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0516B1 - 모바일 단말을 위한 스마트 락 스크린 방법 및 모바일 단말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을 위한 스마트 락 스크린 방법 및 모바일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0516B1
KR102570516B1 KR1020180120905A KR20180120905A KR102570516B1 KR 102570516 B1 KR102570516 B1 KR 102570516B1 KR 1020180120905 A KR1020180120905 A KR 1020180120905A KR 20180120905 A KR20180120905 A KR 20180120905A KR 102570516 B1 KR102570516 B1 KR 102570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human body
contact
touch sensors
process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0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7554A (ko
Inventor
펑 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107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7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0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0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2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 G06F21/84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output devices, e.g. displays or moni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모바일 단말을 위한 스마트 락 스크린(smart lock screen)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상기 모바일 단말이 동작 상태로부터 대기 상태로 전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동작 상태로부터 상기 대기 상태로 전환된 것으로 판단된 후, 상기 모바일 단말이 인체와 접촉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인체와 접촉하는 것으로 감지된 때, 상기 모바일 단말의 잠금 해제 인증 기능을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방법 및 모바일 단말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의 정보 보안을 보호하는 동안 사용자를 위한 사용 편의성을 균형 있게 한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을 위한 스마트 락 스크린 방법 및 모바일 단말{SMART LOCK SCREEN METHOD FOR MOBILE TERMINAL AND THE MOBILE TERMINAL}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 분야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모바일 단말을 위한 스마트 락 스크린 방법 및 모바일 단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정보 보안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을 때 모바일 단말의 스크린은 잠긴다. 모바일 단말을 사용할 때, 모바일 단말의 스크린은 잠기고, 사용자는 스크린의 잠금 해제를 위해 종종 잠금 해제 인증(예컨대, 비밀 번호, 지문, 제스처, 및 이와 유사한 것을 입력)을 수행한다. 그러나, 모바일 단말의 정보 보안을 보호하는 반면, 그러한 방법은 편리함을 희생시킨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을 사용할 때 인증 보호가 요구되지 않는 기간을 설정할 수 있다. 그 기간 동안, 모바일 단말은 인증 없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그 기간이 너무 짧으면, 사용자는 자주 잠금 해제 인증을 수행할 필요가 있고, 만일 그 기간이 너무 길다면, 보안 리스크가 있다.
전술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드로이드 5.0은, 중력 센서의 감지된 파라미터 변화에 기반하여 모바일 단말의 스크린 잠금을 제어할 수 있는, 온-바디 감지 기술(on-body detection technology)을 채용한다. 그러나, 감지 과정에서, 모바일 단말이 완전히 정지될 때만 모바일 단말의 잠금 해제 인증 기능을 활성화 하기 위해, 모바일 단말이 신체로부터 떨어진 것으로 간주된다. 만일 모바일 단말이 사용자의 주머니 또는 신체 상의 짐에 있거나, 또는 움직이는 자동차에 있다면, 안드로이드 온-바디 감지 시스템은 이를 “온-바디”로 간주할 것이고, 모바일 단말의 잠금 해제 인증 기능을 비활성화 시킬 것이므로,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 정보 누출 위험을 야기한다.
