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9716B1 -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시스템 및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시스템 및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9716B1
KR102569716B1 KR1020230016096A KR20230016096A KR102569716B1 KR 102569716 B1 KR102569716 B1 KR 102569716B1 KR 1020230016096 A KR1020230016096 A KR 1020230016096A KR 20230016096 A KR20230016096 A KR 20230016096A KR 102569716 B1 KR102569716 B1 KR 102569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alysis
data
data link
link
tac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6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환
오정인
위성혁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16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97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9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97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14Network analysis or design
    • H04L41/142Network analysis or design using statistical or mathematical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4Processing captured monitoring data, e.g. for logfile generation
    • H04L43/045Processing captured monitoring data, e.g. for logfile generation for graphical visualisation of monitoring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6Generation of reports
    • H04L43/062Generation of reports related to network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2Parsing or analysis of hea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gebr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시스템 및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방법이 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시스템은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시스템의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교전 모의를 수행하는 모의 장치;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교전 모의를 통제하고 데이터 확인을 수행하는 통제 장치; 및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네트워크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에 대해 분석을 수행하여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데이터링크 분석 장치를 포함하고, 데이터링크 분석 장치는 데이터의 수집 및 분석을 위한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소프트웨어 CSC(Computer Software Component)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시스템 및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방법{DATALINK INTEGRATED ANALYSIS SYSTEM AND DATALINK INTEGRATED ANALYSIS METHOD}
본 발명은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시스템 및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기체계 시험평가 분야에서 국내 시험장의 제한된 환경, 예산의 최소화, 무기 특성으로 인한 안전문제 등으로 실사격 시험의 수행이 제한되며, 실 체계의 작 전운용으로 연동이 제한되는 경우가 있다. 가상 교전 환경을 도입하여 실 사격시험 및 무기체계 통합시험 수행을 목적으로 하는 통합 시험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통합 시험 시스템을 통해 앞서 언급한 위험요소가 해결될 수 있다. 무기체계 상호운영을 목적으로 규격화 및 표준화된 메시지를 처리하기 위해 전술 데이터링크 및 무장 데이터링크의 메시지의 프로토콜 설계 및 처리하는 기술은 시험 평가에서 비중 높게 다루어지고 있다.
무기체계의 단위시험, 통합시험, 시험평가에서 통합시험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 장비간 송/수신되는 메시지의 순서, 일정주기 등의 메시지 시퀀스 확인 절차 분석에는 시간과 노력이 상당히 필요하다. 연동통제문서(Interface Control Document) 정상 구현여부 확인 및 개발 간 변경되는 연동통제문서 재검증 확인을 위해 다수의 반복 시험과 테스트 케이스 작성 등 작업 시간 증가로 인한 피로 누적의 문제점도 발생한다. 또한, 예상치 못했던 메시지 상세 필드 오류 발생 및 운용 자의 정상적인 메시지 범위를 모두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메시지 범위가 초과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 데이터링크 별 데이터에 대한 사후 분석을 수행할 수 있는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시스템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시스템이 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시스템은 상기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시스템의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교전 모의를 수행하는 모의 장치;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상기 교전 모의를 통제하고 데이터 확인을 수행하는 통제 장치; 및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상기 네트워크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데이터에 대해 분석을 수행하여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데이터링크 분석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링크 분석 장치는 상기 데이터의 수집 및 분석을 위한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소프트웨어 CSC(Computer Software Component)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소프트웨어 CSC는 전술 데이터링크 GUI(Graphic User Interface) CSU, 전술 데이터링크 분석 CSU, 전술 데이터링 크 표준 핸들러(Standard Handler) CSU 및 링크 프로세서(Link Processor)CSU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술 데이터링크 GUI CSU는 GUI에 대한 플러그인 기능을 제공하고, 분석을 위한 시험 데이터의 전술 데이터링크 연동 체계 별 체계 설정 정보, 템플릿 분석을 위한 템플릿 설정 정보, 시험을 통해 획득된 연동 데이터 정보를 설 정 관련 분석 모듈과 사용자간의 인터페이스 메시지를 XML기반 메시지 표현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술 데이터링크 분석 CSU에 제공하고, 상기 전술 데이터링크 분석 CSU에서 분석된 데이터를 전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술 데이터링크 분석 CSU는 전술 데이터링크 표준 및 연동 통제문서를 기반으로 하여 입력된 체계정보 및 시험로그의 분석을 수행하고, 메시지 및 필드가 정의된 규약에 따라 송수신이 이루어졌는지 분석을 수행하고, 상기 전술 데이터링크 표준에서 정의된 유효값 및 체계 간 연동에서 허용된 유효한 값에 대하여 송수신하였는지 분석을 수행하고, 분석 대상 시험 중 수집된 메시지 및 필드 흐름을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전술 데이터링크 전문가 및 사용자가 정의한 시험에서 확인하고자 하는 메시 지 시퀀스, 분석의 결과물로 사용하기 위한 사용자 정의 그래프 분석을 수행하며, 입력 데이터를 토대로 해당 시험이 어떤 전장상황을 통해 이루어졌는지 확인하기 위한 전장상황 가시화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술 데이터링크 표준 핸들러 CSU는 데이터링크 분석을 위한 전술 데이터링크 표준에 해당하는 전술 데이터링크 메시지 구조 및 전송 규약, 메시지를 구성하는 필드의 데이터 요소 사전 (Data Element Dictionary)의 데이터 필드 식별자(Data Field Identifier, DFI), 데이터 사용 식별자(Data Use Identifier, DUI)와 데이터 항목(Data Item, DI)을 관리하고, 상기 전술 데이터링크 표준을 통해 체계의 연동 규약에서 메시지 송수신 규칙 및 필드 데이터 요소에 대한 유효 값에 대하여 정의한 ICD를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링크 프로세서 CSU는 설정된 체계 데이터 링크의 연동 정보 설정/분석 템플릿 설정 및 각 체계 링크의 분석 모듈을 로드하여 분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링크 분석 장치는 상기 데이터링크를 분석하기 위한 분석 정보 - 상기 분석 정보는 전술 데이터링크 표준 및 체계 연동 규칙을 포함함 - 를 설정하고, 상기 분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시스템의 설정을 수행하고, 메시지 흐름 규칙 및 그래픽 규칙을 포함하는 분석 규칙을 설정하고, 상기 분석 규칙에 기초하여 분석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분석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링크의 분석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링크 분석 장치는 상기 분석 규칙에 기초하여 상기 분석 데이터를 설정하고, 상기 분석 데이터의 설정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링크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링크 분석 장치는 상기 분석 데이터에 대해 분석 기능을 결정하고, 상기 분석 기능에 따라 상기 분석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분석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석 기능은 메시지 흐름, 메시지 주기, 사용자 정의 흐름 및 사용자 정의 그래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링크 분석 장치는 상기 분석 기능이 상기 메시지 흐름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분석 데이터에 대해 상기 메시지 흐름의 분석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메시지 흐름의 분석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링크 분석 장치는 상기 분석 기능이 상기 메시지 주기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분석 데이터에 대해 상기 메시지 주기의 분석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메시지 주기의 분석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링크 