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2344B1 - 위변조 방지 수단을 구비한 원통형 배터리 셀 및 배터리 셀의 위변조를 판단하는 서버 - Google Patents

위변조 방지 수단을 구비한 원통형 배터리 셀 및 배터리 셀의 위변조를 판단하는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2344B1
KR102572344B1 KR1020230036412A KR20230036412A KR102572344B1 KR 102572344 B1 KR102572344 B1 KR 102572344B1 KR 1020230036412 A KR1020230036412 A KR 1020230036412A KR 20230036412 A KR20230036412 A KR 20230036412A KR 102572344 B1 KR102572344 B1 KR 102572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ell
cylindrical
prevention means
forgery prevention
uppe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6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숙
이산
정훈
조보민
Original Assignee
엔비에스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비에스티(주) filed Critical 엔비에스티(주)
Priority to KR1020230036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23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98Guarantee lab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3/0291Labels or tickets undergoing a change under particular conditions, e.g. heat, radiation, passage of time
    • G09F3/0292Labels or tickets undergoing a change under particular conditions, e.g. heat, radiation, passage of time tamper indicating lab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8Cells or batteries combined with indicating means for external visualization of the condition, e.g. by change of colour or of light dens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7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s, computers, hand tools or pacemak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3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eads or tab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배터리 셀의 위변조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고, 배터리 셀의 이상 여부를 신속히 판단할 수 있는 위변조 방지 수단을 구비한 배터리 셀 및 배터리 셀의 위변조를 판단하는 서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배터리 셀은, 전극 조립체와, 상기 전극 조립체를 내부에 수용하는 원통형 캔과, 상기 원통형 캔의 외부면에 구비된 외장재 및 상기 외장재에 구비되고, 외부 자극이 가해질 때 가시적인 주름 패턴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위변조 방지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위변조 방지 수단을 구비한 원통형 배터리 셀 및 배터리 셀의 위변조를 판단하는 서버{CYLINDRICAL BATTERY CELL WITH COUNTERFEITING PREVENTION MEANS AND SERVER THAT JUDGES FORGERY OF BATTERY CELL}
본 발명은 위변조 방지 수단을 구비한 배터리 셀 및 배터리 셀의 위변조를 판단하는 서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 셀의 위변조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하고 배터리 셀의 이상 여부를 신속히 판단할 수 있는 위변조 방지 수단을 구비한 배터리 셀 및 배터리 셀의 위변조를 판단하는 서버에 관한 것이다.
제품 군에 따른 적용 용이성이 높고, 높은 에너지 밀도 등의 전기적 특성을 가지는 이차 전지는 휴대용 기기뿐만 아니라 전기적 구동원에 의하여 구동하는 전기차량(EV, Electric Vehicle)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HEV, Hybrid Electric Vehicle) 등에 보편적으로 응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차 전지는 화석 연료의 사용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일차적인 장점뿐만 아니라 에너지의 사용에 따른 부산물이 전혀 발생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친환경 및 에너지 효율성 제고를 위한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이차 전지의 종류에는 리튬 이온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등이 있다. 이러한 단위 이차 전지 셀, 즉, 단위 배터리 셀의 작동 전압은 약 2.5V ~ 4.5V이다. 따라서, 이보다 더 높은 출력 전압이 요구될 경우, 복수 개의 배터리 셀을 직렬로 연결하여 배터리 팩을 구성하기도 한다. 또한, 배터리 팩에 요구되는 충방전 용량에 따라 다수의 배터리 셀을 병렬 연결하여 배터리 팩을 구성하기도 한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 팩에 포함되는 배터리 셀의 개수는 요구되는 출력 전압 또는 충방전 용량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종래 배터리 셀의 경우 배터리 셀의 위변조 여부 및 이상 여부를 신속하 판단할 수 있는 구조가 없어, 이러한 점을 개선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는 것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배터리 셀의 위변조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고, 배터리 셀의 이상 여부를 신속히 판단할 수 있는 위변조 방지 수단을 구비한 배터리 셀 및 배터리 셀의 위변조를 판단하는 서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에 기재된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배터리 셀은, 전극 조립체와, 상기 전극 조립체를 내부에 수용하는 원통형 캔과, 상기 원통형 캔의 외부면에 구비된 외장재 및 상기 외장재에 구비되고, 외부 자극이 가해질 때 가시적인 주름 패턴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위변조 방지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변조 방지 수단은, 상기 외장재의 열수축시 가시적인 주름 패턴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터리 셀은 상기 원통형 캔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구성된 상부 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위변조 방지 수단은 상기 상부 캡에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장재는 상기 원통형 캔의 외부면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 캡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과 연결되고, 상기 원통형 캔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제 2 부분 및 상기 제 1 부분과 연결되고, 상기 원통형 캔의 외부면 하측에 구비되는 제 3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위변조 방지 수단은, 상기 제 1 부분, 상기 제 2 부분 및 상기 제 3 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변조 방지 수단은,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이 연결되는 영역 또는 상기 제 2 부분과 상기 제 3 부분이 연결되는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캡은 상기 상부 캡의 중앙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변조 방지 수단은 상기 돌출부에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캡은 상기 상부 캡의 반경 방향 외주연에 구비되고, 상기 원통형 캔의 상부와 맞닿도록 구성된 사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원통형 캔은, 상기 전극 