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6113B1 - Manufacturing equipment for thrust ball bearing - Google Patents

Manufacturing equipment for thrust ball bear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6113B1
KR102566113B1 KR1020230046577A KR20230046577A KR102566113B1 KR 102566113 B1 KR102566113 B1 KR 102566113B1 KR 1020230046577 A KR1020230046577 A KR 1020230046577A KR 20230046577 A KR20230046577 A KR 20230046577A KR 102566113 B1 KR102566113 B1 KR 102566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er
disposed
supply unit
unit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65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한균
하호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일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일정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일정공
Priority to KR1020230046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611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6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61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0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 F16C19/1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axial load mai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43/00Assembling bearings
    • F16C43/04Assembling rolling-contact bearings
    • F16C43/06Placing rolling bodies in cages or bearings

Abstract

스러스트 볼 베어링의 조립을 위한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리테이너를 공급하는 리테이너공급부; 리테이너로 볼을 공급하는 볼공급부; 볼이 안착된 리테이너를 코킹 가공하는 코킹부; 및 리테이너공급부 내지 코킹부 사이에서 리테이너를 이송하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스러스트 볼 베어링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리테이너의 공급에서 볼의 투입 및 코킹에 이르는 일련의 제조과정을 자동화하여 스러스트 볼 베어링의 제조를 효율화하고 생산성을 개선할 수 있다.A manufacturing device for assembling a thrust ball bearing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etainer supply unit for supplying a retainer; a ball supply unit supplying balls to the retainer; A caulking unit for caulking the retainer on which the ball is seated; and a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the retainer between the retainer supply unit and the caulking unit. The present invention can streamline thrust ball bearing manufacturing and improve productivity by automating a series of manufacturing processes from retainer supply to ball input and caulking.

Figure R1020230046577
Figure R1020230046577

Description

스러스트 볼 베어링 제조장치 {MANUFACTURING EQUIPMENT FOR THRUST BALL BEARING}Thrust ball bearing manufacturing equipment {MANUFACTURING EQUIPMENT FOR THRUST BALL BEARING}

본 발명은 스러스트 볼 베어링의 조립을 위한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nufacturing apparatus for assembling thrust ball bearings.

축 방향의 하중을 지지하는 베어링의 한 종류로 스러스트 볼 베어링(Thrust ball bearing)이 알려져 있다. 스러스트 볼 베어링은 회전륜과 고정륜 사이에 복수의 볼이 체결되어, 회전륜이 고정륜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A thrust ball bearing is known as a type of bearing that supports an axial load. In the thrust ball bearing, a plurality of balls are fastened between a rotating wheel and a stationary wheel so that the rotating wheel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stationary wheel.

스러스트 볼 베어링은 종래 다양한 형태가 알려진 바 있다. 예컨대 등록특허 제10-1822531호는 스러스트 볼 베어링을 활용해 마찰을 줄이고 균일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한 "균일한 회전력 전달을 위한 회전 유니트"를 개시하고 있고, 등록실용신안 제20-0472196호는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스러스트 볼 베어링"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공개특허 제10-2010-0067745호는 단순한 구조로 제작을 용이하게 한 "스러스트 볼 베어링"을 개시하고 있고, 등록실용신안 제20-0198329호는 장기간의 하중에 의해 볼이 리테이너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볼 이탈방지형 스러스트 볼베어링 리테이너"를 개시하고 있다.Thrust ball bearings are conventionally known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Registered Patent No. 10-1822531 discloses a "rotation unit for transmitting uniform rotational force" that uses thrust ball bearings to reduce friction and transmit uniform rotational force, and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72196 A “thrust ball bearing” that can be coupled in a one-touch manner is disclosed. In additio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67745 discloses a "thrust ball bearing" that is easy to manufacture with a simple structure, and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198329 prevents the ball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retainer by a long-term load. Disclosed is a “ball release prevention type thrust ball bearing retainer” capable of preventing

스러스트 볼 베어링은 복수의 볼이 리테이너에 조립되고, 볼이 조립된 리테이너가 회전륜 및 고정륜에 조립되어 제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테이너가 제공되면, 리테이너에 구비된 복수의 안착홀에 각각 볼이 배치되고, 리테이너가 코킹(Caulkink) 가공되어, 볼이 리테이너에 조립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 이러한 조립공정은 작업자의 개입에 의해 각 단계별로 수행되어 왔다. 이에 따라 효율성이나 생산성 측면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The thrust ball bearing may be manufactured by assembling a plurality of balls to a retainer and assembling the retainer to which the balls are assembled to a rotating wheel and a stationary wheel. Specifically, when a retainer is provided, balls may be disposed in each of a plurality of seating holes provided in the retainer, the retainer may be caulked, and the balls may be assembled to the retainer. In general, such an assembling process has been performed step by step by operator intervention. Accordingly, there is room for improvement in terms of efficiency and productivity.

등록특허 제10-1822531호 (2018년 1월 22일 등록)Registered Patent No. 10-1822531 (registered on January 22, 2018) 등록실용신안 제20-0472196호 (2014년 4월 3일 등록)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72196 (registered on April 3, 2014) 공개특허 제10-2010-0067745호 (2010년 6월 2일 공개)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67745 (published on June 2, 2010) 등록실용신안 제20-0198329호 (2000년 7월 21일 등록)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198329 (registered on July 21, 2000)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스러스트 볼 베어링의 제조를 효율화하고 생산성을 개선할 수 있는 스러스트 볼 베어링 제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provide a thrust ball bearing manufacturing apparatus that can efficiently manufacture thrust ball bearings and improve productivity.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리테이너에 복수의 볼이 조립되는 과정을 자동화하여 제조 효율화 내지 생산성 개선을 이룩할 수 있는 스러스트 볼 베어링 제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In particula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provide a thrust ball bearing manufacturing apparatus capable of achieving manufacturing efficiency or productivity improvement by automating a process of assembling a plurality of balls in a retainer.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반드시 상기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상세한 설명 등 명세서의 다른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other descriptions of the specification, such as the detailed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리테이너를 공급하는 리테이너공급부; 상기 리테이너로 볼을 공급하는 볼공급부; 상기 볼이 안착된 상기 리테이너를 코킹 가공하는 코킹부; 및 상기 리테이너공급부 내지 상기 코킹부 사이에서 상기 리테이너를 이송하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스러스트 볼 베어링 제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tainer supply unit for supplying a retainer; a ball supply unit supplying balls to the retainer; a caulking unit for caulking the retainer on which the ball is seated; and a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the retainer between the retainer supply unit and the caulking unit.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러스트 볼 베어링 제조장치는 리테이너의 공급에서 볼의 투입 및 코킹에 이르는 일련의 제조과정을 자동화하여 스러스트 볼 베어링의 제조를 효율화하고 생산성을 개선할 수 있다.The thrust ball bearing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treamline thrust ball bearing manufacturing and improve productivity by automating a series of manufacturing processes from retainer supply to ball input and caulking.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효과들은 반드시 상기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상세한 설명 등 명세서의 다른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echnical effects obtainable thr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Other technical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other descriptions of the specification, such as the detailed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러스트 볼 베어링 제조장치의 평면 배치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리테이너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대기스테이지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리테이너정렬부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리테이너배출홀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리테이너정렬부의 제1작동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리테이너정렬부의 제2작동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볼공급부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볼공급유닛의 정면도이다.
1 is a plane arrangement view of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thrust ball bearing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nlarged view of the retainer shown in FIG. 1;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waiting stage shown in FIG. 1;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retainer aligning portion shown in FIG. 1;
5 is an enlarged view of the retainer discharge hole shown in FIG. 4;
FIG. 6 is a first operation view of the retainer aligning unit shown in FIG. 4;
FIG. 7 is a second operation view of the retainer aligning unit shown in FIG. 4;
8 is an enlarged view of the ball supply unit shown in FIG. 1;
9 is a front view of the ball supply unit shown in FIG. 8;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불분명하게 하거나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ollowing examples may b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However,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configurations or obscure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러스트 볼 베어링 제조장치의 평면 배치도이다.1 is a plane arrangement view of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thrust ball bearing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평면상 스러스트 볼 베어링 제조장치(이하, '제조장치(10)'로 약칭함)의 각 구성요소들이 배치된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편의상 본 설명에서는 도 1에 표시된 좌표축을 기준으로 x축방향을 좌우방향, y축방향을 전후방향, z축방향을 상하방향으로 지칭하여 설명하도록 한다.Figure 1 schematically shows the arrangement of each component of the planar thrust ball bearing manufacturing apparatus (hereinafter, abbreviated as 'manufacturing apparatus 10'). For convenience, in this description, the x-axis direction will be referred to as the left-right direction, the y-axis direction as the front-back direction, and the z-axis direction as the up-and-down direction based on the coordinate axes shown in FIG.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제조장치(10)는 리테이너(20)를 공급하는 리테이너공급부(100), 리테이너(20)로 조립되기 위한 볼(30)을 공급하는 볼공급부(200), 볼(30)이 공급된 리테이너(20)를 코킹(Caulking) 가공하기 위한 코킹부(300), 리테이너공급부(100) 내지 코킹부(300) 사이에서 리테이너(20)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manufacturing apparatus 10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retainer supply unit 100 for supplying a retainer 20, a ball supply unit 200 for supplying balls 30 to be assembled into the retainer 20, and a ball A caulking unit 300 for caulking the retainer 20 supplied with (30) and a transfer unit 400 for transferring the retainer 20 between the retainer supply unit 100 and the caulking unit 300 can include