분석 장치는 상기 분석 기능이 상기 사용자 정의 흐름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분석 데이터에 대해 상기 사용자 정의 흐름의 분석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 정의 흐름의 분석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링크 분석 장치는 상기 분석 기능이 상기 사용자 정의 그래프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분석 데이터에 대해 상기 사용자 정의 그래프의 분석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 정의 그래프의 분석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링크 분석 장치는 상기 분석 데이터에 대해 재분석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분석 데이터에 대해 재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시스템에서의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방법이 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방법은 상기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시스템의 데이터링크 분석 장치에서, 네트워크의 데이터링크를 분석하기 위한 분석 정보 - 상기 분석 정보는 전술 데이터링크 표준 및 체계 연동 규칙을 포함함 - 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링크 분석 장치에서, 상기 분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시스템의 설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링크 분석 장치에서, 메시지 흐름 규칙 및 그래픽 규칙을 포함하는 분석 규칙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링크 분석 장치에서, 상기 분석 규칙에 기초하여 분석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링크 분석 장치에서, 상기 분석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링크의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석 규칙에 기초하여 분석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분석 규칙에 기초하여 상기 분석 데이터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 데이터의 설정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링크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링크의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분석 데이터에 대해 분석 기능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 기능에 따라 상기 분석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분석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석 기능은 메시지 흐름, 메시지 주기, 사용자 정의 흐름 및 사용자 정의 그래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석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분석 기능이 상기 메시지 흐름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분석 데이터에 대해 상기 메시지 흐름의 분석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메시지 흐름의 분석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석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분석 기능이 상기 메시지 주기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분석 데이터에 대해 상기 메시지 주기의 분석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메시지 주기의 분석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석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분석 기능이 상기 사용자 정의 흐름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분석 데이터에 대해 상기 사용자 정의 흐름의 분석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 정의 흐름의 분석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석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분석 기능이 상기 사용자 정의 그래프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분석 데이터에 대해 상기 사용자 정의 그래프의 분석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 정의 그래프의 분석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석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링크의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분석 데이터에 대해 재분석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분석 데이터에 대해 재분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통합 시험 시스템을 단위 시험, 통합 시험 및 체계 통합 점검에 활용하여 체계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체계 개발 시 연동될 LINK-16 및 MDIL에 대한 로그정보 사후 분석기로 활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분석정보 설정을 통한 다양한 형태의 로그정보 분석기로 확장 가능하다.
더욱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시험 상황 2차원 가시화를 통한 시험 상황 재현 및 분석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워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PBA(PlugIn-Based Architecture)로 설계된 프레임워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프레임워크 기반 데이터 교환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소프트웨어 CSC(Computer Software Component)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클래스 다이어그램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모드 및 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적인 통합 시험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시스템의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전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을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그러나, "부"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 함수, 속성, 프로시저, 서브루틴,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 드라이버,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 테이블, 어레이 및 변수를 포함한다. 구성요소와 "부" 내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 및 "부"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와 "부"로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에 기초하여"라는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기술되는, 결정 판단의 행위 또는 동작에 영향을 주는 하나 이상의 인자를 기술하는데 사용되며, 이 표현은 결정, 판단의 행위 또는 동작에 영향을 주는 추가적인 인자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시스템은 프레임워크 기반으로 설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SW) 프레임워크는 소프트웨어 개발에 연동 네트워크, 공통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기반요소로서, 기 검증된 컴포넌트 재사용 및 재활용으로 개발기간 단축 및 신뢰성 제고에 효과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워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프레임워크는 국방 M&S 분야에 최적화되어 설계/구현됨에 따라, 추상화된 코드 제공으로 써드파티(3rd party) 개발자나 고해상도 모델과의 확장성이 고려된 설계 구조를 나타낸다.
도 2는 PBA(PlugIn-Based Architecture)로 설계된 프레임워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프레임워크는 컴포넌트 간 상호 독립적인 인터페이스 및 상호 작용을 통해 컴포넌트의 추가 및 조합이 용이하고 재사용성이 높은 구조를 갖는다. 이는 구성요소 간 단일화 통신 인터페이스와 메시지 기반 통신을 지원하여 구성요소 간 종속관계를 약하게 하며, 플러그인 형태로 제공하여 동적 구성이 가능하게 한다. 동적 구성은 프레임워크를 구성하는 각 모듈의 기능 컴포넌트들을 미리 정의된 인터페이스(Interface)를 구현한 플러그인(Plug-In) 형태인 DLL(Dynamic linking library)을 런타임(Runtime)에 플러그인 및 플러그아웃(Plug-In & Plug-Out)을 가능하게 한다. 소프트웨어 형상관리 시스템으로 체계적인 코드관리를 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도 3은 프레임워크 기반 데이터 교환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메시지 기반 미들웨어 프로토콜로 플러그인(Plug-In) 기능 컴포넌트들이 메시지 교환을 수행하며, 이를 프레임워크에서 통제하도록 한다. 컴포넌트 간 메시지 교환은 코드기반이 아닌 문서(XML) 기반의 메시지 객체 모델을 정의해 메시지 인코딩/디코딩(Encoding/Decoding), 메시지 추가 및 수정, 삭제가 용이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명세서가 XML 파일로 기술되어 소스코드의 변경 없이 메시지 혹은 데이터 타입 구조를 쉽게 변경 가능하다. 인터페이스 명세서는 송수신되는 메시지에 대한 구조를 정의할 수 있다. 메시지를 구성하는 각 속성타입은 기본적인 타입 이외에 사용자가 자유롭게 타입을 정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각 메시지들은 메시지 교환 컴포넌트(Message Exchange Component)를 거쳐 메시지 교환버스(Message Exchange Bus)를 통해 발행 구독(Publish-Subscribe) 메시지를 교환할 수 있다. 이 방식은 마치 네트워크 환경에서 통신하듯이 컴포넌트 간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미 국방부 합참 군사용어집에 의하면 전술 데이터링크(Tactical Digital Information Link, TADIL)의 정의는 "디지털 정보 전송에 적합한 표준화된 통신링크이며, 전술정보 교환을 위해 하나 이상의 통신구조와 통신 매체를 경유하여, 2개 이상의 C2(Command and Control)체계 또는 무기체계와의 인터페이스를 갖는다."라고 명시되어 있다. 전술 데이터링크는 디지털화된 전술 네트워크 통신체계로써 감시체계, 타격체계 및 지휘통제체계와 연동하여 상황인식·위협평가·지휘결심·교전통제 등과 같은 전술작전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전술자료를 실시간 및 근실시간 교환을 위해 사용하고 있다.
