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6953B1 - 복합재료 압력용기용 라이너 어셈블리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복합재료 압력용기용 라이너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복합재료 압력용기용 라이너 어셈블리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복합재료 압력용기용 라이너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6953B1
KR102566953B1 KR1020210180568A KR20210180568A KR102566953B1 KR 102566953 B1 KR102566953 B1 KR 102566953B1 KR 1020210180568 A KR1020210180568 A KR 1020210180568A KR 20210180568 A KR20210180568 A KR 20210180568A KR 102566953 B1 KR102566953 B1 KR 102566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r
dome
pressure vessel
manufacturing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0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91448A (ko
Inventor
조민식
이남희
김승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흥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흥정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흥정공
Priority to KR1020210180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6953B1/ko
Publication of KR20230091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1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6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6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467Joining articles or parts of a singl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26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467Joining articles or parts of a single article
    • B29C2045/14524Joining articles or parts of a single article making hollow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29L2031/7154Barrels, drums, tuns, vats
    • B29L2031/7156Pressure vess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2Hydrogen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복합재료 압력용기용 라이너 어셈블리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이러한 복합재료 압력용기용 라이너 어셈블리 제조방법은, 라이너용 본체부 및 라이너용 돔부로 구성되는 봄베(BOMBE) 타입의 압력용기용 라이너 어셈블리 제조방법으로서, 폴리머 재질의 라이너용 본체부 및 금속 재질의 라이너용 돔부를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라이너용 본체부 및 라이너용 돔부를 서로 연결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복합재료 압력용기용 라이너 어셈블리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복합재료 압력용기용 라이너 어셈블리{MANUFACTURING METHOD OF LINER ASSEMBLY FOR PRESSURE VESSEL MADE FROM COMPOSITE AND LINER ASSEMBLY FOR PRESSURE VESSEL MADE FROM COMPOSITE MANUFACTURED BY THE SAME}
본 발명은 복합재료 압력용기용 라이너 어셈블리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복합재료 압력용기용 라이너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사용되는 CNG(압축천연가스)나 수소가스는 기밀이 유지되는 압력용기 측에 충전된 상태로 사용된다.
이러한 압력용기는 내부에 가스가 고압으로 충전될 뿐만 아니라, 자동차에 장착된 상태로 사용되는 점을 감안할 때, 사용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따라, 압력용기의 사용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여러 가지의 용기 제조 방법 및 구조들이 제시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타입4(TYPE4) 형식이라 불리우는 용기 제조기술로 제조된 압력용기 구조가 널리 알려져 있다.
타입4 형식의 압력용기는 기존의 일체형 금속(철재) 용기 형태(타입1 형식)를 벗어나서, 용기의 경량화를 구현하면서 기밀성도 확보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타입4 형식의 압력용기는 폴리머 재질로 형성(예: 압출 성형, 연신 성형, 사출 성형)된 라이너(본체부 및 돔부)를 기본적으로 구비하고, 이 라이너의 외부면 측이 복합재료(예: 강화섬유 필라멘트) 보강층으로 감싸여진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이와 같은 타입4 형식의 압력용기는 폴리머 재질의 라이너가 사용되므로, 재질 특성 상 내,외부 압력이나 충격에 대한 라이너의 형태 안정성을 확보하기 어렵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라이너 및 외부 보강층(복합재료)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해야 하므로, 이에 따른 과다한 시간 및 비용이 소요될 수 있다.
또한, 폴리머 재질의 라이너는 성형 후, 돔부 측에 밸브 조립을 위한 금속 보스부 및 이 보스부 측과 대응하는 씰링부의 추가적인 형성이 요구되며, 이와 같은 보스부 및 씰링부는 폴리머 라이너의 기밀 안정성을 저하시키는 한 요인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타입4 형식의 압력용기의 구조적 문제점을 개선하지 않고서는 만족할 만한 사용 안전성 및 신뢰도를 기대하기 어렵다.
