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1119B1 - 큐브형 모듈을 구비하는 인공지능 스마트 폴 - Google Patents

큐브형 모듈을 구비하는 인공지능 스마트 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1119B1
KR102571119B1 KR1020220134965A KR20220134965A KR102571119B1 KR 102571119 B1 KR102571119 B1 KR 102571119B1 KR 1020220134965 A KR1020220134965 A KR 1020220134965A KR 20220134965 A KR20220134965 A KR 20220134965A KR 102571119 B1 KR102571119 B1 KR 102571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camera
unit
cub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4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성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트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트리
Priority to KR1020220134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11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1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11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18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movable or with movable sections, e.g. rotatable or telescopic
    • E04H12/185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movable or with movable sections, e.g. rotatable or telescopic with identical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5/00Computing arrangements using knowledge-based mod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2201/00Weather detection, monitoring or forecasting for establishing the amount of global war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c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큐브형 모듈을 구비하는 인공지능 스마트 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 폴에 장착되는 각종 스마트 기술을 모듈화하여 원하는 모듈을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큐브형 모듈을 구비하는 인공지능 스마트 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큐브형 모듈을 구비하는 인공지능 스마트 폴은, 조립식으로 적층이 가능한 복수의 큐브형 모듈 및 바닥에 고정되며 상부에 상기 복수의 큐브형 모듈이 적층되는 모듈 지지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큐브형 모듈을 구비하는 인공지능 스마트 폴{AI Smart Pole Having Cube-Type Modules}
본 발명은 큐브형 모듈을 구비하는 인공지능 스마트 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 폴에 장착되는 각종 스마트 기술을 모듈화하여 원하는 모듈을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큐브형 모듈을 구비하는 인공지능 스마트 폴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폴(Smart Pole)은 도로 곳곳에 복잡하게 설치된 가로등, 신호등 같은 도로시설물을 하나로 통합하고 공공 와이파이, 지능형 폐쇄회로 TV 등 정보통신기술(ICT)을 결합한 스마트 도시의 인프라인데, 도로시설물 본래 기능뿐 아니라 사물인터넷(IoT), 스마트 횡단보도 등이 융합되어 도시 미관을 개선하고 시민 안전과 복지, 편익을 높인다.
스마트 폴은 하나의 지주에 다양한 스마트 기술을 한 번에 제공할 뿐만 아니라, 지주 형태로 설치되어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면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기존에 설치된 가로등이나 신호등을 대체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으로 도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하지만 해당 기술들이 온라인 시스템을 이용해 제공된다는 점에서 네트워크 문제로 오류가 쉽게 일어날 수 있으며, 수리 및 유지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단순히 교통신호나 방범시스템을 대체하는 것을 넘어 도시 문제 해결, 홍수 등 재난상황 파악 등을 보다 더 쉽고 빠르게 모니터링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사람들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스마트 폴에는 다양한 스마트 기술이 제공되는데, 스마트 폴이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필요로 하는 스마트 기술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교차로에 설치되는 스마트 폴에는 가로등, 신호등, CCTV 등의 기능이 들어갈 수 있고, 일반 주택가에 설치되는 스마트 폴에는 CCTV, 인공지능 안내 기능, 공기질 분석 센서 등의 기능이 들어갈 수 있다. 