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9489B1 - 비강 처치기 - Google Patents

비강 처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9489B1
KR102569489B1 KR1020210001034A KR20210001034A KR102569489B1 KR 102569489 B1 KR102569489 B1 KR 102569489B1 KR 1020210001034 A KR1020210001034 A KR 1020210001034A KR 20210001034 A KR20210001034 A KR 20210001034A KR 102569489 B1 KR102569489 B1 KR 102569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irradiation
main body
light
rotatable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1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9019A (ko
Inventor
신재호
Original Assignee
(주)휴비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비딕 filed Critical (주)휴비딕
Priority to KR1020210001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9489B1/ko
Publication of KR20220099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9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9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94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61N5/0603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for treatment of body cav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61N5/0603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for treatment of body cavities
    • A61N2005/0607N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5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 A61N2005/0647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the applicator adapted to be worn on the 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강 처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비강 처치기는, 안면 양측상에 지지되기 위한 안면 지지부, 상기 안면 지지부의 양측 단부에 결합된 폴더블 귀걸이 지지부, 사용자의 양측 코구멍 속으로 삽입되기 위한 광조사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광조사 돌기부가 소정의 중심에서 지향하는 각도가 상하로 변경가능 하도록, 상기 안면 지지부의 양측 단부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회전형 본체부, 및 상기 회전형 본체부 하부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코 밑에서 상기 회전형 본체부를 받쳐주기 위한 본체 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강 처치기{Nasal Treatment Device}
본 발명은 비강 처치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광 조사를 통해 비강을 처치하는 비강 처치기에 관한 것이다.
비염은 인체의 호흡기관인 코 내부의 비강점막에 생기는 염증으로서, 급,만성비염과 감기로 인한 바이러스성 비염 또는 알레르기성 비염 등이 있다.
이러한 비염의 처치 방법으로 주로 항시스타민제, 국소 스테로이드, 항류코트린제, 항콜린 스프레이 등의 약물 요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약물 과용에 따른 부작용을 해소할 수 있는 광 조사형 비강 처치기가 인기를 얻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광 조사형 비강 처치기는 착용감이 떨어져 이를 개선하고자 한다.
관련 선행 문헌으로서 특허출원 제10-2018-0086575호 (2018.07.25) 등이 참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형 본체부를 통해 광조사 돌기부가 코구멍 내부로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안착하게 할 수 있는, 귀걸이 지지부를 갖는 안면 착탈형 비강 처치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먼저, 본 발명의 특징을 요약하면,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비강 처치기는, 안면 양측상에 지지되기 위한 안면 지지부; 상기 안면 지지부의 양측 단부에 결합된 폴더블 귀걸이 지지부; 사용자의 양측 코구멍 속으로 삽입되기 위한 광조사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광조사 돌기부가 소정의 중심에서 지향하는 각도가 상하로 변경가능 하도록, 상기 안면 지지부의 양측 단부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회전형 본체부; 및 상기 회전형 본체부 하부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코 밑에서 상기 회전형 본체부를 받쳐주기 위한 본체 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형 본체부는, 상기 광조사 돌기부에서 광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회로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회로 모듈은, 온오프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상기 광조사 돌기부에서 발생되는 광의 양이 소정의 시간 동안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제어하거나, 소정의 시간 동안 시분할하여 광량의 변화를 주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광조사 돌기부는 적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회전형 본체부는, 양측 단부에 고정된 볼(ball)형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안면 지지부는 양측의 상기 볼형 돌기를 수용하기 위한 양측의 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홈부 내에서 상기 볼형 돌기의 상기 회전에 따라 상기 각도의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비강 처치기에 따르면, 귀걸이 지지부를 통해 귀에 걸고, 안면 지지부가 안면 상에 안착하도록, 편리하게 착탈될 수 있으며, 특히, 회전형 본체부의 회전을 통해 광조사 돌기부가 사용자의 코구멍 내부로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안착하게 하여, 편안한 상태에서 효과적인 사용자의 코구멍 내부로 광조사가 이루어져 처치효과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강 처치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회전형 본체부에 구비된 회로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회전형 본체부의 회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회전형 본체부의 회전 각도에 따른 광조사 돌기부의 안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이때, 각각의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회로 나타낸다. 또한, 이미 공지된 기능 및/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 개시된 내용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하며, 그 설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며, 따라서 각각의 도면에 그려진 구성요소들의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여기에 기재되는 내용들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강 처치기(100)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강 처치기(100)는, 사용자의 안면(예, 광대뼈 위) 양측상에 지지되기 위한 안면 지지부(110), 폴더블(foldable) 귀걸이 지지부(120), 회전형 본체부(130) 및 본체 지지부(150)를 포함하며, 회전형 본체부(130)에는 사용자의 양측 코구멍 속으로 삽입되기 위한 광조사 돌기부(140)가 구비된다.
