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8053B1 - 극저온 간접냉각방식 툴킷 - Google Patents

극저온 간접냉각방식 툴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8053B1
KR102568053B1 KR1020210074555A KR20210074555A KR102568053B1 KR 102568053 B1 KR102568053 B1 KR 102568053B1 KR 1020210074555 A KR1020210074555 A KR 1020210074555A KR 20210074555 A KR20210074555 A KR 20210074555A KR 102568053 B1 KR102568053 B1 KR 102568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ryogenic
processing tool
fluid
cooling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4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5923A (ko
Inventor
김동민
이훈희
김형익
김태곤
황영하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074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8053B1/ko
Publication of KR20220165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5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8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8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2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parts of the machine
    • B23Q11/126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parts of the machine for cooling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6Drills with lubricating or cool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maintaining a constant temperature in parts of machine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31/00Details of chucks, toolholder shanks or tool shanks
    • B23B2231/24Cooling or lubrication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저온 간접냉각방식 툴킷은, 중공부가 형성되는 툴홀더, 상기 툴홀더의 일측에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유체가 이동되는 통로인 냉각유로가 형성되는 가공툴 및 상기 중공부와 상기 냉각유로가 연통되고 상기 중공부 및 상기 냉각유로 내부에 삽입되어, 외부에서 공급받은 상기 유체를 상기 냉각유로로 제공하는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유로 내부에 상기 파이프가 삽입되어 형성되는 미세유로를 통해 상기 유체가 유동될 수 있다.

Description

극저온 간접냉각방식 툴킷 {CRYOGENIC INDIRECT COOLING TOOLKIT}
본 발명은 극저온 간접냉각방식 툴킷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작물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열이 발생되며, 이는 가공물의 변형 및 손상시키거나 공구들의 마모 및 변형을 야기하므로 이를 방지하기위해 냉매로써 절삭유를 공급하였다.
최근에는 자동차 및 항공 우주 등 첨단산업의 경량화, 친환경화 및 고효율화에 따라 이를 실현할 수 있는 티타늄, 인코넬 및 CGI 등의 난삭재료의 가공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러한 난삭재료는 기존 금속보다 낮은 열전도도 및 고강도 등의 특성에 의해 고온의 절삭열 및 공구의 열변형이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난삭재료 가공 시 냉각 효과의 향상을 위해 종래의 절삭유 대신 -196℃의 액체질소(LN2) 등의 극저온 유체를 냉매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난삭재료에 극저온 냉매를 직접적으로 분사하게 될 경우, 재료 표면이 더 단단하게 만들어 지면서 기계가공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극저온 냉매를 가공툴 내부로 공급함으로써 가공툴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극저온 간접냉각방식 툴킷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저온 간접냉각방식 툴킷은, 중공부가 형성되는 툴홀더, 상기 툴홀더의 일측에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유체가 이동되는 통로인 냉각유로가 형성되는 가공툴 및 상기 중공부와 상기 냉각유로가 연통되고 상기 중공부 및 상기 냉각유로 내부에 삽입되어, 외부에서 공급받은 상기 유체를 상기 냉각유로로 제공하는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유로 내부에 상기 파이프가 삽입되어 형성되는 미세유로를 통해 상기 유체가 유동될 수 있다.
상기 냉각유로의 단면적은 상기 파이프의 단면적보다 크고, 상기 단면적의 차이로 인해서 상기 미세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체는 극저온냉매일 수 있다.
