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7247B1 - 이쑤시개통 - Google Patents

이쑤시개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7247B1
KR102567247B1 KR1020220153688A KR20220153688A KR102567247B1 KR 102567247 B1 KR102567247 B1 KR 102567247B1 KR 1020220153688 A KR1020220153688 A KR 1020220153688A KR 20220153688 A KR20220153688 A KR 20220153688A KR 102567247 B1 KR102567247 B1 KR 102567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pick
motor
protrusion
opening
seat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3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희
이재복
Original Assignee
이병희
이재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희, 이재복 filed Critical 이병희
Priority to KR1020220153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72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7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7247B1/ko
Priority to PCT/KR2023/018198 priority patent/WO2024106887A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2Toothpick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2Toothpi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2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rod-shaped articles, e.g. nee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incompressible or rigid rod-shaped or tubular arti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Equipment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쑤시개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더 상세하게는 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다수개의 이쑤시개 중 어느 하나의 이쑤시개가 하나씩 취출구를 통해 취출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수납덮개(140)가 개폐 가능하게 상부에 설치되는 수납부(110)가 일측부에 형성되고, 타측부에는 수납부(110)와 연통되는 인출부(120)가 형성된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에 형성된 수납부(110)에 수납되어 보관중인 이쑤시개(900)가 안착되는 안착공(210)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타측 하부에는 결합홈(220)이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드이동판(200)과, 상기 슬라이드이동판(200)을 승하강시키면서 안착공(210)에 안착된 이쑤시개(900)가 인출부(120)에 위치되도록 이동시키는 이동수단(300)과, 상기 이동수단(300)에 의해 인출부(120)에 위치된 이쑤시개(900)가 세워지면서 인출부(120) 외부로 돌출시키는 돌출수단(400)으로 구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이쑤시개통{A toothpick box}
본 발명은 이쑤시개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더 상세하게는 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다수개의 이쑤시개 중 어느 하나의 이쑤시개가 하나씩 취출구를 통해 취출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쑤시개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이쑤시개통은 대부분 사기 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든 원통형 단지 또는 케이스로서, 이쑤시개를 그 안에 담아두었다가, 사용 시 케이스 뚜껑을 열고, 이쑤시개를 꺼내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이쑤시개통은 이쑤시개를 꺼내는 과정에서 손가락이 여러 개의 이쑤시개에 닿게 되어 위생상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쑤시개통의 케이스 뚜껑에 원형공을 형성하여, 상기 원형공을 통해 이쑤시개를 취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 역시도 상기 원형공의 내경이 이쑤시개의 외경보다 작으면 이쑤시개가 취출되지 않기 때문에 이쑤시개의 외경보다는 넓은 내경을 갖도록 형성시켜, 이쑤시개통의 케이스 내부에 보관중인 이쑤시개가 잘 취출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함으로써, 상기 이쑤시개를 케이스의 외부로 인출시 이쑤시개의 외경보다 넓은 외경을 가지고 있는 원형공으로 다수개의 이쑤시개가 동시에 인출되어 지게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74982호(등록일자 2005년 01월 26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수개의 이쑤시개를 케이스에 형성된 수납부에 보관하면서 하나의 이쑤시개만 정확하게 케이스의 외부로 취출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이쑤시개통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납덮개(140)가 개폐 가능하게 상부에 설치되는 수납부(110)가 일측부에 형성되고, 타측부에는 수납부(110)와 연통되는 인출부(120)가 형성된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에 형성된 수납부(110)에 수납되어 보관중인 이쑤시개(900)가 안착되는 안착공(210)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타측 하부에는 결합홈(220)이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드이동판(200)과, 상기 슬라이드이동판(200)을 승하강시키면서 안착공(210)에 안착된 이쑤시개(900)가 인출부(120)에 위치되도록 이동시키는 이동수단(300)과, 상기 이동수단(300)에 의해 인출부(120)에 위치된 이쑤시개(900)가 세워지면서 인출부(120) 외부로 돌출시키는 돌출수단(400)으로 구성되고, 상기 이동수단(300)은 인출부(120)로 부터 취출이 이루어지는 이쑤시개(900)의 취출상태에 따라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배터리(B)로 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작동이 이루어지는 모터(320)와, 상기 모터(320)로 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으며 정역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랙기어(310)로 구성되며,
상기 랙기어(310)의 전면에는 삽입돌기(311)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후면에는 접촉돌기(312)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접촉돌기(312)에 접촉되며 정역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캠(430)이 일측부에 형성된 샤프트(410)와, 상기 샤프트(410)의 타측부에 이쑤시개(900)가 수용되는 수용홈(421)을 가지며 고정되게 설치되는 수용부재(420)로 돌출수단(400)이 구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한편, 상기 수용부재(420)의 수용홈(421)에 이쑤시개(900)가 인입된 상태에서 이쑤시개(900)가 세워지도록 회전이 이루어지게되면 모터(320)와 전원선이 연결된 스위치접점(610)과 분리되면서 모터(320)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수용홈(421)에 인입된 이쑤시개(900)가 인출된 경우에는 모터(320)와 전원선이 연결된 스위치접점(610)과 연결되어 모터(320)를 구동시키는 스위치레버(600)가 작동가능하게 픽프레임(500) 하부에 설치됨을 밝혀 둔다.
