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8332B1 - 렌즈 모듈 - Google Patents

렌즈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8332B1
KR102568332B1 KR1020210125027A KR20210125027A KR102568332B1 KR 102568332 B1 KR102568332 B1 KR 102568332B1 KR 1020210125027 A KR1020210125027 A KR 1020210125027A KR 20210125027 A KR20210125027 A KR 20210125027A KR 102568332 B1 KR102568332 B1 KR 102568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area
lens unit
support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5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9351A (ko
Inventor
박지환
박정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예스옵티컬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예스옵티컬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예스옵티컬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210125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8332B1/ko
Publication of KR20210119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9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8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83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lens and mount having complementary engagement means, e.g. screw/threa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emiconductor Lasers (AREA)
  • Lens Barrels (AREA)
  •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렌즈부 및 지지부를 구비하는 렌즈 모듈로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렌즈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제1 외면 및 상기 제1 외면의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내면을 포함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외면과 연결되고 상기 제1 외면과 굴곡된 형태의 제2 외면 및 상기 제2 외면의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내면과 굴곡된 형태로 연결되는 제2 내면을 포함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렌즈 모듈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렌즈 모듈{Lens module}
본 발명은 렌즈 모듈에 관한 것이다.
렌즈는 현미경, 확대 망원경(magnifier telescope), 디지털 카메라 및 비디오 카메라와 같은 광학 기구의 핵심 요소이다.
또한, 이러한 렌즈는 렌즈 자체로, 또는 렌즈와 함께 다른 기계적 부재나 전자적 부재를 함께 모듈화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렌즈의 형태 및 표면 구성은 렌즈 특성에 영향을 끼치므로 고정밀 공정을 진행하여 렌즈를 형성한다.
이러한 렌즈는 가열 압착 공정을 진행하여 제조할 수 있고, 그 형태도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렌즈 가공의 정밀성이 향상됨에 따라 렌즈를 포함한 렌즈 모듈은 광모듈 또는 광통신용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렌즈가 필요한 기술 분야의 고정밀화에 따라 렌즈의 최종 성형물의 크기가 작아지고, 그에 따라 렌즈 원재료의 크기도 점점 작아지고 있다.
이로 인하여 렌즈 원재료에 대한 가열 및 압축을 통한 성형 시 원하는 정밀한 형태와 특성을 갖는 렌즈를 제조하는데 한계가 있고, 이를 통하여 렌즈 모듈의 특성을 향상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제조 특성, 내구성 및 광특성이 향상된 렌즈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렌즈부 및 지지부를 구비하는 렌즈 모듈로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렌즈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제1 외면 및 상기 제1 외면의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내면을 포함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외면과 연결되고 상기 제1 외면과 굴곡된 형태의 제2 외면 및 상기 제2 외면의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내면과 굴곡된 형태로 연결되는 제2 내면을 포함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렌즈 모듈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제2 영역은 굴곡 영역 및 지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굴곡 영역은 상기 제1 영역과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1 영역과 굴곡진 형태를 갖고, 상기 지지 영역은 상기 렌즈부를 지지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제1 영역의 외면의 폭은 상기 제2 영역의 외면의 폭과 상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렌즈 모듈은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고, 렌즈 모듈 형성 시의 제조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렌즈 모듈이 다양한 분야에 사용 시 광특성이 향상된 렌즈 모듈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렌즈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사시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렌즈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렌즈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렌즈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렌즈 모듈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광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렌즈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사시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렌즈 모듈(1000)은 다양한 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들면 렌즈 모듈(1000)은 광통신에 사용되는 광모듈에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레이저 다이오드와 같은 광원에 대응되어 하나 이상의 종류의 광원에서 발생되는 광을 통과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렌즈 모듈(1000)은 구체적으로 렌즈부(1100) 및 지지부(120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200)는 렌즈부(1100)를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2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지지부(1200)는 크게 제1 영역(1210) 및 제2 영역(1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1210)은 제1 외면(1210AT) 및 제1 내면(1210a)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외면(1210AT)의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고, 이러한 내측 공간의 내주면에 제1 내면(1210a)이 대응될 수 있다.
제1 내면(1210a)은 렌즈부(1100)와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영역(1210)은 제1 두께(t1)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외면(1210AT)은 제1 내면(1210a)에 대응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내면(1210a)이 도 1을 기준으로 상부로 연장된 형태를 갖고 제1 외면(1210AT)도 제1 내면(1210a)와 동일하게 도 1을 기준으로 상부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1210)은 일측이 개방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제2 영역(1220)을 향하는 영역의 반대 방향의 영역이 개방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개방된 영역은 다른 부재, 예를들면 광을 발생하는 광원 등의 부재에 대응되거나 인접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광이 용이하게 렌즈부(1100)에 전달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영역(1210)의 단부에는 연결 영역(12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영역(1211)은 다른 부재, 예를들면 광원부 또는 광원부를 배치하기 위한 베이스(모듈)과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연결 영역(1211)은 굴곡진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연결 영역(1211)의 외면은 제1 영역(1210)의 제1 외면(1210AT)으로부터 굴곡진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연결 면적을 증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1 영역(1210)의 제1 외면(1210AT)은 기둥 형태를 포함하고 예를들면 원기둥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내면(1210a)은 기둥 형태를 포함하고 예를들면 원기둥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제1 내면(1210a)은 제1 외면(1210AT)에 대응하는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영역(1210)은 속이 빈 기둥 형태로서 제1 두께(t1)를 갖는 속이 빈 기둥 형태, 예를들면 속이 빈 원기둥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영역(1220)은 제2 외면(1220AT) 및 제2 내면(1220a)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외면(1220AT)은 제1 외면(1210AT)과 연결되고 제1 외면(1210AT)과 굴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 내면(1220a)는 제2 외면(1220AT)의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내면(1210a)과 굴곡된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2 외면(1220AT)의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고, 이러한 내측 공간의 내주면에 제2 내면(1220a)이 대응될 수 있다.
제2 영역(1220)은 제2 두께(t2)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제2 두께(t2)는 제1 두께(t1)와 동일할 수 있다.
선택적 예로서 제1 영역(1210) 및 제2 영역(1220)은 동일한 두께를 갖는 일체화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판형의 재질, 예를들면 금속 재질의 판을 가공하여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외면(1220AT)은 제2 내면(1220a)에 대응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영역(1220)은 굴곡 영역(1221) 및 지지 영역(1222)을 포함할 수 있다.
