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9905B1 - 대칭도형 학습 장치 - Google Patents

대칭도형 학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9905B1
KR102569905B1 KR1020220052456A KR20220052456A KR102569905B1 KR 102569905 B1 KR102569905 B1 KR 102569905B1 KR 1020220052456 A KR1020220052456 A KR 1020220052456A KR 20220052456 A KR20220052456 A KR 20220052456A KR 102569905 B1 KR102569905 B1 KR 102569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leds
symmetric
point
operation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2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다현
Original Assignee
전다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다현 filed Critical 전다현
Priority to KR1020220052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99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9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99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02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athematics
    • G09B23/04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athematics for geometry, trigonometry, projection or perspectiv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gebra (AREA)
  • Geometr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대칭도형 학습장치는, 대칭도형 학습 장치의 동작모드를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부와, 점대칭도형의 대응점의 기준이 되는 기준점 및 선대칭도형의 대응점의 기준이 되는 대칭축 중 적어도 하나가 설정되며, 상하좌우 방향에서 서로 등간격으로 설치된 다수의 LED를 포함하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다수의 제1 LED로 구성되는 제1 LED 영역 및 제1 LED 영역에 위치되는 다수의 제1 LED 중 사용자 누름 동작에 따라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1 LED에 대하여 기준점 또는 대칭축을 기준으로 대응하는 위치에 배열된 다수의 제2 LED로 구성되는 제2 LED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부와, 선대칭도형 동작모드 또는 점대칭도형 동작모드 중 하나에 따라서 제1 LED 영역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1 LED 및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1 LED에 대응하는 대응점에 해당하는 제2 LED 영역의 하나 이상의 제2 LED이 발광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대칭도형 학습 장치{Symmetrical figure learning apparatus}
본 발명은 도형 학습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초등학생의 도형 학습을 도와주는 도형 학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초등학교 5학년 교과과정에 선대칭도형과 점대칭도형이 포함된다. 선대칭도형은 한 직선을 따라 접어서 완전히 겹쳐지는 도형을 선대칭도형이라고 하고, 이때 그 직선을 대칭축이라고 한다. 점대칭도형은 한 점을 중심으로 180° 돌렸을 때 처음 도형과 완전히 겹쳐지면 이 도형을 점대칭도형이라고 하고, 이때 그 점을 대칭의 중심이라고 한다. 이와 같은 선대칭도형과 점대칭도형에는 각각 대응점, 대응변 및 대응각이 정의되고, 특히 선대칭도형과 점대칭도형을 이해하기 위해서 각 도형의 대응점을 찾는 과정 필수적이다. 그러나 대칭도형을 처음 접하는 학생이 180도 회전된 위치의 대응점을 찾고, 선대칭도형 또는 점대칭도형에 따라서 복수의 대응점으로 형성되는 도형의 모양을 연상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대칭도형을 처음 접하는 학생에게 선대칭도형 또는 점대칭도형을 직관적으로 쉽게 익힐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2-0076233, 2012년 7월 9일 공개, 단면체 회전에 의한 입체도형 학습기
LED 누름 스위치를 이용하여 대응점에 함께 불이 켜지도록 하여 대칭도형 학습을 도와주는 대칭도형 학습 장치를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른 대칭도형 학습장치는, 대칭도형 학습 장치의 동작모드를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부와, 점대칭도형의 대응점의 기준이 되는 기준점 및 선대칭도형의 대응점의 기준이 되는 대칭축 중 적어도 하나가 설정되며, 상하좌우 방향에서 서로 등간격으로 설치된 다수의 LED를 포함하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다수의 제1 LED로 구성되는 제1 LED 영역 및 제1 LED 영역에 위치되는 다수의 제1 LED 중 사용자 누름 동작에 따라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1 LED에 대하여 기준점 또는 대칭축을 기준으로 대응하는 위치에 배열된 다수의 제2 LED로 구성되는 제2 LED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부와, 선대칭도형 동작모드 또는 점대칭도형 동작모드 중 하나에 따라서 제1 LED 영역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1 LED 및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1 LED에 대응하는 대응점에 해당하는 제2 LED 영역의 하나 이상의 제2 LED가 발광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1 LED는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따라 발광되는 LED 스위치이고, 제2 LED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동작되는 LED이고, 제1 LED의 발광색은 제2 LED의 발광색과 다를 수 있다.