또한, 상기 인출부(120)에는 안착공(210)을 통해 인출부(120)로 이송이 이루어진 이쑤시개(900)가 돌출수단(400)에 형성된 수용홈(421)에 안정적으로 안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이드부(510)가 일측부에 경사지게 형성된 픽프레임(500)이 설치됨을 밝혀 둔다.
한편, 상기 슬라이드이동판(200)의 일측부에는 수납부(110)에 수납되어 보관중인 이쑤시개(900)가 안정적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가이드돌기(720)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하부에 형성되고, 상부에는 가이드돌기(720) 의해 안내되면서 유입이 이루어진 이쑤시개(900)중 어느 하나의 이쑤시개(900)만 안착공(210)에 삽입시키는 삽입돌기(311)가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인입공(710)을 갖는 지지판(700)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수납부(110)에 보관중인 이쑤시개(900)가 가이드돌기(720)에 의해 안내되면서 인입공(710)에 유입된 후 인출돌기(730)에 의해 어느 하나의 이쑤시개(900)만 안착공(210)에 삽입이 이루어지면서 인출부(120)로 이동이 이루어지게 됨을 밝혀 둔다.
또한, 상기 케이스(100)에는 배터리(B)가 수용되는 배터리박스(130)가 인입출 가능하게 설치됨을 밝혀 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스의 수납부에 수용되어 보관중인 이쑤시개중 어느하나의 이쑤시개가 슬라이드이동판에 형성된 안착공에 인입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이동판이 상부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에 의해 인출부 방향에 위치되면 픽프레임에 형성된 가이드부를 따라 안내되면서 수용부재에 형성된 수용홈에 수용된 후 돌출수단이 회전되는 것에 의해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쑤시개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하나의 이쑤시개를 정확하게 인출부로 부터 취출해가면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쑤시개통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이쑤시개통의 수납부와 인출부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이쑤시개통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이쑤시개통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이쑤시개통의 슬라이드이동판이 상부로 슬라이드 이동된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이쑤시개통의 돌출수단이 랙기어의 후면에 형성된 접촉돌기에 접촉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인 이쑤시개통의 스위치레버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요부확대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인 이쑤시개통의 스위치레버가 접점으로 부터 떨어지도록 작동된 상태를 보인 요부확대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쑤시개통 보인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이쑤시개통의 수납부와 인출부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인 이쑤시개통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이쑤시개통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이며, 도 5는 본 발명인 이쑤시개통의 슬라이드이동판이 상부로 슬라이드 이동된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고, 도 6은 본 발명인 이쑤시개통의 돌출수단이 랙기어의 후면에 형성된 접촉돌기에 접촉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이며, 도 7은 본 발명인 이쑤시개통의 스위치레버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요부확대사시도 이고, 도 8은 본 발명인 이쑤시개통의 스위치레버가 접점으로 부터 떨어지도록 작동된 상태를 보인 요부확대사시도 이다.