상기 파이프의 단부에는 상기 파이프 내부에서 이동되는 유체가 상기 파이프 외부인 미세유로로 방출되도록 방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가공툴의 일측에는 상기 유체가 상기 미세유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공툴의 단부측에는 절삭날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의 형성 위치는 상기 절삭날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툴홀더는, 공작기계에 결합되고 내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단턱을 포함하는 제1 몸체 및 상기 제1 몸체에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가공툴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제2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이프는, 상기 제1 몸체 내부에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외부에서 유체를 공급받는 파이프몸체, 상기 파이프몸체의 단부에 상기 단턱에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플랜지부 및 상기 플랜지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냉각유로에 삽입되어 상기 냉각유로로 상기 유체를 방출하는 주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몸체는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공툴에 고정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공툴은 외측면에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는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입부의 단부에는 상기 유체의 유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파이프의 단면적은 상기 방출구 측에서 상기 배출구 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저온 간접냉각방식 툴킷은, 극저온 냉매를 가공툴 내부로 공급함으로써 가공툴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저온 간접냉각방식 툴킷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극저온 간접냉각방식 툴킷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극저온 간접냉각방식 툴킷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가공툴의 요부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극저온 간접냉각방식 툴킷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극저온 간접냉각방식 툴킷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극저온 간접냉각방식 툴킷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저온 간접냉각방식 툴킷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극저온 간접냉각방식 툴킷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극저온 간접냉각방식 툴킷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가공툴의 요부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저온 간접냉각방식 툴킷(1)은 툴홀더(100), 파이프(200) 및 가공툴(300)을 포함할 수 있다.
툴홀더(100)는 제1 몸체(110), 제2 몸체(120) 및 실링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제1 몸체(110)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으로 내부에 제1 중공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몸체(110)의 일단부에는 제2 몸체(120)가 연결될 수 있다.
제1 몸체(110)의 내측면에는 제1 중공부(111)의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된 제1 단턱(11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단턱(112)에는 후술할 파이프(200)의 플랜지부(220)가 안착될 수 있다.
제2 몸체(120)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으로 일단부가 제1 몸체(110)에 연결되고, 내부에 제2 중공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중공부(121)에는 가공툴(300)이 삽입되어 제2 몸체(12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몸체(120)는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형태일 수 있다. 즉, 제2 몸체(120)는 제1 몸체(110)로부터 멀어질수록 직경이 작아질 수 있다.
제2 몸체(120)의 내측면에는 제2 중공부(121)의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된 제2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단턱(122)은 제1 몸체(110)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단턱(122)에는 후술할 실링부재(130)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몸체(120)의 내측면에는 제2 중공부(121)의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123)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123)는 제2 몸체(120)의 끝단과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23)는 제2 중공부(121)에 삽입된 가공툴(300)에 고정되어, 가공툴(300) 및 제2 몸체(12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실링부재(130)는 제2 몸체(120)의 내측에 삽입되어 제2 단턱(122)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링부재(130)의 외측면은 제2 몸체(120)의 내측면에 접하고, 단부는 제2 중공부(121)에 삽입된 가공툴(300)에 지지될 수 있다.
이때, 가공툴(300)의 회전 등에 의해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실링부재(130)는 제2 단턱(122)에 의해 지지되어 이탈이 방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공툴(300) 내부를 흐르는 극저온 냉매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파이프(200)는 파이프몸체(210), 플랜지부(220), 주입부(230) 및 전달유로(240)를 포함할 수 있다.
파이프몸체(210)는 소정의 원통형상으로 제1 몸체(110)의 제1 중공부(111)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파이프몸체(210)의 일단부는 외부의 냉매공급부(미도시)와 연결되어 극저온 냉매를 공급받을 수 있다.
플랜지부(220)는 파이프몸체(210)의 단부에 형성되며 파이프몸체(210)보다 더 큰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플랜지부(220)는 제1 단턱(112)에 안착되어 제1 몸체(110)의 내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주입부(23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중공의 봉 형상으로, 일단부는 플랜지부(220)와 연결되며 가공툴(300)의 내측에 형성된 냉각유로(330)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입부(230)의 끝단은 냉각유로(330)의 끝단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전달유로(240)는 파이프몸체(210), 플랜지부(220) 및 주입부(230)의 중심축을 모두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이프몸체(210)로 공급된 극저온 냉매는 전달유로(240)를 통해 유동되어, 주입부(230) 끝단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극저온 냉매는 파이프(200)를 통해 냉각유로(330)측으로 주입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가공툴(300)은 절삭날(310), 삽입홈(320), 냉각유로(330), 미세유로(340) 및 배출구(350)를 포함할 수 있다.
