 및 상기 트레포네마 소크란스키이의 검출을 위한 PCR;을 하나의 반응액 내에서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유박테리움 사페눔의 검출을 위한 PCR; 상기 헤모필러스 파라인플루엔제의 검출을 위한 PCR; 상기 오리박테리움 속 미생물의 검출을 위한 PCR; 및 상기 포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의 검출을 위한 PCR;을 하나의 반응액 내에서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상기 하나의 반응액 내에서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제시된 PCR의 프라이머 및 프로브들이 서로 간에 간섭 없이 높은 특이성 및 민감도를 갖도록 디자인되었기에 가능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시된 해당 프라이머 및 프로브를 사용하면 보다 신속한 검출 또는 용이한 검출이 가능하므로, 한국인의 치주질환 진단을 위한 보다 효율적인 정보제공이 가능하다.When using the primers and probes as described above, PCR for detecting microorganisms of the genus Actinomyces; PCR for detection of microorganisms of the genus Pretibacterium; PCR for detection of the Prevotella dentalis; and PCR for detecting the Tanerella fossitia; PCR for detecting the Eubacterium nodatum; PCR for detecting microorganisms of the genus Mosquitobacterium; PCR for detection of the Porphyromonas endodonthalis; and PCR for detecting the microorganism of the genus Treponema; may be performed in one reaction solution, and the PCR for detecting the Philifactor allosis; PCR for detection of the Treponema denticola; and PCR for detection of the Treponema sokranskii; PCR for detection of the Eubacterium sapenum; PCR for detection of the Haemophilus parainfluenza; PCR for detecting microorganisms of the genus Oribacterium; And PCR for the detection of Porphyromonas gingivalis; can be carried out in one reaction solution. This is possible because the PCR primers and probes presented as capable of being performed in one reaction solution are designed to have high specificity and sensitivity without interfering with each other. Accordingly, since more rapid or easy detection is possible using the corresponding primers and probes present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more efficient information for diagnosing periodontal disease in Koreans.

본 발명에서 상기 각 미생물의 검출을 위한 PCR에 더하여, 그람 양성 미생물의 검출을 위한 서열번호 33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34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51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 및 그람 음성 미생물의 검출을 위한 서열번호 33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34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52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을 더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PCR은 대조군의 역할을 위한 것으로, 이들 PCR을 추가로 수행할 경우, 정보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PCR using the primer of SEQ ID NO: 33, the primer of SEQ ID NO: 34, and the probe of SEQ ID NO: 51 for detection of Gram-positive microorganisms in addition to the PCR for detecting each microorganism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PCR u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33, the primers of SEQ ID NO: 34, and the probe of SEQ ID NO: 52 for detection of Gram-negative microorganisms. These PCRs are for the role of a control group, and if these PCRs are additionally performed, the reliability of the information can be increased.

또한, 상기 그람 양성 미생물의 검출을 위한 PCR; 및 그람 음성 미생물의 검출을 위한 PCR;은 상기 마이코플라즈마 속 미생물의 검출을 위한 PCR;과 함께 하나의 반응액 내에서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PCR for detection of the Gram-positive microorganism; and PCR for detection of gram-negative microorganisms; can be performed in one reaction solution together with PCR for detection of microorganisms of the genus Mycoplasma.

본 발명에서 PCR로는 변성(denaturation) - 결합(annealing) - 신장(extension)의 3단계를 반복하는 3단계 PCR(3-step PCR) 또는 결합과 신장을 동시에 수행하는 2단계 PCR(2-step PCR)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반응시간을 줄일 수 있는 2단계 PCR을 사용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PCR is a 3-step PCR that repeats 3 steps of denaturation - annealing - extension or 2-step PCR that simultaneously performs linking and extension. ) can be used. Preferably, a two-step PCR that can reduce the reaction time is used.

PCR 조건은 95℃로 15초 동안의 변성 단계와 60℃로 30초 동안의 결합 및 신장 단계를 40회 반복(사이클)하는 조건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PCR condition is preferably a condition in which a denaturation step at 95°C for 15 seconds and a binding and elongation step at 60°C for 30 seconds are repeated 40 times (cycles).

바람직하게는 상기와 같은 조건으로 PCR을 수행하기 전 UDG(Uracil-DNA Glycosylase) 반응 단계를 추가하여 오염으로 인한 결과오류를 방지한다.Preferably, a UDG (Uracil-DNA Glycosylase) reaction step is added before PCR is performed under the above conditions to prevent result errors due to contamination.

본 발명의 정보제공 방법은 치주질환 중에서도 특히 치주염의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 방법으로서 효과적이다.The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ffective as an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for diagnosing periodontitis in particular among periodontal diseases.

본 발명의 한국인의 치주질환 진단용 키트는 PCR, 바람직하게는 실시간 PCR로 상기 치주질환 관련 미생물을 검출하여 한국인의 치주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키트로, 서열번호 1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2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35의 프로브를 포함하는 제1프라이머-프로브 세트; 서열번호 3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4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36의 프로브를 포함하는 제2프라이머-프로브 세트; 서열번호 5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6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37의 프로브를 포함하는 제3프라이머-프로브 세트; 서열번호 7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8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38의 프로브를 포함하는 제4프라이머-프로브 세트; 서열번호 9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10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39의 프로브를 포함하는 제5프라이머-프로브 세트; 서열번호 11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12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0의 프로브를 포함하는 제6프라이머-프로브 세트; 서열번호 13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14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1의 프로브를 포함하는 제7프라이머-프로브 세트; 서열번호 15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16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2의 프로브를 포함하는 제8프라이머-프로브 세트; 서열번호 17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18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3의 프로브를 포함하는 제9프라이머-프로브 세트; 서열번호 19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20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4의 프로브를 포함하는 제10프라이머-프로브 세트; 서열번호 21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22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5의 프로브를 포함하는 제11프라이머-프로브 세트; 서열번호 23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24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6의 프로브를 포함하는 제12프라이머-프로브 세트; 서열번호 25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26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7의 프로브를 포함하는 제13프라이머-프로브 세트; 서열번호 27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28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8의 프로브를 포함하는 제14프라이머-프로브 세트; 서열번호 29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30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9의 프로브를 포함하는 제15프라이머-프로브 세트; 및 서열번호 31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32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50의 프로브를 포함하는 제16프라이머-프로브 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kit for diagnosing periodontal disease in Kor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kit for diagnosing periodontal disease in Koreans by detecting the periodontal disease-related microorganisms by PCR, preferably real-time PCR. a first primer-probe set including probe number 35; a second primer-probe set compri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3, the primers of SEQ ID NO: 4, and the probe of SEQ ID NO: 36; a third primer-probe set compri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5, the primers of SEQ ID NO: 6, and the probe of SEQ ID NO: 37; a fourth primer-probe set compri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7, the primers of SEQ ID NO: 8, and the probe of SEQ ID NO: 38; a fifth primer-probe set including the primer of SEQ ID NO: 9, the primer of SEQ ID NO: 10, and the probe of SEQ ID NO: 39; a sixth primer-probe set compri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11, the primers of SEQ ID NO: 12, and the probe of SEQ ID NO: 40; a seventh primer-probe set compri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13, the primers of SEQ ID NO: 14, and the probe of SEQ ID NO: 41; an eighth primer-probe set compri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15, the primers of SEQ ID NO: 16, and the probe of SEQ ID NO: 42; a ninth primer-probe set compri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17, the primers of SEQ ID NO: 18, and the probe of SEQ ID NO: 43; a 10th primer-probe set comprising the primer of SEQ ID NO: 19, the primer of SEQ ID NO: 20, and the probe of SEQ ID NO: 44; an 11th primer-probe set comprising the primer of SEQ ID NO: 21, the primer of SEQ ID NO: 22, and the probe of SEQ ID NO: 45; a twelfth primer-probe set compri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23, the primers of SEQ ID NO: 24, and the probe of SEQ ID NO: 46; a thirteenth primer-probe set compri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25, the primers of SEQ ID NO: 26, and the probe of SEQ ID NO: 47; a 14th primer-probe set comprising the primer of SEQ ID NO: 27, the primer of SEQ ID NO: 28, and the probe of SEQ ID NO: 48; a 15th primer-probe set comprising the primer of SEQ ID NO: 29, the primer of SEQ ID NO: 30, and the probe of SEQ ID NO: 49; and a 16th primer-probe set including the primer of SEQ ID NO: 31, the primer of SEQ ID NO: 32, and the probe of SEQ ID NO: 50.

