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7462B1 - 집수정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집수정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7462B1
KR102567462B1 KR1020220063220A KR20220063220A KR102567462B1 KR 102567462 B1 KR102567462 B1 KR 102567462B1 KR 1020220063220 A KR1020220063220 A KR 1020220063220A KR 20220063220 A KR20220063220 A KR 20220063220A KR 102567462 B1 KR102567462 B1 KR 102567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wall
disposed
upper side
collecting well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3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1770A (ko
Inventor
배준성
최영지
Original Assignee
(주)제이엔와이종합건설
배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엔와이종합건설, 배준성 filed Critical (주)제이엔와이종합건설
Priority to KR1020220063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7462B1/ko
Publication of KR20230031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17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7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7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7/00Construction or assembling of bulk storage containers employing civil engineering techniques in situ or off the site
    • E04H7/02Containers for fluids or gases; Suppor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FRP 재질로 제작되기 때문에, 무게가 가볍고 설치가 용이하며, 수직보강부재 및 수평보강부재를 통해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로어집수정 및 어퍼집수정으로 분리하여 제작한 후, 하부에 배치되는 로어집수정을 공통 규격으로 제작한 후, 상부에 배치되는 어퍼집수정의 높이를 변경하여 용량을 가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집수정 시공방법{Sump pit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FRP 재질로 제작된 집수정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집수정은 도로의 가장자리, 아파트 단지 등 건축물의 지하층, 지하피트 등에서 지하수, 빗물 등의 모으는데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토목 및 건축 지하 구조물의 시공을 위하여 지면을 일정 깊이로 굴착하고, 굴착이 종료된 지면(바닥면) 위에 시공 기준면인 콘크리트 기초구조체를 구축한 후 이 기초구조체를 기준으로 토목 또는 건축 구조물을 시공하게 된다.
그런데 토목 및 지하구조물의 최종 바닥이 지하수위 하부에 설치될 경우, 지하구조물의 바닥부와 건물 주변부와의 수두차이에 의해 하강된 지하수위가 주변부 수위까지 원상회복 되려고 하는 에너지가 발생되고, 이 에너지가 지하구조물에 대하여 양압력 (uplift pressure)으로 작용하게 되며, 이러한 양압력은 심한 경우 지하구조물을 들어올리거나 한쪽으로 기울어지게 할 뿐 아니라 기초구조물에 크랙(crack)을 발생시키는 등 토목 및 건축구조물의 안전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통상 기초구조체에 밑에 집수관을 설치하여 지하수를 지하에 매설된 집수정으로 유도한 뒤 집수정에 모인 지하수를 펌프를 사용하여 외부로 강제배출시킴으로써 양압력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집수정은 건축물의 최하층 슬래브보다 낮아야 하므로 집수정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터파기 및 집수정 형성을 위한 철근 콘크리트 작업이 필요하게 되어 그 시공이 어렵고 시간이 오래 걸린다.
특히 집수정은 건축물의 최하층 슬래브 밑으로 매몰되어 시공되기 때문에 구조물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매우 높은 강성이 필요하기 때문에 일반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에 소용되는 것보다 더 큰 노력과 비용이 소요된다.
종래의 집수정은 최하층 슬래브의 일부로써 지내력(地耐力)을 만족시켜야 하는 구조적인 목적과 지하수 또는 빗물을 모아 외부로 배출시키는 집수정이라는 기능상의 목적을 동시에 만족해야 하므로 설계 시에 집수정을 바닥슬래브 층 두께와 동일한 두께의 철근 콘크리트 구조로 형성하고 있다.
즉, 종래의 집수정은 구조물의 최하층 바닥 슬래브 시공 시 집수정이 슬래브 이하로 매몰되도록 별도의 구멍을 굴착한 후 집수정의 측벽을 위한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집수정을 형성한 후 집수정 둘레에 추가 콘크리트 타설(속칭 버림 콘크리트) 또는 토사를 매립한다.
이러한 집수정은 구조물의 최하층 하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별도의 터파기 작업이 용이하지 않으며, 터파기한 구멍에 지하수가 많이 모이게 되어 철근 콘크리트 작업을 실시하기가 매우 난해하다.