리테이너(20)는 리테이너공급부(100)를 통해 공급되어, 볼공급부(200) 및 코킹부(300)를 거치면서 복수의 볼(30)과 조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리테이너(20)는 도면상 우측으로 이송되면서 이러한 조립과정을 거칠 수 있다. 이송부(400)는 리테이너공급부(100) 내지 코킹부(300) 사이에서 각 가공단계를 거친 리테이너(20)를 후속단계로 이송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The retainer 20 may be supplied through the retainer supply unit 100 and assembled with the plurality of balls 30 while passing through the ball supply unit 200 and the caulking unit 300 . In this embodiment, the retainer 20 may undergo this assembly process while being transferred to the right side in the drawing. The transfer part 400 may be provided to transfer the retainer 20 that has passed through each processing step between the retainer supply part 100 and the caulking part 300 to a subsequent step.

이하 상기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abov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본 실시예의 제조장치(10)는 리테이너공급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First, the manufacturing apparatus 10 of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retainer supply unit 100 .

리테이너공급부(100)는 리테이너(20)를 수용하고, 수용된 리테이너(20)를 볼공급부(200)를 향해 공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retainer supply unit 100 may be formed to accommodate the retainer 20 and supply the accommodated retainer 20 toward the ball supply unit 200 .

구체적으로, 리테이너공급부(100)는 복수의 리테이너(20)가 수용되는 리테이너피더(110)를 구비할 수 있다. 리테이너피더(110)는 공지된 파츠피더(Parts feeder), 원형피더(Bowl feeder) 등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일종의 원형피더 형태로 예시되어 있다.Specifically, the retainer supply unit 100 may include a retainer feeder 110 in which a plurality of retainers 20 are accommodated. The retainer feeder 11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known parts feeder, bowl feeder, or the like, and in this embodiment, it is exemplified as a type of circular feeder.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리테이너의 확대도이다.2 is an enlarged view of the retainer shown in FIG. 1;

도 2를 참조하면, 리테이너(20)는 대략 원형 링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retainer 20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circular ring shape.

구체적으로, 리테이너(20)는 평면상 원형 링의 형태로 연장 형성된 리테이너바디(21)를 구비할 수 있다. 리테이너바디(21)는 외측 직경(D1) 및 내측 직경(D2)을 가질 수 있다. 외측 직경(D1)은 후술할 아우터플랜지(23)의 외측 둘레가 형성하는 직경에 대응될 수 있고, 내측 직경(D2)은 후술할 이너플랜지(22)의 내측 둘레가 형성하는 직경에 대응될 수 있다. 리테이너바디(21)는 외측 직경(D1)과 내측 직경(D2) 사이에서 반경방향으로 소정의 폭(W1)을 가질 수 있다. 리테이너바디(21)에는 볼(30)이 안착 배치되기 위한 안착홀(21a)이 상하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볼(30)은 안착홀(21a)에 배치되어 하부 일부가 안착홀(21a) 외측으로 노출 배치될 수 있다. 안착홀(21a)은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안착홀(21a)은 리테이너바디(21)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총 16개의 안착홀(21a)이 예시되고 있다. 다만 안착홀(21a)의 개수는 베어링의 종류 등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retainer 20 may include a retainer body 21 extending in the form of a circular ring on a plane. The retainer body 21 may have an outer diameter D1 and an inner diameter D2. The outer diameter D1 may correspond to a diameter formed by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outer flange 23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inner diameter D2 may correspond to a diameter formed by an inner circumference of the inner flange 22 to be described later. there is. The retainer body 21 may have a predetermined width W1 in the radial direction between the outer diameter D1 and the inner diameter D2. Seating holes 21a through which the balls 30 are seated may be vertically formed through the retainer body 21 . The ball 30 may be disposed in the seating hole 21a so that a lower portion of the ball 3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eating hole 21a. A plurality of seating holes 21a may be formed, and the plurality of seating holes 21a may be spaced apart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long the retainer body 21 . In this embodiment, a total of 16 seating holes 21a are illustrated. However, the number of seating holes 21a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bearing.

또한 리테이너(20)는 이너플랜지(2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너플랜지(22)는 리테이너바디(21)의 내측 둘레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너플랜지(22)는 리테이너바디(21)의 내측 둘레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고, 상하로 소정 높이를 가질 수 있다.Also, the retainer 20 may include an inner flange 22 . The inner flange 22 may be formed by bending upward from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retainer body 21 . The inner flange 22 may exten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retainer body 21 and may have a predetermined height vertically.

또한 리테이너(20)는 아우터플랜지(23)를 구비할 수 있다. 아우터플랜지(23)는 이너플랜지(22)와 대응되도록 리테이너바디(21)의 외측 둘레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플랜지(23)는 이너플랜지(22)와 유사하게 리테이너바디(21)의 외측 둘레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고, 상하로 소정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아우터플랜지(23)는 대체로 이너플랜지(22)와 대응되는 동심원을 이루며 연장 형성될 수 있다.Also, the retainer 20 may include an outer flange 23 . The outer flange 23 may be formed by bending upward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etainer body 21 to correspond to the inner flange 22 . Like the inner flange 22, the outer flange 23 may exten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etainer body 21 and may have a predetermined height vertically. The outer flange 23 may extend and form a concentric circle corresponding to the inner flange 22 .

아우터플랜지(23)는 이너플랜지(22)와 반경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우터플랜지(23)와 이너플랜지(22) 사이에는 볼(30)이 배치되기 위한 배치공간(24)이 형성될 수 있다. 배치공간(24)은 반경방향을 따라 소정의 폭(W2)을 가질 수 있다. 배치공간(24)의 폭(W2)은 이너플랜지(22)의 외측 둘레면과 아우터플랜지(23)의 내측 둘레면 사이의 간격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배치공간(24)의 폭(W2)은 배치공간(24)을 향해 배치된 이너플랜지(22)의 일면과, 상기 일면과 마주보는 아우터플랜지(23)의 대향면 사이의 간격으로 정의될 수 있다. 참고로 이너플랜지(22) 및 아우터플랜지(23)의 각 두께에 따라 배치공간(24)의 폭(W2)은 전술한 내, 외측 직경(D2, D1) 간의 폭(W1)보다는 소정 정도 작게 형성될 수 있다.The outer flange 23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flange 2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radial direction. Accordingly, an arrangement space 24 for disposing the ball 30 may be formed between the outer flange 23 and the inner flange 22 . The placement space 24 may have a predetermined width W2 along the radial direction. The width W2 of the placement space 24 may be defined as a distance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flange 22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flange 23 . That is, the width W2 of the placement space 24 is defined as the distance between one surface of the inner flange 22 disposed toward the placement space 24 and the opposite surface of the outer flange 23 facing the one surface. can For reference, according to the respective thicknesses of the inner flange 22 and the outer flange 23, the width W2 of the placement space 24 is smaller than the width W1 between the inner and outer diameters D2 and D1 described above. It can be.

