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1682B1 - 고전압 퓨즈 - Google Patents

고전압 퓨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1682B1
KR102571682B1 KR1020180082456A KR20180082456A KR102571682B1 KR 102571682 B1 KR102571682 B1 KR 102571682B1 KR 1020180082456 A KR1020180082456 A KR 1020180082456A KR 20180082456 A KR20180082456 A KR 20180082456A KR 102571682 B1 KR102571682 B1 KR 102571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housings
coupled
vacuum
f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2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8390A (ko
Inventor
유효승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2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1682B1/ko
Publication of KR20200008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8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1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16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41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characterised by the type
    • H01H85/042General constructions or structure of high voltage fuses, i.e. above 1000 V

Landscapes

  • F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전압 퓨즈를 제공한다. 상기 고전압 퓨즈는 서로 결합되며, 내부에 소호사가 충진되는 한 쌍의 하우징과; 상기 한 쌍의 하우징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퓨즈 터미널과; 서로 결합된 상기 한 쌍의 하우징의 양단 외주에 끼워져 밀착 결합되는 한 쌍의 링; 및, 상기 한 쌍의 하우징의 양단 외주와, 상기 한 쌍의 링의 내주 사이에 일정의 진공 흡착력을 형성하는 진공 흡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전압 퓨즈{High voltage fuse}
본 발명은 고전압 퓨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의 양단에서 링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고전압 퓨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퓨즈는 배터리 등의 전기공급원에서 전장부품으로 전원을 공급함에 있어 전장부품에 과부하가 걸렸을 때, 신속하게 전원의 공급을 차단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퓨즈 중에서 고전압이 사용되는 전장부품에서 사용되는 것이 있다.
고전압에서 사용되는 퓨즈에서는 과부하에 의해 퓨즈터미널의 용단부가 용융되어 끊어질 때 발생된 아크를 통해 전원이 전장부품으로 전해지면서 전장부품에 2차적으로 충격을 주거나 화재발생 위험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고전압에서 사용되는 퓨즈에는 용단부가 끊어질 때, 발생하는 아크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용단부가 수용되는 공간 내에 모래와 같은 소호재를 채워 용단부를 둘러싸도록 한다.
이와 같은 고전압 퓨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양단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퓨즈 터미널과, 한 쌍의 링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분리 가능하게 한 쌍으로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하우징은 서로 결합된다.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소호사가 충진된다.
상기 한 쌍의 링은 결합된 한 쌍의 하우징의 양단 외주에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결합은 억지 끼움 방식의 결합을 이룬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하우징의 양단 외주에는 단차면이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링 각각은 상기 단차면에 끼워진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링은 한 쌍의 하우징의 양단을 구속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상기 단차면은 매끈한 면을 이룬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링의 내주와 단차면은 매끄러운 결합 상태를 이룬다. 즉 슬립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다.
이의 구조에서, 상기 퓨즈 터미널에 과전류가 형성되는 경우 하우징의 내부에는 일정의 고온이 형성된다. 이에,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일정 이상의 압력이 형성된다.
종래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일정 이상의 압력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링은 하우징의 양단에서 슬립되어 외측으로 강제 이탈되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에는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 20-2015-0001826호(공개일자 : 2015년 05월 13일)가 있다.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서로 결합된 한 쌍의 하우징의 양단 외주와 각각의 링과의 사이에 진공 흡착력을 형성하여 하우징 내부에 이상 압력이 발생되더라도 각 링이 하우징의 양단에서 강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고전압 퓨즈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서로 결합되는 한 쌍의 하우징의 결합력을 상승시킬 수 있는 고전압 퓨즈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고전압 퓨즈를 제공한다.
상기 고전압 퓨즈는 서로 결합되며, 내부에 소호사가 충진되는 한 쌍의 하우징과; 상기 한 쌍의 하우징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퓨즈 터미널과; 서로 결합된 상기 한 쌍의 하우징의 양단 외주에 끼워져 밀착 결합되는 한 쌍의 링; 및, 상기 한 쌍의 하우징의 양단 외주와, 상기 한 쌍의 링의 내주 사이에 일정의 진공 흡착력을 형성하는 진공 흡착부;를 포함한다.
