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6693B1 - 건식 자동재생형 공기 여과시스템 - Google Patents

건식 자동재생형 공기 여과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6693B1
KR102566693B1 KR1020220036018A KR20220036018A KR102566693B1 KR 102566693 B1 KR102566693 B1 KR 102566693B1 KR 1020220036018 A KR1020220036018 A KR 1020220036018A KR 20220036018 A KR20220036018 A KR 20220036018A KR 102566693 B1 KR102566693 B1 KR 102566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asing
foreign matter
demister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6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왕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주원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주원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주원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20036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66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6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6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0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 B01D46/72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수가 필요없는 건식방식의 데미스터필터의 자동재생형 공기 여과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다수의 데미스터필터가 구비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부 일측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에어공급관을 통해 공급받은 에어를 분사시켜 데미스터필터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부와, 상기 케이싱 내부 타측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데미스터필터에서 제거된 이물질을 강제 흡입 후, 진공흡입관을 통해 집진시키는 이물질 수집부 및 상기 케이싱, 상기 이물질 제거부, 상기 이물질 수집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식 자동재생형 공기 여과시스템{Drying type air filtering system of subway station capable of automatic cleaning}
본 발명은 세척수가 필요없는 건식방식의 데미스터필터의 자동재생형 공기 여과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기 도입량이 많은 지하철과, 상업용빌딩, 대형백화점, 병원 기타 업무용 건물등과 같은 대형건물 및 터널 등의 시설물 실내에서 발생하는 미세오염물질이나 습도조절 및 공기 오염도를 일정수준 이하로 관리하기 위하여 외부에서 유입되는 외기를 초급용(PRE-FILTER), 중성능(MEDIUM FILTER), 고성능(HEPA 또는 ULPAFILTER)과 특히 오염물질이 많거나 악취제거를 위하여 악취제거용 여과기 등을 효율별로 직렬로 배열하여 실내의 요구조건에 충족되도록 공기를 정화하여 유입시키게 된다.
그러나, 공기 여과기는 일정시간 사용으로 인하여 그 표면에 이물질이 포집되고, 차츰 포집량이 증가되면 압력손실이 증가되고 그 공기정화 효율이 저하된다.
따라서, 공기 여과기가 지속적으로 공기를 정화하여 실내로 유입시키기 위해서는 공기 여과기의 집진 효율의 범위, 즉 포집량이 초과하였을 경우 그 즉시 공기 여과기를 교체하거나 세정하여야 한다.
한편, 종래의 공기여과기는 포집량이 초과할경우 일회용 여과기를 분리하여 폐기처분하는 교환형 또는 공기여과기가 드럼에 권취되어 교환시기에 일정간격 권취되는 자동귄취형, 진공흡입기로 흡입하는 자동재생형등이 주로 사용되어 왔으며, 상기한 공기여과기의 비용적 측면이나 유지보수적 측면을 고려한 물 분무 세정장치 를 장착한 공기여과기도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공기여과기중 교환형 및 자동권취형은 산업폐기물이 발생하고, 교체 인건비가 가중되는 단점이 있으며, 물분무 세정장치를 장착한 공기여과기는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의 헤더가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송 장치들을 사용함에따라 별도의 이송장치에 동력 및 그 이송장치의 방향을 절환하여 주는 펌프시스템이 필요하며, 항상 물과 전동기 등의 전기적장치가 공존하고 있으므로 누수로 인한 누전은 물론, 물 분사 장치가 이송함에 따라 누수로 인한 압력저하 및 완벽한 세정작업이 이루어질 수 없는 상태가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1667233호(공고일:2016.10.18.) 국내등록특허 제10-2142012호(공고일:2020.08.06.)