무기체계 및 지휘통제체계들이 전술 데이터링크를 사용하는 목적은 각각의 탐지 센서의 종류가 존재하고, 탐지범위가 상이하지만 전술 데이터링크로 전술자료의 근 실시간 상호 운용 및 자료 융합으로 광역 상황인식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현대전은 네트워크 중심전(Network Centric Warfare, NCW)으로 발전하고 있어, 전술 데이터링크로 위협 표적 판단, 지휘통제체계들 간의 합동 전술로 아군의 타격자원을 효과적으로 운용해 위협으로부터 아군의 전투력 상승으로 이어진다.
감시 및 통제와 관련된 전술 데이터링크는 Link-1부터 Link-22까지 진화해 오고 있다. Link-1은 1950년에 설계된 저속의 점대점 데이터링크로, 보안성이 보장되지 않은 메시지의 단방향이나 양방향 송/수신이 가능하다. 사용 국가는 나토(NATO), 미국, 영국, 독일, 이탈리아 등이 있다. Link-4s는 시분할 다중접속 방식의 데이터링크로 지대공, 공대공, 공대지의 통신을 위해 나토 및 미국에서 사용되어 왔다. Link-11/Link-11B는 점대점 전이중 통신방식으로 사용되었으며, 항적, 함정, 지상에서 정보교환에 사용되어왔다. Link-14는 전술 데이터 처리 능력을 가진 함정에서 Link-11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는 부대나 함정으로 전술 표적정보를 송신한다. Link-16은 지휘통제, 위치정보, 피아식별정보 등을 포함하는 전술정보들의 항 재밍 실시간 전술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시분할 다중접속 방식을 사용한다. Link-22는 BLOS(Beyond Line of Sight) 통신을 제공하는 나토 보안 무선 시스템으로 Link-11의 결함을 대체하고 극복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Link-16과도 쉽게 보완 및 상호 운용되도록 설계된 최신 데이터 링크이다. ATDL-1은 미사일 포대 통제용 전술 데이터링크로 SAM(Surface to Air Missile) 포대와 지휘통제체계 간 디지털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사용하며, TSQ-73 및 Hawk 포대 등의 링크에 적용되어 있다.
한국이 전술 데이터링크를 사용하는 목적은 한·미 연합 작전 수행을 위함이다. 또한, 무기체계는 국외 도입되고 있어 전술 데이터링크와의 연동 불가피하며, 무기체계의 수명 주기에 따른 다양한 전술 데이터링크가 동시 운용되고 있다. 따라서, 전술 데이터링크의 분석 후 자국의 무기체계 계발 및 유지보수는 불가피한 상황이다.
TIGER(Northrop Grumman, Tactical Data Link Integration Exerciser)는 직접 연동을 통한 시험 및 분석 도구, 실시간 송수신 메시지 전시, 사후 저장된 메시지 전시 기능을 제공하며, Link 11A, Link 16 등 연동 및 분석 기능을 제공한다.
MANDRIL(LOCKHEED MARTIN, Message Analysis and Data Reduction for the Integration of Links)는 전술 데이터링크 사후 분석 도구이며, 메시지 디코딩 및 분석 결과 2D, 3D 전시 기능을 제공, Link-16 Link 22 등 분석 기능을 제공한다.
CIVET(LOCKHEED MARTIN, Combined Interoperability & Validation Tool)는 실시간 데이터 수집을 통한 전술 데이터링크 연동 분석 도구이며, Link-16 Link 22 등 분석 기능 제공, MANDRIL과 연동하여 사후 상세 분석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주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첫째, 분석을 위해 필요한 전술데이터링크 표준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 데이터링크 별 분석을 위한 메시지 구조 및 전송 주기에 대한 입력, 메시지를 구성하고 있는 필드의 데이터 요소 사전(Data Element Dictionary)의 데이터 필드 식별자(DFI : Data Field Identifier), 데이터 사용 식별자(DUI : Data Use Identifier)와 데이터 항목(DI : Data Item) 입력을 통해 전술데이터 분석에 활용될 정보를 설정하여 추후 연동통제문서를 통한 분석의 기본 데이터로 사용한다.
둘째, 연동체계 별 전술 데이터링크 인터페이스 규격을 입력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무기체계의 전술 데이터링크 운용을 위해서는 전술 데이터링크 표준을 통해 각 체계 별 연동 규격이 정해지는데 이 규격에 따라 통합 분석을 위한 체계 별 연동 규격에 대한 정의를 수행함으로써 분석 체계에 대한 메시지 및 필드의 분석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연동 규격에 대한 정의는 연동 시 사용되는 메시지의 송수신 규칙, 필드 데이터 요소에 대한 송수신 규칙 및 유효 값에 대하여 수행하게 된다.
