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5247B1 - 개인정보 유출 위험을 최소화하는 측위 기반 감염병 접촉자 탐지 방법 - Google Patents

개인정보 유출 위험을 최소화하는 측위 기반 감염병 접촉자 탐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5247B1
KR102565247B1 KR1020210136392A KR20210136392A KR102565247B1 KR 102565247 B1 KR102565247 B1 KR 102565247B1 KR 1020210136392 A KR1020210136392 A KR 1020210136392A KR 20210136392 A KR20210136392 A KR 20210136392A KR 102565247 B1 KR102565247 B1 KR 102565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ectious disease
location information
user
confirmed
perso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6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3169A (ko
Inventor
이석준
성낙명
최충재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136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5247B1/ko
Priority to PCT/KR2021/014189 priority patent/WO2023063445A1/ko
Publication of KR20230053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3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5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52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8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e.g. flu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1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th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개인정보 유출 위험을 최소화하는 측위 기반 감염병 접촉자 탐지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염병 접촉자 탐지 방법은, 사용자의 개인정보 보호구역을 설정하고, 설정된 개인정보 보호구역인 경우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암호화하여 저장하며, 설정된 개인정보 보호구역이 아닌 경우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암호화하지 않고 저장하고, 감염병 확진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며, 획득한 감염병 확진자의 위치정보와 저장된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감염병 접촉자를 탐지한다. 이에 의해, 자동 측위 기반으로 감염병 접촉자를 탐지함에 있어, 사용자가 보호받고 싶어하는 구역에 대해서는 세부 위치정보를 유출시키지 않을 수 있으므로, 개인정보 유출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개인정보 유출 위험을 최소화하는 측위 기반 감염병 접촉자 탐지 방법{Location-based infectious diseases contact detecting method for minimizing the risk of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본 발명은 감염병 접촉자 탐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측위 기반으로 감염병 확진자와 접촉한 접촉자를 탐지하되, 이 과정에서 사용자 개인정보 유출을 최소화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코로나 19와 같은 감염병의 대유행을 예방하거나 경감시키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감염병 확진자의 역학 조사를 통해 감염병 접촉자를 빠른 시간 안에 탐지하여 후속 조치를 행하는 것이다.
빠르고 정확한 역학 조사를 위해, 감염병 접촉자의 휴대용 단말을 통해 자동으로 측위된 위치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을 상정할 수 있다. 하지만, 이 방법은 개인정보 유출을 유발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해당 방법에 의할 경우 개인정보 유출을 최소화하는 방법,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보호받고 싶어하는 구역에 대해서는 세부 위치정보를 유출시키지 않고, 감염병 확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 10-2309400(2021.09.29) 한국공개특허 10-2010-0054685(2010.05.25) 한국공개특허 10-2015-0067544(2015.06.1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인정보 유출 위험을 최소화하는 위치측위 기반 감염병 접촉자 탐지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염병 접촉자 탐지 방법은, 사용자의 개인정보 보호구역을 설정하는 단계; 설정된 개인정보 보호구역인 경우,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암호화하여 저장하는 제1 저장단계; 설정된 개인정보 보호구역이 아닌 경우,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암호화하지 않고 저장하는 제2 저장단계; 감염병 확진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감염병 확진자의 위치정보와 저장된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감염병 접촉자를 탐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설정 단계는, 사용자가 지정한 지점의 GPS 좌표를 중심으로 일정 반경 내 구역을 개인정보 보호구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설정 가능한 개인정보 보호구역의 개수와 반경은, 감염병 관리 당국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설정 단계는, 사용자가 지정한 구역에서 수집되는 WiFi 핑거프린트 및 BLE 비컨 중 적어도 하나를 지정하여 개인정보 보호구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1 저장단계는, 사용자의 위치정보로 BLE 비컨, WiFi 핑거프린트를 수집할 수 있다.
제2 저장단계는, 사용자의 위치정보로 GPS 정보, BLE 비컨, WiFi 핑거프린트를 수집할 수 있다.