제어부는 선대칭도형 동작모드에서는 제1 LED 영역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1 LED 및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1 LED 위치에서 상기 대칭축을 기준으로 대응되는 대응점에 위치되는 제2 LED 영역의 하나 이상의 제2 LED가 발광되도록 제어하고, 점대칭도형 동작모드에서는 제1 LED 영역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1 LED 및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1 LED 위치에서 상기 기준점을 기준으로 대응되는 대응점에 위치되는 제2 LED 영역의 하나 이상의 제2 LED가 발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의 입력에 따라 대칭도형 학습 장치의 동작모드를 표시하는 LCD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대칭도형 학습 장치의 선대칭도형 동작모드 및 점대칭도형 동작모드는 각각 제1 LED 영역에서 제1 LED가 선택되어 발광되는 제1 발광시점과 선택된 제1 LED 위치에 대응되는 대응점에 해당하는 제2 LED가 발광되는 제2 발광시점 사이의 간격을 2 이상 다르게 설정할 수 있는 발광간격설정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광간격설정모드는 제1 시간간격으로 설정되는 제1 학습레벨동작모드 및 제1 시간간격보다 짧은 제2 시간간격으로 설정되는 제2 학습레벨동작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에 대응하는 영역의 상단을 덮는 투명 덮개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누름 동작만으로 발광되는 LED 및 사용자 누름 동작에 의해 선택된 위치에 대하여 선대칭 또는 점대칭 위치의 LED가 발광되게 함으로써 쉽고 빠르게 선대칭도형과 점대칭도형을 관찰하고 원리를 이해하는 학습과정을 도와주는 대칭도형 학습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손과 눈으로 구체적 조작 활동을 반복함으로써 보다 직관적으로 대응점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투명 덮개를 활용하여 대칭도형을 그릴 수 있도록 하고, 대칭도형에 대한 학습 흥미와 재미를 배가시켜 학습효과를 높일 뿐만 아니라 다양한 대칭 게임을 적용하여 즐거운 학습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칭도형 학습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대칭도형 학습 장치의 표시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대칭도형 학습 장치의 동작모드에 따른 표시부의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대칭도형 학습 장치의 표시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대칭도형 학습 장치의 표시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칭도형 학습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대칭도형 학습 장치의 표시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칭도형 학습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대칭도형 학습 장치(10)는 제어부(110), 표시부(120) 및 사용자 입력부(130)를 포함한다. 대칭도형 학습 장치(10)는 아크릴 또는 폴리카보네트 등의 다양한 재질의 투명 케이스에 수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대칭도형 학습 장치(1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한다. 제어부(110)는 표시부(120)의 복수의 LED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122) 및 표시부(120)의 복수의 LED의 동작을 제어하는 표시부 드라이버(1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대칭도형 학습 장치(10)의 동작모드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대칭도형 학습 장치(10)의 동작모드는 선대칭도형 학습을 위한 선대칭도형 동작모드 및 점대칭도형 학습을 위한 점대칭도형 동작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대칭도형 학습 장치(10)의 동작모드를 설정한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선대칭도형 동작모드 또는 점대칭도형 동작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레버, 버튼, 키패드, 터치패드 등 다양한 형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부(120)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다수의 LE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표시부(120)의 다수의 LED는 상하좌우 방향에서 서로 등간격으로 설치된다. 표시부(120)에는 점대칭도형의 대응점의 기준이되는 기준점 및 선대칭도형의 대응점의 기준이 되는 대칭축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될 수 있다. 기준점 및 대칭축은 복수의 LED의 일부로 설정될 수도 있고, 별도의 다양한 방식을 이용한 시각적 표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표시부(120)의 복수의 LED는 제1 LED 영역(122) 및 제2 LED 영역(124)를 포함한다. 표시부(120)는 다수의 LED가 기판에 배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1 LED 영역(122)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다수의 제1 LED로 구성된다. 제1 LED 영역(122)의 다수의 제1 LED는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의해 선택된 위치의 제1 LED가 누름동작에 반응하여 발광되도록 설치된다.
