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0636B1 - Indwelling catheter for reducing surface friction and pain - Google Patents
Indwelling catheter for reducing surface friction and pai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70636B1 KR102570636B1 KR1020210062130A KR20210062130A KR102570636B1 KR 102570636 B1 KR102570636 B1 KR 102570636B1 KR 1020210062130 A KR1020210062130 A KR 1020210062130A KR 20210062130 A KR20210062130 A KR 20210062130A KR 102570636 B1 KR102570636 B1 KR 1025706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dwelling catheter
- pain
- surface friction
- body portion
- tip
- Prior art date
Links
- 210000003708 urethra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11247 coating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10000004400 mucous membrane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06010018852 Haematoma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2700 urine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1519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451 tissue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1100000827 tissue damage Toxicity 0.000 description 3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124 body fluid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08000032843 Hemorrhag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NNJVILVZKWQKPM-UHFFFAOYSA-N Lidocaine Chemical compound CCN(CC)CC(=O)NC1=C(C)C=CC=C1C NNJVILVZKWQKP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31481 Pathologic Constri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40 blee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39 body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26 effect on cardiovascular syste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96 gastr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26 latex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16 latex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194 lidoca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50 lubric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61 lubr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67 medic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877 mucos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61 pathwa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915 polyvinyl chl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262 steno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804 sten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356 surgical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17—Catheters; Hollow probes specially adapted for long-term hygiene care, e.g. urethral or indwelling catheters to prevent infec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5/0045—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multi-layered, e.g. coate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5/04—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in the body, e.g. expansibl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5/0045—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multi-layered, e.g. coated
- A61M2025/0046—Coatings for improving slidabilit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025/006—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having a special surface topography or special surface properties, e.g. roughened or knurled surfac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025/0062—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having features to improve the sliding of one part within another by using lubricants or surfaces with low fric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61M2205/0222—Materials for reducing fri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길이로 연장되며, 내측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채널이 구비된 바디부 및 바디부의 일단에 구비되며, 사용시 적어도 일부가 방광 내에 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팁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팁은 외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가 형성되며, 그루브는 채널과 유체소통되는 표면마찰과 통증감소를 위한 유치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마찰과 통증 감소를 위한 유치 카테터는 카테터의 외면과 요도의 점막 사이에서 마찰력을 극소화 시켜 삽입과 인출시의 점막 손상 방지, 그리고 그에 따른 환자의 고통을 경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방광 내에 혈종 등의 물질이 존재하더라도 도뇨 혹은 배출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body portion extending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having a channel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in, and a tip provided at one end of the body portion and configured such that at least a portion thereof can be placed in the bladder during use. And, the tip is formed with at least one groove formed in a spiral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and the groove relates to an indwelling catheter for reducing pain and surface friction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channel.
The indwelling catheter for reducing surface friction and p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catheter and the mucous membrane of the urethra, thereby preventing mucosal damage during insertion and withdrawal, and reducing the patient's pain accordingly. However, even if substances such as hematoma are present in the bladder, it has the effect of maintaining the catheterization or discharge func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표면마찰과 통증 감소를 위한 유치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welling catheter for reducing surface friction and pain.
카테터(catheter)는 의료용 소재를 이용, 압출 성형하여 만든 얇은 관으로 의료 및 의학 분야에서 다양한 기능으로 쓰이고 있다. 카테터 제품은 실리콘, PVC, 라텍스 등의 재질로 구분된다. 카테터는 병을 다루거나 수술을 할 때 인체에 삽입하는 의료용 기구로, 재료나 만드는 방식에 따라 심혈관, 비뇨기과, 위장, 신경 혈관, 안과 등 다양한 임상분야에서 적용 및 응용이 가능하다. 일시적이든 영구적이든 관계없이 신체에 남아 있는 카테터는 유치 카테터(indwelling catheter)라고 부른다.A catheter is a thin tube made by extrusion using a medical material and is used for various functions in the medical and medical fields. Catheter products are classified into materials such as silicone, PVC, and latex. A catheter is a medical device inserted into the human body when treating a disease or performing surgery. Depending on the material or manufacturing method, the catheter can be applied and applied in various clinical fields such as cardiovascular, urology, gastrointestinal, neurovascular, and ophthalmology. A catheter that remains in the body, whether temporary or permanent, is called an indwelling catheter.
