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2477B1 - 유연성이 우수한 무산소동 또는 무산소동 합금 로드 - Google Patents

유연성이 우수한 무산소동 또는 무산소동 합금 로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2477B1
KR102572477B1 KR1020230045568A KR20230045568A KR102572477B1 KR 102572477 B1 KR102572477 B1 KR 102572477B1 KR 1020230045568 A KR1020230045568 A KR 1020230045568A KR 20230045568 A KR20230045568 A KR 20230045568A KR 102572477 B1 KR102572477 B1 KR 102572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ygen
free copper
rod
copper alloy
grain bound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5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승현
김상겸
원용희
김지성
김철현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45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24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4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16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wire rods, bars, merchant bars, rounds wire or material of like small cross-section
    • B21B1/18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wire rods, bars, merchant bars, rounds wire or material of like small cross-section in a continuous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1/00Casting non-ferrous metals or metallic compounds so far as their metallurgical properties are of importance for the casting procedure; Selection of compositions therefor
    • B22D21/02Casting exceedingly oxidisable non-ferrous metals, e.g. in inert atmosphere
    • B22D21/025Casting heavy metals with high melting point, i.e. 1000 - 1600 degrees C, e.g. Co 1490 degrees C, Ni 1450 degrees C, Mn 1240 degrees C, Cu 1083 degrees C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00Making non-ferrous alloys
    • C22C1/02Making non-ferrous alloys by mel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9/00Alloys based on cop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연성이 우수한 무산소동 또는 무산소동 합금 로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로드의 신선 및 열처리 후 결정구조의 회복을 통해 신선 이전의 유연성, 가공성 등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는 무산소동 또는 무산소동 합금 로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연성이 우수한 무산소동 또는 무산소동 합금 로드{Rod of oxygen free copper or oxygen free copper alloy having an excellent flexibility}
본 발명은 유연성이 우수한 무산소동 또는 무산소동 합금 로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로드의 신선 및 열처리 후 결정구조의 회복을 통해 신선 이전의 유연성, 가공성 등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는 무산소동 또는 무산소동 합금 로드에 관한 것이다.
구리(Cu) 중에 산소가 있으면 Cu2O와 수소와의 반응으로 H2O를 생성함으로써 수소 취성을 일으키며 내식성도 저하되기 때문에 산소를 약 10 ppm 이하가 되도록 탈산제로 제거한 구리(Cu)를 무산소동(Oxygen-Free Copper; OFC)이라 한다.
최근 전기자동차용 모터의 권선, 태양전지 모듈용 와이어, 변압기용 권선, 해저케이블 등에서 성능과 신뢰성 향상을 위해 무산소동(OFC) 선재가 사용되고 있고, 특히 전기차와 태양광 시장의 성장으로 무산소동(OFC)의 수요 증가가 예상되며, 전자기기의 소형화에 따라 무산소동(OFC) 선재의 세선화가 요구됨으로써 무산소동(OFC)의 유연성, 가공성 등의 향상이 주목되고 있다.
무산소동(OFC) 선재를 제조하는 방법은 코어 로드의 외측 둘레에 무산소동을 고화시켜 연속적으로 압연하는 딥 포밍법, 무산소동 주형을 수직으로 배치하고 주형 내에서 냉각을 통해 고체화한 주괴를 연속적으로 끌어올리는 업 캐스트법, 주조로 측벽에 주형을 수평으로 설치해 주형 내에서 무산소동의 냉각을 통해 고체화한 주괴를 연속적으로 인출하는 횡형 연속 주조법, 종형 연속 용해로(shaft furnace)에서 출탕하는 용융 구리를 휠과 벨트 사이에 구성되는 회전하는 주형 내에 주입하여 냉각을 통해 고체화함으로써 주괴를 제조하고 이를 연속적으로 인출해 그대로 연속 압연하여 선재로 제조하는 벨트&휠식 연속 주조 압연법, 일명 SCR(Southwire Continuous Rod)법 등이 있다.
그러나, 종래 무산소동(OFC) 선재는 세선화를 위한 신선시 가공경화에 의해 유연성, 가공성 등이 크게 저하되고, 신선 후 열처리를 수행해도 결정구조가 회복되지 않아 유연성, 가공성 등이 크게 불충분했다.