한편 본 실시예에서 리테이너(20)는 도 2와 같은 방향으로 배치되어 이송되도록 의도될 수 있다. 즉, 리테이너(20)는 이너플랜지(22) 및 아우터플랜지(23)가 상측을 향해 배치된 상태로 이송 의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배치공간(24)은 상측을 향해 개방될 수 있고, 상측으로부터 배치공간(24)으로 볼(30)이 투입될 수 있다. 본 설명에서는 편의상 도 2와 같이 이너플랜지(22) 및 아우터플랜지(23)가 상측을 향해 배치된 상태를 '정방향'으로 지칭하고, 반대로 이너플랜지(22) 및 아우터플랜지(23)가 하측을 향해 배치된 상태를 '역방향'으로 지칭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리테이너(20)는 리테이너피더(110)를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배치되어 이송될 수 있고, 후술할 리테이너정렬부(140)를 통해 정방향의 리테이너(20)만이 선택적으로 대기스테이지(130)에 공급될 수 있다.Meanwhile, in this embodiment, the retainer 20 may be intended to be transported by being disposed in the same direction as in FIG. 2 . That is, the retainer 20 may be intended to be transported with the inner flange 22 and the outer flange 23 disposed upward. In this case, the placement space 24 may be opened toward the upper side, and the ball 30 may be introduced into the placement space 24 from the upper side. In this description, for convenience, the state in which the inner flange 22 and the outer flange 23 are disposed upward as shown in FIG. 2 is referred to as a 'positive direction', and on the contrary, the inner flange 22 and the outer flange 23 are disposed downward. The arranged state is referred to as 'reverse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the retainer 20 may be disposed and transported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along the retainer feeder 110, and only the retainer 20 in the forward direction is selectively transferred to the standby stage 130 through the retainer alignment unit 140 to be described later. ) can be supplied.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리테이너공급부(100)는 리테이너피더(110)에 연결 설치된 리테이너이송레일(120)을 구비할 수 있다. 리테이너이송레일(120)은 리테이너피더(110)로부터 공급된 리테이너(20)를 일렬로 정렬시켜 우측의 대기스테이지(130)로 이송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리테이너이송레일(120)을 리테이너피더(110)로부터 대기스테이지(130)를 향해 좌우로 연장된 직선형의 레일로 예시되고 있다. 경우에 따라 리테이너이송레일(120)은 일부 또는 전부가 리테이너피더(11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1 , the retainer supply unit 100 may include a retainer transfer rail 120 connected and installed to the retainer feeder 110 . The retainer transfer rail 120 may be formed to align the retainers 20 supplied from the retainer feeder 110 and transfer them to the standby stage 130 on the right side. In this embodiment, the retainer transfer rail 120 is exemplified as a straight rail extending left and right from the retainer feeder 110 toward the standby stage 130. In some cases, part or all of the retainer transfer rail 12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retainer feeder 110 .

또한 리테이너공급부(100)는 리테이너이송레일(120)의 우측 단부에 배치된 대기스테이지(130)를 구비할 수 있다. 대기스테이지(130)는 볼공급부(200)로의 공급을 위해 이송된 리테이너(20)를 이송 대기시키도록 이뤄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대기스테이지(130)는 일부 또는 전부가 리테이너이송레일(12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tainer supply unit 100 may include a standby stage 130 disposed at the right end of the retainer transfer rail 120 . The standby stage 130 may be made to wait for the conveyed retainer 20 to be supplied to the ball supply unit 200 . In some cases, a part or all of the standby stage 13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retainer transfer rail 120 .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대기스테이지의 확대도이다.3 is an enlarged view of the waiting stage shown in FIG. 1;

도 3을 참조하면, 대기스테이지(130)는 이송된 리테이너(20)의 위치를 정렬시키는 스테이지정렬면(131)을 구비할 수 있다. 스테이지정렬면(131)은 리테이너(20)가 이송되는 방향과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리테이너(20)의 외측 둘레와 부분적으로 대응되는 원호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리테이너(20)는 리테이너이송레일(120)을 따라 우측으로 이송되면서 스테이지정렬면(131)에 접촉될 수 있고, 스테이지정렬면(131)에 접촉되면서 외측 둘레 형상에 따라 소정 위치로 정렬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standby stage 130 may include a stage alignment surface 131 for aligning the transferred retainers 20 . The stage alignment surface 131 may be disposed to face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tainer 20 is transported, and may have an arc shape partially corresponding to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retainer 20 . The retainer 20 may contact the stage alignment surface 131 while being transferred to the right along the retainer transfer rail 120, and may be align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outer circumference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stage alignment surface 131. .

또한 대기스테이지(130)는 스테이지실린더(132)를 구비할 수 있다. 스테이지실린더(132)는 대기스테이지(130)의 바닥면에 배치되어 상하로 승하강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스테이지실린더(132)는 바닥면에 매립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가 스테이지정렬면(131)으로 리테이너(20)가 진입되면 상측으로 승강되어 리테이너(20)를 공급 대기 상태로 배치시킬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스테이지정렬면(131)에 인접한 소정 높이에는 리테이너(20)의 진입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제1센서(133)가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andby stage 130 may include a stage cylinder 132 . The stage cylinder 132 may be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tandby stage 130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The stage cylinder 132 is disposed in a buried state on the bottom surface, and when the retainer 20 enters the stage alignment surface 131, the stage cylinder 132 is lifted upward to place the retainer 20 in a supply stand-by state. If necessary, a first sensor 133 for checking whether the retainer 20 is entered may b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djacent to the stage alignment surface 131 .

리테이너(20)의 보다 안전한 승강을 위해, 스테이지실린더(132)의 상단에는 실린더삽입부(132a)가 형성될 수 있다. 실린더삽입부(132a)는 리테이너(20)의 내측 직경(D2)과 대응되거나, 내측 직경(D2) 대비 소정 정도 작은 외측 직경을 가지고, 스테이지실린더(132)의 상단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린더삽입부(132a)는 리테이너(20)의 내측 직경(D2)으로 삽입되면서 리테이너(20)를 승강시킬 수 있다. 또한 실린더삽입부(132a)의 외측 둘레에는 리테이너(20)의 저면을 지지하는 실린더지지면(132b)이 형성될 수 있다. 실린더지지면(132b)은 실린더삽입부(132a)의 외측 둘레를 따라 대략 원형 링의 형태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For more safe lifting of the retainer 20, a cylinder insert 132a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stage cylinder 132. The cylinder insertion portion 132a may correspond to the inner diameter D2 of the retainer 20 or have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D2 by a predetermined amount, and may protrude from the upper end of the stage cylinder 132 . The cylinder insertion portion 132a may move the retainer 20 up and down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inner diameter D2 of the retainer 20 . In addition, a cylinder support surface 132b supporting a bottom surface of the retainer 20 may be formed around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cylinder insertion portion 132a. The cylinder support surface 132b may exten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ylinder insert 132a in a substantially circular ring shape.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리테이너공급부(100)는 리테이너정렬부(140)를 구비할 수 있다. 리테이너정렬부(140)는 정방향으로 배치된 리테이너(20)만을 대기스테이지(130)로 선택적 공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리테이너정렬부(140)는 정방향으로 배치된 리테이너(20)만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고, 역방향으로 배치된 리테이너(20)는 리테이너피더(110) 등으로 다시 떨어뜨리는 구조로 이뤄질 수 있다. 리테이너정렬부(140)는 리테이너피더(110)나 리테이너이송레일(12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리테이너정렬부(140)는 도 1에서 예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리테이너피더(110)와 리테이너이송레일(1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리테이너피더(110)에 수용된 리테이너(20)는 리테이너정렬부(140)를 거쳐 정위치로 배치된 리테이너(20)만이 리테이너이송레일(120)로 공급될 수 있다. 다만 리테이너정렬부(140)의 위치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변동될 수 있고, 반드시 예시된 바에 한정되지는 않는다.Referring back to FIG. 1 , the retainer supply unit 100 may include a retainer alignment unit 140 . The retainer aligning unit 140 may be formed to selectively supply only the retainers 20 disposed in the forward direction to the standby stage 130 . In this embodiment, the retainer alignment unit 14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only the retainers 20 disposed in the forward direction selectively pass, and the retainers 20 disposed in the reverse direction are dropped back to the retainer feeder 110 or the like. The retainer alignment unit 14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retainer feeder 110 or the retainer transfer rail 120 . Preferably, the retainer alignment unit 14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retainer feeder 110 and the retainer transfer rail 120 as illustrated in FIG. 1 . In this case, the retainer 20 accommodated in the retainer feeder 110 passes through the retainer alignment unit 140 and only the retainer 20 disposed in the correct position can be supplied to the retainer transfer rail 120 . However, the position of the retainer alignment unit 140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as needed, and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bar.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리테이너정렬부의 확대도이다.4 is an enlarged view of the retainer aligning portion shown in FIG. 1;

도 4를 참조하면, 리테이너정렬부(140)는 리테이너(20)가 안착되어 이송되는 리테이너안착면(141)을 구비할 수 있다. 리테이너안착면(141)은 소정의 폭(W1)을 갖고, 리테이너(20)이 이송되는 좌우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리테이너안착면(141)의 폭(W1)은 리테이너(20)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리테이너(20)의 외측 직경(D1)과 대응되거나, 외경 직경(D1) 대비 소정 정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4에서 리테이너(20)는 리테이너안착면(141)의 좌측으로부터 공급되어 우측을 향해 이송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retainer alignment unit 140 may include a retainer seating surface 141 on which the retainer 20 is seated and transported. The retainer seating surface 141 may have a predetermined width W1 and extend along the left-right direction in which the retainer 20 is transported. The width W1 of the retainer seating surface 141 may correspond to the outer diameter D1 of the retainer 20 or may be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D1 by a predetermined amount in order to stably support the retainer 20 . For reference, in FIG. 4 , the retainer 20 may be supplied from the left side of the retainer seating surface 141 and transferred toward the right side.

