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5953B1 - Washing machine - Google Patents

Wash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5953B1
KR102565953B1 KR1020160028948A KR20160028948A KR102565953B1 KR 102565953 B1 KR102565953 B1 KR 102565953B1 KR 1020160028948 A KR1020160028948 A KR 1020160028948A KR 20160028948 A KR20160028948 A KR 20160028948A KR 102565953 B1 KR102565953 B1 KR 102565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 water
tub
duct
inner tub
wash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89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05820A (en
Inventor
김영준
김영종
김동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28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5953B1/en
Priority to AU2017230177A priority patent/AU2017230177B2/en
Priority to PCT/KR2017/002622 priority patent/WO2017155352A1/en
Priority to US16/083,097 priority patent/US10954624B2/en
Publication of KR20170105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58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5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59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고, 세탁수를 저장하는 아우터 터브; 및 상기 아우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내부에 세탁물을 수용하는 이너 터브를 포함하며, 상기 이너 터브에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리세스된 형태를 가지는 덕트부가 상기 이너 터브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상기 이너 터브의 외측에는 덕트 커버가 상기 덕트부의 리세스된 부분을 덮도록 장착되어, 상기 리세스된 부분과 함께 세탁수의 상승 유로를 형성하는 세탁기를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an outer tub provided inside the cabinet and storing wash water; and an inner tub rotatably configured inside the outer tub and accommodating laundry therein, wherein the inner tub has a recessed duct extending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along a height direction of the inner tub. and a duct cover is mounted on the outer side of the inner tub to cover the recessed portion of the duct unit, forming a washing water ascending path together with the recessed portion.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Washing machine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수의 상승 유로를 구비하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hing machine having a washing water ascending path.

일반적으로, 탑 로딩(Top Loading) 세탁기는 이너 터브 어셈블리의 상부에 개구가 형성되어, 상기 개구를 통하여 세탁물을 넣고 빼는 세탁기를 말한다. 탑 로딩 세탁기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펄세이터 타입의 세탁기이다.In general, a top-loading washing machine refers to a washing machine in which an opening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an inner tub assembly, and laundry is put in and taken out through the opening. The most common type of top loading washing machine is the pulsator type washing machine.

펄세이터 타입의 세탁기는 세탁물이 이너 터브 어셈블리 내에 투입된 상태에서, 이너 터브 어셈블리 내의 하부에 설치된 펄세이터의 회전에 의해 세탁수를 강제 유동시킴으로써 발생하는 세탁 수류 및 세제의 유화작용 등으로 세탁물을 세탁한다. 펄세이터는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정·역회전을 통해 세탁조 내부에 다양한 형태의 수류를 형성할 수 있다.A pulsator-type washing machine washes laundry by emulsifying the wash water flow and detergent generated by forcibly flowing wash water by the rotation of the pulsator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inner tub assembly in a state in which laundry is put into the inner tub assembly. . The pulsator is rotated by a driving motor, and various types of water flow can be formed inside the washing tub through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특허문헌에는 세탁조(1)와 외조(2) 사이의 공간에 머무는 세탁수를 펌핑할 수 있도록 세탁조(1) 내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임펠러(4)가 개시된다. 임펠러(4)에 의해 펌핑된 세탁수는 수류안내판(7)을 통해 상승하며, 펌핑수류 토출공(70)을 통해 세탁조 내부로 다시 공급된다.Meanwhile, prior patent document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 an impeller 4 rotatably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washing tub 1 to pump wash water remaining in a space between the washing tub 1 and the outer tub 2. . The wash water pumped by the impeller 4 rises through the water flow guide plate 7 and is supplied back into the washing tub through the pumping water discharge hole 70 .

이와 같이, 세탁수가 펌핑되어 이너 터브 어셈블리의 상부에서 세탁물('포'라고도 함) 위로 뿌려줌에 따라, 적은 양의 세탁수를 사용하면서도 상기 세탁수가 이너 터브 어셈블리의 내부에 투입된 포를 용이하게 적셔줄 수 있는 세탁기가 개발되었다.In this way, as the wash water is pumped and sprayed on the laundry (also referred to as 'fabric') from the upper part of the inner tub assembly, the wash water can easily wet the fabric put into the inner tub assembly while using a small amount of wash water. A washing machine has been developed.

그러나 상기 구조의 경우, 세탁조(1)의 내측에 수류안내판(7)이 장착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이너 터브 어셈블리의 내부를 보았을 때 깔끔하지 못한 심미감을 받게 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수류안내판(7)이 세탁조(1)와는 별도의 부재로 형성됨에 따라 수류안내판(7)에 이물이 끼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above structure, since the water flow guide plate 7 is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washing tub 1,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user receives an untidy aesthetic feeling when looking at the inside of the inner tub assembly, and the water flow guide plate 7 is installed in the washing tub. As it is formed as a separate member from (1), there is a problem that foreign matter is caught in the water flow guide plate 7.

또한, 펌핑수류 토출공(70)이 수류안내판(7)의 중간에 형성됨에 따라 포적심 효과가 미미했으며, 펌핑수류 토출공(70)에 필터가 구비되는 경우 필터에 쌓인 이물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허리를 많이 굽혀야하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as the pumping water discharge hole 70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water flow guide plate 7, the effect of wetting is insignificant. had to bend a lot at the waist.

아울러, 동력전달수단(6)은 구동모터(5)의 회전속도를 감속하여 임펠러(4)에 전달하도록 구성되므로, 임펠러(4)에 의한 펌핑 압력이 낮아 수류안내판(7)의 상부에 구비되는 펌핑수류 토출공(70)으로는 실제로 세탁수가 배출되기가 어려운 문제를 가진다. 선행특허문헌에 개시된 발명에서 수류안내판(7)의 중간에 펌핑수류 토출공(70)이 형성된 것은 이러한 점이 감안된 설계라고 할 수 있으며, 실제로는 상기 펌핑수류 토출공(70)을 통하여 대부분의 세탁수가 배출된다고 할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6 is configured to reduc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ive motor 5 and transmit it to the impeller 4, the pumping pressure by the impeller 4 is low,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water flow guide plate 7 It is difficult to actually discharge wash water through the pumping water discharge hole 70 . The fact that the pumping water flow discharge hole 70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water flow guide plate 7 in the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ior patent literature can be said to be a design taking this point into consideration, and in fact, most of the washing is performed through the pumping water flow discharge hole 70. It will be said that the number is discharged.

또한, 임펠러(4)의 회전에 의해 형성되는 세탁수의 펌핑 수류는 임펠러(4)의 회전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성을 가진다. 이에 따라, 세탁수의 상당량이 수류안내판(7)의 하부에서 와류를 형성하며 머물거나 이를 지나쳐, 안내유로(700)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In addition, the pumping water flow of wash water formed by the rotation of the impeller 4 has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impeller 4 . Accordingly, a considerable amount of washing water forms a vortex at the lower part of the water flow guide plate 7 and stays there or passes through it, so that a phenomenon may occur in which it is not introduced into the guide passage 700 .

공개특허 특2003-0049818호 (2003.06.25. 공개)Patent Publication No. 2003-0049818 (published on June 25, 2003)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이너 터브 어셈블리의 내측이 보다 심플하게 구현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shing machine in which the inside of an inner tub assembly can be implemented more simply.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포적심 효과가 향상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필터 유닛에 용이하게 접근 가능한 세탁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shing machine in which the wetting effect can be improved and a user can easily access the filter unit.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보다 많은 양의 세탁수가 세탁수의 상승 유로로 유입되도록 함과 함께 펄세이터의 회전력이 향상된 세탁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shing machine with improved rotational force of a pulsator while allowing a larger amount of wash water to flow into a rising flow path of wash water.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너 터브에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리세스된 형태를 가지는 덕트부가 상기 이너 터브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상기 이너 터브의 외측에는 덕트 커버가 상기 덕트부의 리세스된 부분을 덮도록 장착되어, 상기 리세스된 부분과 함께 세탁수의 상승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uct portion having a recessed shape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of the inner tub extends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inner tub, and a duct cover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inner tub. It is mounted so as to cover the recessed portion, and together with the recessed portion, an ascending passage of wash water may be formed.

아울러, 상기 이너 터브의 하단에 결합되는 터브 베이스에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에 대하여 외측으로 상향 단차진 제2부분을 구비하며, 상기 제1부분에는 블레이드가 수용되고, 상기 제2부분에는 고정 지그와 펄세이터가 수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ub bas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inner tub includes a first part and a second part stepped upward outwardly with respect to the first part, and a blade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part, and a blade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part. Fixing jigs and pulsators can be accommodated.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덕트부의 상단에는 상측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상측 개구에는 이물이 필터링된 세탁수를 상기 이너 터브의 내부로 배출시키는 필터 유닛이 장착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upper opening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duct unit, and a filter unit may be mounted in the upper opening to discharge wash water from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filtered into the inner tub.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터브 베이스 상에는 회전시 세탁 수류를 형성하는 펄세이터가 구비되고, 회전시 세탁수를 상기 세탁수 유입홀로 이동시키는 펌핑 수류를 형성하는 블레이드가 상기 펄세이터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펄세이터와 상기 블레이드 사이에 상기 블레이드에 대한 상기 펄세이터의 회전비를 조절하는 유성기어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ulsator is provided on the tub base to form a wash water flow when rotating, and a blade to form a pumping water flow that moves wash water to the wash water inlet hole when rotated is the pulsator It is provided on the lower part of, and a planetary gear module for adjusting the rotation ratio of the pulsator with respect to the blade may be provided between the pulsator and the blade.

아울러, 상기 터브 베이스의 저면에 가이드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세탁수의 유입을 가이드하도록 세탁수 유입구로부터 세탁수 유출구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격벽을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a guide member may be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tub base, and the guide member may include a partition wall extending from the wash water inlet toward the wash water outlet to guide the inflow of wash water.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세탁기는,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고, 세탁수를 저장하는 아우터 터브; 및 상기 아우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내부에 세탁물을 수용하는 이너 터브를 포함하며, 상기 이너 터브에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리세스된 형태를 가지는 덕트부가 상기 이너 터브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상기 이너 터브의 외측에는 덕트 커버가 상기 덕트부의 리세스된 부분을 덮도록 장착되어, 상기 리세스된 부분과 함께 세탁수의 상승 유로를 형성한다.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er tub provided inside a cabinet and storing wash water; and an inner tub rotatably configured inside the outer tub and accommodating laundry therein, wherein the inner tub has a recessed duct extending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along a height direction of the inner tub. A duct cover is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inner tub to cover the recessed portion of the duct unit, and together with the recessed portion, a washing water ascending path is formed.

상기 덕트부는 상기 이너 터브의 적어도 일부분이 포밍(forming)에 의해 벤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duct part may be formed in a bent form by form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inner tub.

상기 덕트부는 상기 이너 터브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duct part may protrude into the inner tub.