판단 단계는, 획득된 감염병 확진자의 위치정보들 중 암호화되지 않은 위치정보들을 암호화는 단계; 저장된 사용자의 위치정보들 중 암호화되지 않은 위치정보들을 암호화는 단계; 및 암호화된 암호화된 감염병 확진자의 위치정보들과 암호화된 사용자의 위치정보들을 비교하여, 사용자가 감염병 접촉자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판단 단계는, 동일자의 동시간대에, 감염병 확진자의 위치정보와 사용자의 위치정보가 일정 시간 동안 동일한 경우, 사용자를 감염병 접촉자로 판단할 수 있다.
판단 단계는, 동일자의 동시간대에, 감염병 확진자의 단말에서 전송된 신호가 사용자의 단말에 일정 시간 동안 수신된 경우 또는 사용자의 단말에서 신호가 감염병 확진자의 단말에 일정 시간 동안 수신된 경우에 사용자를 감염병 접촉자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감염병 접촉자 탐지 시스템은, 사용자의 개인정보 보호구역을 설정하고, 설정된 개인정보 보호구역인 경우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암호화하여 저장하고, 설정된 개인정보 보호구역이 아닌 경우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암호화하지 않고 저장하는 사용자 단말; 및 감염병 확진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감염병 확진자의 위치정보와 저장된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감염병 접촉자를 탐지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감염병 접촉자 탐지 방법은, 감염병 확진자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한 감염병 확진자의 위치정보와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감염병 접촉자를 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감염병 확진자의 위치정보는, 설정된 감염병 확진자의 개인정보 보호구역에서는 암호화되어 저장되고, 개인정보 보호구역이 아닌 경우 암호화되지 않고 저장되며, 사용자의 위치정보는, 설정된 사용자의 개인정보 보호구역에서는 암호화되어 저장되고, 개인정보 보호구역이 아닌 경우 암호화되지 않고 저장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감염병 접촉자 탐지 서버는, 감염병 확진자의 위치정보와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통신부; 수집한 감염병 확진자의 위치정보와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감염병 접촉자를 탐지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감염병 확진자의 위치정보는, 설정된 감염병 확진자의 개인정보 보호구역에서는 암호화되어 저장되고, 개인정보 보호구역이 아닌 경우 암호화되지 않고 저장되며, 사용자의 위치정보는, 설정된 사용자의 개인정보 보호구역에서는 암호화되어 저장되고, 개인정보 보호구역이 아닌 경우 암호화되지 않고 저장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자동 측위 기반으로 감염병 접촉자를 탐지함에 있어, 사용자가 보호받고 싶어하는 구역에 대해서는 세부 위치정보를 유출시키지 않을 수 있으므로, 개인정보 유출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염병 접촉자 탐지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 수집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3은 지오펜스 설정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감염병 접촉자 탐지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5는 사용자 단말의 상세 블럭도, 그리고,
도 6은 감염병 관리 서버의 상세 블럭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염병 접촉자 탐지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염병 접촉자 탐지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들(100-1, 100-2, ..., 100-n)이 감염병 접촉자 탐지 서버(200)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구축된다.
사용자 단말(100-1, 100-2, ..., 100-n)에는 감염병 확진자 탐지 앱(110-1, 110-2, ..., 110-n)이 설치될 것이 요구된다. 감염병 확진자 탐지 앱(110-1, 110-2, ..., 110-n)은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감염병 접촉자 탐지 서버(200)로 전송한다.
사용자는, 감염병 확진자일 수도 있고, 감염병 미확진자로써 감염병 접촉자와 감염병 미접촉자 중 어느 하나의 상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탐지하고자 하는 대상은 감염병 접촉자이다.
위치정보 수집을 위해, 감염병 확진자 탐지 앱(110-1, 110-2, ..., 110-n)은 GPS 좌표, BLE 비컨, WiFi 핑거프린트 등을 수신한다. 위치정보는, GPS 좌표, BLE 비컨의 경우 BLE ID와 수신 세기, WiFi 핑거프린트의 경우 AP의 ID와 수신 세기가 될 수 있다.
감염병 접촉자 탐지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들(100-1, 100-2, ..., 100-n)에 의해 수집된 위치정보들을 기반으로 감염병 접촉자를 탐지한다.