굴곡 영역(1221)은 제1 영역(1210)과 일단이 연결되고, 예를들면 제1 영역(1210)으로부터 연장된 형태일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제1 영역(1210)과 일체화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굴곡 영역(1221)은 제1 영역(1210)과 굴곡진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제1 영역(1210)보다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굴곡 영역(1221)의 내측 공간의 폭 이 제1 영역(1210)의 제1 내면(1210a)의 폭보다 작을 수 있고, 굴곡 영역(1221)의 외주면의 폭이 제1 영역(1210)의 제1 외면(1210AT)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지지 영역(1222)은 렌즈부(1110)를 지지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영역(1222)은 굴곡 영역(1221)과 연결되고, 예를들면 굴곡 영역(1221)과 일체로 형성되어 굴곡 영역(1221)으로부터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지지 영역(1222)은 굴곡 영역(1221)과 연결되고 제1 영역(12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 영역(1222)은 제1 영역(1210)에 가까운 하측부(1222a), 제1 영역(1210)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측부(1222b) 및 그 사이의 중간부(1222c)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간부(1222c)의 내면으로 정의되는 내측 공간의 폭은 하측부(1222a)의 내면으로 정의되는 내측 공간의 폭과 상이할 수 있고 예를들면 작을 수 있다. 또한 중간부(1222c)의 내면으로 정의되는 내측 공간의 폭은 상측부(1222b)의 내면으로 정의되는 내측 공간의 폭과 상이할 수 있고 예를들면 작을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중간부(1222c)는 상측부(1222b) 및 하측부(1222a)보다 제2 영역(1220)의 내측 공간을 향하도록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렌즈부(1100)의 제조 시 가압 공정을 효과적으로 진행하고 불필요한 기체의 누설이나 잔류를 감소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 영역(1222)은 중간부(1222c)에 대응되는 형태의 오목부(1222g)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영역(1222)을 포함한 제2 영역(1220)은 판형의 형태를 가공한 구조로서 중간부(1222c)의 형성 시 오목부(1222g)가 자연스럽게 형성될 수 있다. 오목부(1222g)의 형성으로 지지 영역(1222)의 형성을 위한 재료를 감소할 수 있고, 렌즈부(1100)의 측면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고, 렌즈부(1100)의 정밀한 측면에 대응하는 중간부(1222c)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2 영역(1220)의 제2 외면(1220AT)은 기둥 형태를 포함하고 예를들면 회전체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내면(1220a)은 기둥 형태를 포함하고 예를들면 회전체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제2 내면(1220a)은 제2 외면(1220AT)에 대응하는 굴곡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영역(1220)은 속이 빈 기둥 형태로서 제2 두께(t2)를 갖는 속이 빈 기둥 형태, 예를들면 속이 빈 회전체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3 영역(1230)이 제2 영역(1220)과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3 영역(1230)은 제2 영역(1220)과 연결되고 제1 영역(12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3 영역(1230)은 제3 외면(1230AT) 및 제3 내면(1230a)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3 외면(1230AT)의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고, 이러한 내측 공간의 내주면에 제3 내면(1230a)이 대응될 수 있다.
제3 내면(1230a)의 적어도 일 영역은 렌즈부(1100)와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3 영역(1230)은 제3 두께(t3)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3 두께(t3)는 제2 두께(t2) 또는 제1 두께(t1)와 동일할 수 있다.
선택적 예로서 제3 영역(1230)은 제1 영역(1210) 및 제2 영역(1220)과 동일한 두께를 갖는 일체화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판형의 재질, 예를들면 금속 재질의 판을 가공하여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3 영역(1230)은 일측이 개방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제2 영역(1220)을 향하는 영역의 반대 방향의 영역이 개방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개방된 영역은 렌즈부(1100)를 통과한 광이 취출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3 영역(1230)의 제3 외면(1230AT)은 기둥 형태를 포함하고 예를들면 원기둥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3 내면(1230a)은 기둥 형태를 포함하고 예를들면 원기둥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제3 내면(1230a)은 제3 외면(1230AT)에 대응하는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3 영역(1230)은 속이 빈 기둥 형태로서 제3 두께(t3)를 갖는 속이 빈 기둥 형태, 예를들면 속이 빈 원기둥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3 영역(1230)은 제1 영역(1210)보다 작은 폭을 갖는 공간을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1 영역(1210)보다 작은 폭을 갖는 기둥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속이 빈 기둥 형태로서 기둥의 폭이 더 작을 수 있다.
또한 일 예로서 제3 영역(1230) 및 제1 영역(1210)은 속이 빈 원기둥 형태로서 제3 영역(1230)의 내측 공간의 지름은 제1 영역(1210)이 내측 공간의 지름보다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렌즈부(1100)는 제1 단부(1110a), 제2 단부(1110b), 및 연결부(115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부(1100)는 비구면 렌즈일 수 있고, 광통신용 모듈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전술한 것과 같이 레이저 다이오드와 같은 광원부에서 발생한 광에 대응될 수 있다.
제1 단부(1110a) 및 제2 단부(1110b)는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렌즈부(1100)의 일 방향, 예를들면 광이 통과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일측 및 이와 마주하는 타측에 대응되는 단부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단부(1110a) 및 제2 단부(1110b)는 각각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단부(1110a) 및 제2 단부(1110b)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한 형태의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단부(1110a)를 통하여 광이 입사되고 제2 단부(1110b)를 통하여 광이 출사될 수 있다.
렌즈부(1100)의 연결부(1150)는 제1 단부(1110a)와 연결될 수 있고, 추가적인 예로서 연결부(1150)와 제1 단부(1110a)의 사이에는 제1 단차 영역(1110a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단차 영역(1110aa)을 통하여 제1 단부(1110a)의 곡면과 연결부(1150)의 사이의 급격한 변화로 인한 연결부(1150)와 제2 영역(1220)간의 비정상적 이격, 공기 누설 및 공기 수용 등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렌즈부(1100)의 연결부(1150)는 제1 단부(1110a)와 제2 단부(1110b)의 사이에 배치되고 적어도 지지부(1200)에 의하여 지지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렌즈부(1100)의 연결부(1150)는 지지부(1200)의 제2 영역(1220)으로 지지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지지 영역(1222)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렌즈부(1100)의 연결부(1150)는 지지부(1200)의 제2 영역(1220), 예를들면 지지 영역(1222)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연결부(1150)는 지지 영역(1222)에 대응하도록 하측면(1151), 상측면(1152) 및 그 사이의 중간면(115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1150)는 굴곡면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중간면(1153)에 대응되는 영역에서의 렌즈부(1100)의 폭은 하측면(1151) 및 상측면(1152)에 대응되는 영역에서의 렌즈부(1100)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연결부(1150)와 제2 단부(1110b)의 사이에는 제2 단차 영역(1110bb)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단차 영역(1110bb)을 통하여 제2 단부(1110b)의 곡면과 연결부(1150)의 사이의 급격한 변화로 인한 연결부(1150)와 제2 단차 영역(1110bb)간의 비정상적 이격, 공기 누설 및 공기 수용 등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렌즈 모듈은 지지부 및 렌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를 형성 시 일 실시예로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형성 시 판형으로 일체로 형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내면에 대응하는 외면을 갖는 지지부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들면 지지부 중 렌즈부에 대응하는 영역을 형성하도록 제1 영역보다 폭이 줄어드는 형태로 길게 연장된 영역의 제2 영역을 형성할 수 있고, 렌즈부와 접하는 영역에 다양한 형태, 예를들면 렌즈부의 상측 및 하측에서 폭이 달라지도록 렌즈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렌즈부와 지지부간의 밀착 특성을 향상하고 렌즈부를 지지부에 배치하는 과정에서 렌즈부의 원재료에 대한 가압 공정 중 잔류 기체를 용이하게 배출하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고, 렌즈부의 원재료에 대한 가압이 상하 방향에서 효과적으로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다양한 형태를 비교적 적은 재료를 이용하여 손쉽게 구현하여 지지부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고 지지부의 정밀도를 향상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지지부에 대응하는 렌즈부의 정밀도를 향상하여 렌즈 모듈 형성 시의 제조 특성, 렌즈 모듈의 내구성 및 광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렌즈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렌즈 모듈(2000)은 다양한 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들면 렌즈 모듈(2000)은 광통신에 사용되는 광모듈에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레이저 다이오드와 같은 광원에 대응되어 하나 이상의 종류의 광원에서 발생되는 광을 통과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렌즈 모듈(2000)은 구체적으로 렌즈부(2100) 및 지지부(220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2200)는 렌즈부(2100)를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22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지지부(2200)는 크게 제1 영역(2210) 및 제2 영역(2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2210)은 제1 외면(2210AT) 및 제1 내면(2210a)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외면(2210AT)의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고, 이러한 내측 공간의 내주면에 제1 내면(2210a)이 대응될 수 있다.
