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7339B1 - 회생제동량 증가를 위한 변속기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회생제동량 증가를 위한 변속기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7339B1
KR102567339B1 KR1020210180704A KR20210180704A KR102567339B1 KR 102567339 B1 KR102567339 B1 KR 102567339B1 KR 1020210180704 A KR1020210180704 A KR 1020210180704A KR 20210180704 A KR20210180704 A KR 20210180704A KR 102567339 B1 KR102567339 B1 KR 102567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enerative braking
control method
increasing
transmission control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0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92074A (ko
Inventor
정제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to KR1020210180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7339B1/ko
Publication of KR20230092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2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7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73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change-speed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2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 B60K6/36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4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the architecture of the hybrid electric vehicle
    • B60K6/48Parallel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109Braking
    • B60W30/18127Regenerative br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5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36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 F16H59/38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of gear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36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 F16H59/44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dependent on machine speed of the machine, e.g.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3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vehicle conditions or values, not covered by groups B60W2510/00 or B60W2520/00
    • B60W2530/13Mile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2Hybri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생제동량 증가를 위한 변속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비향상을 달성하기 위한 회생제동량 증가를 위한 변속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하이브리드 차량의 회생제동량 증가를 위한 변속기 제어방법에 있어서, 브레이크 작동 판단단계(S10); 상기 브레이크의 제동토크가 기설정회생제동토크와 비교판단하는 제동토크 판단단계(S20); 상기 브레이크의 제동토크가 기설정회생제동토크보다 작은 경우 상기 차량의 속도와 시프트라인의 변속속도를 비교하는 차속 판단단계(S30); 상기 차량의 속도가 시프트라인의 변속속도 보다 작은 경우 브레이크 오프상태 또는 회생제동 종료를 판단하는 상황종료 판단단계(S40); 를 포함하되, 상기 차속 판단단계(S30)에서 상기 차량의 속도가 목표 기어단수(N)의 시프트라인 변속속도 보다 큰 경우에는 변속하지 않고 현재 단수를 유지하는 단수 유지단계(S31)를 수행하면서 회생제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생제동량 증가를 위한 변속기 제어방법을 제공하여, 고단 유지를 연장하여 회생제동 효율을 높이고 최종적으로 연비를 향상시키는 강점이 발휘된다.

Description

회생제동량 증가를 위한 변속기 제어방법{A transmission control method for increasing regenerative braking}
본 발명은 회생제동량 증가를 위한 변속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비향상을 달성하기 위한 회생제동량 증가를 위한 변속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이브리드 시스템에서 브레이크는 회생제동방식과 일반 브레이크인 유압제동 방식인 두 가지를 조합하여 사용한다.
일반 브레이크의 유압제동 방식에 비해 회생제동시의 브레이크 느낌은 다소 이질적일 수 있다.
한편, 특정 조건하에서는 유압제동을 하지 않고 회생제동만으로 제동력을 얻게 되는데, 브레이크 느낌(일정한 휠토크 인가)을 위해서 회생제동 토크는 저단으로 갈수록 낮아지게 된다.
즉, 종래 기술과 같은 회생제동 토크의 감소는 일정한 휠토크 인가를 통해 저단으로 갈수록 회생제동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특히 병렬형 하이브리드는 고단에서 저단으로 변속을 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병렬형 하이브리드는 변속기와 모터가 같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잦은 변속으로 인해 회생제동 효율이 낮은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내연기관 특성 상 제때 변속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시동꺼짐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차속이 줄어들수록 저단으로 변속해주어야 하는데, 내연기관 차량의 제동 토크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제동토크에 비해 훨씬 크다.
따라서, 변속기제어에 있어 유압을 많이 사용하게 되어 변속 충격 등으로 변속감이 매끄럽지 못한 단점이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종래의 회생제동 토크는 차속의 감소에 따라 단계적으로 저단으로 감소함을 알 수 있는데, 잦은 변속으로 인하여 변속감이 매끄럽지 못하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기계적 하향식 변속은 회생제동을 극대화하지 못하는단점을 가진다.
KR 2020-0071216 A1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단 유지를 연장하여 회생제동 효율을 높이고 최종적으로 연비를 향상시키는 것에 목적이 있다.