조립체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수용 공간을 구비한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사이드부를 가압하도록 구성된 크림핑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변조 방지 수단은 상기 사이드부와 상기 크림핑부 사이의 틈에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캡은 상기 사이드부보다 상기 상부 캡의 반경 방향 중심에 가깝게 구성된 가스배출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위변조 방지 수단은 상기 가스배출홀의 일부에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통형 캔은, 상기 전극 조립체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수용 공간을 구비한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원통형 캔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함입되어 상기 수용 공간 내의 상기 전극 조립체를 고정하도록 구성된 비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변조 방지 수단은 상기 비딩부의 함입된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서버는,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위변조 방지 확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위변조 방지 수단 내의 식별모양 식별 여부에 따라 배터리 셀의 위변조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배터리 셀의 위변조 여부를 판단한 데이터를 클라우드에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원통형 캔의 외부면에 구비된 외장재에 위변조 방지 수단을 구성함으로써, 배터리 셀의 임의 분해 시도에 의해 외장재가 손상되거나 물리적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 위변조 방지 수단을 통해 나타난 가시적인 주름 패턴을 통해 이러한 임의 분해 시도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위변조 방지 수단은 외부 자극이 가해질 때 가시적인 주름 패턴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외장재에 구비된 위변조 방지 수단을 통해 기타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외장재의 크랙이나 손상 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 셀의 이상 여부를 간접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의하여, 여러 다른 추가적인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여러 효과들에 대해서는 각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거나, 당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효과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배터리 셀에 구비된 위변조 방지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A-A' 방향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10)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배터리 셀(10)에 구비된 위변조 방지 수단(2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A-A' 방향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면에 도시된 X축, Y축 방향은 배터리 셀(10)의 반경 방향, Z축 방향은 X축 방향 및 Y축 방향에 대해 모두 수직된 상하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10)은, 전극 조립체(100), 원통형 캔(200), 외장재(300) 및 위변조 방지 수단(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셀(10)은, 이차 전지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 셀(10)은, 원통형 전지셀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터리 셀(10)에는, 전극 조립체(100)와 전해질이 원통형 캔(20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이 때, 전극 조립체(100)는 젤리-롤 형태일 수 있다. 일례로서, 전극 조립체(100)는, 양극집전체의 표면에 양극 활물질층이 코팅된 양극판(미도시)과 음극집전체의 표면에 음극 활물질층이 코팅된 음극판(미도시) 및 양극판 및 음극판 사이에 게재되어 양극판 및 음극판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세퍼레이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전극 조립체(100)는, 양극판, 음극판 및 세퍼레이터가 순차 적층되어 젤리-롤 형상으로 권취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한편, 원통형 캔(200)의 중앙에는, 젤리-롤 형태로 권취된 전극 조립체(100)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고, 원통형 캔(200) 내의 가스의 이동 통로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센터핀(미도시)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외장재(300)는, 원통형 캔(200)의 외부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외장재(300)는, 전기 절연성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위변조 방지 수단(20)은, 아래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위변조 방지 수단(20)을 제조하기 위하여, 우선 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재질의 기판을 준비한다.
이후, 기판의 상면에 에폭시 (Epoxy, EPU)를 경화시켜 베이스기재(21)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기재(21)는 자극에 의해 기판과 분리되어 위변조 방지 수단(20)이 파괴되지 않는 관점에서 200 내지 300 ㎛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기재(21)는 외부자극에 의해 그 형태의 변형이 쉬운 구조(플렉서블)를 가져야 하는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두께를 가질 경우, 제조 원가가 상승되며, 두께가 두꺼워져 필름으로써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고, 나아가 외부자극, 예컨대 굽힘에 의한 자극이 있을 때, 위변조 방지 수단(20)이 잘 구부러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 한편, 베이스기재(21)가 상기 범위 미만의 두께를 가질 경우, 내구성이 약해져 외부자극에 의해 위변조 방지 수단(20)이 파괴될 수 있고, 기재 자체의 안정성(stability)이 떨어져 굽힘에 의한 주름 형성 시, 균일한 사이즈의 주름이 아닌 random 사이즈의 주름이 형성될 수 있어, 필름 표면에서 패턴 발현 시 패턴의 시인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위변조 방지 수단(20)에 가해질 수 있는 외부자극은 굽힘 하중을 비롯한 압축, 인장, 또는 비틀림 하중의 단일 하중이거나, 둘 이상의 복합 하중일 수 있으며, 위변조 방지 수단(20)에 형성되는 압축된 변형은 이러한 압축, 인장, 굽 힘 또는 비틀림 하중에 의한 변형일 수 있다.
한편, 베이스기재(21)를 형성하는 단계는, EPU의 주재료와 경화제를 10:1의 비율로 섞은 후, 기포를 제거하는 과정과, EPU의 낮은 Surface energy 때문에 단일의 EPU는 접착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Vinyl기와 백금을 섞어준 후, 기포를 제거하여 상부에 형성될 고경질층(22)과의 접착력을 높여주는 과정과, 상술한 기판 위에 부어 경화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부에 형성되는 고경질층(22) 과의 계면 결합을 강화하기 위해 경화된 베이스기재(21)를 플라즈마 처리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렇게 형성된, 베이스기재(21)의 영률은 10 내지 20 Mpa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베이스기재(21)의 상면 중 고주름영역(FHW)에 고경질소재를 프린팅하여 고경질층(22)을 패턴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고경질소재는 베이스기재보다 훨씬 경질도가 높은 소재를 사용하며, 따라서 큰 영률 값, 예컨대 60 Gpa 내지 80Gpa 범위의 영률을 갖는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경질소재로 사용될 수 있는 대표적인 소재는 셀룰로오스이다.