따라서 집수정 시공에 따른 작업 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시공 품질 역시 만족스럽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집수정과 연결되기 위한 배구관 등의 기타 복잡한 구성들이 두꺼운 철근 콘크리트 내에 설치하기 어렵고, 그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사후 보정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5137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2590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1895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25290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34611호
본 발명은 설치가 용이하고, 용량을 선택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으며, 구조적 신뢰성이 높은 집수정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버림콘크리트 상측에 거치되는 바텀플레이트(110); 상기 바텀플레이트(110)의 상측에 결합되고, 측면을 제공하는 사이드플레이트(120); 상기 사이드플레이트(120) 상측에 결합되고, 상측면을 제공하는 탑플레이트(130): 상기 사이드플레이트(120)에 배치된 사이드보강부재(170);를 포함하는 집수정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지면을 굴토하는 단계; 상기 굴토된 지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버림콘크리트(11)를 형성하는 단계(S10); 상기 버림콘크리트(11) 상측면에 상기 바텀플레이트(110)를 지지하는 집수정베이스(300)를 설치하는 단계(S20); 상기 집수정베이스(300) 상측에 FRP 재질의 상기 집수정을 배치하는 단계(S30); 상기 사이드보강부재(170)가 상기 집수정의 수평보강부재(160)를 관통하도록 사이드보강부재(170)를 설치하는 단계(S40); 상기 사이드보강부재(170)가 매립되도록, 상기 버림콘크리트(11) 상측 및 집수정의 외측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콘크리트(12)를 형성하는 단계(S50); 상기 기초콘크리트(12)가 양생된 후, 상기 기초콘크리트(12) 상측에 그레이팅(13)을 형성시키는 단계(S60);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플레이트(120)는, 제 1 사이드월(121), 제 2 사이드월(122), 제 3 사이드월(123) 및 제 4 사이드월(124)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사이드월(121)은,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탑플레이트(130)와 일체로 형성된 제 1-1 사이드월(121a); 및 하측에 배치되어 바텀플레이트(110)와 일체로 형성된 제 1-2 사이드월(121b);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사이드월(122)은,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탑플레이트(130)와 일체로 형성된 제 2-1 사이드월(122a); 및 하측에 배치되어 바텀플레이트(110)와 일체로 형성된 제 2-2 사이드월(122b)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사이드월(123)은,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탑플레이트(130)와 일체로 형성된 제 3-1 사이드월(123a); 및 하측에 배치되어 바텀플레이트(110)와 일체로 형성된 제 3-2 사이드월(123b);를 포함하고, 상기 제 4 사이드월(124)은,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탑플레이트(130)와 일체로 형성된 제 4-1 사이드월(124a); 및 하측에 배치되어 바텀플레이트(110)와 일체로 형성된 제 4-2 사이드월(124b)을 포함하고, 상기 제 1-1 사이드월(121a), 제 2-1 사이드월(122a), 제 3-1 사이드월(123a) 및 제 4-1 사이드월(124a)의 각 하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연장된 제 1 결합플랜지(180)와, 제 1-2 사이드월(121b), 제 2-2 사이드월(122b), 제 3-2 사이드월(123b) 및 제 4-2 사이드월(124b)의 각 상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연장된 제 2 결합플랜지(19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결합플랜지(180) 및 제 2 결합플랜지(190)가 상하 방향으로 밀착되고, 상기 S20 단계는, 상기 버림콘크리트(11) 상측면에 로어베이스(310)를 배치하는 단계(S21); 상기 로어베이스(310)의 상측에 서포트프레임(330)을 배치하는 단계(S22); 상기 서포트프레임(330)을 사이에 두고,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제 1 어퍼베이스(321) 및 제 2 어퍼베이스(322)를 상기 로어베이스(310) 상측에 적층하는 단계(S23);를 포함하고, 상기 S30 단계는, 상기 제 1 어퍼베이스(321) 및 제 2 어퍼베이스(322) 상측에 로어집수정(101)을 거치하고, 상기 로어집수정(101)을 어퍼베이스(320)에 결합시키는 단계(S32); 상기 S32 단계 이후에, 상기 로어집수정(101) 상측에 끼움프레임(200)을 거치하는 단계(S34); 상기 S34 단계 이후에, 상기 어퍼집수정(102)을 거치하는 단계(S36); 상기 S36 단계 이후에, 상기 끼움프레임(200)의 인서트슬릿(226)에 인서트(230)를 삽입하여 상기 로어집수정(101) 및 어퍼집수정(102)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단계(S38);를 포함하는 집수정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은 FRP 재질로 제작되기 때문에, 무게가 가볍고 설치가 용이하며, 수직보강부재 및 수평보강부재를 통해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로어집수정 및 어퍼집수정으로 분리하여 제작한 후, 하부에 배치되는 로어집수정을 공통 규격으로 제작한 후, 상부에 배치되는 어퍼집수정의 높이를 변경하여 용량을 가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어퍼집수정의 제 1 결합플랜지 및 로어집수정의 제 2 결합플랜지를 통해 조립 및 밀폐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제 1 결합플랜지 및 제 2 결합플랜지 사이에 끼워지는 끼움프레임을 통해 기밀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제 1 결합플랜지 및 제 2 결합플랜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S10 단계 및 S20 단계 사이에 방수코팅(14)을 형성시키는 방수코팅 단계(S14)가 배치되고, 상기 방수코팅(14)은 지하수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지반침하를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사이드보강부재를 기초콘크리트의 철근에 결속시키기 때문에, 집수정의 사이드플레이트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섯째, 본 발명은 인서트를 통해 상기 로어집수정 및 어퍼집수정의 위치를 정렬할 수 있기 때문에, 로어집수정 및 어퍼집수정의 조립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곱째, 본 발명은 가압부재를 통해 로어집수정 및 어퍼집수정를 끼움프레임에 밀착시킨 후, 사이드보강부재가 결합플랜지들 및 수평보강부재를 차례로 관통하여 설치되기 때문에, 기밀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에 사이드플레이트의 구조적 신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집수정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집수정의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집수정의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인서트의 설치구조가 도시된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가압부재의 설치구조가 도시된 정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집수정의 설치공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집수정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집수정의 정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집수정의 평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인서트의 설치구조가 도시된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가압부재의 설치구조가 도시된 정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집수정은 섬유로 강화한 플라스틱계 복합재료인 FRP(fiber reinforced plastics) 재질로 제작된다.
FRP는 섬유로 강화한 플라스틱계 복합재료의 약자이고, 뛰어난 기계적 특성, 플라스틱의 내식성은 물론 우수한 성형성을 갖는다. 최근에는 새로운 강화재(强化材)의 개발로 보다 넓은 응용범위가 모색되고 있다.
그 대표적인 것으로는 유리-불포화(不飽和) 폴리에스테르과 카본에폭시 등이 있지만, 그 외에도 열가소성(熱可塑性) 플라스틱을 매트릭스로 한 FRTP(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s)도 있다.