하이브리드 차량의 회생제동량 증가를 위한 변속기 제어방법에 있어서, 브레이크 작동 판단단계(S10); 상기 브레이크의 제동토크가 기설정회생제동토크와 비교판단하는 제동토크 판단단계(S20); 상기 브레이크의 제동토크가 기설정회생제동토크보다 작은 경우 상기 차량의 속도와 시프트라인의 변속속도를 비교하는 차속 판단단계(S30); 상기 차량의 속도가 시프트라인의 변속속도 보다 작은 경우 브레이크 오프상태 또는 회생제동 종료를 판단하는 상황종료 판단단계(S40); 를 포함하되, 상기 차속 판단단계(S30)에서 상기 차량의 속도가 목표 기어단수(N)의 시프트라인 변속속도 보다 큰 경우에는 변속하지 않고 현재 단수를 유지하는 단수 유지단계(S31)를 수행하면서 회생제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생제동량 증가를 위한 변속기 제어방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황종료 판단단계(S40)에서 상기 브레이크 오프상태가 아니거나 상기 회생제동 종료가 아닌 경우, 상기 브레이크 오프시 또는 상기 회생제동 종료시에 대응되는 상기 목표 기어단수(N)에 따른 기설정된 압력으로 상기 변속기를 예압하는 예압 제어단계(S4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생제동량 증가를 위한 변속기 제어방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예압 제어단계(S41)는 상기 현재 단수 보다 1개 단수가 적은 제1 단수의 결합요소에 대한 제1 예압단계(A1); 상기 제1 예압단계(A1) 이후 상기 제1 단수 보다 1개 단수가 적은 제2 단수의 결합요소에 대한 제2 예압단계(A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생제동량 증가를 위한 변속기 제어방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예압단계(A1)의 소요시간은 상기 제2 예압단계(A2)의 소요시간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생제동량 증가를 위한 변속기 제어방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표 기어단수(N)는 상기 현재 단수보다 3개 단수가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생제동량 증가를 위한 변속기 제어방법을 포함한다.
또한, 변속 시작은 상기 브레이크 오프 시점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생제동량 증가를 위한 변속기 제어방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동토크 판단단계(S20)에서 상기 브레이크의 제동토크가 기설정회생제동토크보다 작은 경우 상기 시프트라인에 따라 변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생제동량 증가를 위한 변속기 제어방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이브리드 차량은 병렬형 하이브리드 차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생제동량 증가를 위한 변속기 제어방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생제동량 증가를 위한 변속기 제어방법이 적용된 변속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변속기는 병렬형 하이브리드 차량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를 포함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고단 유지를 연장하여 회생제동 효율을 높이고 최종적으로 연비를 향상시키는 강점이 발휘된다.
둘째, 변속 최소화를 통한 변속감이 확보되는 장점이 있다.
셋째, 회생제동 효율 증대를 통한 연비 향상의 이점을 선사한다.
넷째, 브레이크 느낌에 이질감이 없이도 매끄러운 감속이 가능해지는 장점을 선사한다.
다섯 째, 고단 유지 후 해제하는 작동에 있어서 예압을 적용함으로써 변속 지연 현상의 해소 및 가속 지연 현상이 해소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
도 2는 종래기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회생제동 제어의 제1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회생제동 제어의 제2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회생제동 제어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시트프라인의 일 예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작동요소의 일 예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제 1, 제 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먼저 설명에 앞서 용어를 정리한다.
어느 기어단수에 대한 결합요소의 예압이라 함은 해당 기어단수로 체결되기 위해 미리 압력을 준비하는 동작이나 그에 수반되는 가압 매커니즘을 의미할 수 있다.
본 설명에서는 현재 주행단수가 6단이며, 목표 단수는 3단(N=3)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고 있음을 일러둔다.