이 때, 고경질층(22)을 형성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고경질층(22)을 형성하는 단계는 정제수(DI water)에 셀룰로오스(Cellulose) 분말과 아세트산(Acetic acid)을 혼합하여 고경질소재를 제조하는 단계와, 소수성 표면인 EPU 상부 표면에 친수성 셀룰로오스 용액을 프린팅 하기 전 EPU에 플라즈마 처리를 하여 셀룰로오스 액적이 접촉하는 면적을 넓히고, EPU와 셀룰로오스 사이의 접착력을 높이는 단계 및 잉크젯 프린터를 이용하여 상기 고경질소재를 베이스기재(21)에 생성된 바이너리 패턴대로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고경질층(22)은 200 내지 400 nm,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300 nm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경질층(22)의 두께는 고경질층(22)에 형성되는 주름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고경질층(22)에 형성되는 주름은 Buckling theory의 공식에 따라 각 층을 이루는 소재의 영률 비 및 두께에 의해 결정이 되는데, 고경질층(22)이 200 내지 300nm을 가질 경우, 필름 외부에 표시되는 패턴의 시인성이 매우 향상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다음으로 아크릴(Acrylic) 용액과 아크릴보다 항복강도, 인장강도, 충격강도 및 전단강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더 큰 보강물질을 혼합하여 고경질소재보다 영률은 낮으나 굴절률은 대체로 유사한 중경질소재를 베이스기재(21)의 상면 전체에 함침시켜, 상술한 고주름영역(FHW)으로부터 고주름영역(FHW)에 인접한 저주름영역 (FLW)에 걸쳐 중경질층(23)을 형성한다. 상기 보강물질로 사용될 수 있는 대표적인 소재는 셀룰로오스이다. 즉, 보강물질은 고경질소재와 동일할 수도 있는데, 고경질소재와 동일한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고경질층(22)과 중경질층(23)의 접착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중경질층(23)을 형성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정제수에 연성 소재(저경질소재)인 아크릴(Acrylic)을 혼합하고 뜨거운 물에 녹여 아크릴(Acrylic) 수용액을 만든다. 이후, 만들어진 아크릴(Acrylic) 수용액을 보강물질(셀룰로오스)과 혼합하여 상기 고경질소재보다 영률은 낮으나 굴절률은 대체로 유사한 중경질소재를 생성하는 단계와, 생성된 중경질소재를 고경질층(22)이 형성된 베이스기재(21)에 함침시키기 전, 베이스기재(21)를 플라즈마 처리하여 중경질층(23)과 고경질층(22) 및 베이스기재(21) 간의 계면 결합력을 높이는 단계 및 생성된 중경질소재를 고주름영역(FHW)으로부터 고주름영역(FHW)과 인접한 저주름영역(FLW)에 걸쳐 함침시키거나, 베이스기재(21)의 상면 전체에 함침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중경질소재를 함침시키는 과정은 스핀 코팅(Spin coating) 방식, 블레이드(Blade) 코팅 방식, 스프레이(Spray) 코팅 방식 또는 딥(Dip) 코팅 방식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중경질층(23)은 내구성 관점에서 2 내지 7㎛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경질층(23)에 포함된 아크릴은 지문이나 수분 등에 강한 내오염성을 가지지만, 외부자극에 의해 소성변형이 발생하여 crack이 생성되기 쉬운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중경질층(23)이 상기 두께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중경질층(23) 내 아크릴 함량이 높아져 외부자극에 의해 crack이 생기기 쉽다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상기 두께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상기 중경질층(23)의 두께는 중경질층(23)에 형성되는 주름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중경질층(23)에 생성되는 주름도 Buckling theory의 공식에 따라 각 층을 이루는 소재의 영률 비 및 두께에 의해 결정이 되는데, 중경질층(23)이 2 내지 7㎛의 두께를 가질 경우, 외부 자극이 가해질 때, 필름 표면에 표시되는 패턴의 시인성이 매우 향상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판 위에 생성된 베이스기재(21)의 고주름영역(FHW)에 고경질소재가 프린팅되어 고경질층(22)을 형성하고, 고주름영역(FHW)으로부터 인접한 저주름영역(FLW)에 걸쳐 중주름소재를 함침시켜 중경질층(23)을 형성한 후, 고경질층(22)과 함께 중경질층(23)을 경화시켜 위변조 방지 수단(20)을 제작한다.
위 제조방법과 같이, 중경질소재로 아크릴 및 아크릴보다 항복강도, 인장강도, 충격강도 및 전단강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더 큰 보강물질을 혼합한 위변조 방지 수단(20)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중경질소재로 아크릴만 사용한 경우, 굽힘에 의한 외부자극 시, 소성변형이 발생하여 중경질층(23)에 crack이 생성되는 것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형성된 crack은 위변조 방지 수단(20)의 표면을 뿌옇게 만들어 내구성 및 위변조 방지 기능을 약화시킬 수 있다.
