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1381B1 - 남성 성기능 장애의 강정제 조성물 및 관리 - Google Patents

남성 성기능 장애의 강정제 조성물 및 관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1381B1
KR102571381B1 KR1020217002561A KR20217002561A KR102571381B1 KR 102571381 B1 KR102571381 B1 KR 102571381B1 KR 1020217002561 A KR1020217002561 A KR 1020217002561A KR 20217002561 A KR20217002561 A KR 20217002561A KR 102571381 B1 KR102571381 B1 KR 102571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
composition
extract standardized
extract
standard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2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4615A (ko
Inventor
무하메드 마지드
칼야남 나가브후스하남
사랑 바니
안자리 판데이
Original Assignee
새미-사빈사 그룹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새미-사빈사 그룹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새미-사빈사 그룹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24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4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1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13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1Solanaceae (Potato family), e.g. tobacco, nightshade, tomato, belladonna, capsicum or jimsonwe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7Piperaceae (Pepper family), e.g. Jamaican pepper or kav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1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impote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남성 성기능 장애 및 관련 질환의 치료적 관리를 위한 조성물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강정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60-65% w/w 위타니아 솜니페라 추출물(Withaniasomnifera extract), 12-18% w/w 무쿠나 프루리엔스 추출물(Mucuna prurien extract), 5-10% w/w 콜레우스 포스콜리 추출물(Coleus forskohlii extract), 12-18% w/w 흑생강 추출물(Kaempferia parviflora extract), 0.1-2% w/w 후추 추출물(Piper nigrum extract)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남성 성기능 장애의 강정제 조성물 및 관리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9년 2월 22일에 출원된 인도 특허 출원 번호 IN201941006993로부터 우선권을 주장하는 기존 출원이다.
본 발명은 남성 성기능 장애(male sexual dysfunction) 및 관련 질환의 치료적 관리를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남성 성기능 장애 및 관련 질환의 관리를 위해 식물 추출물 및 파이토케미칼(phytochemical)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남성의 성적 각성(sexual arousal)은 뇌, 신경 전달 물질, 2차 메신저, 평활근, 혈관 등을 포함하는 신경 및 혈관계를 포함하는 복잡한 생화학적 경로, 신체적 및 심리적 사건에 의해 촉발된다. 이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경로가 방해받는 경우, 성 기능 장애가 발생한다. 남성 성기능 장애의 일반적인 유형은 발기 부전(erectile dysfunction), 조루(premature ejaculation), 사정 지연 또는 억제, 성욕 감소 등이 있다.
신체적 및 생리적 문제의 조합은 남성의 성기능 장애, 특히 발기 부전을 유발할 수 있다. 뇌는 성적 흥분으로 시작하여 발기를 유발하는 일련의 신체적 사건을 유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우울증, 불안 또는 기타 정신 건강 상태, 스트레스로 인한 스트레스 또는 관계 문제, 잘못된 의사 소통은 발기 부전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킨다.
최신 기술은 음경 발기가 심인성 및 호르몬 기능 및 신경 혈관 비아드레날린성(neurovascular non adrenergic), 비콜린성(non cholinergic)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복잡한 과정이라고 설명한다. 음경 해면체(Corpora cavernosa)에 의해 생성되는 아산화질소(nitrous oxide)는 발기 기능의 주요 혈관 활성 비콜린성 및 비아드레날린성 신경 전달 물질 및 화학적 매개체이다. 산화질소(nitric oxide)는 GTP를 3',5'-사이클릭 구아노신 모노포스페이트 (3',5'-cyclic guanosine monophosphate, cGMP)로 전환하는 효소 구아닐레이트 사이클라제(enzyme guanylate cyclase)를 자극한다. cGMP는 동맥의 평활근을 이완시켜 음경으로의 혈류를 증가시킨다. 음경에서 혈액을 운반하는 정맥이 수축하여, 음경 해면체에 가압된 혈액을 가두어 발기를 유발한다.
또한, cGMP 수준은 발기를 더 오랫동안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상적으로, cGMP는 포스포 디에스테라제 효소(Phospho diesterase enzyme)에 의해 5' GMP로 변환되어, 발기를 감소시킨다. 포스포 디에스테라제 효소의 억제는 성적인 만족을 제공하는 음경 발기를 연장시킬 수 있다(참조를 제공).
따라서, 음경 기능 장애의 치료 및 관련 남성 성기능 장애의 치료적 관리를 위해, 산화질소 수준을 증가하여 음경 혈류를 증가시키고, 효소 구아닐레이트 사이클라제를 활성화하여 사이클릭 모노포스페이트 (cGMP)의 수준을 증가시키고, cGMP 특이적 단백질 키나아제 수준을 증가시켜 평활근 이완을 증가시키는 메커니즘의 모든 단계를 표적할 필요가 있다.
최신 화학 조성물은 남성 성기능 장애의 치료에서 다양한 경로를 통해 작용하는 하나 이상의 제제를 포함한다. 몇 가지 선행 기술을 하기에 언급한다:
Wipo 출원 번호 WO2018220232는 발기 기능 치료에 동시, 순차적 또는 개별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보툴리늄 독소(botulinum toxin), 주로 오나보툴리늄 독소 A(onabotulinum toxin A), 아보툴리눔 독소 A(abobotulinumtoxin A) 및 인코보툴리눔 독소 A(incobotulinumtoxin A); PDE5 억제제, 주로 실데나필 시트레이트(sildenafil citrate), 로데나필(lodenafil), 아바나필(avanafil), 미로데나필(mirodenafil), 실데아필(sildeafil), 타다라필(tadalafil), 및 기타 유도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설명한다.
발기 부전 치료를 위한 조성물 및 방법의 표제의 미국 출원 번호 15/434226은 바르데나필(vardenafil), 아바나필(avanafil)과 같은 하나의 화학적 활성 항 발기 부전 약물 (AED) 및 카나비스(cannabis) 및 이의 추출물을 조합되는 이의 허용 가능한 염의 사용을 개시한다.