이처럼 스마트 폴이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사용되는 스마트 기술이 다르기 때문에 이러한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스마트 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9251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4625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8537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9848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4282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각각의 스마트 기술을 큐브 형태로 모듈화하여, 필요한 스마트 기술에 대한 큐브형 모듈을 조립하여 스마트 폴을 구성할 수 있는 큐브형 모듈을 구비하는 인공지능 스마트 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큐브형 모듈을 구비하는 인공지능 스마트 폴은, 조립식으로 적층이 가능한 복수의 큐브형 모듈; 및 바닥에 고정되며 상부에 상기 복수의 큐브형 모듈이 적층되는 모듈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큐브형 모듈은, 상기 큐브형 모듈의 상부면의 좌측 상부에 형성된 제1 홈부, 상기 상부면의 우측 상부에 형성된 제2 홈부, 상기 상부면의 좌측 하부에 형성된 제3 홈부, 상기 상부면의 우측 하부에 형성된 제4 홈부, 상기 제1 홈부 및 제2 홈부 사이에 형성되어 전력선이 연결되는 전력 홈부, 상기 전력 홈부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통신선이 연결되는 통신 홈부, 상기 큐브형 모듈의 하부면에 위치하는, 상기 제1 홈부에 대응되는 제1 돌기부, 상기 제2 홈부에 대응되는 제2 돌기부, 상기 제3 홈부에 대응되는 제3 돌기부, 상기 제4 홈부에 대응되는 제4 돌기부, 상기 제1 돌기부 및 제2 돌기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전력 홈부에 대응되며 전력선이 연결되는 전력 돌기부 및 상기 전력 돌기부 인접하여 형성되어 상기 통신 홈부에 대응되며 통신선이 연결되는 통신 돌기부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큐브형 모듈은, 홀로그램이 디스플레이되는 홀로그램 모듈, 상기 홀로그램 모듈의 하부에 위치하여 주위의 상황이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 하부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인공지능과 대화할 수 있는 AI 모듈, 상기 AI 모듈 하부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터치를 통해 선택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모듈, 상기 터치스크린 모듈 하부에 위치하여 주위의 미세먼지, 온도 및 습도가 측정되는 센서 모듈 및 상기 센서 모듈 하부에 위치하여 사용자에게 와이파이 신호를 제공하는 무선 모듈의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홀로그램 모듈, 카메라 모듈, AI 모듈, 터치스크린 모듈, 센서 모듈 및 무선 모듈 중에서 원하는 큐브형 모듈을 선택하여 상기 모듈 지지대에 적층하여 조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큐브형 모듈은, 홀로그램이 디스플레이되는 홀로그램 모듈, 상기 홀로그램 모듈의 하부에 위치하여 주위의 상황이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 하부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인공지능과 대화할 수 있는 AI 모듈, 상기 AI 모듈 하부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터치를 통해 선택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모듈, 상기 터치스크린 모듈 하부에 위치하여 주위의 미세먼지, 온도 및 습도가 측정되는 센서 모듈 및 상기 센서 모듈 하부에 위치하여 사용자에게 와이파이 신호를 제공하는 무선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AI 모듈은,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는 음성 인식부, 상기 카메라 모듈의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센서 모듈의 측정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부, 인공지능에 의해 상기 카메라 모듈의 영상 데이터에 대해 학습을 수행하는 영상 데이터 학습부, 인공지능에 의해 상기 센서 모듈의 측정 데이터에 대해 학습을 수행하는 측정 데이터 학습부, 상기 영상 데이터 학습부에서 수행한 학습에 의해 상기 카메라 모듈의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는 영상 데이터 분석부, 상기 측정 데이터 학습부에서 수행한 학습에 의해 상기 센서 모듈의 측정 데이터를 분석하는 측정 데이터 분석부, 상기 영상 데이터 분석부 및 측정 데이터 분석부에서 분석된 내용을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위험 상황을 통지하는 인공지능 통지부 및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인식된 사용자의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홀로그램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연령, 나이, 옷차림의 정보를 판단하는 가상 인간 선택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큐브형 모듈을 조립하는 것이기 때문에 스마트 기술의 선택의 폭이 넓고 설치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인공지능과 360도 카메라를 구비하여 출입자 안내, 침입자 감지 등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센서 모듈을 통해 미세먼지, 온도, 습도를 측정하여 미세먼지, 폭염, 강추위 등의 위기 상황을 경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큐브형 모듈을 구비하는 인공지능 스마트 폴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큐브형 모듈의 사시면, 상부면 및 하부면을 나타낸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2개의 큐브형 모듈의 조립 전의 모습을 나타내며,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2개의 큐브형 모듈의 조립 후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큐브형 모듈을 구비한 큐브형 모듈이 적층되어 조립된 큐브형 모듈을 구비하는 인공지능 스마트 폴의 개략도이다.
