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7086B1 - Digressive load limiter - Google Patents

Digressive load limi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7086B1
KR102567086B1 KR1020210067461A KR20210067461A KR102567086B1 KR 102567086 B1 KR102567086 B1 KR 102567086B1 KR 1020210067461 A KR1020210067461 A KR 1020210067461A KR 20210067461 A KR20210067461 A KR 20210067461A KR 102567086 B1 KR102567086 B1 KR 1025670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spool
unit
webbing
conn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74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59631A (en
Inventor
김주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Priority to KR1020210067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7086B1/en
Publication of KR20220159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96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7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70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41Belt retractors, e.g. reels comprising energy-absorb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6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60R22/4619Transmission of tensioning power by cable, e.g. using a clutch on reel side
    • B60R22/4623Transmission of tensioning power by cable, e.g. using a clutch on reel side the cable being pulled by mechanical means, e.g. pre-stressed springs, bumper displacement during cra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디그레시브 로드리미터는, 외부로부터 충격이 발생될 경우 프리텐셔너가 동작하여 웨빙이 감겨있는 스풀의 일단부에 연결된 파일럿 휠을 고정하는 리트렉터의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이 기설정된 하중을 초과하는 것을 조절하는 로드리미터로서, 스풀의 중앙부에 형성된 중공부에 장착되어,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이 제1 하중에 도달하면 비틀려지면서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을 제한하는 토션바, 및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이 제1 하중보다 낮은 제2 하중이 될 때까지 스풀과 파일럿 휠의 상대 회전을 억제함으로써, 제1 하중을 상승시키는 초기하중증가부를 포함한다.In the progressive load limi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impact is generated from the outside, the pretensioner operates to fix the pilot wheel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pool on which the webbing is wound. As a load limiter that controls whether the load acting on the webbing exceeds a predetermined load, it is installed in the hollow part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pool, and when the load acting on the webbing reaches the first load, the load acting on the webbing is twisted. and an initial load increasing unit that increases the first load by suppressing relative rotation of the spool and the pilot wheel until the load acting on the webbing becomes a second load lower than the first load.

Description

디그레시브 로드리미터 {DIGRESSIVE LOAD LIMITER}Degressive load limiter {DIGRESSIVE LOAD LIMITER}

본 발명은 디그레시브 로드리미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프리텐셔너 작동과 로드리미터 작동을 분리시켜 오버슛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리트렉터에 마련되어, 로드리미터가 동작하는 초기 작동하중을 상승시킬 수 있는 초기하중증가부가 마련된 디그레시브 로드리미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gressive load limi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tractor capable of preventing an overshoot phenomenon by separating a pretensioner operation and a load limiter operation, thereby increasing the initial operating load at which the load limiter operates. It relates to a progressive load limiter provided with an initial load increasing unit.

차량 또는 기구에 사람이 탑승하는 경우, 차량 간 또는 다른 물체와의 충돌에 의하여 탑승한 사람이 차량 또는 기구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여러 가지의 안전장치 중 하나인 시트 벨트(Seat Belt)를 이용하여 차량 또는 기구에 탑승한 사람의 하복부와 흉부를 시트에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다.When a person rides in a vehicle or device, a seat belt, which is one of several safety devices, is used to prevent the person on board from escaping from the vehicle or device due to collision between vehicles or other objects. Thus, it is possible to stably fix the lower abdomen and chest of a person riding in a vehicle or appliance to the seat.

그러나 차량 간 또는 다른 물체와의 충돌의 정도가 기준 이상으로 증가하여 시트 벨트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기도 하며, 이와 같은 경우 차량 또는 기구에 탑승한 사람의 안전을 해하게 된다.However, the degree of collision between vehicles or other objects increases beyond a standard, and seat belts do not function properly.

따라서 차량 간 또는 다른 물체와의 충돌의 정도가 큰 경우에도 시트 벨트가 제 기능을 발휘하도록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현재 각광받고 있는 기술이 리트랙터(Retractor)이다.Therefore, various technologies are being developed to enable seat belts to function properly even when the degree of collision between vehicles or with other objects is high, and among them, a retractor is currently in the spotlight.

구체적으로 리트랙터에는 차량 간 또는 다른 물체와의 충돌 시 시트 벨트의 웨빙(Webbing)을 인입시킴으로써 시트 벨트의 기능 및 효과를 높여주는 프리텐셔너(Pre-Tensioner)와, 프리텐셔너가 작동한 이후에 웨빙이 더 이상 인출되지 못하도록 스풀의 일측을 록킹시키는 ELR 작동부(Emergency Locking Retractor Operating Part)가 구비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retractor includes a pre-tensioner that enhances the function and effect of the seat belt by retracting the webbing of the seat belt in the event of a collision between vehicles or other objects, and the webbing after the pre-tensioner operates. An ELR operation unit (Emergency Locking Retractor Operating Part) locking one side of the spool to prevent it from being drawn out may be provided.

이러한 프리텐셔너와 ELR 작동부의 작동은 프리텐셔너는 가스가 폭발할 때 발생되는 에너지를 이용하여 실린더 내에 위치한 피스톤을 작동시키고, 피스톤이 작동됨에 따라 피스톤과 연계된 구조가 작동되어 스풀을 역회전시킴으로써, 탑승자의 전방 이동을 제한하는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다.The operation of the pretensioner and the ELR operation unit operates the piston located in the cylinder using the energy generated when the gas explodes, and as the piston operates, the structure associated with the piston operates to reverse the spool, thereby increasing the safety of the occupant. It can work in a way that limits forward movement.

