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8912B1 -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8912B1
KR102568912B1 KR1020220127972A KR20220127972A KR102568912B1 KR 102568912 B1 KR102568912 B1 KR 102568912B1 KR 1020220127972 A KR1020220127972 A KR 1020220127972A KR 20220127972 A KR20220127972 A KR 20220127972A KR 102568912 B1 KR102568912 B1 KR 102568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charger
user
user terminal
reques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7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주봉
진윤기
이훈
신동혁
김기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플러그링크
(주)에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플러그링크, (주)에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플러그링크
Priority to KR1020220127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89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8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8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5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involving identification of vehicles or their battery ty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G06Q50/3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2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전기차 충전 시스템은, 충전기, 충전 서버 및 상기 충전 서버로부터 제공된 충전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사용자가 휴대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와의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을 기초로 상기 충전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충전 서버에 충전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과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하여 통신하고, 상기 충전 서버의 제어에 따라 전기차를 충전하는 충전기 및 상기 충전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충전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기의 전기차 충전 진행을 제어하는 충전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ELCTRIC VEHICLE USING BLUETOOTH COMMUNICAITON}
본 발명은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P&C(Plug and Charge)가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구현된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석 에너지의 고갈과 환경오염으로 인해 화석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기차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이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한편, 충전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해 커넥터를 연결하고 별도의 인증 과정없이 충전이 시작되는 P&C(Plug and Charge)에 대한 니즈가 존재한다.
전기차 충전기의 경우, 급속 충전기와 완속 충전기로 구분될 수 있는데, 급속 충전기는 PLC 모뎀을 통하여 차량과 통신하여 차량을 특정할 수 있고 이를 활용하여 커넥터를 연결하면 사용자를 인증하고 충전이 시작되는 P&C를 구현하여 활용하고 있다.
완속 충전기의 경우도 P&C를 구현하고자 하는 니즈는 존재하지만 원가 상승 이유로 PLC 모뎀을 사용하지는 힘들어 아직까지는 P&C 기능을 가지고 있는 충전기는 없는 상황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기차 충전 과정에서도 점차 사용경험이 중요해지고 있는데 본 발명을 통하여 충전할 때 필요한 과정을 최소화하여 간편하게 충전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시스템은, 충전기, 충전 서버 및 상기 충전 서버로부터 제공된 충전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사용자가 휴대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와의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을 기초로 상기 충전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충전 서버에 충전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과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하여 통신하고, 상기 충전 서버의 제어에 따라 전기차를 충전하는 충전기 및 상기 충전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충전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기의 전기차 충전 진행을 제어하는 충전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기는, 급속 충전기 및 완속 충전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기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충전기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에 접근하면 블루투스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충전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충전기로부터 수신된 블루투스 신호에 기초하여 충전 서버에 상기 충전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루투스 신호는, BLE(Bluetooth Low Energy) 어드벌타이징(advertising) 신호이며, 상기 블루투스 신호를 전송한 상기 충전기의 충전기 UUID 및 충전기 ID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 요청 정보는, 충전량, 사용자 인증 정보, 상기 충전기 UUID 및 충전기 ID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방법은, 충전기, 충전 서버 및 상기 충전 서버로부터 제공된 충전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사용자가 휴대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블루투스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수신된 상기 블루투스 신호를 기초로 상기 충전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충전 서버에 충전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충전 서버가 수신된 상기 충전 요청 정보를 기초로 상기 충전기의 충전 진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기는, 급속 충전기 및 완속 충전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기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블루투스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기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충전기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에 접근하면 블루투스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루투스 신호는, BLE(Bluetooth Low Energy) 어드벌타이징(advertising) 신호이며, 상기 블루투스 신호를 전송한 상기 충전기의 충전기 UUID 및 충전기 ID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 요청 정보는, 충전량, 사용자 인증 정보, 상기 충전기 UUID 및 충전기 ID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은 완속 충전기에서도 P&C를 구현하여 사용자의 충전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에서 블루투스 신호를 보내는 것이 아니라, 충전기가 블루투스 신호를 보내고 사용자 단말이 이를 수신하는 형태를 취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의 배터리 소모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은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여는 등의 기타 사용자의 조작 없이 사용자를 인증하고 충전을 시작함으로써 사용자의 충전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은 인증의 대상이 전기차가 아닌 사용자 단말인 바, 사용자가 복수의 차량을 보유하고 운행하는 경우 각 차량 별로 인증을 수행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의 편리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은 법인 구성원 등, 공동 인증 그룹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공동 인증 그룹의 사용자들에게 공통된 토큰을 발행하여 인증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해당 그룹의 일부 사용자 만이 회원가입을 진행하여도 해당 그룹의 전체 사용자가 사용자 인증을 진행할 수 있어, 사용자의 충전 경험이 향상되거나, 각 사용자들이 공동 차량을 운행하는 경우 충전 요금 과금 대상을 자동으로 법인으로 귀속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갖는다.