셋째, 분석 결과를 생성하기 위한 분석 템플릿 설정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분석 템플릿은 전술 데이터링크를 통한 시험평가를 수행함에 있어서, 해당 체계 별 반복되는 시험을 분석하기 위한 분석틀이며, 이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 또는 전술 데이터링크 전문가에 의해 정의하고 분석에 사용할 수 있는 분석 템플릿 설정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메시지 및 필드에 대한 알림 트리거를 설정하고 분석 시 알림을 전시하여 사용자에게 인지를 시키는 기능, 메시지/필드 송수신 규칙 또는 유효 값에 대한 정의에 따라 유효성을 검증하는 기능, 사용자에게 전술 데이터링크를 통해 이루어지는 일련의 행위들에 대한 시퀀스를 설정하여 분석하는 기능, 특정 값들의 변화나 항적의 위치 분석을 위한 그래프 분석 설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넷째, 시험데이터를 통한 통합분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통합 분석은 입력된 데이터에 대하여 기본적으로 메시지 전시 기능을 제공하고, 분석 템플릿을 통한 분석 기능을 제공한다. 이는 체계 별 연동 규격에 따라 메시지 및 필드의 송수신, 필드의 데이터 유효성을 검증하며, 입력된 메시지 및 데이터의 흐름을 분석하고, 사용자가 기 정의한 시퀀스에 대한 케이스를 분석하며, 사용자가 정의한 그래프 데이터를 생성하고 가시화하며, 분석 플러그인 모듈에 정의된 전장상황 가시화 데이터를 통해 전장상황을 가시화/분석을 수행하게 된다.
다섯째, 분석결과의 체계적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추후 분석결과를 활용하기 위한 분석 결과 저장 및 출력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분석결과를 시험평가의 결과물로서 활용할 수 있도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시스템(400)은 네트워크(41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시스템(400)은 모의 장치(420), 통제 장치(430) 및 데이터링크 분석 장치(44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410)는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시스템(400)의 데이터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410)는 실 체계의 작전을 위한 데이터링크 네트워크(Tactical Data Network)(411),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시스템(400)의 내부 데이터 통신을 위한 시뮬레이션 네트워크(Simulation DDS Network)(412) 및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시스템(400)의 내부 고속데이터 통신을 위한 고속 데이터링크 네트워크(Super Rapid DDS Network)(413)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링크 네트워크(411), 시뮬레이션 네트워크(412) 및 고속 데이터링크 네트워크(413)는 데이터링크의 통합 분석을 위한 수집 대상에 해당할 수 있다.
모의 장치(420)는 네트워크(410)에 연결되고, 교전의 모의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모의 장치(4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협 모의부(Threat Simulator)(421), 요격탄 모의부(Missile Simulator)(422), 레이더 신호 생성부(Radar Signal Generator)(423) 및 레이더 연결 모의부(Radar Simulator)(424)를 포함할 수 있다.
위협 모의부(421)는 위협 객체를 모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위협 모의부(421)는 공중 위협, 탄도탄, 수상 함정 등을 포함하는 위협 객체를 모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위협 객체는 데이터베이스(도시하지 않음)에 저장될 수 있다.
요격탄 모의부(422)는 요격탄 모의 객체를 모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요격탄 모의부(422)는 탐지 및/또는 추적된 위협 객체(예를 들어, 공중 위협, 탄도탄, 수상 함정 등)를 요격하기 위한 요격탄 모의 객체를 모의할 수 있다.
레이더 신호 생성부(423)는 레이더 신호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레이더 신호 생성부(423)는 다기능레이더가 탐지할 수 있는 레이더 신호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더 신호 생성부(423)는 실체계 다기능레이더에 위협 및 요격탄의 신호를 모의하여 다기능레이더가 탐지할 수 있도록 레이더 신호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레이더 연결 모의부(424)는 레이더 기능 및 인터페이스를 모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레이더 연결 모의부(424)는 실체계 레이더의 기능 중 일부를 모의하고 통제 장치(430)의 인터페이스를 모의할 수 있다.
통제 장치(430)는 네트워크(410)에 연결되고, 전제적 시험(예를 들어, 교전 모의)을 통제하고 데이터 확인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통제 장치(4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용 통제 모듈(Test Control Computer)(431), 시뮬레이션 통제 데스크 모듈(Simulation Control Desk)(432) 및 교전 통제 모의 모듈(Engagement Control Simulator)(433)을 포함할 수 있다.
윤용 통제 모듈(431)은 전체적 운용(예를 들어, 시험)을 통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운용 통제 모듈(431)은 운용자에 의한 공중위협(예를 들어, 회전익, 고정익 등) 객체 시나리오 생성, 저장된 시나리오 로드, 시나리오 작성, 시나리오 저장, 시나리오 배포, 시나리오 로드, 시험 시작, 시험 중지 등과 같은 전체적 시험의 통제에 관여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 통제 데스크 모듈(432)은 네트워크(410)의 통제 및 데이터 확인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시뮬레이션 통제 데스크 모듈(432)은 네트워크(410)의 시뮬레이션 네트워크(412)를 통제하고 데이터를 확인하기 위한 운용 자 데스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시뮬레이션 통제 데스크 모듈(432)은 모의 장치(420)의 위협 모의부(421), 요격탄 모의부(422), 레이더 신 호 생성부(423) 및 레이더 연결 모의부(424)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서버에 해당할 수 있다.
교전 통제 모의 모듈(433)은 교전 모의에 관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교전 통제 모의 모듈(433)은 실 장비의 대응 인터페이스 모의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교전 통제 모의 모듈(433)은 교전 통제 모의기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서버에 해당할 수 있다.
데이터링크 분석 장치(440)는 네트워크(410)에 연결되고, 데이터링크의 통합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링크 분석 장치(440)는 네트워크(410)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링크 분석 장치(440)는 데이터링크 네트워크(411), 시뮬레이션 네트워크(412) 및 고속 데이터링크 네트워크(413)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링크 분석 장치(440)는 데이터의 수집 및 분석을 위한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소프트웨어 CSC(Computer Software Component)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소프트웨어 CSC(Computer Software Component)의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소프트웨어 CSC는 크게 4가지 CSU(Computer Software Unit)로 설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소프트웨어 CSC는 전술 데이터링크 GUI(Graphic User Interface) CSU, 전술 데이터링크 분석 CSU, 전술 데이터링크 표준 핸들러(Standard Handler) CSU 및 링크 프로세서(Link Processor) CSU를 포함할 수 있다.
표 1은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소프트웨어 CSC의 전술 데이터링크 GUI CSU, 전술 데이터링크 분석 CSU, 전술 데이터링크 표준 핸들러 CSU 및 링크 프로세서 CSU에 대한 기능을 나타낸다.
CSU Function
Tactical Data Link GUI Tactical Data Link GUI provides GUI to other component linkage and test information setting/display function.
Tactical Data Link Analysis Tactical Data Link Analysis validates the data acquired from the test. and has a template analysis function, and manages the analysis results.
TDL Standard Handler TDL Standard Handler provides a setting function for tactical data link standard data for analysis.
