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1218B1 - 핵연료 집합체의 외팔보 록킹구조를 갖는 안내관 삽입체 - Google Patents

핵연료 집합체의 외팔보 록킹구조를 갖는 안내관 삽입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1218B1
KR102571218B1 KR1020210064118A KR20210064118A KR102571218B1 KR 102571218 B1 KR102571218 B1 KR 102571218B1 KR 1020210064118 A KR1020210064118 A KR 1020210064118A KR 20210064118 A KR20210064118 A KR 20210064118A KR 102571218 B1 KR102571218 B1 KR 102571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cantilever
guide tube
fitting part
upper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4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6285A (ko
Inventor
최대운
이신호
권오철
하동근
이진석
Original Assignee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64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1218B1/ko
Publication of KR20220156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6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1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1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9/00Arrangements for treating, for handling, or for facilitating the handling of, fuel or other materials which are used within the reactor, e.g. within its pressure vessel
    • G21C19/19Reactor parts specifically adapted to facilitate handling, e.g. to facilitate charging or discharging of fuel element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GCONVERSION OF CHEMICAL ELEMENTS; RADIOACTIVE SOURCES
    • G21G1/00Arrangements for converting chemical element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e.g. producing radioactive isotopes
    • G21G1/04Arrangements for converting chemical element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e.g. producing radioactive isotopes outside nuclear reactors or particle accelerators
    • G21G1/06Arrangements for converting chemical element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e.g. producing radioactive isotopes outside nuclear reactors or particle accelerators by neutron irradi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lasma & Fusion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수로형 원자로의 핵연료 집합체에 마련된 안내관 내에 삽입되는 삽입체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핵연료 집합체의 중성자 선원 또는 운전 중에 발생되는 중성자속을 이용하여 Co-60과 같은 방사성동위원소를 생산하기 위한 타겟을 수용하게 되는 안내관 삽입체에 관한 것으로,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서, 일측 선단에 곡면의 헤드캡(111)이 구비되고 중선자 선원 또는 방사성동위원소 생성을 위한 타겟(120)이 수용되는 하부 하우징(110)과; 커넥터 부재(130)(140)를 매개로 하여 상기 하부 하우징(110)과 연결되고 외주면에 관통 형성된 고정홀(152)이 형성된 중공의 원통 형상의 상부 피팅부(150)와; 상기 상부 피팅부(150)의 상측 개구단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내삽되는 플런저(160)와; 상기 플런저(160)에 대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되, 상기 고정홀(152)에 끼움 고정되어 상기 상부 피팅부(150)와 상기 플런저(160)의 조립 높이를 고정하게 되는 외팔보 부재(17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핵연료 집합체의 외팔보 록킹구조를 갖는 안내관 삽입체{CANTILEVER LOCKING TYPE COMPONENT INSERTED IN GUIDE TUBES OF A NUCLEAR FUEL ASSEMBLY}
본 발명은 경수로형 원자로의 핵연료 집합체에 마련된 안내관 내에 삽입되는 삽입체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핵연료 집합체의 중성자 선원 또는 운전 중에 발생되는 중성자속을 이용하여 Co-60과 같은 방사성동위원소를 생산하기 위한 타겟을 수용하게 되는 안내관 삽입체에 관한 것이다.
방사성 동위원소인 Co-60은 5.2년의 반감기를 갖는 방사선 동위원소로서 강력한 감마선을 방출하여 라듐을 대신하여 싼값의 감마선원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의료용 방사선치료, 산업용 비파괴검사 및 수위계, 식품류의 대량 소독이나 멸균 등과 같이 활용 범위가 넓고 수요가 많다.
일반적으로 방사성 동위원소는 연구용 원자로에서 많이 생산되는 것에 비하여 Co-60은 필요 중성자 조사기간이 길고 요구 중성자속이 높아 주로 상업용 원자로에서 생산되고 있다.
중수로 원자로에서는 원자로의 출력 안정성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잉여중성자 흡수하는 조절봉을 대신하여 Co-59 타겟의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중수로 기술의 원조국가인 캐나다에서 생산되는 Co-60이 전세계 수요의 대부분을 공급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업용 원자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가압경수로의 경우에는 기존 중수로에서의 Co-60 공급이 충분하여 생산에 이용되지 않았으나 기존 운전중인 중수로 원자로의 운전종료가 점차 도래함에 따라 경수로에서의 Co-60 생산 필요성이 높아져 가고 있다.