FRP는 협의로는 열경화성(熱硬化性) 플라스틱을 매트릭스한 플라스틱계 복합재료로 볼 수도 있다.
FRP의 비중은 약 2.0 정도로 철강 재료의 1/4 정도로 가볍고, 카본 섬유(CF)를 강화한 FRP의 경우 비중은 약 1.5로 더욱 가벼워, 뛰어난 기계특성을 갖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집수정은, 버림콘크리트(11) 상측에 거치되는 바텀플레이트(110)와, 상기 바텀플레이트(110)의 상측에 결합되고, 측면을 제공하는 사이드플레이트(120)와, 상기 사이드플레이트(120) 상측에 결합되고, 상측면을 제공하는 탑플레이트(130)를 포함한다.
상기 버림콘크리트(11) 상측 및 사이드플레이트(120)의 외측에 기초콘크리트(12)가 타설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탑플레이트(130)가 잠기지 않을 만큼만 상기 기초콘크리트(12)를 타설한다. 상측으로 노출된 상기 탑플레이트(130)는 기초콘크리트(12) 상측에 배치되는 그레이팅(13)에 매립된다.
상기 바텀플레이트(110) 또는 사이드플레이트(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지하수가 유입되는 바텀개구면(111)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바텀개구면(111)을 통해 지하수가 집수정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탑플레이트(130)에 탑개구면(13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집수정 내부의 물을 펌핑하기 위한 펌프는 상기 집수정 내부에 펌프가 설치되거나 집수정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집수정 외부에 펌프가 설치될 경우, 상기 탑개구면(131)을 통해 펌프에 연결되는 파이프(미도시)가 설치된다. 집수정 내부에 펌프가 설치되는 경우, 펌프에서 펌핑된 물이 상기 탑개구면(131)을 통해 외부로 펌핑된다.
상기 바텀플레이트(110)는 평평한 형상이고, 수평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탑플레이트(130) 및 바텀플레이트(110)는 동일한 형상 및 면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집수정의 전체적인 형상이 직육면체이기 때문에, 상기 사이드플레이트(120)는 4개의 측면을 갖는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집수정이 원통형인 경우 상기 사이드플레이트(120)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사이드플레이트(120)는 제 1 사이드월(121), 제 2 사이드월(122), 제 3 사이드월(123) 및 제 4 사이드월(124)을 포함한다.
정면에 배치된 것을 제 1 사이드월(121), 좌측면에 배치된 것을 제 2 사이드월(122), 배면에 배치된 것을 제 3 사이드월(123), 우측면에 배치된 것을 제 4 사이드월(124)이라 정의한다.
상기 제 1 사이드월(121), 제 2 사이드월(122), 제 3 사이드월(123) 및 제 4 사이드월(124)은 상기 바텀플레이트(110)의 가장자리(110a) 보다 내측에 배치된다.
그래서 바텀플레이트(110)의 가장자리(110a)와 상기 제 1 사이드월(121), 제 2 사이드월(122), 제 3 사이드월(123) 및 제 4 사이드월(124)이 제 1 이격간격(D1)을 형성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탑플레이트(130)의 가장자리(130a)와 상기 제 1 사이드월(121), 제 2 사이드월(122), 제 3 사이드월(123) 및 제 4 사이드월(124)도 제 1 이격간격(D1)을 형성한다.
상기 탑개구면(131)의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입구프레임(140)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입구프레임(140)은 제 1 입구월(141), 제 2 입구월(142), 제 3 입구월(143) 및 제 4 입구월(144)을 포함한다.
상기 집수정은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강도보강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강도보강부재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수직보강부재(150)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수평보강부재(160)를 포함한다.
상기 수직보강부재(150)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하단이 바텀플레이트(110)에 결합되고, 상단이 탑플레이트(130)에 결합된다.
상기 수직보강부재(150)는, 상기 제 1 사이드월(121)에 결합되어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제 1 수직보강부(151)와, 상기 제 2 사이드월(122)에 결합되어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제 2 수직보강부(152)와, 상기 제 3 사이드월(123)에 결합되어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제 3 수직보강부(153)와, 상기 제 4 사이드월(124)에 결합되어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제 4 수직보강부(15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수직보강부(151), 제 2 수직보강부(152), 제 3 수직보강부(153) 및 제 4 수직보강부(154)는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2개소 배치된다.
상기 수평보강부재(160)는 상기 바텀플레이트(110) 및 탑플레이트(130)의 중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사이드월(121), 제 2 사이드월(122), 제 3 사이드월(123) 및 제 4 사이드월(124)을 연결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수평보강부재(160)는, 상기 제 1 사이드월(121)에 결합되어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제 1 수평보강부(161)와, 상기 제 2 사이드월(122)에 결합되어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제 2 수평보강부(162)와, 상기 제 3 사이드월(123)에 결합되어 외측으로 돌출되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제 3 수평보강부(163)와, 상기 제 4 사이드월(124)에 결합되어 외측으로 돌출되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제 4 수평보강부(164)를 포함한다.
제 1 수평보강부(161), 제 2 수평보강부(162), 제 3 수평보강부(163) 및 제 4 수평보강부(164)는 일체로 연결되고, 수평하게 배치된다.
상기 수평보강부재(16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홀(165)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165)은 제 1 수평보강부(161), 제 2 수평보강부(162), 제 3 수평보강부(163) 및 제 4 수평보강부(164)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관통홀(165)의 구분이 필요할 경우, 제 1 수평보강부(161)에 배치된 것을 제 1 관통홀이라 하고, 제 2 수평보강부(162)에 배치된 것을 제 2 관통홀이라 하고, 제 3 수평보강부(163)에 배치된 것을 제 3 관통홀이라 하고, 제 4 수평보강부(164)에 배치된 것을 제 4 관통홀이라 한다.
