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8304B1 - Pressure Sensor - Google Patents
Pressure Sens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68304B1 KR102568304B1 KR1020210151276A KR20210151276A KR102568304B1 KR 102568304 B1 KR102568304 B1 KR 102568304B1 KR 1020210151276 A KR1020210151276 A KR 1020210151276A KR 20210151276 A KR20210151276 A KR 20210151276A KR 102568304 B1 KR102568304 B1 KR 10256830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de
- support member
- pressure sensor
- sensor unit
- sensing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2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 G01L1/205—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using distributed sensing element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14—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capacitance or inductance of electrical elements, e.g. by measuring variations of frequency of electrical oscillators
- G01L1/142—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capacitance or inductance of electrical elements, e.g. by measuring variations of frequency of electrical oscillators using capacitors
- G01L1/146—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capacitance or inductance of electrical elements, e.g. by measuring variations of frequency of electrical oscillators using capacitors for measuring force distributions, e.g. using force array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2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 G01L1/22—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using resistance strain gauges
- G01L1/2287—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using resistance strain gauges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strain gau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압력 센서에 있어서, 제1 지지부재, 제2 지지부재 및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외부의 힘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1 지지부재의 일면에 배치되고, 전도성을 갖는 제1 전극부 및 상기 제1 전극부와 연결되는 제1 전선부를 포함하는 제1 센싱부재, 상기 제1 지지부재의 일면에 대향되는 상기 제2 지지부재의 일면에 배치되고 전도성을 갖는 제2 전극부를 포함하는 제2 센싱부재 및 상기 제1 센싱부재와 상기 제2 센싱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복수의 관통하는 홀로 이루어진 홀 그룹을 구비하는 절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 센서는 외부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홀을 통해 제1 센싱부재와 제2 센싱부재가 접촉하며 발생하는 통전신호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힘이 가해지는 위치를 센싱하는 압력 센서를 제공할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sure sensor, a first support member, a second support member and a sensor disposed between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and detecting an external force, including, The sensor unit i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includes a first sensing member including a first electrode portion having conductivity and a first wire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portion, and a first sensing member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member. A second sensing membe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opposing second support member and including a second electrode having conductivity, and a hole group disposed between the first sensing member and the second sensing member and having a plurality of penetrating holes. Including an insulating member having a, wherein the pressure sensor detects a power signal generated when the first sensing member and the second sensing member come into contact through the hol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reby determining the position where the force is applied A pressure sensor for sensing may be provided.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압력 센서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ssure sensor.
최근 헬스 케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과 함께 전자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신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며 운동을 보조하는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이와 같은 요구를 반영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 또는 운동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요가 매트, 스탠딩 매트, 골프 매트 등이 개발되고 있으며, 매트에 사용되는 다양한 압력 센서가 개발되고 있다. With the recent increase in interest in health care and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communication technology,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a system that detects the movement of the body and assists the movement. Reflecting such a demand, yoga mats, standing mats, golf mats, and the like capable of measuring a user's health or exercise state have been developed, and various pressure sensors used for the mats have been developed.
압력 센서는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는 위치를 감지하거나 힘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로, 센싱 결과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장치이다. 압력 센서는 헬스 케어 관련 분야에서 미세한 압력 측정을 요구하는 터치센서에서부터 사람의 체중을 감지하는 매트리스 형태의 압력 측정 센서까지 다양한 용도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A pressure sensor is a sensor capable of detecting a position where force is applied from the outside or measuring the magnitude of force, and is a device that converts a sensing result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outputs the result. Pressure sensor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for a variety of purposes, from touch sensors that require fine pressure measurement in healthcare-related fields to mattress-type pressure sensors that detect human weight.
그 중 발판형 압력 센서는 사용자가 발판 위에 올라섰을 때 신체 균형을 감지하거나 걷기 자세 분석 등의 행동 패턴을 파악하는 용도로 활용될 수 있고, 제자리 걷기, 제자리 뛰기, 도약 등의 신체 활동을 하였을 때 사용자의 자세, 걷기 또는 달리기의 속도 등을 측정하는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Among them, the footrest-type pressure sensor can be used to detect the balance of the body when the user stands on the footrest or to identify behavioral patterns such as walking posture analysis. It may be used for measuring a user's posture, walking or running speed, and the like.