(특허문헌 0001)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87892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경량화 및 기밀성을 확보하면서 한층 더 향상된 내압력성 및 내충격성을 구현할 수 있는 상태로 라이너를 제조할 수 있는 복합재료 압력용기용 라이너 어셈블리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복합재료 압력용기용 라이너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라이너용 본체부 및 라이너용 돔부로 구성되는 봄베(BOMBE) 타입의 압력용기용 라이너 어셈블리 제조방법으로서,
폴리머 재질의 라이너용 본체부 및 금속 재질의 라이너용 돔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라이너용 본체부 및 라이너용 돔부를 서로 연결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라이너용 본체부 및 라이너용 돔부를 서로 연결 형성하는 단계는,
라이너용 본체부의 사출 성형과 연계하여 인서트물로서 라이너용 돔부를 세팅하여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한 접합력으로 라이너용 본체부 및 라이너용 돔부를 서로 연결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료 압력용기용 라이너 어셈블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한 복합재료 압력용기용 라이너 어셈블리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복합재료 압력용기용 라이너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라이너용 본체부 및 라이너용 돔부를 서로 연결 형성하는 방식으로 봄베 타입의 압력용기용 라이너 어셈블리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특히, 폴리머 재질의 라이너용 본체부 및 금속 재질의 라이너용 돔부로 라이너 어셈블리를 구성함으로써, 라이너의 경량화 및 기밀성을 확보하면서 내,외부 충격이나 압력 등에 대한 형태 안정성도 한층 더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재료 압력용기용 라이너 어셈블리 제조방법의 전체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9는 도 1의 각 공정들을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의 범주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로 인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재료 압력용기용 라이너 어셈블리 제조방법의 전체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9는 도 1의 각 공정들을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합재료 압력용기용 라이너 어셈블리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재료 압력용기용 라이너 어셈블리 제조방법은, 라이너용 본체부 및 라이너용 돔부를 형성하는 단계(S1) 및 라이너용 본체부 및 라이너용 돔부를 연결 형성하는 단계(S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라이너용 본체부 및 라이너용 돔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도 2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봄베(BOMBE) 타입의 라이너 형태와 부합하는 상태로 라이너용 본체부(10) 및 라이너용 돔부(20)를 형성하는 것이다.
특히, 라이너용 본체부(10) 및 라이너용 돔부(20)는 봄베 타입 라이너의 본체 부분 및 돔 부분과 대응하는 각각의 형태를 갖되, 서로 다른 이종의 재질에 의해 라이너의 경량화, 기밀성 및 형태 안정성 확보와 부합하도록 형성한다.
즉, 라이너용 본체부(10)는 경량화 및 기밀성 확보와 부합하는 폴리머 재질로 이루어지고, 라이너용 돔부(20)는 내압력성 및 내충격성 확보와 부합하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라이너용 본체부(10)의 재질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아세탈(POM) 또는 폴리아미드(PA) 계열의 폴리머를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고, 라이너용 돔부(20)의 재질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또는 SUS 계열의 금속을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라이너용 본체부(10)는 예를 들어, 도 2에서와 같이 통상의 봄베 타입의 압력용기 본체 부분과 부합하는 형태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라이너용 돔부(20)는 예를 들어, 도 3에서와 같이 통상의 봄베 타입의 압력용기 돔 부분과 부합하는 형태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라이너용 본체부(10)는 예를 들어, 사출 또는 압출 성형 방식으로 폴리머 원료를 성형하여 도 2에서와 같이 내부가 중공인 원통형의 둘레부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라이너용 돔부(20)는 예를 들어, 단조, 압출 또는 인발 처리한 금속 소재의 절삭 가공 방식에 의해 도 3에서와 같이 일체형의 보스부(22)를 구비한 돔부 형태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라이너용 돔부(20)는 원통형의 라이너용 본체부(10)의 길이방향 양쪽 단부와 각각 대응하도록 두 개를 한 조로 형성한다.