사이드보강부재(170, 본 실시예에서 철근)가 상기 관통홀(165)을 수직으로 관통하게 배치될 수 있다. 사이드보강부재(170)의 구분이 필요할 경우, 1 관통홀을 관통하게 배치된 것을 제 1 사이드보강부재라 하고, 제 2 관통홀을 관통하게 배치된 것을 제 2 사이드보강부재라 하고, 제 3 수평보강부(163)를 관통하게 배치된 것을 제 3 사이드보강부재라 하고, 제 4 수평보강부(164)를 관통하게 배치된 것을 제 4 사이드보강부재라 한다.
상기 사이드보강부재(170)는 기초콘크리트(12)의 타설 시 매립된다.
각 사이드보강부재(170)가 상기 각 관통홀(165)을 관통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보강부재(170)는 상기 관통홀(165)을 관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수직부(172)와, 상기 수직부(172)의 상측에서 절곡되어 형성되고,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수평부(174)를 포함한다.
상기 수평부(174)는 수평보강부재(160) 보다 상측에 배치되고, 구체적으로 수평보강부재(160) 및 탑플레이트(130) 사이의 높이에 배치된다.
상기 사이드보강부재(170)는 건물의 기저를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매립된다.
상기 사이드보강부재(170)가 관통홀(165)을 관통하여 설치되기 때문에, 집수정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고, 콘크리트 타설 시 콘크리트의 압력에 의해 내측으로 밀려 이동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집수정은 상/하 2파트로 분리하여 제작된 후, 조립 가능한 특징이 있다. 집수정의 용량은 건물의 크기 및 지하수의 용량이 따라 각기 다르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는 공통 규격으로 제작하고, 상부만 용량에 따라 높이를 변경하여 제작한 후 조립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집수정은 공통규격의 로어집수정(101)과 용량을 가변시킬 수 있는 어퍼집수정(102)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용량의 집수정을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 따른 집수정은 제 1 사이드월(121), 제 2 사이드월(122), 제 3 사이드월(123) 및 제 4 사이드월(124)이 상하로 분리된다.
상기 제 1 사이드월(121)은 상측에 배치되는 제 1-1 사이드월(121a)과, 하측에 배치되는 제 1-2 사이드월(121b)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사이드월(122)은 상측에 배치되는 제 2-1 사이드월(122a)과, 하측에 배치되는 제 2-2 사이드월(122b)을 포함한다.
상기 제 3 사이드월(123)은 상측에 배치되는 제 3-1 사이드월(123a)과, 하측에 배치되는 제 3-2 사이드월(123b)을 포함한다.
상기 제 4 사이드월(124)은 상측에 배치되는 제 4-1 사이드월(124a)과, 하측에 배치되는 제 4-2 사이드월(124b)을 포함한다.
상기 탑플레이트(130)는 제 1-1 사이드월(121a), 제 2-1 사이드월(122a), 제 3-1 사이드월(123a) 및 제 4-1 사이드월(124a)의 상단에 연결되고, 제 1-1 사이드월(121a), 제 2-1 사이드월(122a), 제 3-1 사이드월(123a) 및 제 4-1 사이드월(124a)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어퍼집수정(102)은, 제 1-1 사이드월(121a), 제 2-1 사이드월(122a), 제 3-1 사이드월(123a) 및 제 4-1 사이드월(124a)의 각 하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연장된 제 1 결합플랜지(180)를 포함한다.
상기 로어집수정(101)은 제 1-2 사이드월(121b), 제 2-2 사이드월(122b), 제 3-2 사이드월(123b) 및 제 4-2 사이드월(124b)의 각 상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연장된 제 2 결합플랜지(19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 결합플랜지(180) 및 제 2 결합플랜지(190)에 의해 집수정의 사이드플레이트(120)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제 1 결합플랜지(180) 및 제 2 결합플랜지(190) 사이에 실링부재(미도시)가 배치되어 기밀을 형성시킬 수 있다.
제 1 결합플랜지(180) 및 제 2 결합플랜지(190)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다. 제 1 결합플랜지(180) 및 제 2 결합플랜지(190)에 각각 플랜지홀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결합플랜지(180)에 형성된 것을 제 1 플랜지홀(185)이라 하고, 제 2 결합플랜지(190)에 형성된 것을 제 2 플랜지홀(195)이라 한다.
상기 사이드보강부재(170)의 수직부(172)가 상기 제 1 플랜지홀(185) 및 제 2 플랜지홀(195)을 관통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사이드보강부재(170)가 제 1 결합플랜지(180) 및 제 2 결합플랜지(190)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재의 역할을 대신하고, 이를 통해 조립 부품 수를 축소하고, 조립과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플랜지홀(185) 및 제 2 플랜지홀(195)을 관통하는 체결부재(191)(192)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191)(192)는 제 1 플랜지홀(185) 및 제 2 플랜지홀(195)을 밀착시켜 밀폐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부재(191)(192)는 볼트 및 너트가 사용된다.
상기 체결부재(191)(192)는 상기 제 1 사이드월(121), 제 2 사이드월(122), 제 3 사이드월(123) 및 제 4 사이드월(124) 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집수정은 제 1 결합플랜지(180) 및 제 2 결합플랜지(190) 사이에 끼움프레임(200)이 더 배치된다.
