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2093B1 - 검안 시스템 - Google Patents

검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2093B1
KR102572093B1 KR1020230025695A KR20230025695A KR102572093B1 KR 102572093 B1 KR102572093 B1 KR 102572093B1 KR 1020230025695 A KR1020230025695 A KR 1020230025695A KR 20230025695 A KR20230025695 A KR 20230025695A KR 102572093 B1 KR102572093 B1 KR 102572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examination
unit
subject
insp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5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나연
Original Assignee
박승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승완 filed Critical 박승완
Priority to KR1020230025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20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16Operational features thereof
    • A61B3/0025Operational features thereof characterised by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e.g. eye mod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2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looking at the eye fundus, e.g. ophthalm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3Ophthalmic microscopes
    • A61B3/135Slit-lamp micr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4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 A61B3/145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by video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8Arrangement of plural eye-testing or -examining apparatu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검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및 제2 검사장치가 피검자를 향해 위치하도록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제1 및 제2 검사장치에 연결된 관리장치를 통해 스위칭온된 제2 검사장치에 대하여 초점가이드 객체를 태깅시킬 수 있는 검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검안 시스템은 검안 시스템은 안구의 전안부를 검사하는 제1 검사장치, 상기 안구의 망막 및 시신경을 검사함에 따라 동맥경화, 당뇨성질환 및 고혈압을 검진할 수 있는 제2 검사장치, 상기 제1 및 제2 검사장치가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일면에 적재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1 및 제2 검사장치 중 어느 하나가 피검자를 향해 위치하도록 회전가능하게 형성된 턴플레이트 및 상기 제1 및 제2 검사장치와 접수단말에 네트워크를 통해 무선 연결되고, 상기 접수단말을 통해 등록된 피검자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검사장치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전원공급을 양자택일로 스위칭온 시키는 관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장치는 상기 제2 검사장치가 스위칭온됨에 따라, 기등록된 피검자 검사이력으로부터 확인되는 관심영역의 시신경 라인수에 기초하여 상기 제2 검사장치에서 프리뷰되는 프리뷰이미지에 초점가이드 객체를 태깅할 수 있다.

Description

검안 시스템{OPTOMETRY SYSTEM}
본 발명은 검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및 제2 검사장치가 피검자를 향해 위치하도록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관리장치를 통해 스위칭온된 제2 검사장치에 대하여 초점가이드 객체를 태깅시킬 수 있는 검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검안 기기들은 각각 검사된 검안결과들이 상호 전달되지 못하고 각 기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또는 프린트물에 수동으로 확인되는 바, 기기 간의 검사결과가 상호 전송이 불가하며 각 기기들에 의하여 검사된 검안 결과들이 기록되지 못하는 등 검안결과에 대한 통합관리 및 사후관리가 전혀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 및 제2 검사장치가 피검자를 향해 위치하도록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관리장치를 통해 스위칭온된 제2 검사장치에 대하여 초점가이드 객체를 태깅시킬 수 있는 검안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피검자 안저이미지로부터 추정되는 질환종류에 따른 치료가이드와 예방방법을 출력할 수 있는 검안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검안 시스템은 안구의 전안부를 검사하는 제1 검사장치, 상기 안구의 망막 및 시신경을 검사함에 따라 동맥경화, 당뇨성질환 및 고혈압을 검진할 수 있는 제2 검사장치, 상기 제1 및 제2 검사장치가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일면에 적재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1 및 제2 검사장치 중 어느 하나가 피검자를 향해 위치하도록 회전가능하게 형성된 턴플레이트 및 상기 제1 및 제2 검사장치와 접수단말에 네트워크를 통해 무선 연결되고, 상기 접수단말을 통해 등록된 피검자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검사장치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전원공급을 