이에 반해 아크릴 및 아크릴보다 항복강도, 인장강도, 충격강도 및 전단강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더 큰 보강물질을 혼합한 위변조 방지 수단(20)을 중경질소재로 사용하는 경우, 외부자극에 의한 변형에 대해 높은 파괴 응력 및 변형률을 가질 수 있고, 이와 동시에 둘 간의 유사한 투과율로 인해 빛의 투과도 역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중경질소재로 아크릴과 셀룰로오스를 혼합한 복합체를 사용한 위변조 방지 수단(20)으로서, 외부자극이 가해지더라도 내부 소재에 crack이 발생하지 않아 위변조 방지 수단(20)의 표면이 깨끗한 것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작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변조 방지 수단(20)에 대해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중의 변형에 의해 형성되는 구조물 표면의 주름 구조가 구조 색을 나타내는 그레이팅 구조로 사용되도록 하되, 영률의 차이에 따른 다른 파장을 갖는 여러 주름 배열에 의한 그레이팅 구조로 생성되도록 함으로써, 여러 그레이팅 구조들이 서로 다른 구조색과 그 구조색에 의한 이미지를 형성하도록 하여 압력에 따라 반응하는 능동적인 숨김-보임되는 광 홀로그램을 제공함과 동시에 내수성 및 내오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소수성 재료의 사용을 통해 지문, 먼지 등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고, 내구성 향상을 통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위변조 방지 수단에 관한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은 물성을 갖는 베이스기재(21), 고경질층(22) 및 중경질층(23)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기재(21)는 연성물질인 저경질소재로 플렉서블하게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그 형태가 변형되기 쉽다. 이 때, 베이스기재(21)를 이루는 저경질소재는 EPU,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및 고무 계열의 고분자 물질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경질소재는 EPU,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우레아(polyurea), 멜라민수지(melamine resin),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polydimethylsiloxane) 중 1개 이상을 혼합한 고분자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기재(21)는 200 내지 300 ㎛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기재(21)는 외력에 의해 그 형태의 변형이 쉬워야 하는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두께를 가질 경우, 외부자극, 예컨대 굽힘에 의한 자극이 있을 때, 본 발명의 위변조 방지 수단(20)이 잘 구부러지지 않는 단점이 있고, 베이스기재(21)가 상기 범위 미만의 두께를 가질 경우, 외부자극에 의해 본 발명의 위변조 방지 수단(20)이 파괴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고경질층(22)은 경질물질인 고경질소재로 단단하게 형성되어 베이스기재(21)의 형태가 변형될 때 그 물성의 차이에 의해 표면에 마이크로 크기의 주름들이 형성되어, 그 주름들의 배열에 의한 그레이팅 구조를 형성한다. 이 때, 고경질소재는 베이스기재보다 훨씬 경질도가 높은 소재를 사용하며, 따라서 큰 영률 값, 예컨대 60 Gpa 내지 80Gpa 범위의 영률을 갖는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경질소재로 사용될 수 있는 대표적인 소재는 셀룰로오스이다. 한편, 상기 고경질층(22)은 200 내지 300 nm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경질층(23)은 고경질소재보다 영률이 낮은 중경질소재로 고경질소재보다는 조금 무르게 형성되어 베이스기재(21)의 형태가 외력에 의해 변형될 때, 그 물성의 차이에 의해 표면에 나노 크기의 주름들이 형성되어, 그 주름들의 배열에 의한 그레이팅 구조를 형성한다. 이 때, 중경질소재는 아크릴(Acrylic)과 아크릴보다 항복강도, 인장강도, 충격강도 및 전단강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더 큰 보강물질을 혼합하여 고경질소재보다 영률은 낮으나 굴절률은 대체로 유사한 중경질소재를 사용한다. 상기 보강물질로 사용될 수 있는 대표적인 소재는 셀룰로오스이다. 즉, 중경질소재에 포함되는 보강물질은 고경질소재와 동일할 수도 있는데, 고경질소재와 동일한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고경질층(21)과 중경질층(22)의 접착력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기재(21)에 비해 고경질층(22)과 중경질층(23)이 상대적으로 높은 영률을 가지며, 유사한 굴절률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베이스기재(21)와 고경질층(22), 중경질층(23)의 영률의 차이는 100배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나노 크기 이상의 주름을 형성하는 데 유리하다.
한편, 중경질층(23)이 고경질층(22) 또는 베이스기재(21)의 96% 내지 104%의 굴절률을 갖게 하여야 광 홀로그램 이미지를 입력에 따라 반응하도록 하는 능동적 숨김-보임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두 경질층들(22, 23)은 외부에서 자극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주름 배열에 따른 그레이팅 구조가 형성되지 않아, 구조색이 나타나지 않는 (Covert) 0차원 격자로 존재한다. 이는 베이스기재(21)와 두 경질층들(22, 23)의 동일 또는 유사한 굴절률(R/Cellulose - R/EPU=0.03)로 인한 투과적 투명성에 의해 입사광이 대부분 투과하기 때문이다. 이에, 주름 배열에 의해 형성되는 그레이팅 구조에 의한 구조색이 나타나지 않은 상태에서 두 경질층들(22, 23)은 베이스기재(21)에 내 완전하게 숨겨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위변조 방지 수단(20)에서 그레이팅 구조를 형성하는 주름 형성 원리를 살펴보면, 플렉서블한 베이스기재(21)에 외력이 가해져 경질층들(22, 23) 방향으로 굽힘 하중이 가해지면, 얇고 강성인 경질층들(22, 23)과 경질층들(22, 23)보다 두껍고 연성인 베이스기재(21)의 기계적인 물성의 부조화로 인한 경질층들(22, 23)에서 버클링(Buckling) 타입의 불안정성(instability)에 의해 주기적인 폭을 갖는 주름 배열 패턴이 형성된다.