한편, 종래의 발판형 압력 센서는 전도성 물질을 프린팅하는 방식으로 제조되어, 장시간 사용시 크랙이 발생하는 등 불량이 발생하기 쉽고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scaffold-type pressure sensor is manufactured by printing a conductive material,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easy to cause defects such as cracks when used for a long time and has poor durability.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내구성 및 제품 성형성이 뛰어난 압력 센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ssure sensor with excellent durability and product moldability.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owever, these tasks are illustrativ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by.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압력 센서에 있어서, 제1 지지부재, 제2 지지부재 및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외부의 힘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1 지지부재의 일면에 배치되고, 전도성을 갖는 제1 전극부 및 상기 제1 전극부와 연결되는 제1 전선부를 포함하는 제1 센싱부재, 상기 제1 지지부재의 일면에 대향되는 상기 제2 지지부재의 일면에 배치되고 전도성을 갖는 제2 전극부를 포함하는 제2 센싱부재 및 상기 제1 센싱부재와 상기 제2 센싱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복수의 관통하는 홀로 이루어진 홀 그룹을 구비하는 절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 센서는 외부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홀을 통해 제1 센싱부재와 제2 센싱부재가 접촉하며 발생하는 통전신호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힘이 가해지는 위치를 센싱하는 압력 센서를 제공할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sure sensor, a first support member, a second support member and a sensor disposed between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and detecting an external force, including, The sensor unit i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includes a first sensing member including a first electrode portion having conductivity and a first wire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portion, and a first sensing member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member. A second sensing membe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opposing second support member and including a second electrode having conductivity, and a hole group disposed between the first sensing member and the second sensing member and having a plurality of penetrating holes. Including an insulating member having a, wherein the pressure sensor detects a power signal generated when the first sensing member and the second sensing member come into contact through the hol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reby determining the position where the force is applied A pressure sensor for sensing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압력 센서의 중앙에 배치되는 중앙 센서부와, 상기 중앙 센서부를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외곽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unit may include a central sensor unit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pressure sensor, and a plurality of outer sensor uni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disposed radially with respect to the central sensor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앙 센서부는 독립적으로 각각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1 중앙센서부와 제2 중앙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ral sensor unit may include a first central sensor unit and a second central sensor unit independently detecting each posi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앙 센서부는 상기 제1 중앙센서부와 상기 제2 중앙센서부를 독립적으로 구획하는 구획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ral sensor unit may include a partition that independently partitions the first central sensor unit and the second central sensor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싱부재는 상기 중앙 센서부와 복수의 외곽 센서부 전체에 대응되도록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ensing member may be integrally formed to correspond to the central sensor unit and the plurality of outer sensor uni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싱부재는 상기 중앙 센서부와 복수의 외곽 센서부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2 전극부 및 상기 복수의 제2 전극부와 연결되는 제2 전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ensing member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 parts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sensor part and the plurality of outer sensor parts, respectively, and a second wire part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 parts. can inclu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부는 상기 복수의 관통하는 홀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전극부는 상기 제1 전극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2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ctrode part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respectively disposed in the plurality of penetrating holes, and the second electrode part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electrodes. can inclu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또는 제2 전극은 상기 홀의 크기보다 큰 크기를 가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or second electrodes may have a siz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ho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부 및 상기 제2 전극부는 일면에 접착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ctrode part and the second electrode part may further include an adhesive material on one surfa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절연 부재는 탄성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ulating member may be provided with an elastic materi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절연 부재의 두께는 제1 센싱부재 또는 상기 제2 센싱부재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member may be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sensing member or the second sensing memb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부 또는 제2 전극부는 전도성을 갖는 페브릭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ctrode part or the second electrode part may be made of a fabric material having conductivity.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rawings,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압력 센서는 센서의 정밀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외부의 충격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accuracy of the sensor and at the same time improve durability against external impac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압력 센서는 다양한 크기로 형성할 수 있으며, 얇은 두께를 가져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하고 다양한 디자인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ed in various sizes, has a thin thickness, so it is easy to move and install, and can be transformed into various design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압력 센서는 제조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며, 제조 비용이 낮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anufactured and maintained, and can obtain an effect of lowering manufacturing cos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 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지지부재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1 센싱부재의 실시예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A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센서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절연 부재에 배치된 홀 그룹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1 .