복잡한 형상으로 구부러진 내강을 선행하는 가이드 와이어를 따라 원활하게 내강벽 등을 손상시키지 않고 삽입, 인출이 행해지도록, 카테터 외면의 혈액이나 조직에 대한 친화성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목적으로 하는 위치까지 카테터 튜브 선단이 도달하여, 가이드 와이어를 빼낸 상태에서도, 내강의 만곡부, 굴곡부에서 카테터 튜브에 협착 또는 폐쇄가 생기지 않거나 최소화 하도록하는 성질과, 내강에 상처를 입히지 않고 내강 형상에 따른 형상을 유지하는 선단부의 유연성이 필요하다. The outer surface of the catheter must have affinity for blood or tissues so that insertion and withdrawal can be performed smoothly along the guide wire leading the lumen bent into a complicated shape without damaging the lumen wall or the like. In addition, the tip of the catheter tube reaches the target position, and even in the state where the guide wire is withdrawn, the property of preventing or minimizing stenosis or occlusion of the catheter tube at the bend or bend of the lumen, and the lumen without damaging the lumen Flexibility of the tip to maintain the shape according to the shape is required.
이러한 유치 카테터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7-0125884호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유치 카테터는 카테터 표면과 요도 사이의 큰 마찰에 의해 요도 점막을 자극하거나 손상시켜 환자에게 극심한 고통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유치 카테터는 출혈 등으로 도뇨관의 단부가 막히는 경우 카테터의 기능을 상실하고 환자의 상태가 악화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Regarding such an indwelling catheter,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125884 has been disclosed. However, this conventional indwelling catheter has a problem of causing extreme pain to the patient by irritating or damaging the urethral mucosa due to great friction between the catheter surface and the urethra.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indwelling catheter has a problem in that when the end of the catheter is blocked due to bleeding or the like, the function of the catheter may be lost and the patient's condition may deteriorate.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유치 카테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표면마찰 및 통증 감소를 위한 유치 카테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welling catheter for reducing surface friction and pain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indwelling catheter.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소정길이로 연장되며, 내측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채널이 구비된 바디부 및 바디부의 일단에 구비되며, 사용시 적어도 일부가 방광 내에 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팁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팁은 외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가 형성되며, 그루브는 채널과 유체소통되는 표면마찰과 통증감소를 위한 유치 카테터가 제공될 수 있다.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 body portion having a channel extending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inside thereof and a tip provided at one end of the body portion and configured such that at least a part thereof can be placed in the bladder during use. Including, the tip is formed with at least one groove formed in a spiral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the groove may be provided with an indwelling catheter for reducing surface friction and pain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channel.
한편, 바디부는 외면의 적어도 일부에 규칙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3차원 구조가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a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structures regularly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of an out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may be provided.
한편, 복수의 3차원 구조는 바디부와 외부 접촉면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각각의 3차원 구조는 바디부의 외면과의 단차보다 폭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plurality of 3D structures are configured to reduce friction between the body and the external contact surface, and each 3D structure may have a larger width than a step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또한, 바디부는 외부와의 표면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외면 중 복수의 3차원 구조를 제외한 영역에 구비되는 친수성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ody portion may include a hydrophilic layer provided on a region except for the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structures of the outer surface to reduce surface friction with the outside.
한편, 바디부는 외부와의 표면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3차원 구조를 포함한 외면에 구비되는 친수성 코팅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body portion may include a hydrophilic coating layer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including a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structures to reduce surface friction with the outside.
팁의 단부는 바디부와 연결되는 부분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구성될 수 있다. An end portion of the tip may have a smaller diameter than a diameter of a portion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한편, 바디부는 단면의 형상이 내강 단면을 따라 타원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hap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body portion may be of an elliptical shape along the luminal cross section.
또한, 바디부는 적어도 일부가 요도 내에 배치되었을 때 적어도 일부의 단면이 타원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t least a portion of the body portion is placed in the urethra, at least a portion of the cross section may be configured to maintain an elliptical shape.
한편, 바디부의 타단에 구비되는 연결포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 connection port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portion may be further included.
한편, 연결포트 및 채널을 통하여 팁의 단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가이드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t may include a guide wire configured to be exposed to the end of the tip through the connection port and the channel.