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필터의 세정을 물이 아닌, 에어로만 세정을 실시하여 물 펌프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생략함에 따라 발생하는 인건비 및 설비단가를 낮추어 경제적인 이득을 획득하며, 누수로 인한 불량 요인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게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건식 자동재생형 공기 여과시스템은 내부에 다수의 데미스터필터(110)가 구비된 케이싱(100)과, 상기 케이싱(100) 내부 일측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에어공급관(240)을 통해 공급받은 에어를 분사시켜 데미스터필터(110)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부(200)와, 상기 케이싱(100) 내부 타측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데미스터필터(110)에서 제거된 이물질을 강제 흡입 후, 진공흡입관(350)을 통해 집진시키는 이물질 수집부(300) 및 상기 케이싱(100), 상기 이물질 제거부(200), 상기 이물질 수집부(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물질 제거부(200)는 소정의 길이를 갖되 상기 케이싱(100) 일측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노즐 이송프로파일(210)과, 상기 제1노즐 이송프로파일(2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기어드 모터(220) 및 일측은 상기 에어공급관(240)과 관 연결되되 타측에는 다수의 에어노즐(231)이 데미스터필터(110)와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며, 상기 제1 기어드 모터(220)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에어 스탠딩 파이프(2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에어노즐(231)은 상기 케이싱(100)을 통해 데미스터필터(110)를 관통하는 공기의 흐름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물질 수집부(300)는 소정의 길이를 갖되 상기 케이싱(100) 타측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노즐 이송프로파일(310)과, 상기 제2노즐 이송프로파일(3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기어드 모터(320) 및 일측은 상기 진공흡입관(350)과 관 연결되되 타측에는 수집호퍼(331)가 데미스터필터(110)와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며, 상기 제2 기어드 모터(320)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흡입 스탠딩 파이프(3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집호퍼(331)의 개구측은 상기 케이싱(100)을 통해 오염공기가 유입되는 데미스터필터(110)의 외면을 바라보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세정에 필요한 물탱크나 펌프시스템이 존재하지 않아 설비가 단순해짐과 동시에 설치에 대한 경제적인 부담이 적어지는 것은 물론, 결빙이나 누수에 대한 저해요소가 사라지는 효과를 구현하게 된다.
또한,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관리에 대한 배치인원이 현저히 줄어들기 때문에 인건비 절감의 효과도 동반되게 되며, 건식세정방식에 의해 데미스터필터가 파손되지 않는 이상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식 자동재생형 공기 여과시스템을 나타낸 계통도.
도 2는 도 1에 대한 케이싱에 설치된 이물질 제거부와 이물질 수집부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도 2에 대한 평면도.
도 4는 도 2에 대한 정면도.
도 5는 도 2에 대한 배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식 자동재생형 공기 여과시스템(이하, 간략하게 '여과시스템'이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여과시스템(1)은 크게 케이싱(100), 이물질 제거부(200), 이물질 수집부(300) 및 상기한 구성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400)는 관리자에 의해 제어되는 다수의 스위치와 디스플레이 등이 조합된 통상의 제어판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도록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케이싱(100)은 개폐 가능한 박스(Box)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진공의 상태를 가질 수 있는 내부에는 다수의 데미스터필터(110)가 구비되어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의 오염공기가 관통하여 상기 데미스터필터(110)에 의해 필터링된 정화공기가 상기 케이싱(100)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케이싱(100)의 서로 마주보는 외면에는 오염공기가 유입되어 데미스터필터(110)에 의해 필터된 이후의 정화공기가 배기될 수 있는 다수의 관통공이 천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싱(100) 일측에는 제1노즐 이송프로파일(210)이 삽입되어 도시되지 않은 승강수단(미도시)에 의해 상기 케이싱(100)의 높이방향을 따라 승강할 수 있도록 제1승강홈(120)이 형성되며, 타측에도 동일하게 승강수단을 통해 제2노즐 이송프로파일(310)이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승강홈(130)이 형성된다.
물론, 본 발명에서의 제1 및 제2노즐 이송프로파일(210,310)이 케이싱(100)에 형성된 제1 및 제2승강홈(120,130)을 따라 승강하는 구조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생략되어 상기 케이싱(100) 외면을 따라 승강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이물질 제거부(200)는 오염공기의 필터링을 통해 데미스터필터(110)에 고착된 이물질을 외부에서 공급되는 에어의 배출압력으로만 제거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1노즐 이송프로파일(210), 제1 기어드 모터(220) 및 에어 스탠딩 파이프(230)을 포함한다.