상기 덕트 커버는 상기 이너 터브에 대응되도록 라운드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duct cover may be formed in a rounded shape to correspond to the inner tub.

상기 덕트부의 상단에는 상측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상측 개구에는 이물이 필터링된 세탁수를 상기 이너 터브의 내부로 배출시키는 필터 유닛이 장착될 수 있다.An upper opening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duct unit, and a filter unit may be mounted in the upper opening to discharge wash water from which foreign matters are filtered into the inner tub.

상기 필터 유닛은, 상기 상승 유로와 연통되도록 상기 상측 개구에 장착되고, 상기 이너 터브의 내부를 향하여 개방된 개구부를 구비하는 필터 하우징; 및 상기 개구부를 덮도록 상기 필터 하우징에 장착되며,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을 필터링하는 메쉬 필터와 이물이 필터링된 세탁수를 배출시키는 배출홀들을 구비하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lter unit may include a filter housing mounted on the upper opening to communicate with the rising passage and having an opening opening toward the inside of the inner tub; and a mesh filter mounted on the filter housing to cover the opening and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wash water and a filter having discharge holes through which the foreign substances filtered out are discharged.

상기 덕트 커버는 상기 상측 개구에 장착된 필터 하우징을 덮도록 장착될 수 있다.The duct cover may be mounted to cover a filter housing mounted on the upper opening.

상기 세탁기는, 상기 덕트 커버와 상기 이너 터브를 관통하여 상기 필터 하우징에 체결되는 필터 체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ashing machine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fastening member fastened to the filter housing through the duct cover and the inner tub.

상기 세탁기는, 상기 이너 터브의 하단에 결합되고, 높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세탁수 유입홀과 연통홀을 구비하는 터브 베이스; 및 상기 터브 베이스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터브 베이스의 외측에서 상기 세탁수 유입홀과 상기 연통홀을 상호 연통시키도록 구성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덕트부의 하단에 형성되는 하측 개구는 상기 연통홀과 연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washing machine may include: a tub base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inner tub and having a wash water inlet hole and a communication hol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a height direction; and a guide member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tub base and configured to communicate the wash water inlet hole and the communication hole from the outside of the tub base, wherein the lower opening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duct unit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t may b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communication hole.

상기 덕트부의 하단은 상기 연통홀 주변의 상기 터브 베이스의 상면을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A lower end of the duct unit may be configured to cover an upper surface of the tub base around the communication hole.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연통홀에 걸림 가능한 걸림 후크를 구비할 수 있다.The guide member may include a catching hook capable of being caught in the communication hole.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세탁수 유입홀과 연통되는 세탁수 유입구; 상기 세탁수 유입구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연통홀과 연통되는 세탁수 유출구; 및 세탁수의 유입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세탁수 유입구로부터 상기 세탁수 유출구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The guide member may include a wash water inlet communicating with the wash water inlet hole; a wash water outlet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wash water inlet and communicating with the communication hole; and a barrier rib extending from the wash water inlet toward the wash water outlet to guide the inflow of wash water.

상기 세탁수 유출구와 상기 하측 개구는 상기 터브 베이스의 연통홀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wash water outlet and the lower opening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with the communication hole of the tub base interposed therebetween.

상기 세탁기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일부를 덮도록 상기 터브 베이스의 저면에 결합되고, 상기 아우터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가 상기 터브 베이스로 유입되도록 하는 수류 유입홀을 구비하는 허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ashing machine may further include a hub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tub base to cover a portion of the guide member and having a water flow inlet hole through which wash water stored in the outer tub flows into the tub base.

상기 세탁기는, 상기 이너 터브의 내측에 구비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덕트 커버와 상기 이너 터브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부재에 체결되는 덕트 체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ashing machine may include a fixing member provided inside the inner tub; and a duct fastening member that passes through the duct cover and the inner tub and is fastened to the fixing member.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세탁기는,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고, 세탁수를 저장하는 아우터 터브; 상기 아우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세탁물을 수용하는 이너 터브; 상기 이너 터브의 하단에 결합되고, 높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세탁수 유입홀과 연통홀을 구비하는 터브 베이스; 및 상기 터브 베이스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터브 베이스의 외측에서 상기 세탁수 유입홀과 상기 연통홀을 상호 연통시키도록 구성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이너 터브에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리세스된 형태를 가지는 덕트부가 상기 이너 터브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상기 덕트부는 상기 연통홀을 통하여 상기 가이드부재와 연통되도록 구성된다.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er tub provided inside a cabinet and storing wash water; an inner tub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outer tub and accommodating laundry therein; a tub base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inner tub and having a wash water inlet hole and a communication hol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a height direction; and a guide member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tub base and configured to communicate the wash water inflow hole and the communication hole from the outside of the tub base, wherein the inner tub has a shape recesse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The duct portion having a is formed extending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inner tub, the duct portion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guide member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상기 이너 터브의 외측에는 덕트 커버가 상기 덕트부의 리세스된 부분을 덮도록 장착되어, 상기 리세스된 부분과 함께 세탁수의 상승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A duct cover may be mounted outside the inner tub so as to cover the recessed portion of the duct unit, and together with the recessed portion, a washing water ascending passage may be formed.

상기 덕트부의 상단에는 상측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상측 개구에는 이물이 필터링된 세탁수를 상기 이너 터브의 내부로 배출시키는 필터 유닛이 장착될 수 있다.An upper opening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duct unit, and a filter unit may be mounted in the upper opening to discharge wash water from which foreign matters are filtered into the inner tub.

상기 덕트부의 하단은 상기 연통홀 주변의 상기 터브 베이스의 상면을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A lower end of the duct unit may be configured to cover an upper surface of the tub base around the communication hole.

상기 세탁기는, 상기 터브 베이스 상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회전시 세탁 수류를 형성하는 펄세이터; 상기 펄세이터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회전시 세탁수를 상기 세탁수 유입홀로 이동시키는 펌핑 수류를 형성하는 블레이드; 상기 펄세이터와 상기 블레이드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펄세이터와 상기 블레이드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블레이드에 대한 상기 펄세이터의 회전비를 조절하는 유성기어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ashing machine may include: a pulsator rotatably provided on the tub base to form a washing water stream when rotating; a blade rotatably provided under the pulsator to form a pumping water stream that moves wash water to the wash water inlet hole when rotated; a drive motor providing power for rotating the pulsator and the blade; And it is provided between the pulsator and the blade, it may further include a planetary gear module for adjusting the rotation ratio of the pulsator with respect to the blade.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세탁기는,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고, 세탁수를 저장하는 아우터 터브; 상기 아우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세탁물을 수용하는 이너 터브; 상기 이너 터브의 하단에 결합되고, 높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세탁수 유입홀과 연통홀을 구비하는 터브 베이스; 및 상기 터브 베이스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터브 베이스의 외측에서 상기 세탁수 유입홀과 상기 연통홀을 상호 연통시키도록 구성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이너 터브에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리세스된 형태를 가지는 덕트부가 상기 이너 터브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상기 덕트부의 상단에 형성된 상측 개구에는 이물이 필터링된 세탁수를 상기 이너 터브의 내부로 배출시키는 필터 유닛이 장착된다.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er tub provided inside a cabinet and storing wash water; an inner tub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outer tub and accommodating laundry therein; a tub base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inner tub and having a wash water inlet hole and a communication hol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a height direction; and a guide member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tub base and configured to communicate the wash water inflow hole and the communication hole from the outside of the tub base, wherein the inner tub has a shape recesse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A duct unit having is extend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inner tub, and a filter unit for discharging wash water from which foreign matters have been filtered into the inner tub is mounted in an upper opening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duct unit.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세탁기의 제조 방법은, 이너 터브의 높이방향을 따라 외측에서 내측으로 리세스된 형태를 가지는 덕트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덕트부의 리세스된 부분을 덮도록, 상기 이너 터브의 외측에 덕트 커버를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덕트 커버는 상기 리세스된 부분과 함께 세탁수의 상승 유로를 형성한다.In additio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orming a duct unit having a recessed shape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inner tub; and mounting a duct cover outside the inner tub so as to cover the recessed portion of the duct unit, wherein the duct cover together with the recessed portion forms an upward passage of wash water.

상기 덕트부는 상기 이너 터브를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duct part may be formed by press-processing the inner tub.

상기 장착하는 단계는, 상기 덕트부의 상측 개구에 이물이 필터링된 세탁수를 상기 이너 터브의 내부로 배출시키는 필터 유닛을 장착하는 단계; 상기 필터 유닛을 덮도록, 상기 이너 터브의 외측에 덕트 커버를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덕트 커버를 상기 이너 터브에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unting may include mounting a filter unit discharging wash water from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filtered into the inner tub at an upper opening of the duct unit; positioning a duct cover outside the inner tub to cover the filter unit; and fastening the duct cover to the inner tub.

상기 체결하는 단계는, 필터 체결부재가 상기 덕트 커버와 상기 이너 터브를 관통하여 상기 필터 유닛에 체결되도록 체결하는 제1단계; 및 덕트 체결부재가 상기 덕트 커버와 상기 이너 터브를 관통하여 상기 이너 터브 내측에 구비되는 고정부재에 체결되도록 체결하는 제2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fastening may include a first step of fastening a filter fastening member to be fastened to the filter unit through the duct cover and the inner tub; and a second step of fastening the duct fastening member so as to pass through the duct cover and the inner tub to be fastened to a fixing member provided inside the inner tub.

상술한 해결수단을 통해 얻게 되는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obtained through the above solutions are as follows.

첫째, 이너 터브에 외측에서 내측으로 리세스된 덕트부가 이너 터브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덕트 커버가 덕트부의 리세스된 부분을 덮도록 이너 터브의 외측에 장착되어 세탁수의 상승 유로를 형성하므로, 종래에 세탁수의 상승 유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이너 터브의 내측에 구비되었던 별도의 덕트 부재가 불필요하다. 따라서, 이너 터브의 내측이 보다 심플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이너 터브가 단일의 금속 재질(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로 형성됨으로써, 보다 위생적인 세탁이 가능하게 된다.First, a duct portion recesse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of the inner tub extends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inner tub, and a duct cover is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inner tub to cover the recessed portion of the duct portion to increase the flow path of wash water. Therefore,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duct member provided inside the inner tub to form a flow path for washing water in the related art. Therefore, the inside of the inner tub can be implemented more simply, and since the inner tub is formed of a single metal material (eg, stainless steel), more hygienic washing is possible.

