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9541B1 - 미서기 창호 - Google Patents

미서기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9541B1
KR102569541B1 KR1020220171428A KR20220171428A KR102569541B1 KR 102569541 B1 KR102569541 B1 KR 102569541B1 KR 1020220171428 A KR1020220171428 A KR 1020220171428A KR 20220171428 A KR20220171428 A KR 20220171428A KR 102569541 B1 KR102569541 B1 KR 102569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indoor
outdoor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1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주
김영주
Original Assignee
이동주
김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주, 김영주 filed Critical 이동주
Priority to KR1020220171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95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9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9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3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e.g. flexible or rigid rack-and-pinion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16Pi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22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0Electronic control of motors
    • E05Y2400/32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 E05Y2400/322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by using absolute position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60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 E05Y2400/61Power supply
    • E05Y2400/616Generators
    • E05Y2400/628Solar c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7Mounting of screens to window or door

Abstract

본 발명은 미서기 창호에 관한 것으로서, 상하좌우에 각각 형성되어 사각 형상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상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 좌측 프레임 및 우측 프레임을 구비하는 창틀 프레임; 상기 창틀 프레임의 두께 방향 실내측 단부에서 상기 창틀 프레임을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실내측 창문; 상기 창틀 프레임의 두께 방향 실외측 단부에서 상기 창틀 프레임을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실외측 창문; 상기 창틀 프레임의 두께 방향 중간부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창틀 프레임의 상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 좌측 프레임 및 우측 프레임에 접하도록 상기 창틀 프레임에 삽입되는 외측 프레임과, 상기 외측 프레임의 좌우 방향 중간에서 수직하게 세워지는 연결 프레임을 구비하는 중간 프레임; 상기 외측 프레임과 상기 연결 프레임의 실내외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실내측 창문과 상기 실외측 창문에 밀착되는 밀봉부재; 상기 중간 프레임 중 실내측 창문의 실외측 위치에서 상기 외측 프레임과 연결 프레임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을 채우는 방충망; 및 상기 실내측 창문과 상기 실외측 창문 중 적어도 하나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자동 계폐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미서기 창호{Horizontal Sliding Door and/or Windows}
본 발명은 미서기 창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우수한 기밀성과 내구성을 가지고 자동으로 개폐하는 것이 가능한 미서기 창호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급격한 기후 변화와 에너지 비용의 상승으로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주택이나 상업용 빌딩과 같은 건축물 측면에서 환경을 보호할 수 있는 유효한 방법은 에너지의 사용을 줄이는 것이며, 냉·난방 효율을 높임으로써 건축물에서 사용되는 에너지를 상당히 절약할 수 있다.
건축물의 냉·난방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냉·난방기 자체의 성능을 높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외기가 유입될 수 있는 창호 부분에서 기밀성을 높여주는 것 또한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슬라이딩 방식의 미서기 창호의 경우, 창틀 프레임과 창문 프레임 사이, 내측 창문 프레임과 외측 창문 프레임 사이에서 기밀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종래기술 중의 하나인 등록번호 제10-1684408호의 '밀착식 미서기 창호'에서는 내측 창문 프레임과 외측 창문 프레임 사이의 기밀성을 위해 내측 창문 프레임과 외측 창문 프레임 사이에 중간부를 개재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런데 상기 종래기술는 중간부가 외측 창문 프레임 측으로만 설치되기 때문에 중간부의 가스켓이 쉽게 열화되어 기밀성이 저하될 수 있다.
그리고 중간부의 부가에 의해 창틀 프레임의 두께가 커지고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창문은 보통 수동으로 개폐되는데, 에너지 효율을 높이거나 안전상의 문제를 예방·해결하기 위해 창문을 자동으로 개폐할 필요성이 있다.