라이너용 돔부(20)는 도 3에서와 같이 돔부의 개방측 둘레부 내주면 측에 연결 가이드면(24)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연결 가이드면(24)은 라이너용 본체부(10)의 단부 측이 연결 결합되기 위한 면적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도 3에서와 같이 라이너용 돔부(20)의 내주면 측에 단차진 내주 둘레부를 이루는 상태로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연결 가이드면(24)은 라이너용 돔부(20)와 라이너용 본체부(10) 간의 연결 형성 작업시 이와 연계하여 라이너용 본체부(10)의 단부 둘레부 진원도 보정 유도가 가능하게 가이드할 수 있는 진원도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폴리머 라이너의 돔부 부분을 형성하기 위한 라이너용 돔부(20)의 재질이 금속이면서 보스부(22)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는 보스부(22)의 형성에 의한 추가적인 씰링 구조를 없앨 수 있으므로, 리크(LEAK) 요소를 최대한 줄일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라이너용 본체부(10) 및 라이너용 돔부(20)의 재질을 서로 다른 이종의 재질로 형성하면, 라이너의 기밀성과 경량화를 구현하면서 특히 금속 돔부에 의해 내,외부 압력이나 충격(낙하 충격)으로부터 형태 안정성을 한층 더 확보할 수 있는 일종의 하이브리드 재질 타입의 라이너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라이너용 본체부 및 라이너용 돔부를 연결 형성하는 단계(S2)는, 봄베 타입의 라이너 형태와 부합하도록 라이너용 본체부(10)와 라이너용 돔부(20)를 서로 연결 형성하는 것이다.
특히, 라이너용 본체부 및 라이너용 돔부를 연결 형성하는 단계(S2)는, 라이너용 본체부(10) 및 라이너용 돔부(20)의 연결 형성시 본체부(10)의 연결 단부 측의 둘레부 진원도 보정이 가능하게 연결 형성하는 방식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라이너용 본체부(10)의 사출 성형 작업과 연계하여 금속 재질의 라이너용 돔부(20)에 의해 진원도 보정이 유도되는 상태로 복합재료 압력용기용 라이너 어셈블리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복합재료 압력용기용 라이너 어셈블리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라이너용 본체부(10)의 사출 성형시 인서트물로서 라이너용 돔부(20)를 세팅한 상태로 작업을 진행함으로써, 도 4에서와 같이 라이너용 돔부(20)의 연결 가이드면(24) 측에 라이너용 본체부(10)의 연결 단부 측이 접합 성형되는 상태로 연결 형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폴리머 재질의 라이너용 본체부(10)는 연결 단부의 둘레부 측이 금속 재질의 라이너용 돔부(20)의 연결 가이드면(24) 측에 밀착 접합되면서 정상적인 진원도를 갖는 상태로 성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인서트 사출 성형 전에 접합력 확보를 위하여 라이너용 돔부(20)의 연결 가이드면(24) 측을 미리 표면 처리한 상태로 성형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연결 가이드면(24)의 표면 처리 방식으로는 예를 들어, TRI(Technology Rising from Iwata) 복합재료 압력용기용 라이너 어셈블리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복합재료 압력용기용 라이너 어셈블리과 부합하도록 표면 처리할 수 있다.
그러면, 도 5에서와 같이 연결 가이드면(24) 측의 TRI 접합층(T)에 의해 라이너용 본체부(10)와 라이너용 돔부(20)가 서로 접합 연결되는 상태로 인서트 사출 성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TRI 접합 방식은 금속과 폴리머 간의 접합에 주로 사용되며, 금속 접합면 측에 접합 강도 향상을 위한 TRI막(표면 부식처리)을 형성하여 이 TRI막에 의해 안정적인 접합력과 균일한 기밀성이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TRI 접합 방식은 접착제 도포에 의한 분자 간의 접합력을 이용한 접착제 접합 방식과 비교할 때 한층 더 향상된 고강도 접합력과 균일한 접합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인서트 사출 성형과 연계한 TRI 접합 방식으로 라이너용 본체부(10)와 라이너용 돔부(20)를 연결 형성하면, 라이너 제조시 요구되는 접합 연결부위의 접합력과 기밀성을 더욱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접합 연결부위 측의 추가적인 씰링 처리를 배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라이너용 본체부(10)의 성형과 연계하여 연결 접합 작업을 진행할 때, 인서트 사출 성형의 특성 상, 도 6에서와 같이 라이너용 본체부(10)를 두 개로 각각 분할 성형하는 방식으로 두 개의 라이너용 돔부(20) 측에 접합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분할 성형된 라이너용 본체부(10)는 융착 방식에 의해 도 6에서와 같이 융착부(M)를 갖는 상태로 연결 형성할 수 있다.