N+3단이 체결된 상태로 주행하다가 N+2단의 결합요소의 예압을 적용하는 것은 실제로 N+2단이 체결된 것은 아니고 미리 N+2단에 대응되는 압력으로 변속 오일 압력을 셋팅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는 것이다. 즉, N+2단 결속에 위한 압력을 미리 준비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현재 6단 기어가 체결된 상태로 주행중에 5단 기어에 대한 제1 예압과 4단 기어에 대한 제2 예압을 차속의 감속에 대응되도록 순차적으로 준비하였다가, 3단 기어 단수에 대응되는 차속까지 감속되면 준비된 예압을 통해 곧바로 3단 체결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이다.
한편, 이 때 결합요소라 함은 변속기를 구성하고 있는 복수의 오버드라이브 클러치, 복수의 클러치 브레이크 등을 가리키며, 각 변속 단수는 복수의 오버드라이브 클러치와 복수의 클러치 브레이크의 조합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결합요소에 대하여는 도 7에 예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예를 들어 현재 단수가 6단인 경우 클러치 D와 클러치 E 그리고 클러치 C가 결합요소가 된다.
6단에서 5단으로 변속시 브레이크 B가 결합되고, 클러치 E는 해제되면서 변속이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회생제동 제어의 제1 모식도다.
A영역은 회생제동 토크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영역이며, B영역은 브레이크 오프 후 변속이 일어나는 영역이다.
A영역에서는 고단을 유지하고 있으며 변속을 수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회생제동 토크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한편, A영역에서 B영역으로 전환되는 시점은 브레이크 오프 시점이며, 변속 시작이 브레이크 오프 시점에서 일어나며, 이 때부터 변속이 저단으로 해당차속 목표단까지 수행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위와 같은 브레이크 오프 시점 직전과 직후의 변속제어가 도 4에 도시되고 있다.
예압제어 영역(100)은 A영역을 나타내고 있다.
예압단계(A)는 다시 제1 예압단계(A1)와 제2 예압단계(A2)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목표단수가 3단(N=3)이라 할 때, 도 4에서는 예압제어 영역(100) 영역에서 6단(N+3단)이 유지되고 있다.
이 때, 제1 예압단계(A1)에서는 5단(N+2단)의 결합요소의 예압이 적용되고 있게 되며, 제1 예압단계(A1)에서는 제1 결합요소의 예압단계가 적용될 수 있다.
제1 예압단계(A1) 이후에 제2 예압단계(A2)에서는 4단(N+1단)의 결합요소의 예압이 적용되고 있게 되며, 제2 예압단계(A2)에서는 제2 결합요소의 예압단계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변속영역(200)은 변속이 이루어지는 구간이다.
목표단수 영역(300)은 해당 차속에 대응되는 목표 단수인 3단(N단)으로 적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회생제동시의 변속 제어 방법은 고단인 N+3단을 계속적으로 유지하면서도, 동시에 N+2단의 변속을 위한 N+2단의 결합요소의 예압 수행과, N+1단의 변속을 위한 N+1단의 결합요소의 예압을 준비하고 있기 때문에 고단유지를 통한 회생토크의 극대화를 달성할 수 있어 회생에너지 수율이 극대화되는 강점이 발휘될 수 있다.
동시에 미리 목표 단수를 위한 준비 행위인 예압설정을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변속 시에도 굼뜸 현상이 사라져 쾌속의 변속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됨으로써 드라이빙의 퍼포먼스가 보장되는 강점이 발휘될 수 있는 것이다.
즉, 목표단수로의 변속 전환이 매우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변속 지연으로 인한 운전자의 심리적 답답함이 해소될 수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변속 방법에 대하여 도 5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술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변속 방법은 브레이크 작동 판단단계(S10), 제동토크 판단단계(S20), 변속단계(S21), 차속 판단단계(S30), 단수 유지단계(S31), 상황종료 판단단계(S40), 예압 제어단계(S41), 종료단계(S50)를 거칠 수 있다
브레이크 작동 판단단계(S10)가 만족되면 제동토크 판단단계(S20)가 수행되며, 제동토크 판단단계(S20)가 만족되면 차속 판단단계(S30)가 수행되고, 상황종료 판단단계(S40)가 만족되면 종료단계(S50)로 진행한다.
이 때, 제동토크 판단단계(S20)에서 만족되지 못하면 변속단계(S21)가 수행된다.