Link Processor Link Processor analyzes the acquired data by interlocking with the tactical data link.
표 1에 있어서, "Tactical Data Link GUI CSU"는 전술 데이터링크 GUI CSU이며, GUI에 대한 플러그인 기능을 제공하며 분석을 위한 시험 데이터의 전술 데이터링크 연동 체계 별 체계 설정 정보, 템플릿 분석을 위한 템플릿 설정 정보, 시험을 통해 획득된 연동 데이터 정보를 설정 관련 분석 모듈과 사용자간의 인터페이스 메시지를 XML기반 메시지 표현으로 변환하여 "Tactical Data Link Analysis CSU"에 제공하는 기능을 담당하며, "Tactical Data Link Analysis CSU"에서 분석된 데이터의 전시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Tactical Data Link Analysis CSU"는 전술 데이터링크 분석 CSU이며, 전술 데이터링크 표준 및 연동 통제문서를 기반으로 하여 입력된 체계정보 및 시험로그의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Tactical Data Link Analysis CSU"는 메시지 및 필드가 정의된 규약에 따라 송수신이 이루어졌는지 분석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전술 데이터링크 표준에서 정의된 유효값 및 체계 간 연동에서 허용된 유효한 값에 대하여 송수신하였는지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Tactical Data Link Analysis CSU"는 분석 대상 시험 중 수집된 메시지 및 필드 흐름을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전술 데이터링크 전문가 및 사용자가 정의한 시험에서 확인하고자 하는 메시지 시퀀스, 분석의 결과물로 사용하기 위한 사용자 정의 그래프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Tactical Data Link Analysis CSU"는 입력 데이터를 토대로 해당 시험이 어떤 전장상황을 통해 이루어졌는지 확인하기 위한 전장상황 가시화 분석을 수행하는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TDL Standard Handler CSU"는 전술 데이터링크 표준 핸들러 CSU이며, 데이터링크 분석을 위한 전술 데이터링크 표준에 해당하는 전술 데이터링크 메시지 구조 및 전송 규약, 메시지를 구성하는 필드의 데이터 요소 사전(Data Element Dictionary)의 데이터 필드 식별자(Data Field Identifier, DFI), 데이터 사용 식별자(Data Use Identifier, DUI)와 데이터 항목(Data Item, DI)을 관리하며, 전술 데이터링크 표준을 통해 체계의 연동 규약에서 메시지 송수신 규칙 및 필드 데이터 요소에 대한 유효 값에 대하여 정의한 ICD를 관리할 수 있다.
"Link Processor CSU"는 링크 프로세서 CSU이며, 설정된 체계 데이터 링크(MDIL 또는 Link-16)의 연동정보 설정/분석 템플릿 설정 및 각 체계 링크의 분석 모듈을 로드하여 분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Link Processor CSU"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링크 프로세서 CSU, B 링크 프로세서 CSU 및 C 링크 프로세서 CSU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Link Processor CSU"는 연동/분석이 필요한 다중 전술 데이터링크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Link Processor CSU"는 Link-16 및 MDIL(M-SAM Digital Information Link) 데이터링크의 유닛까지로 제한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클래스 다이어그램이다. 도 6을 참조하면, "Link16Processor" 및 "MDILProcessor"는 플러그인 형태의 CSU로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2개의 CSU 이외에도 플러그인 형태로 되어있지만, 아키텍처 품질 속성 측면에서 재사용성(Reusability), 확장성(Extensibility), 변경용이성(Modifiability).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이 우수해 여러 형태의 분석 시스템으로 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언급한 사항이다.
소프트웨어 품질 속성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재사용성 면에서는 "Link16Processor"와 "MDILProcessor"를 지칭하는 "LinkProcessor"가 타 무기체계 시뮬레이터에서 재사용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확장성면에서는 새로운 전술데이터링크로 구현되는 체계와 연동되는 "LinkProcessor"를 구현한 후 추가 플러그인이 가능하다. 변경 용이성면에서는 표준의 버전 변경의 변경 발생 및 연동 통제 규약 변경 시 "LinkProcessor" 부분만 변경 후 업데이트할 수 있어 수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추가되거나 제거되는 "LinkProcessor"를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통해 플러그인/아웃이 가능한 구조이다. 상호 운용성 측면에서는 동일 링크 체계를 운용하는 무기체계 또는 시뮬레이터의 경우 입력 데이터의 양식만 유지된다면, 원하고자 하는 분석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운용 가능하다는 점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메인 화면에 해당한다. 메뉴 및 툴바는 파일, 편집, 모드, 설정, 분석, 플러그 인 메뉴 등이 있으며 하위 메뉴로 분석에 필요한 기능이 풀려 있다. 분석 데이터 필터 창은 링크 메시지 항목 선택 시 분석리스트 창에 해당 데이터를 전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분석 리스트 창은 분석 데이터 설정 후 분석된 데이터가 전시되며, 필터 창에서 선택한 분석 메시지가 전시된다. 출력 창은 이벤트 정보 전시에 사용되며, 메시지 필드 상세 정보 창은 분석데이터 리스트에 선택된 항목 상세정보를 전시하게 된다. 분석 시간 제어 창은 선택된 항목의 시간 전시 및 시간 제어 슬라이드 컨트롤 제어로 해당시간 데이터 활성 전시에 관여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모드 및 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방법은 전술 데이터링크 통합분석기 메인화면의 설정모드에서 분석하고자 하는 기능(도 8의 "Setting mode")의 설정을 끝내고 분석모드로 변경한 후 각 기능(도 8의 "Analysis Mode")을 확인할 수 있다.
표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정 모드 및 분석 모드에 따른 각 기능들과 그 의미를 나타내고 있다.
Function Explanation
Setting Mode Analysis Information
Setting
A function to define Standard, ICD, DFI/DUI and set information to be used for analysis
Analysis System
Setting
The ability to establish which schemes will be involved in the analysis
Sequence
Rule
Setting
A function to enable future sequence analysis by defining the message rules exchanged between systems
Graph
Rule
Setting
A function to enable future graph analysis by defining specific fields among messages exchanged between systems
Plug-In
Managing
A function to set addition and deletion by managing the analysismodule by plug-in
Analysis
Data
Setting
The ability to generate analysis data by adding logs that occur in chronological order
Analysis Mode Data
Sequence
Analysis
The ability to generate a chronological sequence of messages exchanged between systems using analysis data
User
Define
Sequence
Analysis
The ability to create a sequence according to the rules for messages exchanged between systems with the information defined in the sequence rule setting
User
Graph
Analysis
A function to create a user graph by using the analysis data with the information defined in the graph rule setting
Message
Cycle
Analysis
A function to select a specific message or track number to create a message cycle analysis graph based on the reception time
Battlefield
Situation
Observation
A function to display the information on a map by using the track information among the analyzed data.