사용자 단말들(100-1, 100-2, ..., 100-n)로부터 감염병 접촉자 탐지 서버(200)로 전달되는 위치정보들 중 개인정보 보호가 요구되는 위치정보는 암호화되어 전달된다.
이 과정에 대해, 이하에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자 단말(100-1, 100-2, ..., 100-n)은 사용자 단말(100)으로 통칭하여 표기할 수 있고, 감염병 확진자 탐지 앱(110-1, 110-2, ..., 110-n)은 감염병 확진자 탐지 앱(110)으로 통칭하여 표기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 수집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사용자들의 위치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먼저 감염병 확진자 탐지 앱(110)을 통해 사용자의 개인정보 보호구역을 설정한다(S310). 개인정보 보호구역은 사용자가 자신의 세부 위치정보를 밝히지 않고 싶어하는 구역을 말한다.
개인정보 보호구역 설정은 다음의 두 가지 방법으로 가능한데, 그 밖의 다른 방법을 이용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첫 번째 방법은 지오펜스 기술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지정한 지점의 GPS 좌표를 중심으로 일정 반경 내 구역을 개인정보 보호구역인 지오펜스로 지정하는 방법이다. 여기서, 지정 가능한 지오펜스의 개수와 반경은 감염병 관리 당국에 의해 결정되도록 할 수 있지만, 그 밖의 다른 기준에 의할 수도 있으며, 여기에는 사용자의 설정이 포함될 수도 있다.
두 번째 방법은 사용자가 지정한 구역에서 수집되는 WiFi 핑거프린트와 BLE 비컨을 지정하여 개인정보 보호구역으로 설정하는 방법이다. GPS 좌표 측정이 불가능하거나 부정확한 실내 장소를 개인정보 보호구역으로 설정하는 경우에 적합한 방법이다.
이후, 감염병 확진자 탐지 앱(110)은 위치정보 수집을 시작하는데(S320), 현재 위치가 S310단계에서 설정된 개인정보 보호구역이면(S330-Y), 감염병 확진자 탐지 앱(110)은 사용자의 위치정보로 WiFi 핑거프린트와 BLE 비컨을 수집한다(S340). 즉, 개인정보 보호구역에서 GPS 좌표 수집은 배제된다.
다음, 감염병 확진자 탐지 앱(110)은 수집한 위치정보를 해시 함수 등으로 암호화하고(S350), 암호화된 위치정보를 저장한다(S360). S360단계에서 위치정보 저장은 사용자 단말(100)일 수도 있고 감염병 관리 서버(200)일 수도 있다. 이는 개인정보 보호 정책 상의 문제이다. 전자의 경우 감염병 접촉자 탐지시 감염병 관리 서버(200)가 사용자 단말(100)에 지난 과거의 위치정보들을 요청하여야 한다.
반면, 현재 위치가 S310단계에서 설정된 개인정보 보호구역이 아니면(S330-N), 감염병 확진자 탐지 앱(110)은 사용자의 위치정보로 GPS 좌표, WiFi 핑거프린트와 BLE 비컨을 수집한다(S370). 개인정보 보호구역과 달리 GPS 좌표 수집도 포함된다.
다음, 감염병 확진자 탐지 앱(110)은 수집한 위치정보를 암호화하지 않고 저장한다(S380). S380단계에서 위치정보 저장 역시 사용자 단말(100)일 수도 있고 감염병 관리 서버(200)일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감염병 접촉자 탐지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감염병 확진자가 발생하면(S410-Y), 먼저 감염병 관리 서버(200)는 감염병 확진자의 확진일 14일 전부터 현재까지의 위치정보들을 획득한다(S420).
다음, 감염병 관리 서버(200)는 S420단계에서 획득된 감염병 확진자의 위치정보들 중 암호화되지 않은 위치정보들을 모두 암호화한다(S430). S430단계에서의 암호화 방식은 감염병 확진자의 암호화된 위치정보들을 암호화한 방법과 동일하다.
그리고, 감염병 관리 서버(200)는 감염병 확진자의 확진일 전 14일 동안에 수집된 사용자의 위치정보들을 획득한다(S440).