또한, 차속 판단단계(S30)에서 만족되지 못하면 단수 유지단계(S31)가 수행된다.
또한, 상황종료 판단단계(S40)에서 만족되지 못하면 예압 제어단계(S41)가 수행된다.
먼저, 브레이크 작동 판단단계(S10)는 브레이크가 작동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다.
제동토크 판단단계(S20)에서 토크가 기설정 회생제동 토크보다 작은지를 판단한다.
제동토크 판단단계(S20)는 브레이크의 제동토크가 기설정회생제동토크와 비교 판단하는 단계다.
이 때, 토크가 기설정 회생제동 토크보다 크게 되면 변속단계(S21)가 수행된다.
다시 말해, 제동토크 판단단계(S20)에서 브레이크의 제동토크가 기설정회생제동토크보다 작은 경우 도6과 같은 시프트라인에 따라 변속하게 된다.
차속 판단단계(S30)에서 차속이 목표 단수(N)에 대응되는 시프트라인 변속보다 느린지를 판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차속 판단단계(S30)는 브레이크의 제동토크가 기설정회생제동토크보다 작은 경우 차량의 속도와 시프트라인의 변속속도를 비교하는 단계이다.
이 때, 시프트라인은 기설정된 값으로서 변속기에 따라 정해질 수 있으며, 도 6은 그 중 일 예이다.
도 6에서의 점선이 바로 다운시프트 변속에 따른 시프트라인을 나타내고 있다.
만일 차속이 목표 단수에서의 시프트라인 속도보다 빠르다면 단수 유지단계(S31)가 수행된다.
다시 말해서, 단수 유지단계(S31)에서는 변속이 이루어지지 않고 예압제어 영역(100)처럼 현재의 단수가 유지된다.
상황종료 판단단계(S40)에서 차량의 속도가 시프트라인의 변속속도 보다 작은 경우 브레이크 오프상태 또는 회생제동 종료를 판단하게 된다.
상황종료 판단단계(S40)에서는 브레이크가 종료되지 않았거나 회생제동이 종료되지 않았다 판단되면 예압 제어단계(S41)가 수행된다.
예압 제어단계(S41)에서는 각 단의 결합요소에 맞는 예압을 제어하게 된다.
다시 말해, 예압 제어단계(S41)는 상황종료 판단단계(S40)에서 브레이크 오프상태가 아니거나 회생제동 종료가 아닌 경우, 브레이크 오프시 또는 회생제동 종료시에 대응되는 기어단수에 따른 기설정된 압력으로 미리 변속기를 예압 제어한다.
따라서, 브레이크 오프 시점에 이루어지는 변속이 즉각적이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기설정된 압력으로 미리 변속기를 예압제어하는 것은 목표 단수로의 신속한 변속을 위해 매우 효과적이다.
A1 : 제1 예압단계
A2 : 제2 예압단계
S10 : 브레이크 작동 판단단계
S20 : 제동토크 판단단계
S21 : 변속단계
S30 : 차속 판단단계
S31 : 단수 유지단계
S40 : 상황종료 판단단계
S41 : 예압 제어단계
S50 : 종료단계
100 : 예압제어 영역
200 : 변속영역
300 : 목표단수 영역

Claims (10)

  1. 하이브리드 차량의 회생제동량 증가를 위한 변속기 제어방법에 있어서,
    브레이크 작동 판단단계(S10);
    상기 브레이크의 제동토크가 기설정회생제동토크와 비교판단하는 제동토크 판단단계(S20);
    상기 브레이크의 제동토크가 기설정회생제동토크보다 작은 경우 상기 차량의 속도와 시프트라인의 변속속도를 비교하는 차속 판단단계(S30);
    상기 차량의 속도가 시프트라인의 변속속도 보다 작은 경우 브레이크 오프상태 또는 회생제동 종료를 판단하는 상황종료 판단단계(S40); 를 포함하되,
    상기 차속 판단단계(S30)에서 상기 차량의 속도가 목표 기어단수(N)의 시프트라인 변속속도 보다 큰 경우에는 변속하지 않고 현재 단수를 유지하는 단수 유지단계(S31)를 수행하면서 회생제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생제동량 증가를 위한 변속기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종료 판단단계(S40)에서 상기 브레이크 오프상태가 아니거나 상기 회생제동 종료가 아닌 경우, 상기 브레이크 오프시 또는 상기 회생제동 종료시에 대응되는 상기 목표 기어단수(N)에 따른 기설정된 압력으로 상기 변속기를 예압하는 예압 제어단계(S4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생제동량 증가를 위한 변속기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예압 제어단계(S41)는 상기 현재 단수 보다 1개 단수가 적은 제1 단수의 결합요소에 대한 제1 예압단계(A1);
    상기 제1 예압단계(A1) 이후 상기 제1 단수 보다 1개 단수가 적은 제2 단수의 결합요소에 대한 제2 예압단계(A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생제동량 증가를 위한 변속기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예압단계(A1)의 소요시간은 상기 제2 예압단계(A2)의 소요시간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생제동량 증가를 위한 변속기 제어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기어단수(N)는 상기 현재 단수보다 3개 단수가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생제동량 증가를 위한 변속기 제어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변속 시작은 상기 브레이크 오프 시점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생제동량 증가를 위한 변속기 제어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토크 판단단계(S20)에서 상기 브레이크의 제동토크가 기설정회생제동토크보다 작은 경우 상기 시프트라인에 따라 변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생제동량 증가를 위한 변속기 제어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차량은 병렬형 하이브리드 차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생제동량 증가를 위한 변속기 제어방법.
