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4435B1 - 노안용 콘택트 렌즈 모듈 - Google Patents

노안용 콘택트 렌즈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4435B1
KR102564435B1 KR1020180089106A KR20180089106A KR102564435B1 KR 102564435 B1 KR102564435 B1 KR 102564435B1 KR 1020180089106 A KR1020180089106 A KR 1020180089106A KR 20180089106 A KR20180089106 A KR 20180089106A KR 102564435 B1 KR102564435 B1 KR 102564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metal layer
contact lens
wiring electrode
protect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9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3899A (ko
Inventor
허성호
김창제
임성환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9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4435B1/ko
Publication of KR20200013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3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4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4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 렌즈 모듈은, 일단 및 타단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배선 전극; 상기 배선 전극 상에 배치되는 보호층; 및 상기 배선 전극과 연결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의 유리전이온도는 110℃ 이하이다.

Description

노안용 콘택트 렌즈 모듈{CONTACT LENSES MODULE FOR PRESBYOPIA}
실시예는 노안용 콘택트 렌즈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눈은 카메라의 구조와 대략 유사하게 이루어져 있는데, 예컨대, 눈의 제일 앞부분에 위치하는 각막과 공막의 안쪽에는 빛의 양을 조절하도록 조리개 기능을 하는 홍채, 빛을 굴절시켜 망막에 상이 맺히도록 렌즈 기능을 하는 수정체, 각막과 수정체를 통해 들어온 빛이 상을 맺도록 필름 기능을 하는 망막, 수정체의 두께를 변화시켜 대상물의 상이 망막에 정확하게 맺히도록 거리 조절개 기능을 하는 모양체 등이 있다.
카메라의 경우 유리렌즈를 전후방으로 이동하면서 렌즈와 필름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대상물의 상을 정확하게 맺히도록 할 수 있는 것과는 달리, 사람의 눈에서 이와 유사한 기능을 하는 수정체는 모양체에 의해 제자리에 고정된 상태에서 두께를 변화시켜 망막에 상이 뚜렷하게 맺히도록 되어 있다.
즉, 수정체는 탄력 있고 볼록한 렌즈형상으로 이루어져 동공을 통해 들어오는 빛이 절되는 정도를 조절하는데, 글자나 사물 등의 대상물이 근거리에 있을 때에는 모양체가 수축되어 수정체가 두꺼워지면서 빛의 굴절이 커지고, 대상물이 원거리에 있을 때에는 모양체의 근육이 이완되어 수정체의 두께가 얇아지면서 빛의 굴절이 작아지는 등 대상물에 대한 거리가 달라질 때마다 수정체는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면서 초점을 맞추어 대상물을 뚜렷하게 볼 수 있게 된다.
눈이 건강하여 수정체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에는 근거리나 원거리에 있는 대상물을 볼 때 초점이 잘 맞도록 자동으로 조절되는 반면, 나이가 들어갈수록 수정체의 노화로 인해 탄력이 떨어지면서 수정체의 두께 조절력이 저하되고, 이에 따라 근거리에 있는 대상물을 볼 때 초점이 잘 맞지 않아 흐릿하고 잘 보이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전기 자극을 통해 수정체의 근육 이완을 보조하여, 노안에 따른 수정체의 두께 조절력을 보완해주는 콘택트 렌즈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콘택트 렌즈에는 전기 인가를 위해 전극이 배치되고, 콘택트 렌즈의 형상을 위해 열 성형을 통해 최종적으로 원형의 렌즈를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열 성형시 고온에 의해 전극 등에 변성이 발생하여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콘택트 렌즈 모듈이 요구된다.
실시에는 신뢰성이 향상된 콘택트 렌즈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 렌즈 모듈은, 일단 및 타단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배선 전극; 상기 배선 전극 상에 배치되는 보호층; 및 상기 배선 전극과 연결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의 유리전이온도는 110℃ 이하이다.