예컨대 제1노즐 이송프로파일(210)은 스틸재질을 이용하여 수직 또는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도록 성형되며, 상술한 케이싱(100)의 일측 즉, 정화공기가 배기되는 방향과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에어의 분사가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제1노즐 이송프로파일(210) 양측은 상술한 제1승강홈(120)에 삽입되어 실린더나 모터 등과 같은 승강수단을 통해 승강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외면에는 제1 기어드 모터(220)와 에어 스탠딩 파이프(230)가 서로 일체되게 결합하여 상기 제1노즐 이송프로파일(210)과 함께 승강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한다.
제1 기어드 모터(220)는 일체로 결합하는 에어 스탠딩 파이프(230)가 제1노즐 이송프로파일(210)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동력을 전달한다.
에어 스탠딩 파이프(230)는 일측이 에어공급관(240)과 관(PIPE) 연결되되 타측에는 데미스터필터(110) 외면과 근접하게 다수의 에어노즐(231)이 구비되어 상기 에어공급관(240)을 통해 외부에서 공급되는 에어가 다수의 상기 에어노즐(231)에 균일하게 분배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에어공급관(240)은 에어노즐(231)에 에어를 공급하기 위해 공기압축기(250)와 관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에어노즐(231)과 상기 공기압축기(250) 사이에는 레시바탱크(260)가 추가로 관 연결되어 에어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계측 지침의 흔들림에 의해 폼프의 유출량이 가변하는 맥동현상(脈動現象)을 방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이물질 수집부(300)는 상술한 이물질 제거부(200)를 통해 에어가 분사되어 이물질이 데미스터필터(110)에서 제거 즉, 박리되면 이를 신속하게 강제 흡입하여 폐기 가능하게 수집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2노즐 이송프로파일(310), 제2 기어드 모터(320) 및 흡입 스탠딩 파이프(330)를 포함한다.
예컨대 제2노즐 이송프로파일(310)은 상술한 제1노즐 이송프로파일(210)과 유사하게 양측이 제2승강홈(130)을 따라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 가능한 구조를 갖되 외면에는 흡입 스탠딩 파이프(330)와 일체로 결합하는 제2 기어드 모터(320)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제2노즐 이송프로파일(310)은 데미스터필터(110)를 기분으로 제1노즐 이송프로파일(210)과 서로 대칭되게 즉, 오염공기가 유입되는 상기 데미스터필터(110) 외면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기어드 모터(320)는 흡입 스탠딩 파이프(330)와 일체로 결합되게 제2노즐 이송프로파일(310)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 스탠딩 파이프(330)가 상기 제2노즐 이송프로파일(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한다.
흡입 스탠딩 파이프(330)는 일측이 진공흡입관(350)과 관(PIPE) 연결되되 타측에는 데미스터필터(110) 외면과 근접하게 이물질이 유입되게 일측이 개구된 호퍼의 형상을 갖는 수집호퍼(331)가 형성되어 상기 수집호퍼(331) 내측으로 제거된 이물질이 유입 후, 상기 진공흡입관(350)으로 유입되는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일단이 흡입 스탠딩 파이프(330)와 관 연결된 진공흡입관(350)의 타단에는 강제 흡입이 가능한 사이클론(340)이 관 연결되어 수집호퍼(331)의 개구분을 통해 상기 흡입 스탠딩 파이프(330)로 유입된 이물질이 상기 사이클론(340)에 강제 흡기되어 수집 후, 폐기 가능하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여과시스템(1)에 대한 작용관계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400)의 센싱이나 건식세정 동작에 대한 설정기산정보 등에 의해 데미스터필터(110)의 공기정화능력이 저하되었음을 감지하거나 설정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제어부(400)는 자동이나 관리자에 의한 수동동작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여과시스템(1)을 구동시켜 상기 데미스터필터(110)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입력신호를 상기 제어부(400)에 전송하게 된다.