양자택일로 스위칭온 시키는 관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장치는 상기 제2 검사장치가 스위칭온됨에 따라, 기등록된 피검자 검사이력으로부터 확인되는 관심영역의 시신경 라인수에 기초하여 상기 제2 검사장치에서 프리뷰되는 프리뷰이미지에 초점가이드 객체를 태깅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초점가이드 객체는 기준 초점 거리로부터 관심영역의 시신경 라인수가 나타나는 대상 초점 거리로 조작 방향을 지시하는 방향 식별 객체이고, 상기 프리뷰이미지는 상기 제2 검사장치가 활성화됨에 따라 출력되는 라이브뷰 이미지이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관리장치는 상기 제2 검사장치를 통해 촬영된 제1 안저이미지로부터 검출된 기설정된 증상객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검사장치를 컬러모드, 레드 프리모드, 형광모드 중 어느 하나의 필터 모드로 선택적으로 변경시킴에 따라 제2 안저이미지를 수집하고, 상기 제1 안저이미지는 초기 촬영 모드에서 촬영되는 흑백이미지이고, 상기 제2 안저이미지는 어느 하나의 필터 모드에서 촬영되는 색상이미지이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관리장치는 상기 제2 검사장치에 밀착 연결되는 와트미터 센서를 통해 측정된 광출력 세기별 오차값에 따라 제한된 조명값 유효 구간을 각 필터 모드에 미리 등록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관리장치는 상기 접수단말로부터 상기 피검자정보를 전송받는 통신부, 상기 피검자정보로부터 증상키워드와 개인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 기수집된 환자정보 리스트로부터 상기 개인정보에 따라 분류되는 관심환자별 안저이미지에 진단질환을 라벨링하는 라벨링부, 상기 관심환자별 안저이미지를 입력으로 하고, 이미지별 진단질환을 출력으로 하는 머신러닝을 통해 인공지능 기반의 질환 추정 모델을 학습하는 학습부, 상기 제1 및 제2 안저이미지를 상기 질환 추정 모델에 적용함에 따라 출력되는 출력값의 평균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안저이미지에 대한 질환종류를 추정하는 추정부 및 상기 질환종류에 따라 기설정된 치료가이드와 웹을 통해 검색된 예방방법을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질환종류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정밀검사 대상 부위들에 따라, 상기 제2 검사장치를 통해 촬영된 정밀검사 이미지로부터 증상객체를 검출하는 객체검출부, 상기 증상객체의 형상, 사이즈 및 색상에 기초하여, 상기 관심환자별 안저이미지로부터 탐색된 하나의 안저이미지를 맞춤형 안저이미지로 결정하는 이미지결정부 및 상기 맞춤형 안저이미지에 따라 저장 DB에 등록된 치료방법을 해당 피검자의 맞춤형 치료방법으로 출력장치를 제공하는 치료방법 제공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리뷰이미지로부터 측정되는 동공 밝기 정보에 반비례하는 조명광 출력 세기를 설정하는 조명광출력 설정부, 상기 프리뷰이미지로부터 검출된 안구 사이즈에 비례하여 조명광 파장 구간을 조절하는, 파장구간 조절부, 상기 프리뷰이미지로부터 검출된 화이트홀 면적 사이즈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광에 대한 출력을 차단시키는 이벤트관리부 및 상기 제1 및 제2 검사장치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열화상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안구 열화상이미지에 기초하여, 해당 피검자의 안구상태를 건성안과 정상안 중 어느 하나로 판별하는 안구상태 판단부를 더 포함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관리부는 상기 해당 피검자의 안구상태가 건성안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조명광에 대한 출력시간을 기설정된 시간으로 제한시키는 동시에 상기 조명광 파장 구간에서 최단 파장으로 변경시킨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추정부는 외부 광원으로부터 측정된 RGB 광량정보에 기초하여, 색온도를 검출하는 색온도검출부, 상기 색온도와 기준 백색 색온도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RGB색상좌표로부터 RGB색상 이동좌표를 분석하는 색상분석부 및 상기 RGB색상 이동좌표에 기초하여, 상기 제2 검사장치를 통해 획득된 모든 이미지에 대해 보정처리하는 이미지보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보정부는 상기 제2 검사장치를 통해 획득된 모든 이미지들 중 NRQA(No-reference quality assessment) 평가 방법을 통해 리스트된 일정순위 이상의 선명도를 가진 이미지를 필터링하고 나머지를 삭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검안 시스템은 제2 검사장치에 대하여 초점가이드 객체를 태깅시킴으로써, 검사시간을 단축시키고 보다 용이한 조작 환경을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검안 시스템은 피검자 안저이미지로부터 추정되는 질환종류에 따른 치료가이드와 예방방법을 서비스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검안 시스템(100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2a는 도 1의 제1 및 제2 검사장치(100, 200)와 턴플레이트(300) 간의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2b는 도 1의 제2 검사장치(20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관리장치(400)에 대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제어부(460)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3의 제어부(460_1)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3의 추정부(450)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또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상충되는 경우에는, 정의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의 기재가 우선할 것이다.