도 5(a) 본 발명의 홀로그램 모듈이 인터랙티브 대화를 하는 하나의 예시도이며, 도 5(b) 본 발명의 홀로그램 모듈이 인터랙티브 대화를 하는 다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AI 모듈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큐브형 모듈을 구비하는 인공지능 스마트 폴의 개념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큐브형 모듈을 구비하는 인공지능 스마트 폴이 공원에 설치된 주간 시간의 모습을 나타내며,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큐브형 모듈을 구비하는 인공지능 스마트 폴이 공원에 설치된 야간 시간의 모습을 나타내며, 도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큐브형 모듈을 구비하는 인공지능 스마트 폴이 주택 지역에 설치된 주간 시간의 모습을 나타내며, 도 9(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큐브형 모듈을 구비하는 인공지능 스마트 폴이 주택 지역에 설치된 야간 시간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큐브형 모듈을 구비하는 인공지능 스마트 폴의 기능과 설치 지역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큐브형 모듈(100)을 구비하는 인공지능 스마트 폴의 구성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큐브형 모듈(100)을 구비하는 인공지능 스마트 폴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큐브형 모듈(100)을 구비하는 인공지능 스마트 폴은 복수의 큐브형 모듈(100) 및 모듈 지지대(2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수의 큐브형 모듈(100)은 모듈 지지대(200)에 조립식으로 적층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큐브형 모듈은 각종 스마트 기술을 모듈화하고, 형태를 정육면체인 큐브형으로 제작하여 각각의 큐브형 모듈을 모듈 지지대(200)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큐브형 모듈의 사시면, 상부면 및 하부면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큐브형 모듈(100)은 상부면(110)의 좌측 상부에 형성된 제1 홈부(120A), 상부면(110)의 우측 상부에 형성된 제2 홈부(120B), 상부면(110)의 좌측 하부에 형성된 제3 홈부(120C), 상부면(110)의 우측 하부에 형성된 제4 홈부(120D), 제1 홈부(120A) 및 제2 홈부(120B) 사이에 형성되어 전력선이 연결되는 전력 홈부(130), 전력 홈부(130)의 인접하여 형성되어 통신선이 연결되는 통신 홈부(140)를 포함한다. 또한, 큐브형 모듈(100)은 하부면(150)에 위치하고, 제1 홈부(120A)에 대응되는 제1 돌기부(160A), 제2 홈부(120B)에 대응되는 제2 돌기부(160B), 제3 홈부(120C)에 대응되는 제3 돌기부(160C), 제4 홈부(120D)에 대응되는 제4 돌기부(160D), 제1 돌기부(160A) 및 제2 돌기부(160B) 사이에 형성되어 전력 홈부(130)에 대응되며 전력선이 연결되는 전력 돌기부(170) 및 전력 돌기부(170)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통신 홈부(140)에 대응되며 통신선이 연결되는 통신 돌기부(180)를 포함한다. 복수의 큐브형 모듈(100)이 용이하게 적층되고 결합될 수 있도록 제1 홈부(120A), 제2 홈부(120B), 제3 홈부(120C) 및 제 4 홈부(120C)에는 자석을 내장할 수 있고, 제1 돌기부(160A), 제2 돌기부(160B), 제3 돌기부(160C) 및 제4 돌기부(160D)의 돌출한 돌기는 자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제1 홈부(120A), 제2 홈부(120B), 제3 홈부(120C) 및 제 4 홈부(120D)의 각각의 홈부의 형태는 서로 다른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제1 돌기부(160A), 제2 돌기부(160B), 제3 돌기부(160C) 및 제4 돌기부(160D)의 형태는 서로 다른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홈부(120A)와 상기 제1 홈부(120A)에 대응되는 제1 돌기부(160A)는 원형의 홈부와 원형의 돌기부로 결합하고, 제2 홈부(120B)와 상기 제2 홈부(120A)와 대응되는 제2 돌기부(160B)는 사각형의 홈부와 사각형의 돌기부로 결합되어, 스마트 폴을 설치할 때 홈부와 돌기부에 혼동을 갖지 않고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제1 돌기부(160A), 제2 돌기부(160B), 제3 돌기부(160C) 및 제4 돌기부(160D)의 단면적이 단부로 갈수록 줄어들게 하여, 홈부에 돌기부가 쉽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2개의 큐브형 모듈(100)의 조립 전의 모습을 나타내며,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2개의 큐브형 모듈(100)의 조립 후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3(a) 또는 도 3(b)를 참조하면, 2개의 큐브형 모듈(100)은 제1 홈부(120A)는 제1 돌기부(160A)와, 제2 홈부(120B)는 제2 돌기부(160B)와, 제3 홈부(120C)는 제3 돌기부(160C)와, 제4 홈부(120D)는 제4 돌기부(160D)와, 전력 홈부(130)는 전력 돌기부(170)와, 통신 홈부(140)는 통신 돌기부(180)와 각각 결합되어 조립될 수 있다. 전력 홈부(130)와 전력 돌기부(170)에는 전력이 전달될 수 있는 전기 단자를 각각 구비하여, 복수의 큐브형 모듈(100)이 조립되면 전기 단자를 통해 전력이 전달되고 큐브형 모듈(100)이 사용할 수 있는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또한, 통신 홈부(140)와 통신 돌기부(180)에는 통신 전류가 전달될 수 있는 통신 단자를 각각 구비하며, 복수의 큐브형 모듈(100)이 조립되면 통신 단자를 통해 통신이 가능하며, 큐브형 모듈(100)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회선이 공급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큐브형 모듈(300)을 구비한 큐브형 모듈(100)이 적층되어 조립된 큐브형 모듈(100)을 구비하는 인공지능 스마트 폴의 개략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큐브형 모듈(100)은 홀로그램 모듈(310), 카메라 모듈(320), AI 모듈(330), 터치스크린 모듈(340), 센서 모듈(350) 및 무선 모듈(360)일 수 있다. 다양한 스마트 기술이 큐브형 모듈(100)을 통해 구현될 수 있는데, 복수의 큐브형 모듈(100)은 모듈 지지대(200)에 적층하고 조립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홀로그램 모듈(310)은 홀로그램이 디스플레이되는 모듈이다. 홀로그램 디스플레이를 통해 스마트 폴 주위에 있는 사람들의 관심을 유도할 수 있다. 홀로그램(Hologram)은 사물이 가지는 모든 빛에 대한 정보를 홀로그래피의 원리로 자연스러운 입체감을 통해 실제와 같은 입체영상을 재현하는 콘텐츠 기술을 말한다. 홀로그래피(Holography)는 빛의 간섭현상을 이용하여 입체정보를 기록하고 재생하는 디스플레이 기술이며, 이러한 홀로그래피 기술을 활용하여 만들어내는 홀로그램은 생성하고 재생하는 방식에 따라 유사 홀로그램, 아날로그 홀로그램, 디지털 홀로그램 등으로 분류한다. 