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3848B1 - 방광 천자용 트로카 장치 - Google Patents

방광 천자용 트로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3848B1
KR102563848B1 KR1020210016032A KR20210016032A KR102563848B1 KR 102563848 B1 KR102563848 B1 KR 102563848B1 KR 1020210016032 A KR1020210016032 A KR 1020210016032A KR 20210016032 A KR20210016032 A KR 20210016032A KR 102563848 B1 KR102563848 B1 KR 102563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der
trocar
needle
along
insertion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6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2459A (ko
Inventor
박종관
박준성
박준수
우선옥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전북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전북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16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3848B1/ko
Priority to PCT/KR2021/008077 priority patent/WO2022169040A1/ko
Publication of KR20220112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24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3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38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5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ntroducing tubes or catheters, e.g. gastrostomy tubes, drain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03Needle locating or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08Detecting organic movements or changes, e.g. tumours, cysts, swell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08Detecting organic movements or changes, e.g. tumours, cysts, swellings
    • A61B8/0833Detecting organic movements or changes, e.g. tumours, cysts, swellings involving detecting or locating foreign bodies or organic structures
    • A61B8/085Detecting organic movements or changes, e.g. tumours, cysts, swellings involving detecting or locating foreign bodies or organic structures for locating body or organic structures, e.g. tumours, calculi, blood vessels, nod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17Catheters; Hollow probes specially adapted for long-term hygiene care, e.g. urethral or indwelling catheters to prevent inf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06"Over-the-needle" catheter assemblies, e.g. I.V.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5Guide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03Needle locating or guiding means
    • A61B2017/3413Needle locating or guiding means guided by ultrasou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0Trunk
    • A61M2210/1078Urinary tract
    • A61M2210/1085Bladd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esthes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방광 천자용 트로카 장치는, 방광확인용 니들 구조체; 및 상기 방광확인용 니들 구조체의 내부 관통 삽입이 가능한 상태를 갖는 트로카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트로카 본체 내에 축방향을 따라 길게 관통 형성된 방광확인용 니들 삽입관을 따라서 상기 방광확인용 니들 구조체가 삽입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Description

방광 천자용 트로카 장치{Trocar device for bladder puncture}
본 발명은 방광확인용 주사바늘 및 튜브 배치용 트로카를 일체적으로 구성한 상태에서 상기 튜브 배치용 트로카 상에 축방향을 따라 길게 관통 형성된 방광확인용 바늘삽입관을 따라서 상기 방광확인용 주사바늘이 삽입가능한 구조를 갖는 방광 천자용 트로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방광 천자법은 급성 또는 만성으로 요도로 배뇨를 하지 못하는 환자에서 응급으로 하복부에 방광에 배뇨용 카테터를 삽입하기 위한 방광 피부루를 형성하는데 사용하거나, 또는 배양검사를 위해 필요한 소변을 얻는 채뇨방법으로 널리 시행되고 있다. 특히 합병증이 적고 짧은 시간 내에 시행할 수 있으며, 원위요도에 집락화되어 있는 세균에 의한 오염을 줄일 수 있어, 극소 저출생체중아를 비롯한 신생아나 영아에서 가장 이상적인 채뇨방법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숙련된 시술자가 시행하더라고 36-60%의 낮은 성공률을 보이며, 침습적 방법으로 낮은 빈도이지만 심각한 합병증이 동반될 수 있으며, 환아에게 통증을 유발시키고 보호자에게는 두려움을 가져다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방광천자 시 초음파기를 이용하여 방광에 충분한 소변이 차 있는지를 확인하고, 방광의 해부학적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천자 위치와 방향 그리고 천자 깊이를 결정하여 채뇨의 성공률을 높이고 합병증을 줄이고자 하는 노력이 보고되고 있다.
방광천자의 성공률을 좌우하는 것은 초음파 검사상 관찰된 방광이 충분히 팽창되어있는지 확인하는 것으로서 채뇨할 수 있는 충분한 소변이 차 있는지 여부 또는 방광의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하는 것이다.