그러나 프리텐셔너에서 가스가 폭발한 이후에 실린더 내에 잔류하는 가스로 인해, 프리텐셔너에서 가스가 폭발한 이후에 실린더 내에 잔류하는 가스로 인해, 탑승자에 작용하는 하중에 급격하게 증가하는 현상인 오버슛(Overshoot)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However, due to the gas remaining in the cylinder after the gas explodes in the pretensioner, overshoot, a phenomenon in which the load acting on the occupant increases rapidly due to the gas remaining in the cylinder after the gas explodes in the pretensioner phenomena may occur.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리트렉터는 프리텐셔너의 구성 중 기어이가 형성된 랙이 가스발생장치에서 발생된 폭발력으로 피니언(A1)과 맞물리는 구조를 가지므로, 상술한 오버슛 현상이 야기되고 토션바(A2), 로드폼(A3)를 포함하는 로드리미터(Digressive Load Limiter, 이하 DLL)의 초기 작동 하중이 기설정된 하중에서 산포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retractor has a structure in which a rack having gear teeth amo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tensioner is engaged with the pinion A1 by the explosive force generated in the gas generator, so the above-described overshoot phenomen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itial operating load of the load limi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DLL) including the torsion bar A2 and the rod form A3 may be distributed from a predetermined load.

최근에는 프리텐셔너 작동과 로드리미터 작동을 분리시켜 오버슛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스풀의 일단부에 연결된 파일럿 휠을 고정하는 방식(Sealed PT System)으로 마련된 리트렉터에 상술한 DLL을 접목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Recently, in order to separate the operation of the pretensioner and the operation of the load limiter to prevent an overshoot phenomenon, a study has been conducted in which the above-mentioned DLL is grafted onto a retractor prepared by fixing a pilot wheel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pool (Sealed PT System). is actively underway.

그러나 Sealed PT System 방식의 리트렉터에 상술한 DLL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전체 사이즈 및 중량의 증가가 불가피하며, DLL의 파일럿 휠과 스풀 사이에 와이어 형태의 로드폼(Load Form)과 같이, 로드리미터의 초기 작동하중을 상승시키는 부재를 배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order to implement the DLL described above in the retractor of the Sealed PT System method, an increase in overall size and weight is inevitable. There is a problem that a member that increases the operating load cannot be dispos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프리텐셔너 작동과 로드리미터 작동을 분리시켜 오버슛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리트렉터에 마련되어, 로드리미터가 동작하는 초기 작동하중을 상승시킬 수 있는 초기하중증가부가 마련된 디그레시브 로드리미터를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provided in a retractor capable of preventing the overshoot phenomenon by separating the pretensioner operation and the load limiter operation, An initial load that can increase the initial operating load at which the load limiter operates It is a challenge to provide a progressive load limiter with an increasing portion.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asks mentioned above, and other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디그레시브 로드리미터는, 외부로부터 충격이 발생될 경우 프리텐셔너가 동작하여 웨빙이 감겨있는 스풀의 일단부에 연결된 파일럿 휠을 고정하는 리트렉터의 상기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이 기설정된 하중을 초과하는 것을 조절하는 디그레시브 로드 리미터로서, 상기 스풀의 중앙부에 형성된 중공부에 장착되어, 상기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이 제1 하중에 도달하면 비틀려지면서 상기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을 제한하는 토션바; 및 상기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이 상기 제1 하중보다 낮은 제2 하중이 될 때까지 상기 스풀과 상기 파일럿 휠의 상대 회전을 억제함으로써, 상기 제1 하중을 상승시키는 초기하중증가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ogressive load limit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tractor for fixing a pilot wheel connected to one end of a spool on which a webbing is wound by operating a pretensioner when an impact is generated from the outside As a progressive load limiter for controlling the load acting on the webbing to exceed a predetermined load, it is mounted in the hollow formed in the central part of the spool, and when the load acting on the webbing reaches a first load, it is twisted and a torsion bar limiting the load acting on the webbing; and an initial load increasing unit configured to increase the first load by suppressing relative rotation of the spool and the pilot wheel until the load acting on the webbing becomes a second load lower than the first load.

상기 초기하중증가부는, 상기 스풀의 중앙부에 형성된 중공부에서 상기 토션바를 감싸며 일단이 상기 파일럿 휠에 고정되는 연결유닛; 및 일측이 상기 스풀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연결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이 상기 제1 하중에 도달하면 상기 토션바와 함께 변형되다가 상기 제2 하중에 도달하면 상기 연결유닛과의 연결이 해제되는 와이어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itial load increasing unit may include a connection unit having one end fixed to the pilot wheel and surrounding the torsion bar in a hollow portion forme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spool; And one side is fixed to the spool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unit, and when the load acting on the webbing reaches the first load, it is deformed along with the torsion bar and when it reaches the second load, it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unit. It may include a wire unit that is released.

또한 상기 연결유닛은, 일단이 상기 파일럿 휠에 고정되는 중공관으로 마련되며, 외주면에 형성된 연결영역에 상기 와이어유닛이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unit is provided as a hollow tube having one end fixed to the pilot wheel, and the wire unit may be connected to a connection area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또한 상기 연결영역은, 상기 연결유닛의 타단으로 상기 와이어유닛이 인입되거나 이탈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유닛의 타단에서 일단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area may be formed long in one direction from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unit so that the wire unit can be drawn in or removed from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unit.

이때 상기 연결영역은, 상기 연결유닛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nection area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unit.

구체적으로 상기 와이어유닛은, 상기 스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영역에 인입되며, 상기 제2 하중에서 상기 연결유닛으로부터 이탈되는 로드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wire unit may include a fixing member fixed to the spool; and a rod form member connected to the fixing member, introduced into the connection area, and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unit under the second load.

또한 상기 로드폼부재는, 상기 제1 하중에서 상기 연결영역을 따라서 상기 연결유닛의 타측으로 이동하다가 상기 제2 하중에서 상기 연결영역에서 이탈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d form member may move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unit along the connection area under the first load, and then depart from the connection area under the second load.

또한 상기 로드폼부재는, 상기 연결영역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를 기준으로 대칭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d form member may be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area and provided in a symmetrical shape with respect to the fixing member.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로드폼부재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고 상기 스풀에 삽입되며, 양단에 상기 로드폼부재가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member has a length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d form member and is inserted into the spool, and both ends of the rod form member may be connected.

