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8002B1 - Multi-functional automatic cook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Multi-functional automatic cook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8002B1
KR102568002B1 KR1020230049853A KR20230049853A KR102568002B1 KR 102568002 B1 KR102568002 B1 KR 102568002B1 KR 1020230049853 A KR1020230049853 A KR 1020230049853A KR 20230049853 A KR20230049853 A KR 20230049853A KR 102568002 B1 KR102568002 B1 KR 102568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unit
water
menu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98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설로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밥묵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밥묵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밥묵자
Priority to KR1020230049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800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8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80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2Time-controlled igniting mechanisms or alarm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05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upper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A47J43/082Driving mechanism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upper sid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투입된 재료를 조리하기 위한 용기부(100)와, 용기부(100)로 물을 자동 공급하고 열을 인가함으로써 재료를 음식으로 조리하는 자동조리부(200)를 포함하는 다기능 자동조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조리부(200)는, 바닥에 지지하는 것으로서 조리를 위한 용기부(100)가 안착되는 테이블몸체(210)와; 테이블몸체(210)의 후방측에서 상부측으로 연장된 지지몸체(220)와; 지지몸체(220)에 지지되어 상기 테이블몸체(210)의 상부측에 위치되는 헤드몸체(230)와; 헤드몸체(230)에 내장되어 상기 용기부(100)로 조리를 위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240)와; 테이블몸체(210)에 탑재되는 제1,2인덕션(250)(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multifunctional automatic cooking apparatus including a container unit 100 for cooking input ingredients, and an automatic cooking unit 200 for automatically supplying water to the container unit 100 and applying heat to cook the ingredients into food. As for, the automatic cooking unit 200 is supported on the floor and includes a table body 210 on which the container unit 100 for cooking is seated; a support body 220 extending from the rear side of the table body 210 to the upper side; a head body 230 supported by the support body 220 and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table body 210; a water supply unit 240 installed in the head body 230 to supply water for cooking to the container unit 10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first and second induction (250) (250 ') mounted on the table body (210).

Description

다기능 자동조리 장치{Multi-functional automatic cooking apparatus}Multi-functional automatic cooking apparatus {Multi-functional automatic coo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음식을 자동으로 조리하기 위한 자동조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종류의 음식 메뉴를 선택하고 선택된 메뉴를 자동으로 조리할 수 있는, 다기능 자동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cooking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oking fo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functional automatic cooking apparatus capable of selecting various types of food menus and automatically cooking the selected menu.

일반적으로 중소형 호텔과 같은 숙박 시설, 스크린 골프장과 같은 운동시설등에서서는 이용자에게 충분한 음식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식당을 운영하기 위하여 충분한 음식 실력을 갖춘 쉐프 및 쉐프를 보조하기 위한 다수의 인원을 고용하여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이들을 고용하기 위하여 많은 비용이 지출되기 때문이다. In general, lodging facilities such as small and medium-sized hotels and sports facilities such as screen golf courses often fail to provide sufficient food services to users. This is because a chef with sufficient food skills and a large number of people to assist the chef must be hired to operate the restaurant, but in reality, a lot of money is spent to hire them.