한편, 가이드 와이어는, 길이방향을 따라 중심부에 형성되는 가이드 와이어 채널 및 가이드 와이어 채널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guide wire may include at least one outlet formed in a radial direction from the guide wire channel and the guide wire channel formed at the cent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른 표면마찰과 통증 감소를 위한 유치 카테터는 카테터의 외면과 요도의 점막 사이에서 마찰력을 극소화 시켜 삽입과 인출시의 점막 손상 방지, 그리고 그에 따른 환자의 고통을 경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방광 내에 혈종 등의 물질이 존재하더라도 도뇨 혹은 배출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indwelling catheter for reducing surface friction and p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catheter and the mucous membrane of the urethra, thereby preventing mucosal damage during insertion and withdrawal, and reducing the patient's pain accordingly. However, even if substances such as hematoma are present in the bladder, it has the effect of maintaining the catheterization or discharge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에 표면마찰과 통증 감소를 위한 유치 카테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팁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바디부의 미세 패턴의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바디부에서 미세 패턴 및 친수성 코팅 레이어가 나타난 부분확대단면도이다.
도 6은 바디부에서 미세 패턴 및 친수성 코팅 레이어의 변형예가 도시된 부분확대단면도이다.
도 7은 바디부의 미세패턴이 도시된 부분확대사시도이다.
도 8은 바디부의 미세패턴의 변형예가 도시된 부분확대사시도이다.
도 9는 가이드 와이어의 일부를 도시한 확대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표면마찰과 통증 감소를 위한 유치 카테터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인 표면마찰과 통증 감소를 위한 유치 카테터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유치 카테터의 사용상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dwelling catheter for reducing surface friction and p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tip enlarge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1 .
4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cept of a fine pattern of a body part.
5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ne pattern and a hydrophilic coating layer in a body part.
6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odified example of a micropattern and a hydrophilic coating layer in a body part.
7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ne pattern of a body part.
8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dified example of a micropattern of a body part.
9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 guide wire.
10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use of an indwelling catheter for reducing surface friction and p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other embodiment of an indwelling catheter for reducing surface friction and p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the indwelling catheter shown in FIG. 11;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면마찰과 통증 감소를 위한 유치 카테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각각의 구성요소의 명칭은 당업계에서 다른 명칭으로 호칭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의 기능적 유사성 및 동일성이 있다면 변형된 실시예를 채용하더라도 균등한 구성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요소에 부가된 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들 부호가 기재된 도면상의 도시 내용이 각각의 구성요소를 도면내의 범위로 한정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도면상의 구성을 일부 변형한 실시예가 채용되더라도 기능적 유사성 및 동일성이 있다면 균등한 구성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당해 기술 분야의 일반적인 기술자 수준에 비추어 보아, 당연히 포함되어야 할 구성요소로 인정되는 경우, 이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an indwelling catheter for reducing surface friction and pain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name of each component may be called a different name in the art. However, if they have functional similarity and identity, even if a modified embodiment is employed, it can be regarded as an equivalent configuration. In addition, signs added to each component are describ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However, the contents of the drawings in which these symbols are written do not limit each component to the scope in the drawings. Likewise, even if an embodiment in which the configuration in the drawings is partially modified is employed, it can be regarded as an equivalent configuration if there is functional similarity and identity. In addition, in light of the level of a general technician in the relevant technical field, if it is recognized as a component that should be included,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이하에서 먼저 체내에 삽입되는 방향을 전방측이라고 하며, 유치 카테터의 삽입이 완료된 이후 체외에 배치되어 있는 단부를 후방측이라고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Meanwhile, hereinafter,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dwelling catheter is first inserted into the body is referred to as the anterior side, and the end disposed outside the body after the insertion of the indwelling catheter is completed is referred to as the rear side.