미국 특허 번호 7,147,874는 조루 및/또는 성적 자극의 과민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을 개시한다. 이 조성물은 다른 허브 에센셜 오일 성분없이, 정제된 숨수 추출물과 사포닌을 함유하는 정제된 인삼 추출물을 함유한다.
미국 특허 공개 2006/0269623은 발기 부전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 및 이의 증상 개선을 위한 그리고 발기 부전에 대한 예방 조치로서 허브 조성물 및 치료 방법을 교시한다. 이 방법은 하기 허브 및 다른 성분을 포함하는 치료학적 유효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쇄양(Herba cynomorii), 백출(Rhizhomnas atractylodis macrocephalae), 숙지황(Radix rehmannia glutinosea longui), 음양곽(Herba epimedii), 구기자(Fructus lycii), 오미자(Fructus schisandrae chinensis), 하수오(Radix poloygoni multiflori), 육계나무(Cortex cinnamonia cassiae), 사인(Fructus amoni), 및 인삼(Radix ginseng). 코타 등(Kotta et al., Exploring scientifically proven herbal aphrodisiacs, Pharmacogn Rev. 2013 Jan-Jun; 7(13): 1-10)은 아유르베다 의학 시스템(Ayurvedic system of medicine)에서 사용되는 다른 허브 강정제에 대해 리뷰한다.
진공 장치, 음경 임플란트와 같은 다양한 다른 장치를 사용할 수 있지만, 기능이 심각하게 손상된 환자에게만 도움이 된다. 이러한 장치를 사용하는 동안, 멍, 피부 쇠약 및 음경 통증이 발생할 수 있음이 관측되었다.
남성 성기능 장애에 대한 기존 치료법은 상태의 재발로 이어지는 성기능 장애의 모든 측면을 대상으로 하지 않는다. 또한, 이들은 부작용이 있거나, 사용하기에 매우 불편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따라서, 성기능 장애의 완전한 병태 생리 학적 측면을 목표로 하여 남성 성기능 장애의 치료 관리에 안전하고 효율적인 제품을 제공해야 하는 미충족 산업적 요구가 존재한다.
본 발명은 강정제로서 사용하고 남성 성기능 장애 및 관련 장애의 치료 관리에 사용하기 위한 식물 추출물 및 파이토케미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시함으로써 상술한 문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강정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0.25% 위타페린(withaferin) 및 7% 위타놀라이드(withanolide)를 함유하도록 표준화된 60-65% w/w 위타니아 솜니페라(Withania somnifera) 추출물, 10% w/w L-도파를 함유하도록 표준화된 12-18% w/w 무쿠나 프루리엔스(Mucana pruriens) 추출물, 10% w/w 포스콜린(forskolin)을 함유하도록 표준화된 5-10% w/w 콜레우스 포스콜리(Coleus forskohlii) 추출물, 2.5% w/w의 5,7-디메톡시플라본 및 10% w/w 이상의 총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도록 표준화된 12-18% w/w 흑생강(Kaempferia parviflora), 및 95% w/w 피페린(Piperine)을 함유하도록 표준화된 0.1-2% w/w 후추(Piper nigrum)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0.25% 위타페린(withaferin) 및 7% 위타놀라이드(withanolide)를 함유하도록 표준화된 60-65% w/w 위타니아 솜니페라(Withania somnifera) 추출물, 10% w/w L-도파를 함유하도록 표준화된 12-18% w/w 무쿠나 프루리엔스(Mucana pruriens) 추출물, 10% w/w 포스콜린(forskolin)을 함유하도록 표준화된 5-10% w/w 콜레우스 포스콜리(Coleus forskohlii) 추출물, 2.5% w/w의 5,7-디메톡시플라본 및 10% w/w 이상의 총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도록 표준화된 12-18% w/w 흑생강(Kaempferia parviflora), 및 95% w/w 피페린(Piperine)을 함유하도록 표준화된 0.1-2% w/w 후추(Piper nigrum)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하여 남성 성기능 장애 및 관련 질환의 치료적 관리를 위한 방법을 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해결하고, 추가적인 관련 이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남성 성기능 장애 및 관련 질환의 치료적 관리를 위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산화질소, 테스토스테론 및 cGMP의 수준을 증가시킴으로써 강정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0.25% 위타페린(withaferin) 및 7% 위타놀라이드(withanolide)를 함유하도록 표준화된 60-65% w/w 위타니아 솜니페라(Withania somnifera) 추출물, 10% w/w L-도파를 함유하도록 표준화된 12-18% w/w 무쿠나 프루리엔스(Mucana pruriens) 추출물, 10% w/w 포스콜린(forskolin)을 함유하도록 표준화된 5-10% w/w 콜레우스 포스콜리(Coleus forskohlii) 추출물, 2.5% w/w의 5,7-디메톡시플라본 및 10% w/w 이상의 총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도록 표준화된 12-18% w/w 흑생강(Kaempferia parviflora), 및 95% w/w 피페린(Piperine)을 함유하도록 표준화된 0.1-2% w/w 후추(Piper nigrum)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본 발명의 원리를 예로서 설명하는 첨부 도면과 함께 취해진 하기 더욱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수컷 위스타 랫트에서 장착 행동에 대한 제형의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장기간 효과).
도 2는 상이한 농도의 제형으로 투여된 수컷 위스타 랫트에서 혈청 테스토스테론 수준을 그래프이다.
도 3은 상이한 농도의 제형으로 투여된 수컷 위스타 랫트에서 혈청 안드로 스텐디온 수준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는 상이한 농도의 제형으로 투여된 수컷 위스타 랫트에서 혈청 cGMP 수준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상이한 농도의 제형으로 투여된 수컷 위스타 랫트에서 혈청 cGMP 특이성 키나아제의 수준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6은 수컷 위스타 랫트에서 혈청 cGMP의 수준에 대한 제형 및 개별 식물 활성의 효과의 비교 평가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7은 수컷 위스타 랫트에서 혈청 cGMP 특이적 키나아제의 수준에 대한 제형 및 개별 식물 활성의 효과의 비교 평가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보다 나은 이해를 위해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거나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각각의 바람직한 양태와 함께 상세하게 기재된다.