한편 상기 와이어유닛은, 이탈되는 상기 로드폼부재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스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wire unit may further include a guide member for preventing the fixing membe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pool by the rod form member being separated.

본 발명의 디그레시브 로드리미터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ogressive load limi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are obtained.

첫째, 외부로부터 충격이 발생될 경우 프리텐셔너가 동작하여 웨빙이 감겨있는 스풀의 일단부에 연결된 파일럿 휠을 고정하는 방식((Sealed PT System)의 리트렉터에서도 로드리미터의 초기 작동하중을 상승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First, when an external shock occurs, the pretensioner operates to fix the pilot wheel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pool on which the webbing is wound (even in a retractor of a sealed PT system,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initial operating load of the load limiter. There are advantages.

둘째, 가스 제네레이터의 가스 잔압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Second, there is an advantage of minimizing the effect of the gas residual pressure of the gas generator.

셋째, 이에 따라 운전자의 신체 상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ird, there is an advantage in minimizing bodily injury to the driver.

넷째, 그 구조가 간단하여 동작의 신뢰성이 높고, 제작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Fourth, the structure is simple, the operation reliability is high, and the manufacturing is easy.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디그레시브 로드리미터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그레시브 로드리미터가 장착된 리트렉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그레시브 로드리미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그레시브 로드리미터의 연결유닛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그레시브 로드리미터의 와이어유닛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그레시브 로드리미터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6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디그레시브 로드리미터의 하중그래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The above summary, as well a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set forth below, will be better understood when read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are shown in the drawing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cise arrangements and instrumentalities shown.
1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progressive load limit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retractor equipped with a progressive load limi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progressive load limi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unit of a progressive load limi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wire unit of a progressive load limi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ng state of a progressive load limi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iagram showing a load graph of a progressive load limiter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FIG. 6 .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in detai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name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 are used for the same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디그레시브 로드리미터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그레시브 로드리미터가 장착된 리트렉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그레시브 로드리미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그레시브 로드리미터의 연결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그레시브 로드리미터의 와이어유닛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그레시브 로드리미터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6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디그레시브 로드리미터의 하중그래프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progressive load limit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retractor equipped with a progressive load limi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on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progressive load limi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unit of a progressive load limi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showing a wire unit of a progressive load limiter, FIG.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progressive load limi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degressive load limiter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FIG. This is a diagram showing the load graph of the load limiter.

도 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그레시브 로드리미터(10)는 크게 토션바(100), 초기하중증가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and 3 , the progressive load limit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largely include a torsion bar 100 and an initial load increasing unit 200 .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그레시브 로드리미터(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오버슛 현상을 제거하기 위해서 외부로부터 충격이 발생될 경우 프리텐셔너가 동작하여 웨빙이 감겨있는 스풀(S)의 일단부에 연결된 파일럿 휠(P)이 고정되는 리트렉터(1), 즉, Sealed PT System 방식의 리트렉터(1)에 배치되어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이 기설정된 하중을 초과하여 탑승자에게 상해가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irst, in the progressive load limit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in order to eliminate the above-mentioned overshoot phenomenon, when an external shock is generated, the pretensioner operates to the spool around which the webbing is wound. The pilot wheel (P) connected to one end of (S) is disposed in the retractor (1), that is, the retractor (1) of the Sealed PT System type, and the load acting on the webbing exceeds the preset load, so the occupant injury can be prevented.

먼저 토션바(100)는 스풀(S)의 중앙부에 형성된 중공부에 배치되어 일측이 스풀(S)에 장착되고 타측이 파일럿 휠(P)과 연결될 수 있다.First, the torsion bar 100 is disposed in a hollow part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pool (S), so that one side may be mounted on the spool (S) and the other side may be connected to the pilot wheel (P).

이때 스풀(S)과 파일럿 휠(P) 사이에는 스풀베어링(SB)이 마련되어 상대 회전에 대한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a spool bearing (SB) is provided between the spool (S) and the pilot wheel (P) to reduce the frictional force for relative rotation.

구체적으로 토션바(100)는 스풀(S)의 중앙부에 형성된 중공부에서 스풀(S)의 회전축과 동축을 가질 수 있으며, 외부 충격으로 인해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이 제1 하중에 도달하면 비틀려지면서 스풀(S)을 회전시켜,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이 제1 하중을 넘지못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torsion bar 100 may have a rotational axis and coaxiality of the spool (S) in the hollow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pool (S), and when the load acting on the webbing due to external impact reaches the first load, it is twisted. By rotating the spool (S) while holding it, it is possible to limit the load acting on the webbing so that it does not exceed the first load.

예를 들어 외부에서 충격으로 인해 프리텐셔너가 동작 후 파일럿휠은 고정되고, 토션바(100)에 의해 연결된 스풀(S)도 고정되게 된다. 그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관성에 의해 탑승자의 몸이 앞으로 쏠리면서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이 점점 상승하여 제1 하중에 도달되게 된다.For example, after the pretensioner operates due to external impact, the pilot wheel is fixed, and the spool (S) connected by the torsion bar 100 is also fixed. After that, as time elapses, the occupant's body leans forward due to inertia, and the load acting on the webbing gradually rises to reach the first load.

상술한 바와 같이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이 제1 하중에 도달하게 되면, 토션바(100)가 비틀려지면서 스풀(S)을 회전시킴으로써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이 제1 하중을 넘지 못하고 소정 시간동안 유지되게 만들어 웨빙으로 인해 탑승자가 상해를 입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load acting on the webbing reaches the first load, the torsion bar 100 is twisted and rotates the spool (S) so that the load acting on the webbing does not exceed the first load and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ituation in which an occupant is injured due to the webbing.

즉 다시 말하면, 제1 하중은 디그레시브 로드리미터(10)가 동작하게 되는 초기 작동하중일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first load may be an initial operating load at which the progressive load limiter 10 operates.