상기 진공 흡착부는, 상기 한 쌍의 하우징의 양단 외주에 형성되는 다수의 진공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공 흡착부는, 상기 한 쌍의 링의 내주에 형성되는 다수의 진공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수의 진공홈은, 상기 한 쌍의 하우징의 양단 외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이루어 형성되되, 서로 동일 크기 또는 서로 다른 크기의 홈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로 결합되는 상기 한 쌍의 하우징의 양단은, 원주를 형성하되,
상기 다수의 진공홈은, 서로 결합된 상기 한 쌍의 하우징의 양단 기준 위치에서 일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크기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수의 진공홈 각각은, 원형 또는 다각형 홈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수의 진공홈 각각은, 일정의 깊이를 갖는 홈 몸체와, 상기 홈 몸체를 개방하는 개구를 형성하되, 상기 개구와 상기 홈 몸체의 테두리 사이에는, 경사면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하우징 각각은 서로 결합되는 결합면을 포함하되, 상기 결합면은, 다단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통되는 상기 퓨즈 터미널의 외면과 진공 흡착되는 진공 흡착홀들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서로 결합된 한 쌍의 하우징의 양단 외주와 각각의 링과의 사이에 진공 흡착력을 형성하여 하우징 내부에 이상 압력이 발생되더라도 각 링이 하우징의 양단에서 강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결합되는 한 쌍의 하우징의 결합력을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퓨즈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하우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 하우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퓨즈 터미널이 하우징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표시부호 A를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홈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링이 한 쌍의 하우징의 양단 외주에 끼워져 결합되기 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링이 한 쌍의 하우징의 양단 외주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구비 또는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구비 또는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구비 또는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퓨즈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하우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 하우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퓨즈의 구성을 설명한다.
하우징(100)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퓨즈는 한 쌍의 하우징(100)을 갖는다. 상기 한 쌍의 하우징(100)은 서로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다.
도 3을 참조 하면, 상기 한 쌍의 하우징(100)은 상부 하우징(110)과 하부 하우징(1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 하우징(110)의 양단부에는 한 쌍의 상부 격판(111)이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상부 격판(111)에는 상부 결합면이 단차를 이루어 형성된다.
상기 상부 결합면은 ㄱ 형상으로 절곡되는 제 1상부 결합면(112)과, 상기 제 1상부 결합면(112)의 양단에서 경사를 이루어 상부 하우징(110)의 둘레에 연결되는 한 쌍의 제 2상부 결합면(113)을 갖는다.
상기 제 1상부 결합면(112)에는 퓨즈 터미널이 관통되는 제 1관통홀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관통홀은 후술되는 제 2관통홀과 맞닿아 퓨즈 터미널의 단부가 관통 밀착되는 홀(h)로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제 2상부 결합면(113)과, 상기 상부 하우징(110)의 양단 테두리에는 끼움 몸체(114) 및 끼움홈(115)이 형성된다. 상기 끼움 몸체(114) 및 끼움홈(115)은 상부 하우징(110)의 일측부 및 타측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하부 하우징(120)의 양단부에는 한 쌍의 하부 격판(121)이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하부 격판(121)에는 하부 결합면이 단차를 이루어 형성된다.
상기 하부 결합면은 ㄱ 형상으로 절곡되는 제 1하부 결합면(122)과, 상기 제 1하부 결합면(122)의 양단에서 경사를 이루어 하부 하우징(120)의 둘레에 연결되는 한 쌍의 제 2하부 결합면(123)을 갖는다.
상기 제 1하부 결합면(122)에는 퓨즈 터미널(400)이 관통되는 제 2관통홀이 형성된다. 상기 제 2관통홀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관통홀과 홀(h)을 이루어 퓨즈 터미널(400)이 관통 및 접촉된다.