요약하면, 현존하는 모바일 단말의 스마트 락 스크린 솔루션에 있어서, 사용자를 위한 사용 편의성은 사용자 정보 보안을 보호하는 반면 균형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정보 보안을 보장하고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들은 모바일 단말을 위한 스마트 락 스크린 방법 및 모바일 단말을 제공한다. 방법 및 모바일 단말을 통하여, 모바일 단말의 정보보안을 보호와 사용자를 위한 사용 편의성 간의 균형을 잡을 수 없는 현존하는 스마트 락 스크린 솔루션의 단점이 극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위한 스마트 락 스크린 방법은, 상기 모바일 단말이 동작 상태로부터 대기 상태로 전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동작 상태로부터 상기 대기 상태로 전환된 것으로 판단된 후, 상기 모바일 단말이 인체와 접촉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인체와 접촉하는 것으로 감지된 때, 상기 모바일 단말의 잠금 해제 인증 기능을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방법은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인체와 접촉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될 때, 상기 모바일 단말의 상기 잠금 해제 인증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잠금 해제 인증 기능을 비활성화하는 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상기 잠금 해제 인증 기능을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인체와 접촉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는, 미리 정해진 기간 내에 상기 모바일 단말에 제공되는 적어도 두 개의 터치 센서들의 파라미터 값들을 획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파라미터 값들의 변화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인체와 접촉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터치 센서들은 상기 모바일 단말의 케이스의 후면 또는 측면, 또는 상기 후면 및 상기 측면에 제공된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 센서들은 커패시턴스 타입의 터치 센서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 적어도 두 개의 터치 센서들, 메모리, 그리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포함하되,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이, 상기 모바일 단말이 동작 상태로부터 대기 상태로 전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동작 상태로부터 상기 대기 상태로 전환된 것으로 판단된 후, 상기 모바일 단말이 인체와 접촉하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그리고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인체와 접촉하는 것으로 감지된 때, 상기 모바일 단말의 잠금 해제 인증 기능을 비활성화시키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이,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터치 센서들에 의해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인체와 접촉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될 때, 상기 모바일 단말의 상기 인증 기능을 활성화시키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이,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터치 센서들에 의해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인체와 접촉하는 것으로 감지될 때,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상기 잠금 해제 인증 기능을 비활성화시키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이, 미리 정해진 기간 내에 상기 모바일 단말에 제공되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터치 센서들의 파라미터 값들을 획득하고, 상기 파라미터 값들의 변화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인체에 접촉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터치 센서들은 상기 모바일 단말의 후면 또는 측면, 또는 상기 후면 및 상기 측면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 센서들은 커패시턴스 타입의 터치 센서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모바일 단말의 후면과 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되는 적어도 두 개의 터치 센서들을 포함하되, 상기 모바일 단말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터치 센서들의 획득된 파라미터 값들의 변화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이 인체와 접촉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터치 센서들은 정전 용량 타입의 터치 센서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락 스크린 방법 및 모바일 단말에 의하면, 정보 보안을 보장하고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의 목적들이, 실시 예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될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위한 스마트 락 스크린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적어도 두 개의 터치 센서들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대한 참조가 상세하게 이루어질 것이며, 그 예시들이 첨부된 도면에서 설명될 것이며,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유사한 구성 요소들을 참조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위한 스마트 락 스크린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여기서, 모바일 단말은, 스마트 폰, 태블릿 컴퓨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또는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락 스크린 기능을 갖춘 전자 단말일 수 있다. 스마트 락 스크린 방법은 모바일 단말의 스마트 락 스크린 장치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방법은 모바일 단말에 도시된 스마트 락 스크린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S100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이 동작 상태로부터 대기 상태로 전환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여기서, 예로써, 동작 상태는 모바일 단말이 파워-온 되고 실질적인 작업들을 수행하는 상태를 일컬으며, 대기 상태는 모바일 단말이 현재의 동작 상태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스크린 및 관련 하드웨어로의 전원 공급을 중단하고, 오직 메모리 또는 다른 관련된 하드웨어로의 전원만 공급하는 상태를 일컫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의 파일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의 동작을 수행할 때, 모바일 단말의 상태는 동작 상태이고, 모바일 단말의 대기 키(예를 들어, 전원 키)가 눌러지거나 자동 대기 시간이 도달할 때, 스크린이 자동으로 꺼지고 모바일 단말이 더 이상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지 않는 상태가 대기 상태이다.
S200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이 동작 상태에서 대기 상태로 전환되는 것으로 판단된 후, 모바일 단말이 인체와 접촉하는지 여부가 감지된다.
예로써, 모바일 단말에 제공된 적어도 두 개의 터치 센서들에 의해 모바일 단말이 인체와 접촉하는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이 동작 상태로부터 대기 상태로 전환되는 것으로 판단된 후, 모바일 단말에 제공된 적어도 두 개의 터치 센서들의 파라미터 값들이 획득되고, 파라미터 값들의 변화에 따라 모바일 단말이 인체에 접촉하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실시 예에 있어서, 모바일 단말이 동작 상태로부터 대기 상태로 전환된 것으로 판단된 후, 모바일 단말에 제공되는 적어도 두 개의 터치 센서들의 파라미터 값들은 미리 정해진 기간 내에 획득된다.