다음, 감염병 관리 서버(200)는 S440단계에서 획득된 사용자의 위치정보들 중 암호화되지 않은 위치정보들을 모두 암호화한다(S450). S450단계에서의 암호화 방식은 사용자의 암호화된 위치정보들을 암호화한 방법과 동일하다.
이후, 감염병 관리 서버(200)는 동일자의 동시간 대에 수집된 암호화된 감염병 확진자의 위치정보들과 암호화된 사용자의 위치정보들을 비교하여, 사용자가 감염병 접촉자인지 판단한다(S460).
S460단계에서 위치정보의 비교는 다음의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1) 동일자의 동시간대에, 감염병 확진자의 단말(100)에서 전송된 BLE 비컨이 사용자의 단말(100)에 일정 시간 동안 수신된 경우 또는 반대로 사용자의 단말(100)에서 전송된 BLE 비컨이 감염병 확진자의 단말(100)에 일정 시간 동안 수신된 경우, 사용자를 감염병 접촉자로 판단
2) 동일자의 동시간대에, 감염병 확진자의 단말(100)과 사용자의 단말(100)에 동일한 BLE 비컨이 일정 시간 동안 수신된 경우, 사용자를 감염병 접촉자로 판단
3) 동일자의 동시간대에, 감염병 확진자의 단말(100)과 사용자의 단말(100)에 동일한 WiFi 핑거프린트가 일정 시간 동안 수신된 경우, 사용자를 감염병 접촉자로 판단
4) 동일자의 동시간대에, 감염병 확진자의 단말(100)의 GPS 좌표와 사용자의 단말(100)의 GPS 좌표가 일정 시간 동안 동일한 경우, 사용자를 감염병 접촉자로 판단
도 5는 사용자 단말(100)의 상세 블럭도이다. 사용자 단말(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120), 출력부(130), 프로세서(140), 입력부(150) 및 저장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부(120)는 GPS 모듈, BLE 모듈, WiFi 모듈, 이동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 수단이다. 통신부(120)에 의해 GPS 좌표 계산, BLE 비컨 송수신, WiFi 핑거프린트 수신이 수행되고, 감염병 관리 서버(200)로 위치정보가 전송된다.
프로세서(140)는 감염병 확진자 탐지 앱(110)를 실행하여, 전술한 도 2에 도시된 절차들을 수행한다. 이에 의해, 개인정보 보호구역이 설정되고, 위치정보가 수집되어 필요시 암호화되고 저장된다.
출력부(130)는 프로세서(140)에 의한 설정/실행 결과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수단이고, 입력부(150)는 사용자 명령/설정을 입력받아 프로세서(140)로 전달한다. 저장부(160)는 프로세서(140)가 동작하고 기능함에 있어 필요한 저장공간을 제공하며, 위치정보들이 저장된다.
도 6은 감염병 관리 서버(200)의 상세 블럭도이다. 감염병 관리 서버(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210), 프로세서(220) 및 저장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부(210)는 사용자 단말들(100-1, 100-2, ..., 100-n)과 통신하여 위치정보를 수집한다.
프로세서(220)는 전술한 도 4에 도시된 절차들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20)는 감염병 확진자 발생시, 감염병 확진자와 사용자들의 위치정보들을 수집하여, 암호화되지 않은 위치정보들을 암호화 한 후, 서로 비교하여 확진자 접촉자를 탐지한다.
저장부(230)는 프로세서(220)가 동작하고 기능함에 있어 필요한 저장공간을 제공하며, 위치정보들이 저장되는 저장소이다.