도면에서 제안된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기술한 "부"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단위 또는 블록을 의미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제1, 제2,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시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실시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검안 시스템(100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이고, 도 2a는 도 1의 제1 및 제2 검사장치(100, 200)와 턴플레이트(300) 간의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2b는 도 1의 제2 검사장치(20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검안 시스템(1000)은 제1 및 제2 검사장치(100, 200), 턴플레이트(300) 및 관리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1 검사장치(100)는 안구 표면을 검사하는 세극등 현미경일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검사장치(200)는 안구의 망막 및 시신경을 검사함에 따라 동맥경화, 당뇨성질환 및 고혈압을 검진할 수 있는 망막 촬영 장치일 수 있다.
다음으로, 턴플레이트(300)는 제1 및 제2 검사장치(100, 200)가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일면에 적재되어 고정되고, 제1 및 제2 검사장치(100, 200) 중 어느 하나가 피검자를 향해 위치하도록 회전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관리장치(400)는 제1 및 제2 검사장치(100, 200)와 접수단말(10)에 네트워크를 통해 무선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관리장치(400)는 제1 및 제2 검사장치(100, 200)를 통해 입력받는 조작데이터를 환자별로 누적하여 저장 DB(500)에 환자별 조작이력을 분류하여 수집할 수 있다.
이때, 관리장치(400)는 접수단말(10)을 통해 등록된 피검자정보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검사장치(100, 200)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전원공급을 양자택일로 스위칭온 시킬 수 있다.
여기서, 피검자정보는 피검자의 주소, 나이, 성별을 포함하는 개인정보와 안구질환에 대한 증상키워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관리장치(400)는 피검자정보로부터 검출되는 기등록된 전안부 관련 키워드 예컨대, 눈꺼풀, 각막, 결막 등에 기초하여, 제1 검사장치(100)를 스위칭온시킬 수 있다. 또한, 관리장치(400)는 피검자정보로부터 검출되는 기등록된 안저부 관련 키워드 예컨대, 망막, 수정체, 시신경, 녹내장 등에 기초하여, 제2 검사장치(200)를 스위칭온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검사장치(100, 200)는 전원을 공급받음에 따라 활성화되는 각 전원식별 LED모듈(미도시)을 통해 식별조명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각 전원식별 LED모듈(미도시)은 서로 보색 관계를 가진 색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장치(400)는 제2 검사장치(200)가 스위칭온됨에 따라, 기등록된 피검자 검사이력으로부터 확인되는 피검자안구의 관심영역의 시신경 라인수에 기초하여 프리뷰이미지에 초점가이드 객체를 태깅함으로써, 검사시간을 단축시키고 보다 용이한 조작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초점가이드 객체는 제2 검사장치(200)의 기준 초점 거리로부터 관심영역의 시신경 라인수가 나타나는 대상 초점 거리로 조작 방향을 지시하는 방향식별객체일 수 있다.