특히, 미리 정해진 기간은 모바일 단말에 의해 미리 설정(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시간은 5분으로 가정한다)될 수 있으며, 모바일 단말이 동작 상태로부터 대기 상태로 전환된 것으로 판단된 후, 모바일 단말은 모바일 단말이 인체와 접촉하는지 여부를 5분 내에 계속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게다가, 전술된 미리 정해진 기간은 5분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기에 제한되지 않는 실지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 따라 설정된 다양한 시간일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예로써, 적어도 두 개의 터치 센서는 매트릭스 어레이 형태의 터치 센서들로 존재할 수 있으며, 터치 센서들의 매트릭스 어레이는 모바일 단말의 하우징(housing)(예컨대, 케이스, 커버 등)의 후면 또는 측면, 또는 후면 및 측면에 제공될 수 있으며, 터치 센서들 각각은 모바일 단말의 프로세서의 I/O 인터페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예로써, 터치 센서는 커패시턴스 타입의 터치 센서일 수 있다.
모바일 단말이 인체와 접촉하는 것으로 감지될 때, S300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의 잠금 해제 인증 기능이 비활성화 된다. 여기서, 모바일 단말의 잠금 해제 인증 기능은, 모바일 단말의 데이터 보안을 보장하고 잘못된 터치/누름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비밀 번호를 입력하거나 다른 잠금 해제 방법에 의해 시스템으로 진입하기 위해 설정되는 기능을 일컬을 수 있다. 이 방법으로, 모바일 단말이 인체와 접촉하는 것으로 판단될 때, 모바일 단말의 잠금 해제 인증 기능은 비활성화 되어, 모바일 단말이 동작 상태로부터 대기 상태로 전환된 후 모바일 단말의 인증 기능을 활성화할 필요 없이 사용자가 어느 때라도 모바일 단말을 사용하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예로써, 모바일 단말을 위한 스마트 락 스크린 방법은 S400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이 인체와 접촉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될 때, 모바일 단말의 잠금 해제 인증 기능은 활성화 된다.
실시 예에 있어서, 모바일 단말이 앞서 설명된 미리 정해진 기간 이내에 인체와 접촉하는지 여부를 감지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그리고 만일 모바일 단말이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인체에 접촉하는 것으로 감지되지 않으면, 모바일 단말은 인체와 접촉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고, 모바일 단말의 인증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 방법으로, 다음 번에 모바일 단말을 사용할 때, 사용자는 인증을 수행하여 모바일 단말의 정보 보안을 보장할 수 있다.
앞선 방법을 통하여, 모바일 단말의 정보 보안을 보호하는 동안 사용자를 위한 사용 편의성이 효율적으로 균형 잡힐 수 있다.
아래에서, 모바일 단말이 인체와 접촉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것이 구체적인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여기서, 일 실시 예에서, 모바일 단말이 인체와 접촉하는지 여부는, 모바일 단말의 케이스의 후면 또는 측면, 또는 후면 및 측면에 제공된 적어도 두 개의 터치 센서들 중 두 개의 터치 센서들 사이의 커패시턴스 저장 전기량(capacitance storage electric quantity)의 차이를 감지함으로써, 판단된다. 여기서, 커패시턴스 저장 전기량은 적어도 두 개의 터치 센서들의 각각의 커패시터에 저장된 전기량을 일컫는다.
특히, 예로써, 적어도 두 개의 터치 센서들 중 어느 두 터치 센서들 사이의 커패시턴스 저장 전기량의 차이의 최대값이 먼저 판단된 후, 적어도 두 개의 터치 센서들 중 어느 두 터치 센서들 사이의 커패시턴스 저장 전기량의 차이의 최대값이 문턱 값과 비교되고, 적어도 두 개의 터치 센서들 중 어느 두 터치 센서들 사이의 커패시턴스 저장 전기량의 차이의 최대값이 제 1 문턱 값보다 클 때, 모바일 단말은 인체와 접촉하는 것으로 판단되고, 적어도 두 개의 터치 센서들 중 어느 두 터치 센서들 사이의 커패시턴스 저장 전기량의 차이의 최대값이 제 1 문턱 값보다 크지 않을 때, 모바일 단말은 인체와 접촉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예로써, 제 1 문턱 값은 인체 접촉으로 인하여 어느 두 터치 센서들 사이에서 커패시턴스 저장 전기량의 차이가 발생한다는 것을 판단하기 위한 최적의 결정 문턱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문턱 값은 0.5 밀리 암페어일 수 있다. 그러나, 제 1 문턱 값은 0.5 밀리 암페어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기에 제한되지 않는 실제 적용 시나리오에 따라 설정되는 다양한 값일 수 있다. 전술된 방법을 통하여, 모바일 단말이 인체와 접촉하는지 여부가 정확하게 판단될 수 있다.