가장 바람직한 양태에서, 본 발명은 60-65% w/w 위타니아 솜니페라 추출물(Withaniasomnifera extract), 12-18% w/w 무쿠나 프루리엔스 추출물(Mucuna prurien extract), 5-10% w/w 콜레우스 포스콜리 추출물(Coleus forskohlii extract), 12-18% w/w 흑생강 추출물(Kaempferia parviflora extract), 0.1-2% w/w 후추 추출물(Piper nigrum extract)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시한다. 관련 측면에서, 조성물은 포스포 디에스테라제 5 (phospho diesterase 5, PDE-5) 억제제; 테스토스테론 강화제, 산화질소 강화제, cGMP 강화제, 항-연축성(anti-spasmodic) 및 혈관확장제(vasodilator), 안드로겐 수용체 활성화제 및 cGMP 단백질 키나아제 활성화제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이토케미칼을 포함한다.
관련 측면에서, 위타니아 솜니페라 추출은 0.25% 위타페린(withaferin) 및 7% 위타놀라이드(withanolide)를 함유하도록 표준화된다. 다른 관련 측면에서, 무쿠나 프루리엔스 추출물은 10% w/w L-도파를 함유하도록 표준화된다. 또 다른 관련 측면에서, 콜레우스 포스콜리 추출물은 10% w/w 포스콜린(forskolin)을 함유하도록 표준화된다. 다른 관련 측면에서, 흑생강은 2.5% w/w의 5,7-디메톡시플라본 및 10% w/w 이상의 총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도록 표준화된다.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 본 발명은 강정제로 사용하기 위한 0.25% 위타페린(withaferin) 및 7% 위타놀라이드(withanolide)를 함유하도록 표준화된 60-65% w/w 위타니아 솜니페라(Withania somnifera) 추출물; 10% w/w L-도파를 함유하도록 표준화된 12-18% w/w 무쿠나 프루리엔스(Mucana pruriens) 추출물; 10% w/w 포스콜린(forskolin)을 함유하도록 표준화된 5-10% w/w 콜레우스 포스콜리(Coleus forskohlii) 추출물; 2.5% w/w의 5,7-디메톡시플라본 및 10% w/w 이상의 총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도록 표준화된 12-18% w/w 흑생강(Kaempferia parviflora); 및 95% w/w 피페린(Piperine)을 함유하도록 표준화된 0.1-2% w/w 후추(Piper nigrum)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시한다.
관련 측면에서, 조성물은 포스포 디에스테라제 5 (PDE-5) 억제제; 테스토스테론 강화제, 산화질소 강화제, cGMP 강화제, 항-연축성 및 혈관확장제, 안드로겐 수용체 활성화제 및 cGMP 단백질 키나아제 활성화제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이토케미칼을 포함한다. 다른 관련 측면에서,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또는 의약식품적으로(nutraceutically) 허용되는 부형제, 보조제, 희석제 또는 담체와 함께 제형화되고, 정제, 캡슐, 시럽, 구미, 분말, 현탁액, 에멀젼, 츄어블, 캔디 또는 식료품(eatables)의 형태로 투여된다.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 본 발명은 포유류의 성욕을 증가시키는 방법이 개시되는데, 여기서 상기 방법은, 포유류의 체중에 기초하여, 0.25% 위타페린(withaferin) 및 7% 위타놀라이드(withanolide)를 함유하도록 표준화된 60-65% w/w 위타니아 솜니페라(Withania somnifera) 추출물; 10% w/w L-도파를 함유하도록 표준화된 12-18% w/w 무쿠나 프루리엔스(Mucana pruriens) 추출물; 10% w/w 포스콜린(forskolin)을 함유하도록 표준화된 5-10% w/w 콜레우스 포스콜리(Coleus forskohlii) 추출물; 2.5% w/w의 5,7-디메톡시플라본 및 10% w/w 이상의 총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도록 표준화된 12-18% w/w 흑생강(Kaempferia parviflora); 및 95% w/w 피페린(Piperine)을 함유하도록 표준화된 0.1-2% w/w 후추(Piper nigrum)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유효량을 이러한 효과를 필요로 하는 포유류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관련 측면에서, 조성물은 포스포 디에스테라제 5 (PDE-5) 억제제; 테스토스테론 강화제, 산화질소 강화제, cGMP 강화제, 항-연축성 및 혈관확장제, 안드로겐 수용체 활성화제 및 cGMP 단백질 키나아제 활성화제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이토케미칼을 포함한다. 관련 측면에서, 조성물의 유효량은 50-200 mg/kg 체중이다. 다른 관련 측면에서, 포유류는 바람직하게는 남성이다. 다른 관련 측면에서, 포유류는 바람직하게는 인간이다. 다른 관련 측면에서,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또는 의약식품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 보조제, 희석제 또는 담체와 함께 제형화되고, 정제, 캡슐, 시럽, 구미, 분말, 현탁액, 에멀젼, 츄어블, 캔디 또는 식료품의 형태로 투여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 본 발명은 포유류의 남성 성기능 장애 및 관련 질환의 치료적 관리 방법을 개시하는데, 여기서 상기 방법은, 포유류의 체중에 기초하여, 0.25% 위타페린(withaferin) 및 7% 위타놀라이드(withanolide)를 함유하도록 표준화된 60-65% w/w 위타니아 솜니페라(Withania somnifera) 추출물; 10% w/w L-도파를 함유하도록 표준화된 12-18% w/w 무쿠나 프루리엔스(Mucana pruriens) 추출물; 10% w/w 포스콜린(forskolin)을 함유하도록 표준화된 5-10% w/w 콜레우스 포스콜리(Coleus forskohlii) 추출물; 2.5% w/w의 5,7-디메톡시플라본 및 10% w/w 이상의 총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도록 표준화된 12-18% w/w 흑생강(Kaempferia parviflora); 및 95% w/w 피페린(Piperine)을 함유하도록 표준화된 0.1-2% w/w 후추(Piper nigrum)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유효량을 이러한 효과를 필요로 하는 포유류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관련 측면에서, 남성 성기능 장애는 발기 부전(erectile dysfunction), 조루(premature ejaculation), 사정 지연 또는 억제, 성욕 감소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다. 관련 양태에서, 남성 성기능 장애는 바람직하게는 발기 부전 및 성욕 감소이다. 관련 측면에서, 남성 성기능 장애의 관리는 포스포 디에스테라제 5 (PDE-5)를 억제하고, 테스토스테론, 산화질소 및 cGMP 수준을 향상시키고, 안드로겐 수용체 및 cGMP 단백질 키나아제를 활성화함으로써 발생한다. 관련 측면에서, 조성물의 유효량은 50-200 mg/kg 체중이다. 다른 관련 측면에서, 포유류는 바람직하게는 남성이다. 다른 관련 측면에서, 포유류는 바람직하게는 인간이다. 다른 관련 측면에서,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또는 의약식품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 보조제, 희석제 또는 담체와 함께 제형화되고, 정제, 캡슐, 시럽, 구미, 분말, 현탁액, 에멀젼, 츄어블, 캔디 또는 식료품의 형태로 투여된다.