지금까지, 개인정보 유출 위험을 최소화하는 위치측위 기반 감염병 접촉자 탐지 방법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자동 위치측위 기반으로 감염병 접촉자를 탐지함에 있어, 사용자가 보호받고 싶어하는 구역에서의 위치정보를 유출시키지 않을 수 있으므로, 개인정보 유출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와 방법의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사상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읽을 수 있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어떤 데이터 저장 장치이더라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디스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 또는 프로그램은 컴퓨터간에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100-1, 100-2, ..., 100-n : 사용자 단말
110, 110-1, 110-2, ..., 110-n : 감염병 확진자 탐지 앱
200 : 감염병 접촉자 탐지 서버

Claims (12)

  1.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의 개인정보 보호구역을 설정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이, 설정된 개인정보 보호구역인 경우,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암호화하여 저장하는 제1 저장단계;
    사용자 단말이, 설정된 개인정보 보호구역이 아닌 경우,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암호화하지 않고 저장하는 제2 저장단계;
    감염병 접촉자 탐지 서버가, 감염병 확진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감염병 접촉자 탐지 서버가, 획득한 감염병 확진자의 위치정보와 저장된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감염병 접촉자를 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병 접촉자 탐지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설정 단계는,
    사용자가 지정한 지점의 GPS 좌표를 중심으로 일정 반경 내 구역을 개인정보 보호구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병 접촉자 탐지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설정 가능한 개인정보 보호구역의 개수와 반경은,
    감염병 관리 당국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병 접촉자 탐지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설정 단계는,
    사용자가 지정한 구역에서 수집되는 WiFi 핑거프린트 및 BLE 비컨 중 적어도 하나를 지정하여 개인정보 보호구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병 접촉자 탐지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저장단계는,
    사용자의 위치정보로 BLE 비컨, WiFi 핑거프린트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병 접촉자 탐지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제2 저장단계는,
    사용자의 위치정보로 GPS 정보, BLE 비컨, WiFi 핑거프린트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병 접촉자 탐지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탐지 단계는,
    감염병 접촉자 탐지 서버가, 획득된 감염병 확진자의 위치정보들 중 암호화되지 않은 위치정보들을 암호화는 단계;
    감염병 접촉자 탐지 서버가, 저장된 사용자의 위치정보들 중 암호화되지 않은 위치정보들을 암호화는 단계; 및
    감염병 접촉자 탐지 서버가, 암호화된 감염병 확진자의 위치정보들과 암호화된 사용자의 위치정보들을 비교하여, 사용자가 감염병 접촉자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병 접촉자 탐지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판단 단계는,
    동일자의 동시간대에, 감염병 확진자의 위치정보와 사용자의 위치정보가 일정 시간 동안 동일한 경우, 사용자를 감염병 접촉자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병 접촉자 탐지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판단 단계는,
    동일자의 동시간대에, 감염병 확진자의 단말에서 전송된 신호가 사용자의 단말에 일정 시간 동안 수신된 경우 또는 사용자의 단말에서 신호가 감염병 확진자의 단말에 일정 시간 동안 수신된 경우에 사용자를 감염병 접촉자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병 접촉자 탐지 방법.
  10. 사용자의 개인정보 보호구역을 설정하고, 설정된 개인정보 보호구역인 경우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암호화하여 저장하고, 설정된 개인정보 보호구역이 아닌 경우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암호화하지 않고 저장하는 사용자 단말;
    감염병 확진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감염병 확진자의 위치정보와 저장된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감염병 접촉자를 탐지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병 접촉자 탐지 시스템.
  11. 감염병 접촉자 탐지 서버가, 감염병 확진자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감염병 접촉자 탐지 서버가,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감염병 접촉자 탐지 서버가, 수집한 감염병 확진자의 위치정보와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감염병 접촉자를 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감염병 확진자의 위치정보는,
    설정된 감염병 확진자의 개인정보 보호구역에서는 암호화되어 저장되고, 개인정보 보호구역이 아닌 경우 암호화되지 않고 저장되며,
    사용자의 위치정보는,
    설정된 사용자의 개인정보 보호구역에서는 암호화되어 저장되고, 개인정보 보호구역이 아닌 경우 암호화되지 않고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병 접촉자 탐지 방법.
  12. 감염병 확진자의 위치정보와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통신부;
    수집한 감염병 확진자의 위치정보와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감염병 접촉자를 탐지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감염병 확진자의 위치정보는,
    설정된 감염병 확진자의 개인정보 보호구역에서는 암호화되어 저장되고, 개인정보 보호구역이 아닌 경우 암호화되지 않고 저장되며,
    사용자의 위치정보는,
    설정된 사용자의 개인정보 보호구역에서는 암호화되어 저장되고, 개인정보 보호구역이 아닌 경우 암호화되지 않고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병 접촉자 탐지 서버.