특허문헌1 : 등록특허공보 제10-1502414호(공고일자: 2015.03.13.)
이에 본 발명은 경수로형 원자로의 핵연료 집합체에 마련된 안내관 내에 삽입되는 삽입체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핵연료 집합체의 중성자 선원 또는 운전 중에 발생되는 중성자속을 이용하여 Co-60과 같은 방사성동위원소를 생산하기 위한 타겟을 수용하게 되는 안내관 삽입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핵연료 집합체의 안내관 삽입체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서, 일측 선단에 곡면의 헤드캡이 구비되고 중선자 선원 또는 방사성동위원소 생성을 위한 타겟이 수용되는 하부 하우징과; 커넥터 부재를 매개로 하여 상기 하부 하우징과 연결되고 외주면에 관통 형성된 고정홀이 형성된 중공의 원통 형상의 상부 피팅부와; 상기 상부 피팅부의 상측 개구단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내삽되는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에 대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되, 상기 고정홀에 끼움 고정되어 상기 상부 피팅부와 상기 플런저의 조립 높이를 고정하게 되는 외팔보 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팔보 부재는, 상기 플런저에 내삽되어 일정 스트로크 범위 내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반경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고 상기 고정홀에 끼움 고정이 가능한 제1고정팁을 갖는외팔보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런저는 상기 외팔보가 위치하는 구간을 따라서 종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외팔보를 반경 방향으로 지지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런저는 상기 경사면에 인입 형성된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외팔보는 상기 요홈에 끼움 고정이 이루어지는 제2고정팁을 포함하며, 상기 플런저는 상기 외팔보를 반경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게 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플런저는 상기 탄성체가 삽입 위치하도록 외주면을 따라서 인입 형성된 안착요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핵연료 집합체의 안내관 삽입체는 중선자 선원 또는 방사성동위원소 생성을 위한 타겟이 수용되는 하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과 연결되고 외주면에 관통 형성된 고정홀이 형성된 중공의 원통 형상의 상부 피팅부와, 상부 피팅부의 상측 개구단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내삽되는 플런저와, 플런저에 대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되, 고정홀에 끼움 고정되어 상부 피팅부와 플런저의 조립 높이를 고정하게 되는 외팔보 부재를 포함하여, 종래의 핵연료 집합체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으면서도 안내관 내에 타겟(또는 중성자 선원)의 축방향 위치가 견고히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관 삽입체의 단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관 삽입체 상단의 사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관 삽입체 상단의 분해 사시 구성도,
도 4의 (a)(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런저의 정면 및 측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관 삽입체가 핵연료 집합체의 상단고정체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 구성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안내관 삽입체는 경수로용 핵연료 집합체의 안내관을 활용하여 방사성동위원소를 생성하게 되는 타겟봉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준형 경수로 중 APR1400 타입의 원자로의 경우 노심 내 93개의 제어봉집합체를 삽입할 수 있으며 각 제어봉집합체는 12발 혹은 4발의 제어봉을 가지고 있다. APR1400 타입의 노심 내 전체 핵연료 집합체 수는 241개이며 핵연료 집합체 당 4개의 안내관을 가지고 있어 제어봉집합체가 삽입되는 안내관과, 소스봉의 장전에 필요한 안내관을 제외하더라도 일부 비어있는 잉여 안내관이 존재하며, 본 발명의 안내관 삽입체는 핵연료 집합체의 잉여 안내관 내에 장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잉여 안내관"은 제어봉집합체 또는 소스봉이 삽입되지 않는 안내관을 지칭한다. 한편, 소스봉은 핵연료 집합체에 장전된 후에 삽입관(insert tube)에 의해 가압되어 원자로의 가동 중에 충분한 누름력을 확보할 수 있으나, 잉여 안내관에 적용되는 삽입관은 상하 개방되어 안내관 삽입체를 충분히 눌려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핵연료 집합체의 잉여 안내관을 활용하기 위하여 안내관 삽입체의 충분한 누름력을 확보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안내관 삽입체(100)는, 하부 하우징(110)과, 하부 하우징(110) 내에 삽입되는 조사 타겟(120)과, 커넥터 부재(130)(140)를 매개로 하여 하부 하우징(110)과 연결되는 상부 피팅부(150)와, 하부 하우징(110) 내에 수납된 조사 타겟(120)에 반력을 제공하는 탄성체(S1)(S2)를 지지하도록 상부 피팅부(150)에 내삽되는 플런저(160)와, 상부 피팅부(150)와 플런저(160)를 고정하게 되는 외팔보 부재를 포함한다.