KR 10-1684408 B1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밀성을 지속하는 측면과 경제적인 측면에서 유리하고 자동 개폐가 가능한 미서기 창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위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상하좌우에 각각 형성되어 사각 형상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상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 좌측 프레임 및 우측 프레임을 구비하는 창틀 프레임; 상기 창틀 프레임의 두께 방향 실내측 단부에서 상기 창틀 프레임을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실내측 창문; 상기 창틀 프레임의 두께 방향 실외측 단부에서 상기 창틀 프레임을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실외측 창문; 상기 창틀 프레임의 두께 방향 중간부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창틀 프레임의 상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 좌측 프레임 및 우측 프레임에 접하도록 상기 창틀 프레임에 삽입되는 외측 프레임과, 상기 외측 프레임의 좌우 방향 중간에서 수직하게 세워지는 연결 프레임을 구비하는 중간 프레임; 상기 외측 프레임과 상기 연결 프레임의 실내외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실내측 창문과 상기 실외측 창문에 밀착되는 밀봉부재; 상기 중간 프레임 중 실내측 창문의 실외측 위치에서 상기 외측 프레임과 연결 프레임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을 채우는 방충망; 및 상기 실내측 창문과 상기 실외측 창문 중 적어도 하나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자동 계폐장치;를 포함하는 미서기 창호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자동 개폐장치는, 상기 실내측 창문 또는 상기 실외측 창문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실내측 창문 또는 상기 실외측 창문에 대한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 전달을 조절하는 구동력 전달 조절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구동부와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실내측 창문 또는 상기 실외측 창문에 고정되는 모터, 상기 창틀 프레임에서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래크, 및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래크에 맞물리는 피니언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동력 전달 조절부는, 상기 실내측 창문 또는 상기 실외측 창문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조절 레일; 상기 모터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조절 레일에 맞물려 상기 조절 레일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레일 이동체; 상기 모터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 홈을 구비하는 고정대 가이드 홈부; 및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조절 레일의 상항 방향 상 소정 위치에 체결되는 고정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는, 미서기 창호의 실외측에 설치되는 태양전지, 및 상기 태양전지에서 발생한 전기를 저장하는 배터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는, 외부 전원과의 연결 단자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자동 개폐장치는, 미서기 창호의 개폐 요인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센서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자동 개폐장치는, 외부의 제어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의 데이터를 외부로 전달하는 통신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자동 개폐장치는, 상기 창틀 프레임에 대한 상기 실내측 창문 또는 상기 실외측 창문의 위치를 감지하는 창문 위치 감지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중간 프레임은, 실내외측면에서 상기 중간 프레임의 연장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내부 공간의 폭보다 좁은 폭의 결합 입구를 구비하는 격실을 포함하고,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결합 입구의 폭보다 더 큰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위치하며, 오목한 부분이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2개의 호 형상의 결합다리; 상기 결합다리들의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대; 상기 연결대의 폭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결합다리 반대측을 향해 개방된 공간을 구비하는 수납체; 및 일단부가 상기 수납체에 삽입되는 밀봉모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 프레임은, 상기 창틀 프레임에 내측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며, 두께 방향 중간에 결합홈을 구비하는 결합 프레임; 및 상기 결합홈에 끼워져 상기 결합 프레임에 고정되는 본체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창호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실외측 창문에 대해 상기 실내측 창문을 고정하는 잠금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실외측 창문의 테두리 실내측면에서 중앙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며, 단부에 상기 실내측 창문 방향으로 후크 형태로 굴곡되는 굴곡부를 포함하는 걸림부재; 및 상기 실내측 창문의 테두리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실내측 창문의 테두리의 외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굴곡부에 삽입되는 제1 결합부를 구비하는 제1 잠금대, 및 상기 제1 잠금대의 상기 제1 결합부 반대측 단부에 힌지 결합하며 상기 굴곡부를 감싸는 제2 결합부를 구비하는 제2 잠금대를 포함하는 결합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실내측 창문과 상기 실외측 창문은 각각 2개의 복층 유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서기 창호에 의하면, 중간 프레임과 밀봉부재에 의해 실내측 창문과 실외측 창문 사이의 틈을 밀폐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창호의 기밀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실내측 창문과 실외측 창문이 바람 등에 의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실내·외측 창문의 흔들림에 의해 밀봉부재의 내구성이 떨어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방충망이 중간 프레임에 형성되므로 실외측 창문의 실외측으로 별도의 방충창을 형성할 필요가 없고, 이에 따라 창틀 프레임의 두께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여 창호를 경제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뿐만 아니라 창문을 자동으로 개폐하는 것이 가능하여 실내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에너지 효율을 보다 높여주는 것이 가능하며, 건물 사용의 편리성을 높여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미서기 창호의 중간 프레임은 기존의 창호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미서기 창호의 잠금부재와 복층 유리는 창호의 에너지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밀봉형 미서기 창호를 실내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밀봉형 미서기 창호를 실외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밀봉형 미서기 창호의 수직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밀봉형 미서기 창호의 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밀봉형 미서기 창호를 구성하는 자동 개폐장치에 관한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밀봉형 미서기 창호를 구성하는 구동력 전달 조절부에 관한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밀봉형 미서기 창호를 구성하는 밀봉부재에 대한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밀봉형 미서기 창호를 구성하는 외측 프레임에 대한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밀봉형 미서기 창호를 구성하는 실내측 창문과 실외측 창문이 2개의 복층 유리를 구비하는 경우에 대한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밀봉형 미서기 창호를 구성하는 잠금부재에 대한 설명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밀봉형 미서기 창호(10)를 실내에서 바라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밀봉형 미서기 창호(10)를 실외에서 바라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밀봉형 미서기 창호(10)의 수직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밀봉형 미서기 창호(10)의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밀봉형 미서기 창호(10)는 크게, 창틀 프레임(100), 실내측 창문(200), 실외측 창문(300), 중간 프레임(400), 밀봉부재(500), 방충망(600) 및 자동 개폐장치(8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참고로, 본 발명에 의한 밀봉형 미서기 창호(10)에 대해 설명하면서 실외측, 실내측은 창호가 설치된 상태에서 실외를 향하는 방향, 실내를 향하는 방향을 가리키며, 내측, 외측은 창호 테두리의 내측 방향, 창호 테두리의 외측 방향을 가리킨다.
