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8130B1 - 동기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동기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8130B1
KR102568130B1 KR1020160015315A KR20160015315A KR102568130B1 KR 102568130 B1 KR102568130 B1 KR 102568130B1 KR 1020160015315 A KR1020160015315 A KR 1020160015315A KR 20160015315 A KR20160015315 A KR 20160015315A KR 102568130 B1 KR102568130 B1 KR 102568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ss
subframes
mapping
order
sub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5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3647A (ko
Inventor
윤성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티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티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티엘
Priority to KR1020160015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8130B1/ko
Publication of KR20170093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3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8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81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69Cell search, i.e. determining cell identity [cell-ID]
    • H04J11/0076Acquisition of secondary synchronisation channel, e.g. detection of cell-ID gro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2011/0096Network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2211/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orthogonal multiplex systems
    • H04J2211/003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orthogonal multiplex systems within particular systems or standards
    • H04J2211/005Long term evolution [L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서, NB-IoT 통신을 위한 동기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셀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ID), 무선 프레임 위치 및 협대역 사물 인터넷(NB-IoT)의 동작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를 고려하여 NB-IoT 서비스를 위한 동기 시퀀스를 생성하고, 정해진 서브프레임 내에 NB-SSS를 위한 전송 자원에 상기 NB-SSS 시퀀스를 매핑하는 구성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동기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ATION FOR SUPPORING NB-IOT COMMUNICATION}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NB-IoT 통신을위한 동기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E-UTRA(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의 비역호환 변형(non-backward-compatible variant) 상의 큰 확장을 기반으로 셀룰러(cellular)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이하 IoT)에 대한 무선 접속(radio access)을 위해 NB(Narrowband)-IoT(Internet of Things)가 연구되고 있다.
상기 NB-IoT를 통해 실내(indoor)에서의 커버리지 증진, 낮은 처리량(throughput)의 거대한 숫자의 디바이스들, 낮은 딜레이 감도(delay sensitivity), 엄청나게 낮은 디바이스 가격, 낮은 디바이스 파워 소비 및 최적화된 네트워크 구조(architecture)를 지원할 수가 있다.
상기 NB-IoT는 하나의 RB(Resource Block)에 해당하는 대역폭 등 매우 좁은 대역폭(narrowband)을 사용하기에 기존 LTE(Long Term Evolution) 등 E-UTRA에서 쓰였던 물리 채널 및 신호 등을 다시 설계할 필요가 있다. 특히 동기화 신호에 대해서는 매우 좁은 대역폭에 맞게끔 동기 시퀀스를 구성하고 이를 매핑하여 동기화 과정을 수행하는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NB-IoT 통신을 위한 동기 시퀀스를 구성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NB-IoT 통신을 위한 동기 시퀀스를 매핑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NB-IoT 통신을 위한 동기화 수행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NB-IoT 통신에서 기지국이 매우 좁은 대역폭에 맞게끔 동기 시퀀스를 구성하고 이를 매핑하여 동기 신호를 전송하는 등 NB-IoT 통신에서 효율적으로 동기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NB-IoT 통신에서 단말이 전송 받은 동기 신호로부터 효율적으로 동기화를 수행하며, 상기 동기 신호로부터 각종 시스템 정보를 효율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화 방법에 있어서, 셀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ID), 무선 프레임 위치 및 협대역 사물 인터넷(NB(Narrowband)-IoT(Internet of Things)의 동작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를 고려하여 NB-IoT 서비스를 위한 동기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동기 시퀀스는 길이 31짜리 m-sequence 3개 또는 4개를 기반으로 하는 NB(Narrowband)-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시퀀스들을 포함하며, 상기 시스템 정보에 따라 상기 길이 31짜리 m-sequence들의 시퀀스 인덱스 값들을 구성하는 것을 포함하며, 정해진 서브프레임 내에 NB-SSS를 위한 전송 자원에 상기 NB-SSS 시퀀스들을 매핑하는 단계와, 상기 NB-SSS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NB-IoT를 수행하는 기지국은 효율적으로 동기 신호를 구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NB-IoT 단말은 전송 받은 동기 신호로부터 각종 시스템 정보를 효율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NB-IoT의 일 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NB-IoT의 동작 모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NB-IoT에서 동기 신호 전송을 위한 주기 내에서 NB-SSS를 위해 사용 가능한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하나의 서버프레임 내에서 NB-SSS를 위해 사용 가능한 물리 자원들의 위치의 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동기 신호를 구성하는 과정을 개시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장치 블록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내용을 본 발명의 내용과 함께 예시적인 도면과 실시 예를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설명하며,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은 해당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관할하는 시스템(예를 들어 기지국)에서 네트워크를 제어하고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거나, 해당 무선 네트워크에 결합한 단말에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NB(Narrowband)-IoT(Internet of Things)의 일 예를 나타낸다.
NB-IoT는 E-UTRA(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의 비역호환 변형(non-backward-compatible variant) 상의 큰 확장을 기반으로 셀룰러(cellular)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이하 IoT)에 대한 무선 접속(radio access)을 위해, LTE(Long Term Evolution) 등 E-UTRA에서 쓰였던 대역폭 보다 매우 좁은 대역폭(narrowband)을 사용하여 사물 인터넷(IoT)을 수행한다.
NB-IoT는 매우 좁은 대역폭(narrowband)을 사용한다는 점을 제외하고 사물 인터넷(IoT)의 관점에서 본다면 MTC(Machine-Type Communication) 또는 M2M(Machine to Machine) 통신과도 기본 개념 등에서 연계될 수 있다. NB-IoT는 인간 상호작용(human interaction)을 수반하지 않은 기지국(15)을 통한 NB-IoT 단말(UE)들(11, 12) 간의 정보 교환 또는 기지국을 통한 NB-IoT 단말(11)과 NB-IoT 서버(18) 간의 정보 교환을 포함할 수가 있다.
NB-IoT 서버(18)는 NB-IoT 단말(11)과 통신하는 개체(entity)이다. NB-IoT 서버는 NB-IoT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NB-IoT 단말(11)에게 NB-IoT 특정 서비스를 제공한다.
NB-IoT 단말(11)은 NB-IoT를 제공하는 무선 기기로, 고정되거나 또는 이동성을 가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NB-IoT의 동작 모드를 정의하고자 한다.
NB-IoT는 도 2에서 보는 것과 같이 총 3가지의 동작 모드 중 하나의 동작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총 3가지의 동작 모드는 아래에서 보는 것과 같이 단독-세움 동작(Stand-alone operation) 모드, 보호 대역폭 동작(Guard band operation) 모드 및 대역폭 내 동작(In-band operation) 모드이다.