입력신호가 전송되면 제어부(400)는 공기압축기(250)를 구동시켜 에어공급관(240)을 통해 에어노즐(231)로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데미스터필터(110) 외면으로 에어를 분사시킨다.
이 과정에서 제어부(400)는 제1노즐 이송프로파일(210)의 승강과 상기 제1노즐 이송프로파일(210)의 길이방향으로 에어노즐(231)이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기어드 모터(220)를 제어하여 케이싱(100) 내부에 설치된 다수의 데미스터필터(110) 전체에 고착된 이물질이 에어의 배출압력에 의해 분리되도록 이물질 제거부(200)를 동작시킨다.
이때, 제어부(400)는 상술한 이물질 제거부(200)의 이동방향과 동일하게 이물질 수집부(300)도 함께 승강은 물론, 제2노즐 이송프로파일(310)을 따라 왕복으로 수집호퍼(331)가 이동할 수 있도록 제2 기어드 모터(320)를 제어하여 분리된 이물질이 상기 수집호퍼(331)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수집호퍼(331) 내측으로 유입된 이물질은 사이클론(340)의 강제 흡기에 의해 진공흡입관(350)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사이클론(340) 내부에 수집 후, 원하는 장소에 폐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데미스터필터(110)의 건식 세정이 마감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여과시스템(1)은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세정에 필요한 물탱크나 펌프시스템이 존재하지 않아 설비가 단순해짐과 동시에 설치에 대한 경제적인 부담이 적어지는 것은 물론, 결빙이나 누수에 대한 저해요소가 사라지는 효과를 구현하게 된다.
또한,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관리에 대한 배치인원이 현저히 줄어들기 때문에 인건비 절감의 효과도 동반되게 되며, 건식세정방식에 의해 데미스터필터(110)가 파손되지 않는 이상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갖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본 발명에 따른 건식 자동재생형 공기 여과시스템
100: 케이싱
110: 데미스터필터 120: 제1승강홈
130: 제2승강홈
200: 이물질 제거부
210: 제1노즐 이송프로파일 220: 제1 기어드 모터
230: 에어 스탠딩 파이프 211: 에어노즐
240: 에어공급관 250: 공기압축기
260: 레시바탱크
300: 이물질 수거부
310: 제2노즐 이송프로파일 320: 제2 기어드 모터
330: 흡입 스탠딩 파이프 331: 수집호퍼
340: 사이클론 350: 진공흡입관
400: 제어부

Claims (5)

  1. 내부에 다수의 데미스터필터(110)가 구비된 케이싱(100);
    상기 케이싱(100) 내부 일측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에어공급관(240)을 통해 공급받은 에어를 분사시켜 데미스터필터(110)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부(200);
    상기 케이싱(100) 내부 타측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데미스터필터(110)에서 제거된 이물질을 강제 흡입 후, 진공흡입관(350)을 통해 집진시키는 이물질 수집부(300); 및
    상기 케이싱(100), 상기 이물질 제거부(200), 상기 이물질 수집부(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제거부(200)는
    소정의 길이를 갖되 상기 케이싱(100) 일측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노즐 이송프로파일(210);
    상기 제1노즐 이송프로파일(2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기어드 모터(220); 및
    일측은 상기 에어공급관(240)과 관 연결되되 타측에는 다수의 에어노즐(231)이 데미스터필터(110)와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며, 상기 제1 기어드 모터(220)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에어 스탠딩 파이프(230);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노즐(231)은
    상기 케이싱(100)을 통해 데미스터필터(110)를 관통하는 공기의 흐름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에어노즐(231)과 공기압축기(250) 사이에는 레시바탱크(260)가 추가로 관 연결되고,
    상기 공기압축기(250)는 상기 에어공급관(240)과 관 연결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자동재생형 공기 여과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수집부(300)는
    소정의 길이를 갖되 상기 케이싱(100) 타측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노즐 이송프로파일(310);
    상기 제2노즐 이송프로파일(3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기어드 모터(320); 및
    일측은 상기 진공흡입관(350)과 관 연결되되 타측에는 수집호퍼(331)가 데미스터필터(110)와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며, 상기 제2 기어드 모터(320)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흡입 스탠딩 파이프(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자동재생형 공기 여과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호퍼(331)의 개구측은
    상기 케이싱(100)을 통해 오염공기가 유입되는 데미스터필터(110)의 외면을 바라보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자동재생형 공기 여과시스템.