도 4의 C2-C2'단면이나 C3-C3'단면과 같이, 리테이너안착면(141)은 하측을 향해 소정 정도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리테이너안착면(141)은 수직방향에 대해 30 내지 60도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리테이너안착면(141)의 경사에 따라, 리테이너(20)는 후면이 리테이너안착면(141)에 지지되고, 하단이 후술할 리테이너지지단(142)에 지지되어 이송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cross section C2-C2′ or the cross section C3-C3′ of FIG. 4 , the retainer seating surface 141 may be inclined downward to a certain extent toward the lower side. For example, the retainer seating surface 141 may be inclined by 30 to 6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Depending on the inclination of the retainer seating surface 141, the retainer 20 can be transported with its rear surface supported by the retainer seating surface 141 and its lower end supported by a retainer support end 142 to be described later.

한편 리테이너정렬부(140)는 리테이너지지단(142)을 구비할 수 있다. 리테이너지지단(142)은 리테이너안착면(141)의 하단이 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리테이너지지단(142)은 리테이너안착면(141)과 대략 직교하도록 전방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리테이너지지단(142)은 전술한 바와 같이 리테이너(20)의 하단을 접촉 지지하게 된다.Meanwhile, the retainer alignment unit 140 may include a retainer support end 142 . The retainer support end 142 may be formed by bending a lower end of the retainer seating surface 141 forward. The retainer support end 142 may be bent forward to be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retainer seating surface 141 . As described above, the retainer support end 142 contacts and supports the lower end of the retainer 20 .

리테이너정렬부(140)는 리테이너배출홀(143)을 구비할 수 있다. 리테이너배출홀(143)은 리테이너안착면(141)의 하단 영역에 배치되어, 리테이너안착면(141)에 전후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리테이너배출홀(143)은 대략 직사각형의 홀로 예시되고 있다. 리테이너배출홀(143)은 리테이너(20)의 배치방향에 따라 리테이너(20)를 하부로 배출시키도록 기능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 역방향으로 배치된 리테이너(20)는 리테이너배출홀(143)을 통해 리테이너안착면(141)으로부터 이탈되어 하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정방향으로 배치된 리테이너(20)는 리테이너안착면(141) 및 리테이너지지단(142)을 따라 우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The retainer alignment unit 140 may include a retainer discharge hole 143 . The retainer discharge hole 143 may be disposed in a lower region of the retainer seating surface 141 and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retainer seating surface 141 forward and backward. In this embodiment, the retainer discharge hole 143 is illustrated 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hole. The retainer discharge hole 143 may function to discharge the retainer 20 downward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retainer 20 .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tainer 20 disposed in the reverse direction may be separated from the retainer seating surface 141 through the retainer discharge hole 143 and discharged downward. The retainer 20 disposed in the forward direction may be transferred to the right along the retainer seating surface 141 and the retainer support end 142 .

리테이너(20)의 원활한 배출을 위해, 리테이너배출홀(143)은 소정의 상하방향 폭(W2) 및 좌우방향 길이(L1)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테이너배출홀(143)의 하단은 도 4의 C2-C2'단면이나 C3-C3'단면과 같이, 리테이너안착면(141)의 상면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리테이너배출홀(143)의 상단은 리테이너안착면(141)의 폭방향의 중심선(CL1)보다 소정 정도 높은 위치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리테이너배출홀(143)의 상하 폭(W2)은 리테이너안착면(141)의 폭(W1) 대비 60 내지 70%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리테이너배출홀(143)의 좌우 길이(L1)는 리테이너(20)의 외측 직경(D1)보다 소정 정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리테이너배출홀(143)의 좌우 길이(L1)는 리테이너(20)의 외측 직경(D1) 대비 120 내지 150%로 형성될 수 있다. 리테이너배출홀(143)의 적절한 크기는 정방향의 리테이너(20)에 대한 배출을 제한하면서, 역방향의 리테이너(20)에 대한 원활한 배출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For smooth discharge of the retainer 20, the retainer discharge hole 143 may have a predetermined vertical width W2 and left-right length L1. Specifically, the lower end of the retainer discharge hole 143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etainer seating surface 141, as shown in section C2-C2′ or section C3-C3′ of FIG. 4 . In addition, an upper end of the retainer discharge hole 143 may extend to a position higher than a central line CL1 of the retainer seating surface 141 in the width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level. For example, the upper and lower width W2 of the retainer discharge hole 143 may be formed to be 60 to 70% of the width W1 of the retainer seating surface 141 . 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lengths L1 of the retainer discharge hole 143 may be formed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D1 of the retainer 20 by a predetermined amount. Preferably, the left and right length L1 of the retainer discharge hole 143 may be 120 to 150% of the outer diameter D1 of the retainer 20 . The appropriate size of the retainer discharge hole 143 allows smooth discharge of the retainer 20 in the reverse direction while limiting the discharge of the retainer 20 in the forward direction.

필요에 따라 리테이너배출홀(143)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고, 복수의 리테이너배출홀(143)은 리테이너(20)의 이송방향을 따라 리테이너안착면(141) 상에서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리테이너배출홀(143)이 배출홀구획리브(144)를 사이에 두고 좌우로 이격 배치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리테이너(20)의 이송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된 리테이너배출홀(143)은 역방향의 리테이너(20)를 보다 완전하게 선별할 수 있도록 한다.If necessary, a plurality of retainer discharge holes 143 may be provided, and the plurality of retainer discharge holes 143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retainer seating surface 141 along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retainer 20. . In this embodiment, a case in which three retainer discharge holes 143 are disposed left and right with the discharge hole dividing rib 144 interposed therebetween is exemplified. The retainer discharge holes 143 continuously arranged along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retainer 20 allow the retainer 20 in the reverse direction to be more completely sorted out.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리테이너배출홀의 확대도이다.5 is an enlarged view of the retainer discharge hole shown in FIG. 4;

도 5를 참조하면, 리테이너정렬부(140)는 센터리브(145)를 구비할 수 있다. 센터리브(145)는 리테이너안착면(141)으로부터 리테이너배출홀(143)을 향해 소정 형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터리브(145)는 리테이너배출홀(143)의 좌우 중앙 부위에 배치되어, 리테이너안착면(141)과 동일 평면을 이루며 리테이너배출홀(143)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센터리브(145)는 대략 반원형의 돌기로 예시되고 있다. 반원형의 센터리브(145)는 리테이너(20)의 형상과 대응되어 역방향의 리테이너(20)를 원활히 배출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retainer alignment unit 140 may include a center rib 145 . The center rib 145 may protrude from the retainer seating surface 141 toward the retainer discharge hole 143 in a predetermined shape. Specifically, the center rib 145 may be disposed at left and right central portions of the retainer discharge hole 143 and protrude toward the retainer discharge hole 143 while forming the same plane as the retainer seating surface 141 . In this embodiment, the center rib 145 is illustrated as a substantially semicircular projection. The semicircular center rib 145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retainer 20 and can contribute to smoothly discharging the retainer 20 in the opposite direction.

여기서 센터리브(145)는 리테이너(20)의 내측 직경(D2) 내부에 배치될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도 5에 표시된 바와 같은 리테이너(20)의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센터리브(145)의 외측 둘레는 리테이너(20)의 내측 둘레로부터 소정 간격(G1~G3) 이격될 수 있다. 상기의 기준 위치는 리테이너(20)가 후술할 제1, 2가이드리브(146, 147)에 대응되게 배치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상기의 기준 위치에서 정방향 및 역방향에 따른 리테이너(20)의 선별이 이뤄질 수 있다.Here, the center rib 145 may have a size and shape that can be disposed inside the inner diameter D2 of the retainer 20 . That is, based on the reference position of the retainer 20 as shown in FIG. 5 ,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enter rib 145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retainer 2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G1 to G3). The reference position may refer to a state in which the retainer 20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and second guide ribs 146 and 147 to be described later. In this embodiment, the retainer 20 can be sorted according to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reverse direction from the above reference position.

