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3346B1 - 다층구조를 갖는 침구 - Google Patents

다층구조를 갖는 침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3346B1
KR102573346B1 KR1020220114881A KR20220114881A KR102573346B1 KR 102573346 B1 KR102573346 B1 KR 102573346B1 KR 1020220114881 A KR1020220114881 A KR 1020220114881A KR 20220114881 A KR20220114881 A KR 20220114881A KR 102573346 B1 KR102573346 B1 KR 102573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ding
internal
user
members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4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정훈
강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케이렌탈솔루션
강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케이렌탈솔루션, 강태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케이렌탈솔루션
Priority to KR1020220114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33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3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33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45Pillows shaped a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e.g. dolls, sound equipments, ba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다른 경도의 내부부재들이 외피 내부에 적층되며, 사용자가 내부부재들의 적층 순서를 임의로 변경하여 신체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상부 내부부재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경도로 침구의 경도를 변경할 수 있으며, 내부부재들 사이에 넓은 면적의 연결판들이 각각 설치되어 사용자의 하중이 상부에서 하부로 전달될 때, 하중의 전달이 넓은 면적에서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일부 지점에 집중된 하중에 의해 침구의 높이가 급격히 낮아지거나, 내부부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침구의 외피 내부에 복수개의 탄성체들이 설치되어 외피가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압축될 때, 탄성반발력에 의해 외피를 사용자의 하중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가압해줌으로써 내부부재들의 압축량을 감소시켜 침구의 높이가 급격히 변형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강한 충격에 의해 내부부재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다층구조를 갖는 침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층구조를 갖는 침구{Bedding with a multi-layer structure}
본 발명은 다층구조를 갖는 침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로는 침구의 외피 내부에 서로 다른 경도의 내부부재들이 적층되며, 적층된 내부부재들의 설치위치를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신체와 접촉되는 부분의 경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다층구조를 갖는 침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베개는 사용자의 수면 시, 신체를 지지하여 안정감 및 안락함을 동시에 주기 위해 사용된다.
이때 베개는 높이가 높거나 경도가 높을 경우, 사용자의 목 근육이 긴장되어 혈액순환을 방해하거나 경추가 꺽이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베개는 경도가 낮을 경우, 베개의 높이 낮아서 안락한 느낌을 줄 수 있지만 사용자의 두부와 목 부분이 베개에 지나치게 파묻혀 경추의 형태가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베개 사용자의 목, 어깨 또는 승모근 등에 피로를 주고, 척추나 경추의 왜곡을 유발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등록특허 제10-2136495호(발명의 명칭 : 기능성 베개)가 개발되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분해사시도이다.
종래기술(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베개커버(110)와, 제2 베개커버(120), 결합부(130)로 이루어진다.
제1 베게커버(110)는 내부 공간이 저섬도인 경질의 충전재가 충진되어 사용자가 신체를 지지할 때, 안정감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구성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제2 베개커버(120)는 내부 공간이 고섬도인 연질의 충전재가 충진되어 사용자가 신체를 지지할 때, 사용자의 머리 또는 어깨 부분을 부드럽게 감싸는 느낌을 주어 편안함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결합부(130)는 제1 베개커버(110) 및 제2 베개커버(120)의 사이에 형성되며, 제1 베개커버(110)와 제2 베개커버(120)를 결합한다.