상기 한 쌍의 제 2하부 결합면(123)과, 상기 하부 하우징(120)의 양단 테두리에는 끼움 돌기(124) 및 끼움홈(125)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부 및 하부 하우징(110, 120)이 서로 결합되는 경우, 끼움 돌기(140, 240)는 상대측에 위치되는 끼움홈(150, 250)에 끼워져 결합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퓨즈 터미널이 하우징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표시부호 A를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상부 하우징(110)과 하부 하우징(120)은 서로 결합된다.
상부 하우징(110)의 상부 결합면과 하부 하우징(120)의 하부 결합면은 서로 밀착된다.
여기서, 퓨즈 터미널(400)의 양단은 제 1,2관통홀을 통해 형성되는 홀(h)을 관통한다. 퓨즈 터미널(400)의 양단 외주면은 홀(h)의 내주면에 밀착된다.
더하여, 상부 하우징(110)의 제 1상부 결합면(112)과, 하부 하우징(120)의 제 1하부 결합면(122)은 퓨즈 터미널(400)의 외면에 밀착된다.
상술한 상기 제 1상부 및 제 1하부 결합면(112, 122)에는 다수의 진공 흡착홀들(110b, 120b)이 형성된다. 상기 진공 흡착홀들(110b, 120b)은 일정의 진공을 형성하여 밀착되는 퓨즈 터미널(400)의 외면에 흡착된다.
상술한 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상부 및 하부 하우징(110, 120)은 서로 결합된다. 그리고, 퓨즈 터미널(400)은 서로 결합된 상부 및 하부 하우징(110, 120)의 양측부를 통해 관통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 하면, 상기 상부 하우징(110)의 상부 격판(111) 또는 하부 격판(121) 중 어느 하나에는 주입홀(H)이 형성된다. 소호사는 상기 주입홀(H)을 통해 서로 결합된 상부 및 하부 하우징(110, 120)의 내부 공간으로 주입될 수 있다.
진공 흡착부(200)
도 1 내지 도 4를 참조 하면, 진공 흡착부(200)는 다수의 진공홈(2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진공흡착부와 진공홈의 구성 번호는 '200'으로 동일하게 사용한다.
상기 다수의 진공홈(200)은 상부 하우징(110) 및 하부 하우징(120)의 양단 외주에 형성된다.
상기 상부 하우징(110) 및 하부 하우징(120)의 외주에는 단차진 단차면(110a, 120a)이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진공홈(200)은 상기 단차면(110a, 120a)에 간격을 이루고, 일정 깊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진공홈(200)은 후술되는 링(300)의 내주에 밀착되어 진공 흡착력을 형성하는 홈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진공흠(200)은 다각 또는 원형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진공홈(200)은 서로 다른 크기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진공흠(200)은 서로 결합된 상기 한 쌍의 하우징(110, 120)의 양단 기준 위치에서 일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크기를 이룰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홈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진공흠(200)은 일정의 깊이를 갖는 홈 몸체와, 상기 홈 몸체를 개방하는 개구로 형성된다. 상기 개구는 상술한 링의 내주에 노출되는 부분이다.
여기서, 상기 개구와 상기 홈 몸체의 테두리 사이에는 경사면(21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 경사면(210)은 퓨즈 터미널(400)의 외면과 진공이 형성되는 경우 흡착 면적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 쌍의 링(300)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링이 한 쌍의 하우징의 양단 외주에 끼워져 결합되기 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링이 한 쌍의 하우징의 양단 외주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링(300)은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링(300) 각각은 금속으로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링(300)은 서로 결합된 상부 및 하부 하우징(110, 120)의 양단에 끼워져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링(300)은 상부 및 하부 하우징(110, 120)의 양단 외주에 형성된 단차면(110a, 120a)에 밀착되도록 끼워진다.
따라서, 상부 및 하부 하우징(110, 120)의 양단 외주에 형성된 진공홈들(200)은 각 링(300)의 내주에 밀착된다.
이때,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경사면(210)은 각 링(300)의 내주에 밀착된다.
따라서, 하우징(100)의 내부에 일정 이상의 압력이 발생되는 경우, 진공홈들(200)은 각 링(300)의 내주에 밀착되는 상태로 진공을 형성하여, 하우징(100)의 양단 외주를 일정의 진공을 통해 강제 고정할 수 있다.