제1 내면(2210a)은 렌즈부(2100)와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영역(2210)은 제1 두께(t1)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외면(2210AT)은 제1 내면(2210a)에 대응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내면(2210a)이 도 1을 기준으로 상부로 연장된 형태를 갖고 제1 외면(2210AT)도 제1 내면(2210a)와 동일하게 도 1을 기준으로 상부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2210)은 일측이 개방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제2 영역(2220)을 향하는 영역의 반대 방향의 영역이 개방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개방된 영역은 다른 부재, 예를들면 광을 발생하는 광원 등의 부재에 대응되거나 인접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광이 용이하게 렌즈부(2100)에 전달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영역(2210)의 단부에는 연결 영역(22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영역(2211)은 다른 부재, 예를들면 광원부 또는 광원부를 배치하기 위한 베이스(모듈)과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연결 영역(2211)은 굴곡진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연결 영역(2211)의 외면은 제1 영역(2210)의 제1 외면(2210AT)으로부터 굴곡진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연결 면적을 증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영역(2210)의 제1 외면(2210AT)은 기둥 형태를 포함하고 예를들면 원기둥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내면(2210a)은 기둥 형태를 포함하고 예를들면 원기둥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제1 내면(2210a)은 제1 외면(2210AT)에 대응하는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영역(2210)은 속이 빈 기둥 형태로서 제1 두께(t1)를 갖는 속이 빈 기둥 형태, 예를들면 속이 빈 원기둥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영역(2220)은 제2 외면(2220AT) 및 제2 내면(2220a)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외면(2220AT)은 제1 외면(2210AT)과 연결되고 제1 외면(2210AT)과 굴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 내면(2220a)는 제2 외면(2220AT)의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내면(2210a)과 굴곡된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2 외면(2220AT)의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고, 이러한 내측 공간의 내주면에 제2 내면(2220a)이 대응될 수 있다.
제2 영역(2220)은 제2 두께(t2)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제2 두께(t2)는 제1 두께(t1)와 동일할 수 있다.
선택적 예로서 제1 영역(2210) 및 제2 영역(2220)은 동일한 두께를 갖는 일체화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판형의 재질, 예를들면 금속 재질의 판을 가공하여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외면(2220AT)은 제2 내면(2220a)에 대응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영역(2220)은 굴곡 영역(2221) 및 지지 영역(2222)을 포함할 수 있다.
굴곡 영역(2221)은 제1 영역(2210)과 일단이 연결되고, 예를들면 제1 영역(2210)으로부터 연장된 형태일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제1 영역(2210)과 일체화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굴곡 영역(2221)은 제1 영역(2210)과 굴곡진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제1 영역(2210)보다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굴곡 영역(2221)의 내측 공간의 폭 이 제1 영역(2210)의 제1 내면(2210a)의 폭보다 작을 수 있고, 굴곡 영역(2221)의 외주면의 폭이 제1 영역(2210)의 제1 외면(2210AT)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지지 영역(2222)은 렌즈부(2110)를 지지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영역(2222)은 굴곡 영역(2221)과 연결되고, 예를들면 굴곡 영역(2221)과 일체로 형성되어 굴곡 영역(2221)으로부터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지지 영역(2222)은 굴곡 영역(2221)과 연결되고 제1 영역(22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 영역(2222)은 제1 영역(2210)에 가까운 하측부(2222a), 제1 영역(2210)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측부(2222b) 및 그 사이의 중간부(2222c)를 포함할 수 있다.
하측부(2222a)는 하측, 예를들면 제1 영역(2210)에 가까운 영역의 폭이 상측의 영역, 예를들면 제1 영역(2210)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영역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하측부(2222a)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줄어드는 형태로서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렌즈부(2100)를 지지부(2200)에 배치하기 위한 공정 중 렌즈부(2100)가 지지부(2200)와 밀착성을 향상하고 불필요한 리크를 감소하고, 잔류 기체를 감소할 수 있다.
중간부(2222c)의 내면으로 정의되는 내측 공간의 폭은 하측부(2222a)의 내면으로 정의되는 내측 공간의 폭과 상이할 수 있고 예를들면 작을 수 있다. 또한 중간부(2222c)의 내면으로 정의되는 내측 공간의 폭은 상측부(2222b)의 내면으로 정의되는 내측 공간의 폭과 상이할 수 있고 예를들면 작을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중간부(2222c)는 상측부(2222b) 및 하측부(2222a)보다 제2 영역(2220)의 내측 공간을 향하도록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렌즈부(2100)의 제조 시 가압 공정을 효과적으로 진행하고 불필요한 기체의 누설이나 잔류를 감소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 영역(2222)은 중간부(2222c)에 대응되는 형태의 오목부(2222g)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영역(2222)을 포함한 제2 영역(2220)은 판형의 형태를 가공한 구조로서 중간부(2222c)의 형성 시 오목부(2222g)가 자연스럽게 형성될 수 있다. 오목부(2222g)의 형성으로 지지 영역(2222)의 형성을 위한 재료를 감소할 수 있고, 렌즈부(2100)의 측면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고, 렌즈부(2100)의 정밀한 측면에 대응하는 중간부(2222c)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중간부(2222c)와 상측부(2222b)의 사이에 경사부(2222d)가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경사부(2222d)에 대응된 영역에서 중간부(2222c)로부터 상측부(2222b)로 갈수록 렌즈부(2100)의 폭이 커질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지지 영역(2222)은 오목부(2222g)와 인접한 영역에 돌출부(2222p)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2222p)는 적어도 일 영역에서 경사부(2222d)에 대응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2222p)를 오목부(2222g)에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렌즈부(2100)의 측면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고, 렌즈부(2100)의 정밀한 측면에 대응하는 중간부(2222c) 및 경사부(2222d)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제2 영역(2220)의 제2 외면(2220AT)은 기둥 형태를 포함하고 예를들면 회전체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내면(2220a)은 기둥 형태를 포함하고 예를들면 회전체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제2 내면(2220a)은 제2 외면(2220AT)에 대응하는 굴곡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영역(2220)은 속이 빈 기둥 형태로서 제2 두께(t2)를 갖는 속이 빈 기둥 형태, 예를들면 속이 빈 회전체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3 영역(2230)이 제2 영역(2220)과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3 영역(2230)은 제2 영역(2220)과 연결되고 제1 영역(22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3 영역(2230)은 제3 외면(2230AT) 및 제3 내면(2230a)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3 외면(2230AT)의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고, 이러한 내측 공간의 내주면에 제3 내면(2230a)이 대응될 수 있다.
제3 내면(2230a)의 적어도 일 영역은 렌즈부(2100)와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3 영역(2230)은 제3 두께(t3)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3 두께(t3)는 제2 두께(t2) 또는 제1 두께(t1)와 동일할 수 있다.
선택적 예로서 제3 영역(2230)은 제1 영역(2210) 및 제2 영역(2220)과 동일한 두께를 갖는 일체화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판형의 재질, 예를들면 금속 재질의 판을 가공하여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3 영역(2230)은 일측이 개방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제2 영역(2220)을 향하는 영역의 반대 방향의 영역이 개방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개방된 영역은 렌즈부(2100)를 통과한 광이 취출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3 영역(2230)의 제3 외면(2230AT)은 기둥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3 내면(2230a)은 기둥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제3 내면(2230a)은 제3 외면(2230AT)에 대응하는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3 영역(2230)의 제3 내면(2230a)은 제2 영역(2220)에 인접한 영역의 폭보다 제2 영역(2220)으로부터 멀리있는 영역의 폭이 클 수 있고, 예를들면 제2 영역(2220)에 인접한 영역으로부터 제2 영역(222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폭이 커질 수도 있다.