- 단독-세움 동작(Stand-alone operation) 모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캐리어(carrier)들에 대응되는 GERAN(GSM EDGE Radio Access Network) 시스템에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스펙트럼을 이용
- 보호 대역폭 동작(Guard band operation) 모드
LTE(Long Term Evolution) 캐리어(carrier)의 보호 대역폭(guard-band) 내의 사용되지 않는 자원 블록들(resource blocks)을 이용
- 대역폭 내 동작(In-band operation) 모드이다
LTE(Long Term Evolution) 캐리어(carrier) 내의 자원 블록들(resource blocks)을 이용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NB(Narrowband)-IoT(Internet of Things)에서 NB-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및 NB-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와 같은 동기 신호 전송을 위한 주기(period) 내에서 NB-SSS를 위해 사용 가능한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NB-IoT에서 동기 신호 전송을 위한 주기(period)는 Nms일 수가 있으며, 이 때 N에 대한 일례는 80일 수가 있다. 이는 NB-IoT에서 MIB(Master Information Block)의 변경이 없는 시간 간격(time interval)이 640ms이며, 이를 토대로 NB-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가 80ms 구간(duration)의 독립적인 복호 가능한 블록들(independently decodable blocks) 8개로 구성되는 것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즉 NB-PBCH가 80ms 구간(duration) 단위로 구성되는 것에 맞추기 위해 NB-IoT에서 동기 신호 전송을 위한 주기(period)의 일례 역시 80ms 일수가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만약 NB-IoT에서 동기 신호 전송을 위한 주기(period)가 80ms 일 경우, 상기 80ms 주기 내에서 NB-SSS를 위해 사용 가능한 서브프레임들의 예는 다음과 같을 수 있으며, 아래 예 중 하나로 NB-SSS가 구성될 것이다.
- 1) 4 times of 2 consecutive subframes (total 4?2=8 subframes)
: 도 3의 (b)에서의 예처럼
- 2) 2 times of 2 consecutive subframes (total 2?2=4 subframes)
: 도 3의 (a)에서의 예처럼
- 3) 1 times of 2 consecutive subframes (total 1?2=2 subframes)
- 4) 8 times of one subframe (total 8?1=8 subframes)
- 5) 4 times of one subframe (total 4?1=4 subframes)
: 도 3의 (c)에서의 예처럼
- 6) 2 times of one subframe (total 2?1=2 subframes)
- 7) 1 times of one subframe (total 1?1=1 subframe)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하나의 서버프레임 내에서 NB-SSS를 위해 사용 가능한 물리 자원들의 위치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NB-SSS의 경우 주파수 축으로는 180Khz에 해당하는 하나의 RB(Resource Block)을 사용한다. 따라서 하나의 RB내의 총 12개의 서브캐리어들이 NB-SSS를 위해 사용될 수가 있다. 또한, 시간 축으로는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에서, 처음 3개의 심볼을 제외한 나머지 심볼 모두 또는 일부의 심볼들이 NB-SSS를 위해 사용될 수가 있다. 여기서, CRS를 위해 사용되는 RE(Resource Element)에 대해서는 이 것들까지 고려해서 NB-SSS시퀀스를 생성하지만, 실제적으로는 천공이 된다(REs for CRs are punctured).
이를 종합할 때 고려할 수 있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 일반 CP(Normal CP)
11 symbols (total 132 REs, REs for CRs are punctured)
09 symbols (total 108 REs, REs for CRs are punctured)
- 확장 CP(Extended CP)
09 symbols (total 108 REs, REs for CRS are punctured)
일반 CP(normal CP)의 경우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의 14개의 심볼 중 처음 3개의 심볼을 제외한 총 11개의 심볼이 사용될 수 있으며, 하나의 심볼에서 총 12개의 서브캐리어들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에서 NB-SSS 매핑을 위해 고려 가능한 RE들의 개수는 도 4에서 보는 것과 같이 132개이다. 언급하였듯이, 132개의 RE 중에서 CRS를 위해 사용되는 RE들은 천공될 수 있다(REs for CRs are punctured).
같은 방식으로, 확장 CP(extended CP)의 경우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의 12개의 심볼 중 처음 3개의 심볼을 제외한 총 9개의 심볼이 사용될 수 있으며, 하나의 심볼에서 총 12개의 서브캐리어들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에서 NB-SSS 매핑을 위해 고려 가능한 RE들의 개수는 도 4에서 보는 것과 같이 108개이다. 언급하였듯이, 108개의 RE 중에서 CRS를 위해 사용되는 RE들은 천공될 수 있다(REs for CRs are punctured).
한편, 일반 CP(normal CP)의 경우에서도 확장 CP(extenced CP)의 경우와 동일한 구조를 위해서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의 14개의 심볼 중 총 9개의 심볼만(이는 14개의 심볼들 중 처음 5개의 심볼들을 제외한 마지막 9개의 연속적인 심볼들일 수도 있거나, 또는 14개의 심볼들 중 처음 3개 및 마지막 2개의 심볼들을 제외한 9개의 연속직인 심볼들일 수도 있거나, 또는 14개의 심볼들 중 처음 3개를 제외한 11개의 심볼들 중 임의의 9개의 심볼들일 수도 있다)이 NB-SSS 전송을 위해 사용된다면, 하나의 심볼에서 총 12개의 서브캐리어들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에서 NB-SSS 매핑을 위해 고려 가능한 RE들의 개수는 108개이다. 언급하였듯이, 108개의 RE 중에서 CRS를 위해 사용되는 RE들은 천공될 수 있다(REs for CRs are punctured).
한편, NB-SSS를 통해 전송 가능한 시스템 정보는 아래와 같을 수가 있다.
- at least 504 IDs (504 cases)
- (optional) radio frame location within 80ms (2, 4 or 8 cases)
- (optional) operation mode (2 cases: in-band or guard-band)
최소한 504개의 PCID(Physical Cell Identity)는 NB-SSS를 위해 지시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NB-PSS가 하나의 시퀀스를 기반으로 생성되기에, 기존 LTE에서의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와 달리 PCID 정보를 전송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여기서 NB-SSS를 위해 지시되는 PCID는 기존 LTE에서 PSS/SSS를 위해 지시되는 LTE PCID와 같은 값일 수도 있으며, 다른 값을 수도 있다. 단, 다른 경우라도 NB-SSS로부터의 PCID와 LTE PCID를 모듈러(modular) 3을 취한 값은 같음으로 인해 이를 통한 CRS 위치는 동일해야 할 것이다.