한편, 방광 피부루는 갑자기 요도로 소변을 보지 못하는 환자에서 장기간의 카테터 유치를 해야 할 경우나 요도 협착 등으로 요도 카테터의 삽입이 불가능한 환자에 시행하는 시술 방법을 말한다.
시술 방법을 보면, 다음과 같다.
국소마취를 한 후 하복부 피부에 1 cm 미만의 횡절개를 한 후 피하 지방층을 벌려 놓는다. 요도 카테터를 요도를 통하여 방광에 삽입하고(한편, 요도카테터 삽입이 안될 경우 세척용 주사기를 직접 요도 입구에 삽입하여 생리식염수를 주입한다) 방광을 300-400 ml의 생리식염수로 채운 후, 하복부의 절개 부위를 통하여 약 3-5 cm 길이의 주사바늘로 방광을 찔러 방광 내의 생리식염수를 흡입하여 방광의 위치와 용적이 원하는 대로 되어 있는 것을 확인한다.
상기 상태에서, 주사 바늘을 제거하고 일반적으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트로카를 절개한 부위에 위치시킨 후 방광 내부를 향하여 힘껏 밀어 넣어 트로카를 방광에 위치시킨 후 트로카를 둘러싸고 있는 원통형의 튜브를 방광에 위치시키게 한다. 마지막으로, 원통형의 튜브를 통하여 장기적으로 유치할 방광-피부루 카테터를 방광에 유치하고, 원통형의 튜브에 이미 만들어져 있는 세로절개 부위를 벌린 상태에서 원통형튜브를 제거하여 수술을 마치게 된다.
한편, 현재 사용하고 있는 방광 피부루 형성 기기는 팽창된 방광을 확인하기 위하여 주사바늘을 방광으로 찌르는 과정 및 방광-피부루 형성 트로카를 방광에 삽입하는 과정이 서로 별개로 시행되어야 하는바, 팽창된 방광을 확인하기 위하여 주사바늘을 삽입했던 위치와 방광-피부루 형성 트로카를 삽입할 때의 위치가 동일하지 않아 환자가 무의식적으로 움직이거나 트로카의 방향에 따라 트로카를 삽입할 위치가 달라져 장천공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어 시술자에게는 매우 부담이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118090호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관형 본체 및 천자 바늘을 갖고, 내부 관형 본체는 외부 관형 본체의 작업 루멘을 통해 안내되고 외부 관형 본체에 대해 종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고, 천자 바늘은 내부 관형 본체의 천자 루멘을 통해 안내되고, 내부 관형 본체는 천자 바늘에 대해 종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천자 시스템을 제공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118090호)
본 발명은 방광확인용 초음파푸르브, 주사바늘 및 튜브 배치용 트로카를 일체적으로 구성한 상태에서 상기 튜브 배치용 트로카 상에 축방향을 따라 길게 관통 형성된 방광확인용 니들 삽입관을 따라서 상기 방광확인용 초음파푸르브 및 주사바늘의 삽입 가능한 구조를 갖는 방광 천자용 트로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광 천자용 트로카 장치는, 방광확인용 니들 구조체; 및 상기 방광확인용 니들 구조체의 내부 관통 삽입이 가능한 상태를 갖는 트로카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트로카 몸체 내에 축방향을 따라 길게 관통 형성된 방광확인용 니들 삽입관을 따라서 상기 방광확인용 니들 구조체의 삽입가능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트로카 몸체를 둘러싸는 방식으로 투명한 재질을 갖는 소변배출용 카테터 삽입용 튜브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방광확인용 니들 삽입관은, 상기 트로카 몸체의 하단 상에서 하부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하되, 상기 방광확인용 니들 삽입관의 끝단은 경사진 상태로 토출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방광 천자용 트로카 장치는 기존 트로카 장치의 중심축 상에 방광확인용 초음파푸르브 및 주사바늘이 삽입되어 들어갈 수 있도록 세로로 길게 상기 방광확인용 주사바늘보다 굵은 상태로 바늘안착터널인 방광확인용 니들 삽입관을 설치함으로써, 방광 확인을 위하여 초음파푸르브를 삽입하는 과정, 주사 바늘을 통해 방광 내의 생리식염수를 흡입하는 과정 및 방광 확인 