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3966B1 - 발광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발광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3966B1
KR102563966B1 KR1020180084329A KR20180084329A KR102563966B1 KR 102563966 B1 KR102563966 B1 KR 102563966B1 KR 1020180084329 A KR1020180084329 A KR 1020180084329A KR 20180084329 A KR20180084329 A KR 20180084329A KR 102563966 B1 KR102563966 B1 KR 102563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mmy
dummy pixel
pixel
color filter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4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9671A (ko
Inventor
우인철
원성연
강병구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4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3966B1/ko
Publication of KR20200009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9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3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3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7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 H01L25/075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the devices being arranged next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8Optical field-shaping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화소 내 구동 트랜지스터의 특성 값 및/또는 발광 소자의 특성 변화를 정확한 센싱하여 보상할 수 있는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는 활성 영역과 활성 영역을 둘러싸는 비활성 영역을 갖는 기판, 활성 영역에 배치되며 구동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화소 회로 및 구동 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광 소자를 갖는 복수의 표시 화소, 및 비활성 영역에 배치되며 더미 구동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더미 화소 회로 및 더미 구동 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전기적으로 분리된 더미 발광 소자를 갖는 복수의 더미 화소를 포함하며, 복수의 더미 화소는 제 1 더미 화소 그룹 및 제 2 더미 화소 그룹으로 그룹화되며, 제 1 더미 화소 그룹과 제 2 더미 화소 그룹 중 제 1 더미 화소 그룹의 더미 화소는 더미 발광 소자와 중첩되는 컬러필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광 표시 장치{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본 출원은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광 표시 장치는 고속의 응답 속도를 가지며, 소비 전력이 낮고, 액정 표시 장치와 달리 별도의 광원이 필요하지 않는 자체 발광이므로 시야각에 문제가 없어 차세대 평판 표시 장치로 주목 받고 있다.
발광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복수의 화소 각각은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 사이에 개재된 발광층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 및 발광 소자를 구동하는 화소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화소 회로는 주로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와 구동 트랜지스터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표시 장치는 공정 편차(문턱 전압 및 이동도 등)와 구동 시간의 증가에 따른 열화 등의 이유로 화소들 간에 구동 트랜지스터의 특성 편차로 인하여 동일한 데이터 신호에 대해 화소들 간에 휘도 편차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화소의 발광 소자는 구동 시간의 증가에 따라 열화가 가속화되며, 화소별 발광 소자의 열화 편차(또는 특성 편차)로 인하여 동일한 데이터 신호에 대해 화소들 간에 휘도 편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구동 트랜지스터 간의 특성 편차와 발광 소자 간의 특성 편차로 인한 화소 간의 특성 편차는 화소 간의 휘도 편차를 유발시킴으로써 화면 잔상 등의 화면 이상 현상 또는 화질 저하를 유발시키거나 휘도 불균일을 발생시킨다.
최근에는 화소 간의 특성 편차를 보상할 수 있는 외부 보상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외부 보상 방법은 발광 표시 장치의 센싱 구동을 통해 각 화소의 구동 트랜지스터 및/또는 발광 소자의 특성 값을 센싱한 다음, 발광 표시 장치의 표시 구동시 센싱 구동에 의해 센싱된 특성 값을 기반으로 각 화소에 인가될 데이터를 보상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발광 표시 장치의 센싱 구동시 각 화소의 센싱 값은 센싱 시점의 온도와 구동에 의한 경시 변화가 혼재되어 있기 때문에 각 화소 내 구동 트랜지스터의 특성 값 및/또는 발광 소자의 특성 값을 정확히 센싱하여 정확히 보상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출원은 화소 내 구동 트랜지스터의 특성 값 및/또는 발광 소자의 특성 변화를 정확한 센싱하여 보상할 수 있는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는 활성 영역과 활성 영역을 둘러싸는 비활성 영역을 갖는 기판, 활성 영역에 배치되며 구동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화소 회로 및 구동 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광 소자를 갖는 복수의 표시 화소, 및 비활성 영역에 배치되며 더미 구동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더미 화소 회로 및 더미 구동 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전기적으로 분리된 더미 발광 소자를 갖는 복수의 더미 화소를 포함하며, 복수의 더미 화소는 제 1 더미 화소 그룹 및 제 2 더미 화소 그룹으로 그룹화되며, 제 1 더미 화소 그룹과 제 2 더미 화소 그룹 중 제 1 더미 화소 그룹의 더미 화소는 더미 발광 소자와 중첩되는 컬러필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은 화소 내 구동 트랜지스터의 특성 값 및/또는 발광 소자의 특성 변화를 정확한 센싱하여 보상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본 출원의 효과 외에도, 본 출원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화소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더미 화소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제 1 내지 제 3 표시 화소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제 4 표시 화소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일 예에 따른 더미 화소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는 도 6에 도시된 제 1 더미 화소 그룹에 포함된 다른 예에 따른 더미 화소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b는 도 6에 도시된 제 2 더미 화소 그룹에 포함된 다른 예에 따른 더미 화소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다른 예에 따른 더미 화소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제 1 더미 화소 그룹의 더미 화소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더미 화소의 배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더미 화소의 배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에서, 표시 패널의 구동시 표시 패널의 온도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더미 화소의 배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더미 화소의 배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a는 비교 예에 있어서, 표시 화소 내 구동 트랜지스터의 이동도에 대한 온도별 경시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6b는 본 출원 일 예에 있어서, 표시 화소 내 구동 트랜지스터의 이동도에 대한 온도별 경시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본 출원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일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출원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일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출원의 일 예들은 본 출원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출원의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출원의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출원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출원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출원의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출원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구성요소는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 1 항목, 제 2 항목 또는 제 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여러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출원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의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화소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더미 화소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 및 패널 구동 회로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10)은 활성 영역(AA), 비활성 영역(IA), 복수의 표시 화소(P), 및 복수의 더미 화소(DP)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성 영역(AA)은 기판의 중간 영역에 마련되는 것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활성 영역(AA)은 복수의 데이터 라인(DL), 복수의 게이트 라인(GL), 복수의 센싱 라인(SL), 및 복수의 화소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데이터 라인(DL) 각각은 제 1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고,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다.
상기 복수의 게이트 라인(GL) 각각은 제 2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고, 제 1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다.
상기 복수의 센싱 라인(SL) 각각은 제 1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고, 제 2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다.
상기 복수의 화소 영역 각각은 제 1 방향을 따라 인접한 2개의 게이트 라인과 제 2 방향을 따라 인접한 데이터 라인(DL)과 센싱 라인(SL)의 교차에 의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비활성 영역(IA)은 활성 영역(AA)을 둘러싸도록 기판의 가장자리 영역에 마련되는 것으로, 영상이 표시되는 않는 비표시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비활성 영역(IA)은 기판의 제 1 가장자리에 정의된 제 1 비활성 영역(IA1), 제 1 비활성 영역(IA1)과 나란한 기판의 제 2 가장자리에 정의된 제 2 비활성 영역(IA2), 기판의 제 3 가장자리에 정의된 제 3 비활성 영역(IA3), 및 제 3 비활성 영역과 나란한 기판의 제 4 가장자리에 정의된 제 4 비활성 영역(IA4)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비활성 영역(IA1)은 표시 패널(10)의 상측(또는 하측) 가장자리 영역, 제 2 비활성 영역(IA2)은 표시 패널(10)의 하측(또는 상측) 가장자리 영역, 제 3 비활성 영역(IA3)은 표시 패널(10)의 좌측(또는 우측) 가장자리 영역, 그리고 제 4 비활성 영역(IA4)은 표시 패널(10)의 우측(또는 좌측) 가장자리 영역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복수의 표시 화소(P) 각각은 활성 영역(AA)에 정의된 화소 영역마다 마련된다. 복수의 표시 화소(P) 각각은 인접한 게이트 라인(GL)으로부터 공급되는 게이트 신호에 응답하여 인접한 데이터 라인(DL)으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전압과 인접한 센싱 라인(SL)으로부터 공급되는 레퍼런스 전압의 차 전압에 대응되는 데이터 전류에 따라 발광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일 예에 따른 복수의 표시 화소(P) 각각은 적색 화소, 녹색 화소, 청색 화소 및 백색 화소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 라인(GL)(또는 데이터 라인(DL)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제 1 내지 제 4 표시 화소는 하나의 영상을 표시하는 단위 화소를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표시 화소는 적색 화소, 제 2 표시 화소는 녹색 화소, 제 3 표시 화소는 청색 화소, 그리고 제 4 표시 화소는 백색 화소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에 따른 복수의 표시 화소(P) 각각은 발광 소자(ED) 및 화소 회로(P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ED)는 화소 회로(PC)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전류에 의해 발광하여 데이터 전류에 대응되는 휘도의 광을 방출한다. 일 예에 따른 발광 소자(ED)는 화소 회로(PC)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1 전극(또는 애노드 전극), 제 1 전극 상에 형성된 발광층, 및 발광층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2 전극(또는 캐소드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층은 유기 발광층, 무기 발광층, 및 양자점 발광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거나, 유기 발광층(또는 무기 발광층)과 양자점 발광층의 적층 또는 혼합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발광 소자(ED)는 발광층의 발광 효율 및/또는 수명 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능층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화소 회로(PC)는 인접한 게이트 라인(GL)으로부터 공급되는 게이트 신호에 응답하여 인접한 데이터 라인(DL)으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전압과 인접한 센싱 라인(SL)으로부터 공급되는 레퍼런스 전압의 차 전압에 대응되는 데이터 전류를 발광 소자(ED)에 제공한다. 일 예에 따른 화소 회로(PC)는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Tsw1),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Tsw2), 구동 트랜지스터(Tdr),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화소 회로(PC)의 트랜지스터(Tsw1, Tsw2, Tdr)는 박막 트랜지스터(TFT)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트랜지스터(Tsw1, Tsw2, Tdr) 중 적어도 하나는 a-Si TFT, poly-Si TFT, Oxide TFT, 또는 Organic TFT일 수 있다.
상기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Tsw1)는 제 1 게이트 라인(GLa)에 접속된 게이트 전극, 인접한 데이터 라인(DL)에 접속된 제 1 전극, 및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게이트 전극인 제 1 노드(n1)에 접속된 제 2 전극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Tsw1)는 제 1 게이트 라인(GLa)에 공급되는 제 1 게이트 신호에 따라 인접한 데이터 라인(DL)으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전압을 제 1 노드(n1), 즉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게이트 전극에 공급한다.