PCID 이외에 NB-IoT에서 동기 신호 전송을 위한 주기(예를 들어 80ms) 내에서의 NB-SSS의 무선 프레임(radio fame) 위치도 지시할 수 있다. 만약 주기가 80ms라면, 이는 8개의 무선 프레임(radio frame)에 해당하며, 상기 8개의 무선 프레임 중 어떤 프레임을 사용하여 전송되는지를 지시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3의 (a) 경우에서는 8개의 무선 프레임 중 총 4가지의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8개의 무선프레임을 임의로 0, 1, 2, 3, 4, 5, 6, 7이라는 인덱스로 표현할 경우, 1) 인덱스 0 및 인덱스 4에 해당하는 무선프레임에 전송하는 경우, 2) 인덱스 1 및 인덱스 5에 해당하는 무선프레임에 전송하는 경우, 3) 인덱스 2 및 인덱스 6에 해당하는 무선프레임에 전송하는 경우, 4) 인덱스 3 및 인덱스 7에 해당하는 무선프레임에 전송하는 경우로 총 4가지), 이를 지시할 필요가 있다. 마찬가지로 또 다른 예를 들어, 도 1의 (b) 또는 (c) 경우에서는 8개의 무선 프레임 중 총 2가지의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8개의 무선프레임을 임의로 0, 1, 2, 3, 4, 5, 6, 7이라는 인덱스로 표현할 경우, 1) 짝수 번째 인덱스에 해당하는 무선프레임에 전송하는 경우, 2) 홀수 번째 인덱스에 해당하는 무선프레임에 전송하는 경우로 총 2가지), 이를 지시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NB-IoT에서 동기 신호 전송을 위한 주기가 80ms일 경우, NB-SSS를 통해 총 2개, 4개 또는 8개의 경우에 해당하는 NB-SSS의 무선 프레임(radio fame) 위치도 지시할 필요가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NB-IoT의 동작 모드(operation mode)도 지시될 수가 있다. 이는 대역폭 내 동작(in-band operation) 모드인지 보호 대역폭 동작(gruard-band operation) 모드인지에 대한 총 2가지의 경우 중 어떤 경우인지를 NB-SSS를 통해서 지시될 수가 있는 것이다.
504개의 PCID는 NB-SSS를 통해서 지시되어야 하지만, 상기 무선 프레임 위치 및 동작 모드의 경우 모두 NB-SSS를 통해 지시될 수 있으며, 이 중 하나만이 NB-SSS를 통해 지시되고 나마지 하나는 NB-PBCH를 통해 지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는 둘 중 모두가 NB-SSS를 통해 지시되지 않고, NB-PBCH를 통해 지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 NB-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의 구체적인 구성 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LTE에서 사용되는 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의 구체적인 구성 방법에 대해서 언급하기로 한다.
SSS에 사용되는 시퀀스 d(0),...,d(61)는 아래와 같은 수학식 1의 인터리빙된(interleaved) 31 길이의 두 개의 m-시퀀스의 조합을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다. 상기 SSS를 정의하는 길이 31의 m-시퀀스 두 개의 조합은 수학식 1에 따라 서브프레임 0 및 서브프레임 5 사이에서 다른 값을 갖는다.
수학식 1에서 n은 0≤n≤30이고 인덱스 m0과 인덱스 m1은 아래와 같은 수학식 2에 따른 물리계층 셀 ID 그룹(Physical Cell Identity Group, PCID 그룹) N(1)ID 으로부터 유도되는 값이다.
여기서, N(1)ID는 SSS를 전송하는 기지국의 PCID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즉, SSS는 PCID 그룹 N(1)ID의 값을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수학식 2의 결과값은 표 1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두 개의 시퀀스 s0 (m0)(n) 및 s1 (m1)(n)는 수학식 3에 따라, m-시퀀스
Figure 112016013058457-pat00004
의 서로 다른 두 개의 순환 지연(cyclic shift)으로써 정의된다.
수학식 3은
Figure 112016013058457-pat00006
및 0≤i≤30를 만족하고, 상기 x(i)는 수학식 4에 의해 정의된다.
여기서, x(i)의 초기 값은 x(0)=0, x(1)=0, x(2)=0, x(3)=0, x(4)=1 으로 설정된다.
두 개의 스크램블링(scrambling) 시퀀스인 c0(n) 및 c1(n) 는 PSS에 의해 정해지고, 수학식 5에 따른 m-시퀀스
Figure 112016013058457-pat00008
의 서로 다른 두 개의 순환 지연에 의해 정의된다.
수학식 5에서 N(2)ID∈ {0,1,2}는 물리 계층 셀 ID 그룹(PCID 그룹) N(1)ID 내의 물리계층 ID이고, 수학식 5는
Figure 112016013058457-pat00010
, 0≤i≤30를 만족하고, 상기 x(i)는 수학식 6에 의해 정의된다.
여기서, x(i)의 초기 값은 x(0)=0, x(1)=0, x(2)=0, x(3)=0, x(4)=1로 설정된다.
스크램블링 시퀀스 z1 (m0)(n) 및 z1 (m1)(n)는 수학식 7에 따른 m-시퀀스
Figure 112016013058457-pat00012
의 순환 지연에 의해 정의된다.
수학식 7에서 m0 및 m1의 값은 상기 표 1에 의해 얻을 수 있으며,
Figure 112016013058457-pat00014
, 0≤i≤30를 만족하고, 상기 x(i)는 수학식 8에 의해 정의된다.
여기서, x(i)의 초기 조건은 x(0)=0, x(1)=0, x(2)=0, x(3)=0, x(4)=1로 설정된다.
상기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s0 (m0)(n) 과 s1 (m1)(n), c0(n) 과 c1(n) 및 z1 (m0)(n) 과 z1 (m1)(n) 각각은 길이 31의 m-시퀀스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수학식 1을 기반으로 길이 31의 m-시퀀스들을 기반으로 생성 가능한 시퀀스 중 168개의 시퀀스만을 SSS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한다. N(1)ID는 0부터 167까지의 정수이고 하나의 정수 값은 168개의 시퀀스 중 하나의 시퀀스에 대응될 수 있다.
기지국은 할당된 PCID에 대응되는 N(2)ID 및 N(1)ID 를 기반으로 PSS/SSS를 생성할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PSS를 기반으로 N(2)ID 를 획득하고 또한,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SSS를 기반으로 N(1)ID 을 획득할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의 PCID를 Ncell ID =3N(1)ID +N(2)ID 로 결정될 수 있다. 즉, LTE 시스템에서 단말은 수신한 PSS/SSS를 기반으로 기지국의 PCID를 획득할 수 있다.
이하 NB-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의 구체적인 구성 방법에 대해서 언급하기로 한다.
[NB- SSS 구성 방법의 실시예 1]
For 11 symbols (total 132 REs, REs for CRSs are punctured)
- length 31 m-sequence 4개 사용
- 각각의 length 31 m-sequence는 앞서 언급한 LTE에서 사용되는 SSS의 length 31 m-sequence의 시퀀스 구성 방식을 따를 수 있다.