상술한 내용과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사용자 단말이 충전기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접근하여, 충전기가 블루투스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충전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토큰 발행과 토큰 인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a는 사용자가 서로 다른 시점에 서로 다른 차량을 운행하는 경우, 전기차 충전 과정에서의 사용자 인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b는 복수의 사용자가 서로 다른 시점에 동일한 차량을 운행하는 경우, 전기차 충전 과정에서의 사용자 인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토큰 발행 절차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토큰 인증 절차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그룹 토큰 발행 및 인증 절차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일반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나 단어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이 실현되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전부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및 응용 가능한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포함된 각 구성, 과정, 공정 또는 방법 등은 기술적으로 상호 간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공유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기차 충전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100), 해당 사용자가 운행하는 전기차(150), 충전기(200) 및 충전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 충전기(200) 및 충전 서버(300)는 통신 기술 및/또는 통신망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통신 기술과 통신망은 전기차 충전 시스템(1)의 각 구성요소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기술과 통신망은 예컨대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네트워크는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F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무선 네트워크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WLAN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적외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통신, WFD(Wi-Fi Direct) 통신, UWB(ultra-wideband) 통신, Ant+ 통신, WIFI 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3G 통신, 4G 통신 및 5G 통신 등을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예로, 사용자 단말(100)과 충전기(200)는 블루투스 통신을 기초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충전기(200)는 사용자의 전기차(150)와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00)과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하여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이때, 블루투스 통신은 BLE 통신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와 달리 충전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 및 충전기(200)와 3G 이동통신 기술, 4G 이동통신 기술(LTE), 5G 이동통신 기술 등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전기차 충전을 위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예로,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모바일 기기,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PC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모바일 기기는 스마트폰, 태블릿 PC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단말(100)에는 충전 서버(300)에 의해 제공된 충전 어플리케이션(100a)이 설치될 수 있다.
몇몇 예로, 충전 어플리케이션(100a)은 사용자가 충전 애플리케이션(100a)을 통해 충전 서버(300)에 접속하여 회원가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충전 완료 후 충전 결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몇몇 예로, 충전 어플리케이션(100a)은 충전기(200)로부터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블루투스 신호에 기초하여 충전 요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블루투스 신호는 BLE 어드벌타이징(advertising) 신호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블루투스 신호는 충전기 UUID(범용 고유 식별자,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충전기 ID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충전 어플리케이션(100a)은 충전기(200)로부터 BLE 어드벌타이징(advertising) 신호가 수신되면, 충전 서버(300)에 충전 요청 정보를 전송하도록 미리 설계될 수 있다. 즉, 충전 어플리케이션(100a)은 별도의 페어링 과정이나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충전기(200)로부터 BLE 어드벌타이징(advertising) 신호가 수신되면, 충전 서버(300)에 충전 요청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의 개입을 최소화하여 사용자의 충전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충전 요청 정보는 충전량, 사용자 인증 정보, 충전기(200)로부터 수신한 충전기 UUID와 충전기 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량은 사용자로부터 매 충전시마다 직접 입력되거나, 사용자로부터 설정되어 저장된 특정 값이거나 또는 충전 서버(300)에 의해 미리 정해진 값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인증 정보는 사용자의 회원가입시 발행되어 충전 어플리케이션(100a)에 저장된 토큰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충전 어플리케이션(100a)은 생성된 충전 요청 정보를 충전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충전기(200)는 충전 서버(30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의 전기차(150)를 충전시키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충전기(200)는 전기차(150)를 충전할 수 있는 장치로서, 급속 충전기, 완속 충전기, 휴대용 충전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충전기는 전력 공급이 가능한 다양한 충전 콘센트 또는 전력 공급 탭을 포함하는 전력 공급 수단 등에 연결될 수 있다.
충전기(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과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몇몇 예로, 충전기(200)는 사용자 단말(100)에 블루투스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블루투스 신호는 BLE 신호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BLE 신호의 연결 모드는 어드벌타이징 모드(advertising mode)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어드벌타이징 모드는 특정 디바이스를 지정하지 않고 주변의 모든 디바이스에게 일방적으로 신호를 보내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블루투스 통신 모듈(210)은 사용자 단말(100)에 BLE 어드벌타이징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과 충전기(200)가 블루투스 신호 중에서도 특히 BLE 어드벌타이징 신호를 통해 연결됨으로써, 사용자 단말(100)의 배터리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즉, 사용자 단말(100)과 충전기(200)가 상호간에 블루투스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충전기(200)가 일방적으로 사용자 단말(100)에 단방향성 블루투스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 단말(100)의 배터리 사용량은 감소될 수 있다.