이에 따라, 이용자는 식사를 위하여 주위의 식당을 이용하여야 함에 따라 불편함이 있었고, 이는 이용자가 숙박시설이나 운동시설을 기피하는 원인이 되어 이용자를 유치하는데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더 나아가 음식 판매를 하지 못함에 따라 추가 수입을 포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Accordingly, users had to use nearby restaurants for meals, which caused inconvenience, which caused users to avoid lodging facilities or sports facilities, which had a negative effect on attracting users. Furthermore, there was a problem that additional income had to be given up according to the inability to sell foo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고임금의 쉐프를 고용하지 않고도 이용자에게 다양한 음식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숙박 이용자의 유치를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음식판매에 따라 추가 수입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자동조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various foods to users without hiring a high-wage chef, thereby facilitating the attraction of lodging users and at the same time additional income from food sale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automatic cooking device that can secure a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용자의 취향을 반영하여 다양한 음식을 제공할 수 있어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다기능 자동조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automatic cooking device capable of providing a variety of foods by reflecting the user's taste, thereby increasing satisfac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자동조리 장치는, 투입된 재료를 조리하기 위한 용기부(100)와, 상기 용기부(100)로 물을 자동 공급하고 열을 인가함으로써 재료를 음식으로 조리하는 자동조리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조리부(200)는, 바닥에 지지하는 것으로서 조리를 위한 상기 용기부(100)가 안착되는 테이블몸체(210); 상기 테이블몸체(210)의 후방측에서 상부측으로 연장된 지지몸체(220); 상기 지지몸체(220)에 지지되어 상기 테이블몸체(210)의 상부측에 위치되는 헤드몸체(230); 상기 헤드몸체(230)에 내장되어 상기 용기부(100)로 조리를 위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240); 및 상기 테이블몸체(210)에 탑재되는 제1,2인덕션(250)(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ultifunctional automatic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iner unit 100 for cooking input ingredients, and water is automatically supplied to the container unit 100 and heat is applied to cook the ingredients. It includes an automatic cooking unit 200 for cooking food, and the automatic cooking unit 200 is supported on the floor and includes a table body 210 on which the container unit 100 for cooking is seated; a support body 220 extending from the rear side of the table body 210 to the upper side; a head body 230 supported by the support body 220 and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table body 210; a water supply unit 240 installed in the head body 230 to supply water for cooking to the container unit 100; and the first and second induction coils 250 and 250' mounted on the table body 210.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부(240)는, 상기 헤드몸체(230)에 내장되는 것으로 급수관(P)을 통하여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는 저수통(241)과, 상기 저수통(241)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여 저장하는 온수통(242)과, 상기 저수통(241)과 연결된 제1라인(L1) 및 온수통(242)과 연결된 제2라인(L2)이 연결되는 분배관(243)과, 상기 헤드몸체(230)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상기 분배관(243)으로 공급된 물을 상기 테이블몸체(210)에 안착된 용기부(100)로 배출하는 제1,2물배출관(244)(244')을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supply unit 240 is built into the head body 230 and includes a water reservoir 241 in which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P is stored and supplied from the water reservoir 241. A hot water tank 242 for heating and storing water to be stored, a distribution pipe 243 to which a first line L1 connected to the reservoir 241 and a second line L2 connected to the hot water tank 242 are connected And, first and second water discharge pipes 244 supported by the head body 230 and discharging water supplied to the distribution pipe 243 to the container part 100 seated on the table body 210 ( 244').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부(240)는, 상기 온수통(242)과 분배관(243)을 연결하는 상기 제1라인(L1)에 설치되어 상기 분배관(243)으로 공급되는 가열된 물의 양을 제어하는 제1솔레노이드밸브(245)와, 상기 저수통(241)과 분배관(243)을 연결되는 상기 제2라인(L2)에 설치되어 상기 분배관(243)으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제어하는 제2솔레노이드밸브(246)와, 상기 분배관(243)의 출구에 설치되어 상기 제1물배출관(244)으로 연결되는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3솔레노이드밸브(247)와, 상기 분배관(243)의 출구에 설치되어 상기 제2물배출관(244')으로 연결되는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4솔레노이드밸브(248)를 더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supply unit 240 is installed in the first line L1 connecting the hot water tank 242 and the distribution pipe 243 to supply the heated water supplied to the distribution pipe 243. The first solenoid valve 245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distribution pipe 243 is installed in the second line L2 connecting the water reservoir 241 and the distribution pipe 243. A second solenoid valve 246 for controlling, a third solenoid valve 247 installed at the outlet of the distribution pipe 243 and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passage connected to the first water discharge pipe 244, A fourth solenoid valve 248 installed at the outlet of the pipe 243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a passage connected to the second water discharge pipe 244' is further includ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헤드몸체(230)의 전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조리 가능한 메뉴정보를 제공하고, 특정 메뉴를 선택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260)을 포함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head body 230 and includes a touch screen 260 that provides menu information for cooking and allows selection of a specific menu.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260)은, 초기 홈화면(261)에 조리 가능한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다수의 메뉴버튼(261a)(261b)(261c)이 표시되고, 특정 메뉴버튼을 터치하였을 때 해당 메뉴에 관련된 정보가 설명되는 메뉴정보 영역(262), 상기 해당 메뉴의 선택을 확정하기 위한 메뉴확정버튼(263) 및 상기 홈화면(261)으로 회기할 수 있는 홈 회기버튼(264)이 표시되고, 상기 메뉴확정버튼(263)을 터치하였을 때 선택된 메뉴의 맵기를 가변하는 맵기 가변버튼(265), 선택된 메뉴를 조리하기 위한 물량을 가변하기 위한 물량 가변버튼(266), 선택된 메뉴를 조리하기 위한 시간을 가변하는 조리시간 가변버튼(267)이 표시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screen 260 displays a plurality of menu buttons 261a, 261b, and 261c for selecting cookable menus on the initial home screen 261, and when a specific menu button is touched menu information area 262 in which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menu is described, a menu confirmation button 263 for confirming the selection of the corresponding menu, and a home return button 264 for returning to the home screen 261 When the menu selection button 263 is touched, a spiciness variable button 265 for varying the spiciness of the selected menu, a quantity variable button 266 for varying the quantity of cooking the selected menu, and cooking the selected menu A cooking time variable button 267 for varying the cooking time is display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260)에 연동되어 상기 물공급부(240) 및 제1,2인덕션(250)(250')을 제어하는 제어부(27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270)는, 상기 홈화면(261)으로 표시되는 다양한 메뉴관련 정보가 저장되는 메뉴정보 저장부(271)와, 각각의 메뉴에 관련되어서 필요로 하는 물량에 관련된 정보가 저장된 공급물량 저장부(272)와, 상기 공급물량 저장부(272)에 연동되어 상기 물공급부(240)가 상기 용기부(100)로 조리에 필요한 양의 물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물공급부 제어부(273)와, 선택된 메뉴에 관련되어서 상기 용기부(100)가 안착된 특정 인덕션이 용기부(100)를 가열하기 위한 조리온도 정보가 저장된 조리온도 저장부(274)와, 선택된 메뉴에 관련되어서 특정 인덕션이 용기부(100)를 조리하기 위한 조리시간 정보가 저장된 조리시간 저장부(275)와, 상기 조리온도 저장부(274) 및 조리시간 저장부(275)에 연동되어 특정 인덕션의 동작을 제어하고 조리시간이 경과하여 조리가 완료되면 특정 인덕션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인덕션 제어부(276)와, 상기 조리하는 특정 인덕션의 동작이 완료되면 조리가 완료되었다라는 알람 신호를 발생하는 알람발생부(277)를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270 is interlocked with the touch screen 260 to control the water supply unit 240 and the first and second induction units 250 and 250', but the control unit 270 The menu information storage unit 271, which stores various menu-related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home screen 261, and the supply quantity storage unit 272, which stores information related to the quantity required in relation to each menu, In relation to the water supply unit controller 273, which is interlocked with the supply amount storage unit 272 and controls the water supply unit 240 to supply an amount of water necessary for cooking to the container unit 100, and the selected menu The cooking temperature storage unit 274 in which the cooking temperature information for heating the container unit 100 is stored by the specific induction cooker 100 on which the container unit 100 is seated, and the specific induction cooker cooks the container unit 100 in relation to the selected menu. The cooking time storage unit 275, which stores cooking time information for cooking, and the cooking temperature storage unit 274 and the cooking time storage unit 275 control the operation of a specific induction, and cooking is completed when the cooking time elapses. and an induction control unit 276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a specific induction and an alarm generating unit 277 for generating an alarm signal indicating that cooking is complete when the operation of the specific induction for cooking is complet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헤드몸체(230)에 지지되어 상기 용기부(100)에 수용된 재료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부(290)를 더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stirring unit 290 for stirring the material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unit 100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head body 230 is further includ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290)는, 상기 헤드몸체(230)에 내장되는 기어드모터(291)와, 상기 기어드모터(291)의 회전축에 축결합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자석(M)이 내장된 제1컨넥터(292)와, 상기 제1컨넥터(29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컨넥터(293)와, 상기 제2컨넥터(293)에 축결합되어 상기 용기부(100) 내측으로 연장되는 교반축(294)과, 상기 교반축(294)의 하부에 연결되어 용기내(100) 재료를 교반하는 교반날개(295)를 포함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irring unit 290 is shaft-coupled to the geared motor 291 built in the head body 230 and the rotating shaft of the geared motor 291, and has a built-in magnet M therein. first connector 292, a second connector 293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292, and axially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or 293 to extend into the container part 100. It includes a stirring shaft 294 and a stirring blade 295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stirring shaft 294 to stir the material in the container 100.

본 발명에 따르면, 테이블몸체(210)에 지지몸체(220)에 지지되는 헤드몸체(230)와, 헤드몸체(230)에 내장되어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240)와, 테이블몸체(210)에 탑재되는 제1,2인덕션(250)(250')를 포함함으로써, 재료가 투입된 용기부(100)에 물을 자동으로 공급하고 가열함으로써 다양하면서 신속한 조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어 숙박 이용자에게 다양한 음식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숙박 시설의 입장에서 숙박 이용자를 추가로 유지할 수 있는 음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숙박 이용자의 유치는 물론 음식 판매에 따라 추가 수입 확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d body 230 supported by the support body 220 in the table body 210, the water supply unit 240 built in the head body 230 to supply water, and the table body 210 By including the first and second induction stoves 250 and 250' mounted on, by automatically supplying and heating water to the container unit 100 into which the ingredients are put, various and rapid cooking can be made possible, providing various can provide food. Accordingly, from the perspective of accommodation facilities, it is possible to provide food services that can retain additional accommodation users, enabling the securing of additional income through food sales as well as attracting accommodation users.

또한 다양한 메뉴선택은 물론 맵기, 물량, 조리 시간을 자신의 취향에 맞추어 선택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260)을 채용함으로써, 이용자의 취향을 반영한 다양한 음식을 제공할 수 있어 음식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by adopting a touch screen 260 that allows users to select not only various menu selections but also spiciness, quantity, and cooking time according to their tast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ariety of foods that reflect the user's taste, increasing satisfaction with food. .