상기 제1프라이머-프로브 세트는 상기 액티노마이세스 속 미생물의 검출을 위한 프라이머-프로브 세트이고, 상기 제2프라이머-프로브 세트는 상기 프레티박테리움 속 미생물의 검출을 위한 프라이머-프로브 세트이고, 상기 제3프라이머-프로브 세트는 상기 프레보텔라 덴탈리스의 검출을 위한 프라이머-프로브 세트이고, 상기 제4프라이머-프로브 세트는 상기 타네렐라 포시티아의 검출을 위한 프라이머-프로브 세트이고, 상기 제5프라이머-프로브 세트는 상기 유박테리움 노다튬의 검출을 위한 프라이머-프로브 세트이고, 상기 제6프라이머-프로브 세트는 상기 모기박테리움 속 미생물의 검출을 위한 프라이머-프로브 세트이고, 상기 제7프라이머-프로브 세트는 상기 포피로모나스 엔도돈탈리스의 검출을 위한 프라이머-프로브 세트이고, 상기 제8프라이머-프로브 세트는 상기 트레포네마 속 미생물의 검출을 위한 프라이머-프로브 세트이고, 상기 제9프라이머-프로브 세트는 상기 필리팩터 알로시스의 검출을 위한 프라이머-프로브 세트이고, 상기 제10프라이머-프로브 세트는 상기 트레포네마 덴티콜라의 검출을 위한 프라이머-프로브 세트이고, 상기 제11프라이머-프로브 세트는 상기 트레포네마 소크란스키이의 검출을 위한 프라이머-프로브 세트이고, 상기 제12프라이머-프로브 세트는 상기 유박테리움 사페눔의 검출을 위한 프라이머-프로브 세트이고, 상기 제13프라이머-프로브 세트는 상기 헤모필러스 파라인플루엔제의 검출을 위한 프라이머-프로브 세트이고, 상기 제14프라이머-프로브 세트는 상기 오리박테리움 속 미생물의 검출을 위한 프라이머-프로브 세트이고, 상기 제15프라이머-프로브 세트는 상기 포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의 검출을 위한 프라이머-프로브 세트이고, 상기 제16프라이머-프로브 세트는 상기 마이코플라즈마 속 미생물의 검출을 위한 프라이머-프로브 세트이다.The first primer-probe set is a primer-probe set for detecting microorganisms of the genus Actinomyces, and the second primer-probe set is a primer-probe set for detecting microorganisms of the genus Pretibacterium, The third primer-probe set is a primer-probe set for detection of Prevotella dentalis, the fourth primer-probe set is a primer-probe set for detection of Tanerella Forsythia, and the fifth The primer-probe set is a primer-probe set for detecting Eubacterium nodatum, the sixth primer-probe set is a primer-probe set for detecting microorganisms of the genus Mosquitobacterium, and the seventh primer-probe set is for detecting microorganisms of the genus Mosquitobacterium. The probe set is a primer-probe set for detecting Porphyromonas endodonthalis, the eighth primer-probe set is a primer-probe set for detecting a microorganism of the genus Treponema, and the ninth primer-probe set set is a primer-probe set for detection of the Philifactor allosis, the 10th primer-probe set is a primer-probe set for detection of the Treponema denticola, and the 11th primer-probe set is the A primer-probe set for detection of Treponema sokranskii, the twelfth primer-probe set is a primer-probe set for detection of Eubacterium sapenum, and the thirteenth primer-probe set is for detection of the H. A primer-probe set for detection of Mophilus parainfluenza, the 14th primer-probe set is a primer-probe set for detection of microorganisms of the genus Orybacterium, and the 15th primer-probe set is for the foreskin A primer-probe set for detecting Lomonas gingivalis, and the 16th primer-probe set is a primer-probe set for detecting microorganisms of the genus Mycoplasma.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액티노마이세스 속 미생물의 검출을 위한 PCR; 상기 프레티박테리움 속 미생물의 검출을 위한 PCR; 상기 프레보텔라 덴탈리스의 검출을 위한 PCR; 및 상기 타네렐라 포시티아의 검출을 위한 PCR;을 하나의 반응액 내에서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유박테리움 노다튬의 검출을 위한 PCR; 상기 모기박테리움 속 미생물의 검출을 위한 PCR; 상기 포피로모나스 엔도돈탈리스의 검출을 위한 PCR; 및 상기 트레포네마 속 미생물의 검출을 위한 PCR;을 하나의 반응액 내에서 수행할 수 있고, 상기 필리팩터 알로시스의 검출을 위한 PCR; 상기 트레포네마 덴티콜라의 검출을 위한 PCR; 및 상기 트레포네마 소크란스키이의 검출을 위한 PCR;을 하나의 반응액 내에서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유박테리움 사페눔의 검출을 위한 PCR; 상기 헤모필러스 파라인플루엔제의 검출을 위한 PCR; 상기 오리박테리움 속 미생물의 검출을 위한 PCR; 및 상기 포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의 검출을 위한 PCR;을 하나의 반응액 내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프라이머 및 프로브가 설계되었으므로, 본 발명의 키트는 상기 제1프라이머-프로브 세트, 제2프라이머-프로브 세트, 제3프라이머-프로브 세트 및 제4프라이머-프로브 세트를 하나의 조성물로 포함하고, 상기 제5프라이머-프로브 세트, 제6프라이머-프로브 세트, 제7프라이머-프로브 세트 및 제8프라이머-프로브 세트를 하나의 조성물로 포함하고, 상기 제9프라이머-프로브 세트, 제10프라이머-프로브 세트 및 제11프라이머-프로브 세트를 하나의 조성물로 포함하고, 상기 제12프라이머-프로브 세트, 제13프라이머-프로브 세트, 제14프라이머-프로브 세트 및 제15프라이머-프로브 세트를 하나의 조성물로 포함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조성물은 예를 들어 PCR 반응용 조성물이고, 상기 프라이머-프로브 세트 이외에 PCR 반응에 필요한 물질, 예를 들어 중합효소, dNTP, 완충제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PCR for detection of microorganisms of the genus Actinomyces; PCR for detection of microorganisms of the genus Pretibacterium; PCR for detection of the Prevotella dentalis; and PCR for detecting the Tanerella fossitia; PCR for detecting the Eubacterium nodatum; PCR for detecting microorganisms of the genus Mosquitobacterium; PCR for detection of the Porphyromonas endodonthalis; and PCR for detecting the microorganism of the genus Treponema; may be performed in one reaction solution, and the PCR for detecting the Philifactor allosis; PCR for detection of the Treponema denticola; and PCR for detection of the Treponema sokranskii; PCR for detection of the Eubacterium sapenum; PCR for detection of the Haemophilus parainfluenza; PCR for detecting microorganisms of the genus Oribacterium; and PCR for detection of P. gingivalis; since the primers and probes are designed so that they can be performed in one reaction solution, the k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irst primer-probe set, the second primer -Including a probe set, a third primer-probe set and a fourth primer-probe set in one composition, the fifth primer-probe set, the sixth primer-probe set, the seventh primer-probe set, and the eighth primer -Including a probe set in one composition, including the 9th primer-probe set, the 10th primer-probe set, and the 11th primer-probe set in one composition, the 12th primer-probe set, the 13th primer-probe set The primer-probe set, the 14th primer-probe set, and the 15th primer-probe set may be included in one composition. In this case, the composition is, for example, a composition for PCR reaction, and may further include materials necessary for PCR reaction, such as polymerase, dNTP, buffer, etc., in addition to the primer-probe set.

본 발명의 키트는 상기와 같은 프라이머-프로브 세트에 더하여, 서열번호 33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34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51의 프로브 및 서열번호 52의 프로브를 포함하는 제17프라이머-프로브 세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그람 양성 미생물 및 그람 음성 미생물의 검출을 위한 프라이머-프로브 세트로, 대조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진단의 신뢰도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 primer-probe set, the ki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17th primer-probe set including the primer of SEQ ID NO: 33, the primer of SEQ ID NO: 34, the probe of SEQ ID NO: 51, and the probe of SEQ ID NO: 52. can include This is a primer-probe set for detecting gram-positive microorganisms and gram-negative microorganisms, can serve as a control group, and can contribute to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diagnosis.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그람 양성 미생물의 검출을 위한 PCR; 및 그람 음성 미생물의 검출을 위한 PCR;은 상기 마이코플라즈마 속 미생물의 검출을 위한 PCR;을 하나의 반응액 내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프라이머 및 프로브가 설계되었으므로, 본 발명의 키트는 상기 제16프라이머-프로브 세트 및 제17프라이머-프로브 세트를 하나의 조성물로 포함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의 조성물 또한 예를 들어 PCR 반응용 조성물이고, 상기 프라이머-프로브 세트 이외에 PCR 반응에 필요한 물질, 예를 들어 중합효소, dNTP, 완충제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PCR for detection of the gram-positive microorganism; And PCR for detection of gram-negative microorganisms; PCR for detection of microorganisms of the genus Mycoplasma; Since the primers and prob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igned to perform in one reaction solution, the k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16th primer-probe set and the 17th primer-probe set may be included in one composition. The composition at this time is also, for example, a composition for PCR reaction, and materials necessary for PCR reaction, for example, polymerase, dNTP, buffer, etc. may be further included in addition to the primer-probe set.

본 발명에서 프라이머 및 프로브는 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표지 물질로 표지된 것일 수 있다. 프라이머 및 프로브 모두 표지된 것일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프로브 만 표지된 것이다. 여기에 사용되는 표지 물질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하나의 반응액 내에서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제시된 프라이머-프로브 세트들은 서로 다른 표지 물질로 표지되어 하나의 PCR 반응 내에서 서로 구분하여 검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1프라이머-프로브 세트의 프로브(서열번호 35의 프로브), 제2프라이머-프로브 세트의 프로브(서열번호 36의 프로브), 제3프라이머-프로브 세트의 프로브(서열번호 37의 프로브) 및 제4프라이머-프로브 세트의 프로브(서열번호 38의 프로브)는 서로 다른 표지 물질로 표지된다. 하나의 프로브를 여러 종류의 표지 물질로 표지하는 경우 이중 일부 만을 다른 세트의 프로브와 차별화할 수 있다.Primers and probes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labeled with a labeling material commonly used in this field. Both primers and probes may be labeled, but typically only the probes are labeled. There is no particular restriction on the labeling material used here, but the primer-probe sets presented as being able to be performed in one reaction solution are labeled with different labeling materials so that they can be detect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in one PCR reaction. it is desirable For example, the probe of the first primer-probe set (probe of SEQ ID NO: 35), the probe of the second primer-probe set (probe of SEQ ID NO: 36), the probe of the third primer-probe set (probe of SEQ ID NO: 37) ) and the probe of the fourth primer-probe set (probe of SEQ ID NO: 38) are labeled with different labeling substances. When one probe is labeled with several types of labeling substances, only some of them can be differentiated from other sets of probes.

본 발명의 키트는 치주질환 중에서도 특히 치주염의 진단을 위한 키트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k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 kit for diagnosing periodontitis in particular among periodontal diseases.

본 발명의 키트는 상기와 같은 프라이머 세트 이외에도 PCR을 용이하게 수행하는데 필요한 시약, 기구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CR에 필요한 중합효소(polymerase), dNTP, 완충액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시료로부터 DNA를 추출하는데 필요한 시약, 기구 등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 primer sets, the k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reagents, tools, and the like necessary for easily performing PCR. For example, polymerase, dNTP, buffer, etc. necessary for PCR may be included, and reagents, tools, etc. necessary for extracting DNA from a sample may be further included.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examples. Since these examples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to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se examples.