여기서, 주름 배열의 주기성 λ는 두 경질층들(22, 23)의 두께(h)와, 두 경질층들(22, 23)의 탄성 계수(Ef) 및 선형 좌굴 이론을 통해 예측할 수 있는 베이스기재(21)의 탄성 계수(Es)에 의해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수학식 1]
여기서, 는 평면 변형 계수이며 E/(1-v2)로 정의된다. v는 포아송 비율이다. 이러한 수학식 1은 표면 주기 현상의 모델을 보여주며 위변조 방지 수단(20)의 주기성을 예측하게 한다. 세부적으로, 본 발명의 두 경질층들(22, 23)과 베이스기재(21)가 복합된 위변조 방지 수단(20)은 베이스기재(21)의 영률에 비해 두 경질층들(22, 23)의 영률이 매우 높기 때문에 두 경질층(22, 23)을 강성을 가진 필름층으로 간주할 수 있으며, 주름의 각 파장의 크기(폭)는 두 경질층들(22, 23)과 베이스기재(21)의 영률(E)의 상대적인 차이와 두께(h)의 상대적인 차이에 따라 결정된다.
여기서, 베이스기재(21), 고경질층(22), 중경질층(23)의 영률(E)과 두께(h)의 상대적인 차이가 있기 때문에 위변조 방지 수단(20)의 주름 배열 패턴은 상이하게 형성된다. 상기한 차이로 인해 고경질층(22)이 형성된 고주름영역(FHW)에 형성되는 주름 구조(마이크로 단위)와, 중경질층(23)이 형성된 저주름영역(FLW)에 형성되는 주름 구조(나노 단위)가 달라지게 되고, 이로 인해 구조색의 채도, 나타내는 이미지가 상이하게 된다.
이러한 위변조 방지 수단(20)은, 외장재(30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외장재(300)에 구비된 위변조 방지 수단(20)은, 외부 자극이 가해질 때 전술한 구조에 의해 가시적인 주름 패턴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위변조 방지 수단(20)은, 도 4에서와 같이, 외부 자극이 가해질 때 가시적인 주름 패턴을 나타내면서 동시에 숨겨진 식별모양(예: 도 4의 NBST)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구성에 의하면, 원통형 캔(200)의 외부면에 구비된 외장재(300)에 위변조 방지 수단(20)을 구성함으로써, 배터리 셀(10)의 임의 분해 시도에 의해 외장재(300)가 손상되거나 물리적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 위변조 방지 수단(20)을 통해 나타난 가시적인 주름 패턴을 통해 이러한 임의 분해 시도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위변조 방지 수단(20)은 외부 자극이 가해질 때 가시적인 주름 패턴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외장재(300)에 구비된 위변조 방지 수단(20)을 통해 기타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외장재(300)의 크랙이나 손상 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 셀(10)의 이상 여부를 간접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장재(300)는, 튜빙(tubing) 공정시 원통형 캔(200)의 외부면을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외장재(300)는, 열수축성 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고, 원통형 캔(200)의 둘레보다 더 큰 지름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위변조 방지 수단(20)은, 전술한 튜빙 공정이 수행되기 전에 외장재(30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튜빙 공정이 수행될 때, 외장재(300)는 원통형 캔(200)의 외부면을 감싼 상태에서 가열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외장재(300)가 수축되어 원통형 캔(200)의 외부면에 밀착될 수 있다.
이 때, 외장재(300)에 구비된 위변조 방지 수단(20)은, 외장재(300)의 열수축에 따라 자극을 받아 가시적인 주름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구성에 의하면, 원통형 캔(200)에 외장재(300)를 구비함과 동시에 튜빙 공정 수행시 외장재(300)에 구비된 위변조 방지 수단(20)에 자극을 주어 반영구적인 위변조 방지용 주름 패턴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가시적인 주름 패턴이 나타나지 않은 배터리 셀(10)의 경우 임의 분해 및 위변조 시도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 셀(10)의 위변조 여부를 보다 용이하고 확실하게 판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배터리 셀(10)은, 상부 캡(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캡(400)은, 원통형 캔(200)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캡(400)은, 수평면(XY평면) 상에서의 단면이 원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전술한 위변조 방지 수단(20)은, 상부 캡(400)에 구비될 수 있다.
일반적인 배터리 셀에서는, 열 폭주 현상(thermal runaway)과 같은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원통형 캔 내부에서 전해질의 기화로 인해 고온 및 고압의 벤팅 가스(venting gas)가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벤팅 가스가 산소와 만나게 되면 배터리 셀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화염이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배터리 셀에서 발생된 화염은 하나의 배터리 셀과 인접한 다른 배터리 셀로 전이될 위험성이 높고, 이에 따라 다수의 배터리 셀의 동시다발적 발화가 발생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배터리 셀(10)과 같이, 원통형 캔(200)의 상부를 커버하는 상부 캡(400)에 위변조 방지 수단(20)을 구비하는 경우, 열 폭주 현상 발생시 원통형 캔(200)의 내부로부터 상부 캡(400)에 가해지는 벤팅 가스의 압력, 벤팅 가스의 압력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상부 캡(400)의 크랙 및 벤팅 가스의 압력에 의해 상부 캡(400)과 원통형 캔(200) 사이의 틈이 벌어짐으로써 야기되는 벤팅 가스와 산소 간의 접촉에 따른 화염 발생 등에 의해 위변조 방지 수단(20)에서 가시적인 주름 패턴이 나타날 수 있다.
