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0029B1 - 스파이크 및 스파이크리스 겉창용 중창 구조체를 갖는 골프화 - Google Patents

스파이크 및 스파이크리스 겉창용 중창 구조체를 갖는 골프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0029B1
KR102570029B1 KR1020210123877A KR20210123877A KR102570029B1 KR 102570029 B1 KR102570029 B1 KR 102570029B1 KR 1020210123877 A KR1020210123877 A KR 1020210123877A KR 20210123877 A KR20210123877 A KR 20210123877A KR 102570029 B1 KR102570029 B1 KR 102570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sole
midsole
protruding
segments
seg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3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7378A (ko
Inventor
진-마리 비달
로버트 에스. 벤토
Original Assignee
아쿠쉬네트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쿠쉬네트 컴퍼니 filed Critical 아쿠쉬네트 컴퍼니
Publication of KR20220037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7378A/ko
Priority to KR1020230108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4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0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0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001Golf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1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of rubb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04Plastics, rubber or vulcanised fibr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5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3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provided with wedged, concave or convex end portions, e.g. for improving roll-off of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3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provided with wedged, concave or convex end portions, e.g. for improving roll-off of the foot
    • A43B13/145Convex portions, e.g. with a bump or projection, e.g. 'Masai' type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43B13/223Profiled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43B13/24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by use of insertions
    • A43B13/26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by use of insertions projecting beyond the sole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3/00Wear-resisting attachments
    • A43C13/04Cleats; Simple studs; Screws; Hob-nai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02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attached to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16Studs or cleats for football or like boots
    • A43C15/161Studs or cleats for football or like boots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to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16Studs or cleats for football or like boots
    • A43C15/162Studs or cleats for football or like boo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43C15/164Studs or cleats for football or like boo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 A43C15/165Studs or cleats for football or like boo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pointed or conical, e.g. calks, spikes, pi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구조화된 중창을 갖는 골프화에 관한 것이다. 신발은 갑피, 중창, 겉창을 포함한다. 구조화된 중창은 스파이크 겉창(spiked outsoles)과 스파이크리스 겉창(spikeless outsoles)의 모두를 수용할 수 있다. 중창의 하부면은 겉창의 상부면 상에 위치된 상보적 돌출 세그먼트와 서로 맞물리기 위한 오목한 포켓을 포함한다. 겉창의 돌출 세그먼트가 중창의 오목한 포켓 내에 배치될 때, 중창은 겉창에 고정된다. 중창은 중창/겉창 조립체를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겉창은 스파이크 또는 스파이크리스이고 이는 비용 절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파이크 및 스파이크리스 겉창용 중창 구조체를 갖는 골프화 {GOLF SHOE HAVING MIDSOLE STRUCTURE FOR SPIKE AND SPIKELESS OUTSOLES}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그 전체 개시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합체되어 있는, 2020년 9월 17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3/079,792호의 이익을 청구한다.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개선된 중창 구조체(midsoles structures)를 갖는 골프화에 관한 것이다. 구조화된 중창은 스파이크 겉창(spiked outsoles)과 스파이크리스 겉창(spikeless outsoles)의 모두를 수용할 수 있다.
프로 골퍼와 아마추어 골퍼는 모두 현재 특수하게 설계된 골프화를 사용한다. 전형적으로, 골프화는 갑피(upper)를 겉창에 연결하는 중창(mid-sole)과 함께 갑피 부분 및 겉창 부분을 포함한다. 갑피는 사용자의 발을 삽입하기 위한 전통적인 형상을 갖고, 따라서 신발 내의 발을 커버하고 보호한다. 갑피는 발의 윤곽 주위에 편안한 맞춤성(comfortable fit)을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중창은 비교적 가볍고 신발에 완충을 제공한다. 겉창은 골퍼를 위한 안정성과 트랙션(traction)을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겉창의 하부면은 지면과의 접촉 및 관통을 통해 지면 표면과 맞물리도록 설계된 스파이크 또는 클릿(cleats)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들 요소는 골퍼가 코스를 걷거나 플레이할 때 더 양호한 발 안정성 및 트랙션을 골퍼에게 제공하는 것을 돕는다.
종종, 용어 "스파이크" 및 "클릿"은 골프 산업에서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된다. 클릿은 야구, 풋볼 및 축구와 같은 다른 스포츠와 더 통상적으로 연관되기 때문에, 일부 골퍼들은 용어 "스파이크"를 선호한다. 스파이크가 트랙이나 자전거와 같은 비잔디 스포츠와 더 통상적으로 연관되기 때문에, 다른 골퍼들은 용어 "클릿"을 사용하는 것을 좋아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용어 "스파이크"가 편의상 사용될 것이다. 골프화 스파이크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금속 스파이크의 일 문제점은, 이들이 일반적으로 퍼팅 그린의 표면을 돌파하여 이에 의해 구멍을 남기고 다른 손상을 야기할 수 있는 하향으로 연장하는 날카로운 첨단을 갖는 세장형 단편이라는 것이다. 이들 금속 스파이크는 또한 골프 코스에서 다른 지면 표면, 예를 들어 클럽하우스 내의 카펫 및 바닥에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현재, 대부분의 골프 코스는 골퍼가 비금속 스파이크를 사용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최근에, "스파이크리스(spikeless)" 또는 "클릿리스(cleatless)" 신발이 더욱 대중화되고 있다. 이들 신발 겉창은 고무 또는 플라스틱 트랙션 부재를 포함하지만, 스파이크 또는 클릿은 포함하지 않는다. 이들 트랙션 부재는 겉창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지면과 접촉한다. 신발은 골프 코스에서 그리고 코스 밖에서 사용하도록 설계된다. 즉, 신발은 티(tee), 페어웨이(fairway) 및 그린을 포함하여, 코스에서 플레이하는 골퍼를 위한 우수한 안정성 및 트랙션을 제공한다. 더욱이, 신발은 가볍고 편안하며, 골프 코스 밖에서 사용될 수 있다. 신발은 클럽하우스, 사무실, 가정, 및 또는 다른 코스 밖의 장소에서 편안하게 착용될 수 있다.