귀걸이 지지부(120)는 양측 접속부(121)를 통해 안면 지지부(110)와 양측 단부에서 결합된다. 접속부(121)는 안경테의 경첩부와 같이 귀걸이 지지부(120)가 소정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접속부(121)를 통해 귀걸이 지지부(120)는 귀에 걸리는 단부쪽이 안면 지지부(110) 쪽으로 가까와 지거나 멀어지도록 접고 펴기가 가능한 폴더블(foldable) 형태로 구성된다.
회전형 본체부(130)에 구비된 광조사 돌기부(140)가 사용자의 양측 코구멍 속으로 삽입될 때, 회전형 본체부(130) 하부에 결합된 본체 지지부(150)는, 그 하부쪽 단부가 사용자의 코에 접촉되어 사용자의 코 밑에서 회전형 본체부(130)를 받쳐주도록 회전형 본체부(130) 하부에 고정된다.
회전형 본체부(130)는 광조사 돌기부(140)에서 광(예, 적외선)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회로 모듈(도 2의 참조, 200)을 구비하며, 광조사 돌기부(140)는 회로 모듈(200)의 제어에 따라 광을 발생하여 사용자의 양측 코구멍으로 조사하여 비염 등에 비강이 처치되도록 작용한다. 광조사 돌기부(140)는 광, 예를 들어 적외선(경우에 따라 가시광, 자외선광 등 가능)을 발생시키는 LED(Light Emitting Diode) 등의 광원을 구비하며, 회전형 본체부(130)의 온오프 스위치(131)를 사용자가 조작함에 따라 회로 모듈(200)이 광조사 돌기부(140)의 광원을 온오프 제어하여 광조사 돌기부(140)의 광 발생을 온/오프할 수 있다.
특히,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회전형 본체부(130)는, 소정의 중심에서 지향하는 광조사 돌기부(140)의 각도(θ)가 상하로 변경가능 하도록(도 3 참조), 안면 지지부(110)의 양측 단부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볼(ball)형 돌기(135)를 통해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강 처치기(100)는, 귀걸이 지지부(120)를 통해 귀에 걸고, 안면 지지부(110)가 안면 상(예, 광대뼈 위)에 안착하도록, 편리하게 착탈될 수 있다. 특히, 회전형 본체부(130)의 회전을 통해 광조사 돌기부(140)가 사용자의 코구멍 내부로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안착하게 하여, 편안한 상태에서 효과적인 사용자의 코구멍 내부로 광조사가 이루어져 처치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강 처치기(100)의 구조와 동작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좀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회전형 본체부(130)에 구비된 회로 모듈(2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회전형 본체부(130)에 구비된 회로 모듈(200)은, 제어부(210), 전원부(220), 메모리(230), 광발생부(240) 및 인터페이스(250)를 포함한다. 회전형 본체부(130)에 구비된 회로 모듈(200)는, 반도체 프로세서와 같은 하드웨어를 포함하는 회로 모듈이 탑재된 PCB(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제어부(210)는, 전원부(220), 메모리(230), 광발생부(240) 및 인터페이스(250)와 연동하여 제어하며, 비강 처치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회전형 본체부(130)에 구비된 회로 모듈(200)의 구성들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제어부(210)는, 하드웨어 이외에도 응용 프로그램과 같은 소프트웨어와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210)는, 광조사 돌기부(140)의 적외선 LED 등의 광원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회전형 본체부(130) 상에 구비된 온오프 스위치(131)를 사용자가 조작함에 따라, 제어부(210)는 광발생부(240)가 광조사 돌기부(140)의 광원에서 광 발생을 온/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광발생부(240)에 의해 광원이 온되는 경우, 광발생부(240)는 광조사 돌기부(140)의 광원이 해당 광을 발생시키도록 광원 구동 신호(예, DC 또는 AC 광원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전원부(220)는 회전형 본체부(130)에 구비된 회로 모듈(200)의 회로들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부(220)는 배터리를 이용하여 회전형 본체부(130)에 구비된 회로 모듈(200)의 회로들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고, 가정의 110~220V 파워 아웃렛을 통해 AC 전원을 받아 회전형 본체부(130)에 구비된 회로 모듈(200)의 회로들에 필요한 전원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메모리(230)는 비강 처치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설정 정보들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메모리(230)는, 광조사 돌기부(140)의 광원에 대한 하나 이상의 광 발생 패턴(정보)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회전형 본체부(130) 상에 구비된 온오프 스위치(131)를 사용자가 조작함에 따라, 광발생부(240)의 광원이 온되도록 제어부(210)가 제어하는 경우, 광발생부(240)는 상기 하나 이상의 광 발생 패턴에 따라 광조사 돌기부(140)의 광원이 해당 광을 발생시키도록 광원 구동 신호(예, DC 또는 AC 광원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광 발생 패턴은, 광조사 돌기부(140)의 광원이 발생되는 광의 양이 소정의 시간 동안(예, 5분, 10분, 15분,..)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패턴, 소정의 시간 동안(예, 5분, 10분, 15분,..) 