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6967B1 - 무선태그 기반의 사물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태그 기반의 사물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6967B1
KR102566967B1 KR1020210179023A KR20210179023A KR102566967B1 KR 102566967 B1 KR102566967 B1 KR 102566967B1 KR 1020210179023 A KR1020210179023 A KR 1020210179023A KR 20210179023 A KR20210179023 A KR 20210179023A KR 102566967 B1 KR102566967 B1 KR 102566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ipheral device
signal
mobile terminal
tag
i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9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90086A (ko
Inventor
안희철
Original Assignee
안희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희철 filed Critical 안희철
Priority to KR1020210179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6967B1/ko
Publication of KR20230090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0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6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69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30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loop type
    • H04B5/0025Near field system adap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loop type
    • H04B5/0056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loop type for use in interrogation, identification or read/write systems
    • H04B5/0062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loop type for use in interrogation, identification or read/write systems in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ystems
    • H04B5/70
    • H04B5/7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무선태그 장치는 무선통신을 지원하고 외부로부터 생성되는 무선신호를 센싱하여 웨이크업 신호를 생성하는 무선통신부, 상기 웨이크업 신호의 수신에 따라 상기 무선신호를 전처리하여 상기 전처리된 무선신호가 모바일 단말의 접근을 통해 수신되는 태그신호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태그신호가 검출되면 활성화 신호를 생성하는 무선통신 전처리 하드웨어부 및 활성 모드 또는 비활성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활성화 신호를 기초로 동작 모드를 상기 활성 모드로 변환하며 상기 모바일 단말과의 상기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 처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태그 기반의 사물인터넷 서비스 시스템{IOT SERVICE SYSTEM BASED ON WIRELESS TAG}
본 발명은 무선태그 기반의 사물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IoT (Internet of Things) 제어명령을 사전에 등록하는 무선태그 장치와 인접 통신을 통해 인접한 주변기기를 IoT 제어명령에 따라 제어하는 무선태그 기반의 사물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물인터넷 (IoT, Internet of Things)의 개념은 1999년 케빈 애쉬톤 (Kevin Ashton)이 처음으로 사용하였다. 케빈 애쉬톤이 사용하던 사물인터넷이라는 용어는 RFID 태그를 활용한 근거리 통신 시스템을 의미했지만, 지금은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모든 사물들의 통신 시스템으로 범주가 넓어졌다. 사물인터넷의 시작은 각종 센서들이 포함된 센싱 계층이다. 이러한 센서들은 네트워크 계층에서 제공하는 각종 통신 기술로 연결되어 서로 상호작용하며, 데이터를 생성하여 미들웨어 계층에 있는 플랫폼 서버에 전달한다. 서버는 센서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를 취합, 분류, 분석하여 의미있는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공유하기 위한 API를 제공한다. 이렇게 가공되어 제공되는 정보들은 삶을 더욱 편리하게 만들어주는 수많은 사물인터넷 서비스들로 이어진다.