이때, 프리뷰이미지는 제2 검사장치(200)가 활성화됨에 따라 촬영모듈(220)을 통해 출력되는 라이브뷰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검사장치(200)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모듈(210), 안저에서 반사된 광을 결상광으로서 촬영하는 촬영모듈(220), 피검자의 시선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모듈(230), 조작패널(240), 촬영모듈(220)을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전자모듈(250) 및 본체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모듈(26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관리장치(400)는 제2 검사장치(200)를 통해 촬영된 제1 안저이미지로부터 검출된 기설정된 증상객체에 기초하여, 제2 검사장치(200)를 컬러모드, 레드 프리모드, 형광모드 중 어느 하나의 필터 모드로 선택적으로 변경시킴에 따라 제2 안저이미지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안저이미지는 초기 촬영 모드에서 촬영되는 흑백이미지이고, 제2 안저이미지는 어느 하나의 필터 모드에서 촬영되는 색상이미지일 수 있다.
이때, 기설정된 증상객체는 황반변성, 비문증, 당뇨망막병증, 망막동맥폐쇄 및 망막정맥폐쇄 등에 따른 질환객체를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관리장치(400)는 제2 검사장치(200)에 밀착 연결되는 와트미터 센서(미도시)를 통해 측정된 광출력 세기별 오차값에 따라 제한된 조명값 유효 구간을 각 필터 모드에 미리 등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관리장치(400)는 제1 및 제2 검사장치(100, 20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레이더센서(미도시)를 통해 측정된 피검자의 심박 신호에 기초하여, 제2 검사장치(100)의 초기 촬영 모드를 망막동맥폐쇄 검사를 위한 형광모드로 즉시 리셋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관리장치(400)는 제1 및 제2 검사장치(100, 20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열화상카메라(미도시)를 통해 촬영된 피검자의 열화상이미지에 기초하여, 병원내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장치(미도시)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관리장치(400)는 제1 및 제2 검사장치(100, 20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화재감지센서(미도시)를 통해 감지된 화재신호에 응답하여, 병원내 구비된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화재발생을 경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관리장치(400)는 제1 및 제2 검사장치(100, 20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진동감지센서(미도시)를 통해 감지된 기설정된 지진주파수에 응답하여, 제1 및 제2 검사장치(100, 200)에 대한 전원공급을 차단시키는 동시에 병원내 구비된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지진발생을 경보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도 1의 관리장치(400)에 대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관리장치(400)는 통신부(410), 추출부(420), 라벨링부(430), 학습부(440), 추정부(450) 및 제어부(46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통신부(410)는 접수단말(10)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피검자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수단말(10)은 해당 병원내 접수처에 구비된 단말일 수 있다.
다음으로, 추출부(420)는 통신부(410)를 통해 전송받은 피검자정보로부터 증상키워드와 개인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라벨링부(430)는 저장 DB(500)에 기수집된 환자정보 리스트로부터 개인정보에 따라 분류되는 관심환자별 안저이미지에 진단질환을 라벨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관심환자별 안저이미지는 제1 검사장치(100)를 통해 환자별로 촬영된 안저이미지들을 의미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학습부(440)는 관심환자별 안저이미지를 입력으로 하고, 이미지별 진단질환을 출력으로 하는 머신러닝을 통해 인공지능 기반의 질환 추정 모델을 학습할 수 있다.