[실시예][Example]

실시예 1Example 1

1.1 피험자 모집 및 구강 시료(타액) 수집1.1 Recruitment of subjects and collection of oral samples (saliva)

피험자 선정 기준은 1999년 APP(American Academy of Periodontology)에서 제안된 기준에 의거하였다. 부산대학교 치과병원 치주과에 검진 및 치료를 위해 내원한 성인 250명을 대상으로 건강한 사람과 만성 치주염 환자를 진단하였다. 만성 치주염 환자는 총 4그룹으로 나눴으며, 질병 정도에 따라 초기, 중기, 말기 치주염으로 분류하였다. 만성 치주염의 심각도는 CAL(clinimcal attachment level)을 기준으로 1 또는 2이면 초기, 3 또는 4이면 중기, 5 이상은 말기로 나누었다(표 1). 또한 선정된 피험자로부터 본 발명의 위한 연구에 대해 충분히 이해시킨 후 자발적으로 연구 참여에 동의하는 동의서와 임상 연구 설문 조사서를 받았다.Subject selection criteria were based on the criteria proposed by the American Academy of Periodontology (APP) in 1999. A total of 250 adults who visited the periodontal department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for examination and treatment were diagnosed as healthy people and patients with chronic periodontitis. Patients with chronic periodontitis were divided into 4 groups and classified into early, middle, and late periodontitis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the disease. The severity of chronic periodontitis was divided into early if 1 or 2, intermediate if 3 or 4, and late if 5 or more based on CAL (clinimcal attachment level) (Table 1). In addition, after sufficiently understanding the research for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selected subjects, a written consent form and a clinical research survey questionnaire voluntarily agreeing to participate in the study were obtained.

구강관리 위생 능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전신질환을 가지고 있거나 검진 시점으로 6개월 전까지 치과치료를 받았거나 연구 참여에 대한 동의를 철회했거나 치아가 20개 이하인 피험자는 제외하였다. 여성의 경우, 임신 중이거나 수유 중일 때도 제외하였다. 피험자의 타액 수집은 가글액을 제공하여 30초간 가글한 후 가글액을 지정된 용기에 수집하는 방법으로 수행하였으며, 실험 전까지 냉장 보관하였다.Subjects who had a systemic disease that could affect their oral care hygiene ability, who had received dental treatment 6 months before the time of examination, who withdrew their consent to participate in the study, or who had less than 20 teeth were excluded. In the case of women, pregnant or lactating women were also excluded. The subject's saliva was collected by providing a gargle solution, gargling for 30 seconds, and then collecting the gargle solution in a designated container, and storing it in a refrigerator until the experiment.

표 1은 본 발명의 그룹별 목록이다.Table 1 is a list by group of the present invention.

1.2 구강 시료(타액)에서 미생물 DNA 추출1.2 Microbial DNA extraction from oral samples (saliva)

GeneAll ExgeneTM Clinic SV kit(진올바이오테크놀러지, Korea)를 사용하여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냉장보관 되어있는 구강 시료(타액) 샘플로부터 유전체 DNA(genomic DNA)를 추출하였다. Microplate reader Epoch2(BioTek, USA)로 농도 및 품질(260/280 ratio, 260/230 ratio)을 확인한 후,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GS)에 사용되기 전까지 -20℃에 냉동 보관하였다.Genomic DNA was extracted from a refrigerated oral sample (saliva) sample using the GeneAll Exgene™ Clinic SV kit (GeneAll Biotechnology, Korea)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instructions. After confirming the concentration and quality (260/280 ratio, 260/230 ratio) with a microplate reader Epoch2 (BioTek, USA), the samples were stored frozen at -20°C until used for next-generation sequencing (NGS).

실시예 2Example 2

2.1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NGS)을 통한 구강 미생물 군집(Microbiome) 분석2.1 Oral microbiome analysis through next-generation sequencing (NGS)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얻은 DNA 시료로 치주염과 관련된 구강 미생물 군집(Microbiome)을 파악하기 위해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GS)을 수행하였다. 각 그룹 간 군집의 다양성을 확인하였고, 이 자료를 바탕으로 데이터베이스 Greengenes와 SILVA를 참조하여 건강한 그룹과 치주염 환자 그룹(초기, 중기, 말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는 구강 미생물 후보군을 선별하였다.Next-generation sequencing (NG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oral microbiome related to periodontitis with the DNA sample obtained by the method of Example 1. The diversity of the communities between each group was confirmed, and based on this data, candidates for oral microorganisms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healthy group and the periodontitis patient group (early, middle, and late stages) were selected by referring to the databases Greengenes and SILVA.

종 단위에서 봤을 때, 건강한 그룹과 치주염 그룹(초기, 중기, 말기) 사이에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는 9종을 후보군으로 선별하였다. Greengenes 결과에서는 포피로모나스 엔도돈탈리스(Porphyromonas endodontalis), 트레포네마 소크란스키이(Treponema socranskii), 헤모필러스 파라인플루엔제(Haemophilus parainfluenzae), 나이세리아 서브플라바(Neisseria subflava)가 선별되었으며, SILVA에서는 포피로모나스 엔도돈탈리스(Porphyromonas endodontalis), 프레보텔라 덴탈리스(Prevotella dentalis), 유박테리움 사페눔(Eubacterium saphenum), 트레포네마 덴티콜라(Treponema denticola), 유박테리움 브라치(Eubacterium brachy), 유박테리움 노다튬(Eubacterium nodatum)이 선별되었다(표 2 참조).In terms of species, nine species showing significant results between the healthy group and the periodontitis group (early, middle, and late stages) were selected as candidates. In the Greengenes results, Porphyromonas endodontalis , Treponema socranskii , Haemophilus parainfluenzae , and Neisseria subflava were selected, In SILVA, Porphyromonas endodontalis , Prevotella dentalis , Eubacterium saphenum , Treponema denticola , Eubacterium brachy ) and Eubacterium nodatum were selected (see Table 2).

속 단위에서 봤을 때, 건강한 그룹과 치주염 그룹(초기, 중기, 말기) 사이에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는 11종을 후보군으로 선별하였다. Greengenes 결과에서는 필리팩터 속(Filifactor), 트레포네마 속(Treponema), 타네넬라 속(Tannerella), 마이코플라즈마 속(Mycoplasma), 포피로모나스 속(Porphyromonas), 프레보텔라 속(Prevotella), 오리박테리움 속(Oribacterium), 모기박테리움 속(Mogibacterium), 액티노마이세스 속(Actinomyces), 로시아 속(Rothia)이 선별되었으며, SILVA에서는 필리팩터 속(Filifactor), 트레포네마 속(Treponema), 타네넬라 속(Tannerella), 마이코플라즈마 속(Mycoplasma), 포피로모나스 속(Porphyromonas), 모기박테리움 속(Mogibacterium), 프레티박테리움 속(Fretibacterium)이 선별되었다(표 3 참조).At the genus level, 11 species showing significant results between the healthy group and the periodontitis group (early, middle, and late stages) were selected as candidates. In the Greengenes results, Filifactor , Treponema , Tannerella , Mycoplasma , Porphyromonas , Prevotella , Oribacter The genus Oribacterium , the genus Mogibacterium , the genus Actinomyces , and the genus Rothia were selected, and in SILVA, the genus Filifactor , the genus Treponema , The genus Tannerella , Mycoplasma , Porphyromonas , Mogibacterium , and Fretibacterium were selected (see Table 3).

표 2와 표 3은 선별된 균주 목록이다.Tables 2 and 3 are lists of selected strains.

2.2 치주염 관련 구강 세균 선정2.2 Selection of oral bacteria related to periodontitis

상기 2.1의 방법으로 선별한 구강 세균 후보군 중 상기 비특허문헌을 참고하여 치주염과 관련된 구강 세균을 선정하였다. 속 단위의 경우 해당 균 속(Genus)을 검출하거나 NGS 서열이 단일 종(Species)으로 검색되는 경우에는 해당 종으로 선정하였다.Oral bacteria related to periodontitis were selected by referring to the non-patent literature among the oral bacteria candidates selected by the method of 2.1 above. In the case of the genus unit, when the corresponding genus was detected or the NGS sequence was searched for as a single species, the corresponding species was selected.

상기 비특허문헌을 참고하여 최종적으로 선정된 균은 다음과 같다. 구강 내 유해인자를 형성하고 치주조직에 침투하여 치주염 또는 난치성 치주염 및 급성 괴사 치은염이 진행된 단계에 관여하는 트레포네마 덴티콜라(Treponema denticola)(비특허문헌 0013), 다른 세균과의 부착을 통해 구강 내 바이오필름 형성의 매개체 역할을 하며 치주조직을 파괴하여 치주염을 유발하는 타네넬라 포시티아(Tannerella forsythia)(비특허문헌 0012), 다양한 독성인자를 생성하여 숙주의 면역체계를 무너뜨리고 치조골을 손실시키며 치주조직을 파괴시킬 수 있는 포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비특허문헌 0016), 급성 및 만성 치주염에서 발견되며 치주조직에 부착하여 치주조직 파괴를 유발하는 트레포네마 소크란스키이(Treponema socranskii)(비특허문헌 0014), 병독성은 낮으나 최소한 치주염 유발에 역할을 하는 프레보텔라 덴탈리스(Prevotella dentalis)(비특허문헌 0011), 외부인자를 인식하여 면역반응을 시작되게 하는 NOD(nucleotide-binding oligomerization domain) 신호전달을 자극시켜 만성 염증성 질환인 치주염을 발병시키는데 기여하며 그 중 NOD1 신호전달을 자극시키는 유박테리움 사페눔(Eubacterium saphenum), 유박테리움 노다튬(Eubacterium nodatum), 필리팩터 알로시스(Filfactor alocis)(비특허문헌 0015)와 NOD2 신호전달을 자극시키는 포피로모나스 엔도돈탈리스(Porphyromonas endodontalis)(비특허문헌 0015), 치주염 및 임플란트 관절주위염을 일으켜 임플란트 손실을 초래하는 트레포네마 속(Treponema)(비특허문헌 0009), 치주낭 깊이와 관련있는 마이코플라즈마 속(Mycoplasma)(비특허문헌 0010), 다른 유해균과 작용하여 치주낭 깊이를 증가시키는 프레티박테리움 속(Fretibacterium)(비특허문헌 0007), 성인의 치은염과 치주염의 감수성 증가에 기여하는 모기박테리움 속(Mogibacterium)(비특허문헌 0008)이 선정되었다.The bacteria finally selected by referring to the non-patent literature are as follows. Treponema denticola (Non-Patent Document 0013), which forms harmful factors in the oral cavity and penetrates the periodontal tissue and is involved in the advanced stage of periodontitis or refractory periodontitis and acute necrotic gingivitis (Non-Patent Document 0013), oral through attachment with other bacteria Tannerella forsythia (Non-Patent Document 0012), which acts as a mediator of my biofilm formation and destroys periodontal tissue to cause periodontitis (Non-Patent Document 0012), produces various toxic factors to break down the host's immune system, loss of alveolar bone, Porphyromonas gingivalis , which can destroy periodontal tissue (Non-Patent Document 0016), is found in acute and chronic periodontitis and attaches to periodontal tissue to cause periodontal tissue destruction Treponema socranskii (Non-Patent Document 0014), Prevotella dentalis ( Prevotella dentalis ) (Non-Patent Document 0011), which has low virulence but at least plays a role in inducing periodontitis (Non-Patent Document 0011), NOD (nucleotide- Binding oligomerization domain) signal transduction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periodontitis, a chronic inflammatory disease, and among them, Eubacterium saphenum, which stimulates NOD1 signaling, Eubacterium saphenum , Eubacterium nodatum , Philifactor allo Filfactor alocis (Non-Patent Document 0015) and Porphyromonas endodontalis (Porphyromonas endodontalis ), which stimulate NOD2 signaling (Non-Patent Document 0015), and Treponema, which cause periodontitis and implant periarthritis, resulting in implant loss. Genus ( Treponema ) (Non-Patent Document 0009), Mycoplasma genus related to periodontal pocket depth (Non-Patent Document 0010), Fretibacterium genus (Non-patented Document 0007), Mogibacterium genus contributing to increased susceptibility to gingivitis and periodontitis in adults (Non-Patent Document 0008) was selected.