  9. 제1항의 회생제동량 증가를 위한 변속기 제어방법이 적용된 변속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기는 병렬형 하이브리드 차량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
KR1020210180704A 2021-12-16 2021-12-16 회생제동량 증가를 위한 변속기 제어방법 KR102567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0704A KR102567339B1 (ko) 2021-12-16 2021-12-16 회생제동량 증가를 위한 변속기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0704A KR102567339B1 (ko) 2021-12-16 2021-12-16 회생제동량 증가를 위한 변속기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2074A KR20230092074A (ko) 2023-06-26
KR102567339B1 true KR102567339B1 (ko) 2023-08-17

Family

ID=86947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0704A KR102567339B1 (ko) 2021-12-16 2021-12-16 회생제동량 증가를 위한 변속기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733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34671A (ja) 2016-08-31 2018-03-08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およびそ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9135A (ko) * 2007-11-13 2009-05-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시프트 패턴 결정방법
KR20190124438A (ko) * 2018-04-26 2019-11-05 주식회사 만도 하이브리드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2565356B1 (ko) 2018-12-10 2023-08-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 방법
KR20210072196A (ko) * 2019-12-06 2021-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34671A (ja) 2016-08-31 2018-03-08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およびそ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2074A (ko) 2023-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66616B2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nd control method therefore
US7549946B2 (en) Shift control apparatus and shift control method of automatic transmission of vehicle
US9200701B2 (en) Vehicle transmission apparatus
US9132823B2 (en) Coast stop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coast stop vehicle
KR101033755B1 (ko)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
EP2458196A1 (en) Controller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of vehicle
US20070117677A1 (en) Shift control device of vehicular automatic transmission
US8137241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transmission shift control
KR102565346B1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변속 제어방법
US20160230822A1 (en) Lockup clutch control device
KR101673814B1 (ko) 차량의 변속 제어방법
WO2011125612A1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US7632210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automatic transmission
US10550937B2 (en) Gear shift control device for vehicle transmission and gear shift control method for vehicle transmission
US11236824B2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KR20190066417A (ko) Dct 차량의 변속제어방법
KR102567339B1 (ko) 회생제동량 증가를 위한 변속기 제어방법
KR101927501B1 (ko) 타력 주행시의 중립 제어방법
US8190340B2 (en) Shift control device for automatic transmiss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530944B1 (ko) 하이브리드 dct차량용 변속 제어방법
US9028364B2 (en) Control device for automatic transmission
JP4967722B2 (ja) 車両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KR101664545B1 (ko) Amt의 변속 제어방법 및 장치
WO2019131154A1 (ja) 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4187026B2 (ja) 車両の制御装置、制御方法、その方法を実現する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