여기서, 인공지능 기반의 질환 추정 모델은 제1 및 제2 안저이미지를 입력받아 질환종류에 대응되는 출력값을 출력하는 알고리즘으로, 인공 신경 회로망(Artificial Neural Network), SVM(Support Vector Machine), 의사 결정 트리(Decision Tree) 및 랜덤 포레스트(Random Forest) 중 어느 하나의 알고리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인공 신경 회로망은 주로 딥러닝에서 사용되어 지고, 기계학습과 생물학의 신경망에서 영감을 얻은 통계학적 학습 알고리즘으로서, 특징 추출 신경망과 분류 신경망을 포함하는 컨볼루션 신경망일 수 있다. 이때, 컨볼루션 신경망은 시각적 이미지를 분석하는데 사용되는 깊고 피드포워드적인 인공 신경 회로망의 한종류로, 이미지의 특징을 추출하고 클래스를 분류하는 과정으로 나누어질 수 있고, 특정 이미지의 특징을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을 기반으로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추정부(450)는 제2 검사장치(200)를 통해 촬영된 제1 및 제2 안저이미지를 질환 추정 모델에 적용함에 따라 출력되는 출력값의 평균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안저이미지에 대한 질환종류를 추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460)는 제1 및 제2 안저이미지에 대한 질환종류에 따라 기설정된 치료가이드와 웹을 통해 검색된 예방방법을 출력장치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및 제2 안저이미지에 대한 질환종류가 황반변성인 경우, 제어부(460)는 신생혈관 억제인자 안구 내 주사술, 광역학요법, 레이저 광응고술, 외과적 수술, 각종 약물치료에 대한 각 치료기간과 호전기간을 포함한 치료가이드와 웹을 통해 검색된 예방방법을 출력장치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460)는 추정부(450)를 통해 질환종류가 추정되지 않는 경우, 제2 검사장치(200)에서 제1 검사장치(100)로 전원 공급을 스위칭시키도록 제어함으로써, 피검자의 안구개선상태를 확인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제어부(460)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어부(460)는 객체검출부(461), 이미지결정부(462) 및 치료방법 제공부(463)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객체검출부(461)는 질환종류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정밀검사 대상 부위들에 따라, 제2 검사장치(200)를 통해 촬영된 정밀검사 이미지로부터 증상객체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이미지결정부(462)는 증상객체의 형상, 사이즈 및 색상에 기초하여, 관심환자별 안저이미지로부터 탐색된 하나의 안저이미지를 맞춤형 안저이미지로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치료방법 제공부(463)는 해당 맞춤형 안저이미지에 따라 저장 DB(500)에 등록된 치료방법을 해당 피검자의 맞춤형 치료방법으로 출력장치(미도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제어부(460_1)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어부(460)는 객체검출부(461), 이미지결정부(462), 치료방법 제공부(463), 조명광출력 설정부(464), 파장구간 조절부(465), 이벤트관리부(466) 및 안구상태 판단부(467)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4에서 설명된 동일한 부재번호의 객체검출부(461), 이미지결정부(462) 및 치료방법 제공부(463)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먼저, 조명광출력 설정부(464)는 프리뷰이미지로부터 측정되는 동공 밝기 정보에 반비례하는 조명광 출력 세기를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파장구간 조절부(465)는 프리뷰이미지로부터 검출된 안구 사이즈에 비례하여 조명광 파장 구간을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벤트관리부(466)는 프리뷰이미지로부터 검출된 화이트홀 면적 사이즈에 기초하여, 조명광에 대한 출력을 차단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안구상태 판단부(467)는 제1 및 제2 검사장치(100, 20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열화상 카메라(20)를 통해 피검자를 향해 촬영되는 안구 열화상이미지에 기초하여, 해당 피검자의 안구상태를 건성안과 정상안 중 어느 하나로 판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이벤트관리부(466)는 해당 피검자의 안구상태가 건성안으로 판별된 경우, 조명광에 대한 출력시간을 기설정된 시간으로 제한시키는 동시에 조명광 파장 구간에서 최단 출력 파장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도 7은 도 3의 추정부(450)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추정부(450)는 색온도검출부(451), 색상분석부(452) 및 이미지보정부(453)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색온도검출부(451)는 외부 광원으로부터 측정된 RGB 광량정보에 기초하여, 색온도를 검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색상분석부(452)는 색온도와 기준 백색 색온도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RGB색상좌표로부터 RGB색상 이동좌표를 분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미지보정부(453)는 색상분석부(452)를 통해 분석되는 RGB색상 이동좌표에 기초하여, 제2 검사장치(200)를 통해 획득된 모든 이미지들에 대해 보정처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보정부(453)는 제2 검사장치(200)를 통해 획득된 모든 이미지들 중 NRQA(No-reference quality assessment) 평가 방법을 통해 리스트된 일정순위 이상의 선명도를 가진 이미지를 필터링하고, 나머지를 삭제하여 저장 DB(500)에 선별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자들이 수행한 다양한 실시예 가운데 몇 개의 예만을 들어 설명하는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접수단말