한편 리테이너정렬부(140)는 제1가이드리브(146) 및 제2가이드리브(147)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2가이드리브(146, 147)는 센터리브(145)를 사이에 두고 좌우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1, 2가이드리브(146, 147)는 상술한 리테이너(20)의 기준 위치에서, 리테이너(20)의 좌우 측이 각각 대응되는 제1, 2가이드리브(146, 147)에 접촉 지지될 수 있도록, 소정의 설정 간격을 갖고 좌우로 이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2가이드리브(146, 147)는 기준 위치에서 리테이너(20)의 외측 직경(D1) 및 내측 직경(D2)의 대략 중앙 부위에 배치될 수 있도록 좌우 간격이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테이너(20)는 도시된 바와 같은 기준 위치에서 좌우 측이 각각 제1, 2가이드리브(146, 147)와 대응되게 배치된 상태를 이루며 이송될 수 있다.Meanwhile, the retainer alignment unit 140 may include a first guide rib 146 and a second guide rib 147 . The first and second guide ribs 146 and 147 may be spaced left and right with the center rib 145 interposed therebetween. The first and second guide ribs 146 and 147 can be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first and second guide ribs 146 and 147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tainer 20 at the reference position of the retainer 20 described above. so that they can be spaced left and right with a predetermined set interval. In other words, the left and right intervals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 ribs 146 and 147 can be appropriately set so that they can be disposed at approximately the center of the outer diameter D1 and inner diameter D2 of the retainer 20 at the reference position. there is. Accordingly, the retainer 20 can be transported in a state in which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and second guide ribs 146 and 147, respectively, at the reference position as shown.

제1가이드리브(146)는 리테이너배출홀(143)과 경계를 이루는 리테이너안착면(141)의 하단으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가이드리브(146)는 리테이너안착면(141)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며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가이드리브(146)는 리테이너안착면(141)의 폭방향 중심선(CL1)보다 소정 정도 하측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가이드리브(146)는 센터리브(145)의 외측 둘레와 소정 간격을 갖고 이격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guide rib 146 may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lower end of the retainer seating surface 141 forming a boundary with the retainer discharge hole 143 . The first guide rib 146 may extend downward while forming the same plane as the retainer seating surface 141 . Preferably, the first guide rib 146 may extend to a predetermined extent lower than the center line CL1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etainer seating surface 141 . Also, the first guide rib 146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enter rib 145 at a predetermined interval.

한편 제1가이드리브(146)는 소정의 좌우 폭(W3)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1가이드리브(146)의 좌우 폭(W3)은 리테이너(20)의 배치공간(24)이 가진 폭(W2) 대비 소정 정도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가이드리브(146)의 좌우 폭(W3)은 배치공간(24)의 폭(W2) 대비 60 내지 80%로 형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제1가이드리브(146)의 하단은 반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반원 형상의 하단은 역방향의 센터리브(145)에 대한 회전 동작이 보다 원활히 일어날 수 있도록 안내하고, 배출 과정에서 리테이너(20)의 긁힘 등을 방지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guide rib 146 may have a predetermined left and right width W3. Here, the left and right width W3 of the first guide rib 146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W2 of the placement space 24 of the retainer 20 by a predetermined amount. For example, the left and right width W3 of the first guide rib 146 may be 60 to 80% of the width W2 of the placement space 24 . If necessary, the lower end of the first guide rib 146 may be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The lower half of the semicircular shape guides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center rib 145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occur more smoothly, and can prevent the retainer 20 from being scratched during the discharge process.

제2가이드리브(147)는 제1가이드리브(146)와 대응되게 센터리브(145)의 반대측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가이드리브(147)는 대체로 제1가이드리브(146)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guide rib 147 may be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enter rib 145 to correspond to the first guide rib 146 . The second guide rib 147 may be formed substantially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first guide rib 146 .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리테이너정렬부의 제1작동도이다.FIG. 6 is a first operation view of the retainer aligning unit shown in FIG. 4;

도 6은 정방향으로 배치된 리테이너(20)가 리테이너정렬부(140)를 지날 때의 작동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리테이너(20)는 이너플랜지(22) 및 아우터플랜지(23)가 리테이너안착면(141)의 반대편을 향해 배치된 상태로, 리테이너안착면(141)에 안착 지지되어 리테이너정렬부(140)를 따라 우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FIG. 6 shows an operation when the retainer 20 disposed in the forward direction passes the retainer aligning unit 140 . Referring to FIG. 6, the retainer 20 is seated and supported on the retainer seating surface 141 with the inner flange 22 and the outer flange 23 disposed toward the opposite side of the retainer seating surface 141 to align the retainer. It can be transported to the right along section 140.

기준 위치(P1)에서, 리테이너(20)는 하단이 리테이너지지단(142)에 접촉 지지될 수 있고, 상부 영역이 리테이너안착면(141)에 의해 접촉 지지될 수 있다. 좌우 측부 영역은 C4-C4' 단면과 같이 리테이너바디(21)의 저면이 제1, 2가이드리브(146, 147)에 의해 접촉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테이너(20)는 리테이너정렬부(140)에 안착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기준 위치(P1)를 통과하게 되고, 우측을 향해 계속 이송될 수 있다.At the reference position P1 , the lower end of the retainer 20 can be contacted and supported by the retainer support end 142 and the upper region can be contacted and supported by the retainer seating surface 141 . In the left and right side regions, the lower surface of the retainer body 21 may be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first and second guide ribs 146 and 147 as shown in the C4-C4' section. Accordingly, the retainer 20 passes the reference position P1 while maintaining a state supported by the retainer alignment unit 140, and can be continuously transported toward the right side.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리테이너정렬부의 제2작동도이다.FIG. 7 is a second operation view of the retainer aligning unit shown in FIG. 4;

도 7은 역방향으로 배치된 리테이너(20)가 리테이너정렬부(140)를 지날 때의 작동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리테이너(20)는 이너플랜지(22) 및 아우터플랜지(23)가 리테이너안착면(141)을 향해 배치된 상태로, 리테이너안착면(141)에 안착 지지되어 리테이너정렬부(140)를 따라 우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FIG. 7 shows an operation when the retainer 20 disposed in the reverse direction passes the retainer aligning unit 140 . Referring to FIG. 7 , the retainer 20 is seated and supported on the retainer seating surface 141 in a state where the inner flange 22 and the outer flange 23 are disposed toward the retainer seating surface 141, so that the retainer alignment unit ( 140) can be transferred to the right.

여기서 리테이너(20)가 기준 위치(P1)에 도달되면, C5-C5' 단면과 같이 이너플랜지(22) 및 아우터플랜지(23) 사이로 제1가이드리브(146) 및 제2가이드리브(147)가 배치되게 된다. 이에 따라 리테이너(20)는 제1, 2가이드리브(146, 147)를 향해 하측으로 소정 간격 이동될 수 있다. 즉, 리테이너(20)는 상부 영역이 리테이너안착면(141)에 접촉 지지된 상태에서, 하부 영역이 제1, 2가이드리브(146, 147)를 향해 소정 간격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리테이너(20)의 하단은 리테이너지지단(142)으로부터 이탈되게 되고, 리테이너(20)는 제1, 2가이드리브(146, 147)의 하단을 중심으로 소정 정도 회전(M1)되면서, 리테이너배출홀(143)로 진입될 수 있다. 이후 리테이너(20)는 리테이너안착면(141)으로부터 이탈되면서, 리테이너배출홀(143)을 통해 하측으로 배출되게 된다.Here, when the retainer 20 reaches the reference position P1, the first guide rib 146 and the second guide rib 147 are moved between the inner flange 22 and the outer flange 23 as shown in the C5-C5' section. will be placed Accordingly, the retainer 20 may move downward toward the first and second guide ribs 146 and 147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hat is, the lower area of the retainer 20 moves downwar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ward the first and second guide ribs 146 and 147 while the upper area is contacted and supported by the retainer seating surface 141 . Accordingly, the lower end of the retainer 20 is separated from the retainer support end 142, and the retainer 20 is rotated (M1) by a predetermined degree around the low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 ribs 146 and 147, It may enter the discharge hole 143. Thereafter, the retainer 20 is discharged downward through the retainer discharge hole 143 while being separated from the retainer seating surface 141 .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제조장치(10)는 볼공급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1 , the manufacturing apparatus 10 of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ball supply unit 200 .

볼공급부(200)는 리테이너공급부(100)의 후단에 배치되어 리테이너(20)에 볼(30)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볼공급부(200)는 리테이너(20)에 볼(30)이 적절히 공급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The ball supply unit 200 is disposed at the rear end of the retainer supply unit 100 to supply the retainer 20 with the ball 30 . In addition, the ball supply unit 200 may inspect whether or not the ball 30 is properly supplied to the retainer 20 .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볼공급부의 확대도이다.8 is an enlarged view of the ball supply unit shown in FIG. 1;

도 8을 참조하면, 볼공급부(200)는 볼 공급을 위해 리테이너(20)가 안착 배치되는 제1회전스테이지(21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회전스테이지(210)는 상하방향의 회전축을 갖고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회전스테이지(210)의 중앙에는 리테이너(20)의 체결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삽입가이드(211)가 형성될 수 있다. 삽입가이드(211)는 리테이너(20)의 내측 둘레에 대응되는 원형 컬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가이드(211)의 둘레에는 리테이너(20)가 안착 지지될 수 있는 리테이너지지면(212)이 형성될 수 있고, 리테이너지지면(212)에는 리테이너(20)의 안착홀(21a)에 대응되는 복수의 볼가이드홀(213)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the ball supply unit 200 may include a first rotation stage 210 on which the retainer 20 is seated and disposed to supply balls. The first rotation stage 210 may be formed to be rotatable with a rotation shaft in a vertical direction. An insertion guide 211 for guiding the fastening position of the retainer 20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irst rotation stage 210 . The insertion guide 211 may be formed in a circular column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retainer 20 . A retainer support surface 212 on which the retainer 20 can be seated and supported may be formed around the insertion guide 211, and a retainer support surface 212 corresponding to the seating hole 21a of the retainer 20 may be formed. A plurality of ball guide holes 213 may be formed.