또한, 전방에서 후방을 바라보는 방향, 또는 반대로 후방에서 전방을 바라보는 방향을 길이방향이라고 정의하고 이하에서 이에 따라 설명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direction of looking at the rear from the front, or the direction of looking at the front from the rear on the contrary, is defined as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will be described accordingly below.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표면마찰과 통증 감소를 위한 유치 카테터의 구성에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an indwelling catheter for reducing surface friction and p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
도 1은 본 발명에 표면마찰과 통증 감소를 위한 유치 카테터(1)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표면마찰과 통증 감소를 위한 유치 카테는 일측이 요도로 삽입되며, 팁(20)이 삽입된 상태에서 일정 기간동안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마찰과 통증 감소를 위한 유치 카테터(1)는 팁(20), 바디부(10), 연결포트(40) 및 가이드 와이어(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the indwelling catheter for reducing surface friction and p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one side is inserted into the urethra and maintain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a state in which the
팁(20)은 표면마찰과 통증 감소를 위한 유치 카테터(1)의 전방측 단부에 구비되며, 사용시 인체에 가장 먼저 삽입되고, 삽입 완료시 방광 내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팁(20)은 삽입이 원활해 질 수 있도록 전방 단부 측으로 갈수록 점차 외경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팁(20)은 적어도 일부가 방광 내에 수용된 소변에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소변이 채널(31)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외면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그루브(21)가 형성될 수 있다. At least a part of the
바디부(10)는 팁(20)으로부터 외부까지의 유체 이동 채널(31)이 구비되며, 사용시 적어도 일부가 요도를 따라 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바디부(10)는 요도 내에서 요도의 과도한 확장을 방지하고, 도뇨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외경 및 채널(31)의 내경이 결정될 수 있다.The
한편, 유치 카테터(1)를 요도를 따라 삽입할 때 사용자는 극심한 통증을 느낄 수 있어, 이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패턴화된 미세 3차원 구조(3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친수성 레이어(33)가 구비될 수 있다. 3차원 구조(32) 패턴과 친수성 레이어(33)에 의해 유치 카테터(1)의 외면과 요도의 점막 사이의 마찰력을 극소화 시킬 수 있어 결과적으로 환자의 고통을 경감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차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바디부(10)의 재질은 인체 내에 삽입되었을 때 단면의 형상이 타원형을 유지할 정도의 강도, 그리고 조직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루멘의 3차원적인 형상에 의해 자연스럽게 일부가 변형될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치 카테터(1)의 강도가 약한 경우, 유치 카테터(1)가 삽입된 상태에서 조직에 의해 바디부(10)가 가압 되었을 때 접히게 되면 채널(31)이 막히게 되어 유치 카테터(1)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반대로 유치 카테터(1)의 강도가 너무 크게 되면 3차원 적인 경로를 배치되었을 때 조직에 손상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바디부(10)의 강도는 조직의 손상을 방지하고 채널(31)을 확보할 수 있는 강도를 갖는 재질과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The material of the
연결포트(40)는 바디부(10)의 후방측에 구비되며, 외부의 도구와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포트(40)의 구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The
가이드 와이어(50)는 내측의 채널(31)로 삽입된 상태에서, 유치 카테터(1)보다 먼저 인체 내에 삽입된 후 유치 카테터(1)의 삽입시 가이드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 와이어(50)는 채널(31)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채널(31)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구성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와이어(50)의 전방 단부는 삽입시 조직을 관통하거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날카로운 부분이 제거된 무딘 형상, 예를 들어 측면에서의 형상이 원형 또는 타원형이 되거나 테이퍼, 또는 라운딩 처리될 수 있다. 가이드 와이어(50)는 유치 카테터(1)보다 긴 길이로 구성되어 사용자는 가이드를 잡고 유치 카테터(1)를 밀어 넣어 요도를 따라 배치시킬 수 있게 된다.The
한편 전술한 조합은 일 예일 뿐 사용시 가이드 와이어(50)가 생략된 상태로 유치 카테터(1)만이 사용이 가능하다.Meanwhile, the aforementioned combination is only an example, and only the
도 2는 팁(20)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사시도이다.Figure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ip (20).