하부 하우징(110)은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서, 일측 선단에 곡면의 헤드캡(111)이 마련되며, 이 헤드캡(111)은 하단 개구부를 밀폐하여 냉각재 유입을 방지하고 유속으로부터 타켓봉 조립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조사 타겟(120)은 방사성동위원소를 생성하기 위한 타겟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CO-60 방사성동위원소를 생성하기 위한 Co-59 타겟일 수 있다. 이러한 조사 타겟은 단일 또는 이중 구조의 캔(can) 또는 캡슐(capsule)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피팅부(150)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커넥터 부재(130)(140)를 매개로 하부 하우징(110)와 연결되며, 상측 개구단에 반경 방향(radial direction)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단(151)이 형성되어 핵연료 집합체의 상단 고정체에 걸림단(151)이 안착되어 안내관 내에 안내관 삽입체(100)가 삽입 위치하게 된다.
플런저(160)는 상부 피팅부(150)의 상단 개구부를 통해 내삽되어 축방향으로 상하 이동이 가능하다.
안내관 삽입체(100)는 일정 길이(L1)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핵연료 집합체의 유효 노심 높이(active core height)의 가운데에 조사 타겟(120)이 위치하도록 안내관 삽입체(100)의 길이(L1)가 결정되며, 또한 조사 타겟(120)이 배치되는 구간 길이(L2) 역시도 유효 노심 높이의 1/2의 높이에 위치하도록 조사 타겟(120)의 구간 길이(L2)도 적절히 결정됨이 바람직하다.
플런저(160)는 외팔보 부재에 의해 상기 상부 피팅부(150)에 고정되며, 이하에서는 관련 도면을 참고하여 외팔보 부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관 삽입체 상단의 사시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관 삽입체 상단의 분해 사시 구성도이며, 도 4의 (a)(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런저의 정면 및 측면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부 피팅부(150)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상측 개구단에 돌출 형성된 걸림단(151)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관통 형성된 고정홀(152)이 형성된다.
플런저(160)는 상부 피팅부(150)의 상측 개구단에 조립되는 것으로, 외팔보 부재(170)에 의해 상부 피팅부(150)와 플런저(160)는 서로 고정된다.
외팔보 부재(170)는 플런저(160)에 내삽되어 상하 이동이 가능한 몸체부(171)와, 몸체부(171)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반경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외팔보(172)를 포함한다. 외팔보(172)의 상측 선단은 반경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제1고정팁(172a)이 마련되어 제1고정팁(172a)은 상부 피팅부(150)의 고정홀(152)과 끼움 조립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외팔보(172)의 상측 선단은 제1고정팁(172a)의 타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제2고정팁(172b)이 마련되며, 이 제2고정팁(172b)은 플런저(160)와 결합되어 외팔보(172)와 플런저(16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외팔보 부재(170)는 좌우 대칭되게 구성된 한 쌍의 외팔보(172)를 보여주고 있으나, 외팔보의 갯수는 증감될 수 있다. 외팔보 부재(170)의 몸체부(171)에 관통 삽입되는 가이드핀(171a)을 포함한다.