후에 방광에 삽입했던 주사바늘을 제거한 상태에서 트로카를 절개부위에 위치하여 방광내로 삽입하여 소변배출용 튜브를 위치시키는 여러 단계의 시술 과정을 분리되지 않고 동시에 진행가능하게 하므로 시술자가 갖는 부담이나 수술 시 발생할 수 있는 비정상적 방광 피부루 형성술과 같은 합병증의 발생을 방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방광확인용 니들 구조체가 결합된 방광 천자용 트로카 장치의 개념도를 보인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방광확인용 니들 구조체가 결합된 방광 천자용 트로카 장치의 개념도를 보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팽창된 방광을 확인하기 위해 초음파 푸르브 내지 주사바늘을 삽입하는 위치 및 소변배출용 튜브인 카데터를 삽입하기 위하여 트로카를 삽입할 위치를 동일하게 하는 목적을 위하여 구현한 장치인 것으로서, 방광확인용 초음파푸르브, 주사바늘 및 요도카테터인 소변배출용 튜브를 배치하는 트로카 장치를 일체적으로 구성한 상태에서, 상기 소변배출용 튜브 배치용 트로카 장치 상에 축방향을 따라 길게 관통 형성된 바늘삽입관을 따라서 방광확인용 초음파푸르브 및 주사바늘의 삽입가능한 구조를 갖는 것을 핵심적인 특징으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광 천자용 트로카 장치(100)는 방광확인용 니들 구조체(10,10'), 방광확인용 니들 구조체의 내부 관통 삽입이 가능한 상태를 갖는 트로카 본체(20) 및 트로카 본체(20)를 둘러싸는 방식으로 투명한 재질을 갖는 소변배출용 카테터 삽입용 튜브(30)를 포함한다.
방광확인용 니들 구조체(10,10')는 트로카 본체(20)의 내부를 상하 축방향을 따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방광확인용 초음파푸르브(10) 및 방광확인용 주사바늘(10')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방광확인용 초음파푸르브(10)는 특수한 초음파기기가 있어야만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1차적으로 트로카 본체(20)에 형성된 방광확인용 니들 삽입관(22)에 넣어 하복부에 절개한 지방층에서 방광을 천자하지 않고도 방광의 구조와 방광이 차있는지를 확인한다. 방광확인용 초음파푸르브(10)는 푸르브 본체(11) 및 푸르브 본체(11)의 하단에 결합되는 탐침자(12)를 갖는다,
한편, 방광확인용 초음파푸르브를 통한 확인 후에, 방광확인용 주사바늘을 2차적으로 방광에 삽입하여 방광의 생리식염수를 흡입하여 방광을 추가로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방광확인용 주사바늘(10')은 예를 들어, 바늘 본체(13), 바늘 본체의 상단 상에 연통 결합된 주사기 삽입구(14) 및 바늘 본체의 하단 상에 경사지게 형성된 바늘 첨단부(15)를 갖는다.
방광확인용 주사바늘의 상단부 상에 결합되는 주사기 삽입구의 구체적인 구조는 일반적으로 주사기를 연결하여 방광 내의 생리식염수를 흡입하므로 주사바늘의 주사기 연결부위를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한다.
방광 천자용 트로카 장치를 이용하는 과정을 보면, 방광 내 생리식염수 흡입용 바늘인 방광확인용 주사바늘을 방광 내까지 삽입하여 방광을 확인한 후에, 트로카 본체(20)의 하단 관통구 말단 상에 역시 주사 바늘과 같이 구멍이 있는 바늘이 형성된 토출구(27)를 지방 층에서 방광 내로 밀어넣으면 트로카 장치 전체가 삽입되는 상태를 갖게 된다. 기존의 트로카 장치의 하단부 끝을 보면, 구멍이 없는 상태의 삼각 원형 바늘 형상으로서 천공의 목적으로만 사용되는 것에서 진일보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트로카 본체(20)는 길이 방향인 축방향을 따라 길게 방광확인용 니들 삽입관(22)이 관통 삽입된 메인 하우징(21), 메인 하우징의 상부 주위를 따라 반경 방향으로 형성되는 손잡이부(23), 메인 하우징의 하단부 상에서 연장되어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 하부 하우징(25) 및 하부 하우징의 하단부 상에서 하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토출구(27)를 포함한다.
