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2863B1 - 채수 장치 - Google Patents

채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2863B1
KR102572863B1 KR1020220166130A KR20220166130A KR102572863B1 KR 102572863 B1 KR102572863 B1 KR 102572863B1 KR 1020220166130 A KR1020220166130 A KR 1020220166130A KR 20220166130 A KR20220166130 A KR 20220166130A KR 102572863 B1 KR102572863 B1 KR 102572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ampling
sampling device
water
opening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6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현
이상민
박현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투네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투네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투네이션
Priority to KR1020220166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28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64C2201/12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채수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복수의 중공부; 상기 복수의 중공부에 삽입되는 복수의 채수통 및 상기 복수의 채수통에 각각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채수통에 각각 와이어로 연결된 복수의 도르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도르래는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구동부는 상기 복수의 채수통을 별개로 제어한다.

Description

채수 장치{WATER SAMPLING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드론에 설치된 채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항공 기술의 급격한 발전에 따라 최근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는 드론의 경우, 수질 검사 등 다양한 목적을 위해 드론을 이용한 채수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다만 일반적으로 드론에 장착된 채수 장치의 경우, 채수 장치의 크기에 비해 채수할 수 있는 양이 적고, 비행 한번으로 한 위치 및 한 수심만 채수가 가능한 문제가 있다.
또한 드론에서 채수 장치를 탈거할 때 도구를 사용해야 하는 등 드론에 채수 장치를 탈부착시 도구를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펌프를 이용하여 채수 작업을 진행할 경우, 채수된 시료가 펌프 관을 통해 통에 담기는데, 그 과정에서 시료가 오염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문제점들이 해결되는 채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수 장치는, 복수의 중공부; 상기 복수의 중공부에 삽입되는 복수의 채수통 및 상기 복수의 채수통에 각각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채수통에 각각 와이어로 연결된 복수의 도르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도르래는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구동부는 상기 복수의 채수통을 별개로 제어한다.
상기 복수의 구동부는 각각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와 상기 도르래는 와이어로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채수통과 연결되고, 상기 모터가 구동되면 상기 채수통의 상하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채수 장치를 상기 드론에 고정시키는 채수 장치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채수 장치 고정부는 끝단부에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를 통해 상기 드론에 걸림 결합되고, 상기 채수 장치 고정부는, 상기 채수 장치의 측면에 배치된 고정부 삽입부와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채수 장치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채수통이 상기 중공부에 삽입된 상태일 경우 상기 중공부의 하단부를 폐쇄하고, 상기 채수통의 채수 작업시 상기 중공부의 하단부를 개방하는 개폐부; 및 개폐부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개폐부를 회전 이동시켜 상기 중공부의 개폐작업을 수행하는 개폐부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수통은, 본체; 상기 본체의 상측부를 밀폐하는 뚜껑; 상기 뚜껑에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가 결합되는 와이어 연결부;및 상기 본체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채수통을 개폐하는 채수통 하단 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수 장치는, 네개의 중공부를 가진 채수 공간을 마련하고, 채수 장치의 대부분의 공간을 채수 수용 공간으로 채울 수 있어, 채수 수용 공간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수 장치는, 복수 개의 채수 공간이 마련되어 있어, 비행 한번으로 여러 위치 및 수심에서의 채수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수 장치는, 절곡부를 가진 고정부 형상을 통해 드론에 걸림 결합된 채수 장치를 손쉽게 탈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수 장치는, 채수통의 하단부에 마련된 채수통 하단 개폐부를 통해 채수를 할 수 있어, 펌프를 사용하지 않고 채수가 가능하여 채수된 시료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수 장치가 드론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수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채수 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A-A'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채수 장치의 하단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채수통 구조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의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의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채수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수 장치가 드론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수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채수 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A-A'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채수 장치의 하단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채수통 구조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수 장치(10)는, 드론(D)에 설치될 수 있다. 