라이너용 본체부 및 라이너용 돔부를 연결 형성하는 단계(S2)는, 도 7에서와 같이 접착제를 이용한 접합 방식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즉, 도 7에서와 같이 라이너용 본체부(10)와 라이너용 돔부(20)를 형성한 다음, 라이너용 돔부(20)의 연결 가이드면(24) 측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제 접합층(E)의 접착력으로 라이너용 본체부(10)의 양단 측에 라이너용 돔부(20)를 각각 접합 연결할 수 있다.
이때에도, 폴리머 재질의 라이너용 본체부(10)는 연결 단부 측이 금속 재질의 라이너용 돔부(20)의 연결 가이드면(24) 측에 밀착 접합되면서 진원도 보정이 유도되는 상태로 연결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인서트 사출 성형 또는 접착제를 이용한 접합 방식으로 라이너용 본체부(10)와 라이너용 돔부(20)를 서로 접합 연결하는 상태로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봄베 타입의 라이너 어셈블리(L)를 형성할 수 있다.
라이너용 본체부 및 라이너용 돔부를 연결 형성하는 단계(S2)는, 도 8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가이드 슬리브(26)와 연계하여 나사 체결 방식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가이드 슬리브(26)는 라이너용 본체부(10)의 진원도 보정 및 나사 체결력 확보와 부합하는 슬리브(SLEEVE) 형태를 갖도록 형성한다.
가이드 슬리브(26)는 도 8에서와 같이 원통형의 라이너용 본체부(10)의 길이방향 양쪽 단부의 둘레부 측과 대응하는 슬리브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 슬리브(26)는 슬리브 형태를 갖되, 둘레부 측이 라이너용 본체부(10)의 진원도 보정과 부합하는 정상적인 진원도를 갖도록 형성한다.
가이드 슬리브(26)의 재질은 금속을 사용하되, 압력이나 충격에 대한 형태 안정성이 우수한 금속을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압출 성형 또는 절삭 가공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 슬리브(26)는 라이너용 본체부(10)의 길이방향 양쪽 단부의 둘레부 진원도 보정 유도와 부합하도록 배치하되, 예를 들어, 도 8에서와 같이 라이너용 본체부(10)의 길이방향 외측으로 더 연장된 둘레부를 이루는 상태로 연결 설치할 수 있다.
가이드 슬리브(26)는 예를 들어,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라이너용 본체부(10)의 사출 성형시 인서트물로서 삽입 세팅되어 인서트 사출 성형 방식에 의해 라이너용 본체부(10)의 단부 측에 접합 연결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라이너용 본체부(10)와 가이드 슬리브(26)의 접합부위의 접합력 및 기밀성 확보를 위하여 예를 들어, 성형 작업 전에 가이드 슬리브(26)의 접합면 측을 TRI(Technology Rising from Iwata) 접합과 부합하도록 표면 처리한 상태로 인서트 사출 성형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가이드 슬리브(26)는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한 접합 방식 이외에도 예를 들어,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라이너용 본체부(10)의 단부 측에 끼움 결합 또는 접착(접착제 도포) 방식으로 연결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금속 재질인 가이드 슬리브(26)를 도 8에서와 같이 폴리머 재질인 라이너용 본체부(10)의 연결 단부 측에 설치하되, 단부 둘레부 측이 원형을 이루도록 지지하는 상태로 고정 세팅함으로써, 나사 체결 전에 라이너용 본체부(10)의 연결 단부 측의 둘레부 진원도 보정이 가능하게 유도할 수 있다.
가이드 슬리브(26)의 설치 후에는, 라이너용 본체부(10)와 라이너용 돔부(20)를 도 8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나사 체결부(B)에 의한 나사 체결 방식으로 서로 연결한다.
나사 체결부(B)는 수나사부(B1) 및 암나사부(B2)로 구성하되, 가이드 슬리브(26) 측과 연계하여 나사 체결 안정성 확보가 가능하게 형성할 수 있다.