필요에 따라 제1회전스테이지(210)의 외측 둘레에 인접한 소정 위치에는 제2센서(214)가 구비될 수 있다. 제2센서(214)는 리테이너지지면(212) 상에 배치된 리테이너(20)를 감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볼공급부(200)는 이를 통해 리테이너(20)의 공급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제1회전스테이지(210)의 하측에는 제3센서(215)가 구비될 수 있다. 제3센서(215)는 제1회전스테이지(210)의 회전을 감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회전스테이지(210)는 이를 통해 기 설정된 소정 각도만큼 회전되면서 리테이너지지면(212) 상에 배치된 리테이너(20)에 볼을 공급할 수 있다.If necessary, a second sensor 214 may b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djacent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rotation stage 210 . The second sensor 214 may be formed to sense the retainer 20 disposed on the retainer support surface 212 . The ball supply unit 200 can identify whether or not the retainer 20 is supplied through this. In addition, a third sensor 215 may be provided below the first rotation stage 210 . The third sensor 215 may be configured to detect rotation of the first rotation stage 210 . Through this, the first rotation stage 210 may supply balls to the retainer 20 disposed on the retainer support surface 212 while being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또한 볼공급부(200)는 제1회전스테이지(210)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볼공급유닛(220)을 구비할 수 있다. 볼공급유닛(220)은 제1회전스테이지(210)에 배치된 리테이너(20)로 볼을 공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공급된 볼은 리테이너(20)의 안착홀(21a)에 안착 배치될 수 있다. 볼공급유닛(220)은 제1회전스테이지(210)의 후방에 배치되어, 제1회전스테이지(210)를 향해 전후진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볼공급유닛(220)은 제1회전스테이지(210)의 상측에서 제1회전스테이지(210)를 향해 승하강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ll supply unit 200 may include a ball supply unit 220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rotation stage 210 . The ball supply unit 220 may be configured to supply balls to the retainer 20 disposed on the first rotation stage 210 . The supplied ball may be seated and disposed in the seating hole 21a of the retainer 20 . The ball supply unit 220 may be disposed at the rear of the first rotation stage 210 and move forward and backward toward the first rotation stage 210 . In addition, the ball supply unit 220 may be form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from the upper side of the first rotation stage 210 toward the first rotation stage 210 .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볼공급유닛의 정면도이다.9 is a front view of the ball supply unit shown in FIG. 8;

도 9를 참조하면, 볼공급유닛(220)은 하측으로 볼을 공급하는 볼공급관(221)을 구비할 수 있다. 볼공급관(221)은 제1회전스테이지(210)의 상측에서 볼가이드홀(213)과 대응되게 배치되어, 하측으로 볼을 공급할 수 있다. 리테이너(20)는 제1회전스테이지(210)에 안착된 상태로, 제1회전스테이지(210)와 함께 소정 속도로 회전되면서 각 안착홀(21a)로 볼을 공급받을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1회전스테이지(210)의 하측에는 제1회전스테이지(210)와 일체로 회전되는 피감지로드(216)가 구비될 수 있고, 제3센서(215)는 피감지로드(216)를 통해 제1회전스테이지(210)의 회전위치를 감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9, the ball supply unit 220 may be provided with a ball supply pipe 221 for supplying the ball to the lower side. The ball supply pipe 221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ball guide hole 213 at the upper side of the first rotation stage 210, and can supply balls to the lower side. The retainer 20 can be supplied to each seating hole 21a while being rotated at a predetermined speed together with the first rotation stage 210 while being seated on the first rotation stage 210 . In some cases, a sensing rod 216 that rotates integrally with the first rotation stage 210 may be provided below the first rotation stage 210, and the third sensor 215 is the sensing rod 216. ) It may be formed to detect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first rotation stage 210 through.

필요에 따라 볼공급관(221)의 하측에는 차폐리브(222)가 구비될 수 있다. 차폐리브(222)는 볼공급관(221)의 하단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볼공급관(221)의 하단을 향해 전후진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차폐리브(222)는 볼이 공급되는 상태에서는 후진되어 볼공급관(221)의 하단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고, 볼 공급이 중단되고 볼공급관(221)이 이송되는 상태에서는 차폐리브(222) 하단을 향해 전진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차폐리브(222)는 의도치 않게 볼공급관(221)으로부터 볼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f necessary, a shielding rib 222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ball supply pipe 221 . The shielding rib 222 is disposed adjacent to the lower end of the ball supply pipe 221 and may be formed to be movable forward and backward toward the lower end of the ball supply pipe 221 . The shielding rib 222 can be moved backwards and separated from the lower end of the ball supply pipe 221 when the ball is supplied, and toward the lower end of the shield rib 222 when the ball supply is stopped and the ball supply pipe 221 is transferred. can be moved forward. These shielding ribs 222 can prevent the ball from falling unintentionally from the ball supply pipe 221 .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볼공급부(200)는 제1회전스테이지(210)로부터 우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된 제2회전스테이지(230)를 구비할 수 있다. 제2회전스테이지(230)는 제1회전스테이지(210)에서 볼이 투입된 리테이너(20)에 대해 볼이 적절히 공급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즉, 제2회전스테이지(230)는 각 안착홀(21a)에 볼이 누락되었는지를 검사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8 , the ball supply unit 200 may include a second rotation stage 230 disposed to the righ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first rotation stage 210 . The second rotation stage 230 may inspect whether or not the balls are properly supplied to the retainer 20 into which the balls are input in the first rotation stage 210 . That is, the second rotation stage 230 may inspect whether a ball is missing from each seating hole 21a.

제2회전스테이지(230)는 대체로 전술한 제1회전스테이지(210)와 유사한 구조로 리테이너(20)를 안착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회전스테이지(230)는 상하방향의 회전축을 갖고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회전스테이지(230)의 원주방향 일측에는 제4센서(234)가 배치될 수 있다. 제4센서(234)는 제2회전스테이지(230)의 볼가이드홀(233)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제2회전스테이지(230)의 회전에 따라 볼가이드홀(233)에 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4센서(234)는 제2회전스테이지(230)의 하측에 배치되어, 볼가이드홀(213)을 통해 상측의 볼을 감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2회전스테이지(230)의 하측에는 제2회전스테이지(230)의 회전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제5센서(235)가 구비될 수 있다. 제5센서(235)는 전술한 제3센서(215)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2회전스테이지(230)의 회전위치를 감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rotation stage 230 may be formed to seat and support the retainer 20 in a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rotation stage 210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he second rotation stage 230 may be formed to be rotatable with a rotation shaft in a vertical direction. Here, a fourth sensor 234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econd rotation stage 230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fourth sensor 234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all guide hole 233 of the second rotation stage 230, and a ball is present in the ball guide hole 233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econd rotation stage 230. can detect whether or not In this embodiment, the fourth sensor 234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rotation stage 230 and is configured to sense an upper ball through the ball guide hole 213 . In addition, a fifth sensor 235 for detecting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second rotation stage 230 may be provided below the second rotation stage 230 . The fifth sensor 235 may be configured to detect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second rotation stage 230 in a manner similar to the aforementioned third sensor 215 .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 제1, 2회전스테이지(210, 230)는 회전에 따라 볼을 각 볼가이드홀(213)로 안착 배치시키는 기능을 겸비할 수 있다. 즉, 볼의 투입 과정이나 투입 이후에 제1, 2회전스테이지(210, 230)가 각각 회전됨으로써, 일부 볼이 안착홀(21a)이 정확히 투입되지 못하더라도, 제1, 2회전스테이지(210, 230)의 회전동작 과정에서 볼이 안착홀(21a)로 이동되어 안착될 수 있다. 또한 그럼에도 불구하고 볼이 각 안착홀(21a)에 적절히 안착되지 못한 경우, 제2회전스테이지(230)를 통해 조립불량이 적절히 감지될 수 있다.For reference,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stages 210 and 230 may have a function of seating and arranging balls into the ball guide holes 213 according to rotation. That is, as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stages 210 and 230 are rotated, respectively, during or after the input of the balls, even if some of the balls are not accurately input into the seating holes 21a,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stages 210, During the rotational operation of 230, the ball may be moved to and seated in the seating hole 21a. In addition, in spite of this, when the ball is not properly seated in each seating hole 21a, assembly failure can be appropriately detected through the second rotation stage 230.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제조장치(10)는 코킹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1 , the manufacturing apparatus 10 of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caulking unit 300 .