창틀 프레임(100)은 건축물의 벽체에서 미서기 창호(10)의 틀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상하좌우에 각각 배치되는 상부 프레임(110), 하부 프레임(120), 좌측 프레임(130) 및 우측 프레임(140)으로 이루어져 전체적인 형상이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창틀 프레임(100)의 내측면에는 실내측 창문(200)·실외측 창문(300)의 이동을 가이드하고 실내측 창문(200)·실외측 창문(300)을 창틀 프레임(100)에 결합하기 위한 레일(L)이 구비된다. 창틀 프레임(100)의 두께 방향 상에서 실외측 단부에는 실외측 창문(300)을 위한 실외측 레일(L2)이 구비되고, 창틀 프레임(100)의 두께 방향 상에서 실내측 단부에는 실내측 창문(200)을 위한 실내측 레일(L1)이 구비되된다.
실내측 창문(200)은 창틀 프레임(100)의 두께 방향의 실내측 단부에서 창틀 프레임(100)을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즉, 실내측 창문(200)은 실내측 레일(L1)을 따라 이동한다. 실내측 창문(200)의 테두리를 이루는 창문 프레임(210) 중 하부의 수평한 프레임 내에는 호차(W)가 구비되어, 호차(W)가 실내측 레일(L1)을 따라 구름으로써 실내측 창문(200)이 원활하게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외측 창문(300)은 창틀 프레임(100)의 두께 방향의 실외측 단부에서 창틀 프레임(100)을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즉, 실외측 창문(300)은 실외측 레일(L2)을 따라 이동한다. 실외측 창문(300)의 테두리를 이루는 창문 프레임 (310)중 하부의 수평한 프레임 내에도 호차(W)가 구비될 수 있다.
중간 프레임(400)은 창틀 프레임(100)의 두께 방향의 중간부에 위치한다. 즉, 창틀 프레임(100)의 두께 방향 상에서 실외측 창문(300)과 실내측 창문(200)이 배치되는 위치 사이에 배치된다.
중간 프레임(400)은 외측 프레임(410)과 연결 프레임(420)을 구비한다.
외측 프레임(410)은 창틀 프레임(100) 보다 약간 작은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져, 창틀 프레임(100)의 상부 프레임(110), 하부 프레임(120), 좌측 프레임(130) 및 우측 프레임(140)에 접하도록 창틀 프레임(100)에 삽입된다.
연결 프레임(420)은 외측 프레임(410)의 좌우 방향 중간에서 수직하게 세워져, 외측 프레임(410)의 상부 테두리 부분과 하부 테두리 부분을 연결한다. 이에 따라, 중간 프레임(400)은 전체적인 형상이 ''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중간 프레임(400)은 '' 형상이 일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두 개의 사각형상 부재를 변 부분에서 연결하여 '' 형상으로 만들 수도 있다.
밀봉부재(500)는 외측 프레임(410)과 연결 프레임(420)의 실내외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실내측 창문(200)과 실외측 창문(300)에 밀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밀봉부재(500)는 외측 프레임(410)의 상부 테두리, 하부 테두리, 좌측 테두리, 우측 테두리 각각의 연장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되고 연결 프레임(420)의 연장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되어, 중간 프레임(400)이 실내측 창문(200) 또는 실외측 창문(300)과 면하는 부분에서 중간 프레임(400)과 실내·외측 창문(200, 300) 사이를 메우게 된다.
방충망(600)은 중간 프레임(400) 중 실내측 창문(200)의 실외측 위치에서 외측 프레임(410)과 연결 프레임(420)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을 채운다.
자동 개폐장치(800)는 실내측 창문과 실외측 창문 중 적어도 하나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 개폐장치(800)는 실내측 창문을 자동으로 개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미서기 창호(10)에 의하면, 중간 프레임(400)과 밀봉부재(500)에 의해 실내측 창문(200)과 실외측 창문(300) 사이의 틈을 밀폐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창호(10)의 기밀성을 높일 수 있고, 결과적으로 창호가 설치된 건물의 에너지 효율을 높여줄 수 있다.
또한, 중간 프레임(400)은 밀봉부재(500)에 의해 창호가 닫힌 상태에서 실내측 창문(200)과 실외측 창문(300)이 겹치는 부분 외의 부분에서도 실내·외측 창문(200, 300)에 밀착되므로 실내측 창문(200)과 실외측 창문(300)이 바람 등에 의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실내·외측 창문(200, 300)의 흔들림에 의해 밀봉부재(500)의 내구성이 떨어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방충망(600)이 중간 프레임(400)에 형성되므로 실외측 창문(300)의 실외측으로 별도의 방충창을 형성할 필요가 없고, 이에 따라 창틀 프레임(100)의 두께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이뿐만 아니라 창문을 자동으로 개폐하는 것이 가능하여 실내외의 상황에 따라 자동으로 실내의 환기나 실내 밀폐를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실내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에너지 효율을 보다 높여주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건물 사용의 편리성을 높여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미서기 창호의 자동 개폐장치(800)는 구체적으로 구동부(810), 구동력 전달 조절부(820), 제어부(미도시) 및 전원부(8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에는 자동 개폐장치(800)에 대한 설명도가 도시되어 있다.
구동부(810)는 실내측 창문(200) 또는 실외측 창문(300)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구동부(810)는 예를 들어, 모터와 같은 동력 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실내·외측 창문(200, 300)이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므로 좌우 방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구동력 전달 조절부(820)는 실내측 창문(200) 또는 실외측 창문(300)에 대한 구동부(810)의 구동력 전달을 조절한다. 즉, 필요에 따라 구동부(810)의 구동력이 실내·외측 창문(200, 300)으로 전달되도록 하거나 전달되지 않도록 조절한다.