메인 하우징은 원통 형상을 갖는 것으로서 그 축 중심을 따라서 형성된 관통공 상에 방광확인용 니들 삽입관(22)이 배치된다. 상기 바늘 삽입관은 쇠로 만들 경우 토출구와 일체형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바늘 삽입관과 토출구를 분리 시에는 토출구의 상부는 트로카의 재질과 동일하게 할 수 있으나, 토출구는 방광확인용 초음파푸르브나 천자용 바늘이 걸리지 않도록 바늘 삽입관보다 구경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광확인용 니들 삽입관(22)은 상기 트로카 본체(20)의 하단 상에서 하부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하되, 상기 방광확인용 니들 삽입관(22)의 끝단은 경사진 상태로 토출구가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은 트로카 본체(20) 내에 축방향을 따라 길게 관통 형성된 방광확인용 니들 삽입관(22)을 따라서 방광확인용 초음파 푸르브 내지 주사바늘이 삽입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소변배출용 카테터 삽입용 튜브(30)는 트로카 본체(20)를 둘러싸는 방식으로 투명한 재질을 갖는 한편으로 축방향을 따라서 그 측면 상에 세로절개부위를 형성한다. 상기 세로절개부위는 점선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힘을 가하게 되면 소변배출용 카테터 삽입용 튜브(3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하게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트로카 본체(20)를 소변배출용 카테터 삽입용 튜브(30) 상에 끼우는 과정에서, 상기 세로절개부위를 통해 탄력성을 유지한 상태에서 안정적인 결속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광 천자용 트로카 장치는 기존 트로카 장치의 중심축 상에 방광확인용 초음파 푸르브 내지 주사바늘이 삽입되어 들어갈 수 있도록 세로로 길게 상기 방광확인용 니들 구조체보다 굵은 상태로 바늘안착터널인 방광확인용 니들 삽입관(22)을 설치함으로써, 시술 과정이 분리되지 않고 동시에 진행이 가능하게 하므로 시술자가 갖는 부담이나 수술 시 발생할 수 있는 장천공 등 비정상적 방광 피부루 형성과 같은 합병증을 방지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10' : 방광확인용 니들 구조체
20 : 트로카 본체
21 : 메인 하우징
22 : 방광확인용 니들 삽입관
23 : 손잡이
25 : 하부 하우징
27 : 토출구
30 : 소변배출용 카테터 삽입용 튜브
100 : 방광 천자용 트로카 장치

Claims (3)

  1. 방광확인용 니들 구조체; 및
    상기 방광확인용 니들 구조체;의 내부 관통 삽입이 가능한 상태를 갖는 트로카 본체(20); 및
    상기 트로카 본체(20)를 둘러싸는 방식으로 투명한 재질을 갖는 소변배출용 카테터 삽입용 튜브(30);를 포함하는 방광 천자용 트로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로카 본체(20)는 길이 방향인 축방향을 따라 길게 방광확인용 니들 삽입관(22)이 관통 삽입된 메인 하우징(21), 상기 메인 하우징의 상부 주위를 따라 반경 방향으로 형성되는 손잡이부(23), 상기 메인 하우징의 하단부 상에서 연장되어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 하부 하우징(25) 및 상기 하부 하우징의 하단부 상에서 하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토출구(27)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하우징의 축 중심을 따라서 형성된 관통공 상에 상기 방광확인용 니들 삽입관(22)이 배치되며,
    상기 소변배출용 카테터 삽입용 튜브(30)의 축방향을 따라서 그 측면 상에 세로절개부위를 형성하고, 상기 세로절개부위는 점선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힘을 가하게 되면 소변배출용 카테터 삽입용 튜브(3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하게 변형이 이루어지며,
    상기 트로카 본체(20) 내에 축방향을 따라 길게 관통 형성된 방광확인용 니들 삽입관(22)을 따라서 상기 방광확인용 니들 구조체;가 삽입가능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 천자용 트로카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광확인용 니들 삽입관(22)은,
    상기 트로카 본체(20)의 하단 상에서 하부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하되, 상기 방광확인용 니들 삽입관(22)의 끝단은 경사진 상태로 토출구가 형성되는, 방광 천자용 트로카 장치.