상기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Tsw2)는 제 2 게이트 라인(GLb)에 접속된 게이트 전극,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소스 전극인 제 2 노드(n2)에 접속된 제 1 전극, 및 인접한 센싱 라인(SL)에 접속된 제 2 전극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Tsw2)는 제 2 게이트 라인(GLb)에 공급되는 제 2 게이트 신호에 따라 인접한 센싱 라인(SL)에 공급되는 레퍼런스 전압을 제 2 노드(n2), 즉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소스 전극에 공급한다.
상기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게이트 전극과 소스 전극 사이에 형성된다. 일 예에 따른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게이트 전극에 연결된 제 1 커패시터 전극,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소스 전극에 연결된 제 2 커패시터 전극, 및 제 1 커패시터 전극과 제 2 커패시터 전극의 중첩 영역에 형성된 유전체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게이트 전극과 소스 전극 사이의 차 전압을 충전한 후, 충전된 전압에 따라 구동 트랜지스터(Tdr)를 스위칭시킨다.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dr)는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Tsw1)의 제 2 전극과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의 제 1 커패시터 전극에 공통적으로 접속된 게이트 전극,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Tsw2)의 제 1 전극과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의 제 2 전극 및 발광 소자(ED)의 제 1 전극에 공통적으로 연결된 소스 전극, 및 화소 구동 전원(EVDD)에 연결된 드레인 전극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동 트랜지스터(Tdr)는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의 전압에 의해 턴-온됨으로써 화소 구동 전원(EVDD)으로부터 발광 소자(ED)로 흐르는 전류 량을 제어한다.
이와 같은, 복수의 표시 화소(P) 각각의 구동 트랜지스터(Tdr)는 문턱 전압(Threshold Voltage)과 이동도(Mobility) 등의 특성 값을 가지며,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특성 값은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구동 시간 및/또는 온도에 따른 열화로 인하여 변화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표시 화소(P) 각각의 발광 소자(ED)는 문턱 전압과 커패시턴스 등의 특성 값을 가지며, 발광 소자(ED)의 특성 값 역시 발광 소자(ED)의 구동 시간 및/또는 온도에 따른 열화로 인하여 변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10)은 각 표시 화소(P)의 구동 트랜지스터(Tdr) 간의 특성 값 편차뿐만 아니라 각 표시 화소(P)의 발광 소자(ED) 간의 특성 값 편차에 따른 표시 화소(P) 간의 휘도 편차로 인해 화질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더미 화소(DP) 각각은 비활성 영역(IA)에 마련되고, 활성 영역(IA)의 외곽부에 배치된다. 일 예에 따른 복수의 더미 화소(DP) 각각은 비활성 영역(IA)의 제 1 내지 제 4 비활성 영역(IA1, IA2, IA3, IA4)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예에 따른 복수의 더미 화소(DP) 각각은 제 4 비활성 영역(IA4)에 마련된 더미 화소열(101)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복수의 더미 화소(DP) 각각은 더미 발광 소자(ED') 및 더미 화소 회로(P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더미 발광 소자(ED')는 더미 화소 회로(PC')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더미 화소 회로(PC')로부터 공급되는 비발광 전류에 의해 비발광한다. 여기서, 비발광 전류는 블랙 계조에 대응되는 전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더미 발광 소자(ED')는 표시 화소(P)의 발광 소자(ED)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이에 대한 도면과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더미 화소 회로(PC')는 인접한 게이트 라인(GL)으로부터 공급되는 게이트 신호에 응답하여 인접한 데이터 라인(DL)으로부터 공급되는 비발광 데이터 전압과 인접한 센싱 라인(SL)으로부터 공급되는 레퍼런스 전압의 차 전압에 대응되는 비발광 데이터 전류를 더미 발광 소자(ED')에 제공한다. 일 예에 따른 더미 화소 회로(PC')는 제 1 더미 스위칭 트랜지스터(Tsw1'), 제 2 더미 스위칭 트랜지스터(Tsw2'), 더미 발광 소자(ED')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더미 구동 트랜지스터(Tdr'), 및 더미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더미 화소 회로(PC')는 표시 화소(P)의 화소 회로(PC)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에 대한 도면과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복수의 더미 화소(DP) 각각의 더미 구동 트랜지스터(Tdr')는 문턱 전압과 이동도 등의 특성 값을 갖는다. 그러나, 더미 구동 트랜지스터(Tdr')는 비발광 데이터 전압(또는 블랙 전압)에 의해 구동되지 않기 때문에 더미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특성 값은 표시 화소(P)의 구동 트랜지스터(Tdr)와 달리 구동 시간에 따라 변화되지 않는다. 다만, 더미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특성 값은 온도 또는 외부 광에 의해서만 변화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더미 화소(DP) 각각의 더미 발광 소자(ED')는 문턱 전압과 커패시턴스(Ced) 등의 특성 값을 갖는다. 그러나, 더미 발광 소자(ED')는 비발광 데이터 전류에 의해 발광되지 않기 때문에 더미 발광 소자(ED')의 특성 값은 표시 화소(P)의 발광 소자(ED)와 달리 구동 시간에 따라 변화되지 않는다. 다만, 더미 발광 소자(ED')의 특성 값은 온도 또는 외부 광에 의해서만 변화될 수 있다.
상기 패널 구동 회로부(30)는 표시 패널(10)을 표시 모드와 센싱 모드를 구동할 수 있다. 패널 구동 회로부(30)는 표시 모드에 따른 표시 패널(10)의 표시 구동에서, 복수의 표시 화소(P) 각각의 발광 소자(ED)를 발광시킴과 동시에 복수의 더미 화소(DP) 각각의 더미 발광 소자(ED')를 비발광시킨다. 이때, 패널 구동 회로부(30)는 표시 패널(10)의 표시 모드에서, 비발광 데이터 전압(또는 블랙 데이터 전압)을 복수의 더미 화소(DP)에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패널 구동 회로부(30)는 센싱 모드에 따른 표시 패널(10)의 센싱 구동에서, 복수의 센싱 라인(SL) 각각을 통해서 복수의 표시 화소(P) 각각의 특성 값과 복수의 더미 화소(DP)의 특성 값을 센싱하고, 이를 기반으로 각 표시 화소(P)에 공급될 화소 데이터를 보정한다.
일 예에 따른 패널 구동 회로부(30)는 게이트 구동 회로(310), 데이터 구동 회로(330), 타이밍 제어 회로(350), 및 저장 회로(또는 메모리 회로) (3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구동 회로(310)는 표시 패널(10)의 비활성 영역(IA)에 마련되며, 표시 패널(10)의 활성 영역(AA)에 마련된 복수의 게이트 라인(GL)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게이트 구동 회로(310)는 타이밍 제어 회로(350)의 게이트 제어 신호(GS)에 응답하여 정해진 순서에 따라 게이트 신호를 생성하여 해당하는 게이트 라인(GL)에 공급한다.
일 예에 따른 게이트 구동 회로(310)는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공정에 따라 기판의 제 3 비활성 영역(IA3) 또는/및 제 4 비활성 영역(IA4)에 집적되어 복수의 게이트 라인(GL)과 일대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른 게이트 구동 회로(310)는 집적 회로로 구성되어 기판의 제 3 비활성 영역(IA3) 또는/및 제 4 비활성 영역(IA4)에 실장(또는 본딩)되거나 연성 회로 필름에 실장되어 복수의 게이트 라인(GL)과 일대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구동 회로(330)는 기판의 제 1 비활성 영역(IA1)에 마련된 패드부를 통해 활성 영역(AA)에 마련된 복수의 데이터 라인(DL) 및 복수의 센싱 라인(SL) 각각의 일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데이터 구동 회로(330)는 타이밍 제어 회로(350)로부터 제공되는 화소 데이터(Pdata)와 데이터 제어 신호(DCS)를 수신하고, 전원 회로로부터 제공되는 복수의 기준 감마 전압을 수신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 회로(330)는 표시 구동시, 데이터 제어 신호(DCS)와 복수의 기준 감마 전압을 이용하여 화소 데이터(Pdata)를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하여 해당하는 데이터 라인(DL)을 통해 해당하는 화소(P, DP)에 공급한다. 이때, 데이터 구동 회로(330)는 표시 구동에서 실제 데이터 전압을 복수의 표시 화소(P)에 각각 공급하고, 비발광 데이터 전압(또는 블랙 데이터 전압)을 복수의 더미 화소(DP)에 각각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구동 회로(330)는 센싱 구동시, 센싱용 화소 데이터(Pdata)를 센싱용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하여 해당하는 데이터 라인(DL)을 통해 해당하는 화소(P, DP)에 공급하고, 복수의 센싱 라인(SL) 각각을 통해서 해당하는 표시 화소(P)와 더미 화소(DP) 각각의 특성 값을 센싱하고, 센싱된 화소별 센싱 데이터(Sdata)를 타이밍 제어 회로(350)에 제공한다. 여기서, 표시 화소(P)와 더미 화소(DP) 각각의 특성 값은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문턱 전압 또는 이동도, 발광 소자(ED)의 문턱 전압 또는 커패시턴스(Ced)일 수 있다.
상기 타이밍 제어 회로(350)는 외부, 즉 시스템 본체(또는 호스트 시스템) 또는 그래픽 카드로부터 입력되는 타이밍 동기 신호(TSS)에 기초하여 게이트 구동 회로(310)를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제어 신호(GCS)와 데이터 구동 회로(33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제어 신호(DCS)를 각각 생성한다.
상기 타이밍 제어 회로(35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입력 데이터(Idata)를 표시 패널(10)의 화소 배치 구조에 대응되도록 적색, 녹색, 청색, 및 백색의 4색 데이터로 변환하고, 저장 회로(370)에 저장되어 있는 센싱 데이터(Sdata)에 기초하여 4색 데이터를 화소 데이터(Pdata)로 보정하여 데이터 구동 회로(330)에 제공한다. 예를 들어, 타이밍 제어 회로(350)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60476호 또는 제10-2013-0030598호에 개시된 데이터 변환 방법에 따라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입력 데이터(Idata)를 적색, 녹색, 청색, 및 백색의 4색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타이밍 제어 회로(350)는 게이트 구동 회로(310)와 데이터 구동 회로(330)를 표시 모드로 구동시키고, 사용자의 설정 또는 설정된 보상 구간 동안 게이트 구동 회로(310)와 데이터 구동 회로(330)를 센싱 모드로 구동시킨다. 여기서, 센싱 모드는 발광 표시 장치의 제품 출하 전의 검사 공정시, 표시 패널(10)의 최초 초기 구동시, 발광 표시 장치의 전원 온(power on)시, 발광 표시 장치의 전원 오프(power off)시, 표시 패널(10)의 장시간 구동 후 전원 오프(power off)시,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설정된 프레임의 블랭크 기간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타이밍 제어 회로(350)는 센싱 모드에 따라 데이터 구동 회로(330)로부터 제공되는 화소별 센싱 데이터(Sdata)를 저장 회로(370)에 저장한다. 그리고, 타이밍 제어 회로(350)는 표시 모드시, 저장 회로(370)에 저장된 센싱 데이터(Sdata)에 기초하여 각 표시 화소(P)에 공급될 화소 데이터를 보정하여 데이터 구동 회로(330)에 제공한다. 여기서, 화소별 센싱 데이터(Sdata)는 구동 트랜지스터와 발광 소자 각각의 경시적 변화뿐만 아니라 온도에 따른 변화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타이밍 제어 회로(350)는 센싱 구동에서, 경시적 변화를 제외한 온도 변화만을 포함하는 더미 구동 트랜지스터(Tdr') 및/또는 더미 발광 소자(ED') 각각의 특성 값을 센싱하고, 이를 기반으로 각 표시 화소(P)에 공급될 화소 데이터를 보정함으로써 별도의 온도 센서 없이도 온도 변화에 따른 표시 화소(P) 내 구동 트랜지스터의 특성 값 및/또는 발광 소자의 특성 변화를 정확한 센싱하여 화소(P)의 특성 변화를 효과적으로 보상한다.