가장 바람직한 양태를 나타내는 특정 예시적인 실시예가 본 명세서에서 하기에 포함된다.
실시예
실시예 1: 조성물의 세부 사항
본 발명은 60-65% w/w 위타니아 솜니페라 추출물(Withania somnifera extract), 12-18% w/w 무쿠나 프루리엔스 추출물(Mucuna prurien extract), 5-10% w/w 콜레우스 포스콜리 추출물(Coleus forskohlii extract), 12-18% w/w 흑생강 추출물(Kaempferia parviflora extract), 0.1-2% w/w 후추 추출물(Piper nigrum extract)을 포함하는 시너지 조성물을 개시한다. 개별적인 식물 추출물의 남성 성기능 장애의 관리에 대한 세부 사항 및 의도된 치료적 잠재성은 하기에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아슈와간다(ashwagandha), 인도 인삼, 포이즌 구스베리(poison gooseberry) 또는 꽈리(winter cherry)로 알려진 위타니아 솜니페라는 가지과(solanaceae family)이다. 위타니아 솜니페라의 동의어는 Physalis somnifera L., Withania kansuensis Kuang & A. M. Lu Withania microphysalis.이다. 주요 파이토케미칼 성분은 트리테르펜 락톤, 주로 위타놀라이드(withanolide), 위타페린 A(withaferin A), 알칼로이드(alkaloid), 스테로이달 락톤(steroidal lactone), 트로핀(tropine) 및 쿠스코히그린(cuscohygrine)인 위타놀라이드류(withanolides)로 구성된다 (Ashwagandha". Drugs.com. 2009. Retrieved 27 December 2018). 위타니아 솜니페라의 알칼로이드는 산화질소의 생성을 증가시키고, 혈관 내피 이상을 개선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추출물에 함유된 스테롤은 성기능과 부신 기능을 자극하고 (Kumar et.al., Chemistry and pharmacology of withania somnifera: An update, TANG Humanitas Medicine, 2015; 5(1):1-13), 플라보노이드는 심혈관계의 보호에 도움을 준다 (Narinderpal et.al.,A Review on Pharmacological Profile of Withania somnifera (Ashwagandha), Research & Reviews: Journal of Botanical Sciences, 2013; 2(4); 1-9).
무쿠나 프루리엔스는 일반적으로 벨벳 빈, 벵골 벨벳 빈(Bengal velvet bean), 플로리다 벨벳 빈(Florida velvet bean), 모리셔스 벨벳 빈(Mauritius velvet bean), 요코하마 벨벳 빈(yokohama velvet bean), 벨벳 빈(cowage co witch), 라쿠나 빈(lacuna bean) 및 리온 빈(Lyon bean)으로 알려져 있다. 아프리카와 열대 아시아에 서식하는 열대 콩과 식물로 널리 귀화되고 재배된다. 식물의 종자는 미량의 세로토닌, 니코틴 및 부포테닌(bufotenine)과 함께 L-Dopa를 함유한다. 식물과 그 추출물은 다양한 뱀에 물린 사람들의 독소 길항제(toxin antagonist)로서 부족 공동체에서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다. 또한, 파킨슨 병을 포함한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전통적인 아유르베다 의학 시스템에서 사용되었다 (Cilia et. al., Mucana Pruriens in Parkinson disease, Neurology, 2017 Aug 1; 89(5): 432-438). 식물의 종자에 존재하는 레보도파 또는 L-도파는 성적 각성에 중요한 기능을 하는 신경 전달 물질인 도파민의 합성에 필수적이다. L-도파는 성교 시간을 연장하는데 도움이 되며, 조루 증상을 해결하는 것으로 보고된다 Morales et. al. Evolving therapeutic strategies for premature ejaculation: The search for on-demand treatment - topical versus systemic, Canadian Urological Association Journal, 2012; 6(5) 380-385).