표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시스템의 실험 환경을 나타내고 있다. 실 장비를 제외한 데이터링크 통합분석 시스템 및 시험 환경은 윈도우즈 기반으로 개발 및 시험에 사용되었다.
Experiment Environment
CPU Intel(R)Core i7-6700 2.6GHz
RAM 16GB
SYSTEM 64bit OS
Operating System Microsoft Windows 10
Compiler MSVC++14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적인 통합 시험 구성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데이터링크 통합분석 장치는 시뮬레이션 망과, 작전 망에 연동되어 있는 구성이다. 데이터링크 통합분석 장치와 시뮬레이션 망의 송/수신 메시지는 시뮬레이션 시작 및 중지와 관련된 메시지이다. 데이터링크 통합분석 장치와 작전 망과의 송/수신 메시지는 전술데이터링크 표준인 MDIL 메시지와 Link-16 메시지이다.
종래의 시스템에서는 네트워크에 가입된 각 장치들이 네트워크로부터 송/수신되는 메시지들이 CSV포맷에 지속적으로 기록을 해서, 시험이 종료된 이후 저장되는 형태여서 실시간 분석이 불가능 했다. 또한, 각 장치별 로그간 상관관계 및 메시지 간 시퀀스 확인, 메시지의 유효 값 확인을 위해서 시험시간 대비 70%이상의 시간과 메시지들의 사전지식이 필요하다.
종래의 시스템에서는 저장된 로그 분석 형태였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시스템은 사전에 설정된 규칙을 바탕으로 다양한 사후 분석이 가능하다. 저장된 규칙에 의해 메시지 상관관계 및 시퀀스, 메시지 유효성, 메시지 주기 등 그래프로 표현되어 사전지식 없이도 즉각적인 확인이 가능하게 해서 데이터분석 시간을 줄여준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시스템(400)의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시스템(40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흐름분석, 데이터 유효 값 확인, 메시지 주기 분석, 사용자 데이터 그래프 분석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전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시스템(40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벤트 전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분석의 시작부터 메시지 송수신 기록 및 유효 값 분석 등 다양한 로그에 대한 출력을 확인할 수 있어서 작전 망의 데이터 분석에 탁월하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시스템(400)의 설계 및 개발을 통해 종래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시스템(400)은 전술 데이터링크 Link-16 및 MDIL 데이터에 대한 사후 분석 기 능을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주요기능으로 전술 데이터링크 표준 및 체계 연동규칙 등 전술데이터링크 분석 정보 설정이 있다. Link-16 및 MDIL 로그 분석 기능이 있으며, 메시지 및 필드 송수신, 필드 값 유효성 분석 및 메시지 주기 및 사용자 정의 그래프 분석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시스템(400)을 통해 전장상황 가시화 분석 및 분석결과 관리가 가능하며, 객체지향 개발 방법론으로 자동화 도구를 통한 개발의 검증이 확인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도시된 흐름도에서 프로세스 단계들, 방법 단계들, 알고리즘들 등이 순차적인 순서로 설명되었지만, 그러한 프로세스들, 방법들 및 알고리즘들은 임의의 적합한 순서로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프로세스들, 방법들 및 알고리즘들의 단계들이 본 발명에서 기술된 순서로 수행될 필요는 없다. 또한, 일부 단계들이 비동시적으로 수행되는 것으로서 설명되더라도,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일부 단계들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의 묘사에 의한 프로세스의 예시는 예시된 프로세스가 그에 대한 다른 변화들 및 수정들을 제외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으며, 예시된 프로세스 또는 그의 단계들 중 임의의 것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에 필수적임을 의미하지 않으며, 예시된 프로세스가 바람직하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단계 S1202에서,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시스템(400)은 데이터링크를 분석하기 위한 분석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시스템(400)의 데이터링크 분석 장치(440)는 전술 데이터링크 표준 및 체계 연동 규칙을 포함하는 분석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단계 S1204에서,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시스템(400)은 설정된 분석 정보에 기초하여 구성요소의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시스템(400)의 데이터링크 분석 장치(440)는 설정된 분석 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410), 모의 장치(420) 및 통제장치(430)의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1206에서,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시스템(400)은 분석 규칙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시스템(400)의 데이터링크 분석 장치(440)는 메시지 흐름 규칙 및 그래픽 규칙을 포함하는 분석 규칙을 설정할 수 있다.