또한, 제3 외면(2230AT)은 제3 내면(2230a)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제3 외면(2230AT)의 영역 중 제2 영역(2220)에 인접한 영역의 폭보다 제2 영역(2220)으로부터 멀리있는 영역의 폭이 클 수 있고, 예를들면 제2 영역(2220)에 인접한 영역으로부터 제2 영역(222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폭이 커질 수도 있다.
이를 통하여 렌즈부(2100)를 통하여 취출된 광이 제3 영역(2230)의 영역에서 효율적으로 발산될 수 있고, 렌즈 모듈(2000)의 광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렌즈 모듈(2000)의 제조 시 렌즈부(2100)를 형성하기 위한 재료를 제2 영역(2220)에 배치 후 가압 공정 시 공정의 효율성 및 정밀성을 향상할 수 있다.
렌즈부(2100)는 제1 단부(2110a), 제2 단부(2110b), 및 연결부(215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부(2100)는 비구면 렌즈일 수 있고, 광통신용 모듈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전술한 것과 같이 레이저 다이오드와 같은 광원부에서 발생한 광에 대응될 수 있다.
제1 단부(2110a) 및 제2 단부(2110b)는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렌즈부(2100)의 일 방향, 예를들면 광이 통과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일측 및 이와 마주하는 타측에 대응되는 단부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단부(2110a) 및 제2 단부(2110b)는 각각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단부(2110a) 및 제2 단부(2110b)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한 형태의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단부(2110a)를 통하여 광이 입사되고 제2 단부(2110b)를 통하여 광이 출사될 수 있다.
렌즈부(2100)의 연결부(2150)는 제1 단부(2110a)와 연결될 수 있고, 추가적인 예로서 연결부(2150)와 제1 단부(2110a)의 사이에는 제1 단차 영역(2110a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단차 영역(2110aa)을 통하여 제1 단부(2110a)의 곡면과 연결부(2150)의 사이의 급격한 변화로 인한 연결부(2150)와 제2 영역(2220)간의 비정상적 이격, 공기 누설 및 공기 수용 등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렌즈부(2100)의 연결부(2150)는 제1 단부(2110a)와 제2 단부(2110b)의 사이에 배치되고 적어도 지지부(2200)에 의하여 지지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렌즈부(2100)의 연결부(2150)는 지지부(2200)의 제2 영역(2220)으로 지지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지지 영역(2222)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렌즈부(2100)의 연결부(2150)는 지지부(2200)의 제2 영역(2220), 예를들면 지지 영역(2222)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연결부(2150)는 지지 영역(2222)에 대응하도록 하측면(2151), 상측면(2152) 및 그 사이의 중간면(215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하측면(2151), 상측면(2152) 및 그 사이의 중간면(2153)은 각각 전술한 지지 영역(2222)의 하측부(2222a), 상측부(2222b) 및 중간부(2222c)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결부(2150)는 중간면(2153)과 상측면(2152)의 사이에 경사면(2154)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사면(2154)은 전술한 지지부(2200)의 제2 영역(2220)의 경사부(2222d)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연결부(2150)와 제2 단부(2110b)의 사이에는 제2 단차 영역(2110bb)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단차 영역(2110bb)을 통하여 제2 단부(2110b)의 곡면과 연결부(2150)의 사이의 급격한 변화로 인한 연결부(2150)와 제2 단차 영역(2110bb)간의 비정상적 이격, 공기 누설 및 공기 수용 등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렌즈 모듈은 지지부 및 렌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를 형성 시 일 실시예로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형성 시 판형으로 일체로 형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내면에 대응하는 외면을 갖는 지지부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들면 지지부 중 렌즈부에 대응하는 영역을 형성하도록 제1 영역보다 폭이 줄어드는 형태로 길게 연장된 영역의 제2 영역을 형성할 수 있고, 렌즈부와 접하는 영역에 다양한 형태, 예를들면 렌즈부의 상측 및 하측에서 폭이 달라지도록 렌즈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렌즈부와 지지부간의 밀착 특성을 향상하고 렌즈부를 지지부에 배치하는 과정에서 렌즈부의 원재료에 대한 가압 공정 중 잔류 기체를 용이하게 배출하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고, 렌즈부의 원재료에 대한 가압이 상하 방향에서 효과적으로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다양한 형태를 비교적 적은 재료를 이용하여 손쉽게 구현하여 지지부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고 지지부의 정밀도를 향상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지지부에 대응하는 렌즈부의 정밀도를 향상하여 렌즈 모듈 형성 시의 제조 특성, 렌즈 모듈의 내구성 및 광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렌즈부를 지지하는 제2 영역은 영역별로 폭이 다를 수 있고, 예를들면 제1 영역에 인접한 하측에서 경사진 형태와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렌즈부 형성 시 렌즈부 원재료에 대한 가압을 효과적으로 진행하여 렌즈부와 지지부간의 밀착력을 향상하고 누설 공간의 발생을 감소할 수 있고, 잔존 기체의 발생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제2 영역의 영역 중 제1 영역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영역에도 선택적으로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렌즈부 형성 시 렌즈부 원재료에 대한 상측 가압을 효과적으로 진행하고, 나아가 상측 및 하측의 상호 가압의 효율성을 증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렌즈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렌즈 모듈(3000)은 다양한 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들면 렌즈 모듈(3000)은 광통신에 사용되는 광모듈에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레이저 다이오드와 같은 광원에 대응되어 하나 이상의 종류의 광원에서 발생되는 광을 통과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렌즈 모듈(3000)은 구체적으로 렌즈부(3100) 및 지지부(320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3200)는 렌즈부(3100)를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32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지지부(3200)는 크게 제1 영역(3210) 및 제2 영역(3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3210)은 제1 외면(3210AT) 및 제1 내면(3210a)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외면(3210AT)의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고, 이러한 내측 공간의 내주면에 제1 내면(3210a)이 대응될 수 있다.
제1 내면(3210a)은 렌즈부(3100)와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영역(3210)은 제1 두께(t1)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외면(3210AT)은 제1 내면(3210a)에 대응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내면(3210a)이 도 1을 기준으로 상부로 연장된 형태를 갖고 제1 외면(3210AT)도 제1 내면(3210a)와 동일하게 도 1을 기준으로 상부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3210)은 일측이 개방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제2 영역(3220)을 향하는 영역의 반대 방향의 영역이 개방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개방된 영역은 다른 부재, 예를들면 광을 발생하는 광원 등의 부재에 대응되거나 인접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광이 용이하게 렌즈부(3100)에 전달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영역(3210)의 단부에는 연결 영역(32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영역(3211)은 다른 부재, 예를들면 광원부 또는 광원부를 배치하기 위한 베이스(모듈)과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연결 영역(3211)은 굴곡진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연결 영역(3211)의 외면은 제1 영역(3210)의 제1 외면(3210AT)으로부터 굴곡진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연결 면적을 증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영역(3210)의 제1 외면(3210AT)은 기둥 형태를 포함하고 예를들면 원기둥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내면(3210a)은 기둥 형태를 포함하고 예를들면 원기둥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제1 내면(3210a)은 제1 외면(3210AT)에 대응하는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영역(3210)은 속이 빈 기둥 형태로서 제1 두께(t1)를 갖는 속이 빈 기둥 형태, 예를들면 속이 빈 원기둥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영역(3220)은 제2 외면(3220AT) 및 제2 내면(3220a)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외면(3220AT)은 제1 외면(3210AT)과 연결되고 제1 외면(3210AT)과 굴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제2 영역(3220)은 제1 영역(3210)과 연결되고 제1 영역(3210)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내측으로 굴곡진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제1 영역(3210)의 제1 내면(3210a)을 향하도록 굴곡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 내면(3220a)는 제2 외면(3220AT)의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내면(3210a)과 굴곡된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2 외면(3220AT)의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고, 이러한 내측 공간의 내주면에 제2 내면(3220a)이 대응될 수 있다.