도 2(a)를 참조하면, 팁(20)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팁(2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나선 경로를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21)가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21)는 나선형 경로를 따라 팁(20)의 외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절삭되어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a), the
도 2(b)를 참조하면, 도 2(a)의 II-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가 나타나 있으며, 각각의 그루브(21)는 후술할 유치 카테터(1)의 중심부분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채널(31)과 유체소통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결국 팁(20)에서는 원주방향을 따라 360도의 모든 방향에서 연속적으로 채널(31)과 유체소통되는 유로가 형성된다. 따라서 체액 또는 결석(stone) 등의 고체 또는 점성이 높은 체액에 의해 일부의 유로가 폐쇄되더라도 나머지 개방된 유로를 통하여 소변이 배출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그루브(21)는 팁(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일 예로서 원주방향을 따라 90도 간격으로 4개가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b),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It may be configured to be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formed
도 2(c)를 참조하면, 도 2(a)의 III-I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팁의 전방 단부측에는 채널이 연장되어 형성되어 전방측으로 구멍이 뚫려있어 가이드 와이어가 팁의 전방 단부로 출몰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c),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2(a) is shown. A channel is formed on the front end side of the tip to extend, and a hole is drilled toward the front side, so that the guide wire may be configured to protrude into the front end of the tip.
도 3은 도 1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1 .
도 3을 참조하면, 바디부(10)의 단면의 형상은 타원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요도의 단면은 좌우로 긴 타원의 형태임이 밝혀져 있으며, 삽입되었을 때 사용자의 불편감을 해소할 수 있도록 바디부(10)의 단면 또한 요도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여 타원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요도 단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바디부(10)의 단면 형상은 유치 카테터(1)의 삽입 또는 제거시에 발생하는 고통을 경감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Referring to FIG. 3 , the cross section of the
도 4는 바디부(10)의 미세 패턴의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cept of a fine pattern of the
도 4를 참조하면, 바디부(10)의 외면에 형성된 미세 3차원 패턴의 개념이 도시되어 있다. 바디부(10)의 외면에는 3차원적으로 구성되는 구조가 구비되며, 바디부(10)의 둘레 및 길이방향을 따라 패턴화되어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3차원 적인 패턴은 단일 3차원 구조(32)의 형상 및 패턴에 따라 마찰력이 달라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미세 3차원 패턴은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3차원 패턴은 바디부(10)의 외면 상에서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배치되거나,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바디부(10)의 외면에서 돌출되거나, 또는 오목하게 파진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3차원 구조(32)는 각각 수 ㅅm 또는 nm 의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concept of a fine three-dimensional pattern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친수성 코팅 레이어(33)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미세 3차원 패턴이 바디부(10)의 표면에서 깎여 형성된 것임을 전제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도 5는 바디부(10)에서 미세 패턴 및 친수성 코팅 레이어(33)가 나타난 부분확대단면도이며, 도 6은 바디부(10)에서 미세 패턴 및 친수성 코팅 레이어(33)의 변형예가 도시된 부분확대단면도이다. FIG. 5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ine pattern and
본 발명에 따른 표면마찰과 통증 감소를 위한 유치 카테터(1)는 외면에 코팅에 의해 친수성 레이어(33)가 구비될 수 있다. 친수성 레이어(33)는 바디부(10)의 외면에 친수성을 부여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친수성 레이어(33)는 친수성 또는 초친수성을 가질 수 있도록 다양한 공정을 통하여 생성될 수 있다. 친수성 또는 초친수성 레이어(33)는 체내의 물이 바디부(10)의 외면에 윤활 표면을 형성하게 되어 윤활작용이 일어날 수 있게 한다.The
친수성 레이어(33)는 바디부(10)가 요도 내에서 변형될 때 바디부(10)에 부착이 유지되며, 그 자체의 형상 또한 바디부(10)를 따라 변형될 수 있는 재질로 선택될 수 있다. The
도 5를 참조하면, 친수성 레이어(33)는 미세 3차원 패턴의 형성 전에 바디부(10)상에 코팅될 수 있다. 즉, 바디부(10)를 생성한 뒤 바디부(10)의 외면에 친수성 레이어(33)를 코팅하고, 이후 미세 3차원 패턴으로 바디부(10)의 외면을 절삭하여 바디부(10)를 완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도 6을 참조하면, 미세 3차원 패턴 및 바디부(10)의 외면 모두에 친수성 레이어(33)가 형성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바디부(10)의 외면 및 미세 3차원 패턴 사이에 단절된 부분없이 친수성 코팅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바디부(10)의 생성 이후 미세 3차원 패턴을 형성한 뒤 최종적으로 친수성 레이어(33)를 코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a state in which a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바디부(10)의 미세패턴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micropattern of the
도 7은 바디부(10)의 미세패턴이 도시된 부분확대사시도이다.7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ne pattern of the
도 7을 참조하면 미세패턴은 각각 바디부(10)의 외면상에서 타원구의 형태로 절삭된 형태, 즉 오목한 형태의 3차원 구조(32)가 반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개별적인 3차원 구조(32)는 서로 소정거리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반복적으로 바디부(10)의 외면상에 형성되어 패턴화 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 each micropattern may be formed by repeating a three-
도 8은 바디부(10)의 미세패턴의 변형예가 도시된 부분확대사시도이다.8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micropattern of the
도 8을 참조하면, 바디부(10)의 미세패턴은 각각의 개별 3차원 구조(32)가 피라미드 형태의 사각 뿔이 모여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3차원 구조(32)가 바디부(10)의 표면상에서 반경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3차원 구조(32)는 서로 밀착되어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 the micropattern of the
한편, 전술한 3차원 구조(32)는 바디부(10)의 외면상에서 돌출된 형태로 설명하였으나, 반대로 외면상에서 역 사각뿔의 형태로 외면을 반복하여 절삭하여 잔존하는 3차원 구조(32)가 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aforementioned three-
도 9는 가이드 와이어(50)의 일부를 도시한 확대사시도이다.Figure 9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guide wire (50).