몇몇 예로, 충전기(200)는 사용자 단말(100)이 충전기(200)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접근하면 블루투스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블루투스 신호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해당 충전기(200)의 충전기 UUID와 충전기 ID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충전기(200)가 블루투스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을 도 2를 참조하여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사용자 단말이 충전기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접근하여, 충전기가 블루투스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에는 제1 사용자 단말(101)과 제1 사용자 단말(101)에 상응하는 제1 전기차(151), 제2 사용자 단말(102)과 제2 사용자 단말(102)에 상응하는 제2 전기차(152) 및 충전기(2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충전기(200)는 사용자 단말(101, 102)이 충전기(200)의 블루투스 신호 영역(BSR)에 접근하면 블루투스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충전기(200)의 블루투스 신호 영역(BSR)은 충전기(200)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는 블루투스 신호 영역(BSR)이 충전기(200)로부터 소정 거리(R)를 갖는 원의 영역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에는 제1 사용자 단말(101)과 해당 제1 전기차(151)의 경우, 충전기(200)의 블루투스 신호 영역(BSR)에 포함되어 있지 않고, 제2 사용자 단말(102)과 해당 제2 전기차(152)의 경우 블루투스 신호 영역(BSR)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때, 충전기(200)는 블루투스 신호 영역(BSR)에 포함되어 있는 제2 사용자 단말(102)에 블루투스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블루투스 신호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해당 충전기(200)의 충전기 UUID와 충전기 ID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후, 사용자 단말(102)은 수신한 블루투스 신호를 기초로 충전 서버(300)에 충전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충전기(200)가 블루투스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은 도 2에 도시된 바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충전기(200)는 블루투스 신호 영역(BSR) 중에서 관심 영역을 설정한 다음, 해당 관심 영역에 전기차(150)가 진입하는 경우 해당 전기차(150)의 사용자 단말(100)에 블루투스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관심 영역은 블루투스 신호 영역(BSR) 중에서 임의로 결정되거나 또는 충전기(200) 및/또는 충전 서버(300)의 관리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몇몇 예로, 관심 영역은 원, 타원, 다각형(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등)등의 형상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충전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충전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충전기(200)의 전기차(150) 충전 진행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충전 요청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충전량, 사용자 인증 정보, 충전기(200)로부터 수신한 충전기 UUID와 충전기 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량은 사용자로부터 매 충전시마다 직접 입력되거나, 사용자로부터 설정되어 저장된 특정 값이거나 또는 충전 서버(300)에 의해 미리 정해진 값일 수 있고, 사용자 인증 정보는 사용자의 회원가입시 발행되어 충전 어플리케이션(100a)에 저장된 토큰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예로, 충전 서버(300)는 수신된 충전 요청 정보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서버(300)는 사용자가 회원가입을 진행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에게 토큰을 발행하고, 이후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00)이 충전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발행된 토큰을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이어서, 충전 서버(300)는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경우, 사용자가 충전기(200)를 작동시켜 충전을 진행할 수 있도록, 충전 요청 정보에 포함된 충전기 UUID와 충전기 ID에 상응하는 충전기(200)에 충전 진행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어서, 충전이 완료된 경우 충전 서버(300)는 충전 결과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에 전송할 수 있다.
충전 결과 정보는 충전 시작시간, 충전 종료시간, 해당 전기차(150)에 충전된 충전량, 해당 충전량에 상응하는 사용요금, 충전을 수행한 충전기(200)의 충전기 UUID 및 충전기 ID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3을 더 참조하여 충전 서버(300)에 대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충전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충전 서버(300)는 데이터 수신 모듈(310), 사용자 인증 모듈(320), 충전 제어 모듈(330) 및 요금 과금 모듈(340)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수신 모듈(310)은 충전 요청 정보(Charge Appeal Information, 이하 "CAI"라 한다)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충전 요청 정보(CAI)는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된 충전 어플리케이션(100a)으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충전 요청 정보(CAI)는 전술한 바와 같이 충전량, 사용자 인증 정보, 충전기(200)로부터 수신한 충전기 UUID와 충전기 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량은 사용자로부터 매 충전시마다 직접 입력되거나, 사용자로부터 설정되어 저장된 특정 값이거나 또는 충전 서버(300)에 의해 미리 정해진 값일 수 있고, 사용자 인증 정보는 사용자의 회원가입시 발행되어 충전 어플리케이션(100a)에 저장된 토큰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데이터 수신 모듈(310)은 수신된 충전 요청 정보(CAI)를 충전 서버(300) 내의 다른 구성요소에 전달할 수 있다.
예컨대, 데이터 수신 모듈(310)은 충전 요청 정보(CAI)를 사용자 인증 모듈(320), 충전 제어 모듈(330) 및 요금 과금 모듈(340)등에 전달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데이터 수신 모듈(310)에는 다양한 통신 모듈이 이용될 수 있으며,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 과의 데이터 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 모듈(320)은 전기차(150)를 충전하고자 하는 사용자를 인증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회원 정보를 식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몇몇 예로, 사용자 인증 모듈(320)은 사용자가 충전 서버(300)에 대한 회원가입을 진행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된 충전 어플리케이션(100a)에 토큰(token)을 발행할 수 있다.
이때, 토큰은 사용자 인증에 사용되는 인증 토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몇몇 예로, 사용자 인증 모듈(320)은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충전 요청 정보(CAI)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충전 요청 정보(CAI)에 포함된 토큰을 분석하여 해당 사용자를 인증하거나, 해당 사용자의 회원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a를 참조하여 사용자 인증 모듈(320)의 토큰 발행 및 토큰 인증 과정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토큰 발행과 토큰 인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의 <A1>은 사용자의 회원가입 시점에서의 토큰 발행을 도시한 것이고, 도 4의 <A2>는 사용자가 충전 요청 정보(CAI)를 전송한 경우에 토큰을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4의 <A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이 충전 서버(300)의 사용자 인증 모듈(320)에 회원가입을 요청하면, 사용자 인증 모듈(320)은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된 충전 어플리케이션(100a)에 기입된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인증 모듈(320)은 외부의 신원 인증 데이터베이스 등을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데이터를 검증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데이터는 해당 사용자의 성명, 주민등록번호, 주소, 차량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확인 결과, 사용자의 신원이 확인된 경우, 사용자 인증 모듈(320)은 충전 어플리케이션(100a)에 해당 사용자에 고유한 토큰을 발행하여 저장시킬 수 있다.