본 발명인 이쑤시개통은 도 1 내지 도 8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수납덮개(140)가 개폐 가능하게 상부에 설치되는 수납부(110)가 일측부에 형성되고, 타측부에는 수납부(110)와 연통되는 인출부(120)가 형성된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에 형성된 수납부(110)에 수납되어 보관중인 이쑤시개(900)가 안착되는 안착공(210)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타측 하부에는 결합홈(220)이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드이동판(200)과, 상기 슬라이드이동판(200)을 승하강시키면서 안착공(210)에 안착된 이쑤시개(900)가 인출부(120)에 위치되도록 이동시키는 이동수단(300)과, 상기 이동수단(300)에 의해 인출부(120)에 위치된 이쑤시개(900)가 세워지면서 인출부(120) 외부로 돌출시키는 돌출수단(400)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이동수단(300)은 인출부(120)로 부터 취출이 이루어지는 이쑤시개(900)의 취출상태에 따라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배터리(B)로 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작동이 이루어지는 모터(320)와, 상기 모터(320)로 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으며 정역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랙기어(310)로 구성되며, 상기 랙기어(310)의 전면에는 삽입돌기(311)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후면에는 접촉돌기(312)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접촉돌기(312)에 접촉되며 정역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캠(430)이 일측부에 형성된 샤프트(410)와, 상기 샤프트(410)의 타측부에 이쑤시개(900)가 수용되는 수용홈(421)을 가지며 고정되게 설치되는 수용부재(420)로 돌출수단(40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용부재(420)의 수용홈(421)에 이쑤시개(900)가 인입된 상태에서 이쑤시개(900)가 세워지도록 회전이 이루어지게되면 모터(320)와 전원선이 연결된 스위치접점(610)과 분리되면서 모터(320)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수용홈(421)에 인입된 이쑤시개(900)가 인출된 경우에는 모터(320)와 전원선이 연결된 스위치접점(610)과 연결되어 모터(320)를 구동시키는 스위치레버(600)가 작동가능하게 픽프레임(500) 하부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 인출부(120)에는 안착공(210)을 통해 인출부(120)로 이송이 이루어진 이쑤시개(900)가 돌출수단(400)에 형성된 수용홈(421)에 안정적으로 안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이드부(510)가 일측부에 경사지게 형성된 픽프레임(50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이동판(200)의 일측부에는 수납부(110)에 수납되어 보관중인 이쑤시개(900)가 안정적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가이드돌기(720)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하부에 형성되고, 상부에는 가이드돌기(720) 의해 안내되면서 유입이 이루어진 이쑤시개(900)중 어느 하나의 이쑤시개(900)만 안착공(210)에 삽입시키는 인출돌기(730)가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인입공(710)을 갖는 지지판(700)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100)에는 배터리(B)가 수용되는 배터리박스(130)가 인입출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케이스(100)에 형성된 수납부(110)와 인출부(120) 사이에 이동수단(300)인 모터(320)로 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으며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드이동판(200)의 안착공(210)에 수납부(110)에 보관중인 이쑤시개(900)중 어느 하나의 이쑤시개(900)가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수단(300)에 의해 슬라이드이동판(200)이 상부로 슬라이드이동 된다.
이때, 상기 안착공(210)에는 지지판(700)에 형성된 가이드돌기(720)에 의해 안내되면서 인입공(710)을 통해 수납부(110)에 보관중인 이쑤시개(900)중 어느 하나의 이쑤시개(900)가 안착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드이동판(200)은 결합홈(220)에 삽입돌기(311)가 삽입된 상태에서 모터(320)로 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으며 회전이 이루어지는 랙기어(310)의 회전상태에 따라 상하부로 슬라이드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쑤시개(200)가 안착공(311)에 인입된 상태에서 슬라이드이동판(200)이 상부로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안착공(210)이 인출부(120) 방향에 위치되도록 상승되면, 상기 안착공(210)에 인입된 이쑤시개(900)는 인입공(710)의 상부에 형성된 인출돌기(730)에 의해 인출부(120) 방향으로 이쑤시개(900)가 인출되고, 상기 인출부(120) 방향으로 인출된 이쑤시개(900)는 픽프레임(500)의 가이드부(510)을 따라 이동되면서 돌출수단(400)인 수용부재(420)의 수용홈(421)에 인입된다.
상기 수용홈(421)에 이쑤시개(900)가 인입된 후에는 돌출수단(400)인 캠(430)이 랙기어(310)에 형성된 접촉돌기(312)와 접촉되는 것에 의해 샤프트(410)가 회전되고, 상기 샤프트(410)가 회전되는 양만큼 수용부재(420)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세워지게 되며, 상기 수용부재(420)가 세워지는 것에 의해 수용홈(421)에 인입된 이쑤시개(900)도 동시에 세워지도록 회전된다.