종래의 신발 제조 작업에서, 중창은 접착제를 도포함으로써 갑피에 부착될 수도 있고, 겉창은 중창의 하부면에 직접 성형되거나 또한 접착제에 의해 중창에 고정될 수도 있다. 하나의 중창 몰드가 사용하여 스파이크 겉창용 중창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고 상이한 중창 몰드가 스파이크리스 겉창용 중창을 형성하는 데 사용된다. 스파이크 겉창을 위해 사용되는 중창은 일반적으로 스파이크리스 겉창을 위해 사용되는 중창보다 더 큰 두께를 갖는다. 상이한 중창이 스파이크 겉창 대 스파이크리스 겉창에 대해 제조될 수 있도록 중창 몰드를 전후로 변경하는 것은 시간 소모적이고 성가신 프로세스일 수 있다.
신발 제조자는 더 비용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상이한 제조 방법을 지속적으로 찾고 있다. 개선된 중창/겉창 제조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신발 제조자는 스파이크 및 스파이크리스 신발의 모두가 고속 및 비용 효과적인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도록 더 큰 유연성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가져야 한다. 신발 제조자는 스파이크 겉창을 갖는 신발을 생산하는 것으로부터 스파이크리스 겉창을 갖는 신발을 생산하는 것으로 그리고 그 반대로 신속하게 전환하는 것이 가능해야 한다. 개선된 중창/겉창 조립체에 대한 요구가 또한 존재하고, 체결된 겉창은 스파이크 또는 스파이크리스 겉창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개선된 중창/겉창 조립체 뿐만 아니라 다른 유리한 특징 및 이점을 갖는 이러한 제조 시스템 및 신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구조화된 중창을 포함하는 골프화를 제공한다. 신발은 i) 갑피; ii) 상부면 및 하부면을 갖는 중창으로서, 하부면은 겉창의 상부면 상에 위치된 상보적 돌출 세그먼트와 서로 맞물리기 위한 오목한 포켓을 포함하는, 중창; 및 iii) 상부면 및 하부면을 갖는 겉창을 포함한다. 겉창의 상부면은 중창의 하부면 상의 오목한 포켓과 서로 맞물리기 위한 돌출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돌출 세그먼트는 중창이 겉창에 고정되도록 오목한 포켓에 배치된다. 갑피, 중창 및 겉창은 각각 전족부(forefoot), 중족부(mid-foot) 및 후족부(rear-foot) 영역과 외측면(lateral side) 및 내측면(medial side)을 갖는다.
일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돌출 세그먼트는 디스크형이고 약 1.5 내지 약 4.0 mm의 범위의 두께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돌출 세그먼트는 약 18.0 내지 약 23.0 mm의 범위의 직경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겉창의 상부면에 적어도 3개의 돌출 세그먼트가 있고 중창의 하부면에 적어도 3개의 오목한 포켓이 있다. 일 예에서, 겉창의 상부면에 6개의 돌출 세그먼트가 있고 중창의 하부면에 6개의 오목한 포켓이 있다. 더 구체적으로, 전족부 영역에 4개의 돌출 세그먼트가 있고 겉창의 후족부 영역에 2개의 돌출 세그먼트가 있고 전족부 영역에 4개의 오목한 포켓이 있고 중창의 후족부 영역에 2개의 오목한 포켓이 있을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겉창의 상부면에 9개의 돌출 세그먼트가 있고 중창의 하부면에 9개의 오목한 포켓이 있다. 더 구체적으로, 전족부 영역에 5개의 돌출 세그먼트가 있고 겉창의 후족부 영역에 4개의 돌출 세그먼트가 있고 전족부 영역에 5개의 오목한 포켓이 있고 중창의 후족부 영역에 4개의 오목한 포켓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겉창의 하부면은 2개의 스파이크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스파이크 리셉터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겉창의 하부면은 6개의 스파이크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6개의 스파이크 리셉터클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겉창의 하부면은 9개의 스파이크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9개의 스파이크 리셉터클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겉창의 하부면은 복수의 돌출 트랙션 부재를 포함한다. 겉창의 하부면은 이하에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타일 단편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타일 단편은 트랙션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타일 단편은 제1 돌출 트랙션 부재, 대향하는 제2 돌출 트랙션 부재, 및 제1 및 제2 트랙션 부재 사이에 배치된 비돌출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타일 단편, 제1 및 제2 돌출 트랙션 부재, 및 비돌출 세그먼트는 동일한 재료를 포함하고 단일 단편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타일 단편, 제1 및 제2 트랙션 부재 및 비돌출 세그먼트는 고무 또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재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신규한 특징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다른 목적 및 수반되는 장점과 함께,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가장 양호하게 이해된다.
도 1은 갑피를 상세히 도시하고 있는 본 발명의 골프화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1a는 겉창을 상세히 도시하고 있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골프화의 저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파이크 겉창 및 스파이크리스 겉창을 갖는 중창/겉창 조립체의 제조를 도시하고 있는 개략도.
도 3a는 스파이크 겉창을 상세히 도시하고 있는 본 발명의 골프화의 일 실시예의 저면도.
도 3b는 스파이크리스 겉창을 상세히 도시하고 있는 본 발명의 골프화의 일 실시예의 저면도.
도 4는 6개의 오목한 포켓을 상세히 도시하고 있는 본 발명의 중창의 일 실시예의 저면도.
도 5는 6개의 돌출 세그먼트를 상세히 도시하고 있는 본 발명의 겉창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
도 6은 9개의 오목한 포켓을 상세히 도시하고 있는 본 발명의 중창의 일 실시예의 저면도.
도 7은 9개의 돌출 세그먼트를 상세히 도시하고 있는 본 발명의 겉창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중창/겉창 조립체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로서, 겉창은 스파이크 겉창인 단면도.
도 9는 6개의 오목한 포켓을 상세히 도시하고 있는 본 발명의 중창의 일 실시예의 저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중창의 일 실시예의 외측면 입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중창의 일 실시예의 내측면 입면도.
도 12는 스파이크 리셉터클 및 트랙션 부재를 갖는 스파이크 겉창을 상세히 도시하고 있는 본 발명의 골프화의 일 실시예의 저면도.
도 13은 트랙션 부재를 갖는 스파이크리스 겉창을 상세히 도시하고 있는 본 발명의 골프화의 일 실시예의 저면도.
도 14는 갑피를 상세히 도시하고 있는 본 발명의 골프화의 일 실시예의 외측면 입면도.
도 14a는 갑피를 상세히 도시하고 있는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골프화의 평면도.
도 15는 갑피를 상세히 도시하고 있는 본 발명의 골프화의 일 실시예의 외측면 입면도.
도 15a는 갑피를 상세히 도시하고 있는 도 15에 도시되어 있는 골프화의 평면도.