확인 결과, 사용자의 신원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 인증 모듈(320)은 충전 어플리케이션(100a)에 해당 사용자 데이터의 보정 요청을 발송할 수 있다.
도 1 및 도 4의 <A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이 추후 전기차(150)의 충전을 진행하고자 충전 요청 정보(CAI)를 충전 서버(300)에 전송하는 경우, 사용자 인증 모듈(320)은 해당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된 충전 어플리케이션(100a)에 저장된 토큰을 검사할 수 있다.
검사 결과, 해당 충전 어플리케이션(100a)에 저장된 토큰이 유효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 인증 모듈(320)은 충전 어플리케이션(100a)에 충전 불가를 의미하는 그래픽 객체를 팝업하거나 또는 충전기(200)에 충전기(200)가 충전을 진행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충전 미진행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충전 어플리케이션(100a)에 저장된 토큰이 유효하지 않은 경우란 유효기간이 만료되었거나 또는 저장된 토큰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검사 결과, 해당 충전 어플리케이션(100a)에 저장된 토큰이 유효한 경우, 사용자 인증 모듈(320)은 사용자 인증 완료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5a는 사용자가 서로 다른 시점에 서로 다른 차량을 운행하는 경우, 전기차 충전 과정에서의 사용자 인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도 5a에는 서로 다른 시점(T1 내지 T4)에서 동일한 사용자가 동일한 사용자 단말(103)을 통해 서로 다른 차량(153a 내지 153d)을 충전하는 경우에서의 사용자 인증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5a는 각 시점(T1 내지 T4)에서의 차량(153a 내지 153d)은 서로 상이해도, 각 차량(153a 내지 153d)을 운행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03)은 동일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사용자 인증 모듈(320)은 사용자가 서로 다른 복수의 차량을 운행하는 경우라도 해당 사용자 단말(103)에 저장된 토큰(TOK)의 인증을 통해 공통된 사용자 인증을 진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동일한 사용자는 동일한 사용자 단말(103, 예: 스마트폰)을 휴대하는 경우가 통상적인데, 이때 해당 사용자가 다른 종류의 차량을 운행하면서 충전을 진행하는 경우, 본 발명의 전기차 충전 시스템(1)을 통해 별도의 회원 가입 절차 또는 인증 절차를 생략할 수 있거나 간소화 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전기차 충전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이 아닌 전기차 자체를 통해 사용자를 인증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전기차 충전을 위해 각 전기차 마다 별도의 회원가입 절차를 거쳐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다만, 본 발명의 전기차 충전 시스템(1)의 경우 차량을 인증하는 것이 아닌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토큰(TOK)을 인증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각 차량마다 별도의 회원가입 절차를 진행하는 등의 불편함이 감소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다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한편, 사용자 인증 모듈(320)은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공동 인증 그룹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해당 그룹의 복수의 사용자들에게 공통된 그룹 토큰을 발행할 수 있다.
몇몇 예로, 사용자 인증 모듈(320)은 해당 그룹의 사용자 중 특정 사용자가 회원가입을 완료하여 토큰이 발행된 바 있고, 상기 특정 사용자가 공동 인증 그룹 요청을 전송하는 경우, 해당 그룹의 다른 사용자들의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충전 어플리케이션에 상기 특정 사용자의 토큰을 제1 그룹 토큰으로서 발행할 수 있다. 이때, 해당 그룹의 다른 사용자들은 각자의 사용자 단말에 충전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였으나, 회원가입을 수행하지 않은 사용자들을 의미할 수 있다.
다른 몇몇 예로, 사용자 인증 모듈(320)은 해당 그룹의 사용자들이 모두 회원가입을 완료하여 각자의 토큰이 발행된 바 있고, 해당 사용자들이 공동 인증 그룹 요청을 전송하는 경우, 해당 그룹에 추가적인 별도의 토큰을 제2 그룹 토큰으로서 발행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 인증 모듈(320)은 공동 인증 그룹의 사용자들이 충전 요청 정보(CAI)를 전송하는 경우, 해당 그룹의 사용자들의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충전 어플리케이션에 저장된 제1 그룹 토큰 또는 제2 그룹 토큰을 검사함으로써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여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5b는 복수의 사용자가 서로 다른 시점에 동일한 차량을 운행하는 경우, 전기차 충전 과정에서의 사용자 인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사용자 인증 모듈(320)은 공동 인증 그룹 요청에 따라 발행된 그룹 토큰(TOK_group)을 기초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몇몇 예로, 공동 인증 그룹의 사용자들이 충전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사용자 인증 모듈(320)은 해당 그룹의 사용자들의 사용자 단말(104a 내지 104d)에 설치된 충전 어플리케이션에 저장된 그룹 토큰(TOK_group)을 검사할 수 있다.