여기서 상술한 토션바(100)는 외부의 충격으로 인한 충돌력이 사라지기 전에 2회 비틀릴 수 있으며, 파손되지 직전까지 5내지 6회 비틀리도록 마련될 수 있다.Here, the above-described torsion bar 100 may be twisted twice before the collision force due to external impact disappears, and may be twisted 5 to 6 times until just before being broken.

또한 토션바(100)는 경우에 따라 초기 작동하중을 높일 수 있도록 강철 재질로 마련할 수 있으며, 이때 토션바(100)는 파손되기 직전까지 7 내지 8회까지 비틀릴 수 있다.In addition, the torsion bar 100 may be provided with a steel material to increase the initial operating load in some cases, and at this time, the torsion bar 100 may be twisted up to 7 to 8 times until just before breakage.

또한 토션바(100)는 상술한 스풀(S)의 회전축을 따라 길이를 가지고 일측과 타측의 외주면에서 각각 중심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환형의 연결편이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orsion bar 100 has a length along the rotational axis of the above-described spool (S), and annular connecting pieces protruding outward from the center may be provided o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one side and the other side, respectively.

또한 연결편에는 중심축 방향으로 형성된 홈이 외주면을 따라 소정 간격 배열되고 각각 스풀(S)과 파일럿 휠(P)에 맞물려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grooves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of the connection piece are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may be engaged and fixed to the spool (S) and the pilot wheel (P), respectively.

이때 상술한 구조의 리트렉터(1)에서, 토션바(100) 단독일 때보다 높은 레벨의 초기 작동하중을 가지기 위해서 본 발명의 디그레시브 로드리미터(10)는 초기하중증가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retractor 1 of the above structure, in order to have a higher level of initial operating load than the torsion bar 100 alone, the progressive load limit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itial load increasing unit 200 can do.

구체적으로 초기하중증가부(200)는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술한 제1 하중보다 낮은 제2 하중이 될 때까지 스풀(S)과 파일럿 휠(P)의 상대 회전을 억제함으로써, 제1 하중을 상승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the initial load increasing unit 200 suppresses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spool (S) and the pilot wheel (P) until the load acting on the webbing becomes a second load lower than the above-described first load over time. By doing so, the first load can be increased.

즉 초기하중증가부(200)는 상술한 구조의 리트렉터(1)에서, 상술한 토션바(100)와 함께 스풀(S)과 파일럿 휠(P)을 연결하여 서로의 상대회전을 억제함으로써, 본 발명의 디그레시브 로드리미터(10)가 동작하는 초기 작동하중을 상승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탑승자의 체중이 높은 경우에도 탑승자의 상해, 특히 흉부 상해를 막을 수 있다.That is, the initial load increasing unit 200 connects the spool S and the pilot wheel P together with the above-described torsion bar 100 in the retractor 1 having the above structure to suppress relative rotation of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initial operating load at which the progressive load limit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and therefore, even when the weight of the occupant is high, it is possible to prevent injury to the occupant, particularly chest injury.

여기서 토션바(100)만 있을 경우에 프리텐셔너에 의해 파일럿 휠(P)이 고정되고 제1 하중보다 낮은 A하중에서 로드리미터가 작동하게 된다.Here, when there is only the torsion bar 100, the pilot wheel P is fixed by the pretensioner and the load limiter operates at a load A lower than the first load.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그레시브 로드리미터(10)는 프리텐셔너에 의해 파일럿 휠(P)이 고정된 후에, 제1 단계(S1)에서 토션바(100)와 초기하중증가부(200)가 함께 스풀(S)과 파일럿 휠(P)의 상대회전을 억제함으로써, 초기 작동을 상술한 A하중 보다 높은 제1 하중으로 상승시키게 되고,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는 초기하중증가부(200)가 스풀(S)과 파일럿 휠(P)의 상대회전을 억제하지 않게 된다.However, in the progressive load limit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pilot wheel P is fixed by the pretensioner, the torsion bar 100 and the initial load increasing unit 200 in the first step S1 By suppressing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spool (S) and the pilot wheel (P) together, the initial operation is raised to a first load higher than the above-described load A, and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the initial load increasing unit 200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gas spool (S) and the pilot wheel (P) is not suppressed.

다시 말하면 1단계에서 토션바(100)와 초기하중증가부(200)의 조합으로 인해 추가적인 하중 제한 효과를 제공하고, 2단계에서 토션바(100)만으로 하중 제한 효과를 제공하게 되므로, 본 발명의 디그레시브 로드리미터(10)는 프로그레시브 로드리미터(progressive load limiter, 이하 PLL)와 동일한 단계적 하중 제한을 수행할 수 있다.In other words, since the combination of the torsion bar 100 and the initial load increasing unit 200 provides an additional load limiting effect in the first step, and the load limiting effect is provided only by the torsion bar 100 in the second step,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gressive load limiter 10 may perform the same gradual load limit as a progressive load limiter (PLL).

상술한 초기하중증가부(200)는, 구체적으로 연결유닛(220), 와이어유닛(240)을 포함할 수 있다.The aforementioned initial load increasing unit 200 may specifically include a connection unit 220 and a wire unit 240 .

먼저 연결유닛(220)은 일단이 파일럿 휠(P)에 고정될 수 있으며, 스풀(S)의 중앙부에 형성된 중공부에서 상술한 토션바(100)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어 와이어유닛(240)과 연결되어 파일럿 휠(P)에 대한 스풀(S)의 회전을 억제할 수 있다.First, one end of the connection unit 220 may be fixed to the pilot wheel P, and is disposed in a hollow portion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spool S to surround the above-described torsion bar 100 to form a wire unit 240 and It is connected so that rotation of the spool (S) relative to the pilot wheel (P) can be suppressed.