아울러, 터브 베이스의 제1부분에 블레이드가 수용되고, 상기 제1부분에 대하여 외측으로 상향 단차진 제2부분에 고정 지그와 펄세이터가 수용되도록 구성되므로, 고정 지그를 가리기 위한 덮개가 불필요하다. 따라서, 이너 터브 어셈블리의 내측 하부가 보다 심플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제조 비용이 절감되고, 조립 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lade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part of the tub base and the fixing jig and the pulsator are accommodated in the second part stepped upwardly outward with respect to the first part, a cover for covering the fixing jig is unnecessary. Accordingly, the inner lower portion of the inner tub assembly may be implemented more simply, manufacturing costs may be reduced, and an assembly process may be simplified.

둘째, 덕트부의 상단에 형성된 상측 개구에 필터 유닛이 장착되므로, 이물이 필터링된 세탁수가 보다 높은 위치에서 낙하하여 상기 이너 터브 내의 보다 넓은 면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포적심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Second, since the filter unit is installed in the upper opening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duct unit, wash water filtered from foreign substances may fall from a higher position and be discharged to a wider area within the inner tub. Therefore, the foaming effect can be improved.

또한, 필터 유닛이 이너 터브 어셈블리의 상측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에 인접하게 위치하므로, 이러한 배치 구조상, 사용자는 허리를 많이 굽히지 않고도 필터 유닛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터 유닛에 쌓인 이물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lter unit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upper opening of the inner tub assembly, the user can easily access the filter unit without bending the waist too much due to this arrangement structure.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remove foreign substances accumulated in the filter unit.

셋째, 구동모터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이 감속 없이 블레이드에 전달되므로 블레이드의 회전에 의한 펌핑 수두가 증가할 수 있으며, 블레이드와 펄세이터 사이에 유성기어 모듈이 구비됨으로써 펄세이터가 블레이드보다는 저속이지만 높은 토크로 회전되어 구동모터의 효율적인 운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Third, since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driving motor is transmitted to the blades without deceleration, the pumping head due to the rotation of the blades can be increased, and the planetary gear module is provided between the blades and the pulsator so that the pulsator is slower than the blades but with high torque. It is rotated so that the driving motor can be efficiently operated.

또한, 터브 베이스의 저면에 결합된 가이드부재에 격벽이 세탁수 유입구로부터 세탁수 유출구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어, 가이드부재의 내부로의 세탁수의 유입을 가이드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보다 많은 양의 세탁수가 세탁수의 상승 유로로 유입될 수 있다.In addition, a partition is formed on the guide member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tub base and extends from the wash water inlet toward the wash water outlet to guide the inflow of wash water into the guide member. Accordingly, a larger amount of wash water may flow into the wash water ascending path.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내부 구성들을 보인 개념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세탁기의 분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세탁기를 라인 A-A를 따라 절개하여 보인 도면.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세탁기를 라인 B-B를 따라 절개하여 보인 도면.
도 6은 도 2의 세탁기를 일측 저부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7은 도 3에 도시된 필터 유닛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4의 C 부분의 확대도.
도 9 내지 도 14는 세탁수의 상승 유로 및 배출 유로의 형성을 위하여 세탁기의 내부 구성들이 결합되는 과정을 보인 개념도들.
도 15는 도 3의 가이드부재를 보인 사시도.
도 16 및 도 17은 도 2에 도시된 터브 베이스에 대한 가이드부재 및 허브의 결합 과정을 보인 개념도들.
도 18 및 도 19는 도 3에 도시된 고정 지그, 터브 베이스, 가이드부재 간의 결합 구조를 보인 개념도 및 단면도.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side;
2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internal components of the washing machine shown in FIG. 1;
3 is an exploded view of the washing machine shown in FIG. 2;
4 is a view showing the washing machine shown in FIG. 2 by cutting along line AA;
5 is a view showing the washing machine shown in FIG. 2 by cutting it along line BB;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ashing machine of FIG. 2 viewed from one bottom side;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lter unit shown in Fig. 3;
8 is an enlarged view of part C of FIG. 4;
9 to 14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internal components of the washing machine are combined to form a washing water upflow passage and a discharge passage.
Figure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guide member of Figure 3;
16 and 17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coupling a guide member and a hub to the tub base shown in FIG. 2;
18 and 19 are conceptual views and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fixing jig, the tub base, and the guide member shown in FIG. 3;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세탁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washing machin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and equivalent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water or substitut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00)를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100)의 내부 구성들을 보인 개념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세탁기(100)의 분해도이다.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ashing machin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side,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internal components of the washing machine 100 shown in FIG. 1, and FIG. It is an exploded view of the washing machine 100.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세탁기(100)는 외형을 이루는 캐비닛(110), 캐비닛(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를 저장하는 아우터 터브(120) 및 아우터 터브(1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이너 터브 어셈블리(130)를 구비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washing machine 100 includes a cabinet 110 forming an external shape, an outer tub 120 provided inside the cabinet 110 to store wash water, and an outer tub 120 rotatably inside the outer tub 120. It has an inner tub assembly 130 configured.

캐비닛(110)은 이너 터브 어셈블리(130) 내의 세탁물 저장공간과 연통되는 개구 및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111)를 포함한다. 도 1에서는, 도어(111)가 캐비닛(110)의 상부에 구비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The cabinet 110 includes an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laundry storage space in the inner tub assembly 130 and a door 111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1 illustrates that the door 111 is provided on the top of the cabinet 110 .

아우터 터브(120)는 캐비닛(110)의 개구에 대응되는 일측이 개방된 통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세탁수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는 아우터 터브(120) 내에 저장되며, 세제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세제는 상기 세탁수에 용해된다.The outer tub 120 is configured to have a tubular shape with one side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of the cabinet 110 open. Wash water supplied from the wash water supply unit is stored in the outer tub 120, and detergent supplied from the detergent supply unit is dissolved in the wash water.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터 터브(120)는 캐비닛(110)의 내부에 장착된 서스펜션 바(14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As shown, the outer tub 120 may be supported by the suspension bar 140 mounted inside the cabinet 110 .

이너 터브 어셈블리(130)는 내부에 세탁물을 수용하기 위한 세탁물 저장공간을 구비한다. 이너 터브 어셈블리(130)는 구동모터(18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너 터브 어셈블리(130)는 클러치에 의해 구동모터(180)으로부터 동력을 선택적으로 전달받아, 세탁 및 헹굼시에는 고정되고, 탈수시에는 회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inner tub assembly 130 has a laundry storage space for accommodating laundry therein. The inner tub assembly 130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by receiving power from the driving motor 180 . The inner tub assembly 130 may be configured to selectively receive power from the driving motor 180 by a clutch, be fixed during washing and rinsing, and rotate during spin-drying.

이너 터브 어셈블리(130)는 이너 터브(131), 이너 터브(131)의 상단에 장착되는 발란서(132), 이너 터브(131)의 하단에 결합되는 터브 베이스(133), 터브 베이스(133)의 저면에 결합되는 허브(134)를 포함한다. 아우터 터브(120)의 내부에 저장되는 세탁수는 허브(134)의 수류 유입홀(134a) 및 터브 베이스(133)의 개구(133a)를 통하여 이너 터브 어셈블리(130)의 내부로 유입된다.The inner tub assembly 130 includes an inner tub 131, a balancer 132 mounted on the top of the inner tub 131, a tub base 133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inner tub 131, and a tub base 133. It includes a hub 134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Wash water stored inside the outer tub 120 is introduced into the inner tub assembly 130 through the water inlet hole 134a of the hub 134 and the opening 133a of the tub base 133.

이너 터브(131)는 양측이 개방된 통 형태로 형성된다. 이너 터브(131)에는 탈수시 세탁수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복수의 탈수공(미도시)이 구비된다. 이너 터브(131)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내식성 및 세균 번식 방지를 위하여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inner tub 131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with both sides open. The inner tub 13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pin-drying holes (not shown) through which washing water can escape during spin-drying. The inner tub 131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and preferably may be formed of a stainless steel material for corrosion resistance and prevention of bacterial propagation.

이너 터브(131)의 상단에는 발란서(132)가 결합되어, 세탁물이 담긴 이너 터브 어셈블리(130)의 편심 회전에 의한 진동을 감소시키도록 이루어진다. 발란서(132)는 컬링(curling) 또는 볼팅(volting)에 의해 이너 터브(131)와 결합될 수 있다. 발란서(132)는 이너 터브(131)에 대응되는 원형의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너 터브(131)의 내부 공간에 대응되는 중공부(132a)를 가진다.A balancer 132 is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inner tub 131 to reduce vibration caused by eccentric rotation of the inner tub assembly 130 containing laundry. The balancer 132 may be coupled to the inner tub 131 by curling or bolting. The balancer 132 is formed in a circular ring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tub 131 and has a hollow part 132a corresponding to the inner space of the inner tub 131.

발란서(132)에는 소정량의 유체가 충진된다. 예를 들어, 발란서(132)의 내부에는 유체가 발란서(132)의 내부 체적 대비 40%~70% 정도로 충진될 수 있으며, 상기 유체로는 소금물이 이용될 수 있다.The balancer 132 is filled with a predetermined amount of fluid. For example, the inside of the balancer 132 may be filled with fluid to about 40% to 70% of the internal volume of the balancer 132, and salt water may be used as the fluid.

세탁물이 이너 터브 어셈블리(130)의 일측으로 편심된 상태에서 회전하는 경우, 발란서(132)에 충진된 유체는 이에 반대되는 타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의해, 세탁물의 편심에 의해 발생하는 이너 터브 어셈블리(130)의 진동이 감소될 수 있다.When the laundry is rotated while being eccentric to one side of the inner tub assembly 130, the fluid filled in the balancer 132 moves to the opposite side. Accordingly, vibration of the inner tub assembly 130 caused by eccentricity of laundry may be reduced.

이너 터브(131)의 하단에는 터브 베이스(133)가 결합된다. 터브 베이스(133)는 컬링 또는 용접에 의해 이너 터브(131)와 결합될 수 있다. 터브 베이스(133)는 내부에 개구(133a)가 형성된 원형의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개구(133a)는 허브(134)의 수류 유입홀(134a)과 연통되어, 아우터 터브(120)의 내부에 저장된 세탁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A tub base 133 is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inner tub 131 . The tub base 133 may be coupled to the inner tub 131 by curling or welding. The tub base 133 has a circular ring shape with an opening 133a formed therein. The opening 133a communicates with the water flow inlet hole 134a of the hub 134 so that wash water stored in the outer tub 120 can flow in.

터브 베이스(133)의 저면에는 구동모터(180)와 연결된 허브(134)가 결합된다. 이너 터브 어셈블리(130)는 허브(134)를 통해 구동모터(18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허브(134)에는 수류 유입홀(134a)이 형성된다.The hub 134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180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tub base 133 . The inner tub assembly 130 is rotat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driving motor 180 through the hub 134 . A water flow inlet hole 134a is formed in the hub 134 .