도 9를 참조하면, 가이드 와이어(50)의 전방측에는 복수의 배출구(51)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배출구(51)는 가이드 와이어(50)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 와이어 채널(미도시)과 유체소통 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 와이어(50)의 후방측에는 가이드 와이어 채널과 유체소통되는 가이드 와이어(50) 포트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가이드 와이어(50) 포트를 이용하여 약제를 투입하고 배출구(51)를 통하여 배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치 카테터(1)를 요도에 배치하고 일측을 방광 내로 삽입시키기 위해, 먼저 가이드 와이어(50)를 요도내로 삽입하여 약제를 가이드 와이어(50) 주변에 도포하고, 이후 유치 카테터(1)를 삽입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9, the front side of the
이때 가이드 와이어(50)의 외경은 요도의 내경보다 작게 구성되므로 가이드 와이어(50)를 요도를 따라 삽입시키더라도 환자의 고통은 상대적으로 크지 않다. 이때 요도를 따라 가이드 와이어(50)를 삽입하면서 가이드 와이어(50) 포트로 약제를 투입시키고, 배출구(51)를 통하여 배출되어 요도의 내벽에 약제가 투입시키게 된다. 약제는 예를 들어 리도카인(Lidocaine)일 수 있으며, 환자의 고통을 경감하기 위해 유치 카테터(1)의 삽입 전 미리 요도의 내벽에 도포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outer diameter of the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표면마찰과 통증 감소를 위한 유치 카테터(1)의 사용상태도이다.10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use of the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표면마찰과 통증 감소를 위한 유치 카테터(1)는 팁(20)의 일부를 방광(b)에 배치한 상태에서 소변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팁(20)의 나선 그루브(21)에 의해 막힘없이 원활하게 소변을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유치 카테터(1)의 삽입 및 제거시 바디부(10)의 표면에 형성된 3차원적인 미세 패턴, 그리고 친수성 코팅에 의해 요도와 유치 카테터(1)의 외면 사이의 마찰, 쓸림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의한 통증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도면에서는 여성에 유치 카테터를 사용할 때의 예를 도시하였으나, 남성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삽입되어 사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 in the
이하에서는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인 표면마찰과 통증 감소를 위한 유치 카테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는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그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indwelling catheter for reducing surface friction and pain, which is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1 and 12 . In this embodiment,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in the previous embodiment may be included, and in order to avoid redundant description,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and a different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인 표면마찰과 통증 감소를 위한 유치 카테터이다.11 is another embodiment of an indwelling catheter for reducing surface friction and p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인 표면마찰과 통증 감소를 위한 유치 카테터는 바디부 중 팁에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는 벌룬(60) 및 벌룬(60)을 팽창 및 수축시키기 위한 벌룬 포트(4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an indwelling catheter for reducing surface friction and pai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벌룬(60)은 팁이 방광 내에 삽입되었을 때 장시간 거치를 위해 팽창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사용자는 벌룬(60)을 팽창시키기 위해 벌룬 포트(41)를 통하여 유체를 주입하거나, 벌룬(60)을 수축시키기 위해 유체를 빼낼 수 있다.The
이때, 바디부에는 전술한 채널(31)과 독립적으로 벌룬(60)과 벌룬 포트(41) 사이에 유체소통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유치 카테터의 사용상태도이다.At this time, a flow path for fluid communication between the
도 12를 참조하면, 유치 카테터의 팁이 방광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벌룬(60)이 팽창하여 유치 카테터가 고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소정 시간 유치 카테터를 설치한 이후 벌룬(60)을 수축시킨 후 유치 카테터를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벌룬(60)과 유체소통되는 벌룬 포트(41)를 이용하여 유체를 제거하고 벌룬(60)을 수축시킬 수 있게 된다.Referring to FIG. 12 , in a state where the tip of the indwelling catheter is inserted into the bladder, the
1: 유치 카테터
10: 바디부
20: 팁
21: 그루브
31: 채널
32: 미세 3차원 구조
33: 친수성 레이어
40: 연결포트
50: 가이드와이어
51: 배출구
60: 벌룬
b: 방광1: indwelling catheter
10: body part
20: Tips
21: Groove
31: channel
32: fine three-dimensional structure
33: hydrophilic layer