제2 LED 영역(124)은 제1 LED 영역(122)에 위치되는 다수의 제1 LED 중 사용자 누름 동작에 따라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1 LED 위치에 대하여 기준점 또는 대칭축을 기준으로 대응하는 위치에 배열된 다수의 제2 LED로 구성된다.
제1 LED 영역(122)에 위치되는 다수의 제1 LED는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따라 발광되는 LED 스위치이고, 제2 LED 영역(124)에 위치되는 제2 LED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되는 LED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LED의 발광색은 제2 LED의 발광색과 다르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LED는 빨강 LED 스위치로 구성되고, 제2 LED는 초록 LED로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제1 LED 각각에 대한 기준점 또는 대칭축에 대응하는 위치의 각각의 제2 LED는 선택된 각 제1 LED에 대하여 동작모드에 따라 서로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선대칭도형 동작모드 또는 점대칭도형 동작모드 중 하나에 따라서 제1 LED 영역(122)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1 LED 및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1 LED에 대응하는 대응점의 제2 LED이 발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선대칭도형 동작모드에서는 제1 LED 영역(122)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1 LED 및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1 LED 위치에서 상기 대칭축을 기준으로 대응되는 대응점에 위치되는 제2 LED 영역(124)의 하나 이상의 제2 LED가 발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점대칭도형 동작모드에서는 제1 LED 영역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1 LED 및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1 LED 위치에서 상기 기준점을 기준으로 대응되는 대응점에 위치되는 제2 LED 영역(124)의 하나 이상의 제2 LED가 발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의 표시부(120)는 LCD 표시부(1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LCD 표시부(126)는 사용자 입력부(130)의 입력에 따라 대칭도형 학습 장치의 동작모드를 표시하는 선대칭도형 동작모드 또는 점대칭도형 동작모드를 나타낼 수 있다. LCD 표시부(126)는 대칭도형 학습 장치(10)의 응용예에 따른 다양한 동작모드를 추가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대칭도형 학습 장치(10)의 선대칭도형 동작모드 및 점대칭도형 동작모드는 각각 제1 LED 영역(122)에서 제1 LED가 선택되어 발광되는 제1 발광시점과 선택된 제1 LED 위치에 대응되는 대응점에 해당하는 제2 LED 영역(124)의 제2 LED가 발광되는 제2 발광시점 사이의 간격을 2 이상 다르게 설정할 수 있는 발광간격설정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광간격설정모드는 제1 시간간격으로 설정되는 제1 학습레벨동작모드 및 제1 시간간격보다 짧은 제2 시간간격으로 설정되는 제2 학습레벨동작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칭도형 학습 장치(10)를 처음 학습하는 학습자는 대응점의 위치를 예측하는 훈련을 위하여 제1 학습레벨동작모드를 선택하여 선대칭도형 동작모드에서 제1 LED 영역(122) 중 선택한 위치의 제1 LED의 대응점에 해당하는 제2 LED가 3초 후에 발광되도록 할 수 있다. 대칭도형 학습 장치(10)에 익숙해지면 3초보다 짧은 1초 후에 제1 LED 영역(122) 중 선택한 위치의 제1 LED의 대응점에 해당하는 제2 LED가 발광되도록 할 수 있다.