제 1-1 사이드월(121a), 제 2-1 사이드월(122a), 제 3-1 사이드월(123a) 및 제 4-1 사이드월(124a)을 어퍼사이드월(120a)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제 1-2 사이드월(121b), 제 2-2 사이드월(122b), 제 3-2 사이드월(123b) 및 제 4-2 사이드월(124b)을 로어사이드월(120b)이라 할 수 있다.
상기 끼움프레임(200)은 어퍼사이드월(120a)의 내측면 및 로어사이드월(120b)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이너월(210)과, 상기 이너월(210)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연장되고, 상기 제 1 결합플랜지(180) 및 제 2 결합플랜지(190) 사이에 끼워져 밀착되는 인서트월(220)을 포함한다.
제 1 결합플랜지(180) 및 제 2 결합플랜지(190)에 끼워진 끼움프레임(200)의 정단면은 "ㅏ" 또는 "ㅓ"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이너월(210)은 사이드프레임(120) 보다 안쪽에 배치된다.
상기 이너월(210) 및 사이드프레임(120) 사이에 실링부재(미도시)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인서트월(220)은 제 1 결합플랜지(180) 및 제 2 결합플랜지(190) 사이에 배치된다. 인서트월(220) 및 제 1 결합플랜지(180) 사이에 실링부재(미도시)가 더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인서트월(220) 및 제 2 결합플랜지(190) 사이에 실링부재(미도시)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너월(210) 및 인서트월(220)은 직교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끼움프레임(200)은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전체가 일체로 제작된다.
상기 끼움프레임(200)의 이너월(210)은 어퍼사이드월(120a) 및 로어사이드월(120b)의 각 내측면에 밀착되어 집수정 내부의 물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끼움프레임(200)의 인서트월(220)은 제 1 결합플랜지(180) 및 제 2 결합플랜지(190) 사이에 끼워져 압착됨으로써, 상기 집수정 내부의 물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사이드보강부재(170)의 수직부(172)는 상기 제 1 결합플랜지(180), 인서트월(220) 및 제 2 결합플랜지(190)를 차례로 관통하게 배치되고, 이를 통해 상기 끼움프레임(200)이 안쪽으로 밀려들어가거나 정위치에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결합플랜지(180) 및 제 2 결합플랜지(190)의 접촉면 전체가 완전히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지 않아도, 콘크리트 및 집수정 상부의 자중에 의해 상기 끼움프레임(200)의 인서트월(220)이 상기 제 1 결합플랜지(180) 및 제 2 결합플랜지(190) 사이를 밀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집수정은 인서트월(220)이 제 1 결합플랜지(180) 및 제 2 결합플랜지(190) 밖으로 돌출되고, 상기 인서트월(220)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제 1 결합플랜지(180) 및 제 2 결합플랜지(190)와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인서트(2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인서트월(220)은 상기 제 1 결합플랜지(180) 및 제 2 결합플랜지(190) 사이에 배치되는 끼움인서트부(222)와, 상기 끼움인서트부(222)에서 상기 제 1 결합플랜지(180) 및 제 2 결합플랜지(19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인서트부(224)와, 상기 노출인서트부(224)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인서트슬릿(226)을 더 포함한다.
상기 인서트(230)는 상기 인서트슬릿(226)을 관통하고, 상기 노출인서트부(224)와 끼움결합된다. 상기 인서트(230)는 하측이 뾰족한 쐐기 형상일 수 있고, 하부는 인서트월(220) 하측으로 돌출되고, 상부는 노출인서트부(224)와 하측방향으로 상호 걸림을 형성한다.
상기 인서트슬릿(226)은 상기 제 1 결합플랜지(180) 및 제 2 결합플랜지(190)의 가장자리 외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삽입된 인서트(230)는 상기 제 1 결합플랜지(180) 및 제 2 결합플랜지(190)와 수평방향으로 상호 걸림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상기 인서트(230)는 상기 인서트월(220)이 집수정 내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한다.
탑뷰로 볼 때, 본 실시예에서 상기 노출인서트부(224) 및 인서트(230)는 제 2 수직보강부(152)와 동일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인서트(230)가 상기 수직보강부(150)와도 수평방향에 대해 상호 걸림을 형성한다.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인서트(230)는 "+"자 형태의 수직보강부(150) 및 결합플랜지(180)(190)들에 동시에 지지되기 때문에, 인서트(230)의 상호 걸림을 보다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집수정은 제 3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1 결합플랜지(180), 인서트월(220)의 관통홀(225) 및 제 2 결합플랜지(190)를 차례로 관통하게 배치되는 체결부재(191)(192)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집수정은 상기 제 1 결합플랜지(180) 및 제 2 결합플랜지(190)를 상기 인서트월(220)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2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가압부재(250)는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가압부재(250)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압부재(250)는 상기 제 1 결합플랜지(180)의 상측면에 밀착되는 제 1 가압부(252)와, 상기 제 2 결합플랜지(190)의 하측면에 밀착되는 제 2 가압부(254)와, 상기 제 1 가압부(252) 및 제 2 가압부(254)를 연결하는 가압연결부(256)를 포함한다.
상기 가압연결부(256)는 제 1 결합플랜지(180) 및 제 2 결합플랜지(190)의 외측 가장자리에 밀착된다.
상기 체결부재(191)(192)는 제 1 가압부(252), 제 1 결합플랜지(180), 인서트월(220), 제 2 결합플랜지(190) 및 제 2 가압부(254)를 차례로 관통하고, 상기 제 1 가압부(252) 및 제 2 가압부(254)에 직접적인 조작력을 제공하여 상기 인서트월(220)을 밀착시킨다.