후추는 일반적으로 건조되고, 향신료와 조미료로 사용되는 과일을 위해 재배되는 후추과(family Piperaceae)의 꽃이 만발한 포도 나무(flowering vine)이고, 과일은 제르마크렌(germacrene), 리몰린(limoline), 피펜(pipene) 및 알파-펠란드렌(alpha-phellandrene) 및 베타-카리오필렌(beta-caryophyllene)을 포함한 많은 테르핀을 함유한다 (Pund et. al. Nanoarchitectures for Neglected Tropical Protozoal Diseases: Challenges and State of the Art, Science Direct, 2016). 또한, 검은 후추(Black pepper)는 생체 이용률 향상제로 사용되는 피페린(Piperine)을 함유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Kesarwani et. al. Bioavailability enhancers of herbal origin: An overview, Asia Pacafic Journal of Topical Biomedicine, 2013; 3(4) 253-266). 또한, 피페린은 음경 정맥을 포함한 전신으로의 혈류를 유발하는 혈액 내 CoQ10 수준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플렉트란투스 바바투스(Plectranthus barbatus)라고도 알려진 콜레우스 포스콜리는 일반적인 콜레우스(coleus) 종과 관련된 열대 다년생 식물이다. 이는 약제학적 제제에 유용한 추출물인 포스콜린을 생산한다. 아유르베다에서, 콜레우스는 심장병, 경련성 통증, 고통스러운 배뇨 및 경련을 치료하는데 사용된다 (Meghwal et. al. Nutritional Constituent of Black pepper as Medicinal Modules: A Review. Open Access Scientific Reports, 2012, 1(1) 1-7). 포스콜린은 cAMP, 안드로겐 수용체 활성을 증가시키고 스테로이드 생성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포스콜린은 안드로겐 수용체 감도를 증가시켜, 테스토스테론의 활용을 증가시킨다 (Neto et. al. Vasodilation induced by forskolin involves cyclic GMP production. Journal of Biophysical Chemistry, 2011 2(4), 1-7).
타이 흑생강(Thai black ginger), 타이 인삼(Thai ginseng) 또는 흑산내(krachaidum)로도 알려진 흑생강은 생강과(family Zingiberaceae)의 초본 식물(herbaceous plant)이다. 흑생강은 항염, 항산화 및 성욕 촉진과 같은 약리학적 활성, 항 위궤양(anti gastric ulcer) 효과, 항말라이아(antiplasmodial), 항진균, 항균 활성을 갖는다. 흑생강은 치료 잠재성을 담당하는 많은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 식물은 cGMP 단백질 키나아제의 PDE5 억제 및 활성화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결국 Ca+의 농도를 감소시키고 음경 평활근의 평활근 이완을 가속화한다 (Chen et.al. Kaempferia parviflora and its methoxyflavone: Chemistry and Biological Activities.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2018; Article ID 4057456, 1-15).
본 발명에 개시된 조성물은 남성 생식력(fertility)의 모든 메커니즘을 표적하고, 시너지 효과를 제공한다. 구성 성분을 표 1에 나타냈다.
[표 1] 조성물 세부 사항
실시예 2: 생식 능력 연구
본 발명의 조성물을 수컷 위스타 랫트에게 실험하고, 생식 능력 연구를 위해 관측했다. 행동 및 생화학적 평가 모두가 수행되었고, 청구 발명을 지지하는 발견을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실시예와 함께 기재했다.
행동 평가
행동 모니터링:
발정기가 아닌 암컷 랫트를 단일 용량의 제형으로 처리한 수컷과 짝을 지웠다. 동물의 성적 행동에 대해 3시간 (급성 효과) 동안 관측했다(Tajuddin et. al., Aphrodisiac activity of 50% ethanol extracts of Myristica fragrans Houtt. (Nutmeg) and Syzygium aromaticum (L.) Merr. & Perry. (Clove) in male mice: a comparative study. BMC Complement Altern Med. 2003;3:6.). 1시간 시작에서 15분 관측 기간 동안 다른 구애 활동과 함께 올라타는 수를 기록했다. 암컷을 105분 동안 분리시켰다. 다시 만나게하여, 15분 동안 올라타는 수를 관측했다 (3시간). 결과를 표 2에 표로 정리하고, 도 1에 나타냈다.
[표 2] 수컷 위스타 랫트에서 올라타는 행동에 대한 제형의 효과 (장기간 효과)
괄호 안의 값은 대조군 대비 증가율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형은 올라타는 수를 크게 증가시켜, 매우 효과적인 강정제임을 나타낸다.
짝짓기 평가:
한마리 수컷에 1시간 동안 약물을 투여한 후, 5마리의 발정기 암컷을 우리에 넣고 밤새 그대로 유지시켰다. 다음날 아침, 각 암컷 랫트의 질 얼룩을 현미경으로 검사하여 정자의 존재를 확인했다. 발정 사이클의 단계는 Dewsbury DA et. al., Effect of reserpine on the copulatory behaviour of Male rats. Physiol Behav. 1970;5:1331-1333; Szechtman H, Moshe H, et.al. Sexual behaviour Pain sensitivity and stimulates endogenous opioid in male rats. Eur J Pharmacol. 1981;70:279-285에 의해 정해진 기준에 따라 결정했다. 결과를 표 3과 같이 표로 정리했다.
[표 3] 수컷 위스타 랫트에서 짝짓기 능력에 대한 제형의 효과
괄호 안의 값은 대조군 대비 증가율을 나타낸다.
결과는 제형이 투여된 수컷 랫트의 짝짓기 능력이 증가되는 것을 나타낸다.
수컷 위스타 랫트에서 제형의 쿨리지 효과(Coolidge effect)의 관측
쿨리지 효과는 이전에 여전히 이용 가능한 성 파트너와의 성관계를 중단한 후에도 새로운 여성이 도입되면 남성이 새로운 성적인 관심을 보이는 현상이다. 수컷 위스타 랫트에서 이 효과는 A. S. & Reber, E., The Penguin dictionary of psychology (3rd ed.), London: Penguin; Brown, R. E. (1974), "Sexual arousal, the Coolidge effect and dominance in the rat (Rattus norvegicus)", Animal Behaviour, 22 (3): 634-637; Lester, GL; Gorzalka, BB (1988), "Effect of novel and familiar mating partners on the duration of sexual receptivity in the female hamster", Behavioral Neural Biology, 49 (3): 398-405; Pinel, John (2007), Biopsychology (6th ed.), Boston: Pearson Allyn and Bacon에 의해 정해진 절차에 따라 결정했다. 6시간 약물 치료 후, 모든 암컷을 다음 6시간 동안 새로운 발정기 암컷으로 교체했다.