플런저(160)는 하단이 개방된 중공부(161)가 형성되며,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가이드공(162)과, 길이 방향으로 절개 형성된 가이드 슬롯(163)이 형성된다. 가이드공(162)은 몸체부(171)에 삽입된 가이드핀(171a)이 위치하게 되어 외팔보 부재(170)는 가이드공(162)에 해당하는 일정 스트로크 범위 내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며, 가이드 슬롯(163)은 외팔보(172)가 위치하여 외팔보(172)는 가이드 슬롯(13)을 따라서 상하 이동이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플런저(160)는 가이드 슬롯(163)의 상단으로 외팔보(172)가 위치하는 구간을 따라서 길이 방향(종방향)으로 경사면(164)이 형성되며, 이 경사면(164) 구간 중에 횡방향으로 요홈(164a)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플런저는 외팔보(172)를 반경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게 되는 탄성체(165)를 더 포함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플런저(160)의 외주면을 따라서 인입 형성되어 탄성체(165)가 삽입되는 안착요홈(166)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체(165)는 코일 스프링을 예시하여 보여 주고 있으나, 외팔보(172)가 반경 방향으로 탄성 지지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탄성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체(165)는 안내관 삽입체를 안내관에서 인출하는 과정에서 외팔보(172)가 원위치로 복귀하기 위한 조작력을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관 삽입체가 핵연료 집합체의 상단고정체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 구성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상단고정체(10)의 안내관 내에 안내관 삽입체를 삽입한 후에 플런저(160)를 위에서 누르면, 플런저(160)의 경사면(164)에 의해 외팔보(172)가 바깥으로 벌어지면서 제1고정팁(172a)이 상부 피팅부(150)의 고정홀(152)(도 3 참고)에 삽입되며, 이때 제2고정팁(172b)(도 3 참고)은 플런저(160)의 요홈(164a) 내에 삽입 위치하게 되어 상부 피팅부(150)와 플런저(160)는 서로 고정되어 풀림을 방지하여 원자로의 운전 중에 플런저(160)의 누름력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안내관 삽입체의 인출 시에는 플런저(160)를 일정 조작력 이상으로 당기게 되면, 제2고정팁(172b)이 상부 피팅부(150)의 고정홀(152)에서 이탈되면서 외팔보(160)는 탄성체(165)에 의해 안쪽으로 원위치되고 제1고정팁(172a)이 고정홀(152)에서 빠지면서 안내관 삽입체의 인출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참고로, 도 5에서 상단고정체(10)는 외곽안내기둥(11) 내에 삽입 위치하는 내부삽입관(12)의 하단이 안내관과 직접 체결되며, 내부삽입관(12)의 상단은 상부나사(13)에 의해 고정된다. 도면부호 14은 누름판이고 도면부호 15는 누름스프링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방사성동위원소를 생성하기 위한 타겟봉을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안내관 삽입체는 중성자 선원을 수용되는 중성자 선원봉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10 : 하부 하우징 120 : 조사 타겟
130, 140 : 커넥터 부재 150 : 상부 피팅부
160 : 플런저 161 : 중공부
162 : 가이드공 163 : 가이드 슬롯
164 : 경사면 165 : 탄성체
166 : 안착요홈 170 : 외팔보 부재
171 : 몸체부 172 : 외팔보
172a : 제1고정팁 172b : 제2고정팁

Claims (6)

  1.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서, 일측 선단에 곡면의 헤드캡이 구비되고 중선자 선원 또는 방사성동위원소 생성을 위한 타겟이 수용되는 하부 하우징과;
    커넥터 부재를 매개로 하여 상기 하부 하우징과 연결되고 외주면에 관통 형성된 고정홀이 형성된 중공의 원통 형상의 상부 피팅부와;
    상기 상부 피팅부의 상측 개구단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내삽되는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에 대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되, 상기 고정홀에 끼움 고정되어 상기 상부 피팅부와 상기 플런저의 조립 높이를 고정하게 되는 외팔보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외팔보 부재는,
    상기 플런저에 내삽되어 일정 스트로크 범위 내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반경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고 상기 고정홀에 끼움 고정이 가능한 제1고정팁을 갖는 외팔보를 포함하며,
    상기 플런저는 상기 외팔보가 위치하는 구간을 따라서 종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외팔보를 반경 방향으로 지지하되 상기 경사면에 인입 형성된 요홈이 형성되며, 상기 외팔보는 상기 요홈에 끼움 고정이 이루어지는 제2고정팁을 포함하는 핵연료 집합체의 안내관 삽입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상기 외팔보를 반경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게 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핵연료 집합체의 안내관 삽입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상기 탄성체가 삽입 위치하도록 외주면을 따라서 인입 형성된 안착요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핵연료 집합체의 안내관 삽입체.