사물인터넷은 센서를 가전제품, 모바일 장비, 웨어러블 컴퓨터 등에 탑재하여 시장분석 및 의료분석 등에 사용하게 되면서 대중화되고 있으며, 이에 IoT 시스템이 탑재된 건축물의 사례가 늘어나고 있지만, 기존의 IoT 시스템은 음성인식이나, 어플 내에서 직접 위젯 또는 설정을 조작하는 방식으로 동작하고, 특히 음성인식(전처리 및 자연어 처리부)은 원천기술이 해외에 있어, 국내 기업들만 한국어 자연어 처리를 개발하는 실정이기 때문에 외국어에 비해 한국어 기반의 연구개발 활성도가 낮아 음성인식의 인식률이 다소 낮은 단점이 있어 사용율이 해외 IoT 시스템에 비해 저조한 편이다. 또한, 어플 내에서 IoT 시스템을 조작하는 방식은 여러 위젯을 통해 조작해야 하기 때문에 다소 불편한 요소가 있으며, 이로 인해 접근성을 강화하고자 QR코드나 모바일 홈위젯 등의 방식으로 다양한 개선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2013-0032088호는 근거리 통신용 태그를 이용한 사물 인터넷 서비스 실행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물 기기의 태그로부터 네트워크 정보를 읽어들여 AP에 접속하고, AP를 통해 사물 기기에 연결하여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고, 사물 기기가 제공하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사전 절차에 해당하는 AP 접속과 사물 기기 연결 절차를 위해 사용자에게 태그 리딩 만을 요구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과 신속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2013-0032088호 (2013.03.26)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IoT (Internet of Things) 제어명령을 사전에 등록하는 무선태그 장치와 인접 통신을 통해 인접한 주변기기를 IoT 제어명령에 따라 제어하는 무선태그 기반의 사물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어명령 등록 모바일 단말을 통해 IoT 제어명령을 생체 또는 패스워드 기반의 인증을 위한 인증 키와 함께 무선태그 장치에 등록하고, 제어명령은 WWHWC (Who, When, How, What, Condition) 요소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각각 요소는 주변기기 제어 서버에 의해 제공되어 제어명령 등록 모바일 단말에 의해 선택되도록 하는 무선태그 기반의 사물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태그 기반의 사물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은 IoT (Internet of Things) 제어명령을 사전에 등록하는 무선태그 장치, 상기 무선태그 장치와의 인접 통신을 통해 상기 IoT 제어명령을 획득하는 주변기기 제어 모바일 단말 및 상기 주변기기 제어 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IoT 제어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무선태그 장치와 인접한 주변기기를 상기 IoT 제어명령에 따라 제어하는 주변기기 제어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태그 장치는 상기 인접 통신이 시도되면 상기 주변기기 제어 모바일 단말에 생체 기반 또는 패스워드 기반 인증을 요청하고 상기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주변기기 제어 모바일 단말에 상기 등록된 IoT 제어명령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무선태그 장치는 제어명령 등록 모바일 단말을 통해 상기 IoT 제어명령을 생체 또는 패스워드 기반의 인증을 위한 인증 키와 함께 상기 무선태그 장치에 등록하고, 상기 제어명령은 WWHWC (Who, When, How, What, Condition) 요소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각각 요소는 주변기기 제어 서버에 의해 제공되어 상기 제어명령 등록 모바일 단말에 의해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주변기기 제어 모바일 단말은 상기 무선태그 장치와의 접촉 통신을 통해 상기 IoT 제어명령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주변기기 제어 서버는 상기 IoT 제어명령을 수신되면 상기 주변기기의 정상동작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주변기기가 현재 정상동작 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주변기기 제어 모바일 단말에 상기 주변기기의 점검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주변기기 제어 서버는 상기 주변기기가 현재 정상동작 되는 경우에는 상기 IoT 제어명령을 제공하고 상기 주변기기의 동작 오류를 확인하여 상기 주변기기 제어 모바일 단말에 상기 주변기기의 제어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태그 기반의 사물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은 IoT (Internet of Things) 제어명령을 사전에 등록하는 무선태그 장치와 인접 통신을 통해 인접한 주변기기를 IoT 제어명령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태그 기반의 사물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은 제어명령 등록 모바일 단말을 통해 IoT 제어명령을 생체 또는 패스워드 기반의 인증을 위한 인증 키와 함께 무선태그 장치에 등록하고, 제어명령은 WWHWC (Who, When, How, What, Condition) 요소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각각 요소는 주변기기 제어 서버에 의해 제공되어 제어명령 등록 모바일 단말에 의해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태그 기반의 사물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무선태그 장치의 기능을 구성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무선태그 기반의 사물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의 IoT 제어명령의 등록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무선태그 기반의 사물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의 IoT 제어명령의 수행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제어명령의 WWHWC (Who, When, How, What, Condition) 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태그 기반의 사물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태그 기반의 사물인터넷 서비스 시스템(100)은 무선태그 장치(110), 모바일 단말(130), 주변기기 제어 서버(150) 및 주변기기(17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태그 장치(110)는 내부에 저장된 태그 데이터를 무선신호로 송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태그 장치(110)는 모바일 단말(130)의 태그 데이터 요청을 수신하고 태그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무선태그 장치(110)는 모바일 단말(130)의 접근을 감지하고 태그 데이터를 먼저 송신할 수 있다.