유사한 도면 부호가 유사한 요소를 지정하는 데 사용되고 있는 도면, 특히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골프화(10)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신발(10)은 갑피(12)를 겉창(16)에 연결하는 중창(14)과 함께 갑피 부분(12) 및 겉창 부분(16)을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뷰는 오른발 신발이고 왼발 신발의 구성요소는 오른발 신발의 경면 대칭 이미지일 것으로 이해된다. 신발은 다양한 사이즈로 제조될 수도 있고, 따라서 신발 구성요소의 크기는 신발 사이즈에 따라 조정될 수도 있다는 것이 또한 이해되어야 한다.
갑피(12)는 전통적인 형상을 갖고, 예를 들어 천연 가죽, 합성 가죽, 니트, 부직포 재료, 천연 직물 및 합성 직물과 같은 표준 갑피 재료로부터 제조된다. 예를 들어,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폴리우레탄, 고무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제조된 통기성 메시 및 합성 섬유 직물이 사용될 수 있다. 갑피를 구성하는 데 사용되는 재료는 통기성, 내구성, 가요성 및 편안함과 같은 원하는 특성에 기초하여 선택된다. 일 바람직한 예에서, 갑피(12)는 가공된 메시 재료로 제조된다. 갑피 재료는 갑피 구조체를 형성하도록 함께 재봉되거나 접합된다. 갑피(12)는 일반적으로 발을 삽입하기 위한 개구(20)를 갖는 발등 영역(18)을 포함한다. 갑피는 발의 전족부를 커버하기 위한 앞날개(vamp)(19)를 포함한다. 발등 영역은 설포 부재(22)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신발끈(24)이 발의 윤곽 주위에 신발을 조이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다이얼, 스풀 및 케이블을 적소에 로킹하기 위한 하우징 및 로킹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금속 케이블(신발끈) 조임 조립체를 포함하는 다른 조임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신발끈 조임 조립체는 콜로라도주 덴버(미국) 소재의 Boa Technology, Inc.로부터 입수 가능하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전술된 갑피(12)는 본 발명의 신발 구성에 사용될 수 있는 갑피 디자인의 단지 일 예만을 나타내고, 다른 갑피 디자인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14, 도 14a, 도 15 및 도 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될 수 있는 적합한 신발 갑피(12)의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다.
중창(14)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PU),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폴리머 발포 재료로부터 형성된다. 중창(14)은 예를 들어 압축 성형, 사출 성형, 개방 주입(open pouring), 주조 등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방법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예에서, 중창(14)은 EVA와 같은 발포 재료를 몰드 내에 사출하고 발포 재료가 갑피(12) 상에서 경화되고 굳어지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사출 성형 프로세스를 통해 형성될 수도 있다. 발포 재료는 갑피(12)의 섬유를 통해 스며나올 수도 있다. 중창(14)은 접착제를 도포함으로써 갑피(12)에 부착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중창(14)은 발포 재료의 사출 중에 몰드 위에 갑피(12)를 위치시킴으로써 사출 단계 중에 갑피(16)에 직접 부착될 수도 있다. 라스트(last)가 사출 프로세스 중에 갑피에 구조적 프레임을 제공하기 위해 갑피(12) 내에 삽입될 수도 있다. 라스트는 발과 유사한 구조를 갖는 기계적 틀일 수도 있고 목재, 금속 또는 고밀도 플라스틱 등과 같은 강성 재료로부터 구성된다. 중창(14)은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유한 중창/겉창 조립 시스템을 사용하여 겉창(16)에 부착될 수도 있다.
겉창(16)은 신발에 안정성 및 트랙션을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겉창(16)의 하부면(23)은 신발과 골프 코스(코스에서) 또는 예를 들어 클럽하우스, 거리, 사무실, 가정, 등과 같은 다른 표면 사이의 트랙션을 제공하는 것을 돕기 위한 다수의 트랙션 부재(25)를 포함한다. 겉창(16)의 하부면과 트랙션 부재(25)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 및 이들의 조합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및 폴리우레탄과 같은 열가소성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적합한 고무 재료는 폴리부타디엔, 폴리이소프렌,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R"), 에틸렌-프로필렌-디엔("EPDM")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등, 이들의 2개 이상의 블렌드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a에서, 겉창(16)은 트랙션 부재(25) 및 스파이크(클릿)(21)의 모두를 포함한다. 스파이크(21)는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다. 겉창(16)의 하부면은 이하에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스파이크(21)를 신발에 고정하기 위한 성형된 리셉터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겉창(16)의 구조 및 기능이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된다.
일반적으로, 발의 해부학 구조는 3개의 뼈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후족부 영역은 일반적으로 발목(거골) 및 뒤꿈치(종골) 뼈를 포함한다. 중족부 영역은 발의 종방향 아치를 형성하는 입방골, 설상골, 및 주상골을 포함한다. 전족부 영역은 중족골과 발가락을 포함한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겉창(16)은 상부면(도시되지 않음) 및 하부면(23)을 갖는다. 중창(14)은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겉창(16)의 상부면에 결합된다. 갑피(12)는 전술된 바와 같이 중창(14)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a를 참조하면, 겉창(16)은 일반적으로 전족부 구역을 지지하기 위한 전족부 영역(26); 아치 구역을 포함하는 중족부를 지지하기 위한 중족부 영역(28); 및 뒤꿈치 구역을 포함하는 후족부를 지지하기 위한 후족부 영역(30)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전족부 영역(26)은 발가락 및 중족골을 지골과 연결하는 관절에 대응하는 겉창의 부분을 포함한다. 중족부 영역(28)은 일반적으로 발의 아치 구역에 대응하는 겉창의 부분을 포함한다. 후족부 영역(30)은 일반적으로 종골 뼈를 포함하여, 발의 후방부에 대응하는 겉창의 부분을 포함한다.
겉창은 외측면(31) 및 내측면(32)을 또한 포함한다. 외측면(31) 및 내측면(32)은 각각의 발 영역(26, 28, 30)을 통해 연장되고 겉창의 대향 측면들에 대응한다. 겉창의 외측면 또는 에지(31)는 착용자의 발의 외부 구역에 대응하는 측면이다. 외측 에지(31)는 일반적으로 착용자의 다른 발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착용자의 발의 측면이다(즉, 이는 다섯번째 발가락[새끼 발가락]에 더 가까운 측면임). 겉창의 내측면 또는 에지(32)는 착용자의 발의 내부 구역에 대응하는 측면이다. 내측 에지(32)는 일반적으로 착용자의 다른 발에 가장 가까운 착용자의 발의 측면(즉, 무지[엄지발가락]에 더 가까운 측면)이다.