첫째로, 유사 홀로그램은 플로팅(Floating) 홀로그램이라고도 불리며, 디지털 영상합성 기술을 통해, 투명한 막 뒤에 이미지가 생성되게 투사하여 실제 사람이나 물체가 이미지를 자유롭게 통과하거나 옆에 있는 것과 같은 착시를 일으키는 기술이다. 둘째로, 아날로그 홀로그램은 사진촬영을 응용하여 광원으로 레이저를 사용하여 촬영한 3차원 영상 생성 기술이다. 셋째로, 디지털 홀로그램은 사물로부터 반사된 빛을 디지털화된 기록이 가능한 형태로 생성을 하고 생성된 데이터를 다시 전자식 홀로그래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동영상 홀로그램, 즉 입체적으로 제작한 기술이다. 본 발명의 홀로그램 모듈(310)는 홀로그램을 1 페이스, 3 페이스 및 4 페이스 중에 어느 하나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1 페이스는 홀로그램이 일반 디스플레이처럼 평면에 표시되는 것인데, 유사 홀로그램의 기술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유사 홀로그램은 디지털 영상합성 기술을 통해 투명한 막 뒤에 이미지가 생성되게 투사하여 실제 사람이나 물체가 이미지를 자유롭게 통과하거나 옆에 있는 것과 같은 착시를 일으키는 기술이다. 1 페이스는 홀로그램 장치의 중앙에 투명한 막을 설치하여 홀로그램이 투명에 막에 생성되게 하여 전면에서만 홀로그램을 볼 수 있다. 그리고, 3 페이스는 전면, 좌측면 및 우측면의 3면에서 홀로그램을 볼 수 있고, 아날로그 홀로그램 또는 디지털 홀로그램 기술에 의해 구현이 가능하다. 4 페이스는 전면, 후면, 좌측면 및 우측면의 4 면에서 홀로그램을 볼 수 있고, 또한 아날로그 홀로그램 또는 디지털 홀로그램 기술에 의해 구현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홀로그램 모듈(310)은 AI 모듈(330)에 의해 1 페이스, 3 페이스 또는 4 페이스의 홀로그램을 선택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5(a) 본 발명의 홀로그램 모듈(310)이 인터랙티브 대화를 하는 하나의 예시도이며, 도 5(b) 본 발명의 홀로그램 모듈(310)이 인터랙티브 대화를 하는 다른 예시도이다. 도 5(a) 또는 도 5(b)를 참조하면, 홀로그램 모듈(310)은 AI 모듈(330)과 연동될 수 있는데, 인공지능에 의한 가상 인간이 홀로그램으로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과 인터랙티브로 대화가 가능하다. AI 모듈(330)은 음성 인식부(331)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질문 및 답변을 인터랙티브로 홀로그램 모듈(310)의 가상 인간을 통해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홀로그램 모듈(310)을 통해 광고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홀로그램 모듈(310)은 LED 조명을 구비하여 야간에는 조명등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320)은 주위의 상황을 360도 카메라를 구비하여 실시간으로 촬영한다. 360도 카메라는 수평 및 상하 360도를 전방향 촬영해 구면 사진 및 영상을 만드는 카메라인데, 카메라 모듈(320)은 360도 카메라로 스마트 폴이 설치된 주변을 실시간으로 녹화할 수 있다. 360도 카메라를 사용하면 카메라가 촬영할 수 없는 사각지대 없이 모든 지역을 촬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320)은 제1 카메라부(321A), 상기 제1 카메라부(321A)와 우측으로 90도 회전하는 위치에 설치된 제2 카메라부(321B), 상기 제2 카메라부(321B)와 우측으로 90도 회전하는 위치에 설치된 제3 카메라부(321C), 상기 제3 카메라부(321C)와 우측으로 90도 회전하는 위치에 설치된 제4 카메라부(321D), 상기 제1 카메라부(321A) 내지 제4 카메라부(321D)에서 촬영된 영상을 편집하는 영상 편집부를 구비하고, 상기 영상 편집부는 제1 카메라부(321A)에서 촬영된 제1 영상, 제2 카메라부(321B)에서 촬영된 제2 영상, 제3 카메라부(321C)에서 촬영된 제3 영상, 제4 카메라부(321D)에서 촬영된 제4 영상을 편집한다. 상기 영상 편집부는 제1 영상, 제2 영상, 제3 영상 및 제4 영상을 하나의 스크린에 나타내기 위하여 영상 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조합부는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의 중복영역을 판단하여 중복된 영역을 제거하여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을 서로 하나의 스크린에 표시하게 하며, 제2 영상 및 제3 영상의 중복영역을 판단하여 중복된 영역을 제거하여 제2 영상 및 제3 영상을 서로 하나의 스크린에 표시하게 하며, 제3 영상 및 제4 영상의 중복영역을 판단하여 중복된 영역을 제거하여 제3 영상 및 제4 영상을 서로 하나의 스크린에 표시하게 함으로써, 제1 영상 내지 제4 영상에서 중복된 영역을 편집하여 제1 영상 내지 제4 영상의 전체를 하나의 스크린에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영상 조합부에서 조합된 영상 데이터는 카메라 모듈(320)에 내장된 영상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고, 카메라 통신부를 통해 유무선 통신으로 관리자에게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320)은 제1 카메라부 내지 제4 카메라부를 회전시키는 카메라 회전부 및 상기 카메라 회전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홀로그램 모듈(310)과 고정가능한 상부 카메라 고정부, 상기 카메라 회전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AI 모듈(330)과 고정가능한 하부 카메라 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카메라 회전부에 의하여 상부 카메라 고정부 및 하부 카메라 고정부 사이에서 제1 카메라부 내지 제4 카메라부는 회전 가능하다. 여기서, 지면과 평행인 서로 수직하는 방향을 x축 방향 및 y축 방향, 상기 지면과 수직인 방향을 z축 방향으로 정의하면, 카메라 회전부는 스마트 폴 내에서 회전 장치인 z축 방향과 평행하게 설치된 폴과 상기 폴을 z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모터에 의하여 지면과 수직한 방향을 회전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카메라 회전부는 z축 방향에서 평행하게 설치된 폴을 xy평면으로 기울이게 하여 폴을 회전시킬 수 있어 카메라부의 촬영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1 카메라부(321A)는 제2 카메라부(321B) 내지 제4 카메라부(321D)보다 고배율의 카메라 렌즈를 장착하고, 해상도가 높은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스마트 폴은 실외에서 사용되며 실시간으로 카메라 모듈(320)에 의하여 영상을 획득하게 된다. 