무선태그 장치(110)는 유선으로 충전되어 동작될 수 있거나 또는 배터리 충전으로 동작될 수 있다. 한편, 무선태그 장치(110)는 유선으로 충전될 수 있더라도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태그 장치(11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와이파이 등으로 무선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태그 장치(110)는 광 신호 또는 초음파 신호를 통해 무선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태그 장치(110)는 별도의 독립적인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 있고, 다른 방식으로는, 스마트폰, 노트북 또는 휴대용 컴퓨터에 병합되어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웨어러블 등 다양한 디바이스로도 구현될 수 있다.
주변기기 제어 모바일 단말(130a) 및 제어명령 등록 모바일 단말(130b)은 무선태그 장치(110)와 태그 데이터를 무선신호로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스마트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주변기기 제어 모바일 단말(130a) 및 제어명령 등록 모바일 단말(130b)은 동일한 기기에 해당할 수 있거나 또는 서로 다른 사용자에 의해 관리되는 다른 기기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130)은 무선태그 장치(110)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와이파이 등으로 전자파 신호로서 무선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130)은 무선태그 장치(110)와 광 신호로서 무선신호를 송수신하거나 또는 초음파 신호로서 무선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주변기기 제어 서버(150)는 모바일 단말(130a, 130b)과 연결된 컴퓨팅 장치로서, 무선태그 장치(110)에서 모바일 단말(130a, 130b)을 경유하여 IoT 제어명령을 수신하고 주변기기(17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150)는 모바일 단말(130)과 무선 인터넷으로 연결될 수 있고, 무선 인터넷은 와이파이 통신 또는 셀룰러 통신으로 구현될 수 있다.
주변기기(170)는 홈 네트워크의 구성요소에 해당하는 컴퓨팅 장치로서 주변기기 제어 서버(150)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스마트 TV, 게임 콘솔, 온도계, 스마트 전구, 도어벨, 스마트락, 카메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주변기기(170)는 자신의 제어 내용을 무선태그 장치(110)에 등록할 수 있고, 주변기기 제어 서버(150)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무선태그 장치의 기능을 구성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태그 장치(110)는 무선통신부(210), 메모리(220), 무선통신 전처리 하드웨어부(230), 무선통신 처리부(240), 배터리 관리부(250), 충전부(260) 및 배터리(270)를 포함한다.
무선통신부(210)는 광 신호, 초음파 신호 또는 전자파 신호와 같은 무선신호로 무선태그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일 실시에에서, 무선통신부(210)는 전자파 신호로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와이파이 방식의 무선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210)는 무선통신을 지원하고 외부로부터 생성되는 무선신호를 센싱하여 웨이크업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에서, 예를 들어, 외부는 모바일 단말(130)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통신부(210)는 무선신호의 세기가 특정 세기 이상이고 무선신호의 패턴이 정규적인지 여부를 검출하고 그렇다면 웨이크업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특정 세기는 무선통신부(210)에 의해 채택된 LNA(Low Noise Amplifier)의 규격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메모리(220)는 무선신호를 신호 처리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일 실시예에서, 무선태그(110) 및 모바일 단말(130) 간의 무선신호(즉, 태그신호)를 처리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메모리(220)는 태그신호를 저장할 수 있는 태그버퍼를 포함할 수 있고, 무선통신 처리부(240)에 의해 처리되기 전 또는 처리된 후에 필요한 저장 공간을 태그버퍼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무선통신 전처리 하드웨어부(230)는 비활성화 모드에서 동작될 수 있는 무선통신 처리부(240)의 전력소모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웨이크업 신호의 수신에 따라 무선신호를 전처리한다. 무선통신 전처리 하드웨어부(230)는 전처리된 무선신호가 모바일 단말(130)의 접근을 통해 수신되는 태그신호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태그신호가 검출되면 무선통신 처리부(240)를 활성 모드로 동작시키기 위해서 활성화 신호를 생성한다.
무선통신 전처리 하드웨어부(230)는 전처리를 통해 무선신호의 프리앰블을 확인하여 페이로드를 추출한다. 여기에서, 프리엠블은 무선신호의 전단에 생성되는 정규적이고 규칙적인 패턴을 포함할 수 있고, 페이로드는 프리엠블에 이어서 포함되는 데이터로서 무선태그(110) 또는 모바일 단말(130)에 의해서 제공되는 실제 데이터로 구성되는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 전처리 하드웨어부(230)는 페이로드의 컨텐츠를 분석하여 태그신호의 가능성을 결정한다.
