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9745B1 - 골프공의 균형성 분석 장치 - Google Patents

골프공의 균형성 분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9745B1
KR102569745B1 KR1020210082339A KR20210082339A KR102569745B1 KR 102569745 B1 KR102569745 B1 KR 102569745B1 KR 1020210082339 A KR1020210082339 A KR 1020210082339A KR 20210082339 A KR20210082339 A KR 20210082339A KR 102569745 B1 KR102569745 B1 KR 102569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f ball
electromagnetic waves
support
antenna
electromagnetic w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2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0210A (ko
Inventor
황금철
Original Assignee
(주)엠텔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텔리 filed Critical (주)엠텔리
Priority to KR1020210082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9745B1/ko
Priority to EP22828711.6A priority patent/EP4335521A1/en
Priority to PCT/KR2022/008762 priority patent/WO2022270864A1/ko
Priority to JP2023506290A priority patent/JP2023536867A/ja
Priority to CN202280006154.4A priority patent/CN116324399A/zh
Publication of KR20230000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9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97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1Ba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측정 대상 골프공의 복수의 측정면에 전자파를 송신하고, 상기 복수의 측정면으로부터 반사 및 투과된 전자파를 수신하는 측정부; 및 상기 수신된 전자파에 기초하여 골프공의 균형성을 분석하는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골프공의 균형성 분석 장치{GOLF BALL BALANCE ANALYSIS APPARATUS}
본 발명은 골프공의 균형성 분석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자파를 골프공의 복수면에 입사시킨 후 투과 또는 반사된 신호를 분석하여 골프공의 편심율 및 코어 균형성을 분석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공은 코어-내피-외피로 이루어진 3피스 혹은 더블 코어-내피-외피로 구성된 4피스의 골프공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골프공은 한 해 4,000 만 dozen 정도가 생산되는데, 그 생산 과정에서 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전체 골프공 중 코어의 쏠림에 의한 불량이 약 2.78%, 내부 매질의 불균형에 의한 불량이 약 11.11%, 외피의 손상에 의한 불량이 약 2.78% 정도 발생되고 있다. 이 경우, 외피의 손상에 의한 불량은 사람이 직접 시각 또는 촉각에 의해 검출하거나 영상 촬영 후 영상 분석에 의해 검출할 수 있으나, 코어의 쏠림에 의한 불량이나 내부 매질의 불균형에 의한 불량은 소금물과 계면활성제를 혼합한 액체에 골프공을 띄워 보는 방식으로 검출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그러나, 이러한 코어의 쏠림에 의한 불량이나 내부 매질의 불균형에 의한 불량 검출 방식은 시간이 오래 걸리고 생산 공정에 적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이러한 코어의 쏠림에 의한 불량이나 내부 매질의 불균형을 검출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이 요구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파를 이용한 골프공의 균형성 분석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를 이용하여 골프공의 균형성 분석 장치는 측정 대상 골프공의 복수의 측정면에 전자파를 송신하고, 상기 복수의 측정면으로부터 반사된 전자파 또는 투과된 전자파를 수신하는 측정부; 및 수신된 전자파의 반사 특성 또는 투과 특성에 기초하여 측정 대상 골프공의 균형성을 분석하는 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는, 상기 복수의 측정면에 대한 전자파 송수신을 위하여 상기 측정 대상 골프공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분석부는, 상기 복수의 측정면에 대한 반사된 전자파 또는 투과된 전자파의 크기 및 위상의 차이가 클수록 골프공 내부의 불균일성이 크다고 추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측정 대상 골프공을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이격시켜 지지하는 골프공 지지체; 상기 골프공 지지체에 전자파를 송수신하는 전자파 송수신 안테나; 상기 골프공 지지체와 이격되고, 상기 골프공 지지체에 의해 지지되는 측정 대상 골프공과 수평한 면에 상기 전자파 송수신 안테나를 지지하는 안테나 지지체; 및 수신된 전자파의 크기 및 위상을 출력 및 검출하는 검출기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자파 송수신 안테나는 상기 골프공 