- length 31 m-sequence 4개의 index는 각각 m0, m1, m2, m3
- 총 124개의 RE가 필요하므로 8개의 RE는 reserved
방법 A: 11개의 심볼 중 첫 번째 심볼의 처음 4개의 RE 및 마지막 심볼의 마지막 4개의 RE reserved
방법 B: 11개의 심볼 중 마지막 심볼의 마지막 8개의 RE reserved
방법 A 및 방법 B 이외에 총 132개의 RE 중 124개의 RE들을 사용하는 모든 방법이 가능
- 4개의 length 31 m-sequence 매핑 방법
방법 A: interleaved 방법 사용(SSS 시퀀스가 2개의 시퀀스를 교차해서 매핑하는 것처럼 4개의 시퀀스를 교차해서 매핑)
만약 80ms 주기에서 2개의 연속적인 서브프레임을 4개의 무선 프레임에 매핑하는 경우 (총 4·2=8 subframes 사용하는 경우이며, 상기 서브프레임들을 A0, A1, B0, B1, C0, C1, D0, D1이라고 할 경우, 이 때, X0와 X1(X=A, B, C, D)는 연속적인 서브프레임들이며, A/B/C/D는 서로 다른 무선프레임에 매핑되는 것을 도시함)
1) 서브프레임 A0 및 A1: m0, m1, m2, m3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2) 서브프레임 B0 및 B1: m1, m2, m3, m0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3) 서브프레임 C0 및 C1: m2, m3, m0, m1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4) 서브프레임 D0 및 D1: m3, m0, m1, m2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또는
1) 서브프레임 A0 및 C0: m0, m1, m2, m3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2) 서브프레임 A1 및 C1: m1, m2, m3, m0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3) 서브프레임 B0 및 D0: m2, m3, m0, m1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4) 서브프레임 B1 및 D1: m3, m0, m1, m2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만약 80ms 주기에서 2개의 연속적인 서브프레임을 2개의 무선 프레임에 매핑하는 경우 (총 2·2=4 subframes 사용하는 경우이며, 상기 서브프레임들을 A0, A1, B0, B1라고 할 경우, 이 때, X0와 X1(X=A, B)는 연속적인 서브프레임들이며, A/B는 서로 다른 무선프레임에 매핑되는 것을 도시함)
1) 서브프레임 A0 : m0, m1, m2, m3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2) 서브프레임 A1 : m1, m2, m3, m0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3) 서브프레임 B0 : m2, m3, m0, m1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4) 서브프레임 B1 : m3, m0, m1, m2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또는
1) 서브프레임 A0 : m0, m1, m2, m3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2) 서브프레임 A1 : m1, m0, m3, m2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3) 서브프레임 B0 : m2, m3, m0, m1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4) 서브프레임 B1 : m3, m2, m1, m0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만약 80ms 주기에서 2개의 연속적인 서브프레임을 1개의 무선 프레임에 매핑하는 경우 (총 1·2=2 subframes 사용하는 경우이며, 상기 서브프레임들을 A0, A1 라고 할 경우)
1) 서브프레임 A0: m0, m1, m2, m3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2) 서브프레임 A1: m1, m2, m3, m0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또는
1) 서브프레임 A0 : m0, m1, m2, m3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2) 서브프레임 A1 : m1, m0, m3, m2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만약 80ms 주기에서 1개의 서브프레임을 8개의 무선 프레임에 각각 매핑하는 경우 (총 8·1=8 subframes 사용하는 경우이며, 상기 서브프레임들을 A, B, C, D, E, F, G, H라고 할 경우)
1) 서브프레임 A 및 E: m0, m1, m2, m3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2) 서브프레임 B 및 F: m1, m2, m3, m0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3) 서브프레임 C 및 G: m2, m3, m0, m1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4) 서브프레임 D 및 H: m3, m0, m1, m2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또는
1) 서브프레임 A 및 B: m0, m1, m2, m3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2) 서브프레임 C 및 D: m1, m2, m3, m0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3) 서브프레임 E 및 F: m2, m3, m0, m1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4) 서브프레임 G 및 H: m3, m0, m1, m2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만약 80ms 주기에서 1개의 서브프레임을 4개의 무선 프레임에 각각 매핑하는 경우 (총 4·1=4 subframes 사용하는 경우이며, 상기 서브프레임들을 A, B, C, D라고 할 경우)
1) 서브프레임 A : m0, m1, m2, m3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2) 서브프레임 B: m1, m2, m3, m0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3) 서브프레임 C: m2, m3, m0, m1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4) 서브프레임 D: m3, m0, m1, m2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만약 80ms 주기에서 1개의 서브프레임을 2개의 무선 프레임에 각각 매핑하는 경우 (총 2·1=2 subframes 사용하는 경우이며, 상기 서브프레임들을 A, B 라고 할 경우)
1) 서브프레임 A: m0, m1, m2, m3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2) 서브프레임 B: m1, m2, m3, m0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또는
1) 서브프레임 A: m0, m1, m2, m3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2) 서브프레임 B: m1, m0, m3, m2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만약 80ms 주기에서 1개의 서브프레임을 1개의 무선 프레임에 매핑하는 경우 (총 1·1=1 subframes 사용하는 경우이며, 상기 서브프레임들을 A,라고 할 경우)
1) 서브프레임 A: m0, m1, m2, m3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방법 B: interleaved 방법 사용하지 않음
항상 NB-SSS를 전송하는 모든 서브프레임에서 m0, m1, m2, m3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NB- SSS 구성 방법의 실시예 2]
For 9 symbols (total 108 REs, REs for CRs are punctured)
- length 31 m-sequence 3개 사용
- 각각의 length 31 m-sequence는 앞서 언급한 LTE에서 사용되는 SSS의 length 31 m-sequence의 구성 방식을 따를 수 있다.