3 is an example embodiment of a first sensing member disposed on one surface of a first support member.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nlarged portion A of FIG. 2 .
6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sensor unit.
7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hole group disposed in an insulating memb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following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when describing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들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내용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들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Since the present embodiments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Effec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embodiments,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s described later in conjunction with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without limiting meaning.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In the following examples,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mean that features or ele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and do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elements may be added.
이하의 실시예에서 유닛,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유닛,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when a part such as a unit, area, component, etc. is on or above another part, not only when it is directly above the other part, but also when another unit, area, component, etc. is interposed therebetween Including case
이하의 실시예에서 연결하다 또는 결합하다 등의 용어는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반드시 두 부재의 직접적 및/또는 고정적 연결 또는 결합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두 부재 사이에 다른 부재가 개재된 것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connect or combine do not necessarily mean direct and/or fixed connection or coupling of two member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nd does not mean that another member is interposed between the two members. not to exclude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It means that the features or compon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and the possibility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components may be added is not excluded in advance.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이하의 실시예는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e drawings, the size of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For example, sinc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ose show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 의 Ⅱ-Ⅱ' 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3은 제1 센싱부재(310)의 실시예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2의 A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단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in FIG. 1, and FIG. 3 is an example of a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는 제1 지지부재(100), 제2 지지부재(200) 및 제1 지지부재(100)와 제2 지지부재(200)의 사이에 배치되는 센서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5, the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제1 지지부재(100) 및 제2 지지부재(200)는 각 일면이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지지부재(100)와 제2 지지부재(200)의 마주보는 일면의 사이에 센서부(30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100) 및 제2 지지부재(200)는 같은 크기 및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제1 지지부재(100) 또는 제2 지지부재(200)는 사이에 배치되는 센서부(300)를 보호하기 위하여 적당한 강도와 내구성을 갖는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부재(100) 또는 제2 지지부재(200)는 절연성을 가지는 재료로 제작되어 센서부(300)의 전기 신호가 누설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The
또한, 제1 지지부재(100) 또는 제2 지지부재(200)는 외부에서 힘이 가해질 경우 일정부분 휘어졌다가 다시 원상회복 될 수 있도록 유연성과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지부재(100) 또는 제2 지지부재(200)는 투명의 수지로 형성되며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필름 또는 시트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센서부(300)는 제1 지지부재(100)와 제2 지지부재(200)의 사이에서 제1 지지부재(100)의 일면과 제2 지지부재(200)의 일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센서부(300)는 제1 지지부재(100)의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으로 외부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 힘이 가해지는 위치를 감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센서부(300)는 제1 센싱부재(310), 제2 센싱부재(320) 및 절연 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제1 센싱부재(310)는 제1 지지부재(100)의 일면에 배치되고 전도성을 갖는 제1 전극부(311) 및 제1 전극부(311)와 연결되는 제1 전선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The