지지체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전자파 송신 안테나와 전자파 수신 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골프공 지지체는 측정 대상을 지지하는 면에 수직의 중심축을 회전축으로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골프공의 균형성 분석 장치는 일면에 상기 골프공 지지체 및 상기 안테나 지지체를 지지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일면에 부착 또는 도포되어 난반사되는 전자파를 흡수하는 흡수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테나 지지체는 상기 골프공 지지체와의 사이에서 슬라이딩되어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검출기는 네트워크 분석기, 신호 발생기와 스펙트럼 분석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분석부는 딥러닝 기반으로 복수의 측정면에 대한 수신된 전자파의 크기 및 위상에 기초하여 골프공의 내부 매질의 불균형 정도 및 편심율을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수신된 전자파의 크기 및 위상에 기초하여 측정 대상 골프공 내부의 피스를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를 이용한 골프공의 균형성 분석 장치에 의해 골프공의 내부의 균형성 및 편심율을 용이하게 추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를 이용한 골프공의 균형성 분석 장치에 의해 골프공의 품질을 평가하여 불량 골프공을 선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의 균형성 분석 장치의 구성을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의 균형성 분석 장치의 측정부를 도시한 사시도와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의 균형성 분석 장치의 측정부를 도시한 사시도와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내부 균일도 분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의 편심율을 설명하기 위한 골프공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량 골프공 내부의 전파 투과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의 균형성 분석 장치의 구성을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골프공의 균형성 분석 장치(100)는 측정부(110)와 분석부(120)를 포함한다.
측정부(110)는 측정 대상 골프공의 복수의 측정면에 전자파를 송신하고, 복수의 측정면으로부터 반사된 전자파 또는 투과된 전자파를 수신한다. 여기서 측정면이란 송신되는 전자파가 제일 많이 닿는 면을 의미할 수 있고, 송신되는 전자파에 수직한 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측정부(110)는 측정 대상 골프공의 복수의 측정면에 대한 반사된 전자파 또는 투과된 전자파의 응답을 확인하기 위하여, 측정 대상 골프공을 임의의 각도 회선시킨 후 반사 또는 투과된 제1 전자파를 수신하고, 측정 대상 골프공을 임의의 각도 추가 회전시킨 후 반사 또는 투과된 제2 전자파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측정부(110)는 복수의 측정면에 대한 전자파 송수신을 위하여 측정 대상 골프공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전자파 송수신 후 측정 대상 골프공을 회전시키는 과정을 복수회 반복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분석부(120)는 복수의 측정면에 대하여 송신 후 수신된 전자파의 반사 특성 또는 투과 특성에 기초하여 측정 대상 골프공의 균형성을 분석한다. 균일한 골프공이라면 복수의 측정면에 대한 반사된 전자파 또는 투과된 전자파의 크기 및 위상의 유사도가 높으므로, 각 측정면에 대한 반사된 전자파 또는 투과된 전자파의 크기 및 위상의 차이가 클수록 측정 대상 골프공 내부의 불균일성이 크다고 추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분석부(120)는 딥러닝 기법을 사용하여 골프공의 편심율 및 불균형성을 추정할 수 있다. 즉, 분석부(120)는 딥러닝 기반으로 복수의 측정면에 대한 수신된 전자파의 크기 및 위상에 기초하여 골프공의 내부 매질의 불균형 정도 및 편심율을 추정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분석부(120)는 수신된 전자파의 크기 및 위상에 기초하여 측정 대상 골프공 내부의 피스를 구획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분석부(120)는 딥러닝 기법을 사용하여 골프공의 편심율 및 불균형성의 등급을 분류하거나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불량을 판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의 균형성 분석 장치(100)의 측정부(110)를 도시한 사시도와 측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의 균형성 분석 장치(100)의 측정부(110)는 2개의 안테나를 포함한다.
측정부(110)는 골프공 지지체(111), 전자파 송신 안테나(112), 전자파 수신 안테나(113), 안테나 지지체(114) 및 검출기(115)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부(110)는 일면에 골프공 지지체(111) 및 안테나 지지체(114)를 지지하는 베이스(1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골프공 지지체(111)는 측정 대상 골프공을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이격시켜 지지한다.