시분할하여 광량의 변화(예, 1분간 약한 광량, 1분간 강한 광량의 반복 등)를 주도록 제어하는 패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하나 이상의 광 발생 패턴의 선택은 온오프 스위치(131) 이외의 별도의 패턴 선택 스위치(또는 버튼)(미도시)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광발생부(240)는 해당 선택에 따른 광 발생 패턴으로, 광조사 돌기부(140)의 광원이 해당 광을 발생시키도록 광원 구동 신호(예, DC 또는 AC 광원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250)는 광조사 돌기부(140), 온오프 스위치(131), 상기 패턴 선택 스위치(미도시) 등과 회전형 본체부(130)에 구비된 회로 모듈(200)를 연결시키는 케이블, 커넥터 등의 연결 수단을 포함하며,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비강 처치기(100)의 동작을 위해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스위치들(또는 버튼)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회전형 본체부(130)의 회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회전형 본체부(130)는, 소정의 중심에서 지향하는 광조사 돌기부(140)의 각도(θ)가 상하로 변경가능 하도록, 안면 지지부(110)의 양측 단부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볼(ball)형 돌기(135), 즉, 소정의 바(bar) 단부에 둥근형 뭉치(예, 볼 또는 구슬 모양)를 통해 결합되어 있다.
도 1과 같이, 회전형 본체부(130)의 양측 단부에 볼(ball)형 돌기(135)가 고정되어 있다. 일측 단부의 볼(ball)형 돌기(135)를 도면에 도시하였지만, 회전형 본체부(130)의 반대측 단부에도 볼(ball)형 돌기(135)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양측의 볼형 돌기(135)를 수용하기 위해, 대응되는 위치에 양측의 홈부(111)가 안면 지지부(110)에 마련되어 있다. 일측의 홈부(111)를 도면에 도시하였지만, 안면 지지부(110)의 반대측에도 홈부(111)가 구비되어 있다. 양측 볼(ball)형 돌기(135)와 홈부(111)는 외관상 노출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양측 볼(ball)형 돌기(135)와 홈부(111)는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각각의 덮개에 의해 덮여 있을 수 있다.
즉, 안면 지지부(110)에 마련된 홈부(111) 내에서 볼형 돌기(135)가 회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회전형 본체부(130)의 회전이 이루어지고, 소정의 중심에서 지향하는 광조사 돌기부(140)의 각도(θ)가 상하로 변경가능 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회전형 본체부(130)의 회전 각도에 따른 광조사 돌기부(140)의 안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의 (a)는 광조사 돌기부(140)의 각도(θ)가 도 4의 (b) 보다 소정의 중심(도 3 참조)에서 상대적으로 아래쪽을 지향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4의 (b)는 광조사 돌기부(140)의 각도(θ)가 도 4의 (a) 보다 소정의 중심(도 3 참조)에서 상대적으로 위쪽을 지향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강 처치기(100)는, 귀걸이 지지부(120)를 통해 귀에 걸고, 안면 지지부(110)가 본체 지지부(150)를 통해 안면 상(예, 광대뼈 위)에 안착하도록, 편리하게 착탈될 수 있다. 특히, 회전형 본체부(130)의 회전을 통해 광조사 돌기부(140)가 사용자의 코구멍 내부로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안착하게 하여, 편안한 상태에서 효과적인 사용자의 코구멍 내부로 광조사가 이루어져 처치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안면 지지부(110)
귀걸이 지지부(120)
회전형 본체부(130)
광조사 돌기부(140)
본체 지지부(150)

Claims (5)

  1. 안면 양측상에 지지되기 위한 안면 지지부;
    상기 안면 지지부의 양측 단부에 결합된 폴더블 귀걸이 지지부;
    사용자의 양측 코구멍 속으로 삽입되기 위한 광조사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안면 지지부의 양측 단부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회전형 본체부; 및
    상기 회전형 본체부 하부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코 밑에서 상기 회전형 본체부를 받쳐주기 위한 본체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조사 돌기부는 적외선을 조사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회전형 본체부는, 양측 단부에 고정된 볼(ball)형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안면 지지부는 양측의 상기 볼형 돌기를 수용하기 위한 양측의 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홈부 내에서 상기 볼형 돌기의 상기 회전에 따라 상기 광조사 돌기부가 소정의 중심에서 지향하는 각도가 상하로 변경되는 비강 처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형 본체부는, 상기 광조사 돌기부에서 광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회로 모듈을 구비하는 비강 처치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모듈은, 온오프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상기 광조사 돌기부에서 발생되는 광의 양이 소정의 시간 동안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제어하거나, 소정의 시간 동안 시분할하여 광량의 변화를 주도록 제어하는 비강 처치기.