제1 전극부(311)는 제2 지지부재(200)와 마주보는 제1 지지부재(100)의 일면에 배치되며, 전도성을 가지는 물질로 제작되어 전기 신호를 흐르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극부(311)는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는 경우 일부 변형이 가능하도록 유연성을 가지는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극부(311)는 전도성을 갖는 페브릭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전극부(311)는 전도성 페브릭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도성 페브릭을 사용하는 경우 제1 전극부(311)는 얇은 두께를 가지면서도 내구성이 우수하고, 감도가 뛰어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1 전극부(311)는 전도성과 유연성을 가지는 다양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제1 전극부(311)는 제1 지지부재(100)의 일면보다 작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부(311)의 일면의 면적을 제1 지지부재(100)의 일면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제1 전극부(311)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습기나 이물질 등의 오염으로부터 제1 전극부(311)를 보호할 수 있다. The
제1 전극부(311)는 일면에 접착 물질을 포함하여 제1 지지부재(100)의 일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전극부(311)는 제1 지지부재(100)의 일면에 부착되어 제1 지지부재(100)와 일체로 움직이며, 제1 지지부재(100)의 타면으로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여 전기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접착 물질은 외부 자극에도 변함없이 제1 지지부재(100)와 제1 전극부(311)가 잘 접합될 수 있도록 적당한 접착력을 가진 물질일 수 있으며, 휘어짐이나 뒤틀림에도 접착력이 떨어지지 않도록 매우 얇은 두께로 제1 전극부(311)의 일면에 구비될 수 있다.The
도 3의 (a)와 같이, 제1 전극부(311)는 제1 지지부재(100)의 일면에 대응되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하나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실시예로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제1 전극이 제1 전극부(311')에 포함될 수도 있다. 제1 전극부(311')가 복수의 제1 전극을 포함하는 경우, 제1 전극부(311')와 연결되는 제1 전선부(312') 역시 제1 전선이 복수개 구비되고, 각각의 제1 전극에서 연결되는 제1 전선들은 하나의 전선으로 연결되어 제1 전선부(312')를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전극을 포함하는 제1 전극부(311')와 복수의 제1 전선을 포함하는 제1 전선부(312')로 제1 센싱부재(310')를 구성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전극은 후술할 절연 부재(330)의 복수의 홀(331)에 대응하도록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As shown in (a) of FIG. 3 , the
한편, 제2 센싱부재(320)는 제1 지지부재(100)의 일면에 대향되는 제2 지지부재(200)의 일면에 배치되며 전도성을 갖는 제2 전극부(3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센싱부재(320)는 제2 전극부(321)와 연결되는 제2 전선부(3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제2 전극부(321)는 제2 지지부재(200)의 일면에 배치되며, 전도성을 가지는 물질로 제작되어 전기 신호를 흐르게 할 수 있다. 또한, 제2 전극부(321)는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는 경우 변형이 가능하도록 유연성을 가지는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전극부(321)는 전도성을 갖는 페브릭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전극부(321)는 전도성 페브릭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전극부(321)는 제1 전극부(311)와 같은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The
제2 전극부(321)는 제2 지지부재(200)의 일면보다 작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부(321)의 일면의 면적을 제2 지지부재(200)의 일면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제2 전극부(321)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습기나 이물질 등의 오염으로부터 제2 전극부(321)를 보호할 수 있다. 제2 전극부(321)의 크기는 제1 전극부(311)의 크기에 상응하거나 동일한 크기일 수 있다.The
제2 전극부(321)는 일면에 접착 물질을 포함하여 제2 지지부재(200)의 일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2 전극부(321)는 제2 지지부재(200)의 일면에 부착되어 제2 지지부재(200)와 일체로 움직일 수 있다.The
제2 전극부(321)는 제2 지지부재(200)의 일면에 대응되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하나의 전극을 포함할 수 있고, 다른 실시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제2 전극이 제2 전극부(321')에 포함될 수도 있다. 복수의 제2 전극은 복수의 제1 전극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복수의 제1 전극 또는 제2 전극은 후술할 절연 부재(330)의 홀(331)의 크기보다 큰 크기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제2 전극부(321')가 복수의 제2 전극을 포함하는 경우, 제2 전극부(321')와 연결되는 제2 전선부(322') 역시 제2 전선이 복수개 구비되고, 각각의 제2 전극에서 연결되는 제2 전선들은 하나의 전선으로 연결되어 제2 전선부(322')를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전극과 복수의 제2 전선은 제2 센싱부재(320')를 구성할 수 있다. When the second electrode unit 321'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the second wire unit 322'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unit 321' is also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econd wires, and each second electrode unit 32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econd wires. The second wires connected from the two electrodes may be connected as one wire to form the second wire part 322'.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wires may constitute the second sensing member 320'.