제2 영역(3220)은 제2 두께(t2)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제2 두께(t2)는 제1 두께(t1)와 동일할 수 있다.
선택적 예로서 제1 영역(3210) 및 제2 영역(3220)은 동일한 두께를 갖는 일체화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판형의 재질, 예를들면 금속 재질의 판을 가공하여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외면(3220AT)은 제2 내면(3220a)에 대응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 영역(3220)은 연장 영역(3227) 및 개구 영역(3228)을 포함할 수 있다.
연장 영역(3227)은 제1 영역(3210)으로부터 연장된 영역으로서 지지부(3200)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연장 영역(3227)은 적어도 일 영역에서 렌즈부(3100)와 중첩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접할 수 있다.
개구 영역(3228)은 연장 영역(3227)의 단부에 형성되고, 예를들면 제2 영역(3220)의 영역 중 제1 영역(3210)과 연결된 영역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개구 영역(3228)은 연장 영역(3227)의 가장자리 측면의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렌즈부(3100)는 제1 단부(3110a), 제2 단부(3110b), 및 연결부(315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부(3100)는 비구면 렌즈일 수 있고, 광통신용 모듈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전술한 것과 같이 레이저 다이오드와 같은 광원부에서 발생한 광에 대응될 수 있다.
제1 단부(3110a) 및 제2 단부(3110b)는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렌즈부(3100)의 일 방향, 예를들면 광이 통과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일측 및 이와 마주하는 타측에 대응되는 단부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단부(3110a) 및 제2 단부(3110b)는 각각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단부(3110a) 및 제2 단부(3110b)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한 형태의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단부(3110a)를 통하여 광이 입사되고 제2 단부(3110b)를 통하여 광이 출사될 수 있다.
렌즈부(3100)의 연결부(3150)는 제1 단부(3110a)와 연결될 수 있고, 추가적인 예로서 연결부(3150)와 제1 단부(3110a)의 사이에는 제1 단차 영역(3110a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단차 영역(3110aa)을 통하여 제1 단부(3110a)의 곡면과 연결부(3150)의 사이의 급격한 변화로 인한 연결부(3150)와 제2 영역(3220)간의 비정상적 이격, 공기 누설 및 공기 수용 등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렌즈부(3100)의 연결부(3150)는 제1 단부(3110a)와 제2 단부(3110b)의 사이에 배치되고 적어도 지지부(3200)에 의하여 지지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3150)는 지지부(3200)의 연장 영역(3227)과 중첩될 수 있고, 접할 수 있다.
예를들면 연결부(3150)는 하측면(3151) 및 상측면(3152)을 포함할 수 있고, 하측면(3151)은 지지부(3200)의 연장 영역(3227)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측면(3152)은 연장 영역(3227)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연결부(3150)의 하측면(3151) 및 상측면(3152)의 사이에 지지부(3200)의 연장 영역(3227)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연결부(3150)는 하측면(3151) 및 상측면(3152)의 사이에 홈부(3153)가 형성되고 홈부(3153)는 지지부(3200)의 연장 영역(3227)에 대응될 수 있다.
렌즈부(3100)의 연결부(3150)는 지지부(3200)의 연장 영역(3227)에 의하여 일측 및 이와 반대의 측면으로부터 지지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렌즈부(3100)과 지지부(3200)간의 지지 상태를 확보하고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렌즈부(3100)는 지지부(3200)의 개구 영역(3228)에 대응될 수 있고, 개구 영역(3228)을 통하여 지지부(3200)의 내측 영역 및 외측 영역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연장 영역(3227)을 통하여 효과적으로 지지된 채 개구 영역(3228)에 대응될 수 있다.
렌즈부(3100)가 개구 영역(3228)에 대응되도록 하여 렌즈부(3100)를 지지부(3200)에 배치하는 공정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고, 예를들면 렌즈부(3100)의 원재료를 지지부(3200)에 대응한 후에 가압 공정 시 가압 부재를 효과적으로 배치한 후에 효율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또한, 가열 및 가압 후 잔류 기체 배기를 용이하게 하여 불필요한 잔류 기체로 인한 렌즈부의 불량을 감소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렌즈부(3100)의 연결부(3150)의 하측면(3151) 및 상측면(3152)은 각각 하측면 곡면부(3151c) 및 상측면 곡면부(3152c)를 포함할 수 있고, 연결부(3150)와 연장 영역(3227)간의 밀착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렌즈 모듈은 지지부 및 렌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를 형성 시 일 실시예로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형성 시 판형으로 일체로 형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내면에 대응하는 외면을 갖는 지지부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들면 지지부 중 렌즈부에 대응하는 영역을 형성하도록 제1 영역보다 폭이 줄어드는 형태로 길게 연장된 영역의 제2 영역을 형성할 수 있고, 렌즈부와 접하는 영역에 다양한 형태, 예를들면 렌즈부의 상측 및 하측에서 폭이 달라지도록 렌즈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영역은 연장 영역 및 개구 영역을 포함하고, 연장 영역은 적어도 렌즈부와 중첩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연장 영역은 상측 및 하측에서 렌즈부를 지지할 수 있고, 또한 개구 영역에 중첩되도록 렌즈부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연장 영역은 렌즈부의 측면에 삽입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렌즈부는 상하 비정상적 운동이 제한되도록 지지부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렌즈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의 제2 영역이 굴곡된 형태로서 추가적인 영역이 없이 렌즈부를 지지할 수 있어 렌즈부를 통한 광취출 효과를 향상할 수 있고, 렌즈부를 위한 다양한 부재의 배치가 자유롭게 진행될 수 있다.
또한 렌즈부와 지지부간의 밀착 특성을 향상하고 렌즈부를 지지부에 배치하는 과정에서 렌즈부의 원재료에 대한 가압 공정 중 잔류 기체를 용이하게 배출하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고, 렌즈부의 원재료에 대한 가압이 상하 방향에서 효과적으로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다양한 형태를 비교적 적은 재료를 이용하여 손쉽게 구현하여 지지부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고 지지부의 정밀도를 향상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지지부에 대응하는 렌즈부의 정밀도를 향상하여 렌즈 모듈 형성 시의 제조 특성, 렌즈 모듈의 내구성 및 광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렌즈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렌즈 모듈(4000)은 다양한 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들면 렌즈 모듈(4000)은 광통신에 사용되는 광모듈에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레이저 다이오드와 같은 광원에 대응되어 하나 이상의 종류의 광원에서 발생되는 광을 통과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렌즈 모듈(4000)은 구체적으로 렌즈부(4100) 및 지지부(420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4200)는 렌즈부(4100)를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42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지지부(4200)는 크게 제1 영역(4210) 및 제2 영역(4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4210)은 제1 외면(4210AT) 및 제1 내면(4210a)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외면(4210AT)의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고, 이러한 내측 공간의 내주면에 제1 내면(4210a)이 대응될 수 있다.