일 예에 따른 타이밍 제어 회로(350)는 데이터 구동 회로(330)로부터 제공되는 복수의 더미 화소(DP) 각각의 현재 센싱 데이터(Sdata)를 기반으로 표시 패널(10)의 온도 정보를 예측하고, 예측한 온도 정보에 따른 온도 보상 게인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이밍 제어 회로(350)는 저장 회로(370)에 저장되어 있는 더미 화소별 최초 센싱 데이터 또는 이전 센싱 데이터(Sdata)와 데이터 구동 회로(330)로부터 제공되는 더미 화소별 현재 센싱 데이터(Sdata) 간의 데이터 편차를 기반으로 온도 보상 게인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타이밍 제어 회로(350)는 저장 회로(370)에 저장되어 있는 온도 보상 룩 업 테이블에서 더미 화소별 이전 센싱 데이터(Sdata)와 현재 센싱 데이터(Sdata) 간의 데이터 편차에 대응되는 온도 보상 게인 값을 추출할 수 있다.
화소의 휘도(또는 전류)는 온도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특성을 가지므로, 온도 보상 룩 업 테이블에 맵핑된 온도 보상 게인 값은 온도에 따른 휘도 변화를 억제(또는 제거)할 수 있는 값으로 설정된다. 일 예로서, 타이밍 제어 회로(350)는 더미 화소별 이전 센싱 데이터(Sdata)와 현재 센싱 데이터(Sdata) 간의 데이터 편차에 대한 평균값 또는 최대값에 대응되는 온도 보상 게인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온도 보상 게인 값은 1.0 ~ 2.0 사이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에 따른 온도 보상 게인 값은 더미 화소(DP) 내 더미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문턱 전압에 대한 이전 센싱 데이터(Sdata)와 현재 센싱 데이터(Sdata)에 따라 산출되는 제 1 온도 보상 게인 값, 더미 화소(DP) 내 더미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이동도에 대한 이전 센싱 데이터(Sdata)와 현재 센싱 데이터(Sdata)에 따라 산출되는 제 2 온도 보상 게인 값, 더미 화소(DP) 내 더미 발광 소자(ED')의 문턱 전압에 대한 이전 센싱 데이터(Sdata)와 현재 센싱 데이터(Sdata)에 따라 산출되는 제 3 온도 보상 게인 값, 및 더미 화소(DP) 내 더미 발광 소자(ED')의 커패시턴스에 대한 이전 센싱 데이터(Sdata)와 현재 센싱 데이터(Sdata)에 따라 산출되는 제 4 온도 보상 게인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타이밍 제어 회로(350)는 데이터 구동 회로(330)로부터 제공되는 표시 화소별 현재 센싱 데이터(Sdata)와 이와 대응되는 저장 회로(370)에 저장된 표시 화소별 이전 센싱 데이터(Sdata) 간의 표시 화소별 편차 데이터를 산출하고, 표시 화소별 편차 데이터에 온도 보상 게인 값을 반영하여 표시 화소별 데이터 보상 값을 산출한 후, 산출된 표시 화소별 데이터 보상 값에 따라 해당하는 표시 화소(P)에 공급되는 화소 데이터(Pdata)를 보정하여 데이터 구동 회로(330)에 제공한다. 그리고, 타이밍 제어 회로(350)는 산출된 표시 화소별 데이터 보상 값을 저장 회로(370)에 저장하여 화소별 데이터 보상 값을 갱신한다.
상기 데이터 보상 값은 보상 게인 값, 보상 오프셋, 열화 오프셋, 및 열화 게인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보상 게인 값은 표시 화소(P) 내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이동도 보상과 관련된 파라미터, 보상 오프셋은 표시 화소(P) 내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문턱 전압 보상과 관련된 파라미터, 열화 오프셋은 표시 화소(P) 내 발광 소자(ED)의 문턱 전압 보상과 관련된 파라미터, 및 열화 게인 값은 표시 화소(P) 내 발광 소자(ED)의 커패시턴스 보상과 관련된 파라미터일 수 있다.
일 예로서, 타이밍 제어 회로(350)는 데이터 구동 회로(330)로부터 제공되는 표시 화소별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이동도에 대한 현재 센싱 데이터(Sdata)와 이와 대응되는 저장 회로(370)에 저장된 이전 센싱 데이터(Sdata) 간의 이동도 편차 데이터를 산출하고, 산출된 표시 화소별 편차 데이터에 제 2 온도 보상 게인 값을 반영하여 표시 화소별 보상 게인 값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타이밍 제어 회로(350)는 데이터 구동 회로(330)로부터 제공되는 표시 화소별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문턱 전압에 대한 현재 센싱 데이터(Sdata)와 이와 대응되는 저장 회로(370)에 저장된 이전 센싱 데이터(Sdata) 간의 문턱 전압 편차 데이터를 산출하고, 산출된 표시 화소별 편차 데이터에 제 1 온도 보상 게인 값을 반영하여 표시 화소별 보상 오프셋을 산출할 수 있다. 그런 다음, 타이밍 제어 회로(350)는 해당하는 표시 화소(P)에 공급될 화소 데이터(Pdata)를 표시 화소별 보상 오프셋와 보상 게인 값에 따라 보정하여 데이터 구동 회로(330)에 제공한다. 여기서, 타이밍 제어 회로(350)는 표시 화소별 화소 데이터(Pdata)에 표시 화소별 보상 게인 값을 승산 연산하고, 그 승산 결과에 표시 화소별 보상 오프셋을 가산하는 방식으로 표시 화소별 화소 데이터(Pdata)를 보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타이밍 제어 회로(350)는 표시 패널(10)의 각 수평 라인에 배치된 더미 화소별 이전 센싱 데이터(Sdata)와 현재 센싱 데이터(Sdata) 간의 데이터 편차에 대응되는 수평 라인별 온도 보상 게인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타이밍 제어 회로(350)는 수평 라인별 온도 보상 게인 값을 기반으로 표시 화소별 센싱 데이터(Sdata)를 표시 패널(10)의 수평 라인 단위로 보상할 수 있다.
한편, 본 출원에 따른 패널 구동 회로부(30)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6-0093179호, 제10-2017-0054654호, 또는 제10-2018-0002099호에 개시된 센싱 모드를 통해서 표시 화소(P)와 더미 화소(DP) 각각의 특성 값을 센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표시 화소(P)와 더미 화소(DP) 각각의 특성 값을 센싱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제 1 내지 제 3 표시 화소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를 도 2와 결부하면,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제 1 내지 제 3 표시 화소(Pr/Rg/Rb)는 기판(100) 상에 정의된 화소 영역 내에 마련된 회로 영역(CA) 및 개구 영역(O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은 주로 유리 재질로 이루어지지만, 구부리거나 휠 수 있는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 예로서, 폴리이미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판(100)의 전면(前面) 전체는 1 이상의 버퍼층(110)에 의해 덮일 수 있다.
상기 버퍼층(110)은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공정 중 고온 공정시 기판(100)에 함유된 물질이 트랜지스터층으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버퍼층(110)은 외부의 수분이나 습기가 발광 소자 쪽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상기 회로 영역(CA)은 트랜지스터층, 보호층(130), 및 오버코트층(170)을 포함한다.
상기 트랜지스터층은 구동 트랜지스터(Tdr)를 갖는 화소 회로(PC)를 포함한다.
일 예에 따른 구동 트랜지스터(Tdr)는 액티브층(111), 게이트 절연막(113), 게이트 전극(115), 층간 절연막(117), 드레인 전극(119d), 및 소스 전극(119s)을 포함한다.
상기 액티브층(111)은 기판(100) 또는 버퍼층(110) 상에 정의된 회로 영역(CA)의 구동 트랜지스터 영역에 형성된 채널 영역(111c)과 드레인 영역(111d) 및 소스 영역(111s)을 포함한다. 즉, 액티브층(111)은 게이트 절연막(113)의 에칭 공정시 에칭 가스에 의해 도체화되는 드레인 영역(111d)과 소스 영역(111s), 및 에칭 가스에 의해 도체화되지 않은 채널 영역(111c)을 포함한다. 이때, 드레인 영역(111d)과 소스 영역(111s)은 채널 영역(111c)을 사이에 두고 서로 나란하도록 이격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액티브층(111)은 비정질 실리콘(amorphous silicon), 다결정 실리콘(polycrystalline silicon), 산화물(oxide) 및 유기물(organic material)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반도체 물질로 구성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113)은 액티브층(111)의 채널 영역(111c) 상에 형성된다. 이러한 게이트 절연막(113)은 액티브층(111)을 포함하는 기판(100) 또는 버퍼층(110)의 전면(前面) 전체에 형성되지 않고, 액티브층(111)의 채널 영역(111c) 상에만 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115)은 액티브층(111)의 채널 영역(111c)과 중첩되도록 게이트 절연막(113) 상에 형성된다. 게이트 전극(115)은 에칭 공정을 이용한 게이트 절연막(113)의 패터닝 공정시 에칭 가스에 의해 액티브층(111)의 채널 영역(111c)이 도체화되지 않도록 하는 마스크 역할을 한다.
상기 층간 절연막(117)은 게이트 전극(115)과 액티브층(111)의 드레인 영역(111d) 및 소스 영역(111s) 상에 형성된다. 즉, 층간 절연막(117)은 기판(100) 또는 버퍼층(110)의 전면(前面) 전체에 형성되어 게이트 전극(115)과 액티브층(111)의 드레인 영역(111d) 및 소스 영역(111s)을 덮는다.
