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0614B1 - 탈유장치 - Google Patents

탈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0614B1
KR102570614B1 KR1020230023604A KR20230023604A KR102570614B1 KR 102570614 B1 KR102570614 B1 KR 102570614B1 KR 1020230023604 A KR1020230023604 A KR 1020230023604A KR 20230023604 A KR20230023604 A KR 20230023604A KR 102570614 B1 KR102570614 B1 KR 102570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oiling
shaft member
drive shaft
housing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3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영수
Original Assignee
임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영수 filed Critical 임영수
Priority to KR1020230023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06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0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0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반형의 탈유부재를 회전시킴에 의해 발생하는 원심력과 탈유부재의 측방향 진동을 동시에 부여하여 탈유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탈유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탈유장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에 설치되며, 상부에 식품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일측부에 식품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외부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는 탈유챔버를 구비한 하우징; 상기 탈유챔버를 지면에 대해 수평하게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구동축부재; 상기 탈유챔버 내부에서 상기 구동축부재에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구동축부재의 축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함과 동시에 구동축부재를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면서 식품의 기름을 제거하는 복수의 탈유부재; 및, 상기 구동축부재에 회전력을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탈유부재에 좌우 진동을 전달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탈유장치{DEOILING MACHINE}
본 발명은 튀김음식에서 기름을 제거하는 탈유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복수의 회전원판에 의한 원심력과 회전원판의 측방향 진동을 이용하여 튀김음식에서 기름을 분리하여 제거하는 탈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패스트푸드점이나 치킨점, 분식점 등에서 튀김기름에 닭이나 핫도그 등과 같은 재료를 넣고 고온에서 튀기게 되는데, 근래 들어 식단이 서구적으로 변화 되는데 따라 튀김의 종류가 다양화되고 그 수요가 증가하고 추세이다.
대부분의 업소에서는 기름으로 튀긴후 튀김물을 튀김망 위에 올려놓고 기름이 자연적으로 빠지게 하는 방법을 이용하거나 채나 거름망에 넣고 흔들어 기름을 분리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방법으로 제거할 수 있는 기름은 극히 일부분에 불과하고, 탈유 과정에서 튀김물이 산화되어 유해한 성분으로 변화될 뿐만 아니라 탈유작업시 기름이 튀어 화상을 입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화상의 위험을 방지하면서도 단시간에 기름을 제거하기 위해 튀김물이 넣어지는 여과통을 회전시킴으로써 원심력에 의해 기름이 제거되도록 한 다양한 구조의 탈유기(예를 들어 국내공개특허 제10-2004-0042476호)가 제안되었으나 여과통을 회전시키는 원심력만으로는 기름을 충분히 제거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42476호(2004.05.20.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100996호(2008.11.21.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71471호(2008.11.25.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01877호(2013.08.24.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원반형의 탈유부재를 회전시킴에 의해 발생하는 원심력과 탈유부재의 측방향 진동을 동시에 부여하여 탈유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탈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탈유장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에 설치되며, 상부에 식품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일측부에 식품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외부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는 탈유챔버를 구비한 하우징; 상기 탈유챔버를 지면에 대해 수평하게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구동축부재; 상기 탈유챔버 내부에서 상기 구동축부재에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구동축부재의 축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함과 동시에 구동축부재를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면서 식품의 기름을 제거하는 복수의 탈유부재; 및, 상기 구동축부재에 회전력을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탈유부재에 좌우 진동을 전달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탈유부재는 다수의 구멍이 뚫려 있는 다공성 원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한 형태에 따른 탈유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서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탈유부재와 함께 축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하며 상기 하우징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게 설치된 가이드홀더, 및 상기 가이드홀더의 끝단부에 상기 하우징의 투입구와 배출구 사이를 통해서 상기 복수의 탈유부재 사이로 연장되게 설치되어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식품을 탈유부재의 후방으로 안내한 후 상기 배출구의 상측에서 배출구 쪽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바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형태에 