이너 터브 어셈블리(130) 내의 하부에는 블레이드(150)와 펄세이터(160)가 구비되며, 구동모터(18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선택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펄세이터(160)는 블레이드(150) 상에 배치되어 블레이드(150)를 가리도록 이루어진다. 터브 베이스(133)는 블레이드(150)와 펄세이터(160)를 각각 수용하는 제1부분(133b1)과 제2부분(133b2)을 구비하며, 제2부분(133b2)은 제1부분(133b1)에 대하여 외측으로 상향 단차진 형태를 가진다.A blade 150 and a pulsator 160 ar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inner tub assembly 130, and are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rotatable by receiving power from the drive motor 180. The pulsator 160 is disposed on the blade 150 to cover the blade 150. The tub base 133 includes a first part 133b1 and a second part 133b2 accommodating the blade 150 and the pulsator 160, respectively, and the second part 133b2 is the first part 133b1 It has an upward stepped shape to the outside with respect to .

터브 베이스(133)의 제1부분(133b1)에는 세탁수 유입홀(133')이 형성되며, 제2부분(133b2)의 상측에는 연통홀(133")이 형성된다. 터브 베이스(133)의 저면에는 세탁수 유입홀(133')과 연통홀(133")을 연결하는 가이드부재(136)가 장착된다.A wash water inlet hole 133' is formed in the first part 133b1 of the tub base 133, and a communication hole 133" is formed i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part 133b2. A guide member 136 connecting the wash water inlet hole 133' and the communication hole 133" is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블레이드(150)는 제1부분(133b1)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며, 회전판(151) 및 회전판(151)의 저면에 돌출 형성된 펌핑 날개부(152)를 포함한다. 회전판(151)은 구동모터(180)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도록 구성되며, 펌핑 날개부(152)는 회전판(151)의 회전시 회전판(151)의 하부에 채워져 있는 세탁수를 세탁수 유입홀(133')로 이동시키는 펌핑 수류를 형성한다. 펌핑 날개부(152)는 회전판(151)의 중심부에서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The blade 150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within the first part 133b1, and includes a rotating plate 151 and a pumping wing 152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rotating plate 151. The rotating plate 151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180 to receive power, and the pumping wing 152 pumps the wash water fi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rotating plate 151 through the wash water inlet hole when the rotating plate 151 rotates. (133') to form a pumping water flow. The pumping wing 152 may extend radially from the center of the rotating plate 151 .

펄세이터(160)는 제2부분(133b2)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펄세이터(160)는 터브 베이스(133)와 함께 세탁물이 담기는 바닥 부분을 형성한다. 펄세이터(160)는 유성기어 모듈(17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회전판(161) 및 상기 회전판(161) 상에 방사상으로 연장된 돌출부(162)를 구비한다. 펄세이터(160)는 구동모터(18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정방향 및/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회전 수류를 형성한다. 상기 회전 수류에 의해 세탁물은 비벼서 빠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세탁될 수 있다.The pulsator 160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within the second part 133b2. The pulsator 160 together with the tub base 133 forms a bottom portion containing laundry. The pulsator 160 includes a rotation plate 161 configured to be rotatable by receiving rotational force from the planetary gear module 170 and a protrusion 162 radially extending on the rotation plate 161 . The pulsator 160 receives power from the driving motor 180 and rotates in a forward direction and/or a reverse direction to form a rotational flow. Laundry can be washed in the same manner as rubbing and washing by the rotating water flow.

블레이드(150)와 펄세이터(160)는 모두 구동모터(180)에 의한 동력을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전달받아 회전된다. 펄세이터(160)는 세탁수 및 세탁물을 교반시키도록 이루어지므로, 펄세이터(160)에 걸리는 회전부하가 블레이드(150) 대비 상대적으로 커서, 구동모터(180)의 동력이 펄세이터(160)로 그대로 전달되면 구동모터(180)에 무리가 갈 수 있다.Both the blade 150 and the pulsator 160 are rotat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driving motor 180 directly or indirectly. Since the pulsator 160 is made to agitate wash water and laundry, the rotational load applied to the pulsator 160 is relatively large compared to the blade 150, so that the driving motor 180 is powered by the pulsator 160. If it is transmitted as it is, the drive motor 180 may be overburdened.

블레이드(150)에 대한 펄세이터(160)의 회전비를 조절하기 위하여, 블레이드(150)와 펄세이터(160) 사이에는 유성기어 모듈(170)이 구비된다. 유성기어 모듈(170)은 구동모터(180)의 회전속도를 감속하여 구동모터(180)의 동력을 펄세이터(160)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펄세이터(160)는 블레이드(150)보다 높은 토크로 회전될 수 있다.In order to adjust the rotation ratio of the pulsator 160 with respect to the blade 150, the planetary gear module 170 is provided between the blade 150 and the pulsator 160. The planetary gear module 170 reduce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iving motor 180 and transmits the power of the driving motor 180 to the pulsator 160 . Accordingly, the pulsator 160 may be rotated with higher torque than the blade 150 .

유성기어 모듈(170)은 고정 지그(190)에 의해 구동모터(180)의 축 상에 고정된 상태로 위치된다. 고정 지그(190)는 유성기어 모듈(170)을 감싸 고정하도록 구성되고,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터브 베이스(133)에 결합된다. 지그 체결부재(191)는 고정 지그(190)와 터브 베이스(133)를 관통하여 가이드부재(136)에 체결될 수 있다.The planetary gear module 170 is positioned in a fixed state on the shaft of the driving motor 180 by the fixing jig 190 . The fixing jig 190 is configured to surround and fix the planetary gear module 170, and is radially extended and coupled to the tub base 133. The jig fastening member 191 may pass through the fixing jig 190 and the tub base 133 and be fastened to the guide member 136 .

한편, 본 발명의 세탁기(100)는 일반적인 세탁기와는 구조적으로 다른 세탁수의 상승 유로(130a)를 구비한다. 이하에서는, 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the washing machin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washing water ascending passage 130a structurally different from general washing machines. Hereinafter,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세탁기(100)를 라인 A-A를 따라 절개하여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세탁기(100)를 라인 B-B를 따라 절개하여 보인 도면이며, 도 6은 도 2의 세탁기(100)를 일측 저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FIG. 4 is a view of the washing machine 100 shown in FIG. 2 cut along line A-A, FIG. 5 is a view showing the washing machine 100 shown in FIG. 2 cut along line B-B, and FIG. It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ashing machine 100 of 2 viewed from the bottom of one side.

본 도면들을 앞선 도면들과 함께 참조하면, 이너 터브(131)에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리세스된 형태를 가지는 덕트부(131a)가 이너 터브(131)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즉, 이너 터브(131)를 외부에서 보았을 때에는 덕트부(131a)가 내측으로 움푹 들어간 형태를 가지며, 내부에서 보았을 때에는 덕트부(131a)가 내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진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ogether with the previous drawings, the inner tub 131 has a duct portion 131a recesse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extending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inner tub 131 . That is, when the inner tub 131 is viewed from the outside, the duct portion 131a has a shape that is recessed inward, and when viewed from the inside, the duct portion 131a has a shape that protrudes inward.

덕트부(131a)는 이너 터브(131)의 적어도 일부분이 포밍(forming)에 의해 벤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프레스 가공을 통하여 금속 플레이트에 덕트부(131a)를 형성한 후, 금속 플레이트의 원통 형태로 말아 양단부를 접합시킴으로써 이너 터브(131)를 제작할 수 있다.The duct portion 131a may be formed in a bent form by form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inner tub 131 . For example, the inner tub 131 may be manufactured by forming the duct portion 131a on a metal plate through press working, then rolling the metal plate into a cylindrical shape and bonding both ends thereof.

본 실시예에서는 이너 터브(131)에 두 개의 덕트부(131a)가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덕트부(131a)는 설계 변경에 따라 두 개 이상 구비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it is exemplified that the inner tub 131 is provided with two duct units 131a facing each othe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wo or more duct units 131a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design changes.

이너 터브(131)의 외측에는 덕트 커버(135)가 덕트부(131a)의 리세스된 부분을 덮도록 장착되어, 상기 리세스된 부분과 함께 세탁수의 상승 유로(130a)를 형성한다. 즉, 덕트부(131a)와 덕트 커버(135)에 의해 한정되는 내부 공간은 세탁수의 상승 유로(130a)를 형성하며, 상기 구조에 의해 세탁수는 이너 터브(131)의 외측에서 상부를 향하여 흐르게 된다.A duct cover 135 is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inner tub 131 to cover the recessed portion of the duct unit 131a, and together with the recessed portion, the washing water ascending passage 130a is formed. That is, the inner space defined by the duct part 131a and the duct cover 135 forms the washing water ascending passage 130a, and by the above structure, the washing water flows from the outside of the inner tub 131 to the top. it flows

덕트 커버(135)는 이너 터브(131)에 대응되도록 라운드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덕트 커버(135)는 이너 터브(131)와 같은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너 터브 어셈블리(130)의 회전시 덕트 커버(135)와 아우터 터브(120) 간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The duct cover 135 may be formed in a rounded shape to correspond to the inner tub 131 . For example, the duct cover 135 may have the same curvature as the inner tub 131 . Accordingly, when the inner tub assembly 130 rotates, interference between the duct cover 135 and the outer tub 120 may be prevented.

덕트 커버(135)와 덕트부(131a) 사이에는 덕트 실링부재(미도시)가 개재되어, 내부를 유동하는 세탁수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덕트 실링부재는 덕트부(131a)의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덕트부(131a)의 양측 또는 덕트 커버(135)의 내측면에는 상기 덕트 실링부재가 수용되는 수용홈(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A duct sealing member (not shown)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duct cover 135 and the duct portion 131a to prevent leakage of wash water flowing therein. To this end, the duct sealing member may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duct part 131a, and the duct sealing member is accommodated on both sides of the duct part 131a or the inner surface of the duct cover 135. An accommodation groove (not shown) may be provided.

덕트부(131a)의 하단과 상단에는 하측 개구(131a')와 상측 개구(131a")가 각각 형성되며, 세탁수는 하측 개구(131a')를 통해 유입되어 상측 개구(131a")를 통해 배출된다. 하측 개구(131a')는 터브 베이스(133)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측 개구(131a")는 발란서(132)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하에서는, 하측 개구(131a')와 상측 개구(131a")를 통한 세탁수의 유입 및 배출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A lower opening 131a' and an upper opening 131a" are respectively formed at the lower and upper ends of the duct part 131a, and wash water flows in through the lower opening 131a'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upper opening 131a". do. The lower opening 131a' is disposed adjacent to the tub base 133, and the upper opening 131a" is disposed adjacent to the balancer 132. Hereinafter, the lower opening 131a' and the upper opening 131a The structure of inflow and discharge of washing water through ") will be described.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150)가 회전되면 세탁수 유입홀(133')을 향하여 이동되는 수류가 만들어지고, 이에 따라 아우터 터브(120)에 담긴 세탁수는 가이드부재(136)를 통하여 세탁수 유입홀(133')에서 연통홀(133")로 이동된다. 즉, 세탁수는 가이드부재(136)에 의해 터브 베이스(133)의 외측으로 흐르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blade 150 is rotated, a water stream moving toward the wash water inlet hole 133' is created, and accordingly, the wash water contained in the outer tub 120 passes through the guide member 136. It is moved from the inflow hole 133' to the communication hole 133". That is, wash water flows outside the tub base 133 by the guide member 136.