- length 31 m-sequence 3개의 index는 각각 m0, m1, m2
- 총 93개의 RE가 필요하므로 15개의 RE는 reserved
방법 A: 9개의 심볼 중 첫 번째 심볼의 처음 8개의 RE 및 마지막 심볼의 마지막 7개의 RE reserved
방법 B: 9개의 심볼 중 첫 번째 심볼의 처음 7개의 RE 및 마지막 심볼의 마지막 8개의 RE reserved (이 경우 11 symbols 경우의 매핑 방식과 호환 가능)
방법 A 및 방법 B 이외에 총 132개의 RE 중 124개의 RE들을 사용하는 모든 방법이 가능
- 3개의 length 31 m-sequence 매핑 방법
방법 A: interleaved 방법 사용(SSS 시퀀스가 2개의 시퀀스를 교차해서 매핑하는 것처럼3개의 시퀀스를 교차해서 매핑)
만약 80ms 주기에서 2개의 연속적인 서브프레임을 4개의 무선 프레임에 매핑하는 경우 (총 4·2=8 subframes 사용하는 경우이며, 상기 서브프레임들을 A0, A1, B0, B1, C0, C1, D0, D1이라고 할 경우, 이 때, X0와 X1(X=A, B, C, D)는 연속적인 서브프레임들이며, A/B/C/D는 서로 다른 무선프레임에 매핑되는 것을 도시함)
1) 서브프레임 A0 및 A1: m0, m1, m2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2) 서브프레임 B0 및 B1: m1, m2, m0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3) 서브프레임 C0 및 C1: m2, m0, m1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4) 서브프레임 D0 및 D1: m0, m1, m2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또는
1) 서브프레임 A0 및 C0: m0, m1, m2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2) 서브프레임 A1 및 C1: m1, m2, m0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3) 서브프레임 B0 및 D0: m2, m0, m1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4) 서브프레임 B1 및 D1: m0, m1, m2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또는
1) 서브프레임 A0 및 A1: m0, m1, m2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2) 서브프레임 B0 및 B1: m1, m0, m2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3) 서브프레임 C0 및 C1: m0, m1, m2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4) 서브프레임 D0 및 D1: m1, m0, m2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또는
1) 서브프레임 A0 및 C0: m0, m1, m2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2) 서브프레임 A1 및 C1: m1, m0, m2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3) 서브프레임 B0 및 D0: m0, m1, m2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4) 서브프레임 B1 및 D1: m1, m0, m2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만약 80ms 주기에서 2개의 연속적인 서브프레임을 2개의 무선 프레임에 매핑하는 경우 (총 2·2=4 subframes 사용하는 경우이며, 상기 서브프레임들을 A0, A1, B0, B1라고 할 경우, 이 때, X0와 X1(X=A, B)는 연속적인 서브프레임들이며, A/B는 서로 다른 무선프레임에 매핑되는 것을 도시함)
1) 서브프레임 A0 : m0, m1, m2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2) 서브프레임 A1 : m1, m2, m0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3) 서브프레임 B0 : m2, m0, m1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4) 서브프레임 B1 : m0, m1, m2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또는
1) 서브프레임 A0 : m0, m1, m2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2) 서브프레임 A1 : m1, m0, m2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3) 서브프레임 B0 : m0, m1, m2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4) 서브프레임 B1 : m1, m0, m2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만약 80ms 주기에서 2개의 연속적인 서브프레임을 1개의 무선 프레임에 매핑하는 경우 (총 1·2=2 subframes 사용하는 경우이며, 상기 서브프레임들을 A0, A1 라고 할 경우)
1) 서브프레임 A0 : m0, m1, m2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2) 서브프레임 A1 : m1, m2, m0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또는
1) 서브프레임 A0 : m0, m1, m2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2) 서브프레임 A1 : m1, m0, m2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만약 80ms 주기에서 1개의 서브프레임을 8개의 무선 프레임에 각각 매핑하는 경우 (총 8·1=8 subframes 사용하는 경우이며, 상기 서브프레임들을 A, B, C, D, E, F, G, H라고 할 경우)
1) 서브프레임 A 및 B: m0, m1, m2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2) 서브프레임 C 및 D: m1, m2, m0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3) 서브프레임 E 및 F: m2, m0, m1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4) 서브프레임 G 및 H: m0, m1, m2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또는
1) 서브프레임 A 및 E: m0, m1, m2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2) 서브프레임 B 및 F: m1, m2, m0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3) 서브프레임 C 및 G: m2, m0, m1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4) 서브프레임 D 및 H: m0, m1, m2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또는
1) 서브프레임 A 및 B: m0, m1, m2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2) 서브프레임 C 및 D: m1, m0, m2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3) 서브프레임 E 및 F: m0, m1, m2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4) 서브프레임 G 및 H: m1, m0, m2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또는
1) 서브프레임 A 및 E: m0, m1, m2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2) 서브프레임 B 및 F: m1, m0, m2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3) 서브프레임 C 및 G: m0, m1, m2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4) 서브프레임 D 및 H: m1, m0, m2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만약 80ms 주기에서 1개의 서브프레임을 4개의 무선 프레임에 각각 매핑하는 경우 (총 4·1=4 subframes 사용하는 경우이며, 상기 서브프레임들을 A, B, C, D라고 할 경우)
1) 서브프레임 A : m0, m1, m2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2) 서브프레임 B : m1, m2, m0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3) 서브프레임 C : m2, m0, m1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4) 서브프레임 D : m0, m1, m2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또는
1) 서브프레임 A : m0, m1, m2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2) 서브프레임 B : m1, m0, m2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3) 서브프레임 C : m0, m1, m2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4) 서브프레임 D : m1, m0, m2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만약 80ms 주기에서 1개의 서브프레임을 2개의 무선 프레임에 각각 매핑하는 경우 (총 2·1=2 subframes 사용하는 경우이며, 상기 서브프레임들을 A, B 라고 할 경우)
1) 서브프레임 A: m0, m1, m2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2) 서브프레임 B: m1, m2, m0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또는
1) 서브프레임 A : m0, m1, m2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2) 서브프레임 B : m1, m0, m2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만약 80ms 주기에서 1개의 서브프레임을 1개의 무선 프레임에 매핑하는 경우 (총 1·1=1 subframes 사용하는 경우이며, 상기 서브프레임들을 A,라고 할 경우)
1) 서브프레임 A: m0, m1, m2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방법 B: interleaved 방법 사용하지 않음
항상 NB-SSS를 전송하는 모든 서브프레임에서 m0, m1, m2, 순으로 교차해서 매핑
[NB- SSS 를 통한 시스템 정보 지시 방법의 실시예 1]
- 504 IDs 이외에 "radio frame location within 80ms" and/or "operation mode" 등도 지시하는 경우
- 총 구분이 필요한 경우의 수 M은 아래와 같다.