와이어유닛(240)은 일측이 스풀(S)에 고정되고 타측이 연결유닛(220)에 연결되는데, 구체적으로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이 상술한 제1 하중에 도달한 제1 단계(S1)에서 토션바(100)와 함께 변형되다가 제2 하중에 도달하면 연결유닛(220)과의 연결이 해제됨으로써, 상술한 제2 단계(S1)에서 토션바(100)만 비틀릴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wire unit 240 is fixed to the spool (S)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unit 220. Specifically, torsion occurs in the first step (S1) when the load acting on the webbing reaches the first load described above. When the bar 100 is deformed and reaches the second load, the connection with the connection unit 220 is released, so that only the torsion bar 100 can be twisted in the above-described second step S1.

여기서 와이어유닛(240)은 제1 하중에서 제2 하중에 도달할 때까지 연결유닛(220)과 연결되되, 파일럿 휠(P)에 대한 스풀(S)의 회전으로 변형되다가 제2 하중에 도달하게 되면 연결유닛(220)과의 연결이 완전히 해제될 수 있다.Here, the wire unit 24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unit 220 until it reaches the second load from the first load, and is deformed by the rotation of the spool S relative to the pilot wheel P and then reaches the second load. When this happens, the connection with the connection unit 220 can be completely released.

여기서 와이어유닛(240) 변형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Here, specific details regarding the deformation of the wire unit 240 will be described later.

즉 제1 단계(S1)에서는 연결유닛(220)과 와이어유닛(240)이 서로 연결됨에 따라 토션바(100)와 함께 파일럿 휠(P)과 스풀(S)이 억제되고, 이에 따라 초기 작동하중 임계값을 상승시켜 토션바(100) 단독일 때보다 높은 복합 레벨의 하중 제한을 제공할 수 있다.That is, in the first step (S1), as the connection unit 220 and the wire unit 24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pilot wheel P and the spool S are suppressed together with the torsion bar 100, and thus the initial operating load By raising the threshold valu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igher complex level of load limit than when the torsion bar 100 alone is used.

또한 제2 단계(S1)에서는 토션바(100)만이 비틀려 제1 단계(S1)에서보다 낮은 하중 제한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Also, in the second step (S1), only the torsion bar 100 is twisted to provide a lower load limit than in the first step (S1).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유닛(220)은, 일단이 파일럿 휠(P)에 고정되는 중공관으로 마련되며, 외주면에 형성된 연결영역(222)에 상술한 와이어유닛(240)이 연결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connection unit 220 is provided as a hollow tube having one end fixed to the pilot wheel P, and the wire unit 240 described above can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area 222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 is.

예를 들어 연결유닛(220)은 내부에 토션바(100)가 배치되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중공관이 마련될 수 있으며, 이때 스풀(S)의 중심축과 동일한 축을 가지며, 또한 토션바(100)의 중심축과 동일한 축을 가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nection unit 220 may be provided with a hollow tube so that a space in which the torsion bar 100 is disposed is secured, and at this time, it has the same axis as the central axis of the spool (S), and also the torsion bar ( 100) may have the same axis as the central axis.

다시 말하면 연결유닛(220)은 그 내부에 토션바(100)가 배치될 수 있도록, 스풀(S)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connection unit 220 may be disposed inside the spool S so that the torsion bar 100 may be disposed therein.

즉 연결유닛(220)은 중공관으로 형성된 스풀(S)보다 작은 크기의 중공관으로 형성되어 스풀(S) 내에 배치될 수 있다.That is, the connection unit 220 may be formed of a hollow tube having a smaller size than the spool S formed of the hollow tube and placed in the spool S.

또한 연결유닛(220)의 일단은 길이방향으로 소정두께를 가지고, 중심에서 외주면 방향으로 직경이 커지도록 마련되어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one end of the connection unit 220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provided so as to increase in diameter from the center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step may be formed.

상술한 바와 같은 단턱으로 인해 스풀(S)의 일측면에 단턱이 접하여 스풀(S) 내에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Due to the step as described above, the step may be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spool (S) to fix the position in the spool (S).

또한 연결유닛(220)의 일측 내주면에서 중심방향으로 돌출되는 기어이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gear teeth protruding toward the center may be formed from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side of the connection unit 220 .

여기서 기어이는 내주면에서 중심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 형태로 돌출될 수 있다.Here, the gear teeth may protrude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a tapered shape that becomes narrower toward the center.

다시 말하면 기어이는 연결유닛(220)의 중심축과 수직인 가상의 기준평면을 기준으로 그 단면이 하단보다 상단이 좁은 사다리꼴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In other words, based on the virtual reference plane perpendicular to the central axis of the gear connection unit 220, the cross section may be provided in a trapezoidal shape with the upper end narrower than the lower end.

이때 상술한 기어이는 연결유닛(220)의 일측 내주면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가 배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기어이로 인해 파일럿 휠(P)의 타측에 연결유닛(220)이 회전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a plurality of the above-described gear teeth may b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side of the connection unit 220, and due to these gear teeth, the connection unit 220 may be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pilot wheel P without rotation. there will be

연결유닛(22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술한 와이어유닛(240)이 연결되는 연결영역(222)은, 연결유닛(220)의 타단쪽에서 와이어유닛(240)이 인입되거나, 와이어유닛(240)이 제1 단계(S1)에서부터 변형되다가 제2 단계(S1)에서 연결유닛(220)의 타단쪽을 통해 완전히 이탈될 수 있도록, 연결유닛(220)의 타단에서 일단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The connection area 222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unit 220 to which the above-described wire unit 240 is connected is where the wire unit 240 is drawn in from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unit 220 or where the wire unit 240 is connected. It can be formed long in one direction from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unit 220 so that it can be deformed from the first step (S1) and completely separated through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unit 220 in the second step (S1).