실시예에 따른 컨택트 렌즈 모듈은, 컨택트 렌즈 모듈을 성형시에 다시 원상복귀 되는 스프링백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컨택트 렌즈 모듈은, 컨택트 렌즈 모듈을 저온의 온도에서 성형할 수 있다. 즉. 열 성형 온도보다 낮은 유리전이온도를 가지는 보호층을 배치하고, 컨택트 렌즈 모듈을 성형함에 따라, 고온 성형시 전극, 칩 및 배터리 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컨택트 렌즈 모듈은 제조 공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 렌즈 모듈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 렌즈 모듈의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10은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콘택트 렌즈 모듈의 성형 사진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개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이상을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 렌즈 모듈을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 렌즈 모듈은 기판(100), 배선 전극(200), 보호층(3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은 플렉서블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은 수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은 흡수율(water absorption)이 낮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기판(100) 물을 흡수하는 능력이 작은 수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기판(100)은 약 0.04% 이하의 흡수율을 가질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기판(100)은 약 0.01% 내지 약 0.04%의 흡수율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기판(100) 흡수율은 약 100℃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여 수분을 증발시킨 후, 가열 전 무게대비 줄어든 무게를 퍼센티지로(%) 계산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의 흡수율이 0.04%를 초과하는 경우, 콘택트 렌즈가 안구의 수분을 흡수함에 따라, 기판의 형상이 변형되어, 기판 상의 전극이 탈막될 수 있고, 전극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여 전극이 산화되는 등 변성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100)의 흡수율이 0.01% 미만인 기재는 공정상 제조가 어려울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기판(100)은 폴리에텔에텔케톤(Polyetheretherketone, PEEK) 수지 또는 액정고분자(liquid crystal polymer, LCP)수지를 포함할 있다.
또는, 상기 기판(100)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100)상에는 전극이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기판(100) 상에는 배선 전극(20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선 전극(200)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선 전극(200)은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선 전극(200)은 제 1 금속층(210) 및 제 2 금속층(220)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배선 전극(200)은 상기 기판(100) 상에 배치되는 제 1 금속층 및 상기 제 1 금속층 상에 배치되는 제 2 금속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금속층(210) 및 상기 제 2 금속층(220)은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잇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금속층(210) 및 상기 제 2 금속층(220)은 상기 기판(100)과 서로 다른 밀착력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금속층(210)은 티타늄(Ti)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금속층(220)은 금(Au)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금, 은, 백금 등의 귀금속 종류의 금속은 흡습율이 낮은 기재와 밀착성이 작은 특성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 금속층(220)과 상기 기판사이에 상기 제 2 금속층(220)과 상기 제 기판(100)의 버퍼 역할을 하는 상기 제 1 금속층(210)을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제 2 금속층(220)은 서로 동일 물질을 포함하는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금속층은 박막의 제 2 금속층을 먼저 상기 제 1 금속층(210) 상에 형성한 후, 동일 물질의 제 2 금속층을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제 1 금속층(210)은 박막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금속층(210)의 두께는 약 30㎚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금속층(220)은 약 100㎚ 이하 이하의 박막층 상에 약 3㎛ 이하의 제 2 금속층이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1 금속층(210)은 티타늄(Ti)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금속층(220)은 구리(Cu)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금속층(220)은 서로 다른 물질 및 다른 물질로 형성되는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금속층은 박막의 제 2 금속층을 먼저 상기 제 1 금속층(210) 상에 형성한 후, 동일 물질 및 다른 물질의 제 2 금속층을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티타늄(Ti)을 포함하는 상기 제 1 금속층(210)이 형성되고, 구리 박막 및 구리층이 배치된 후, 니켈, 납 및 금이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티타늄(Ti)을 포함하는 상기 제 1 금속층(210)의 두께는 약 30㎚ 이하이고, 상기 구리 박막층의 두께는 약 100㎚ 이하이고, 상기 구리층의 두께는 약 8㎛ 이하이고, 상기 니켈층의 두께는 약 2㎛ 이하이고, 상기 납층의 두께는 약 0.1㎛ 이하이고, 상기 금층의 두께는 약 0.1㎛ 이하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1 금속층(210)과 상기 제 2 금속층(220)은 상기 기판(100)과 유사한 밀착력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금속층(210)은 알루미늄(Al)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2 금속층(220)은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하는 다층의 금속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금속층(220)은 니켈, 납 및 금이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금속층(210)과 상기 기판(100)의 밀착력을 위해, 상기 제 1 금속층과 상기 기판(100) 사이에는 광학용 투명 접착제(OCA) 등의 투명 접착층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알루미늄(Al)을 포함하는 상기 제 1 금속층(210)의 두께는 약 7㎛ 이하이고, 상기 니켈층의 두께는 약 2㎛ 이하이고, 상기 납층의 두께는 약 0.1㎛ 이하이고, 상기 금층의 두께는 약 0.1㎛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배선 전극의 층 구조는 배선 전극의 전도성 및 신뢰성을 고려하여, 상기와 같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배선 전극(200) 상에는 보호층(30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호층(300)은 상기 배선 전극(200)을 감싸면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호층(300)은 상기 배선 전극(200) 상에 배치되어, 외부의 수분 침투 및 충격으로부터 상기 배선 전극(200)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300)은 커버레이층(Coverlay layer)일 수 있다.