상기 드레인 전극(119d)은 액티브층(111)의 드레인 영역(111d)과 중첩되는 층간 절연막(117)에 마련된 제 1 콘택홀을 통해 액티브층(111)의 드레인 영역(111d)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소스 전극(119s)은 액티브층(111)의 소스 영역(111s)과 중첩되는 층간 절연막(117)에 마련된 제 2 콘택홀을 통해 액티브층(111)의 소스 영역(111s)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드레인 전극(119d)과 소스 전극(111s) 각각은 동일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회로 영역(CA)은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Tsw1),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Tsw2)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Tsw1)와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Tsw2)는 구동 트랜지스터(Tdr)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도록 회로 영역(CA) 상에 마련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층간 절연막(117)을 사이에 두고 서로 중첩되는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게이트 전극(115)과 소스 전극(119s) 사이의 중첩 영역에 마련된다.
부가적으로, 회로 영역(CA)에 마련된 트랜지스터는 광에 의해 문턱 전압이 쉬프트되는 특성을 가질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출원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는 액티브층(111)의 아래에 마련된 차광층(LS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광층(LSL)은 기판(100)과 액티브층(111) 사이에 마련되어 기판(100)을 통해서 액티브층(111) 쪽으로 입사되는 광을 차단함으로써 외부 광에 의한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 변화를 최소화 내지 방지한다. 이러한 차광층(LSL)은 버퍼층(110)에 의해 덮인다. 선택적으로, 차광층(LSL)은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해당 트랜지스터의 하부 게이트 전극의 역할을 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광에 의한 특성 변화뿐만 아니라 바이어스 전압에 따른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 변화를 최소화 내지 방지한다.
상기 보호층(130)은 트랜지스터층을 덮도록 기판(100) 상에 마련된다. 즉, 보호층(130)은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드레인 전극(119d)과 소스 전극(119s) 및 층간 절연막(117)을 덮는다. 선택적으로, 보호층(130)은 패시베이션층의 용어로 표현될 수도 있다.
상기 오버코트층(170)은 보호층(130)을 덮도록 기판(100) 상에 마련된다. 이러한 오버코트층(170)은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기판(100) 상에 평탄면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개구 영역(OA)은 발광 소자(ED) 및 컬러필터층(1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ED)는 하부 발광(bottom emission) 방식에 따라 기판(100) 쪽으로 광을 방출한다. 일 예에 따른 발광 소자(ED)는 제 1 전극(E1), 발광층(EL), 및 제 2 전극(E2)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전극(E1)은 화소 영역(PA) 상의 오버코트층(170) 상에 형성되어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소스 전극(119s)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회로 영역(CA)에 인접한 제 1 전극(E1)의 일단은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소스 전극(119s) 상으로 연장되고, 오버코트층(170)과 보호층(130)에 마련된 컨택홀(CH)을 통해서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소스 전극(119s)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 1 전극(E1)은 발광 소자(ED)의 애노드 전극이 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 1 전극(E1)은 발광층(EL)에서 방출되는 광이 기판(100) 쪽으로 투과될 수 있도록 TCO(Transparent Conductive Oxide)와 같은 투명 도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층(EL)은 제 1 전극(E1) 상에 형성되어 제 1 전극(E1)에 직접적으로 접촉된다. 일 예에 따른 발광층(EL)은 백색 광을 방출하기 위한 2 이상의 발광부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발광층(EL)은 제 1 광과 제 2 광의 혼합에 의해 백색 광을 방출하기 위한 제 1 발광부와 제 2 발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발광부는 제 1 광을 방출하는 것으로 청색 발광부, 녹색 발광부, 적색 발광부, 황색 발광부, 및 황록색 발광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발광부는 청색 발광부, 녹색 발광부, 적색 발광부, 황색 발광부, 및 황록색 중 제 1 광의 보색 관계를 갖는 광을 방출하는 발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전극(E2)은 발광층(EL) 상에 형성되어 발광층(EL)과 직접적으로 접촉된다. 일 예에 따른 제 2 전극(E2)은 발광 소자(ED)의 캐소드 전극이 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 2 전극(E2)은 발광층(EL)에서 방출되어 입사되는 광을 기판(100) 쪽으로 반사시키기 위해 반사율이 높은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컬러필터층(150)은 발광 소자(ED)(또는 개구 영역(OA))과 중첩되도록 기판(100)과 오버코트층(17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컬러필터층(150)은 개구 영역(OA)과 중첩되도록 보호층(130) 상에 마련된다. 즉, 컬러필터층(150)은 개구 영역(OA)과 중첩되도록 보호층(130) 상에 형성되어 오버코트층(170)에 의해 덮일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른 컬러필터층(150)은 층간 절연막(117)과 보호층(130) 사이에 마련되거나 기판(100)과 층간 절연막(117) 사이에 마련되어 개구 영역(OA)과 중첩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컬러필터층(150)은 발광 소자(ED)로부터 기판(100) 쪽으로 방출되는 광 중 화소에 설정된 색상의 파장만을 투과시키는 컬러필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컬러필터층(150)은 적색, 녹색, 또는 청색의 파장만을 투과시킬 수 있다. 일 예로서, 제 1 표시 화소(Pr)에 마련된 컬러필터층(150)은 적색 컬러필터, 제 2 표시 화소(Pg)에 마련된 컬러필터층(150)은 녹색 컬러필터, 및 제 3 표시 화소(Pb)에 마련된 컬러필터층(150)은 청색 컬러필터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컬러필터층(150)은 발광 표시 장치의 높은 색재현율을 구현하기 위하여, 발광 소자(ED)로부터 기판(100) 쪽으로 방출되는 광에 따라 재발광하여 화소에 설정된 색상의 광을 방출하는 크기를 갖는 양자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양자점은 CdS, CdSe, CdTe, ZnS, ZnSe, GaAs, GaP, GaAs-P, Ga-Sb, InAs, InP, InSb, AlAs, AlP, 또는 AlSb 등에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표시 화소(Pr)의 컬러필터층(150)은 CdSe 또는 InP의 양자점, 제 2 표시 화소(Pg)의 컬러필터층(150)은 CdZnSeS의 양자점, 및 제 3 표시 화소(Pb)의 컬러필터층(150)은 ZnSe의 양자점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는 뱅크(190) 및 봉지층(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뱅크(190)는 화소 영역(PA) 내의 개구 영역(OA)을 정의하는 것으로, 제 1 전극(E1)의 가장자리와 오버코트층(170) 상에 마련된다. 일 예에 따른 뱅크(190)는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cyclobutene; BCB)계 수지, 아크릴계(acryl) 수지 또는 폴리이미드(polyimide) 수지 등의 유기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른 뱅크(190)는 검정색 안료를 포함하는 감광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뱅크(190)는 인접한 표시 화소 사이의 차광 부재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ED)의 발광층(EL)과 제 2 전극(E2) 각각은 뱅크(190) 상에도 형성된다. 즉, 발광층(EL)은 제 1 전극(E1)과 뱅크(190) 상에 형성되고, 제 2 전극(E2)은 발광층(EL)을 덮도록 형성된다.
상기 봉지층(encapsulation layer)(200)은 제 2 전극(E2), 즉 화소 전체를 덮도록 기판(100) 상에 형성된다. 이러한 봉지층(200)은 외부 충격으로부터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발광 소자(ED) 등을 보호하고, 산소 또는/및 수분 나아가 이물들(particles)이 발광 소자(ED)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봉지층(200)은 적어도 하나의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봉지층(200)은 적어도 하나의 유기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봉지층(200)은 제 1 무기 봉지층, 유기 봉지층, 및 제 2 무기 봉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무기 봉지층은 실리콘 산화막(SiOx), 실리콘 질화막(SiNx), 실리콘 산질화막(SiON), 티타늄 산화막(TiOx), 및 알루미늄 산화막(AlOx) 중 어느 하나의 무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유기 봉지층은 아크릴 수지(acryl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 아미드 수지(polyamide resin), 폴리 이미드 수지(polyimide resin), 및 벤조사이클로부텐 수지(benzocyclobutene resin) 중 어느 하나의 유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기 봉지층은 이물질 커버층(particle cover layer)으로 표현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봉지층(200)은 화소 전체를 둘러싸는 충진재로 변경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출원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는 충진재를 매개로 하여 기판(100) 상에 부착되는 봉지 기판(210)을 더 포함한다. 봉지 기판(210)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출원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100)의 후면(또는 광 추출면)(100a)에 부착된 편광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광 필름은 화소에 마련된 박막 트랜지스터 및/또는 라인들 등에 의해 반사된 외부 광을 원편광 상태로 변경하여 발광 표시 장치의 시인성과 명암비를 향상시킨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제 4 표시 화소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를 도 2와 결부하면,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제 4 표시 화소(Pw)는 단위 화소의 백색 휘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제 1 내지 제 3 표시 화소에서 컬러필터층(150)이 형성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모두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일 예에 따른 더미 화소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도 1 및 도 3과 결부하면,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더미 화소열(101)은 활성 영역(AA)의 외곽부에 대응되는 기판의 비활성 영역(IA)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더미 화소열(101)은 비활성 영역(IA) 중 제 4 비활성 영역(IA4)에 배치되며, 제 1 방향, 즉 데이터 라인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먼저, 복수의 더미 화소(DP)는 제 1 더미 화소 그룹(DPG1) 및 제 2 더미 화소 그룹(DPG2)으로 그룹화될 수 있다.