발광간격설정모드는 기본적으로는 별도의 시간간격이 없는 기본동작모드로 설정되도록 하고, 대응점 예측 훈련을 위하여 제1 학습레벨동작모드 또는 제2 학습레벨동작모드 등을 선택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두 명 이상의 학습자는 발광간격설정모드에 따라 대응점 맞추기 놀이를 실행하고, 대칭도형 학습 장치(10)에서 일정시간 후에 대응점이 발광되어 대응점을 확인하는 방식으로 게임을 수행하여 활용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의 대칭도형 학습 장치의 표시부(120)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20)는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표시부(120)는 빨강 LED 스위치로 구성된 제1 LED 영역(122) 및 초록 LED로 구성된 제2 LED 영역(124)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20)는 LED와는 별도의 시각적 표식으로 대칭축(210) 및 기준점(220)를 더 포함하여 대칭축(210) 및 기준점(220)이 표시될 수 있다.
도 2에서 제1 LED 영역(122)은 가로 10개 및 세로 16개의 160개의 빨강 LED 스위치로 구성되고, 제2 LED 영역(124)은 가로 10개 및 세로 16개의 녹색 LED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1 LED 영역(122) 및 제2 LED 영역(124)에 포함되는 LED 스위치 및 LED 개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대칭도형 학습 장치의 동작모드에 따른 표시부의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칭도형학습장치(300)의 표시부(120)는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표시부(120)는 빨강 LED 스위치로 구성된 제1 LED 영역(122) 및 초록 LED로 구성된 제2 LED 영역(124)을 포함하고, 대칭도형 학습 장치(300)의 동작모드를 표시하는 LCD 표시부(1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대칭도형 학습 장치의 표시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칭도형 학습 장치(400)의 표시부(120)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표시부(120)는 다수의 LED가 상하좌우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한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대칭도형 학습 장치의 표시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표시부(120)는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대칭도형 학습 장치(500)로 구성될 수 있다. 대칭도형 학습 장치(500)에는 투명 덮개판(550)이 화살표 A와 같은 방향으로 삽입되어 표시부(120)의 상면을 덮도록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투명 덮개판(550)에 종이를 덧대고 점대칭도형 또는 선대칭도형을 따라 그리는 등의 방식으로 대칭도형 학습 장치(500)를 이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칭도형 학습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대칭도형 학습 장치(20)는 선대칭도형을 학습하기 위한 제1 표시부(120-1) 및 점대칭도형을 학습하기 위한 제2 표시부(120-2)로 구성되어 동작하는 것을 제외하고 도 1의 대칭도형 학습 장치(10)와 유사하다.
도 7은 도 6의 대칭도형 학습 장치의 표시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 표시부(120-1)는 제1 LED 영역(122-1) 및 제2 LED 영역(124-1)을 포함하고, 선대칭도형의 대칭축을 나타내는 시각적 표식(2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LED 영역(122-1)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며,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LED가 발광되는 다수의 제1 LED로 구성된다. 제2 LED 영역(124-1)은 제1 LED 영역(122-1)에 위치되는 다수의 제1 LED 중 사용자 누름 동작에 따라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1 LED 위치에 대하여 기준점 또는 대칭축을 기준으로 대응하는 위치에 배열된 다수의 제2 LED로 구성된다. 제1 LED 영역(122-1)에 위치되는 다수의 제1 LED는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따라 발광되는 LED 스위치이고, 제2 LED 영역(124-1)에 위치되는 제2 LED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발광 동작되는 LED일 수 있다.
제2 표시부(120-2)는 제1 LED 영역(122-2) 및 제2 LED 영역(124-2)을 포함하고, 점대칭도형의 기준점을 나타내는 시각적 표식(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LED 영역(122-2)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며,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LED가 발광되는 다수의 제1 LED로 구성된다. 제2 LED 영역(124-2)은 제1 LED 영역(122-2)에 위치되는 다수의 제1 LED 중 사용자 누름 동작에 따라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1 LED 위치에 대하여 기준점 또는 대칭축을 기준으로 대응하는 위치에 배열된 다수의 제2 LED로 구성된다. 제1 LED 영역(122-2)에 위치되는 다수의 제1 LED는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따라 발광되는 LED 스위치이고, 제2 LED 영역(124-2)에 위치되는 제2 LED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되는 LED일 수 있다.