모든 암컷의 질 얼룩을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첫 번째 세트의 암컷에서 삽입 및 사정을 확인하고, 두 번째 세트의 암컷에서 쿨리지 효과를 확인했다. 표 4는 대조군 샘플 및 첫 번째 세트의 암컷과 대체된 세트 사이에 대한 여성 임신률의 퍼센트가 증가하는 것을 나타낸다.
[표 4] 수컷 위스타 랫트에서 제형의 쿨리지 효과
괄호 안의 값은 대조군 대비 증가율을 나타낸다.
성적 행동에 대한 전기 장벽 효과
성적 행동에 대한 전기 장벽 효과를 관찰하기 위한 실험 절차는 Graham JH et. al., Inhibitory avoidance behavior and memory assessment 2001. In Buccafusco JJ (ed.), methods of Behavior analysis in Neuroscience,p.141-151. Boca Raton: CRC Press에 의해 제시된 바와 같이 수행했다. 이 실험에서, 수용 (발정기) 암컷을 우리의 한쪽에 유지하고, 테스트 샘플을 동일한 우리의 다른쪽에 수컷 랫트를 처리했다. 그 사이에, 전기 장벽이 있었다. 발 충격은 바닥에 있는 그리드를 통해 전달되었다. 수컷 래트가 장벽을 통과하는 경향과 관련하여, 처리된 그룹과 대조군 모두에 대한 관찰을 기록했다. 결과를 표 5와 같이 표로 정리했다.
[표 5] 전기 장벽 기능에 대한 제형의 효과
생화학적 평가
테스토스테론의 추정
테스토스테론은 남성 고환의 간질 (Leydig) 세포에 의해 생성되는 주요 남성 호르몬이며, 부신에 의해 소량으로 생성된다. 남성의 테스토스테론은 남성의 일생 동안 생식 기관과 2차 성적인 특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처리 그룹에 제형을 제공하고, 표준 프로토콜에 따라 1시간 및 3시간 후에 수준을 측정했다.
데이터는 1시간 및 3시간 후 처리된 동물의 혈청 내 테스토스테론 농도의 증가를 보여준다 (도 2). 표 6은 21일 동안 대조군에 대한 테스토스테론의 활성 퍼센트를 보여준다.
[표 6] 대조군에 대한 테스토스테론의 활성 퍼센트 (1일-21일)
실험 동물은 제형의 사용을 통해 테스토스테론이 동일하게 증가했으며; 이는 테스토스테론의 개선을 위한 안전한 장기간 용액이다.
안드로스텐디온(androstenedione) 추정:
안드로스텐디온은 주로 체내 테스토스테론과 에스트로겐의 제조에 디딤돌 역할을 하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이다. 안드로스텐디온이 너무 적은 남성은 음모와 체모, 성기의 성장, 목소리의 깊어짐을 포함하는 사춘기와 관련된 성적 특징을 발달시키지 못할 수 있다. 안드로스텐디온은 표준 프로토콜에 따라 추정되었다.
결과는 제형 투여 1시간 후 처리된 동물의 혈청 내 안드로스텐디온 농도의 증가를 나타냈다 (도 3). 표 7은 21일의 기간에 걸쳐 대조군에 대한 안드로스텐디온의 활성 퍼센트를 보여준다.
[표 7] 대조군에 대한 안드로스텐디온의 활성 퍼센트 (1일-21일)
산화질소 추정:
신호 산화질소 NO는 신경 종결 또는 내피 세포에서 방출되어, 캐스케이드 반응을 활성화하여, 궁극적으로 cGMP (사이클릭 구아노신 모노포스페이트)의 세포 농도를 증가시킨다. 이 두 번째 메신저 분자는 세포 내 칼슘 이온 농도의 감소를 통해 평활근 이완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사건을 유도한다. 임상적으로 중요한 억제제 (실데나필(sildenafil), 바르데나필(vardenafil) 및 타다라필(tadalafil))는 모두 성 자극이 있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산화질소가 방출될 때 cGMP가 축적되도록 하는 능력에 의해 평활근 이완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산화질소는 ELISA에 의해 수컷 위스타 랫트의 혈청에서 추정했다. 적용된 방법은 Miles et. al. Determination of nitric oxide using fluorescence spectroscopy. Methods Enzymol.1996; 268:105-20에 의해 기재된 절차대로였다. 결과는 제형 투여 1시간 후 처리된 동물의 혈청에서 산화질소의 농도의 증가를 나타냈다 (표 8).
[표 8] ELISA에 의해 수컷 위스타 랫트의 혈청에서 산화질소 추정
괄호 안의 값은 대조군 대비 증가율을 나타낸다.
cGMP 및 cGMP 특이적 단백질 키나아제 추정
cGMP 및 cGMP 특이적 단백질 키나아제 수준을 또한 수컷 위스타 랫트의 혈청에서 추정했다. 결과를 제형 투여 1시간 후 처리된 동물의 혈청에서 cGMP (도 4) 및 cGMP-PK1 농도 (도 5)의 증가를 나타냈다.
cGMP 및 cGMP 특이적 단백질 키나아제에 대한 개별 성분 및 제형의 비교 효과를 평가했다. 결과를 개별 성분 처리군에서 cGMP의 발현과 비교했을 때 시험 약물 투여 1시간 후 처리된 동물의 혈청에서 cGMP 농도 (도 6) 및 cGMP-PK1 농도 (도 7)에서 상승 효과를 나타냈다.
실시예 3: 심혈관 기능 연구
랫트의 이 연구의 목적은 실험 랫트에서 십이지장 내 투여시 심혈 관계에 대한 시험 물질의 영향을 결정하는 것이다. 정상 혈압, 마취된 수컷 위스타 랫트에 3가지 상이한 용량 (50, 100 및 200 mg/kg)으로 십이지장 내 투여했을 때, 제형은 혈압, 심박수 및 호흡에 아무런 영향 (증가 또는 감소)을 나타내지 않았다. 관측은 약물 투여 후 1시간 간격으로 최대 3시간까지 이루어졌다. 등급이 매겨진 용량의 세 가지 파라미터에서, 임의의 시간 간격에 따라 변화가 관측되지 않았다.