따른 탈유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하우징 내부로 고온의 공기를 송풍하도록 설치되는 열풍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상기 구동축부재의 일단부와 결합되어 구동축부재를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모터, 상기 구동축부재의 외면에 원주방향으로는 구속되고 축방향으로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탈유부재의 중심부와 고정되는 슬라이드허브,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상기 슬라이드허브와 결합되어 슬라이드허브를 좌우로 일정 거리 왕복 이동시키는 선형운동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다공성 원판으로 된 2개의 탈유부재(400)가 구동축부재(300)를 중심으로 회전 운동함과 동시에 좌우로 직선 왕복 운동하면서 식품의 기름을 원심력과 진동에 의해 분리하므로 원심력에만 의존하는 기본의 탈유 방식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우수한 기름 분리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유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탈유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탈유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탈유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1에 도시한 탈유장치의 작동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탈유장치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한 탈유장치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한 탈유장치의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유장치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탈유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유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이 실시예의 탈유장치는 베이스부(100), 하우징(200), 구동축부재(300), 복수의 탈유부재(400), 및 구동부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00)는 바닥면 또는 바닥면 상에 고정된 테이블 등의 고정구조물 상에 놓여지며, 상기 하우징(200), 구동축부재(300), 탈유부재(400), 및 구동부를 지지하는 지지 구조물로서 기능한다. 베이스부(100)는 편평한 플레이트 또는 직육면체의 블록, 프레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탈유장치를 사람이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베이스부(100)의 모서리 부분에 바닥면 또는 고정구조물을 따라 구르는 복수의 바퀴(101)가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부(100)의 상부면에는 상기 구동축부재(300) 및 구동부의 구성요소들을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서포트프레임(110, 120, 130)이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200)은 베이스부(100)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대략 'U'형태의 하우징서포트(140)에 고정되는 대략 원반형의 챔버몸체(210)를 구비한다. 상기 챔버몸체(210)의 상부에는 식품(F)이 투입되는 투입구(202)가 형성되고, 전방부에 식품(F)이 배출되는 배출구(203)가 외부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는 탈유챔버(201)를 구비한다. 상기 챔버몸체(210)의 상단부에는 식품(F)을 투입구(202) 내측으로 안내하도록 깔때기 형태로 된 투입가이드(204)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챔버몸체(210)의 전방부 하측에는 배출구(203)를 통해 배출되는 식품(F)을 외부로 안내하는 배출가이드(205)가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입구(202) 및 배출구(203)는 챔버몸체(210)의 좌우폭의 중앙에서 일측으로(도면상 우측) 일정거리 편향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200)은 좌우 양측으로 분할될 수 있는 제1하우징부(200a) 및 제2하우징부(200b)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하우징부(200a) 및 제2하우징부(200b)의 중심부에는 구동축부재(300)가 통과하는 축통과공(220)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제1하우징부(200a) 및 제2하우징부(200b)의 하단부에는 식품(F)에서 분리된 기름이 탈유챔버(201) 외부로 배출되어 포집될 수 있도록 1개 또는 복수의 기름회수공(230)이 하측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기름회수공(230)에서 배출되는 기름은 서포트하우징(200)을 통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흘러가서 별도의 회수통(미도시)에 포집되거나, 기름회수공(230)과 연결되는 호스를 통해서 흘러가서 별도의 회수통(미도시)에 포집될 수 있다.
구동축부재(300)는 베이스부(100)의 상부면에 연직하게 설치되는 제1서포트프레임(110)에 지면(地面)에 대해 수평하게 설치된다. 상기 구동축부재(300)는 상기 제1서포트프레임(110)을 관통하며, 그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구동축부재(300)의 일단부는 제1서포트프레임(110)에 설치되는 회전모터(510)와 연결되어 회전모터(51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탈유부재(400)는 다수의 구멍(401)이 뚫려 있는 다공성 원판으로 이루어지며, 복수(이 실시예에서 2개)가 상기 하우징(200)의 탈유챔버(201) 내부에서 구동축부재(300)에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된다. 복수의 탈유부재(400)는 구동축부재(300)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구동부에 의해 구동축부재(300)의 외면을 따라 일정 거리 왕복 직선 운동을 하면서 원심력과 좌우 진동에 의해 식품(F)을 기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
탈유부재(400)의 중심부는 상기 구동부를 구성하는 슬라이드허브(500)를 매개로 구동축부재(300)에 연결되어 구동축부재(300)를 중심으로 회전 운동함과 동시에 슬라이드허브(500)에 의해 좌우로 일정 거리 왕복 운동한다. 2개의 탈유부재(400) 사이로 튀김식품과 같이 다량의 기름이 함유된 식품(F)이 투입되어 탈유부재(400)의 회전 운동과 좌우 진동에 의해 식품(F)의 기름이 매우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하우징(200) 상부의 투입구(202)를 통해 투입된 식품(F)이 2개의 탈유부재(400) 사이로 원활하게 투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이 실시예와 같이 복수의 탈유부재(400) 중 어느 하나의 주변부가 축방향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2개의 탈유부재(400) 모두의 주변부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커지게 구성될 수 있다.