이와 같이 원통형 캔(200)의 상부를 커버하는 상부 캡(400)에 위변조 방지 수단(20)을 구비하는 경우, 원통형 캔(200)으로부터의 상부 캡(400)의 임의 분해 시도에 의해 상부 캡(400)의 손상이나 물리적 변형이 발생할 때 위변조 방지 수단(20)을 통해 나타난 가시적인 주름 패턴을 통해 이러한 임의 분해 시도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위변조 방지 수단(20)을 통해 배터리 셀(10)의 열 폭주 현상의 발생 여부를 육안으로 빠르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 셀(10)의 열 폭주 현상을 초기에 대응하여 다수의 배터리 셀(10)의 동시다발적 발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외장재(300)는, 제 1 부분(310), 제 2 부분(320) 및 제 3 부분(3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부분(310)은, 원통형 캔(200)의 외부면 상측에 구비되고, 상부 캡(400)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상부 캡(400)에는, 배터리 셀(10)의 양극 단자(후술되는 돌출부(4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부분(320)은, 제 1 부분(310)과 연결되고, 원통형 캔(200)의 외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제 2 부분(320)은, 원통형 캔(200)에서 전극 조립체(100)가 수용된 영역을 감쌀 수 있다.
상기 제 3 부분(330)은, 제 1 부분(310)과 연결되고, 원통형 캔(200)의 외부면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원통형 캔(200)의 하면의 중앙부는 배터리 셀(10)의 음극 단자(미도시)일 수 있다.
이 때, 전술한 위변조 방지 수단(20)은, 제 1 부분(310), 제 2 부분(320) 및 제 3 부분(330)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위변조 방지 수단(20)은, 원통형 캔(200)에서 배터리 셀(10)의 양극 단자와 인접한 영역, 원통형 캔(200)에서 전극 조립체(100)가 수용된 영역 및 배터리 셀(10)의 음극 단자와 인접한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부분(310), 제 2 부분(320) 및 제 3 부분(330) 중 적어도 하나에 위변조 방지 수단(20)을 구성하는 경우, 배터리 셀(10)의 양극 단자, 전극 조립체(100) 및 배터리 셀(10)의 음극 단자 중 적어도 하나의 손상이나 물리적 변형이 발생할 때 위변조 방지 수단(20)을 통해 나타난 가시적인 주름 패턴을 통해 손상이나 물리적 변형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구성에 의하면, 배터리 셀(10)의 성능 유지에 중요한 구성인 양극 단자, 전극 조립체(100) 및 음극 단자의 손상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 셀(10)의 오작동에 대해 신속히 대처할 수 있다.
특히, 위변조 방지 수단(20)은, 제 1 부분(310)과 제 2 부분(320)이 연결되는 영역 또는 제 2 부분(320)과 제 3 부분(330)이 연결되는 영역에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부 캡(400)은, 돌출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410)는, 상부 캡(400)의 중앙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돌출부(4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 셀(10)의 양극 단자일 수 있다.
이 때, 위변조 방지 수단(20)은, 돌출부(410)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가 상부 캡(400)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410)를 누르는 동작으로 위변조 방지 수단(20)의 주름 패턴 발현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보다 용이하게 배터리 셀(10)의 위변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위변조 방지 수단(20)의 경우 양극 단자인 돌출부(410)에 구비될 수 있으므로, 돌출부(410)에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위변조 방지 수단(20)에서 가시적인 주름 패턴이 나타날 수 있다. 이에 따라, 돌출부(410)에 외력이 전달되었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빠르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추후 돌출부(410)의 이상으로 인한 배터리 셀(10)의 오작동에 대해 신속히 대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서버(server)는, 전술한 배터리 셀(10)의 위변조 여부 및/또는 이상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예: 스마트폰)에 구비된 위변조 방지 확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배터리 셀(10)에 구비된 위변조 방지 수단(20) 내의 식별모양(예: 도 4의 NBST) 식별 여부에 따라 배터리 셀(10)의 위변조 여부 및/또는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서버는, 위변조 방지 확인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어, 배터리 셀(10)의 위변조 여부 및/또는 이상 여부를 판단하고, 배터리 셀(10)의 위변조 여부 및/또는 이상 여부를 판단한 데이터를 서버와 연동된 클라우드에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12)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12)은, 앞선 실시예의 상기 배터리 셀(10)과 유사하므로, 앞선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구성들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 앞선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살펴 본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배터리 셀(12)에서, 상부 캡(400)은, 사이드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부(420)는, 상부 캡(400)의 반경 방향 외주연에 구비되고, 원통형 캔(200)의 상부와 맞닿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원통형 캔(200)은, 측면부(210) 및 크림핑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부(210)는, 전극 조립체(100)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수용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측면부(210)에는 전술한 제 2 부분(32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크림핑부(220)는, 측면부(210)의 상측에 구비되고, 사이드부(420)를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크림핑부(220)는, 측면부(210)의 상측으로부터 절곡 형성되어 사이드부(420)를 가압할 수 있다. 즉, 크림핑부(220)는, 원통형 캔(200)과 상부 캡(400) 사이의 틈을 밀폐하도록 사이드부(420)를 가압할 수 있다. 그리고, 크림핑부(220)에는, 전술한 제 1 부분(310)의 일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위변조 방지 수단(20)은, 사이드부(420)와 크림핑부(220) 사이의 틈에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12)과 같이, 사이드부(420)와 크림핑부(220) 사이의 틈에 위변조 방지 수단(20)을 구비하는 경우, 열 폭주 현상 발생시 사이드부(420)와 크림핑부(220) 사이의 틈을 통해 배출되는 벤팅 가스의 압력 및 벤팅 가스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화염에 의해 위변조 방지 수단(20)에서 가시적인 주름 패턴이 나타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이드부(420)와 크림핑부(220) 사이의 틈에 위변조 방지 수단(20)을 구비하는 경우, 배터리 셀(12)의 임의 분해 시도에 의해 원통형 캔(200) 및/또는 상부 캡(400)의 손상이나 물리적 변형이 발생할 때 위변조 방지 수단(20)을 통해 나타난 가시적인 주름 패턴을 통해 이러한 임의 분해 시도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위변조 방지 수단(20)을 통해 배터리 셀(12)의 열 폭주 현상의 발생 여부를 육안으로 빠르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 셀(12)의 열 폭주 현상을 초기에 대응하여 다수의 배터리 셀(12)의 동시다발적 발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14)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14)은, 앞선 실시예의 상기 배터리 셀(10)과 유사하므로, 앞선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구성들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 앞선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살펴 본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배터리 셀(14)에서, 상부 캡(400)은, 가스배출홀(4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스배출홀(430)은, 사이드부(420)보다 상부 캡(400)의 반경 방향 중심에 가깝게 구성될 수 있다. 