그리고 교반부(290)를 채용함으로써, 조리 과정에서 교반을 자동으로 수행함으로써 관리자는 조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많은 종류의 조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employing the agitator 290, by automatically performing agitation in the cooking process, the manager can facilitate cooking and many types of cook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자동조리 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다기능 자동조리 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다기능 자동조리 장치의 배면도로서, 헤드몸체에 내장되는 물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3의 물공급부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5 및 도 6은 도 1의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화면을 예시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1의 다기능 자동조리 장치를 구성하는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8은 도 1의 다기능 자동조리 장치가 교반부를 포함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9의 교반부를 발췌하여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도 8의 X-X 선을 따른 단면도.
1 is a front view of a multifunctional automatic coo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of the multifunctional automatic cooking device of FIG. 1;
3 is a rear view of the multifunctional automatic cooking device of FIG. 1, illustrating a water supply unit built into the head body;
Figure 4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water supply unit of Figure 3;
5 and 6 are views for explaining a screen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of FIG. 1 as an example;
7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control unit constituting the multifunctional automatic cooking apparatus of FIG. 1;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multifunctional automatic cooking apparatus of FIG. 1 includes a stirrer;
Figure 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by extracting the stirring unit of Figure 9;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X of FIG. 8;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자동조리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multifunctional automatic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에서, "상부" 나 "상"이라고 기재된 것은 접촉하여 바로 위에 있는 것뿐만 아니라 비접촉으로 위에 있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 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Hereinafter, what is described as "above" or "above" may include not only what is directly on top of contact but also what is on top of non-contact.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addition, when a certain component is said to "include",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addition, terms such as "...unit" and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자동조리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다기능 자동조리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다기능 자동조리 장치의 배면도로서, 헤드몸체에 내장되는 물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물공급부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1 is a front view of a multifunctional automatic coo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of the multifunctional automatic cooking device of FIG. 1 , and FIG. 3 is a rear view of the multifunctional automatic cooking device of FIG. 1 . It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supply unit, and FIG. 4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water supply unit of FIG. 3 .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자동조리 장치는, 투입된 재료를 조리하기 위한 용기부(100)와, 용기부(100)로 물을 자동 공급하고 열을 인가함으로써 재료를 음식으로 조리하는 자동조리부(200)를 포함한다. As shown, the multifunctional automatic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iner unit 100 for cooking input ingredients, and automatically supplies water to the container unit 100 and applies heat to automatically cook the ingredients into food. It includes a cooking unit 200.

용기부(100)에는 비조리 상태의 재료가 투입되며, 후술할 제1,2인덕션(250)(250')에 안착된 상태에서 물공급부(240)를 통하여 조리에 필요한 물이 공급된다. 이러한 용기부(100)는 인덕션에 의하여 발생된 유도자기장에 의하여 발열할 수 있는 재질로 구현된다. Ingredients in an uncooked state are put into the container unit 100, and water necessary for cooking is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240 while being seated in the first and second induction cookers 250 and 250' to be described later. The container unit 100 is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generating heat by an induced magnetic field generated by induction.

자동조리부(200)는 용기부(100)로 물을 공급하고 발열시켜 투입된 재료를 자동으로 조리하도록 한다. 자동조리부(200)는, 바닥에 지지하는 것으로서 조리를 위한 용기부(100)가 안착되는 테이블몸체(210)와; 테이블몸체(210)의 후방측에서 상부측으로 연장된 지지몸체(220)와; 지지몸체(220)에 지지되어 테이블몸체(210)의 상부측에 위치되는 헤드몸체(230)와; 헤드몸체(230)에 내장되어 용기부(100)로 조리를 위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240)와; 테이블몸체(210)에 탑재되는 제1,2인덕션(250)(250')과; 헤드몸체(230)의 전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조리 가능한 메뉴정보를 제공하고, 특정 메뉴를 선택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260)과; 터치스크린(260)에 연동되어 물공급부(240) 및 제1,2인덕션(250)(250')을 제어하는 제어부(270)와; 제1,2인덕션(250)(250')에 대응되는 지지몸체(220)에 설치되어 특정 인덕션에 안착되는 용기부(100)를 감지하여 대응되는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제1,2감지부(280)(280')를 포함한다. The automatic cooking unit 200 automatically cooks the input ingredients by supplying water to the container unit 100 and generating heat. The automatic cooking unit 200 includes a table body 210 supported on the floor and on which the container unit 100 for cooking is seated; a support body 220 extending from the rear side of the table body 210 to the upper side; a head body 230 supported by the support body 220 and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table body 210; a water supply unit 240 installed in the head body 230 and supplying water for cooking to the container unit 100; first and second induction coils 250 and 250' mounted on the table body 210; a touch screen 260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head body 230 to provide menu information for cooking and to select a specific menu; a control unit 270 that is interlocked with the touch screen 260 to control the water supply unit 240 and the first and second induction units 250 and 250'; First and second sensing units (installed on the support body 220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induction units 250 and 250' to detect the container unit 100 seated on a specific induction unit and generate a corresponding detection signal) ( 280) (280').

테이블몸체(210), 지지몸체(220) 및 헤드몸체(230)는 철판을 절곡 및 용접함으로써 구현되고, 이중 테이블몸체(210)는 조리 과정에서 흘러넘치는 재료에 의하여 부식되지 않도록 스테인레스 재질로 된다. The table body 210, the support body 220, and the head body 230 are implemented by bending and welding iron plates, and the double table body 210 is made of stainless material so as not to be corroded by overflowing materials during the cooking process.

헤드몸체(230)는 테이블몸체(210)의 상부측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전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260)을 비스듬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경사면(231)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용기부(100)에서 조리 과정에서 증발하는 뜨거운 증기가 헤드몸체(230) 하단에서 상부측으로 향하므로 터치스크린(260)이 증기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정밀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터치스크린(260)이 증기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터치스크린(260)이 비스듬하게 배치됨으로써, 이용자가 터치스크린(260)에 표시되는 내용을 선명하게 확인함과 동시에, 조작을 위한 정확한 터치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The head body 230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table body 210, and as shown in FIG. 2, an inclined surface 231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so that the touch screen 260 can be disposed obliquely. Accordingly, since the hot steam evaporated during the cooking process in the container part 100 is directed from the bottom of the head body 230 to the top,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ouch screen 260 from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steam.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ouch screen 260 formed from being damaged by steam. Furthermore, since the touch screen 260 is disposed obliquely, the user can clearly check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260 and at the same time enable accurate touch for manipulation.

터치스크린(260)의 하부측의 헤드몸체(230)의 전단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단턱(232)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턱(232)은 조리과정에서 용기부(100)로부터 증발되는 증기가 터치스크린(260)의 표면으로 이동하는 것을 더욱 방지함으로써, 증기 또는 증기열에 의하여 터치스크린(260)이 손상되는 것을 더더욱 방지할 수 있다. At the front end of the head body 230 at the lower side of the touch screen 260, as shown in FIG. 2, a step 232 protruding from the surface is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step 232 further prevents the steam evaporated from the storage unit 100 from moving to the surface of the touch screen 260 during the cooking process, thereby further preventing the touch screen 260 from being damaged by steam or steam heat. can

물공급부(240)는 용기부(100)로 조리를 위한 물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헤드몸체(230)에 내장되는 것으로 급수관(P)을 통하여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는 저수통(241)과, 저수통(241)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여 저장하는 온수통(242)과, 온수통(242)과 연결된 제1라인(L1) 및 저수통(241)과 연결된 제2라인(L2)이 연결되는 분배관(243)과, 헤드몸체(230)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분배관(243)으로 공급된 물을 테이블몸체(210)에 안착된 용기부(100)로 배출하는 제1,2물배출관(244)(244')과, 온수통(242)과 분배관(243)을 연결하는 제1라인(L1)에 설치되어 분배관(243)으로 공급되는 가열된 물의 양을 제어하는 제1솔레노이드밸브(245)와, 저수통(241)과 분배관(243)을 연결되는 제2라인(L2)에 설치되어 분배관(243)으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제어하는 제2솔레노이드밸브(246)와, 분배관(243)의 출구에 설치되어 제1물배출관(244)으로 연결되는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3솔레노이드밸브(247)와, 분배관(243)의 출구에 설치되어 제2물배출관(244')으로 연결되는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4솔레노이드밸브(248)를 포함한다. The water supply unit 240 supplies water for cooking to the container unit 100, and is built into the head body 230, and includes a water reservoir 241 in which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P is stored, and The hot water tank 242 for heating and stor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241, the first line L1 connected to the hot water tank 242 and the second line L2 connected to the reservoir 241 are connected First and second water discharge pipes 244 that are supported by the distribution pipe 243 and the head body 230 and discharge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distribution pipe 243 to the container unit 100 seated on the table body 210. ) 244', the first solenoid valve installed in the first line (L1) connecting the hot water tank 242 and the distribution pipe 243 to control the amount of heated water supplied to the distribution pipe 243 ( 245), a second solenoid valve 246 installed in the second line L2 connecting the water reservoir 241 and the distribution pipe 243 to control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distribution pipe 243, and A third solenoid valve 247 installed at the outlet of the pipe 243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passage connected to the first water discharge pipe 244, and a second water discharge pipe 244 installed at the outlet of the distribution pipe 243. ') and a fourth solenoid valve 248 that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flow path connected to.