제어부는 구동부(81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구동부(810)의 동작 여부, 발생시키는 구동력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전원부(830)는 구동부(810)와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여, 구동부(810)와 제어부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자동 개폐장치(800)는 실내·외측 창문(200, 300)을 자동으로 개폐하면서도, 구동력 전달 조절부(820)에 의해 구동부(810)의 구동력 전달을 조절함으로써 필요한 경우에는 구동부(810)의 구동력이 실내·외측 창문(200, 300)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실내·외측 창문(200, 300)을 수동으로 개폐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 등에서는 자동 개폐장치(800)의 구동부(810), 구동력 전달 조절부(820)가 창호(10)의 하부 프레임(120)에 형성된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창호(10)의 상부 프레임(110)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부 프레임(110)에 형성되는 경우, 구동부(810)에 이물질이 유입될 가능성이 거의 없으므로 자동 개폐장치(800)에 고장이 발생할 가능성이 적고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자동 개폐장치(800)의 구동부(810)는 구체적으로, 모터(811), 래크(813) 및 피니언(814)을 구비할 수 있다.
모터(811)는 실내측 창문(200) 또는 실외측 창문(300)에 고정된다. 모터(811)는 실내·외측 창문(200, 300)의 실내와 면하는 부분에 고정될 수 있다. 모터(811)는 예를 들어 박스 형상의 보관함(812) 내에 위치하여, 모터(811)가 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하고 모터(811)를 보호할 수 있다. 모터(811)는 정회전과 역회전 동작이 가능한 것을 사용한다.
래크(813)는 창틀 프레임(100)에서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이를 위해 래크(813)는 창틀 프레임(100)의 상부 프레임(110) 또는 하부 프레임(120) 내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피니언(814)은 모터(811)에 의해 회전하며 래크(813)에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모터(811)의 회전축 방향에 따라 피니언(814)은 모터(811)의 회전축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다른 기어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동부(810)에서 모터(811)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피니언(814)의 회전에 의해 피니언(814)이 래크(813)를 따라 좌우 방향의 일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따라서 피니언(814)이 고정되어 있는 실내측 창문(200) 또는 실외측 창문(300)이 좌우 방향의 일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반대로, 모터(811)가 타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피니언(814)의 회전에 의해 피니언(814)이 래크(813)를 따라 좌우 방향의 타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따라서 피니언(814)이 고정되어 있는 실내측 창문(200) 또는 실외측 창문(300)이 좌우 방향의 타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모터(811)와 피니언(814)이 실내·외측 창문(200, 300)에 고정되고 래크(813)가 창틀 프레임(100)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모터(811)와 피니언(814)이 창틀 프레임(100)에 고정되고 래크(813)가 실내·외측 창문(200, 300)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자동 개폐장치(800)의 구동력 전달 조절부(820)는 조절 레일(821), 레일 이동체(822), 고정대 가이드 홈부(823) 및 고정대(824)를 구비할 수 있다. 도 6에는 이러한 구동력 전달 조절부(820)에 관한 설명도가 도시되어 있다.
조절 레일(821)은 실내측 창문(200) 또는 실외측 창문(300)의 둘레부 프레임 중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부분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조절 레일(821)은 서로 평행하게 2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각 조절 레일(821)들 사이에는 상하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 개의 체결 돌기(821a)가 구비될 수 있다.
레일 이동체(822)는 모터(811)에 고정되며, 조절 레일(821)에 맞물려 조절 레일(821)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레일 이동체(822)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모터(811)를 감싸는 보관함(812)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레일 이동체(822)가 조절 레일(821)을 따라 상하 이동함에 따라 모터(811)와 피니언(814)이 함께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고정대 가이드 홈부(823)는 모터(811)에 고정되며,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 홈(823a)을 구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정대 가이드 홈부(823)는 보관함(812)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고정대(824)는 고정대 가이드 홈부(823)의 가이드 홈(823a) 내에 삽입되어 가이드 홈(823a)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고정대(824)는 가이드 홈(823a)을 따라 이동하면서 조절 레일(821)로 접근하거나 조절 레일(821)로부터 이격되는데, 조절 레일(821)로 접근하여 고정대(824)의 단부가 조절 레일(821)의 상하 방향 상 소정 위치에 체결되는 경우, 즉 어느 일 체결 돌기(821a)에 걸린 경우에는 레일 이동체(822)에 고정된 모터(811)가 조절 레일(821)의 소정 위치에 고정되어 상하로 이동하지 않게 된다. 고정대(824)는 고정대 가이드 홈부(823) 내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가이드 홈(823a) 외부로 돌출되는 손잡이(824a)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력 전달 조절부(820)는 구동부(810)의 구동력을 실내·외측 창문(200, 300)으로 전달하고자 할 때에는 도 6의 (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래크(813)와 피니언(814)이 서로 맞물릴 수 있는 높이에 피니언(814)과 모터(811)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고정대(824)를 조절 레일(821)에 대해 고정한다. 그리고 구동부(810)의 구동력을 실내·외측 창문(200, 300)으로 전달하지 않고자 할 때에는, 즉 수동으로 실내·외측 창문(200, 300)을 개폐하고자 할 때에는 도 6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래크(813)로부터 피니언(814)이 상부로 이격되는 높이에 피니언(814)과 모터(811)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고정대(824)를 조절 레일(821)에 대해 고정한다. 피니언(814)과 모터(811)를 상부로 이동시킬 때에는 고정대(824)가 조절 레일(821)에 대해 체결되지 않도록 하여 레일 이동체(822)가 조절 레일(821)에 대해 상하 이동 가능한 상태로 만들어준다.