건강한 그룹에서 많이 발견되는 상재균으로는 구강 미생물 중 대부분을 차지하며 red, orange complex 비율이 증가하면 감소하는 액티노마이세스 속(Actinomyces)(비특허문헌 0004), 구강 위생이 청결한 성인에게서 발견되는 오리박테리움 속(Oribacterium)(비특허문헌 0005), 포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의 부착을 억제하는 헤모필러스 파라인플루엔제(Haemophilus parainfluenzae)(비특허문헌 0006)가 선정되었다.As common flora found in healthy groups, Actinomyces genus (Non-Patent Document 0004), which accounts for most of the oral microorganisms and decreases as the ratio of red and orange complexes increases, is found in adults with clean oral hygiene. Oribacterium genus ( Oribacterium ) (Non-Patent Document 0005), Haemophilus parainfluenzae that inhibits the attachment of Porphyromonas gingivalis ( Haemophilus parainfluenzae ) (Non-Patent Document 0006) was selected.

비특허문헌, 차세대 염기서열분석(NGS), 실시예 1의 임상 시료(구강시료, 타액)와도 일치하는 결과를 확인한 균주들을 최종 후보균으로 선정하였고, 최종적으로 유해균으로 총 4속 및 9종, 상재균으로는 총 2속 및 1종을 최종적으로 선정하였다(표 4 참조).Strains whose results were consistent with non-patent literature, next-generation sequencing (NGS), and clinical samples (oral samples, saliva) of Example 1 were selected as final candidate bacteria, and finally, a total of 4 genera and 9 species as harmful bacteria, A total of 2 genera and 1 species were finally selected as common flora (see Table 4).

실시예 3Example 3

3.1 프라이머 및 프로브 제작3.1 Preparation of primers and probes

상기 실시예 2에서 최종적으로 선정된 치주염 관련 균주를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표 5 참조) 및 프로브(표 6 참조)를 디자인하였다. 각 균주의 표적서열(16s rRNA)만을 검출할 수 있게 상호간 간섭 없이 특이적이고 높은 민감도를 갖추도록 디자인하였으며, 'Total bacteria'는 선정된 치주염 관련 균을 포함하여 구강 내 존재하는 그람 양성, 그람 음성 미생물을 모두 검출할 수 있도록 디자인하였다.Primers (see Table 5) and probes (see Table 6) for detecting the periodontitis-related strains finally selected in Example 2 were designed. It is designed to be specific and highly sensitive without mutual interference to detect only the target sequence (16s rRNA) of each strain, and 'Total bacteria' is Gram-positive and Gram-negative microorganisms present in the oral cavity, including selected periodontitis-related bacteria It is designed to detect all of them.

또한, GC 함량, 녹는점, 헤어핀, 헤테로-다이머, 셀프-다이머 등을 고려하였으며, 해당 균만 특이적으로 검출하는지 blast search를 통해 확인하였다.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Real-time PCR)에 사용되는 프로브는 TaqMan 프로브 유형이며, 프로브에 부착되는 형광 염료로는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GS) 데이터의 서열 개수(reads)와 겹치지 않는 파장을 고려하여 4종의 프로브 염료를 사용하였다.In addition, GC content, melting point, hairpin, hetero-dimer, self-dimer, etc. were considered, and it was confirmed through blast search whether only the corresponding bacteria were specifically detected. The probe used in Real-time PCR is a TaqMan probe type, and the fluorescent dye attached to the probe considers the number of sequences (reads) of next-generation sequencing (NGS) data and wavelengths that do not overlap. Four probe dyes were used.

표 5 및 표 6은 속/종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디자인한 각각의 프라이머 및 프로브 목록이다.Tables 5 and 6 are lists of primers and probes designed to bind genus/species specifically.

3.2 균주 플라스미드 제작3.2 Construction of strain plasmid

상기 프라이머 및 프로브의 유효성 확인을 평가하기 위해 표 4의 선별된 균주들의 표적서열을 플라스미드에 클로닝하여 109 농도로 제작하여 분석 시료로 사용하였다.In order to evaluate the validity of the primers and probes, the target sequences of the strains selected in Table 4 were cloned into plasmids, prepared at a concentration of 10 9 and used as analysis samples.

실시예 4Example 4

4.1 단일 실시간 PCR(Singleplex Real-time PCR) 조건4.1 Singleplex Real-time PCR Conditions

실시예 3에서 제작된 프라이머 및 프로브(표 5 및 6 참조)는 표 7에 표시된 농도로 사용하였다. 해당 농도는 가장 잘 반응하는 최적의 농도를 적용한 것이다.Primers and probes prepared in Example 3 (see Tables 5 and 6) were used at concentrations shown in Table 7. The concentration is the optimal concentration that reacts best.

단일 실시간 PCR을 위한 조성물의 구성 및 PCR의 조건으로, 균주의 각 농도에 대한 정방향 및 역방향 프라이머와 프로브 혼합물 2㎕, 균주 플라스미드 DNA 2㎕, 2X Taqman multiplex mastermix(Thermofisher, USA) 10㎕, 3차 멸균수 6㎕를 포함하여, 최종 용량이 20㎕가 되도록 하였다. 그 다음 96-웰의 플레이트에 분주하고, 단일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Singleplex Real-time PCR)을 실시하였다. PCR 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PCR 장치로 QuantStudio 6 Flex Real-Time PCR System(Thermofisher, USA)을 사용하였고, 오염 방지 단계의 UDG 반응을 위해 50℃에서 2분간 반응시켰으며, 이후 UDG의 불활성화를 위해 95℃에서 10분간 유지하였다. PCR 증폭의 단계는 95℃에서 15초, 60℃에서 30초로 40회 반복하여 수행하였다(표 8 및 9 참조).Composition and PCR conditions for single real-time PCR, 2 μl of forward and reverse primer and probe mixture for each concentration of strain, 2 μl of strain plasmid DNA, 10 μl of 2X Taqman multiplex mastermix (Thermofisher, USA), 3rd 6 μl of sterile water was included to make the final volume 20 μl. Then, it was dispensed into a 96-well plate, and a singl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Singleplex Real-time PCR) was performed. A QuantStudio 6 Flex Real-Time PCR System (Thermofisher, USA) was used as a PCR device to perform the PCR reaction, and the reaction was performed at 50 ° C for 2 minutes for the UDG reaction in the contamination prevention step, and then for the inactivation of UDG It was maintained at 95°C for 10 minutes. The steps of PCR amplification were repeated 40 times at 95°C for 15 seconds and 60°C for 30 seconds (see Tables 8 and 9).

4.2 단일 실시간 PCR(Singleplex Real-time PCR)를 이용한 표준곡선(Standard Curve) 작성 및 민감도(Sensitivity), 특이도(Specificity) 평가4.2 Creation of standard curve using singleplex real-time PCR and evaluation of sensitivity and specificity

실시예 3에서 제작한 프라이머 및 프로브와 균주 플라스미드를 이용하여 치주염 관련 유해균 및 상재균 16종과 Total bacteria를 검출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상기 4.1에서 제시된 조건을 적용하여 민감도(sensitiviity) 평가를 진행하였다.In order to confirm that 16 types of periodontitis-related harmful and common bacteria and total bacteria could be detected using the primers, probes and strain plasmids prepared in Example 3, sensitivity evaluation was conducted by applying the conditions presented in 4.1 above. .

각 균주 프라이머 및 프로브는 표 7에 제시되어 있는 농도로 준비하였으며 균주 플라스미드 DNA는 109 copy number에서 1/10배씩 순차적으로 101 copy number까지 희석한 후 표 8 및 9의 조건대로 단일 실시간 PCR을 수행하였다. 형광 증폭 곡선(amplification plot)으로 최소 검출 한도와 농도별 Ct 값(cycle threshold value)을 측정하고 민감도(sensitiviity)와 표준곡선(standard curve)을 산출하였다.Primers and probes for each strain were prepared at the concentrations shown in Table 7, and strain plasmid DNA was serially diluted from 10 9 copy number to 10 1 copy number by 1/10, followed by single real-time PCR according to the conditions in Tables 8 and 9. performed. A minimum detection limit and a cycle threshold value for each concentration were measured using a fluorescence amplification plot, and sensitivity and a standard curve were calculated.

각 균주 플라스미스 DNA(Total bacteria 제외) 0.25 x 108 copy number를 준비하여 모두 섞은 후 확인하고자 하는 16개 균주의 프라이머 및 프로브를 최적의 농도(표 7 참조)로 제조한 후 각각 한 세트씩 넣어 실시간 PCR(real-time PCR)을 수행하였다. 실험이 끝난 PCR 생산물(PCR product)은 16㎕씩 5% 아가로스 겔(agarose gel)에 로딩하여 전기영동을 진행하고 특이도(specificity)를 확인하였다(도 1 참조).After preparing 0.25 x 10 8 copy number of plasmid DNA of each strain (excluding total bacteria) and mixing them all, prepare primers and probes of the 16 strains to be identified at optimal concentrations (see Table 7), and then add one set each. Real-time PCR was performed. 16 μl of the PCR product after the experiment was loaded onto a 5% agarose gel, electrophoresis was performed, and specificity was confirmed (see FIG. 1).