따라서, 로드의 신선 및 열처리 후 결정구조의 회복을 통해 신선 이전의 유연성, 가공성 등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는 무산소동 또는 무산소동 합금 로드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로드의 신선 및 열처리 후 결정구조의 회복을 통해 신선 이전의 유연성, 가공성 등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는 무산소동 또는 무산소동 합금 로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아래 수학식 1로 정의되는 로우앵글 결정립계 분율이 0.76 이상인, 무산소동 또는 무산소동 합금 로드를 제공한다.
[수학식 1]
로우앵글 결정립계 분율 = 로우앵글 결정립계 개수 / 총 결정립계 개수
상기 수학식 1에서,
로우앵글 결정립계는 상기 로드의 결정구조에서 인접한 2개의 결정립 각각의 과반수 원자 배열 방향인 방위 사이의 각도가 15°이하인 경우의 상기 2개의 결정립 사이의 결정립계이다.
여기서, 평균 결정립 크기가 1.5 내지 4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산소동 또는 무산소동 합금 로드를 제공한다.
한편, 규격 KSC 3006 및 IEC 60851-3에 준하여 상기 로드를 직경 10배의 맨드릴경에 감아 스프링 모양의 로드 시편을 제조하고, 로드 시편의 일 말단을 고정하고 타 말단에 규정된 하중의 추를 매달고 1분간 유지하여 스프링 시편의 늘어난 길이가 200 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산소동 또는 무산소동 합금 로드를 제공한다.
또한, 규격 IEC 60851에 준하여 상기 로드를 2 내지 5초 사이에 30°각도로 굴곡시킨 후 굴곡을 위해 인가한 힘을 제거시 다시 원상태로 돌아간 각도가 5°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산소동 또는 무산소동 합금 로드를 제공한다.
나아가, 규격 DIN 46453에 준하여 상기 로드에 대해 3-point 굴곡 시험을 수행한 결과 상기 로드가 더 이상 굴곡되지 않는 시점에 인가된 최대하중이 7 kgf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산소동 또는 무산소동 합금 로드를 제공한다.
한편, SCR(Southwire Continuous Rod)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산소동 또는 무산소동 합금 로드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SCR(Southwire Continuous Rod)법은 종형 연속 용해로(shaft furnace)에서 출탕하는 용융 구리를 휠과 벨트 사이에 구성되는 회전하는 주형 내에 주입하여 냉각을 통해 고체화함으로써 주괴를 제조하고 이를 연속적으로 인출해 그대로 연속 압연하여 로드로 제조하는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산소동 또는 무산소동 합금 로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용융 구리의 온도는 1100 내지 1140℃, 상기 주괴의 온도는 800 내지 900℃, 상기 압연된 로드의 온도는 45 내지 60℃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산소동 또는 무산소동 합금 로드를 제공한다.
나아가, 상기 주괴의 단면적을 기준으로 상기 압연된 로드의 단면적 비율인 압연율은 0.1 내지 15%이고, 압연 선속은 7.5 내지 10 m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산소동 또는 무산소동 합금 로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산소동 또는 무산소동 합금 로드는 신선 이전의 결정구조의 조절을 통해 신선시 가공경화에 의해 변형된 결정구조를 열처리를 통해 회복시켜 신선 이전의 유연성, 가공성 등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무산소동 또는 무산소동 합금 로드의 결정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신선 이전의 결정구조의 조절을 통해 신선시 가공경화에 의해 변형된 결정구조를 열처리를 통해 회복시켜 신선 이전의 유연성, 가공성 등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는 유연성이 우수한 무산소동 또는 무산소동 합금 로드에 관한 것이다.
금속의 결정구조에 있어서, 결정립의 원자들은 배열된 방향을 가지고 있는데, 결정립의 과반수 이상의 원자의 배열 방향을 방위라고 한다.
주조 압연된 로드의 신선 이전의 결정구조에서 인접한 2개의 결정립 각각의 과반수 원자 배열 방향인 방위 사이의 각도가 15°이하인 경우 상기 2개의 결정립 사이의 결정립계는 로우앵글 결정립계(low angle grain boundary)로 정의할 수 있는 반면, 상기 각도가 15°초과인 경우 상기 2개의 결정립 사이의 결정립계는 하이앵글 결정립계(high angle grain boundary)로 정의할 수 있다.