결과를 표 9-11과 같이 표로 정리했다.
[표 9] 마취된 수컷 랫트에서 혈압에 대한 시험 약물의 효과
데이터는 치료 동물에서 혈압에 대한 현저한 증가/감소를 보이지 않았다.
[표 10] 마취된 수컷 랫트에서 호흡에 대한 시험 약물의 효과
데이터는 치료 동물에서 혈압에 대한 현저한 증가/감소를 보이지 않았다.
[표 11] 마취된 수컷 랫트에서 심박수에 대한 시험 약물의 효과
데이터는 처리된 동물에서 심박수에 현저한 증가/감소를 보이지 않았다.
결과는, 제형이 매우 안전하고 남성 성기능 장애의 관리에 유용한 우수한 강정제 가능성을 보임을 나타냈다.
본 발명에 대한 다른 수정 및 변형은 상술한 개시 및 교시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정 양태 만이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기재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많은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와 관련해서만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7)

  1. 강정제(aphrodisiac)로서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은 0.25중량% 위타페린(withaferin) 및 7중량% 위타놀라이드(withanolide)를 함유하도록 표준화된 60-65% w/w 위타니아 솜니페라(Withania somnifera) 추출물; 10% w/w L-도파를 함유하도록 표준화된 12-18% w/w 무쿠나 프루리엔스(Mucana pruriens) 추출물; 10% w/w 포스콜린(forskolin)을 함유하도록 표준화된 5-10% w/w 콜레우스 포스콜리(Coleus forskohlii) 추출물; 2.5% w/w의 5,7-디메톡시플라본 및 10% w/w 이상의 총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도록 표준화된 12-18% w/w 흑생강(Kaempferia parviflora) 추출물; 및 95% w/w 피페린(Piperine)을 함유하도록 표준화된 0.1-2% w/w 후추(Piper nigrum)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또는 의약식품적으로(nutraceutically) 허용되는 부형제, 보조제, 희석제 또는 담체와 함께 제형화되고, 정제, 캡슐, 시럽, 구미, 분말, 현탁액, 에멀젼, 츄어블(chewable), 캔디 또는 식료품(eatables)의 형태로 투여되는 것인, 조성물.
  4. 포유류의 성욕을 증가시키기 위한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은,
    0.25중량% 위타페린(withaferin) 및 7중량% 위타놀라이드(withanolide)를 함유하도록 표준화된 60-65% w/w 위타니아 솜니페라(Withania somnifera) 추출물; 10% w/w L-도파를 함유하도록 표준화된 12-18% w/w 무쿠나 프루리엔스(Mucana pruriens) 추출물; 10% w/w 포스콜린(forskolin)을 함유하도록 표준화된 5-10% w/w 콜레우스 포스콜리(Coleus forskohlii) 추출물; 2.5% w/w의 5,7-디메톡시플라본 및 10% w/w 이상의 총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도록 표준화된 12-18% w/w 흑생강(Kaempferia parviflora) 추출물; 및 95% w/w 피페린(Piperine)을 함유하도록 표준화된 0.1-2% w/w 후추(Piper nigrum)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50-200 mg/kg 체중의 유효량으로 투여되는 것인, 조성물.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포유류는 남성인 것인, 조성물.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포유류는 인간인 것인, 조성물.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또는 의약식품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 보조제, 희석제 또는 담체와 함께 제형화되고, 정제, 캡슐, 시럽, 구미, 분말, 현탁액, 에멀젼, 츄어블, 캔디 또는 식료품의 형태로 투여되는 것인, 조성물.
  10. 포유류의 남성 성기능 장애의 치료적 관리를 위한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은, 0.25중량% 위타페린(withaferin) 및 7중량% 위타놀라이드(withanolide)를 함유하도록 표준화된 60-65% w/w 위타니아 솜니페라(Withania somnifera) 추출물; 10% w/w L-도파를 함유하도록 표준화된 12-18% w/w 무쿠나 프루리엔스(Mucana pruriens) 추출물; 10% w/w 포스콜린(forskolin)을 함유하도록 표준화된 5-10% w/w 콜레우스 포스콜리(Coleus forskohlii) 추출물; 2.5% w/w의 5,7-디메톡시플라본 및 10% w/w 이상의 총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도록 표준화된 12-18% w/w 흑생강(Kaempferia parviflora) 추출물; 및 95% w/w 피페린(Piperine)을 함유하도록 표준화된 0.1-2% w/w 후추(Piper nigrum)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남성 성기능 장애는 발기 부전 또는 성욕 감소인 것인, 조성물.
  11. 삭제
  12. 삭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남성 성기능 장애의 관리는 포스포 디에스테라제 5 (PDE-5)를 억제하고, 테스토스테론, 산화질소 및 cGMP 수준을 향상시키고, 안드로겐 수용체 및 cGMP 단백질 키나아제를 활성화함으로써 발생하는 것인, 조성물.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50-200 mg/kg 체중의 유효량으로 투여되는 것인, 조성물.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포유류는 남성인 것인, 조성물.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포유류는 인간인 것인, 조성물.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또는 의약식품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 보조제, 희석제 또는 담체와 함께 제형화되고, 정제, 캡슐, 시럽, 구미, 분말, 현탁액, 에멀젼, 츄어블, 캔디 또는 식료품(eatables)의 형태로 투여되는 것인, 조성물.