실험 결과, 16종의 치주염 관련 유해균 및 상재균과 Total bacteria에 대하여 제작된 프라이머 및 프로브가 표적 균주만을 검출해내는 것을 확인하였고 각 균주별 플라스미드 DNA가 101 ~ 102 copy number에서 검출되었으며(표 10 및 11 참조) 기울기가 -3.33에 가깝고 이상적인 qPCR efficiency 범위(90 ~ 110%)에 속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 균에 대한 표준 곡선의 R2값이 1(약 0.99)에 매우 근접한 값으로 신뢰도가 매우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2 내지 17 참조). 해당 실험을 통해 제작한 프라이머 및 프로브가 각 균주를 정량적으로 검출함과 동시에 정성적으로 구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primers and probes prepared for 16 types of periodontitis-related harmful and common bacteria and total bacteria detected only the target strain, and the plasmid DNA for each strain was detected at 10 1 ~ 10 2 copy number (Table 10 and 11), it was confirmed that the slope was close to -3.33 and was within the ideal qPCR efficiency range (90 to 110%).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R 2 value of the standard curve for each strain was very close to 1 (about 0.99), indicating that the reliability was very high (see FIGS. 2 to 17). It was confirmed that the primers and probes prepared through the experiment could quantitatively detect and qualitatively distinguish each strain.

4.3 동시 다중 실시간 PCR(Multiplex Real-time PCR) 조건4.3 Simultaneous multiplex real-time PCR conditions

Total bacteria를 포함한 총 17개의 균주에 대한 프라이머 및 프로브(총 5세트)를 혼합하여 단 한 번의 반응으로 여러 개의 균이 동시에 검출 가능한지 확인하기 위해 동시 다중 실시간 PCR 실험을 수행하였다. 다중 실시간 PCR의 조성물의 각 구성은 각 세트에 해당하는 균주(A세트 4종, B세트 4종, C세트 3종, D세트 4종, E세트 2종)의 정방향 및 역방향 프라이머와 프로브 혼합물 2㎕, 각 세트에 해당하는 균주 플라스미드의 DNA(A, B, D세트 8㎕, C세트 6㎕, E세트 4㎕)와 10㎕의 2X Taqman multiplex mastermix(Thermofisher, USA), 마지막으로 동일한 용량으로 맞추기 위한 3차 멸균수(C세트 2㎕, E세트 4㎕)를 포함하여 총 20㎕가 되도록 하였다(표 12 참조).By mixing primers and probes (5 sets) for a total of 17 strains, including total bacteria, simultaneous multiplex real-time PCR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confirm that multiple bacteria could be simultaneously detected in a single reaction. Each component of the composition of multiplex real-time PCR consists of 2 forward and reverse primers and probe mixtures of strains corresponding to each set (A set 4 types, B set 4 types, C set 3 types, D set 4 types, E set 2 types) μl, the DNA of the strain plasmid corresponding to each set (A, B, D set 8 μl, C set 6 μl, E set 4 μl) and 10 μl of 2X Taqman multiplex mastermix (Thermofisher, USA), and finally the same volume Including tertiary sterilized water (C set 2 μl, E set 4 μl) to make a total of 20 μl (see Table 12).

그 다음 96 웰의 플레이트에 분주하고, 실시간 중합 효소 연쇄반응을 실시하였다. 동시 다중 실시간 PCR의 조건은 단일 실시간 PCR과 동일하게 오염 방지 단계의 UDG 반응을 위해 50℃에서 2분간 반응시켰으며, 이후 UDG의 불활성화를 위해 95℃에서 10분간 유지하였다. PCR 증폭의 단계는 95℃에서 15초, 60℃에서 30초로 40회 반복하여 수행하였다(표 13 참조).Then, it was dispensed into a 96-well plate, and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was performed. Simultaneous multiplex real-time PCR was performed at 50 ° C for 2 minutes for the UDG reaction in the contamination prevention step, the same as for single real-time PCR, and then maintained at 95 ° C for 10 minutes to inactivate UDG. The steps of PCR amplification were repeated 40 times at 95°C for 15 seconds and 60°C for 30 seconds (see Table 13).

4.4 동시 다중 실시간 PCR(Multiplex Real-time PCR)4.4 Simultaneous Multiplex Real-time PCR

상기 4.2를 통해 제작한 프라이머 및 프로브가 정성 및 정량적으로 균주를 검출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교차반응이 발생하지 않는 프라이머 및 프로브 5세트를 구성하여 상기 4.3과 같이 동시 다중 실시간 PCR을 진행하였다.It was confirmed that the primers and probes prepared in 4.2 above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detect the strain, and based on this, 5 sets of primers and probes that do not cross-react were constructed and multiple simultaneous real-time PCR was performed as in 4.3 above.

각 세트로 구성된 균주별 플라스미드 DNA 혼합물에 대하여 프라이머 세트 혼합물이 정상적으로 작동함을 확인하였다(도 18 내지 22 참조). 또한 각 세트의 균주별 플라스미드 DNA에 대해 순차적으로 희석을 수행하였고, 형광 증폭 곡선의 결과에 나타난 시료의 Ct값(cycle threshold value)을 바탕으로 표준 곡선(standard curve)을 구축하였으며, 최소검출 한도를 확인하였다. 기울기는 -3.33에 가까우며 표준 곡선의 R2값은 약 0.99 정도로, 1에 매우 근접한 값으로 신뢰도가 매우 높았고(도 18 내지 22 참조), Total bacteria를 포함한 총 17종의 균주에 대하여 다중 실시간 PCR을 수행하였을 때, 모든 프라이머 및 프로브 혼합물에서 각 균이 101 ~ 102 copy number에서 검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14 참조).It was confirmed that the primer set mixture worked normally with respect to the plasmid DNA mixture for each strain composed of each set (see FIGS. 18 to 22). In addition, serial dilution was performed on the plasmid DNA for each strain of each set, and a standard curve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Ct value (cycle threshold value) of the sample shown in the result of the fluorescence amplification curve. Confirmed. The slope is close to -3.33, and the R 2 value of the standard curve is about 0.99, which is very close to 1, so the reliability is very high (see Figs. 18 to 22), and multiple real-time PCR is performed for a total of 17 strains including total bacteria. When performed, it was confirmed that each bacterium was detected at 10 1 to 10 2 copy number in all primer and probe mixtures (see Table 14).

결론적으로 임상 연구 샘플을 기반으로 차세대 염기서열분석(NGS)으로 치아우식증 관련 구강 마이크로바이옴 데이터를 생산하였고, 선정된 유해균 및 상재균에 대한 프라이머 및 프로브를 제작하였다. 이를 통해 TaqMan 동시 다중 실시간 PCR 기법을 이용하여서 한 반응(single reaction)에서 최대 4개의 타겟 균주를 증폭하여 검출할 수 있는 종-특이적 PCR 프라이머 및 프로브를 개발하였다.In conclusion, oral microbiome data related to dental caries were produced by next-generation sequencing (NGS) based on clinical research samples, and primers and probes for selected harmful bacteria and common bacteria were produced. Through this, we developed species-specific PCR primers and probes that can amplify and detect up to four target strains in a single reaction using the TaqMan simultaneous multiplex real-time PCR technique.