도 5b에는 서로 다른 시점(T5 내지 T8)에서 서로 다른 사용자들이 서로 다른 사용자 단말(104a 내지 104d)에 저장된 공통된 그룹 토큰(TOK_group)을 통해 사용자 인증을 진행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도 5b에는 각 사용자 단말(104a 내지 104d)에 상응하는 전기차(154)가 모두 동일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각 사용자가 서로 다른 차량을 운행하는 경우에도, 그룹 토큰(TOK_group)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과정은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전기차 충전 시스템은 차량 인증이 아닌 사용자 단말(104a 내지 104d)에 저장된 토큰 또는 그룹 토큰(TOK_group)을 인증하는 방식을 채택하였기 때문이다.
만약, 그룹 토큰(TOK_group)이 전술한 제1 그룹 토큰인 경우, 회원가입을 진행하지 않은 사용자들도 그들의 충전 어플리케이션에 발행된 토큰을 통해 사용자 인증을 진행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해당 그룹의 일부 사용자 만이 회원가입을 진행하여도 해당 그룹의 전체 사용자가 사용자 인증을 진행할 수 있어, 사용자의 충전 경험이 향상될 수 있다.
또는 이와 달리, 그룹 토큰(TOK_group)이 제2 그룹 토큰인 경우, 과금 대상을 구별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성이 증대될 수 있다.
즉, 전기차(154) 자체가 아닌 사용자 단말(104a 내지 104d)을 통해 사용자를 인증하는 방식은, 예컨대 법인 구성원들이 법인 차량을 운행하는 경우에는 요금 지불 절차가 다소 복잡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해당 법인 구성원들이 개인 차량이 아닌 법인 차량을 운행하는 경우에는 해당 법인 명의로 요금 청구를 희망하는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전기차 충전 시스템은 각 사용자의 개별 토큰 또는 그룹 토큰 중 사용자 인증에 사용되는 토큰에 따라 과금 대상을 달리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인증에 사용되는 토큰은 이하 서술하는 방식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제1 예로, 사용자 인증에 사용되는 토큰은 사용자의 입력을 받음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제2 예로, 사용자 인증에 사용되는 토큰은 해당 사용자 단말이 통신(예: 블루투스 통신)하고 있는 차량의 종류를 파악함으로써 충전 서버(30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때, 해당 그룹의 사용자는 충전 어플리케이션에 개인 차량과 법인 차량의 종류(예: 해당 차량의 고유번호)를 입력할 수 있고, 충전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이 통신하고 있는 차량의 종류를 검색함으로써 사용자 인증에 사용될 토큰을 결정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인증 모듈(320)은 그룹 토큰(TOK_group)을 검사한 후, 해당 그룹 토큰(TOK_group)이 유효한 경우, 사용자 인증 완료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인증 모듈(320)이 사용자 인증을 완료하여 사용자 인증 완료 정보(Identification Verification, 이하 "IV"이라 한다)를 생성한 경우, 사용자 인증 완료 정보(IV)는 충전 제어 모듈(330)에 전달될 수 있다.
충전 제어 모듈(330)은 수신된 사용자 인증 완료 정보(IV)를 기초로 충전기(200)가 충전을 진행할 수 있도록 충전기(200)에 충전 진행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몇몇 예로, 충전 제어 모듈(330)은 사용자가 해당 충전기(200)를 사용할 수 있도록, 충전기(200)를 언락(un-lock)하는 릴리즈(release) 신호와 함께, 충전 요청 정보(CAI)에 포함된 충전량을 충전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어서, 충전이 완료된 경우, 충전기(200)는 충전 결과 정보(Charge Result Information, 이하 "CRI"라 한다)를 충전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고, 충전 제어 모듈(330)은 수신한 충전 결과 정보(CRI)를 요금 과금 모듈(34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충전 결과 정보(CRI)는, 충전 시작시간, 충전 종료시간, 충전량, 해당 충전량에 상응하는 사용요금, 사용된 충전기(200)의 충전기 UUID 및 충전기 ID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요금 과금 모듈(340)은 전달받은 충전 결과 정보(CRI)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00)에 기 연결된 과금 서버(예: 은행, 금융사, 카드사)로 과금액에 대한 지불 청구서(Billing Request, 이하 "BR"이라 한다)를 전송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00)에 지불 청구서(BR)의 과금액에 상응하는 비용 정보(Billing Information, 이하 "BI"라 한다)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지불 청구서(BR) 및 비용 정보(BI)의 과금액은 충전 결과 정보(CRI)에 포함된 사용요금 또는 해당 사용요금에 대한 보정값(예: 할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 중복되는 내용은 제외하고 간략하게 서술한다.
우선, 충전기(200)가 사용자 단말(100)에 블루투스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01).
몇몇 예로, 충전기(200)는 충전기(200)의 블루투스 신호 영역에 사용자 단말(100)이 진입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100)에 블루투스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블루투스 신호는 BLE 신호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블루투스 신호는 충전기(200)의 충전기 UUID와 충전기 ID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사용자 단말(100)은 수신된 블루투스 신호를 기초로 충전 서버(300)에 충전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02).
몇몇 예로,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된 충전 어플리케이션(100a)은 충전기(200)로부터 수신된 블루투스 신호에 기초하여 충전 서버(300)에 충전 요청 정보(CAI)를 전송할 수 있다.