KR1020220036018A 2022-03-23 2022-03-23 건식 자동재생형 공기 여과시스템 KR102566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6018A KR102566693B1 (ko) 2022-03-23 2022-03-23 건식 자동재생형 공기 여과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6018A KR102566693B1 (ko) 2022-03-23 2022-03-23 건식 자동재생형 공기 여과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6693B1 true KR102566693B1 (ko) 2023-08-16

Family

ID=87848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6018A KR102566693B1 (ko) 2022-03-23 2022-03-23 건식 자동재생형 공기 여과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669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5691U (ko) * 1998-09-01 2000-04-06 김광수 필터식 공기집진장치의 공기필터 자동재생장치
KR100912658B1 (ko) * 2009-04-22 2009-08-17 주식회사 태하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식 필터청소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
KR101667233B1 (ko) 2015-06-30 2016-10-18 김광선 양방향 여과필터와 세정장치를 갖는 공기여과기
KR102142012B1 (ko) 2020-03-18 2020-08-06 삼우시스템 (주) 건식 자동재생형 공기여과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5691U (ko) * 1998-09-01 2000-04-06 김광수 필터식 공기집진장치의 공기필터 자동재생장치
KR100912658B1 (ko) * 2009-04-22 2009-08-17 주식회사 태하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식 필터청소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
KR101667233B1 (ko) 2015-06-30 2016-10-18 김광선 양방향 여과필터와 세정장치를 갖는 공기여과기
KR102142012B1 (ko) 2020-03-18 2020-08-06 삼우시스템 (주) 건식 자동재생형 공기여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2658B1 (ko) 건식 필터청소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
CN107596848A (zh) 一种用于纺织车间的纺织尘收集装置
KR102032381B1 (ko) 광고 기능을 갖는 초미세먼지 제거장치
CN108514384A (zh) 一种带有净化功能的清洁机器人
CN105256755B (zh) 细水雾吸尘车
CN219888368U (zh) 一种高厚度卫生用纸车间排风扇自动清扫机构
CN106178713A (zh) 一种多层布袋交互安装‑抽吸型布袋除尘器
JP2884541B2 (ja) 空調機用フィルタの自動清掃装置
CN208901524U (zh) 一种具有空气净化功能的家用新风系统
KR102566693B1 (ko) 건식 자동재생형 공기 여과시스템
CN107816003B (zh) 清扫车
CN112169521A (zh) 一种环保设备用矿厂除尘净化器
CN207739201U (zh) 清扫车
CN218296109U (zh) 一种具有自动清洁过滤网功能的新风系统
KR101972219B1 (ko) 환기용 공기청정장치
KR101667233B1 (ko) 양방향 여과필터와 세정장치를 갖는 공기여과기
CN212339496U (zh) 一种暖通空调用过滤装置
CN205127633U (zh) 带有滤芯清理装置的纯吸式吸尘车箱
CN207838603U (zh) 清扫车反吹清灰系统
CN210097189U (zh) 高效双重过滤脉冲除尘设备
CN208952311U (zh) 一种滤尘排风管装置
CN204786959U (zh) 一种机房自洁式卷帘节能新风冷却系统
CN109260861B (zh) 一种建筑施工用降尘装置
KR102454628B1 (ko) 미세먼지 정화 컨테이너
CN220881955U (zh) 一种打磨除尘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