<110> Helixco inc. <120>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and kit for diagnosis of periodontal disease in Korean <130> 20210430 <160> 52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Actinomyces <400> 1 tgtttttggt gggggatggg 20 <210> 2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Actinomyces <400> 2 tgcttcactg gcgaaagagg ttt 23 <210> 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Fretibacterium <400> 3 agagatgcgc tggaggaggt 20 <210> 4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Fretibacterium <400> 4 acttccttct tcccacataa aagaac 26 <210> 5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Prevotella dentalis <400> 5 tcaatgggcg taagcctgaa 20 <210> 6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Prevotella dentalis <400> 6 cggaccttcc gtattaccgc 20 <210> 7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Tannerella forsythia <400> 7 ttacagggga ataaaatgag atacgt 26 <210> 8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Tannerella forsythia <400> 8 gcattccgcc tacttcatct at 22 <210> 9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Eubacterium nodatum <400> 9 gagcgagaaa tcacttaaag aagc 24 <210> 10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Eubacterium nodatum <400> 10 aatcgaaatt tctctcggct atcc 24 <210> 1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Mogibacterium <400> 11 acggtacctt aggagcaagc 20 <210> 12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Mogibacterium <400> 12 caagtagagg ttgagcctct aaatta 26 <210> 13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Porphyromonas endodontalis <400> 13 gattgtaaac ttcttttgta gagg 24 <210> 14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Porphyromonas endodontalis <400> 14 aattccggat aacgctcgta t 21 <210> 15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Treponema <400> 15 agctaagaat attccgcaat ggacg 25 <210> 16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Treponema <400> 16 tctcaccctt attcttcatc aaca 24 <210> 17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Filifactor alocis <400> 17 ggcattcgtg tcgtaaaact ctgta 25 <210> 18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Filifactor alocis <400> 18 actaacttgt taaaccacct gcg 23 <210> 19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Treponema denticola <400> 19 tggttggtga ggtaaaggcc 20 <210> 20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Treponema denticola <400> 20 attagccggg gcttattcgc atg 23 <210> 21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Treponema socranskii <400> 21 gggaggcagc aggtaagaat at 22 <210> 22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Treponema socranskii <400> 22 ggcatttcct cctacactta ttcc 24 <210> 23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Eubacterium saphenum <400> 23 tgagacacgg tccaaactct acg 23 <210> 24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Eubacterium saphenum <400> 24 tagtagacca cctacgcact cttta 25 <210> 25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Haemophilus parainfluenzae <400> 25 tcaccaagcc gacgatctct a 21 <210> 26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Haemophilus parainfluenzae <400> 26 ctttacgccc agttattccg att 23 <210> 27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Oribacterium <400> 27 agcctaccaa agcaacgatc ag 22 <210> 28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Oribacterium <400> 28 tgtcattatc ttccctgctg a 21 <210> 29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Porphyromonas gingivalis <400> 29 tgcaacttgc cttacagagg g 21 <210> 30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Porphyromonas gingivalis <400> 30 actcgtatcg cccgttattc 20 <210> 31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Mycoplasma <400> 31 atattccaca atgagcgaaa gc 22 <210> 32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Mycoplasma <400> 32 tgcatttcct caactaagtg ttct 24 <210> 33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Total bacteria <400> 33 tggagcatgt ggtttaattc gaag 24 <210> 34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Total bacteria <400> 34 tgcgggactt aacccaacat 20 <210> 35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for Actinomyces <400> 35 tggacggtca cactgggact gagaca 26 <210> 36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for Fretibacterium <400> 36 caatgggagg aatcctgacc cagcga 26 <210> 37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for Prevotella dentalis <400> 37 atacggggat aaagtgcgcc acgtg 25 <210> 38 <211> 2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for Tannerella forsythia <400> 38 ccttgtgaat aagcatcggc taactcc 27 <210> 39 <211> 2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for Eubacterium nodatum <400> 39 ggtagactta agagatggag agcagcg 27 <210> 40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for Mogibacterium <400> 40 gtgcgtaggt ggttacctaa gcgcaa 26 <210> 41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for Porphyromonas endodontalis <400> 41 gtagctgaga tgcatgtact ctacg 25 <210> 42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for Treponema <400> 42 cgccgcgtgg atgaagaagg ct 22 <210> 43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for Filifactor alocis <400> 43 cagtacccta aaagaaagcc ccggc 25 <210> 44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for Treponema denticola <400> 44 acggagcgac gccgtgtgaa tga 23 <210> 45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for Treponema socranskii <400> 45 tgaacgaaga aggccggaag gttgt 25 <210> 46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for Eubacterium saphenum <400> 46 cgccgcgtga ggtatgaagg cct 23 <210> 47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for Haemophilus parainfluenzae <400> 47 agtttaatag actaggtgat tgacgttaac 30 <210> 48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for Oribacterium <400> 48 cgccgcgtga gtgaagaagt atttcg 26 <210> 49 <211> 3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for Porphyromonas gingivalis <400> 49 agctgtaaga taggcatgcg tcccattagc ta 32 <210> 50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for Mycoplasma <400> 50 cacgatgaag gccctcgggt tgta 24 <210> 51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for Gram positive bacteria <400> 51 caggtggtgc atggttgtcg tcag 24 <210> 52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for Gram negative bacteria <400> 52 acaggtgctg catggctgtc gt 22 <110> Helixco inc. <120>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and kit for diagnosis of periodontal disease in Korean <130> 20210430 <160> 52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Actinomyces <400> 1 tgtttttggt gggggatggg 20 <210> 2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Actinomyces <400> 2 tgcttcactg gcgaaagagg ttt 23 <210> 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Fretibacterium <400> 3 agagatgcgc tggaggaggt 20 <210> 4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Fretibacterium <400> 4 acttccttct tcccacataa aagaac 26 <210> 5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Prevotella dentalis <400> 5 tcaatgggcg taagcctgaa 20 <210> 6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Prevotella dentalis <400> 6 cggaccttcc gtattaccgc 20 <210> 7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Tannerella forsythia <400> 7 ttacagggga ataaaatgag atacgt 26 <210> 8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Tannerella forsythia <400> 8 gcattccgcc tacttcatct at 22 <210> 9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Eubacterium nodatum <400> 9 gagcgagaaa tcacttaaag aagc 24 <210> 10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Eubacterium nodatum <400> 10 aatcgaaatt tctctcggct atcc 24 <210> 1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Mogibacterium <400> 11 acggtacctt aggagcaagc 20 <210> 12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Mogibacterium <400> 12 caagtagagg ttgagcctct aaatta 26 <210> 13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Porphyromonas endodontalis <400> 13 gattgtaaac ttcttttgta gagg 24 <210> 14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Porphyromonas endodontalis <400> 14 aattccggat aacgctcgta t 21 <210> 15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Treponema <400> 15 agctaagaat attccgcaat ggacg 25 <210> 16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Treponema <400> 16 tctcaccctt attcttcatc aaca 24 <210> 17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Filifactor alocis <400> 17 ggcattcgtg tcgtaaaact ctgta 25 <210> 18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Filifactor alocis <400> 18 actaacttgt taaaccacct gcg 23 <210> 19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Treponema denticola <400> 19 tggttggtga ggtaaaggcc 20 <210> 20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Treponema denticola <400> 20 attagccggg gcttattcgc atg 23 <210> 21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Treponema socranskii <400> 21 gggaggcagc aggtaagaat at 22 <210> 22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Treponema socranskii <400> 22 ggcatttcct cctacactta ttcc 24 <210> 23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Eubacterium saphenum <400> 23 tgagacacgg tccaaactct acg 23 <210> 24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Eubacterium saphenum <400> 24 tagtagacca cctacgcact cttta 25 <210> 25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Haemophilus parainfluenzae <400> 25 tcaccaagcc gacgatctct a 21 <210> 26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Haemophilus parainfluenzae <400> 26 ctttacgccc agttattccg att 23 <210> 27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Oribacterium <400> 27 agcctaccaa agcaacgatc ag 22 <210> 28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Oribacterium <400> 28 tgtcattatc ttccctgctg a 21 <210> 29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Porphyromonas gingivalis <400> 29 tgcaacttgc cttacagagg g 21 <210> 30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Porphyromonas gingivalis <400> 30 actcgtatcg cccgttattc 20 <210> 31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Mycoplasma <400> 31 atattccaca atgagcgaaa gc 22 <210> 32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Mycoplasma <400> 32 tgcatttcct caactaagtg ttct 24 <210> 33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Total bacteria <400> 33 tggagcatgt ggtttaattc gaag 24 <210> 34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Total bacteria <400> 34 tgcgggactt aacccaacat 20 <210> 35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for actinomyces <400> 35 tggacggtca cactgggact gagaca 26 <210> 36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for Fretibacterium <400> 36 caatgggagg aatcctgacc cagcga 26 <210> 37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for Prevotella dentalis <400> 37 atacggggat aaagtgcgcc acgtg 25 <210> 38 <211> 2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for Tannerella forsythia <400> 38 ccttgtgaat aagcatcggc taactcc 27 <210> 39 <211> 2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for Eubacterium nodatum <400> 39 ggtagactta agagatggag agcagcg 27 <210> 40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for Mogibacterium <400> 40 gtgcgtaggt ggttacctaa gcgcaa 26 <210> 41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for Porphyromonas endodontalis <400> 41 gtagctgaga tgcatgtact ctacg 25 <210> 42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for treponema <400> 42 cgccgcgtgg atgaagaagg ct 22 <210> 43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for Filifactor alocis <400> 43 cagtacccta aaagaaagcc ccggc 25 <210> 44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for Treponema denticola <400> 44 acggagcgac gccgtgtgaa tga 23 <210> 45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for Treponema socranskii <400> 45 tgaacgaaga aggccggaag gttgt 25 <210> 46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for Eubacterium saphenum <400> 46 cgccgcgtga ggtatgaagg cct 23 <210> 47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for Haemophilus parainfluenzae <400> 47 agtttaatag actaggtgat tgacgttaac 30 <210> 48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for Oribacterium <400> 48 cgccgcgtga gtgaagaagt atttcg 26 <210> 49 <211> 3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for Porphyromonas gingivalis <400> 49 agctgtaaga taggcatgcg tcccattagc ta 32 <210> 50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for Mycoplasma <400> 50 cacgatgaag gccctcgggt tgta 24 <210> 51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for Gram positive bacteria <400> 51 caggtggtgc atggttgtcg tcag 24 <210> 52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be for Gram negative bacteria <400> 52 acaggtgctg catggctgtc gt 22

Claims (7)