제1 전극부(311) 또는 제2 전극부(321)를 하나의 전극으로 구비하지 않고 복수의 작은 전극들로 형성하게 되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제조 및 수리가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If the
한편, 제1 센싱부재(310)와 제2 센싱부재(320)의 사이에는 절연 부재(330)가 배치될 수 있다. 절연 부재(330)는 제1 센싱부재(310)와 제2 센싱부재(320)의 사이에 배치되어, 압력 센서에 외부의 힘이 가해지지 않을 때, 제1 센싱부재(310)와 제2 센싱부재(320)를 절연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Meanwhile, an insulating
절연 부재(330)는 제1 지지부재(100) 또는 제2 지지부재(200)의 일면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절연 부재(330)는 제1 센싱부재(310)의 제1 전극부(311) 또는 제2 센싱부재(320)의 제2 전극부(321)를 커버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The insulating
절연 부재(330)는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어 외부의 힘이 가해지지 않을 때, 제1 센싱부재(310) 및 제2 센싱부재(320)를 일정거리 이격시킬 수 있다. 절연 부재(330)의 두께는 제1 센싱부재(310) 또는 제2 센싱부재(320)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절연 부재(330)를 제1 센싱부재(310) 또는 제2 센싱부재(320)의 두께보다 두껍도록 구비함으로써, 외부의 힘이 가해지지 않을 때에는 제1 센싱부재(310)와 제2 센싱부재(320)는 평행을 이루고 접촉하지 않으며, 외부에서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 후술할 복수의 홀(331)을 통하여 제1 센싱부재(310)와 제2 센싱부재(320)가 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The insulating
절연 부재(330)는 탄성 재질로 구비되는 절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절연 부재(330)를 탄성 재질로 구비함으로써 외부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 절연 부재(330)의 두께가 일부분 얇아지게 되어 제1 센싱부재(310)와 제2 센싱부재(320)의 접촉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외부의 힘이 더 이상 가해지지 않는 경우 절연 부재(330)의 탄성력에 의해 빠른 시간 내에 두께가 원상회복 되도록 하여 제1 센싱부재(310)와 제2 센싱부재(320)의 접촉을 끊을 수 있다.The insulating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외부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 힘이 가해진 위치의 제1 지지부재(100) 및 제1 전극부(311)가 일부 휘어지게 되고, 힘이 가해진 위치의 하부에 배치된 절연 부재(330)의 두께가 얇아지게 되며, 절연 부재(330)에 형성된 홀(331)을 통하여 제1 센싱부재(310)와 제2 센싱부재(320)가 접촉하게 된다. 제1 센싱부재(310)와 제2 센싱부재(320)가 접촉한 부위를 통하여 전기가 통하게 되고, 이때의 통전신호를 검출하여 힘이 가해지는 위치를 센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절연 부재(330)는 복수의 관통하는 홀(331)로 이루어진 홀 그룹을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홀(331)은 사전에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홀(331)은 홀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절연 부재에는 홀 그룹이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The insulating
홀(331)은 제1 센싱부재(310)와 제2 센싱부재(320)가 접촉하여 통전신호가 발생할 수 있도록 일정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홀(331)의 크기는 제1 센싱부재(310), 제2 센싱부재(320), 절연 부재(330)의 두께 및 탄성도를 고려하여 정해질 수 있다. 외부에서 일정 크기 이상의 힘이 가해질 경우 홀(331)을 통하여 제1 센싱부재(310)와 제2 센싱부재(320)가 접촉하며, 일정 크기 미만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 홀(331)에서 접촉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도록 복수의 홀(331)의 크기와 배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The
압력 센서가 복수의 제1 전극 및/또는 제2 전극을 구비하는 경우, 복수의 제1 전극 또는 제2 전극의 크기는 홀(331)의 크기보다 큰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홀(331)의 크기보다 전극의 크기가 크도록 구비함으로써, 힘이 가해지지 않을 때, 각 전극이 홀(331)에서 접촉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pressure sensor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and/or second electrodes,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or second electrodes may have a size larger than that of the
센서부(300)는 외부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 절연 부재(330)에 형성되는 홀(331)들을 통하여 제1 센싱부재(310)와 제2 센싱부재(320)의 접촉이 일어나게 되며, 이때 발생하는 통전신호를 검출함으로써 힘이 가해지는 위치를 센싱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제1 센싱부재(310)에 양(+)의 전압이 걸리고, 제2 센싱부재(320)는 접지단에 연결되는 경우, 제1 센싱부재(310)와 제2 센싱부재(320)가 접촉할 때 발생하는 전위차를 검출하여 힘이 가해지는 위치를 센싱할 수 있다.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의 센서부(30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복수의 센서부(300)에 대해 설명한다.Meanwhile, the