더 구체적으로, 외측면(31) 및 내측면(32)은 겉창의 전방 단부(27)로부터 후방 단부(29)까지 겉창(16)의 주연부 또는 주계 주위로 연장한다. 전방 단부(27)는 발가락 구역에 대응하는 겉창의 부분이고, 후방 단부(29)는 뒤꿈치 구역에 대응하는 부분이다. 전술된 바와 같은 겉창의 영역, 측면 및 구역은 겉창의 정확한 구역을 경계 한정하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영역, 측면 및 구역은 겉창의 일반적인 구역을 나타내도록 의도된다. 갑피(12) 및 중창(14)은 이러한 영역, 측면 및 구역을 또한 갖는다. 각각의 영역, 측면 및 구역은 전방 및 후방 섹션을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일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겉창의 상부면(33)은 중창(14)의 하부면(35) 상의 오목 구역 또는 포켓(44)과 서로 맞물리기 위한 돌기 또는 돌출 세그먼트(40)을 포함한다. 상보적 돌출 세그먼트(40)와 포켓(44)은 함께 결합되어 로킹된 중창/겉창 조립체를 형성한다. 접착제가 또한 중창(14)의 하부면(35) 및/또는 겉창(60, 62)의 상부면(33)에 도포되어 겉창에 중창을 접합하고 겉창에 대한 중창의 부착을 향상시킨다. 도 2에서, 포켓(44)은 수직 측벽 표면(50) 및 수평 상부벽 표면(52)을 갖는 중창(14) 내의 절결 섹션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돌출 세그먼트(40)는 겉창과 중창이 함께 결합될 때 포켓(44)의 측벽 표면(50) 및 상부벽 표면(52)과 정합하는 대응하는 수직 측벽 표면(54) 및 수평 상부벽 표면(56)을 갖는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겉창 구조체(60, 62)의 2개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일 예에서, 겉창(60)은 스파이크(클릿)(66)를 포함하고 스파이크 겉창이라 칭할 수 있고; 반면 대안 예에서, 겉창(62)은 스파이크를 포함하지 않고 스파이크리스 겉창이라 칭할 수 있다. 스파이크리스 겉창(62)은 바람직하게는 일반적으로 (70)로 지시되어 있는 트랙션 부재를 포함한다.
더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스파이크" 또는 "클릿" 겉창(60)은 본 발명의 중창(14)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대부분의 골프 코스는 골퍼가 신발에 비금속 스파이크를 사용하도록 요구한다. 겉창(60)의 하부면(65)은 스파이크(66)를 신발에 고정하기 위한 성형된 리셉터클(소켓)(68)을 포함한다. 플라스틱 스파이크(66)가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전형적으로 일 면에 중앙 스터드를 갖는 둥근 베이스(71)를 갖는다. 둥근 베이스(71)의 다른 면에는, 트랙션 돌출부(74)를 갖는 방사상 아암(72)이 있다. 나사산이 나사산 형성 리셉터클(68) 내에 삽입을 위해 스파이크(66) 상의 스터드 둘레에 이격되어 있다. 쉽게 체결되고 이후에 로킹 리셉터클(68)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이들 플라스틱 스파이크(66)는 금속 스파이크보다 그린 및 클럽하우스 바닥 표면에 손상을 덜 야기하는 경향이 있다.
스파이크(66)는 바람직하게는 겉창(60) 내의 리셉터클(68)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된다. 스파이크(66)는 리셉터클(68)로부터 쉽게 삽입 및 제거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스파이크(66)는 이를 삽입하고 이어서 시계 방향으로 약간 비틀어 리셉터클(68) 내에 고정될 수도 있다. 리셉터클(68)로부터 스파이크(66)를 제거하기 위해, 이는 반시계 방향으로 약간 비틀릴 수도 있다.
도 2에는, 스파이크 겉창(60)의 섹션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총 6개의 클릿(66)을 갖는 전체 신발 스파이크 겉창(60)이 도 3a에 더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중창(14) 및 스파이크 겉창 구조체(60)는 내구성 있는 중창/스파이크 겉창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해 서로 결합 및 로킹된다. 접착제가 또한 중창(14)의 하부면(35) 및/또는 겉창(62)의 상부면(33)에 도포되어 중창이 겉창에 단단히 체결될 수 있게 된다. 스파이크 겉창(60)의 돌출 돌기(40)는 중창의 오목한 포켓(44) 내에 스냅 결합된다. 신발(10)은 갑피(이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더 포함한다.
대안적인 겉창 실시예에서, "스파이크리스" 또는 "클릿리스" 겉창(62)은 본 발명의 중창(14) 몰드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이들 신발 겉창(62)은 고무 또는 플라스틱 트랙션 부재(70)를 포함하지만 스파이크 또는 클릿(66)이 없는 하부면(41)을 갖는다. 트랙션 부재(70)는 겉창의 하부면(41)으로부터 돌출되어 지면과 접촉한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스파이크리스 겉창(62)의 섹션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다수의 트랙션 부재(70)를 갖는 전체 신발 스파이크리스 겉창(62)이 도 3b에 더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예에서, 중창(14) 및 스파이크리스 겉창 구조체(62)는 중창/스파이크리스 겉창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해 서로 결합 및 로킹된다. 신발은 갑피(이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더 포함한다. 트랙션 부재(70)를 갖는 이들 스파이크리스 신발은 골프 코스 및 코스 밖에서 사용을 위해 설계된다. 즉, 이들 신발은 티, 페어웨이 및 그린을 포함하여, 코스에서 플레이하는 골퍼를 위한 우수한 안정성 및 트랙션을 제공한다. 더욱이, 신발은 가볍고 편안하며, 골프 코스 밖에서 사용될 수 있다. 신발은 클럽하우스, 사무실, 가정, 또는 다른 코스 밖의 장소에서 편안하게 착용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구조화된 중창(14) 및 겉창(60, 62)의 상이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중창(14)의 하부면은 스파이크 또는 스파이크리스 겉창 구조체(60, 62)의 상부면 상에 돌출 세그먼트(40)를 수용하기 위해 구성된 6개의 포켓(44)을 포함한다. 이어서,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겉창(60, 62)은 중창의 6개의 포켓(44) 내에 삽입하기 위한 6개의 돌출 세그먼트(40)를 포함한다. 이 방식으로, 상보적 중창(14) 및 겉창 구조체(60, 62)는 함께 로킹 및 고정된다. 겉창의 상부면(33)은 중창의 하부면(35)에 끼워지는 구조를 갖는다. 즉, 겉창의 상부면(33)은 상향으로 연장되고 중창의 하부면(35) 내의 오목한 포켓(44)과 서로 맞물리는 돌출 세그먼트(40)를 포함한다. 따라서, 중창이 겉창에 결합될 때, 돌출 세그먼트(40)는 포켓(44) 내에 배치된다. 돌출 세그먼트(40)는 중창(14)을 스파이크 또는 스파이크리스 겉창 구조체(60, 62)에 고정하기 위해 포켓(44)과 정합한다. 도 6 및 도 7에는, 9개의 포켓(44)을 포함하는 중창 구조체(14) 및 포켓(44) 내에 스냅 결합하기 위한 9개의 돌출 세그먼트(40)를 포함하는 상보적 겉창(60, 62)이 도시되어 있다.