게다가, 다른 실시 예에서, 특정한 기간 전 및 후에 모바일 단말의 케이스의 후면 또는 측면, 또는 후면 및 측면에 제공된 적어도 두 개의 터치 센서들의 각각의 전기량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모바일 단말이 인체와 접촉하는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모바일 단말의 케이스의 후면 및/또는 측면에 접촉할 때 인체의 전계의 효과로 인하여 사용자의 손가락과 모바일 단말의 케이스의 작업 표면이 커플링 커패시터를 형성하기 때문에, 손가락에 의해 터치되는 터치 센서에 저장되는 커패시턴스 저장 전하 량이 변화하고, 이 변화는 모바일 단말이 인체와 접촉하고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특히, 예로써, 특정한 기간 전 및 후에 적어도 두 개의 터치 센서들의 각각의 커패시턴스 저장 전기량의 차이가 우선 획득되고, 이후 특정 기간 전 및 후에 저장된 커패시턴스 저장 전기량의 차이가 제 2 문턱 값보다 큰 터치 센서들의 수가 판단된다. 특정 기간 전 및 후에 커패시턴스 저장 전기량의 차이가 제 2 문턱 값보다 큰 터치 센서들의 수가 제 3 문턱 값보다 작지 않은 경우, 모바일 단말은 인체와 접촉하는 것으로 판단되고, 특정 기간 전 및 후에 커패시턴스 저장 전기량의 차이가 제 2 문턱 값보다 큰 터치 센서들의 수가 제 3 문턱 값보다 작은 경우, 모바일 단말은 인체와 접촉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예를 들어, 제 2 문턱 값은 터치 센서에 저장되는 커패시턴스 저장 전기량이 인체 접촉에 의해 변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최적의 결정 값일 수 있고, 제 2 문턱 값은 0.3 밀리 암페어일 수 있다. 게다가, 제 3 문턱 값은 커패시턴스 저장 전기량이 인체 접촉으로 인하여 변하는 터치 센서들의 개수를 판단하기 위한 최적 결정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문턱 값은 2일 수 있다. 그러나, 제 2 문턱 값은 0.3 밀리 암페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 3 문턱 값은 2에 한정되지 않고, 실제 적용 시나리오에 따라 다양한 값이 설정될 수 있다.
앞서 두 방법들에 의하여, 모바일 단말이 인체와 접촉하는지 여부가 정확하게 판단될 수 있다.
게다가, S300 단계의 다른 실시 예로써, 모바일 단말이 인체와 접촉하는 것으로 감지될 때, 잠금 해제 인증 기능이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비활성화 될 수 있다.
특히, 사용자는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을 좀 더 자주 사용할 수 있으며, 화면이 잠겼을 때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이 사용될 수 없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 여기서, 모바일 단말이 인체와 접촉하는 것으로 감지될 때, 잠금 해제 인증 기능은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비활성화 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모바일 단말이 인체와 접촉할 때,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은 언제라도 사용될 수 있다. 이 방법으로, 모바일 단말의 정보 보안이 보호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미리 설정된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보여진 바와 같이,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을 위한 스마트 락 스크린 방법에 따라, 모바일 단말이 인체와 접촉하는 것이 감지될 때, 잠금 해제 인증 기능이 비활성화 되어, 모바일 단말이 동작 상태로부터 대기 상태로 전환된 후 모바일 단말의 인증 기능을 활성화할 필요 없이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을 어느 때라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모바일 단말이 인체와 접촉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될 때, 모바일 단말의 잠금 해제 인증 기능은 바로 활성화되어 모바일 단말의 정보 보안을 보증한다. 이 방법으로, 사용자를 위한 사용 편의성이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 정보 보안을 보호하는 동안 균형 잡힐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여기서, 모바일 단말은, 스마트 폰, 태블릿 컴퓨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또는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락 스크린 기능을 갖춘 전자 단말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100), 적어도 하나의 터치 센서들(200), 및 메모리(300)를 포함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메모리(300)에 저장된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그램들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100)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100)는 모바일 단말이 동작 상태로부터 대기 상태로 전환되는지 여부를 판할 수 있다.