즉 연결영역(222)은 연결유닛(220)의 중심축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외주면에서 중심축 방향으로 깊이를 가지는 홈일 수 있다.That is, the connection area 222 may be a groove having a length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of the connection unit 220 and a depth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다시 말하면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홈 형태로 마련된 연결영역(222)은, 길게 내주면에 와이어유닛(240)이 접촉되어 슬라이딩되면서 그 길이방향으로 와이어유닛(240)이 이탈되는 가이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connection area 222 provided in the form of a groove formed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an serve as a guide for the wire unit 240 to be separ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ile the wire unit 240 contacts and slides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

정리하자면 상술한 제1 단계(S1)에서 스풀(S)이 회전하게 되면, 고정된 파일럿 휠(P)에 형성된 연결영역(222)에 의해 와이어유닛(240)이 연결영역(222)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변형을 시작하고, 제2 단계(S1)에서 연결유닛(220)의 타측으로 완전히 이탈될 수 있다.In summary, when the spool (S) rotates in the above-described first step (S1), the wire unit 240 is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area 222 by the connection area 222 formed on the fixed pilot wheel P. It starts to deform while sliding, and can be completely releas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unit 220 in the second step (S1).

이때 와이어유닛(240)이 이탈되거나 인입되는 연결영역(222)의 타측 끝단은, 이동되는 와이어유닛(240)과 간섭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끝단의 폭이 넓어지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area 222 from which the wire unit 240 is detached or retracted may be provided with a wider end in order to minimize interference with the moving wire unit 240 .

뿐만 아니라 상술한 연결영역(222)의 타측 끝단과 일측 끝단 중 적어도 어느 한끝단은 이동되는 와이어유닛(240)과 간섭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라운드지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end of the other end and one end of the above-described connection area 222 may be provided to be rounded to minimize interference with the moving wire unit 240 .

또한 연결영역(222)은, 연결유닛(220)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배치된 연결영역(222)에 와이어유닛(240)이 인입되거나 이탈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area 222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unit 220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he wire unit 240 may be drawn in or removed from the connection area 222 .

다음으로 상술한 바와 같은 연결영역(222)에 인입되거나 이탈되는 와이어유닛(24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242), 로드폼부재(244)를 포함할 수 있다.Next, the wire unit 240 drawn in or out of the connection area 222 as described above may include a fixing member 242 and a rod form member 244 as shown in FIG. 5 .

구체적으로 스풀(S)에 고정되는 고정부재(242)는, 로드폼부재(244)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고 스풀(S)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면, 구조, 형상, 재질에 대하여는 다양할 수 있으며 또한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Specifically, the fixing member 242 fixed to the spool S may have a length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d form member 244 and may be provided in a form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spool S. If the same function is performed, the structure, shape, and material may vary, and the scope of rights is not limited due to this, of course.

다만 더욱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고정부재(242)는 반원형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술한 반원형의 고정부재(242)는 중심축이 스풀(S)의 중심축과 접하도록 스풀(S)의 타단에 위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However, if the bar shown in the drawings is described as an example for more detailed description, the fixing member 242 may be provided in a semicircular shape, where the central axis of the above-described semicircular fixing member 242 is the center of the spool (S). It may be positioned and fixed at the other end of the spool (S) to contact the shaft.

또한 고정부재(242)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다른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Also, the fixing member 242 may be changed into a shape different from that shown in the drawing.

예를 들어 반원형으로 마련된 고정부재(242)의 변곡점 부근이 스풀(S)의 일측을 향해 절곡되어 스풀(S)의 타측에 걸리도록 마련하여 고정력을 강화할 수도 있으며, 스풀(S)의 타측면에 대향하는 고정부재(242)에 고정편이 형성되고 고정편에 대향하는 스풀(S)의 타측면에 고정편이 억지끼움되는 결합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vicinity of the inflection point of the fixing member 242 provided in a semicircular shape is bent toward one side of the spool (S) and provided to be caught on the other side of the spool (S) to strengthen the fixing force, and on the other side of the spool (S) A fixing piece may be formed on the opposite fixing member 242 and a coupling groove into which the fixing piece is force-fitted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pool (S) facing the fixing piece.

또한 반원형으로 마련된 고정부재(242)의 변곡점 부근이 스풀(S)의 타측을 향해 절곡되어 제1 단계(S1)에서 변형에 의해 발생하는 외압으로 스풀(S)의 타측에서 고정부재(242)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vicinity of the inflection point of the fixing member 242 provided in a semicircular shape is bent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spool (S), and the fixing member 242 is bent on the other side of the spool (S) due to the external pressure generated by the deformation in the first step (S1). You can also prevent it from escaping.

다음으로 로드폼부재(244)는 고정부재(242)에 연결되어 연결영역(222)에 인입되며, 제2 하중에서 연결유닛(220)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될 수 있도록 마련됨으로써, 스풀(S)과 파일럿 휠(P)의 상대회전을 억제할 수 있다.Next, the rod form member 244 is connected to the fixing member 242 and introduced into the connection area 222, and is provided so that it can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unit 220 at the second load, so that the spool (S) and the pilot Relative rotation of the wheel P can be suppressed.

여기서 고정부재(242)가 상술한 바와 같이 반원형으로 마련된 경우에는 그 양단에 로드폼부재(244)가 연결될 수 있다.Here, when the fixing member 242 is provided in a semicircular shape as described above, the rod form member 244 may be connected to both ends thereof.

또한 로드폼부재(244)는, 고정부재(242)를 기준으로 대칭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연결영역(222)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d form member 244 may be provided in a symmetrical shape with respect to the fixing member 242 and may be formed lo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area 222 .

예를 들어 로드폼부재(244)는 고정부재(242)의 양단에서 연결유닛(220)을 향해, 즉 연결유닛(220)의 외주면에 형성된 연결영역(222)을 향해 절곡되며 토션바(100)와 동일한 길이방향을 가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rod form member 244 is bent from both ends of the fixing member 242 toward the connection unit 220, that is, toward the connection area 222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unit 220, and the torsion bar 100 It may have the same longitudinal direction as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로드폼부재(244)는 연결영역(222)에 인입되거나, 연결영역(222)에서 이탈될 수 있도록 긴 막대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rod form member 244 may b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area 222 or provided in a long bar shape so that it can be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area 222.