KR1020210064118A 2021-05-18 2021-05-18 핵연료 집합체의 외팔보 록킹구조를 갖는 안내관 삽입체 KR102571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118A KR102571218B1 (ko) 2021-05-18 2021-05-18 핵연료 집합체의 외팔보 록킹구조를 갖는 안내관 삽입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118A KR102571218B1 (ko) 2021-05-18 2021-05-18 핵연료 집합체의 외팔보 록킹구조를 갖는 안내관 삽입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6285A KR20220156285A (ko) 2022-11-25
KR102571218B1 true KR102571218B1 (ko) 2023-08-28

Family

ID=84237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4118A KR102571218B1 (ko) 2021-05-18 2021-05-18 핵연료 집합체의 외팔보 록킹구조를 갖는 안내관 삽입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121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2719B1 (ko) * 2014-03-14 2015-05-27 한국원자력기술 주식회사 가압경수로용 중성자선원 집합체
CN209641358U (zh) * 2019-01-04 2019-11-15 中广核研究院有限公司 用于重金属反应堆的燃料组件锁紧装置及核反应堆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9438Y2 (ja) * 1990-03-14 1995-11-13 三菱原子燃料株式会社 燃料集合体における制御棒案内管結合構造
KR101502414B1 (ko) 2014-06-24 2015-03-13 박윤원 중수로 원자로를 이용한 동위원소 제조방법
KR20210041275A (ko) * 2019-10-07 2021-04-15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Co-60 방사성 동위원소 제조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타겟봉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2719B1 (ko) * 2014-03-14 2015-05-27 한국원자력기술 주식회사 가압경수로용 중성자선원 집합체
CN209641358U (zh) * 2019-01-04 2019-11-15 中广核研究院有限公司 用于重金属反应堆的燃料组件锁紧装置及核反应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6285A (ko) 2022-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89691B2 (en) Method of producing isotopes in a nuclear reactor with an irradiation target retention system
KR101522719B1 (ko) 가압경수로용 중성자선원 집합체
KR20210041275A (ko) Co-60 방사성 동위원소 제조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타겟봉
EP2073214B1 (en) Fuel Rods Having Irradiation Target End Pieces
JP2012514197A (ja) 軽水炉核燃料集合体(代替物)、軽水炉、及び核燃料集合体の燃料要素
US4699756A (en) Full length control rod employing axially inhomogeneous absorber materials for zero reactivity redistribution factor
US4684499A (en) Burnable absorber rod releasable latching structure
US4820475A (en) Burnable absorber rod push out attachment joint
KR102571218B1 (ko) 핵연료 집합체의 외팔보 록킹구조를 갖는 안내관 삽입체
US8625733B2 (en) Neutron source assembly
KR102546534B1 (ko) 핵연료 집합체의 경사면 활용 록킹 구조를 갖는 헬멧형 안내관 삽입체
US20120246933A1 (en) Top nozzle for nuclear fuel assembly having spring insert hole improved in fastening stabilit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571222B1 (ko) 핵연료 집합체의 회전 타입의 안내관 삽입체
KR102579265B1 (ko) 핵연료 집합체의 누름 볼잠금핀 구조를 적용한 안내관 삽입체
KR102572103B1 (ko) 핵연료 집합체의 마찰력 록킹 구조를 갖는 안내관 삽입체
KR102564516B1 (ko) 핵연료 집합체의 강제 결합 해제 기구를 갖는 안내관 삽입체
KR20220076477A (ko) 모듈형 방사성 동위원소 생산 캡슐 및 관련 방법
KR20220156286A (ko) 핵연료 집합체의 돌기 록킹 구조의 안내관 삽입체
KR20230072608A (ko) 핵연료 집합체의 삿갓형 누름 헤드를 갖는 안내관 삽입체
US4696793A (en) Burnable poison rod for use in a nuclear reactor
KR101955926B1 (ko) 중수로핵연료 중심 연료봉에의 Co-59 장입을 통한 Co-60 생산 방안
KR101349133B1 (ko) 원자로 노심 상부 누름집합체
KR20230014534A (ko) 적층 결합 가능한 분절형 중성자 조사용 표적봉 집합체
US4640813A (en) Soluble burnable absorber rod for a nuclear reactor
KR20230016985A (ko) 중성자 조사 표적봉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