상기 보호층(300)은 일정한 유리전이온도를 가질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보호층(300)은 약 110℃ 이하의 유리전이온도를 가질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보호층(300)은 약 90℃ 내지 약 110℃의 유리전이온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보호층(300)의 유리전이온도가 약 110℃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콘택트 렌즈 모듈을 성형할 때 저온 열성형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층(300)의 유리전이온도가 약 90℃ 미만인 경우, 상기 콘택트 렌즈 모듈을 성형할 때 상기 보호층(300)에 의해 원복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보호층(300)의 두께와 상기 기판(100)의 두께는 다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보호층(300)의 두께는 상기 기판(100)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보호층(300)의 두께는 약 12㎛ 이하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보호층(300)의 두께는 약 8㎛ 내지 약 12㎛일 수 있다.
상기 보호층(300)의 두께가 약 12㎛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콘택트 렌즈의 전체적인 두께가 두꺼워지고, 열 성형시 두께에 의해 기존 모양으로 돌아오려는 스프링백(spring back)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층(300)의 두께가 약 8㎛을 미만인 경우, 상기 보호층의 두께가 감소되어, 탈막 현상이 발생되어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보호층(300)은 감광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보호층(300)은 상기 유리전인온도 즉, 약 90℃ 내지 약 110℃의 유리전이온도를 가지는 감광성 필름(Photosensitive film)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300) 상에는 구동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보호층(300) 상에는 수정체를 이완 및 수축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칩 및 커패시터(500) 와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6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칩 및 커패시터(500) 및 상기 배터리(600)는 상기 배선 전극(300)과 연결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칩 및 커패시터(500) 및 상기 배터리(600)가 배치되는 영역에는 상기 보호층(300)이 배치되지 않고, 상기 배선 전극(300)이 노출되고, 상기 칩 및 커패시터(500) 및 상기 배터리(600)는 상기 배선 전극(300)과 이방성 전도성 물질(400)을 통해 접착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 렌즈 모듈은 상기 칩 및 커패시터(500) 및 배터리(600)에 의해, 안구 근육 즉, 수정체의 근육을 측정하여 근거리 및 원거리에 따라 적합한 근육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근거리 및 원거리에 따라 사물의 상이 정확하게 맺히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컨택트 렌즈 모듈은 휘어질 수 있다. 자세하게,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컨택트 렌즈 모듈은 안구 모양으로 휘어질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배선 전극(200), 보호층(300) 및 구동 부재가 내측에 배치되도록 휘어질 수 있다.