코킹부(300)는 볼이 안착된 리테이너(20)를 코킹 가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볼은 코킹부(300)를 거치며 리테이너(20)로부터의 이탈이 구속될 수 있다. 코킹부(300)를 거친 리테이너(20)는 배출슈트(500) 등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 caulking part 300 may be formed to caulk the retainer 20 on which the ball is seated. The ball passes through the caulking part 300 and can be restrain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retainer 20 . The retainer 20 passing through the caulking unit 30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chute 500 or the like.

또한 본 실시예의 제조장치(10)는 이송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nufacturing apparatus 10 of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transfer unit 400 .

이송부(400)는 리테이너공급부(100) 내지 코킹부(300) 사이에서 각 공정단계를 마친 리테이너(20)를 후속 공정으로 이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송부(400)는 리테이너(20)를 우측으로 단계적 이송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이송부(400)는 대기스테이지(130)에 배치된 리테이너(20)를 제1회전스테이지(210)로 이송하고, 제1회전스테이지(210)에 배치된 리테이너(20)를 다시 제2회전스테이지(230)로 이송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송부(400)는 제1회전스테이지(210)에 배치된 리테이너(20)를 코킹부(300)로 이송하고, 코킹부(300)를 통해 가공 완료된 리테이너(20)를 배출슈트(500)로 이송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transfer unit 400 may transfer the retainer 20 after each process step between the retainer supply unit 100 and the caulking unit 300 to a subsequent process. In this embodiment, the transfer part 400 is formed to transfer the retainer 20 stepwise to the right. Specifically, the transfer unit 400 transfers the retainer 20 disposed on the standby stage 130 to the first rotation stage 210, and transfers the retainer 20 disposed on the first rotation stage 210 back to the second rotation stage. It may be formed to be transferred to the rotation stage 230. In addition, the transfer unit 400 transfers the retainer 20 disposed on the first rotation stage 210 to the caulking unit 300, and transfers the processed retainer 20 to the discharge chute 500 through the caulking unit 300. It can be shaped to transport.

바람직하게, 이송부(400)는 좌우로 이격된 한 쌍의 클램퍼(411a, 411b)를 구비하고, 리테이너(20)의 좌우 측면을 좌우에서 클램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후속 공정단계에서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간섭을 최소화하고, 리테이너(2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좌우 한 쌍의 클램퍼(411a, 411b)는 좌우방향으로 구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각 클램퍼(411a, 411b)의 내측에는 리테이너(20)의 형상에 대응되는 곡면(411c)이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transfer unit 400 may include a pair of clampers 411a and 411b spaced apart from side to side, and clamp the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of the retainer 20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This minimizes interference with other components in a subsequent process step and prevents damage to the retainer 20 . A pair of left and right clampers 411a and 411b may be formed to be drive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 curved surface 411c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retainer 20 may be formed inside each clamper 411a and 411b. .

경우에 따라, 이송부(400)는 제1이송부(400a) 및 제2이송부(400b)로 분할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이송부(400a)는 좌우로 2세트의 클램퍼(411a, 411b)를 구비하고, 대기스테이지(130)에서 제1회전스테이지(210) 또는, 제1회전스테이지(210)에서 제2회전스테이지(230)까지의 리테이너(20) 이송을 담당할 수 있다. 또한 제2이송부(400b)는 좌우로 2세트의 클램퍼(411a, 411b)를 구비하고, 제2회전스테이지(230)에서 코킹부(300) 또는, 코킹부(300)에서 배출슈트(500)까지의 리테이너(20) 이송을 담당할 수 있다.In some cases, the transfer unit 400 may be divided into a first transfer unit 400a and a second transfer unit 400b. In this case, the first transfer unit 400a is provided with two sets of clampers 411a and 411b left and right, and the first rotation stage 210 in the standby stage 130 or the second rotation in the first rotation stage 210 It can be responsible for transporting the retainer 20 to the stage 230 . In addition, the second transfer unit (400b) is provided with two sets of clampers (411a, 411b) left and right, and from the second rotation stage 230 to the caulking unit 300 or from the caulking unit 300 to the discharge chute 500. It can be responsible for the transfer of the retainer 20.

이상 설명한 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러스트 볼 베어링 제조장치(10)는, 리테이너(20)의 공급에서 볼의 투입 및 코킹에 이르는 일련의 제조과정을 자동화하여, 스러스트 볼 베어링의 제조를 효율화하고 생산성을 개선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hrust ball bearing manufactur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es a series of manufacturing processes from the supply of the retainer 20 to the input and caulking of the balls, thereby manufacturing the thrust ball bearing. efficiency and improve productivity.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add, change, delete, or add elements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or changed by the above, and this will also be said to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스러스트 볼 베어링 제조장치 100: 리테이너공급부
200: 볼공급부 300: 코킹부
400: 이송부 500: 배출슈트
10: thrust ball bearing manufacturing device 100: retainer supply unit
200: ball supply unit 300: caulking unit
400: transfer unit 500: discharge chute

Claims (9)