이로인해 이쑤시개(900)가 인출부(120)의 외부로 상부가 노출되도록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이쑤시개(900)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인출부(120)로 부터 이쑤시개(900)를 취출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이쑤시개(200)가 인출부(120)로 부터 인출되면 모터(320)가 타측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에 의해 캠(430)이 랙기어(310)에 형성된 접촉돌기(312)와 접촉된 상태로 샤프트(410)가 회전되고, 상기 샤프트(410)가 회전되는 양만큼 수용부재(420)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어 원래위치로 원상복귀되면서 수용홈(421)에 픽프레임(500)의 가이드부(510)을 따라 이동되는 이쑤시개(900)가 인입될 수 있도록 누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모터(320)로 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으며 회전이 이루어지는 랙기어(310)의 삽입돌기(311)가 결합홈(220)에 삽입되어 있는 슬라이드이동판(200)은 하부로 이동되면서 원래위치로 원상복귀되어, 지지판(700)에 형성된 가이드돌기(720)를 따라 안내되면서 인입공(710)으로 인입되는 이쑤시개(900) 중 어느 하나의 이쑤시개(900)가 안착공(210)에 인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용부재(420)에 형성된 수용홈(421)은 이쑤시개(90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하여, 상기 이쑤시개(900)가 픽프레임(500)의 가이드부(510)을 타고 구름운동이 이루어지는 경우 보다 용이하게 수용홈(421)에 인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이동판(200)에 형성된 안착공(210)의 내경은 이쑤시개(90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하여, 상기 안착공(210)에 보다 원활하게 수납부(110)에 보관중인 이쑤시개(900)가 원활하게 인입될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안착공(210)은 인출부(120)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안착공(210)에 인입이 이루어진 이쑤시개(900)가 보다 원할하게 인출부(120) 방향으로 인출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이동판(200)에 의해 인출부(120)로 이동되면서 이쑤시개(900)의 취출이 이루어지도록 모터(320)를 작동시키는 스위치(800)는 인출부(120)로 부터 이쑤시개(900)가 취출되면 모터(320))가 구동되도록 작동되고, 상기 이쑤시개(900)가 인출부(120)에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수용부재(420)의 수용홈(421)에 인입된 상태에서는 모터(320)가 구동되지 않도록 작동된다.
한편, 상기 인출부(120)에는 이쑤시개(900)가 세워진 상태에서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면을 갖는 인출공(151)이 절개되게 형성되어 있는 인출덮개(150)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상기 인출부(120)로 유입이 이루어진 이쑤시개(900)의 외측면이 수용부재(420)의 수용홈(421) 내측면과 인출덮개(150)의 인출공(151)의 내측면에 접촉 지지되면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100 : 케이스
110 : 수납부
120 : 인출부
140 : 수납덮개
200 : 슬라이드이동판
210 : 안착공
220 : 결합홈
300 : 이동수단
310 : 랙기어
311 : 삽입돌기
312 : 접촉돌기
320 : 모터
400 : 돌출수단
410 : 샤프트
420 : 수용부재
421 : 수용홈
430 : 캠
900 : 이쑤시개

Claims (5)

  1. 수납덮개(140)가 개폐 가능하게 상부에 설치되는 수납부(110)가 일측부에 형성되고, 타측부에는 수납부(110)와 연통되는 인출부(120)가 형성된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에 형성된 수납부(110)에 수납되어 보관중인 이쑤시개(900)가 안착되는 안착공(210)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타측 하부에는 결합홈(220)이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드이동판(200)과,
    상기 결합홈(220)에 랙기어(310)의 삽입돌기(311)가 결합되어 슬라이드이동판(200)을 승하강시키면서 안착공(210)에 안착된 이쑤시개(900)가 인출부(120)에 위치되도록 이동시키는 이동수단(300)과,
    상기 이동수단(300)에 의해 인출부(120)에 위치된 이쑤시개(900)가 세워지면서 인출부(120) 외부로 돌출시키는 돌출수단(400)으로 구성되고,
    상기 이동수단(300)은 인출부(120)로 부터 취출이 이루어지는 이쑤시개(900)의 취출상태에 따라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배터리(B)로 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작동이 이루어지는 모터(320)와,
    상기 모터(320)로 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으며 정역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랙기어(310)로 구성되며, 상기 랙기어(310)의 전면에는 삽입돌기(311)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후면에는 접촉돌기(312)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접촉돌기(312)에 접촉되며 정역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캠(430)이 일측부에 형성된 샤프트(410)와, 상기 샤프트(410)의 타측부에 이쑤시개(900)가 수용되는 수용홈(421)을 가지며 고정되게 설치되는 수용부재(420)로 돌출수단(400)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쑤시개통.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120)에는 안착공(210)을 통해 인출부(120)로 이송이 이루어진 이쑤시개(900)가 돌출수단(400)에 형성된 수용홈(421)에 안정적으로 안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이드부(510)가 일측부에 경사지게 형성된 픽프레임(50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쑤시개통.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픽프레임(500)의 하부에는 수용부재(420)의 수용홈(421)에 이쑤시개(900)가 인입된 상태에서 이쑤시개(900)가 세워지도록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면 모터(320)와 전원선이 연결된 스위치접점(610)과 분리되면서 모터(320)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수용홈(421)에 인입된 이쑤시개(900)가 인출된 경우에는 모터(320)와 전원선이 연결된 스위치접점(610)과 연결되어 모터(320)를 구동시키는 스위치레버(600)가 작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쑤시개통.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이동판(200)의 일측부에는 수납부(110)에 수납되어 보관중인 이쑤시개(900)가 안정적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가이드돌기(720)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하부에 형성되고, 상부에는 가이드돌기(720) 의해 안내되면서 유입이 이루어진 이쑤시개(900)중 어느 하나의 이쑤시개(900)만 안착공(210)에 삽입시키는 인출돌기(730)가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인입공(710)을 갖는 지지판(70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쑤시개통.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에는 배터리(B)가 수용되는 배터리박스(130)가 인입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쑤시개통.