드론(D)의 하단부에 설치된 채수 장치(10)를 통해 드론(D)의 비행시 시료 채수가 필요한 여러 위치 및 수심에서 시료를 채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채수 장치는, 복수의 중공부(h), 복수의 중공부에 삽입되는 복수의 채수통(500), 복수의 채수통에 각각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복수의 채수통에 각각 와이어로 연결된 복수의 도르래(400)를 포함하고, 복수의 도르래는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구동부(100)를 포함하고, 복수의 구동부는 복수의 채수통(500)을 별개로 제어할 수 있다.
일반적인 드론 채수 장치의 경우 하나의 채수 공간만 존재하여 드론의 한번의 비행시 한 시료만 채수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채수통을 위한 복수의 구동부가 각각 배치되어 있고, 각각의 구동부의 별개 제어를 통해 각 채수통의 상하 운동이 별개로 수행됨으로써, 드론의 한번의 비행에서도 복수의 중공부(h)에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채수통(500)을 통해 다양한 위치 및 수심에서 서로 다른 샘플 시료를 채수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시료 채수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채수 장치를 형성하는 네 개의 중공부에 채수 장치의 대부분의 부피를 차지하는 네 개의 채수통이 배치되어 있어, 채수 장치 대비 채수 용량 비율이 상당히 높아, 채수 장치(10)가 채수되는 용량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채수통(500)은 도르래(400)와 와이어(w)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와이어(w)는 도르래(400) 및 채수 장치(10)의 외측면부에 형성된 구동부(100) 내부의 모터(110)에 권취되어 있다. 모터(110)의 일방향 구동에 따라 와이어(w)가 풀리면, 중공부(h)의 내면부에 배치된 도르래(400)에 감겨져있던 와이어가 풀리면서 채수통(500)이 하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반대로 모터(110)의 타방향 구동에 따라 와이어(w)가 감기면, 중공부(h)의 내면부에 배치된 도르래(400)에 감겨져있던 와이어(w)가 감기면서 채수통(500)이 상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모터(110)는 브러쉬리스 모터로 형성될 수 있다. 브러쉬리스 모터를 통해 모터의 용적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모터로 인한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채수 장치(10)는, 채수 장치(10)를 드론(D)에 고정시키는 채수 장치 고정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채수 장치 고정부(300)는 끝단부에 절곡부가 형성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절곡부를 통해 드론(D)에 걸림결합될 수 있다. 이때 채수 장치 고정부(300)는, 채수 장치(10)의 외측면부에 배치된 고정부 삽입부(310)와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드론(D)과 채수 장치(10)의 결합시에는, 고정부 삽입부(310) 내부에 삽입된 채수 장치 고정부(300)를 상측 방향으로 끄집어 낸 후, 채수 장치 고정부(300) 상측 끝단부에 형성된 절곡부를 이용하여 드론(D)의 하단부에 걸림 결합시킴으로써 채수 장치(10)를 드론(D)에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드론(D)의 채수 장치(10)의 채수가 완료된 후에는, 채수 장치 고정부(300)에 외력을 가하여 드론(D)의 하단부와의 걸림 결합을 해제한 후, 채수 장치 고정부(300)를 다시 고정부 삽입부(310) 내부로 삽입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절곡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채수 장치 고정부(30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약간의 외력만을 이용하여 채수 장치(10)를 드론(D)에 걸림 결합시키거나, 걸림 결합을 해제할 수 있어, 채수 장치(10)를 드론(D)에 손쉽게 탈부착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채수 장치(1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채수통(500)이 중공부(h)에 삽입된 상태일 경우 중공부(h)의 하단부를 폐쇄하고, 채수통(500)의 차수 작업시 중공부(h)의 하단부를 개방하는 개폐부(220) 및 개폐부 회전축(210)을 중심으로 개폐부(220)를 회전 이동시켜 중공부(h)의 개폐 작업을 수행하는 개폐부 구동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폐부 구동부(200)는 채수 장치(10)의 하단 외측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개폐부 구동부(200)는 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부 구동부(200)가 구동되면, 개폐부 구동부(200)와 연결된 개폐부 회전축(210)이 회전 이동되고, 개폐부 회전축(210)이 회전 이동됨에 따라 개폐부 회전축(210)과 결합된 개폐부(220)가 회전이동되면서 중공부(h)의 하단부를 개폐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채수통(500)은, 본체(510), 본체의 상측부를 밀페하는 뚜껑(520), 뚜껑에 형성되고, 와이어가 결합되는 와이어 연결부(530) 및 본체(51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채수통을 개폐하는 채수통 하단 개폐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채수통 하단 개폐부(540)는, 시료 채수시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채수통 하단부를 개방함으로써 시료 채수가 가능토록 할 수 있다. 또한 시료 채수가 완료된 후에는 다시 상측으로 이동하여 채수통의 하단부를 폐쇄함으로써 채수통 내부에 채수된 시료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순한 개폐 작업 만으로도 시료 채수가 가능토록 함으로써, 펌프를 사용한 복잡한 구조를 통한 채수 작업 대비 시료의 오염도가 획기적으로 줄어들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D: 드론
10: 채수 장치
100: 구동부
110: 모터
w: 와이어
200: 개폐부 구동부
210: 개폐부 회전축
220: 개폐부
300: 채수 장치 고정부
310: 고정부 삽입부
400: 도르래부
500: 채수통
510: 본체
520: 뚜껑
530: 와이어 연결부
540: 채수통 하단 개폐부
h: 중공부

Claims (5)