저수통(241)은 헤드몸체(230)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어 조리를 위한 물을 저장한다. 저수통(241)은 주위에 수도관(미도시)이 있을 때 급수관(미도시)으로 직결되어 수돗물을 직접 공급받아 항상 채워진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주위에 수도관이 없을 때, 관리자는 저수통(241)을 헤드몸체(230)로부터 분리하여 물을 채운 후 헤드몸체(230)에 다시 탑재할 수 있다. The water reservoir 241 is installed inside the upper part of the head body 230 to store water for cooking. The water reservoir 241 is directly connected to a water supply pipe (not shown) when there is a water pipe (not shown) around it, receives tap water directly, and maintains a full state at all times. However, when there is no water pipe around, the manager can separate the water reservoir 241 from the head body 230, fill it with water, and then mount it on the head body 230 again.

온수통(242)은 단열제로 감싸여진 탱크 내부에 히터(242a)가 내장되어 구현된다. 온수통(242)에는 저수통(241)으로부터 공급된 물이 히터(242a)가 내장되며, 공급된 물을 항상 가열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따라, 조리시 온수통(242)으로부터 가열된 물을 이용할 경우 조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많은 종류의 조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The hot water tank 242 is implemented with a heater 242a built into the tank wrapped with a heat insulating material. In the hot water tank 242,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reservoir 241 is equipped with a heater 242a, and the supplied water is always maintained in a heated state. Accordingly, when using water heated from the hot water container 242 during cooking, the cooking time can be shortened and many types of cooking can be made possible.

분배관(243)은 제1,2물배출관(244)(244') 각각이 연결 및 지지되어, 저수통(241)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나 온수통(242)으로부터 공급되는 가열된 물을 제1,2물배출관(244)(244')으로 분배할 수 있도록 한다. The distribution pipe 243 is connected to and supported by the first and second water discharge pipes 244 and 244', so that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reservoir 241 or heated water supplied from the hot water container 242 is supplied to the first , so that it can be distributed to the 2 water discharge pipes 244 and 244'.

제1,2물배출관(244)(244')은 테이블몸체(210) 측으로 하방 연장되어 제1,2인덕션(250)(250')에 안착된 용기부(100)로 물을 공급한다. 이때 용기부(100)의 크기에 따라 제1,2물배출관 출구 위치를 가변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제1,2물배출관(244)(244')은 다양한 각도로 굽어질 수 있는 자바라관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and second water discharge pipes 244 and 244' extend downward toward the table body 210 to supply water to the container unit 100 seated on the first and second induction cookers 250 and 250'. 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first and second water discharge pipe outlets can be vari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ontainer part 100, and 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water discharge pipes 244 and 244' are bellows that can be bent at various angles. it is desirable

제1솔레노이드밸브(245)는 제어부(270)에 의하여 제어되어 온수통(242)에 저장된 가열된 물(온수)을 분배관(243)으로 자동으로 공급되게 하고, 제2솔레노이드밸브(246)는 제어부(270)에 의하여 제어되어 저수통(241)에 저장된 물(냉수)을 분배관(243)으로 자동으로 공급되게 하여, 분배관(243)과 연결된 제1물배출관(244) 및 제2물배출관(244')으로 온수 또는 냉수가 공급되게 할 수 있다. The first solenoid valve 245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270 to automatically supply heated water (hot water) stored in the hot water container 242 to the distribution pipe 243, and the second solenoid valve 246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270, the water (cold water) stored in the water reservoir 241 is automatically supplied to the distribution pipe 243, so that the first water discharge pipe 244 connected to the distribution pipe 243 and the second water Hot water or cold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discharge pipe 244'.

제3솔레노이드밸브(247)는 제어부(270)에 의하여 제어되어 분배관(243)으로 공급된 물(냉수 또는 온수)을 제1물배출관(244)이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고, 제4솔레노이드밸브(248)는 제어부(270)에 의하여 제어되어 분배관(243)으로 공급된 물(냉수 또는 온수)을 제2물배출관(244')이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제3,4솔레노이드밸브(247)(248)는, 제1물배출관(244) 또는 제2물배출관(244') 중 어느 하나만이 물을 배출되도록 하거나, 제1,2물배출관(244)(244') 모두가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특정 인덕션에 안착된 1 개의 용기부(100)로 조리를 하거나, 제1,2인덕션(250)(250') 모두에 안착된 2 개의 용기부에에서 동시에 조리를 할 수 있다. The third solenoid valve 247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270 to allow the first water discharge pipe 244 to selectively discharge the water (cold water or hot water) supplied to the distribution pipe 243, and the fourth solenoid The valve 248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270 to allow the second water discharge pipe 244' to selectively discharge water (cold water or hot water) supplied to the distribution pipe 243. That is, the third and fourth solenoid valves 247 and 248 allow only one of the first water discharge pipe 244 or the second water discharge pipe 244' to discharge water, or the first and second water discharge pipes 244 ) (244') can all be able to discharge water, and accordingly, cooking with one container unit 100 seated on a specific induction or in both the first and second induction (250) (250') It is possible to cook at the same time in two installed container parts.

제1,2인덕션(250)(250')은 안착되는 용기부(100)의 바닥으로 유도 자기장을 인가하여 용기부 바닥에서 와류전류를 발생시키고, 와루전류는 용기부 바닥을 조리할 수 있는 온도로 가열시킨다. 이러한 제1,2인덕션(250)(250')의 상부면은 조리 과정에서 손상되지 않도록 강화유리로 덮여져 있다. The first and second inductions 250 and 250' apply an induced magnetic field to the bottom of the container unit 100 to be seated to generate an eddy current at the bottom of the container unit, and the eddy current is a temperature at which the bottom of the container unit can be cooked. heated with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induction cookers 250 and 250' are covered with tempered glass so as not to be damaged during the cooking process.

도 5 및 도 6은 도 1의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화면을 예시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5 and 6 are views for explaining a screen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of FIG. 1 as an example.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260)은 이용자가 터치함에 따라 특정 음식을 선택할 수 있고, 음식에 관련된 이미지, 사진 및 텍스트등이 표시된다. 이러한 터치스크린(260)에 있어 초기 홈화면(261)에는, 조리 가능한 다양한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다수의 메뉴버튼(261a)(261b)(261c)이 표시되고, 특정 메뉴버튼을 터치하였을 때 해당 메뉴에 관련된 음식정보가 설명되는 메뉴정보 영역(262), 메뉴정보 영역(262)의 측부에 해당 메뉴의 선택을 확정하기 위한 메뉴확정버튼(263) 및 홈화면(261)으로 회귀할 수 있는 홈 회귀버튼(264)이 표시되고, 된다. As shown, the touch screen 260 allows a user to select a specific food according to a touch, and images, photos, texts, and the like related to the food are displayed. In such a touch screen 260, a plurality of menu buttons 261a, 261b, and 261c for selecting various menus that can be cooked are displayed on the initial home screen 261, and when a specific menu button is touched, the corresponding menu A menu information area 262 in which food information related to is described, a menu confirmation button 263 for confirming the selection of the corresponding menu on the side of the menu information area 262, and a home return that can return to the home screen 261 A button 264 is displayed and becomes.