탈유부재(400)는 구동부에 의해 구동축부재(300)의 축방향을 따라 좌우로 진동하면서 구동축부재(300)를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는 복합 운동을 하면서 식품(F)에서 기름을 분리하게 된다. 이러한 탈유부재(400)의 직선 운동 및 회전 운동의 복합 운동을 발생시키는 구동부는, 상기 제1서포트프레임(110)에서 설치되는 회전모터(510), 상기 구동축부재(300)의 외면에 원주방향으로는 구속되고 축방향으로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탈유부재(400)의 중심부와 고정되는 슬라이드허브(500), 상기 하우징(200)의 외부에서 상기 슬라이드허브(500)와 결합되어 슬라이드허브(500)를 좌우로 일정 거리 왕복 이동시키는 선형운동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모터(510)는 제1서포트프레임(110)에 설치되어 제어장치(미도시)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한다. 상기 회전모터(510)는 복수의 기어가 내설된 제1기어박스(511)를 통해서 구동축부재(300)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구동축부재(300)를 그 중심축을 중심으로 소정의 회전 속도로 회전시킨다.
구동축부재(300)의 외면에는 축방향을 따라 연장된 복수의 스플라인돌기(301)가 원주방향으로 배열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허브(500)의 내주면에는 상기 스플라인돌기(301)와 맞물리는 스플라인홈(501)이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슬라이드허브(500)의 스플라인홈(501)이 구동축부재(300)의 스플라인돌기(301)의 안내를 받아 구동축부재(300)의 축방향으로는 슬라이딩이 가능하지만, 슬라이드허브(500)가 구동축부재(300)의 외면에 대해 원주방향으로는 회전하지 못한다. 따라서 구동축부재(300)와 슬라이드허브(500)는 함께 회전하며, 슬라이드허브(500)는 구동축부재(300)의 외면을 따라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슬라이드허브(500)의 외면은 탈유부재(400)의 중심부와 결합된다. 따라서 슬라이드허브(500)가 구동축부재(300)와 함께 회전함에 따라 탈유부재(400)가 구동축부재(300)와 함께 회전하며, 슬라이드허브(500)와 함께 구동축부재(300)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상기 선형운동유닛은 슬라이드허브(500)를 좌우로 직선 왕복 운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으로, 이 실시예에서 선형운동유닛은 베이스부(100)의 제2서포트프레임(120) 상단부에 LM가이드레일(521)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부재(522)와, 상기 가동부재(522)를 상기 슬라이드허브(500)와 연결하는 허브연결부재(523)와, 상기 베이스부(100)의 제3서포트프레임(130)에 설치되어 제어장치(미도시)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 운동하는 진동모터(524)와, 상기 진동모터(524)의 축에 편심 결합되어 회전하는 편심캠(526)과, 일단이 상기 편심캠(526)에 힌지 결합되고 다른 일단이 상기 가동부재(522)에 힌지 결합되는 컨넥팅로드(527)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모터(524)의 축은 복수의 기어가 내설된 제2기어박스(525)를 통해 편심캠(526)에 연결되어 편심캠(526)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한편 상기 2개의 탈유부재(400) 사이로 투입된 식품(F)이 탈유부재(400) 사이에서 회전하면서 배출구(203)로 배출되지 다시 투입구(202)로 배출되거나 계속 2개의 탈유부재(400) 사이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허브연결부재(523)에 하우징(200)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게 설치된 가이드홀더(610), 및 상기 가이드홀더(610)의 끝단부에 상기 하우징(200)의 투입구(202)와 배출구(203) 사이를 통해서 상기 복수의 탈유부재(400) 사이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바아(620)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홀더(610)는 하우징(200) 전방부의 배출구(203)의 바로 상측에 형성된 슬릿(240)을 통해 2개의 탈유부재(400) 사이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상기 가이드홀더(610) 및 가이드바아(620)는 허브연결부재(523) 및 탈유부재(400)와 함께 좌우로 왕복 운동하면서 2개의 탈유부재(400) 사이를 따라 이동하는 식품(F)이 하우징(200)의 배출구(203) 부근에서 더 이상 이동하지 않고 배출구(203) 내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탈유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사용자가 제어장치(미도시)에 마련된 작동 스위치(미도시)를 조작하여 작동을 개시하면, 제어장치에서 회전모터(510) 및 진동모터(524)로 전원이 인가되어 회전모터(510) 및 진동모터(524)가 각각 정해진 속도로 회전한다.