단계 S1208에서,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시스템(400)은 설정된 분석 규칙에 기초하여 분석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시스템(400)의 데이터링크 분석 장치(440)는 설정된 분석 규칙에 기초하여 분 석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다. 데이터링크 분석 장치(440)는 분석 데이터의 설정에 기초하여 데이터링크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단계 S1210에서,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시스템(400)은 수집된 분석 데이터에 기초하여 데이터링크의 분석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 링크 통합 분석 시스템(400)의 데이터링크 분석 장치(440)는 수집된 분석 데이터에서 분석할 기능(이하, "분석 기능"이라 함)을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링크 분석 장치(440)는 메시지 흐름, 메시지 주기, 사용자 정의 흐름 및 사용자 정의 그래프를 분석 기능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링크 분석 장치(440)는 선택된 분석 기능에 따라 수집된 분석 데이터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분석 결과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운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링크 분석 장치(440)는 선택된 분석 기능이 메시지 흐름인 것으로 판단되면, 데이터링크 분석 장치(440)는 수집된 분석 데이터에 대해 메시지 흐름의 분석 처리를 수행하여 메시지 흐름의 분석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링크 분석 장치(440)는 선택된 분석 기능이 메시지 주기인 것으로 판단되면, 데이터링크 분석 장치(440)는 수집된 분석 데이터에 대해 메시지 주기의 분석 처리를 수행하여 메시지 주기의 분석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링크 분석 장치(440)는 선택된 분석 기능이 사용자 정의 흐름인 것으로 판단되면, 데이터링크 분석 장치(440)는 수집된 분석 데이터에 대해 사용자 정의 흐름의 분석 처리를 수행하여 사용자 정의 흐름의 분석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링크 분석 장치(440)는 선택된 분석 기능이 사용자 정의 그래프인 것으로 판단되면, 데이터링크 분석 장치(440)는 수집된 분석 데이터에 대해 사용자 정의 그래프의 분석 처리를 수행하여 사용자 정의 그래프의 분석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계 S1212에서,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시스템(400)은 수집된 분석 데이터의 재분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시스템(400)의 데이터링크 분석 장치(440)는 수집된 분석 데이터에 대해 재분석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데이터링크 분석 장치(440)는 수집된 분석 데이터에 대해 재분석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1210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위 방법은 특정 실시예들을 통하여 설명되었지만, 위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위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 일부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예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400: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시스템, 410: 네트워크, 411: 데이터링크 네트워크, 412: 시뮬레이션 네트워크, 413: 고속 데이터링크 네트워크, 420: 모의 장치, 421: 위협 모의부, 422: 요격탄 모의부, 423: 레이더 신호 생성부, 424: 레이더 연결 모의부, 430: 통제 장치, 431: 문용 통제 모듈, 432: 시뮬레이션 통제 데스크 모듈, 433: 교전 통제 모의 모듈, 440: 데이터링크 분석 장치

Claims (24)

  1.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시스템으로서,
    상기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시스템의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교전 모의를 수행하는 모의 장치;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상기 교전 모의를 통제하고 데이터 확인을 수행하는 통제 장치; 및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상기 네트워크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데이터에 대해 분석을 수행하여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데이터링크 분석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링크 분석 장치는 상기 데이터의 수집 및 분석을 위한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소프트웨어 CSC(Computer Software Component)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소프트웨어 CSC는 전술 데이터링크 GUI(Graphic User Interface) CSU, 전술 데이터링크 분석 CSU, 전술 데이터링크 표준 핸들러(Standard Handler) CSU 및 링크 프로세서(Link Processor) CSU를 포함하며,
    상기 전술 데이터링크 분석 CSU는
    전술 데이터링크 표준 및 연동 통제문서를 기반으로 하여 입력된 체계정보 및 시험로그의 분석을 수행하고,
    메시지 및 필드가 정의된 규약에 따라 송수신이 이루어졌는지 분석을 수행하고,
    상기 전술 데이터링크 표준에서 정의된 유효값 및 체계 간 연동에서 허용된 유효한 값에 대하여 송수신하였는지 분석을 수행하고,
    분석 대상 시험 중 수집된 메시지 및 필드 흐름을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전술 데이터링크 전문가 및 사용자가 정의한 시험에서 확인하고자 하는 메시지 시퀀스, 분석의 결과물로 사용하기 위한 사용자 정의 그래프 분석을 수행하며,
    입력 데이터를 토대로 해당 시험이 어떤 전장상황을 통해 이루어졌는지 확인하기 위한 전장상황 가시화 분석을 수행하는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술 데이터링크 GUI CSU는
    GUI에 대한 플러그인 기능을 제공하고,
    분석을 위한 시험 데이터의 전술 데이터링크 연동 체계 별 체계 설정 정보, 템플릿 분석을 위한 템플릿 설정 정보, 시험을 통해 획득된 연동 데이터 정보를 설 정 관련 분석 모듈과 사용자간의 인터페이스 메시지를 XML기반 메시지 표현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술 데이터링크 분석 CSU에 제공하고,
    상기 전술 데이터링크 분석 CSU에서 분석된 데이터를 전시하는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술 데이터링크 표준 핸들러 CSU는
    데이터링크 분석을 위한 전술 데이터링크 표준에 해당하는 전술 데이터링크 메시지 구조 및 전송 규약, 메시지를 구성하는 필드의 데이터 요소 사전 (Data Element Dictionary)의 데이터 필드 식별자(Data Field Identifier, DFI), 데이터 사용 식별자(Data Use Identifier, DUI)와 데이터 항목(Data Item, DI)을 관리하고,
    상기 전술 데이터링크 표준을 통해 체계의 연동 규약에서 메시지 송수신 규칙 및 필드 데이터 요소에 대한 유효 값에 대하여 정의한 ICD를 관리하는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프로세서 CSU는 설정된 체계 데이터 링크의 연동 정보 설정/분석 템플릿 설정 및 각 체계 링크의 분석 모듈을 로드하여 분석하는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링크 분석 장치는
    상기 데이터링크를 분석하기 위한 분석 정보 - 상기 분석 정보는 전술 데이터링크 표준 및 체계 연동 규칙을 포함함 - 를 설정하고,
    상기 분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시스템의 설정을 수행하고,
    메시지 흐름 규칙 및 그래픽 규칙을 포함하는 분석 규칙을 설정하고,
    상기 분석 규칙에 기초하여 분석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분석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링크의 분석 결과를 생성하는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링크 분석 장치는
    상기 분석 규칙에 기초하여 상기 분석 데이터를 설정하고,
    상기 분석 데이터의 설정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링크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링크 분석 장치는
    상기 분석 데이터에 대해 분석 기능을 결정하고,
    상기 분석 기능에 따라 상기 분석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분석 결과를 생성하는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기능은 메시지 흐름, 메시지 주기, 사용자 정의 흐름 및 사용자 정의 그래프를 포함하는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링크 분석 장치는 상기 분석 기능이 상기 메시지 흐름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분석 데이터에 대해 상기 메시지 흐름의 분석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메시지 흐름의 분석 결과를 생성하는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링크 분석 장치는 상기 분석 기능이 상기 메시지 주기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분석 데이터에 대해 상기 메시지 주기의 분석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메시지 주기의 분석 결과를 생성하는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링크 분석 장치는 상기 분석 기능이 상기 사용자 정의 흐름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분석 데이터에 대해 상기 사용자 정의 흐름의 분석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 정의 흐름의 분석 결과를 생성하는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시스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링크 분석 장치는 상기 분석 기능이 상기 사용자 정의 그래프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분석 데이터에 대해 상기 사용자 정의 그래프의 분석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 정의 그래프의 분석 결과를 생성하는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시스템.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링크 분석 장치는 상기 분석 데이터에 대해 재분석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분석 데이터에 대해 재분석을 수행하는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시스템.