메뉴확정버튼(263)을 터치하였을 때 선택된 메뉴의 맵기를 가변하는 맵기 가변버튼(265), 선택된 메뉴를 조리하기 위한 물량을 가변하기 위한 물량 가변버튼(266), 선택된 메뉴를 조리하기 위한 시간을 가변하는 조리시간 가변버튼(267)이 표시된다. When the menu selection button 263 is touched, the spiciness variable button 265 for varying the spiciness of the selected menu, the quantity variable button 266 for varying the amount of cooking the selected menu, and the time for cooking the selected menu A variable cooking time variable button 267 is displayed.

홈화면(261)에는 다양한 음식, 예를 들면 라면, 떡뽁기, 파스타, 김치덮밥등 다양한 음식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버튼(261a)(261b)(261c)이 표시되어. 이용자가 특정 메뉴버튼을 터치함으로써 음식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홈화면(261)의 측면에는 스크롤버튼(261d)이 표시되어, 스크롤버튼(261d)을 위 아래로 스크롤함에 따라 현재 보이지 않고 있던 다양한 메뉴버튼을 표시할 수 있다. On the home screen 261, menu buttons 261a, 261b, and 261c for selecting various foods such as ramen, rice cakes, pasta, and kimchi rice are displayed. The user may select food by touching a specific menu button. At this time, a scroll button 261d is displayed on the side of the home screen 261, and as the scroll button 261d is scrolled up and down, various menu buttons that are not currently visible can be displayed.

이러한 터치스크린(260)에 의하여, 이용자가 특정 메뉴버튼을 터치하면, 이용자에게 메뉴정보 영역(262)에 관련된 사진 및 텍스트 정보를 제공하고, 이용자가 메뉴확정버튼(263)을 터치하면 메뉴의 선택이 확정된다. 만약 메뉴가 마음에 들지 않으면, 홈 회귀버튼(264)을 터치함으로써 초기 홈화면(261)으로 회귀된다.With this touch screen 260, when the user touches a specific menu button, the user is provided with photo and text information related to the menu information area 262, and when the user touches the menu confirmation button 263, a menu is selected. this is confirmed If you do not like the menu, return to the initial home screen 261 by touching the home return button 264.

메뉴의 선택이 완료되면, 맵기 가변버튼(265), 물량 가변버튼(266) 및 조리시간 가변버튼(267)이 표시되고, 이용자는 이를 터치함으로써 선택된 메뉴에 자신이 원하는 레시피를 좀더 보완할 수 있다. When the selection of the menu is completed, the variable spiciness button 265, the variable amount button 266, and the variable cooking time button 267 are displayed, and the user can touch them to supplement the selected menu with the desired recipe. .

도 7은 도 1의 다기능 자동조리 장치를 구성하는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FIG.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unit constituting the multifunctional automatic cooking apparatus of FIG. 1 .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70)는, 터치스크린(260)에 연동되어 제1,2인덕션(250)(250'), 온수통(242)의 히터(242a), 제1,2,3,4솔레노이드밸브(245)(246)(247)(248)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270)는, 홈화면(261)으로 표시되는 다양한 메뉴관련 정보가 저장되는 메뉴정보 저장부(271)와, 각각의 메뉴에 관련되어서 필요로 하는 물량에 관련된 정보가 저장된 공급물량 저장부(272)와, 공급물량 저장부(272)에 연동되어 물공급부(240)가 용기부(100)로 조리에 필요한 양의 물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물공급부 제어부(273)와, 선택된 메뉴에 관련되어서 상기 용기부(100)가 안착된 특정 인덕션이 용기부(100)를 가열하기 위한 조리온도 정보가 저장된 조리온도 저장부(274)와, 선택된 메뉴에 관련되어서 특정 인덕션이 용기부(100)를 조리하기 위한 조리시간 정보가 저장된 조리시간 저장부(275)와, 조리온도 저장부(274) 및 조리시간 저장부(275)에 연동되어 특정 인덕션의 동작을 제어하고 조리시간이 경과하여 조리가 완료되면 특정 인덕션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인덕션 제어부(276)와. 조리하는 특정 인덕션의 동작이 완료되면 조리가 완료되었다라는 알람 신호를 발생하는 알람발생부(277)를 포함한다. As shown, the controller 270 is interlocked with the touch screen 260 to operate the first and second induction heaters 250 and 250', the heater 242a of the hot water tank 242, the first, second, third, 4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olenoid valves 245, 246, 247, and 248. The control unit 270 includes a menu information storage unit 271 in which various menu-related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home screen 261 is stored, and a supply quantity storage unit in which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quired quantity of goods related to each menu is stored. 272 and the water supply unit control unit 273 that controls the water supply unit 240 to supply an amount of water necessary for cooking to the container unit 100 in conjunction with the supply amount storage unit 272, and related to the selected menu Therefore, the specific induction in which the container unit 100 is seated is related to the cooking temperature storage unit 274 in which cooking temperature information for heating the container unit 100 is stored and the selected menu, so that the specific induction cooker unit 100 The cooking time storage unit 275 that stores cooking time information for cooking, the cooking temperature storage unit 274, and the cooking time storage unit 275 control the operation of a specific induction, and cooking is completed when the cooking time elapses. When the induction control unit 276 stops the operation of a specific induction and. An alarm generating unit 277 that generates an alarm signal indicating that cooking is complete when a specific induction operation for cooking is completed is included.

메뉴정보 저장부(271)는 홈화면(261)에 표시되는 각각의 메뉴관련 정보, 예를 들면 라면, 떡뽁기, 파스타, 김치덮밥등의 사진, 칼로리등의 정보가 저장된다.The menu information storage unit 271 stores information related to each menu displayed on the home screen 261, for example, photos of ramen, rice cakes, pasta, and kimchi rice bowls, and information such as calories.

공급물량 저장부(272)는 각각의 메뉴에 관련되어서 조리시 필요로 하는 물량에 관련된 정보가 저장된다. The supply amount storage unit 272 stores information related to the amount required for cooking in relation to each menu.

물공급부 제어부(273)는 공급물량 저장부(272)의 정보에 연동되어 용기부(100)로 조리에 필요한 양의 물이 공급되도록 물공급부(240)를 제어한다. The water supply unit control unit 273 controls the water supply unit 240 to supply an amount of water necessary for cooking to the container unit 100 in association with the information of the supply amount storage unit 272 .

조리온도 저장부(274)는 선택된 메뉴를 조리하기 위하여 용기부(100)를 가열하기 위한 조리온도 정보가 저장된다. The cooking temperature storage unit 274 stores cooking temperature information for heating the container unit 100 in order to cook the selected menu.

조리시간 저장부(275)는 각각에 메뉴에 관련되어서 용기부(100)를 조리하기 위한 조리시간 정보가 저장된다. The cooking time storage unit 275 stores cooking time information for cooking the container unit 100 in relation to each menu.

인덕션 제어부(276)는 조리온도 저장부(274) 및 조리시간 저장부(275)에 연동되어 특정 인덕션이 동작되도록 제어하고, 조리시간이 경과하여 조리가 완료되면 해당되는 특정 인덕션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The induction control unit 276 interlocks with the cooking temperature storage unit 274 and the cooking time storage unit 275 to control a specific induction to operate, and stops the operation of the corresponding specific induction when cooking is completed as the cooking time elapses. .

알람발생부(277)는 조리가 완료되었다는 것을 소리 형태로 발생하거나 LED를 발광함으로써 알릴 수 있다. The alarm generating unit 277 may notify that cooking is completed by generating a sound or emitting an LED.