도 1은 무산소동 또는 무산소동 합금 로드의 결정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반수 원자 배열 방향인 방위가 서로 상이한 제1 결정립, 제2 결정립 및 제3 결정립이 존재하는 경우, 제1 결정립의 방위와 제2 결정립의 방위 사이의 각도(θ12) 및 제2 결정립의 방위와 제3 결정립의 방위 사이의 각도(θ23)는 각각 15°초과이므로 제1 결정립과 제2 결정립 사이의 결정립계 및 제2 결정립과 제3 결정립 사이의 결정립계는 모두 하이앵글 결정립계인 반면, 제1 결정립의 방위와 제3 결정립의 방위 사이의 각도(θ13)는 15°이하이므로 제1 결정립과 제3 결정립 사이의 결정립계는 로우앵글 결정립계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자들은 주조 압연된 로드의 전체 결정립계 중에서 상기 로우앵글 결정립계의 분율이 일정값 이하로 조절되는 경우 주조 압연된 로드의 신선시 가공경화에 의해 변형된 결정구조가 열처리를 통해 최대한 회복될 수 있고 이로써 신선 이전의 유연성, 가공성 등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했다.
상기 로우앵글 결정립계의 분율과 열처리시 결정구조의 회복 정도 사이의 인과관계를 명확히 규명할 수는 없지만, 상기 로우앵글 결정립계가 신선 가공시 전위(dislocation)를 유발하고 이러한 전위가 열처리시 재결정(recrystallization)을 촉진시키기 때문인 것으로 예측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무산소동 또는 무산소동 합금 로드의 아래 수학식 1로 정의되는 로우앵글 결정립계 분율은 0.76 이상일 수 있다.
[수학식 1]
로우앵글 결정립계 분율 = 로우앵글 결정립계 개수 / 총 결정립계 개수
상기 수학식 1에서, 상기 로우앵글 결정립계 개수 및 상기 총 결정립계 개수는 모두 상기 로드의 압연 후 신선 전에 측정한 것이고, 상기 로드의 결정구조를 EBSD(Electron BackScattered Diffraction) 검출기가 장착된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전자현미경 사진으로부터 일정한 단위 면적, 예를 들어 4 ㎟ 면적으로 선택된 표본 3 개 각각에서 총 결정립계 개수 및 로우앵글 결정립계 개수를 각각 측정한 후 측정한 10개 값의 평균값을 도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로우앵글 결정립계 분율, 로우앵글 결정립계 개수 및 총 결정립계 개수는 EBSD 검출기에서 자동 분석하여 도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로우앵글 결정립계 분율이 0.76 미만인 경우 주조 압연된 로드의 신선된 선재는 열처리를 해도 신선시 가공경화에 의해 변형된 결정구조가 회복되는 수준이 미미해 신선 전의 유연성, 가공성 등을 유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산소동 또는 무산소동 합금 로드는 평균 결정립 크기가 1.5 내지 45 ㎛일 수 있다. 상기 평균 결정립 크기가 1.5 ㎛ 미만으로 너무 작거나 45 ㎛ 초과로 너무 큰 경우 상기 로우앵글 결정립계 개수 조절이 어려울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평균 결정립 크기는 ASTM E 1382 규격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산소동 또는 무산소동 합금 로드는 앞서 기술한 로우앵글 결정립계 개수를 보유한다면 제조방법에 특별히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벨트&휠식 연속 주조 압연법, 일명 SCR(Southwire Continuous Rod)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SCR 법은 종형 연속 용해로(shaft furnace)에서 출탕하는 용융 구리를 휠과 벨트 사이에 구성되는 회전하는 주형 내에 주입하여 냉각을 통해 고체화함으로써 주괴를 제조하고 이를 연속적으로 인출해 그대로 연속 압연하여 선재로 제조하는 방식이다.
여기서, 상기 용융 구리의 온도는 약 1100 내지 1140℃, 상기 주괴의 온도는 약 800 내지 900℃, 상기 압연된 로드의 온도는 약 45 내지 60℃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괴의 단면적을 기준으로 상기 압연된 로드의 단면적 비율인 압연율은 0.1 내지 15%일 수 있으며 압연 선속은 7.5 내지 10 mpm(meters per minuite). 또한, 상기 압연된 로드의 단면적을 기준으로 신선된 선재의 단면적 비율인 신선율은 5 내지 12%일 수 있다.