상기 제 1 가압부(252)에 제 1 가압홀(252a)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가압부(254)에 제 2 가압홀(254a)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가압홀(252a), 제 1 플랜지홀(185), 인서트(220)의 관통홀(225), 제 2 플랜지홀(195) 및 제 2 가압홀(254a)이 상하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체결부재(191)는 상기 홀들을 차례로 관통한다.
상기 체결부재(191)(192)가 금속재질의 가압부재(250)에 힘을 제공하기 때문에, FRP 재질로 형성된 제 1 결합플랜지(180) 및 제 2 결합플랜지(190)의 압괴 또는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상기 끼움프레임(200)을 통한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집수정의 설치공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1 실시예에 따른 집수정의 설치공법은, 지면을 굴토하는 단계와, 상기 굴토된 지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버림콘크리트(11)를 형성하는 단계(S10)와, 상기 버림콘크리트 상측면에 집수정를 지지하는 집수정베이스(300)를 설치하는 단계(S20)와, 상기 집수정베이스(300) 상측에 FRP 재질의 집수정을 배치하는 단계(S30)와, 상기 사이드보강부재(170)가 상기 집수정의 수평보강부재(160)를 관통하도록 사이드보강부재(170)를 설치하는 단계(S40)와, 상기 사이드보강부재(170)가 매립되도록, 상기 버림콘크리트(11) 상측 및 집수정의 외측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콘크리트(12)를 형성하는 단계(S50)와, 상기 기초콘크리트(12)가 양생된 후, 상기 기초콘크리트(12) 상측에 그레이팅(13)을 형성시키는 단계(S60)를 포함한다.
상기 S10 단계 및 S20 단계 사이에 방수코팅(14)을 형성시키는 방수코팅 단계(S14)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S14 단계는 상기 S10 단계의 버림콘크리트(11)의 양생 후에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버림콘크리트(11) 상측에 방수코팅(14)을 형성시킬 경우, 지하수가 버림콘크리트(11) 하측으로 유동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지하수를 집수정에 효과적으로 모을 수 있다.
또한, 방수코팅(14)은 지하수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지반침하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S20 단계는, 상기 버림콘크리트(11) 상측면에 로어베이스(310)를 배치하는 단계(S21)와, 상기 로어베이스(310)의 상측에 서포트프레임(330)을 배치하는 단계(S22)와, 상기 서포트프레임(330)을 사이에 두고,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제 1 어퍼베이스(321) 및 제 2 어퍼베이스(322)를 상기 로어베이스(310) 상측에 적층하는 단계(S23)를 포함한다.
상기 로어베이스(310), 서포트프레임(330), 제 1 어퍼베이스(321) 및 제 2 어퍼베이스(322)는 금속재질일 수 있다.
상기 제 1 어퍼베이스(321) 및 제 2 어퍼베이스(322)를 어퍼베이스(320)라 한다. 상기 어퍼베이스(320)는 바텀플레이트(110) 보다 넓은 면적의 플레이트일 수 있고, 상기 바텀개구면(111) 보다 넓은 베이스개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S21 단계는 상기 S14 단계에서 방수코팅(14)이 경화되기 전에 실행될 수 있다.
상기 S14 단계 및 S21 단계를 연속해서 진행할 경우, 로어베이스(310)를 방수코팅에 결합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로어베이스(310)를 정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S22 단계에서 배치된 서포트프레임(330)은 상기 집수정의 바텀개구면(111) 하측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서포트프레임(330)은 로어베이스(310) 상측면에 용접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서포트프레임(330)은 봉 또는 파이프 형태일 수 있다. 서포트프레임(330)들의 간격은 바텀개구면(111)이 간격보다 넓게 형성되고, 바텀개구면(111)을 통해 상기 서포트프레임(330)들이 노출되지 않게 한다.
상기 S23 단계에서, 상기 제 1 어퍼베이스(321) 및 제 2 어퍼베이스(322)는 상기 로어베이스(310) 상측에 용접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1 어퍼베이스(321)의 내측단(321a) 및 제 2 어퍼베이스(322)의 내측단(322a) 사이에 적어도 2개의 서포트프레임(330)들이 배치된다.
상기 서포트프레임(330) 중 제 1 어퍼베이스(321) 측에 배치된 것을 제 1 서포트프레임(331)이라 하고, 제 2 어퍼베이스(322) 측에 배치된 것을 제 2 서포트프레임(332)라 한다.
상기 제 1 서포트프레임(331) 및 제 1 어퍼베이스(321)의 내측단(321a) 사이의 간격과, 제 2 서포트프레임(332) 및 제 2 어퍼베이스(322)의 내측단(322a) 사이의 간격이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S22 단계에서, 상기 제 1 서포트프레임(331) 및 제 2 서포트프레임(332)은 상기 제 1 어퍼베이스(321)의 내측단(321a) 및 제 2 어퍼베이스(322)의 내측단(322a) 사이에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서포트프레임(331) 및 제 2 서포트프레임(332)에 의해 상기 바텀개구면(111)이 로어베이스(310)의 상측면과 이격되어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S30 단계는, 상기 어퍼베이스(320) 상측에 로어집수정(101)을 거치하고, 상기 로어집수정(101)을 어퍼베이스(320)에 결합시키는 단계(S32)와, 상기 S32 단계 이후에, 상기 로어집수정(101) 상측에 끼움프레임(200)을 거치하는 단계(S34)와, 상기 S34 단계 이후에, 상기 어퍼집수정(102)을 거치하는 단계(S36)와, 상기 S36 단계 이후에, 상기 끼움프레임(200)의 인서트슬릿(226)에 인서트(230)를 삽입하여 상기 로어집수정(101) 및 어퍼집수정(102)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단계(S38)를 포함한다.