무선통신 전처리 하드웨어부(230)는 태그신호의 가능성이 특정 기준 이상인 경우에는 태그신호를 태그 버퍼에 저장한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통신 전처리 하드웨어부(230)는 프리엠블을 기초로 태그신호의 가능성을 결정할 수 있다. 무선통신 전처리 하드웨어부(230)는 무선통신 처리부(240)가 활성 모드로 변환되었는지 여부를 폴링(polling)하여 태그 버퍼에 있는 태그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무선통신 전처리 하드웨어부(230)가 태그신호를 무선통신 처리부(240)이 활성 모드로 동작되기 전에 송신하게 되면 태그신호를 분실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무선통신 처리부(240)는 동작 모드로서 활성 모드 또는 비활성 모드로 동작하고, 활성화 신호를 기초로 동작 모드를 활성 모드로 변환하며 모바일 단말과의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무선통신 처리부(240)는 무선통신의 수행과정에서 특정 시간 동안 무선 데이터가 송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동작 모드를 비활성화 모드로 변환한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통신 처리부(240)는 태그신호의 종류를 기초로 활성시간 레퍼런스 테이블을 검색하여 상기 특정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이는 태그신호의 종류에 따라 상대방으로부터의 응답신호 수신시간이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배터리 관리부(250)는 무선통신부(210), 메모리(220), 전처리 하드웨어부(230) 및 무선통신 처리부(240)에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270)를 관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배터리 관리부(250)는 배터리(270)의 정상동작여부 및 배터리(270)의 잔량을 관리할 수 있다.
배터리 관리부(250)는 배터리의 전량이 특정 기준 이하인 경우에는 태그신호의 처리과정 동안 모바일 단말(130)과의 접촉을 통해 충전할 수 있도록 모바일 단말(130)에 접촉요청신호를 제공한다. 배터리 관리부(250)는 무선태그 장치(110)가 전력을 유선으로 연결하지 않은 경우에는 배터리(270)를 통해 동작시킬 수 있고, 만일 배터리(270)의 잔량이 기준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에는 모바일 단말(130)을 통해 유무선으로 배터리(270)를 충전시킬 수 있다.
충전부(260)는 배터리(270)를 충전하기 위한 다양한 수단을 조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충전부(260)는 케이블 충전단자(예: USB)를 통해 배터리(270)를 유선으로 충전시킬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 충전부(260)는 형광등 충전패널(예: 염료감응 광충전)을 통해 배터리(270)를 에너지 하베스팅 방식으로 충전시킬 수 있다. 제3 실시예에서, 충전부(260)는 소형 태양광 패널을 통해 배터리(270)를 태양광으로 충전시킬 수 있다. 제4 실시예에서, 충전부(260)는 자기유도선을 통해 배터리(270)를 무선으로 충전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무선태그 기반의 사물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의 IoT 제어명령의 등록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에서, 무선태그 장치(110)는 IoT (Internet of Things) 제어명령을 사전에 등록한다(단계 S310). 등록 과정에서, 무선태그 장치(110)는 제어명령 등록 모바일 단말(130b)을 통해 IoT 제어명령을 생체 또는 패스워드 기반의 인증을 위한 인증 키를 수신하여 등록하고, 무선태그 장치(110)의 메모리(미도시됨)에 저장한다(단계 S320 및 S330). 인증 키는 주변기기(170)를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를 인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무선태그 장치(110)는 단일의 주변기기(170)와 일대일 매칭될 수 있어서, 주변기기 제어 모바일 단말(130a)을 통해 직접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제어명령은 WWHWC (Who, When, How, What, Condition) 요소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각각 요소는 주변기기 제어 서버(150)에 의해 제공되어 제어명령 등록 모바일 단말(130b)에 의해 선택되도록 한다.
도 5는 제어명령의 WWHWC (Who, When, How, What, Condition) 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각각은 콤보박스 형식으로 제어명령 등록 모바일 단말(130b)에 의해 객관식으로 선택될 수 있다.