[실시예]
1. 제조예
아래 표 1에 기재된 로우앵글 결정립계 분율 및 하이앵글 결정립계 분율을 보유하도록 공정조건을 조절하면서 SCR법으로 무산소동 로드를 제조했다.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로우앵글 결정립계 분율 0.788 0.750 0.707
하이앵글 결정립계 분율 0.212 0.250 0.293
2. 유연성 평가
1) SEN(Spring Elongation Number) 평가
규격 KSC 3006 및 IEC 60851-3에 준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 각각의 무산소동 로드를 직경 10배의 맨드릴경에 감아 스프링 모양의 로드 시편을 제조하고, 로드 시편의 일 말단을 고정하고 타 말단에 규정된 하중의 추를 매달고 1분간 유지하여 스프링 시편의 늘어난 길이를 측정했다. 늘어난 길이가 길수록 유연성은 우수하다.
2) 스프링백(Spring back) 평가
규격 IEC 60851에 준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 각각의 무산소동 로드를 2 내지 5초 동안 30°각도로 굴곡시킨 후 굴곡을 위해 인가한 힘을 제거시 다시 원상태로 돌아간 각도를 측정했다. 돌아간 각도가 작을수록 유연성은 우수하다.
3) 벤딩하중(Bending load) 평가
규격 DIN 46453에 준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 각각의 무산소동 로드에 대해 3-point 굴곡 시험을 수행했고, 상기 무산소동 로드가 더 이상 굴곡되지 않는 시점에 인가된 최대하중을 측정했다. 최대하중이 낮을수록 유연성은 우수하다.
상기 유연성 평가 결과는 아래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다.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SEN 평가(mm) 340 160 100
스프링백 평가(°) 4.5 5.2 5.5
벤딩하중 평가(kgf) 6.2 7.1 7.5
상기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무산소동 로드는 0.76 이상으로 조절된 로우앵글 결정립계 분율을 보유함으로써 유연성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로우앵글 결정립계 분율이 0.76 미만인 비교예 1 및 2의 무산소동 로드는 유연성이 크게 저하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 청구 범위의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Claims (9)

  1. 아래 수학식 1로 정의되는 로우앵글 결정립계 분율이 0.76 이상인, 무산소동 또는 무산소동 합금 로드.
    [수학식 1]
    로우앵글 결정립계 분율 = 로우앵글 결정립계 개수 / 총 결정립계 개수
    상기 수학식 1에서,
    로우앵글 결정립계는 상기 로드의 결정구조에서 인접한 2개의 결정립 각각의 과반수 원자 배열 방향인 방위 사이의 각도가 15°이하인 경우의 상기 2개의 결정립 사이의 결정립계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평균 결정립 크기가 1.5 내지 4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산소동 또는 무산소동 합금 로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규격 KSC 3006 및 IEC 60851-3에 준하여 상기 로드를 직경 10배의 맨드릴경에 감아 스프링 모양의 로드 시편을 제조하고, 로드 시편의 일 말단을 고정하고 타 말단에 규정된 하중의 추를 매달고 1분간 유지하여 스프링 시편의 늘어난 길이가 200 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산소동 또는 무산소동 합금 로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규격 IEC 60851에 준하여 상기 로드를 2 내지 5초 사이에 30°각도로 굴곡시킨 후 굴곡을 위해 인가한 힘을 제거시 다시 원상태로 돌아간 각도가 5°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산소동 또는 무산소동 합금 로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규격 DIN 46453에 준하여 상기 로드에 대해 3-point 굴곡 시험을 수행한 결과 상기 로드가 더 이상 굴곡되지 않는 시점에 인가된 최대하중이 7 kgf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산소동 또는 무산소동 합금 로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SCR(Southwire Continuous Rod)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산소동 또는 무산소동 합금 로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SCR(Southwire Continuous Rod)법은 종형 연속 용해로(shaft furnace)에서 출탕하는 용융 구리를 휠과 벨트 사이에 구성되는 회전하는 주형 내에 주입하여 냉각을 통해 고체화함으로써 주괴를 제조하고 이를 연속적으로 인출해 그대로 연속 압연하여 로드로 제조하는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산소동 또는 무산소동 합금 로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 구리의 온도는 1100 내지 1140℃, 상기 주괴의 온도는 800 내지 900℃, 상기 압연된 로드의 온도는 45 내지 60℃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산소동 또는 무산소동 합금 로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주괴의 단면적을 기준으로 상기 압연된 로드의 단면적 비율인 압연율은 0.1 내지 15%이고, 압연 선속은 7.5 내지 10 m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산소동 또는 무산소동 합금 로드.