40: connection port
50: guide wire
51: outlet
60: balloon
b: bladder
Claims (12)
상기 바디부의 일단에 구비되며, 사용시 적어도 일부가 방광 내에 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팁;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팁은 외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가 형성되며,
상기 그루브는 상기 채널과 유체소통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바디부는 외면의 적어도 일부에 규칙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3차원 구조가 구비되는 표면마찰과 통증 감소를 위한 유치 카테터.a body portion extending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provided with a channel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t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body portion and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a part of the tip that can be placed in the bladder when in use.
The tip is formed with at least one groove formed in a spiral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the groove is configured to be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channel;
An indwelling catheter for reducing surface friction and pain, wherein a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structures are regularly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of an out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상기 복수의 3차원 구조는 상기 바디부와 외부 접촉면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3차원 구조 각각은 상기 바디부의 외면과의 단차보다 폭이 더 크게 형성되는 표면마찰과 통증 감소를 위한 유치 카테터.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structures are configured to reduce friction between the body portion and an external contact surface,
An indwelling catheter for reducing surface friction and pain, wherein each of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s has a width greater than a step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상기 바디부는,
외부와의 표면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외면 중 상기 복수의 3차원 구조를 제외한 영역에 구비되는 친수성 레이어를 포함하는 표면마찰과 통증 감소를 위한 유치 카테터.According to claim 3,
The body part,
An indwelling catheter for reducing surface friction and pain, comprising a hydrophilic layer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an area other than the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structures to reduce surface friction with the outside.
상기 바디부는,
외부와의 표면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3차원 구조를 포함한 외면에 구비되는 친수성 코팅레이어를 포함하는 표면마찰과 통증 감소를 위한 유치 카테터.According to claim 3,
The body part,
An indwelling catheter for reducing surface friction and pain, including a hydrophilic coating layer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including the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structures to reduce surface friction with the outside.
상기 팁의 단부는,
상기 바디부와 연결되는 부분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구성되는 표면마찰과 통증 감소를 위한 유치 카테터.According to claim 3,
The end of the tip,
An indwelling catheter for reducing surface friction and pain consisting of a smaller diameter than a diameter of a portion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상기 바디부는,
단면의 형상이 타원형으로 구성되는 표면마찰과 통증 감소를 위한 유치 카테터.According to claim 3,
The body part,
An indwelling catheter with an elliptical cross section to reduce surface friction and pain.
상기 바디부는,
적어도 일부가 요도 내에 배치되었을 때 적어도 일부의 단면이 상기 타원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표면마찰과 통증 감소를 위한 유치 카테터.According to claim 7,
The body part,
An indwelling catheter for reducing surface friction and pain, the cross section of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configured to maintain the elliptical shape when at least a portion is placed in the urethra.
상기 바디부의 타단에 구비되는 연결포트를 더 포함하는 표면마찰과 통증 감소를 위한 유치 카테터.According to claim 3,
An indwelling catheter for reducing surface friction and pain, further comprising a connection port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portion.