제1 내면(4210a)은 렌즈부(4100)와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영역(4210)은 제1 두께(t1)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외면(4210AT)은 제1 내면(4210a)에 대응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내면(4210a)이 도 1을 기준으로 상부로 연장된 형태를 갖고 제1 외면(4210AT)도 제1 내면(4210a)와 동일하게 도 1을 기준으로 상부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4210)은 일측이 개방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제2 영역(4220)을 향하는 영역의 반대 방향의 영역이 개방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개방된 영역은 다른 부재, 예를들면 광을 발생하는 광원 등의 부재에 대응되거나 인접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광이 용이하게 렌즈부(4100)에 전달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영역(4210)의 단부에는 연결 영역(42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영역(4211)은 다른 부재, 예를들면 광원부 또는 광원부를 배치하기 위한 베이스(모듈)과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연결 영역(4211)은 굴곡진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연결 영역(4211)의 외면은 제1 영역(4210)의 제1 외면(4210AT)으로부터 굴곡진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연결 면적을 증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영역(4210)의 제1 외면(4210AT)은 기둥 형태를 포함하고 예를들면 원기둥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내면(4210a)은 기둥 형태를 포함하고 예를들면 원기둥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제1 내면(4210a)은 제1 외면(4210AT)에 대응하는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영역(4210)은 속이 빈 기둥 형태로서 제1 두께(t1)를 갖는 속이 빈 기둥 형태, 예를들면 속이 빈 원기둥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영역(4220)은 제2 외면(4220AT) 및 제2 내면(4220a)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외면(4220AT)은 제1 외면(4210AT)과 연결되고 제1 외면(4210AT)과 굴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 내면(4220a)는 제2 외면(4220AT)의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내면(4210a)과 굴곡된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2 외면(4220AT)의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고, 이러한 내측 공간의 내주면에 제2 내면(4220a)이 대응될 수 있다.
제2 영역(4220)은 제2 두께(t2)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제2 두께(t2)는 제1 두께(t1)와 동일할 수 있다.
선택적 예로서 제1 영역(4210) 및 제2 영역(4220)은 동일한 두께를 갖는 일체화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판형의 재질, 예를들면 금속 재질의 판을 가공하여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외면(4220AT)은 제2 내면(4220a)에 대응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영역(4220)은 굴곡 영역(4221) 및 지지 영역(4222)을 포함할 수 있다.
굴곡 영역(4221)은 제1 영역(4210)과 일단이 연결되고, 예를들면 제1 영역(4210)으로부터 연장된 형태일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제1 영역(4210)과 일체화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굴곡 영역(4221)은 제1 영역(4210)과 굴곡진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제1 영역(4210)보다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굴곡 영역(4221)의 내측 공간의 폭 이 제1 영역(4210)의 제1 내면(4210a)의 폭보다 작을 수 있고, 굴곡 영역(4221)의 외주면의 폭이 제1 영역(4210)의 제1 외면(4210AT)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지지 영역(4222)은 렌즈부(4110)를 지지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영역(4222)은 굴곡 영역(4221)과 연결되고, 예를들면 굴곡 영역(4221)과 일체로 형성되어 굴곡 영역(4221)으로부터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지지 영역(4222)은 굴곡 영역(4221)과 연결되고 제1 영역(42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 영역(4222)은 제1 영역(4210)에 가까운 하측부(4222a), 제1 영역(4210)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측부(4222b) 및 그 사이의 중간부(4222c)를 포함할 수 있다.
하측부(4222a)는 하측, 예를들면 제1 영역(4210)에 가까운 영역의 폭이 상측의 영역, 예를들면 제1 영역(4210)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영역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하측부(4222a)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줄어드는 형태로서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렌즈부(4100)를 지지부(4200)에 배치하기 위한 공정 중 렌즈부(4100)가 지지부(4200)와 밀착성을 향상하고 불필요한 리크를 감소하고, 잔류 기체를 감소할 수 있다.
중간부(4222c)의 내면으로 정의되는 내측 공간의 폭은 하측부(4222a)의 내면으로 정의되는 내측 공간의 폭과 상이할 수 있고 상측부(4222b)의 내면으로 정의되는 내측 공간의 폭과 상이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중간부(4222c)는 하측, 예를들면 제1 영역(4210)에 가까운 영역의 폭이 상측의 영역, 예를들면 제1 영역(4210)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영역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중간부(4222c)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커지는 형태로서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 영역(4222)은 외면에 오목부(4222g)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중간부(4222c)의 적어도 일 영역에 대응되도록 오목부(4222g)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영역(4222)을 포함한 제2 영역(4220)은 판형의 형태를 가공한 구조로서 중간부(4222c)의 형성 시 오목부(4222g)가 자연스럽게 형성될 수 있다. 오목부(4222g)의 형성으로 지지 영역(4222)의 형성을 위한 재료를 감소할 수 있고, 렌즈부(4100)의 측면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고, 렌즈부(4100)의 정밀한 측면에 대응하는 중간부(4222c)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측부(4222b)는 하측, 예를들면 제1 영역(4210)에 가까운 영역의 폭이 상측의 영역, 예를들면 제1 영역(4210)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영역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측부(4222b)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줄어드는 형태로서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렌즈부(4100)를 지지부(4200)에 배치하기 위한 공정 중 렌즈부(4100)가 지지부(4200)와 밀착성을 향상하고 불필요한 리크를 감소하고, 잔류 기체를 감소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중간부(4222c)와 상측부(4222b)의 사이에 굴곡부(4222d)가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굴곡부(4222d)는 중간부(4222c)와 상측부(4222b)를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중간부(4222c)와 상측부(4222b)와 나란하지 않고 각각과 굴곡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지지부(4200)는 굴곡부(4222d)을 포함하는 영역에 외측으로 돌출된 수용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영역(4210)을 향하는 방향, 예를들면 도면 기준으로 하측 방향으로 형성된 수용 영역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굴곡부(4222d)를 포함하는 수용 영역은 렌즈부(4100) 제조 시 렌즈부 원재료에 대한 가압을 통한 과정을 효율적으로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들면 렌즈부 원재료에 대한 상측 가공부를 통한 압력을 가하는 공정중에 렌즈부 원재료가 효과적으로 이러한 수용 영역에 밀착 수용되어 렌즈부 원재료가 지지부(4200)의 측면에서 불완전하게 형성되어 렌즈부(4100)와 지지부(4200)의 불필요한 이격 영역, 공기 유출 등의 결함 영역을 감소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지지 영역(4222)은 오목부(4222g)와 인접한 영역에 돌출부(4222p)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4222p)는 적어도 일 영역에서 경사부(4222d)에 대응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4222p)를 오목부(4222g)에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렌즈부(4100)의 측면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고, 렌즈부(4100)의 정밀한 측면에 대응하는 중간부(4222c) 및 경사부(4222d)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제2 영역(4220)의 제2 외면(4220AT)은 기둥 형태를 포함하고 예를들면 회전체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내면(4220a)은 기둥 형태를 포함하고 예를들면 회전체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제2 내면(4220a)은 제2 외면(4220AT)에 대응하는 굴곡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영역(4220)은 속이 빈 기둥 형태로서 제2 두께(t2)를 갖는 속이 빈 기둥 형태, 예를들면 속이 빈 회전체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3 영역(4230)이 제2 영역(4220)과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3 영역(4230)은 제2 영역(4220)과 연결되고 제1 영역(42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3 영역(4230)은 제3 외면(4230AT) 및 제3 내면(4230a)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3 외면(4230AT)의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고, 이러한 내측 공간의 내주면에 제3 내면(4230a)이 대응될 수 있다.
제3 내면(4230a)의 적어도 일 영역은 렌즈부(4100)와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3 영역(4230)은 제3 두께(t3)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3 두께(t3)는 제2 두께(t2) 또는 제1 두께(t1)와 동일할 수 있다.