이러한 종래기술(100)은 사용자의 신체와 직접 접촉하는 제2 베개커버(120)의 내부에 연질의 충전재가 충진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머리, 목, 어깨 부분의 곡선의 압력을 대부분 흡수하여 편안함과 안락함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종래기술(100)은 제1 베개커버(110)의 내부에 경질의 충전재가 충진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머리, 목, 어깨의 형상과는 무관하게 지지력을 유지하여 안정감 및 편안함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종래기술(100)은 제2 베개커버(120)의 내부에 충진되는 충진재를 교체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 및 경도로 변경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100)은 제2 베개커버(120)의 경도 및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내부에 충진되는 충진재(메모리폼, 라텍스 등)를 변경해야 되기 때문에 별도의 충진재를 추가로 구매해야 되며, 이로 인해 비용이 추가될 뿐만 시간이 추가로 소모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종래기술(100)은 다양한 높이 및 경도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복수개의 충진재들이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사용 중인 충진재를 제외한 다른 충진재들을 보관하기 위한 장소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미사용 중인 충진재를 주기적으로 관리해야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서로 다른 경도의 내부부재들이 외피 내부에 적층되며, 사용자가 내부부재들의 적층 순서를 임의로 변경하여 신체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상부 내부부재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경도로 침구의 경도를 변경할 수 있는 다층구조의 침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내부부재들 사이에 넓은 면적의 연결판들이 각각 설치되어 사용자의 하중이 상부에서 하부로 전달될 때, 하중의 전달이 넓은 면적에서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일부 지점에 집중된 하중에 의해 침구의 높이가 급격히 낮아지거나, 내부부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침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침구의 외피 내부에 복수개의 탄성체들이 설치되어 외피가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압축될 때, 탄성반발력에 의해 외피를 사용자의 하중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가압해줌으로써 내부부재들의 압축량을 감소시켜 침구의 높이가 급격히 변형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강한 충격에 의해 내부부재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침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외피부재; 서로 다른 경도를 가지며, 상기 외피부재의 내부에 적층되는 내부부재들;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내부부재들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연결판들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부재들은 모서리들과 인접한 위치에 탄성체 삽입공들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외피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탄성체 삽입공들 내부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내부부재들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상하단부가 외피부재의 상하면과 접촉되는 탄성체들이 설치되고, 상기 탄성체들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평판 형상의 접촉판이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들은 설치 시, 상기 접촉판들이 상기 내부부재들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들 중 하나에 배치되어 상기 연결판들 중 하나와 결합되는 것이다.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탄성체들은 서로 인접하게 설치된 탄성체와 접촉판들의 설치 높이가 다르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탄성체들은 접촉판의 일면에 상기 연결판의 모서리들 중 하나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와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다른 경도의 내부부재들이 외피 내부에 적층되며, 사용자가 내부부재들의 적층 순서를 임의로 변경하여 신체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상부 내부부재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경도로 침구의 경도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부재들 사이에 넓은 면적의 연결판들이 각각 설치되어 사용자의 하중이 상부에서 하부로 전달될 때, 하중의 전달이 넓은 면적에서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일부 지점에 집중된 하중에 의해 침구의 높이가 급격히 낮아지거나, 내부부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침구의 외피 내부에 복수개의 탄성체들이 설치되어 외피가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압축될 때, 탄성반발력에 의해 외피를 사용자의 하중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가압해줌으로써 내부부재들의 압축량을 감소시켜 침구의 높이가 급격히 변형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강한 충격에 의해 내부부재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침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단면예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외피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내부부재들 및 연결판들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연결판이 설치된 침구의 하중 분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제2 실시예인 제2 침구의 단면예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제2 탄성체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침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단면예시도이다.
침구(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부재(11)와, 외피부재(11)의 내부에 삽입되며 서로 다른 경도를 갖는 내부부재(12)들, 내부부재(12)들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연결판(13)들, 외피부재(11)의 내부에 설치되는 탄성체(14)로 이루어진다.
이때 침구(1)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부재(11)의 내부에 내부부재(12)들이 3개, 연결판(13)들이 2개 삽입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내부부재(12)들 및 연결판(13)들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내부부재(12)들의 개수가 n개일 때, 연결판(13)들의 개수가 n-1개로 이루어진다.
도 4는 도 2의 외피부재의 사시도이다.
외피부재(1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이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내부부재(12)들 및 연결판(13)들이 삽입되도록 구성되며, 개구된 면을 폐쇄하기 위한 커버(111)가 추가로 연결된다.
이때 외피부재(11)는 내부에 내부부재(12)들 및 연결판(13)들이 삽입되면, 내부에 삽입된 내부부재(12)들의 형상에 의해 직사각형 형상으로 변형된다
또한 외피부재(11)는 개구된 면 및 커버(111)에 결속수단(112)이 설치된다.