일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중창(14)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재료로 제조되고 겉창(16)은 고무 재료로 제조된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고무 돌출 세그먼트(40)는 스파이크 리셉터클(68) 위에 놓인다. 고무 돌출 세그먼트(40)는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약 4.0 mm의 범위의 두께(일반적으로 "A"로 지시되어 있음)를 갖는 디스크형 형상을 갖는다. 더 바람직하게는, 돌출 세그먼트(40)는 약 2.0 내지 약 2.5 mm의 범위의 두께를 갖는다. 세그먼트(40)의 평탄한 표면(일반적으로 "B"로 지시되어 있음)은 바람직하게는 약 18.0 내지 약 23.0 mm의 범위의 직경을 갖는다. 더 바람직하게는, 돌출 세그먼트(40)는 약 21.0 내지 약 22.0 mm의 범위의 직경을 갖는다. EVA 중창의 전체 폭(일반적으로 "C"로 지시되어 있음)은 바람직하게는 약 35 내지 약 45 mm의 범위이다.
겉창 상에 배치된 돌출 세그먼트(40)는, 이들이 중창 상의 오목한 포켓(44)과 서로 맞물릴 수 있는 한 상이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 세그먼트(40)는 직사각형, 삼각형, 정사각형, 구형, 별, 다이아몬드, 피라미드, 화살표, 막대 또는 원추형 등을 가질 수 있다. 돌출 세그먼트(40)의 형상 및 치수는, 이들이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오목한 포켓(44)의 형상 치수에 대응한다. 이 방식으로, 겉창 구조체(60, 62)는 중창 구조체(14)에 결합 및 로킹된다.
임의의 수의 돌출 세그먼트(40)가 겉창의 상부면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임의의 수의 오목한 포켓(44)이 중창의 하부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는 것이 또한 이해되어야 한다. 도 4 및 도 5에서, 중창(14)은 스파이크 또는 스파이크리스 겉창 구조체(60, 62)의 6개의 돌출 세그먼트(40)를 수용하기 위해 구성된 6개의 포켓(44)을 포함한다. 도 6 및 도 7에서, 중창(14)은 겉창(60, 62)의 9개의 돌출 세그먼트(40)를 수용하기 위해 구성된 9개의 포켓(44)을 포함한다. 그러나, 도 4 및 도 5, 도 6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중창/겉창 조립체는 단지 몇몇 실시예일 뿐이고, 본 발명은 이들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이 인식된다.
도 2,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되어 있고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조화된 중창(14)의 일 장점은 i) 스파이크를 포함하는 겉창("스파이크" 겉창) 및 ii) 스파이크를 포함하지 않는 겉창("스파이크리스" 겉창)의 모두를 수용할 수 있다는 것이고; 이들 겉창은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된다. 따라서, 동일한 중창(14) 몰드가 스파이크 겉창(60) 또는 스파이크리스 겉창(62)을 제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스파이크 겉창 및 스파이크리스 겉창(60, 62)은 동일한 중창과 상호 교환 가능하다. 신발 제조자는 본 발명에 따라 스파이크 또는 스파이크리스 겉창을 갖는 신발을 제조하기 위해 하나의 중창 몰드만을 개방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상당한 비용 절감이 존재한다. 단지 하나의 중창 몰드만이 중창을 상이한 겉창에 체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이 제조 방법은 다수의 중창 몰드를 사용하는 방법에 비해 더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유리하다. 신발 제조자는 본 발명의 중창 몰드로 더 큰 유연성을 갖게 되는데 - 몰드는 스파이크 또는 스파이크리스 겉창을 신속하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제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신발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포함하고, 중창 몰드가 상부면 및 하부면을 갖는 중창을 제조하기 위해 제공되고, 중창의 하부면은 오목한 포켓을 포함한다. 방법은 또한 신발 갑피 및 신발 겉창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겉창은 상부면 및 하부면을 갖는다. 겉창의 상부면은 중창이 겉창에 고정되도록 중창의 하부면 상의 오목한 포켓과 서로 맞물리기 위한 돌출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신발 갑피는 또한 상부면 및 하부면을 갖고, 갑피의 하부면은 접착제 또는 다른 적합한 체결 수단에 의해 중창에 고정된다. 갑피, 중창 및 겉창은 각각 전족부, 중족부 및 후족부 영역과 외측면 및 내측면을 갖는다.
스파이크 겉창
스파이크 겉창(60)은 임의의 수의 스파이크 리셉터클(68) 및 스파이크(클릿)(66)를 포함할 수 있고, 리셉터클 및 스파이크는 이하에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광범위한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를 다시 참조하면, 겉창(60)은 총 6개의 스파이크(66)를 포함하고; 전족부 영역에는 4개의 스파이크(66)가 있고 후족부 영역에는 2개의 스파이크(66)가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겉창(60)은 총 9개의 스파이크(66)를 포함하고; 전족부 영역에는 5개의 스파이크(66)가 있고 후족부 영역에는 4개의 스파이크(66)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파이크 겉창(62)은 다섯개(5개) 내지 아홉개(9개) 스파이크의 범위의 스파이크의 총 수를 포함한다. 이들 스파이크(66)는 전족부, 중족부 및/또는 후족부 영역 상에 다양한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스파이크 리셉터클(68) 위에 놓이는 돌출 세그먼트(40)는 스파이크 겉창(60)의 상부면(33) 상의 다양한 장소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이들 돌출 세그먼트(40)는, 이들이 중창에 위치된 상보적 포켓과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전족부, 중족부 및/또는 후족부 영역에 다양한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겉창(60)은 총 6개의 스파이크를 포함하고; 전족부 영역에는 4개의 스파이크가 있고 후족부 영역에는 2개의 스파이크가 있다. 도 9에는, 겉창의 6개의 돌출 세그먼트(40)를 위한 6개의 상보적 포켓(44)을 갖는 중창(14)의 저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1에서, 중창 구조체(14)의 외측면(31) 및 내측면(32)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6개의 스파이크(66)를 수용하기 위한 6개의 스파이크 리셉터클(68)을 갖는 겉창이 도시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겉창은 스파이크(66)용 스파이크 리셉터클(68) 뿐만 아니라 트랙션 부재(70)의 모두를 포함한다. 스파이크(66) 및 트랙션 부재(70)의 모두를 포함하는 이러한 유형의 겉창은 스파이크 겉창으로 고려된다.