골프공 지지체(111)는 측정 대상을 지지하는 면에 수직의 중심축을 회전축으로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111-r)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수단(111-r)에 의해 골프공 지지체(111) 위에 배치된 측정 대상 골프공의 측정면을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수단(111-r)은 측정 대상 골프공을 임의의 각도씩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수단(111-r)은 골프공 지지체(111)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 지지체(114)는 전자파 송신 안테나(112)를 지지하는 제1 안테나 지지체(114-1)와 전자파 수신 안테나(113)를 지지하는 제2 안테나 지지체(114-2)를 포함한다.
안테나 지지체(114)는 골프공 지지체(111)와 이격되어, 골프공 지지체(111)에 의해 지지되는 측정 대상 골프공과 수평한 면에 상기 전자파 송수신 안테나(112, 113)를 지지한다.
안테나 지지체(114)는 골프공 지지체(111)와의 사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어 골프공 지지체(111)와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116)의 일면에 안테나 지지체(114)와 골프공 지지체(111) 사이에는 슬라이딩 홀이 마련되어 안테나 지지체(114)가 슬라이딩 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골프공 지지체(111)와 안테나 지지체(114)는 수직으로 연장가능하게 마련되어 베이스(116)로부터 지지 대상의 수직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전자파 송신 안테나(112)와 전자파 수신 안테나(113)는 검출기(115)와 연결된다.
검출기(115)는 네트워크 분석기이거나, 신호 발생기와 스펙트럼 분석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검출기(115)가 네트워크 분석기인 경우, 네트워크 분석기의 전자파 송신측과 전자파 수신측에 전자파 송신 안테나(112)와 전자파 수신 안테나(113)가 연결된다.
검출기(115)가 신호 발생기와 스펙트럼 분석기인 경우, 신호 발생기에 송신 안테나(112)가 연결되고 스펙트럼 분석기에 전자파 수신 안테나(113)가 연결된다.
검출기(115)는 전자파 수신 안테나(113)에서 수신된 전자파의 크기 및 위상을 검출한다.
검출기(115)는 분석부(120)와 연결되어 검출된 전자파의 크기 및 위상의 정보를 전달한다.
베이스(160)는 일면에 골프공 지지체(111) 및 안테나 지지체(114)를 지지한다.
베이스(160)의 일면에 전자파를 흡수하는 흡수체가 부착 또는 도포되어 있다. 흡수체는 페라이트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로써, 전자파 송신 안테나(112)로부터 송신되어 골프공 지지체(111) 또는 안테나 지지체(114)에 의해 난반사되는 전자파를 흡수하여 전자파 수신 안테나(113)가 노이즈를 수신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의 균형성 분석 장치(100)의 측정부(110)를 도시한 사시도와 측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의 균형성 분석 장치(100)는 수신 안테나와 송신 안테나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안테나를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는 도 2와 동일하므로 도 2의 구성요소와의 차이점에 중점을 두어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의 균형성 분석 장치(100)는 골프공 지지체(111), 전자파 송수신 안테나(1112), 안테나 지지체(114) 및 검출기(115)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부(110)는 일면에 골프공 지지체(111) 및 안테나 지지체(114)를 지지하는 베이스(1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골프공 지지체(111)는 측정 대상 골프공을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이격시켜 지지한다.
골프공 지지체(111)는 측정 대상을 지지하는 면에 수직의 중심축을 회전축으로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111-r)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수단(111-r)에 의해 골프공 지지체(111) 위에 배치된 측정 대상 골프공의 측정면을 제어할 수 있다.
안테나 지지체(114)는 전자파 송수신 안테나(1112)를 지지한다.
안테나 지지체(114)는 골프공 지지체(111)와 이격되어, 골프공 지지체(111)에 의해 지지되는 측정 대상 골프공과 수평한 면에서 전자파 송수신 안테나(1112)를 지지한다.