자동 개폐장치(800)의 전원부(830)는 태양전지(831)와 배터리(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태양전지(831)는 미서기 창호의 실외측에 설치되며 태양광을 이용해 전기 에너지를 생산한다. 생산된 전기 에너지는 구동부(810)와 제어부에 공급되어 자동 개폐장치(800)가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배터리는 태양전지(831)에서 발생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고, 태양전기가 전기를 생산할 수 없는 경우에 구동부(810) 등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부(830)에 의해 자동 개폐장치(800)의 외부 전원에서의 전기 공급 없이도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고, 따라서 외부 전원과의 연결을 위한 전선 등에 의해 자동 개폐장치(800)의 설치가 어려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자동 개폐장치(800)는 한 건축물의 미서기 창호 각각에 설치될 수 있으며, 각 자동 개폐장치(800)의 동작을 위해 다수 개의 태양전지(831)와 배터리가 분산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태양전지(831)와 배터리는 서로 연결되어 통합적으로 관리됨으로써 일부 미서기 창호의 동작을 위한 태양전지(831)나 배터리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다른 미서기 창호의 동작을 위한 태양전지(831)나 배터리에서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
전원부(830)는 태양전지(831) 및 배터리와 함께 연결 단자(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연결 단자는 외부 전원과의 연결을 위한 것으로서, 날씨나 고장 등에 의해 태양전지(831)에서 전기를 생산할 수 없고 배터리도 방전된 경우에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한다. 연결 단자는 예를 들어, 보조 배터리와 연결 가능한 USB 단자로서, 보조 배터리에서 전기를 공급받아 자동 개폐장치(800)를 동작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 방전이나 태양전지 고장 등에 의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자동 개폐장치(800)는 센서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센서부는 미서기 창호의 개폐 요인을 감지하여 제어부로 전송하고, 제어부는 센서부에서의 센싱값에 따라 구동부(810)에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미서기 창호를 개폐한다.
센서부는 예를 들어, 풍속을 감지하는 풍속 센서, 미세먼지 농도를 감지하는 미세먼지 감지센서, 실내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을 화재 감지 센서, 실내·외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실내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공기질 측정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부에 의해 상활별로 신속하게 미서기 창호를 개폐하는 것이 가능하여, 실내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험에 신속하게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자동 개폐장치(800)는 통신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통신부는 외부의 제어 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하고 제어부의 데이터를 외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통신부는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와 연결될 수 있다.
통신부를 통해 미서기 창호는 원격의 관리자에 의해 수동으로 개폐될 수 있다. 제어부에서 얻어진 데이터에는 미서기 창호의 상태나 동작 상황 등을 포함하는 건물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데이터가 포함되어, 관리자가 건물을 관리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건물의 각 미서기 창호를 위한 제어부는 통신부를 통해 중앙 관리 센터와 연결됨으로써 통합적으로 관리될 수 있다.
자동 개폐장치(800)는 창문 위치 감지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창문 위치 감지부는 창틀 프레임(100)에 대한 실내측 창문(200) 또는 실외측 창문(300)의 위치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창문 위치 감지부에 의해 미서기 창호의 개폐 여부, 개방된 상태라면 어느 정도 개방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고, 따라서 제어부가 미서기 창호를 원하는 상태로 만들어주기 위하여 실내·외측 창문(200, 300)을 정확하게 어느 정도 이동시켜주어야 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창문 위치 감지부는 예를 들어, 창틀 프레임(100)에 설치되어 창틀 프레임(100)과 실내·외측 창문(200, 300)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센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모터(811) 또는 피니언(814)의 회전량을 측정하는 엔코더를 포함할 수도 있다. 창문 위치 감지부가 엔코더를 구비하는 경우, 제어부는 엔코더의 회전량과 모터(811)의 회전 방향을 이용해 실내·외측 창문(200, 300)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밀봉부재(500)는 보다 구체적으로 결합다리(510), 연결대(520), 수납체(530) 및 밀봉모 부재(5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이때 중간 프레임(400)은 격실(430)을 구비할 수 있다. 도 7에는 이러한 밀봉부재(500)에 대한 설명도가 도시되어 있다.
중간 프레임(400)의 격실(430)은 실내외측면에서 각 테두리 부분의 연장 방향과 연결 프레임(420)의 연장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격실(430)의 벽면 폭방향 중간에는 내부 공간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가지는 결합 입구(431)가 형성된다.
밀봉부재(500)의 결합다리(510)는 2개가 형성되며 각각이 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결합다리(510)들은 각각의 오목한 부분이 마주보고 결합 입구(431)의 폭보다 더 큰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위치한다.