가공툴(300)은 일단이 제2 중공부(121)에 삽입되어 툴홀더(1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작기계의 스핀들에 연결된 툴홀더(100)가 회전함에 따라 가공툴(300)이 회전되어 소재에 대한 가공을 수행할 수 있다.
절삭날(310)은 가공툴(300)의 끝단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삭날은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공툴(300)이 회전하게 될 경우 절삭날(310)을 통해 소재의 절삭을 수행할 수 있다.
삽입홈(320)은 가공툴(300)의 외측면에서 툴홀더(100)와 인접한 단부에 형성되고, 툴홀더(100) 내측면의 돌출부(123)와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공툴(300)이 제2 중공부(121)로 삽입될 경우 돌출부(123)가 삽입홈(320)에 삽입되어, 가공툴(300)이 툴홀더(100)에 결합될 수 있다.
냉각유로(330)는 가공툴(300)의 내부에서 축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될 수 있다. 이때, 냉각유로(330)는 툴홀더(100)와 인접한 일단부는 개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입부(230)가 툴홀더(100)의 제1 중공부(111) 및 제2 중공부(121)를 관통하여 냉각유로(330)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부(230)의 끝단은 냉각유로(330)의 끝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유로(340)는 냉각유로(330)의 내측면 및 주입부(230)의 사이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입부(230)의 직경은 냉각유로(33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이러한 직경의 차이로 인해 주입부(230)가 냉각유로(330)에 삽입되었을 경우 주입부(230)의 외측면 및 냉각유로(330)의 내측면 사이에 미세유로(340)가 형성될 수 있다.
극저온냉매는 파이프(200)의 전달유로(240)를 통해 이동하고, 전달유로(240)의 끝단에 형성된 방출구(241)를 통해 냉각유로(330)로 방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극저온냉매는 가공툴(300) 끝단을 냉각할 수 있으며, 극저온냉매는 냉각유로(330)의 끝단을 지나 미세유로(340)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극저온냉매는 냉각유로(330)의 끝단으로부터 미세유로(340)를 통해 유동되면서 가공툴(300)의 내부를 순환하므로 가공툴(300)의 냉각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파이프(200)의 주입부(230) 끝단에는 경사면(23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사면(231)에 의해 방출구(241)에서 방출되는 극저온냉매의 흐름이 방해받지 않아 원활하게 미세유로(340)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경사면(231)에 의해 주입부(230) 끝단 및 냉각유로(330) 끝단 사이의 공간이 넓어지며, 극저온냉매는 이 공간으로 배출된 후 더 좁은 공간인 미세유로(340)로 흐르게 되면서 유속이 상승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주입부(230)는 방출구(241)에서 배출구(350) 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미세유로(340)는 방출구(241) 측으로 부터 배출구(350) 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므로, 방출구(241)에서 배출구(350)로 흐르는 극저온냉매의 유속이 상승할 수 있다.
한편, 배출구(350)는 가공툴(300)의 일측에 형성되어 냉각유로(33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출구(350)는 절삭날(310)과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개가 가공툴(30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극저온냉매는 미세유로(340)를 따라 유동되어 배출구(3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배출구(350)는 절삭날(310)과 소정거리 이격됨에 따라, 극저온냉매가 절삭날(310) 부위를 모두 냉각할 수 있도록 하고, 극저온냉매를 가공할 소재로부터 멀어지도록 유도한 후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소재가 극저온냉매에 의해 냉각되어 강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극저온 간접냉각방식 툴킷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극저온 간접냉각방식 툴킷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에 도시된 극저온 간접냉각방식 툴킷의 측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저온 간접냉각방식 툴킷(1)의 변형예는 툴홀더(100), 파이프(200) 및 가공툴(3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파이프(200) 및 가공툴(300)의 구성은 일 실시예의 구성과 유사하므로 차이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툴홀더(100)는 제1 몸체(110), 제2 몸체(120) 및 결합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몸체(110)는 테이퍼진 원통 형상으로 내부에 제1 중공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몸체(110)의 일단부에는 제2 몸체(120)가 연결될 수 있다.