안테나 지지체(114)는 골프공 지지체(111)와의 사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어 골프공 지지체(111)와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골프공 지지체(111)와 안테나 지지체(114)는 수직으로 연장가능하게 마련되어 베이스(116)로부터 지지 대상의 수직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도 2와 비교하여 전자파 송수신 안테나(1112)는 검출기(115)와 연결되어 측정 대상 골프공의 복수의 측정면으로부터 반사되는 전자파만을 수신할 수 있다.
검출기(115)는 전자파 송수신 안테나(1112)와 연결되어, 전자파를 송수신하고, 수신된 전자파의 크기 및 위상을 검출하고, 검출 결과를 분석부(120)에 전달한다.
검출기(115)는 네트워크 분석기이거나, 신호 발생기와 스펙트럼 분석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검출기(115)는 전자파 송수신 안테나(1112)와 연결되어, 전자파를 송수신한다.
베이스(160)는 일면에 골프공 지지체(111) 및 안테나 지지체(114)를 지지한다.
베이스(160)의 일면에 전자파를 흡수하는 흡수체가 부착 또는 도포되어 있다. 흡수체는 페라이트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로써, 전자파 송수신 안테나(1112)로부터 송신되어 골프공 지지체(111) 또는 안테나 지지체(114)에 의해 난반사되는 전자파를 흡수하여 전자파 송수신 안테나(1112)가 노이즈를 수신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내부 균일도 분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골프공은 코어, 내피, 외피가 서로 다른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골프공은 고무 재질의 코어와, 플라스틱 재질의 내피층과,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아이오노머 플라스틱(Ionomer Plastic) 재질의 외피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골프공의 비거리의 증대를 위하여, 다양한 소재가 개발되어 골프공에 적용되고 있으며, 각 메이커별로 복합적인 소재를 골프공에 혼용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전자파 송신 안테나(112) 또는 전자파 송수신 안테나(1112)로부터 송신된 전자파가 골프공에 입사하면, 골프공을 구성하고 있는 서로 다른 재질들의 경계면에서 입사파의 산란 및 투과가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에서, 반사된 전자파는 다시 전자파 송수신 안테나(1112)로 전달되고, 투과된 전자파는 전자파 수신 안테나(113)에 의해 수신된다.
전자파의 반사, 투과 특성은 매질의 유전상수에 매우 민감한 특성을 가지므로, 골프공 내부의 매질 균일도에 따라 반사된 전자파 또는 투과된 전자파의 크기 및 위상 특성이 달라지게 된다.
도 4의 (a)와 같이, 골프공 내부가 구조적/물성적으로 균일한 경우 골프공을 회전시켜 복수의 측정면에 측정된 반사/투과 특성은 유사하다.
이 때, 골프공의 코어와 외피는 서로 다른 물성을 갖고, 직경은 대략 42mm이다. 이러한 골프공의 코어와 외피의 물성에서 반응성이 잘 나타나는 주파수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도 4의 (b)와 같이, 골프공 내부 코어층이 특정 방향으로 쏠려 편심이 있거나, 도 4의 (c)와 같이, 골프공 내부 매질이 불균형한 경우, 각 측정면 마다 반사/투과된 전자파의 특성이 서로 상이하게 된다.
또한 도 4의 (d)와 같이, 외부 흠집이 있는 경우에도, 측정면마다 산란된 전자파의 특성이 서로 상이하게 된다.
외부 흠집은 골프공의 크기 대비 상대적으로 매우 작기 때문에, 골프공 내부의 균형성 및 편심을 검출할 때보다 더 높은 주파수로 측정해야 한다.
이와 같이, 각 측정면을 따라 측정된 전자파의 특성(크기 및 위상)에 기초하여 골프공의 내부 균일도를 정량화하여 평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의 편심율을 설명하기 위한 골프공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량 골프공 내부의 전파 투과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편심율은 수학식 1과 같이 골프공의 반지름에 대한 골프공의 중심(P1)과 코어 중심(P2)까지의 거리를 나타낸다.