M=1008
504 cases for IDs, 2 cases for radio frame location
504 cases for IDs, 2 cases for operation mode
M=2016
504 cases for IDs, 4 cases for radio frame location
504 cases for IDs, 2 cases for radio frame location, 2 cases for operation mode
M=4032
504 cases for IDs, 8 cases for radio frame location
504 cases for IDs, 4 cases for radio frame location, 2 cases for operation mode
M=8064
504 cases for IDs, 8 cases for radio frame location, 2 cases for operation mode
1. For 11 symbols (total 132 REs, REs for CRs are punctured)
- m0: 0~30까지31가지 경우 가능
- m1: 0~30까지31가지 경우 가능
- m2: 0~30까지31가지 경우 가능
- m3: (m0+ m1+ m2)mod 31의 값을 사용 (parity check의 역할)
- 총 최대 313=29791 경우가 가능
- 즉, 4개의 lengh-31 m-sequence 중 m0, m1 및 m2를 시퀀스 인덱스 값으로 가지는 3개의 lengh-31 m-sequence만이 시스템 정보를 지시하는데 사용이 되고, m3를 시퀀스 인덱스 값으로 가지는 나머지 1개의 lengh-31 m-sequence은 시스템 정보를 지시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3개의 lengh-31 m-sequence들의 시퀀스 인덱스 값들이 바르게 검출되었는지 체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2. For 9 symbols (total 108 REs, REs for CRs are punctured)
- m0: 0~30까지31가지 경우 가능
- m1: 0~30까지31가지 경우 가능
- m2: 0~30까지31가지 경우 가능
- 총 최대 313=29791 경우가 가능
- 즉, 3개의 lengh-31 m-sequence 중 m0, m1 및 m2를 시퀀스 인덱스 값으로 가지는 3개의 lengh-31 m-sequence 모두가 시스템 정보를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3. 시스템 정보 구성 방법
- 다음과 같은 수식이 사용될 수 있음
L= m2·312+ m1·31+ m0 또는 L= m0·312+ m1·31+ m2
이 때, L은 0에서 313-1(=29790) 까지의 값을 가질 수 있으나, 실제로 사용가능 한 값은 0부터 M-1까지이다.
- 구체적인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A, B, C)에 대해 (0, 0, 0)부터 시작해서 (0, 0, 1), .... , (0, 0, 30), (0, 1, 0), (0, 1, 1), ...., (0, 30, 30), (1, 0, 0), (1, 0, 1), ..., 이런 식으로 C에 대해서 0부터 30까지 채운 후 B가 1씩 올라가고, B에 대해서 0부터 30까지 채운 후 A가 1씩 올라가는 것으로 표현할 경우
M=1008이며, 수식 L= m2·312+ m1·31+ m0이 사용되는 경우
(m2, m1, m0)에서 (0,0,0), (0,0,1), .... , (1, 1, 15)까지 사용됨
M=2016이며, 수식 L= m2·312+ m1·31+ m0이 사용되는 경우
(m2, m1, m0)에서 (0,0,0), (0,0,1), .... , (2, 3, 0)까지 사용됨
M=4032이며, 수식 L= m2·312+ m1·31+ m0이 사용되는 경우
(m2, m1, m0)에서 (0,0,0), (0,0,1), .... , (4, 6, 1)까지 사용됨
M=8064이며, 수식 L= m2·312+ m1·31+ m0이 사용되는 경우
(m2, m1, m0)에서 (0,0,0), (0,0,1), .... , (8, 12, 3)까지 사용됨
M=1008이며, 수식 L= m0·312+ m1·31+ m2이 사용되는 경우
(m0, m1, m2)에서 (0,0,0), (0,0,1), .... , (1, 1, 15)까지 사용됨
M=2016이며, 수식 L= m0·312+ m1·31+ m2이 사용되는 경우
(m0, m1, m2)에서 (0,0,0), (0,0,1), .... , (2, 3, 0)까지 사용됨
M=4032이며, 수식 L= m0·312+ m1·31+ m2이 사용되는 경우
(m0, m1, m2)에서 (0,0,0), (0,0,1), .... , (4, 6, 1)까지 사용됨
M=8064이며, 수식 L= m0·312+ m1·31+ m2이 사용되는 경우
(m0, m1, m2)에서 (0,0,0), (0,0,1), .... , (8, 12, 3)까지 사용됨
[NB- SSS 를 통한 시스템 정보 지시 방법의 실시예 2]
- 오직 504 IDs 만을 지시하는 경우
- 총 구분이 필요한 경우의 수 M은 아래와 같다.
M=504
504 cases for IDs
1. For 11 symbols (total 132 REs, REs for CRs are punctured)
- m0: 0~30까지31가지 경우 가능
- m1: 0~30까지31가지 경우 가능
- m2: m0의 값을 사용 (parity check의 역할)
- m3: m1의 값을 사용 (parity check의 역할)
- 총 최대 312=961 경우가 가능
- 즉, 4개의 lengh-31 m-sequence 중 m0 및 m1을 시퀀스 인덱스 값으로 가지는 2개의 lengh-31 m-sequence만이 시스템 정보를 지시하는데 사용이 되고, m2 및 m3를 시퀀스 인덱스 값으로 가지는 나머지 2개의 lengh-31 m-sequence은 시스템 정보를 지시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2개의 lengh-31 m-sequence들의 시퀀스 인덱스 값들이 바르게 검출되었는지 체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2. For 9 symbols (total 108 REs, REs for CRs are punctured)
- m0: 0~30까지31가지 경우 가능
- m1: 0~30까지31가지 경우 가능
- m2: (m0+ m1)mod 31의 값을 사용 (parity check의 역할)
- 총 최대 312=961 경우가 가능
- 즉, 3개의 lengh-31 m-sequence 중 m0 및 m1을 시퀀스 인덱스 값으로 가지는 2개의 lengh-31 m-sequence만이 시스템 정보를 지시하는데 사용이 되고, m3를 시퀀스 인덱스 값으로 가지는 나머지 1개의 lengh-31 m-sequence은 시스템 정보를 지시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2개의 lengh-31 m-sequence들의 시퀀스 인덱스 값들이 바르게 검출되었는지 체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3. 시스템 정보 구성 방법
- 다음과 같은 수식이 사용될 수 있음
L= m1·31+ m0 또는 L= m0·31+ m1
이 때, L은 0에서 312-1(=960) 까지의 값을 가질 수 있으나, 실제로 사용가능 한 값은 0부터 M-1(=503)까지이다.
- 구체적인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A, B)에 대해 (0, 0)부터 시작해서 (0, 1), .... , (0, 30), (1, 0), (1, 1), ...., 이런 식으로 B에 대해서 0부터 30까지 채운 후 A가 1씩 올라가는 것으로 표현할 경우
M=504이며, 수식 L= m1·31+ m0 이 사용되는 경우
(m1, m0)에서 (0,0), (0,1), .... , (16, 7)까지 사용됨
M=504이며, 수식 L= m0·31+ m1 이 사용되는 경우
(m0, m1)에서 (0,0), (0,1), .... , (16, 7)까지 사용됨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동기 신호를 구성하는 과정을 개시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시스템 정보를 고려하여 NB-SSS 시퀀스를 생성한다(510). 여기서, 상기 시스템 정보는 504개의 셀 ID, 무선 프레임 위치 및 NB-IoT의 동작 모드(operation mod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 정보에 따라 length-31 m-sequence 3개 또는 4개를 기반으로 하는 NB-SSS 시퀀스들의 인덱스들을 구성하는 것은 본 발명의 "NB-SSS를 통한 시스템 정보 지시 방법의 실시예 1" 또는 "NB-SSS를 통한 시스템 정보 지시 방법의 실시예 2"에 따를 수 있다.