KR1020230045568A 2023-04-06 2023-04-06 유연성이 우수한 무산소동 또는 무산소동 합금 로드 KR102572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5568A KR102572477B1 (ko) 2023-04-06 2023-04-06 유연성이 우수한 무산소동 또는 무산소동 합금 로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5568A KR102572477B1 (ko) 2023-04-06 2023-04-06 유연성이 우수한 무산소동 또는 무산소동 합금 로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2477B1 true KR102572477B1 (ko) 2023-08-29

Family

ID=87802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5568A KR102572477B1 (ko) 2023-04-06 2023-04-06 유연성이 우수한 무산소동 또는 무산소동 합금 로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247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0408A (ko) * 2006-06-01 2009-04-24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구리합금 선재의 제조 방법 및 구리합금 선재
KR20100097673A (ko) * 2007-11-30 2010-09-03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동합금재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JP2014101571A (ja) * 2012-10-26 2014-06-05 Mitsubishi Materials Corp 電子・電気機器用銅合金、電子・電気機器用銅合金薄板、電子・電気機器用導電部品及び端子
JP2014111805A (ja) * 2012-12-05 2014-06-19 Mitsubishi Materials Corp 電子・電気機器用銅合金、電子・電気機器用銅合金塑性加工材、電子・電気機器用部品及び端子
JP2014118595A (ja) * 2012-12-14 2014-06-30 Mitsubishi Materials Corp 電子・電気機器用銅合金、電子・電気機器用銅合金薄板、電子・電気機器用導電部品及び端子
KR20220146483A (ko) * 2020-03-06 2022-11-01 미쓰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순구리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0408A (ko) * 2006-06-01 2009-04-24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구리합금 선재의 제조 방법 및 구리합금 선재
KR20100097673A (ko) * 2007-11-30 2010-09-03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동합금재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JP2014101571A (ja) * 2012-10-26 2014-06-05 Mitsubishi Materials Corp 電子・電気機器用銅合金、電子・電気機器用銅合金薄板、電子・電気機器用導電部品及び端子
JP2014111805A (ja) * 2012-12-05 2014-06-19 Mitsubishi Materials Corp 電子・電気機器用銅合金、電子・電気機器用銅合金塑性加工材、電子・電気機器用部品及び端子
JP2014118595A (ja) * 2012-12-14 2014-06-30 Mitsubishi Materials Corp 電子・電気機器用銅合金、電子・電気機器用銅合金薄板、電子・電気機器用導電部品及び端子
KR20220146483A (ko) * 2020-03-06 2022-11-01 미쓰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순구리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28805B2 (ja) 自動車用アルミ電線
US9809872B2 (en) Dilute copper alloy material, dilute copper alloy wire, dilute copper alloy twisted wire and cable using the same, coaxial cable and composite cab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lute copper alloy material and dilute copper alloy wire
KR101485277B1 (ko) 전자 재료용 Cu-Co-Si 계 구리 합금조 및 그 제조 방법
WO2012081342A1 (ja) 電子材料用Cu-Ni-Si-Co系銅合金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1036804A1 (ja) 電子材料用Cu-Ni-Si-Co系銅合金及びその製造方法
JP4785155B2 (ja) 希薄銅合金線、めっき線及び撚線
KR101917416B1 (ko) 전자 재료용 Cu-Co-Si 계 합금
US9076569B2 (en) Cu—Co—Si alloy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12043170A1 (ja) 電子材料用Cu-Co-Si系銅合金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572477B1 (ko) 유연성이 우수한 무산소동 또는 무산소동 합금 로드
JP5617521B2 (ja) 希薄銅合金材料を用いたエナメル線の製造方法
JP6310004B2 (ja) 電子部品用Cu−Co−Ni−Si合金
CN110872675B (zh) 铜合金线、电缆以及铜合金线的制造方法
JP3858861B2 (ja) 架空配電線用銅線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8145495A (ja) 電子部品用Cu−Ni−Co−Si合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