도 6은 센서부(30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7은 절연 부재(330)에 배치된 홀 그룹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plan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도 6을 참조하면, 센서부(300)는 압력 센서의 중앙에 배치되는 중앙 센서부(301)와 중앙 센서부(301)를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외곽 센서부(302)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제1 센싱부재(310)와 제2 센싱부재(320) 및 절연 부재(330)는 하나의 센서부(300)를 형성할 수 있다. 압력 센서는 제1 센싱부재(310), 제2 센싱부재(320) 및 절연 부재(330)로 구성된 센서부(300)를 복수로 구비할 수 있다.The
압력 센서의 중앙에는 중앙 센서부(301)가 배치될 수 있으며, 중앙 센서부(301)는 복수의 센서부들의 중심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압력 센서의 위에 올라서서 정지 상태일 때의 기준점이 될 수 있다.A
중앙 센서부(301)는 독립적으로 각각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1 중앙센서부(3011)와 제2 중앙센서부(30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중앙센서부(3011)와 제2 중앙센서부(3012)는 사용자의 양발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센서부로, 예를 들어, 제1 중앙센서부(3011)는 사용자의 오른발에, 제2 중앙센서부(3012)는 사용자의 왼발에 각각 대응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중앙 센서부(301)는 사용자의 발의 움직임을 개별로 센싱하도록 할 수 있다.The
이때, 중앙 센서부(301)는 제1 중앙센서부(3011)와 제2 중앙센서부(3012)의 사이에 배치되는 구획부(3013)를 포함할 수 있다. 구획부(3013)는 제1 중앙센서부(3011)와 제2 중앙센서부(3012)를 독립적으로 구획하는 역할을 하며, 각 센서부가 인접한 다른 센서부에 의해 서로 간섭받지 않도록 분리함으로써 측정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외곽 센서부(302)와 다르게 중앙 센서부(301)는 사용자의 양발이 동시에 위치하게 되며, 양 발의 위치가 매우 가까워 각 센서부 사이의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1 중앙센서부(3011)와 제2 중앙센서부(3012)의 사이에, 전극부들의 접촉이 일어나지 않는 구획부(3013)를 배치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구획부(3013)는 일 예로, 센서부(300)의 제1 센싱부재(310), 제2 센싱부재(320) 및 절연 부재(33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도 있고, 다른 예로, 절연 부재(330)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구획부(3013)가 절연 부재(330)에만 형성되는 경우, 구획부(3013)는 절연 부재(330)와 다른 강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획부(3013)는 절연 부재(330)보다 더 큰 강성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구획부(3013)를 강성이 큰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구획부(3013)에서는 제1 센싱부재(310)와 제2 센싱부재(320)의 접촉이 일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제1 중앙센서부(3011)와 제2 중앙센서부(3012)를 분리할 수 있다. 또는 구획부(3013)는 대응되는 위치에 절연 부재(330)를 제거함으로써, 구비될 수도 있다. For example, the
복수의 외곽 센서부(302)는 서로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6에는 외곽 센서부(302)가 8개 구비되는 경우를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수의 외곽 센서부(302)의 구성이 모두 적용 가능하다.The plurality of
중앙 센서부(301)와 복수의 외곽 센서부(302)는 각각 별도의 전선을 통하여 제어부(400)와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입력된 통전신호에 따라 외부의 힘이 가해진 위치를 판단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압력 센서는 각 센서부(300)에 가해진 외부의 힘을 각각 센싱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위치를 동시에 감지할 수 있다. The
도 7을 참조하면, 절연 부재(330)는 중앙 센서부(301) 및 복수의 외곽 센서부(302) 전체를 커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절연 부재(330)는 중앙 센서부(301) 및 복수의 외곽 센서부(302)에 대응되는 홀 그룹을 구비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 an insulating
한편, 제2 센싱부재(320)는 중앙 센서부(301)와 복수의 외곽 센서부(302) 전체에 대응되도록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중앙 센서부(301)와 복수의 외곽 센서부(302)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2 전극부(321) 및 복수의 제2 전극부(321)와 연결되는 제2 전선부(322)를 포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센싱부재(3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센싱부재(320)는 예를 들어, 접지단에 연결될 수 있으므로, 제2 센싱부재(320)를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접지단에 연결함으로써 기준전극을 형성할 수 있다. Meanwhile,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는 전도성과 유연성을 갖는 전극부를 지지부재의 일면에 부착하여 제작함으로써, 내구성과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작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여 장시간 사용에 의한 마모나 오작동에 쉽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대면적으로 제조하는 데에 용이하며, 설치 및 이동이 편리한 효과를 갖는다.The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durability and flexibility by attaching an electrode having conductivity and flexibility to one side of a support member, and is easy to manufacture and maintain, so that wear and tear caused by long-term use You can easily deal with malfunctions. In addition, it is easy to manufacture in a large area, and has an effect of convenient installation and movement.