상기 S38 단계에서 상기 인서트(230)를 인서트슬릿(226)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로어집수정(101) 및 어퍼집수정(102)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38 단계에서 상기 인서트(230)를 인서트슬릿(226)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끼움프레임(200)의 이너월(210)을 로어집수정(101) 및 어퍼집수정(102)의 내측벽이 밀착시키기 때문에, 상기 로어집수정(101) 및 어퍼집수정(102)의 위치를 간편하게 정렬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S30 단계는, 상기 S36 단계 이후에, 상기 로어집수정(101)의 제 2 결합플랜지(190) 및 어퍼집수정(102)의 제 1 결합플랜지(180)를 상기 인서트월(220)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250)를 조립하는 단계(S3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38 단계 또는 S39 단계 중 어느 것이 먼저 실행되어도 무방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S38 단계 후에 S39 단계를 실행한다.
S39 단계를 먼저 실행할 경우, 인서트슬릿(226)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서 인서트(230)의 삽입이 어려울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S38 단계를 실행하여 로어집수정(101) 및 어퍼집수정(102)의 위치를 먼저 정렬하고, S39 단계를 실행하여 로어집수정(101) 및 어퍼집수정(102)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상기 S40 단계의 사이드보강부재(170)를 통해 집수정을 외부의 구조물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S38 단계 및 S39 단계를 통해 로어집수정(101) 및 어퍼집수정(102)을 고정한 후, 사이드보강부재(170)의 수직부(172)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시켜 집수정에 조립한다.
상기 S40 단계에서 사이드보강부재(170)의 수평부(174)는 집수정의 외측에 배치된 철근(175)에 고정시키는 단계(S4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30 단계 이후 및 S40 단계 사이에 로어집수정(101) 및 어퍼집수정(102) 외측에 상기 철근(175)이 설치될 수 있고, 상기 S40 단계에서 상기 사이드보강부재(170)를 상기 철근(175)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S50 단계에서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기초콘크리트(12)를 형성시킨다. S50 단계의 콘크리트 타설 시, 철근(175) 및 사이드보강부재(170)가 함께 매립되어 양생되기 때문에, 상기 로어집수정(101) 및 어퍼집수정(102)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S50 단계의 기초콘크리트(12) 높이는 탑플레이트(130) 보다 낮게 위치된다.
상기 S60 단계에서 상기 그레이팅(13)은 상기 기초콘크리트(12) 상측을 매립하고, 구체적으로 상기 탑플레이트(130) 및 입구프레임(140)까지 매립된다.
상기 S60 단계를 통해 탑개구면(131)만 외부로 노출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 바텀플레이트 120 : 사이드플레이트
130 : 탑플레이트 140 : 입구프레임
150 : 수직보강부재 160 : 수평보강부재
170 : 사이드보강부재 180 : 제 1 결합플랜지
190 : 제 2 결합플랜지 200 : 끼움프레임
210 : 이너월 220 : 인서트월
230 : 인서트

Claims (1)

  1. 버림콘크리트 상측에 거치되는 바텀플레이트(110); 상기 바텀플레이트(110)의 상측에 결합되고, 측면을 제공하는 사이드플레이트(120); 상기 사이드플레이트(120) 상측에 결합되고, 상측면을 제공하는 탑플레이트(130): 상기 사이드플레이트(120)에 배치된 사이드보강부재(170);를 포함하는 집수정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지면을 굴토하는 단계;
    상기 굴토된 지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버림콘크리트(11)를 형성하는 단계(S10);
    상기 버림콘크리트(11) 상측면에 상기 바텀플레이트(110)를 지지하는 집수정베이스(300)를 설치하는 단계(S20);
    상기 집수정베이스(300) 상측에 FRP 재질의 상기 집수정을 배치하는 단계(S30);
    상기 사이드보강부재(170)가 상기 집수정의 수평보강부재(160)를 관통하도록 사이드보강부재(170)를 설치하는 단계(S40);
    상기 사이드보강부재(170)가 매립되도록, 상기 버림콘크리트(11) 상측 및 집수정의 외측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콘크리트(12)를 형성하는 단계(S50);
    상기 기초콘크리트(12)가 양생된 후, 상기 기초콘크리트(12) 상측에 그레이팅(13)을 형성시키는 단계(S60);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플레이트(120)는, 제 1 사이드월(121), 제 2 사이드월(122), 제 3 사이드월(123) 및 제 4 사이드월(124)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사이드월(121)은,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탑플레이트(130)와 일체로 형성된 제 1-1 사이드월(121a); 및 하측에 배치되어 바텀플레이트(110)와 일체로 형성된 제 1-2 사이드월(121b);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사이드월(122)은,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탑플레이트(130)와 일체로 형성된 제 2-1 사이드월(122a); 및 하측에 배치되어 바텀플레이트(110)와 일체로 형성된 제 2-2 사이드월(122b)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사이드월(123)은,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탑플레이트(130)와 일체로 형성된 제 3-1 사이드월(123a); 및 하측에 배치되어 바텀플레이트(110)와 일체로 형성된 제 3-2 사이드월(123b);를 포함하고,
    상기 제 4 사이드월(124)은,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탑플레이트(130)와 일체로 형성된 제 4-1 사이드월(124a); 및 하측에 배치되어 바텀플레이트(110)와 일체로 형성된 제 4-2 사이드월(124b)을 포함하고,
    상기 제 1-1 사이드월(121a), 제 2-1 사이드월(122a), 제 3-1 사이드월(123a) 및 제 4-1 사이드월(124a)의 각 하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연장된 제 1 결합플랜지(180)와, 제 1-2 사이드월(121b), 제 2-2 사이드월(122b), 제 3-2 사이드월(123b) 및 제 4-2 사이드월(124b)의 각 상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연장된 제 2 결합플랜지(19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결합플랜지(180) 및 제 2 결합플랜지(190)가 상하 방향으로 밀착되고,
    상기 S20 단계는,
    상기 버림콘크리트(11) 상측면에 로어베이스(310)를 배치하는 단계(S21);
    상기 로어베이스(310)의 상측에 서포트프레임(330)을 배치하는 단계(S22);
    상기 서포트프레임(330)을 사이에 두고,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제 1 어퍼베이스(321) 및 제 2 어퍼베이스(322)를 상기 로어베이스(310) 상측에 적층하는 단계(S23);를 포함하고,
    상기 S30 단계는,
    상기 제 1 어퍼베이스(321) 및 제 2 어퍼베이스(322) 상측에 로어집수정(101)을 거치하고, 상기 로어집수정(101)을 어퍼베이스(320)에 결합시키는 단계(S32);
    상기 S32 단계 이후에, 상기 로어집수정(101) 상측에 끼움프레임(200)을 거치하는 단계(S34);
    상기 S34 단계 이후에, 어퍼집수정(102)을 거치하는 단계(S36);
    상기 S36 단계 이후에, 상기 끼움프레임(200)의 인서트슬릿(226)에 인서트(230)를 삽입하여 상기 로어집수정(101) 및 어퍼집수정(102)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단계(S38);를 포함하는 집수정의 시공방법.