상기 컨택트 렌즈 모듈은 상기 컨택트 렌즈 모듈에 열을 인가한 후, 성형을 통해 상기 기재(100)의 일단 및 타단을 일정한 곡률을 가지도록 일 방향으로 구부릴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컨택트 렌즈 모듈은, 컨택트 렌즈 모듈을 성형시에 다시 원상복귀 되는 스프링백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컨택트 렌즈 모듈은, 컨택트 렌즈 모듈을 저온의 온도에서 성형할 수 있다. 즉. 열 성형 온도보다 낮은 유리전이온도를 가지는 보호층을 배치하고, 컨택트 렌즈 모듈을 성형함에 따라, 고온 성형시 전극, 칩 및 배터리 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컨택트 렌즈 모듈은 제조 공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 따른 콘택트 렌즈 모듈을 통하여 본 발명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로 제시한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기재 상에 배선 전극을 배치하고, 배선 전극 사에 감광성 필름을 배치한 후, 열을 인가하여, 기재의 일단 및 타단을 일 방향으로 구부렸다.
이때, 상기 기재의 두께는 25㎛이고, 상기 감광성 필름의 두께는 8㎛였고, 열 성형 온도는 90℃에서 진행되었다.
이어서, 기재가 원래 형상으로 돌아오는지를 관찰하였다.
실시예 2
액정고분자필름(LCP)를 기재로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기재의 일단 및 타단을 일 방향으로 구부린 후, 기재가 원래 형상으로 돌아오는지를 관찰하였다.
실시예 3
16㎛ 두께의 PPS를 기재로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기재의 일단 및 타단을 일 방향으로 구부린 후, 기재가 원래 형상으로 돌아오는지를 관찰하였다.
실시예 4
12㎛ 두께의 PEEK를 기재로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기재의 일단 및 타단을 일 방향으로 구부린 후, 기재가 원래 형상으로 돌아오는지를 관찰하였다.
비교예 1
기재 상에 감광성 물질을 배치하지 않았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기재의 일단 및 타단을 일 방향으로 구부린 후, 기재가 원래 형상으로 돌아오는지를 관찰하였다.
비교예 2
기재 상에 감광성 물질을 배치하지 않았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기재의 일단 및 타단을 일 방향으로 구부린 후, 기재가 원래 형상으로 돌아오는지를 관찰하였다.
비교예 3
기재 상에 감광성 물질을 배치하지 않았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기재의 일단 및 타단을 일 방향으로 구부린 후, 기재가 원래 형상으로 돌아오는지를 관찰하였다.
비교예 4
기재 상에 감광성 물질을 배치하지 않았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기재의 일단 및 타단을 일 방향으로 구부린 후, 기재가 원래 형상으로 돌아오는지를 관찰하였다.
도 4는 비교예 1에 따른 기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비교예 2에 따른 기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비교예 3에 따른 기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비교예 4에 따른 기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8은 실시예 1에 따른 기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실시예 2에 따른 기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실시예 3에 따른 기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실시예 4에 따른 기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기재들은 비교예에 따른 기재들에 비해 스프링백 현상이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성형 후, 기재들의 형상이 일부 원복되는 형상이 발생하지만,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성형 후 기재들의 형상이 변화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실시예들에 따른 콘택트 렌즈 모듈은 성형 후 스프링백 현상을 감소할 수 있고, 저온에서 성형이 진행되므로, 전극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일단 및 상기 일단과 반대되는 타단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배선 전극;
    상기 배선 전극 상에 배치되는 보호층; 및
    상기 배선 전극과 연결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선전극은 상기 기판 상의 제 1 금속층; 및 상기 제 1 금속층 상의 제 2 금속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금속층과 상기 기판의 밀착력은 상기 제 2 금속층과 상기 기판의 밀착력보다 크고,
    상기 보호층의 유리전이온도는 90℃ 내지 110℃ 이고,
    상기 기판의 흡수율은 0.01% 내지 0.04%이고,