이때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결속수단(112)이 지퍼(zipper)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결속수단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벨크로(velcro), 단추 등 다양한 종류의 결속수단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침구(1)의 형상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침구(1)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내부에 삽입되는 내부부재(12)들의 형상에 의해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는 내부부재들 및 연결판들의 사시도이다.
내부부재(12)들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모서리에 탄성체(14)들이 삽입되는 탄성체 삽입공(121)들이 형성된다.
또한 내부부재(12)들은 서로 다른 경도를 갖는다.
이때 내부부재(12)들은 메모리폼, 파이프칩, 폴리에스테르, 라텍스 등 다양한 경도의 재질들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내부부재(12)들은 전술하였던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부재(11)의 내부에 적층된 상태로 삽입된다.
이때 내부부재(12)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배치된 내부부재를 하부 내부부재(12a), 중간에 배치된 내부부재를 중간 내부부재(12b), 상부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신체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내부부재를 상부 내부부재(12c)라고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이러한 침구(1)는 사용자의 신체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내부부재(12)가 상부 내부부재(12c)로 한정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내부부재(12)들의 적층 순서를 조절하여 상부 내부부재(12c)에 적절한 경도의 내부부재(12)를 적층시킴으로써 침구(1)의 쿠션감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내부부재(12)들의 적층 순서를 변경하여 침구(1)의 쿠션감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연결판(13)들은 내부부재(12)들과 대응되는 형상의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부재(12)들 사이에 각각 설치된다. 이때 연결판(13)들은 내부부재(12)들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되며, 내부부재(12)들보다 높은 강도를 가진다.
이때 연결판(13)들은 내부부재(12)들 사이에서 사용자의 하중이 전달될 때, 중간 내부부재(12b) 및 하부 내부부재(12c)에 하중이 고르게 분산되어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내부부재(12)들의 압축량을 제어한다.
이때 연결판(13)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내부부재(12a)와 중간 내부부재(12b)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판을 하부 연결판(13a), 중간 내부부재(12b)와 상부 내부부재(12c)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판을 상부 연결판(13b)이라고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이러한 연결판(13)들은 상부 내부부재(12c)가 사용자의 신체 하중에 의해 하향 가압될 때, 상부 연결판(13b)이 상부 내부부재(12c)에 가해진 힘을 흡수하며, 흡수된 힘을 상부 연결판(13b)의 면적만큼 분산되어 중간 내부부재(12b)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침구(1)가 사용자의 신체 하중에 의해 가압될 때, 신체 하중이 일부 지점에 집중되어 침구(1)의 높이가 크게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중의 집중에 의해 내부부재(12)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탄성체(14)들은 전술하였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부재(11)의 내부에 탄성체 삽입공(121)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되며, 양단부가 각각 외피부재(11)의 상하면과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탄성체(14)들은 기존에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탄성체들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체(14)들은 침구(1)의 상면이 사용자의 신체에 의해 가압될 때, 탄성복원력에 의해 외피부재(11)의 상면을 상향 가압해줌으로써 침구(1)의 높이가 과도하게 감소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외피부재(11) 내부에 삽입된 내부부재(12)들 및 연결판(13)들의 일부 지점에 집중된 압력을 분산시켜 내부부재(12)들 및 연결판(13)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연결판이 설치된 침구의 하중 분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침구(1)는 가장 낮은 경도의 내부부재가 상부 내부부재(12c)로 설정될 경우,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하부로 깊숙이 파고들게 되며, 상부 내부부재(12c)에 의해 흡수되지 못한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중간 내부부재(12b) 및 하부 내부부재(12a)가 압축되어 침구(1)의 전체적인 높이가 낮아지게 된다.