기지국은 정해진 서브프레임 내에 NB-SSS를 위한 전송 자원에 상기 NB-SSS 시퀀스를 매핑한다(520). 상기 정해진 서브프레임들은 도 3을 토대로 설명한 것과 같이 80ms 주기 내에서 1개, 2개, 4개 또는 8개의 서브프레임들일 수가 있다. 상기 정해진 서브프레임들 내에 NB-SSS를 위한 전송 자원은 도 4를 토대로 설명한 것과 같이 11개의 심볼에서 124개의 RE 또는 9개의 심볼에서 93개의 RE일 수가 있다. length-31 m-sequence 3개 또는 4개를 기반으로 하는 NB-SSS 시퀀스들을 매핑하는 것은 본 발명의 "NB-SSS 구성 방법의 실시예 1" 또는 "NB-SSS 구성 방법의 실시예 2"에 따를 수 있다.
그 후, 기지국은 NB-SSS를 생성하여 전송한다(S530).
도 5를 참조하면, 단말은 정해진 서브프레임 내의 NB-SSS를 위한 전송 자원에서 NB-SSS를 수신한다(540). 여기서, 상기 정해진 서브프레임들은 도 3을 토대로 설명한 것과 같이 80ms 주기 내에서 1개, 2개, 4개 또는 8개의 서브프레임들일 수가 있다. 상기 정해진 서브프레임들 내에 NB-SSS를 위한 전송 자원은 도 4를 토대로 설명한 것과 같이 11개의 심볼에서 124개의 RE 또는 9개의 심볼에서 93개의 RE일 수가 있다.
단말은 상기 수신된 NB-SSS로부터 NB-SSS 시퀀스를 복호한다(550). Length-31 m-sequence 3개 또는 4개를 기반으로 하는 NB-SSS 시퀀스들은 본 발명의 "NB-SSS 구성 방법의 실시예 1" 또는 "NB-SSS 구성 방법의 실시예 2"에 따라 매핑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NB-SSS 시퀀스를 복호할 수가 있다.
그 후, 상기 복호된 NB-SSS 시퀀스로부터 동기화 정보 및 시스템 정보를 획득한다(560). 여기서, 상기 시스템 정보는 504개의 셀 ID, 무선 프레임 위치 및 NB-IoT의 동작모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 정보에 따라 length-31 m-sequence 3개 또는 4개를 기반으로 하는 NB-SSS 시퀀스들의 인덱스들은 본 발명의 "NB-SSS를 통한 시스템 정보 지시 방법의 실시예 1" 또는 "NB-SSS를 통한 시스템 정보 지시 방법의 실시예 2"에 따라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복호된 NB-SSS 시퀀스들의 인덱스 값들을 토대로 시스템 정보를 획득할 수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장치 블록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통신장치(600)와 제2 통신장치(650)가 통신을 수행한다. 제1 통신장치(600)는 프로세서(610), RF 모듈(620) 및 메모리(62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통신장치(600)는 기지국(15)이 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장치(600)는 제2 통신장치(650)를 제어한다. 상기 제2 통신장치(650)는 NB-IoT 단말(UE)들(11, 12)이 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장치(600)는 제2 통신장치(650)들과의 정보 교환 또는 상기 제1 통신장치(600)를 통한 제2 통신장치(650)와 NB-IoT 서버 간의 정보 교환을 포함할 수가 있다. 즉, NB-IoT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제어하고, NB-IoT 특정 서비스를 제공한다.
우선, 프로세서(610)는 시퀀스 생성부(611) 및 시퀀스 매핑부(61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시퀀스 생성부(611)는 시퀀스 생성 및 생성된 시퀀스를 확인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시퀀스 매핑부(612)는 상기 시퀀스 생성부(611)로부터 생성된 시퀀스의 매핑 및 매핑 확인 동작을 수행한다. 프로세서(610)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610)는 본 명세서에서 도 5에 개시된 기지국의 NB-IoT와 관련된 모든 동작 및 실시예에 따라, NB-SSS에 해당하는 시퀀스를 생성하고 상기 시퀀스를 맵핑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로세서(610)의 시퀀스 생성부(611)는 전송할 시스템 정보를 고려하여 NB-SSS 시퀀스를 생성한다. 여기서, 시퀀스 생성부(611)는 504개의 셀 ID, 무선 프레임 위치 및 NB-IoT의 동작 모드(operation mod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확인하며, 상기 시스템 정보에 따라 length-31 m-sequence 3개 또는 4개를 기반으로 하는 NB-SSS 시퀀스들의 인덱스들을 구성한다.
상기 프로세서(610)의 시퀀스 매핑부(612)는 정해진 서브프레임 내에 NB-SSS를 위한 전송 자원에 상기 NB-SSS 시퀀스를 매핑한다. 상기 정해진 서브프레임들은 도 3을 토대로 설명한 것과 같이 80ms 주기 내에서 1개, 2개, 4개 또는 8개의 서브프레임들일 수가 있다. 상기 정해진 서브프레임들 내에 NB-SSS를 위한 전송 자원은 심볼의 개수를 고려하여, 11개의 심볼에서 124개의 RE 또는 9개의 심볼에서 93개의 RE를 고려하여 매핑을 수행한다. 이 때, length-31 m-sequence 3개 또는 4개를 기반으로 하는 NB-SSS 시퀀스들을 매핑한다.
상기 프로세서(610)는 RF 모듈(620)을 제어하여 생성된 NB-SSS를 전송한다.
메모리(625)는 프로세서(610)와 연결되어, 프로세서(61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동기 신호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RF모듈(620)은 프로세서(610)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예를 들어, RF 모듈(620)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610)에 의해 제어되는 동기 신호를 제2 통신장치(65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통신장치(650)는 제1 통신장치(600)와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제1 통신장치(600)로부터 전송되는 NB-SSS 수신할 수 있다. 제2 통신장치(650)는 프로세서(660), RF 모듈(670) 및 메모리(675)를 포함한다.