회전모터(510)의 회전력은 제1기어박스(511) 내의 기어 셋트를 통해서 구동축부재(300)에 전달되어 구동축부재(300)가 회전하게 되고, 슬라이드허브(500) 및 이에 결합된 2개의 탈유부재(400)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진동모터(524)의 회전력을 제2기어박스(525)를 통해서 편심캠(526)에 전달되어 편심캠(526)을 회전시키게 되고, 편심캠(526)의 회전 운동은 컨넥팅로드(527)를 통해 가동부재(522)의 직선 왕복 운동으로 변환되어 가동부재(522)가 LM가이드레일(521)을 따라 좌우로 왕복 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가동부재(522)와 결합된 허브연결부재(523)와, 허브연결부재(523)와 결합된 슬라이드허브(500)가 구동축부재(300)의 축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 왕복 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슬라이드허브(500)와 결합된 2개의 탈유부재(400)가 하우징(200)의 탈유챔버(201) 내에서 회전 운동함과 동시에 좌우로 일정 거리만큼 직선 왕복 운동(진동)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하우징(200) 상부의 투입구(202)를 통해서 기름 제거 대상 식품(F)을 투입하면, 식품(F)이 2개의 탈유부재(400) 사이로 유입된 후 탈유부재(400)의 회전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낙하함과 동시에 좌우로 진동하면서 탈유부재(400)에 부딪히면서 식품(F)의 기름이 분리된다.
2개의 탈유부재(400) 사이에서 좌우로 진동하면서 원주방향으로 이동하는 식품(F)은 하우징(200)의 투입구(202)와 배출구(203) 사이로 연장된 가이드바아(620)에 의해 더 이상 상측으로 이동하지 않고 하우징(200)의 배출구(20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전술한 것과 같이 탈유장치는 다공성 원판으로 된 2개의 탈유부재(400)가 구동축부재(300)를 중심으로 회전 운동함과 동시에 좌우로 직선 왕복 운동하면서 식품(F)의 기름을 원심력과 진동에 의해 분리하므로 원심력에만 의존하는 기본의 탈유 방식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우수한 기름 분리 성능을 얻을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하우징(200) 내부에서 복수의 탈유부재(400)가 회전 운동 및 직선 왕복 운동하게 하여 식품(F)의 기름을 제거할 때, 식품(F)의 온도를 유지함과 더불어 식품(F)에서 분리된 기름이 탈유부재(400) 및 하우징(200)의 내부의 표면에 들러붙지 않고 원활하게 하측으로 낙하하여 기름회수공(230)을 통해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 9에 도시한 것과 같이 하우징(200) 내부로 고온의 공기를 송풍하는 열풍유닛(700)을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열풍유닛(700)은 하우징(200)의 일측에 연통되게 설치되는 열풍덕트(710)와, 상기 열풍덕트(710)의 공기유입구(711)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하우징(200) 내측으로 송풍하는 송풍팬(721) 및 팬모터(722), 상기 송풍팬(721)의 회전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730)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F : 식품 100 : 베이스부
101 : 바퀴 110 : 제1서포트프레임
120 : 제2서포트프레임 130 : 제3서포트프레임
140 : 하우징서포트 200 : 하우징
200a : 제1하우징부 200b : 제2하우징부
201 : 탈유챔버 202 : 투입구
203 : 배출구 204 : 투입가이드
205 : 배출가이드 210 : 챔버몸체
220 : 축통과공 230 : 기름회수공
300 : 구동축부재 301 : 스플라인돌기
400 : 탈유부재 401 : 구멍
500 : 슬라이드허브 501 : 스플라인홈
510 : 회전모터 511 : 제1기어박스
521 : LM가이드레일 522 : 가동부재
523 : 허브연결부재 524 : 진동모터
525 : 제2기어박스 526 : 편심캠
527 : 컨넥팅로드 610 : 가이드홀더
620 : 가이드바아 700 : 열풍유닛
710 : 열풍덕트 711 : 공기유입구
721 : 송풍팬 722 : 팬모터
730 : 팬모터

Claims (5)

  1.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에 설치되며, 상부에 식품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일측부에 식품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외부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는 탈유챔버를 구비한 하우징;
    상기 탈유챔버를 지면에 대해 수평하게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구동축부재;
    다수의 구멍이 뚫려 있는 다공성 원판으로 되어 상기 탈유챔버 내부에서 상기 구동축부재에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구동축부재의 축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함과 동시에 구동축부재를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면서 식품의 기름을 제거하는 복수의 탈유부재; 및,
    상기 구동축부재에 회전력을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탈유부재에 좌우 진동을 전달하는 구동부;
    를 포함하는 탈유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서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탈유부재와 함께 축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하며 상기 하우징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게 설치된 가이드홀더, 및 상기 가이드홀더의 끝단부에 상기 하우징의 투입구와 배출구 사이를 통해서 상기 복수의 탈유부재 사이로 연장되게 설치되어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식품을 탈유부재의 후방으로 안내한 후 상기 배출구의 상측에서 배출구 쪽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바아를 더 포함하는 탈유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하우징 내부로 고온의 공기를 송풍하도록 설치되는 열풍유닛을 더 포함하는 탈유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상기 구동축부재의 일단부와 결합되어 구동축부재를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모터, 상기 구동축부재의 외면에 원주방향으로는 구속되고 축방향으로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탈유부재의 중심부와 고정되는 슬라이드허브,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상기 슬라이드허브와 결합되어 슬라이드허브를 좌우로 일정 거리 왕복 이동시키는 선형운동유닛을 포함하는 탈유장치.