KR1020210016032A 2021-02-04 2021-02-04 방광 천자용 트로카 장치 KR102563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6032A KR102563848B1 (ko) 2021-02-04 2021-02-04 방광 천자용 트로카 장치
PCT/KR2021/008077 WO2022169040A1 (ko) 2021-02-04 2021-06-28 방광 천자용 트로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6032A KR102563848B1 (ko) 2021-02-04 2021-02-04 방광 천자용 트로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2459A KR20220112459A (ko) 2022-08-11
KR102563848B1 true KR102563848B1 (ko) 2023-08-07

Family

ID=82741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6032A KR102563848B1 (ko) 2021-02-04 2021-02-04 방광 천자용 트로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63848B1 (ko)
WO (1) WO2022169040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88223B2 (ja) 2000-12-12 2009-12-2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トロッカーシステム
JP5611331B2 (ja) 2009-06-01 2014-10-22 キンバリー クラーク ワールドワイド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穿孔拡張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35634A (en) * 1976-05-10 1977-11-12 Hitachi Ltd Data transfer system
US5330432A (en) * 1991-12-06 1994-07-19 Inbae Yoon Retractable safety penetrating instrument
JP2010512836A (ja) * 2006-12-15 2010-04-30 タイコ ヘルスケア グループ リミテッド パートナーシップ 栓塞子および格納式スタイレットを有するトロカールアセンブリ
US8118736B2 (en) * 2007-09-27 2012-02-21 Swan Valley Medical, Incorporated Method of accessing a bladder and associated apparatus therefor
DE102018102390A1 (de) 2018-02-02 2019-08-08 Jens Ebnet Punktionssystem
KR102278476B1 (ko) * 2019-11-12 2021-07-15 김기성 복강경 수술용 트로카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88223B2 (ja) 2000-12-12 2009-12-2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トロッカーシステム
JP5611331B2 (ja) 2009-06-01 2014-10-22 キンバリー クラーク ワールドワイド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穿孔拡張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2459A (ko) 2022-08-11
WO2022169040A1 (ko) 2022-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86424B2 (ja) カテーテル導入器
US3742958A (en) Suprapubic catheter inserter
EP0980691A1 (en) Puncturing balloon catheter and medical tube introduction implement using the catheter
US20060129128A1 (en) Method and system for drug delivery
US2011015283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rterial and Venous Cannulation
JP2008522741A (ja) 針誘導治療実行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2006520663A (ja) 治療用または診断用薬剤送出装置
JP2013513458A (ja) 位置決め・マーカーを持つ血管内カテーテル及び配置法
EP2308544A1 (en) Aseptic re-aspiration catheter apparatus
KR20180037216A (ko) 천공 시스템
CN112155683A (zh) 一种穿刺扩张装置
KR102563848B1 (ko) 방광 천자용 트로카 장치
CN111744067A (zh) 一种腹膜透析管穿刺装置
CN210355644U (zh) 一种新型尿道狭窄扩张并辅助留置尿管的装置
US9962185B2 (en) Trocar and sheath assembly for placement of implantable device adjacent a body lumen
US20050124852A1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treatment of incontinence
JP2003339874A (ja) 薬液注入カテーテルと、薬液注入用治療具
WO2010033406A2 (en) Needle having ultrasound opaque elements
CN212574941U (zh) 一种可导入双腔导尿管的经皮肾穿刺造瘘装置
CN210277939U (zh) 一种医用引流管组件
CN210355625U (zh) 一种一次性退让式局部麻醉穿刺针套件
CN214387613U (zh) 一种膀胱造瘘装置
CN215306540U (zh) 一种自封闭膀胱穿刺造瘘组件
CN215024739U (zh) 一次性使用导管鞘组件
CN211094536U (zh) 一种膀胱穿刺造瘘套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