도 8은 도 1의 다기능 자동조리 장치가 교반부를 포함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9의 교반부를 발췌하여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8의 X-X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multifunctional automatic cooking apparatus of FIG. 1 includes a stirrer, FIG. 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stirrer taken from the stirrer of FIG. 9, and FIG. it is a cross section

본 발명의 다기능 자동조리 장치는, 헤드몸체(230)에 지지되어 용기부(100)에 수용된 재료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부(29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교반부(290)는, 헤드몸체(230)에 내장되는 기어드모터(291)와, 기어드모터(291)의 회전축에 축결합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자석(M)이 내장된 제1컨넥터(292)와, 제1컨넥터(29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컨넥터(293)와, 제2컨넥터(293)에 축결합되어 용기부(100) 내측으로 연장되는 교반축(294)과, 교반축(294)의 하부에 연결되어 용기내 재료를 교반하는 교반날개(295)를 포함한다. The multifunctional automatic cook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tirring unit 290 supported by the head body 230 to stir ingredients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unit 100 . The agitating part 290 is coupled to the geared motor 291 built in the head body 230 and the rotating shaft of the geared motor 291, and includes a first connector 292 having a built-in magnet M therein. And, a second connector 293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292, an agitation shaft 294 that is shaft-coupled to the second connector 293 and extends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part 100, and an agitation shaft It includes stirring blades 295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294 to stir the material in the container.

제1컨넥터(292)는 자석(M)에 의하여 자력을 발생하며, 제2컨넥터(293)는 자력에 의하여 제2컨넥터(293)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이때 제1컨넥터(292)의 회전력이 제2컨넥터(293)로 정확히 전달될 수 있도록 제1컨넥터(292)와 제2컨넥터(293)는 상대적으로 비회전되게 결합되어야 하며, 이를 위하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컨넥터(292)의 외측면에는 제1요철(292a)이 형성되고, 제2컨넥터(293)의 내측면에는 제1요철(292a)에 치합되는 제2요철(293a)이 형성된다. The first connector 292 generates magnetic force by the magnet M, and the second connector 293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second connector 293 by the magnetic force. At this time, the first connector 292 and the second connector 293 should be coupled in a relatively non-rotating manner so tha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connector 292 can be accurately transmitted to the second connector 293. To this end, FIG. 10 , the first concavo-convex 292a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or 292, and the second concavo-convex 293a meshes with the first concavo-convex 292a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or 293. ) is formed.

교반축(294)은 제2컨넥터(293)에 고정되는 제1교반축(294a)과, 제1교반축(294a)에서 신축 가능하게 끼어질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제2교반축(294b)을 포함하며, 제2교반축(294b)에는 교반날개(295)가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제1교반축(294a)과 제2교반축(294b)은 상호 신축됨으로써 교반날개(295)와 제2컨넥터(293) 사이의 간격이 커지거나 작아진다. The agitation shaft 294 includes a first agitation shaft 294a fixed to the second connector 293 and a second agitation shaft 294b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so as to be elastically inserted into the first agitation shaft 294a. ), and the stirring blades 295 are fixed to the second stirring shaft 294b. With this structure, the first agitation shaft 294a and the second agitation shaft 294b mutually expand and contract, there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distance between the agitation blades 295 and the second connector 293.

제1교반축(294a)과 제2교반축(294b)은 회전력이 교반날개(295)로 정확히 전달되기 위하여 상호 비회전되게 결합되어야 하며, 이를 위하여, 제1교반축(294a)의 외측면과 제2교반축(294b)의 내측면에는 기설명된 제1,2컨넥터(292)(293)에서와 유사한 요철이 형성된다. The first stirring shaft 294a and the second stirring shaft 294b must be coupled non-rotating to each other in order to accurately transmit rotational force to the stirring blades 295. To this end,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stirring shaft 294a an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tirring shaft 294b, irregularities similar to those of the previously described first and second connectors 292 and 293 are formed.

이러한 교반부(290)에 의하여, 용기부(100)에 수용된 재료를 조리 과정에서 교반하고자 할 때, 교반날개(295)를 용기부(100)에 넣은 상태로 교반축(294)과 연결된 제2컨넥터(293)를 제1컨넥터(292)에 부착시키고, 이 상태에서 기어드모터(291)를 작동시키면 교반날개(295)는 회전하면서 재료를 교반한다. When the ingredients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part 100 are to be stirred in the cooking process by the stirring part 290, the stirring blades 295 are placed in the container part 100 and connected to the stirring shaft 294. When the connector 293 is attached to the first connector 292 and the geared motor 291 is operated in this state, the stirring blades 295 rotate and stir the material.

이때 용기부(100)의 높이가 커서 용기부(100) 입구와 제1컨넥터(292) 사이의 간격이 좁을 때, 제1교반축(294a)을 제2교반축(294b)에 진입시켜 교반날개(295)와 제2컨넥터(293) 사이를 좁히고, 이 상태에서 교반날개(295)를 용기부(100)에 넣고 제2컨넥터(293)를 제1컨넥터(292)에 부착시킨다. 이후, 부착이 완료되면, 교반날개(295)의 자중에 의하여 제2교반축(294b)은 제1교반축(294a)으로부터 하방으로 빠지면서 결국 교반날개(295)는 용기부(100) 바닥까지 내려와 재료를 교반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At this time, when the height of the container part 100 is larg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inlet of the container part 100 and the first connector 292 is narrow, the first stirring shaft 294a enters the second stirring shaft 294b to generate stirring blades. 295 and the second connector 293 are narrowed, and in this state, the stirring blades 295 are inserted into the container part 100 and the second connector 293 is attached to the first connector 292. Thereafter, when the attachment is completed, the second stirring shaft 294b falls downward from the first stirring shaft 294a due to the weight of the stirring blades 295, and eventually the stirring blades 295 come down to the bottom of the container part 100 It becomes a state in which the material can be stirr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테이블몸체(210)에 지지몸체(220)에 지지되는 헤드몸체(230)와, 헤드몸체(230)에 내장되어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240)와, 테이블몸체(210)에 탑재되는 제1,2인덕션(250)(250')를 포함함으로써, 재료가 투입된 용기부(100)에 물을 자동으로 공급하고 가열함으로써 다양하면서 신속한 조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어 숙박 이용자에게 다양한 음식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숙박 시설의 입장에서 숙박 이용자를 추가로 유지할 수 있는 음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숙박 이용자의 유치는 물론 음식 판매에 따라 추가 수입 확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d body 230 supported by the support body 220 in the table body 210, the water supply unit 240 built in the head body 230 to supply water, and the table body By including the first and second induction stoves 250 and 250' mounted on the 210, water is automatically supplied and heated to the container unit 100 into which the ingredients are put, thereby enabling various and quick cooking. A variety of food may be provided to the user. Accordingly, from the perspective of accommodation facilities, it is possible to provide food services that can retain additional accommodation users, enabling the securing of additional income through food sales as well as attracting accommodation users.

또한 다양한 메뉴선택은 물론 맵기, 물량, 조리 시간을 자신의 취향에 맞추어 선택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260)을 채용함으로써, 이용자의 취향을 반영한 다양한 음식을 제공할 수 있어 음식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by adopting a touch screen 260 that allows users to select not only various menu selections but also spiciness, quantity, and cooking time according to their tast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ariety of foods that reflect the user's taste, increasing satisfaction with food. .