제1 몸체(110)의 내측면에는 제1 중공부(111)의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된 제1 단턱(11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단턱(112)에는 파이프(200)의 플랜지부(220)가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제1 몸체(110)의 타단부와 인접한 내측면에는 나사산(113)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몸체(110)의 타단부에는 결합부재(140)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제2 몸체(120)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으로 일단부가 제1 몸체(110)에 연결되고, 내부에 제2 중공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중공부(121)에는 가공툴(300)이 삽입되어 제2 몸체(12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몸체(120)는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형태일 수 있다. 즉, 제2 몸체(120)는 제1 몸체(110)로부터 멀어질수록 직경이 작아질 수 있다.
제2 몸체(120)의 내측면에는 제2 중공부(121)의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된 제2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단턱(122)은 가공툴(300)의 일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몸체(120)의 내측면에는 제2 중공부(121)의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123)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123)는 제2 몸체(120)의 끝단과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23)는 제2 중공부(121)에 삽입된 가공툴(300)에 고정되어, 가공툴(300) 및 제2 몸체(120)를 결합시킬 수 있다.
결합부재(140)는 제1 중공부(111)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축방향으로 관통부(141)가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나사산(113)과 대응되는 대응나사산(143)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부재(140)는 제1 몸체(110)의 타단부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한편, 결합부재(140)의 관통부(141) 내측으로 파이프몸체(210)가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이프(200)는 제1 중공부(111) 및 제2 중공부(121)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툴홀더(100)에 연결될 수 있고, 이후 결합부재(140)를 툴홀더(100) 내측으로 삽입시킴에 따라 관통부(141) 내측으로 파이프몸체(210)가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극저온냉매는 관통부(141)를 통해 파이프몸체(210) 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파이프(200)의 전달유로(240)를 통과한 극저온냉매는 냉각유로(330)로 배출되어 가공툴(300) 끝단을 냉각할 수 있으며, 극저온냉매는 냉각유로(330)의 끝단을 지나 미세유로(340)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극저온냉매는 냉각유로(330)의 끝단으로부터 미세유로(340)를 통해 유동되면서 가공툴(300)의 내부를 순환하므로 가공툴(300)의 냉각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극저온냉매는 미세유로(340)를 따라 유동되어 배출구(3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배출구(350)는 절삭날(310)과 소정거리 이격됨에 따라, 극저온냉매가 절삭날(310) 부위를 모두 냉각할 수 있도록 하고, 극저온냉매를 가공할 소재로부터 멀어지도록 유도한 후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소재가 극저온냉매에 의해 냉각되어 강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극저온 간접냉각방식 툴킷
100: 공구홀더 110: 제1 몸체
111: 제1 중공부 112: 제1 단턱
113: 나사산 120: 제2 몸체
121: 제2 중공부 122: 제2 단턱
123: 돌출부 130: 실링부재
140: 결합부재 141: 관통부
143: 대응나사산
200: 파이프 210: 파이프몸체
220: 플랜지부 230: 주입부
231: 경사면 240: 전달유로
241: 방출구
300: 가공툴 310: 절삭날
320: 삽입홈 330: 냉각유로
340: 미세유로 350: 배출구

Claims (10)

  1. 중공부가 형성되는 툴홀더;
    상기 툴홀더의 일측에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유체가 이동되는 통로인 냉각유로가 형성되는 가공툴; 및
    상기 중공부와 상기 냉각유로가 연통되고 상기 중공부 및 상기 냉각유로 내부에 삽입되어, 외부에서 공급받은 상기 유체를 상기 냉각유로로 제공하는 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냉각유로 내부에 상기 파이프가 삽입되어 형성되는 미세유로를 통해 상기 유체가 유동되고,
    상기 파이프의 단부에는 상기 파이프 내부에서 이동되는 상기 유체가 상기 파이프 외부인 상기 미세유로로 방출되도록 방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가공툴의 일측에는 상기 유체가 상기 미세유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툴홀더는,
    공작기계에 결합되고 내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단턱을 포함하는 제1몸체;
    상기 제1 몸체에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가공툴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제2 몸체; 및
    상기 제2몸체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가공툴에 지지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는,
    상기 제1 몸체 내부에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외부에서 유체를 공급받는 파이프몸체;
    상기 파이프몸체의 단부에 상기 단턱에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플랜지부; 및
    상기 플랜지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냉각유로에 삽입되어 상기 냉각유로로 상기 유체를 방출하는 주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입부의 단부에는 상기 방출구에서 방출되는 상기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유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의 단면적은 상기 방출구 측에서 상기 배출구 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미세유로는 상기 방출구 측으로부터 상기 배출구 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며,
    상기 유체는 극저온냉매인 극저온 간접냉각방식 툴킷.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유로의 단면적은 상기 파이프의 단면적보다 크고, 상기 단면적의 차이로 인해서 상기 미세유로가 형성되는 극저온 간접냉각방식 툴킷.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툴의 단부측에는 절삭날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의 형성 위치는 상기 절삭날과 이격 배치되는 극저온 간접냉각방식 툴킷.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는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공툴에 고정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공툴은 외측면에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극저온 간접냉각방식 툴킷.