  16.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시스템에서의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방법으로서,
    상기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시스템의 데이터링크 분석 장치에서, 네트워크의 데이터링크를 분석하기 위한 분석 정보 - 상기 분석 정보는 전술 데이터링크 표준 및 체계 연동 규칙을 포함함 - 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링크 분석 장치에서, 상기 분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시스템의 설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링크 분석 장치에서, 메시지 흐름 규칙 및 그래픽 규칙을 포함하는 분석 규칙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링크 분석 장치에서, 상기 분석 규칙에 기초하여 분석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링크 분석 장치에서, 상기 분석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링크의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소프트웨어 CSC는 전술 데이터링크 GUI(Graphic User Interface) CSU, 전술 데이터링크 분석 CSU, 전술 데이터링크 표준 핸들러(Standard Handler) CSU 및 링크 프로세서(Link Processor) CSU를 포함하며,
    상기 전술 데이터링크 분석 CSU는
    전술 데이터링크 표준 및 연동 통제문서를 기반으로 하여 입력된 체계정보 및 시험로그의 분석을 수행하고,
    메시지 및 필드가 정의된 규약에 따라 송수신이 이루어졌는지 분석을 수행하고,
    상기 전술 데이터링크 표준에서 정의된 유효값 및 체계 간 연동에서 허용된 유효한 값에 대하여 송수신하였는지 분석을 수행하고,
    분석 대상 시험 중 수집된 메시지 및 필드 흐름을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전술 데이터링크 전문가 및 사용자가 정의한 시험에서 확인하고자 하는 메시지 시퀀스, 분석의 결과물로 사용하기 위한 사용자 정의 그래프 분석을 수행하며,
    입력 데이터를 토대로 해당 시험이 어떤 전장상황을 통해 이루어졌는지 확인하기 위한 전장상황 가시화 분석을 수행하는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규칙에 기초하여 분석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분석 규칙에 기초하여 상기 분석 데이터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 데이터의 설정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링크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링크의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분석 데이터에 대해 분석 기능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 기능에 따라 상기 분석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분석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기능은 메시지 흐름, 메시지 주기, 사용자 정의 흐름 및 사용자 정의 그래프를 포함하는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분석 기능이 상기 메시지 흐름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분석 데이터에 대해 상기 메시지 흐름의 분석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메시지 흐름의 분석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분석 기능이 상기 메시지 주기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분석 데이터에 대해 상기 메시지 주기의 분석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메시지 주기의 분석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분석 기능이 상기 사용자 정의 흐름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분석 데이터에 대해 상기 사용자 정의 흐름의 분석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 정의 흐름의 분석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방법.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분석 기능이 상기 사용자 정의 그래프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분석 데이터에 대해 상기 사용자 정의 그래프의 분석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 정의 그래프의 분석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방법.
  24.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링크의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분석 데이터에 대해 재분석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분석 데이터에 대해 재분석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방법.
KR1020230016096A 2023-02-07 2023-02-07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시스템 및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방법 KR102569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6096A KR102569716B1 (ko) 2023-02-07 2023-02-07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시스템 및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6096A KR102569716B1 (ko) 2023-02-07 2023-02-07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시스템 및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9716B1 true KR102569716B1 (ko) 2023-08-24

Family

ID=87841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6096A KR102569716B1 (ko) 2023-02-07 2023-02-07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시스템 및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971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8302B1 (ko) * 2012-04-16 2012-10-09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네트워크 중심전 기반 복합 무기체계의 체계 통합과 체계 연동을 위한 lvc 환경 상호 운용성 시험 방법 및 장치
KR20140112811A (ko) * 2013-03-14 2014-09-24 국방과학연구소 V-c 연동 전투효과 분석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2093923B1 (ko) * 2019-07-23 2020-03-27 국방과학연구소 전술 데이터 링크에서의 메시지 통합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8302B1 (ko) * 2012-04-16 2012-10-09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네트워크 중심전 기반 복합 무기체계의 체계 통합과 체계 연동을 위한 lvc 환경 상호 운용성 시험 방법 및 장치
KR20140112811A (ko) * 2013-03-14 2014-09-24 국방과학연구소 V-c 연동 전투효과 분석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2093923B1 (ko) * 2019-07-23 2020-03-27 국방과학연구소 전술 데이터 링크에서의 메시지 통합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07280134B1 (ar) تشكيل مهمة بشكل تكيـُّـفي
Handley et al. Human view dynamics—The NATO approach
CN114169142A (zh) 面向通用作战流程的任务元模型构建方法、数据库及装置
KR102569716B1 (ko)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시스템 및 데이터링크 통합 분석 방법
CN111756762A (zh) 车辆安全性分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Barzeele et al. Experience in designing for cyber resiliency in embedded DOD systems
CN112685897A (zh) 一种不同等级训练系统仿真数据包需求清单构建方法
KR101194053B1 (ko) 데이터링크를 이용한 lvc 체계 연동 시스템
Jansen et al. Testbeds for IT systems in tactical environments
Wilson et al. Interfacing Force-on-force and Communications Models: MANA and JNE
Tian et al. Conformance Testing of Link 16 Message Standard based on ATC-Gen
KR102660039B1 (ko) 플러그 인 모델 기반의 통합 모델링과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KR102345332B1 (ko) 항공전자전 신호 수집용 무기체계 통합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 방법
Hudgins et al. The Test and Training Enabling Architecture, TENA, Enabling Technology For The Joint Mission Environment Test Capability (JMETC) and Other Emerging Range Systems
Hudgins et al. Telemetry Applications of TENA and JMETC
Ortiz et al. DOE in DT: The Place to Be!
Hudgins et al. USING TENA AND JMETC FOR TELEMETRY APPLICATIONS
Hudgins et al. Telemetry Applications of TENA, JMETC, and TRMC BDA
Hudgins et al. TENA, JMETC, and BDA Tools for Telemetry
Hua et al. An Exploratory Study on Interfacing the Simulation Training Exercise Platform (STEP) with Operational Simulators
Leite et al. Definition of evaluation criteria for system development acquisition modeling and simulation
Hudgins et al. TENA and JMETC, Enabling Integrated Testing in Joint Distributed LVC Environments
Chen et al. Design of networked air defense fire control simulation system based on BOM
Tyagi UTILIZATION OF SYNTHETIC ENVIRONMENT FOR DEFENCE EXPERIMENTATION IN PLANNING, EVALUATION AND ACQUISITION OF C4ISR SYSTEMS
Beavin et al. J-MASS DIS interface using por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