여기서, 예로써, 동작 상태는 모바일 단말이 파워-온 되고 실질적인 작업을 수행하는 상태를 일컬으며, 대기 상태는 모바일 단말이 현재의 동작 상태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스크린 및 관련 하드웨어로의 전원 공급을 중단하고, 오직 메모리 또는 다른 관련된 하드웨어로의 전원만 공급하는 상태를 일컫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의 파일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의 동작을 수행할 때, 모바일 단말의 상태는 동작 상태이고, 모바일 단말의 대기 키(예를 들어, 전원 키)가 눌러지거나 자동 대기 시간이 도달할 때, 스크린이 자동으로 꺼지고 모바일 단말이 더 이상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지 않는 상태가 대기 상태이다.
모바일 단말이 동작 상태로부터 대기 상태로 전환되었다고 판단된 후, 모바일 단말이 인체와 접촉하는지 여부가 적어도 두 개의 터치 센서들(200)에 의해 판단된다.
예로써, 모바일 단말이 동작 상태로부터 대기 상태로 전환되었다고 판단된 후, 모바일 단말에 제공된 적어도 두 개의 터치 센서들(200)의 파라미터 값들이 획득되고, 파라미터 값들의 변화에 따라 모바일 단말이 인체와 접촉하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실시 예에 있어서, 모바일 단말에 제공된 적어도 두 개의 터치 센서들(200)의 파라미터 값들은 모바일 단말이 동작 상태로부터 대기 상태로 전환된 후 미리 정해진 기간 이내에 획득된다. 특히, 미리 정해진 기간은 모바일 단말에 의해 미리 정해진 시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에 의해 미리 정해진 시간은 5분이라 가정하자. 모바일 단말이 동작 상태로부터 대기 상태로 전환되었다고 판단된 후, 모바일 단말이 인체와 접촉하는지 여부가 5분 내에 계속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감지될 수 있다. 게다가, 전술된 미리 정해진 기간은 5분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지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 따라 설정된 다양한 시간일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나아가, 예로써, 적어도 두 개의 터치 센서들(200)은 터치 센서들의 매트릭스 어레이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터치 센서들의 매트릭스 어레이는 모바일 단말의 케이스의 후면 또는 측면, 또는 후면 및 측면에 제공되며, 각 터치 센서는 모바일 단말의 프로세서의 I/O 인터페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예로써, 터치 센서들은 커패시턴스 타입의 터치 센서들일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터치 센서들(200)에 의해 모바일 단말이 인체와 접촉하는 것으로 판단될 때, 모바일 단말의 잠금 해제 인증 기능은 비활성화 된다. 여기서, 모바일 장치의 잠금 해제 인증 기능은, 모바일 단말의 정보 보안을 보장하고 잘못된 터치/누름을 방지하기 위해, 다른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비밀 번호 입력 또는 잠금 해제 방법에 의해 시스템으로 진입하기 위해 설정되는 기능을 일컫는다. 전술된 바와 같이, 이 방법으로, 모바일 단말이 인체와 접촉하는 것으로 판단될 때, 모바일 단말의 잠금 해제 인증 기능은 비활성화 되어, 모바일 단말이 동작 상태로부터 대기 상태로 전환된 후 모바일 단말의 인증 기능을 활성화할 필요 없이 사용자가 어느 때라도 모바일 단말을 사용하게 할 수 있게 한다.
나아가, 예로써, 적어도 두 개의 터치 센서들(200)에 의해 모바일 단말이 인체와 접촉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될 때,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100)은 모바일 단말의 잠금 해제 인증 기능을 비활성화 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모바일 단말이 전술된 미리 정해진 기간 내에 인체와 접촉하는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으며, 만일 미리 정해진 시간이 도달하였을 때 모바일 단말이 인체와 접촉하는 것이 여전히 감지되지 않으면, 모바일 단말은 인체와 접촉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으며, 모바일 단말의 잠금 해제 인증 기능은 활성화된다. 이 방법으로, 다음 번에 모바일 단말을 사용할 때,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의 정보 보안을 보장하기 위한 인증을 수행해야 한다.