KR1020217002561A 2019-02-22 2019-04-17 남성 성기능 장애의 강정제 조성물 및 관리 KR1025713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N201941006993 2019-02-22
IN201941006993A IN201941006993A (ko) 2019-02-22 2019-02-22
PCT/US2019/027783 WO2020171833A1 (en) 2019-02-22 2019-04-17 Aphrodisiac composition and management of male sexual dysfun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4615A KR20210024615A (ko) 2021-03-05
KR102571381B1 true KR102571381B1 (ko) 2023-08-28

Family

ID=72142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2561A KR102571381B1 (ko) 2019-02-22 2019-04-17 남성 성기능 장애의 강정제 조성물 및 관리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0864242B2 (ko)
EP (1) EP3927360A4 (ko)
JP (1) JP2022524665A (ko)
KR (1) KR102571381B1 (ko)
AU (1) AU2019430124B2 (ko)
BR (1) BR112020025686A2 (ko)
CA (1) CA3103127A1 (ko)
EA (1) EA202092760A1 (ko)
IN (1) IN201941006993A (ko)
MX (1) MX2020013340A (ko)
WO (1) WO2020171833A1 (ko)
ZA (1) ZA20200781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N201941006993A (ko) * 2019-02-22 2019-03-01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64712A1 (en) 2009-09-16 2011-03-17 Daniel Moses Amato Dietary Supplement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41187A1 (en) * 1998-10-20 2001-11-15 Carl W Hastings Performance-enhancing dietary supplement
JP4788039B2 (ja) * 1999-05-10 2011-10-05 日本新薬株式会社 減退生殖機能回復用組成物
KR100517637B1 (ko) 2001-12-21 2005-09-28 씨제이 주식회사 섬수 정제 엑스 및 인삼 정제 엑스를 함께 함유하면서다른 정유 생약 성분은 함유하지 않는 조루증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ITMI20031428A1 (it) * 2003-07-11 2005-01-12 Indena Spa Combinazioni di agenti vasoattivi e loro uso per il trattamento di disfunzioni sessuali
JP5345778B2 (ja) * 2004-04-27 2013-11-20 ラジェンドラン,ラムズワーミー 肥満、肥満に関連する障害、および他の障害の治療/管理におけるプレグナン配糖体の使用
US20060269623A1 (en) 2005-05-31 2006-11-30 Pierre Swaab Herbal composition and method of use for promoting erections and treating erectile dysfunction in men
US20190117555A1 (en) * 2016-03-11 2019-04-25 Harmonic Pharma Sublingual compositions comprising natural extracts and uses thereof
WO2018033892A1 (en) * 2016-08-19 2018-02-22 Aurea Biolabs Private Limited A formulation for improving physical endurance in athletes and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a formulation for improving physical endurance in athletes and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WO2018220232A1 (en) 2017-06-02 2018-12-06 Universite De Versailles-St Quentin En Yvelines Pharmaceutical combination product comprising botulinum toxin for the treatment of erectile dysfunction
IN201941006993A (ko) * 2019-02-22 2019-03-01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64712A1 (en) 2009-09-16 2011-03-17 Daniel Moses Amato Dietary Supplement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103127A1 (en) 2020-08-27
JP2022524665A (ja) 2022-05-10
US10864242B2 (en) 2020-12-15
ZA202007819B (en) 2022-12-21
AU2019430124B2 (en) 2023-10-19
AU2019430124A1 (en) 2021-07-22
IN201941006993A (ko) 2019-03-01
EP3927360A1 (en) 2021-12-29
BR112020025686A2 (pt) 2021-08-31
EP3927360A4 (en) 2022-11-16
EA202092760A1 (ru) 2021-12-21
WO2020171833A1 (en) 2020-08-27
US20200268822A1 (en) 2020-08-27
MX2020013340A (es) 2021-02-02
KR20210024615A (ko) 2021-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eychev et al. Pro-sexual and androgen enhancing effects of Tribulus terrestris L.: fact or fiction
Carro-Juárez et al. Aphrodisiac properties of Montanoa tomentosa aqueous crude extract in male rats
Abdillahi et al. South African plants and male reproductive healthcare: conception and contraception
KR101975729B1 (ko) 발기 부전 치료를 위한 조성물 및 방법
Vyas et al. Male infertility: A major problem worldwide and its management in Ayurveda.
Dziwenka et al. Ginkgo biloba
Tharakan et al. Botanical therapies in sexual dysfunction
Abbas Is the use of plants in Jordanian folk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male sexual dysfunction scientifically based? Review of in vitro and in vivo human and animal studies
Besong et al. Leaf-methanolic extract of Pseudopanax arboreus (Araliaceae)(LF Phillipson) reverses amitriptyline-induced sexual dysfunction in male rats
KR102571381B1 (ko) 남성 성기능 장애의 강정제 조성물 및 관리
US20150157672A1 (en) Kits and methods for sustained weight loss
Sewani-Rusike Antifertility effects of Pouzolzia mixta in female wistar rats
Njila et al. Effect of methanolic extract of Alchornea cordifolia leaves on the sexual behavior of senescent and sexually inexperienced rats
Katana Effectiveness of pomegranate Punica Granatum L. fruit extract on the sexual function in rats
Biswas et al. In search of spermatogenetic and virility potential drugs of ayurvedic leads: A review
EA044487B1 (ru) Композиция афродизиака и терапия мужской сексуальной дисфункции
Nwafor et al. Evaluation of Aphrodisiac Activities of Four Nigerian Ethnomedicinal Plants
Teixeira et al. The traditional use of native brazilian plants for male sexual dysfunction: Evidence from ethnomedicinal applications, animal models, and possible mechanisms of action
Kumar et al. Aphrodisiac activity of cycas circinalis. l and ionidium suffruticosum. ging on male wister albino rats
Chaudhary et al. VRISHYA AND VAJIKARANA-EXPLORING ANCIENT SCIENCE OF APHRODISIACS
Opuwari et al. Herbal medicine used to treat andrological problems: Africa
Yaya et al.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Aqueous Extract of Cnestis ferrruginea on Sexual Behaviour in Male Rats
Sewani-Rusike Plants of Zimbabwe used as anti-fertility agents.
Sharma et al. Female Anti-Fertility Screening of Plants Mucuna prurita, Mesua Ferrea and Punica granatum on Rats
Jain Study of Herbal Drugs for the treatment of Sexual Dys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