연결대(520)는 결합다리(510)들의 단부를 연결하여 결합다리(510)들이 이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수납체(530)는 연결대(520)의 폭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며, 결합다리(510) 반대측을 향해 개방된 공간을 구비한다. 수납체(530) 내에 형성된 공간의 입구 폭은 공간의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2개의 결합다리(510), 연결대(520) 및 수납체(530)는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밀봉모 부재(540)는 다수의 모를 구비하는 부재로서 모들을 연결하는 일단부가 수납체(530)의 공간 내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밀봉부재(500)는 밀봉모 부재(540)가 실내측 창문(200) 또는 실외측 창문(300)에 밀착되어 창호의 기밀성을 높일 수 있으면서도, 밀봉모 부재(540)와 실내·외측 창문(200, 300)의 작은 마찰력에 의해 실내·외측 창문(200, 300)이 원활하게 개폐될 수 있다.
밀봉모 부재(540)는 각 밀봉부재(500)에 2개씩 형성되므로 창호의 기밀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또한, 2개의 결합다리(510)는 실내·외측 창문(200, 300)의 개폐나 바람에 의한 실내·외측 창문(200, 300)의 흔들림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밀봉부재(500)의 파손을 방지하면서도 밀봉모 부재(540)와 실내·외측 창문(200, 300)의 밀착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실내·외측 창문(200, 300)이 원활하게 개폐될 수 있도록 한다.
외측 프레임(410)은 결합 프레임(411)과 본체 프레임(41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는 이러한 외측 프레임(410)에 대한 설명도가 도시되어 있다.
결합 프레임(411)은 창틀 프레임(100)의 내측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며, 두께 방향 중간에 결합홈(411a)을 구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결합 프레임(411)은 단면 상에서 바닥 부재(411b), 결합벽 부재(411c), 결합대(411d)를 구비하며, 결합대(411d)에 결합홈(411a)이 형성된다.
바닥 부재(411b)의 폭은 창틀 프레임(100)의 실외측 레일(L2)과 실내측 레일(L1) 사이의 간격에 맞추어 형성된다. 결합벽 부재(411c)는 바닥 부재(411b)의 두께 방향 양단부에서 각각 직각으로 꺾이어 형성된다. 결합벽 부재(411c)의 높이는 실외측 레일(L2) 및 실내측 레일(L1)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결합대(411d)는 바닥 부재(411b)의 두께 방향 중간에서 돌출 형성되며, 상단에서 결합홈(411a)을 구비한다. 이러한 바닥 부재(411b), 결합벽 부재(411c) 및 결합대(411d)를 구비하는 결합 프레임(411)은 단면의 대략적인 형상이 'ㅌ'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결합 프레임(411)은 창틀 프레임(100)의 실외측 레일(L2)과 실내측 레일(L1) 사이에 억지 끼움 결합할 수 있으며,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접착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체 프레임(412)은 결합 프레임(411)의 결합홈(411a)에 삽입됨으로써 결합 프레임(411)에 고정된다. 결과적으로 본체 프레임(412)은 결합 프레임(411)을 통해 창틀 프레임(100)에 고정된다.
이러한 외측 프레임(410)은 창틀 프레임(100)에 대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므로, 기존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창호에도 중간 프레임(400)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해준다.
결합 프레임(411)과 본체 프레임(412)은 별도로 형성되므로, 기존에 설치된 상호에 중간 프레임(400)을 설치하는 경우에 결합 프레임(411)을 먼저 설치한 후 본체 프레임(412)을 결합 프레임(411)에 고정함으로써 중간 프레임(400)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실내측 창문(200)과 실외측 창문(300)은 각각 2개의 복층 유리(G)를 구비할 수 있다.
일반적인 창문은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실내측 창문(200)과 실외측 창문(300)을 각각 이중으로 형성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총 4개의 창문을 설치하기 위해 창틀 프레임(100)의 두께가 커질 수 있으며 창문을 개폐하는 것이 번거로울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실내측 창문(200)과 실외측 창문(300)이 2개의 복층 유리(G)를 구비하도록 하여 총 2개의 창문으로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창문의 개폐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밀봉형 미서기 창호(10)는 창호가 닫힌 상태에서 실외측 창문(300)에 대해 실내측 창문(200)을 고정하는 잠금부재(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는 잠금부재(700)에 대한 설명도가 도시되어 있다.
잠금부재(700)는 크게, 걸림부재(710)와 결합부재(7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걸림부재(710)는 실외측 창문(30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실외측 창문(300)의 테두리 실내측면에서 중앙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돌출 방향의 말단부에 실내측 창문(200) 방향으로 후크 형태로 굴곡되는 굴곡부(711)를 구비한다.
그리고 결합부재(720)는 실내측 창문(200)의 테두리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창호(10)에서 걸림부재(710)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한다. 결합부재(720)는 제1 잠금대(721)와 제2 잠금대(722)로 이루어지며, 제2 잠금대(722)는 제1 잠금대(721)의 일단부에 힌지 결합하여 결합부재(720)는 제1 잠금대(721)와 제2 잠금대(722)가 서로 겹쳐지거나 펼쳐질 수 있다.
제1 잠금대(721)는 실내측 창문(200)의 테두리의 외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제1 잠금대(721)의 회전축은 제1 잠금대(721)의 중간부와 일단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잠금대(721)의 타단부에는 제1 잠금대(721)의 다른 부분보다 두께가 큰 제1 결합부(721a)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제1 결합부(721a)는 걸림부재(710)의 굴곡부(711)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잠금대(721)가 굴곡부(711)에 삽입됨에 따라 창호는 잠길 수 있다.