제1 LED 영역(122-1, 122-2)의 복수의 제1 LED(710, 720)는 빨강 LED 스위치이고, 사용자 누름 동작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제1 LED(710)와 같이 빨강색으로 발광하고, 선택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OFF 상태의 제1 LED(720)로 표시될 수 있다. 제2 LED 영역(124-1, 124-2)의 복수의 제2 LED(730, 740)는 초록 LED이고, 사용자 누름 동작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제2 LED(730)와 같이 초록색으로 발광하고, 선택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OFF 상태의 제2 LED(740)로 표시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칭도형 학습 장치(20)는 선대칭도형을 학습하기 위한 제1 표시부(120-1) 및 점대칭도형을 학습하기 위한 제2 표시부(120-2)로 별도로 구성되어, 제1 표시부(120-1)의 제1 LED 영역(122-1)과 제2 표시부(120-2)의 제1 LED 영역(122-2)에 대하여 동일한 위치의 6개의 빨강 LED 스위치가 사용자 누름 동작에 의해 발광되더라도, 제1 표시부(120-1)의 제2 LED 영역(124-1)에는 선택된 빨강 LED 스위치 위치에 대하여 대칭축(210)을 기준으로 대응되는 6개의 녹색 LED가 발광되고, 제2 표시부(120-2)의 제2 LED 영역(124-2)에는 선택된 빨강 LED 스위치 위치에 대하여 기준점(220)을 기준으로 대응되는 6개의 녹색 LED가 발광됨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선대칭도형 및 점대칭도형의 개념을 비교하며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선대칭도형 및 점대칭도형의 학습을 중심으로 대칭도형 학습 장치(1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한 번의 버튼누름 조작을 통해 닮음 및 합동 등 수학에서 이용되는 다양한 도형 개념을 학습하는데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의 프로그램을 구현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디스크 등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대칭도형 학습 장치 110: 제어부
120: 표시부 122: 제1 LED 영역
124: 제2 LED 영역 130: 사용자 입력부
210: 대칭축 220: 기준점

Claims (6)

  1. 대칭도형 학습 장치의 동작모드를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부;
    점대칭도형의 대응점의 기준이 되는 기준점 및 선대칭도형의 대응점의 기준이 되는 대칭축 중 적어도 하나가 설정되며, 상하좌우 방향에서 서로 등간격으로 설치된 다수의 LED를 포함하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다수의 제1 LED로 구성되는 제1 LED 영역 및 제1 LED 영역에 위치되는 다수의 제1 LED 중 사용자 누름 동작에 따라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1 LED에 대하여 기준점 또는 대칭축을 기준으로 대응하는 위치에 배열된 다수의 제2 LED로 구성되는 제2 LED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부; 및
    선대칭도형 동작모드 또는 점대칭도형 동작모드 중 하나에 따라서 제1 LED 영역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1 LED 및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1 LED에 대응하는 대응점에 해당하는 제2 LED 영역의 하나 이상의 제2 LED가 발광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대칭도형 학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1 LED는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따라 발광되는 LED 스위치이고, 제2 LED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동작되는 LED이고, 제1 LED의 발광색은 제2 LED의 발광색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도형 학습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선대칭도형 동작모드에서는 제1 LED 영역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1 LED 및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1 LED 위치에서 상기 대칭축을 기준으로 대응되는 대응점에 위치되는 제2 LED 영역의 하나 이상의 제2 LED가 발광되도록 제어하고, 점대칭도형 동작모드에서는 제1 LED 영역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1 LED 및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1 LED 위치에서 상기 기준점을 기준으로 대응되는 대응점에 위치되는 제2 LED 영역의 하나 이상의 제2 LED가 발광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도형 학습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부의 입력에 따라 대칭도형 학습 장치의 동작모드를 표시하는 LCD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대칭도형 학습 장치의 선대칭도형 동작모드 및 점대칭도형 동작모드는 각각 제1 LED 영역에서 제1 LED가 선택되어 발광되는 제1 발광시점과 선택된 제1 LED 위치에 대응되는 대응점에 해당하는 제2 LED가 발광되는 제2 발광시점 사이의 간격을 2 이상 다르게 설정할 수 있는 발광간격설정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도형 학습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발광간격설정모드는 제1 시간간격으로 설정되는 제1 학습레벨동작모드 및 제1 시간간격보다 짧은 제2 시간간격으로 설정되는 제2 학습레벨동작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도형 학습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표시부에 대응하는 영역의 상단을 덮는 투명 덮개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도형 학습 장치.