[수학식 1]
수학식 1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코어가 정확히 골프공 중심에 존재하여, 골프공의 중심과 코어의 중심이 일치하면 골프공의 중심으로부터 코어의 중심까지 거리 r가 0이 되므로, 편심율도 0이 된다. 또한, 골프공의 중심에서 코어의 중심까지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r이 커지게 되므로 편심율 e도 커지게 된다.
도 6의 (a)는 불량 골프공의 편심율에 따른 수신된 전자파의 주파수에 대한 크기를 나타내고, 도 6의 (b)는 불량 골프공의 편심율에 따른 수신된 전자파의 주파수에 대한 위상을 나타낸다.
도 6의 그래프에서, 편심율 e이 0인 경우를 파란색 그래프, 편심율 e이 0.1인 경우를 붉은색 그래프, 편심율 e이 0.2인 경우를 노란색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도 6을 참조하면 편심율이 달라진 경우, 전자파 투과 크기와 위상이 모두 상이한 것을 알 수 있다. 편심율이 0에서 0.2로 증가할 수록 주파수 F3보다 낮은 주파수에서는 투과 크기가 점점 증가하고, 주파수 F3보다 높은 주파수에서는 편심률 중가에 따라 투과 크기가 점점 감소함을 알 수 있다.
특히 위상 특성에 편심의 정도에 따라 특정 주파수 F2 ~ F5 사이에서 크기 및 위상이 민감하게 변화하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골프공 내부의 편심을 비롯한 대칭성의 불균형 정도를 전자파의 투과 및 반사 특성에 기초하여 추정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편심율과 투과 및 반사 특성의 데이터 셋을 딥러닝 기법에 적용하여 편심율 및 균형성을 정량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불량 골프공의 자동으로 선별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실행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측정 대상 골프공의 복수의 측정면에 전자파를 송신하고, 상기 복수의 측정면으로부터 반사된 전자파 또는 투과된 전자파를 수신하는 측정부; 및
    수신된 전자파의 반사 특성 또는 투과 특성에 기초하여 측정 대상 골프공의 균형성을 분석하는 분석부;
    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는,
    상기 복수의 측정면에 대한 전자파 송수신을 위하여 상기 측정 대상 골프공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분석부는,
    상기 복수의 측정면에 대한 반사된 전자파 또는 투과된 전자파의 크기 및 위상의 차이가 클수록 상기 측정 대상 골프공 내부의 불균일성이 크다고 추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의 균형성 분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측정 대상 골프공을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이격시켜 지지하는 골프공 지지체;
    상기 골프공 지지체에 전자파를 송수신하는 전자파 송수신 안테나;
    상기 골프공 지지체와 이격되고, 상기 골프공 지지체에 의해 지지되는 측정 대상 골프공과 수평한 면에 상기 전자파 송수신 안테나를 지지하는 안테나 지지체; 및
    수신된 전자파의 크기 및 위상을 출력 및 검출하는 검출기
    를 포함하는 골프공의 균형성 분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송수신 안테나는
    상기 골프공 지지체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전자파 송신 안테나와 전자파 수신 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의 균형성 분석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공 지지체는 측정 대상을 지지하는 면에 수직의 중심축을 회전축으로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의 균형성 분석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일면에 상기 골프공 지지체 및 상기 안테나 지지체를 지지하는 베이스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일면에 부착 또는 도포되어 난반사되는 전자파를 흡수하는 흡수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의 균형성 분석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지지체는 상기 골프공 지지체와의 사이에서 슬라이딩되어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의 균형성 분석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는 네트워크 분석기 또는 신호 발생기와 스펙트럼 분석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의 균형성 분석 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딥러닝 기반으로 복수의 측정면에 대한 수신된 전자파의 크기 및 위상에 기초하여 골프공의 내부 매질의 불균형 정도 및 편심율을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의 균형성 분석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수신된 전자파의 크기 및 위상에 기초하여 측정 대상 골프공 내부의 피스를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의 균형성 분석 장치.