특히, 가스배출홀(430)은, 배터리 셀(14)의 열 폭주 현상 발생시 벤팅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스배출홀(430)은, 상부 캡(400)의 반경 방향에서 볼 때, 돌출부(410)와 사이드부(42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가스배출홀(430)은, 배터리 셀(14)의 열 폭주시 벤팅 가스를 일정 방향으로 배출시켜 벤팅 가스가 무작위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위변조 방지 수단(20)은, 가스배출홀(430)의 일부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위변조 방지 수단(20)은, 가스배출홀(430)의 전체 영역에 구비되지 않고, 원통형 캔(200) 내부로부터 벤팅 가스의 원활한 배출을 위해 가스배출홀(430)의 일부 영역에만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서, 위변조 방지 수단(20)은, 가스배출홀(430)의 양측 또는 중앙에만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14)과 같이, 가스배출홀(430)에 위변조 방지 수단(20)을 구비하는 경우, 열 폭주 현상 발생시 가스배출홀(430)을 통해 배출되는 벤팅 가스의 압력에 의해 위변조 방지 수단(20)에서 가시적인 주름 패턴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위변조 방지 수단(20)을 통해 배터리 셀(14)의 열 폭주 현상의 발생 여부를 육안으로 빠르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 셀(14)의 열 폭주 현상을 초기에 대응하여 다수의 배터리 셀(14)의 동시다발적 발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16)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16)은, 앞선 실시예의 상기 배터리 셀(10)과 유사하므로, 앞선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구성들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 앞선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살펴 본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배터리 셀(16)에서, 원통형 캔(200)은, 비딩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딩부(230)는, 측면부(210)의 상측에 구비되고, 원통형 캔(200)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함입되어 원통형 캔(200)의 수용 공간 내의 전극 조립체(100)를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비딩부(230)는, 상하 방향에서 볼 때, 전술한 크림핑부(220)와 측면부(21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비딩부(230)에는, 전술한 제 1 부분(310)의 나머지 일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위변조 방지 수단(20)은, 비딩부(230)의 함입된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즉, 비딩부(230)는, 원통형 캔(200)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함입되어 형성되므로, 원통형 캔(200)에 외력에 의한 충격이 가해지거나 또는 비딩부(230)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는 경우 원통형 캔(200)의 다른 부분보다 구조적 붕괴에 보다 취약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16)에서와 같이 위변조 방지 수단(20)을 비딩부(230)의 함입된 영역에 구비하는 경우, 원통형 캔(200)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비딩부(230)의 기계적 강도 저하시 위변조 방지 수단(20)에서 자극에 의해 가시적인 주름 패턴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구성에 의하면, 배터리 셀(16)의 이상 여부를 보다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 하, 좌, 우, 전, 후와 같은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가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용어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대상이 되는 사물의 위치나 관측자의 위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본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10, 12, 14, 16 : 배터리 셀
20 : 위변조 방지 수단
100 : 전극 조립체
200 : 원통형 캔
210 : 측면부
220 : 크림핑부
230 : 비딩부
300 : 외장재
310 : 제 1 부분
320 : 제 2 부분
330 : 제 3 부분
400 : 상부 캡
410 : 돌출부
420 : 사이드부
430 : 가스배출홀

Claims (10)

  1. 배터리 셀에 있어서,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내부에 수용하는 원통형 캔;
    상기 원통형 캔의 외부면에 구비된 외장재; 및
    상기 외장재에 구비되고, 외부 자극이 가해질 때 가시적인 주름 패턴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위변조 방지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셀은,
    상기 원통형 캔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구성된 상부 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위변조 방지 수단은, 상기 상부 캡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 캡은,
    상기 상부 캡의 반경 방향 외주연에 구비되고, 상기 원통형 캔의 상부와 맞닿도록 구성된 사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캡은,
    상기 사이드부보다 상기 상부 캡의 반경 방향 중심에 가깝게 구성된 가스배출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스배출홀은, 상기 배터리 셀의 열 폭주 현상 발생시 벤팅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위변조 방지 수단은,
    상기 가스배출홀의 일부 영역에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변조 방지 수단은,
    상기 외장재의 열수축시 가시적인 주름 패턴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재는,
    상기 원통형 캔의 외부면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 캡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 1 부분;
    상기 제 1 부분과 연결되고, 상기 원통형 캔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제 2 부분; 및
    상기 제 1 부분과 연결되고, 상기 원통형 캔의 외부면 하측에 구비되는 제 3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위변조 방지 수단은,
    상기 제 1 부분, 상기 제 2 부분 및 상기 제 3 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위변조 방지 수단은,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이 연결되는 영역 또는 상기 제 2 부분과 상기 제 3 부분이 연결되는 영역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캡은,
    상기 상부 캡의 중앙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변조 방지 수단은,
    상기 돌출부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캔은,
    상기 전극 조립체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수용 공간을 구비한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사이드부를 가압하도록 구성된 크림핑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변조 방지 수단은,
    상기 사이드부와 상기 크림핑부 사이의 틈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캔은,
    상기 전극 조립체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수용 공간을 구비한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원통형 캔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함입되어 상기 수용 공간 내의 상기 전극 조립체를 고정하도록 구성된 비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변조 방지 수단은,
    상기 비딩부의 함입된 영역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10.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위변조 방지 확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위변조 방지 수단 내의 식별모양 식별 여부에 따라 제 1항, 제 2항, 제 4항 내지 제 7항 및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터리 셀의 위변조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배터리 셀의 위변조 여부를 판단한 데이터를 클라우드에 저장하도록 구성된 서버.