상기 제 1 더미 화소 그룹(DPG1)과 상기 제 2 더미 화소 그룹(DPG2) 중 제 1 더미 화소 그룹(DPG1)의 더미 화소(DP)는 컬러필터층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1 더미 화소 그룹(DPG1)은 복수의 더미 화소(DP) 중 적색 더미 화소(DPr)와 녹색 더미 화소(DPg) 및 청색 더미 화소(DP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색 더미 화소(DPr)와 녹색 더미 화소(DPg) 및 청색 더미 화소(DPb) 각각은, 도 4에 도시된 제 1 내지 제 3 표시 화소(Pr, Pg, Pb)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화소 구조를 가지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제 1 더미 화소 그룹(DPG1)은 적색 컬러필터를 갖는 적색 더미 화소(DPr)와 녹색 컬러필터를 갖는 녹색 더미 화소(DPg) 및 청색 컬러필터를 갖는 청색 더미 화소(DP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더미 화소 그룹(DPG2)의 더미 화소(DP)는 컬러필터층을 포함하지 않는다. 즉, 제 2 더미 화소 그룹(DPG2)은 복수의 더미 화소(DP) 중 백색 더미 화소(DPw)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색 더미 화소(DPw)는 도 5에 도시된 제 4표시 화소(Pw)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화소 구조를 가지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 예에 따른 더미 화소열(101)은 복수의 로컬 더미 그룹(LG1 내지 LG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로컬 더미 그룹(LG1 내지 LGn) 각각은 데이터 라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복수의 로컬 더미 그룹(LG1 내지 LGn) 각각은 제 1 더미 화소 그룹(DPG1)과 제 2 더미 화소 그룹(DPG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로컬 더미 그룹(LG1 내지 LGn) 각각에서, 제 2 더미 화소 그룹(DPG2)은 제 1 더미 화소 그룹(DPG1)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예에 따른 복수의 로컬 더미 그룹(LG1 내지 LGn) 각각에서, 제 1 더미 화소 그룹(DPG1)은 하나의 적색 더미 화소(DPr)와 하나의 청색 더미 화소(DPb) 및 하나의 녹색 더미 화소(DPg)를 포함하며, 제 2 더미 화소 그룹(DPG2)은 제 1 더미 화소 그룹(DPG1)의 적색 더미 화소(DPr)와 청색 더미 화소(DPb) 사이에 배치된 하나의 백색 더미 화소(DPw)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더미 화소 그룹(DPG1)의 더미 화소들은 적색 더미 화소(DPr)와 청색 더미 화소(DPb) 및 녹색 더미 화소(DPg)의 순서를 가지도록 데이터 라인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일 예에 따른 복수의 로컬 더미 그룹(LG1 내지 LGn) 각각은 데이터 라인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된 하나의 단위 화소일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예에 따른 복수의 로컬 더미 그룹(LG1 내지 LGn) 각각에서, 제 1 더미 화소 그룹(DPG1)은 연속적으로 배치된 2개 이상의 적색 더미 화소(DPr)와 연속적으로 배치된 2개 이상의 청색 더미 화소(DPb) 및 연속적으로 배치된 2개 이상의 녹색 더미 화소(DPg)를 포함하며, 제 2 더미 화소 그룹(DPG2)은 제 1 더미 화소 그룹(DPG1)의 적색 더미 화소(DPr)와 청색 더미 화소(DPb) 사이에 연속적으로 배치된 2개 이상의 백색 더미 화소(DPw)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더미 화소 그룹(DPG1)의 더미 화소들은 적색 더미 화소(DPr)와 청색 더미 화소(DPb) 및 녹색 더미 화소(DPg)의 순서를 가지도록 데이터 라인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추가적으로, 본 예에 따른 더미 화소열(101)은 전술한 복수의 로컬 더미 그룹(LG1 내지 LGn)을 가지면서 데이터 라인(DL)과 나란하도록 비활성 영역(IA)의 제 3 비활성 영역(IA3)에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추가로, 본 예에 따른 더미 화소열(101)은 전술한 복수의 로컬 더미 그룹(LG1 내지 LGn)을 가지면서 게이트 라인(GL)과 나란하도록 비활성 영역(IA)의 제 1 및 제 2 비활성 영역(IA1, IA2)에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본 예에 따른 더미 화소열(101)은 전술한 제 1 더미 화소 그룹(DPG1)과 제 2 더미 화소 그룹(DPG2)을 포함하는 복수의 로컬 더미 그룹(LG1 내지 LGn)을 가지면서 비활성 영역(IA)의 제 1 내지 제 4 비활성 영역(IA1, IA2, IA3, IA4)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비활성 영역(IA)의 제 1 내지 제 4 비활성 영역(IA1, IA2, IA3, IA4) 중 적어도 하나는 제 1 더미 화소 그룹(DPG1)과 제 2 더미 화소 그룹(DPG2)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예에 따른 더미 화소열(101)을 포함하는 발광 표시 장치는 적색 더미 화소(DPr)와 청색 더미 화소(DPb) 및 녹색 더미 화소(DPg) 뿐만 아니라 백색 더미 화소(DPw) 각각에 대해 경시적 변화를 제외한 온도 변화만을 포함하는 더미 구동 트랜지스터(Tdr') 및/또는 더미 발광 소자(ED') 각각의 특성 값을 위치별로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는 도 6에 도시된 더미 화소열(101)의 배치 구조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수평 화소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 화소열 단위로 더미 화소(DP)의 특성 값(더미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특성 값 및/또는 더미 발광 소자(ED')의 특성 값)을 센싱할 수 있다. 특히, 본 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가 2개 이상의 수평(또는 수직) 화소열 단위로 더미 화소(DP)의 특성 값을 센싱하는 경우, 센싱 값의 정확도가 증가될 수 있으며, 노이즈 성분에 의해 발생되는 센싱 정확도의 저하가 최소화될 수 있다.
도 8a는 도 6에 도시된 제 1 더미 화소 그룹에 포함된 다른 예에 따른 더미 화소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8b는 도 6에 도시된 제 2 더미 화소 그룹에 포함된 다른 예에 따른 더미 화소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a를 도 3과 도 6을 결부하면,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제 1 더미 화소 그룹(DGP1)의 적색 더미 화소(DPr)와 청색 더미 화소(DPb) 및 녹색 더미 화소(DPg) 각각은 더미 구동 트랜지스터(Tdr')를 포함하는 더미 화소 회로(PC'), 및 더미 화소 회로(PC')와 전기적으로 분리된 더미 발광 소자(E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더미 화소 그룹(DGP1)의 더미 화소(DPr, DPg, DPb)는 더미 화소 회로(PC')와 더미 발광 소자(ED')가 뱅크(190)에 의해 전기적으로 분리되고 컬러필터층(150)을 갖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4에 도시된 표시 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화소 구조를 갖는다. 이에 따라, 제 1 더미 화소 그룹(DGP1)의 더미 화소(DPr, DPg, DPb)의 구성들 중 뱅크(190) 및 이와 관련된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 1 더미 화소 그룹(DGP1)에서, 뱅크(190)는 적색 더미 화소(DPr)와 청색 더미 화소(DPb) 및 녹색 더미 화소(DPg) 각각의 개구 영역(OA)에 배치된 더미 발광 소자(ED')의 제 1 전극(E1)을 덮도록 형성된다. 즉, 뱅크(190)는 적색 더미 화소(DPr)와 청색 더미 화소(DPb) 및 녹색 더미 화소(DPg) 각각의 회로 영역(CA)을 덮도록 형성되고, 적색 더미 화소(DPr)와 청색 더미 화소(DPb) 및 녹색 더미 화소(DPg) 각각의 개구 영역(OA)과 중첩되는 더미 발광 소자(ED')의 제 1 전극(E1)과 발광층(EL) 사이에 추가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뱅크(190)는 적색 더미 화소(DPr)와 청색 더미 화소(DPb) 및 녹색 더미 화소(DPg) 각각에서 더미 발광 소자(ED')의 제 1 전극(E1)과 발광층(EL) 사이에 개재되어 더미 발광 소자(ED')의 제 1 전극(E1)과 발광층(EL)을 전기적으로 분리함으로써 더미 화소 회로(PC')와 더미 발광 소자(ED')를 전기적으로 분리한다.
한편, 제 1 더미 화소 그룹(DGP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미 화소 회로(PC')와 더미 발광 소자(ED')가 뱅크(190)에 의해 전기적으로 분리되도록 연속적으로 배치된 2개 이상의 적색 더미 화소(DPr)와 연속적으로 배치된 2개 이상의 청색 더미 화소(DPb) 및 연속적으로 배치된 2개 이상의 녹색 더미 화소(DPg)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8b를 도 3과 도 6을 결부하면, 본 예에 따른 제 2 더미 화소 그룹(DGP2)의 백색 더미 화소(DPw)는 더미 구동 트랜지스터(Tdr')를 포함하는 더미 화소 회로(PC'), 및 더미 화소 회로(PC')와 전기적으로 분리된 더미 발광 소자(E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 더미 화소 그룹(DGP2)의 백색 더미 화소(DPw)는 더미 화소 회로(PC')와 더미 발광 소자(ED')가 뱅크(190)에 의해 전기적으로 분리되고 컬러필터층(150)을 갖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8a에 도시된 제 1 더미 화소 그룹(DGP1)의 적색 더미 화소(DPr)와 청색 더미 화소(DPb) 및 녹색 더미 화소(DPg) 각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제 2 더미 화소 그룹(DPG2)은 더미 화소 회로(PC')와 더미 발광 소자(ED')가 뱅크(190)에 의해 전기적으로 분리되도록 연속적으로 배치된 2개 이상의 백색 더미 화소(DPw)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예에 따른 더미 화소를 포함하는 발광 표시 장치는 제 1 더미 화소 그룹(DGP1)에 포함된 적색 더미 화소(DPr)와 청색 더미 화소(DPb) 및 녹색 더미 화소(DPg) 뿐만 아니라 제 2 더미 화소 그룹(DGP2)에 포함된 백색 더미 화소(DPw) 각각에 대해 경시적 변화를 제외한 온도 변화만을 포함하는 더미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특성 값을 위치별로 센싱할 수 있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다른 예에 따른 더미 화소열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제 1 더미 화소 그룹의 더미 화소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도 1 및 도 3과 결부하면,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더미 화소열(101)은 활성 영역(AA)의 외곽부에 대응되는 기판의 비활성 영역(IA)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더미 화소열(101)은 비활성 영역(IA) 중 제 4 비활성 영역(IA4)에 배치되며, 제 1 방향, 즉 데이터 라인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더미 화소열(101)은 데이터 라인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교번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 1 더미 화소 그룹(DPG1)과 복수의 제 2 더미 화소 그룹(DPG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 1 더미 화소 그룹(DPG1) 각각은 복수의 더미 화소(DP) 중 컬러필터층(150)을 갖는 복수의 제 1 더미 화소(DP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더미 화소 그룹(DPG1)은 2개 이상의 제 1 더미 화소(DP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2개, 3개, 또는 4개의 제 1 더미 화소(DP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 1 더미 화소(DP1)는 데이터 라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 1 더미 화소(DP1)는 컬러필터층(150)을 제외하고는 도 4에 도시된 표시 화소(P)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화소 구조를 갖는다. 이에 따라, 복수의 제 1 더미 화소(DP1)의 구성들 중 컬러필터층(150)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복수의 제 1 더미 화소(DP1) 각각의 컬러필터층(150)은 더미 발광 소자(ED')(또는 개구 영역(OA))와 중첩되도록 상기 기판 상에 적층된 적색 컬러필터(150r)와 녹색 컬러필터(150g) 및 청색 컬러필터(15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 1 더미 화소(DP1)의 컬러필터층(150)은 더미 발광 소자(ED')에 입사되는 외부 광을 차단하는 차광층의 역할을 함으로써 복수의 제 1 더미 화소(DP1) 각각의 특성 값이 외부 광에 의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한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 1 더미 화소(DP1)의 컬러필터층(150)은 외부 광에 의한 더미 발광 소자(ED')의 열화를 방지하거나 최소화한다.