즉, 도 8에서와 같이 라이너용 본체부(10) 측의 가이드 슬리브(26)의 노출된 외주면 측에 수나사부(B1)를 형성하고, 라이너용 돔부(20)의 연결 가이드면(24) 측에 암나사부(B2)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면, 도 9에서와 같이 수나사부(B1)와 암나사부(B2)를 서로 체결하는 방식으로 라이너용 본체부(10)와 라이너용 돔부(20)를 서로 연결 결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봄베 타입의 압력용기 형태와 부합하는 라이너 어셈블리(L)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나사 체결 방식에 의하면, 금속 재질의 가이드 슬리브(26)와 금속 재질의 라이너용 돔부(20) 측이 나사 결합으로 연결되므로, 폴리머 재질의 라이너용 본체부(10)와 금속 재질의 라이너용 돔부(20)의 연결 형성을 위한 나사 체결력 및 체결 안정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라이너용 본체부(10)와 라이너용 돔부(20)의 나사 체결 지점에는 씰링부(28)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 씰링부(28)는 예를 들어, 나사 체결부(B) 틈새 측에 씰링용 링(예: 고무링)을 설치하는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러면, 가이드 슬리브(26) 및 라이너용 돔부(20) 간의 금속 결합 틈새 측에 씰링부(28)를 형성함으로써, 기밀 안정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봄베 타입으로 제조한 라이너 어셈블리(L)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예를 들어, 라이너 외부면 측에 통상의 와인딩 방식(예: HOOP 와인딩, HELICAL 와인딩, POLAR 와인딩)으로 복합재료 필라멘트를 감아서 봄베 타입의 복합재료 압력용기를 제조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작업 단계들을 거치면서 이종의 재질 즉, 폴리머 재질의 라이너용 본체부(10)와 금속 재질의 라이너용 돔부(20)로 구성되는 복합재료 압력용기용 라이너 어셈블리(L)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특히, 폴리머 재질의 라이너용 본체부(10) 및 금속 재질의 라이너용 돔부(20)를 서로 연결하되, 이들 연결부위의 진원도 보정이 가능한 상태로 연결 형성하는 방식으로 라이너 어셈블리(L)를 제조함으로써, 라이너의 경량화 및 기밀성을 유지하면서 내,외부 압력이나 충격 등에 대응하는 형태 안정성도 확보할 수 있다.
10: 라이너용 본체부 20: 라이너용 돔부
26: 가이드 슬리브 L: 압력용기용 라이너 어셈블리

Claims (8)

  1. 라이너용 본체부 및 라이너용 돔부로 구성되는 봄베(BOMBE) 타입의 압력용기용 라이너 어셈블리 제조방법으로서,
    폴리머 재질의 라이너용 본체부 및 금속 재질의 라이너용 돔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라이너용 본체부 및 라이너용 돔부를 서로 연결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라이너용 본체부 및 상기 라이너용 돔부를 서로 연결 형성하는 단계는,
    라이너용 본체부의 사출 성형과 연계하여 인서트물로서 라이너용 돔부를 세팅하여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한 접합력으로 라이너용 본체부 및 라이너용 돔부를 서로 연결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료 압력용기용 라이너 어셈블리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용 본체부 및 상기 라이너용 돔부를 서로 연결 형성하는 단계는,
    라이너용 돔부의 내주면 측에 연결 가이드면을 형성하여 인서트 사출 성형시 연결 가이드면 측에 라이너용 본체부의 연결단부 둘레부 측이 밀착 접합되는 상태로 연결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료 압력용기용 라이너 어셈블리 제조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 가이드면은,
    사출 성형과 연계하여 TRI 접합이 가능하게 표면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료 압력용기용 라이너 어셈블리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용 본체부 및 라이너용 돔부를 서로 연결 형성하는 단계는,
    두 개의 라이너용 돔부 측에 일측 단부 측이 접합 연결되는 상태로 라이너용 본체부를 분할 성형한 다음, 분할 성형한 두 개의 라이너용 본체부의 타측 단부 측을 융착 접합으로 서로 연결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료 압력용기용 라이너 어셈블리 제조방법.
  5. 삭제
  6. 라이너용 본체부 및 라이너용 돔부로 구성되는 봄베(BOMBE) 타입의 압력용기용 라이너 어셈블리 제조방법으로서,
    폴리머 재질의 라이너용 본체부 및 금속 재질의 라이너용 돔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라이너용 본체부 및 라이너용 돔부를 서로 연결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라이너용 본체부 및 라이너용 돔부를 서로 연결 형성하는 단계는,
    라이너용 본체부의 단부 측에 가이드 슬리브를 고정 설치하고, 이 가이드 슬리브 측과 라이너용 돔부 측에 암,수 나사 체결부를 형성하여 나사 체결력으로 라이너용 본체부 및 라이너용 돔부를 서로 연결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료 압력용기용 라이너 어셈블리 제조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슬리브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라이너용 본체부의 단부 둘레부의 진원도 보정 유도가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태로 고정 설치되는 복합재료 압력용기용 라이너 어셈블리 제조방법.