스파이크 겉창(60)은 골프 플레이 중에 지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스파이크(66)는 다양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스파이크(66)는 지면 표면과 맞물리고 지면과의 증가된 접촉 면적을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이는 골퍼가 코스를 걷고 라운드를 플레이할 때 잔디 상에서 더 양호한 발 트랙션을 골퍼에게 제공하는 것을 돕는다.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전술된 스파이크 겉창(60)은 본 발명의 신발 구성에 사용될 수 있는 스파이크 겉창의 단지 일 예만을 나타내고, 다른 겉창 디자인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스파이크리스 겉창
스파이크리스 겉창 구조체(62)는 임의의 수의 트랙션 부재(70)를 포함할 수 있고, 트랙션 부재는 광범위한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파이크리스 겉창(62)은 어떠한 스파이크도 포함하지 않고; 오히려, 단지 트랙션 부재(70)만이 있다. 전술된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중창 구조체(14)와 유사한 방식으로, 겉창(62)의 상부면은 중창(14)의 하부면 내의 6개의 상보적 포켓(44) 내에 스냅 결합하기 위한 6개의 돌출 세그먼트(4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접착제가 또한 중창(14)의 하부면(35) 및/또는 겉창(62)의 상부면(33)에 도포되어 중창이 겉창에 단단히 체결될 수 있게 된다. 이 방식으로, 중창은 중창/스파이크리스 겉창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해 스파이크리스 겉창(62)을 고정하는 데 사용된다.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스파이크리스 겉창(62)은 골프 코스 및 코스 밖에서 트랙션을 제공하기 위해 구성된다. 즉, 신발은 티, 페어웨이 및 그린을 포함하여, 코스에서 플레이하는 골퍼를 위한 우수한 안정성 및 트랙션을 제공한다. 이들 표면은 "코스 내의" 표면이라 칭한다. 더욱이, 골프 코스 밖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신발은 클럽하우스, 사무실 또는 다른 일반적인 장소에서 편안하게 착용될 수 있다. 이들 표면은 "코스 밖의" 표면이라 칭한다. 신발은 테니스, 스쿼시, 라켓볼, 스트리트 하키, 소프트볼, 축구, 풋볼, 럭비 및 세일링과 같은 다수의 상이한 표면 상에서 다수의 상이한 활동에 관여하는 동안 착용될 수 있다. 신발은 단단하고 부드러운 표면의 모두에 트랙션과 그립 강도를 제공한다. 이들 신발은 다중 표면 트랙션(MST) 겉창 구조체를 갖는다. 트랙션 돌출부(70)는 다양한 형상 및 크기일 수 있다. 트랙션 부재(70)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직사각형, 삼각형, 정사각형, 구형, 별, 다이아몬드, 피라미드, 화살표, 막대 또는 원추형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형상일 수도 있다. 또한, 트랙션 부재(70)의 높이 및 면적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도 있다. 트랙션 부재(70)는 지면 표면과 맞물리고 지면과의 증가된 접촉 면적을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도 1 내지 도 15a에 도시되어 있는 전술된 스파이크 및 스파이크리스 겉창 구조체(60, 62)는 본 발명의 신발 구성에 사용될 수 있는 스파이크 겉창의 단지 몇몇 예만을 나타내고, 다른 스파이크 및 스파이크리스 겉창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적합한 겉창은 비달(Bidal)의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20/0077734-A1호 및 US 2020/0146389-A1 및 US-2020-0146389-A1; 벤토(Bento)의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20/0046072-A1호; 및 베이컨(Bacon)의 미국 특허 제9,999,275호 및 제10,595,585호에 설명된 구성을 포함하는데, 이들 문헌의 개시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합체되어 있다.
일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겉창은 겉창의 하부면이 제1 세트의 나선형 경로(A)로서, 각각의 나선형 경로는 그 점으로부터 방사하는 복수의 나선형 세그먼트를 갖는 원점을 갖고, 각각의 세그먼트는 상이한 정도의 곡률을 갖고 하위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제1 세트의 나선형 경로(A): 제2 세트의 나선형 경로(B)로서, 각각의 나선형 경로는 그 점으로부터 방사하는 복수의 나선형 세그먼트를 갖는 원점을 갖고, 각각의 세그먼트는 상이한 정도의 곡률을 갖고 하위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제2 세트의 나선형 경로(B)를 포함하도록 하는 기하학적 구성을 갖는다. 제1 세트의 나선형 경로(A)는 정상이고 제2 세트의 나선형 경로(B)는 제1 세트의 나선형 경로의 역이므로, 나선형 경로들이 서로 중첩될 때, 세트(A)로부터의 나선형 세그먼트의 하위 세그먼트 및 세트(B)로부터의 나선형 세그먼트의 하위 세그먼트는 겉창의 표면 상에 4면 타일 단편을 형성하게 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타일 단편은 트랙션 부재를 포함하고, 복수의 타일 단편은 제1 돌출 트랙션 부재, 대향하는 제2 돌출 트랙션 부재, 및 제1 및 제2 트랙션 부재 사이에 배치된 비돌출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타일 단편, 제1 및 제2 돌출 트랙션 부재, 및 비돌출 세그먼트는 동일한 재료를 포함하고 단일 단편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단일 단편은 고무 재료로 제조된다.
수치 하한 및 수치 상한이 본 명세서에 설명될 때, 이들 값의 임의의 조합이 사용될 수도 있는 것이 고려된다. 동작예를 제외하고, 또는 달리 명시적으로 지정되지 않으면, 명세서에서 재료의 양 및 다른 것들에 대한 것들과 같은 모든 수치 범위, 양, 값 및 백분율은, 용어 "약"이 값, 양 또는 범위에 명시적으로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더라도, 단어 "약"이 앞에 있는 것처럼 독해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반대로 지시되지 않으면,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 설명된 수치 파라미터는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도록 추구되는 원하는 특성에 따라 변할 수도 있는 근사치이다.