    상기 보호층의 두께는 8㎛ 내지 12㎛인 콘택트 렌즈 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일단 및 타단은 상기 배선전극, 상기 보호층 및 상기 구동부가 내측에 배치되도록 일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콘택트 렌즈 모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폴리에텔에텔케톤(Polyetheretherketone, PEEK) 수지, 액정고분자(liquid crystal polymer, LCP)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를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모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 전극은 티타늄, 금, 구리, 니켈, 납, 알루미늄 중 적어도 하나의 금속을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모듈.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80089106A 2018-07-31 2018-07-31 노안용 콘택트 렌즈 모듈 KR102564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106A KR102564435B1 (ko) 2018-07-31 2018-07-31 노안용 콘택트 렌즈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106A KR102564435B1 (ko) 2018-07-31 2018-07-31 노안용 콘택트 렌즈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3899A KR20200013899A (ko) 2020-02-10
KR102564435B1 true KR102564435B1 (ko) 2023-08-08

Family

ID=69627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9106A KR102564435B1 (ko) 2018-07-31 2018-07-31 노안용 콘택트 렌즈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44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9939A (ko) 2020-02-05 2021-08-1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리튬 플레이팅 검출 방법, 이를 이용한 배터리 관리 방법 및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5833B1 (ko) 2005-06-27 2006-11-14 엘지엠엠에이 주식회사 광학용 투명내열성수지
JP2015513691A (ja) 2012-02-07 2015-05-14 三井化学株式会社 電気駆動レンズのための導電性膜のレーザーパターニング
JP2017520783A (ja) * 2014-06-13 2017-07-27 ヴェリリー ライフ サイエンシズ エルエルシー 自動遠近調節を行うための眼球装着可能デバイ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94201B2 (en) * 2013-03-15 2014-11-25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Methods and ophthalmic devices with thin film transistors
KR101681390B1 (ko) * 2014-12-19 2016-12-12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센서모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5833B1 (ko) 2005-06-27 2006-11-14 엘지엠엠에이 주식회사 광학용 투명내열성수지
JP2015513691A (ja) 2012-02-07 2015-05-14 三井化学株式会社 電気駆動レンズのための導電性膜のレーザーパターニング
JP2017520783A (ja) * 2014-06-13 2017-07-27 ヴェリリー ライフ サイエンシズ エルエルシー 自動遠近調節を行うための眼球装着可能デバイ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3899A (ko) 2020-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59649B2 (en) Electronic frames comprising electrical conductors
JP6356831B2 (ja) コンタクトレンズ内で使用するための可撓性のある導体
EP2600702B1 (en) Electrical interconnects in an electronic contact lens
CN102884454B (zh) 弓形液体弯月形透镜
CN103443665B (zh) 具有多凹面弯月壁的透镜
CN114730098A (zh) 用于被设计来抑制近视发展的电子软隐形眼镜片的组装工艺
CN109863015B (zh) 用于形成电活性透镜的制造方法及其电活性透镜
BR102014006368A2 (pt) Métodos e dispositivos oftálmicos com transistores de filme fino
CN101458346B (zh) 液体镜片
BR102014006381A2 (pt) Dispositivos oftálmicos com transistores semicondutores orgânicos
CN108064350A (zh) 光学镜头、摄像头模组及终端
EP3198638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haping and looping bonding wires that serve as stretchable and bendable interconnects
CN103140780B (zh) 具有非球形弯月壁的液体弯月形透镜
JP2008058841A (ja) 可変形状液体型の可変焦点レンズ
KR102564435B1 (ko) 노안용 콘택트 렌즈 모듈
CN114070966B (zh) 摄像模组以及终端设备
CA2821742A1 (en) Thinned and flexible semiconductor elements on three dimensional surfaces
CN103124913B (zh) 具有多区段线性弯月壁的透镜
CN103003723B (zh) 具有锥形截头弯月壁的透镜
US20220171218A1 (en) Piezoelectric device powering smart contact lens with eyelid movement
US11703697B2 (en) Fluid-containing contact lens with soft posterior element
KR101686442B1 (ko) 폴리머 기반 가변 렌즈 및 렌즈 초점거리 조절 방법
CN103069313B (zh) 负焦度增加的液体弯月形透镜
CN103154779B (zh) 包括具有微通道的弯月壁的液体弯月形透镜
CN103124920A (zh) 包括梯度厚度电介质涂层的液体弯月形透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