전술된 방법을 통하여, 모바일 단말의 정보 보안을 효율적으로 보호하는 동안 사용자를 위한 사용 편의성이 균형 잡힐 수 있다.
게다가, 다른 실시 예에서, 적어도 두 개의 터치 센서들(200)에 의해 모바일 단말이 인체와 접촉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될 때,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100)은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잠금 해제 인증 기능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특히, 사용자는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을 더 자주 사용할 수 있으며, 화면이 잠겼을 때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이 사용될 수 없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 여기서, 모바일 단말이 인체와 접촉하는 것으로 감지될 때, 잠금 해제 인증 기능은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비활성화 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모바일 단말이 인체와 접촉할 때,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은 언제라도 사용될 수 있다. 이 방법으로, 모바일 단말의 정보 보안이 보호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미리 설정된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이 인체와 접촉하는 것이 감지될 때, 잠금 해제 인증 기능은 비활성화 되어, 모바일 단말이 동작 상태로부터 대기 상태로 전환된 후 모바일 단말의 인증 기능을 활성화할 필요 없이 사용자가 어느 때라도 모바일 단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모바일 단말이 인체와 접촉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될 때, 모바일 단말의 잠금 해제 인증 기능은 바로 활성화되어 모바일 단말의 정보 보안이 보장될 수 있다. 이 방법으로, 모바일 단말에 있는 사용자 정보의 보안을 보호하는 동안, 사용자를 위한 사용 편의성이 균형 잡힐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은 후면 또는 측면, 또는 후면 및 측면에 제공되는 적어도 두 개의 터치 센서들(2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예로써, 터치 센서들은 커패시턴스 타입의 터치 센서들일 수 있으며, 각 터치 센서들은 모바일 단말의 프로세서의 I/O 인터페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적어도 두 개의 터치 센서들(200)을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두 개의 터치 센서들(200)은 터치 센서들의 매트릭스 어레이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적어도 두 개의 터치 센서들(200)은 모바일 단말의 케이스의 후면 및/또는 측면에 제공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은, 적어도 두 개의 터치 센서들의 파라미터 값들의 수집된 변화에 따라, 모바일 단말이 인체와 접촉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모바일 단말의 케이스의 후면 또는 측면, 또는 후면 및 측면에 제공된 적어도 두 개의 터치 센서들 중 어느 두 개의 터치 센서들 사이의 커패시턴스 저장 전기량의 차이를 감지함으로써, 모바일 단말이 인체와 접촉하는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특정 기간 전 및 후 모바일 단말의 케이스의 후면 또는 측면, 또는 후면 및 측면에 제공된 적어도 두 개의 터치 센서들의 각각의 자체적인 커패시턴스 저장 전기량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모바일 단말이 인체와 접촉하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을 통하여, 모바일 단말이 인체와 접촉하는지 여부가 적어도 두 개의 터치 센서들(200)에 의해 빠르게 그리고 정확하게 감지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예시적인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특정하게 설명되었다 하더라도,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변형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0: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
200: 적어도 두 개의 터치 센서들
300: 메모리

Claims (10)

  1. 모바일 단말을 위한 스마트 락 스크린(smart lock screen)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이 동작 상태로부터 대기 상태로 전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동작 상태로부터 상기 대기 상태로 전환된 것으로 판단된 후, 상기 모바일 단말이 인체와 접촉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인체와 접촉하는 것으로 감지된 때, 상기 모바일 단말의 잠금 해제 인증 기능을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인체와 접촉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는,
    미리 정해진 기간 내에 상기 모바일 단말에 제공되는 적어도 두 개의 터치 센서들의 파라미터 값들을 획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파라미터 값들의 변화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인체와 접촉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터치 센서들은 상기 모바일 단말의 케이스의 후면, 또는 상기 후면 및 측면에 매트릭스 어레이 형태로 제공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인체와 접촉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될 때, 상기 모바일 단말의 상기 잠금 해제 인증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해제 인증 기능을 비활성화하는 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상기 잠금 해제 인증 기능을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들은 커패시턴스 타입의 터치 센서들인 방법.