제2 잠금대(722)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잠금대(721)의 일단부에 힌지 결합하며, 타단부 즉, 제1 잠금대(721)와의 힌지 결합부 반대측 단부에는 제2 결합부(722a)가 구비된다. 제2 결합부(722a)는 'ㄷ'형으로 형성되어 걸림부재(710)의 굴곡부(711)를 감쌀 수 있다.
이러한 잠금부재(700)는 창호를 개방하고자 할 때에는 도 10의 (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잠금대(721)와 제2 잠금대(722)가 겹쳐지도록 결합부재(720)를 접고 결합부재(720)가 실내측 창문(200) 테두리 연장 방향과 나란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창호를 폐쇄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도 10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결합부재(720)를 펼친 후 회전시켜 제1 잠금대(721)의 제1 결합부(721a)가 걸림부재(710)의 굴곡부(711)에 삽입되록 하여 창호를 잠그고, 그후 도 10의 (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2 잠금대(722)를 접어 제2 잠금대(722)의 제2 결합부(722a)가 걸림부재(710)의 굴곡부(711)를 감싸도록 함으로써 걸림부재(710)에 대한 결합부재(72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잠금부재(700)는 제1 잠금대(721)와 제2 잠금대(722)에 의해 창호의 잠금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중간 프레임(400)에 의해 창호의 두께가 증가하더라도 결합부재(720)가 접힐 수 있어 실내측 창문(200)의 테두리 너머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잠금부재(700)에 사용자가 부딪히거나 물건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밀봉형 미서기 창호(10)는 상기한 것과 같은 구성 외에도, 예를 들어 레일(L)과 창문 프레임(210, 310) 사이의 틈을 폐쇄하는 방풍모(S), 창문 프레임(210, 310)과 창틀 프레임(100)의 단면 내부를 채우는 단열재(I) 등과 같이 창호의 밀봉을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구성을 더 구비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 : 밀봉형 미서기 창호
100 : 창틀 프레임
110 : 상부 프레임
120 : 하부 프레임
130 : 좌측 프레임
140 : 우측 프레임
200 : 실내측 창문
300 : 실외측 창문
400 : 중간 프레임
410 : 외측 프레임
411 : 결합 프레임
411a : 결합홈
412 : 본체 프레임
420 : 연결 프레임
430 : 격실
431 : 결합 입구
500 : 밀봉부재
510 : 결합다리
520 : 연결대
530 : 수납체
540 : 밀봉모 부재
600 : 방충망
700 : 잠금부재
710 : 걸림부재
711 : 굴곡부
720 : 결합부재
721 : 제1 잠금대
721a : 제1 결합부
722 : 제2 잠금대
722a : 제2 결합부
800 : 자동 개폐장치
810 : 구동부
811 : 모터
813 : 래크
814 : 피니언
820 : 구동력 전달 조절부
821 : 조절 레일
822 : 레일 이동체
823 : 고정대 가이드 홈부
823a : 가이드 홈
824 : 고정대
830 : 전원부
831 : 태양전지

Claims (13)

  1. 상하좌우에 각각 형성되어 사각 형상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상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 좌측 프레임 및 우측 프레임을 구비하는 창틀 프레임;
    상기 창틀 프레임의 두께 방향 실내측 단부에서 상기 창틀 프레임을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실내측 창문;
    상기 창틀 프레임의 두께 방향 실외측 단부에서 상기 창틀 프레임을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실외측 창문;
    상기 창틀 프레임의 두께 방향 중간부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창틀 프레임의 상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 좌측 프레임 및 우측 프레임에 접하도록 상기 창틀 프레임에 삽입되는 외측 프레임과, 상기 외측 프레임의 좌우 방향 중간에서 수직하게 세워지는 연결 프레임을 구비하는 중간 프레임;
    상기 외측 프레임과 상기 연결 프레임의 실내외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실내측 창문과 상기 실외측 창문에 밀착되는 밀봉부재;
    상기 중간 프레임 중 실내측 창문의 실외측 위치에서 상기 외측 프레임과 연결 프레임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을 채우는 방충망;
    상기 실내측 창문과 상기 실외측 창문 중 적어도 하나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자동 개폐장치; 및
    창호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실외측 창문에 대해 상기 실내측 창문을 고정하는 잠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실외측 창문의 테두리 실내측면에서 중앙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며, 단부에 상기 실내측 창문 방향으로 후크 형태로 굴곡되는 굴곡부를 포함하는 걸림부재; 및
    상기 실내측 창문의 테두리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실내측 창문의 테두리의 외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굴곡부에 삽입되는 제1 결합부를 구비하는 제1 잠금대, 및 상기 제1 잠금대의 상기 제1 결합부 반대측 단부에 힌지 결합하며 상기 굴곡부를 감싸는 제2 결합부를 구비하는 제2 잠금대를 포함하는 결합부재;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서기 창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개폐장치는,
    상기 실내측 창문 또는 상기 실외측 창문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실내측 창문 또는 상기 실외측 창문에 대한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 전달을 조절하는 구동력 전달 조절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구동부와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서기 창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실내측 창문 또는 상기 실외측 창문에 고정되는 모터,
    상기 창틀 프레임에서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래크, 및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래크에 맞물리는 피니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서기 창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전달 조절부는,
    상기 실내측 창문 또는 상기 실외측 창문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조절 레일,
    상기 모터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조절 레일에 맞물려 상기 조절 레일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레일 이동체,