  4. 삭제
  5. 삭제
KR1020210001034A 2021-01-05 2021-01-05 비강 처치기 KR102569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034A KR102569489B1 (ko) 2021-01-05 2021-01-05 비강 처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034A KR102569489B1 (ko) 2021-01-05 2021-01-05 비강 처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9019A KR20220099019A (ko) 2022-07-12
KR102569489B1 true KR102569489B1 (ko) 2023-08-24

Family

ID=82419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1034A KR102569489B1 (ko) 2021-01-05 2021-01-05 비강 처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948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201B1 (ko) 2013-05-06 2014-08-21 주식회사 에이치엘앤피 비염 또는 중이염 치료를 위한 광선치료기
KR101511914B1 (ko) * 2014-08-29 2015-04-13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사선 치료시에 사용하는 고글 형태의 환자맞춤형 안구 차폐장치
KR101563336B1 (ko) 2014-08-07 2015-10-26 유니이노 주식회사 테라피 글래스
KR101834268B1 (ko) 2018-02-06 2018-03-06 주식회사 더블에이치 라이트 테라피를 이용한 안면 착용형 비염 치료장치
KR101955479B1 (ko) * 2017-09-27 2019-06-24 주식회사 더블에이치 안면 착용형 비염치료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2330B1 (ko) * 2015-07-27 2016-04-14 주식회사 디알메디칼 비염 치료 장치 및 비염 치료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274463B1 (ko) * 2019-04-23 2021-07-08 주식회사 더보탬 비염 완화 보조기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201B1 (ko) 2013-05-06 2014-08-21 주식회사 에이치엘앤피 비염 또는 중이염 치료를 위한 광선치료기
KR101563336B1 (ko) 2014-08-07 2015-10-26 유니이노 주식회사 테라피 글래스
KR101511914B1 (ko) * 2014-08-29 2015-04-13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사선 치료시에 사용하는 고글 형태의 환자맞춤형 안구 차폐장치
KR101955479B1 (ko) * 2017-09-27 2019-06-24 주식회사 더블에이치 안면 착용형 비염치료 장치
KR101834268B1 (ko) 2018-02-06 2018-03-06 주식회사 더블에이치 라이트 테라피를 이용한 안면 착용형 비염 치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9019A (ko) 2022-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7619B1 (ko) 얼굴과 목을 광자극할 수 있는 피부미용장치
KR101497617B1 (ko)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피부미용 광 마스크
KR101497620B1 (ko) 광을 이용한 피부미용장치
KR101550320B1 (ko) 광을 이용한 피부미용장치
JP6834032B2 (ja) ライトセラピーを利用した顔面着用型鼻炎治療装置
KR101834267B1 (ko) 라이트 테라피를 이용한 안면 착용형 비염 치료장치
KR200397690Y1 (ko) 지압 베개
WO2020163282A1 (en) Exercise and relaxation system
KR102569489B1 (ko) 비강 처치기
KR20220024872A (ko) 조절 가능한 치료용 안면 마스크
US2018001529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head injury using multi-colour light
KR101955479B1 (ko) 안면 착용형 비염치료 장치
CN107440899A (zh) 智能温控眼部理疗仪
KR101834268B1 (ko) 라이트 테라피를 이용한 안면 착용형 비염 치료장치
KR102274463B1 (ko) 비염 완화 보조기기
KR102108677B1 (ko) Led를 이용한 복합 치료기
US9731145B2 (en) Device for stimulation of the brain by laser circularly or elliptically polarized light
US20070282401A1 (en) Controller
KR101193620B1 (ko) 저주파 치료기
CN219185470U (zh) 一种通过肢体动作引导身心放松的vr智能设备
CN213554893U (zh) 颈部按摩仪
KR20240047355A (ko) 광선치료 안면 마스크
KR102445852B1 (ko) Led 마스크
KR200243550Y1 (ko) 온열치료기가 부설된 발걸이
KR200436201Y1 (ko) 자동 온/오프 스위치가 구비된 저출력 레이저 조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