피검자의 구강 유래 시료에서,
유해균으로서
서열번호 3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4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36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로 검출되는 프레티박테리움(Fretibacterium) 속 미생물;
프레보텔라 덴탈리스(Prevotella dentalis);
타네렐라 포시티아(Tannerella forsythia);
유박테리움 노다튬(Eubacterium nodatum);
서열번호 11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12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0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로 검출되는 모기박테리움(Mogibacterium) 속 미생물;
포피로모나스 엔도돈탈리스(Porphyromonas endodontalis);
서열번호 15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16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2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로 검출되는 트레포네마(Treponema) 속 미생물;
필리팩터 알로시스(Filifactor alocis);
트레포네마 덴티콜라(Treponema denticola);
트레포네마 소크란스키이(Treponema socranskii);
유박테리움 사페눔(Eubacterium saphenum);
포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 및
서열번호 31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32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50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로 검출되는 마이코플라즈마(Mycoplasma) 속 미생물;을 검출하고,
건강한 대상에서 존재하는 상재균으로서
서열번호 1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2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35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로 검출되는 액티노마이세스(Actinomyces) 속 미생물;
헤모필러스 파라인플루엔제(Haemophilus parainfluenzae); 및
서열번호 27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28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8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로 검출되는 오리박테리움(Oribacterium) 속 미생물;을 검출하는 한국인의 치주질환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 방법.
In a sample derived from the oral cavity of the subject,
as harmful bacteria
A microorganism of the genus Fretibacterium detected by PCR u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3, the primers of SEQ ID NO: 4, and the probe of SEQ ID NO: 36;
Prevotella dentalis ( Prevotella dentalis );
Tannerella Forsythia ( Tannerella forsythia );
Eubacterium nodatum ;
A microorganism of the genus Mogibacterium detected by PCR using the primer of SEQ ID NO: 11, the primer of SEQ ID NO: 12, and the probe of SEQ ID NO: 40;
Porphyromonas endodontalis ( Porphyromonas endodontalis );
A microorganism of the genus Treponema detected by PCR u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15, the primers of SEQ ID NO: 16, and the probe of SEQ ID NO: 42;
Filifactor alocis ;
Treponema denticola ;
Treponema socranskii ;
Eubacterium saphenum ;
Porphyromonas gingivalis ( Porphyromonas gingivalis ); and
The primer of SEQ ID NO: 31, the primer of SEQ ID NO: 32, and the probe of SEQ ID NO: 50 detected by PCR using Mycoplasma ( Mycoplasma ) genus microorganisms; detecting;
As a normal flora present in healthy subjects
A microorganism of the genus Actinomyces detected by PCR u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1, the primers of SEQ ID NO: 2, and the probe of SEQ ID NO: 35;
Haemophilus parainfluenzae ; and
Primers of SEQ ID NO: 27, primers of SEQ ID NO: 28, and microorganisms of the genus Oribacterium detected by PCR u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28 and the probe of SEQ ID NO: 48;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diagnosing periodontal disease in Korea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열번호 1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2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35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로 검출되는 액티노마이세스 속 미생물의 검출을 위해 서열번호 1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2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35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
상기 서열번호 3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4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36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로 검출되는 프레티박테리움 속 미생물의 검출을 위해 서열번호 3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4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36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
상기 프레보텔라 덴탈리스의 검출을 위해 서열번호 5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6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37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
상기 타네렐라 포시티아의 검출을 위해 서열번호 7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8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38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
상기 유박테리움 노다튬의 검출을 위해 서열번호 9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10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39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
상기 서열번호 11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12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0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로 검출되는 모기박테리움 속 미생물의 검출을 위해 서열번호 11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12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0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
상기 포피로모나스 엔도돈탈리스의 검출을 위해 서열번호 13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14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1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
상기 서열번호 15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16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2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로 검출되는 트레포네마 속 미생물의 검출을 위해 서열번호 15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16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2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
상기 필리팩터 알로시스의 검출을 위해 서열번호 17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18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3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
상기 트레포네마 덴티콜라의 검출을 위해 서열번호 19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20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4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
상기 트레포네마 소크란스키이의 검출을 위해 서열번호 21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22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5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
상기 유박테리움 사페눔의 검출을 위해 서열번호 23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24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6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
상기 헤모필러스 파라인플루엔제의 검출을 위해 서열번호 25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26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7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
상기 서열번호 27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28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8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로 검출되는 오리박테리움 속 미생물의 검출을 위해 서열번호 27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28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8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
상기 포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의 검출을 위해 서열번호 29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30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9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
상기 서열번호 31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32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50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로 검출되는 마이코플라즈마 속 미생물의 검출을 위해 서열번호 31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32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50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을 수행하는, 한국인의 치주질환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primers of SEQ ID NO: 1, the primers of SEQ ID NO: 2, and the primers of SEQ ID NO: 2 and SEQ ID NO: 35 for detection of Actinomyces microorganisms detected by PCR u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1, the primers of SEQ ID NO: 2, and the probe of SEQ ID NO: 35 PCR using probes;
The primers of SEQ ID NO: 3, the primers of SEQ ID NO: 4, and the primers of SEQ ID NO: 4 and SEQ ID NO: 36 for detection of microorganisms of the genus Pretibacterium detected by PCR u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3, the primers of SEQ ID NO: 4, and the probe of SEQ ID NO: 36 PCR using probes;
PCR u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5, the primers of SEQ ID NO: 6, and the probe of SEQ ID NO: 37 for detection of the Prevotella dentalis;
PCR u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7, the primers of SEQ ID NO: 8, and the probe of SEQ ID NO: 38 for the detection of the Tanerella forsythia;
PCR u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9, the primers of SEQ ID NO: 10, and the probe of SEQ ID NO: 39 for detection of the Eubacterium nodatum;
The primer of SEQ ID NO: 11, the primer of SEQ ID NO: 12, and the probe of SEQ ID NO: 40 are used to detect microorganisms of the genus Mosquitobacterium detected by PCR using the primer of SEQ ID NO: 11, the primer of SEQ ID NO: 12, and the probe of SEQ ID NO: 40 PCR using;
PCR u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13, the primers of SEQ ID NO: 14, and the probe of SEQ ID NO: 41 for detection of the Porphyromonas endodonthalis;
Primers of SEQ ID NO: 15, primers of SEQ ID NO: 16, and probes of SEQ ID NO: 42 for detection of microorganisms of the genus Treponema detected by PCR u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15, the primers of SEQ ID NO: 16, and the probe of SEQ ID NO: 42 PCR using;
PCR u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17, the primers of SEQ ID NO: 18, and the probe of SEQ ID NO: 43 for detection of the Philifactor allosis;
PCR u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19, the primers of SEQ ID NO: 20, and the probe of SEQ ID NO: 44 for detection of the Treponema denticola;
PCR u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21, the primers of SEQ ID NO: 22, and the probe of SEQ ID NO: 45 for detection of the Treponema sokranskii;
PCR u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23, the primers of SEQ ID NO: 24, and the probe of SEQ ID NO: 46 for detection of the Eubacterium sapenum;
PCR u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25, the primers of SEQ ID NO: 26, and the probe of SEQ ID NO: 47 for detection of the Haemophilus parainfluenza;
The primers of SEQ ID NO: 27, the primers of SEQ ID NO: 28, and the probes of SEQ ID NO: 28 and the probes of SEQ ID NO: 28 for detection of microorganisms of the genus Orybacterium detected by PCR u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27, the primers of SEQ ID NO: 28, and the probe of SEQ ID NO: 48 PCR using;
PCR u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29, the primers of SEQ ID NO: 30, and the probe of SEQ ID NO: 49 for detection of the Porphyromonas gingivalis;
The primer of SEQ ID NO: 31, the primer of SEQ ID NO: 32, and the probe of SEQ ID NO: 50 were used to detect the microorganisms of the genus Mycoplasma detected by PCR using the primer of SEQ ID NO: 31, the primer of SEQ ID NO: 32, and the probe of SEQ ID NO: 50.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diagnosing periodontal disease in Koreans by performing a PCR; us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열번호 1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2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35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로 검출되는 액티노마이세스 속 미생물의 검출을 위한 PCR; 상기 서열번호 3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4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36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로 검출되는 프레티박테리움 속 미생물의 검출을 위한 PCR; 상기 프레보텔라 덴탈리스의 검출을 위한 PCR; 및 상기 타네렐라 포시티아의 검출을 위한 PCR;을 하나의 반응액 내에서 수행하고,
상기 유박테리움 노다튬의 검출을 위한 PCR; 상기 서열번호 11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12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0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로 검출되는 모기박테리움 속 미생물의 검출을 위한 PCR; 상기 포피로모나스 엔도돈탈리스의 검출을 위한 PCR; 및 상기 서열번호 15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16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2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로 검출되는 트레포네마 속 미생물의 검출을 위한 PCR;을 하나의 반응액 내에서 수행하고,
상기 필리팩터 알로시스의 검출을 위한 PCR; 상기 트레포네마 덴티콜라의 검출을 위한 PCR; 및 상기 트레포네마 소크란스키이의 검출을 위한 PCR;을 하나의 반응액 내에서 수행하고,
상기 유박테리움 사페눔의 검출을 위한 PCR; 상기 헤모필러스 파라인플루엔제의 검출을 위한 PCR; 상기 서열번호 27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28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8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로 검출되는 오리박테리움 속 미생물의 검출을 위한 PCR; 및 상기 포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의 검출을 위한 PCR;을 하나의 반응액 내에서 수행하는, 한국인의 치주질환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2,
PCR for detecting microorganisms of the genus Actinomyces detected by PCR u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1, the primers of SEQ ID NO: 2, and the probe of SEQ ID NO: 35; PCR for detecting microorganisms of the genus Pretibacterium detected by PCR u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3, the primers of SEQ ID NO: 4, and the probe of SEQ ID NO: 36; PCR for detection of the Prevotella dentalis; And PCR for detection of the Tanerella fositia; carried out in one reaction solution,
PCR for detection of the Eubacterium nodatum; PCR for detecting microorganisms of the genus Mosquitobacterium detected by PCR u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11, the primers of SEQ ID NO: 12, and the probe of SEQ ID NO: 40; PCR for detection of the Porphyromonas endodonthalis; and PCR for detecting microorganisms of the genus Treponema detected by PCR u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15, the primers of SEQ ID NO: 16, and the probe of SEQ ID NO: 42; carried out in one reaction solution,
PCR for detection of the Philifactor allosis; PCR for detection of the Treponema denticola; And PCR for detection of Treponema sokranskii; carried out in one reaction solution,
PCR for detection of the Eubacterium sapenum; PCR for detection of the Haemophilus parainfluenza; PCR for detecting microorganisms of the genus Oribacterium detected by PCR u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27, the primers of SEQ ID NO: 28, and the probe of SEQ ID NO: 48; and PCR for detection of Porphyromonas gingivalis;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diagnosing periodontal disease in Koreans by performing the PCR in one reaction solution.
제3항에 있어서,
그람 양성 미생물의 검출을 위해 서열번호 33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34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51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 및
그람 음성 미생물의 검출을 위해 서열번호 33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34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52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을 더 수행하며,
상기 서열번호 31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32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50의 프로브를 사용한 PCR로 검출되는 마이코플라즈마 속 미생물의 검출을 위한 PCR; 상기 그람 양성 미생물의 검출을 위한 PCR; 및 상기 그람 음성 미생물의 검출을 위한 PCR;을 하나의 반응액 내에서 수행하는, 한국인의 치주질환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3,
PCR u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33, the primers of SEQ ID NO: 34, and the probe of SEQ ID NO: 51 for detection of Gram-positive microorganisms; and
PCR u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33, the primers of SEQ ID NO: 34, and the probe of SEQ ID NO: 52 for detection of Gram-negative microorganisms;
PCR for detecting microorganisms of the genus Mycoplasma detected by PCR u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31, the primers of SEQ ID NO: 32, and the probe of SEQ ID NO: 50; PCR for detection of the Gram-positive microorganism; And PCR for detection of the gram-negative microorganisms; performed in one reaction solutio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for diagnosing periodontal disease in Koreans.
유해균의 검출을 위한 것으로서
서열번호 3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4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36의 프로브를 포함하는 제2프라이머-프로브 세트;
서열번호 5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6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37의 프로브를 포함하는 제3프라이머-프로브 세트;
서열번호 7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8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38의 프로브를 포함하는 제4프라이머-프로브 세트;
서열번호 9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10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39의 프로브를 포함하는 제5프라이머-프로브 세트;
서열번호 11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12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0의 프로브를 포함하는 제6프라이머-프로브 세트;
서열번호 13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14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1의 프로브를 포함하는 제7프라이머-프로브 세트;
서열번호 15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16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2의 프로브를 포함하는 제8프라이머-프로브 세트;
서열번호 17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18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3의 프로브를 포함하는 제9프라이머-프로브 세트;
서열번호 19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20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4의 프로브를 포함하는 제10프라이머-프로브 세트;
서열번호 21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22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5의 프로브를 포함하는 제11프라이머-프로브 세트;
서열번호 23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24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6의 프로브를 포함하는 제12프라이머-프로브 세트;
서열번호 29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30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9의 프로브를 포함하는 제15프라이머-프로브 세트; 및
서열번호 31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32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50의 프로브를 포함하는 제16프라이머-프로브 세트;를 포함하고,
건강한 대상에서 존재하는 상재균의 검출을 위한 것으로서
서열번호 1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2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35의 프로브를 포함하는 제1프라이머-프로브 세트;
서열번호 25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26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7의 프로브를 포함하는 제13프라이머-프로브 세트; 및
서열번호 27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28의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48의 프로브를 포함하는 제14프라이머-프로브 세트;를 포함하는 한국인의 치주질환 진단용 키트.
For the detection of harmful bacteria
a second primer-probe set compri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3, the primers of SEQ ID NO: 4, and the probe of SEQ ID NO: 36;
a third primer-probe set compri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5, the primers of SEQ ID NO: 6, and the probe of SEQ ID NO: 37;
a fourth primer-probe set compri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7, the primers of SEQ ID NO: 8, and the probe of SEQ ID NO: 38;
a fifth primer-probe set including the primer of SEQ ID NO: 9, the primer of SEQ ID NO: 10, and the probe of SEQ ID NO: 39;
a sixth primer-probe set compri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11, the primers of SEQ ID NO: 12, and the probe of SEQ ID NO: 40;
a seventh primer-probe set compri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13, the primers of SEQ ID NO: 14, and the probe of SEQ ID NO: 41;
an eighth primer-probe set compri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15, the primers of SEQ ID NO: 16, and the probe of SEQ ID NO: 42;
a ninth primer-probe set compri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17, the primers of SEQ ID NO: 18, and the probe of SEQ ID NO: 43;
a 10th primer-probe set comprising the primer of SEQ ID NO: 19, the primer of SEQ ID NO: 20, and the probe of SEQ ID NO: 44;
an 11th primer-probe set comprising the primer of SEQ ID NO: 21, the primer of SEQ ID NO: 22, and the probe of SEQ ID NO: 45;
a twelfth primer-probe set compri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23, the primers of SEQ ID NO: 24, and the probe of SEQ ID NO: 46;
a 15th primer-probe set comprising the primer of SEQ ID NO: 29, the primer of SEQ ID NO: 30, and the probe of SEQ ID NO: 49; and
A 16th primer-probe set comprising the primer of SEQ ID NO: 31, the primer of SEQ ID NO: 32, and the probe of SEQ ID NO: 50;
For the detection of flora present in healthy subjects
a first primer-probe set comprising a primer of SEQ ID NO: 1, a primer of SEQ ID NO: 2, and a probe of SEQ ID NO: 35;
a 13th primer-probe set comprising the primers of SEQ ID NO: 25, the primers of SEQ ID NO: 26, and the probe of SEQ ID NO: 47; and
A 14th primer-probe set including the primer of SEQ ID NO: 27, the primer of SEQ ID NO: 28, and the probe of SEQ ID NO: 48; a kit for diagnosing periodontal disease in Koreans, comprising: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라이머-프로브 세트, 제2프라이머-프로브 세트, 제3프라이머-프로브 세트 및 제4프라이머-프로브 세트를 하나의 조성물로 포함하고,
상기 제5프라이머-프로브 세트, 제6프라이머-프로브 세트, 제7프라이머-프로브 세트 및 제8프라이머-프로브 세트를 하나의 조성물로 포함하고,
상기 제9프라이머-프로브 세트, 제10프라이머-프로브 세트 및 제11프라이머-프로브 세트를 하나의 조성물로 포함하고,
상기 제12프라이머-프로브 세트, 제13프라이머-프로브 세트, 제14프라이머-프로브 세트 및 제15프라이머-프로브 세트를 하나의 조성물로 포함하는, 한국인의 치주질환 진단용 키트.
According to claim 5,
The first primer-probe set, the second primer-probe set, the third primer-probe set, and the fourth primer-probe set are included in one composition,
The fifth primer-probe set, the sixth primer-probe set, the seventh primer-probe set, and the eighth primer-probe set are included in one composition,
The ninth primer-probe set, the 10th primer-probe set, and the 11th primer-probe set are included in one composition,
A kit for diagnosing periodontal disease in Koreans, comprising the 12th primer-probe set, the 13th primer-probe set, the 14th primer-probe set, and the 15th primer-probe set in one composition.
제6항에 있어서,
서열번호 33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34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51의 프로브 및 서열번호 52의 프로브를 포함하는 제17프라이머-프로브 세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6프라이머-프로브 세트 및 제17프라이머-프로브 세트를 하나의 조성물로 포함하는, 한국인의 치주질환 진단용 키트.
According to claim 6,
A 17th primer-probe set comprising the primer of SEQ ID NO: 33, the primer of SEQ ID NO: 34, the probe of SEQ ID NO: 51, and the probe of SEQ ID NO: 52; further comprising,
A kit for diagnosing periodontal disease in Koreans, comprising the 16th primer-probe set and the 17th primer-probe set in one composition.
KR1020210063096A 2021-05-17 2021-05-17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and kit for diagnosis of periodontal disease in Korean KR1025737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096A KR102573767B1 (en) 2021-05-17 2021-05-17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and kit for diagnosis of periodontal disease in Korean
PCT/KR2021/013289 WO2022244923A1 (en) 2021-05-17 2021-09-29 Method and kit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diagnosis of periodontal disease in korea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096A KR102573767B1 (en) 2021-05-17 2021-05-17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and kit for diagnosis of periodontal disease in Korea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5631A KR20220155631A (en) 2022-11-24
KR102573767B1 true KR102573767B1 (en) 2023-09-01