선택적 예로서 제3 영역(4230)은 제1 영역(4210) 및 제2 영역(4220)과 동일한 두께를 갖는 일체화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판형의 재질, 예를들면 금속 재질의 판을 가공하여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3 영역(4230)은 일측이 개방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제2 영역(4220)을 향하는 영역의 반대 방향의 영역이 개방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개방된 영역은 렌즈부(4100)를 통과한 광이 취출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3 영역(4230)의 제3 외면(4230AT)은 기둥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3 내면(4230a)은 기둥 형태를 포함하고 제3 내면(4230a)은 제3 외면(4230AT)에 대응하는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3 영역(4230)의 제3 내면(4230a)은 제2 영역(4220)에 인접한 영역의 폭보다 제2 영역(4220)으로부터 멀리있는 영역의 폭이 클 수 있고, 예를들면 제2 영역(4220)에 인접한 영역으로부터 제2 영역(422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폭이 커질 수도 있다.
또한, 제3 외면(4230AT)은 제3 내면(4230a)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제3 외면(4230AT)의 영역 중 제2 영역(4220)에 인접한 영역의 폭보다 제2 영역(4220)으로부터 멀리있는 영역의 폭이 클 수 있고, 예를들면 제2 영역(4220)에 인접한 영역으로부터 제2 영역(422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폭이 커질 수도 있다.
이를 통하여 렌즈부(4100)를 통하여 취출된 광이 제3 영역(4230)의 영역에서 효율적으로 발산될 수 있고, 렌즈 모듈(4000)의 광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렌즈 모듈(4000)의 제조 시 렌즈부(4100)를 형성하기 위한 재료를 제2 영역(4220)에 배치 후 가압 공정 시 공정의 효율성 및 정밀성을 향상할 수 있다.
렌즈부(4100)는 제1 단부(4110a), 제2 단부(4110b), 및 연결부(415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부(4100)는 비구면 렌즈일 수 있고, 광통신용 모듈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전술한 것과 같이 레이저 다이오드와 같은 광원부에서 발생한 광에 대응될 수 있다.
제1 단부(4110a) 및 제2 단부(4110b)는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렌즈부(4100)의 일 방향, 예를들면 광이 통과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일측 및 이와 마주하는 타측에 대응되는 단부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단부(4110a) 및 제2 단부(4110b)는 각각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단부(4110a) 및 제2 단부(4110b)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한 형태의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단부(4110a)를 통하여 광이 입사되고 제2 단부(4110b)를 통하여 광이 출사될 수 있다.
렌즈부(4100)의 연결부(4150)는 제1 단부(4110a)와 연결될 수 있고, 추가적인 예로서 연결부(4150)와 제1 단부(4110a)의 사이에는 제1 단차 영역(4110a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단차 영역(4110aa)을 통하여 제1 단부(4110a)의 곡면과 연결부(4150)의 사이의 급격한 변화로 인한 연결부(4150)와 제2 영역(4220)간의 비정상적 이격, 공기 누설 및 공기 수용 등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렌즈부(4100)의 연결부(4150)는 제1 단부(4110a)와 제2 단부(4110b)의 사이에 배치되고 적어도 지지부(4200)에 의하여 지지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렌즈부(4100)의 연결부(4150)는 지지부(4200)의 제2 영역(4220)으로 지지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지지 영역(4222)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렌즈부(4100)의 연결부(4150)는 지지부(4200)의 제2 영역(4220), 예를들면 지지 영역(4222)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연결부(4150)는 지지 영역(4222)에 대응하도록 하측면(4151), 상측면(4152) 및 그 사이의 중간면(415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하측면(4151), 상측면(4152) 및 그 사이의 중간면(4153)은 각각 전술한 지지 영역(4222)의 하측부(4222a), 상측부(4222b) 및 중간부(4222c)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결부(4150)는 중간면(4153)과 상측면(4152)의 사이에 굴곡면(4154)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굴곡면(4154)은 전술한 지지부(4200)의 제2 영역(4220)의 굴곡부(4222d)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굴곡부(4222d)를 포함한 영역은 수용 영역으로서 외측을 향하도록 또는 하측으로 형성된 영역으로서 렌즈부(4100)의 일 영역을 수용하고 렌즈부(4100)의 제조 시 불필요한 잔류 기체의 발생을 감소하거나 차단하여 렌즈부(4100)의 정밀 제조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연결부(4150)와 제2 단부(4110b)의 사이에는 제2 단차 영역(4110bb)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단차 영역(4110bb)을 통하여 제2 단부(4110b)의 곡면과 연결부(4150)의 사이의 급격한 변화로 인한 연결부(4150)와 제2 단차 영역(4110bb)간의 비정상적 이격, 공기 누설 및 공기 수용 등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렌즈 모듈은 지지부 및 렌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를 형성 시 일 실시예로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형성 시 판형으로 일체로 형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내면에 대응하는 외면을 갖는 지지부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들면 지지부 중 렌즈부에 대응하는 영역을 형성하도록 제1 영역보다 폭이 줄어드는 형태로 길게 연장된 영역의 제2 영역을 형성할 수 있고, 렌즈부와 접하는 영역에 다양한 형태, 예를들면 렌즈부의 상측 및 하측에서 폭이 달라지도록 렌즈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렌즈부와 지지부간의 밀착 특성을 향상하고 렌즈부를 지지부에 배치하는 과정에서 렌즈부의 원재료에 대한 가압 공정 중 잔류 기체를 용이하게 배출하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고, 렌즈부의 원재료에 대한 가압이 상하 방향에서 효과적으로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다양한 형태를 비교적 적은 재료를 이용하여 손쉽게 구현하여 지지부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고 지지부의 정밀도를 향상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지지부에 대응하는 렌즈부의 정밀도를 향상하여 렌즈 모듈 형성 시의 제조 특성, 렌즈 모듈의 내구성 및 광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렌즈부를 지지하는 제2 영역은 영역별로 폭이 다를 수 있고, 예를들면 제1 영역에 인접한 하측에서 경사진 형태와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렌즈부 형성 시 렌즈부 원재료에 대한 가압을 효과적으로 진행하여 렌즈부와 지지부간의 밀착력을 향상하고 누설 공간의 발생을 감소할 수 있고, 잔존 기체의 발생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제2 영역의 영역 중 제1 영역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영역에도 선택적으로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렌즈부 형성 시 렌즈부 원재료에 대한 상측 가압을 효과적으로 진행하고, 나아가 상측 및 하측의 상호 가압의 효율성을 증대할 수 있다.
또한, 굴곡부 및 굴곡면을 통하여 상기 렌즈부가 지지부에 효과적으로 지지 또는 밀착되어 지지되는 렌즈 모듈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렌즈부 제조 시 렌즈부 원재료가 굴곡부를 포함하는 수용 영역에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어서 렌즈부와 지지부간의 리크 발생을 감소하거나 차단할 수 있어서 광통신에 사용 시 미세하게 정밀 제어가 가능한 광모듈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판형으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연장되도록 형성할 수 있어서 굴곡진 형태의 상기의 복잡한 구조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렌즈 모듈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예를들면 도 6 및 도 7은 도 1에 도시한 렌즈 모듈을 제조 하는 방법일 수 있다.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또한,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방법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의 렌즈 모듈의 제조시에 동일하게 또는 유사하게 적절하게 변용하여 적용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지지부(1200) 및 렌즈부 재료물(1110P)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측 가공부(UM) 및 하측 가공부(DM)이 도시되어 있다. 예를들면 지지부(1200)는 도 1의 지지부(1200)일 수 있다.