예를 들어, 특정 위치를 촬영하는 제4 카메라부(321D)에 의하여 얻어진 제4 영상에 대하여 AI 모듈(330)의 인공지능에 의하여 특별한 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특별한 상황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보다 고배율로 촬영하여 데이터를 얻을 필요가 있다고 판단될 때, 폴을 기준으로 카메라 회전부는 고배율을 가진 제1 카메라부(321A)의 촬영 위치를 제4 카메라부(321D)의 촬영 위치로 이동하여 촬영하도록 설정가능하다. 따라서, 고가의 해상도를 가진 카메라부를 전부 설치하지 않고도 인공지능의 판단에 의하여 필요에 따라 카메라 회전부를 이용하여 고배율의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특정 카메라부에 이물질 등의 부착으로 촬영이 부적합한 경우에도 카메라 회전부는 촬영이 부적합한 카메라부의 위치에 다른 카메라부를 이동시켜 다른 카메라부를 사용하여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AI 모듈(330)은 음성 인식이 가능한 인공지능이 탑재되어 사용자가 인공지능과 대화할 수 있게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AI 모듈의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AI 모듈(330)은 음성 인식부(331), 데이터 저장부(332),영상 데이터 학습부(333), 측정 데이터 학습부(334), 영상 데이터 분석부(335), 측정 데이터 분석부(336), 인공지능 통지부(337) 및 가상 인간 선택부(338)를 포함할 수 있다. AI 모듈(330)은 음성 인식이 가능하도록 하는 음성 인식부(331)를 구비한다. 음성 인식부(331)는 음성 스피커 및 음성 인식기를 구비하고, 음성 스피커를 통해 가상 인간의 목소리를 재생할 수 있고, 또한 음성 인식기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다. AI 모듈(330)은 인터넷 회선과 연결되어 있어, 빅데이터에 접근이 가능하며, 본 발명의 스마트 폴이 제공하는 서비스와 관련된 질문에 대한 답변이 가능하다. 또한, AI 모듈(330)은 홀로그램 모듈(310)과 연동하여 가상 인간의 홀로그램을 디스플레이시켜 사용자와 인터랙티브로 대화가 가능하다. 또한, AI 모듈(330)은 카메라 모듈(320)에서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도로의 안전 문제를 경고하거나, 차량 사고시 차량 번호판 인식, 주택의 침입자 등에 대해 경고할 수 있다. AI 모듈(330)은 촬영한 영상의 분석에 위해 카메라의 위치나 원하는 카메라를 선정하여 재촬영을 지시할 수 있다. 또한, AI 모듈(330)은 센서 모듈(350)에서 측정한 미세먼지, 온도, 습도를 분석하여 미세먼지 경고, 폭염 경고, 강추위 경고 등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AI 모듈은(330) 상기 카메라 모듈(320)의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센서 모듈(350)의 측정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부(332), 인공지능에 의해 상기 카메라 모듈(320)의 영상 데이터에 대해 학습을 수행하는 영상 데이터 학습부(333), 인공지능에 의해 상기 센서 모듈(350)의 측정 데이터에 대해 학습을 수행하는 측정 데이터 학습부(334), 상기 영상 데이터 학습부(333)에서 수행한 학습에 의해 상기 카메라 모듈(320)의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고, 침입의 위험 상황을 분석하며, 상기 카메라 모듈(320)의 카메라 위치나 필요한 카메라를 재설정할 수 있는 영상 데이터 분석부(335), 상기 측정 데이터 학습부(334)에서 수행한 학습에 의해 상기 센서 모듈(350)의 측정 데이터를 분석하여 미세먼지, 폭염, 강추위의 위험 상황을 분석하는 측정 데이터 분석부(336) 및 상기 영상 데이터 분석부(335) 및 측정 데이터 분석부(336)에서 분석한 내용을 기반으로 교통 사고, 주택 침임의 위험을 알리고, 미세먼지, 폭염, 강추위를 통지하는 인공지능 통지부(337)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AI 모듈(330)에는 인공지능에 의한 가상 인간 선택부(338)를 구비하여, 상기 가상 인간 선택부(338)는 카메라 모듈(320)에서 인식된 사용자의 영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 정보를 기초로 홀로그램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연령, 나이, 옷차림의 정보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정보를 기초로 홀로그램에서 설명하는 가상 인간의 성별, 나이, 옷차림, 표정을 선택하여 홀로그램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거부감을 줄이고 홀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 모듈(340)은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터치를 통해 선택할 수 있는 모듈이다. 또한, 터치스크린 모듈(340)은 디스플레이를 겸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큐브형 모듈을 구비하는 인공지능 스마트 폴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관련 정보는 터치스크린 모듈(340)을 통해 재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폴은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폴에서 길안내 정보를 제공한다면,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터치스크린 모듈(340)을 통해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지명을 입력하거나 선택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 모듈(340)은 터치스크린 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은 사용자의 키에 맞추어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의 뒷면과 상기 AI 모듈(330), 터치스크린 모듈(340) 및 센서 모듈(350)의 측면은 이동형 레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키를 인식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320)이 사용자의 신체를 영상으로 촬영하면, AI 모듈(330)는 사용자의 신체 영상을 분석하는 신체 인식부를 구비하여, 신체 인식부에 의해 사용자의 키를 인식할 수 있다. 이렇게 인식된 사용자 키에 설정된 터치스크린 패널의 높이에 따라 터치스크린 패널은 이동형 레일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센서 모듈(350)은 스마트 폴이 설치된 지점 주위의 미세먼지,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한다. 