상기 연결포트 및 상기 채널을 통하여 상기 팁의 단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가이드 와이어를 포함하는 표면마찰과 통증 감소를 위한 유치 카테터.According to claim 9,
An indwelling catheter for reducing surface friction and pain including a guide wire configured to be exposed to an end of the tip through the connection port and the channel.
상기 가이드 와이어는,
길이방향을 따라 중심부에 형성되는 가이드 와이어 채널; 및
상기 가이드 와이어 채널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를 포함하는 표면마찰과 통증 감소를 위한 유치 카테터.According to claim 10,
The guide wire,
Guide wire channels formed in the cent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 indwelling catheter for reducing surface friction and pain comprising at least one outlet formed in a radial direction from the guide wire channe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62130A KR102570636B1 (en) | 2021-05-13 | 2021-05-13 | Indwelling catheter for reducing surface friction and pai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62130A KR102570636B1 (en) | 2021-05-13 | 2021-05-13 | Indwelling catheter for reducing surface friction and pai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54503A KR20220154503A (en) | 2022-11-22 |
KR102570636B1 true KR102570636B1 (en) | 2023-08-25 |
Family
ID=84236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62130A KR102570636B1 (en) | 2021-05-13 | 2021-05-13 | Indwelling catheter for reducing surface friction and pai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70636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47113B2 (en) * | 1999-03-29 | 2001-03-19 | 日本電気株式会社 | Motherboard printed wiring boar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JP2013043010A (en) * | 2011-08-25 | 2013-03-04 | Kazuhiro Kubo | Urethral catheter |
JP2013525076A (en) * | 2010-05-03 | 2013-06-20 | オリンパス エンド テクノロジー アメリ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Rotating advance catheter insertion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47113U (en) * | 2008-09-03 | 2008-12-18 | 財団法人ヒューマンサイエンス振興財団 | Urinary catheter |
US10888685B2 (en) | 2015-03-03 | 2021-01-12 | Tsukada Medical Research Co., Ltd. | Unit for balloon catheter, and indwelling urethral balloon catheter |
-
2021
- 2021-05-13 KR KR1020210062130A patent/KR102570636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47113B2 (en) * | 1999-03-29 | 2001-03-19 | 日本電気株式会社 | Motherboard printed wiring boar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JP2013525076A (en) * | 2010-05-03 | 2013-06-20 | オリンパス エンド テクノロジー アメリ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Rotating advance catheter insertion system |
JP2013043010A (en) * | 2011-08-25 | 2013-03-04 | Kazuhiro Kubo | Urethral cathet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54503A (en) | 2022-11-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804370B2 (en) | Medical long body | |
US7338530B2 (en) | Stent | |
US5146925A (en) | Cholangiocatheter and delivery system | |
JP3349151B2 (en) | Catheter with internal mandrel and method of use | |
KR101910207B1 (en) | Trimmable catheter including distal portion stability features | |
US5069660A (en) | Urethra prosthetic for relieving prostatic problems | |
AU2018288595B2 (en) | Introducer for uterine tamponade assembly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 |
ES2828972T3 (en) | Intravascular catheter having an expandable incision portion and drug delivery mechanism | |
ES2256240T3 (en) | STEN BILIAR AND MANUFACTURING PROCEDURE. | |
JPS63214264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prostatic hypertrophy | |
JPH031026B2 (en) | ||
JPH10272189A (en) | Catheter, catheter insertion method, and catheter kit | |
CN112915356A (en) | Access port and catheter assembly including catheter distal portion stability features | |
EP1565228A1 (en) | Catheter having a balloon member invertedly attached thereto | |
BR112019003924B1 (en) | CATHETER TUB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CATHETER TUBE. | |
US20060217759A1 (en) | Therapeutic medical appliance delivery and method of use | |
US20040193113A1 (en) | Expandable bore injection needle | |
KR102570636B1 (en) | Indwelling catheter for reducing surface friction and pain | |
US20020193822A1 (en) | Externally positioned medical dilator | |
WO2018151204A1 (en) | Medical long body | |
CN101454042A (en) | Prostate support | |
JP4500150B2 (en) | Overtube for gastrostomy | |
CN113491822A (en) | Balloon dilatation catheter and balloon dilatation catheter assembly | |
CN115666679B (en) | Enema nozzle and enema device comprising same | |
JP4021421B2 (en) | Body access por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1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1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7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81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8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8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