특히, 침구(1)는 사용자의 신체에 의해 직접적으로 가압되는 지점에서 내부부재(12)들의 압축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신체가 실제 침구(1)의 높이보다 훨씬 낮은 높이에 배치되어 불편함을 겪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침구(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부재(12)들 사이에 연결판(13)들이 설치되며, 연결판(13)들에 의해 상부 내부부재(12c)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이 중간 내부부재(12b) 및 하부 내부부재(12a)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연결판(13)들의 면적만큼 분산되어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침구(1)는 신체에 의해 내부부재(12)들이 하부로 가압될 때, 탄성체(14)들이 탄성복원력에 의해 외피부재(11)의 상면을 상향으로 가압함으로써 하중이 큰 물체가 지지될 때, 내부부재(12)들 및 연결판(13)들이 하중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부재(12)들의 압축량을 감소시켜 침구(1)의 높이 변화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침구(1)는 사용자가 외피부재(11)에 내부부재(12)들을 삽입할 때, 원하는 경도의 내부부재를 상부에 배치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침구(1)의 경도를 임의로 변경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경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침구(1)는 하중이 상부에서 하부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내부부재(12)들 사이에 설치된 연결판(13)들에 의해 하중이 분산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내부부재(12)들의 일부지점에 하중이 집중되어 내부부재의 파손 및 과도한 압축에 의한 높이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침구(1)는 상면이 가압될 때, 외피부재(11)의 내부에 설치된 탄성체(14)들이 탄성반발력에 의해 가압된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외피부재(11)의 내부에 삽입된 내부부재(12)들이 하중에 의해 과도하게 압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도 2의 제2 실시예인 제2 침구의 단면예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제2 탄성체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7의 분해사시도이다.
제2 침구(2)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외피부재(21), 제2 내부부재(22)들, 제2 연결판(23)들, 제2 탄성체(24)들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2 침구(2)의 제2 외피부재(21)는 도 2의 외피부재(11)와 동일한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2 내부부재(22)들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되, 모서리와 인접한 위치에 탄성체 삽입공(221)들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탄성체 삽입공(221)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 내부부재(22)들의 모서리들과 인접한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탄성체 삽입공(221)들의 설치 위치 및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위치 및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내부부재(22)들은 설치 시, 탄성체 삽입공(221)들 내부에 제2 탄성체(24)들이 각각 삽입된다.
제2 탄성체(24)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41)와, 탄성부재(242)로 이루어진다.
케이스(241)는 탄성재질로 제작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탄성부재(242)가 삽입된다.
또한 케이스(241)의 외주면에는 케이스(241) 높이의 약 1/3인 지점에 판재 형상의 접촉판(2411)이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때 접촉판(2411)은 케이스(241) 높이의 약 1/3인 지점에 형성되기 때문에 설치 시, 접촉판(2411)이 하부에 배치되도록 설치될 경우에는 접촉판(2411)의 상하면이 하부 내부부재(22a)의 상면 및 중간 내부부재(22b)의 하면과 접촉되며, 접촉판(2411)이 상부에 배치되도록 설치될 경우에는 상부 내부부재(22c)의 하면 및 중간 내부부재(22b)의 상면과 접촉된다.
또한 접촉판(2411)의 일면에는 연결판(23)의 모서리와 결합되는 결합홈(241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탄성체(24)들은 제2 외피부재(21)의 내부에 설치 시, 3개의 내부부재(22)들 중 인접한 두 개의 내부부재 사이에 접촉판(2411)이 배치되도록 설치되며, 결합홈(2412)에 연결판(23)들이 삽입되어 연결판(23)들과 탄성체(24)들이 일체로 결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2 외피부재(21)의 상면이 가압될 때, 제2 외피부재(21)의 상면을 상향 가압할 뿐만 아니라, 접촉판(2411)들과 연결된 연결판(23)들이 가압될 때, 탄성부재(242)들의 탄성반발력에 의해 연결판(23)들을 상향 가압해줌으로써 내부부재(22)들의 압축량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제2 침구(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부재(22)들 사이에 외피부재(23)들이 각각 배치되도록 외피부재(21)의 내부에 적층되며, 탄성체 삽입공(221)들 내부에 제2 탄성체(24)들이 각각 삽입된다.