다음은, 상기의 구성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퓨즈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상부 및 하부 하우징(110, 120)을 서로 결합시킨다. 이때, 퓨즈 터미널(400)의 양단은 서로 결합되는 상부 및 하부 하우징(110, 120) 양단부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때, 상기 퓨즈 터미널(400)의 양단 외면은 상부 및 하부 하우징(110, 120)의 양측부에 구비되는 제 1상부 절개면(112)과 제 1하부 절개면(122)에 밀착된다.
또한, 제 1상부 절개면(112)과 제 1하부 절개면(122)에 형성되는 다수의 진공 흡착홀들(110b, 120b)은 상기 퓨즈 터미널(400)의 양단 외면에 진공 흡착된다.
그리고, 한 쌍의 링(300)은 서로 결합된 상부 및 하부 하우징(110, 120)의 양단 외주에 끼워져 결합된다. 이때, 한 쌍의 링(300)은 상부 및 하부 하우징(110, 120)의 양단 외주에 형성되는 단차면(110a, 120a)에 밀착되면서 결합된다.
상기 한 쌍의 링(300) 내주는 상부 및 하부 하우징(110, 120)의 양단 외주에 형성되는 다수의 진공홈들(200)과 밀착된다. 상기 다수의 진공홈(200)은 링(300)의 내주와 밀착되는 상태로 일정의 진공을 형성하여 해당 링(300)을 흡착 고정한다.
따라서, 상부 및 하부 하우징(110, 120)의 양단 외주와 각 링(300)은 진공 흡착을 통해 고정된다. 상부 및 하부 하우징(110, 120)의 내부에서 일정 이상의 압력이 형성되는 경우, 해당 링(300)은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퓨즈 터미널(400)의 양단 외면은 다수의 진공 흡착홀들(110b, 120b)에 의해 흡착되는 상태를 형성하기 때문에, 하우징(100) 내부에 발생되는 아크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 및 작용에 따라, 본 발명은 서로 결합된 한 쌍의 하우징의 양단 외주와 각각의 링과의 사이에 진공 흡착력을 형성하여 하우징 내부에 이상 압력이 발생되더라도 각 링이 하우징의 양단에서 강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결합되는 한 쌍의 하우징의 결합력을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 본 발명의 고전압 퓨즈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Claims (9)

  1. 서로 결합되며, 내부에 소호사가 충진되는 한 쌍의 하우징;
    상기 한 쌍의 하우징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퓨즈 터미널;
    서로 결합된 상기 한 쌍의 하우징의 단부 외주에 끼워져 밀착 결합되는 링; 및,
    상기 한 쌍의 하우징의 단부 외주에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하우징의 단부 외주와 상기 링의 내주 사이에 일정의 진공 흡착력을 형성하는 다수의 진공홈;를 포함하는, 고전압 퓨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의 내주에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하우징의 단부 외주와 상기 링의 내주 사이에 일정의 진공 흡착력을 형성하는 다수의 진공홈을 더 포함하는, 고전압 퓨즈.
  3. 서로 결합되며, 내부에 소호사가 충진되는 한 쌍의 하우징;
    상기 한 쌍의 하우징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퓨즈 터미널;
    서로 결합된 상기 한 쌍의 하우징의 단부 외주에 끼워져 밀착 결합되는 링; 및,
    상기 링의 내주에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하우징의 단부 외주와 상기 링의 내주 사이에 일정의 진공 흡착력을 형성하는 다수의 진공홈을 포함하는, 고전압 퓨즈.
  4. 제 1항 또는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진공홈은,
    상기 한 쌍의 하우징의 단부 외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이루어 형성되되,
    서로 동일 크기 또는 서로 다른 크기의 홈으로 형성되는, 고전압 퓨즈.
  5. 제 1항 또는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서로 결합되는 상기 한 쌍의 하우징의 양단은, 원주를 형성하되,
    상기 다수의 진공홈은,
    서로 결합된 상기 한 쌍의 하우징의 양단 기준 위치에서 일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크기를 이루는, 고전압 퓨즈.