    상기 모터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 홈을 구비하는 고정대 가이드 홈부, 및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조절 레일의 상항 방향 상 소정 위치에 체결되는 고정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서기 창호.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미서기 창호의 실외측에 설치되는 태양전지, 및
    상기 태양전지에서 발생한 전기를 저장하는 배터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서기 창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외부 전원과의 연결 단자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서기 창호.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개폐장치는,
    미서기 창호의 개폐 요인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센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서기 창호.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개폐장치는,
    외부의 제어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의 데이터를 외부로 전달하는 통신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서기 창호.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개폐장치는,
    상기 창틀 프레임에 대한 상기 실내측 창문 또는 상기 실외측 창문의 위치를 감지하는 창문 위치 감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서기 창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프레임은, 실내외측면에서 상기 중간 프레임의 연장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내부 공간의 폭보다 좁은 폭의 결합 입구를 구비하는 격실을 포함하고,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결합 입구의 폭보다 더 큰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위치하며, 오목한 부분이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2개의 호 형상의 결합다리,
    상기 결합다리들의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대,
    상기 연결대의 폭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결합다리 반대측을 향해 개방된 공간을 구비하는 수납체, 및
    일단부가 상기 수납체에 삽입되는 밀봉모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서기 창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프레임은,
    상기 창틀 프레임에 내측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며, 두께 방향 중간에 결합홈을 구비하는 결합 프레임, 및
    상기 결합홈에 끼워져 상기 결합 프레임에 고정되는 본체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서기 창호.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측 창문과 상기 실외측 창문은 각각 2개의 복층 유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서기 창호.
KR1020220171428A 2022-12-09 2022-12-09 미서기 창호 KR102569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1428A KR102569541B1 (ko) 2022-12-09 2022-12-09 미서기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1428A KR102569541B1 (ko) 2022-12-09 2022-12-09 미서기 창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9541B1 true KR102569541B1 (ko) 2023-08-23

Family

ID=87848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1428A KR102569541B1 (ko) 2022-12-09 2022-12-09 미서기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954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7581A (ko) * 2006-09-25 2008-03-28 용 해 이 이중 창틀의 방풍구조
KR200469183Y1 (ko) * 2012-08-23 2013-09-26 강민성 창틀용 창호 방풍부재
KR101684408B1 (ko) 2015-11-30 2016-12-08 주식회사 시안 밀착식 미서기 창호
KR102178628B1 (ko) * 2020-05-14 2020-11-13 (주) 태웅 기밀 유지 및 강도가 보강되는 창틀
KR20220117422A (ko) * 2021-02-17 2022-08-24 고주훈 미닫이 창문 자동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7581A (ko) * 2006-09-25 2008-03-28 용 해 이 이중 창틀의 방풍구조
KR200469183Y1 (ko) * 2012-08-23 2013-09-26 강민성 창틀용 창호 방풍부재
KR101684408B1 (ko) 2015-11-30 2016-12-08 주식회사 시안 밀착식 미서기 창호
KR102178628B1 (ko) * 2020-05-14 2020-11-13 (주) 태웅 기밀 유지 및 강도가 보강되는 창틀
KR20220117422A (ko) * 2021-02-17 2022-08-24 고주훈 미닫이 창문 자동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911829B1 (en) Building aperture cover with vig unit connected to fixation profile
US10763778B2 (en) Solar window construction and methods
US11489483B2 (en) Solar window construction and methods
JP3296435B2 (ja) 押出形材の枠を有する窓
US20180355660A1 (en) System for automating a sliding panel louver and method of retrofitting the same
KR101489307B1 (ko) 단열 시스템 루버
JP2014520222A (ja) ビルディングの開口部又はビルディングの表面部分用のカバー、及びそのカバーのための駆動システム
KR102569541B1 (ko) 미서기 창호
CN211874243U (zh) 一种建筑窗户
US6164025A (en) Window having an improved window frame structure
US5575115A (en) Window with a frame of extruded profile members
CA2884117A1 (en) Thermal insulating apparatus and uses thereof
US20230124677A1 (en) Screening device
CN106088978A (zh) 一种多功能型活动窗
KR102572237B1 (ko) 밀봉형 미서기 창호
CN107701072A (zh) 一种自动遮阳百叶窗
CN110629869B (zh) 模块型表皮
CN112031601A (zh) 防水防撞推拉门窗以及复合门窗
CN113294066A (zh) 带有指纹解锁的防盗窗
CN219471916U (zh) 一种多功能窗户
KR20200031910A (ko) 영상스크린을 구비한 이중창호 유리창
CN220869180U (zh) 一种电机内置隐藏式电动式窗户
CN212535459U (zh) 一种防水防撞推拉门窗以及复合门窗
KR200315697Y1 (ko) 햇빛차단기능을 갖는 이중투시창
CN220686526U (zh) 一种模块化全面屏天窗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