상기 복수의 제 2 더미 화소 그룹(DPG2)은 복수의 제 1 더미 화소 그룹(DPG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 2 더미 화소 그룹(DPG2) 각각은 복수의 더미 화소(DP) 중 컬러필터층(150)을 갖지 않는 복수의 제 2 더미 화소(DP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제 2 더미 화소 그룹(DPG2) 각각은 복수의 더미 화소(DP)에서 제 1 더미 화소(DP1)를 제외한 나머지 더미 화소 중 2개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더미 화소 그룹(DPG2)에 포함되는 제 2 더미 화소(DP)의 개수는 제 1 더미 화소 그룹(DPG1)에 포함되는 제 1 더미 화소(DP1)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 2 더미 화소(DP2)는 데이터 라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 2 더미 화소(DP2)는 도 10에 도시된 제 1 더미 화소(DP1)에서 컬러필터층(150)이 제거된 구조를 가지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표시 화소 또는 백색 더미 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화소 구조를 갖는다. 이에 따라, 복수의 제 2 더미 화소(DP1)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복수의 제 2 더미 화소(DP2) 각각은 복수의 제 1 더미 화소(DP1)와 달리 외부 광에 의해 특성 값이 변화될 수 있다. 복수의 제 2 더미 화소(DP2)는 외부 광에 의해 더미 발광 소자(ED')가 열화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더미 화소(DP2)는 제 1 더미 화소(DP1)와 대비하여 외부 광에 의한 더미 화소(DP)의 특성 변화 여부를 센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예에 따른 더미 화소열(101)을 포함하는 발광 표시 장치는 복수의 제 1 더미 화소 그룹(DPG1) 각각의 제 1 더미 화소(DP1)에 대해 경시적 변화와 외부 광에 의한 변화를 제외한 온도 변화만을 포함하는 더미 구동 트랜지스터(Tdr') 및/또는 더미 발광 소자(ED') 각각의 특성 값을 센싱할 수 있으며, 복수의 제 2 더미 화소 그룹(DPG2) 각각의 제 2 더미 화소(DP2)에 대해 경시적 변화를 제외한 외부 광에 의한 변화와 온도 변화를 포함하는 더미 구동 트랜지스터(Tdr') 및/또는 더미 발광 소자(ED') 각각의 특성 값을 센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는 제 1 더미 화소(DP1)의 센싱 값과 제 2 더미 화소(DP2)의 센싱 값을 비교하여 광 보상 게인 값을 산출하여 화소 데이터(Pdata)를 추가로 보정할 수 있다.
도 11은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더미 화소의 배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더미 화소의 배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를 도 3과 결부하면,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더미 화소(DP)는 표시 패널(10)의 제 1 비활성 영역(IA1)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비활성 영역(IA1)은 복수의 제 1 로컬 더미 그룹(LG1)과 복수의 제 1 로컬 더미 그룹(LG1)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제 2 로컬 더미 그룹(LG2)을 갖는 더미 화소열(10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 1 및 제 2 로컬 더미 그룹(LG1, LG2) 각각은 제 1 더미 화소 그룹(DPG1)과 제 2 더미 화소 그룹(DPG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 1 로컬 더미 그룹(LG1) 각각에 포함된 제 1 더미 화소 그룹(DPG1)과 제 2 더미 화소 그룹(DPG2)의 더미 화소 각각은 더미 구동 트랜지스터(Tdr')를 포함하는 더미 화소 회로(PC'), 및 더미 화소 회로(PC')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더미 발광 소자(E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 1 로컬 더미 그룹(LG1) 각각에 포함된 제 1 더미 화소 그룹(DPG1)은 도 6 또는 도 7에 도시된 제 1 더미 화소 그룹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화소 구조를 가지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복수의 제 1 로컬 더미 그룹(LG1) 각각에 포함된 제 2 더미 화소 그룹(DPG2)은 도 6 또는 도 7에 도시된 제 2 더미 화소 그룹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화소 구조를 가지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복수의 제 2 로컬 더미 그룹(LG2) 각각에 포함된 제 1 더미 화소 그룹(DPG1)과 제 2 더미 화소 그룹(DPG2)의 더미 화소 각각은 더미 구동 트랜지스터(Tdr')를 포함하는 더미 화소 회로(PC'), 및 더미 화소 회로(PC')와 전기적으로 분리된 더미 발광 소자(E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 2 로컬 더미 그룹(LG2) 각각에 포함된 제 1 더미 화소 그룹(DPG1)의 더미 화소는 도 8a에 도시된 적색 더미 화소(DPr)와 청색 더미 화소(DPb) 및 녹색 더미 화소(DPg)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화소 구조를 가지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복수의 제 2 로컬 더미 그룹(LG2) 각각에 포함된 제 2 더미 화소 그룹(DPG2)의 더미 화소는 도 8b에 도시된 백색 더미 화소(DPw)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화소 구조를 가지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3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에서, 표시 패널의 구동시 표시 패널의 온도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을 도 1과 결부하면, 표시 패널(10)의 구동시, 표시 패널(10)의 온도는 표시 패널(10)과 데이터 구동 회로부(330) 간의 연결 부분에 대응되는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 분포를 갖는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10)의 제 1 내지 제 4 비활성 영역(IA1, IA2, IA3, IA4) 중 제 1 비활성 영역(IA1)은 데이터 구동 회로부(3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데이터 구동 회로부(330) 상에 배치됨으로써 데이터 구동 회로부(330)의 구동에 따라 발생되는 열 등에 의해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 분포를 갖는다.
따라서, 본 예에 따른 더미 화소의 배치 구조를 포함하는 발광 표시 장치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10)의 제 1 비활성 영역(IA1)에 배치된 복수의 더미 화소(DP)를 포함하며, 센싱 구동에서, 경시적 변화를 제외한 온도 변화만을 포함하는 복수의 더미 화소(DP) 각각의 특성 값을 센싱하고, 이를 기반으로 각 표시 화소(P)에 공급될 화소 데이터를 보정함으로써 별도의 온도 센서 없이도 표시 패널(10)의 온도를 센싱하여 온도 변화에 따른 화소(P)의 특성 변화를 효과적으로 보상할 수 있다.
도 14는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더미 화소의 배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더미 화소의 배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를 도 3과 결부하면,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더미 화소(DP)는 표시 패널(10)의 활성 영역(AA)을 둘러싸도록 제 1 내지 제 4 비활성 영역(IA1, IA2, IA3, IA4)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4 비활성 영역(IA1, IA2, IA3, IA4) 각각은 제 1 더미 화소 그룹(DPG1)과 제 2 더미 화소 그룹(DPG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4 비활성 영역(IA1, IA2, IA3, IA4) 각각은 복수의 제 1 로컬 더미 그룹(LG1)과 복수의 제 1 로컬 더미 그룹(LG1)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제 2 로컬 더미 그룹(LG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내지 제 4 비활성 영역(IA2, IA3, IA4) 각각은 복수의 제 3 로컬 더미 그룹(LG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제 1 내지 제 3 로컬 더미 그룹(LG1, LG2, LG3) 각각은 제 1 더미 화소 그룹(DPG1)과 제 2 더미 화소 그룹(DPG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비활성 영역(IA1)은 복수의 제 1 로컬 더미 그룹(LG1)과 복수의 제 1 로컬 더미 그룹(LG1)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제 2 로컬 더미 그룹(LG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비활성 영역(IA1)에 배치된 복수의 제 1 및 제 2 로컬 더미 그룹(LG1, LG2)은 표시 패널(10)의 제 1 중심 라인(CL1)(또는 가로 중심 라인)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 1 비활성 영역(IA1)에 배치된 복수의 제 1 및 제 2 로컬 더미 그룹(LG1, LG2) 각각은 제 1 더미 화소 그룹(DPG1)과 제 2 더미 화소 그룹(DPG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비활성 영역(IA1)에 배치된 복수의 제 1 및 제 2 로컬 더미 그룹(LG1, LG2) 각각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복수의 제 1 및 제 2 로컬 더미 그룹(LG1, LG2) 각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화소 구조를 가지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 2 내지 제 4 비활성 영역(IA2, IA3, IA4) 각각은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 1 내지 제 3 로컬 더미 그룹(LG1, LG2, LG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비활성 영역(IA2)에서, 제 1 로컬 더미 그룹(LG1)은 제 3 및 제 4 비활성 영역(IA3, IA4)에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제 2 로컬 더미 그룹(LG2)은 제 1 로컬 더미 그룹(LG1)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제 3 로컬 더미 그룹(LG3)은 제 2 로컬 더미 그룹(LG2)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비활성 영역(IA2)에 배치된 복수의 제 1 내지 제 3 로컬 더미 그룹(LG1, LG2, LG3)은 표시 패널(10)의 제 1 중심 라인(CL1)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3 및 제 4 비활성 영역(IA3, IA4) 각각에서, 제 1 로컬 더미 그룹(LG1)은 제 1 및 제 2 비활성 영역(IA1, IA2)에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제 2 로컬 더미 그룹(LG2)은 제 1 로컬 더미 그룹(LG1)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제 3 로컬 더미 그룹(LG3)은 제 2 로컬 더미 그룹(LG2)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제 3 및 제 4 비활성 영역(IA3, IA4) 각각에서, 복수의 제 1 및 제 2 로컬 더미 그룹(LG1, LG2)은 제 1 비활성 영역(IA1)에 인접한 표시 패널(10)의 상단 영역, 제 2 비활성 영역(IA2)에 인접한 표시 패널(10)의 하단 영역, 및 상단 영역과 하단 영역 사이의 중간 영역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3 및 제 4 비활성 영역(IA3, IA4) 각각에서, 복수의 제 3 로컬 더미 그룹(LG3)은 표시 패널(10)의 상단 영역과 중간 영역 사이의 영역, 및 표시 패널(10)의 하단 영역과 중간 영역 사이의 영역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 3 및 제 4 비활성 영역(IA3, IA4)에 배치된 복수의 제 1 내지 제 3 로컬 더미 그룹(LG1, LG2, LG3)은 표시 패널(10)의 제 2 중심 라인(CL2)(또는 세로 중심 라인)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내지 제 4 비활성 영역(IA2, IA3, IA4) 각각에 배치된 복수의 제 1 내지 제 3 로컬 더미 그룹(LG1, LG2, LG3) 각각은 제 1 더미 화소 그룹(DPG1)과 제 2 더미 화소 그룹(DPG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내지 제 4 비활성 영역(IA2, IA3, IA4) 각각에 배치된 복수의 제 1 로컬 더미 그룹(LG1) 각각의 제 1 더미 화소 그룹(DPG1)과 제 2 더미 화소 그룹(DPG2) 각각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제 1 로컬 더미 그룹(LG1)의 제 1 더미 화소 그룹(DPG1)과 제 2 더미 화소 그룹(DPG2)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화소 구조를 가지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 2 내지 제 4 비활성 영역(IA2, IA3, IA4) 각각에 배치된 복수의 제 2 로컬 더미 그룹(LG2) 각각의 제 1 더미 화소 그룹(DPG1)과 제 2 더미 화소 그룹(DPG2) 각각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제 2 로컬 더미 그룹(LG2)의 제 1 더미 화소 그룹(DPG1)과 제 2 더미 화소 그룹(DPG2)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화소 구조를 가지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 2 내지 제 4 비활성 영역(IA2, IA3, IA4) 각각에 배치된 복수의 제 3 로컬 더미 그룹(LG3) 각각의 제 1 더미 화소 그룹(DPG1)과 제 2 더미 화소 그룹(DPG2) 각각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제 1 더미 화소 그룹(DPG1)과 제 2 더미 화소 그룹(DPG2) 각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화소 구조를 가지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예에서, 복수의 제 1 로컬 더미 그룹(LG1) 각각은 경시 변화를 제외한 온도 변화에 따른 더미 화소(DP) 내 더미 구동 트랜지스터(Tdr') 및/또는 더미 발광 소자(ED') 각각의 특성 값이 센싱될 수 있도록 표시 패널(10)의 구동시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를 갖는 제 1 비활성 영역(IA1)뿐만 아니라 제 2 내지 제 4 비활성 영역(IA2, IA3, IA4)에도 배치된다. 