  7.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
    모바일 단말의 케이스의 후면, 또는 상기 후면 및 측면에 매트릭스 어레이 형태로 제공되는 적어도 두 개의 터치 센서들;
    메모리; 그리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포함하되,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이:
    상기 모바일 단말이 동작 상태로부터 대기 상태로 전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동작 상태로부터 상기 대기 상태로 전환된 것으로 판단된 후, 상기 모바일 단말이 인체와 접촉하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그리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터치 센서들에 의해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인체와 접촉하는 것으로 감지된 때, 상기 모바일 단말의 잠금 해제 인증 기능을 비활성화시키도록 하는 모바일 단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이: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터치 센서들에 의해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인체와 접촉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될 때, 상기 모바일 단말의 상기 인증 기능을 활성화시키도록 하는 모바일 단말.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이: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터치 센서들에 의해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인체와 접촉하는 것으로 감지될 때,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상기 잠금 해제 인증 기능을 비활성화시키도록 하는 모바일 단말.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이:
    미리 정해진 기간 내에 상기 모바일 단말에 제공되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터치 센서들의 파라미터 값들을 획득하고;
    상기 파라미터 값들의 변화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인체에 접촉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는 모바일 단말.
KR1020180120905A 2018-03-12 2018-10-11 모바일 단말을 위한 스마트 락 스크린 방법 및 모바일 단말 KR1025705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200024.XA CN108491738A (zh) 2018-03-12 2018-03-12 用于移动终端的智能锁屏方法及移动终端
CN201810200024.X 2018-03-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554A KR20190107554A (ko) 2019-09-20
KR102570516B1 true KR102570516B1 (ko) 2023-08-24

Family

ID=63338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0905A KR102570516B1 (ko) 2018-03-12 2018-10-11 모바일 단말을 위한 스마트 락 스크린 방법 및 모바일 단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70516B1 (ko)
CN (1) CN10849173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55942A (zh) * 2016-05-25 2016-10-26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进行锁屏的方法和设备
CN106873878A (zh) * 2015-12-18 2017-06-20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移动终端及亮屏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88226B2 (ja) * 2008-05-02 2012-12-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複合機、複合機の利用制限方法
CN103139389A (zh) * 2013-02-25 2013-06-05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防止移动终端误操作的方法和移动终端
CN105607834B (zh) * 2015-12-22 2019-02-12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屏幕控制方法、装置及终端
CN106657472A (zh) * 2016-12-26 2017-05-10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一种手持终端及其控制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73878A (zh) * 2015-12-18 2017-06-20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移动终端及亮屏方法
CN106055942A (zh) * 2016-05-25 2016-10-26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进行锁屏的方法和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491738A (zh) 2018-09-04
KR20190107554A (ko) 2019-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8933B1 (ko) 거짓 터치 방지 방법 및 단말
US11036840B2 (en) Fingerprint recogni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touchscreen terminal
CN105260105B (zh) 基于指纹传感器的显示屏唤醒方法、装置及移动终端
EP3608809B1 (en) Device power-on method using power button integrated with fingerprint sensor
CN105635483B (zh) 一种操作移动终端的处理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20180203568A1 (en) Method for Enabling Function Module of Terminal, and Terminal Device
EP3401822B1 (en) Information image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US20140189604A1 (en) Method and system for unlocking a touchscreen of an electronic device
US10664145B2 (en) Unlocking control methods and apparatuses, and electronic devices
US20200294013A1 (en) Executing application without unlocking mobile device
CN105045384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5426722A (zh) 一种移动终端的解锁装置及方法
US9268928B2 (en) Smart pen system to restrict access to security sensitive devices while continuously authenticating the user
CN109254809B (zh) 基于人脸识别的差异化应用加载方法、装置和终端设备
KR20150141948A (ko) 액세스 코드의 보안 입력을 위한 방법 및 단말 장치
JP2003298689A (ja) 携帯電話
CN105009553A (zh) 信息终端装置、信息终端控制方法及程序
CN106570370A (zh) 一种用户身份识别方法及装置
CN104318185A (zh) 一种应用控制方法、设备及移动终端
US2019008738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erial peripheral interface of fingerprint sensor, and mobile terminal
KR101196759B1 (ko) 휴대 단말 및 그의 소유자 모드 자동 전환 방법
CN108717508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5243304A (zh) 一种移动终端的解锁方法及装置
KR102570516B1 (ko) 모바일 단말을 위한 스마트 락 스크린 방법 및 모바일 단말
Schaffer Expanding continuous authentication with mobile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