100: 제1 검사장치
200: 제2 검사장치
300: 턴플레이트
400: 관리장치
1000: 검안 시스템

Claims (8)

  1. 안구의 전안부를 검사하는 제1 검사장치;
    상기 안구의 망막 및 시신경을 검사함에 따라 동맥경화, 당뇨성질환 및 고혈압을 검진할 수 있는 제2 검사장치;
    상기 제1 및 제2 검사장치가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일면에 적재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1 및 제2 검사장치 중 어느 하나가 피검자를 향해 위치하도록 회전가능하게 형성된 턴플레이트; 및
    상기 제1 및 제2 검사장치와 접수단말에 네트워크를 통해 무선 연결되고, 상기 접수단말을 통해 등록된 피검자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검사장치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전원공급을 양자택일로 스위칭온 시키는 관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장치는 상기 제2 검사장치가 스위칭온됨에 따라, 기등록된 피검자 검사이력으로부터 확인되는 관심영역의 시신경 라인수에 기초하여 상기 제2 검사장치에서 프리뷰되는 프리뷰이미지에 초점가이드 객체를 태깅하는, 검안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가이드 객체는 기준 초점 거리로부터 관심영역의 시신경 라인수가 나타나는 대상 초점 거리로 조작 방향을 지시하는 방향 식별 객체이고,
    상기 프리뷰이미지는 상기 제2 검사장치가 활성화됨에 따라 출력되는 라이브뷰 이미지인, 검안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장치는 상기 제2 검사장치를 통해 촬영된 제1 안저이미지로부터 검출된 기설정된 증상객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검사장치를 컬러모드, 레드 프리모드, 형광모드 중 어느 하나의 필터 모드로 선택적으로 변경시킴에 따라 제2 안저이미지를 수집하고,
    상기 제1 안저이미지는 초기 촬영 모드에서 촬영되는 흑백이미지이고,
    상기 제2 안저이미지는 어느 하나의 필터 모드에서 촬영되는 색상이미지인, 검안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장치는 상기 제2 검사장치에 밀착 연결되는 와트미터 센서를 통해 측정된 광출력 세기별 오차값에 따라 제한된 조명값 유효 구간을 각 필터 모드에 미리 등록하는, 검안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장치는 상기 접수단말로부터 상기 피검자정보를 전송받는 통신부;
    상기 피검자정보로부터 증상키워드와 개인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
    기수집된 환자정보 리스트로부터 상기 개인정보에 따라 분류되는 관심환자별 안저이미지에 진단질환을 라벨링하는 라벨링부;
    상기 관심환자별 안저이미지를 입력으로 하고, 이미지별 진단질환을 출력으로 하는 머신러닝을 통해 인공지능 기반의 질환 추정 모델을 학습하는 학습부;
    상기 제1 및 제2 안저이미지를 상기 질환 추정 모델에 적용함에 따라 출력되는 출력값의 평균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안저이미지에 대한 질환종류를 추정하는 추정부; 및
    상기 질환종류에 따라 기설정된 치료가이드와 웹을 통해 검색된 예방방법을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검안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질환종류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정밀검사 대상 부위들에 따라, 상기 제2 검사장치를 통해 촬영된 정밀검사 이미지로부터 증상객체를 검출하는 객체검출부;
    상기 증상객체의 형상, 사이즈 및 색상에 기초하여, 상기 관심환자별 안저이미지로부터 탐색된 하나의 안저이미지를 맞춤형 안저이미지로 결정하는 이미지결정부; 및
    상기 맞춤형 안저이미지에 따라 저장 DB에 등록된 치료방법을 해당 피검자의 맞춤형 치료방법으로 출력장치를 제공하는 치료방법 제공부를 포함하는, 검안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리뷰이미지로부터 측정되는 동공 밝기 정보에 반비례하는 조명광 출력 세기를 설정하는 조명광출력 설정부;
    상기 프리뷰이미지로부터 검출된 안구 사이즈에 비례하여 조명광 파장 구간을 조절하는, 파장구간 조절부;
    상기 프리뷰이미지로부터 검출된 화이트홀 면적 사이즈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광에 대한 출력을 차단시키는 이벤트관리부; 및
    상기 제1 및 제2 검사장치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열화상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안구 열화상이미지에 기초하여, 해당 피검자의 안구상태를 건성안과 정상안 중 어느 하나로 판별하는 안구상태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관리부는 상기 해당 피검자의 안구상태가 건성안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조명광에 대한 출력시간을 기설정된 시간으로 제한시키는 동시에 상기 조명광 파장 구간에서 최단 파장으로 변경시키는, 검안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부는 외부 광원으로부터 측정된 RGB 광량정보에 기초하여, 색온도를 검출하는 색온도검출부;