그리고 교반부(290)를 채용함으로써, 조리 과정에서 교반을 자동으로 수행함으로써 관리자는 조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많은 종류의 조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employing the agitator 290, by automatically performing agitation in the cooking process, the manager can facilitate cooking and many types of cooking.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on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100 ... 용기부 200 ... 자동조리부
210 ... 테이블몸체 220 ... 지지몸체
230 ... 헤드몸체 231 ... 경사면
232 ... 단턱 240 ... 물공급부
241 ... 저수통 242 ... 온수통
242a ... 히터 243 ... 분배관
244, 244' ... 제1,2물배출관 245 ... 제1솔레노이드밸브
246 ... 제2솔레노이드밸브 247 ... 제3솔레노이드밸브
248 ... 제4솔레노이드밸브 250, 250' ... 제1,2인덕션
260 ... 터치스크린 261 ... 홈화면
261a, 261b, 261c ... 메뉴버튼 261d ... 스크롤버튼
262 ... 메뉴정보 영역 263 ... 메뉴확정버튼
264 ... 홈 회귀버튼 265 ... 맵기 가변버튼
266 ... 물량 가변버튼 267 ... 조리시간 가변버튼
270 ... 제어부 271 ... 메뉴정보 저장부
272 ... 공급물량 저장부 273 ... 물공급부 제어부
274 ... 조리온도 저장부 275 ... 조리시간 저장부
276 ... 인덕션 제어부 277 ... 알람발생부
280 ... 제1,2감지부 290 ... 교반부
291 ... 기어드모터 292 ... 제1컨넥터
292a ... 제1요철 293 ... 제2컨넥터
293a ... 제2요철 294 ... 교반축
294a ... 제1교반축 294b ... 제2교반축
295 ... 교반날개
100 ... container part 200 ... automatic cooking part
210 ... table body 220 ... support body
230 ... head body 231 ... slope
232 ... stepped 240 ... water supply unit
241 ... water reservoir 242 ... hot water reservoir
242a ... heater 243 ... distribution pipe
244, 244' ... 1st, 2nd water discharge pipe 245 ... 1st solenoid valve
246 ... 2nd solenoid valve 247 ... 3rd solenoid valve
248 ... 4th solenoid valve 250, 250' ... 1st, 2nd induction
260 ... touch screen 261 ... home screen
261a, 261b, 261c ... menu button 261d ... scroll button
262 ... menu information area 263 ... menu confirmation button
264 ... home return button 265 ... variable spiciness button
266 ... quantity variable button 267 ... cooking time variable button
270 ... control unit 271 ... menu information storage unit
272 ... supply quantity storage unit 273 ... water supply unit control unit
274 ... cooking temperature storage unit 275 ... cooking time storage unit
276 ... induction control unit 277 ... alarm generating unit
280 ... first and second detection units 290 ... stirring unit
291 ... geared motor 292 ... first connector
292a ... first unevenness 293 ... second connector
293a ... second unevenness 294 ... stirring shaft
294a ... first stirring shaft 294b ... second stirring shaft
295 ... Stirring Wings

Claims (8)