KR1020220153688A 2022-11-16 2022-11-16 이쑤시개통 KR102567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3688A KR102567247B1 (ko) 2022-11-16 2022-11-16 이쑤시개통
PCT/KR2023/018198 WO2024106887A1 (ko) 2022-11-16 2023-11-13 이쑤시개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3688A KR102567247B1 (ko) 2022-11-16 2022-11-16 이쑤시개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7247B1 true KR102567247B1 (ko) 2023-08-14

Family

ID=87565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3688A KR102567247B1 (ko) 2022-11-16 2022-11-16 이쑤시개통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67247B1 (ko)
WO (1) WO202410688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83087A (zh) * 2023-10-20 2024-01-12 铁鑫工程检测有限公司 一种用于多通道超声测桩仪的多功能收纳盒
WO2024106887A1 (ko) * 2022-11-16 2024-05-23 이병희 이쑤시개통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4982Y1 (ko) 2004-07-07 2005-02-04 김영숙 자동 이쑤시개 통
KR102167302B1 (ko) * 2020-02-17 2020-10-20 이병희 이쑤시개통
KR20210112612A (ko) * 2020-03-05 2021-09-15 이재복 이쑤시개통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5325Y1 (ko) * 1989-06-30 1993-08-13 주식회사 금성사 래치구조가 없는 전자레인지
KR102465100B1 (ko) * 2020-08-18 2022-11-08 홍기용 이쑤시개 디스펜서
KR102567247B1 (ko) * 2022-11-16 2023-08-14 이병희 이쑤시개통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4982Y1 (ko) 2004-07-07 2005-02-04 김영숙 자동 이쑤시개 통
KR102167302B1 (ko) * 2020-02-17 2020-10-20 이병희 이쑤시개통
KR20210112612A (ko) * 2020-03-05 2021-09-15 이재복 이쑤시개통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06887A1 (ko) * 2022-11-16 2024-05-23 이병희 이쑤시개통
CN117383087A (zh) * 2023-10-20 2024-01-12 铁鑫工程检测有限公司 一种用于多通道超声测桩仪的多功能收纳盒
CN117383087B (zh) * 2023-10-20 2024-02-09 铁鑫工程检测有限公司 一种用于多通道超声测桩仪的多功能收纳盒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106887A1 (ko) 2024-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7247B1 (ko) 이쑤시개통
US7063238B2 (en) Cartridge ejector for a beverage dispensing machine
US8161767B2 (en) Ice making apparatus of refrigerator
KR102167302B1 (ko) 이쑤시개통
AU754534B2 (en) Card dispenser
US20040031810A1 (en) Article dispenser
CN217239635U (zh) 一种蓄电池安装用顶起结构的储存盒
KR101885499B1 (ko) 슬라이드 방식의 음료컵 배출장치
KR200294027Y1 (ko) 용기의 뚜껑개폐장치
KR102360732B1 (ko) 이쑤시개통
CN217812927U (zh) 一种汽车手套箱锁机构
KR102310539B1 (ko) 이쑤시개통
CN110811104B (zh) 一种收纳盒
KR102034450B1 (ko) 카드 수납 및 자동 배출을 겸하는 휴대폰 백 커버
KR20220041640A (ko) 이쑤시개통
KR880003424Y1 (ko) 비디오 테이프 레토오더의 도어 개폐 장치
KR200169425Y1 (ko) 1회용 소변검사시험지 자동판매기
KR100287078B1 (ko) 담배 인출장치
KR970000762Y1 (ko) 상부인출쌀통의 인출개폐 및 투입구
CN215711666U (zh) 电动青霉素瓶铝盖开口机
CN215400083U (zh) 一种方便开盖的胶囊型密封糖罐
KR102438623B1 (ko) 뚜껑 개폐형 박스의 스윙 자동 개폐 시스템
CN218127625U (zh) 一种方便移动的书柜
US20230084043A1 (en) Disposable Lid Dispenser Assembly
KR20220133459A (ko) 이쑤시개 공급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