우선, 프로세서(660)는 시퀀스 복호부(661) 및 정보 획득부(66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시퀀스 복호부(661)는 시퀀스 복호 및 복호된 시퀀스를 확인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정보 획득부(662)는 복호된 시퀀스로 부터 동기 정보 및 시스템 정보를 확인한다. 즉, 프로세서(660)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660)는 본 명세서에서 도 5에 개시된 단말의 NB-IoT와 관련된 모든 동작 및 실시예에 따라, NB-SSS에 해당하는 시퀀스를 복호하고 상기 복호된 시퀀스로부터 동기 정보 및 시스템 정보를 획득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로세서(660)의 시퀀스 복호부(661)는 수신된 NB-SSS로부터 NB-SSS 시퀀스를 복호한다. 이 때, length-31 m-sequence 3개 또는 4개를 기반으로 하는 NB-SSS 시퀀스들은 본 발명의 "NB-SSS 구성 방법의 실시예 1" 또는 "NB-SSS 구성 방법의 실시예 2"에 따라 매핑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NB-SSS 시퀀스를 복호할 수가 있다.
상기 프로세서(660)의 정보 획득부(662)는 상기 복호된 NB-SSS 시퀀스로부터 동기화 정보 및 시스템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상기 시스템 정보는 504개의 셀 ID, 무선 프레임 위치 및 NB-IoT의 동작모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 정보에 따라 length-31 m-sequence 3개 또는 4개를 기반으로 하는 NB-SSS 시퀀스들의 인덱스들은 본 발명의 "NB-SSS를 통한 시스템 정보 지시 방법의 실시예 1" 또는 "NB-SSS를 통한 시스템 정보 지시 방법의 실시예 2"에 따라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복호된 NB-SSS 시퀀스들의 인덱스 값들을 토대로 시스템 정보를 획득할 수가 있다.
상기 프로세서(660)는 RF 모듈(670)을 제어하여 정해진 서브프레임 내의 NB-SSS를 위한 전송 자원에서 NB-SSS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정해진 서브프레임들은 도 3을 토대로 설명한 것과 같이 80ms 주기 내에서 1개, 2개, 4개 또는 8개의 서브프레임들일 수가 있다. 상기 정해진 서브프레임들 내에 NB-SSS를 위한 전송 자원은 도 4를 토대로 설명한 것과 같이 11개의 심볼에서 124개의 RE 또는 9개의 심볼에서 93개의 RE일 수가 있다.
메모리(675)는 프로세서(660)와 연결되어, 프로세서(66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동기 신호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RF모듈(670)은 프로세서(660)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예를 들어, RF 모듈(670)은 본 발명에 따른 동기 신호를 제1 통신장치(6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예시적인 장치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NB-IoT를 수행하는 기지국은 효율적으로 동기 신호를 구성하여 전송할 수 있으며, NB-IoT 단말은 전송 받은 동기 신호로부터 각종 시스템 정보를 효율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화 방법에 있어서,
    셀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ID), 무선 프레임 위치 및 협대역 사물 인터넷(NB(Narrowband)-IoT(Internet of Things))의 동작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를 고려하여 NB-IoT 서비스를 위한 동기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동기 시퀀스는 길이 31짜리 m-sequence 3개 또는 4개를 기반으로 하는 NB(Narrowband)-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시퀀스들을 포함하며, 상기 시스템 정보에 따라 상기 길이 31짜리 m-sequence들의 시퀀스 인덱스 값들을 구성하는 것을 포함하며,
    정해진 서브프레임 내에 NB-SSS를 위한 전송 자원에 상기 NB-SSS 시퀀스들을 매핑하는 단계와,
    상기 NB-SSS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해진 서브프레임은, 80ms 주기 내에서 1개, 2개, 4개 또는 8개의 서브프레임임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NB-SSS를 위한 전송 자원은 서브프레임의 구조에 따라 정의되는 심볼의 개수에 가변되는 RE(Resource Element)들을 의미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심볼의 개수에 가변되는 RE들은 11개의 심볼에서 124개의 RE들이며, 9개의 심볼에서 93개의 RE들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 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60015315A 2016-02-05 2016-02-05 동기화 방법 및 장치 KR102568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5315A KR102568130B1 (ko) 2016-02-05 2016-02-05 동기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5315A KR102568130B1 (ko) 2016-02-05 2016-02-05 동기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3647A KR20170093647A (ko) 2017-08-16
KR102568130B1 true KR102568130B1 (ko) 2023-08-18

Family

ID=59752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5315A KR102568130B1 (ko) 2016-02-05 2016-02-05 동기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81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2865B1 (ko) * 2016-02-05 2022-10-11 주식회사 아이티엘 NB-IoT를 위한 하향링크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
CN109428847B (zh) * 2017-08-29 2021-03-26 苏州优尼赛信息科技有限公司 NB-IoT系统中下行次同步信号的检测与同步方法及装置
KR102500154B1 (ko) * 2022-08-31 2023-02-17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적은 복잡도의 코히어런트 pcid, rfn 검출 방법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55747
3GPP R1-156528
3GPP R1-160115
3GPP R1-16013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3647A (ko) 2017-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98301T3 (es) Procedimiento y aparato para la operación de sincronización en redes celulares del internet de las cosas
CN107465497B (zh) 定位参考信号的传输方法和装置
US20220046629A1 (en) Communications device, infrastructure equipment and methods for receiv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EP343724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ation for vehicle-to-x communication
KR102415212B1 (ko) 통신을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US10999829B2 (en)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resource allocation method, and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KR101993869B1 (ko) 동기 신호 송신 시스템 및 방법
US2017018009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narrow bandwidth communication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10035118A (ko) D2d 통신을 위한 동기화 신호 구성 방법 및 장치
JP7101703B2 (ja) 同期信号ブロックの中の物理ブロードキャストチャネルの自己復号可能部分を符号化または復号するための技法
ES2738692T3 (es) Habilitación de numerologías múltiples en una red
CN110493815B (zh) 监听寻呼消息和发送指示信息的方法、装置及系统
EP2874451A1 (en) Method for configuring reference signal,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CN110140381A (zh) 用于编码多个小区和波束的系统信息的系统和方法
CN108141813B (zh) 电信设备和方法
CN108347769B (zh) 频域位置的指示方法及装置
US20160174227A1 (en)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s
CN117879776A (zh) 信息传输的方法及装置
KR102612844B1 (ko) 제어 자원 세트 제어 채널 요소 대 자원 요소 그룹 매핑을 위한 단말 디바이스, 기지국, 및 방법
KR102568130B1 (ko) 동기화 방법 및 장치
JP2015531553A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実装方法
KR102229947B1 (ko) D2d 통신을 위한 동기화 신호 구성 방법 및 장치
JP2018207520A (ja) データを伝送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デバイス
CN113055142A (zh) Pdcch盲检测方法、装置和存储介质
WO2017206437A1 (zh) 定位参考信号的传输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