이러한 압력 센서는 사용자가 사용함에 있어서, 제자리 걷기, 제자리 뛰기, 점프 등의 운동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센싱 발판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위치를 검출하여, 이동 속도, 순발력, 정확성 등을 측정해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활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보여줄 수 있고, 운동하는 데에 있어서 흥미를 느끼게 할 수 있다.Such a pressure sensor may be used as a sensing step for detecting an exercise state such as walking in place, running in place, or jumping when used by a user. In addition, it can be used in a device that detects a location according to a user's movement, measures movement speed, agility, accuracy, and the like, and delivers the result to the user. Through this, activity information can be shown to the user in real time, and it is possible to feel interest in exercising.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embodiment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0 : 제1 지지부재
200 : 제2 지지부재
300 : 센서부
301 : 중앙 센서부
3011 : 제1 중앙센서부
3012 : 제2 중앙센서부
3013 : 구획부
310 : 제1 센싱부재
311 : 제1 전극부
312 : 제1 전선부
320 : 제2 센싱부재
321 : 제2 전극부
322 : 제2 전선부
330 : 절연 부재
331 : 홀 그룹
400 : 제어부100: first support member
200: second support member
300: sensor unit
301: central sensor unit
3011: first central sensor unit
3012: second central sensor unit
3013: compartment
310: first sensing member
311: first electrode part
312: first wire part
320: second sensing member
321: second electrode unit
322: second wire part
330: insulation member
331: hole group
400: control unit
Claims (12)
제1 지지부재;
제2 지지부재; 및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외부의 힘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1 지지부재의 일면에 배치되고, 전도성을 갖는 제1 전극부 및 상기 제1 전극부와 연결되는 제1 전선부를 포함하는 제1 센싱부재;
상기 제1 지지부재의 일면에 대향되는 상기 제2 지지부재의 일면에 배치되고 전도성을 갖는 제2 전극부를 포함하는 제2 센싱부재; 및
상기 제1 센싱부재와 상기 제2 센싱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복수의 관통하는 홀로 이루어진 홀 그룹을 구비하는 절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 센서는 외부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홀을 통해 제1 센싱부재와 제2 센싱부재가 접촉하며 발생하는 통전신호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힘이 가해지는 위치를 센싱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압력 센서의 중앙에 배치되는 중앙 센서부와, 상기 중앙 센서부를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외곽 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 센서부는 독립적으로 각각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1 중앙센서부와 제2 중앙센서부를 포함하는, 압력 센서.In the pressure sensor,
a first support member;
a second support member; and
A sensor unit disposed between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and sensing an external force;
The sensor unit,
a first sensing member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including a first electrode portion having conductivity and a first wire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portion;
a second sensing member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opposite to one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including a second electrode having conductivity; and
An insulat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sensing member and the second sensing member and having a hole group formed of a plurality of penetrating holes;
The pressure sensor senses a position where the force is applied by detecting a power signal generated when the first sensing member and the second sensing member come into contact through the hol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sensor unit includes a central sensor unit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pressure sensor and a plurality of outer sensor uni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disposed radially with respect to the central sensor unit,
Wherein the central sensor unit includes a first central sensor unit and a second central sensor unit independently detecting each position, the pressure sensor.
상기 중앙 센서부는 상기 제1 중앙센서부와 상기 제2 중앙센서부를 독립적으로 구획하는 구획부를 포함하는, 압력 센서.According to claim 1,
The pressure sensor, wherein the central sensor unit includes a compartment that independently partitions the first central sensor unit and the second central sensor unit.
상기 제2 센싱부재는 상기 중앙 센서부와 복수의 외곽 센서부 전체에 대응되도록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압력 센서.According to claim 1,
The pressure sensor, wherein the second sensing member is integrally formed to correspond to the entirety of the central sensor unit and the plurality of outer sensor units.