  1. 드론에 설치되는 채수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중공부;
    상기 복수의 중공부에 삽입되는 복수의 채수통 및
    상기 복수의 채수통에 각각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채수통에 각각 와이어로 연결된 복수의 도르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도르래는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구동부는 상기 복수의 채수통을 별개로 제어하고,
    상기 채수 장치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채수통이 상기 중공부에 삽입된 상태일 경우 상기 중공부의 하단부를 폐쇄하고, 상기 채수통의 채수 작업시 상기 중공부의 하단부를 개방하는 개폐부; 및
    개폐부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개폐부를 회전 이동시켜 상기 중공부의 개폐작업을 수행하는 개폐부 구동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채수통이 삽입되는 중공부는 상기 채수 장치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둘레 방향을 따라 네 개의 중공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폐부 구동부는 상기 채수 장치의 측면에서 상기 네 개의 중공부 사이에 배치되고, 채수 장치의 측면에서 네 개의 중공부를 향해 돌출 형성된 개폐부 회전축을 따라 개폐부를 90˚만큼 각각 회전 이동시켜 네 개의 중공부를 각각 개폐하는 채수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동부는 각각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와 상기 도르래는 와이어로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채수통과 연결되고,
    상기 모터가 구동되면 상기 채수통의 상하 운동이 이루어지는 채수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채수 장치를 상기 드론에 고정시키는 채수 장치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채수 장치 고정부는 끝단부에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를 통해 상기 드론에 걸림 결합되고,
    상기 채수 장치 고정부는, 상기 채수 장치의 측면에 배치된 고정부 삽입부와 슬라이딩 결합되는 채수 장치.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채수통은,
    본체;
    상기 본체의 상측부를 밀폐하는 뚜껑;
    상기 뚜껑에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가 결합되는 와이어 연결부;및
    상기 본체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채수통을 개폐하는 채수통 하단 개폐부를 포함하는 채수 장치.
KR1020220166130A 2022-12-01 2022-12-01 채수 장치 KR102572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6130A KR102572863B1 (ko) 2022-12-01 2022-12-01 채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6130A KR102572863B1 (ko) 2022-12-01 2022-12-01 채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2863B1 true KR102572863B1 (ko) 2023-08-31

Family

ID=87847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6130A KR102572863B1 (ko) 2022-12-01 2022-12-01 채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286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0672B1 (ko) * 2018-11-27 2019-03-26 대한민국 채수기
CN210465014U (zh) * 2019-08-14 2020-05-05 江苏江达生态科技有限公司 一种无人机水质采样装置
CN111551401A (zh) * 2020-06-04 2020-08-18 同济大学 一种多点取样装置及搭载该多点取样装置的无人机
CN111751161A (zh) * 2019-03-28 2020-10-09 广东贝源检测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无人机地表水的水质采样装置及采样方法
KR102212387B1 (ko) * 2019-03-26 2021-02-04 (주) 아이렘기술개발 원격 수질 모니터링을 위한 채수장치
JP2021071445A (ja) * 2019-11-01 2021-05-06 国立大学法人 長崎大学 赤潮検査システム及び赤潮検査方法
CN213974465U (zh) * 2020-10-13 2021-08-17 北京林业大学 一种模块化取样无人机连接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0672B1 (ko) * 2018-11-27 2019-03-26 대한민국 채수기
KR102212387B1 (ko) * 2019-03-26 2021-02-04 (주) 아이렘기술개발 원격 수질 모니터링을 위한 채수장치
CN111751161A (zh) * 2019-03-28 2020-10-09 广东贝源检测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无人机地表水的水质采样装置及采样方法
CN210465014U (zh) * 2019-08-14 2020-05-05 江苏江达生态科技有限公司 一种无人机水质采样装置
JP2021071445A (ja) * 2019-11-01 2021-05-06 国立大学法人 長崎大学 赤潮検査システム及び赤潮検査方法
CN111551401A (zh) * 2020-06-04 2020-08-18 同济大学 一种多点取样装置及搭载该多点取样装置的无人机
CN213974465U (zh) * 2020-10-13 2021-08-17 北京林业大学 一种模块化取样无人机连接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9276B1 (ko) 수질검사를 위한 채수 장치
JP7408719B2 (ja) サンプリング装置
CN114459822B (zh) 一种无人船水质采样机构
RU2338172C2 (ru) Пробоотборник и способ для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анализирующего устройства
ES2533729T3 (es) Tubo de ensayo mejorado para la recogida, transporte y extracción de muestras fecales
JP5124652B2 (ja) 分子および病理診断のための組織安定化用容器システム
KR102354032B1 (ko) 오토 샘플러
KR102572863B1 (ko) 채수 장치
US9389221B2 (en) Apparatus for processing biological samples
US20210095561A1 (en) System and method for sampling formation fluid
CN1291157A (zh) 塑料容器的可拆卸封口装置
CN101128263A (zh) 具有促动入口的生物样本容器盖子
US20210270860A1 (en) Reagent storage device, reagent storage method, and shutter
CN110074825A (zh) 一种外带口腔材料取样工具
EP2868377A1 (en) Cartridge for stirring and dispensing a fluid, automatic analyzer and method of analyzing a biological sample
CN205933798U (zh) 一种自动混匀提取仪
US20210353270A1 (en) Tissue sample collection assembly and related methods
CN216367533U (zh) 一种生物实验室用生物试剂混合装置
CN117147237B (zh) 一种无人机携带的水质分析用取样装置
KR200477177Y1 (ko) 마스카라 캡핑장치
KR20230068908A (ko) 케미컬 자동 샘플링 시스템
CN109606774B (zh) 含水岩心的包装储存装置及使用方法
CN210071403U (zh) 一种液体取样装置
KR101644143B1 (ko) 혼합액 교반 장치
KR20230068907A (ko) 케미컬 자동 샘플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