KR1020220063220A 2021-08-27 2022-05-24 집수정 시공방법 KR102567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3220A KR102567462B1 (ko) 2021-08-27 2022-05-24 집수정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4064A KR102411161B1 (ko) 2021-08-27 2021-08-27 집수정 시공방법
KR1020220063220A KR102567462B1 (ko) 2021-08-27 2022-05-24 집수정 시공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4064A Division KR102411161B1 (ko) 2021-08-27 2021-08-27 집수정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1770A KR20230031770A (ko) 2023-03-07
KR102567462B1 true KR102567462B1 (ko) 2023-08-17

Family

ID=8221664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4064A KR102411161B1 (ko) 2021-08-27 2021-08-27 집수정 시공방법
KR1020220063220A KR102567462B1 (ko) 2021-08-27 2022-05-24 집수정 시공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4064A KR102411161B1 (ko) 2021-08-27 2021-08-27 집수정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1116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6619B1 (ko) * 2017-02-22 2018-02-07 박정환 누수방지 기능을 가진 무부력 집수정의 설치구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3745A (ko) * 2007-10-30 2009-05-07 엄기형 강도가 보강된 집수정의 결합구조
KR101318957B1 (ko) 2010-08-25 2013-10-16 주식회사 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강도 보강형 집수정 및 집수정 설치 방법
KR101034611B1 (ko) 2010-11-15 2011-05-12 주식회사 서웅이엔씨 집수정 수위 조절장치
KR101451379B1 (ko) 2014-06-24 2014-10-23 (주)유송엔지니어링 Frp 수지를 이용한 집수정의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한 frp 집수정
KR101625902B1 (ko) 2015-11-10 2016-05-31 (주)행복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지하 집수정 구조
KR102252905B1 (ko) 2020-11-24 2021-05-17 주식회사 서광에프알피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집수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6619B1 (ko) * 2017-02-22 2018-02-07 박정환 누수방지 기능을 가진 무부력 집수정의 설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1770A (ko) 2023-03-07
KR102411161B1 (ko) 2022-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35325A (zh) 一种集约化的永久支护装配式地下室结构体系及施工方法
KR101283550B1 (ko) 전단키 결합방식의 조립식 프리캐스트 패널, 이를 이용한 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615614B1 (ko) 제주를 포함한 우수 집중 지역의 건축 구조물 시공방법
CN111456065A (zh) 拼装式预制砖胎膜
KR20120115704A (ko) 지반굴착 토공사용 흙막이 시공방법
KR102300618B1 (ko) 집수정
KR102567462B1 (ko) 집수정 시공방법
KR101300785B1 (ko) 강화 플라스틱 토류판
CN212670613U (zh) 一种抗浮预制沉井管片单元及沉井结构
KR100965795B1 (ko) 응용 합성형 가시설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708218B1 (ko) 하이브리드 지하 피트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US20030056460A1 (en) Engineered wall system
KR100627403B1 (ko) 고무튜브를 이용한 건축공사용 토류판 구조
KR101808833B1 (ko) 전단보강재를 사용한 층고절감형 지하층의 기초바닥구조 및 시공방법
CN205636750U (zh) 一种集约化的永久支护装配式地下室结构体系
KR101119651B1 (ko) 원형 phc말뚝을 이용한 집수구가 구비된 친환경 옹벽 및 그 시공공법
KR100880022B1 (ko) 조립식 pc 펌프장 맨홀
CN210177514U (zh) 支护结构
CN111851553A (zh) 一种抗浮预制沉井管片单元、沉井结构及其施工方法
CN1037286C (zh) 一种基坑支护结构及其施工方法
KR100592397B1 (ko) 층당지지 엄검지말뚝 흙막이공법
KR100823348B1 (ko) 강합성옹벽 시공방법
KR100883798B1 (ko) 집수정
KR102509305B1 (ko) 기초 일체형 프리캐스트 패널을 구비한 옹벽구조물
KR102625566B1 (ko) 원료 절감 및 시공단축이 가능한 고내식성 구조의 집수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