KR1020210082339A 2021-06-24 2021-06-24 골프공의 균형성 분석 장치 KR102569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339A KR102569745B1 (ko) 2021-06-24 2021-06-24 골프공의 균형성 분석 장치
EP22828711.6A EP4335521A1 (en) 2021-06-24 2022-06-21 Golf ball sorting device
PCT/KR2022/008762 WO2022270864A1 (ko) 2021-06-24 2022-06-21 골프공 선별 장치
JP2023506290A JP2023536867A (ja) 2021-06-24 2022-06-21 ゴルフボール選別装置
CN202280006154.4A CN116324399A (zh) 2021-06-24 2022-06-21 高尔夫球筛选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339A KR102569745B1 (ko) 2021-06-24 2021-06-24 골프공의 균형성 분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210A KR20230000210A (ko) 2023-01-02
KR102569745B1 true KR102569745B1 (ko) 2023-08-24

Family

ID=84925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2339A KR102569745B1 (ko) 2021-06-24 2021-06-24 골프공의 균형성 분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97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0995B1 (ko) 2023-09-25 2024-04-25 (주)엠텔리 골프공 검사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23768A (ja) 2001-04-02 2004-08-05 イムプレソニック アーベー 材料または物体の損傷を検出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2013195219A (ja) 2012-03-19 2013-09-30 Hakko Automation Kk 内部欠陥検査装置及び内部欠陥の検査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37090A (ja) * 1985-08-02 1987-02-18 Taitetsuku:Kk 単相誘導型電動モ−タの駆動方式
JPH04364402A (ja) * 1991-06-11 1992-12-16 Toshiba Corp 偏心検査方法
KR0176661B1 (ko) * 1995-12-28 1999-05-15 김광호 납땜부 검사방법 및 검사장치
KR20170136906A (ko) * 2016-06-02 2017-12-12 고성우 구체의 크랙 검사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23768A (ja) 2001-04-02 2004-08-05 イムプレソニック アーベー 材料または物体の損傷を検出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2013195219A (ja) 2012-03-19 2013-09-30 Hakko Automation Kk 内部欠陥検査装置及び内部欠陥の検査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210A (ko) 2023-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88661B2 (en) Method for testing the transmission and reflection properties of an automotive radome body as well as apparatus for testing the transmission and reflection properties of an automotive radome body
KR102569745B1 (ko) 골프공의 균형성 분석 장치
US9699678B2 (en) Plane wave generation within a small volume of space for evaluation of wireless devices
CN109557043B (zh) 一种使用太赫兹电磁波检测物体的电磁特性的系统及方法
RU2011121009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тестирования базовой станции (варианты), базовая станция и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ее конфигурации
US20210102909A1 (en) System devise and methods for measuring substances' dielectric properties using microwave sensors
JP2008538085A (ja) スポーツボールの回転パラメータの決定
US11740319B2 (en) System and methods for detecting a position using differential attenuation
CN116324399A (zh) 高尔夫球筛选装置
CN102237934A (zh) 一种终端数据传输性能的测试方法、系统及装置
CN107884625A (zh) 一种基于片上正交极化天线的太赫兹探测方法
Ullmann et al. SAR based non-destructive evaluation of irregularly shaped objects with simultaneous estimation of geometry and permittivity
CN113132052B (zh) 一种针对射频窃听的无损检测方法
CN111212177B (zh) 无线终端的测试系统
KR101696075B1 (ko) 시험체의 결함 측정장치 및 방법
Togawa et al. Reflectivity measurements in anechoic chambers in the microwave to millimeter range
CN107889049A (zh) 一种干扰定位方法及定位装置
RU2298198C1 (ru) Способ измерения азимутальной диаграммы направленности антенны
CN109257118B (zh) 无线产品的收发效能验证设备及其操作方法
CN104466345A (zh) 一种天线、低噪放及混频器连接机构
FUJII et al. 2-6 Site Validation of the Open-Area Test Site and the Semi-Anechoic Chamber
CN104714086A (zh) 一种波束合成器件的微波透射特性测量装置及方法
Tsunenari et al. Evaluation of Transmission Attenuation in Glass with Varying Angle of Incidence for 28 GHz Band
Carobbi et al. A new procedure for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the sites for radiation tests or antenna calibration
US20240056201A1 (en) Method and system for evaluating radio perform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