충전 요청 정보는 충전량, 사용자 인증 정보, 충전기(200)로부터 수신한 충전기 UUID와 충전기 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량은 사용자로부터 매 충전시마다 직접 입력되거나, 사용자로부터 설정되어 저장된 특정 값이거나 또는 충전 서버(300)에 의해 미리 정해진 값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인증 정보는 사용자의 회원가입시 발행되어 충전 어플리케이션(100a)에 저장된 토큰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충전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충전 요청 정보(CAI)를 기초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이 충전 요청 정보(CAI)를 전송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가 회원가입 시에 기 발행된 바 있는 토큰을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이어서, 충전 서버(300)는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경우, 사용자가 충전기(200)를 작동시켜 충전을 진행할 수 있도록, 충전기(200)에 충전 진행 제어 신호(CS)를 전송할 수 있다(S03).
몇몇 예로, 충전 진행 제어 신호(CS)는 충전기(200)를 언락(un-lock)하는 릴리즈(release) 신호와 충전 요청 정보(CAI)에 포함된 충전량에 관한 신호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충전기(200)는 해당 사용자의 전기차(150)를 충전할 수 있고(S04), 그에 따라 충전 결과 정보(CRI)를 생성하여 충전 서버(300)에 전달할 수 있다(S05).
충전 결과 정보(CRI)는 충전 시작시간, 충전 종료시간, 충전량, 해당 충전량에 상응하는 사용요금, 사용된 충전기(200)의 충전기 UUID 및 충전기 ID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충전 서버(300)는 전달받은 충전 결과 정보(CRI)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00)에 대하여 기 연결된 과금 서버(400)로 과금액에 대한 지불 청구서(BR)를 전송할 수 있고(S06-1), 사용자 단말(100)에 지불 청구서(BR)의 과금액에 상응하는 비용 정보(BI)를 전송할 수 있다(S06-2).
몇몇 예로, 과금 서버는 은행, 금융사, 카드사 등을 포함할 수 있고, 과금액은 충전 결과 정보(CRI)에 포함된 사용요금 또는 해당 사용요금에 대한 보정값(예: 할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의 전기차 충전 방법은 도 1의 전기차 충전 시스템(1)의 각 구성요소인 사용자 단말(100), 충전기(200) 및/또는 충전 서버(3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하 중복되는 내용은 제외하고 간략하게 서술한다.
우선, 충전기가 사용자 단말에 블루투스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100).
몇몇 예로, 블루투스 신호는 BLE 신호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블루투스 신호는 충전기 UUID 및 충전기 ID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 단말이 수신된 블루투스 신호를 기초로 충전 서버에 충전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110).
몇몇 예로,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충전 어플리케이션은,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하여 충전 서버에 충전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충전 요청 정보는 충전량, 사용자 인증 정보, 충전기(200)로부터 수신한 충전기 UUID와 충전기 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량은 사용자로부터 매 충전시마다 직접 입력되거나, 사용자로부터 설정되어 저장된 특정 값이거나 또는 충전 서버(300)에 의해 미리 정해진 값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인증 정보는 사용자의 회원가입시 발행되어 충전 어플리케이션(100a)에 저장된 토큰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충전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충전 요청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S120).
몇몇 예로, 충전 서버는 해당 사용자가 회원가입 시에 기 발행된 바 있는 토큰을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이어서, 충전 서버가 충전기의 전기차 충전 진행을 제어할 수 있다(S130).
몇몇 예로, 충전 서버는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경우, 사용자가 충전기를 작동시켜 충전을 진행할 수 있도록, 충전기에 충전 진행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a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토큰 발행 절차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8a의 전기차 충전 방법은 도 1의 전기차 충전 시스템(1)의 충전 서버(3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하 중복되는 내용은 제외하고 간략하게 서술한다.
우선, 사용자로부터 회원가입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200).
몇몇 예로, 충전 서버는 사용자 단말의 충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회원가입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S210).
몇몇 예로, 충전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충전 어플리케이션에 기입된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데이터는 해당 사용자의 성명, 주민등록번호, 주소, 차량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충전 서버는, 신원 인증 완료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20).
판단 결과, 신원 인증이 완료된 경우, 즉 사용자의 신원이 확인된 경우 해당 사용자에게 토큰을 발행할 수 있다(S230).
몇몇 예로, 충전 서버는, 사용자 단말의 충전 어플리케이션에 해당 사용자에 고유한 토큰을 발행하여 저장시킬 수 있다.
판단 결과, 신원 인증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즉 즉 사용자의 신원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 해당 사용자에게 사용자 데이터 보정 요청 발송할 수 있다(S240).
몇몇 예로, 충전 서버는, 충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사용자 데이터 보정 요청을 발송할 수 있다.
도 8b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토큰 인증 절차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8b의 전기차 충전 방법은 도 1의 전기차 충전 시스템(1)의 충전 서버(3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하 중복되는 내용은 제외하고 간략하게 서술한다.
우선, 사용자로부터 충전 요청 정보 수신할 수 있다(S250).
몇몇 예로, 충전 서버는, 충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충전 요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의 토큰이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60).