이러한 로드폼부재(244)는, 제1 하중에서 연결영역(222)을 따라서 연결유닛(220)의 타측으로 이동하다가 제2 하중에서 연결영역(222)에서 이탈될 수 있으며, 이탈된 로드폼부재(244)는 고정부재(242) 사이에서 변형될 수 있다.The road form member 244 may move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unit 220 along the connection area 222 under the first load and then be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area 222 under the second load. (244) can be deformed between the fixing members (242).

즉 파일럿 휠(P)과 스풀(S)의 상대회전을 억제하는 기능을 더 이상 수행하지 않아도 되는 제2 단계(S1)에서 토션바(100), 스풀(S), 파일럿 휠(P) 등에 간섭되지 않도록 변형될 수 있다.That is, interference with the torsion bar 100, the spool (S), the pilot wheel (P), etc. in the second step (S1) in which the function of suppressing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pilot wheel (P) and the spool (S) is no longer required. It can be modified so that it does not.

다시 말하면 제2 단계(S1)에서 로드폼부재(244)는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 하기 위해 변형될 수 있다.In other words, in the second step (S1), the rod form member 244 can be deformed to minimize the space it occupies.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와이어유닛(240)은 가이드부재(2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wire unit 240 having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may further include a guide member 246 .

가이드부재(246)는 이탈되는 로드폼부재(244)에 의해 고정부재(242)가 스풀(S)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술한 바와 같이 이탈되는 로드폼부재(244)를 변형시켜 와이어유닛(240)이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다.The guide member 246 not only prevents the fixing member 242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pool S by the detached rod form member 244, but also deforms the detached rod form member 244 as described above. The space occupied by the wire unit 240 can be minimized.

이때 가이드부재(246)는 원형의 링형상으로 마련되되, 일측보다 타측이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되어 일측과 타측사이에 단차가 형성될 수 있으며, 단차로 인한 단턱 면에 연결유닛(220)의 타측으로부터 이탈되는 로드폼부재(244)가 접하게 되면서 변형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guide member 246 is provided in a circular ring shape, and the other side is formed with a larger diameter than one side, so that a step difference can be formed betwee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unit 220 is on the stepped surface due to the step difference. The rod form member 244 coming into contact with it can be deformed.

구체적으로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폼부재(244)는 제1 단계(S1)가 시작되면, 연결유닛(220)의 연결영역(222)의 타측으로 당겨질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6 , the rod form member 244 may be pull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area 222 of the connection unit 220 when the first step (S1) starts.

이에 따라 로드폼부재(244) 중 이탈된 부분은 상술한 가이드부재(246)의 단턱으로 접하면서 이에 따라 로드폼부재(244)가 변형되고 가이드부재(246)에서 단턱면 전방 둘레에 감겨지게 되면서, 로드폼부재(244)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detached part of the road form member 244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tep of the above-described guide member 246, and thus the road form member 244 is deformed and wound around the front circumference of the step face in the guide member 246 ,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space occupied by the road form member 244.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텐셔너 동작 후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이 즉 토션바(100)와 초기하중증가부(200)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 하중이 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그레시브 로드리미터(10)의 토션바(100)와 초기하중증가부(200)가 모두 동작하게 되고, 제1 단계(S1)동안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이 제1 하중을 넘지 못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Therefore, as shown in FIG. 7, when the load acting on the webbing after the pretensioner operates, that is, when the torsion bar 100 and the initial load increasing unit 200 are organically connected to become the first loa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oth the torsion bar 100 and the initial load increasing unit 200 of the progressive load limiter 10 operate according to the method, and the load acting on the webbing during the first step S1 can be limited so that it does not exceed the first load. there is.

또한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이 제2 하중이 되는 제2 단계(S1)에서는, 로드폼부재(244)가 연결영역(222)에서 이탈된 상태이므로, 토션바(100)만 작동하여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이 제2 하중을 넘지 못하도록 제한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second step (S1) in which the load acting on the webbing becomes the second load, since the rod form member 244 is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area 222, only the torsion bar 100 operates to act on the webbing. The load is limited so that it does not exceed the second load.

따라서 그 구조가 간단하여 동작의 신뢰성이 높고, 제작이 용이하 본 발명의 디그레시브 로드리미터는 외부로부터 충격이 발생될 경우 프리텐셔너가 동작하여 웨빙이 감겨있는 스풀의 일단부에 연결된 파일럿 휠을 고정하는 방식((Sealed PT System)의 리트렉터를 사용하므로, 가스 제네레이터의 가스 잔압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초기하중증가부가 포함됨으로써 파일럿 휠과 스풀 사이에 로드리미터의 초기 작동하중을 상승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운전자의 신체 상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refore, its structure is simple, operation reliability is high, and manufacturing is easy. In the progressive load limi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external impact occurs, the pretensioner operates to fix the pilot wheel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pool on which the webbing is wound. Since the retractor of the sealed PT system is used, it has the advantage of minimizing the effect of the residual gas pressure of the gas generator. It can be raised, and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of minimizing bodily injury to the driver.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reviewed, and the fac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s a matter of ordinary knowledge in the art. It is self-evident to them.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regard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but may vary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 리트렉터
10: 디그레시브 로드리미터
S: 스풀
SB: 스풀베어링
P: 파일럿 휠
100: 토션바
200: 초기하중증가부
220: 연결유닛
240: 와이어유닛
242: 고정부재
244: 로드폼부재
246: 가이드부재
S1: 제1 단계
S2: 제2 단계
1: retractor
10: Degressive load limiter
S: spool
SB: spool bearing
P: pilot wheel
100: torsion bar
200: initial load increasing unit
220: connection unit
240: wire unit
242: fixing member
244: road form member
246: guide member
S1: first step
S2: Second step

Claims (10)