덕트부(131a)의 하단에 형성되는 하측 개구(131a')는 연통홀(133")과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본 도면에서는, 덕트부(131a)의 하단이 연통홀(133") 주변의 터브 베이스(133)를 덮도록 구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덕트부(131a)의 하단은 터브 베이스(133)에 밀착되어, 연통홀(133")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opening 131a'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duct part 131a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communication hole 133". In this figure, the lower end of the duct part 131a is a tub around the communication hole 133". It shows that it is configured to cover the base 133. The lower end of the duct part 131a may be 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tub base 133 and to surround the communication hole 133″.

덕트부(131a)로 유입된 세탁수는 덕트부(131a)와 덕트 커버(135)에 의해 한정되는 내부 공간인 세탁수의 상승 유로(130a)를 통하여 이너 터브(131)의 상부를 향하여 이동된다. 이러한 세탁수의 상승력은 블레이드(150)의 회전에 의해 생성되는 펌핑 수류에 기인한다.The wash water flowing into the duct part 131a is moved toward the top of the inner tub 131 through the washing water ascending passage 130a, which is an internal space defined by the duct part 131a and the duct cover 135. . The lifting force of the wash water is due to the pumping water flow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blade 150 .

덕트부(131a)의 상측 개구(131a")에는 필터 유닛(137)이 장착된다. 필터 유닛(137)은 이물이 필터링된 세탁수를 이너 터브(131)의 내부로 배출시키도록 이루어진다. 필터 유닛(137)을 통하여 세탁수가 배출된다는 점에서, 필터 유닛(137)은 배출 유닛으로도 명명될 수 있다.A filter unit 137 is mounted in the upper opening 131a″ of the duct unit 131a. The filter unit 137 discharges wash water from which foreign substances have been filtered into the inner tub 131. The filter unit 137 In that wash water is discharged through 137, the filter unit 137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discharge unit.

이하에서는, 필터 유닛(137) 및 필터 유닛(137)을 통한 세탁수의 배출 구조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ilter unit 137 and a structure for discharging wash water through the filter unit 137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7은 도 3에 도시된 필터 유닛(137)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4의 C 부분의 확대도이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lter unit 137 shown in FIG. 3 , and FIG. 8 is an enlarged view of part C of FIG. 4 .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필터 유닛(137)은 필터 하우징(137a) 및 필터(137b)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7 and 8 , the filter unit 137 includes a filter housing 137a and a filter 137b.

필터 하우징(137a)은 상측 개구(131a")에 장착되어, 덕트부(131a)와 덕트 커버(135)에 의해 한정되는 세탁수의 상승 유로(130a)의 출구와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필터 하우징(137a)은 연통부(137a1) 및 개구부(137a2)를 구비한다.The filter housing 137a is mounted on the upper opening 131a″ and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outlet of the washing water ascending passage 130a defined by the duct part 131a and the duct cover 135. The filter housing ( 137a) has a communication portion 137a1 and an opening 137a2.

연통부(137a1)는 필터 하우징(137a)에서 리세스된 부분으로서, 덕트부(131a)의 상측 개구(131a")와 연통된다. 덕트 커버(135)는 연통부(137a1)를 덮도록 배치되어, 연통부(137a1)와 함께 세탁수의 상승 유로(130a)와 연통되는 세탁수의 배출 유로(130b)를 형성한다.The communication portion 137a1 is a recessed portion of the filter housing 137a and communicates with the upper opening 131a″ of the duct portion 131a. The duct cover 135 is disposed to cover the communication portion 137a1. , The wash water discharge passage 130b communicating with the washing water rising passage 130a is formed together with the communication part 137a1.

덕트 커버(135)는 리세스된 연통부(137a1) 주변의 상대적으로 돌출 형성된 부분에 밀착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덕트 커버(135)와 필터 하우징(137a) 사이에는 필터 실링부재(미도시)가 개재되어, 세탁수의 배출 유로(130b)를 유동하는 세탁수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돌출 형성된 부분에는 필터 실링부재의 장착을 위한 수용홈(137a3)이 연통부(137a1)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duct cover 135 may be configured to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a relatively protruding portion around the recessed communication portion 137a1. A filter sealing member (not shown)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duct cover 135 and the filter housing 137a to prevent wash water flowing through the wash water discharge channel 130b from leaking. To this end, an accommodation groove 137a3 for mounting the filter sealing member may be formed in the protruding portion to surround the communication portion 137a1.

개구부(137a2)는 연통부(137a1)와 연통되며, 이너 터브(131)의 내부를 향하여 개방되게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137a2)는 일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The opening 137a2 communicates with the communication portion 137a1 and is formed to open toward the inside of the inner tub 131 . As shown, the opening 137a2 may extend in one direction.

필터(137b)는 개구부(137a2)를 덮도록 필터 하우징(137a)에 장착된다. 필터(137b)는 필터 하우징(137a)에 대하여 완전히 분리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필터(137b)의 하단부가 필터 하우징(137a)에 걸림된 상태에서, 필터(137b)의 상단부가 필터 하우징(137a)에 후크 결합됨에 의해, 필터(137b)가 필터 하우징(137a)에 장착될 수 있다.The filter 137b is mounted on the filter housing 137a so as to cover the opening 137a2. The filter 137b may be completely detachable from the filter housing 137a. For example, in a state where the lower end of the filter 137b is caught on the filter housing 137a, the upper end of the filter 137b is hooked to the filter housing 137a, so that the filter 137b is attached to the filter housing 137a. can be fitted

또는, 필터(137b)는 필터 하우징(137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필터(137b)의 하단부가 필터 하우징(137a)에 힌지 결합되고, 필터(137b)의 상단부가 필터 하우징(137a)에 후크 결합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filter 137b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filter housing 137a. For example, a lower end of the filter 137b may be hinged to the filter housing 137a, and an upper end of the filter 137b may be hooked to the filter housing 137a.

필터(137b)는 이물을 필터링하기 위한 그물 구조의 메쉬 필터(137b1)를 구비한다. 메쉬 필터(137b1)는 필터 하우징(137a)의 개구부(137a2)를 덮도록 배치되어, 개구부(137a2)를 통하여 유입되는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을 필터링하도록 이루어진다.The filter 137b includes a mesh filter 137b1 having a net structure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The mesh filter 137b1 is disposed to cover the opening 137a2 of the filter housing 137a, and filters foreign matter included in wash water flowing through the opening 137a2.

필터(137b)는 세탁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홀들(137b2)을 구비한다. 배출홀들(137b2)은 작은 홀 형태로 형성되거나, 길게 연장 형성된 슬릿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의 조합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The filter 137b has discharge holes 137b2 for discharging wash water. The discharge holes 137b2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small holes or in the form of elongated slits, or a combination thereof.

앞선 도 5에서는 필터(137b)의 상부에 슬릿 형태의 배출홀(137b2')이 형성되고, 그 아래에 작은 홀 형태의 배출홀들(137b2")이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세탁수가 슬릿 형태의 배출홀(137b2')을 통해서는 넓은 면적으로 분사되고, 작은 홀 형태의 배출홀들(137b2")을 통해서는 여러 지점들로 각각 분사되어, 다양한 방식으로 포적심이 이루어질 수 있다.5 shows that a slit-shaped discharge hole 137b2' is formed on the top of the filter 137b, and small hole-shaped discharge holes 137b2" are formed below it.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washing Water is sprayed over a large area through the slit-shaped discharge holes 137b2' and sprayed at various points through the small hole-shaped discharge holes 137b2", so that the concentration can be achieved in various ways. .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덕트부(131a)의 상측 개구(131a")는 발란서(132)에 인접하게 배치되므로, 이에 장착되는 필터 유닛(137) 역시 발란서(132)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즉, 필터 유닛(137)은 이너 터브 어셈블리(130)의 상측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111)에 인접하게 위치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upper opening 131a" of the duct part 131a is disposed adjacent to the balancer 132, the filter unit 137 mounted therein is also disposed adjacent to the balancer 132. That is, , The filter unit 137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door 111 that opens and closes the upper opening of the inner tub assembly 130 .

이러한 배치 구조상, 사용자는 허리를 많이 굽히지 않고도 필터 유닛(137)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터 유닛(137)에 쌓인 이물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Due to this arrangement structure, the user can easily access the filter unit 137 without bending too much.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remove foreign substances accumulated in the filter unit 137 .

아울러, 필터 유닛(137)이 이너 터브 어셈블리(130)의 상부에 위치함에 따라, 필터 유닛(137)을 통하여 배출되는 세탁수가 보다 높은 위치에서 낙하할 수 있다. 따라서, 세탁수가 이너 터브(131) 내의 보다 넓은 면적으로 배출될 수 있어서, 포적심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filter unit 137 is positioned above the inner tub assembly 130, wash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filter unit 137 may fall from a higher position. Therefore, wash water can be discharged to a wider area within the inner tub 131, and the effect of wetting can be improved.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세탁수의 상승 유로(130a) 및 배출 유로(130b)의 형성을 위하여 세탁기(100)의 내부 구성들이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process in which internal components of the washing machine 100 are combined to form the washing water ascending passage 130a and the discharge passage 130b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4 .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필터 유닛(137)은 이너 터브(131)의 내측에서 장착되며, 덕트 커버(135)는 이너 터브(131)의 외측에서 장착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filter unit 137 is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inner tub 131, and the duct cover 135 is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inner tub 131.

필터 유닛(137)은 덕트부(131a)의 상측 개구(131a")에 장착된다. 앞서 설명한 필터 하우징(137a)의 연통부(137a1)는 상측 개구(131a")를 통하여 외측으로 노출되며, 덕트부(131a)와 연통되어 세탁수가 이동될 수 있는 연속적인 유로를 형성한다. 즉, 세탁수의 상승 유로(130a)와 세탁수의 배출 유로(130b)가 상호 연결되게 된다.The filter unit 137 is mounted in the upper opening 131a" of the duct portion 131a. The communication portion 137a1 of the filter housing 137a described above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upper opening 131a", and the duct It communicates with the part 131a to form a continuous passage through which wash water can move. That is, the wash water upflow passage 130a and the wash water discharge passage 130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덕트 커버(135)는 덕트부(131a)와 상측 개구(131a")에 장착된 필터 유닛(137)을 덮도록 이너 터브(131)에 장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 커버(135)는 이너 터브(131)의 하단에서 상단을 향하여 연장 형성된다. 상기 구조에 의해, 덕트 커버(135)는 덕트부(131a)의 리세스된 부분과 함께 세탁수의 상승 유로(130a)를 형성하며, 필터 하우징(137a)의 연통부(137a1)와 함께 세탁수의 배출 유로(130b)를 형성한다.The duct cover 135 is mounted on the inner tub 131 so as to cover the duct portion 131a and the filter unit 137 mounted on the upper opening 131a". As shown, the duct cover 135 is the inner It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toward the upper end of the tub 131. With the above structure, the duct cover 135 together with the recessed portion of the duct part 131a forms the washing water ascending passage 130a, and the filter A wash water discharge passage 130b is formed together with the communication portion 137a1 of the housing 137a.