용어 "상", "하", "상부", "하부", "하향", "상향" "우측", "좌측", "외측", "내측", "전방", "후방" 등은 하나의 관점에 기초하여 요소의 일 위치를 지칭하기 위해 사용되는 임의의 용어이며, 본 발명의 범주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이 또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고 예시된 신발 재료, 디자인 및 구조는 본 발명의 단지 몇몇 실시예만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된다. 다양한 변경 및 추가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재료, 디자인 및 구조에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된다. 모든 이러한 실시예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커버되도록 의도된다.

Claims (15)

  1. 골프화이며,
    갑피;
    상부면 및 하부면을 갖는 중창으로서, 하부면은 겉창의 상부면 상에 위치된 상보적 돌출 세그먼트와 서로 맞물리기 위한 오목한 포켓을 포함하는, 중창; 및
    상부면 및 하부면을 갖는 겉창으로서, 상부면은 중창의 하부면 상의 오목한 포켓과 서로 맞물리기 위한 돌출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돌출 세그먼트는 중창이 겉창에 고정되도록 오목한 포켓 내에 배치되고, 갑피, 중창, 및 겉창은 각각 전족부, 중족부 및 후족부 영역 및 외측면 및 내측면을 갖는, 겉창을 포함하고,
    돌출 세그먼트는 디스크형이고 1.5 내지 4.0 mm의 범위의 두께를 갖고,
    돌출 세그먼트는 18.0 내지 23.0 mm의 범위의 직경을 갖는, 골프화.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겉창의 상부면에 적어도 3개의 돌출 세그먼트가 있고 중창의 하부면에 적어도 3개의 오목한 포켓이 있는, 골프화.
  5. 제4항에 있어서, 겉창의 상부면에 6개의 돌출 세그먼트가 있고 중창의 하부면에 6개의 오목한 포켓이 있는, 골프화.
  6. 제5항에 있어서, 전족부 영역에 4개의 돌출 세그먼트가 있고 겉창의 후족부 영역에 2개의 돌출 세그먼트가 있고 전족부 영역에 4개의 오목한 포켓이 있고 중창의 후족부 영역에 2개의 오목한 포켓이 있는, 골프화.
  7. 제4항에 있어서, 겉창의 상부면에 9개의 돌출 세그먼트가 있고 중창의 하부면에 9개의 오목한 포켓이 있는, 골프화.
  8. 제7항에 있어서, 전족부 영역에 5개의 돌출 세그먼트가 있고 겉창의 후족부 영역에 4개의 돌출 세그먼트가 있고 전족부 영역에 5개의 오목한 포켓이 있고 중창의 후족부 영역에 4개의 오목한 포켓이 있는, 골프화.
  9. 골프화이며,
    갑피;
    상부면 및 하부면을 갖는 중창으로서, 하부면은 겉창의 상부면 상에 위치된 상보적 돌출 세그먼트와 서로 맞물리기 위한 오목한 포켓을 포함하는, 중창; 및
    상부면 및 하부면을 갖는 겉창으로서, 상부면은 중창의 하부면 상의 오목한 포켓과 서로 맞물리기 위한 돌출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돌출 세그먼트는 중창이 겉창에 고정되도록 오목한 포켓에 배치되는, 겉창을 포함하고,
    갑피, 중창 및 겉창은 각각 전족부, 중족부 및 후족부 영역과 외측면 및 내측면을 갖고; 겉창의 하부면은 적어도 2개의 스파이크 리셉터클을 포함하고,
    돌출 세그먼트는 디스크형이고 1.5 내지 4.0 mm의 범위의 두께를 갖고,
    돌출 세그먼트는 18.0 내지 23.0 mm의 범위의 직경을 갖는, 골프화.
  10. 제9항에 있어서, 겉창의 하부면은 적어도 6개의 스파이크 리셉터클을 포함하는, 골프화.
  11. 제9항에 있어서, 겉창의 하부면은 적어도 9개의 스파이크 리셉터클을 포함하는, 골프화.
  12. 골프화이며,
    갑피;
    상부면 및 하부면을 갖는 중창으로서, 하부면은 겉창의 상부면 상에 위치된 상보적 돌출 세그먼트와 서로 맞물리기 위한 오목한 포켓을 포함하는, 중창; 및
    상부면 및 하부면을 갖는 겉창으로서, 상부면은 중창의 하부면 상의 오목한 포켓과 서로 맞물리기 위한 돌출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돌출 세그먼트는 중창이 겉창에 고정되도록 오목한 포켓 내에 배치되고, 갑피, 중창, 및 겉창은 각각 전족부, 중족부 및 후족부 영역 및 외측면 및 내측면을 갖고; 겉창의 하부면은 복수의 돌출 트랙션 부재를 포함하는, 겉창을 포함하고,
    돌출 세그먼트는 디스크형이고 1.5 내지 4.0 mm의 범위의 두께를 갖고,
    돌출 세그먼트는 18.0 내지 23.0 mm의 범위의 직경을 갖는, 골프화.
  13. 제12항에 있어서, 겉창의 하부면은 제1 세트의 나선형 경로(A)로서, 각각의 나선형 경로는 그 점으로부터 방사하는 복수의 나선형 세그먼트를 갖는 원점을 갖고, 각각의 세그먼트는 상이한 정도의 곡률을 갖고 하위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제1 세트의 나선형 경로(A):
    제2 세트의 나선형 경로(B)로서, 각각의 나선형 경로는 그 점으로부터 방사하는 복수의 나선형 세그먼트를 갖는 원점을 갖고, 각각의 세그먼트는 상이한 정도의 곡률을 갖고 하위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제2 세트의 나선형 경로(B)를 포함하고;
    제1 세트의 나선형 경로(A)는 정상이고 제2 세트의 나선형 경로(B)는 제1 세트의 나선형 경로의 역이므로, 나선형 경로들이 서로 중첩될 때, 세트(A)로부터의 나선형 세그먼트의 하위 세그먼트 및 세트(B)로부터의 나선형 세그먼트의 하위 세그먼트는 겉창의 표면 상에 4면 타일 단편을 형성하고, 타일 단편은 트랙션 부재를 포함하고, 복수의 타일 단편은 제1 돌출 트랙션 부재, 대향하는 제2 돌출 트랙션 부재, 및 제1 및 제2 트랙션 부재 사이에 배치된 비돌출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타일 단편, 제1 및 제2 돌출 트랙션 부재, 및 비돌출 세그먼트는 동일한 재료를 포함하고 단일 단편을 형성하는, 골프화.