몇몇 예로, 충전 서버는 충전 어플리케이션 상에 토큰 저장 여부, 해당 토큰의 유효기간 도래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판단 결과, 사용자의 토큰이 유효한 경우, 사용자 인증 완료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270).
판단 결과, 사용자의 토큰이 유효하지 않은 경우, 충전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 충전 불가를 의미하는 그래픽 객체를 팝업하거나 충전기에 충전 미진행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280).
도 9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그룹 토큰 발행 및 인증 절차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9의 전기차 충전 방법은 도 1의 전기차 충전 시스템(1)의 충전 서버(3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하 중복되는 내용은 제외하고 간략하게 서술한다.
우선, 사용자로부터 공동 인증 그룹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300).
몇몇 예로, 충전 서버는 회원가입을 완료하여 토큰이 발행된 사용자로부터 공동 인증 그룹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어서, 공동 인증 그룹의 복수의 사용자에게 그룹 토큰을 발행할 수 있다(S310).
몇몇 예로, 충전 서버는 해당 그룹의 사용자 중 특정 사용자가 회원가입을 완료하여 토큰이 발행된 바 있고, 상기 특정 사용자가 공동 인증 그룹 요청을 전송하는 경우, 해당 그룹의 다른 사용자들의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충전 어플리케이션에 상기 특정 사용자의 토큰을 제1 그룹 토큰으로서 발행할 수 있다. 이때, 해당 그룹의 다른 사용자들은 각자의 사용자 단말에 충전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였으나, 회원가입을 수행하지 않은 사용자들을 의미할 수 있다.
다른 몇몇 예로, 충전 서버는 해당 그룹의 사용자들이 모두 회원가입을 완료하여 각자의 토큰이 발행된 바 있고, 해당 사용자들이 공동 인증 그룹 요청을 전송하는 경우, 해당 그룹에 추가적인 별도의 토큰을 제2 그룹 토큰으로서 발행할 수 있다.
이어서, 공동 인증 그룹의 사용자 중 적어도 한명의 사용자로부터 충전 요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320).
이어서, 사용자의 그룹 토큰이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30).
몇몇 예로, 충전 서버는 충전 어플리케이션 상에 그룹 토큰 저장 여부, 해당 그룹 토큰의 유효기간 도래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판단 결과, 그룹 토큰이 유효한 경우, 충전 서버는, 사용자 인증 완료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340).
판단 결과, 그룹 토큰이 유효하지 않은 경우, 충전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 충전 불가를 의미하는 그래픽 객체를 팝업하거나 충전기에 충전 미진행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350).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의 전기차 충전 방법은 도 1의 전기차 충전 시스템(1)의 각 구성요소인 사용자 단말(100), 충전기(200) 및/또는 충전 서버(3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하 중복되는 내용은 제외하고 간략하게 서술한다.
우선, 충전기가 사용자 단말에 블루투스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100). 이어서, 사용자 단말이 수신된 블루투스 신호를 기초로 충전 서버에 충전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110). 이어서, 충전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충전 요청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S120).
단계(S100 내지 S120)에 대하여는 도 7에서 자세히 설명한 바, 여기서는 생략한다.
이어서, 충전 서버가 충전기에 충전 진행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131).
몇몇 예로, 충전 서버는 사용자가 해당 충전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충전기를 언락(un-lock)하는 릴리즈(release) 신호와 함께, 충전 요청 정보에 포함된 충전량을 충전기에 전송할 수 있다.
이어서, 충전기가 전기차를 충전하고 충전 결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132).
이때 충전 결과 정보는, 충전 시작시간, 충전 종료시간, 충전량, 해당 충전량에 상응하는 사용요금, 사용된 충전기의 충전기 UUID 및 충전기 ID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충전 서버가 충전기로부터 충전 결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33).
이어서, 충전 서버가 수신한 충전 결과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기 연결된 과금 서버로 과금액에 대한 지불 청구서를 전송할 수 있다(S140). 이어서, 충전 서버가 사용자 단말에 지불 청구서의 과금액에 상응하는 비용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150).