WHO는 누가를 의미하는 것으로, IoT 주변기기(170) 중 하나를 나타내는데 활용될 수 있고, WHEN은 언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IoT 주변기기(170)의 제어 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
HOW는 어떻게를 의미하는 것으로 IoT 주변기기(170)의 제어 방식을 나타낼 수 있고, WHAT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으로 IoT 주변기기(170)의 제어 대상을 나타낼 수 있으며, CONDITINO은 조건생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IoT 주변기기(170)의 제어 조건을 나타낼 수 있다.
무선태그 장치(110)는 메모리(미도시됨)에 인증 키를 저장하고 난 다음 주변기기 제어 서버(150)에 무선태그 장치(110)의 고유번호를 인증 키와 함께 저장한다(단계 S340).
도 4는 도 1에 있는 무선태그 기반의 사물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의 IoT 제어명령의 수행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에서, 주변기기 제어 모바일 단말(130a)은 무선태그 장치(110)와의 인접 통신을 통해 IoT 제어명령을 획득한다(단계 S410). 일 실시예에서, 무선태그 장치(110)는 인접 통신이 시도되면 주변기기 제어 모바일 단말(130a)에 생체 기반 또는 패스워드 기반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단계 S420). 무선태그 장치(110)는 인증이 완료되면 주변기기 제어 모바일 단말(130a)에 사전에 등록된 IoT 제어명령을 제공한다(단계 S430).
보다 구체적으로, 주변기기 제어 모바일 단말(130a)은 무선태그 장치(110)와의 접촉 통신을 통해 IoT 제어명령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접촉 통신은 태킹을 통한 데이터 교환을 포함할 수 있다.
주변기기 제어 서버(150)는 주변기기 제어 모바일 단말(130a)로부터 IoT 제어명령을 수신하고 무선태그 장치(110)와 인접한 주변기기를 IoT 제어명령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단계 S440). 보다 구체적으로, 주변기기 제어 서버(150)는 주변기기(170)의 정상동작 여부를 확인하고 주변기기(170)가 현재 정상동작 되지 않는 경우에는 주변기기 제어용 모바일 단말(130a)에 주변기기(170)의 점검을 요청할 수 있다.
주변기기 제어 서버(150)는 주변기기(170)가 현재 정상동작 되는 경우에는 IoT 제어명령을 제공하고 주변기기(170)의 동작 오류를 확인하여 주변기기 제어용 모바일 단말(130a)에 주변기기(170)의 제어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 무선태그 장치
130a : 주변기기 제어 모바일 단말
130b : 제어명령 등록 모바일 단말
150 : 주변기기 제어 서버
170 : 주변기기
210 : 무선통신부
220 : 메모리
230 : 무선통신 전처리 하드웨어부
240 : 무선통신 처리부
250 : 배터리 관리부
260 : 충전부
270 : 배터리

Claims (6)

  1. 제어명령 등록 모바일 단말을 통해 WWHWC (Who, When, How, What, Condition) 요소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IoT (Internet of Things) 제어명령을 생체 또는 패스워드 기반의 인증을 위한 인증 키와 함께 사전에 등록하고, 각각 요소는 주변기기 제어 서버에 의해 제공되어 상기 제어명령 등록 모바일 단말에 의해 선택되도록 하는 무선태그 장치;
    상기 무선태그 장치와의 인접 통신을 통해 상기 IoT 제어명령을 획득하는 주변기기 제어 모바일 단말; 및
    상기 주변기기 제어 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IoT 제어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무선태그 장치와 인접한 주변기기를 상기 IoT 제어명령에 따라 제어하는 주변기기 제어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태그 장치는
    무선신호로 무선태그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외부로부터 생성되는 상기 무선신호를 센싱하여 웨이크업 신호를 생성하는 무선통신부;
    상기 웨이크업 신호의 수신에 따라 상기 무선신호를 전처리하고 상기 전처리된 무선신호가 태그신호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검출하여 활성화 신호를 생성하는 무선통신 전처리 하드웨어부; 및
    동작 모드로서 활성 모드 또는 비활성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활성화 신호를 기초로 상기 동작 모드를 상기 활성 모드로 변환하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통신 전처리 하드웨어부는 상기 전처리를 통해 상기 무선신호의 프리앰블을 확인하여 페이로드를 추출하고 상기 페이로드의 컨텐츠를 분석하여 상기 태그신호의 가능성을 결정하며 상기 태그신호의 가능성이 특정 기준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태그신호를 메모리의 태그 버퍼에 저장하고, 상기 무선통신의 수행과정에서 특정 시간 동안 무선 데이터가 송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동작 모드를 상기 비활성 모드로 변환하고 상기 태그신호의 종류를 기초로 활성시간 레퍼런스 테이블을 검색하여 상기 특정 시간을 결정하며,
    상기 주변기기 제어 서버는 상기 IoT 제어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주변기기의 정상동작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주변기기가 현재 정상동작 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주변기기 제어 모바일 단말에 상기 주변기기의 점검을 요청하며, 상기 주변기기가 현재 정상동작 되는 경우에는 상기 IoT 제어명령을 제공하고 상기 주변기기의 동작 오류를 확인하여 상기 주변기기 제어 모바일 단말에 상기 주변기기의 제어상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태그 기반의 사물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태그 장치는
    상기 인접 통신이 시도되면 상기 주변기기 제어 모바일 단말에 생체 기반 또는 패스워드 기반 인증을 요청하고 상기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주변기기 제어 모바일 단말에 상기 등록된 IoT 제어명령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태그 기반의 사물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기기 제어 모바일 단말은