  8. 청구항 1 및 청구항 6 중에서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복합재료 압력용기용 라이너 어셈블리.
KR1020210180568A 2021-12-16 2021-12-16 복합재료 압력용기용 라이너 어셈블리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복합재료 압력용기용 라이너 어셈블리 KR102566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0568A KR102566953B1 (ko) 2021-12-16 2021-12-16 복합재료 압력용기용 라이너 어셈블리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복합재료 압력용기용 라이너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0568A KR102566953B1 (ko) 2021-12-16 2021-12-16 복합재료 압력용기용 라이너 어셈블리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복합재료 압력용기용 라이너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1448A KR20230091448A (ko) 2023-06-23
KR102566953B1 true KR102566953B1 (ko) 2023-08-14

Family

ID=86993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0568A KR102566953B1 (ko) 2021-12-16 2021-12-16 복합재료 압력용기용 라이너 어셈블리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복합재료 압력용기용 라이너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695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7892A (ja) 2005-03-08 2006-09-21 Toyota Motor Corp 二部材の接合構造および接合方法、並びにガス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4091264A (ja) 2012-11-05 2014-05-19 Nissho Seisakusho:Kk インサートモールドの接合継ぎ手構造
KR101643481B1 (ko) * 2011-10-21 2016-08-10 카우텍스 텍스트론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복합재 압력 용기의 제조 방법, 및 복합재 압력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6399A (ja) * 1995-07-25 1997-04-08 Toyoda Gosei Co Ltd 圧力容器
US10907769B2 (en) 2014-11-28 2021-02-02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Pressure vessel, lin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pressure vesse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7892A (ja) 2005-03-08 2006-09-21 Toyota Motor Corp 二部材の接合構造および接合方法、並びにガス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643481B1 (ko) * 2011-10-21 2016-08-10 카우텍스 텍스트론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복합재 압력 용기의 제조 방법, 및 복합재 압력 용기
JP2014091264A (ja) 2012-11-05 2014-05-19 Nissho Seisakusho:Kk インサートモールドの接合継ぎ手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1448A (ko) 2023-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48808B2 (en) Pressure vessel having improved sealing arrangement
JP7027439B2 (ja) 圧力容器用の圧力ポート要素を備えるポールキャップ
CN110869662B (zh) 改进的压力容器
CN107709794B (zh) 用于制造气囊式蓄能器的方法以及根据该方法制造的气囊式蓄能器
US7918956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n inner liner for a storage tank
CN106838602B (zh) 一种金属瓶口结构和lpg气瓶
CN105705856A (zh) 高压复合容器和制造高压复合容器的方法
KR101487757B1 (ko) 고압용기 및 그 제조방법
US8940121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orage tank
US10543651B2 (en) Polymer pressure vessel end-cap and liner-less pressure vessel design
KR101371593B1 (ko) 가스 탱크 및 그 제조 방법
US11879593B2 (en) Hybrid tanks
US20220325851A1 (en) Pressure vessel
JP5741482B2 (ja) 圧力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566953B1 (ko) 복합재료 압력용기용 라이너 어셈블리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복합재료 압력용기용 라이너 어셈블리
KR101920334B1 (ko) 고압 수소저장탱크 구조
US20170113401A1 (en) Chamber coupler
CN113932074B (zh) 一种钢丝网增强复合管高压连接接头及其制造方法
US20220275908A1 (en) Method for producing a pressure container and pressure container
KR102432466B1 (ko) 복합재료 압력용기용 라이너 어셈블리 및 이의 제조방법
RU2708013C1 (ru) Баллон высокого давления
KR101476615B1 (ko) 가스 탱크
CN115930101A (zh) 一种高压复合材料氢气瓶接口增强密封结构
KR20240081214A (ko) 라이너의 실린더부와 돔부 간 결합력을 강화시킨 압력용기
KR20220160149A (ko) 고압 저장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