상기 제2 센싱부재는 상기 중앙 센서부와 복수의 외곽 센서부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2 전극부 및 상기 복수의 제2 전극부와 연결되는 제2 전선부를 포함하는, 압력 센서.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sensing member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 parts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sensor part and the plurality of outer sensor parts, respectively, and a second wire part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 parts.
상기 제1 전극부는 상기 복수의 관통하는 홀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전극부는 상기 제1 전극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압력 센서.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electrode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respectively disposed in the plurality of penetrating holes,
The second electrode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electrode, the pressure sensor.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또는 제2 전극은 상기 홀의 크기보다 큰 크기를 가지는, 압력 센서.According to claim 7,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or second electrodes have a siz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hole, the pressure sensor.
상기 제1 전극부 및 상기 제2 전극부는 일면에 접착 물질을 더 포함하는, 압력 센서.According to claim 1,
The pressure sensor further comprises an adhesive material on one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part and the second electrode part.
상기 절연 부재는 탄성 재질로 구비되는, 압력 센서.According to claim 1,
The insulating member is provided with an elastic material, the pressure sensor.
상기 절연 부재의 두께는 제1 센싱부재 또는 상기 제2 센싱부재의 두께보다 두꺼운, 압력 센서.According to claim 1,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member is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sensing member or the second sensing member, the pressure sensor.
상기 제1 전극부 또는 제2 전극부는 전도성을 갖는 페브릭 재질로 이루어진, 압력 센서.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electrode part or the second electrode part is made of a fabric material having conductivity, the pressure senso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51276A KR102568304B1 (en) | 2021-11-05 | 2021-11-05 | Pressure Sens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51276A KR102568304B1 (en) | 2021-11-05 | 2021-11-05 | Pressure Sens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65570A KR20230065570A (en) | 2023-05-12 |
KR102568304B1 true KR102568304B1 (en) | 2023-08-18 |
Family
ID=86385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51276A KR102568304B1 (en) | 2021-11-05 | 2021-11-05 | Pressure Sens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68304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221291A1 (en) * | 2020-04-28 | 2021-11-04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Pressure sensor modul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117889A (en) * | 2017-04-20 | 2018-10-30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Pressure sensor |
-
2021
- 2021-11-05 KR KR1020210151276A patent/KR102568304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221291A1 (en) * | 2020-04-28 | 2021-11-04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Pressure sensor modul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65570A (en) | 2023-05-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S2775749T3 (en) | A force and / or pressure sensor | |
US10918156B2 (en) | Pressure detection sensor and pressure detection insole including same | |
US8627716B2 (en) | Capacitive proximity tactile sensor | |
US9182845B2 (en) | Sensor | |
KR101502762B1 (en) | Hybrid pressure sensor using nanofiber web | |
US6886415B1 (en) | Tactile sensor and gripping robot using the same | |
CN103800018A (en) | pressure measuring mechanism | |
JP2008256470A (en) | Pressure distribution sensor system | |
KR102486316B1 (en) | deformable sensor | |
KR20180049677A (en) | Insol of sensing pressure | |
KR101783413B1 (en) | Sensor for detecting pressure and insole of sensing pressure including the same | |
KR102568304B1 (en) | Pressure Sensor | |
KR102046010B1 (en) | Pressure sensing mat | |
KR102487907B1 (en) | Human sensitive mat | |
JP4230241B2 (en) | Touch sensor, gripping robot | |
JP7476860B2 (en) | Detection device and footwear | |
CN219178484U (en) | Distributed flexible sensor, distributed sensing system and electronic equipment | |
WO2024070102A1 (en) | Load detecting device and detecting circuit | |
KR102361740B1 (en) | Large Scale Pressure Sensor Element having Elastic Bead Layer | |
JP2012150075A (en) | Pressure sensor | |
JPS63154926A (en) | Pressure sensation sensor | |
WO2022239353A1 (en) | Load sensor | |
KR20180078708A (en) | Multi-channel capacitive pressure sensor | |
CN106197781B (en) | Film vector sensor and film deformation sensor | |
CN115886391A (en) | Intelligent running sho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