  14. 제13항에 있어서, 타일 단편, 제1 및 제2 트랙션 부재, 및 비돌출 세그먼트는 고무 재료를 포함하는, 골프화.
  15. 제13항에 있어서, 타일 단편, 제1 및 제2 트랙션 부재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포함하는, 골프화.
KR1020210123877A 2020-09-17 2021-09-16 스파이크 및 스파이크리스 겉창용 중창 구조체를 갖는 골프화 KR102570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8414A KR20230124877A (ko) 2020-09-17 2023-08-18 스파이크 및 스파이크리스 겉창용 중창 구조체를 갖는골프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079792P 2020-09-17 2020-09-17
US63/079,792 2020-09-17
US17/470,453 US20220079295A1 (en) 2020-09-17 2021-09-09 Golf shoe having midsole structure for spike and spikeless outsoles
US17/470,453 2021-09-09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8414A Division KR20230124877A (ko) 2020-09-17 2023-08-18 스파이크 및 스파이크리스 겉창용 중창 구조체를 갖는골프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7378A KR20220037378A (ko) 2022-03-24
KR102570029B1 true KR102570029B1 (ko) 2023-08-23

Family

ID=8062598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3877A KR102570029B1 (ko) 2020-09-17 2021-09-16 스파이크 및 스파이크리스 겉창용 중창 구조체를 갖는 골프화
KR1020230108414A KR20230124877A (ko) 2020-09-17 2023-08-18 스파이크 및 스파이크리스 겉창용 중창 구조체를 갖는골프화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8414A KR20230124877A (ko) 2020-09-17 2023-08-18 스파이크 및 스파이크리스 겉창용 중창 구조체를 갖는골프화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079295A1 (ko)
JP (1) JP2022050341A (ko)
KR (2) KR102570029B1 (ko)
CN (1) CN11419064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72276S1 (en) * 2019-12-16 2022-12-13 Acushnet Company Golf shoe upper
USD1023533S1 (en) * 2020-11-17 2024-04-23 CPC Ardor Collection, Inc. Bottom so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167Y1 (ko) * 2004-09-13 2004-12-16 노경섭 이중밑창을 갖는 신발
KR100632210B1 (ko) * 2005-12-24 2006-10-09 임상환 골프화용 스파이크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1185A (en) * 1912-01-24 1912-10-15 Alexander H Spitz Boot and shoe.
US3538628A (en) * 1968-09-23 1970-11-10 Lord Geller Federico & Partner Footwear
US4267650A (en) * 1979-07-30 1981-05-19 Peter Bauer Shoe with removable outsole
USD259595S (en) * 1979-08-06 1981-06-23 Famolare, Inc. Shoe sole
US4571852A (en) * 1982-09-24 1986-02-25 Les Caoutchoucs Acton Ltee Anti-skidding sole
KR910004877B1 (ko) * 1983-08-22 1991-07-15 트레톤 에이비이 골프용 신발
US5317822A (en) * 1992-10-19 1994-06-07 Johnson Joshua F Athletic shoe with interchangeable wear sole
US6032386A (en) * 1998-06-23 2000-03-07 Partners In Innovation, Llc Golf shoe with removable sole
JP2000070002A (ja) * 1998-09-03 2000-03-07 Bridgestone Sports Co Ltd スポーツシューズ
US6161315A (en) * 1999-01-27 2000-12-19 Cutter & Buck Shoe outsole having a stability ridge
JP3666734B2 (ja) * 2000-02-10 2005-06-29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靴底及びゴルフシューズ
US6345454B1 (en) * 2000-06-02 2002-02-12 Johnny Carmichael Cotton Shoe having a removable sole and method of use
JP4481454B2 (ja) * 2000-08-03 2010-06-16 Sri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靴
KR200365239Y1 (ko) * 2004-07-27 2004-10-21 주식회사 보승인터내셔널 볼링화용 밑창
US8256146B2 (en) * 2008-04-30 2012-09-04 The Stride Rite Corporation Infant shoes
US8677657B2 (en) * 2011-05-12 2014-03-25 Acushnet Company Golf shoe outsole
US10004294B2 (en) * 2013-11-12 2018-06-26 Dansko, Llc Slip resistant soles and footwear
US10226102B2 (en) * 2015-07-30 2019-03-12 Columbia Insurance Company Sole of a shoe
US10104936B2 (en) * 2016-10-17 2018-10-23 Mccauley Llc Shoe with interchangeable sole
US11019874B2 (en) * 2018-09-07 2021-06-01 Acushnet Company Golf shoe having outsole with all-surface traction zones
USD894563S1 (en) * 2018-09-07 2020-09-01 Acushnet Company Golf shoe outsole
JP7217689B2 (ja) * 2018-12-20 2023-02-03 アクシュネット カンパニー 全表面型トラクション領域を伴うアウトソールを具備するゴルフ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167Y1 (ko) * 2004-09-13 2004-12-16 노경섭 이중밑창을 갖는 신발
KR100632210B1 (ko) * 2005-12-24 2006-10-09 임상환 골프화용 스파이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7378A (ko) 2022-03-24
KR20230124877A (ko) 2023-08-28
JP2022050341A (ja) 2022-03-30
CN114190648A (zh) 2022-03-18
US20220079295A1 (en) 2022-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90689B2 (en) Golf shoes having multi-surface traction outsoles
US11622595B2 (en) Golf shoe having outsole with all-surface traction zones
US11957204B2 (en) Golf shoe outsole
US11490677B2 (en) Golf shoe having outsole with multi-surface traction zones
US11425958B2 (en) Golf shoe having midsole and outsole for providing flex and stability
US10856613B2 (en) Golf shoe with outsole having flex channels and wave-like traction members
KR20230124877A (ko) 스파이크 및 스파이크리스 겉창용 중창 구조체를 갖는골프화
US11540595B2 (en) Athletic cleat
KR102266616B1 (ko) 전표면 트랙션 구역이 있는 겉창을 갖는 골프화
US11425959B2 (en) Golf shoe having composite plate in midsole for providing flex and stabti jty
US11963582B2 (en) Golf shoe having composite plate in midsole for providing flex and stability
KR102500456B1 (ko) 골프화 바닥창
US20220175080A1 (en) Golf shoes having multi-surface traction outsoles
US11051576B2 (en) Shoe with interchangeable sole
KR20230001296U (ko) 다중-표면 트랙션 바닥창을 갖는 골프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