투입된 재료를 조리하기 위한 용기부(100)와, 상기 용기부(100)로 물을 자동 공급하고 열을 인가함으로써 재료를 음식으로 조리하는 자동조리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조리부(200)는,
바닥에 지지하는 것으로서 조리를 위한 상기 용기부(100)가 안착되는 테이블몸체(210);
상기 테이블몸체(210)의 후방측에서 상부측으로 연장된 지지몸체(220);
상기 지지몸체(220)에 지지되어 상기 테이블몸체(210)의 상부측에 위치되는 헤드몸체(230);
상기 헤드몸체(230)에 내장되어 상기 용기부(100)로 조리를 위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240);
상기 테이블몸체(210)에 탑재되는 제1,2인덕션(250)(250');
상기 헤드몸체(230)의 전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조리 가능한 메뉴정보를 제공하고, 특정 메뉴를 선택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260); 및
상기 헤드몸체(230)에 지지되어 상기 용기부(100)에 수용된 재료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부(290);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몸체(230)의 전면에는 상기 터치스크린(260)이 비스듬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경사면(23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교반부(290)는, 상기 헤드몸체(230)에 내장되는 기어드모터(291)와,, 상기 기어드모터(291)의 회전축에 축결합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자석(M)이 내장된 제1컨넥터(292)와, 상기 제1컨넥터(29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컨넥터(293)와, 상기 제2컨넥터(293)에 축결합되어 상기 용기부(100) 내측으로 연장되는 교반축(294)과, 상기 교반축(294)의 하부에 연결되어 용기내(100) 재료를 교반하는 교반날개(295)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컨넥터(292)와 상기 제2컨넥터(293)가 상대적으로 비회전되게 결합되도록 상기 제1컨넥터(292)의 외측면에는 제1요철(292a)이 형성되고, 상기 제2컨넥터(293)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요철(292a)에 치합되는 제2요철(293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자동조리 장치.
It includes a container unit 100 for cooking the input ingredients, and an automatic cooking unit 200 that cooks the ingredients as food by automatically supplying water to the container unit 100 and applying heat,
The automatic cooking unit 200,
A table body 210 supported on the floor and on which the container 100 for cooking is seated;
a support body 220 extending from the rear side of the table body 210 to the upper side;
a head body 230 supported by the support body 220 and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table body 210;
a water supply unit 240 installed in the head body 230 to supply water for cooking to the container unit 100;
first and second induction coils 250 and 250' mounted on the table body 210;
a touch screen 260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head body 230 to provide menu information for cooking and to select a specific menu; and
A stirring unit 290 supported by the head body 230 to stir the material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unit 100;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231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ead body 230 so that the touch screen 260 can be disposed obliquely,
The agitator 290 includes a geared motor 291 built into the head body 230 and a first connector that is shaft-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geared motor 291 and has a built-in magnet M therein. 292, a second connector 293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292, and a stirring shaft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or 293 and extending into the container part 100 ( 294), and a stirring blade 295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stirring shaft 294 to stir the material in the container 100,
A first concavo-convex 292a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or 292 so that the first connector 292 and the second connector 293 are coupled in a relatively non-rotating manner, and the second connector 293 )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concavo-convex (293a) meshing with the first concavo-convex (292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부(240)는,
상기 헤드몸체(230)에 내장되는 것으로 급수관(P)을 통하여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는 저수통(241)과,
상기 저수통(241)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여 저장하는 온수통(242)과,
상기 저수통(241)과 연결된 제1라인(L1) 및 온수통(242)과 연결된 제2라인(L2)이 연결되는 분배관(243)과,
상기 헤드몸체(230)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상기 분배관(243)으로 공급된 물을 상기 테이블몸체(210)에 안착된 용기부(100)로 배출하는 제1,2물배출관(244)(2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자동조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water supply unit 240,
A water reservoir 241 built into the head body 230 and storing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P;
A hot water container 242 for heating and stor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reservoir 241;
A distribution pipe 243 to which the first line L1 connected to the water reservoir 241 and the second line L2 connected to the hot water bottle 242 are connected,
Supported by the head body 230, the first and second water discharge pipes 244 and 244' discharge the water supplied to the distribution pipe 243 to the container 100 seated on the table body 210. ),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ultifunctional automatic cooking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부(240)는,
상기 온수통(242)과 분배관(243)을 연결하는 상기 제1라인(L1)에 설치되어 상기 분배관(243)으로 공급되는 가열된 물의 양을 제어하는 제1솔레노이드밸브(245)와,
상기 저수통(241)과 분배관(243)을 연결되는 상기 제2라인(L2)에 설치되어 상기 분배관(243)으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제어하는 제2솔레노이드밸브(246)와,
상기 분배관(243)의 출구에 설치되어 상기 제1물배출관(244)으로 연결되는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3솔레노이드밸브(247)와,
상기 분배관(243)의 출구에 설치되어 상기 제2물배출관(244')으로 연결되는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4솔레노이드밸브(24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자동조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water supply unit 240,
A first solenoid valve 245 installed in the first line L1 connecting the hot water container 242 and the distribution pipe 243 to control the amount of heated water supplied to the distribution pipe 243;
A second solenoid valve 246 installed in the second line L2 connecting the water reservoir 241 and the distribution pipe 243 to control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distribution pipe 243;
A third solenoid valve 247 installed at the outlet of the distribution pipe 243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a flow path connected to the first water discharge pipe 244;
and a fourth solenoid valve (248) installed at the outlet of the distribution pipe (243)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a passage connected to the second water discharge pipe (244').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260)은,
초기 홈화면(261)에 조리 가능한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다수의 메뉴버튼(261a)(261b)(261c)이 표시되고,
특정 메뉴버튼을 터치하였을 때 해당 메뉴에 관련된 정보가 설명되는 메뉴정보 영역(262), 상기 해당 메뉴의 선택을 확정하기 위한 메뉴확정버튼(263) 및 상기 홈화면(261)으로 회귀할 수 있는 홈 회귀버튼(264)이 표시되고,
상기 메뉴확정버튼(263)을 터치하였을 때 선택된 메뉴의 맵기를 가변하는 맵기 가변버튼(265), 선택된 메뉴를 조리하기 위한 물량을 가변하기 위한 물량 가변버튼(266), 선택된 메뉴를 조리하기 위한 시간을 가변하는 조리시간 가변버튼(267)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자동조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ouch screen 260,
A plurality of menu buttons 261a, 261b, and 261c for selecting menus that can be cooked are displayed on the initial home screen 261,
When a specific menu button is touched, a menu information area 262 in which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menu is described, a menu confirmation button 263 for confirming the selection of the corresponding menu, and a home screen that can return to the home screen 261. A regression button 264 is displayed,
When the menu selection button 263 is touched, a spiciness variable button 265 for varying the spiciness of the selected menu, a quantity variable button 266 for varying the amount of cooking the selected menu, and a time for cooking the selected menu Characterized in that the variable cooking time button 267 for varying the cooking time is displayed, the multi-function automatic cooking devi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260)에 연동되어 상기 물공급부(240) 및 제1,2인덕션(250)(250')을 제어하는 제어부(27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270)는,
상기 홈화면(261)으로 표시되는 다양한 메뉴관련 정보가 저장되는 메뉴정보 저장부(271)와,
각각의 메뉴에 관련되어서 필요로 하는 물량에 관련된 정보가 저장된 공급물량 저장부(272)와,
상기 공급물량 저장부(272)에 연동되어 상기 물공급부(240)가 상기 용기부(100)로 조리에 필요한 양의 물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물공급부 제어부(273)와,
선택된 메뉴에 관련되어서 상기 용기부(100)가 안착된 특정 인덕션이 용기부(100)를 가열하기 위한 조리온도 정보가 저장된 조리온도 저장부(274)와,
선택된 메뉴에 관련되어서 특정 인덕션이 용기부(100)를 조리하기 위한 조리시간 정보가 저장된 조리시간 저장부(275)와,
상기 조리온도 저장부(274) 및 조리시간 저장부(275)에 연동되어 특정 인덕션의 동작을 제어하고 조리시간이 경과하여 조리가 완료되면 특정 인덕션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인덕션 제어부(276)와,
상기 조리하는 특정 인덕션의 동작이 완료되면 조리가 완료되었다라는 알람 신호를 발생하는 알람발생부(27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자동조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5,
It further includes a controller 270 linked to the touch screen 260 to control the water supply unit 240 and the first and second induction units 250 and 250', wherein the controller 270,
A menu information storage unit 271 storing various menu-related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home screen 261;
A supply amount storage unit 272 in which information related to the amount required in relation to each menu is stored;
A water supply unit control unit 273 interlocked with the supply amount storage unit 272 to control the water supply unit 240 to supply an amount of water necessary for cooking to the container unit 100;
A cooking temperature storage unit 274 storing cooking temperature information for heating the container unit 100 by a specific induction stove in which the container unit 100 is seated in relation to the selected menu;
A cooking time storage unit 275 storing cooking time information for cooking the container unit 100 by a specific induction in relation to the selected menu;
An induction controller 276 interlocking with the cooking temperature storage unit 274 and the cooking time storage unit 275 to control the operation of a specific induction cooker and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specific induction cooker when cooking is completed as the cooking time elapses;
and an alarm generating unit 277 generating an alarm signal indicating that cooking is complete when the operation of the specific induction cooker is comple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축(294)은 제2컨넥터(293)에 고정되는 제1교반축(294a)과, 상기 제1교반축(294a)과 상호 비회전되도록 신축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교반날개(295)에 고정된 제2교반축(294b)을 포함하고,
상기 제2교반축(294b)은 상기 교반날개(295)의 자중에 의하여 상기 제1교반축(294a)으로부터 하방으로 빠지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자동조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agitation shaft 294 is elastically coupled to a first agitation shaft 294a fixed to the second connector 293 and non-rotating with the first agitation shaft 294a, and is connected to the agitation blades 295. Including a fixed second stirring shaft (294b),
The multifunctional automatic coo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stirring shaft (294b) is drawn downward from the first stirring shaft (294a) by the weight of the stirring blades (295).
삭제delete
KR1020230049853A 2023-04-17 2023-04-17 Multi-functional automatic cooking apparatus KR1025680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9853A KR102568002B1 (en) 2023-04-17 2023-04-17 Multi-functional automatic cook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9853A KR102568002B1 (en) 2023-04-17 2023-04-17 Multi-functional automatic cook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8002B1 true KR102568002B1 (en) 2023-08-17

Family

ID=87800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9853A KR102568002B1 (en) 2023-04-17 2023-04-17 Multi-functional automatic cook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800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6856B1 (en) * 2014-05-09 2015-11-06 최은정 an instant food range
KR20160145486A (en) * 2015-06-10 2016-12-20 함용승 Automatic cooker having the suppling control function of hot and cold water based on condition of grain and method of cooking using the same as
US20210038017A1 (en) * 2018-05-18 2021-02-11 Tea Unwrapped Llc System and method for dispensing precise temperature controlled hot water
KR20220056926A (en) * 2020-10-28 2022-05-09 주식회사 현성오토텍 Smart induction cook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6856B1 (en) * 2014-05-09 2015-11-06 최은정 an instant food range
KR20160145486A (en) * 2015-06-10 2016-12-20 함용승 Automatic cooker having the suppling control function of hot and cold water based on condition of grain and method of cooking using the same as
US20210038017A1 (en) * 2018-05-18 2021-02-11 Tea Unwrapped Llc System and method for dispensing precise temperature controlled hot water
KR20220056926A (en) * 2020-10-28 2022-05-09 주식회사 현성오토텍 Smart induction cook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57066B1 (en) Cooker
US9782032B2 (en) Cooking apparatus, a cooking pot and a method for cooking
US20100326286A1 (en) Multi-purpose cooking device through heating of a water bath
JP5284441B2 (en) Automatic cooking equipment
CN107280449A (en) Cooking apparatus and the method that food cooking is carried out using the cooking apparatus
JP6255275B2 (en) Cooker
KR102568002B1 (en) Multi-functional automatic cooking apparatus
JP5897088B2 (en) Cooker
US2016010070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crispy rice
JP6006996B2 (en) Display device and cooking device
JP2011043259A (en) Heating cooker
JP2016065712A (en) Heating cooker
JP5410165B2 (en) Cooker
JP2008051346A (en) Heating cooker
US20240074619A1 (en) Automated cooking device
JP2019035582A (en) Heating cooker
JP5689556B2 (en) Cooker
JP6546686B2 (en) Cooker
EP4230096A1 (en) Appliance for improved heating of food products using steam
JP2012254132A (en) Electric rice cooker
WO2022023829A1 (en) Fully-automatic self-cooking machine
JP5147764B2 (en) Cooker
JP5785806B2 (en) Cooker
JP6616913B2 (en) Cooker
JP5628555B2 (en) Coo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