본 발명의 센서 모듈(350)은 미세먼지를 측정하는 미세먼지 센서,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및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센서를 구비한다. 미세먼지는 먼지의 지름이 10㎛ 미만의 먼지를 말하는데, 미세먼지의 성분은 대기오염 물질이 공기 중에서 반응하여 형성된 덩어리인 황산염, 질산염과 석유, 석탄 등 화석연료를 태우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류와 검댕, 지표면 흙먼지 등에서 생기는 광물로 구성된다. 미세먼지를 측정하는 방식은 광산란 방식과 베타선 방식이 있다. 광산란 방식은 빛을 입자에 비추면 회절, 굴절, 반사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고, 베타선 방식은 미세먼지에 흡수되는 베타선의 양으로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방식이다. 본 발명의 미세먼지 센서는 비교적 정확도가 높은 베타선 방식의 미세먼지 측정기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온도 센서로는 열전대 온도 센서, 저항 온도 센서, 적외선 온도계 등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습도 센서는 전기저항식과 전기용량식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센서 모듈(350)은 AI 모듈(330)과 연동하여 미세먼지,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여 미세먼지 위험 경고, 폭염 경고, 강추위 경고 등을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의 무선 모듈(360)은 사용자에게 와이파이 신호를 무료로 제공한다. 정부 및 지자체에서는 공공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본 발명의 무선 모듈(360)은 공공 와이파이 서비스를 스마트 폴 근처의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무선 모듈(360)은 모듈 지지대(200)를 통해 연결된 통신 회선을 와이파이 신호로 변환하는 공유기를 구비하여, 와이파이 신호를 생성하여 스마트 폴 근처로 와이파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는 스마트 폴이 생성하는 와이파이 신호를 인식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무료로 와이파이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듈 지지대(200)는 바닥에 고정되며 상부에 복수의 큐브형 모듈(100)이 적층된다. 모듈 지지대(200)는 스마트 폴이 설치되는 장소에 고정이 된다. 모듈 지지대(200)는 큐브형 모듈(100)이 상부에 적층될 수 있도록, 큐브형 모듈(100)의 제1 돌기부(160A)가 안착되는 제1 지지대 홈부, 제2 돌기부(160B)가 안착되는 제2 지지대 홈부, 제3 돌기부(160C)가 안착되는 제3 지지대 홈부, 제4 돌기부(160D)가 안착되는 제4 지지대 홈부, 전력 돌기부(170)가 안착되는 전력 지지대 홈부 및 통신 돌기부(180)가 안착되는 통신 지지대 홈부를 구비한다. 큐브형 모듈(100)이 모듈 지지대(200)에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제1 지지대 홈부, 제2 지지대 홈부, 제3 지지대 홈부 및 제 4 지지대 홈부에는 자석을 내장할 수 있다. 모듈 지지대(200)에는 지하에 매설된 전력선과 통신선이 연결된다. 전력선의 전력은 모듈 지지대(200)의 전력 지지대 홈부의 전기 단자를 통해 모듈 지지대(200) 상부에 적층되어 조립되는 큐브형 모듈(100)의 전력 돌기부(170)의 전기 단자로 전달된다. 또한, 통신선의 통신 회선은 모듈 지지대(200)의 통신 지지대 홈부의 통신 단자를 통해 모듈 지지대(200) 상부에 적층되어 조립되는 큐브형 모듈(100)의 통신 돌기부(180)의 통신 단자로 전달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큐브형 모듈(100)을 구비하는 인공지능 스마트 폴의 개념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큐브형 모듈(100)은 홀로그램 모듈(310), 카메라 모듈(320), AI 모듈(330), 터치스크린 모듈(340), 센서 모듈(350) 및 무선 모듈(360)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하며, 원하는 큐브형 모듈(100)을 선택하여 모듈 지지대(200)에 적층하여 조립할 수 있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큐브형 모듈(100)을 구비하는 인공지능 스마트 폴이 공원에 설치된 주간 시간의 모습을 나타내며,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큐브형 모듈(100)을 구비하는 인공지능 스마트 폴이 공원에 설치된 야간 시간의 모습을 나타내며, 도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큐브형 모듈(100)을 구비하는 인공지능 스마트 폴이 주택 지역에 설치된 주간 시간의 모습을 나타내며, 도 9(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큐브형 모듈(100)을 구비하는 인공지능 스마트 폴이 주택 지역에 설치된 야간 시간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9(a) 또는 도 9(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큐브형 모듈(100)을 구비하는 인공지능 스마트 폴은 공원에 설치될 수 있다. 스마트 폴이 공원에 설치되면 음악, 안내 방송, 야간 조명 등이 주기능이 될 수 있고, 이를 위해서는 홀로그램 모듈(310), AI 모듈(330)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9(c) 또는 도 9(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큐브형 모듈(100)을 구비하는 인공지능 스마트 폴은 주택 지역에 설치될 수 있다. 스마트 폴이 주택 지역에 설치되면 음악, 안내 방송, 야간 조명, 홍보 영상 등이 주기능이 될 수 있고, 출입자 안내, 침입자 탐지 등의 기능이 추가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홀로그램 모듈(310), AI 모듈(330), 카메라 모듈(320)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큐브형 모듈(100)을 구비하는 인공지능 스마트 폴의 기능과 설치 지역을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큐브형 모듈(100)을 구비하는 인공지능 스마트 폴은 주변 지역 모니터링, 안전지역 확보, 각종 센서 연결, 안전 알림, 차량번호 검지, 데이터 분석, 네트워크 보안, 객체 인식 등의 기능을 보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큐브형 모듈(100)을 구비하는 인공지능 스마트 폴은 마을 입구, 골목길, 교육기관, 아파트 단지, 일반 주택, 공항, 스쿨존, 공원, 공공기관 등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100a, 100b, 100c : 큐브형 모듈