Family

ID=84140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3096A KR102573767B1 (en) 2021-05-17 2021-05-17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and kit for diagnosis of periodontal disease in Korean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73767B1 (en)
WO (1) WO2022244923A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070B1 (en) 2016-06-28 2017-02-13 (주) 와이디생명과학 Simultaneous detecting composition of multiple oral disease bacteria with multiplex real-time PCR and method thereof
WO2019225732A1 (en) 2018-05-25 2019-11-28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Method for quantifying target nucleic acid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1438A (en) * 2007-07-04 2010-06-07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Microarrays for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of microorganisms associated with periodontal diseases and method for diagnosis of infectious oral diseases using the microarray
KR20100074455A (en) * 2008-12-24 2010-07-02 김연수 Probe for detecting pathogen causing periodontal disease and assay device using thereof
KR101306162B1 (en) * 2011-03-12 2013-09-09 (주)에스엘에스 A Kit for Diagnosing Periodontal Disease
KR101385733B1 (en) * 2011-03-29 2014-04-29 (주)바이오니아 Primers for detecting bacteria related to oral infectious diseases and use thereof
KR20150129484A (en) * 2014-05-12 2015-11-20 휴스텝스 주식회사 Primers and Probes for detecting bacteria related to periodontal desease and method of detecting the same and use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070B1 (en) 2016-06-28 2017-02-13 (주) 와이디생명과학 Simultaneous detecting composition of multiple oral disease bacteria with multiplex real-time PCR and method thereof
WO2019225732A1 (en) 2018-05-25 2019-11-28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Method for quantifying target nucleic acids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Front Cell Infect Microbiol,11:602643. (2021.05.10.)*
Periodontol 2000,85(1):182-209. (2020.11.23.)*
Periodontol 2000,86(1):57-78. (2021.03.1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44923A1 (en) 2022-11-24
KR20220155631A (en) 2022-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 et al. Genetic profiling of the oral microbiota associated with severe early-childhood caries
Guerrero et al. A novel insertion element from Mycobacterium avium, IS1245, is a specific target for analysis of strain relatedness
Ishii et al. Applications of the rep‐PCR DNA fingerprinting technique to study microbial diversity, ecology and evolution
Dewhirst et al. The feline oral microbiome: a provisional 16S rRNA gene based taxonomy with full-length reference sequences
Kazor et al. Diversity of bacterial populations on the tongue dorsa of patients with halitosis and healthy patients
Cloeckaert et al. Classification of Brucella strains isolated from marine mammals by infrequent restriction site-PCR and development of specific PCR identification tests
Haddad et al. Molecular differentiation of Mycobacterium bovis isolates. Review of main techniques and applications
Petersen et al. A PCR‐DGGE method for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of Campylobacter, Helicobacter, Arcobacter and related Epsilobacteria and its application to saliva samples from humans and domestic pets
Siqueira Jr et al. Direct amplification of rRNA gene sequences for identification of selected oral pathogens in root canal infections
Clark et al. Geographical and genospecies distribution of Borrelia burgdorferi sensu lato DNA detected in humans in the USA
Rôças et al. Oral treponemes in primary root canal infections as detected by nested PCR.
Nadkarni et al. Pattern of distribution of Prevotella species/phylotypes associated with healthy gingiva and periodontal disease
Hiyari et al. Dental diagnostics: molecular analysis of oral biofilms
Mashima et al. The distribution and frequency of oral Veillonella spp. in the tongue biofilm of healthy young adults
Rôças et al. Detection of novel oral species and phylotypes in symptomatic endodontic infections including abscesses
Tawfik et al. Illumina MiSeq sequencing for preliminary analysis of microbiome causing primary endodontic infections in Egypt
Mashima et al. Identification of Veillonella tobetsuensis in tongue biofilm by using a species-specific primer pair
Gomes et al. Identification of culturable and nonculturable microorganisms, lipopolysaccharides, and lipoteichoic acids from root canals of teeth with endodontic failure
Byrne et al. Methods for detecting mycobacterial mixed strain infections–a systematic review
Qasem et al. Characterization and evaluation of an arbitrary primed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product for the specific detection of Brucella species
KR101794640B1 (en) Primer and probe for real time detecting microorganism associated with oral disease and real time pcr method using the same
Bedir et al. Simultaneous detection and differentiation of pathogenic and nonpathogenic Leptospira spp. by multiplex real-time PCR (TaqMan) assay
Su et al. Establishment of the molecular beacon-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method for the rapid detection of Porphyromonas gingivalis
Hayashi et al. PCR detection of Capnocytophaga species in dental plaque samples from children aged 2 to 12 years
KR102573767B1 (en)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and kit for diagnosis of periodontal disease in Kore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