외부로부터 충격이 발생될 경우 프리텐셔너가 동작하여 웨빙이 감겨있는 스풀의 일단부에 연결된 파일럿 휠을 고정하는 리트렉터의 상기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이 기설정된 하중을 초과하는 것을 조절하는 디그레시브 로드리미터로서,
상기 스풀의 중앙부에 형성된 중공부에 장착되어, 상기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이 제1 하중에 도달하면 비틀려지면서 상기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을 제한하는 토션바; 및 상기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이 상기 제1 하중보다 낮은 제2 하중이 될 때까지 상기 스풀과 상기 파일럿 휠의 상대 회전을 억제함으로써, 상기 제1 하중을 상승시키는 초기하중증가부를 포함하되,
상기 초기하중증가부는,
상기 스풀의 중앙부에 형성된 중공부에서 상기 토션바를 감싸며 일단이 상기 파일럿 휠에 고정되는 연결유닛 및 일측이 상기 스풀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연결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이 상기 제1 하중에 도달하면 상기 토션바와 함께 변형되다가 상기 제2 하중에 도달하면 상기 연결유닛과의 연결이 해제되는 와이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연결유닛은,
일단이 상기 파일럿 휠에 고정되는 중공관으로 마련되며, 외주면에 형성된 연결영역에 상기 와이어유닛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스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영역에 인입되며, 상기 제2 하중에서 상기 연결유닛으로부터 이탈되는 로드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그레시브 로드리미터.
When an external impact occurs, the pretensioner operates to secure the pilot wheel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pool on which the webbing is wound. As a progressive load limiter that controls that the load acting on the webbing exceeds a predetermined load,
a torsion bar installed in the hollow part formed in the central part of the spool and twisting when the load acting on the webbing reaches a first load and limiting the load acting on the webbing; and an initial load increasing unit configured to increase the first load by suppressing relative rotation of the spool and the pilot wheel until the load acting on the webbing becomes a second load lower than the first load,
The initial load increasing unit,
A connection unit having one end fixed to the pilot wheel and one end fixed to the pilot wheel in a hollow part formed in the central part of the spool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unit, the load acting on the webbing i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wire unit that is deformed together with the torsion bar when a load is reached and disconnected from the connection unit when the second load is reached.
The connection unit is
One end is provided as a hollow tube fixed to the pilot wheel, and the wire unit is connected to a connection area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is connected to a fixing member fixed to the spool and to the fixing member to enter the connection area.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od form member that is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unit at the second load,
Degressive load limit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영역은,
상기 연결유닛의 타단으로 상기 와이어유닛이 인입되거나 이탈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유닛의 타단에서 일단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그레시브 로드리미터.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on area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 unit is formed long in one direction from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unit so that the wire unit can be drawn in or removed from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unit.
Degressive load limit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영역은,
상기 연결유닛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그레시브 로드리미터.
According to claim 4,
The connection area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unit,
Degressive load limit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폼부재는,
상기 제1 하중에서 상기 연결영역을 따라서 상기 연결유닛의 타측으로 이동하다가 상기 제2 하중에서 상기 연결영역에서 이탈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디그레시브 로드리미터.
According to claim 1,
The road form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while moving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unit along the connection area under the first load, it is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area under the second load.
Degressive load limit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폼부재는,
상기 연결영역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를 기준으로 대칭되는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그레시브 로드리미터.
According to claim 7,
The road form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lo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area and provided in a symmetrical form with respect to the fixing member.
Degressive load limit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로드폼부재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고 상기 스풀에 삽입되며, 양단에 상기 로드폼부재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그레시브 로드리미터.
According to claim 8,
The fixing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length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d form member and is inserted into the spool, and the rod form member is connected to both ends.
Degressive load limi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유닛은,
이탈되는 상기 로드폼부재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스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그레시브 로드리미터.
According to claim 1,
The wire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guide member for preventing the fixing membe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pool by the rod form member being separated.
Degressive load limiter.
KR1020210067461A 2021-05-26 2021-05-26 Digressive load limiter KR1025670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461A KR102567086B1 (en) 2021-05-26 2021-05-26 Digressive load limi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461A KR102567086B1 (en) 2021-05-26 2021-05-26 Digressive load limi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9631A KR20220159631A (en) 2022-12-05
KR102567086B1 true KR102567086B1 (en) 2023-08-16

Family

ID=84391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7461A KR102567086B1 (en) 2021-05-26 2021-05-26 Digressive load limi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7086B1 (e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05777B1 (en) * 2002-10-03 2005-06-29 Key Safety Systems, Inc. Retra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9631A (en) 202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68882B1 (en) Seat belt retractor
US10246047B2 (en) Seat belt retractor and seat belt apparatus
KR101284239B1 (en) Road limiter
EP4349667A1 (en) Seat belt retractor
US20060237569A1 (en) Seatbelt retractor
EP1405777B1 (en) Retractor
KR102567086B1 (en) Digressive load limiter
JP6419766B2 (en) Webbing take-up device
JP2003019945A (en) Seat belt device
JP4357721B2 (en) Seat belt device
JP2013184605A (en) Webbing retractor
US20170291571A1 (en) Webbing take-up device
US6659383B2 (en) Seat belt retractor
KR101766841B1 (en) Pretensioner apparatus
US10744974B2 (en) Webbing take-up device
JP4404335B2 (en) Seat belt retractor device and seat belt device
KR101694140B1 (en) A seat belt load limiter having reduced friction
KR101755939B1 (en) Seat Belt Pretensioner With Webbing Lift
KR101398992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pretwist of seatbelt load limiter and overshooitng of seatbelt pretensioner
JP2005170266A (en) Seat belt retractor device
KR102250705B1 (en) Seat belt retractor of vehicl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20220234539A1 (en) Belt reel and also belt retractor having a belt reel
JP2017047824A (en) Webbing winding device
JP2019166901A (en) Seat belt device
JP2019166900A (en) Seat bel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