KR1020220052456A 2022-04-28 2022-04-28 대칭도형 학습 장치 KR102569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2456A KR102569905B1 (ko) 2022-04-28 2022-04-28 대칭도형 학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2456A KR102569905B1 (ko) 2022-04-28 2022-04-28 대칭도형 학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9905B1 true KR102569905B1 (ko) 2023-08-23

Family

ID=87848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2456A KR102569905B1 (ko) 2022-04-28 2022-04-28 대칭도형 학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990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6233A (ko) 2010-12-29 2012-07-09 김종훈 단면체 회전에 의한 입체도형 학습기
JP2015517117A (ja) * 2012-03-21 2015-06-18 コンスタンテ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教育機能を提供するledブロック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08898898A (zh) * 2018-08-27 2018-11-27 芜湖新使命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刃型位错运动的演示装置及其演示方法
KR102025408B1 (ko) * 2019-05-14 2019-09-25 박동순 양면 대칭 기반의 투명 led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KR20200092002A (ko) * 2019-01-24 2020-08-03 정원욱 도형 학습용 움직이는 지오보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6233A (ko) 2010-12-29 2012-07-09 김종훈 단면체 회전에 의한 입체도형 학습기
JP2015517117A (ja) * 2012-03-21 2015-06-18 コンスタンテ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教育機能を提供するledブロック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08898898A (zh) * 2018-08-27 2018-11-27 芜湖新使命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刃型位错运动的演示装置及其演示方法
KR20200092002A (ko) * 2019-01-24 2020-08-03 정원욱 도형 학습용 움직이는 지오보드
KR102025408B1 (ko) * 2019-05-14 2019-09-25 박동순 양면 대칭 기반의 투명 led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88299B2 (en) Programming device and recording medium, and programming method
US5174759A (en) TV animation interactively controlled by the viewer through input above a book page
US7249950B2 (en) Display apparatus for teaching writing
US11113036B2 (en) Programming device and recording medium, and programming method
CN102915175B (zh) 一种在具有多个飞行显示器的飞行驾驶台上指示光标位置的方法
US7819433B2 (en) Letter guide sheet
CA2567751C (en) An electronic learning device with a graphic user interface for interactive writing
US20150302757A1 (en) Learning aid
US20210233421A1 (en) Assembled educational toy technology using polyomino
KR102569905B1 (ko) 대칭도형 학습 장치
JP6910593B2 (ja) プログラム処理装置
KR101729060B1 (ko) 블록을 이용한 교육용 음악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음악교육 시스템
US20090155749A1 (en) Electronic globe and game system used therewith
CN209842951U (zh) 用于教导编程的教育系统和套件
JP5253282B2 (ja) 入力装置
KR20220081493A (ko) 학습용 주판 및 그 주판을 이용한 온라인 주산 교육 시스템
JP3242849U (ja) 光学台用光源および光学台
JP3207158U (ja) 鍵盤楽器の指位置案内表示装置
JP6514489B2 (ja) 道路表示システム、道路表示方法、表示装置および点灯装置
US11925875B2 (en) Interactive electronic toy system
US11298607B2 (en) Interactive game suitable for persons with mobility issues
Campbell Microcomputers in the primary mathematics classroom
JPH06161341A (ja) 学習装置
GR1010250B (el) Αριθμητηριο δημοτικου σχολειου
JPS6167880A (ja) かきかた教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