110 : 상부면
120A : 제1 홈부
120B : 제2 홈부
120C : 제3 홈부
120D : 제4 홈부
130 : 전력 홈부
140 : 통신 홈부
150 : 하부면
160A : 제1 돌기부
160B : 제2 돌기부
160C : 제3 돌기부
160D : 제4 돌기부
170 : 전력 돌기부
180 : 통신 돌기부
200 : 모듈 지지대
310 : 홀로그램 모듈
320 : 카메라 모듈
321A : 제1 카메라부
321B : 제2 카메라부
321C : 제3 카메라부
321D : 제4 카메라부
330 : AI 모듈
331 : 음성 인식부
332 : 데이터 저장부
333 : 영상 데이터 학습부
334 : 측정 데이터 학습부
335 : 영상 데이터 분석부
336 : 측정 데이터 분석부
337 : 인공지능 통지부
338 : 가상 인간 선택부
340 : 터치스크린 모듈
350 ; 센서 모듈
360 : 무선 모듈

Claims (5)

  1. 조립식으로 적층이 가능한 복수의 큐브형 모듈; 및
    바닥에 고정되며 상부에 상기 복수의 큐브형 모듈이 적층되는 모듈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큐브형 모듈은,
    상기 큐브형 모듈의 상부면의 좌측 상부에 형성된 제1 홈부, 상기 상부면의 우측 상부에 형성된 제2 홈부, 상기 상부면의 좌측 하부에 형성된 제3 홈부, 상기 상부면의 우측 하부에 형성된 제4 홈부, 상기 제1 홈부 및 제2 홈부 사이에 형성되어 전력선이 연결되는 전력 홈부, 상기 전력 홈부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통신선이 연결되는 통신 홈부,
    상기 큐브형 모듈의 하부면에 위치하는, 상기 제1 홈부에 대응되는 제1 돌기부, 상기 제2 홈부에 대응되는 제2 돌기부, 상기 제3 홈부에 대응되는 제3 돌기부, 상기 제4 홈부에 대응되는 제4 돌기부, 상기 제1 돌기부 및 제2 돌기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전력 홈부에 대응되며 전력선이 연결되는 전력 돌기부 및 상기 전력 돌기부 인접하여 형성되어 상기 통신 홈부에 대응되며 통신선이 연결되는 통신 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큐브형 모듈은,
    홀로그램이 디스플레이되는 홀로그램 모듈, 상기 홀로그램 모듈의 하부에 위치하여 주위의 상황이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 하부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인공지능과 대화할 수 있는 AI 모듈, 상기 AI 모듈 하부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터치를 통해 선택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모듈, 상기 터치스크린 모듈 하부에 위치하여 주위의 미세먼지, 온도 및 습도가 측정되는 센서 모듈 및 상기 센서 모듈 하부에 위치하여 사용자에게 와이파이 신호를 제공하는 무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홀로그램 모듈, 카메라 모듈, AI 모듈, 터치스크린 모듈, 센서 모듈 및 무선 모듈을 상기 모듈 지지대에 적층하여 조립할 수 있으며,
    상기 AI 모듈은,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는 음성 인식부, 상기 카메라 모듈의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센서 모듈의 측정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부, 인공지능에 의해 상기 카메라 모듈의 영상 데이터에 대해 학습을 수행하는 영상 데이터 학습부, 인공지능에 의해 상기 센서 모듈의 측정 데이터에 대해 학습을 수행하는 측정 데이터 학습부, 상기 영상 데이터 학습부에서 수행한 학습에 의해 상기 카메라 모듈의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는 영상 데이터 분석부, 상기 측정 데이터 학습부에서 수행한 학습에 의해 상기 센서 모듈의 측정 데이터를 분석하는 측정 데이터 분석부, 상기 영상 데이터 분석부 및 측정 데이터 분석부에서 분석한 내용을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위험 상황을 통지하는 인공지능 통지부 및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인식된 사용자의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홀로그램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연령, 나이, 옷차림의 정보를 판단하는 가상 인간 선택부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모듈은 제1 카메라부, 상기 제1 카메라부와 우측으로 90도 회전하는 위치에 설치된 제2 카메라부, 상기 제2 카메라부와 우측으로 90도 회전하는 위치에 설치된 제3 카메라부, 상기 제3 카메라부와 우측으로 90도 회전하는 위치에 설치된 제4 카메라부, 상기 제1 카메라부 내지 제4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편집하는 영상 편집부를 구비하고, 상기 영상 편집부는 제1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제1 영상, 제2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제2 영상, 제3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제3 영상, 제4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제4 영상을 편집하며, 상기 영상 편집부는 제1 영상, 제2 영상, 제3 영상 및 제4 영상을 하나의 스크린에 나타내기 위하여 영상 조합부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제1 카메라부 내지 제4 카메라부를 회전시키는 카메라 회전부 및 상기 카메라 회전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홀로그램 모듈과 고정가능한 상부 카메라 고정부, 상기 카메라 회전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AI 모듈과 고정가능한 하부 카메라 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카메라 회전부에 의하여 상부 카메라 고정부 및 하부 카메라 고정부 사이에서 제1 카메라부 내지 제4 카메라부는 회전 가능하며, 상기 제1 카메라부는 상기 제2 카메라부 내지 제4 카메라부보다 고배율의 카메라 렌즈를 장착하고, 해상도가 높은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큐브형 모듈을 구비하는 인공지능 스마트 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20134965A 2022-10-19 2022-10-19 큐브형 모듈을 구비하는 인공지능 스마트 폴 KR102571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4965A KR102571119B1 (ko) 2022-10-19 2022-10-19 큐브형 모듈을 구비하는 인공지능 스마트 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4965A KR102571119B1 (ko) 2022-10-19 2022-10-19 큐브형 모듈을 구비하는 인공지능 스마트 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1119B1 true KR102571119B1 (ko) 2023-08-25