KR1020230023604A 2023-02-22 2023-02-22 탈유장치 KR102570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3604A KR102570614B1 (ko) 2023-02-22 2023-02-22 탈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3604A KR102570614B1 (ko) 2023-02-22 2023-02-22 탈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0614B1 true KR102570614B1 (ko) 2023-08-24

Family

ID=87841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3604A KR102570614B1 (ko) 2023-02-22 2023-02-22 탈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061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4811A (ja) * 1999-10-07 2001-04-17 Akota:Kk 横型切り屑粉砕機
KR20040042476A (ko) 2002-11-14 2004-05-20 김정국 튀김물용 탈유기
KR20080100996A (ko) 2007-05-15 2008-11-21 주식회사 가나텍 원심분리 방법을 이용한 저지방 육류 조리용 탈유기
KR100871471B1 (ko) 2007-01-02 2008-12-03 박진수 유탕식품 진공탈유장치
KR101301877B1 (ko) 2011-11-22 2013-08-29 김형광 어묵 탈유기
KR102465036B1 (ko) * 2020-11-06 2022-11-09 강한중 반자동 튀김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4811A (ja) * 1999-10-07 2001-04-17 Akota:Kk 横型切り屑粉砕機
KR20040042476A (ko) 2002-11-14 2004-05-20 김정국 튀김물용 탈유기
KR100871471B1 (ko) 2007-01-02 2008-12-03 박진수 유탕식품 진공탈유장치
KR20080100996A (ko) 2007-05-15 2008-11-21 주식회사 가나텍 원심분리 방법을 이용한 저지방 육류 조리용 탈유기
KR101301877B1 (ko) 2011-11-22 2013-08-29 김형광 어묵 탈유기
KR102465036B1 (ko) * 2020-11-06 2022-11-09 강한중 반자동 튀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98106A1 (en) An air-based cooker
AU672048B2 (en) Food dehydrator and tray for a dehydrator
KR100933522B1 (ko) 탈취/연기제거 기능을 갖는 가열조리기
US20150258551A1 (en) Grinder Mill
EP1780471A2 (en) Cooking apparatus
KR20140035992A (ko) 식품 조리 장치
US6165525A (en) Food cooking system with ultrasonic rotational basket
KR200493211Y1 (ko) 전기 그릴 팬
KR102570614B1 (ko) 탈유장치
US5993872A (en) Deep fat fryer with ultrasonic rotational basket
KR102643822B1 (ko) 통합 다단 여과 시스템을 갖는 원형 쏘우 장치
US9855523B2 (en) Smoke filter
WO2020077762A1 (zh) 电烤盘
CN210226777U (zh) 一种茶叶摊晾机
CN215787577U (zh) 一种具有废屑收集功能的激光切割装置
CN1933891A (zh) 用于产生清洁过的流体通量的可调节的并能自净化的旋转式机械
US5203253A (en) Automatic air cooking system for vending machines
JP2004337716A (ja) ミスト除去装置
KR102075504B1 (ko) 집진기가 구비된 커피 로스팅기
JP3611245B2 (ja) 野菜カッティング装置
KR102270812B1 (ko) 구이 연기 제거장치
US984758A (en) Machine for reducing rubber or similar material to an impalpable powder.
JP2021186737A (ja) ギアポンプ型凝縮装置
CN210019028U (zh) 一种炸篮及一种空气炸锅
CN218126895U (zh) 一种虾片机加热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