이때 지불 청구서 및 비용 정보의 과금액은 충전 결과 정보에 포함된 사용요금 또는 해당 사용요금에 대한 보정값(예: 할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충전기, 충전 서버 및 상기 충전 서버로부터 제공된 충전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사용자가 휴대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와의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을 기초로 상기 충전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충전 서버에 충전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과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하여 통신하고, 상기 충전 서버의 제어에 따라 전기차를 충전하는 충전기; 및
    상기 충전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충전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기의 전기차 충전 진행을 제어하는 충전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충전기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충전기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에 접근하면 블루투스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블루투스 신호는 BLE(Bluetooth Low Energy) 어드벌타이징(advertising) 신호이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충전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충전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블루투스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 요청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충전 요청 정보를 충전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충전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충전기로부터 상기 BLE 어드벌타이징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충전기에 블루투스 신호를 회신하지 않고 자동으로 상기 충전 서버에 상기 충전 요청 정보를 전송하도록 미리 설계되고,
    상기 충전기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는 상기 BLE 어드벌타이징 신호는, 단방향성 블루투스 신호이고,
    상기 충전 요청 정보는, 상기 사용자에 관한 사용자 인증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 서버는, 수신된 상기 충전 요청 정보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인증 과정을 진행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는, 급속 충전기 및 완속 충전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신호는,
    상기 블루투스 신호를 전송한 상기 충전기의 충전기 UUID 및 충전기 ID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요청 정보는,
    충전량, 상기 충전기에 관한 충전기 UUID 및 상기 충전기에 관한 충전기 ID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
  6. 충전기, 충전 서버 및 상기 충전 서버로부터 제공된 충전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사용자가 휴대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블루투스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수신된 상기 블루투스 신호를 기초로 상기 충전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충전 서버에 충전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충전 서버가 수신된 상기 충전 요청 정보를 기초로 상기 충전기의 충전 진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충전기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블루투스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기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충전기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에 접근하면 블루투스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블루투스 신호는 BLE(Bluetooth Low Energy) 어드벌타이징(advertising) 신호이며,
    상기 사용자 단말이 충전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충전 서버에 충전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충전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충전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블루투스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 서버에 상기 충전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충전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충전기로부터 상기 BLE 어드벌타이징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충전기에 블루투스 신호를 회신하지 않고 자동으로 상기 충전 서버에 상기 충전 요청 정보를 전송하도록 미리 설계되고,
    상기 충전 요청 정보는, 상기 사용자에 관한 사용자 인증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 서버가 수신된 상기 충전 요청 정보를 기초로 상기 충전기의 충전 진행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 서버가, 수신된 상기 충전 요청 정보엔 포함된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인증 과정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는, 급속 충전기 및 완속 충전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방법.
  8. 삭제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신호는,
    상기 블루투스 신호를 전송한 상기 충전기의 충전기 UUID 및 충전기 ID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요청 정보는,
    충전량, 상기 충전기에 관한 충전기 UUID 및 상기 충전기에 관한 충전기 ID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방법.
KR1020220127972A 2022-10-06 2022-10-06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방법 KR102568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7972A KR102568912B1 (ko) 2022-10-06 2022-10-06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7972A KR102568912B1 (ko) 2022-10-06 2022-10-06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8912B1 true KR102568912B1 (ko) 2023-08-22

Family

ID=87799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7972A KR102568912B1 (ko) 2022-10-06 2022-10-06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891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0017A (ko) * 2013-07-17 2015-01-28 김포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전기 자동차의 충전 방법
KR20150035900A (ko) * 2015-03-02 2015-04-07 김포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전기 자동차의 충전 방법
KR20180011975A (ko) * 2016-07-26 2018-02-05 최종환 유저 식별을 통한 휴대폰 충전 시스템
KR20180019950A (ko) * 2016-08-17 2018-02-2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전기자동차 충전장치 및 관리서버장치
WO2018101501A1 (ko) * 2016-11-30 2018-06-07 (주)클린일렉스앤컴퍼니 전기차 충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0017A (ko) * 2013-07-17 2015-01-28 김포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전기 자동차의 충전 방법
KR20150035900A (ko) * 2015-03-02 2015-04-07 김포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전기 자동차의 충전 방법
KR20180011975A (ko) * 2016-07-26 2018-02-05 최종환 유저 식별을 통한 휴대폰 충전 시스템
KR20180019950A (ko) * 2016-08-17 2018-02-2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전기자동차 충전장치 및 관리서버장치
WO2018101501A1 (ko) * 2016-11-30 2018-06-07 (주)클린일렉스앤컴퍼니 전기차 충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용발명 3: 에바"충전 사각지대ㆍ인프라 부족 다 잡는다", 전기신문, 2021.09.27. 1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92308B1 (en) System and method of authorizing off-lin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US20150091496A1 (en) Bi-directional communication with a device under charge
US20150091508A1 (en) Bi-directional communication with a device under charge
US7748636B2 (en) Portable identity card reader system for physical and logical access
US9819200B2 (en) Authorization in a networked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CN105519004B (zh) 用于促进设备之间的混合式通信的方法、装置及系统
US9036184B2 (en) Printer registration
CN110476316A (zh) 管理装置、管理系统、车辆以及程序
CN102855207B (zh) 用于电子通信装置的存储器仲裁器
US11535115B2 (en) Electric vehicle capable of providing power to another vehicle,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system
CN110447048A (zh) 管理装置、管理系统以及程序
US10688881B2 (en) Energy transfer systems and methods
CN109849728A (zh) 具备防仿冒的电动汽车资费套餐运营方法
CN112041230A (zh) 用于设备充电的装置
CN104640112B (zh) 一种身份鉴权方法、装置及系统
US20140008994A1 (en) Power management device, power supply device, power supply system, power management method, and power supply method
KR102568912B1 (ko)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방법
CN106169137B (zh) 一种资源转移方法、装置及系统
KR102406519B1 (ko) 하이패스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N115545696B (zh) 支付方法、服务器及移动终端
CN112150140B (zh) 资源配置方法、装置及系统
CN106778408A (zh) Nfc‑wifi读卡装置及nfc数据处理方法
JP2008521310A (ja) 電気通信ネットワークを介した権利の交付と使用方法
KR102554725B1 (ko) 충전 관리 시스템
KR102554730B1 (ko) 로컬 인증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