  6. 제 1 항 또는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진공홈 각각은,
    원형 또는 다각형 홈으로 형성되는, 고전압 퓨즈.
  7. 제 1 항 또는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진공홈 각각은,
    일정의 깊이를 갖는 홈 몸체와,
    상기 홈 몸체를 개방하는 개구를 형성하되,
    상기 개구와 상기 홈 몸체의 테두리 사이에는, 경사면이 더 형성되는, 고전압 퓨즈.
  8. 서로 결합되며, 내부에 소호사가 충진되는 한 쌍의 하우징;
    상기 한 쌍의 하우징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퓨즈 터미널; 및
    서로 결합된 상기 한 쌍의 하우징의 단부 외주에 끼워져 밀착 결합되는 링;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하우징 각각은 서로 결합되는 결합면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하우징 각각의 결합면에는,
    관통되는 상기 퓨즈 터미널의 외면과 진공 흡착되는 진공 흡착홀들이 형성되는, 고전압 퓨즈.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면은,
    다단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전압 퓨즈.
KR1020180082456A 2018-07-16 2018-07-16 고전압 퓨즈 KR102571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456A KR102571682B1 (ko) 2018-07-16 2018-07-16 고전압 퓨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456A KR102571682B1 (ko) 2018-07-16 2018-07-16 고전압 퓨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8390A KR20200008390A (ko) 2020-01-28
KR102571682B1 true KR102571682B1 (ko) 2023-08-30

Family

ID=69370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2456A KR102571682B1 (ko) 2018-07-16 2018-07-16 고전압 퓨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168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15715A (ja) 2008-07-01 2010-01-21 Taiheiyo Seiko Kk ヒューズ
KR101176614B1 (ko) * 2011-03-04 2012-08-23 주식회사 해성일렉트로닉스 태양광 발전시스템용 접속반의 퓨즈 탈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3256A (ko) * 2013-05-10 2014-11-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고전압 퓨즈
US9761402B2 (en) * 2014-11-14 2017-09-12 Littelfuse, Inc. High-current fuse with endbell assembly
KR20170071936A (ko) * 2015-12-16 2017-06-2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고전압 퓨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15715A (ja) 2008-07-01 2010-01-21 Taiheiyo Seiko Kk ヒューズ
KR101176614B1 (ko) * 2011-03-04 2012-08-23 주식회사 해성일렉트로닉스 태양광 발전시스템용 접속반의 퓨즈 탈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8390A (ko) 2020-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30463B2 (en) Ventilated fuse housing
JP6294532B2 (ja) インライン・ヒューズ・ホルダ・アセンブリ
US4656453A (en) Cartridge fuse with two arc-quenching end plugs
JP3970854B2 (ja) 内部の一時的準気密シールを備えるヒューズエレメント
JP6605037B2 (ja) ヒューズ部品
US4400673A (en) Thermal switch housing
EP3971936B1 (en) High voltage fuse having ring separation prevention structure
GB2248734A (en) High breaking capacity micro-fuse
KR102571682B1 (ko) 고전압 퓨즈
KR20190003083A (ko) 고전압 퓨즈
KR20200077435A (ko) 에너지 소산 캡을 갖는 밀봉형 배터리 퓨즈 모듈
KR102614285B1 (ko) 고전압 퓨즈 제조 공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고전압 퓨즈
KR20180096842A (ko) 고전압 퓨즈
KR102067011B1 (ko) 고전압 퓨즈 및 그 제조 방법
JP2009087892A (ja) 電線ヒューズ
JPH0950868A (ja) コード付き電源プラグ
US2090220A (en) Electric fuse of the cartridge type
KR102366171B1 (ko) 퓨즈 및 그 제조방법
KR102571676B1 (ko) 고전압 퓨즈 및 이의 제조 공정
US4323873A (en) Fuse
US2284599A (en) Multiple fuse
US960808A (en) Incandescent-lamp receptacle.
US3832666A (en) Electric fuse
US3451025A (en) Cartridge type electric fuse
KR20180008980A (ko) 고전압 퓨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