    상기 색온도와 기준 백색 색온도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RGB색상좌표로부터 RGB색상 이동좌표를 분석하는 색상분석부; 및
    상기 RGB색상 이동좌표에 기초하여, 상기 제2 검사장치를 통해 획득된 모든 이미지에 대해 보정처리하는 이미지보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보정부는 상기 제2 검사장치를 통해 획득된 모든 이미지들 중 NRQA(No-reference quality assessment) 평가 방법을 통해 리스트된 일정순위 이상의 선명도를 가진 이미지를 필터링하고 나머지를 삭제하는, 검안 시스템.







KR1020230025695A 2023-02-27 2023-02-27 검안 시스템 KR102572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5695A KR102572093B1 (ko) 2023-02-27 2023-02-27 검안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5695A KR102572093B1 (ko) 2023-02-27 2023-02-27 검안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2093B1 true KR102572093B1 (ko) 2023-08-28

Family

ID=87806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5695A KR102572093B1 (ko) 2023-02-27 2023-02-27 검안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209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6511A (ko) * 2011-06-09 2012-12-20 광주과학기술원 광간섭 단층촬영 장치 및 그를 이용한 광간섭 단층촬영 방법
KR20140112616A (ko) * 2013-03-12 2014-09-24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각막 촬영용 렌즈가 구비된 오씨티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6511A (ko) * 2011-06-09 2012-12-20 광주과학기술원 광간섭 단층촬영 장치 및 그를 이용한 광간섭 단층촬영 방법
KR20140112616A (ko) * 2013-03-12 2014-09-24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각막 촬영용 렌즈가 구비된 오씨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27135B2 (en) Adaptive photoscreening system
US10448826B2 (en) Visual function testing device and visual function testing system
US7810928B2 (en) Evaluating pupillary responses to light stimuli
US7878652B2 (en) Adaptive photoscreening system
US5943116A (en) System for imaging an ocular fundus semi-automatically at high resolution and wide field
CN108670192A (zh) 一种动态视觉刺激的多光谱眼底成像系统及方法
JP5850292B2 (ja) 眼科装置
US20120050515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6860603B2 (en)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characteristics measuring device,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characteristics measuring method, contrast sensitivity measuring device, contrast sensitivity measuring method, and contrast sensitivity target displaying device
JP3950876B2 (ja) 眼底検査装置
US9872616B2 (en) Pupillary response and eye anterior assessment
JP2014079392A (ja) 眼科撮影装置
JP2014188254A (ja) 視野検査装置
EP3638097A1 (en) Non-mydriatic, non-contact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widefield fundus photographic imaging of the eye
KR102572093B1 (ko) 검안 시스템
JP7301052B2 (ja) 眼科撮影装置
US10667681B2 (en) Vision testing device
US7404641B2 (en) Method for examining the ocular fundus
WO2008062528A1 (fr) Analyseur d'image de fond d'œil
KR102572090B1 (ko) 검안 시스템
JP4288128B2 (ja) 眼科装置
EP3695775B1 (en) Smartphone-based handheld optical device and method for capturing non-mydriatic retinal images
EP3440990A1 (en) System for imaging a fundus of an eye
US20230190097A1 (en) Cataract detection and assessment
TWI839124B (zh) 光學斷層掃描自測系統、光學斷層掃描方法及眼部病變監控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