Family

ID=87846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4965A KR102571119B1 (ko) 2022-10-19 2022-10-19 큐브형 모듈을 구비하는 인공지능 스마트 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1119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7379A (ko) * 2010-05-19 2011-11-25 (주)제넥스웨이브 사용자 감응 3차원 화상표시 조명 가로등 장치 및 그 관리 시스템
KR102092511B1 (ko) 2019-09-03 2020-03-23 주식회사 레젠 스마트시티 구축을 위한 디텍터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폴
KR102146254B1 (ko) 2020-02-25 2020-08-20 주식회사 레젠 다방향 조립구조를 가지는 다기능 스마트 폴
KR20200136667A (ko) * 2019-05-28 2020-12-08 주식회사 코듀크리에이티브 코딩실습을 위한 적층형 로봇 모듈
KR102342820B1 (ko) 2021-03-11 2021-12-23 이원목 스마트 도시 구축을 위한 모듈 결합형 스마트 폴
KR102385379B1 (ko) 2020-12-11 2022-04-12 이도경 스마트 폴
KR102398489B1 (ko) 2021-04-15 2022-05-18 주식회사 에이치애비뉴앤컴퍼니 스마트 빌리지 시스템용 다기능 스마트 폴
KR20220075035A (ko) * 2020-11-26 2022-06-07 주식회사 와이즈드림 무선통신망 기반 블록형 스마트 폴
KR20220113248A (ko) * 2021-02-05 2022-08-12 옥재윤 인공지능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7379A (ko) * 2010-05-19 2011-11-25 (주)제넥스웨이브 사용자 감응 3차원 화상표시 조명 가로등 장치 및 그 관리 시스템
KR20200136667A (ko) * 2019-05-28 2020-12-08 주식회사 코듀크리에이티브 코딩실습을 위한 적층형 로봇 모듈
KR102092511B1 (ko) 2019-09-03 2020-03-23 주식회사 레젠 스마트시티 구축을 위한 디텍터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폴
KR102146254B1 (ko) 2020-02-25 2020-08-20 주식회사 레젠 다방향 조립구조를 가지는 다기능 스마트 폴
KR20220075035A (ko) * 2020-11-26 2022-06-07 주식회사 와이즈드림 무선통신망 기반 블록형 스마트 폴
KR102385379B1 (ko) 2020-12-11 2022-04-12 이도경 스마트 폴
KR20220113248A (ko) * 2021-02-05 2022-08-12 옥재윤 인공지능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342820B1 (ko) 2021-03-11 2021-12-23 이원목 스마트 도시 구축을 위한 모듈 결합형 스마트 폴
KR102398489B1 (ko) 2021-04-15 2022-05-18 주식회사 에이치애비뉴앤컴퍼니 스마트 빌리지 시스템용 다기능 스마트 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95976B (zh) 一种全时空立体可视化方法
CN100417223C (zh) 基于全方位视觉传感器的智能安保装置
CN104504112A (zh) 影院信息采集系统
CN114364099B (zh) 调节智能灯光设备的方法、机器人及电子设备
CN102016944B (zh) 用于探测火灾和/或火灾特征的探测装置以及方法
US20210071855A1 (en) Multifunction lighting control unit
WO2003103278A1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並びにデータ構造およびデータ記録媒体
CN204423417U (zh) 影院信息采集系统
Dufour Intelligent video surveillance systems
US7206131B2 (en) Optic array for three-dimensional multi-perspective low observable signature control
Bauer et al. UASOL, a large-scale high-resolution outdoor stereo dataset
Rai et al. Advance intelligent video surveillance system (AIVSS): a future aspect
JP4463151B2 (ja) 撮影システムおよび撮影方法
US709730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simulated images
KR102571119B1 (ko) 큐브형 모듈을 구비하는 인공지능 스마트 폴
JP2004088757A (ja) 3次元画像表示方法、及びその装置、光方向検出器、光方向検出方法
Poulsen et al. Controlling urban lighting by human motion patterns results from a full scale experiment
US20060131478A1 (en) Concave sensor and emitter arrays with integral lens
US20170316603A1 (en) Virtual system for seeing a property
US2006022729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simulated images
Blaise et al. Acquisition & integration of spatial and acoustic features: A workflow tailored to small-scale heritage architecture
TWI515691B (zh) 現場動態情境重建之合成錄像拍製方法
Tong Image sensory experience of artistic design based on the role of omnidirectional vision sensors
KR20200086561A (ko) 지하철 역사의 3d 관제 시스템과 카메라 영상 연동 시스템 및 방법
Green et al. Exploring attractions and exhibits with interactive flashligh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