이하에서는, 덕트 커버(135)가 이너 터브(131)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structure in which the duct cover 135 is coupled to and fixed to the inner tub 131 will be described.

도 12를 앞선 도면들과 함께 참조하면, 이너 터브(131)의 상부에는 덕트 커버(135), 이너 터브(131) 및 필터 하우징(137a)이 이너 터브(131)의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된다. 필터 체결부재(138a)는 덕트 커버(135)와 이너 터브(131)를 관통하여 필터 하우징(137a)에 체결된다. 상기 필터 체결부재(138a)의 체결에 의해, 덕트 커버(135)와 필터 하우징(137a)이 이너 터브(131)에 한번에 고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together with the previous drawings, a duct cover 135, an inner tub 131, and a filter housing 137a are disposed overlapping each other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inner tub 131 above the inner tub 131. . The filter fastening member 138a passes through the duct cover 135 and the inner tub 131 and is fastened to the filter housing 137a. By fastening the filter fastening member 138a, the duct cover 135 and the filter housing 137a may be fixed to the inner tub 131 at once.

상기 체결 구조를 구현하기 위하여, 덕트부(131a)의 상측 개구(131a") 양측에는 관통홀(131b)이 각각 형성되며, 덕트 커버(135)의 양측에는 상기 관통홀(131b)에 대응되는 삽입홀(135a)이 각각 형성되고, 필터 하우징(137a)의 양측에는 상기 관통홀(131b)에 대응되는 체결홈(137a4)이 각각 형성된다. 필터 체결부재(138a)는 삽입홀(135a)과 관통홀(131b)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체결홈(137a4)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In order to implement the fastening structure, through holes 131b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opening 131a″ of the duct part 131a, and insertion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s 131b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duct cover 135. Holes 135a are formed, respectively, and fastening grooves 137a4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s 131b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lter housing 137a. It may be screwed into the fastening groove 137a4 by sequentially penetrating the hole 131b.

체결홈(137a4)은 필터 체결부재(138a)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필터 체결부재(138a)가 체결홈(137a4)에 억지 나사결합되면서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 구조에 따르면, 너트 없이도 필터 체결부재(138a)가 고정될 수 있어, 용이한 조립이 가능하게 된다.The fastening groove 137a4 may be formed to have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filter fastening member 138a, so that the filter fastening member 138a is forcibly screwed into the fastening groove 137a4 and fastened thereto. According to the above fastening structure, the filter fastening member 138a can be fixed without a nut, so that easy assembly is possible.

물론 본 발명이 상기 체결구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필터 하우징(137a)에는 필터 체결부재(138a)와의 체결을 위하여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인서트 너트가 인서트 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astening structure. An insert nut having a thread formed therein may be integrally formed in the filter housing 137a by insert injection for fastening with the filter fastening member 138a.

도 13을 앞선 도면들과 함께 참조하면, 덕트부(131a)의 하측 개구(131a') 양측에는 관통홀(131c)이 각각 형성되며, 덕트 커버(135)의 양측에는 상기 관통홀(131c)에 대응되는 삽입홀(135b)이 각각 형성된다. 아울러, 이너 터브(131)의 내측에는 상기 관통홀(131c)에 각각 대응되는 고정부재(139)가 구비된다.Referring to FIG. 13 together with the previous drawings, through-holes 131c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opening 131a' of the duct part 131a, and on both sides of the duct cover 135, the through-holes 131c Corresponding insertion holes 135b are formed, respectively. In addition, fixing members 139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s 131c are provided inside the inner tub 131 .

고정부재(139)는 삽입홀(135b)과 관통홀(131c)을 순차적으로 관통한 덕트 체결부재(138b)와 나사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즉, 고정부재(139)는 덕트 체결부재(138b)의 고정을 위한 너트와 같은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The fixing member 139 is configured to be threaded with the duct fastening member 138b passing through the insertion hole 135b and the through hole 131c sequentially. That is, it may be understood that the fixing member 139 serves as a nut for fixing the duct fastening member 138b.

덕트 체결부재(138b)는 고정부재(139)에 억지 나사결합되면서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 구조에 따르면, 너트 없이도 덕트 체결부재(138b)가 고정될 수 있어, 용이한 조립이 가능하게 된다.The duct fastening member 138b may be configured to be fastened while being forcibly screwed to the fixing member 139 . According to the fastening structure, the duct fastening member 138b can be fixed without a nut, so that easy assembly is possible.

물론 본 발명이 상기 체결구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정부재(139)에는 덕트 체결부재(138b)와의 체결을 위하여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인서트 너트가 인서트 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astening structure. The fixing member 139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an insert nut having a screw thread therein for fastening with the duct fastening member 138b by insert injection.

고정부재(139)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139)는 이너 터브(131) 내측에 구비되는 구성이므로, 세탁물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부재(139)는 이너 터브(131)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덕트부(131a)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므로, 상대적으로 리세스된 부분에 위치하여 구조적으로 세탁물과의 접촉이 많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The fixing member 139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Since the fixing member 139 is provided inside the inner tub 131, it is preferable to have a rounded shape so as not to damage laundry. In addition, since the fixing members 139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uct unit 131a protruding toward the inside of the inner tub 131, they are located in relatively recessed portions to structurally prevent much contact with the laundry. do.

이하에서는, 이너 터브 어셈블리(130)의 하부 구조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lower structure of the inner tub assembly 13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15는 도 3의 가이드부재(136)를 보인 사시도이다.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guide member 136 of FIG. 3 .

도 15를 참조하면, 가이드부재(136)는 블레이드(150)의 회전에 의해 형성된 펌핑 수류를 세탁수의 상승 유로(130a)로 가이드하는 부재로서, 터브 베이스(133)에 형성된 세탁수 유입홀(133')과 연통홀(133")을 터브 베이스(133)의 외측에서 상호 연통시키도록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5 , the guide member 136 is a member that guides the pumping water stream formed by the rotation of the blade 150 to the washing water ascending passage 130a, and is a wash water inlet hole formed in the tub base 133 ( 133') and the communication hole 133" ar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from the outside of the tub base 133.

이를 위하여, 가이드부재(136)에는 세탁수 유입홀(133') 및 연통홀(133")과 각각 연통되는 세탁수 유입구(136') 및 세탁수 유출구(136")를 각각 구비한다. 세탁수 유입구(136')와 세탁수 유출구(136")는 상호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어 상호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본 도면에서는, 세탁수 유입구(136')가 형성된 가이드부재(136)의 일단부는 세탁수 유입홀(133')에 삽입되고, 세탁수 유출구(136")가 형성된 가이드부재(136)의 타단부는 연통홀(133")을 덮도록 배치된 것을 보이고 있다.To this end, the guide member 136 includes a wash water inlet 136' and a wash water outlet 136" communicating with the wash water inlet hole 133' and the communication hole 133", respectively. The wash water inlet 136' and the wash water outlet 136"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form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this drawing, one end of the guide member 136 having the wash water inlet 136' is formed. It is shown that the other end of the guide member 136 inserted into the wash water inlet hole 133' and formed with the wash water outlet 136" is disposed to cover the communication hole 133".

가이드부재(136)는 터브 베이스(133)와 후크 결합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세탁수 유출구(136")가 형성된 가이드부재(136)의 타단부에 걸림 후크(136a)가 형성되어, 연통홀(133")에 걸림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세탁수 유출구(136")와 덕트부(131a)의 하측 개구(131a')는 터브 베이스(133)의 연통홀(133")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다.The guide member 136 may be fixed by hook coupling with the tub base 133 . In this drawing, it is exemplified that the hook 136a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guide member 136 where the wash water outlet 136" is formed to be hooked into the communication hole 133". The wash water outlet 136" and the lower opening 131a' of the duct unit 131a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with the communication hole 133" of the tub base 133 interposed therebetween.

상기 걸림 후크(136a)와 함께 또는 별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136)에는 터브 베이스(133)의 저면에 형성된 걸림부(미도시)에 걸림 가능한 고정 후크(136b)가 구비될 수도 있다.Together with or separately from the hook 136a, as shown, the guide member 136 may be provided with a fixing hook 136b that can be hooked to a hook (not shown)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ub base 133. .

가이드부재(136)는 양측으로 각각 연장되는 연장부(136c)를 구비하며, 상기 연장부(136c)에는 지그 체결부재의 고정을 위한 체결홈(136d)이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고정 후크(136b)는 연장부(136c)에 구비될 수 있다.The guide member 136 includes extensions 136c extending to both sides, and the extensions 136c may include coupling grooves 136d for fixing the jig coupling member. The aforementioned fixing hook 136b may be provided on the extension 136c.

블레이드(150)의 회전에 의해 형성되는 세탁수의 펌핑 수류는 블레이드(150)의 회전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성을 가진다. 이에 따라, 세탁수의 상당량이 세탁수 유입구(136') 주변에서 와류를 형성하며 머물거나 세탁수 유입구(136')를 지나쳐, 가이드부재(136)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The pumping water flow of washing water formed by the rotation of the blade 150 has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blade 150 . As a result, a considerable amount of wash water forms a vortex around the wash water inlet 136' and stays there or passes through the wash water inlet 136' and does not flow into the guide member 136.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가이드부재(136)에는 세탁수 유입구(136')로부터 세탁수 유출구(136")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격벽(136f)이 구비될 수 있다. 격벽(136f)은 세탁수의 유입을 가이드하여, 보다 많은 양의 세탁수가 가이드부재(136)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To solve this problem, the guide member 136 may be provided with a partition wall 136f extending from the wash water inlet 136' toward the wash water outlet 136". The partition wall 136f is the inlet of wash water. is guided so that a larger amount of washing water can be introduced into the guide member 136.

격벽(136f)은 세탁수 유입구(136')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세탁수가 격벽(136f) 양측의 공간으로 각각 거의 대등하게 유입되어, 세탁수 유출구(136")를 통하여 유출되는 세탁수가 일측으로 편중되지 않고 전 영역에 걸쳐 고르게 유출될 수 있다.The partition wall 136f may b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wash water inlet 136'. In this case, the washing water flows into the spaces on both sides of the partition wall 136f almost equally, so that the washing water flowing out through the washing water outlet 136″ can flow out evenly over the entire area without being biased to one side.