    상기 무선태그 장치와의 접촉 통신을 통해 상기 IoT 제어명령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태그 기반의 사물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5. 삭제
  6. 삭제
KR1020210179023A 2021-12-14 2021-12-14 무선태그 기반의 사물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KR102566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9023A KR102566967B1 (ko) 2021-12-14 2021-12-14 무선태그 기반의 사물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9023A KR102566967B1 (ko) 2021-12-14 2021-12-14 무선태그 기반의 사물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0086A KR20230090086A (ko) 2023-06-21
KR102566967B1 true KR102566967B1 (ko) 2023-08-16

Family

ID=86990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9023A KR102566967B1 (ko) 2021-12-14 2021-12-14 무선태그 기반의 사물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6967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856B1 (ko) * 2008-03-13 2010-05-1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Rfid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274030B1 (ko) 2011-09-22 2013-06-12 광주과학기술원 광대역 초연속 스펙트럼을 이용한 근접장 흡수 측정 시스템 및 그 측정 방법
US10002524B2 (en) * 2012-12-13 2018-06-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evices in home network system
KR102051369B1 (ko) * 2013-04-09 2019-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가전기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0086A (ko) 2023-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68824B2 (en) Method and an electronic device connecting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to server through hub
US11031011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electronic device to perform speech recognition
US20180137498A1 (en) Payment method using agen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the same
KR102173242B1 (ko)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정보 자동 설정 방법, 장치
US11240662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by which electronic device transmits and receives authentication information
US10963654B2 (en) Electronic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794892B2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wireless communication
US20160037298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recognizing area
CN105823560A (zh) 一种智能测温的方法及智能测温系统
KR101808217B1 (ko) 무선 액세스 방법 및 관련 장치 및 시스템
KR20160027861A (ko) 통신 채널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20210195415A1 (en)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authentication by using accessory, and electronic device operating method
US10389478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verage compensation method thereof for short range communication
US20230141055A1 (en) Edge computing system and method for recommending connection device
US11727741B2 (en) Reader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reader
AU2014315883A1 (en) Method of controll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apparatus supporting the same
CN105745947A (zh) 用于报告用户接口状况的系统和方法
US2021025811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power determination in unlicensed spectrum
RU2617547C2 (ru) Способ, устройство и оконе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nfc
KR20150038849A (ko) 근거리 무선 모듈을 이용한 가전 장치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 및 네크워크 연결 시스템
KR102566967B1 (ko) 무선태그 기반의 사물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CN106503986B (zh) 虚拟资源转移方法及装置
US1186347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signing rate matching pattern for partial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 transmission
KR102245194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를 인식하는 방법
KR20230090077A (ko) 무선태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