그리고, 복수의 제 2 로컬 더미 그룹(LG2) 각각은 경시 변화를 제외한 온도 변화에 따른 더미 화소(DP) 내 더미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특성 값이 센싱될 수 있도록 표시 패널(10)의 구동시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를 갖는 복수의 제 1 로컬 더미 그룹(LG1) 각각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또한, 복수의 제 3 로컬 더미 그룹(LG3) 각각은 경시적 변화와 외부 광에 의한 변화를 제외한 온도 변화만을 포함하는 더미 구동 트랜지스터(Tdr') 및/또는 더미 발광 소자(ED') 각각의 특성 값과 경시적 변화를 제외한 외부 광에 의한 변화와 온도 변화를 포함하는 더미 구동 트랜지스터(Tdr') 및/또는 더미 발광 소자(ED') 각각의 특성 값이 센싱될 수 있도록 표시 패널(10)의 구동시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를 갖는 제 2 내지 제 4 비활성 영역(IA2, IA3, IA4)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본 예에 따른 더미 화소의 배치 구조를 포함하는 발광 표시 장치는 제 1 로컬 더미 그룹(LG1)의 더미 화소(DP)를 통해 경시 변화를 제외한 온도 변화에 따른 더미 화소(DP) 내 더미 구동 트랜지스터(Tdr') 및/또는 더미 발광 소자(ED') 각각의 특성 값, 제 2 로컬 더미 그룹(LG2)의 더미 화소(DP)를 통해 경시 변화를 제외한 온도 변화에 따른 더미 화소(DP) 내 더미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특성 값, 및 제 3 로컬 더미 그룹(LG3)의 더미 화소(DP)를 통해 경시적 변화를 제외한 외부 광의 유무에 따른 광학적 변화와 온도 변화에 따른 더미 화소(DP) 내 더미 구동 트랜지스터(Tdr') 및/또는 더미 발광 소자(ED') 각각의 특성 값을 각각 센싱하여 온도 보상 게인 값을 산출해 표시 화소(P)에 표시될 화소 데이터(Pdata)의 보상 값에 반영함으로써 표시 화소(P) 내 구동 트랜지스터의 특성 값 및/또는 발광 소자의 특성 변화를 정확한 센싱하여 보상할 수 있다.
도 16a는 비교 예에 있어서, 표시 화소 내 구동 트랜지스터의 이동도에 대한 온도별 경시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며, 도 16b는 본 출원 일 예에 있어서, 표시 화소 내 구동 트랜지스터의 이동도에 대한 온도별 경시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6a 및 도 16b 각각에서, 가로 축은 표시 화소 내 구동 트랜지스터에 이동도 센싱 값, 세로 축은 센싱 값에 대한 보상 게인 값, 점선 그래프는 상온에서의 경시 변화, 일점 쇄선 그래프는 45°C에서의 경시 변화, 및 굵은 실선은 60°C에서의 경시 변화를 각각 나타낸다.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 예는 표시 화소 내 구동 트랜지스터의 이동도에 대한 경시 변화의 기울기는 온도가 높아질수록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비교 예는 센싱 구동에서 표시 화소 내 구동 트랜지스터의 이동도를 센싱하고, 이를 기반으로 보상 게인 값을 산출하기 때문에 구동에 따른 구동 트랜지스터의 경시 변화와 온도에 따른 변화로 인하여 온도가 높아질수록 구동 트랜지스터의 이동도에 대한 경시 변화의 기울기가 감소한다. 따라서, 비교 예는 온도에 따른 경시 변화로 인하여 표시 화소 내 구동 트랜지스터의 이동도를 정확하게 센싱하여 보상할 없다.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일 예는 표시 화소 내 구동 트랜지스터의 이동도에 대한 경시 변화의 기울기는 온도가 높아지더라도 비교 예 대비 크게 감소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본 출원의 일 예는 센싱 구동에서 더미 화소 내 구동 트랜지스터의 이동도를 센싱하고, 이를 기반으로 표시 화소에 대한 보상 게인 값을 산출하기 때문에 온도가 높아지더라도 구동 트랜지스터의 이동도에 대한 경시 변화의 기울기가 감소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출원의 일 예는 더미 화소의 센싱 값을 기반으로 표시 화소 내 구동 트랜지스터의 이동도를 온도에 따른 변화와 경시 변화로 구분할 수 있기 때문에 표시 화소 내 구동 트랜지스터의 이동도를 정확하게 센싱하여 보상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는 아래와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는 활성 영역과 활성 영역을 둘러싸는 비활성 영역을 갖는 기판, 활성 영역에 배치되며 구동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화소 회로 및 구동 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광 소자를 갖는 복수의 표시 화소, 및 비활성 영역에 배치되며 더미 구동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더미 화소 회로 및 더미 구동 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전기적으로 분리된 더미 발광 소자를 갖는 복수의 더미 화소를 포함하며, 복수의 더미 화소는 제 1 더미 화소 그룹 및 제 2 더미 화소 그룹으로 그룹화되며, 제 1 더미 화소 그룹과 제 2 더미 화소 그룹 중 제 1 더미 화소 그룹의 더미 화소는 더미 발광 소자와 중첩되는 컬러필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서, 기판의 비활성 영역은 기판의 제 1 가장자리에 정의된 제 1 비활성 영역, 제 1 비활성 영역과 나란한 기판의 제 2 가장자리에 정의된 제 2 비활성 영역, 기판의 제 3 가장자리에 정의된 제 3 비활성 영역, 및 제 3 비활성 영역과 나란한 기판의 제 4 가장자리에 정의된 제 4 비활성 영역을 포함하며, 제 1 내지 제 4 비활성 영역 중 적어도 하나는 제 1 더미 화소 그룹과 제 2 더미 화소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서, 더미 발광 소자는 더미 구동 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컬러필터층은 적색 컬러필터와 녹색 컬러필터 및 청색 컬러필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제 1 더미 화소 그룹은 복수의 더미 화소 중 적색 컬러필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적색 더미 화소와 녹색 컬러필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녹색 더미 화소 및 청색 컬러필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청색 더미 화소를 포함하며, 제 2 더미 화소 그룹은 복수의 더미 화소 중 컬러필터층을 갖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백색의 더미 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서, 기판의 비활성 영역은 복수의 로컬 더미 그룹을 갖는 더미 화소열을 포함하며, 복수의 로컬 더미 그룹 각각은 제 1 더미 화소 그룹과 제 2 더미 화소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서, 기판의 비활성 영역은 복수의 더미 화소를 포함하는 더미 화소열을 포함하고, 제 1 더미 화소 그룹과 제 2 더미 화소 그룹은 더미 화소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교번적으로 배치되며, 컬러필터층은 기판 상에 적층된 적색 컬러필터와 녹색 컬러필터 및 청색 컬러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발광 표시 장치는 복수의 더미 화소 각각의 더미 구동 트랜지스터와 더미 발광 소자를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뱅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서, 기판의 비활성 영역은 복수의 로컬 더미 그룹을 갖는 더미 화소열을 포함하며, 복수의 로컬 더미 그룹 각각은 제 1 더미 화소 그룹과 제 2 더미 화소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서, 기판의 비활성 영역은 기판의 제 1 가장자리에 정의된 제 1 비활성 영역을 포함하고, 제 1 비활성 영역은 복수의 제 1 로컬 더미 그룹과 복수의 제 1 로컬 더미 그룹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제 2 로컬 더미 그룹을 가지며, 복수의 제 1 및 제 2 로컬 더미 그룹 각각은 제 1 더미 화소 그룹과 제 2 더미 화소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서, 복수의 제 1 로컬 더미 그룹 각각의 제 1 및 제 2 더미 화소 그룹에 배치된 더미 화소의 더미 발광 소자는 더미 구동 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복수의 제 2 로컬 더미 그룹 각각의 제 1 및 제 2 더미 화소 그룹에 배치된 더미 화소의 더미 발광 소자는 더미 구동 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서, 기판의 비활성 영역은 기판의 제 1 가장자리에 정의된 제 1 비활성 영역, 제 1 비활성 영역과 나란한 기판의 제 2 가장자리에 정의된 제 2 비활성 영역, 기판의 제 3 가장자리에 정의된 제 3 비활성 영역, 및 제 3 비활성 영역과 나란한 기판의 제 4 가장자리에 정의된 제 4 비활성 영역을 더 포함하고, 수의 제 1 내지 제 4 비활성 영역 각각은 제 1 더미 화소 그룹과 제 2 더미 화소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서, 제 1 내지 제 4 비활성 영역 각각은 복수의 제 1 로컬 더미 그룹과 복수의 제 1 로컬 더미 그룹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제 2 로컬 더미 그룹을 포함하며, 제 2 내지 제 4 비활성 영역 각각은 복수의 제 3 로컬 더미 그룹을 더 포함하며, 복수의 제 1 내지 제 3 로컬 더미 그룹 각각은 제 1 더미 화소 그룹과 제 2 더미 화소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서, 복수의 제 1 및 제 3 로컬 더미 그룹 각각의 제 1 및 제 2 더미 화소 그룹에 배치된 더미 화소의 더미 발광 소자는 더미 구동 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복수의 제 2 로컬 더미 그룹 각각의 제 1 및 제 2 더미 화소 그룹에 배치된 더미 화소의 더미 발광 소자는 더미 구동 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서, 복수의 제 2 로컬 더미 그룹 각각의 제 1 및 제 2 더미 화소 그룹에 배치된 더미 화소의 더미 구동 트랜지스터와 더미 발광 소자를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뱅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서, 복수의 제 3 로컬 더미 그룹 각각에 포함된 제 1 더미 화소 그룹의 더미 화소에 배치된 컬러필터층은 기판 상에 적층된 적색 컬러필터와 녹색 컬러필터 및 청색 컬러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서, 컬러필터층은 적색 컬러필터와 녹색 컬러필터 및 청색 컬러필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제 1 더미 화소 그룹은 복수의 더미 화소 중 적색 컬러필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적색 더미 화소와 녹색 컬러필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녹색 더미 화소 및 청색 컬러필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청색 더미 화소를 포함하며, 제 2 더미 화소 그룹은 복수의 더미 화소 중 컬러필터층을 갖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백색 더미 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과 복수의 표시 화소 및 복수의 더미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을 표시 모드 또는 센싱 모드로 구동하며 표시 패널의 센싱 모드에서 복수의 센싱 라인 각각을 통해서 복수의 표시 화소 각각의 특성 값과 복수의 더미 화소의 특성 값을 센싱하는 패널 구동 회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서, 패널 구동 회로부는 표시 패널의 표시 모드에서, 복수의 표시 화소 각각의 발광 소자를 발광시킴과 동시에 복수의 더미 화소 각각의 더미 발광 소자를 비발광시킬 수 있다. 이때, 패널 구동 회로부는 표시 패널의 표시 구동에서, 비발광 데이터 전압을 복수의 더미 화소 각각에 공급할 수 있다.