이하에서는,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터브 베이스(133)에 대한 가이드부재(136) 및 허브(134)의 결합 과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coupling the guide member 136 and the hub 134 to the tub base 13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6 and 17 .

먼저, 도 16을 앞선 도 15와 함께 참조하면, 터브 베이스(133)의 저면에는 가이드부재(136)가 장착된다. 가이드부재(136)는 세탁수 유입홀(133')과 연통홀(133")을 터브 베이스(133)의 외측에서 연통시키기 위한 구성이므로, 터브 베이스(133)의 저면 상의 기설정된 위치에 장착되어야 한다.First, referring to FIG. 16 together with FIG. 15 , the guide member 136 is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ub base 133 . Since the guide member 136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the wash water inlet hole 133' and the communication hole 133" from the outside of the tub base 133, it should be moun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ub base 133. do.

이를 위하여, 터브 베이스(133)의 저면에는 돌출부(133c)가 구비되며, 가이드부재(136)에는 돌출부(133c)를 감싸는 서라운드부(136e)가 구비된다. 본 도면에서는, 서라운드부(136e)가 세탁수 유입구(136')의 양측에서 각각 연장된 것을 보이고 있다.To this end, a protrusion 133c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ub base 133, and a surround portion 136e surrounding the protrusion 133c is provided in the guide member 136. In this drawing, it is shown that the surround part 136e extends from both sides of the wash water inlet 136', respectively.

서라운드부(136e)는,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33c)의 일부를 감싸도록 세탁수 유입구(136')의 양측에서 각각 연장된 부분이 상호 이어지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돌출부(133c)를 완전히 감싸도록 세탁수 유입구(136')의 양측에서 각각 연장된 부분이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As shown, the surround portion 136e may be configured such that portions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wash water inlet 136' do not connect to each other so as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protrusion 133c, or completely surround the protrusion 133c. It may also be configured such that the respective extensions on both sides of the wash water inlet 136'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서라운드부(136e)가 돌출부(133c)를 감싸도록 형성됨으로써, 터브 베이스(133)에 대한 가이드부재(136)의 장착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아울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136)가 터브 베이스(133)에 장착시 고정 후크(136b)가 터브 베이스(133)의 저면에 걸림될 수 있으며, 걸림 후크(136a)가 연통홀(133")에 걸림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구조를 통하여, 가이드부재(136)는 터브 베이스(133)의 기설정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Since the surround portion 136e is formed to surround the protruding portion 133c,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guide member 136 relative to the tub base 133 may be determined.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guide member 136 is mounted on the tub base 133, the fixing hook 136b may be caught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ub base 133, and the hook 136a may b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hole 133. "). Through this fixing structure, the guide member 136 can be moun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tub base 133.

터브 베이스(133)의 저면에 가이드부재(136)가 장착된 상태에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브 베이스(133)의 저면에는 허브(134)가 장착될 수 있다. 허브(134)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원형 부재로 형성되어, 터브 베이스(133)에 장착된다. 허브(134)가 터브 베이스(133)에 장착됨에 따라, 이너 터브 어셈블리(130)의 전체적인 강성이 향상될 수 있다. 허브(134)는 구동모터(180)의 회전축(181)과 결합되어, 구동모터(180)에서 발생된 동력을 이너 터브 어셈블리(130)에 전달한다.With the guide member 136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tub base 133, as shown in FIG. 17, the hub 134 may be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tub base 133. The hub 134 is formed of a circular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s mounted on the tub base 133 . As the hub 134 is mounted on the tub base 133, overall rigidity of the inner tub assembly 130 may be improved. The hub 134 is coupled to the rotational shaft 181 of the drive motor 180 and transmits power generated by the drive motor 180 to the inner tub assembly 130 .

허브(134)에는 터브 베이스(133)의 개구(133a)와 연통되는 수류 유입홀(134a)이 구비된다. 아우터 터브(120)에 저장된 세탁수는 허브(134)의 수류 유입홀(134a) 및 터브 베이스(133)의 개구(133a)를 통하여 이너 터브 어셈블리(130)의 내부로 유입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류 유입홀(134a)은 복수 개로 형성되어, 허브(134)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류 유입홀(134a)이 부채꼴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수류 유입공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hub 134 is provided with a water flow inlet hole 134a communicating with the opening 133a of the tub base 133 . Wash water stored in the outer tub 120 is introduced into the inner tub assembly 130 through the water flow inlet hole 134a of the hub 134 and the opening 133a of the tub base 133 . As shown, a plurality of water flow inlet holes 134a may be formed repeatedly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hub 134 . In this embodiment, the water flow inlet hole 134a is shown as having a fan shape, but the shape of the water flow inlet hole is not limited thereto.

허브(134)는 터브 베이스(133)의 저면에 장착시 가이드부재(136)의 일부를 덮도록 배치된다. 본 도면에서는, 서라운드부(136e)의 일부가 허브(134)에 의해 덮인 것을 보이고 있다. 상기 장착 구조에 의해, 가이드부재(136)의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어서, 가이드부재(136)의 보다 견고한 고정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The hub 134 is disposed to cover a portion of the guide member 136 when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ub base 133 . In this figure, it is shown that a part of the surround portion 136e is covered by the hub 134. By the mounting structure,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guide member 136 can be limited, so that a more robust fixing structure of the guide member 136 can be implemented.

도 18 및 도 19는 도 2에 도시된 고정 지그(190), 터브 베이스(133), 가이드부재(136) 간의 결합 구조를 보인 개념도 및 단면도이다.18 and 19 are conceptual and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fixing jig 190, the tub base 133, and the guide member 136 shown in FIG. 2 .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펄세이터(160)와 블레이드(150) 사이에는 유성기어 모듈(17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지그(190)가 구비된다. 고정 지그(190)는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터브 베이스(133)에 결합된다.18 and 19, a fixing jig 190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planetary gear module 170 is provided between the pulsator 160 and the blade 150. The fixing jig 190 extends radially and is coupled to the tub base 133 .

고정 지그(190)가 펄세이터(160)보다 반경 방향으로 더 돌출되게 구성될 경우, 고정 지그(190)를 가리기 위한 덮개가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터브 베이스(133)가 단차지게 형성되고, 단차져 움푹 들어간 부분에 고정 지그(190)와 펄세이터(160)가 수용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고정 지그(190)를 덮기 위한 덮개가 불필요하다.When the fixing jig 190 is configured to protrude more in the radial direction than the pulsator 160, a cover for covering the fixing jig 190 is required.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ub base 133 is formed stepwise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ixing jig 190 and the pulsator 160 are accommodated in the stepped recessed portion, a cover for covering the fixing jig 190 is provided. It is unnecessary.

구체적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터브 베이스(133)에는 2단으로 단차진 제1부분(133b1)과 제2부분(133b2)이 형성된다. 제1부분(133b1) 상에는 제2부분(133b2)이 위치하며, 제2부분(133b2)은 제1부분(133b1)에 대하여 외측으로 상향 단차진 형태를 가진다. 제1부분(133b1)에는 블레이드(150)가 수용되며, 제2부분(133b2)에는 고정 지그(190)와 펄세이터(160)가 수용된다. 참고로, 가이드부재(136)는 터브 베이스(133)의 저면을 덮도록 배치된다.Specifically,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part 133b1 and the second part 133b2 are formed in two steps on the tub base 133 . A second portion 133b2 is positioned on the first portion 133b1, and the second portion 133b2 has an upwardly stepped shape with respect to the first portion 133b1. The blade 150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part 133b1, and the fixing jig 190 and the pulsator 160 are accommodated in the second part 133b2. For reference, the guide member 136 is disposed to cover the lower surface of the tub base 133 .

고정 지그(190)는 제2부분(133b2)의 바닥면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지그 체결부재(191)가 고정 지그(190)와 상기 바닥면을 관통하여 가이드부재(136)[구체적으로는, 연장부(136c)에 구비되는 체결홈(136d)]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지그 체결부재(191)의 체결에 의해, 고정 지그(190)와 가이드부재(136)가 터브 베이스(133)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The fixing jig 190 is configured to be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part 133b2. To this end, the jig fastening member 191 can pass through the fixing jig 190 and the bottom surface and be fastened to the guide member 136 (specifically, the fastening groove 136d provided in the extension part 136c). there is. By fastening the jig fastening member 191 , the fixing jig 190 and the guide member 136 can be firmly fixed to the tub base 133 .

펄세이터(160)는 고정 지그(190)를 덮도록 배치되고, 고정 지그(190)와 함께 제2부분(133b2)에 수용된다. 펄세이터(160)는 고정 지그(19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고정 지그(190)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ulsator 160 is disposed to cover the fixing jig 190 and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portion 133b2 together with the fixing jig 190 . The pulsator 160 preferably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fixing jig 190 so that the fixing jig 190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아울러, 펄세이터(160)와 터브 베이스(133)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는 동일 층위를 이루며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펄세이터(160)와 터브 베이스(133) 간의 틈으로 세탁물이 끼이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ends of the pulsator 160 and the tub base 133 facing each other may b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on the same layer. According to the above structure, it is possible to prevent laundry from being caught in the gap between the pulsator 160 and the tub base 133.

100: 세탁기 110: 캐비닛
111: 도어 120: 아우터 터브
130: 이너 터브 어셈블리 130a: 세탁수의 상승 유로
130b: 세탁수의 배출 유로 131: 이너 터브
131a: 덕트부 131a': 하측 개구
131a": 상측 개구 131b, 131c: 관통홀
132: 발란서 132a: 중공부
133: 터브 베이스 133': 세탁수 유입홀
133": 연통홀 133a: 개구
133b1: 제1부분 133b2: 제2부분
133c: 돌출부 134: 허브
134a: 수류 유입홀 135: 덕트 커버
135a, 135b: 삽입홀 136: 가이드부재
136': 세탁수 유입구 136": 세탁수 유출구
136a: 걸림 후크 136b: 고정 후크
136c: 연장부 136d: 체결홈
136e: 서라운드부 136f: 격벽
137: 필터 유닛 137a: 필터 하우징
137a1: 연통부 137a2: 개구부
137a3: 수용홈 137a4: 체결홈
137b: 필터 137b1: 메쉬 필터
137b2: 배출홀들 138a: 필터 체결부재
138b: 덕트 체결부재 139: 고정부재
140: 세스펜션 바 150: 블레이드
151: 회전판 152: 펌핑 날개부
160: 펄세이터 161: 회전판
162: 돌출부 170: 유성기어 모듈
180: 구동모터 181: 회전축
190: 고정 지그 191: 지그 체결부재
100: washing machine 110: cabinet
111: door 120: outer tub
130: Inner tub assembly 130a: Rising passage of wash water
130b: wash water discharge passage 131: inner tub
131a: duct portion 131a': lower opening
131a": upper opening 131b, 131c: through hole
132: balancer 132a: hollow part
133: tub base 133': wash water inlet hole
133 ": communication hole 133a: opening
133b1: first part 133b2: second part
133c: protrusion 134: hub
134a: water flow inlet hole 135: duct cover
135a, 135b: insertion hole 136: guide member
136 ': wash water inlet 136 ": wash water outlet
136a: hanging hook 136b: fixing hook
136c: extension 136d: fastening groove
136e: surround part 136f: bulkhead
137: filter unit 137a: filter housing
137a1: communication part 137a2: opening
137a3: receiving groove 137a4: fastening groove
137b: filter 137b1: mesh filter
137b2: discharge holes 138a: filter fastening member
138b: duct fastening member 139: fixing member
140: suspension bar 150: blade
151: rotating plate 152: pumping wing
160: pulsator 161: rotating plate
162: protrusion 170: planetary gear module
180: drive motor 181: rotation shaft
190: fixed jig 191: jig fastening member