렌즈부 재료물(1110P)은 가공후 광이 적어도 일부 통과하도록 형성될 수 있는 재료를 포함하고 열과 압력에 의하여 성형이 가능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렌즈 원재료는 유리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렌즈부 재료물(1110P)은 수지 계열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측 가공부(UM) 및 하측 가공부(DM)는 각각 상하 방향으로 렌즈부 재료물(1110P)에 대한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예를들면 열과 압력이 제공되면서 렌즈부 재료물(1110P)에 대한 가공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상측 가공부(UM) 및 하측 가공부(DM)는 각각 렌즈부(1100)의 제1 단부(1110a) 및 제2 단부(1110b)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몰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열이 제공되는 분위기에서 상측 가공부(UM) 및 하측 가공부(DM)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렌즈부 재료물(1110P)에 대한 가공 공정을 진행하여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은 렌즈부(1100)가 지지부(1200)에 대응 및 결합되어 형성된 렌즈 모듈(100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측 가공부(UM) 및 하측 가공부(DM)는 각각 지지부(4200)의 내면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1200)의 내면에 대응하는 외면의 구조, 예를들면 제1 영역(1210) 및 제2 영역(1220)이 동일한 두께를 갖는 판형 구조로 형성되어 상측 가공부(UM) 및 하측 가공부(DM)를 이용한 가압 운동의 정밀한 제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광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광 모듈(5000)은 다양한 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들면 광 모듈(5000)은 광통신에 사용되는 모듈에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레이저 다이오드와 같은 광원에 대응되어 하나 이상의 종류의 광원에서 발생되는 광을 통과시킬 수 있다.
광 모듈(5000)은 렌즈 모듈(3000), 베이스(5300), 광원부(5400) 및 하나 이상의 핀(5500)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모듈(3000)은 전술한 도 4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일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의 렌즈 모듈을 적용할 수도 있다.
렌즈 모듈(3000)에 대한 내용은 전술한 것과 동일하므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베이스(5300)에는 광모듈(5000)에 사용되는 다양한 요소들을 배치하기 용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5300)는 지지부(3200)와 연결될 수 있고, 예를들면 지지부(3200)의 연결 영역(3211)과 연결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결합될 수 있다.
광원부(5400)는 하나 이상의 광원을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발광 다이오드, 레이저 다이오드 등의 다양한 종류의 광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부(5400)는 상기 베이스(5300)에 배치될 수 있다.
핀(5500)은 하나 이상, 선택적 실시예로서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핀(5500)은 광모듈(5000)에 인가되는 다양한 신호를 전달하는 것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핀(5500)은 광원부(5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도시하지 않았으나 베이스(5300)상에 배치된 다양한 부재들과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베이스(5300)에는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핀(5500)은 관통공을 통하여 베이스(5300)의 상부의 부재 또는 광원부(5400)와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광모듈은 렌즈 모듈을 포함하고, 렌즈 모듈은 렌즈부와 지지부가 효과적으로 배치되고 렌즈부와 지지부간의 밀착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효과적인 광효율 향상을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 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방법들, 소프트웨어, 상기 방법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실시예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 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 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0, 2000, 3000, 4000: 렌즈 모듈
1100, 2100, 3100, 4100: 렌즈부
1200, 2200, 3200, 4200: 지지부

Claims (4)

  1. 렌즈부 및 상기 렌즈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렌즈 모듈로서,
    상기 렌즈부는,
    제1 단부, 상기 제1 단부와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제2 단부 및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부와 연결부의 사이에는 제1 단차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단부와 연결부의 사이에는 제2 단차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상기 렌즈부를 향한 방향으로 굴곡된 형태로 연결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결부와 적어도 일 영역에서 중첩되는 연장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연장 영역은,
    상기 렌즈부에 의해 둘러싸이는 영역과 상기 렌즈부에 의해 둘러싸이지 않는 영역을 포함하는, 렌즈 모듈.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두께와 상기 제2 영역의 두께는 동일한, 렌즈 모듈.
  3. 렌즈부 및 상기 렌즈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렌즈 모듈로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렌즈부와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제1 내면 및 상기 제1 내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제1 외면을 포함하는 제1 영역;
    상기 제1 영역과 일단이 연결되는 굴곡 영역 및 상기 굴곡 영역과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렌즈부를 지지하는 지지영역을 포함하는 제2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과 연결되고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3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제2 영역과 인접한 영역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커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렌즈부는,
    상기 제2 영역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단차 영역을 포함하는, 렌즈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영역의 두께와 상기 제2 영역의 두께는 동일한, 렌즈 모듈.
KR1020210125027A 2019-07-05 2021-09-17 렌즈 모듈 KR102568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5027A KR102568332B1 (ko) 2019-07-05 2021-09-17 렌즈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526A KR102306106B1 (ko) 2019-07-05 2019-07-05 렌즈 모듈
KR1020210125027A KR102568332B1 (ko) 2019-07-05 2021-09-17 렌즈 모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1526A Division KR102306106B1 (ko) 2019-07-05 2019-07-05 렌즈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9351A KR20210119351A (ko) 2021-10-05
KR102568332B1 true KR102568332B1 (ko) 2023-08-21

Family

ID=7414222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1526A KR102306106B1 (ko) 2019-07-05 2019-07-05 렌즈 모듈
KR1020210125027A KR102568332B1 (ko) 2019-07-05 2021-09-17 렌즈 모듈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1526A KR102306106B1 (ko) 2019-07-05 2019-07-05 렌즈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0610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3201A (ja) * 2001-07-05 2003-01-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学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とこれに用いる成形金型とこれを用いた光学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5504A (ko) * 2014-04-04 2015-10-14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패키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3201A (ja) * 2001-07-05 2003-01-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学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とこれに用いる成形金型とこれを用いた光学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9351A (ko) 2021-10-05
KR20210004703A (ko) 2021-01-13
KR102306106B1 (ko) 2021-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49801A1 (en) Led optical lens and illumination device thereof
CN107884901A (zh) 镜头单元以及镜头单元的制造方法
WO2012124433A1 (ja) レンズアレイ
KR20170136545A (ko) 레이저 프로젝션 모듈
US7920328B2 (en) Lens module and a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JP3154934U (ja) 組合わせレンズモジュールのレンズホルダー
US9389375B2 (en) Optical coupling element and optical module provided with same
KR20120125287A (ko) 마이크로렌즈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20070118023A (ko) 레이저 방사선의 균일한 각 분포를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
US10807330B2 (en) Method of producing optical connection component
WO2014162770A1 (ja) モールドレンズのレンズユニット構造とモールドレンズの成形型
KR102568332B1 (ko) 렌즈 모듈
US9662846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a lens wafer
KR102464206B1 (ko) 자동차 헤드램프용 조명 장치
US7736550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optical device by means of a replication method
US20210116631A1 (en) Light guide body aggregate substrate and production method for integrated light-emitting device
US8602661B2 (en) Housing-integrated optical semiconductor compon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3363442B (zh) 透镜单元、光照射单元以及光照射装置
KR102381780B1 (ko) 렌즈 모듈
KR102327725B1 (ko) 렌즈 모듈 제조 디바이스
JP2010214696A (ja) フライアイレンズ成形型の加工方法、フライアイレンズ成形型、およびフライアイレンズ
KR20230002207A (ko) 렌즈 모듈
JP6821402B2 (ja) 光学部品、光学部品の射出成形金型、及び光学部品の射出成形方法
WO2014156960A1 (ja) 光学素子の製造方法
CN114845851A (zh) 用于制造保持设备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