리테이너를 공급하는 리테이너공급부;
상기 리테이너로 볼을 공급하는 볼공급부;
상기 볼이 안착된 상기 리테이너를 코킹(Caulking) 가공하는 코킹부; 및
상기 리테이너공급부 내지 상기 코킹부 사이에서 상기 리테이너를 이송하는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테이너공급부는,
정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리테이너는 통과시키고, 역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리테이너는 하측으로 배출시켜, 상기 볼공급부로 공급되는 상기 리테이너의 방향을 정렬시키는 리테이너정렬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테이너정렬부는,
소정 경사를 갖고 배치된 리테이너안착면;
상기 리테이너안착면의 하부 영역에 관통 형성된 리테이너배출홀;
상기 리테이너의 이너플랜지 및 아우터플랜지 사이의 폭보다 소정 정도 작은 좌우 폭을 가지고, 상기 리테이너안착면으로부터 상기 리테이너배출홀을 향해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제1가이드리브; 및
상기 제1가이드리브와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기준 위치에 배치된 상기 리테이너를 상기 제1가이드리브와 함께 접촉 지지하도록, 상기 제1가이드리브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제2가이드리브;를 포함하는 스러스트 볼 베어링 제조장치.
a retainer supply unit supplying a retainer;
a ball supply unit supplying balls to the retainer;
a caulking unit for caulking the retainer on which the ball is seated; and
A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the retainer between the retainer supply unit and the caulking unit,
The retainer supply unit,
A retainer aligning unit for aligning the direction of the retainers supplied to the ball supply unit by passing the retainers disposed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discharging the retainers disposed in the reverse direction downward;
The retainer alignment unit,
a retainer seating surface disposed with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 retainer discharge hole formed through a lower region of the retainer seating surface;
first guide ribs having a left and right width that is smaller than the width between the inner and outer flanges of the retainer by a predetermined amount and extending from the retainer mounting surface toward the retainer discharge hole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second guide rib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guide rib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guide rib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as to contact and support the retainer disposed at a reference position together with the first guide rib; Ball bearing manufacturing equipmen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공급부는,
상기 리테이너가 수용되는 리테이너피더;
상기 리테이너피더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리테이너를 일렬로 정렬시켜 후방으로 이송하는 리테이너이송레일; 및
상기 리테이너이송레일의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볼공급부로의 투입을 위해 상기 리테이너를 투입 대시키는 대기스테이지;를 포함하고,
상기 대기스테이지는,
상기 리테이너의 외측 둘레와 대응되는 원호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리테이너의 외측 둘레에 접촉되어 상기 리테이너의 위치를 안내하는 스테이지정렬면; 및
상기 리테이너의 내측 둘레로 삽입되는 실린더삽입부와, 상기 실린더삽입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리테이너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실린더지지면을 구비하고, 상기 스테이지정렬면으로 진입된 상기 리테이너를 상측으로 소정 높이 승강시키는 스테이지실린더;를 포함하는 스러스트 볼 베어링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retainer supply unit,
a retainer feeder in which the retainer is accommodated;
a retainer transfer rail for aligning the retainers provided from the retainer feeder and transporting them rearward; and
A standby stage disposed at an end of the retainer transfer rail to insert the retainer into the ball supply unit,
The standby stage,
a stage alignment surface having an arc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etainer and contacti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etainer to guide the position of the retainer; and
A cylinder insert inserted in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retainer, and a cylinder support surfac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ylinder insert to support the retainer from the lower side, and having the retainer entered into the stage alignment surface upward at a predetermined height Thrust ball bearing manufacturing apparatus comprising a; stage cylinder for lift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2가이드리브는,
역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리테이너가 상기 기준 위치로 배치되면, 상기 리테이너의 하부 영역을 하측으로 소정 간격 이동시키고, 상기 제1, 2가이드리브의 하단을 중심으로 상기 리테이너를 회전시켜, 상기 리테이너배출홀을 통해 상기 리테이너를 배출시키도록 형성되는 스러스트 볼 베어링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guide ribs,
When the retainer disposed in the reverse direction is disposed at the reference position, the lower region of the retainer is moved down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retainer is rotated around the low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 ribs to open the retainer discharge hole. Thrust ball bearing manufacturing apparatus formed to discharge the retainer through.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정렬부는,
상기 리테이너안착면의 하단에서 좌우로 연장되어 상기 리테이너의 하단을 접촉 지지하는 리테이너지지단; 및
상기 제1, 2가이드리브의 사이에서 상기 리테이너배출홀을 향해 돌출 형성되되, 상기 제1, 2가이드리브와 각각 소정 간격을 갖고 이격 배치되며, 상기 기준 위치에 배치된 상기 리테이너의 내측 둘레와 소정 간격을 갖고 이격되도록 형성된 센터리브;를 포함하는 스러스트 볼 베어링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retainer alignment unit,
retainer support ends extending left and right from the lower end of the retainer seating surface to contact and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retainer; and
It protrudes toward the retainer discharge hol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guide ribs,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and second guide ribs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has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retainer disposed at the reference position. Thrust ball bearing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ing a center rib formed to be spaced apart with a gap.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2가이드리브는,
역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리테이너의 회전 동작을 보조할 수 있도록, 하단이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 스러스트 볼 베어링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guide ribs,
A thrust ball bearing manufacturing apparatus having a lower end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so as to assist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retainer disposed in the reverse dire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배출홀 및 상기 제1, 2가이드리브는,
상기 리테이너의 이송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세트가 배치되는 스러스트 볼 베어링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retainer discharge hole and the first and second guide ribs,
A thrust ball bearing manufacturing apparatus in which a plurality of sets are dispos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retainer.
리테이너를 공급하는 리테이너공급부;
상기 리테이너로 볼을 공급하는 볼공급부;
상기 볼이 안착된 상기 리테이너를 코킹(Caulking) 가공하는 코킹부; 및
상기 리테이너공급부 내지 상기 코킹부 사이에서 상기 리테이너를 이송하는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볼공급부는,
상기 볼 공급을 위해 상기 리테이너가 안착 배치되고, 중앙에 상기 리테이너의 체결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삽입가이드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가이드의 둘레로 복수의 볼가이드홀이 형성된 리테이너지지면이 구비되는 제1회전스테이지;
상기 제1회전스테이지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회전스테이지를 향해 전후진 및 승하강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리테이너로 상기 볼을 공급하는 볼공급관과, 상기 볼공급관의 하측을 차폐 가능하도록 형성된 차폐리브를 구비하는 볼공급유닛; 및
상기 제1회전스테이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어, 상기 리테이너의 각 안착홀로 상기 볼이 적절히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2회전스테이지;를 포함하는 스러스트 볼 베어링 제조장치.
a retainer supply unit supplying a retainer;
a ball supply unit supplying balls to the retainer;
a caulking unit for caulking the retainer on which the ball is seated; and
A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the retainer between the retainer supply unit and the caulking unit,
The ball supply unit,
The retainer is seated and disposed for supplying the balls, an insertion guide for guiding the fastening position of the retainer is formed in the center, and a retainer support surface having a plurality of ball guide holes formed around the insertion guide is provided. rotating stage;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rotation stage, formed to be able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toward the first rotation stage, and to be formed to shield a ball supply pipe for supplying the balls to the retainer and a lower side of the ball supply pipe Ball supply unit having a shielding rib; and
and a second rotation stag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rotation stag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detecting whether the balls are properly disposed in each seating hole of the retainer.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30046577A 2023-04-10 2023-04-10 Manufacturing equipment for thrust ball bearing KR1025661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6577A KR102566113B1 (en) 2023-04-10 2023-04-10 Manufacturing equipment for thrust ball bear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6577A KR102566113B1 (en) 2023-04-10 2023-04-10 Manufacturing equipment for thrust ball bear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6113B1 true KR102566113B1 (en) 2023-08-14

Family

ID=87565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6577A KR102566113B1 (en) 2023-04-10 2023-04-10 Manufacturing equipment for thrust ball bear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611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61728A (en) * 2023-11-02 2023-12-05 南通中兴轴承有限公司 Bearing installation device and bearing installation method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541Y1 (en) * 2000-02-02 2000-06-15 주식회사카이스엔지니어링 Bearing housing cartridges
KR200198329Y1 (en) 2000-05-02 2000-10-02 원일베어링공업주식회사 Thrust ball-bearing retainer to ball secession prevention
JP2006247778A (en) * 2005-03-10 2006-09-21 Sandenzaisha Co Ltd Needle roller bearing manufacturing apparatus and needle roller bearing manufacturing method
KR100670593B1 (en) * 2006-02-27 2007-01-19 주식회사 덕신 Manufacturing apparatus of thrust ball bearing for hermetic compressor
KR20090014614A (en) * 2007-08-06 2009-02-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Valve seat feeding apparatus for valve seat pressurizing system
KR20100067745A (en) 2008-12-12 2010-06-22 삼기산업주식회사 Thrust ball bearing
KR200472196Y1 (en) 2013-07-05 2014-04-10 케이에스비알 주식회사 Thrust ball bearing
KR101822531B1 (en) 2017-02-22 2018-01-26 손순호 Rotating unit for uniform torque transmission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541Y1 (en) * 2000-02-02 2000-06-15 주식회사카이스엔지니어링 Bearing housing cartridges
KR200198329Y1 (en) 2000-05-02 2000-10-02 원일베어링공업주식회사 Thrust ball-bearing retainer to ball secession prevention
JP2006247778A (en) * 2005-03-10 2006-09-21 Sandenzaisha Co Ltd Needle roller bearing manufacturing apparatus and needle roller bearing manufacturing method
KR100670593B1 (en) * 2006-02-27 2007-01-19 주식회사 덕신 Manufacturing apparatus of thrust ball bearing for hermetic compressor
KR20090014614A (en) * 2007-08-06 2009-02-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Valve seat feeding apparatus for valve seat pressurizing system
KR20100067745A (en) 2008-12-12 2010-06-22 삼기산업주식회사 Thrust ball bearing
KR200472196Y1 (en) 2013-07-05 2014-04-10 케이에스비알 주식회사 Thrust ball bearing
KR101822531B1 (en) 2017-02-22 2018-01-26 손순호 Rotating unit for uniform torque transmiss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61728A (en) * 2023-11-02 2023-12-05 南通中兴轴承有限公司 Bearing installation device and bearing installation method
CN117161728B (en) * 2023-11-02 2024-04-05 南通中兴轴承有限公司 Bearing installation device and bearing installation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6113B1 (en) Manufacturing equipment for thrust ball bearing
KR101291221B1 (en) Conveying and isolating device
US7210852B2 (en) Full complement taper roller bearing
KR101668318B1 (en) Snap ring automatic assembly equipment
JP2018146115A (en) Method for uniformly distributing rolling body of rolling bearing, rolling bearing, machin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vehicle
CN110077837A (en) A kind of tray conveying system and its transfer machine
CN101849191B (en) Improved electronic component handler test plate
US7886895B2 (en) Training idler
CN108930720B (en) Needle mounting machine with retainer and rotary table for needle bearing
KR100519171B1 (en) Pipe Moving Insert Apparatus
KR102095262B1 (en) Guide Roller for Guiding Conveyance of Object Having Uneven Surface and Chemical Supplying Apparatus Having Same
KR101340132B1 (en) Ball separator assembling of ball bearing used rotating instrument
KR101594764B1 (en) Trays aligning apparatus for fruit sorter
CN109368196A (en) A kind of circularity detection device conveying mechanism
CN107598526B (en) Retainer steel ball press-fitting device
CN111470284A (en) Conical roller
US20210222731A1 (en) Ball arrangement method for ball bearing, ball bearing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device, and machine and vehicle manufacturing method
CN212475056U (en) Conical roller
CN217991617U (en) Positioning device and annular workpiece assembling equipment
CN216189182U (en) Stacking integrated machine for loading material parts
JP6297964B2 (en) Conveyor chain
KR101710712B1 (en) Cell transfer apparatus and a transfer method
CN215338124U (en) Workpiece contour detection device and workpiece missing process detection system
CN211117135U (en) Self-aligning cylindrical roller bearing
KR20160135523A (en) Cra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