Claims (21)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고, 세탁수를 저장하는 아우터 터브; 및
상기 아우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내부에 세탁물을 수용하는 이너 터브;
상기 이너 터브의 측면에 형성되어 외측에서 내측으로 리세스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상측에 상측 개구가 형성된 덕트부;
상기 리세스된 덕트부를 덮도록 상기 덕트부의 외측에 장착되고, 상기 덕트부와의 사이에 세탁수의 상승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커버; 및
상기 덕트부의 상측 개구에 배치되어 상기 상승 유로를 통해 상승한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을 필터링하고 상기 이너 터브의 내부로 배출시키는 필터 유닛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 유닛은:
상기 상측 개구의 상측에 위치하고 외측에서 내측으로 리세스되어 상기 상측 개구과 연통되는 연통부와, 상기 연통부와 연통되고 상기 이너 터브의 내부를 향하여 개방된 개구부를 구비하는 필터 하우징; 및
상기 개구부를 덮도록 상기 필터 하우징에 장착되며,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을 필터링하는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덕트 커버는 상기 필터 유닛의 연통부를 덮어, 상기 필터 유닛의 연통부와의 사이에 상기 상승 유로와 연통하는 배출 유로를 형성하는 세탁기.
an outer tub provided inside the cabinet and storing wash water; and
an inner tub rotatably configured inside the outer tub and accommodating laundry therein;
a duct part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inner tub, recessed from the outside to inside,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having an upper opening formed on the upper side;
a duct cover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duct unit to cover the recessed duct unit and forming an ascending passage of wash water between the duct unit and the duct unit; and
A filter unit disposed at an upper opening of the duct unit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included in the wash water that has risen through the ascending passage and discharge them into the inner tub;
The filter unit is:
a filter housing having a communication part positioned above the upper opening and recesse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to communicate with the upper opening; and an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communication part and open toward the inside of the inner tub; and
A filter mounted on the filter housing to cover the opening and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wash water;
The washing machine of claim 1 , wherein the duct cover covers the communication portion of the filter unit, and forms a discharge flow path communicating with the ascending passage between the communication portion of the filter unit and the communication portion of the filter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부는 상기 이너 터브의 적어도 일부분이 포밍(forming)에 의해 벤딩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According to claim 1,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inner tub is formed in a bent form by form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부는 상기 이너 터브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According to claim 2,
The wash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duct portion protrudes into the inner tub.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커버는 상기 이너 터브에 대응되도록 라운드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According to claim 1,
The wash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duct cover is formed in a round shape to correspond to the inner tub.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개구부를 덮도록 상기 필터 하우징에 장착되며,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을 필터링하는 메쉬 필터와 이물이 필터링된 세탁수를 배출시키는 배출홀들을 구비하는 세탁기.
According to claim 1,
The filter,
A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mesh filter mounted on the filter housing to cover the opening and filtering foreign matters contained in the wash water; and discharge holes through which the foreign matters filtered out are discharge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커버와 상기 이너 터브를 관통하여 상기 필터 하우징에 체결되는 필터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너 터브의 원주방향에서 정의되는 상기 필터 하우징의 폭은 상기 덕트부의 폭보다 큰 세탁기.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ilter fastening member fastened to the filter housing through the duct cover and the inner tub,
A washing machine wherein a width of the filter housing defin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 is greater than a width of the duct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터브의 하단에 결합되고, 높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세탁수 유입홀과 연통홀을 구비하는 터브 베이스; 및
상기 터브 베이스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터브 베이스의 외측에서 상기 세탁수 유입홀과 상기 연통홀을 상호 연통시키도록 구성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덕트부의 하단에 형성되는 하측 개구는 상기 연통홀과 연통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According to claim 1,
a tub base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inner tub and having a wash water inlet hole and a communication hol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a height direction; and
Further comprising a guide member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tub base and configured to communicate the wash water inlet hole and the communication hole from the outside of the tub base,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lower opening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duct unit communicates with the communication hol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부의 하단은 상기 연통홀 주변의 상기 터브 베이스의 상면을 덮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According to claim 9,
The wash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end of the duct is configured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tub base around the communication hol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연통홀에 걸림 가능한 걸림 후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According to claim 9,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guide member includes a catching hook capable of being caught in the communication hol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세탁수 유입홀과 연통되는 세탁수 유입구;
상기 세탁수 유입구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연통홀과 연통되는 세탁수 유출구; 및
세탁수의 유입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세탁수 유입구로부터 상기 세탁수 유출구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According to claim 9,
The guide member,
a wash water inlet communicating with the wash water inlet hole;
a wash water outlet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wash water inlet and communicating with the communication hole; and
and a barrier rib extending from the wash water inlet toward the wash water outlet to guide the inflow of wash wate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수 유출구와 상기 하측 개구는 상기 터브 베이스의 연통홀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According to claim 12,
The wash water outlet and the lower opening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with the communication hole of the tub base interposed therebetwee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가 상기 터브 베이스로 유입되도록 하는 수류 유입홀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부재의 일부를 덮도록 상기 터브 베이스의 저면에 결합되는 허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According to claim 9,
The washing machine further comprises a hub having a water flow inlet hole through which wash water stored in the outer tub flows into the tub base and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tub base to cover a portion of the guide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터브의 내측에 구비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덕트 커버와 상기 이너 터브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부재에 체결되는 덕트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According to claim 1,
a fixing member provided inside the inner tub; and
The washing machine further comprises a duct fastening member that penetrates the duct cover and the inner tub and is fastened to the fixing memb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터브의 하단에 결합되고, 높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세탁수 유입홀과 연통홀을 구비하는 터브 베이스; 및
상기 터브 베이스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터브 베이스의 외측에서 상기 세탁수 유입홀과 상기 연통홀을 상호 연통시키도록 구성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너 터브에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리세스된 형태를 가지는 덕트부가 상기 이너 터브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상기 덕트부는 상기 연통홀을 통하여 상기 가이드부재와 연통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According to claim 1,
a tub base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inner tub and having a wash water inlet hole and a communication hol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a height direction; and
Further comprising a guide member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tub base and configured to communicate the wash water inlet hole and the communication hole from the outside of the tub base,
In the inner tub, a duct portion having a shape recesse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is formed extending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inner tub,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uct unit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guide member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 베이스 상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회전시 세탁 수류를 형성하는 펄세이터;
상기 펄세이터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회전시 세탁수를 상기 세탁수 유입홀로 이동시키는 펌핑 수류를 형성하는 블레이드;
상기 펄세이터와 상기 블레이드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펄세이터와 상기 블레이드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블레이드에 대한 상기 펄세이터의 회전비를 조절하는 유성기어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According to claim 16,
a pulsator rotatably provided on the tub base to form a washing water stream when rotating;
a blade rotatably provided under the pulsator to form a pumping water stream that moves wash water to the wash water inlet hole when rotated;
a drive motor providing power for rotating the pulsator and the blade; and
The washing machine further comprises a planetary gear module provided between the pulsator and the blade to adjust a rotation ratio of the pulsator with respect to the blade.
삭제delete
KR1020160028948A 2016-03-10 2016-03-10 Washing machine KR1025659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8948A KR102565953B1 (en) 2016-03-10 2016-03-10 Washing machine
AU2017230177A AU2017230177B2 (en) 2016-03-10 2017-03-10 Washing machine
PCT/KR2017/002622 WO2017155352A1 (en) 2016-03-10 2017-03-10 Washing machine
US16/083,097 US10954624B2 (en) 2016-03-10 2017-03-10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8948A KR102565953B1 (en) 2016-03-10 2016-03-10 Washing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5820A KR20170105820A (en) 2017-09-20
KR102565953B1 true KR102565953B1 (en) 2023-08-09

Family

ID=60033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8948A KR102565953B1 (en) 2016-03-10 2016-03-10 Wash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595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93982B (en) * 2020-04-07 2023-12-29 佛山市顺德海尔电器有限公司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4966A (en) * 1998-06-30 2000-01-18 Daewoo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KR100441014B1 (en) * 2002-01-10 2004-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Washing Machine
JP2009028509A (en) * 2007-07-03 2009-02-12 Panasonic Corp Washing machine
KR101348718B1 (en) * 2007-03-06 2014-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collecting foreign materials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948Y2 (en) * 1985-04-19 1991-03-18
KR100437791B1 (en) 2001-12-17 2004-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Washing machi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4966A (en) * 1998-06-30 2000-01-18 Daewoo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KR100441014B1 (en) * 2002-01-10 2004-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Washing Machine
KR101348718B1 (en) * 2007-03-06 2014-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collecting foreign materials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JP2009028509A (en) * 2007-07-03 2009-02-12 Panasonic Corp Wash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5820A (en) 2017-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4624B2 (en) Washing machine
KR101835334B1 (en)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apparatus
KR100785555B1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KR20130009351A (en) Washing machine
CA1182300A (en) Liquid pumping agitator with barrel valve for automatic washers
EP2524992B1 (en)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drain hose
KR102565953B1 (en) Washing machine
KR102565954B1 (en) Washing machine
JP6286279B2 (en) Washing machine
WO2007000035A1 (en) Water recirculation system for a laundry machine
JP6569092B2 (en) Washing machine
JP6712245B2 (en) Washing machine
JP4661521B2 (en) Drum washing machine
JP6311125B2 (en) Washing machine
KR100521090B1 (en) Drainage apparatus of drum type washing machine
WO2017140258A1 (en) Washing machine
JP6223274B2 (en) Washing machine
CN108431327B (en) Cleaning machine
KR20170105331A (en) Washing machine
KR19990056858A (en) Induction pipe of washing machine
KR100336127B1 (en) Drum Washing Machine
CN114575114A (en) Barrel subassembly and clothing treatment facility
JP3022479B2 (en) Washing machine
KR102442967B1 (en) Device for treating laundry
KR200283415Y1 (en) Jet Wash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