이때 제2 탄성체(24)들 중 접촉판(2411)이 하부에 배치되도록 설치된 제2 탄성체(24)들은 접촉판(2411)이 하부 연결판(23a)과 결합되며, 제2 탄성체(24)들 중 접촉판(2411)이 상부에 배치되도록 설치된 제2 탄성체(24)들은 접촉판(2411)이 상부 연결판(23b)들과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2 침구(2)는 제2 탄성체(24)들이 외피부재(21)의 상면뿐만 아니라, 연결판(23)들과 연결되어 탄성반발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연결판(23)들에 하중이 가해지는 압력을 탄성반발력에 의해 감소시켜 침구의 높이 변화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1 : 침구 11 : 외피부재
111 : 커버 112 : 결속수단
12 : 내부부재 121 : 탄성체 삽입공
13 : 연결판 14 : 탄성체
2 : 제2 침구 21 : 제2 외피부재
22 : 제2 내부부재 23 : 제2 연결판
24 : 제2 탄성체 241 : 케이스
242 : 탄성부재

Claims (5)

  1. 외피부재;
    서로 다른 경도를 가지며, 상기 외피부재의 내부에 적층되는 내부부재들;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내부부재들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연결판들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부재들은
    모서리들과 인접한 위치에 탄성체 삽입공들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외피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탄성체 삽입공들 내부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내부부재들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상하단부가 외피부재의 상하면과 접촉되는 탄성체들이 설치되고,
    상기 탄성체들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평판 형상의 접촉판이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들은
    설치 시, 상기 접촉판들이 상기 내부부재들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들 중 하나에 배치되어 상기 연결판들 중 하나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를 갖는 침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들은
    서로 인접하게 설치된 탄성체와 접촉판들의 설치 높이가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를 갖는 침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들은
    접촉판의 일면에 상기 연결판의 모서리들 중 하나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를 갖는 침구.
KR1020220114881A 2022-09-13 2022-09-13 다층구조를 갖는 침구 KR102573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4881A KR102573346B1 (ko) 2022-09-13 2022-09-13 다층구조를 갖는 침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4881A KR102573346B1 (ko) 2022-09-13 2022-09-13 다층구조를 갖는 침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3346B1 true KR102573346B1 (ko) 2023-09-01

Family

ID=87975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4881A KR102573346B1 (ko) 2022-09-13 2022-09-13 다층구조를 갖는 침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334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868Y1 (ko) * 2005-11-07 2006-03-15 주식회사 태평양의료기 침구류의 지압구조
KR101861334B1 (ko) * 2016-04-15 2018-05-28 주식회사 미엘 다기능성 베개
JP2019047888A (ja) * 2017-09-08 2019-03-28 株式会社タチエス ブロックマ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マッ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868Y1 (ko) * 2005-11-07 2006-03-15 주식회사 태평양의료기 침구류의 지압구조
KR101861334B1 (ko) * 2016-04-15 2018-05-28 주식회사 미엘 다기능성 베개
JP2019047888A (ja) * 2017-09-08 2019-03-28 株式会社タチエス ブロックマ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マッ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7670B2 (en) Pillow top for a cushion
EP2932871B1 (en) Support cushion
US6866915B2 (en) Cushion
US6061856A (en) Mattress
US20110252572A1 (en) Multi-layer multi-material foam mattresses
US20130269114A1 (en) Modular Mattress Assembly
JP2004504864A (ja) 撓み軽減ベッド構造
JP2004523323A (ja) マットレス
CA2666268A1 (en) A mattress
US6003178A (en) Anatomic mattress
KR20190028159A (ko) 스폰지를 이용한 매트리스
KR102573346B1 (ko) 다층구조를 갖는 침구
JP5404148B2 (ja) 寝返りしやすい枕及びその使用方法
KR200355685Y1 (ko) 다층구조 매트리스
CN209733204U (zh) 组合床垫
TWI603695B (zh) 床墊結構
CN217658947U (zh) 护肩床垫及床
CN218899090U (zh) 双面双睡感睡枕
CN219306384U (zh) 释压舒眠床垫
CN214103930U (zh) 太空记忆棉复合材料床垫
KR200302222Y1 (ko) 척추보호용 매트리스
US11744383B2 (en) Mattress
CN109619904B (zh) 组合床垫
KR102285166B1 (ko) 매트리스
CN219661320U (zh) 一种无分区床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