KR1020210136392A 2021-10-14 2021-10-14 개인정보 유출 위험을 최소화하는 측위 기반 감염병 접촉자 탐지 방법 KR102565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6392A KR102565247B1 (ko) 2021-10-14 2021-10-14 개인정보 유출 위험을 최소화하는 측위 기반 감염병 접촉자 탐지 방법
PCT/KR2021/014189 WO2023063445A1 (ko) 2021-10-14 2021-10-14 개인정보 유출 위험을 최소화하는 측위 기반 감염병 접촉자 탐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6392A KR102565247B1 (ko) 2021-10-14 2021-10-14 개인정보 유출 위험을 최소화하는 측위 기반 감염병 접촉자 탐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3169A KR20230053169A (ko) 2023-04-21
KR102565247B1 true KR102565247B1 (ko) 2023-08-09

Family

ID=85987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6392A KR102565247B1 (ko) 2021-10-14 2021-10-14 개인정보 유출 위험을 최소화하는 측위 기반 감염병 접촉자 탐지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65247B1 (ko)
WO (1) WO202306344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9400B1 (ko) 2020-12-03 2021-10-06 김장욱 감염자 접촉 자가분석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3633A (ja) * 2001-10-31 2003-05-16 Nec Corp 位置情報処理端末及び位置情報提供システム並びに位置情報処理方法
KR101016009B1 (ko) 2008-11-14 2011-02-23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위치 정보를 이용한 데이터의 암호화 방법 및 복호화 방법
KR101542575B1 (ko) 2013-12-10 2015-08-06 (주)멀린 위치 확인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N107533711A (zh) * 2015-01-05 2018-01-02 佩克波奇有限公司 控制与移动目标相关联的媒体共享和聚集的漫游地理围栏的使用
KR102299743B1 (ko) * 2021-04-07 2021-09-08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블록체인 기반 사용자 맞춤형 감염병 알림 시스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9400B1 (ko) 2020-12-03 2021-10-06 김장욱 감염자 접촉 자가분석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3169A (ko) 2023-04-21
WO2023063445A1 (ko) 2023-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tuwaiyan et al. EPIC: efficient privacy-preserving contact tracing for infection detection
KR101666187B1 (ko) 간호 정보 보호를 위한 간호 제공자 단말,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US1046083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health research using a personal wearable device with research mode
US8645538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outbreak of contagious diseases
US10955522B2 (en) Bluetooth crowd-sourced triangulation
US9801062B2 (en) Bluetooth transmission security pattern
US9717065B2 (en) Indoor remote triggered location scanning
US9876785B2 (en) System and method for safe login, and apparatus therefor
US20160050219A1 (en) Bluetooth beacon protocol
US11109340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position
US10470026B2 (en)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data transfer device, and data transfer method
JP4962237B2 (ja) 携帯装置の位置に関する情報とファイル用暗号鍵とを管理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および方法
KR102565247B1 (ko) 개인정보 유출 위험을 최소화하는 측위 기반 감염병 접촉자 탐지 방법
CN112382400B (zh) 一种疫情防控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EP3809386B1 (en) Guardian service provision system, program, and guardian service provision method
KR20190064972A (ko) 트래커 장치를 탐지하는 사용자 단말 및 방법
KR20130017912A (ko)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WO2021196172A1 (en) A method for notifying a first mobile terminal of an event related to a second mobile terminal
WO2018145466A1 (zh) 一种移动终端智能连接上网设备的方法及装置
JP2015184745A (ja) 携帯型端末、電子情報管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電子情報管理システム
JP6095713B2 (ja) 位置デバイスを搭載する携帯端末装置の動作を制御する方法、携帯端末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7164237B2 (ja) 電子機器、情報収集システム、情報収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665476B1 (ko) 비상 대피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30001937A (ko) 분실 단말기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WO2020133026A1 (zh) 生物特征信息动态匹配方法、装置及生物特征识别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