  9. 삭제
  10. 삭제
KR1020210074555A 2021-06-09 2021-06-09 극저온 간접냉각방식 툴킷 KR102568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4555A KR102568053B1 (ko) 2021-06-09 2021-06-09 극저온 간접냉각방식 툴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4555A KR102568053B1 (ko) 2021-06-09 2021-06-09 극저온 간접냉각방식 툴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5923A KR20220165923A (ko) 2022-12-16
KR102568053B1 true KR102568053B1 (ko) 2023-08-18

Family

ID=84535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4555A KR102568053B1 (ko) 2021-06-09 2021-06-09 극저온 간접냉각방식 툴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805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14186A (ja) * 2008-03-07 2009-09-24 Tsune Seiki Co Ltd 電着工具の強制冷却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28308B (zh) * 2014-01-31 2020-12-15 5Me埃普有限责任公司 具有内部冷却腔的旋转切削工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14186A (ja) * 2008-03-07 2009-09-24 Tsune Seiki Co Ltd 電着工具の強制冷却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5923A (ko) 2022-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5218B1 (ko) 파이프 단부의 마감가공용 공구
US10005138B2 (en) Vacuum drilling system and methods
US20150063926A1 (en) Indexable cutting insert with coolant delivery
US6602031B2 (en) Machining method and mist supplying apparatus
KR20160117523A (ko) 내부 냉각 캐비티를 갖춘 회전 절삭 공구
US20180272442A1 (en) Modular rotary tool and modular tool system
US20230256526A1 (en) Tooling for machining systems utilizing supercritical fluids
US20150050097A1 (en) Tool Arrangement and Tool Receptacle for Such a Tool Arrangement
KR20020096894A (ko) 공구 인서트를 갖는 공구
US9931723B2 (en) Method of operating a cutting system, and collar assembly and collar member therefor
EP2412463B1 (en) Pull stud bolt and computer numerical control machine
US20030052462A1 (en) Collet
KR102568053B1 (ko) 극저온 간접냉각방식 툴킷
EP3703904B1 (en) Machine cutting tool and cooling method
US10786853B2 (en) Cooling system for rotating cutting tools
TWI321074B (en) Tool holder
KR20170135513A (ko) 내부 경로를 통한 절삭유 공급 구조의 공작 공구
KR102620887B1 (ko) 간접분사 및 mql 분사용 인서트 절삭 공구 및 이를 포함하는 가공 장치
KR102538240B1 (ko) 내부분사용 절삭 공구 및 이를 포함하는 가공 장치
KR102538937B1 (ko) 간접분사용 절삭 공구 및 이를 포함하는 가공 장치
KR102477395B1 (ko) 극저온용 절삭 툴킷
KR102614077B1 (ko) 간접분사 및 mql 분사용 절삭 공구 및 이를 포함하는 가공 장치
KR20230028892A (ko) 툴링 키트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가공 장치
TWI650198B (zh) 低溫切削刀把
KR101946199B1 (ko) 내부 경로를 통한 절삭유 공급 구조의 공작 공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