상술한 본 출원의 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출원의 적어도 하나의 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본 출원의 적어도 하나의 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출원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출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출원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출원의 기술적 사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출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표시 패널 30: 패널 구동 회로부
100: 기판 101: 더미 화소열
150: 컬러필터층 190: 뱅크
330: 데이터 구동 회로 350: 타이밍 제어 회로

Claims (19)

  1. 활성 영역과 상기 활성 영역을 둘러싸는 비활성 영역을 갖는 기판;
    상기 활성 영역에 배치되며 구동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화소 회로 및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광 소자를 갖는 복수의 표시 화소; 및
    상기 비활성 영역에 배치되며 더미 구동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더미 화소 회로 및 상기 더미 구동 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전기적으로 분리된 더미 발광 소자를 갖는 복수의 더미 화소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더미 화소는 제 1 더미 화소 그룹 및 제 2 더미 화소 그룹으로 그룹화되며,
    상기 제 1 더미 화소 그룹과 상기 제 2 더미 화소 그룹 중 상기 제 1 더미 화소 그룹의 더미 화소는 상기 더미 발광 소자와 중첩되는 컬러필터층을 포함하며,
    상기 기판과 상기 복수의 표시 화소 및 상기 복수의 더미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을 표시 모드 또는 센싱 모드로 구동하며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센싱 모드에서 복수의 센싱 라인 각각을 통해서 상기 복수의 표시 화소 각각의 특성 값과 상기 복수의 더미 화소의 특성 값을 센싱하는 패널 구동 회로부를 포함하는, 발광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비활성 영역은 상기 기판의 제 1 가장자리에 정의된 제 1 비활성 영역, 상기 제 1 비활성 영역과 나란한 상기 기판의 제 2 가장자리에 정의된 제 2 비활성 영역, 상기 기판의 제 3 가장자리에 정의된 제 3 비활성 영역, 및 상기 제 3 비활성 영역과 나란한 상기 기판의 제 4 가장자리에 정의된 제 4 비활성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내지 제 4 비활성 영역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 1 더미 화소 그룹과 상기 제 2 더미 화소 그룹을 포함하는, 발광 표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발광 소자는 상기 더미 구동 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컬러필터층은 적색 컬러필터와 녹색 컬러필터 및 청색 컬러필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더미 화소 그룹은 상기 복수의 더미 화소 중 상기 적색 컬러필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적색 더미 화소와 상기 녹색 컬러필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녹색 더미 화소 및 상기 청색 컬러필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청색 더미 화소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더미 화소 그룹은 상기 복수의 더미 화소 중 상기 컬러필터층을 갖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백색의 더미 화소를 포함하는, 발광 표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비활성 영역은 복수의 로컬 더미 그룹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로컬 더미 그룹 각각은 상기 제 1 더미 화소 그룹과 상기 제 2 더미 화소 그룹을 포함하는, 발광 표시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더미 화소 그룹과 상기 제 2 더미 화소 그룹은 교번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컬러필터층은 상기 기판 상에 적층된 적색 컬러필터와 녹색 컬러필터 및 청색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발광 표시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더미 화소 각각의 상기 더미 구동 트랜지스터와 상기 더미 발광 소자를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뱅크를 더 포함하는, 발광 표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필터층은 적색 컬러필터와 녹색 컬러필터 및 청색 컬러필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더미 화소 그룹은 상기 복수의 더미 화소 중 상기 적색 컬러필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적색 더미 화소와 상기 녹색 컬러필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녹색 더미 화소 및 상기 청색 컬러필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청색 더미 화소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더미 화소 그룹은 상기 복수의 더미 화소 중 상기 컬러필터층을 갖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백색 더미 화소를 포함하는, 발광 표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비활성 영역은 복수의 로컬 더미 그룹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로컬 더미 그룹 각각은 상기 제 1 더미 화소 그룹과 상기 제 2 더미 화소 그룹을 포함하는, 발광 표시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비활성 영역은 상기 기판의 제 1 가장자리에 정의된 제 1 비활성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비활성 영역은 복수의 제 1 로컬 더미 그룹과 상기 복수의 제 1 로컬 더미 그룹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제 2 로컬 더미 그룹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제 1 및 제 2 로컬 더미 그룹 각각은 상기 제 1 더미 화소 그룹과 상기 제 2 더미 화소 그룹을 포함하는, 발광 표시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로컬 더미 그룹 각각의 상기 제 1 및 제 2 더미 화소 그룹에 배치된 더미 화소의 더미 발광 소자는 상기 더미 구동 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제 2 로컬 더미 그룹 각각의 상기 제 1 및 제 2 더미 화소 그룹에 배치된 더미 화소의 더미 발광 소자는 상기 더미 구동 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분리된, 발광 표시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2 로컬 더미 그룹 각각의 상기 제 1 및 제 2 더미 화소 그룹에 배치된 더미 화소의 상기 더미 구동 트랜지스터와 상기 더미 발광 소자를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뱅크를 더 포함하는, 발광 표시 장치.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4 비활성 영역 각각은 복수의 제 1 로컬 더미 그룹과 상기 복수의 제 1 로컬 더미 그룹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제 2 로컬 더미 그룹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내지 제 4 비활성 영역 각각은 복수의 제 3 로컬 더미 그룹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 1 내지 제 4 로컬 더미 그룹 각각은 상기 제 1 더미 화소 그룹과 상기 제 2 더미 화소 그룹을 포함하는, 발광 표시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및 제 3 로컬 더미 그룹 각각의 상기 제 1 및 제 2 더미 화소 그룹에 배치된 더미 화소의 더미 발광 소자는 상기 더미 구동 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제 2 로컬 더미 그룹 각각의 상기 제 1 및 제 2 더미 화소 그룹에 배치된 더미 화소의 더미 발광 소자는 상기 더미 구동 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분리된, 발광 표시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2 로컬 더미 그룹 각각의 상기 제 1 및 제 2 더미 화소 그룹에 배치된 더미 화소의 상기 더미 구동 트랜지스터와 상기 더미 발광 소자를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뱅크를 더 포함하는, 발광 표시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3 로컬 더미 그룹 각각에 포함된 상기 제 1 더미 화소 그룹의 더미 화소에 배치된 상기 컬러필터층은 상기 기판 상에 적층된 적색 컬러필터와 녹색 컬러필터 및 청색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발광 표시 장치.
  16. 제 9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필터층은 적색 컬러필터와 녹색 컬러필터 및 청색 컬러필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더미 화소 그룹은 상기 복수의 더미 화소 중 상기 적색 컬러필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적색 더미 화소와 상기 녹색 컬러필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녹색 더미 화소 및 상기 청색 컬러필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청색 더미 화소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더미 화소 그룹은 상기 복수의 더미 화소 중 상기 컬러필터층을 갖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백색 더미 화소를 포함하는, 발광 표시 장치.
  17. 삭제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구동 회로부는 상기 표시 패널의 표시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표시 화소 각각의 발광 소자를 발광시킴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더미 화소 각각의 더미 발광 소자를 비발광시키는, 발광 표시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구동 회로부는 상기 표시 패널의 표시 모드에서, 비발광 데이터 전압을 상기 복수의 더미 화소 각각에 공급하는, 발광 표시 장치.
KR1020180084329A 2018-07-19 2018-07-19 발광 표시 장치 KR102563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329A KR102563966B1 (ko) 2018-07-19 2018-07-19 발광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329A KR102563966B1 (ko) 2018-07-19 2018-07-19 발광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671A KR20200009671A (ko) 2020-01-30
KR102563966B1 true KR102563966B1 (ko) 2023-08-04

Family

ID=69321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4329A KR102563966B1 (ko) 2018-07-19 2018-07-19 발광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39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3697A (ko) 2021-12-31 2023-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보상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08962A1 (en) * 2015-12-23 2017-06-29 Avantama Ag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6666B1 (ko) * 2012-12-11 2019-12-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231946B1 (ko) * 2014-07-15 2021-03-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08962A1 (en) * 2015-12-23 2017-06-29 Avantama Ag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671A (ko) 2020-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4394B2 (en) Display apparatus
US10714561B2 (en) Display device
KR102372775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300884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70006335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TW201703017A (zh) 有機發光二極體顯示器
KR102317720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415753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351507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0741615B2 (en) Display device
KR102351667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20110273409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102437180B1 (ko) 투명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KR20170023300A (ko) 투명표시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투명표시장치
KR20160076338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60095305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0621912B2 (en) Display device to display images on rear and front surfaces independently of each other
CN105826352B (zh) 有机发光二极管显示器
KR102563966B1 (ko) 발광 표시 장치
JP2007010872A (ja) 表示装置及びアレイ基板
US20230217768A1 (en) Display device
KR20190048557A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US20240147794A1 (en)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20210016725A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JP2009058769A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