KR1020230036412A 2023-03-21 2023-03-21 위변조 방지 수단을 구비한 원통형 배터리 셀 및 배터리 셀의 위변조를 판단하는 서버 KR102572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6412A KR102572344B1 (ko) 2023-03-21 2023-03-21 위변조 방지 수단을 구비한 원통형 배터리 셀 및 배터리 셀의 위변조를 판단하는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6412A KR102572344B1 (ko) 2023-03-21 2023-03-21 위변조 방지 수단을 구비한 원통형 배터리 셀 및 배터리 셀의 위변조를 판단하는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2344B1 true KR102572344B1 (ko) 2023-08-29

Family

ID=87802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6412A KR102572344B1 (ko) 2023-03-21 2023-03-21 위변조 방지 수단을 구비한 원통형 배터리 셀 및 배터리 셀의 위변조를 판단하는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234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0274A (ko) * 2004-06-28 2006-01-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
KR20160144016A (ko) * 2015-06-04 2016-12-15 신흥에스이씨주식회사 안정성이 우수한 원통형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84268A (ko) * 2017-01-16 2018-07-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온도 변화를 표시하는 라벨을 포함하는 원통형 전지셀
KR102417435B1 (ko) * 2020-06-04 2022-07-06 엔비에스티(주) 압변색 형광층을 포함하는 위변조 방지수단
KR102434846B1 (ko) * 2021-03-02 2022-08-22 엔비에스티(주) 내수성 및 내오염성이 개선된 가변형 이종 표면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한 위변조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0274A (ko) * 2004-06-28 2006-01-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
KR20160144016A (ko) * 2015-06-04 2016-12-15 신흥에스이씨주식회사 안정성이 우수한 원통형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84268A (ko) * 2017-01-16 2018-07-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온도 변화를 표시하는 라벨을 포함하는 원통형 전지셀
KR102417435B1 (ko) * 2020-06-04 2022-07-06 엔비에스티(주) 압변색 형광층을 포함하는 위변조 방지수단
KR102434846B1 (ko) * 2021-03-02 2022-08-22 엔비에스티(주) 내수성 및 내오염성이 개선된 가변형 이종 표면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한 위변조 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48517B2 (en) Battery cell of stair-like structure
US11329348B2 (en) Cylindrical battery cell comprising metal can having groove
US8659874B2 (en) Energy storage device
KR20180042844A (ko) 배터리용 나노다공성 세퍼레이터 및 그 제조 방법
CN112542645B (zh) 具有压力限制装置的电池、功能装置和压力限制方法
EP3246979B1 (en) Rechargeable battery
CN104854752A (zh) 具有改善的安全性的电极组件及其制造方法
CN107710475A (zh) 用于电池的经涂覆的堆叠以及相关的制造方法
KR20180103723A (ko)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 및 축전 디바이스
CN102292845A (zh) 具有外壳ⅱ的原电池
WO2012010468A1 (de) Lithium-zellen und -batterien mit verbesserter stabilität und sicherheit,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anwendung in mobilen und stationären elektrischen energiespeichern
KR102572344B1 (ko) 위변조 방지 수단을 구비한 원통형 배터리 셀 및 배터리 셀의 위변조를 판단하는 서버
EP3067978B1 (en) Flexible battery cell
KR20160050960A (ko) 주름 방지용 부재가 부가되어 있는 전지셀
US10770644B2 (en) Piezoelectric device
KR102555013B1 (ko) 위변조 방지 수단을 구비한 파우치형 배터리 셀 및 배터리 셀의 위변조를 판단하는 서버
US9299967B2 (en)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insulator
JP2023511210A (ja) 消火部を備えた電池モジュール
KR101772418B1 (ko) 절연층을 포함하는 단위 전극의 제조방법
KR101699846B1 (ko) 전극조립체의 외면에 주름 방지용 부재가 부가되어 있는 전지셀
KR101684396B1 (ko) 유연성 집전체를 포함하는 전지셀
CN216698428U (zh) 电极组件、电池单体、电池以及用电装置
CN216015476U (zh) 电池单体及与其相关的电池、用电装置和制备装置
EP3951957A1 (en) Electrode assemblies, and battery, apparatus,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apparatus related thereto
KR102562686B1 (ko) 파우치 형 전지 케이스 및 그의 성형 장치, 파우치 형 이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